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475B1 -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475B1
KR960016475B1 KR1019890701463A KR890701463A KR960016475B1 KR 960016475 B1 KR960016475 B1 KR 960016475B1 KR 1019890701463 A KR1019890701463 A KR 1019890701463A KR 890701463 A KR890701463 A KR 890701463A KR 960016475 B1 KR960016475 B1 KR 960016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fixing plate
cabinet
plate assembl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0694A (ko
Inventor
라우탠슬외게르 칼
Original Assignee
칼 라우탠슬외게르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라우탠슬외게르 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라우탠슬외게르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라우탠슬외게르 칼 filed Critical 칼 라우탠슬외게르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900700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05D7/123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05D7/12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3Sna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00Buckles, buttons, clasps
    • Y10S24/30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S24/43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S24/44Formations positioned along wall forming mating-member-guiding cavity
    • Y10S24/45Formations member having movably attached or biased interlocki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00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with third detached member completing interlock [e.g., hook type]
    • Y10T24/45089Sliding or rotating element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ng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 조립체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고정판 조립체의 제 1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제 2 도는 상측고정판의 일측 단부가 하측고정판으로부터 상승되어 있고 양측고정판의 단부가 파지기구를 보이기 위하여 절취된 것을 보인 제 1 도의 화살표(2) 방향에서 본 제 1 도 고정판 조립체의 측면도.
제 3 도는 제 4 도의 3-3선 화살표로 보인 평면으로 절단한 제 1 도 및 제 2 도의 고정판 조립체중에서 상측판의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화살표(4) 방향에서 본 상측고정판의 평면도.
제 5 도는 제 6 도의 5-5선 하설표로 보인 평면으로 절단한 제 1 도 및 제 2 도의 하측고정판의 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화살표(6)의 방향에서 본 하측고정판의 평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화살표(7)의 방향에서 본 하측고정판의 정면도.
제 8 도는 제 6 도의 화살표 8-8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 9 도는 제10도의 화살표 9-9선으로 보인 평면으로 절단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 조립체의 제 2 실시형태의 상측판 단면도.
제10도는 제 9 도의 화살표(10) 방향에서 본 상측고정판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화살표(11)의 방향에서 본 상측고정판의 캐비넷 내측단부의 정면도.
제12도는 제13도의 화살표 12-12선으로 절단한 본 발명 고정판 조립체의 제 2 실시형태에서 하측판을 보인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화살표(13)의 방향에서 본 하측판의 평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화살표 14-14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15도는 제16도의 화살표 15-15선으로 절단하여 보인 것으로, 별도 구성된 만곡탄편의 위치를 일점쇄선으로 보인 본 발명 고정판 조립체의 제 3 실시형태에서 상측판의 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화살표(16) 방향으로 본 상측고정판의 평면도.
제17도는 일체로 구성토록 연결부로 연결된 구조로 제15도와 제16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보인 만곡탄편의 평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화살표(18) 방향에서 본 만곡탄편의 정면도.
제19도는 제20도의 화살표 19-19선 방향으로 절단한 제 3 실시형태의 하측판 단면도.
제20도는 제19도에서 화살표(20) 방향에서 본 하측고정판의 평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형태의 고정판 조립체에서 상측판을 통한 제23도의 화살표 21-21선 방향 단면도.
제22도는 제21도의 화살표(22) 방향에서 본 상측고정판의 정면도.
제23도는 제21도의 화살표(23) 방향에서 본 상측고정판의 평면도.
제24도는제25도의 화살표 24-24 방향으로 절단한 제 4 실시형태의 하측판의 단면도.
제25도는 제24도의 화살표(25)의 방향에서 본 하측고정판의 평면도.
제26도는 제25도의 화살표(27)의 방향에서 본 단면도.
제27도는 제25도의 화살표(27)의 방향에서 본 하측고정판의 정면도.
제28도는 제29도의 화살표 28-28선 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형태의 고정판 조립체에서 상측고정판의 단면도.
제29도는 제28도의 화살표(29)의 방향에서 본 상측고정판의 평면도.
제30도는 제31도의 화살표 30-30방향에서 본 제 5 실시형태의 하측고정판을 통한 단면도.
제31도는 제30도의 화살표(31)의 방향에서 본 하측고정판의 평면도.
제32도는 제33도의 화살표 32-32선 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형태의 고정판 조립체에서 상측판을 통한 단면도.
제33도는 제32도의 화살표(33)의 방향에서 본 상측고정판의 평면도.
제34도는 제 6 실시형태의 하측고정판을 통한 제35도의 화살표 34-34선 단면도.
제35도는 제34도의 화살표(35)의 방향에서 본 저면 고정판의 평면도.
제36도는 제34도의 화살표(36) 방향에서 본 정면도.
제3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7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종축선을 따라 일부는 단면으로 보이고 일부는 가상선으로 보였으며, 상측고정판에 고정된 힌지암이 상측판을 저면판에 부착시키고 분리시킬수 있는 제 1 가능성을 보인 부분측단면도.
제38도는 상측판을 하측판에 부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는제 2 의 가능성을 보인 제37도에 해당하는 고정판 조립체의 부분 측단면도.
제39도는 제 3 의 부착 및 분리가능성을 보인 제37도와 제38도에 해당하는 부분 측단면도.
제40도는 제41도의 화살표 40-40방향에서 본 제37도-제39도의 고정판 조립체에서 상측판의 단면도.
제41도는 제40도의 화살표(41)의 방향에서 본 상측고정판의 평면도.
제42도는 제43도의 화살표 42-42방향에서 본 제37도-제39도에서 보인 고정판 조립체의 하측판 단면도.
제43도는 42도의 화살표(43) 방향에서 본 하측고정판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고정판 조립체40 : 저면고정판
42 : 상측고정판64 : 만곡탄편
74 : 파지부76 : 후크
78 : 후크 돌출부80 : 개방부
본 발명은 두 분리형 고정판, 즉 저면고정판과 상측고정판으로 구성되고, 벽에 근접하는 저면고정판의 캐비넷 벽에 고정될 수 있으며, 벽으로부터 원격하고 골격연관 힌지부를 조절가능하게 고정하는 상측고정판이 저면고정판에 탄성파지기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 캐비넷 힌지의 벽연관부의 조절가능한 고정을 위한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저면고정판은 도어에 인접한 그 선단부에서 캐비넷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가지며, 이에 상측고정판의 하측에 형성된 요구가 결합되고, 후크와 요구의 대향된 결합면은 보상적인 형태로 적어도 일부가 원호형을 이루며, 탄성파지기구에는 고정판을 함께 고정하고 있는 파지부를 해제하기 위한 핸들이 구비되어 있다.
캐비넷의 벽에 이러한 고정판과 함께 고정되는 힌지에 있어서는 파지기구를 작동시키고 힌지의 암을 이에 결합된 상측고정판과 함께 일으켜 세우므로서 어려운 조작없이 캐비넷 벽으로부터 각 힌지를 분리하거나 이들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특히 도어가 한손 조작으로 분리 및 재고정될 수 있으므로 도어가 둘 이사의 힌지를 갖는 캐비넷의 골격에 매달려 설치되고 높이가 높은 캐비넷의 경우에 유리하다.
종래 힌지의 파지기구는 저면고정판에서 안내되고 스프링으로 파지위치로 탄지되는 슬라이드로 구성되며, 이 슬라이드는 상측고정판의 대향된 경사파지면에 탄력적으로 결합고정되는 경사파지면이 형성된 파지돌출부를 갖는다.
이 슬라이드는 캐비넷 내부를 향하여 슬라이드의 후향연장부에 배설된 핸들에 의하여 작동된다.
이러한 파지기구는 완벽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나 비교적 구조가 복잡하여 고가인 결점을 갖는다.
고정판의 내측단에 착설된 핸들은 캐비넷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이 핸들에 해제운동을 가하므로서 작동된다.
따라서 캐비넷이 가득 채워져 있을때에 예를들어 도어를 완전히 닫기전에 핸들이 돌출된 옷걸이나 다른 돌출물체와 접촉하게되는 상태에서 도어가 폐쇄되는 경우 이 핸들이 해제방향으로 무단히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최악의 경우 문제의 힌지가 해제되어 도어가 단 두개만의 힌지로 캐비넷에 매달려 있는 경우 도어가 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힌지의 파지기구보다 간단히 상측 및 저면고정판 사이에서 작용하고 어떠한 경우에도 우발적인 분리가 일어날 수 없는 파지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언급된 형태의 고정판으로부터 출발하여, 이러한 목적은 상측고정판이 캐비넷 측으로 향하는 단부에서 저면고정판에 부분적으로 걸리고, 이 걸림영역에 캐비넷 벽의 면과 평행하게 굽혀질 수 있고 저면고정판의 요구에 결합하여 파지되는 파지부를 갖는 두 만곡탄편이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라서 성취될 수 있다.
그러나, 파지부와 요구는 캐비넷 벽면에 평행하게 상대측에 대하여 만곡탄편을 굽히어 결합될 수 있다.
각 만곡탄편은 이들을 캐비넷 벽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오무리도록 두 고정판의 결합된 상태에서 접근가능한 핸들을 갖는다.
파지기구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것은 이러한 만곡탄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저면판의 삽입 안내구에 배치될 정밀형의 작동슬라이드는 필요치 않다.
두개의 만곡탄편이 제공되고 양측 파지부가 저면고정판으로부터 상측고정판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전에, 저면고정판의 해당 요구로부터 빠져나와 있어야 하고, 분리가 요구될 때에 만곡탄편이 상대측에 대하여 압착되므로 고정상태가 무단히 해제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어의 폐쇄상태에서 일측 핸들이 어떤 물체와 충돌하여 도어가 계속하여 폐쇄되는 과정에서 탄편에 해제압력을 가하는 경우에도 단 일측이 폐쇄부는 해제위치로 이동되는 한편, 제 2 파지구는 상대측으로부터의 분리작용에 대하여 두 고정판을 신뢰가능하도록 계속 고정하게 될 것이다.
만콕탄편과 상측고정판의 핸들의 구성에 따라서, 핸들은 하측으로부터 상측고정판을 풀기위하여 사용될 뿐만아니라, 이와 같이 풀어져 해제된 후에 이들은 상측으로 들어올려짐이 없이 상측고정판에 고정된 힌지암과 함께 상측고정판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우선 실시형태에서, 상측고정판은 기다란 웨브와 하측고정판의 양측에 적어도 일부가 걸쳐 있는 플랜지를 갖는 역 "U"자형의 단면형태로 되어 있고, 두 만곡탄편은 캐비넷 내부의 외측으로 향하는 이들의 선단부에서 상측고정판에 고정되며, 이들의 반발영역이 캐비넷 내부를 향하게 되어 있어 이들이 핸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측고정판의 경계밖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하고 만곡탄편의 내향내측면과 이들에 대향하는 고정판의 표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상대측에 대하여 만곡탄편을 수평으로 굽히어 충분히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해제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잡아서 누르게된 핸들은 만곡탄편의 일부에 의하여 구성되므로 파지기구를 보다 간단히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만곡탄편은 별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측고정판에 결합된 스프링금속의 기다란 띠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 만곡탄편은 상측고정판으로부터 절취하여 일체로 구성한 띠형태로 구성하거나 상측판과 함께 만곡탄편을 별도 구성하는 조립체를 상측고정판을 제조하는 재료로부터 절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측고정판으로부터 절취하여 일체로 구성한 만곡탄편에 요구된 바와 같은 탄력적인 굽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들 만곡탄편은 상측고정판측에 연결되는 부분의 두께를 얇게한다.
이와 같이 두께가 얇아진 부분은 탄력적인 굽힙성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진 반면에 두께가 두꺼운 부분, 즉 비교적 견고한 부분에서는 굽힘성에 대한 저항력이 커진다.
본 발명의 우선 실시형태에 있어서, 만곡탄편은 캐비넷 내측단부로부터 고정판의 플랜지에서 절취하여 구성된다.
저면고정판에 형성된 파지요구는 만곡탄편에 형성된 파지부의 삽입을 위하여 상측고정판을 향하는 측에 개방부를 가지며, 삽입개방부와 또는 파지부에는 파지부가 삽입될때에 파지부를 탄력적으로 해제방항으로 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과, 삽입방향으로는 두 고정판이 적절한 부착위치에 이르렀을때에 파지부가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턱이 형성되어 있다.
만곡탄편이 상측고정판에 결합되는 영역의 후측에 또는 이들 만곡탄편이 상측고정판의 측부플랜지에 연결되는 영역에서, 만곡탄편은 다수의 만곡된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바, 그 첫부분은 고정판의 캐비넷 내측단부를 향하여 외향만곡되고, 핸들을 구성하는 인접부분이 고정판의 종축선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로 내향만곡되며, 그 다음부분은 종축선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만곡되고, 실제로 파지부를 구성하는 단부부분은 다시 종축선에 거의 평행한 위치로 만곡되어 있다.
저면고정판의 요구에 만곡탄편의 파지부가 가능한한 해제방항으로, 즉 캐비넷 벽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단단히 고정결합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만곡탄편이 상부 고정판의 벽에 형성된 창문형 개방부를 통하여 파지부의 부근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구조가 구성되어 있으며, 그 높이는 캐비넷 벽에 대하여 직각으로 측정하였을때에 개방부를 통하여 지나는 영역에서 만곡탄편과 거의 같거나 약간 크게되어 있는 반면에 만곡탄편의 작동방향에서 측정된 그 폭은 해제에 필요한 만곡탄편의 운동폭과 동일하다.
창문형 개방부에서 만곡탄편의 안내는 캐비넷 벽에 대하여 직각으로 상측고정판에 대한 만곡탄편의 어떤한 변위도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한편, 해제에 필요한 바와 같이 벽에 대해 평행한 만곡탄편의 굽힘운동은 창문형 개방부의 폭내에서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동시에 개방부는 만곡탄편의 측방향 접속부로서 작용하여 해제를 위해 필요하거나 사전에 결정된 정도이상으로 만곡탄력이 만곡되지 않도록 한다. 만약 정밀하지 않게 생산되어 만곡탄편의 하나가 다른 것보다 스프링 탄력이 작게된다면, 창문형 개방부의 접속작용으로 양측 만곡탄편, 즉 스프링 탄력이 큰 만곡탄편과 함께 양측 만곡탄편이 충분히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바, 그 이유는 탄력이 작은 제 1 만곡탄편이 접속부를 구성하는 창문형 개방부의 변부측에 접촉한 후에 이 만곡탄편이 더이상 만곡될 수 없고 연속된 해제력이 보다 강한 탄력을 갖는 제 2 만곡탄편의 굽힘운동을 위해 전적으로 이용될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만곡탄편이 별도로 구성되고 상측고정판에 결합되는 스프링 금속의 기다 린 띠 형태로 되어 있다면, 이 만곡탄편은 상측고정판의 플랜지내에 배설되고 그 캐비넷 내측단부측으로 향하며, 이와 같은 경우 이들의 파지부는 상측고정판내에 놓이는 영역에서 저면고정판에 형성된 턱에 걸릴 수 있는 외향만곡돌출부로 구성되고, 캐비넷 내측단부측으로 향하는 만곡탄편의 단부는 직각으로 상대측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되었다가 다시 직각이 되게 전방으로 만곡되어 핸들을 구성하며, 창문형 개방부가 반대방향으로 만곡된 부분에 형성되고, 이에 캐비넷의 내부를 향하여 상측고정판의 플랜지로부터 도달한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창문형 개방부는 그 높이가 관련된 플랜지돌출부의 높이와 거의 같거나 약간 높은 반면에, 이들의 폭은 파지부의 해제에 필요한 만곡탄편의 운동범위에 일치한다.
두개의 만곡탄편은 이들의 외측단부에서 이들을 결합하는 횡방향부재로부터 직각으로 벌어지게 만곡될 수 있으며, 이 횡방향부재는 상측고정판 웨브의 내측에, 좋기로는 웨브에 리벳트로 체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측고정판의 플랜지에 별도의 만곡탄편을 고정하는 것과 비교하였을때에 이는 조립체의 복잡성을 줄여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의 실시형태들은 비록 파지부의 해제시에 종축선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즉 만곡탄편의 횡방향으로 만곡탄편이 변위를 이르키기는 하나 저면고정판에 상측고정판의 스냅방식고정이 고정판의 종축선에 대해 평행한 파지부의 변위에 의하여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파지부요구가 캐비넷 벽에 평행하고 이 캐비넷의 내부를 향하는 저면고정판의 후단벽에서 고정판 조립체의 종축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형성된 요구에 의하여 형성된 사실과, 이들 만곡탄편의 캐비넷 내측으로 저면고정판의 후단벽을 지나 연장되고 저면고정판의 단부벽측으로 다시 만곡되어 파지부를 형성하는 이들의 자유단부측이 고정위치에 있을때 저면고정판의 요구에 결합된 사실에 의하여 수행한다.
만약 저면고정판이 그 캐비넷 내측단부에서 상측고정판을 향하는 그 상측부에 상측고정판이 저면고정판에 스냅식으로 결합시에 피지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고정판의 종축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향하여 연장된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이 유리하며, 파지부는 캐비넷 내측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이동되어 이들의 자유단부가 이들이 요구에 스냅식으로 삽입시까지 저면고정판의 단부벽위를 지나게 된다.
동시에 만곡탄편이 캐비넷 내측단부의 영역에서 저면고정판을 향해 후측으로 만곡되고, 이에 결합하여 이들이 저면고정판의 측부에 지지되고 저면고정판의 후향단부벽의 배면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가지며, 캐비넷 내측단부로부터 단부벽을 지나 연장되는 부분이 만곡되고, 다시 이로부터 파지부를 형성하는 단부부분이 단부벽을 향하여 후측으로 만곡된 구조의 구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판에 있어서, 만곡탄편을 압축시에 단부벽의 배면측으로 연장된 만곡탄편의 부분이 저면고정판의 측벽에 대하여 지지되므로 캐비넷 내부의 방향으로 단부벽을 지나 만곡된 부분의 변위가 일어나고 동시에 회전되게하여 파지부는 횡방향으로 배설된 요구로부터 벗어나 해제된다.
또한 만곡탄편이 이들이 상측고정판에 고정된 영역으로부터 캐비넷 내부를 향해 후측으로 각을 이루어 확개되고 저면고정판의 후향단부벽을 지나 캐비넷 내부측으로 연장된 부분을 가지며, 이어서 단부벽의 배면의 한 지점으로 만곡된 부분을 가지고 이 만곡부분을 지나 상호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한 파지부를 형성하는 단부분을 가지며, 저면고정판의 캐비넷 내측단부의 중심부 가까이에서 캐비넷 내부를 향하는 개방부가 그 상측부로부터 요구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있고, 종축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측정한 그 폭이 파지부 사이의 측방향 거리보다는 작으나 파지부의 두께에 거의 두배가 되는 구조의 구성도 가능하다. 파지부를 구성하는 만곡탄편의 단부부분에는 상측고정판이 저면고정판에 스냅방식으로 결합될때에 접촉하는 영역에 저면고정판상의 경사면에 대하여 보상적인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고정판이 저면고정판상에 배치될때에 파지부가 캐비넷 벽에 대하여 직각으로 만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지부의 영역에서 만곡탄편이 저면고정판의 단부벽에 중첩하는 상측고정판의 벽에 형성된 창문형 개방부를 통하여 지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벽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측정하였을때에 개방부의 높이는 개방부를 지나는 영역에서 만곡탄펀의 높이와 거의 같거나 약간 큰 반면에, 만곡탄편이 고정판을 분리토록 이동되는 방향에서 측정된 그 폭은 충분히 커서 만곡탄편이 해제에 필요한 것과 같이 벽에 대하여 평행한 운동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방부를 통해 지날 수 있게 되어 있다.
만약 상기 언급된 고정판이 전개되어 도어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저면판으로부터 상측고정판의 캐비넷 내측단부가 탄력결합 상태에서 분리되고 또한, 예를들어 캐비넷 벽에 평행한 저면부로부터 상측고정부의 분리와 같이 다른 분리운동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캐비넷의 골격에 매달려 있을 경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두개의 돌출후크가 저면고정판의 전면 도어단부에 부가적인 파지요구를 형성하는 한편, 상측고정판의 관련된 후크가 부가적인 만곡탄편에 의하여 형성되어 캐비넷 벽에 평행하게 탄력적으로 굽힘운동할 수 있고, 관련된 파지요구에 결합되는 파지부를 가지나 이 파지부와 요구가 벽에 평행하게 상대측에 대해 부가적인 만곡탄편을 만곡시켜 결합되게 하며, 각 만곡탄편은 두 고정판이 함께 스냅방식으로 결합될때에 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압축할 수 있도록 접근가능한 부가적인 핸들을 갖는다.
고정판을 이와 같이 구성하므로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두 고정판의 캐비넷 내측단부를 탄력결합상태에서 분리하여 상측으로 회전시키거나 상측고정판이 다른 요구된 운동에 의하여 저면고정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때에 양단부에서 저면고정판으로부터 상측고정판을 탄력결합상태에서 동시에 분리하여 분해될 수 있다.
특히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이 판이하게 운동하는 상이한 연결기구의 힌지와 결합하여 사용될때에 중요하다.
그리고, 후크와 후크요구의 결합면 구조에 관한 특정한 힌지에 적용되는 고정판은 이 문제의 힌지가 후크와 후크요구의 해제를 위한 필요한 회전운동과는 상이한 운동을 수행하므로 상이한 운동형태의 힌지와 함께 상용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경우에 있어서, 상측고정판이 도어단부에서 파지기구의 부가적인 탄력결합 상태로부터의 분리이후에 그 분리를 위한 어떤 요구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판의 캐비넷 내측단부에 형성된 만곡탄편에 형성된 파지부와 파지요구는 힌지회전축에 평행하고 캐비넷 벽에 수직인 고정판을 통하여 거의 중앙으로 연장된 평면의 양측에 대칭으로 전면 도어단부에 형성된 만곡탄편에 형성된 부가적인 파지부와 부가적인 파지요구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캐비넷 내측단부의 파지부와 요구가 원호영의 결합면을 가지므로써 전면도어단부에서 저면고정판으로부터 상측고정판을 분리하는 것과 고정판의 캐비넷 내측단부의 영역에 위치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측고정판이 그 길이의 횡방향으로 보았을때에 역 "U"자형 단명을 가지며 그 "U"자형 측벽이 저면고정판의 측면과 중첩되는 경우, 상측고정판의 측벽에는 분할된 벽면을 항하는 문제의 측벽의 각 변부에 절결구를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 절결구는 저면고정판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와 결합되는 것이좋다.
따라서, 상측 및 저면고정판은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측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우발적인 변위가 일어나지 않고 부가적으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고정될 것이다.
또한 절결구는 측벽의 양단부측 변부를 향해 연장되고 돌출부는 보상적으로 연장된 형태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측고정판이 저면고정판에 조립될때에 결합될 두 고정판은 자동적으로 정렬될 것이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 조립체가 상하측으로 조절이 가능하다면, 즉 이들과 함께 고정될 힌지의 회전축선에 평행하게 조절이 가능하다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저면고정판은 상측고정판에 스냅방식으로 고정되는 홀더와, 캐비넷 벽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고정판으로 분할될 수 있고, 홀더는 힌지회전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가능하며 부착고정판에서 선택가능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부착고정판에는 홀더의 대향된 종방향 변부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날개형 돌출부가 구비될수 있으며 고정스크류의 축이 삽입되는 스크류 축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고정판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윙 플레이트(wing plate)"의 형태이다.
그리고 날개형 돌출부에 형성된 스크류축공 사이의 거리는 홀더의 삽입을 위하여 캐비넷 벽에 형성된 통공열의 간격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현재 가구분야에서 이들 통공열의 간격은 예를들어 32mm이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와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돤 고정판 조립체(30)의 제 1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이에 기다란 암의 형태인 관절연결형 힌지의 벽연관부가 고정되는 바, 이는 공지된 것이므로 도시하지 않았다. 고정판조립체(30)에 고정될 힌지암의 구성에 관하여서는 DE-OS 35 25 279의 제 1 도와 제 2 도에 도시되고 동 명세서에 기술돈 힌지의 구성을 참조하는 것으로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고정판 조립체(30)는 그 후향단부영역, 즉 캐비넷 내측으로 향하는 영역에 기다란 플래트폼(32)을 가지고, 탭(36)에는 톱니부(34)를 갖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암을 고정하는 스크류(38)가 탭에 나선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면단부, 즉 캐비넷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단부에서, 플래트폼(32)은 도어의 중첩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나선형 스핀들(도시하지 않았음)의 목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단부개방형 슬로트(39)를 갖는다. 실제의 고정판 조립체(30)는 두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캐비넷 벽에 직접 고정되는 하측판(40)(제 2 도와 제 5 도-제 7 도)과 이 하측판(40)에 스냅방식으로 탄력결합되는 상측판(42)(제 2 도, 제 3 도 및 제 4 도)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고정판 조립체(30)는 한지암의 조절가능한 고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중앙 플래트폼으로부터 날개형 돌출편(44)이 양측으로 돌출된 소위 윙 플레이트의 형태이며, 이들 돌출편은 벽에 고정판 조립체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상측 플래트폼(32)을 구성하는 상측고정판(42)은 하측고정판(40)상에 놓인 다음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방법으로 함께 탄력결합된다.
고정판 조립체(30)를 캐비넷 벽에 고정하기 위하여 스크류(도시하지 않았음)가 캐비넷 벽 연관부의 통공으로 돌출편(44)에 형성된 확개공(46)(제 1 도)을 통하여 삽입된다.
돌출편(44)으로 구성된 윙 플레이트와 하측고정판(40)은 스크류(48)로 함께 고정되며(제 1 도와 제 2 도), 스크류의 축은 윙 플레이트의 탭(도시하지 않았음)측으로 고정판 조립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 슬로트(50)(제 5 도와 제 6 도)를 통하여 삽입된다.
따라서 고정스크류(48)를 풀면 슬로트(50)의 길이범위내에서 윙 플레이트에 대하여 저면고정판(44)을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고정판(30)에 착설된 힌지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 3 도와 제 4 도에서 각각 분리하여 보인 상측고정판(42)은 역 "U"자형의 단면을 갖는다. 즉 이 상측고 정판은 상측의 기다란 웨브(52)이다.
저면고정판(40)의 양측에 부분적으로 걸처있는 플랜지(54), 단부개방형 슬로트(39)와, 고정스크류(48)를 풀거나 조일수 있도록 하는 통공(56)으로 구성된다.
후향단부에서, 즉 캐비넷의 내부를 향하는 단부에서, 웨브(520는 하향만곡되어 단부벽(58)을 형성하고 이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창문형 개방부(60)(또는 측방향으로 간격을 둔 두개의 창문형 개방부(60))가 형성되어 있다.
웨브(52)에 대하여 평행하게 캐비넷 내측단부로부터 플랜지(54)측으로 절결형성된 분할형 슬로트(62)는 플랜지의 후측부분에서 기다란 띠형태의 만곡탄편(64)을 형성토록하며, 이 만곡탄편은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측 및 저면고정판(42)(40)의 후측단부를 분리가능하게 탄력결합시키는 파지기구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기다란 띠형태의 만곡탄편(64)는 플랜지(54)에 선단부분이 일체로 결합되고 플랜지에 근접한 부분인 탄성부분(66)에서 두께가 얇게되어 있다.
따라서 만곡탄편(64)의 강도는 이 부분에서 현저히 감소된다. 즉 만곡탄편은 이들에 측방향 압력을 가할때에 이 부분에서 탄력적으로 굽혀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캐비넷의 내부를 향하여 탄성부분(66)에서는 플랜지(54)로부터 외향만곡된 만곡부(68)가 연장되어 있고 이 만곡부에서 다시 종축선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로 만곡되어 핸들(70)을 구성하는 부분이 연장되며, 이 핸들로부터 종축선측으로 내향만곡부(72)가 연장되고 이 내향만곡부에서 최종적으로 만곡되어 만곡탄편(64)의 파지부(74)가 형성되고, 이 파지부(74)는 상측고정판(42)의 내측으로 단부벽(58)의 창문형 개방부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선단부에는 상측고정판의 각 플랜지에 후크(76)가 형성되어 있고 이 후크의 목부분이 직각이 되게 후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그 만곡요입부(76')가 거의 반원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저면고정판(40)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돌출부(78)는 후크(76)와 결합되며 적어도 반원형의 형태인 보상적 접속면(78')을 가지므로서 제 2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고정판의 후측단부를 일으켜 세울수 있고 걸림돌출부(78)에 상측고정판의 후크(76)가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만곡요입부(76')와 접속면(78')이 결합된 후에는 상측고정판(42)의 후측단부를 저면고정판(40)에서 하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동시에, 만곡탄편(64)으로부터 고정판(52)의 내측으로 내향만곡된 파지부(74)가 상향후측단부에서 개방되고 상대측으로 향하는 돌출부(82)에 의하여 상측부에서 좁아진 개방부(80)측으로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82)의 평면형 저면은 턱(84)을 형성하는 반면에 이들의 상측면에서 상대측을 향하여 하향경사진 경사면(86)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42)의 후측단부가 고정판(40)에서 하측으로 회전시에 파지부(74)의 내측단부는 경사면(86)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요구된 파지위치에 이를때에 이들의 상측변부가 평면형 돌출부(82)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지나 턱(84)에 탄력적으로 결합될때까지 만곡탄편(64)이 편향된다. 그리고 파지부(74)의 상측변부가 턱(84)에 걸려 고정되는 한편 파지부의 저면변부는 이들의 접속부로서 작용하는 창문형 개방부(60)의 저면변부에 대하여 안착된다.
그리고 파지부(74)가 이들이 턱(84)으로부터 자유롭게 될 수 있을 정도로 핸들(70)을 구성하는 만곡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내측으로 가압되지 않는 한 상측고정판(42)이 상측으로 회전되지 않을 것이다. 동시에, 양측파지부(74)가 이들 각각이 결합된 턱(84)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도록 하기위하여서는 두 만곡부분에서 반대방향으로 해제하는 힘을 가하여야 할 것이다.
실제로 고정판을 풀기 위하여서는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핸들(70)의 외측부에 반대방향의 힘을 가하여야 한다.
상측고정판이 저면고정판으로부터 풀려났을때에, 즉 파지부(74)는 턱(84)으로부터 벗어났을때에, 상측고정판(42)의 후측단부는 손가락으로 힘을 가한 상태에서 상측으로 당길 수 있고 상측고정판(42)이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만약 힌지의 암이 상측고정판(42)상에 고정되었을때에 물론 암은 상측고정판과 함께 호전되고 도어에 연관된 힌지부에 대하여 그 연결기구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고정판에서의 힌지암 조절시 어떠한 변화도 일어나지 않아 상측고정판이 하측고정판에 탄력적으로 결합될때에 고정판 조립체(30)에 대하여 벽에 연관된 힌지부분의 정확한 정렬이 다시 회복될 수 있다.
제 9 도-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 조립체의 제 2 실시형태의 상측고정판(142)을 보이고 제12도-제14도는 제 2 실시형태의 저면조정판(140)을 보인 것으로, 스냅방식의 탄력결합기구의 구조에 관한 것만이 제 1 도-제 8 도에 관련하여 상기 언급된 고정판 조립체(30)와 부분적으로 상이하다.
따라서, 다음의 설명은 탄력결합형의 파지기구에서 차이점만을 설명할 것이며, 그밖의 것은 고정판(30)의 상기 언급된 설명에 대하여 이를 인용하는 것으로 반복적인 설명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상측고정판(142)과 저면고정판(140)의 동일한 부분은 제 9 도-제11도와 제12도-제14도에 도시되었을때에 머리숫자 "1"을 제외하고는 상측고정판(42)과 저면고정판(40)의 동일부분과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이 실시형태에서 파지기구의 기본적인 차이는 파지부(174)를 구성하는 만곡탄편(164)의 부분이 핸들(170)을 구성하는 만곡부로부터 상측고정판(142)의 내부로 만곡되지 않고, 만곡부(172)가 후측단부벽(158)의 전방에서 직각으로 내향만곡되었으며 파지부(174)가 단부벽(158)의 창문형 개방부(160)를 통하여 상측고정판(142)의 내측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즉 선단부가 캐비넷의 내부를 향하도록 만곡된 점을 들 수 있다. 환언컨데, 만곡탄편(164)의 파지부(174)가 단부벽(158)을 지나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저면고정판(140)은 캐비넷 내측단부에서 고정판(40)보다 길고, 입구부분이 돌출부(182)에 의하여 좁게된 상부개방형 개방부(180)가 상측고정판(142)의 후측단부를 지나 캐비넷 내부로 연장된 저면고정판의 연장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밖에 파지부(174)와 턱(184)에 협동하는 경사면(186)의 기능은 경사면(86)과 턱(84)의 기능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 조립체의 제 3 실시형태가 제15도-제20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 제15도와 제16도는 상측고정판(242)을 보인 것이고, 제17도와 제18도는 별도로 구성된 만곡탄편부분을 보인 것이며, 제19도와 제20도는 저면고정판(240)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도 고정판 조립체(30)의 구성으로부터 파지기구의 구성에 관하여 차이점만을 설명할 것이며 고정판 조립체(30)에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제 1 도-제8도의 설명을 참조하여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역시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이 제 3 실시형태의 경우 머리숫자 "2"를 붙여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고정판 조립체(30)와 기본적으로 상이한 점은 파지부(274)가 구성되어 있는 만곡탄편(264)이 이 실시형태의 경우 상측고정판(242)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지 아니하고 제17도와 제18도에서 별도로 보인 바와 같이 별도의 만곡부(263)에 스프링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만곡탄편이 상측고정판(242)에 배설된 것이 제15도와 제16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만곡부(263)는 스프링금속의 평판으로부터 스탬핑하여 얻으며, 횡방향부재(265)에 의하여 선단부에서 결합된 두 만곡탄편이 횡방향부재로부터 직각으로 만곡되어 서로 평행하게 된다.
횡방향부재(265)에는 상측고정판(242)의 웨브(252)에 형성된 통공(269)에 해당하는 통공(267)이 형성되어 횡방향부재가 제15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리벳트(271)로 웨브(252)의 내측에 고정적으로 착설 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파지부(274)가 만곡부(268)의 저면변부에서 절취한 탭으로 구성되고 만곡부(268)에 대하여 외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만곡부(268)는 이들이 개방단부, 즉 단부벽에 의하여 폐쇄되지 않은 상측고정판(242)의 단부로부터 돌출될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만곡부(272)는 만곡부(268)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만곡되고, 핸들을 구성하는 만곡부(270)가 이들의 외측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만곡되어 있다. 고정판 조립체(30)의 단부벽(58)에 형성된 창문형 개방부(60) 대신에, 만곡부(272)에 창문형 개방부(2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에 플랜지(254)의 수직후측변부로부터 연장된 돌출부(273)가 삽입된다.
또한 창문형 개방부(260)와 돌출부(273)의 높이는 돌출부(273)가 개방부(260)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약간 유동될 수 있는 정도인 한편, 이들의 폭은 만곡탄편(264)이 파지부(274)가 턱(28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정도로 핸들로서 사용되는 만곡부(270)에 압력을 가하면 탄력적으로 내향만곡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제21도-제23도와 제24도-제27도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 조립체의 부가 실시형태의 상측고정판(342)과 저면고정판(340)이 도시되어 있는 바, 이들은 기본구성이 제 1 도-제 8 도에 관련하여 설명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여, 이 실시형태의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에 대한 변경구성만을 설명하는 한편, 그밖에는 제 1 실시형태의 설명이 참고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실시형태와 이후 상세히 설명될 실시형태에서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머리숫자 "3"을 붙여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이 실시형태의 차이점은 내측단부에 파지부가 형성된 만곡탄편(365)의 만곡부(372)가 상측고정판(42)의 만곡부(72)보다 길어 중첩되어 있는 점이다.
따라서 이들이 제2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리게되나 다른 한편으로는 양측 만곡탄편(364)이 상측고정판(342)의 동일한 높이의 내측부에 놓일 수 있도록 상측고정판(342)의 내측을 향하여 만곡부(372)로부터의 수직종방향 중앙평면을 벗어난 지점으로 만곡되는 파지부(374)가 관련된 만곡탄편(364)에 대하여 탄지되어 있다.
상측고정판(342)의 종방향 중앙평면을 벗어난 만곡탄편(364)의 특정 파지부(374)의 상기 언급된 위치의 결과로서 두 만곡탄편(364)이 저면고정판으로부터 상측고정판을 해제하기 위해 함께 압축시에 두 파지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저면고정판(340)에서 파지부가 제26도에서 가장 명확히 보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턱(384)과 경사면(386)은 저면고정판(340)의 중앙돌출부에서 상대측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게된 레일형 돌출부(382)에 형성된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의 다른 실시형태가 제28도-제31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실시형태는 파지기구의 구성에 관하여서만 제 2 도-제 8 도에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형태와 다르므로 이후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할 것이며 그밖의 부분에 대하여서는 제 2 도-제 8 도에 관련한 실시형태의 설명이 참고가 될 것이고, 상측고정판(442)과 저면고정판(440)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상측고정판(42)과 저면고정판(40)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머리숫자 "4"를 붙여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상측고정판(442)과 고정판(42) 사이의 주요차이점은 만곡탄편(464)이 저면고정판(440)의 측벽에 이르도록 고정판(442)의 후측단부에서 만곡되어 있다.
만곡부(468)를 함께 압축시에 파지부를 형성하는 만곡탄편의 단부(474)는 고정판의 종방향 중심축선의 횡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으나 만곡부(468)는 이들을 연결하는 만곡부(470)와, 다른 만곡부(472)(474)의 이동으로 캐비넷의 내부를 향하여 직선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만곡부(472)가 형성된 만곡부(470)의 단부는 외측으로 가볍게 회전하여 만곡부가 이들의 단부부분(474)에서 캐비넷을 향해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조합된 종방향이동과 회전운동으로 파지부(474)가 캐비넷 내측으로 이동하므로서 이들이 저면판(440)의 관련된 파지부(480)로부터 벗어나고, 상측고정판(442)이 제 2 도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저면고정판(440)의 파지부(480)에는 후측단부면에 횡방향요구가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480)상에는 고정판(440)의 후측단부에 횡방향 경사면(486)이 형성되어 상측고정판이 저면고정판에 탄력결합될때에 파지부(474)의 보상적인 경사면(487)(제28도)과 협동하여 파지부가 쐐기작용으로 요구(480)내에 탄력결합되는데 필요한 종방향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32도-제36도에서 보인 실시형태는 제 2 도-제 8 도의 실시형태에 보다 유사한것으로, 상측고정판(542)과 저면고정판(54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으며 역시 제 2 도-제 8 도의 설명이 참고될 수 있다.
동일부분에 대하여서는 머리숫자 "5"를 붙여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상측고정판(542)과 고정판(42)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만곡탄편(564)의 형태와, 파지부(574)의 경사면(587)의 구성에 있다.
상측고정판(42)의 만곡탄편(64)에 형성된 파지부(74)와는 다르게 파지부(574)는 상측고정판(542)이 저면고정판(540)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때에 종방향 중심축선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또한 제28도-제31도에 관련하여 이미 언급된 실시형태에 비교하여 종축선에 대하여 실제로 평행하게 이동하므로 경사면(587)이 제3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배치되고 이 경사면은 요구된 바대로 부착되었을때에 저면고정판(540)의 경사면(586)과 협동한다.
해제를 위하여 만곡부(570)에 횡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져 파지부(574)측으로 만곡부가 이동한다.
파지부(580)를 형성하는 횡방향 요구측으로 상측고정판(540)의 상측후단부에 연장된 슬로트(581)는 파지부(574)가 해제를 위해 이를 통하여 지날 수 있도록 한다.
끝으로 제37도-제39도에서는 캐비넷 벽에 힌지를 착설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힌지에 있어서는 힌지의 벽연관부만을 도면에 도시하였으며, 이 부분은 채널형 단면의 기다란 암(10)의 형태로 공지된 것이다.
힌지가 고정되는 캐비넷 내부로 향하는 그 선단부에서 암은 도시하지 않은 피봇트 핀이 체결되는 두개의 피봇트공(14)(16)를 가지며, 캐비넷 벽의 단부에서 타측단부가 힌지의 도어연관부에 피봇트되는 두 힌지연 결부를 위한 피봇트를 형성하고 도어에 형성된 결합공에 고정된 통상적인 컵의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보인 암(1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4개의 피봇트를 갖는 통상적인 힌지의 일부이나, 고정판자체는 상이한 연결구조를 갖는 힌지에도 사용될 수 있다.
조절스크류(22)가 암(10)의 웨브(20)에 형성된 탭(18)에 삽입되며 직경이 작고 플랜지(12) 사이에 위치하는 목부분(24)에 의하여 이에 연결되는 헤드(26)를 갖는다.
이 조절스크류는 한편으로는 전체를 부호(630)로 보인 고정판 조립체로부터 상승되는 것에 대하여 그 후 측단부에 단부개방형 슬로트(28)가 형성된 암을 고정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 조절스크류의 회전으로 고정판(630)으로부터 암의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고정판(630)은 그 후측단부, 즉 캐비넷 내부를 향하는 단부측에 기다란 고정부(632)를 가지며, 횡방향 톱니부(634)가 형성된 영역에 탭(636)이 형성되어 있다.
이 탭에는 힌지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스크류(638)의 축이 암(10)의 슬로트(28)를 통하여 삽입된다.
고정스크류(638)를 조였을때에, 그 헤드는 횡방향 톱니부(634)에 대하여 역시 톱니부가 형성된 웨브(20)의 캐비넷 내측단부를 가압하므로서 고정판(630)에서 암(10)이 종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암을 고정한다.
그러나 고정스크류(638)를 풀면 종방향 이동이 혀영된다. 선단부, 즉 캐비넷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단부에서 고정부(632)는 도어의 중첩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스크류(22)의 목부분(24)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판의 선단면에 개방된 슬로트(639)를 갖는다.
실제 고정판 조립체(630)는 두 부분으로 나우어져 있으며, 캐비넷 벽에 직접 고정되는 저면고정판(640)(제42도와 제43도), 이 저면고정판(640)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상측고정판(642)(제40도와 제41도)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고정판(630)은 소위 윙 플레이트의 형태이고 윙(644)(제43도)이 힌지암(10)의 조절 가능한 부착을 위하여 사용되는 고정부(632)로부터 반대측으로 돌출되고, 캐비넷 벽에 고정판 조립체를 고정하는데 공통으로 사용된다.
상측고정판(642)은 저면고정판(640)상에 배설되고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냅방식으로 탄력결합된다.
윙(644)은 저면고정판(64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요구내에 놓이고 저면고정판에 스크류로 체결되는 별도 구성으로 일체가 되게 고정된 판의 외측단부이다.
케비넷 벽에 고정판(630)을 고정하기 위하여 목재스크류(도시하지 않았음)가 윙(644)에 형성된 확개공(646)(제43도)을 통하여 캐비넷의 고정공에 삽입된다.
윙(644)을 구성하는 윙 플레이트 또는 고정판체와 저면고정판(640)이 차례로 스크류(648)(제42도)에 의하여 함께 고정되며, 이 스크류의 축은 고정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 슬로트(650)(제43도)를 통하여 탭(651)(제42도)에 삽입된다.
따라서 스크류(648)를 풀면 고정판체에 대한 저면고정판(640)이 운동이 슬로트(650)의 길이로 제한된 범위내에서 가능하게 된다. 즉 고정판(630)에 착설된 힌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0도와 제41도에서 별도로 보인 상측고정판(642)은"U"자형의 단면을 갖는다. 즉 이 상측고정판은 상부의 기다란 웨브(652)와 그 종방향변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저면고정판(640)의 양측에 부분적으로 걸처있는 플랜지(654)로 구성되고, 웨브(652)에 슬로트(639)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부(656)가 스크류(648)를 풀거나 조일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후측단부, 즉 캐비넷 내부를 향하는 단부측에서 웨브(652)가 하향만곡되어 단부벽(658)을 형성하고 이에 횡방향으로 창문형 개방부(660)가 형성되어 있다.
캐비켓 내측단부로부터 플랜지(654)에 형성되고 웨브(652)와 평행한 슬로트(662)에 의하여 플랜지의 후측영역에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띠형태의 만곡탄편(664)이 형성되고, 이에 상측 및 저면고정판의 후측하단부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파지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만곡탄편(664)은 이들의 선단부가 플랜지(654)에 일체로 구성되고, 이들 만곡탄편은 플랜지로 부터 연장되는 전이영역에서 두께가 얇은 부분을 갖는다.
따라서 만곡탄편(664)의 굽힘성은 이 전이영역에서 현저히 감소된다. 즉 만곡탄편은 압력이 이 영역에서 측방향으로 기하여질때에 탄력적으로 굽힘운동한다.
전이영역(666)엣 캐비넷 내부를 향하여 외향만곡된 만곡부(618)가 연장되고 이어서 종축선에 거의 평해하게 만곡되어 핸들을 구성하는 만곡부(607)가 연장되며, 이로부터 다른 만곡부가 종방향 중심축선을 향하여 만곡되고 최종적으로 만곡탄편(664)의 실제 파지부(674)를 구성하는 만곡부가 후측으로 다시 만곡되어 파지부(674)가 후즉단부벽(658)의 창문형 개방부(660)를 통하여 상측고정판(642)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파지부(674)의 단부는 이전에 설명된 고정판의 경우와는 다르게 직각으로 절취되지 아니하고 제37도-제39도와 제40도에서 보이고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저면고정판(640)의 보상적 원호형 파지부와 협동하는 원호형 결합부(676)를 갖는다.
상측정판(642)의 선단부에서,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만곡탄편(664')은 이미 언급된 바 있는 만곡탄편(664)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들 만곡탄편(644')은 고정판(642)의 중앙을 가로질러 연장된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것을 제외하고는 만곡탄편(664')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구성하는 부분에 대하여서는 프라임부호 " ' "만을 붙여 동일번호로 표시하였으며 이들 만곡탄편(664)에 대하여서는 이미 언급된 설명이 참고될 수 있을 것이다.
상측고정판(642)의 측부 플랜지에서 저면변부의 중앙에 절결부(67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상측으로, 즉 웨브(652)를 향하여 경사져 있다.
상측고정판(640)은 그 후측에, 즉 캐비넷 내측단부에 상측부와 후측 단부면을 향하여 개방된 요구(680)를 가지며, 이에 만곡탄편(664)의 파지부(674)가 삽입되어 고정판(642)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고 이에 저면고정판(640)이 결합된다.
이 요구(680)는 상대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위하여 상부측이 좁게되어 있다.
따라서, 저면에서 레일형 돌출부가 하부턱((684)을 형성하나 이미 언급된 고정판과는 다르게 이들이 평면을 이루지는 않으나 파지부(674)의 결합부(676)에 보상적인 원호형태를 이룬다.
레일형 동출부의 상부면은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686)을 이룬다. 고정판(642)의 후측단부가 고정판(640)에 가압될때에 파지부(674)의 내측단부는 경사면(686)을 타고 미끄러지며 양측 만곡탄편(664)의 탄력적인 변형으로 정확한 파지위치에 이르러 이들의 상측변부가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협소한 간극을 통과하여 하부턱(684)에 결합될때까지 경사면(686)을 미끄러져 내려간다.
그리고 파지부(674)의 결합면(676)은 원호형 하부턱(684)에 고정되는 한편, 그 저면변부는 접속부를 형성하는 창문형 개방부(660)의 저면수평변부에 지지된다.
상측고정판(642)은 파지부(674)가 이들이 하부턱(684)으로부터 자유롭게 될 수 있을 정도로 핸들을 구성하는 만곡부(670)에 힘을 기하여 내측으로 이동되지 않는한 상승될 수 없게 되어 있다.
두 파지부(674)는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하부턱(684)으로붙 자유롭게 되도록 두 만곡부(670)에 해제력을 반대방향의 힘을 가하여야 한다.
실제로 사용자는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을 사용하여 만곡부(670)의 외측에 힘을 가하면 파지부가 해제된다. 선단부에서, 즉 캐비넷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단부에서, 저면고정판에는 요구(680)에 일치하는 요구(680)가 형성되어 있다.
그밖에 요구(680')의 구조는 하부턱(684)에 대하여 파지부(674)를 파지하는 것에 관련하여 상기 언급된 바 있는 요구(680)와 동일하며, 또한 파지부(674')와 하부턱(684')에 대하여 이들이 파지되는 것에도 적용된다.
상측고정판(642)은 이에 고정된 하지암(10)과 함께 제38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파지부(674)(674')가 하부턱(684)(684')로부터 벗어날때까지 핸들로서 작용하는 만곡부(670)(670')을 함께 압축하여 저면고정판(40)으로부터 당기여 내므로서 저면고정판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결합부(676)(676')와 하부턱(684)(684')의 보상적인 원호형태를 고려하여, 일측단부에서만 상측 및 저면고정판(642)(640)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부를 상측으로 일으켜 세워 아직 결합되어 있는 파지부(674')(674)를 요구(680')(680)로부터 수평으로 당기어낼 수 있다.
제37도는 하부턱(684)으로부터 파지부(674)를 분리하여 상측고정판(642)으 후측단부를 상승시키므로서 후측단부에서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 것으로, 상측고정판(642)을 전방으로, 즉 제37도에서 좌측방향으로 당기어낼 수 있어 파지부(674')을 요구(680')로부터 인출해낼 수 있다.
따라서 고정판(642)(640)의 이러한 분리방법은 이미 언급된 고정판에 이용된 방법과 일치하는 한편, 결합면(676')을 갖는 파지부(674')의 기능은 후크돌출부에 대한 후크와 하부턱(684')와 일치하게 될 것이다.
제39도는 상측고정판(642)을 캐비넷 내부로 밀어넣은 후에 상측고정판의 선단부를 분리하여 일으켜 세우므로서 해제될 수 있음을 보인 겻이다.
이러한 해제가능성 도어가 캐비넷 내부를 향하여 상측고정판(642)의 이동을 방지하므로 상측고정판에 착설된 힌지에 도어가 실리지 않은 경우에만 선택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두 고정판이 서로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상측고정판에 고정된 힌지암의 조절은 이루지지 않은 것이므로 상측고정판이 하측고정판에 탄력결합되었을때에 고정판 조립체(630)에 대한 힌지암(10)의 사전에 배치된 정확한 정렬이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상호 정확한 종방향 정렬상태에서 상하측고정판이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저면고정판의 각 측면에 돌축부(688)가 형성되어 구 고정판이 함께 결합될때에 상측고정판의 플랜지(654)에 형성된 절결부(679)에 결합된다.
상기 언급된 실시형태의 수정이나 변경은 만곡탄편의 구성과 배열, 그리고 저면고정판의 해당 파지부에서 이들의 파지부의 결합에 관하여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파지기구는 고정판 조립체의 종방향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파지부와 저면고정판에 대칭이 되게 형성된 파지요구를 갖는 두개의 만곡탄편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캐비넷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에서 양만곡탄편에 반대방향의 압력을 동시에 가하여 탄력결합과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Claims (28)

  1. 캐비넷 힌지의 벽연관부의 조절가능한 고정을 위한 고정판 조립체로서, 벽에 근접한 저면고정판과 벽으로부터 원격하고 골격연관부를 조절가능하게 고정하는 상측고정판의 두 분리된 고정판으로 구성되고, 저면고정판은 벽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상측고정판은 탄성파지기구에 의하여 저면고정판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저면고정판은 도어를 향하는 그 선단부 영역에서 상측고정판의 저면에 형성된 후크삽입부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돌출부를 가지고, 후크돌출부와 후크삽입부의 결합면이 보상적인 형태로서 적어도 일부분이 원호형으로 되어 있으며, 탄성파지기구에 고정판 사이의 탄력결합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핸들이 구비된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측고정판(42,142,242,342,442,542,642)이 캐비넷 내부를 향하는단부분에서 부분적으로 저면고정판(40,140,240,340,540,640)과 결합하고 이 결합영역에서 벽면에 평행하게 굽혀질 수 있으며 저면고정판(40,140,240,340,440,540,640)의 파지요구(80,84,180,184,280,384,480,484,580,584,680,684)에 결합고정되는 파지부(74,174,274,374,474,574,674)를 갖는 두개의 만곡탄편(64,164,264,364,464,564,664)이 구비되어 있으며, 파지부와 파지요구 벽면에 평생하게 만곡탄편(64,164,264,364,464,564,664)를 함께 압축하여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고, 각 만곡탄편은 두 고정판(42,40,142,140,242,240,342,340,640,442,440,542,540,642,640)이 탄력결합상태에 있을 때에 벽면에 대하여 팽행하게 상대측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접근가능한 핸들(70,170,270,470,468,570,670)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 조립체.
  2. 청구범위 제 1 항에 잇어서, 상측고정판(42,142,242,342,442,542)는 상부의 기다란 웨브면(52,152,252,352,452,552)을 갖는 역 "U"자형 단면을 가지며 양측 종방향 변부를 따라서 저면고정판(40,140,240,340,440,540)의 측부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플랜지(54,154,254,354,454,554)를 가지고, 두 만곡탄편(64,164,264,364,464,564)은 골격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이들의 선단부에서 상측고정판(42,142,242,342,442,542)에 고정되고 핸들(70,170,270,370,468,570)을 구성토록 이들의 탄성영역이 골격의 내부측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으며, 이들 핸들이 상측고정판(42,142,242,342,442,542)의 변부를 벗어나 부분적으로 돌출되고, 만곡탄편(64,164,264,364,464,564)의 대향된 내측면과 이들을 향하는 고정판의 표면사이에 해제를 위하여 필요한 정도로 상대측에 대하여 만곡탄편(64,164,264,364,464,564)의 수평편향을 허용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3. 청구범위 제 2 항에 있어서, 만곡탄편이 상측고정판(242)에 결합된 스프링금속의 별도 구성된 띠형태의 부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4. 청구범위 제 2 항에 있어서, 만곡탄편(64,164,364,464,564)이 상측고정판(42,142,342,442,542)로부터 절취한 일체의 띠형태 부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5. 청구범위 제 4 항에 있어서, 만곡탄편(64,164,364)이 상측고정판(42,142,342)으로의 전이 영역에 근접한부분(66,166,366)에서 두께가 얇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6. 청구범위 제 2 항과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만곡탄편(64,164,364,464,564)이 상측공정판(42,142,342,442,542)의 측부 플랜지(54,154,354,454,554)에서 골격 내측단부로부터 절취한 절취부(62,162,362,462,56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7. 청구범위 제 2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면고정판(40,140,240,340)에 형성된 파지요구가 만곡탄편(64,164,264,364)에 형성된 피지부(74,174,274,374)의 삽입을 위하여 상측고정판(42,142,242,342)을 향하는 상측부측으로 개방된 개방부를 가지고, 삽입개방부와 또는 파지부(74,174,274,374)에 삽입되었을 때에 해제방향으로 파지부가 탄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86,186,286,386)과, 두 고정판(42,40,142,140,242,342,340)이 정확한 결합위치에 이르렀을때에 파지부(74,174,274,384)가 반발적으로 탄지되는 하부턱(84,184,284,384)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8. 청구범위 제 2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곡탄편(64,164,364)이 이들이 상측고정판(42,142,342)에 고정되는 영역의 시작부분 또는 상측고정판(42,142,342)의 측부 플랜지(54,154,354)측으로의 전이 영역에서 상호 각을 이루어 연장된 다수의 만곡부(66,68,70,72,74,166,168,170,172,174,366,368,370,372,374)로 나누어지며, 제 1 만곡부(68,168,364)는 고정판의 캐비넷 내측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향만곡되고, 인접한 만곡부(70,170,370)는 고정판의 종방향 중심축선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로 다시 만곡되며, 그 다음의 만곡부(72,172,372)는 종방향 중심축선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만곡되고, 실제 파지부(74,174,374)를 형성하는 다음의 단부측 만곡부는 종방향 종축선에 평행한 위치로 다시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9. 청구범위 제 8 항에 있어서, 파지부(74,374)를 형성하는 만곡부가 고정판 조립체(30)의 캐비넷 내측단부를 향하여 종방향 중심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만곡된 만곡부(72,372)로부터 후측으로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10. 청구범위 제 8 항에 있어서, 파지부(174)를 형성하는 만곡부가 만곡부(172)로부터 만곡되고, 이는 고정판의 캐비넷 내측단부를 향하여 종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11. 청구범위 제 2 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지부(74,174,374)의 부근에서 만곡탄편(64,164,364)이 저면고정판의 단부벽에 중첩하는 상측고정판(42,142,342)의 벽에 형성된 창문형 개방부(60,160,360)를 통하여 안내되고, 벽면에서 직각으로 측정한 그 높이는 개방부(60,160,360)을 지나는 부분에서 만곡탄편(63,164,364)의 높이와 같거나 약간 크며, 만곡탄편이 해제시 이 만곡탄편이 이동되는 방향에서 측정한 폭은 해제를 위하여 필요한 만곡탄편의 운동크기에 따르는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12. 청구범위 제 3 항에 있어서, 만곡탄편(264)이 상측고정판의 플랜지(254)내에 배치되고 그 캐비넷 내측 단부로부터 외향 연장되며, 파지부(274)는 외측으로 만곡되어 저면고정판의 하부턱(284)에 걸리도록 상측고정판(242)내에 놓이는 영역에 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되고, 캐비넷 내측단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만곡탄편(264)의 단부부분이 상대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반대방향으로 직각이 되게 만곡되었다가 핸들을 구성토록 전방으로 다시 직각이 되게 만곡되며, 상대측으로부터 외향되게 만곡된 만곡부(272)에서, 상측고정판(242)의 플랜지(254)로부터 캐비넷 내부측으로 연장된 돌출부(273)가 삽입되는 창문형 개방부(26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창문형 개방부(260)는 그 높이가 플랜지 돌출부(273)의 높이보다 같거나 약간더 높으며, 그 폭은 해제에 요구되는 만곡탄편의 운동크기에 따른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13. 청구범위 제12항에 있어서, 두 만곡탄편(264)이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횡방향부재(265)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측고정판(242)내에서 캐비넷의 외측에 놓이는 이들의 단부영역에서 직각으로 만곡되고, 횡방향부재(265)가 상측고정판(242)의 웨브(252) 내측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14. 청구범위 제13항에 있어서, 횡방향부재(265)가 웨브(252)의 내측에 리벳트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15. 청구범위 제 9 항에 있어서, 후향만곡된 파지부(374)를 형성하는 만곡부(372)가 상호 높이가 어긋나있고 길게되어 있어 이들이 길이방향에서 상호중첩되어 있으며, 파지부(374)는 이들이 상측고정판(342)의 동일높이 내측에 놓이게 되는 수직방향의 크기만큼 이들을 형성하는 만곡부(372)에 대하여 각각 반대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16. 청구범위 제 2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지요구(480,580)가 저면고정판(440,540)의 캐비넷 내부를 향하는 후향단부벽에서 캐비넷 벽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고정판의 종방향 중심축선을 가로질러 연장된 요구로 구성되고, 만곡탄편(464,564)이 저면고정판(440,550)의 후측벽을 지나 캐비넷 내부로 연장되고 저면고정판측으로 다시 만곡되어 탄력결합 상태에서 파지부(474,574)를 형성하는 이들의 단부가 저면고정판(440,540)의 요구(480,58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17. 청구범위 제16항에 있어서, 저면고정판(440,540)에 그 캐비넷 내측단부에서 슬로트형 요구(480,580) 상측인 상측고정판(442,542)을 향하는 상측부에 종방향 중심축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면(486,586)이 형성되고, 이에 상측고정판(442,542)이 저면고정판(440,540)에 탄력결합될 때에 파지부가 접하면서 이동하고 이들 파지부의 단부가 요구(480,580)에 탄력결합될때까지 저면고정판(440,540)의 후측단부벽을 지나도록 캐비넷 내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탄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18. 청구범위 제 2 항과, 제16항과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만곡탄편(464)이 저면고정판(440)에 대하여 캐비넷 내측단부의 영역으로 후향 만곡되고 이에 인접하여 이들이 저면고정판(440)의 측벽에 지지되며 저면고정판의 후측단부벽을 벗어난 지점까지 연장된 만곡부(470)를 가지며, 이로부터 다시 파지부를 형성하는 단부부분(474)이 단부벽에 형성된 요구(480)를 향하여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19. 청구범위 제 2 항과, 제16항 또는 17항에 있어서, 만곡탄편(564)이 캐비넷 내 측으로 각을 이루어 후향되게 상측고정판(542)에 고정된 영역으로부터 확개된 만곡부(570)와 캐비넷의 내측으로 저면고정판(540)의 후측단부벽을 지나 연장된 만곡부를 가지며, 이들 각각의 경우 후측을 만곡되고 단부벽을 지나 연장된 만곡부(572)가 형성되고, 이로부터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파지부(574)를 형성하는 단부측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고정판의 캐비넷 내측단부의 중심에 고정판의 상측으로부터 요구(580)측으로 연장되고 캐비넷 내부를 향하는 개방부(581)가 형성되어 있고, 종방향 중심축선을 가로질러 측정한 그 폭은 파지부(574)의 간격보다 작으나 이 파지부 두께의 두배보다 약간큼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20. 청구범위 제17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측고정판(442,542)이 저면고정판(440,540)에 탄력결합시 만곡탄편(464,564)의 파지부(474,574)를 형성하는 단부부분이 접촉하는 영역에 저면고정판(440,540)의 경사면(486,586)의 보상적인 형태로 되어 있는 경사면 (487,587)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21. 청구범위 제16항 내지 제2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곡탄편(464,564)이 파지부(474,574)의 부근에서 저면고정판(440,540)의 단부벽에 중첩하는 상측고정판(442,542)의 벽에 형성된 창문형 개방부(460,560)를 통하여 결합되고, 이 개방부(460,560)의 높이는 이 개방부를 지나는 영역에서 만곡탄편(464,564)의 높이와 같거나 약간 크며, 해제시 만곡탄편에 작용하는 방향에서 측정한 개방부(460,560)의 폭은 이 개방부를 지나는 만곡부(474,574)가 해제에 요구되는 바와 같이 캐비넷에 평행한 측방향 운동이 허용될 수 있는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22. 청구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저면고정판(640)의 도어측 단부인 선단부에 부가적인 파지요구하부턱684')을 형성하는 두개의 후크돌출부가 형성되고, 상측고정판(642)의 후크요구가 캐비넷 벽면에 평행하게 탄지된 부가적인 만곡탄편(664')로 구성되며 각각 파지요구(684')에 결합되는 파지부(674)를 가지며, 파지부(674')와 파지요구는 캐비넷 벽에 평행하게 상대측에 대하여 부가적인 만곡탄편(664')를 굽혀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고, 각 만곡탄편(664')은 두 고정판(640,642)의 조립상태에서 캐비넷 벽에 평행하게 상대측에 대해 압력을 가하도록 접근가능한 부가적인 핸들(670')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23. 청구범위 제22항에 있어서, 고정판 조립체(630)의 캐비넷 내측단부에 형성된 만곡탄편(664)의 파지부(674)와 파지요구(684)가 힌지 피봇트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고 고정판 조립체(630)의 중심을 통하여 캐비넷 벽에 수직으로 연장된 평면에 대해 만곡탄편(664')의 파지부(674')와 이 파지부가 결합되는 부가적인 파지요구(684')에 대칭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24. 청구범위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측고정판(642)은 그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에서 보았을때에 역 "U"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저면고정판(640)의 측면에 걸쳐 있고 그 측벽(654)이 "U"자형 단면의 하향연장부로 구성되며, 캐비넷 벽을 향하는 측벽의 변부측으로 개방된 절결부(679)가 형성되어 이에 저면고정판(64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688)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25. 청구범위 제24항에 있어서, 절결부(679)가 측벽(654)의 변부방향으로 연장되고, 돌출부(688)는 이에 보상적인 형태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26. 청구범위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저면고정판(640)이 상측고정판(642)을 탄력결합하는 고정부와, 캐비넷 벽에 고정되는 취부고정판으로 나누어져 있고, 고정부는 힌지피봇트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선택이동 위치에서 취부고정판에 고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27. 청구범위 제26항에 있어서, 취부고정판이 고정부의 대향된 종방향 변부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두개의 날개형 돌출부(644)를 가지고, 이들에 고정스크류의 축이 삽입되는 고정공(646)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28. 청구범위 제26항에 있어서, 날개형 돌출부(644)의 고정공(646)이 선반등에 적용토록 캐비넷의 벽에 형성된 고정공 열의 간격과 같은 간격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KR1019890701463A 1987-12-09 1988-11-17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 조립체 KR960016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741686.3 1987-12-09
DE3741686 1987-12-09
DEP3803830.7 1988-02-09
DE3803830A DE3803830A1 (de) 1987-12-09 1988-02-09 Montageplatte fuer moebelscharniere
DEP3818649.7 1988-06-01
DE3818649A DE3818649C2 (de) 1987-12-09 1988-06-01 Montageplatte für Möbelscharniere
PCT/EP1988/001044 WO1989005387A1 (en) 1987-12-09 1988-11-17 Assembly plate for furniture hin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694A KR900700694A (ko) 1990-08-16
KR960016475B1 true KR960016475B1 (ko) 1996-12-12

Family

ID=2719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463A KR960016475B1 (ko) 1987-12-09 1988-11-17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085491A (ko)
EP (1) EP0346447B1 (ko)
JP (1) JPH0660545B2 (ko)
KR (1) KR960016475B1 (ko)
AT (1) ATE87062T1 (ko)
AU (1) AU612457B2 (ko)
DE (3) DE3803830A1 (ko)
DK (1) DK390089A (ko)
ES (1) ES2012889A6 (ko)
FI (1) FI91308C (ko)
GR (1) GR1000369B (ko)
NO (1) NO167820C (ko)
PT (1) PT89174B (ko)
WO (1) WO1989005387A1 (ko)
YU (1) YU479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9532B1 (en) * 1988-11-16 1994-04-13 Franco Ferrari Quick coupling door hinge
ES1009089Y (es) * 1989-02-17 1989-12-16 Blanco Eguiluz M. Begona Dispositivo de enganche rapido para bisagras de muebles.
DE8907480U1 (de) * 1989-06-20 1989-08-03 Karl Lautenschlaeger Gmbh & Co Kg Moebelbeschlagfabrik, 6107 Reinheim Montageplatte für Möbelscharniere
JPH0366884A (ja) * 1989-08-02 1991-03-22 Karl Lautenschlaeger Gmbh & Co Kg Moebelbeschlagfa 家具ヒンジ用取付け板
AT398801B (de) * 1990-05-16 1995-02-27 Blum Gmbh Julius Scharnier
DE4028653A1 (de) * 1990-09-10 1992-03-12 Lautenschlaeger Kg Karl Montageplatte fuer moebelscharnier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2551740Y2 (ja) * 1991-10-09 1997-10-27 株式会社太田製作所 スライドヒンジ
US5338109A (en) * 1993-01-15 1994-08-16 Raymond Haines Hand gun safety storage cabinet
DE4315159A1 (de) * 1993-05-07 1994-11-10 Lautenschlaeger Mepla Werke Eckschrank-Scharnier
DE19707741C2 (de) * 1997-02-27 2003-07-03 Grass Gmbh Hoechst Möbelscharnier
ES2175965T3 (es) * 1998-04-01 2002-11-16 Lautenschlaeger Mepla Werke Placa de montaje para bisagras para muebles.
DE19920137C2 (de) * 1999-05-03 2002-11-28 Grass Gmbh Hoechst Montageplatte für Möbelscharniere
KR100512734B1 (ko) * 2003-05-10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빌트인 저장고
US7401830B2 (en) * 2005-12-20 2008-07-22 Honda Motor Co., Ltd. Automotive console assembly with tubular frame
KR101537600B1 (ko) * 2008-12-18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삽입식 힌지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9388616B2 (en) 2014-04-16 2016-07-12 Hardware Resources, Inc. Hinge cover and method of use
JP3226418U (ja) * 2017-05-05 2020-06-25 ヴィーケーアール・ホールディング・アー・エス 窓用のヒンジ、そのような一連のヒンジを含む窓、およびそのような窓を設置する方法
USD876044S1 (en) 2019-06-21 2020-02-18 Urban Safes, Llc Saf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661A (en) * 1905-02-06 1906-02-13 Lawrence J Luckhaupt Carriage-curtain fastener.
US833458A (en) * 1906-03-17 1906-10-16 Gustav Hausherr Catch for bracelets.
AT349935B (de) * 1974-02-26 1979-05-10 Blum Gmbh Scharnier mit einer grundplatte
EP0043903B2 (de) * 1980-07-15 1988-12-28 Arturo Salice S.p.A. Scharnierarm mit Befestigungsplatte
AT382674B (de) * 1985-08-19 1987-03-25 Blum Gmbh Julius Scharnier mit verstelleinrichtungen
DE3525279A1 (de) * 1985-07-16 1987-01-29 Lautenschlaeger Kg Karl Moebelscharnier
DE3544487A1 (de) * 1985-07-16 1987-06-19 Lautenschlaeger Kg Karl Moebelscharn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90089D0 (da) 1989-08-09
GR1000369B (el) 1992-06-30
JPH01154986A (ja) 1989-06-16
AU2935389A (en) 1989-07-05
US5085491A (en) 1992-02-04
KR900700694A (ko) 1990-08-16
WO1989005387A1 (en) 1989-06-15
FI893713A0 (fi) 1989-08-07
NO893197L (no) 1989-10-04
FI91308B (fi) 1994-02-28
DE3818649A1 (de) 1989-12-14
ES2012889A6 (es) 1990-04-16
YU223188A (en) 1990-06-30
DE3803830A1 (de) 1989-06-22
AU612457B2 (en) 1991-07-11
DK390089A (da) 1989-08-09
PT89174B (pt) 1994-01-31
EP0346447A1 (de) 1989-12-20
DE3879479D1 (de) 1993-04-22
DE3818649C2 (de) 1996-11-28
NO167820B (no) 1991-09-02
PT89174A (pt) 1989-09-14
NO893197D0 (no) 1989-08-08
NO167820C (no) 1991-12-11
EP0346447B1 (de) 1993-03-17
YU47939B (sh) 1996-07-24
FI91308C (fi) 1994-06-10
DE3803830C2 (ko) 1991-02-14
JPH0660545B2 (ja) 1994-08-10
ATE87062T1 (de) 199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475B1 (ko)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 조립체
US10193244B2 (en) Push-in clamp retainer, push-in clamp assembly and electric connector element
JP3197550B2 (ja) レザー機構
KR100562976B1 (ko) 힌지
US10603146B2 (en) Brushhead for a power toothbrush with a two position coupling assembly
JP3117705B2 (ja) かみそり機構
US5704573A (en) Aperture held clip type fastener
KR0142102B1 (ko) 푸쉬-인 패스너
CA1121683A (en) Umbilical cord clamp
RU2561173C2 (ru)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с переходны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для ее шарни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с ее рычагом
JP3803422B2 (ja) 引き出し滑り具用衝撃吸収切り離しラッチ
AU574040B2 (en) Articulable positioning device
JP2791434B2 (ja) ドアのヒンジ
US4665615A (en) Razor with disposable blade
JPH06169823A (ja) ラッチ装置
US6568719B2 (en) Door open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door
EP0435924A1 (en) TRIGGER TRIGGER.
US20100317925A1 (en) Suction-assisted tissue stabilizers
MXPA00010403A (es) Traccion de cremallera de corredera, para cierres de corredera.
CN108992189B (zh) 自锁正畸托槽
JP3821897B2 (ja) 電気機器の固着装置
CN107504751B (zh) 一种冰箱门体助吸结构及冰箱
EP0740944B1 (en) Pivot assisted retainer assembly and defibrillator comprising same
US6053070A (en) Latch assembly
EP2862723A1 (en) Low-profile ring binder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