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700694A -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 조립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700694A
KR900700694A KR1019890701463A KR890701463A KR900700694A KR 900700694 A KR900700694 A KR 900700694A KR 1019890701463 A KR1019890701463 A KR 1019890701463A KR 890701463 A KR890701463 A KR 890701463A KR 900700694 A KR900700694 A KR 900700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fixing plate
cabinet
piec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1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475B1 (ko
Inventor
라우탠슬외게르 칼
Original Assignee
라우탠슬외게르 칼
칼 라우탠슬외게르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우탠슬외게르 칼, 칼 라우탠슬외게르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라우탠슬외게르 칼
Publication of KR900700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4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05D7/123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05D7/12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3Sna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00Buckles, buttons, clasps
    • Y10S24/30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S24/43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S24/44Formations positioned along wall forming mating-member-guiding cavity
    • Y10S24/45Formations member having movably attached or biased interlocki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00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with third detached member completing interlock [e.g., hook type]
    • Y10T24/45089Sliding or rotating element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ng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 조립체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고정판 조립체의 제1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상측 고정판의 일측단부가 하측 고정판으로부터 상승되어 있고 양측 고정판의 단부가 파지기구를 보이기 위하여 절취된 것을 보인 제1도의 화살표(2) 방향에서 본 제1도 고정판 조립체의 측면도.
제3도는 제4의 3-3선 화살표로 보인 평면으로 절단한 제1도 및 제2도의 고정판 조립체 중에서 상측 판의 단면도.

Claims (28)

  1. 캐비넷 힌지의 벽역관부의 조절가능한 고정을 위한 고정판조립체로서, 벽에 근접반 저면고정판과 벽으로 부터 원격하고 골격연관부를 조절가능하게 고정하는 상측고정판의 두 분리된 고정판으로 구성되고, 저면고정판은 벽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상측고정판은 탄성 파지기구에 의하여 저면고정판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저면고정판은 도어를 향하는 그 선단부 영역에서 상측고정판의 저면에 형성된 후크 삽입부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돌출부를 가지고, 후크돌출부와 후크삽입부의 결합면이 보상적인 형태로서 적어도 일부분이 원호형으로 되어 있으면, 탄성파지기구에 고정판사이의 탄력결합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핸들이 구비된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조립체에 있어서, 상측고정판 (42; 142; 242; 342; 442; 542; 642)이 캐비넷 내부를 향하는 단부부분에서 부분적으로 저면고정판(40; 140; 240; 340; 440; 540; 610)과 결합하고 이 결합영역에서 벽면에 평행하게 굽혀질 수 있으며 저면고정판 (40; 140; 240; 340; 440; 540; 640)의 파지요구(80, 84; 180, 184; 280,284; 384; 480, 484; 580, 584; 680, 684)에 결합고정되는 파지부(74; 174; 274; 374; 474; 574; 674)를 갖는 두개의 만곡탄편(64; 164; 246; 364; 464; 546; 664)이 구비되어 있으며, 파지부와 파지요구는 벽면에 평행하게 만곡탄편(64; 264; 364; 464; 564; 664)를 함께 압축하여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있고, 각 만곡탄편을 두 고정판(42, 40; 142, 140; 242, 240; 342, 340; 442, 440; 542, 540; 642, 640)이 탄력결합상태에 있을 때에 벽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상대측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접근가능한 핸들(70; 170; 270; 470; 468; 570; 670)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조립체.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측고정판 (42; 142; 242; 342; 442; 542)는 상부의 기다란 웨브면(52; 152; 252; 352; 452; 552)을 갖는 역 "U"자형 단면을 가지며 양측 종방향 변부를 따라서 저면고정판(40; 140; 240; 340; 440; 540)의 측부와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플랜지 (54; 154; 254; 354; 454; 554)를 가지고, 두 만곡탄편 (64; 164; 264; 364; 464; 564)은 골격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향하는 이들의 선단부에서 상측고정판(42; 142; 242; 342; 442; 542)에 고정되고 핸들(70; 170; 270; 370; 468; 570)을 구성토록 이들의 탄성영역이 골격의 내부측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으며, 이들 핸들이 상측고정판(42; 142; 242; 342; 442; 542)의 변부를 벗어나 부분적으로 돌출되고, 만곡탄편 (64; 164; 264; 364; 464; 564)의 대향된 내측면과 이들을 향하는 고정판의 표면사이에 해제를 위하여 필요한 정도로 상대측에 대하여 만곡탄편(64; 164; 254; 364; 464; 564)의 수평편향을 허용하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3.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만곡탄편이 상측고정판(242)에 결합된 스프링금속의 별도구성된 띠형태의 부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4.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만곡탄편(64; 164; 364; 464; 564)이 상측고정판(42; 142; 342; 442; 542)로부터 절취한 일체의 띠형태 부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5.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만곡탄편(64; 154; 364)이 상측고정판(42; 142; 342)으로의 전이영역에 근접한 부분(66; 106; 366)에서 두께가 얇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6. 청구범위 제2항과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만곡탄편(64; 164; 364; 464; 564)이 상측고정판(42; 142; 342; 442; 542)의 측부 플랜지(54; 154; 354; 454; 554)에서 골격내측단부로부터 절취한 절취부(62; 162; 362; 462; 56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7. 청구범위 제2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저면고정판(40; 140; 240; 340)에 형성된 파지요구가 만곡탄편 (64; 164; 264; 364)에 형성된 파지부 (74; 174; 274; 374)의 삽입을 위하여 상측고정판(42; 142; 22; 342)을 향하는 상측부측으로 개방된 개방부를 가지고, 삽입개방부와 또는 파지부(74; 174; 274; 374)에 삽입되었을 때에 해제방향으로 파지부가 탄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86; 186; 286; 386)과, 두 고정판 (42, 40; 142, 140; 242, 240; 342, 340)이 정확한 결합위치에 이르렀을때에 파지부(74; 174; 274; 384)가 반발적으로 탄지되는 하부턱(84; 184; 284; 384)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8. 청구범위 제2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만곡탄편(64; 164; 364)이 이들이 상측고정판(42; 142; 342)에 고정되는 영역의 시작부분 또는 상측고정판(42; 142; 342)의 측부플랜지(54; 154; 354)측으로의 전이영역에서 상호 각을 이루어 연장된 다수의 만곡부(66, 68, 70, 72, 74; 166, 168, 170, 172, 174; 366, 368, 370, 372, 374)로 나누어지며, 제1만곡부(68, 168; 364)는 고정판의 캐비넷 내측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향만곡되고, 인접한 만곡부(70; 170; 370)는 고정판의 종방향 중심축선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로 다시 만곡되며, 그 다음의 만곡부(72; 172; 372)는 종방향 중심축선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만곡되고, 실제 파지부(74; 174; 374)를 형성하는 다음의 단부측 만곡부는 종방향 종축선에 평행한 위치로 다시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9. 청구범위 제8항에 있어서, 파지부(74; 374)를 형성하는 만곡부가 고정판조립체(30)의 캐비넷 내측단부를 향하여 종방향 중심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만곡된 만곡부(72; 372)로부터 후측으로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10. 청구범위 제8항에 있어서, 파지부(174)를 형성하는 만곡부가 만곡부(172)로부터 만곡되고, 이는 고정판의 캐비넷 내측단부를 향하여 종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11. 청구범위 제2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파지부(74; 174; 374)의 부근에서 만곡탄편(64; 164; 364)이 저면고정판의 단부벽에 중첩하는 상측고정판(42; 142; 342)의 벽에 형성된 창문형 개방부(60; 160; 360)를 통하여 안내되고, 벽면에서 직각으로 측정한 그 높이는 개방부(60; 160; 360)을 지나는 부분에서 만곡탄편(63; 164; 364)의 높이와 같거나 약간 크며, 만곡탄편이 해제시 이 만곡탄편이 이동되는 방향에서 측정한 폭은 해제를 위하여 필요한 만곡탄편의 운동크기에 따르는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12.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만곡탄편(264)이 상측고정판의 플랜지(254) 내에 배치되고 그 캐비넷 내측단부로부터 외향 연장되며, 파지부(274)는 외측으로 만곡되어 저면고정판의 하부턱(284)에 걸리도록 상측고정판(242) 내에 놓이는 영역에 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되고, 캐비넷 내측단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만곡탄편(264)의 단부분이 상대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반대방향으로 직각이 되게 만곡되었다가 핸들을 구성토록 전방으로 다시 직각이되게 만곡되며, 상대측으로부터 외향되게 만곡된 만곡부(272)에서, 상측고정판(242)의 플랜지(254)로부터 캐비넷 내부측으로 연장된 돌출부(273)가 삽입되는 창문형 개방부(26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창문형 개방부(260)는 그 높이가 플랜지 돌출부(273)의 높이보다 같거나 약간 더 높으며, 그 폭은 해제에 요구되는 만곡탄편의 운동크기에 따른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13. 청구범위 제12항에 있어서, 두 만곡탄편(264)이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횡방향부재(265)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측고정판(242) 내에서 캐비넷의 외측에 놓이는 이들의 단부영역에서 직각으로 만곡되고, 횡방향부재(265)가 상측고정판 (242)의 웨브(252) 내측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14. 청구범위 제13항에 있어서, 횡방향부재(265)가 웨브(252)의 내측에 리벳트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15. 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후향만곡된 파지부(374)를 형성하는 만곡부(372)가 상호 높이가 어긋나있고 길게되어 있어 이들이 길이방향에서 상호중첩되어 있으며, 파지부(374)는 이들이 상측고정판(342)의 동일높이 내측에 놓이게 되는 수직방향의 크기만큼 이들을 형성하는 만곡부(372)에 대하여 각각 반대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관조립체.
  16. 청구범위 제2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파지요구(480; 580)가 저면고정판(440; 540)의 캐비넷 내부를 향하는 후향단부벽에서 캐비넷 벽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고정판의 종방향 중심축선을 가로질러 연장된 요구로 구성되고, 만곡탄편(464; 564)이 저면고정판(440; 540)의 후측벽을 지나 캐비넷 내부로 연장되고 저면고정판측으로 다시 만곡되어 탄력결합 상태에서 파지부(474; 574)를 형성하는 이들의 단부가 저면고정판(440; 540)의 요구(480; 580)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17. 청구범위 제16항에 있어서, 저면고정판(440; 540)에 그 캐비넷 내측단부에서 슬로트형 요구(480; 580)상측인 상측고정판(442; 542)을 향하는 상측부에 종방향 중심축선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면(486; 586)이 형성되고, 이에 상측고정판(442; 542)이 저면고정판(440; 540)에 탄력결합될 때에 파지부가 접하면서 이동하고 이들 파지부의 단부가 요구(480; 580)에 탄력결합될때까지 저면고정판(440; 540)의 후측단부벽을 지나도록 캐비넷 내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탄지됨를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18. 청구범위 제2항과,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만곡탄편(464)이 저면고정판(440)에 대하여 캐비넷 내측단부의 영역으로 후향 만곡되고 이에 인접하여 이들이 저면고정판(440)의 측벽에 지지되며 저면고정판의 후측단부벽을 벗어난 지점까지 연장된 만곡부(470)를 가지며, 이로부터 다시 파지부를 형성하는 단부부분(474)이 단부벽에 형성된 요구(480)를 향하여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19. 청구범위 제2항과, 제16항 또는 17항에 있어서, 만곡탄편(564)이 캐비넷 내측으로 각을 이루어 후향되게 상측고정판(542)에 고정된 영역으로부터 확개된 만곡부(570)와 캐비넷의 내측으로 저면고정판(540)의 후측단부벽을 지난 연장된 만곡부를 가지며, 이들 각각의 경우 후측으로 만곡되고 단부벽을 지나 연장된 만곡부(572)가 형성되고. 이로부터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파지부(574)를 형성하는 단부측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고정판의 캐비넷 내측단부의 중심에 고정판의 상측으로부터 요구(580)측으로 연장되고 캐비넷내부를 향하는 개방부(581)가 형성되어 있고, 종방향 중심축선을 가로질러 측정한 그 폭은 파지부(574)의 간격보다 작으나 이 파지부 두께의 두배보다 약간 큼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20. 청구범위 제17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측고정판(442; 542)이 저면고정판(440; 540)에 탄력 결합시 만곡탄편 (464; 564)의 파지부(474; 574)를 형성하는 단부부분이 접촉하는 영역에 저면고정판 (440; 540)의 경사면(486; 586)에 대하여 보상적인 형태로 되어 있는 경사면(487; 587)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21. 청구범위 제16항 내지 제20항중 어느 한항에 이어서, 만곡탄편(464; 554)이 파지부(474; 574)의 부근에서 저면고정판(440; 540)의 단부벽에 중첩하는 상측고정판(442; 542)의 벽에 형성된 창문형 개방부(460; 560)를 통하여 결합되고, 이 개방부(460; 560)의 높이는 이 개방부를 지나는 영역에서 만곡탄편(464; 554)의 높이와 같거나 약간 크며, 해제시 만곡탄편에 작용하는 방향에서 측정한 개방부(460; 560)의 폭은 이 개방부를 지나는 만곡부(474; 574)가 해제에 요구되는 바와같이 캐비넷에 평행한 측방향 운동이 허용될 수 있는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2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저면고정판(640)의 도어측 단부인 선단부에 부가적인 파지요구(하부턱 684')을 형성하는 두개의 후크돌출부가 형성되고, 상측고정판(642)의 후크요구가 캐비넷 벽면에 행하게 탄지된 부가적인 만곡탄편(664')로 구성되며 각각 파지요구(684')에 결합되는 파지부(674)를 가지며, 파지부(674')와 파지요구는 캐비넷 벽에 평행하게 상대측에 대하여 부가적인 만곡탄편(664')를 굽혀 결합시킬수 있게 되어 있고, 각 만곡탄편(664')은 두 고정판(640; 642)의 조립상태에서 캐비넷 벽에 평행하게 상대측에 대해 압력을 가하도록 접근가능한 부가적인 핸들(670')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23. 청구범위 제22항에 있어서, 고정판조립체(630)의 캐비넷 내측단부에 형성된 만곡탄편(664)의 파지부(674)와 파지요구(684)가 힌지 피봇트축선이 대하여 평행하고 고정판조립체(630)의 중심을 통하여 캐비넷 벽에 수직으로 연장된 평면에 대해 만곡탄편(664')의 파지부(674')와 이 파지부가 결합되는 부가적인 파지요구(684')에 대칭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24. 청구범위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측고정판(642)은 그 길이방향에 대해 횡방향에서 보았을때에 역 "U"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저면고정판(640)의 측면에 걸쳐 있고 그 측벽(654)이 "U"자형 단면의 하향연장부로 구성되며, 캐비넷 벽을 향하는 측벽의 변부측으로 개방된 절결부(679)가 형성되어 이에 저면고정판(64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688)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25. 청구범위 제24항에 있어서, 절결부(679)가 측벽(654)의 변부방향으로 연장되고, 돌출부(688)는 이에 보상적인 형태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26. 청구범위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저면고정판(640)이 상측고정판(642)을 탄력결합하는 고정부와, 캐비넷 벽에 고정되는 취부고정판으로 나누어져 있고, 고정부는 힌지피봇트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선택이동 위치에서 취부고정판에 고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27. 청구범위 제26항에 있어서, 취부고정판이 고정부의 대향된 종방향 변부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두개의 날개형 돌출부(644)를 가지고, 이들에 고정스크류의 축이 삽입되는 고정공(646)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 조립체.
  28. 청구범위 제26항에 있어서, 날개형 돌출부(644)의 고정공(646)이 선반등에 적용토록 캐비넷의 벽에 형성된 고정공 열의 간격과 같은 간격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판조립체.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701463A 1987-12-09 1988-11-17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 조립체 KR960016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741686 1987-12-09
DEP3741686.3 1987-12-09
DE3803830A DE3803830A1 (de) 1987-12-09 1988-02-09 Montageplatte fuer moebelscharniere
DEP3803830.7 1988-02-09
DEP3818649.7 1988-06-01
DE3818649A DE3818649C2 (de) 1987-12-09 1988-06-01 Montageplatte für Möbelscharniere
PCT/EP1988/001044 WO1989005387A1 (en) 1987-12-09 1988-11-17 Assembly plate for furniture hin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694A true KR900700694A (ko) 1990-08-16
KR960016475B1 KR960016475B1 (ko) 1996-12-12

Family

ID=2719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1463A KR960016475B1 (ko) 1987-12-09 1988-11-17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085491A (ko)
EP (1) EP0346447B1 (ko)
JP (1) JPH0660545B2 (ko)
KR (1) KR960016475B1 (ko)
AT (1) ATE87062T1 (ko)
AU (1) AU612457B2 (ko)
DE (3) DE3803830A1 (ko)
DK (1) DK390089A (ko)
ES (1) ES2012889A6 (ko)
FI (1) FI91308C (ko)
GR (1) GR1000369B (ko)
NO (1) NO167820C (ko)
PT (1) PT89174B (ko)
WO (1) WO1989005387A1 (ko)
YU (1) YU479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14595T2 (de) * 1988-11-16 1994-08-25 Franco Ferrari Türscharnier mit Schnellkupplung.
ES1009089Y (es) * 1989-02-17 1989-12-16 Blanco Eguiluz M. Begona Dispositivo de enganche rapido para bisagras de muebles.
DE8907480U1 (ko) * 1989-06-20 1989-08-03 Karl Lautenschlaeger Gmbh & Co Kg Moebelbeschlagfabrik, 6107 Reinheim, De
JPH0366884A (ja) * 1989-08-02 1991-03-22 Karl Lautenschlaeger Gmbh & Co Kg Moebelbeschlagfa 家具ヒンジ用取付け板
AT398801B (de) * 1990-05-16 1995-02-27 Blum Gmbh Julius Scharnier
DE4028653A1 (de) * 1990-09-10 1992-03-12 Lautenschlaeger Kg Karl Montageplatte fuer moebelscharnier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2551740Y2 (ja) * 1991-10-09 1997-10-27 株式会社太田製作所 スライドヒンジ
US5338109A (en) * 1993-01-15 1994-08-16 Raymond Haines Hand gun safety storage cabinet
DE4315159A1 (de) * 1993-05-07 1994-11-10 Lautenschlaeger Mepla Werke Eckschrank-Scharnier
DE19707741C2 (de) * 1997-02-27 2003-07-03 Grass Gmbh Hoechst Möbelscharnier
US6675440B1 (en) * 1998-04-01 2004-01-13 Mepla-Werke Lautenschlager Gmbh & Co. Kg Mounting plate for furniture hinges
DE19920137C2 (de) * 1999-05-03 2002-11-28 Grass Gmbh Hoechst Montageplatte für Möbelscharniere
KR100512734B1 (ko) * 2003-05-10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빌트인 저장고
US7401830B2 (en) * 2005-12-20 2008-07-22 Honda Motor Co., Ltd. Automotive console assembly with tubular frame
KR101537600B1 (ko) * 2008-12-18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삽입식 힌지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9388616B2 (en) 2014-04-16 2016-07-12 Hardware Resources, Inc. Hinge cover and method of use
AU2018262244B2 (en) * 2017-05-05 2023-04-20 Vkr Holding A/S A hinge for a window, a window including a set of such hinges,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a window
USD876044S1 (en) 2019-06-21 2020-02-18 Urban Safes, Llc Saf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661A (en) * 1905-02-06 1906-02-13 Lawrence J Luckhaupt Carriage-curtain fastener.
US833458A (en) * 1906-03-17 1906-10-16 Gustav Hausherr Catch for bracelets.
AT349935B (de) * 1974-02-26 1979-05-10 Blum Gmbh Scharnier mit einer grundplatte
EP0043903B2 (de) * 1980-07-15 1988-12-28 Arturo Salice S.p.A. Scharnierarm mit Befestigungsplatte
AT382674B (de) * 1985-08-19 1987-03-25 Blum Gmbh Julius Scharnier mit verstelleinrichtungen
DE3525279A1 (de) * 1985-07-16 1987-01-29 Lautenschlaeger Kg Karl Moebelscharnier
DE3544487A1 (de) * 1985-07-16 1987-06-19 Lautenschlaeger Kg Karl Moebelscharn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79479D1 (de) 1993-04-22
EP0346447A1 (de) 1989-12-20
AU2935389A (en) 1989-07-05
FI91308C (fi) 1994-06-10
FI893713A0 (fi) 1989-08-07
PT89174B (pt) 1994-01-31
NO167820C (no) 1991-12-11
DE3818649C2 (de) 1996-11-28
WO1989005387A1 (en) 1989-06-15
EP0346447B1 (de) 1993-03-17
DE3803830C2 (ko) 1991-02-14
ES2012889A6 (es) 1990-04-16
FI91308B (fi) 1994-02-28
YU47939B (sh) 1996-07-24
DK390089D0 (da) 1989-08-09
JPH01154986A (ja) 1989-06-16
DE3818649A1 (de) 1989-12-14
NO167820B (no) 1991-09-02
DK390089A (da) 1989-08-09
US5085491A (en) 1992-02-04
ATE87062T1 (de) 1993-04-15
NO893197D0 (no) 1989-08-08
PT89174A (pt) 1989-09-14
JPH0660545B2 (ja) 1994-08-10
GR1000369B (el) 1992-06-30
YU223188A (en) 1990-06-30
DE3803830A1 (de) 1989-06-22
KR960016475B1 (ko) 1996-12-12
AU612457B2 (en) 1991-07-11
NO893197L (no) 1989-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700694A (ko) 캐비넷 힌지용 고정판 조립체
US5427553A (en) Female type metal connection terminal
FI82855B (fi) Ankringsanordning.
US4986044A (en) Adjustable door frame
US5765787A (en) Aperture held clip type fastener
KR100364981B1 (ko) 버클
US10737527B2 (en) Resilient rods for use with hanging file holders
KR970000456Y1 (ko) 은폐형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잠금 슬라이더
JPS58131419A (ja) 固着装置および該固着装置と形材との組合せ
JPS63501324A (ja) リボン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S60234604A (ja) フロントパネルを有する家具用引き出し
JPS62288709A (ja) 旋回継手
US6122804A (en) Metal cable tie
US5421502A (en) Stapler
WO2002067724A1 (en) Snap-in latch
JPH0541792B2 (ko)
KR900005847A (ko) 전기기기의 레일부착장치
JP2572714B2 (ja) 動力伝達チェーン
US5356224A (en) Device for fastening slide inserts
US9004804B2 (en) Attachment structure and attachment unit
KR100619644B1 (ko) 완구 조립 세트
US20210131527A1 (en) Separator for an energy chain
EP0382419A1 (en) Cable retention device for use with a cable handling chain
US4064594A (en) Tool box handle
US3005579A (en) Adjustable coat 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