KR0178835B1 -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835B1
KR0178835B1 KR1019950045474A KR19950045474A KR0178835B1 KR 0178835 B1 KR0178835 B1 KR 0178835B1 KR 1019950045474 A KR1019950045474 A KR 1019950045474A KR 19950045474 A KR19950045474 A KR 19950045474A KR 0178835 B1 KR0178835 B1 KR 0178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static
developing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111A (ko
Inventor
사치오 사사키
Original Assignee
세키사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사와 다다시, 후지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사와 다다시
Publication of KR960032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8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6Eliminating residual charges from a reusable imaging member
    • G03G21/08Eliminating residual charges from a reusable imaging member using optical radi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6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potential of the developing electr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evelop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 토너 더러워짐이 적은 상을 형성할 수 있는 상형성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과 사진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가 구동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감광드럼의 기동시에 현상기로부터의 토너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광광학유니트로 감광드럼의 소정의 영역을 제전하고, 그때, 제전된 영역과 균일하게 대전된 영역과의 경계영역에 있어서 제전전위를 서서히 변화시키고, 그 경계영역내에 현상기가 위치하였을 때에, 현상바이어스의 온, 오프를 행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형성장치의구조를 도시하는 도.
제2도는 제1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형성장치의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럭도.
제3도는 제1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형성장치의 동작 시퀀스(sequence)를 도시하는 타이밍 챠트.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동작 시퀀스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한 동작 시퀀스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제6도는 감광드럼의 표면전위가 변화하는 부분의 전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제7도는 제1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형성장치의 실험결과를 종래 장치와의 비교로 도시하는 도.
제8도는 제1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초기 동작의 전후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한 타이밍챠트.
제9도는 제1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형성장치의 변형예에서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10도는 제2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형성장치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하는 제어계에서 실행되는 동작 시퀀스를 도시한 타이밍챠트.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시퀀스(sequence)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표시한 흐름도.
제13도는 제11도에 도시한 동작 시퀀스(sequence)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제14도는 각 동작 모드와 면적 계조(階調 : 농도의 단계를 의미함) 패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
제15도는 제2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형성장치의 실험결과를 종래 장치와의 비교로 도시한 도.
제16도는 면적단조 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
제17도는 제3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상형성장치에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한 도.
제18도는 제17도에 도시한 제어계에서 실행되는 동작 시퀀스를 도시한 흐름도.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한 동작 시퀀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제20도는 제18도에 도시한 동작 시퀀스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제21도는 클리너리스타입(clearnerless type)의 전자사진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
제22도는 제21도에 도시한 전자사진장치에서 실행되는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
제23도는 감광드럼의 표면전위가 급속히 변화하는 부분에서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제24도는 감광드럼과 용지에 부착되는 토너와 캐리어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
본 발명은,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 기록매체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사진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관계되고, 상세히는, 사진스텝후에 감광체상에 잔류한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너를 쓰지않고 전자사진프로세스를 실행하는 프린터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이하, 전자사진장치라 한다)에 있어서, 저비용화, 소형화를 위하여, 전사 후에 드럼상에 남은 토너를 클리너를 쓰지않는 타이프(이하, 클리너리스 타이프라 한다)가 제안되어 있다. 클리너리스타이프의 전자사진장치에서는, ① 토너를 폐기하는 기구가 불필요하고, ② 폐기토너를 저장하는 스페이스가 불필요하고, ③ 전토너가 인자(印字)에 기여하므로 경제적이며, ④ 폐기토너가 없으므로 환경문제에 적응한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제21도에 클리너리스타입의 전자사진장치의 일예를 도시한다.
제21도에 있어서, 감광체드럼1의 주위에, 감광드럼1상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균일한 대전기 2, 화상노광을 행하여 감광드럼 1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학유니트 3, 정전잠상에 대전토너를 부착(현상)시키는 현상기 4 및 감광드럼 유니트 1상의 토너상을 정전적으로 용지P에 전사하는 사진기 5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기록지 P를 반송하는 반송로상에 열 또는 압력으로 토너상을 용지 P상에 고정하는 정착기(定着機) 8이 배치되어 있다. 더구나 전사기 5와 균일한 대전기 2와의 사이에 일반적인 전자사진장치의 클리너유니트에 대신하여 분산롤러부재 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사진장치에서는, 먼저 회전하는 감광드럼1의 표면을 균일한 대전기 2에 의해서 균일학 대전한다. 다음에 감광드럼 1의 표면을, 광학유니트 3에 의하여 화상에 대응한 패턴에 따라 화상노광한다. 감광드럼 1상의 노광된 부분에서는, 균일한 대전기 2에 의한 전위(절대치)가 저하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드럼 1상의 정전잠상이 현상기 4를 통과하면, 현상기 4내에서 미리 대전된 토너가 정전잠상에 부착하여 토너상이 형성된다. 한편, 화상이 프린트되는 용지 P는, 감광드럼 1상에 형성된 토너상에 접촉하는 위치에 공급된다. 전사기 5는 용지 8에 끼워서 감광드럼 1의 근방에 설치되고, 용지 P를 토너전하와 반대극성으로 대전시켜, 감광드럼 1상의 토너상을 정전적으로 용지 P에 찍어낸다. 토너상을 담지(擔持)한 용지 P는, 정착기 8을 통과하는 사이에, 열과 압력에 의해서 용지 P에 정착되고, 인자가 완료된다.
한편, 용지 P에 토너상을 전사한 후의 감광드럼 1상에 남은 (잔류토너)는 분산롤러부재 9에 의해서 분산되고, 감광드럼 1상에서의 토너분포를 균일하게 한다. 이후, 감광드럼 1상에 잔류토너가 부착한 상태에서 상술한 균일한 대전 및 화상노광의 각 스텝이 행하여진다. 그리하여, 현상기 4가 잔류토너의 회수와 동시에 토너현상을 행한다.
이 현상스텝을 더 상세히 보면, 다음과 같이 된다.
감광드럼 1의 표면전위는, 균일한 대전기 2에 의해서, -500~-1000V로 설정되고, 화상노광에서 전위가 저하하나 노광부는 -50~-100V 정도로 전위(절대치)가 저하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시에는, 표면전위와 잠상전위의 거의 중간의 현상 바이어스(예를 들면, -400V)를 현상기 4의 현상롤러에 인가한다. 현상롤러상에 부착하여 있는 마이너스 대전토너가, 현상바이어스와 잠상전위로 형성하는 전계에 의해서, 감광드럼 1상의 정전잠상에 부착하고 토너상을 형성한다. 더우기, 이 화상현상과 현상 바이어스로 형성하는 전계(자성 토너 사용시에는 자력도 작동한다)에 의해서, 감광드럼 1에서 현상기 4로 회수된다.
상기 분산부재 9에 의한 토너분산은, 화상노광시스템에서의 필터효과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 일부에 집중하고 있는 토너를 분산시킴으로써 단위면적당의 토너를 작게하여 현상기 4에 의한 회수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더우기, 상기 분산부재 9에 제전(除電)기능을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분산부재 9에 분산 압력을 인가하고, 이 분산 압력으로 전사에 의해서 드럼 1에 주어진 전하를 제거한다. 이에 의해서 현상기 4에 의한 잔류토너의 회수가 더욱 효과적으로 행해진다.
이와 같이, 소형화가 도모되는 클리너리스타입의 전자사진장치(프린터 또는 복사기)에서는, 그 장치의 소형화를 이루기 위하여, 감광드럼 1, 현상기 4, 분산부재 9를 하나의 모터로 구동한다. 또, 균일한 대전전압 Vd, 전사전압 Vt, 현상바이어스 Vb, 분산전압 Vc는 고압유니트로 발생시킨다. 본예의 경우, 현상바이어스는 독립하여 ON/OFF로 되나, 기타의 균일한 대전기, 전사기, 분산전압은 하나의 신호에서 ON/OFF로 되도록 고압트랜스의 일차측을 공통으로 한 전원으로 하고 있다. 즉, 균일한 대전전압 Vd, 전사전압 Vt, 분산전압 Vc 같은 타이밍으로 ON/OFF 한다.
이 경우, 인자(화상형성) 동작종료 및 전원투입후의 초기동작 종료직후의 감광드럼 1상의 전위는, 제21도와 같이 되어 있다. 즉, 균일한 대전기 2(위치 p1)에서 현상기 4(위치 p2)의 영역 A에서는, 균일한 대전기 2에 의한 대전용 작용에 의해 생긴 면전위가 소정의 전위, 예를 들면 -600V로 보지된다. 현상기 4 4(위치 p2)에서 전사기 5(위치 p3)까지의 영역 B에서는, 균일한 대전기 2에 의해서 생긴 표면전위와 같은 전위로 된다. 전사기(위치 p3)에서 분산부재 9(위치 p5)까지의 영역 C에서는, 전사기 5의 플라스전위가 생긴다. 분산부재 9(위치 p5)에서 균일한 대전기 2(위치 p1)까지의 영역 D부에서는, 본 예와 같이 분산부재 9에 드럼제전기능을 부가한 경우에는, 영역 C의 플라스전위를 제거하여 거의 0V로 한다. 그러나 분산부재 9에 드럼제전기능을 부가하지 않은 프로세스나 분산부재의 수명 등에 의해서, 플라스 전위가 남을 가능성이 크다. 이와 같은 플라스전위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균일한 대전기 2로 다시 감광드럼 1의 표면전위를 마이너스로 한다.
이 인자동작 종료까지는 초기 동작종료의 직후에, 재차의 화상형성을 위하여 현상바이어스를 ON(-400V)로 한 경우, 영역A가 균일한 대전전압(-600V)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특히 토너가 현상기 4에서 감광체 1로 옮기는 일은 없다. 그러나, 상기 동작 종료후 방치된 경우에는, 영역 A의 위치는 자연감쇄에 의해서 0V 부근(예를들면, 0V 내지 10V)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화상형성을 위해서 현상바이어스를 ON(-400V)으로 하여, 감광드럼 1과 현상롤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계에 의해서, 마이너스전위를 띤 토너가 감광드럼 1의 영역 A에 부착해버린다.
이와같이, 상기 동작종료후 방치되는 것을 고려하여, 재차의 화상형성 프로세스의 개시에서 소정의 시간현상 바이어스를 OFF(0V)로 보지해두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특히, 이성분현상제를 수용한 현상기 4를 갖춘 전자사진장치에서는, 상기 동작종료의 직후에서 재차의 화상프로세스가 개시되고, 감광드럼 1(표면전위는 자연감쇄가 없는 (-600V)와 현상롤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계에 의해서 플러스 전위를 띤 캐리어가 감광드럼 1의 영역 A에 부착해버린다.
상기와 같이 하여 감광 감광드럼 1상에 부착한 토너는, 분산부재 9 및 현상기 4의 작동에 의해서 현상기 4내에 회수되나, 그 부착량이 많아지면, 기록지 P에 형성되는 화상의 품질이 저하해버린다. 또, 감광드럼 1에 부착한 캐리어도 화상품질의 저하의 원인이 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인자동작종료후 및 초기동작 종료후에 재차 화상형성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경우에 토너 또는 캐리어가 감광드럼 1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전자사진장치를 이미 제안하고 있다(특원평 5-258703).
이 전자사진장치는, 화상형성프로세스가 개시되기전에, 광학유니트 3에 의해서 감광드럼 1의 영역 A를 전면노광하여 그 영역 A를 제전하도록 하여, 그후, 감광드럼 1에서의 균일한 대전의 개시위치가 현상기 4에 도달할때에, 현상바이어스를 ON으로 하도록 하고 있다. 그 구체적인 동작 시퀀스는 제2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2도에 있어서, ①에서는, 인자동작을 개시함에 있어, 감광드럼 1, 현상기 4를 구동할 모터를 기동한다. 이와 동시에, 광학유니트 3를 동작시켜서, 감광드럼 1을 전면노광하여 드럼표면전위를 저하시킨다.
②는 구동모터의 회전이 안정한 타이밍이고, 인자에 필요한 고전압, 균일한 대전전압 Vd, 전사전압 Vt, 분산전압 Vc를 ON한다.
③에서는 균일한 대전전위가 소정의 전위에 도달한 부분이 광학유니트 3의 화상노광위치로 이동하는 타이밍 T2에서 광학유니트 3에서의 전면노광을 OFF한다.
④에서는 광학유니트 3에서의 전면노광을 OFF한 위치가 현상기 4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대기하고, 현상기 4에 인가하는 현상 바이어스 Vb를 ON한다.
⑤에 상당하는 부분에서는, ④에서 소정의 시간 감광드럼 1을 동작시켜, 광학유니트 3에 인자데이타를 전송하여 화상노광을 행하여, 인자를 행한다.
⑥에서, 소정의 인자가 종료하여 감광드럼 1을 정지시킴에 있어, 광학유니트 3을 동작시켜서 감광드럼 1을 전면노광한다.
⑦에서는, 광학유니트 3에서의 전면노광을 ON한 위치가 현상기 4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T3만큼 대기하여 현상기 4에 인가하는 현상바이어스 Vb를 OFF한다.
⑧에서는, 구동모터, 균일한 대전전압 Vt, 분산전압 Vc를 OFF한다. 더우기, 감광드럼 1의 전면노광도 동시에 OFF한다.
상기에서는, 인자동작시의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메인전원을 투입한 경우나 잼처리후의 재기동시동에 행하는 초기 동작에도, 본 시퀀스가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 시퀀스에 의하면, 화상형성프로세스의 개시시에는, 반드시 균일한 대전기 2와 현상기 사이의 감광드럼 1상의 영역 A는 제전된 상태로 된다.
그리하여, 감광드럼 1상의 균일한 대전이 된 현상기 4에 도달할 때에 현상바이어스가 항시 ON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토너 또는 캐리어의 감광드럼 1에의 부착이 방지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 시퀀스에 따라, 현상 바이어스, 광학 유니트에 의한 전면노광동작 등을 제어하는 경우, 현상바이어스를 OFF하는 타이밍 ⑦과 현상바이어스를 ON하는 타이밍 ④에서는,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드럼 1의 표면전위 분포가 제저노딘 전위(예를 들면, -50V 내지 -100V)에서 균일한 대전전위(예를 들면, -600V)에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전면노광 개시위치와 전면노광 종료위치에 대응)이 현상롤러(현상기 4)에 대향하도록 된다. 현상롤러와 감광드럼 1이 접촉하는 부분이 있는 폭(현상 니프라 함)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현상 내프내에 상기와 같은 감광드럼 1의 표면전위분포가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에 당도하면, 현상 니프내에서는 전면노광부분과 비노광부분(균일한 대전부분)이 현상롤러에 대향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현상바이어스의 ON 또는 OFF가 되면, 현상바이어스 Vb(ON시 전압 : -400V)와 전면노광부분전위(-50V~-100V)와의 전계에 의하여, 전면노광한 부분에 대상(帶狀)으로 토너가 부착한다. 또, OFF시의 현상바이어스와 비노광부 전위(-600V)와의 전계에 의하여, 비노광부분에 이성분현상제의 캐리어가 대상으로 부착한다.
그 결과, 제24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광드럼 1을 정지시킬 때의 전면노광 개시위치(⑥에 대응), 와 감광드럼을 기동할 때의 전면노광 종료위치(③에 대응)에 있어서, 거의 현상니프에 대응한 폭으로 도너 또는 캐리어가 대상으로 부착해버린다.
이와 같이, 감광드럼 1상에 부착한 대상의 더러워짐은, 현상기 4에서의 회수가 불충분한 경우, 자칫하면 기록지 P상에 더러움으로 나타나고 화상품질을 열화시킨다(제24b도 참조). 또, 캐리어의 부착이 많으면 화질에의 영향과 함께 장치내의 캐리어가 비산하여 기계내 오염함으로써, 기록지 P를 더럽힐 수가 있다.
더우기, 전면노광이 사용하는 기록지 P의 폭보다 작은 경우, 감광드럼 1의 좌우단에 부착하는 더러워짐(캐리어가 주요)에 의하여, 기록지 P의 좌우단에 카브리상의 더러워짐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제24a도 참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화상상의 더러움을 없애고, 양호한 화질의 기록화상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균일한 노광, 현상과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전위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킬때에 제전개시점에서 소정의 폭의 영역에 대하여 균일한 대전의 전위와 최종 제전전위와의 사이에서 변화하는 전위분포가 얻게 되도록 상기 전위분포를 가지는 영역에 들어간 상태에서,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제어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전위분포를 가지는 영역에 들어간 상태에서, 현상공정에서 쓰이는 현상 바이어스를 끄기 위한 바이어스 제어수단을 가지도록 하였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 및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전위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에서, 최종 제전전위가 얻어지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전을 종료할 때, 소정의 폭의 영역에 대하여 최종 제전전위와 균일한 대전의 전위사이에서 변화하는 전위분포가 얻어지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전 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후, 상기 현상공정의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전위분포를 가지는 영역에 들어간 상태로 현상공정에 쓰이는 현상 바이어스를 투입하기 위한 바이어스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에서도 해결된다.
더우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3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과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사진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특매체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전위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에서, 최종 제전전위가 얻어지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전을 종료할 때, 소정의 폭의 제1의 영역에 대하여 최종 제전전위와 균일한 대전의 전위사이에서 변화하는 전위분포가 얻게되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1의 제전 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후, 상기 현상공정의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전위분포를 가지는 제1의 영역에 들어간 상태로 현상공정에 쓰이는 현상 바이어스를 투입하기 위한 제1의 바이어스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킬때에, 제전 개시점에서 소정의 폭의 제2의 영역에 대하여 균일한 위치와 최종전위사이에서 변화하는 전위분포가 얻게되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2의 제전제어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전위분포를 가지는 제2의 영역에 들어간 상태에서,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제어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전위분포를 가지는 제2의 영역에 들어간 상태로 현상공정에서 쓰인 현상바이어스를 끄기 위한 제2의 바이어스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23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균일한 노광, 현상과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전위에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킬때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 제전전위가 얻게 되도록 그 제전수단을 기동시키는 제전 제어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제전이 개시된 위치와 균일하게 대전된 영역의 경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감광체의 영역에 들어간 상태로 현상공정에 쓰인 현상바이어스를 소정의 압력에서 오프된 압력의 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끄기위한 바이어스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으로 하였다.
또다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과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위치에서 마찬가지로 된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에서, 소정의 제전전위가 얻게되도록 상기 제전전위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전을 종료시키는 제어하는 제전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후, 상기 현상 공정의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제전이 종료한 위치와 균일하게 대전된 영역에서의 경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압력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동작하기 위한 바이어스 제어수단을 가지도록 하였다.
더우기,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27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과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전위에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에서, 소정의 제전전위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전을 종료시키는 제어하는 제1의 제전 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후, 상기 현상공정의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제전이 종료한 위치와 균일하게 대전된 영역의 경계를 포함하는 제1의 영역내에 들어간 상태로, 현상공정에서 쓰이는 현상바이어스를 오프압력과 소정의 압력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동작하기 위한 제1의 바이어스 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킬 때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 제전전위가 얻을 수 있도록 그 제전수단을 기동시키는 제2의 제전제어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제전이 개시된 위치와 균일하게 대전된 영역의 경계를 포함하는 제2의 영역내에 들어간 상태로,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그 제2의 영역에 들어간 상태로 시키면서 끄기위한 제2의 바이어스제어수단을 갖도록 하였다.
장치의 소형화의 관점에서, 청구항 5 및 1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제전장치는, 노광공정에서 쓰이는 광원을 포함하는 광학계를 공용하도록 하였다.
용지 등의 기록매체의 주변에서의 더러움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청구항 3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제전수단에 의하여 제전되는 광학체상의 영역폭이, 그 상형성장치에 공급되는 기록매체의 최대폭 이상으로 설정되었다.
각 청구항에 기재되는 상형성장치에서는,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장치가 균일하게 대전된 영역과 제전된 영역과의 경계영역에 있을 때, 그 경계영역에 있어서, 균이한 대전된 감광드럼의 표면전위와 현상바이어스와의 차가 급격히 변화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그 경계영역에서의 양전위의 차에 대한 현상제의 감광체에의 차량이 저감한다.
특히, 청구항 30 기재의 상형성장치에서는, 그 상형성장치에 공급되게 될 기록매체의 최대폭 이상의 폭의 영역이 제전수단에 의하여 제전된다. 따라서, 기록가능의 사이즈의 기록매체가 공급되더라도, 그에 대응하는 감광체의 영역은 소정의 타이밍으로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전자사진장치를 도시한다. 이 전자사진장치는, 클리너리스타입의 전자사진프린터이다. 또 이 프린터는, A4사이즈 전용기이고, 인자가능한 최대용지폭은 레터사이즈의 216mm이다.
제1도에 있어서, 감광드럼 20은 알루미늄상에 기능분리형 유기감광체를 두께 20㎛로 도포한 구조로 되고, 외형이 24mm로 화살표 방향으로 주속도 25mm/s로 회전한다. 전 대전기(pre-charge) 21은 감광드럼 20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것으로써 스코로트론(방전기의 일종)으로 구성된다. 이 전 대전기 21은, 비접촉형 대전기이고, 감광드럼 20의 표면을 약 -600V로 대전한다.
광학유니트 22는,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드럼 20을 화상노광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형화를 위하여, LED어레이와 SELFOC렌즈 어레이를 조합시킨 LED 광학계를 사용하고 있다. LED의 발광 가능한 폭은,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당해 전자사진프린터에 사용가능한 용지중에서 횡폭이 가장 넓은 레터사이즈와 같은 216mm로 하였다. 이 광학유니트 2로, 감광드럼 20을 화상패턴에 따라 화상노광함으로써 감광드럼 20에 -50~-100V의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기 23은, 감광드럼 20의 정전잠상에 대전토너를 공급하고, 가시화하는 것이다. 이 현상기 23은 현상제를 감광드럼 20에 반송·공급하는 현상롤러 24를 가지고 있다. 현상롤러 24는 복수의 전극을 가지는 마그네트롤러와 회전가능케 마그네트롤러의 외측을 덮는 슬리브(sleeve)로서 구성되고, 슬리브만이 회전하여 현상제의 감광드럼 20에 반송한다. 현상제로서, 이성분현상제가 쓰인다. 캐리어로서, 클리너리스 프로세스에 있어서 전사잔류토너의 회수성을 중시하므로, 30~50um의 소립자로 된 캐리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 토너에는, 전사효율이 좋고, 자력으로서의 회수도 가능한 자성중합 토너를 사용하고 있다. 토너는, 현상기 23내에서 캐리어와 혼합 교반되고, 마이너스로 대전되어 있다. 현상기 23은 교환가능케 장치된 토너카트리지 25를 더 가지고 있다. 이 토너카트리지 25에는, 자성중합토너가 충전되어 있다. 이 토너카트리지 25는 토너가 없을 때에 교환되어 토너를 현상기 23에 보급한다.
전사기 26은 코로나 방전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사기 26은 감광드럼 20상의 토너상을 정전적으로 용지 P에 전사하는 것이고, 코로나 와이어에 전원에서 +3~10kV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 전압인가된 코로나 와이어들의 코로나 방전으로 전하가 발생하여, 그 전하로 용지 P의 이면이 대전된다. 그 결과, 노광드럼 20상의 토너용지 P에 전사된다. 전원은 일정전하량을 용지 P에 공급함으로써, 환경에 의한 전사효율의 저하를 저감할 수 있는 정전류 전원이 바람직하다.
분산롤러 28은 독립발포의 도전성 고무롤러로 구성되어 있고, 교류전압을 인가하고 있다. 분산롤러 28은, 감광드럼 20상의 전사후의 잔류토너를 분산시켜서 현상롤러 24로 회수하기 쉽게 되어 있다. 더우기, 감광드럼 20상의 잠상전위를 제전하여, 감광드럼 20의 초기화를 도모하고 있다.
정착기 27은 열원인 할로겐램프를 내부에 갖춘 히트롤러와 가압롤러(백업롤러)로서 구성되어 있다. 정착기 27이 용지 P를 가열함으로써, 토너상이 용지 P에 정착된다.
카셋트 29는 용지 P를 수용하고, 장치전면(도면의 좌측)에서 착탈가능하다. 용지카셋트 29의 크기는, 최대로 레터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는 크기로 하였다. 픽업(pick-up)롤러 30은 용지카셋트 29의 용지 P를 픽업하는 것이다. 레지스터롤러 31에 픽업된 용지 P가 부딪혀서 용지 P의 선단이 정돈되어 이 레지스터롤러 31의 구동으로 용지 P가 전사기 26에 반송된다. 배지(排紙)롤러의 구동에 의하여, 정착후의 용지 P가 스택커(stacker) 33에 배출된다. 스택커 33은 장치의 상면에 설치되고, 배출된 용지 P가 스택커 33내에 순차적으로 스택커된다.
당해 프린터내에는, 더우기 제어회로를 탑재한 프린터 기판 34, 장치의 각부에 압력을 공급하는 전원 35와 옵션보드 37이 탑재되어 있다. I/F 컨넥터 36은 외부케이블에 접속되고, 장치에 삽입되어서, 프린터 기판 34의 컨넥터와 접속되어 있다. 옵션보드 37은, 다른 종류의 에물레이터(emulate)회로, 폰트(font)메모리 등을 탑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프린터의 인자동작을 설명한다.
스코로트톤 대전기 21로 감광드럼 20의 표면이 -600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후, LED광학계 22로 화상노광함으로써, 감광드럼 20에 배경부가 -600V, 인자부가 -50~100V의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기 23의 현상롤러 24의 슬리브에는, 현상바이어스(-450V)이 인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정전잠상은, 현상기 23에 의해 미리 캐리어와의 교반으로 마이너스로 대전된 자성중합 토너에 의하여 현상되고, 터너상이 감광 20의 표면에 형성된다.
한편, 용지 P는 용지카셋트 29에서 픽업롤러 30에 의하여 픽업되고, 레지스터롤러 31에서 선단이 정돈되고, 전사기 26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리하여, 감광드럼 20의 토너상은, 전사기 26으로 대전된 용지 P와 토너상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력으로 용지 P에 전사된다. 이 용지 P상의 토너상은, 정착기 27로 용지 P상에 정착된다. 그후, 토너상이 정착된 용지 P는, U자형상의 반송패스를 통하여 배지롤러 32로 스택커 33에 배출된다.
전사후, 감광드럼 20상의 잔류토너는, 스코로트론 대전기 21과 LED광학계 22를 통하여 현상기 23에 도달하고, 다음의 현상공정과 동시에 현상롤러 24에 회수된다. 그리하여, 이와같이 회수된 토너가 현상기 23에 있어서 재차 사용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장치의 제어계와 동작 시퀀스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설명은 감광드럼 20 주변에서 실행되는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대하여 행한다.
제2도에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전자사진장치의 제어계를 도시한다.
제2도에 있어서, 장치의 소형화를 위하여, 감광드럼 20, 현상기 23, 분산롤러 28을 하나의 모터 100으로 구동한다. 전 대전기 21의 고전압 Vd, 전사기 26의 고전압 Vt, 현상기 23에의 현상바이어스 Vb, 분산전압 Vc는 고압 유니트 101으로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현상바이어스는 독립하여 ON/OFF되나, 기타의 전대전기 21과 전사기 26의 고전압 Vd, Vt는, 하나의 신호로 ON/OFF되도록, 고압트랜스 101a의 1차측을 공통으로 하여, 고압전원 유니트 101의 수형화를 도모하였다. 또 분산 전압 Vc는 피크사이의 전압이 1300V의 AC전원을 사용함으로써, 감광드럼 20상의 토너의 분산과 감광드럼 20을 제전하는 기능을 갖게 하고 있다. LED광학계의 제어에는, 인자 데이타와 LED의 발광시간에 상당하는 스트로브 펄스(strobe pulse)가 필요하다. 본 제어계에서는, 후에 설명하는 전면 베타노광을 위하여, 콘트롤러내부에 전면흑색화상에 상당한 인자데이타를 기억하고, 후에 기술하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LED에 전송한다. 또, 스트로브펄스는, 콘트롤러 110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하여 발광시간조정회로 102로 가변자유케하고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취지에, 감광드럼 20의 기동시와 정지시에 감광드럼 20의 표면전위의 슬로프화를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린터장치에, 본 발명의 동작 시퀀스를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도에 제1실시예의 인자 시퀀스를 도시함과 동시에, 제4도와 제5도에 그 시퀀스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LED광학계 22로 전면노광의 개시시와 종료시에 1돗트당의 LED발생시간을 변경하여, 감광드럼 20상의 표면전위가 서서히 변화하도록 하고 있다. (슬로프화) 이하에 인자 시퀀스를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①에 있어서, 인자동작개시의 지령이 내려지면(S11), 감광드럼 20, 현상기 23을 구동할 모터 100이 기동된다(S12). 모터는 서서히 회전수를 증가하도록 제어된다. 이와 동시에, 콘트롤러 110에서 LED 광학유니트 22에 흑색화상 데이타가 전송되고, 감광드럼 20이 전면노광되어서 드럼표면 전위가 저하된다(S12). 이때의 스트로브 펄스의 폭은, 본 발명의 인자시의 1돗트에 대한 LED발생시간인 90㎲로 한다(A 모드).
②에 있어서, 구동모터의 회전이 규정속도로 되었다고 판정되면(S13), 그 타이밍으로, 인자에 필요한 고전압, 대전전압 Vd, 전사전압 Vt, 분산전압 Vc가 ON된다(S14).
③의 전후에 있어서, 광학유니트 22의 변조제어가 행해진다. 상기 각 전압이 ON되어서 소정의 시간(T2-T5/2)이 경과하였다고 판정되면(S15), B모드에서 F모드까지 각 주기 T5/4(1돗트에 대응)에서의 LED의 발광시간을 단계적으로 짧게 하여, 표면전위의 슬로프화를 도모하고 있다(S16, S17, S18, S19, S20). 여기서, T5는 현상니프에 대응한 거리를 감광드럼 20이 이동하는 시간이다. 예를 들면, 본 프린터장치의 현상니프(현상기 23의 현상제가 감광드럼 20과 접촉하고 있는 폭)는 3mm이므로, 감광드럼 20의 주속도 25mm/s을 시간으로 환산하면, T5는 120ms로 설정된다. 그리하여, 이 시간 T5 사이에, 각 돗트의 발광시간이 최대치(A모드 : 90㎲)에서 단계적으로 최소치(E모드 : 3㎲)까지 저감되고, 최종적으로 광학유니트 22가 소등된다(A모드). 각 모드에서의 1돗트당의 발광시간은 예를들면 다음의 표와 같이 정해져 있다.
④에 있어서, C모드에서의 노광부와 D모드에서의 노광부의 경계가 현상위치에 도달했다는 것이 판정되면(S21), 현상바이어스 Vb가 ON된다(S22). 상기 판정(S21)은 ③의 타이밍(C모드와 D모드이 경계에 대응)에서 소정시간(T3-T5/2)이 경과함으로써 된다. T3은 감광체의 광학유니트 22로 노광부라 현상위치에 달하기까지의 시간이다.
이에 의하여, 현상바이어스 Vb를 ON하기 직후에 있어서, 감광드럼 20의 현상 니프폭의 표면전위는,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변화한다. (슬로프화) 따라서, 이 감광드럼 20의 표면전위가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영역내에서 현상바이어스 Vb가 OFF에서 ON으로 변화하는 경우, 그 영역내에 있어서, 그 OFF시의 압력(0볼트)과 각 부의 표면전위와의 차와, 그 ON시의 전압(-400V)과 각부의 표면전위와의 차는 제2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경우에 비하여 적게된다. 이 결과 그들의 차로 생기는 정전계가 작아지고, 이현상 토너바이어스 Vb가 OFF에서 ON으로 절환할 때에 감광드럼 20에 부착하는 토너 또는 캐리어의 양이 저감된다.
⑤에 상당한 부분에서는 현상바이어스가 OFF에서 ON이 되는 타이밍 ④에서 소정의 시간경과한 때에, LED광학유니트 22에 인자데이타를 전송하여 회전하는 감광드럼 20에 화상노광을 개시한다(S23). 즉, 인자가 개시된다.
이 경우, 인자를 개시기 전에는, 감광드럼 20의 표면을 적어도 1회 이상 현상기 23을 통과시켜서, 감광드럼 20 표면의 불필요한 토너나 캐리어를 현상기 23에 회수한때에, 인자를 개시한다. 또 인자종료시에도, 감광드럼 20 표면을 적어도 1회 이상 현상기 23을 통과시켜서, 현상기 23으로 크리닝을 행하여, 불필요한 토너나 캐리어를 현상기 23에 회수하고, 인자를 완료한다.
인자의 종료가 판정되면(제5도 S31), 감광드럼 20을 정지시키기 전에 LED광학유니트 22를 동작시켜서 감광드럼 20의 전면노광을 한다. 이 전면노광의 초기에 해당하는 ⑥의 전후에 있어서, 감광드럼 20상의 표면전위를 단계적으로 변화시킬수록 전술과 마찬가지로 LED광학유니트 22에 공급되는 스트로브펄스 폭이 서서히 길게된다. 이 제어는, F모드(소등)의 상태에서 E모드, D모드, C모드, B모드 및 최종적인 A모드와 같이 순차적으로 천이한다(S32, S33, S34, S35, S36).
⑦에 있어서, C모드에서의 감광부와 D모드에서의 감광부의 경계가 현상위치에 달하였다는 것이 판정되면(S37), 현상바이어스 Vb가 ON에서 OFF로 절환된다.(S38) 상기 판정(S37)도 스텝 21과 마찬가지로, ⑥의 타이밍(C모드와 D모드와의 경계에 대응)에서 소정시간(T3~T5/2) 경과함으로써 된다. 이와 같이, 현상바이어스 Vb를 OFF할 때에 전대전전압 Vd, 전사전압 Vt, 분산전압 Vc 또 OFF로 절환된다.(S38)
이 경우도 상기 ④와 마찬가지로,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광드럼 20의 표면전위의 슬로프부와 현상 바이어스 Vb의 OFF가 겹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이 표면전위의 변화하는 부분에서의 토너 및 캐리어의 부착량이 저감된다.
그후, 구동모터 100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전자사진장치에 의하면, 감광드럼 20이 기동할 때의 전면제전종료부와 감광드럼 20이 정지할 때의 전면제전개시부의 표면전위를 단계적으로 변화(슬로프화)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이 부분에 부착하는 불필요한 토너와 캐리어의 양이 저감된다. 실제로, 행한 실험에서도,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2도에 도시하는 동작 시퀀스에 따라 제어되는 전자사진장치로 인자된 용지에는, 제24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더러워짐이 형성되었으나, 상기 동작 시퀀스(sequence)에 따라 제어되는 전자사진장치로 인자된 용지에는, 토너로 더러워짐의 부착은 없었다.
또 LED의 발광가능한 폭을 본 실시예의 장치에서 사용되는 최대횡폭의 용지인 레터사이즈와 같은 216mm로 하고, 전면제전시에는 전 돗트를 점등(A모드)함으로써 종래 감광드럼 20의 좌우단에 발생하고 있던 캐리어와 토너의 부착이 없어진다. 이들에 의하여, 용지 P상에 더러워짐이 없는 양호한 화상을 얻게 된다.
감광드럼 20의 표면전위의 변화는 부위에 있어서, 그 표면전위를 서서히 변화시키는 부분(슬로프부)의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현상 니프폭과 같게해져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서 문제로 하고 있는 드럼사의 더러워짐이 현상니프에서 발생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다만, 현상제의 정전특성과 자기특성, 이성분현상기에서의 현상자극의 위치편차, 현상바이어스전원의 특성 등으로, 적절한 슬로프범위는 다르다. 바람직하기는, 현상 니프폭의 1/2~2배의 범위가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자동작시의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메인전원을 투입한 경우나 잼처리후의 재기동시 등에 행하는 이니셜동작에 있어서도 본원발명은 적용된다. 이 경우, 제3도에 도시하는 시퀀스에 따른 처리에서 인자처리를 제한한 처리가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시퀀스에 따라 실행된다.
또, 감광드럼 20의 정지시와 기동시에서 같은 LED발생간 테이블(표 1)을 사용하고 있으나, 정지시와 기동시에 그들의 내용을 바꾸어도 좋다.
다음에 상기 제1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1의 실시예에서는, 표면전위의 프로브화를 위하여, 스트로브 펄스의 폭을 바꾸어서 1돗트당의 LED의 발광시간을 변화시켰다. 이 변형예에서는, 1돗트당의 LED의 발광시간을 변화시키는 대신에, 1돗트당의 LED의 발광광량을 바꾸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로브펄스 폭을 조정하는 발광시간조정회로 102 대신에, LED에 흐르는 전류는 조정하는 전류조정회로 103이 설치된다. 그리하여, 콘트롤러의 지시에 따라 LED전류조정회로 103이 전면제전부의 표면전위에 슬로프를 설치할 LED 전류를 조정한다. 그 결과,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더러워짐이 없는 양호한 용지 P상에 형성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전자사진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드럼 20이 기동될 때의 전면제전종료부와 마찬가지로 표면전위에 슬로프를 설치하는 취지로, 소정의 면적계조 패턴에 따른 화상노광을 한다. 이 경우. 표면전위를 아나로그적인 슬로프에 다라 변화시키는 것은 할 수 없으나 의사적으로 표면전위의 슬로프화가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전자사진장치는, 상기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그 제어계는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10도에 있어서, 제2도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어져 있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0도에 있어서, 제1의 실시예와 다른 부분은, LED광학유니트 22에 관계되는 제어부분이다. 제1의 실시예에서는, 스트로브펄스폭으로 발광시간이나 LED전류로 발광광량을 제어하였으나, 본 실시예에는, 후에 기술하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면적계조패턴의 화상노광을 행하기 위하여 표면계조패턴테이블 104가 설치되어 있다. 콘트롤러 110의 지시에 따라 표면계조패턴테이블 104에서 LED광학유니트 22에 전송되는 표면계조 패턴데이타와 콘트롤러 110에서 전송되는 정규의 인자데이타를, 앤드 회로 105를 통하여 LED광학유니트 22에 전송하도록 구성하였다.
제11도에 제2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린터장치(전자사진장치)의 동작 시퀀스가 도시되고, 또, 제12도와 제13도에 그 동작시퀀스에 따른 처리의 흐름이 도시된다. 이하, 제11도, 제12도와 제13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동작 시퀀스(sequence)에 따른 처리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동작 시퀀스에 있어서, 제3도에 도시하는 베1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시퀀스와 다른 부분은, ③ 및 ⑥ 전후의 동작이다.
제1의 실시예를 마찬가지로 모터 100의 구동개시와 동시에 LED광학유니트 22에 의한 전면노광의 처리가 개시된다.(S11, S12) 그리하여 모터 100의 회전이 안정된 상태로, 전제전전압 Vd, 전사전압 Vt와 분산전압 Vc가 ON된다.
③의 전후에 있어서, 광학유니트 22의 변조제어가 행해진다. 상기 각 전압이 NO되어서 소정의 시간(T2~T5/2)이 하였다고 판정되면(S15) B모드에서 D모드까지 T5/2(현상 유니트폭의 반분에 대응)에서의 LED의 패턴이 단계적으로 변화된다(S16, S17, S18). 즉, A모드에서 D모드까지 화상노광면적을 서서히 작게 하여, 의사적으로 표면전위의 슬로프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때에 쓰이는 면적계조패턴을 제14도에 도시한다. A모드는 전면노광, D모드는 노광하지 않는 경우이고, 소정의 계조패턴이 B모드와 C모드에서 쓰인다. 표면전위의 의사슬로프화에 기여하고 있는 B모드로 노광처리 내지 C모드에서의 노광처리으 토탈의 시간 T5는,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장치의 현상니프 통과시간에 상당한 120ms에 설정되어 있다.
이어서, LED광학유니트 22의 전면노광을 OFF한 위치(실제에는 B 모드에서의 노광영역과 C 모드에서의 노광영역과의 경계)가 현상기 23에 도달하는데 요하는 시간 T3 ---- (S21), 현상기 23에 인가하는 현상바이어스 Vb를 ON한다(S22). 이에 의하여, 표면전위의 의사슬로프부와 현상바이어스 Vb의 OFF에서 ON에의 변화부가 겹쳐서,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그 겹친 부분에서의, 현상 바이어스 Vb와 감광드럼 20의 표면전위와의 실험적인 차가 작아진다. 그결과, 토너와 캐리어의 감광 20에의 부착이 방지된다.
소정의 인자가 종료하여(S31) 감광드럼 20을 정지시킴에 있어, LED광학유니트 22를 동작시켜서 감광드럼 20의 전면노광을 개시한다. 이때, ⑥의 전후에 있어서, 감광드럼 20의 표면전위의 표면전위의 의사슬로프화를 위하여, 전술과 마찬가지로 D모드에서 A모드에서의 노광제어가 행해지고(S32, S33, S34), 화상노광면적이 서서히 커진다.
⑦에 있어서, C모드에서의 노광영역과 B모드에서의 노광영역의 경계가 현상기 23에 도달하였다고 판정되면(S37), 현상기 23에 인가되는 현상바이어스 Vb가 OFF에 절환됨과 동시에, 전제전전압 Vd, 전사전압 Vt와 분산전압 Vc가 OFF로 절환되고, 동시에 구동모터 100이 OFF된다(S38). 그후, ⑧에서, 구동 모터 100의 회전이 정지하는 -⑦에서 시간 T1후에 LED광학유니트 22가 소등된다.
여기서도, ④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표면전위의 의사 슬로프부와 현상 바이어스 Vb의 ON에서 OFF에의 절환부분이 겹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토너와 캐리어의 감광드럼 20에의 부착이 방지된다.
제2의 실시예에 도시한 동작 시퀀스에 다른 프린터장치(샘플 7대)와 제22도에 도시하는 동작 시퀀스에 따른 프린터 장치(현행 장치)와의 인자 더러워짐의 실험결과를 제15도에 도시한다.
이 결과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감광드럼 20이 기동할 때의 전면제전종료부와 감광드럼 20이 정지할 때의 전면제전개시부에 있어서, 표면전우에 의사적인 슬로프를 설치하므로, 이 부분에 부착하는 불필요한 토너와 캐리어의 양을 저감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용지 P상에 더러워짐이 없는 양호한 화상을 얻게 된다.
그위에, 제2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동작 시퀀스는,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니셜 동작에도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감광드럼 20의 정지시와 기동시에서 같은 면적계조패턴테이블(제14도 참조).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전자사진장치도,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감광드럼 20이 기동할때의 전면제전종료부와 감광드럼 20이 정지할 때의 전면제전개시부에 있어서 OFF에서 ON과 ON에서 OFF로 절환되는 현상바이어스에 경사(슬로프)를 설치함으로써 감광드럼 20상의 더러워짐을 정지하도록 하여져 있다.
제어계는, 예를 들면,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17도에 있어서, 제2도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7도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점은, 고압전원 유니트 101이고, 이 고압전원 유니트 101내의 현상바이어스 Vb 발생회로 Vb, 가변회로 101B가 추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에 기술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Vb 가변회로 101B를 동작시켜, 현상바이어스 Vb를 변조함으로써 제1과 제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를 얻도록 하여져 있다.
이 제3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린터는, 제18도에 도시하는 동작 시퀀스에 따라 처리를 시실행하고, 그 처리의 흐름이 제19도와 제20도에 도시된다.
이 동작 시퀀스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③전후, ④전후의 처리 및 ⑥전후, ⑦전후의 처리가 다르다.
인자개시명령에 따라, 구동모터 100이 ON됨과 동시에, 감광드럼 20을 전면노광하기 위해서는 LED광학유니트 22가 ON된다(①:S11, S12). 그리하여, 구동모터 100의 회전이 안정된 상태에서(S13), 전대전전압 Vd, 전사전압 Vt와 분산 전압 Vc가 동시에 ON된다(②:S14).
그후, ③부분에서는, 종래 장치와 마찬가지로 균일한 대전전위가 소정의 위치 (-600V)에 달한 부분이 광학유니트 22의 화상노광위치에 달하는 타이밍 T2로 다음의 (S15) LED광학유니트 22를 소등한다(S24).
다음의 ④의 전후에 있어서, 이 LED광학유니트 22를 정정하여 형성된 대전전위가 급격히 변화하는 감광드럼 20상의 부분이 현상기 23에 달하였다고 판정되면, 즉, ③에서 T3-5/2의 경과가 판정되면(S25), 현상기 23에 인가하는 현상바이어스 Vb가 ON된다. 이때, A모드(Vb:OFF시)에서 D모드(Vb:인자상태)까지의 주기 T5/2로 현상바이어스를 서서히 크게 하여 (S26, S27, S28), 현상 바이어스의 슬로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에 쓰이는 각 모터에서의 현상바이어스 전압은 다음의 표와 같이 된다.
현상바이어스의 슬로프호에 가여하고 있는 각 모드 B~C에서의 제어의 전체의 시간 T5는, 제1과 제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장치의 현상니프 경과시간에 상당한 120ms로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감광드럼 20상의 표면전위가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제23도 참조)과 현상바이어스 Vb가 차츰 변화하는 슬로프부가 겹친다. 이점에 설명한 바와 같이 토너와 캐리어의 부착을 방지하고 있다.
이 경우도, 현상니프부분에 있어서, 감광드럼 20상의 표면전위가 종래와 같이(제23도 참조) 급격히 변화하여도, 이 부분에서 바이어스 Vb가 슬로프를 가지고 서서히 변화하므로, 그 사이에서의 현상바이어스 Vb와 감광드럼 20상의 표면전위와의 차가 종래의 경우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전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부분에서의 토너와 캐리어의 감광드럼 20에의 부착량이 저감된다.
이후, ⑤의 영역에 있어서, 인자처리가 실행된다(S29). 그리하여, 인자처리가 종료하고(S31), ⑥의 타이밍에서, LED광학유니트 22를 동작시켜서, 감광드럼 20의 전면노광이 개시된다(S41). 이 LED광학유니트 22를 점등하여 형성된 대전전위가 급격히 변화하는 감광드럼 20상의 부분이 현상기 23에 도달하였다고 판정되면, 즉, ⑥에서 T3-T5/2의 경과가 판정되면(S42), 현상기 23에 인가하는 현상바이어스 Vb가 OFF된다. 이때, ④의 전후와 마찬가지로, 현상바이어스의 슬로프화를 위하여, 현상바이어스 Vb를 D모터의 압력에서 A도의 전압까지 서시히 작게 한다(S43, S44, S45). 그후, 대전전압 Vd, 전사전압 Vt, 분산전압 Vc와 구동모터 100이 OFF되고, (S46, S38), 그 구동모터 100의 회전이 정지하는 타이밍 ⑨에서 광학 유니트 22가 소등된다(S39, S40).
이 경우도, 표면전위가 급속히 변화하는 부분과 현상 바이어스 Vb의 슬로프부가 겹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토너와 캐리어의 감광드럼 20에의 부착이 방지된다.
더우기, 제1과 제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초기동작에도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감광드럼 20의 정지시와 상기시에 같은 현상바이어스테이블(표 2 참조)을 사용하고 있으나, 정지시와 기동시에 그들의 테이블의 내용을 바꾸어도 좋다. 더우기, 현상바이어스테이블의 내용으로서 B모드에 대응하는 바이어스전압과 C모드에 대응하는 바이어스전압의 2종류를 사용하고 있으나, 1종류 바이어스전압(예를들면, B만)에서도 더우기 3종류 이상에서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더우기, 현상바이어스 Vb를 현상바이어스테이블을 사용하여 디지탈적으로 변화시켰으나, 아날로그적으로 변화시켜서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감광드럼 20이 기동한 때의 전면제전(노광) 종료부 및 감광드럼 20이 정지하는때의 전면제전 (노광)개시부에 있어서, 현상바이어스에 슬로프를 설치하여, 이 부분에 부착하는 불필요한 토너와 캐리어의 양을 저감한다. 이것에 의해서, 제1과 제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용지 P상에 더러워짐이 없는 양호한 화상이 얻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하와 같은 변형예도 가능하다.
예를들면, 초기동작과 인자동작, 또는 감광드럼 구동시와 정지시의 각각과 같이, 변조방식의 조합을 바꾸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인자동자과 초기동작의 양쪽에, 더우기 감광드럼 20의 정지시와 기동시의 양쪽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으나, 인자 시퀀스와 초기 시퀀스의 한쪽으로도 적용가능하고, 또한 감광드럼 정지시와 기동시의 한쪽으로도 가능한 이 경우에서도, 용지상의 더러워짐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클리너리스 타입의 전자사진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종래의 클리너를 사용한 전자사진장치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감광드럼에 불필요한 토너의 부착량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토너 소비량을 억제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 불필요한 캐리어가 부착하기 어렵게 되므로, 용지반송로 등의 기계내에의 캐리어 비산이 줄고, 용지를 더럽히는 일이 없고, 또한 장치수명도 연장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상노광수단으로서, LED광학계를 사용하였으나, 레이져 광학계, 액정셔터 광학계, EL(전계발광) 광학계 등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더우기, 특정한 현상방식, 균일한 대전방식, 전사방식과 클리너를 사용한 경우의 클리닝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청구항에 기재되는 상형성장치에서는,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균일하게 대전된 영역과의 경계영역에 있을 때, 그 경계영역에서의 양전위의 차에 의한 현상제의 감광체에의 부착량이 저감한다. 그 결과, 기록매체상에, 현상제로 더러워짐이 적은 상이 형성된다.
특히, 청구항 30 기재의 상형성장치에서는, 그 상형성장치에 공급되어야 할 기록매체의 최대폭 이상의 폭의 영역이 제전수단으로 제전된다. 따라서, 기록가능등과 같은 사이즈의 기록매체가 공급되어도, 그에 대응하는 감광체의 영역은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전된다. 그 결과, 어떠한 사이즈의 기록매체등이더라도, 그 주변에서의 현상제에 의한 더러워짐이 방지된다.

Claims (35)

  1. 균일한 노광, 현상 및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像)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전위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킬때에, 제전개시점에서 소정의 폭의 영역에 대하여 균일한 대전의 전위와 최종대전전위와의 사이에서 변화하는 전위분포가 얻게 되도록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전제어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전위분포를 가지는 영역에 들어간 상태에서 감과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제어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전위분포를 가지는 영역에 들어간 상태에서, 현상공정에서 쓰여진 현상 바이어스를 끄기 위한 바이어스 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2.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 및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전위에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에서, 최종 제전전위가 얻게 되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전을 종료할 때, 소정의 폭의 영역에 대하여 최종제전전위와 균일한 대전의 전위와의 사이에서 변화하는 전위분포가 얻게 되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전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후, 상기 현상공정후의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전위분포를 가지는 영역에 들어간 상태에서 현상공정에서 쓰이는 현상바이어스를 투입하기 위한 바이어스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제어수단은 균일한 대전의 전위에서 최종제전전위까지 감소하는 전위분포를 얻도록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도록 한 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제어수단은, 최종제전전위에서 균일한 대전의 전위까지 증가하는 전위분포를 얻도록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도록 한 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장치는, 노광공정에서 쓰이는 광원을 포함하는 광학계를 공용하도록 한 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제어수단은, 1돗트에 대응한 그 광원의 발광시간을 제어하는 발광시간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제어수단은, 1돗트에 대응한 그 광원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발광시간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제어수단은, 그 전위분포를 얻는 영역에 있어서, 제전되는 돗트 면적을 정한 소정의 패턴에 따라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전면적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제어수단은 그 전위 분포를 얻는 영역에 있어서, 제전되는 돗트면적이 증가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패턴에 따라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전면적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제어수단은, 그 전위 분포를 얻는 영역에 있어서, 제전되는 돗트면적이 줄도록 배열된 복수의 패턴에 따라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전면적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분포를 얻는 영역은 현상공정에서 쓰이는 현상기의 현상제가 실질적으로 감광체와 접촉하고 있는 폭인 현상니프폭의 1/2에서 2배의 범위내의 폭에 대응하는 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분포를 얻는 영역은 그 현상니프폭에 해당하는 상형성장치.
  13.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 및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전위에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에서, 최종제전전위가 얻게 되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전을 종료할 때, 소정의 폭의 제1의 영역에 대하여 최종제전전위와 균일한 대전의 전위와의 사이에서 변화하는 전위분포가 얻게되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1의 제전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후, 상기 현상공정의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전위분포를 가지는 제1의 영역에 들어간 상태에서 현상공정에서 쓰이는 현상바이어스를 투입하기 위한 제1의 바이어스 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킬때에, 제전개시점에서, 소정의 폭 제2의 영역에 대하여 균일한 대전의 전위와 최종제전전위와의 사이에서 변화하는 전위분포가 얻어지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2의 제전제어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전위분포를 가지는 제2의 영역에 들어간 상태에서, 현상공정에서 쓰인 현상바이어스를 끄기 위한 제2의 바이어스 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제전제어수단은, 초종제전전위에서 균일한 대전의 위치까지 증가하는 전위분포를 얻도록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2의 제전제어수단은 균일한 대전의 전위에서 최종제전전위까지 감소하는 전위분포를 얻도록 하고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도록 한 상형성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수단은 노광공정에서 쓰인 광원을 포함하는 광학계를 공용하도록 한 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제전제어수단 및 제2의 제전제어수단의 적어도 한편은, 1돗트에 대응한 그 광원의 발광시간을 제어하는 발광시간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제전제어수단 및 제2의 제전제어수단의 적어도 한쪽은 1돗트에 대응한 그 광원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발광량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제전제어수단 및 제2의 제전제어수단의 적어도 한쪽은 그 전위분포를 얻는 제1 또는 제2의 영역에 있어서, 제전되는 돗트영역을 정한 소정의 패턴에 따라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전면적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제전제어수단은 그 전위분포를 얻는 제1의 영역에 있어서, 제전되는 돗트영역이 줄도록 배열된 복수의 패턴에 따라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전면적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제전제어수단은 그 전위분포를 얻는 제2의 영역에 있어서, 제전되는 돗트영역이 증대도록 배열된 복수의 패턴에 따라 그 제전수단을 제어하는 제전면적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21. 제13항 내지 제2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분포를 얻는 제1의 영역 및 제2의 영역은 현상공정에서 쓰이는 현상기의 현장제가 실질적으로 감광체와 접촉하여 있는 폭인 현상니프폭의 1/2에서 2배의 범위내의 폭에 대응하는 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분포를 얻는 제1의 영역 및 제2의 영역은 그 현상니프에 대응하는 상형성장치.
  23.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 및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하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전위에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킬때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 제전전위가 얻게 되도록 그 제전수단을 기동시키는 제전제어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제전이 개시된 위치와 마찬가지로 대전된 영역의 경계를 포함한 소정의 영역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제어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에서 쓰인 현상바이어스를 소정의 전압에서 오프전압의 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끄기 위한 바이어스 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24.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 및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하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시키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전위에서 마찬가지로 대전된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에서, 소정의 제전전위가 얻게되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전을 종료시키는 제어하는 제전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후, 상기 현상 공정의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제전이 종료한 위치와 마찬가지로 대전된 영역의 경계를 포함하는 소정의 전압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동작하기 위한 바이어스 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현상공정에서 쓰이는 현상기의 현상제가 실질적으로 감광체와 접촉하고 있는 폭인 현상니프폭의 1/2에서 2배의 범위내의 폭에 대응하는 상형성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영역은 그 현상니프폭에 대응하는 상형성장치.
  27. 균일한 대전, 노광, 현상 및 전사의 각 공정을 포함한 전자사진프로세스를 구동시키는 감광체상에서 실행함으로써 기록매체상에 상을 형성하는 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에서 마찬가지로 대전시킨 감광체를 제전하는 제전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에서, 소정의 제전전위가 얻게되도록 상기 제전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제전을 종료시킨 제어하는 제1의 제전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개시후,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제전이 종료한 위치와 마찬가지로 대전된 영역의 경계를 포함하는 제1의 영역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현상공정에서 쓰이는 현상바이어스를 오프전압과 소정의 전압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동작하기 위한 제1의 바이어스제어수단과,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킬 때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 제전전위가 얻게되도록 그 제전수단을 기동시키는 제2의 제전제어수단,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상기 제전이 개시된 위치와 마찬가지로 대전된 영역의 경계를 포함하는 제2의 영역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감광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정지제어수단과, 상기 현상공정이 실행되는 현상위치가 그 제2의 영역에 들어간 상태에서,현상공정에서 쓰인 현상바이어스를 소정의 전압에서 오프전압 사이에서 변화시키면서 끄기위한 제2의 바이어스제어수단을 가지는 상형성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 및 제2의 영역은 현상공정에서 쓰이는 현상기의 현상제가 실질적으로 감광체와 접촉하고 있는 폭인 현상니프폭의 1/2에서 2배의 범위내의 폭에 대응하는 상형성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영역 및 제2의 영역은 그 현상니프 폭에 대응하는 상형성장치.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수단에 의해 제전되는 감광체 상의 영역폭이 그 상형성장치에 공급되게될 기록매체의 최대폭 이상으로 설정된 상형성장치.
  3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수단에 의해 제전되는 감광체 상의 영역폭이 그 상형성장치에 공급되게될 기록매체의 최대폭 이상으로 설정된 상형성장치.
  3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수단에 의해 제전되는 감광체 상의 영역폭이 그 상형성장치에 공급되게될 기록매체의 최대폭 이상으로 설정된 상형성장치.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수단에 의해 제전되는 감광체 상의 영역폭이 그 상형성장치에 공급되게될 기록매체의 최대폭 이상으로 설정된 상형성장치.
  34.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수단에 의해 제전되는 감광체 상의 영역폭이 그 상형성장치에 공급되게될 기록매체의 최대폭 이상으로 설정된 상형성장치.
  35.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전수단에 의해 제전되는 감광체 상의 영역폭이 그 상형성장치에 공급되게될 기록매체의 최대폭 이상으로 설정된 상형성장치.
KR1019950045474A 1995-02-24 1995-11-30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KR0178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3732695A JP3457083B2 (ja) 1995-02-24 1995-02-24 像形成装置
JP95-037326 1995-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111A KR960032111A (ko) 1996-09-17
KR0178835B1 true KR0178835B1 (ko) 1999-04-01

Family

ID=1249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5474A KR0178835B1 (ko) 1995-02-24 1995-11-30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97013A (ko)
JP (1) JP3457083B2 (ko)
KR (1) KR0178835B1 (ko)
CN (1) CN1076491C (ko)
DE (1) DE1954133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804B1 (ko) * 1997-08-16 1999-11-01 윤종용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접촉대전방식의대전장치
JP2001350385A (ja) * 2000-06-02 2001-12-21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
JP3744485B2 (ja) * 2002-11-05 2006-0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2123186A (ja) * 2010-12-08 2012-06-2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884437B2 (ja) * 2011-11-24 2016-03-15 株式会社リコー 光書込み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光書込み装置の制御方法
JP6010850B2 (ja) 2012-04-05 2016-10-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954052B2 (ja) * 2012-08-27 2016-07-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5028604A (ja) 2013-06-28 2015-02-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N110632834B (zh) * 2015-09-15 2021-10-08 佳能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JP6562806B2 (ja) 2015-10-06 2019-08-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971269B2 (en) 2016-05-23 2018-05-15 Ricoh Company, Ltd. Discharging method for latent image bear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855297B2 (ja) 2017-03-22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9544A (en) * 1980-11-24 1982-03-16 Coulter Systems Corporation Digitally synthesized dynamic bias method and apparatus for toning control in developing latent electrophotographic images
US4664504A (en) * 1983-01-20 1987-05-12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4769676A (en) * 1986-03-04 1988-09-06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removing residual toner
US5036369A (en) * 1988-06-30 1991-07-3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H07129035A (ja) * 1993-06-23 1995-05-19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並びにこ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3015233B2 (ja) * 1993-10-15 2000-03-06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8137261A (ja) * 1994-11-04 1996-05-31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接触帯電手段の清掃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41335A1 (de) 1996-08-29
CN1076491C (zh) 2001-12-19
US5697013A (en) 1997-12-09
CN1150662A (zh) 1997-05-28
KR960032111A (ko) 1996-09-17
DE19541335C2 (de) 2003-04-30
JP3457083B2 (ja) 2003-10-14
JPH08234646A (ja) 199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0783A (en) Image forming equipment having improved toner sensing
EP0508355B1 (en) Device for charging a photosensitive body
US5541717A (en) Cleaning method for contact charging means in image forming apparatus
EP0563478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mage transfer electrode contactable to transfer material
US5124757A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including treatment and collection of residual developer
KR0178835B1 (ko)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JP5068297B2 (ja) 画像形成装置
KR950003006B1 (ko) 전자사진 프로세스에 의해서 화상의 기록을 행하는 전자사진 기록장치 및 이 전자사진기록장치의 동작 개시시의 제어방법
JPH05281822A (ja) 複写結像装置における静電目標再計算
JP3015233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193828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농도 조정장치
KR0174600B1 (ko) 폐토너 절감을 위한 감광드럼 전위 조절장치 및 방법
JPH0667518A (ja) 現像バイアス制御装置
JP419417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89619A (ja) 画像形成装置
JP3261063B2 (ja) 画像形成装置
JP2621888B2 (ja) 画像濃度制御装置
KR0177094B1 (ko) 접촉대전기의 오염을 방지하기위한 대전전압 제어방법
JP3984691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52767Y2 (ko)
JPH04216565A (ja) 電子写真記録装置
JP3526752B2 (ja) 画像形成装置
JPH03260667A (ja) 画像形成装置
JP2644229B2 (ja) 画像形成装置の画像制御方法
JPH09120189A (ja) カラー電子写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