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898B1 - 디지탈 신호의 전송계에 있어서 손실된 저주파수 성분을 재생하여 보상하기 위한 직류 재생회로 - Google Patents

디지탈 신호의 전송계에 있어서 손실된 저주파수 성분을 재생하여 보상하기 위한 직류 재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898B1
KR960016898B1 KR1019880016482A KR880016482A KR960016898B1 KR 960016898 B1 KR960016898 B1 KR 960016898B1 KR 1019880016482 A KR1019880016482 A KR 1019880016482A KR 880016482 A KR880016482 A KR 880016482A KR 960016898 B1 KR960016898 B1 KR 96001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igital signal
low frequency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880A (ko
Inventor
겐이찌 사또
Original Assignee
상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31497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555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31575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555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31575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55561A/ja
Application filed by 상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상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46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 G11B20/10203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filtering or equalising, e.g. setting the tap weights of an FIR filter baseline corr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디지탈 신호의 전송계에 있어서 손실된 저주파수 성분을 재생하여 보상하기 위한 직류 재생회로
제 1 도는 직류 재생회로에 부여되는 디지탈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 2 도는 베이스라인의 변동이 생긴 디지탈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
제 3 도는 종래의 직류 재생회로의 한 예를 도시한 개략 블럭도.
제 4 도는 제 3 도 회로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 5 도는 종래의 직류 재생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 블럭도.
제 6 도는 제 5 도에 도시한 회로에 관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 7 도는 종래의 VTR의 재생계를 도시한 블럭도.
제 8 도는 제 7 도에 도시한 디지탈 VTR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 9A 도 및 제 9B 도는 입력 디지탈 신호의 파형 왜곡 발생 상태를 설명하는 파형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직류 재생회로를 도시한 개략 블럭도.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디지탈 VTR의 재생계를 도시한 개략 블럭도.
제 12 도는 제 11 도에 도시한 디지탈 VTR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디지탈 VTR의 재생계를 도시한 개략 블럭도.
제 14 도는 제 13 도의 디지탈 VTR에 있어서의 각 채널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 15 도는 제 13 도에 도시한 디지탈 VTR의 각 채널의 감쇠율과 오율(error rate)과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 16 도는 제 10 도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제 11 도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와, 제 13 도에 도시한 제 3 실시예를 조합함으로써 얻어진 디지탈 VTR의 재생계를 도시한 개략 블럭도.
제 17 도는 제 16 도에 도시한 디지탈 VTR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 18 도는 제 10 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직류 재생회로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블럭도.
제 19 도는 제 18 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원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 20 도는 제 18 도에 도시한 회로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단자2,32,73 : 가산기
5 : 식별기6,72 : LPF
9 : 가변 이득 증폭기10 : 레벨 검출기
13A,13B : 기록 재생용 회로14A,14A',14B,14B' : 권선
15A,15B : 전치 증폭기18,43,53,63 : 스위치
31,51,61,62 : 감쇠기41 : 헤드 절환 신호 발생기
42 : 스위칭 시기 표시 신호 발생기71 : BPF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직류 재생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디지탈 VTR)와 같은, 디지탈 신호의 전송, 기록 또는 재생계에 있어서,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성분이 손실된 경우에 이 저주파 성분을 재생해서 보상하기 위한 직류 재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Non Return to Zero(이하, NRZ) 신호 등의 디지탈 신호는, 직류 성분을 포함하는 저주파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도는 이와 같은 디지탈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횡축은 상대주파수, 종축은 상대 레벨이다. 제 1 도에 있어서, 실선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는 디지탈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디지탈 신호의 전송시에, 아래에 기술하는 것과 같은 이유로, 파선으로 표시한 저주파 영역의 신호 성분이 차단되는 일이 있다.
즉, 예를 들면 전송로에 의한 신호 전송의 경우에는, 한쌍의 신호선을 사용해서, 디지탈 신호의 전송과, 전력의 공급이 동시에 행해지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디지탈 신호의 저역 성분을 차단해서 어떤 높이 이상의 주파수 성분의 신호를 전송하여, 직류 영역을 포함하는 저주파 영역은 전력 공급에 할당되는 일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디지탈 VTR에 있어서의 디지탈 신호의 기록 재생의 경우에는, 자기 헤드의 미분 응답특성에 의하여,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손실해 버린다.
이상과 같이 디지탈 신호의 저역이 차단되면, 디지탈 신호의 베이스라인이 변동해 버리게 된다. 제 2 도는, 이와 같은 베이스라인의 변동이 생긴 디지탈 신호를 도시한 파형도로서, 실선은 디지탈 신호 파형, 일점 쇄선은 그 베이스라인을 표시하고 있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베이스라인의 변동이 생긴 경우에는, 디지탈 신호의 수신측 또는 재생측에 있어서, 디지탈 신호가 하이(high) 레벨인가 로우(low) 레벨인가의 식별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고, 결과로서 부호의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증대한다.
이로 인해, 종래부터, 디지탈 신호의 수신측 또는 재생측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손실된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영역 성분을 보상하기 위해, 소위 양자화 궤환법에 의한 직류 재생회로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직류 재생회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소) 제60-129,97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제 3 도는, 이와 같은 종래의 직류 재생회로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 블럭도이고, 제 4 도는 제 3 도 회로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4 도에 있어서는, 제 1 도와 동일하게, 횡축은 상대주파수를, 종축은 상대 레벨을 표시하고 있다.
제 3 도에 있어서, 입력단자(1)에는, 제 4 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주파수 성분을 갖는 디지탈 신호가 소정의 전송계 또는 재생계에서 입력된다. 이 디지탈 신호는, 제 1 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본래의 주파수 성분중 전술한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 제 1 도의 파선으로 도시한 저주파 영역이 차단된 신호에 상당한다. 이 디지탈 신호는 가산기(2)의 한쪽 입력단자(3)에 부여된다. 또한, 가산기(2)의 출력단자(4)는 식별기(5)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식별기(5)는, 입력신호에 대해서 파형 정형이나 데이타 검출 등의 처리를 행하고, 출력단자(8)로부터는, "1", "0"의 디지탈 신호가 출력된다. 이 디지탈 신호중, 저역 통과 필터(LPF,6)에서 추출된 저주파 성분이 궤환신호로서 가산기(2)의 다른쪽 입력단자(7)에 부여된다. LPF(6)의 통과 특성은, 입력단자(1)에 부여되는 디지탈 신호의 저역 차단 특성과 거의 균등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결과, LPF(6)에서는, 제 4 도의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저역성분이 취출되고, 가산기(2)에서 입력신호와 가산됨으로써, 입력 디지탈 신호중의 손실되었던 저역성분이 복원되게 된다.
그런데,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직류 재생회로에서는, LPF(6)에서의 궤환량은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디지탈 VTR 등에 있어서의 디지탈 신호의 기록·재생시에, 간격 손실(spacing loss)이나 드롭 아웃(drop out) 등에 의해서 입력 디지탈 신호의 진폭 등이 변동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궤환량이 일정하기 때문에, LPF(6)에서의 보상 신호와, 입력단자(1)에서의 피보상신호와의 평형이 무너져 버려서, 안정한 저역 보상을 할 수 없게 된다.
제 5 도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직류 재생회로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고,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소) 제61-123,06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제 5 도에 도시한 직류 재생회로는, 다음의 점을 제외하고 제 3 도에 도시한 직류 재생회로와 같다. 즉, LPF(6)과, 가산기(2)의 입력단자(7)과의 사이에 가변 이득 증폭기(9)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입력단자(1)에 입력된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기(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벨 검출기(10)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력신호를 정류하여 다시금 평활해서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그리고, 가변 이득 증폭기(9)의 이득, 즉 LPF(6)에서의 궤환량은 레벨 검출기(10)에서 제어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즉, 제 5 도에 도시한 직류 재생회로에서는, 입력 디지탈 신호의 레벨에 따라서 궤환량의 제어를 행하고 있으므로, 안정한 저주파 성분의 보상을 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제 5 도에 도시한 직류 재생회로의 레벨 검출기(10)은, 입력 디지탈 신호의 직류를 포함하는 저역성분의 레벨도 검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입력 디지탈 신호의 베이스라인의 변동이 극단적으로 클 경우에는, 가령 입력 디지탈 신호의 진폭 자체가 그다지 변동해 있지 않아도, 이 베이스 라인의 변동이 레벨 검출기(10)의 출력에 나타나게 된다.
제 6 도(a) 및 (b)는, 이와 같은 현상이 생기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즉, 제 6 도(a)와 같이 베이스라인(일점쇄선)이 크게 변동하고 있는 디지탈 신호(실선)이 레벨 검출기(10)에 입력되면, 이 신호는 제 6 도(b)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도면중 화살표 A로 표시한 기준 레벨에 관해서 정류되고, 또한 평활화된다. 그 결과, 제 6 도(b)의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출력이 레벨 검출기(10)에서 얻어진다. 따라서, 제 6 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디지탈 신호(실선) 자체의 진폭이 거의 일정해도, 베이스라인(일점쇄선)의 변동에 기인해서, 레벨 검출기(10)의 출력[제6도(b)의 파선]이 변동해 버리고, 더 나아가서는 가변 이득 증폭기(9)의 이득이 변화해 버리게 된다. 즉, 입력신호의 베이스라인의 변동에 의하여 LPF(6)에서의 궤환량이 입력신호 자체의 레벨과 거의 관계없이 변동하게 되고, LPF(6)에서의 보상신호와, 입력단자(1)에서의 피 보상신호와의 평형이 무너져 버린다. 이 결과, 디지탈 신호의 손실된 저주파 성분의 보상이 충분히 행해지지 않게 되고, 디지탈 식별에 실수가 생길 가능성이 증대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대책으로서는, [1]레벨 검출기(10)의 평활시정수를 크게 할 것, [2] 레벨 검출기(10)으로서의 입력을 가산기(2)의 출력단자(4)에서 얻을 것, 등이 고려된다. 그렇지만, 전술한 [1]의 방법에서는, 평활시정수의 증가에 따른 제어신호의 지연등이 문제가 되고, 또한 [2]의 방법에서는, 계(係)의 발진을 방지하기 위해 궤환율을 낮게 억제할 필요가 있으며, 저주파 성분의 보상이 불충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저주파 성분이 손실된 디지탈 신호의 직류 재생회로로의 공급원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탈 신호의 기록/재생장치가 있다. 이와 같은 기록/재생장치의 전형적인 것은, 복수의 회전헤드를 이용해서 PCM 영상신호의 기록/재생을 행하는 디지탈 VTR이 있다.
제 7 도는, 이와 같은 종래의 디지탈 VTR의 재생계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제 8 도는 제 7 도의 디지탈 VTR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제 7 도에 있어서, 가이드 실린더(11) 위에는, 기록 재생용 헤드(13A 및 13B)가 서로 180°대향해서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가이드 실린더(11)에는, 기록 매체인 자기 테이프(12)가 권부(卷付)되어 있다. 권선(14A 및 14A')와, (14B 및14B')는, 각각, 로터리트랜스를 구성하고, 헤드(13A,13B)에 각각 대응해서 설치된 전치 증폭기(15A,15B)에 접속된다. 제 8 도(a) 및 (b) 도시한 전치 증폭기(15A,15B)에서의 출력, 즉 헤드(13A,13B)의 재생 출력은, 스위치(18)에 의해서 교대로 선택된다. 한편, 실린더 회전 검출용 PG 헤드(22)는, 가이드 실린더(11)에 설치된 자석(21A,21B)의 자속을 검출한다. 자석(21A,21B)는 서로 역극성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PG 헤드(22)에서는 제 8 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교대로 극성이 반전되는 신호가 얻어진다. 이 PG 헤드(22)의 출력신호는, 증폭기(23)에서 증폭된 신호, 비교기(24A,24B)에 의해서 각 극성마다 분리된다.
비교기(24A,24B)의 출력은, 각각 지연회로(25A,25B)에 의해서 소정시간 지연되고, R-S 플립플롭(26)의 셋트 입력, 리셋트 입력에 부여된다. 즉, R-S 플립플롭(26)은, 지연회로(25A,25B)의 출력에 의해서 교대로 셋트, 리셋트되고, 제 8 도(d)에 도시한 R-S 플립플롭(26)은, 지연회로(25A,25B)의 출력에 의해서 교대로 셋트, 리셋트되고, 제 8 도(d)에 도시한 R-S 플립플롭(26)의 출력은, RF 스위칭 펄스로서 스위치(18)의 절환 제어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R-S 플립플롭(26)의 출력이 "H"레벨인 때에는 단자(16A)가 선택되어 단자(17)에 접속되고, "L" 레벨인 때에는 단자(16B)가 선택되어 단자(17)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스위치(18)의 절환 동작에 의하여, 각 전치 증폭기(15A,15B)의 출력이 제 8 도(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화되고, 즉 합성되어 파형 이퀄라이저(19)에 부여된다. 파형 이퀄라이저(19)로부터의 재생 디지탈 신호는 출력단자(20)을 통해서 출력된다.
그런데, 제 7 도에 도시한 디지탈 VTR에 있어서는, 기록 매체인 자기 테이프(12)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는, 제 8 도(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효 신호 구간과, 그 전후의 프리앰블(preamble)부 및 포스트앰블(postamble)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 프리앰블부 및 포스트앰블부는, 유효신호 구간 디지탈의 나이키스트(Nyquist) 주파수, 즉 기록되어 있는 신호의 최고 주파수의 신호를 포함하고 있고, 데이타 신호와는 다르며 본래 저주파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자기 테이프(12)에서 제 7 도의 재생계에 의하여 재생되고 출력단자(20)에서 출력된 신호[제 8 도(e)]는, 제 3 도 또는 제 5 도에 도시한 직류 재생회로에 의해서 직류성분이 복원된 후, 도시하지 않은 PLL 회로에 부여된다. 이 PLL 회로가, 입력신호중의 상기 프리앰블부 및 포스트앰블부의 기간중에 인입동작을 완료하고, 상기 나이키스트 주파수의 신호에 동기한 클럭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유효신호 구간에 있어서의 디지탈의 하이레벨인가 로우레벨인가의 식별은 이 클럭신호에 기인해서 행해진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유효신호 구간의 전후에, 프리앰블부 및 포스트앰블부를 설치해서 그 기간에 PLL 회로의 인입 동작을 완료해 두면, 유효신호 구간의 디지탈 식별 동작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전 헤드를 사용하는 디지탈 VTR에 있어서는, 제 8 도(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간헐적인 신호끼리를 스위치(18)의 절환에 의하여 연속화해서, 제 8 도(e)에 도시한 바와 같은 출력신호를 합성해야 한다. 그리고, 이 스위치(18)에 의한 스위칭의 시점에서, 합성된 신호에 파형 왜곡이 생기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파형 왜곡의 원인으로는, [1] 각 자기헤드 및 각각의 전송계 특성의 차이에 기인하는 재생출력의 진폭 차, [2] 합성시에 있어서의 프리앰블부 및 포스트앰블부의 신호 위상의 불연속, [3] 프리앰블부 및 포스트앰블부에 있어서의 스파이크상의 스위칭 노이즈 등이 고려된다.
제 9A 도 및 제 9B 도는, 이와 같은 파형 왜곡 발생상태를 설명하기 의한 파형도이다. 제 9A 도 및 제 9B 도에 있어서 (a)는, 제 8 도(e)의 재생신호중의 프리앰블부 및 포스트앰블부의 나이키스트 주파수의 신호를 확대해서 도시한 것이고, (b)는 재생계의 출력신호로부터, 직류 재생회로의 LPF(6)에 의해서, 추출되는 직류성분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제 9A 도 및 제 9B 도중에 있어서, 파선은 스위치(18)이 절환 타이밍을 표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 9A 도의 경우에는, 절환시점에 있어서 신호 주기는 연속하고 있고, LPF(6)의 출력에 불필요한 저주파 성분을 발생하고 있지 않다. 그렇지만, 제 9B 도의 경우에는, 각 헤드로부터의 재생신호를 합성할 때에, 상대적인 시간 차이 때문에, 절환시점에 있어서 신호 주기의 불연속이 생겨 버린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이 불연속 부분이 저주파 성분으로서 LPF(6)에 의해서 추출되고, 궤환 루프의 작용에 의하여 확대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저주파 성분 때문에 프리앰블부의 나이키스트 주파수 신호는 크게 손상되게 되고 따라서 PLL 회로에 의해서 클럭신호가 재생되지 않으며, 디지탈 데이타의 식별이 불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리앰블부의 기간을 더욱 길게 설정하면 좋지만, 그리하면 유효 신호구간을 짧게 해야 되고, 충분한 양의 데이타를 기록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한편, 입력신호의 드롭 아웃에 의한 오동작에 대해서의 대책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소) 제60-129,975호 및 제62-16,275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제 7 도의 디지탈 VTR의 재생계에 있어서는, 각 헤드(13A,13B)에 대응해서, 로터리트랜스(14A 및 14A'),(14B 및 14B')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출력신호[제 8 도(a) 및 (b)]의 사이에는, 주파수 특성, 진폭 레벨 등에 차이가 존재한다(이와 같은 차이를 채널간 특성차이라 함). 따라서, 제 3 도 또는 제 5 도에 도시한 직류 재생회로에서는, 한쪽 채널, 즉 어떤 자기 헤드에 디지탈에 대응하는 계의 특성에 맞춰서 회로의 정수, 즉 직류 재생회로의 궤환 루프 특성이 설정되면, 다른쪽 채널에 대해서는, 보상 오차가 생기고, 디지탈의 식별에 실수가 생길 가능성이 커져 버린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입력신호의 베이스라인의 변동에 관계없이, 입력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충분히 보상할 수 있는 직류 재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 디지탈 신호의 합성시에 프리앰블부에 파형 왜곡이 생긴 경우라도, 궤환 루프에 의해서 이와 같은 왜곡이 확대될 수 없는 직류 재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 디지탈 신호에 채널간 특성 차이가 존재해도, 저주파 성분의 보상 오차가 생기지 않는 직류 재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채널간에 특성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입력된 신호의 베이스라인내의 변화에 관계없이 저주파 성분을 충분히 보상할 수 있는 직류 재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차단 특성이 복잡한 경우라도, 충분한 저주파 보상을 행할 수 있는 직류 재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록 매체에서 재생된 디지탈 신호의 저역성분을 충분히 보상할 수 있고, 디지탈 식별 실수 발생의 우려를 감소시킨 디지탈 신호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직류 재생회로는, 요약하면, 저주파 성분이 차단된 디지탈 신호 수취 입력단자; 입력단자에 의해서 수취된 디지탈 신호를 받는 제 1 입력단자와, 제 2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갖는 제 1 가산기; 입력단자에 의해서 수취된 디지탈 신호를 받는 제 1 입력단자와, 제 2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갖는 제 2 가산기; 제 2 가산기 출력단자에서 출력을 받아 디지탈 신호의 식별을 행하는 데이타 식별기; 데이타 식별기 출력을 받아 그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필터; 및 제어단자를 갖고 있고 또한 제어단자에 부여되는 신호 레벨에 따라서 변화하는 이득으로, 추출된 저주파 성분을 증폭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를 구비하고, 가변 이득 증폭기의 출력은, 제 1 가산기의 제 2 입력단자 및 제 2 가산기의 제 2 입력단자에 부여되고, 직류 재생회로는 또한, 제 2 가산기의 출력단자로부터의 신호 레벨을 검출해서, 레벨에 따른 신호를 가변 이득 증폭기의 제어단자에 부여하는 레벨 검출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직류 재생회로는, 복수의 채널에서 공급되는, 저주파 성분이 차단된 복수의 디지탈 신호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합성된 1계통의 디지탈 신호를 수취하는 입력단자와, 수취된 디지탈 신호의 식별을 행하는 데이타 식별기와, 데이타 식별기 출력의 저주파 성분을 데이타 식별기 입력에 궤환하는 궤환 루프를 구성하는 수단과, 복수의 디지탈 신호의 절환시를 포함하는 소정기간에 걸쳐서 궤환 루프를 차단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직류 재생회로는, 복수의 채널에서 공급되는, 저주파 성분의 차단된 복수의 디지탈 신호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합성된 1계통의 디지탈 신호를 수취하는 입력단자와, 수취된 디지탈 신호의 식별을 행하는 데이타 식별기와, 데이타 식별기 출력의 저주파 성분을 데이타 식별기 입력으로 궤환하는, 가변 특성을 갖는 궤환 루프를 구성하는 수단과, 디지탈 신호가 선택될 때마다 궤환 루프의 특성을, 대응하는 채널에 적합한 특성으로 변경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에 따르면, 직류 재생회로는, 복수의 채널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저주파 성분이 차단된 복수의 디지탈 신호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형성된 디지탈 신호를 수취하는 입력단자; 입력단자에 의해 수취된 디지탈 신호를 수취하는 제 1 입력단자, 제 2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갖고 있는 제 1 가산기; 입력단자에 의해 수취된 디지탈 신호를 수취하는 제 1 입력단자, 제 2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갖고 있는 제 2 가산기; 디지탈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제 1 가산기의 출력단자로부터 출력을 수취하는 데이타 식별기; 데이타 식별기 출력의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데이타 식별기의 출력을 수취하는 필터; 및 제어단자를 갖고 있고, 또한 제어단자에 부여되는 신호의 레벨에 따라 변환하는 이득으로, 추출된 저주파 성분을 증폭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를 구비하고, 가변 이득 증폭기의 출력이 제 1 가산기의 제 2 입력단자 및 제 2 가산기의 제 2 입력단자에 부여되며, 직류 재생회로는 또한 제 2 가산기의 출력단자로부터의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레벨 검출기; 레벨 검출기의 출력을 각각 다른 감쇠율로 감쇠시키기 위한 복수의 감쇠기; 및 디지탈 신호가 선택될 때마다 복수의 감쇠기중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감쇠율을 갖는 감쇠기를 선택하여 그 출력을 가변 이득 증폭기의 제어단자에 부여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에 따르면, 직류 재생회로는, 저주파 성분이 차단된 디지탈 신호를 수취하는 입력단자와, 수취된 디지탈 신호의 식별을 행하는 데이타 식별기와, 데이타 식별기 출력을 데이타 식별기 입력에 궤환하는 궤환 루프를 구성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 궤환 루프를 구성하는 수단은, 데이타 식별기 출력을 받아 그 저주파 성분을,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해서 추출하는 복수의 필터와, 복수의 필터 출력을 가산해서 데이타 식별기 입력에 궤환하는 가산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국면에 따르면, 디지탈 신호 재생장치는, 디지탈 신호가 기록된 매체로부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복수의 회전 자기 헤드와, 복수의 회전 자기 헤드마다 설치된 재생수단과, 신호 재생수단에 의해서 재생된 복수의 디지탈 신호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1계통의 디지탈 신호에 합성하는 수단과 합성된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보상하는 직류 재생회로를 구비하고, 이 직류 재생회로는, 합성된 디지탈 신호를 받는 제 1 입력단자와, 제 2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갖는 제 1 가산기; 합성된 디지탈 신호를 받는 제 1 입력단자와, 제 2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갖는 제 2 가산기; 제 1 가산기의 출력단자에서 출력을 받아 디지탈 신호의 식별을 행하는 데이타 식별기; 데이타 식별기 출력을 받아 그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필터; 및 제어단자를 갖고 있고 또한 제어단자에 부여되는 신호 레벨에 따라 변화하는 이득으로, 추출된 저주파 성분을 증폭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여기에서 가변 이득 증폭기의 출력은, 제 1 가산기의 제 2 입력단자 및 제 2 가산기의 제 2 입력단자에 부여됨), 제 2 가산기의 출력단자로부터의 신호의 레벨을 검출해서, 레벨에 따른 신호를 가변 이득 증폭기의 제어단자에 부여하는 레벨 검출수단; 레벨 검출기의 출력을 각각 다른 감쇠율로 감쇠시키는 복수의 감쇠수단; 디지탈 신호가 선택될 때마다 복수의 감쇠수단중 선택된 자기 헤드 및 신호 재생수단에 대응하는 감쇠율을 갖는 감쇠수단을 선택하여 그 출력을 가변 이득 증폭기의 제어단자에 부여하는 스위치수단; 복수의 디지탈 신호의 절환시를 포함하는 소정기간을 규정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및 소정기간을 규정하는 신호에 따라서 소정기간중 가변 이득 증폭기의 이득을 영으로 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이점은, 레벨 검출기로의 입력신호에 있어서 베이스 라인의 변동이 억제되므로, 궤환 루프의 이득을 입력신호 레벨에 바르게 대응해서 제어할 수 있고, 직류 재생회로에 의한 데이타 식별실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복수의 재생 출력을 차례로 선택해서 입력 디지탈 신호를 합성할 경우에, 절환 전후에 걸친 기간, 직류 재생회로와 궤환 루프를 차단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절환 시점에 생기는 프리앰블부의 파형 왜곡이 직휴 재생회로에 의해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데이타 식별용 클럭을 정확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복수의 재생출력을 차례로 선택해서 입력 디지탈 신호를 합성하는 경우에, 각 채널마다 궤환 루프의 특성을 절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각 채널에 대해서 저주파 성분의 보상을 최적하게 행할 수 있고, 따라서 데이타 식별 실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복수의 필터를 사용해서, 저주파 성분을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해서 추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입력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차단 특성이 복잡해도, 충분한 저역 보상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직류 재생회로를 도시한 개략 블럭도로서, 아래의 점을 제외하고는 제 5 도에 도시한 종래의 직류 재생회로와 같다.
즉, 가변 이득 증폭기(9)의 출력을 감쇠시키는 감쇠기(31)과, 가산기(32)가 설치되어 있고, 가산기(32)의 한쪽 입력단자(33)에는 입력단자(1)에서 입력 디지탈 신호가 다른쪽 입력단자(34)에는 감쇠기(31)의 출력이 부여되고, 또한 가산기(32)의 출력단자(35)는 레벨 검출기(10)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이 레벨 검출기(10)은, 제 5 도에 관련해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정류회로와 평활회로를 포함하고 있고, 입력된 신호의 엔벨로프(envelope)에 비례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이 출력에 따라서, 가변 이득 증폭기(9)의 이득이 제어된다. 이 레벨 검출기(10)의 입력으로서는, 감쇠기(31)의 출력과, 입력단자(1)에서의 입력 디지탈 신호를 가산기(32)에서 가산한 것이 부여된다. 이 결과, 레벨 검출기(10)으로의 입력신호에 관해서는, 제 6 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베이스 라인의 변동은 억제된 것이 된다. 즉, 베이스 라인의 변동에 관계없이, 단자(1)로의 입력신호 진폭이 커졌을 때에만 가변 이득 증폭기(9)는 그 이득이 크게 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디지탈 VTR과 같은 디지탈 신호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헤드와 기록 매체와의 접촉 상태의 변화, 기록 매체 표면상의 먼지, 상처 등이 원인이 되어 입력신호의 진폭이 변동했을 때에, 이 변동에 따라서 궤환량이 정확하게 제어된다. 따라서, 제 5 도의 종래의 직류 재생회로와 같이 입력신호의 베이스 라인 변동에 기인해서 레벨 검출기(10)의 출력이 변동하고, LPF(6)에서의 궤환량이 입력신호 자체의 레벨과 관계없이 변동한다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쇠기(31)은, 가산기(32)를 설치함으로써 구성되는 궤환 루프가 발진하지 않게 하기 위해 삽입되어 있다. 이 감쇠기(31)의 감쇠량은, 베이스 라인 변동에 대한 억제효과와, 궤환 루프의 안정성과의 쌍방을 고려해서 적당한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제 10 도의 실시예에서는, 가산기(32)의 입력의 하나로서, 가변 이득 증폭기(9)의 출력을 사용함으로써, 구성 요소의 공통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LPF(6)의 출력을 소정의 이득으로 증폭한 후에 가산기(32)의 하나의 입력에 가해지도록 해도 좋고, 또 데이타 식별기(5)의 출력을 별도로 설치한 LPF를 통과시킨 후에 가산기(32)의 하나의 입력에 가해지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제 10 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레벨 검출기(10)으로의 입력신호에 있어서, 베이스 라인의 변동은 억제되므로, 레벨 검출기(10)의 출력은, 입력신호 레벨에 바르게 대응한 것이 된다. 이 결과, 가변 이득 증폭기(9)의 이득이 정확하게 제어되므로, 직류 재생회로의 동작에 실수가 생기는 일이 없고, 따라서 데이타 식별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디지탈 VTR의 재생계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제 12 도는 제 11 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제 11 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는, 제 7 도의 디지탈 VTR의 재생계와 제 5 도의 직류 재생회로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1 도에 있어서, 헤드 절환신호 발생기(41)은, 제 7 도에 도시한 지연회로(25A 및 25B)와, R-S 플립플롭(26)으로 이루어지고, 새로이 설치된 스위칭 시기 표시신호 발생기(42)는, 지연회로(25A,25B)의 지연시간 보다는 짧은 지연시간을 갖는 지연회로(도시하지 않음)과, 일정기간 하이레벨로 되는 출력을 부여하는 모노멀티(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가변 이득 증폭기(9)의 제어 단자(9a)를 레벨 검출기(10)의 출력 또는 접지 전위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스위치(43)이 설치되어 있고 그 스위칭은, 스위칭 시기 표시신호 발생기(42)에서의 스위칭 시기 표시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위칭(43)은, 스위칭 시기 표시신호 발생기(42)의 출력이 하이레벨의 기간중에 접지 전위를 선택하고, 로우레벨의 기간중에는 레벨 검출기(10)의 출력을 선택한다. 또한, 가변 이득 증폭기(9)는, 그 제어단자(9a)가 접지됨으로써 그 이득이 0으로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칭 시기 표시신호 발생기(42)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시기 표시신호가 하이레벨인 때에는, 가변 이득 증폭기(9)에서 구성되는, 직류 재생회로의 궤환 루프가 차단되게 된다. 여기에서, PG 헤드(22)에서는 제 12 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대로 극성이 반전하는 신호가 얻어지고, 이에 기인해서 헤드 절환신호 발생기(41)에 내장되는 R-S 플립플롭(도시하지 않음)에서 RF 스위칭 펄스[제 12도(c)], 스위칭 시기 표시신호 발생기(42)내의 지연호로(도시하지 않음)의 지연시간 및 모노멀티(도시하지 않음)의 준안정기간이 정해지는 것으로 한다.
우선, 스위칭 시기 표시신호가 로우레벨인 때에는, 스위치(43)에 의하여 레벨 검출기(10)의 출력이 가변 이득 증폭기(9)의 제어단자(9a)에 부여되기 때문에, 가변 이득 증폭기(9)의 이득은, 직류 재생회로의 입력단자(1)에 입력되는 디지탈 신호[제 12 도(d)]의 레벨에 따라서 제어되고, 최적한 저주파 성분의 보상이 실행된다.
한편, 스위치(18)의 절환시점의 전후에 있어서 스위칭 시기 표시신호가 하이레벨인 때에는, 스위치(43)에 의하여, 접지 전위가 가변 이득 증폭기(9)의 제어단자(9a)에 부여되기 때문에, 가변 이득 증폭기(9)의 이득은 0으로 되고, 궤환 루프가 차단되며, 따라서 직류 재생회로는 동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령 스위치(18)의 절환시점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 9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신호 주기의 불연속에 의한 파형 왜곡이 생겨도, 저주파 성분이 LPF(6)에 의해서 추출되어 궤환 루프의 작용에 의해서 확대된 출력단자(8)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우려가 없다.
또한, 스위칭 시기 표시신호의 하이레벨 기간은, 스위칭 시기 표시신호 발생기(42)내에 포함되는 모노멀티의 준안정기간에 대응하고 있지만, 이 기간은, 스위칭 시점에 있어서 입력단자(1)에 부여되는 신호의 파형왜곡에 기인하는 LPF(6)의 출력[제9B도의 (b)]가 충분히 작아지기까지의 시간에 설정된다. 따라서, 이 기간은 개개의 LPF(6)의 특성에 기인해서 결정된다.
또한, 상기 하이레벨 기간중에는, 직류 재생회로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있으나, 프리앰블부 및 포스트앰블부는 본래 저주파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특히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제 11 도의 실시예에서는, 가변 이득 증폭기(9)의 이득의 제어에 의하여, 궤환 루프를 차단하고 있지만, 궤환 루프내에 별도 스위치를 설치해서 차단하도록 해도 좋다. 즉, 이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 이득 증폭기는 본질적 요소는 아니고, 제 7 도의 재생계에 제 3 도의 직류 재생 경로를 조합한 경우에도, 궤환 루프내에 스위치를 설치해서 이 궤환 루프를 차단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각 자기 헤드로부터의 재생 출력을 합성할 경우에, 스위칭 전후에 걸친 기간, 직류 재생회로의 기간 루프를 차단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스위칭시에 생기는 프리앰블부의 파형 왜곡이 직류 재생회로에 의해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디지탈 VTR의 재생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 13 도에 도시한 실시에는, 아래의 점을 제외하고, 제 11 도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와 같다. 즉, 제 11 도의 스위칭 시기 표시신호 발생기(42)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헤드 절환신호 발생기(41)의 출력인 RF 스위칭 펄스에 의해서 절환 제어되는 스위치(5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레벨 검출기(10)의 출력은, 자기 헤드(13A,13B)로부터의 재생 출력에 대응해서 각각 레벨 조정을 행하는 감쇠기(51,52)에 부여된다. 전술한 스위치(53)은, 헤드 절환신호 발생기(41)에서의 RF 스위칭 펄스에 따라서, 감쇠기(51,52)중 어느 한쪽 출력을 선택해서 가변 이득 증폭기(9)의 제어단자(9a)에 부여한다. 즉, 자기 헤드(13A,13B)의 절환에 따라서, 각 헤드 및 그 전송계에 따른 감쇠기(51 또는 52)가 선택된다.
여기에서, 먼저 기술한 바와 같이, 각 자기 헤드로부터의 재생신호 신호에는 채널간 특성차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제 14 도는 각 채널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1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13A) 및 그 전송계(이하, 채널 A)와, 헤드(13B) 및 그 전송계(이하 채널 B)에서는, 저주파 특성이 다르게 되어 있다. 그래서, 직류 재생회로에 있어서의 궤환 루프를 구성하는 LPF(6)의 특성이 예를 들면 채널 A에 맞춰졌다고 하면, 채널 A에 대해서는 정확한 저주파 보상이 되지만, 채널 B에 대해서는 보상 실수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제 13 도의 실시예에서는, 감쇠기(52)의 감쇠율을 감쇠기(51)과는 다른 값으로 설정하고, 각 채널의 2치 데이타의 에러 코드가 각각 최소로 되도록, 저주파 성분의 궤환량을 채널마다 다른 것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 15 도는 각 채널의 감쇠율과 오율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채널 A,B마다 오율이 최소로 되는 감쇠율 KA, KB가 다르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감쇠기(51,52)의 감쇠율 KA, KB를 조정함으로써, 직류 재생회로의 저주파 성분의 보상 동작을 각 채널에 대해서 가장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3 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각 채널의 재생출력이 연속화되어 얻어진 디지탈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에 있어서, 각 채널마다 궤환 루프의 특성이 절환되므로, 각 채널에 대해서 데이타 식별의 실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 16 도는 제 10 도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제 11 도에 도시한 제 2 실시예와, 제 13 도에 도시한 제 3 실시예를 조합함으로써 얻어진, 디지탈 VTR의 재생계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또한 제 17 도는 그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이다.
제 16 도의 장치에 있어서, 우선 직류 재생회로로서는, 기본적으로는 제 10 도에 도시한 것이 사용되고 있고, 레벨 검출기(10)의 입력에 있어서 베이스 라인의 변동은 억제되어 있으므로, 레벨 검출기(10)의 출력은, 단자(1)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에 바르게 대응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6 도에 있어서는, 레벨 검출기(10)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는 감쇠기(61,62)와, 스위치(63)이 설치되어 있고, 스위치(63)은, 헤드 절환신호 발생기(41)에서의 RF 스위칭 펄스[제17도(a)]와, 스위칭 시기 표시 신호 발생기(42)에서의 스위칭 시기 표시신호[제17도(b)]에 의해서 절환 제어되고, 감쇠기(61)의 출력을 받는 단자 x, 감쇠기(62)의 출력을 받는 단자 z 및 접지된 단자 y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가변 이득 증폭기(9)의 제어단자(9a)에 접속한다. 즉, 제 17 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칭 시기 표시신호 제 17 도(b)가 하이레벨인 때에는, 단자 y가 선택되어 궤환 루프가 차단되고, 로우레벨인 때에는, RF 스위칭 펄스[제17도 (a)]에 따라서 단자 x,z가 교대로 선택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채널간의 특성에 따라서, 궤환 루프의 특성을 더욱 적합한 것으로 변경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위치(18)의 절환시에 있어서의 프리앰블부의 파형 왜곡이 직류 재생회로에 의해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채널간의 특성 차리가 클때, 일반적으로 채널들중 한 채널에 대하여 베이스 라인내의 변화에 기인하는 정상적인 경우보다 더욱 많은 보상 실수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상 실수는 제 1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3 실시예를 결합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직류 재생회로의 궤환 루프에 있어서의 이득을 변경시킴으로써, 각 채널의 특성차에 따른 저역 보상을 행하도로 하고 있으나, 채널마다 LPF(6)의 특성을 절환하도록 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직류 재생회로의 궤환 루프에 LPF를 사용하고 있으나, 디지탈 VTR에 있어서는 기록 재생에 의한 저주파 차단 특성이 매우 복잡한 경우가 있고, LPF만으로는, 충분한 저역 보상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즉, 전술한 각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지탈 VTR에 있어서는, 자기 헤드와 신호 재생회로 사이의 신호 전송에 로터리 트랜스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저주파 차단 요인으로서는, 자기 헤드 외에, 이 로터리 트랜스에 의한 영향도 무시할 수 없고, 재생신호의 저역 차단 특성이 복잡하게 되는 일이 있다.
제 18 도는 제 10 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직류 재생회로의 다른 변형예로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제 18 도의 직류 재생회로는, 다음의 점을 제외하고, 제 10 도에 도시한 직류 재생회로와 같다. 즉, 데이타 식별기(5)의 출력은, 대역 통과 필터(이하, BPF)(71)과, LPF(72)에 부여되고 BPF(71)의 출력은 가산기(73)의 한쪽 입력단자(74)에, LPF(72)의 출력은 다른쪽 입력단자(75)에 부여된다. 가산기(73)의 출력단자(76)은, 가변 이득 증폭기(9)의 입력에 접속된다. 즉, 식별기(5)로부터의 데이타 신호중의 저주파 성분을, BPF(71) 및 LPF(72)를 사용해서 추출하고, 양 필터(71,72)의 출력을 가산기(73)에서 가산해서, 이를 다시금 입력 디지탈 신호에 가산해서 저역성분이 보상을 행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복수의 저주파 차단 요인으로서, 디지탈 VTR에 있어서의 자기 헤드 및 로터리 트랜스를 고려한다. 자기 헤드에 의한 저역 차단시정수를 TH, 회전 트랜스에 의한 저역 차단시정수를 TL로 하고, 감쇠 특성은 어느 것도 1차의 고역 통과 필터로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제 19 도는 이와 같은 자기 헤드 및 로터리 트랜스의 전달 계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9 도에 있어서, 자기 헤드의 전달 관수를 GH(S), 회전 트랜스의 전달 계수를 GL(S)로 한다.
따라서, 자기 헤드의 로터리 트랜스로 이루어지는 계의 총합적인 전달 관수를 G(S)로 하면, G(S)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진다.
Figure kpo00001
특히, TL>TH의 경우, 자기 헤드와 로터리 트랜스로 이루어진 계의 총합적인 주파수 특성은, 예를 들면, 제 20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전달계수 G(S)를 갖는 계를 통고한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다음 식을 만족하는 전달 관수 H(S)에 의한 보상 신호를 작성해서, 합성하면 좋다.
G(S) + H(S)=1.............................................................(2)
따라서 H(S)는,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3) 식의 제 1 항은, 차단 주파수 fL=1/2 nTL의 1차 저역 통과 필터로서, 제 2 항은 저역 차단 주파수 fL=1/2 nTL또한 고역 차단 주파수 fH=1/2nTH인 1차 대역 통과 필터로서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18도에 도시한 구성에 의하면, 자기 헤드와 로터리 트랜스에 의한 복잡한 저주파성분의 감쇠를 확실하게 보상할 수 있다.
또한, H(S)가 변형해도, 다르게 된 필터의 조합에 의해서 가장 적합한 통과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복수의 통과 필터의 조합에 의한 저주파 성분의 보상은, 제 18 도에 도시한 예에 국한하지 않고, 제 3 도, 제 5 도, 제 10 도, 제 11 도, 제 13 도 및 제 16 도에 도시한 직류 재생회로에 적용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8 도와 도시한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차단 요인이 복수 존재할 경우라도, 충분한 저역 성분의 보상을 행할 수 있다.

Claims (25)

  1.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보상하는 직류 재생회로에 있어서, 저주파 성분이 차단된 디지탈 신호를 수취하는 입력단자(1), 상기 입력단자에 의해서 수취된 상기 디지탈 신호를 받는 제 1 입력단자와, 제 2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갖는 제 1 가산수단(2), 상기 입력단자에 의해서 수취된 상기 디지탈 신호를 받는 제 1 입력단자와, 제 2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갖는 제 2 가산수단(32), 상기 제 1 가산기의 출력단자에서 출력을 받아 디지탈 신호의 식별을 행하는 데이타 식별수단(5), 상기 데이타 식별기 출력을 받아 그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필터수단(6), 제어단자를 갖고 있고, 상기 제어단자에 부여되는 신호 레벨에 따라서 변화하는 이득으로, 상기 추출된 저주파 성분을 증폭하는 가변 이득 증폭수단(9), 및 상기 제 2 가산수단의 출력단자에서의 신호의 레벨을 검출해서, 상기 레벨에 따른 신호를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의 제어단자에 부여하는 레벨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의 출력이, 상기 제 1 가산수단의 제 2 입력단자 및 제 2 가산수단의 제 2 입력단자에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이득 증폭수단의 출력과, 상기 제 2 가산수단의 제 2 입력단자 사이에 감쇠수단(31)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이 통과 특성이, 상기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성분의 차단 특성에 거의 균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이, 상기 데이타 식별수단 출력을 받아 그 저주파 성분을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해서 추출하는 복수의 필터, 및 상기 복수의 필터 출력을 가산해서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의 입력에 부여하는 제 3 가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검출수단이 부여된 신호를 정류하고 또한 평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6.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보상하는 직류 재생회로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에서 공급되는 저주파성분이 차단된 복수의 디지탈 신호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합성된 1계통의 디지탈 신호를 수취하는 입력수단(1), 상기 수취된 디지탈 신호의 식별을 행하는 데이타 식별 수단(5), 상기 데이타 식별수단 출력의 저주파 성분을 상기 데이타 식별수단의 입력에 궤환되는 궤환 루프를 구성하는 수단(2,6,9,10) 및 상기 복수의 디지탈 신호의 절환시를 포함하는 소정기간에 걸쳐서 상기 궤환 루프를 차단하는 수단(42,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궤환 루프를 구성하는 수단이, 상기 데이타 식별수단 출력을 받아 그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필터수단(6), 제어단자를 갖고 있고, 상기 제어단자에 부여되는 신호 레벨을 따라서 변화하는 이득으로, 상기 추출된 저주파 성분을 증폭하는 가변 이득 증폭수단(9),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서 수취된 상기 디지탈 신호를 받는 제 1 입력단자와, 상기 가변 이득 증폭 수단 출력을 받는 제 2 입력단자와, 상기 데이타 식별수단의 입력에 접속된 출력단자를 갖는 제 1 가산수단(2), 및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서 수취된 상기 디지탈 신호의 레벨을 검출해서, 상기 레벨에 따른 신호를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의 제어단자에 부여하는 레벨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이, 상기 복수의 디지탈 신호의 절환시를 포함하는 소정기간을 규정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42), 및 상기 소정기간을 규정하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소정기간 중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의 이득을 0으로 하는 수단(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을 0으로 하는 수단이, 상기 소정기간을 규정하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소정기간 중 상기 가변이득 증폭 수단의 제어단자를 접지하는 스위치수단(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의 통과 특성이, 상기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성분의 차단 특성에 거의 균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이, 상기 데이타 식별수단 출력을 받아 그 저주파 성분을, 복수 대역으로 분할해서 추출하는 복수의 필터, 및 상기 복수의 필터의 출력을 가산해서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의 입력에 부여하는 제 2 가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검출 수단이, 부여된 신호를 정류하고 또한 평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13.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보상하는 직류 재생회로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에서 공급되는, 저주파성분이 차단된 복수의 디지탈 신호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합성된 1계통의 디지탈 신호를 수취하는 입력수단(1), 상기 수취된 디지탈 신호의 식별을 행하는 데이타 식별수단(5), 상기 데이타 식별 수단 출력의 저주파 성분을 상기 데이타 식별수단 입력에 궤환하는, 가변의 특성을 갖는 궤환루프를 구성하는 수단(2,6,9,10) 및 상기 디지탈 신호가 선택될 때마다, 상기 궤환 루프의 특성을, 대응하는 채널에 적합한 특성으로 변경하는 수단(41,51,52,5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궤환 루프를 구성하는 수단이, 상기 데이타 식별 수단 출력을 받아 그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필터수단(6), 제어단자를 갖고 있고, 상기 제어단자에 부여되는 신호 레벨에 따라서 변화하는 이득으로, 상기 추출된 저주파 성분을 증폭하는 가변 이득수단(9),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서 수취된 상기 디지탈 신호를 받는 제 1 입력단자와,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 출력을 받는 제 2 입력단자와, 상기 데이타 식별 수단의 입력에 접속된 출력단자를 갖는 제 1 가산수단(2), 및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서 수취된 상기 디지탈 신호의 레벨을 검출해서, 상기 레벨에 따른 신호를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의 제어 단자에 부여하는 레벨 검출수단(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경 수단이, 상기 레벨 검출기의 출력을 각각 다른 감쇠율로 감쇠시키는 복수의 감쇠수단(51,52) 및 상기 디지탈 신호가 선택될 때마다, 상기 복수의 감쇠수단 중의 , 선택된 채널에 대한 감쇠율을 갖는 감쇠 수단을 선택해서 그 출력을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의 제어단자에 부여하는 스위치 수단(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지탈 신호 절환시를 포함하는 소정 기간을 규정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42)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수단이, 상기 소정기간을 규정하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소정 기간중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의 이득을 0으로 하는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의 통과 특성이, 상기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성분의 차단 특성에 거의 균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이, 상기 데이타 식별수단 출력을 받아 그 저주파 성분을,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해서 추출하는 복수의 필터, 및 상기 복수의 필터의 출력을 가산해서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의 입력에 부여하는 제 2 가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검출수단이, 부여된 신호를 정류하고 또한 평활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 회로.
  20.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보상하는 직류 재생회로에 있어서, 저주파 성분이 차단된 디지탈 신호를 수취하는 입력단자(1), 상기 수취된 디지탈 신호의 식별을 행하는 데이타 식별 수단(5), 및 상기 데이타 식별수단 출력을 상기 데이타 식별수단 입력에 궤환하는 궤환 루프를 구성하는 수단(2,71,72,73,9,10)을 구비하고, 상기 궤환 루프를 구성하는 수단이, 상기 데이타 식별 수단 출력을 받아 그 저주파 성분을,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해서 추출하는 복수의 필터수단(71,72) 및 상기 복수의 필터의 출력을 가산해서 상기 데이타 식별 수단 입력에 궤환하는 가산수단(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 회로.
  21. 디지탈 신호가 기록된 매체로부터 상기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복수의 회전 자기헤드(13A,13B), 상기 복수의 회전 자기 헤드마다 설치된 신호 재생수단(14A,14A',14B,14B',15A,15B), 상기 신호 재생수단에 의해서 재생된 복수의 디지탈 신호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1계통의 디지탈 신호에 합성하는 수단(18), 및 상기 합성된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보상하는 직류 재생회로(1,2,5,6,9,10,31,32,61,62,63)를 구비하고, 상기 직류 재생회로가, 상기 합성된 디지탈 신호를 받는 제 1 입력단자와, 제 2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갖는 제 1 가산수단(2), 상기 합성된 디지탈 신호를 받는 제 1 입력단자와, 제 2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갖는 제 2 가산수단(32), 상기 제 1 가산수단의 출력단자에서 출력을 받아 디지탈 신호의 식별을 행하는 데이타 식별수단(5), 상기 데이타 식별수단 출력을 받아 그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필터수단(6), 및 제어단자를 갖고 있고, 상기 제어수단에 부여되는 신호 레벨에 따라서 변화하는 이득으로, 상기 추출된 저주파 성분을 증폭하는 가변 이득 증폭수단(9)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의 출력이, 상기 제 1 가산수단의 제 2 입력단자 및 상기 제 2 가산수단의 제 2 입력단자에 부여되고, 상기 직류 재생회로가 또한, 상기 제 2 가산수단의 출력단자에서의 신호 레벨을 검출해서, 상기 레벨에 따른 신호를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의 제어단자에 부여되는 레벨 검출수단(10), 상기 레벨 검출기의 출력을 각각 다른 감쇠율로 감쇠시키는 복수의 감쇠수단(61,62), 상기 디지탈 신호가 선택될 때마다 상기 복수의 감쇠수단 중의, 선택된 자기 헤드 및 신호 재생수단에 대응하는 감쇠율을 갖는 감쇠수단을 선택해서 그 출력을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의 제어단자에 부여하는 스위치수단(63), 상기 복수의 디지탈 신호의 절환시를 포함하는 소정기간을 규정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42), 및 상기 소정기간을 규정하는 신호에 따라서 상기 소정기간 중 상기 가변 이득 증폭수단의 이득을 0으로 하는 수단(63)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의 통과 특성이, 상기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성분의 차단 특성에 거의 균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단이, 상기 데이타 식별 수단 출력을 받아 그 저주파 성분을,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해서 추출하는 복수의 필터, 및 상기 복수의 필터 출력을 가산해서 상기 가변이득 증폭수단의 입력에 부여하는 제 3 가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검출수단이, 부여된 신호를 정류하고 또한 평활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신호 재생 장치.
  25. 디지탈 신호의 저주파 성분을 보상하는 직류 재생 회로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저주파 성분이 차단된 복수의 디지탈 신호를 차례로 선택함으로써 형성된 디지탈 신호를 수취하는 입력수단(1),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수취된 상기 디지탈 신호를 수취하는 제 1 입력단자, 제 2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갖고 있는 제 1 가산기 수단(2),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수취된 상기 디지탈 신호를 수취하는 제 1 입력 단자, 제 2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갖고 있는 제 2 가산기 수단(32), 디지탈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제 1 가산기 수단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을 수취하는 데이타 식별 수단(5), 데이타 식별기 출력의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데이타 식별 수단의 출력을 수취하는 필터수단(6), 및 제어 단자를 갖고 있고, 또한 제어 단자에 부여되는 신호의 레벨에 따라 변환하는 이득으로, 추출된 저주파 성분을 증폭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 수단(9)를 구비하고, 가변 이득 증폭기 수단의 출력이, 상기 제 1 가산기 수단의 제 2 입력 단자와 상기 제 2 가산기 수단의 제 2 입력 단자에 부여되며, 또한, 직류 재생 회로가, 상기 제 2 가산기 수단의 출력 단자로부터의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기 수단(10),레벨 검출기의 출력을 각각 다른 감쇠율로 감쇠시키기 위한 복수의 감쇠기 수단(61,62), 및 디지탈 신호가 선택될 때마다 복수의 감쇠기 수단 중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감쇠율을 갖는 감쇠기 수단을 선택하여 그 출력을 상기 가변 이득 증폭기의 제어 단자를 부여하는 스위치 수단(6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재생회로.
KR1019880016482A 1987-12-11 1988-12-10 디지탈 신호의 전송계에 있어서 손실된 저주파수 성분을 재생하여 보상하기 위한 직류 재생회로 KR960016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14977 1987-12-11
JP62314977A JPH01155560A (ja) 1987-12-11 1987-12-11 直流再生回路
JP62315754A JPH01155562A (ja) 1987-12-14 1987-12-14 デ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の直流再生回路
JP62-315753 1987-12-14
JP62-315754 1987-12-14
JP62315753A JPH01155561A (ja) 1987-12-14 1987-12-14 デ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の直流再生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880A KR890010880A (ko) 1989-08-11
KR960016898B1 true KR960016898B1 (ko) 1996-12-26

Family

ID=2733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482A KR960016898B1 (ko) 1987-12-11 1988-12-10 디지탈 신호의 전송계에 있어서 손실된 저주파수 성분을 재생하여 보상하기 위한 직류 재생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91034A (ko)
EP (1) EP0320022B1 (ko)
KR (1) KR960016898B1 (ko)
DE (1) DE388831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40291A1 (de) * 1988-11-30 1990-05-31 Broadcast Television Syst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wiedergabe von datensignalen
AU629300B2 (en) * 1989-02-28 1992-10-01 Sony Corporation Digital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JP2627337B2 (ja) * 1989-04-19 1997-07-02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信号の再生回路
US5247399A (en) * 1989-05-15 1993-09-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gital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using different read and write operations for each individual memory
US5099366A (en) * 1989-08-25 1992-03-24 Ampex Corporation Low frequency restorer
JP2746721B2 (ja) * 1990-03-23 1998-05-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H0467415A (ja) * 1990-07-06 1992-03-03 Sony Corp 記録・再生装置
JPH0573817A (ja) * 1991-06-24 1993-03-26 Sony Corp 磁気抵抗効果素子を有する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342504A (ja) * 1993-05-31 1994-12-13 Canon Inc 再生装置
KR0158616B1 (ko) * 1995-07-10 1999-01-15 김광호 자동 제어 녹음 회로 오동작 방지 회로가 부가된 녹음/재생 제어 신호 발생장치
US5844439A (en) * 1996-03-13 1998-12-01 Integrated Circuit Systems, Inc. DC restoration circuit for multi-level transmission signals
CA2234037A1 (en) 1998-04-03 1999-10-03 Mohammad Hossein Shakiba Latch-up recovery in quantized feedback dc restorer circuits
JP3948116B2 (ja) * 1998-05-11 2007-07-25 ソニー株式会社 直流リカバリ回路
US6501611B1 (en) 1999-04-27 2002-12-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recovery apparatus, method and memory medium for a magnetic memory read/write channel
WO2003050810A2 (en) * 2001-12-07 2003-06-19 Seagate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cessing low frequencies in perpendicular recording
US7072130B2 (en) * 2004-07-28 2006-07-04 Agere Systems Inc. Auto-ranging attenuators for read channels
US11716097B2 (en) 2021-12-29 2023-08-01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Signal correction using soft information in a data channe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4569A (en) * 1964-12-07 1966-08-02 Tia Electric Company Transiently regenerative amplifier with a. c. and d. c. regeneration
JPS5946150B2 (ja) * 1975-07-08 1984-11-10 日本電気株式会社 Pcm再生中継器
US4339727A (en) * 1978-03-07 1982-07-13 Nippon Electric Co., Ltd. Waveform converting circuit
US4237424A (en) * 1978-08-18 1980-12-02 Ortho Diagnostics, Inc. Gated baseline corrector
JPS57109420A (en) * 1980-12-26 1982-07-07 Sony Corp Delay device
JPS57172515A (en) * 1981-04-16 1982-10-23 Toshiba Corp Pedestal clamping circuit
JPS58218047A (ja) * 1982-05-28 1983-12-19 Nec Home Electronics Ltd デイジタル・オ−デイオ・デイスク・プレ−ヤ用信号検出回路
JPS59257A (ja) * 1982-06-25 1984-01-05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イジタル変調信号読取装置
US4692914A (en) * 1983-05-31 1987-09-08 Canon Kabushiki Kaisha Reproducing device for frequency modulated signals
JPS60129975A (ja) * 1983-12-16 1985-07-11 Toshiba Corp 直流分再生回路
JPS60260223A (ja) * 1984-06-06 1985-1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スライス回路
JPS61123064A (ja) * 1984-11-20 1986-06-10 Sanyo Electric Co Ltd 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
JPS6216275A (ja) * 1985-07-15 1987-01-24 Toshiba Corp デジタル信号再生装置の直流再生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88313D1 (de) 1994-04-14
EP0320022A2 (en) 1989-06-14
KR890010880A (ko) 1989-08-11
EP0320022B1 (en) 1994-03-09
US4991034A (en) 1991-02-05
EP0320022A3 (en) 1991-04-03
DE3888313T2 (de) 199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898B1 (ko) 디지탈 신호의 전송계에 있어서 손실된 저주파수 성분을 재생하여 보상하기 위한 직류 재생회로
US5623474A (en) Disk apparatus having automatic adjustment of adaptive filter equalization parameter using training pattern
EP0475521B1 (en) Arrangement for demodulating an FM modulated signal
EP0385867A2 (en) Digital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EP0139925B1 (en) Automatic amplitude equalizer
US43319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crosstalk in magnetic tape recorders
EP0678856A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digital signals
CA1150397A (en) Digitally controlled automatic bias circuit for magnetic recording
KR100307176B1 (ko) 자동조정용기록포맷과 그 기록장치 및 자동조정장치
EP0142620B1 (de) Verfahren zur Aufzeichnung eines PCM-Tonsignals mit Kompensation von Signalstörungen
US5617266A (en) Motor stabilizing control apparatus for use with motors, including for use with a drum motor in a magnetic tape system
EP0159042B1 (en) An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in audio signals
JPS6051163B2 (ja) デイ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2770499B2 (ja) 波形等化回路
US6229950B1 (en)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reproduction equalizing characteristic
JPH01155561A (ja) デ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の直流再生回路
JP3128805B2 (ja) 記録電流制御回路
JPH03127356A (ja) 情報記録再生方法
Hashimoto et al. An experimental HDTV digital VTR with a bit rate of 1.188 Gbps
KR0151030B1 (ko) 통합등화기를 갖는 디지탈 기록재생장치
US5309293A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4583130A (en) AST for a two track VTR
JP3850287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EP0517526A2 (en) Video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05672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