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470B1 - 방적기계용 소면기계요소 - Google Patents

방적기계용 소면기계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470B1
KR960016470B1 KR1019900018243A KR900018243A KR960016470B1 KR 960016470 B1 KR960016470 B1 KR 960016470B1 KR 1019900018243 A KR1019900018243 A KR 1019900018243A KR 900018243 A KR900018243 A KR 900018243A KR 960016470 B1 KR960016470 B1 KR 960016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carding machine
needle
carding
machine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984A (ko
Inventor
에거러르 요셉
Original Assignee
슈테틀러 운트 울
미카엘 슈터틀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테틀러 운트 울, 미카엘 슈터틀러 filed Critical 슈테틀러 운트 울
Publication of KR910009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5/00Carding machines or accessories; Card clothing; Burr-crushing or remov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carding or other preliminary-treatment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9/00Combing machines
    • D01G19/06Details
    • D01G19/10Construction, mounting, or operating features of combing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9/00Combing machines
    • D01G19/06Details
    • D01G19/28Air draught or like pneumatic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01G9/06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by means of toothed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Adornment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방적기계용 소면기계요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설계된 소면 바늘(combing needle)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며,
제2도는 제1도에 상응하는 제2실시예의 도면이며,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바늘대의 부분사시도로서, 여기서 전방의 덮개판은 부분적으로 파단되어 보여졌으며,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설계된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들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는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의 지지대의 부분사시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축부4 : 홈
8 : 공기도관13 :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
20 : 압축공기도관
본 발명은 소면기 선단부로 압축공기가 공급되어질 수 있는 방적기계를 위한 소면기계요소, 구체적으로는 바늘 또는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에 관한 것이며, 그리고 또한 바늘대 또는 형단조가공된 기계요소의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이런 일반적인 유형의 소면기계요소는 바늘대 또는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의 지지대의 형태로 결합되어지며, 그리고 모 또는 면섬유에 포함된 불순물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그리고 섬유들이 대체로 평행하게 되도록 이들을 정렬시키기 위하여 방적기계에 설치된다. 양털이나 면으로부터 소면작업으로 제거되어진 짚이나 섬유의 마디들은 소면기계요소에 퇴적된다.
추가적으로, 섬유의 단편들 및 다른 불순물들은 소면기계요소들 사이의 간극들에서 퇴적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와같은 방법으로 이들의 소면 작용을 현저하게 저해할 수 있다.
바늘대들로 구성된 고정소면기를 청소하기 위하여 소면싸이클후에 고정소면기를 청소하는 청소용 날을 마련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또, 울소면기와 관련하여는 청소용 솔의 사용이 공지되어 있다. 이미 공지된 이들 청소용 수단은 고정소면기와 관련되는 한정된 범위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을 뿐이며, 회전소면 유니트와 같은 다른 소면장치들과 관련해서는 전혀 사용되어질 수 없다.
특히 고정소면기의 경우에 바늘대들을 청소하기 위한 완전히 새로운 방법이 미합중국 특허 4,928,356에서 공개되었으며, 여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늘대들에 대해 측방으로 배치된 공기실을 거쳐서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이 압축공기는 바늘대 덮개판의 하단부 아래쪽에 있는 바늘들의 소면기 선단부로 들어가며 거기에 퇴적된 불순물들이나 짧은 섬유들을 제거한다. 압축공기에 의한 청소라는 이 개념은 훌륭한 것으로 증명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소면품질을 현저하게 개량하였다.
상기의 일반적 개념에 근거하여 종래의 소면설비 자체에 본질적인 변경없이 그리고 가능한 한 적은 건조비용으로, 모든 유형의 방적기계와 연관하여 압축공기청소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전술한 유형의 소면기계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고정영역으로부터 선단부영역의 방향으로 선단부영역측으로 안내되는, 소면기계요소 자체에 있는 홈의 형상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압축공기도관을 가지는 소면기계요소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는 공기를 소면기계요소들상의 선단부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한 별도의 공기실들을 배치하는 것이 더 이상 요구되지는 않는다. 소면기계요소들은 소면 설비안에 종래의 방법으로 고정되어질 수 있으며, 다만 소면기계요소들의 고정영역에까지 연장되는 압축공기공급용 배관만이 필요하여진다. 홈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도관은 소면기계요소의 제조공정 동안 별 문제없이 마련될 수 있다. 왜냐하면, 어쨌든 펀칭 및 형단조가공 기계들이 종래의 제조공정과 관련하여 이미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소면기계요소가 소면바늘의 형상으로 설계되는 경우에는, 그러한 바늘은 횡단면 상에서 마주보는 두개의 종방향 측부쪽에 바늘의 종축에 평행하도록 절삭가공된 홈들을 구비하는, 본질적으로 사각형 또는 타원형인 기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바늘의 횡단면을 보면 소면바늘은 마주보는 면들에 홈들을 가지는 것이 나타나며, 다수의 그러한 종류의 바늘들을 나란히 정렬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각 두개인 바늘의 홈들은 결과적으로 폐쇄된 도관을 형성한다.
홈들은 바람직하게는 바늘의 축부 단부로부터 바늘의 구속되지 않은 돌기부 영역에까지 연장되며, 이로써 거기에 퇴적된 불순물들은 공기 흐름에 의하여 확실하게 제거된다. 횡단면에서 홈들은 얕은 V자의 형상 또는 타원형의 단편의 형상, 즉 둥글게 처리된 횡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변형되지 않은 단부 영역이 종방향으로 홈에 인접하게 유지되어 있다. 바늘들을 정렬시킬때 이들 변형되지 않은 단부 영역들은 서로에 대하여 평탄하게 놓여진 밀봉편과 같이 작용하며, 그 결과 홈들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 도관들에 대한 믿을만한 측면 밀봉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상기 유형의 바늘들이 정렬될때 축부 단부로부터 선단부의 돌기부 영역에까지 뻗어있는 폐쇄된 압축공기 도관이 각각의 두개의 바늘사이에 형성되도록 홈들의 변형되지 않은 단부 영역이 바늘을 따라 뻗어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바늘의 양 측면 상에 덮개판을 구비한 다수의 바늘들로 이루어진 바늘대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압축공기는 바늘의 측면에서 종방향으로 뻗어있으며 그리고 이들의 축부 단부를 지나서 상향으로 뻗어있는 덮개판들 사이에 형성된 압축공기 도관들에 공급된다. 따라서, 덮개판들은 또한 동시에 유리한 방법으로 바늘의 상부 구역에서 압축공기 공급도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의 형태로 된 소면기계요소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압축공기 공급도관이 소면기계요소들의 저부를 통하여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압축공기 공급도관은 압축공기 분배도관에 연결되어 있다. 유리한 방법으로 압축공기 분배도관으로부터의 압축 공기도관들은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의 두개의 선단부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서 끝난다.
따라서,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들과 관련하여 대단히 효과적이며 동시에 생산기술적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선단부의 청소를 달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히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들과 관련하여, 압축공기 분배도관에 연결되며 소면기계요소의 저부 구역을 통하여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공기도관이 설치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실현된다. 압축공기 분배도관으로부터의 압축공기도관들은 바람직하게는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의 두개의 선단부들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서 끝나며, 그 결과로 거기에 퇴적된 불순물들과 짧은 섬유들의 확실한 제거가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요소를 수단으로 하여 결합된 다수의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들을 포함하는 지지대와 관련하여, 압축공기도관들은 두개의 인접하는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 각각의 두개의 인접하는 홈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러므로, 그러한 지지대용의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들이 종래의 증명된 체결기술에 의하여 지지대로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들면 소면기계의 소면부 상에 상기 지지대의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들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아래에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1도에서는 소면 바늘(1)의 형태로 된 소면기계요소(combing element)가 표현되어 있으며, 이 소면 바늘은 축부(2)와 선단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축부(2)는 본질적으로 4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횡단면의 종방향의 양 측면은 축부 단부(5)로부터 선단부(3) 영역에까지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홈(4)을 구비하고 있다.
이 홈들(4)은 V자 형상으로 된 횡단면을 가지며, 밀봉편(sealing lip)의 형상으로 된 변형되지 않은, 평탄한 단부 영역(6)이 각 홈(4)의 양쪽에 남아 있다. 두개의 적절하게 설계된 소면 바늘(1)들이 이들의 횡단면의 종방향 측면에 대해 서로 맞대어 놓여져서 편평하게 형단조가공된 선단부(3)가 평행하게 된다면, 단부영역(6)들은 서로 접촉하여, 횡단면에 있어서 능형인, 인접한 소면 바늘(1)들의 서로 접하고 있는 두개의 홈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 도관(8)(제3도)을 제공한다.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홈(4a)이 둥글게 되어 있으며 횡단면에 있어서 포물곡선의 단편의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또한, 소면 바늘들(1)의 긴밀하게 인접하는 정렬을 허용하는 변형되지 않은 단부 영역(6)들이 이들 사이에 공기 도관(8)들을 형성하면서 설치되어 있다.
제3도는 제1도에서 보인 소면 바늘(1)의 다수를 포함하는 바늘대(7)를 도시하며, 여기서 소면 바늘들은 횡단면의 종방향 측면들을 맞대고 정렬되어 두개의 홈(4)이 횡단면에 있어서 능형인 공기 도관(8)들을 형성한다. 소면 바늘(1)의 양측면 위에는 덮개판(9) 및 (10)이 공지된 방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덮개판들은 그 상부 구역이 소면 바늘(1)의 축부 단부(5)를 넘어가도록 상향으로 뻗어있고 선단부(3) 영역의 시작부분까지 하향으로 뻗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공기공급도관(11)이 덮개판(9),(11)의 상부 구역과 소면 바늘(1)의 축부 단부(5) 사이에 형성되며, 이 공기공급도관은 위쪽에 바늘대(7)가 고정되어 있는 지지체에 의하여 또는 별도의 덮개판에 의하여 상단에서 폐쇄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은 미합중국 특허 4,928,356에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은 바늘대(7)의 종래의 설계로부터 본질적으로 벗어날 필요없이 압축공기를 수단으로 바늘대(7)의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명백하게 된다.
제4도에서는 지지대(12)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서로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들(13)에 의하여 형성된다. 각각의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13)는 두개의 구멍(14)을 가지며, 따라서 봉상으로 된 두개의 지지요소들(15)상에 밀어올려질 수 있다. 독일 특허 30 07 245에 자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전체 지지대(12)가 지지체에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13)의 저부 구역에는 비둘기 꼬리 형상으로 된 요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들은 저부 구역(16)을 대략 반경 방향으로 통과하여 뻗어있는 압축공기 공급도관(18)과, 압축공기 분배도관(19)과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 분배도관(19)으로부터 분지되고 있으며 각각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들(13)의 두개의 톱니(22) 사이의 오목한 부분(21)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압축공기도관들(20)을 갖는다. 이들 공기도관들(18)은 각각의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13)의 다만 일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양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후자의 구성에서는 두개의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들(13)이 결합될때 마련된 홈들 각각이 하나의 폐쇄된 공기도관을 형성한다. 이 방법에서는 톱니(22) 사이의 오목한 부분(21)의 영역에서 퇴적물들에 대한 특히 효과적인 제거가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도관(20)들로 톱니들의 길이에 따라서 연장되거나 또는 톱니 사이와 톱니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된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상술한 기술은 다른 이들이 현재의 지식을 응용하는 것에 의하여 일반적인 개념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없이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여러가지 응용에 대하여 쉽게 수정하거나 또는 개조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반적 성질을 전부 개시하며, 그리고 따라서 그러한 개조 및 수정은 개시된 실시예들과 등가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어구 또는 술어는 기술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의 목적을 위한 것이 아닌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9)

  1. 압축공기가 소면기 선단부들의 영역으로 공급되어질 수 있는, 구체적으로는 바늘 또는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와 같은 방적기계를 위한 소면기계요소에 있어서, 고정 영역으로부터 선단부(3)의 방향으로 인도되며, 자체 내에 홈(4)의 형상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압축공기도관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면기계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면기계요소는 소면 바늘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의 소면 바늘(1)은 본질적으로 사각형인 횡단면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의 홈(4)들은 횡단면에서 마주보는 두개의 종방향 측면상에 소면 바늘(1)의 종방향축에 평행하게 절삭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면기계요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홈(4)들은 소면 바늘(1)의 축부 단부(5)로부터 선단부(3)까지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면기계요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홈(4)들은 얕은 V자 또는 포물선의 단편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며, 종방향으로 뻗어있는 변형되지 않은 단부 영역(6)들은 홈(4)들에 대하여 측방에 남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면기계요소.
  5.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소면 바늘(1)들이 정렬될때 축부 단부(5)로부터 선단부(5)의 영역까지 뻗어있는 폐쇄된 압축공기도관(8)이 인접한 바늘들 사이에 형성되도록 홈(4)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면기계요소.
  6. 제1항에 있어서, 바늘대는 다수의 바늘들과 그리고 이들의 각각의 측방에 하나의 덮개판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압축공기가, 소면 바늘(1)의 측면에 종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바늘들의 축부 단부들을 지나서 상향으로 뻗어있는 덮개판들(9,10)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공기도관(8)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면기계요소.
  7. 제1항에 있어서,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소면편의 형태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압축공기 공급도관(18)이 압축공기 분배도관(19)으로 연결되어 있는 저부 구역(18)을 통하여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면기계요소.
  8. 제7항에 있어서, 압축공기 분배도관(19)으로부터 시작되어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소면편의 두개의 선단(22) 사이의 오목한 부분(21)에서 끝나는 압축공기도관들(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면기계요소.
  9. 제7항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요소에 의하여 결합된 다수의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들을 포함하는 지지대에 있어서, 압축공기도관들(18,19,20)은 두개의 인접하는 형단조가공된 톱니형 기계요소들(13)의 각각의 두개의 인접하는 홈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KR1019900018243A 1989-11-15 1990-11-12 방적기계용 소면기계요소 KR960016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9378993 1989-11-15
DEP3937899.3 1989-11-15
DE3937899A DE3937899C1 (ko) 1989-11-15 1989-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984A KR910009984A (ko) 1991-06-28
KR960016470B1 true KR960016470B1 (ko) 1996-12-12

Family

ID=6393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8243A KR960016470B1 (ko) 1989-11-15 1990-11-12 방적기계용 소면기계요소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054167A (ko)
EP (1) EP0427974B1 (ko)
JP (1) JPH0735615B2 (ko)
KR (1) KR960016470B1 (ko)
CN (1) CN1024572C (ko)
AT (1) ATE92117T1 (ko)
BR (1) BR9005659A (ko)
CZ (1) CZ281595B6 (ko)
DE (2) DE3937899C1 (ko)
ES (1) ES2044366T3 (ko)
HU (1) HUT65004A (ko)
PL (1) PL164709B1 (ko)
RU (1) RU2015217C1 (ko)
SK (1) SK280434B6 (ko)
YU (1) YU1803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0297A1 (de) * 1991-03-28 1992-10-01 Truetzschler & Co Vorrichtung zum reinigen und oeffnen von in flockenform befindlichem fasergut, z. b. baumwolle, synthetischem fasergut u. dgl.
DE4130496A1 (de) * 1991-09-13 1993-03-18 Staedtler & Uhl Verfahren zum reinigen eines nadelstreifens, insbesondere eines fixkamms fuer textilvorbereitungsmaschinen, und nadelstreifen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EP0580549B1 (de) * 1992-07-22 1995-08-16 Maschinenfabrik Rieter Ag Fixkammeinheit für eine Kämmaschine
CH686627A5 (de) * 1993-03-29 1996-05-15 Rieter Ag Maschf Zangenaggregat fur eine Kommaschine.
DE59405559D1 (de) * 1993-07-06 1998-05-07 Rieter Ag Maschf Steuerungseinrichtung zum gesteuerten Ausblasen eines Nadelstreifens
FR2727986B1 (fr) * 1994-12-13 1997-01-31 Schlumberger Cie N Dispositif pour enfoncer les fibres textiles dans le peigne circulaire d'une peigneuse rectiligne
CH691480A5 (de) * 1996-09-03 2001-07-31 Rieter Ag Maschf Nadelstreifen einer Textilmaschine.
DE19854191B4 (de) 1998-11-24 2008-02-21 Saxonia Textile Parts Gmbh Verfahren zum Verbinden von Nadelpaketen
DE10033169B4 (de) * 1999-07-24 2016-12-22 Maschinenfabrik Rieter Ag Fixkamm einer Kämmaschine
DE19951126A1 (de) * 1999-10-23 2001-04-26 Staedtler & Uhl Fixkamm
DE20003070U1 (de) * 2000-02-19 2000-04-20 Staedtler & Uhl Fixkamm für eine Kämm-Maschine
WO2009030551A1 (en) * 2007-09-06 2009-03-12 Nv Bekaert Sa Self-cleaning comb needle
CN102409446A (zh) * 2011-09-19 2012-04-11 福兴织造(苏州)有限公司 带蒸汽喷口的防缠花装置
CN102433622A (zh) * 2011-09-19 2012-05-02 福兴织造(苏州)有限公司 纺织机的弧形梳针
CN102409447A (zh) * 2011-09-19 2012-04-11 福兴织造(苏州)有限公司 纺织机皮辊的防缠花装置
CH707012A2 (de) * 2012-09-28 2014-03-31 Rieter Ag Maschf Fixkamm für eine Kämmmaschine.
CN102926040A (zh) * 2012-11-21 2013-02-13 吴江征明纺织有限公司 一种纺织用纤维清洁装置
CN109385701A (zh) * 2018-12-10 2019-02-26 恒天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气压棉箱喂棉机的排气针板
CN110983508B (zh) * 2020-01-10 2022-06-07 嘉兴学院 一种用于纺织生产的开松充分的高效型梳棉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685984A (en) * 1964-05-05 Whitin Machine Works Teeth for a card clothing
US2986779A (en) * 1957-10-04 1961-06-06 Alsacienne Constr Meca Cleaning device for the top comb of combing machines
US2977642A (en) * 1958-04-28 1961-04-04 Saco Lowell Shops Textile combing machines
FR1238387A (fr) * 1959-07-01 1960-08-12 Perfectionnements aux fils pour garnitures de cylindres peigneurs
GB933834A (en) * 1961-03-21 1963-08-14 Tmm Research Ltd Improvements in textile carding machines
JPS5149680U (ko) * 1975-10-29 1976-04-14
IT7967916A0 (it) * 1979-05-02 1979-05-02 Sant Andrea Novara Officine Dispositivo pulitore per il pettine rettilineo di macchine pettinatrici di fibre tessili
DE3007245C2 (de) * 1980-02-27 1982-08-12 Staedtler & Uhl, 8540 Schwabach Zahnbesatz für Walzen und Tragsegmente von Textilmaschinen
JPS59228806A (ja) * 1983-06-10 1984-12-22 松下電工株式会社 ヘア−ドライヤのブラシ体
FR2556939B1 (fr) * 1983-12-22 1987-10-23 Jean Alazet Appareil a epiler
DE3722481A1 (de) * 1987-07-08 1989-01-26 Staedtler & Uhl Nadelstreifen, insbesondere fixkamm, fuer textilvorbereitungsmaschinen und dgl.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s derartigen nadelstreifens
US4928356A (en) * 1987-07-08 1990-05-29 Staedtler & Uhl Top comb for textile machinery and process for clean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87755A1 (en) 1991-11-04
SK280434B6 (sk) 2000-02-14
PL164709B1 (pl) 1994-10-31
HUT65004A (en) 1994-03-28
ES2044366T3 (es) 1994-01-01
CS9005628A2 (en) 1991-09-15
CN1051768A (zh) 1991-05-29
RU2015217C1 (ru) 1994-06-30
US5054167A (en) 1991-10-08
EP0427974B1 (de) 1993-07-28
CZ281595B6 (cs) 1996-11-13
JPH0735615B2 (ja) 1995-04-19
CN1024572C (zh) 1994-05-18
DE3937899C1 (ko) 1991-01-10
EP0427974A1 (de) 1991-05-22
ATE92117T1 (de) 1993-08-15
DE59002094D1 (de) 1993-09-02
HU907122D0 (en) 1991-05-28
JPH03167323A (ja) 1991-07-19
BR9005659A (pt) 1991-09-17
KR910009984A (ko) 1991-06-28
YU180390A (sh) 199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470B1 (ko) 방적기계용 소면기계요소
CN1133357A (zh) 锯齿形配件
JPS636118A (ja) 繊維準備機械特にコ−マ、カ−ド等のための針布
US3737953A (en) Card clothing
US4606095A (en) Saw-toothed stamped metal part as outfit for a comb segment of a porcupine
BR9914911A (pt) Panos de carda, cilindro de cardagem, e, cardagem têxtil
KR960005464B1 (ko) 카딩머신의 플랫용 침포
US5228173A (en) Method for cleaning a needle bar, in particular a top comb for textile machinery, and needle bars for putting the method into practice
JP3542692B2 (ja) コーマ用のトップコーム
ES2003579A6 (es) Dispositivo para abrir una pluralidad de balas de fibras
US3995351A (en) Flat section in carding machine
US5228170A (en) Card for cotton and for similar uses, with fixed carding flats which form cleaning members
US6996878B2 (en) Device such as a carding machine for processing fibres
KR101050627B1 (ko) 직물 소모기의 상단 코움 또는 원형 코움용 피팅
KR0135255Y1 (ko) 피드콤 장치
ITMI981097A1 (it) Gruppo di alimentazione e pretrattamento del materiale fibroso alimentato ad una macchina tessile in particolare per apritoi o
WO2003087446A2 (en) Carding element with saw-teeth
KR970003577B1 (ko) 바늘대를 청소하기 위한 방법과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바늘대
EP0693584B1 (en) Improved sliding flat for carding devices and a guiding and drive system for it
SU1534107A1 (ru) Пильный джин
KR950003370B1 (ko) 방적기계용의 상부콤(top comb) 및 상기콤을 청소하기 위한 방법
SU1534106A1 (ru) Рабоча камера пильного волокноотделител
SU819234A1 (ru) Волокноотделитель
CN215050918U (zh) 梳棉机的分梳板
SU1541314A1 (ru) Чешущий элем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3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