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777B1 - 전원차단후 및 차단시의 기동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원차단후 및 차단시의 기동처리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777B1
KR960015777B1 KR1019900005567A KR900005567A KR960015777B1 KR 960015777 B1 KR960015777 B1 KR 960015777B1 KR 1019900005567 A KR1019900005567 A KR 1019900005567A KR 900005567 A KR900005567 A KR 900005567A KR 960015777 B1 KR960015777 B1 KR 960015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ower
voltage
volatile memory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837A (ko
Inventor
히까루 가쓰끼
마사가즈 호소야
마사유끼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이노우에 사도시
산요오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0075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784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075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784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33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95601A/ja
Application filed by 이노우에 사도시, 산요오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노우에 사도시
Publication of KR900016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15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at system level
    • G06F11/1441Resetting or repow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06F11/0754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Sources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원차단후 및 차단시의 기동처리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의 제어회로의 요부개략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RAM, ROM 및 인터페이스부의 어드레스의 인터럽트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주동작을 나타낸 동작설명도.
제4도는 본 실시예로서 쓰이는 초기 데이터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5도, 제6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사용한 공기 조화기의 전자회로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IC124의 출력의 변화를 나타낸 타임챠아트.
제9도는 제6도에 도시한 마이크로컴퓨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요부 블록도.
제10도는 제6도에 도시한 마이크로컴퓨터의 주요동작을 도시한 동작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기기에 있어서 정전 등에 의한 전원차단후에 프로세서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자동복귀할 때의 제어 및 내부에 휘발성 메모리를 가진 마이크로컴퓨터에 있어서 정전 등에 의한 전원차단시의 데이터 보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전처리방식으로서는 특공소 59-46001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이 있었다.
이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은 전원 전압의 저하 상황 및 그의 기간에 따라 제어동작을 정지하거나 또는 제어동작을 자동적으로 재개하는 가의 판단을 프로세서로 행하게 함으로써 특히 지장이 없는 상황의 순간 정전이라면 프로세서에 의한 제어동작을 자동적으로 재개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순간적으로 정전되는 상황에 따라 프로세서의 자동복귀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순간적인 정전처리방식에서는, 전원 전압의 저하에 맞추어서 프로세서의 동작을 휴지상태 또는 완전정지중 어떤 것이든 선택하여 정전처리를 행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제2의 프로세서를 필요로 하고, 더욱이 이 프로세서용의 전원도 필요했었다. 이 때문에 제어회로 전체가 복잡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전원용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하여 대형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하여 본 발명은 제2의 프로세서나 제2의 전원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복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의 복귀시에 출력되는 리세트 신호를 입력했을 때 미리 정해진 기동처리를 실행한 후에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메인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기동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메인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초기 데이터를 저정한 불휘발성의 메모리와 메인처리를 실행할 때에 데이터의 입출력을 하는 휘발성의 메모리와 전원차단후 이 휘발성의 메모리의 구동을 일정시간 유지하는 백업기구를 가지며, 기동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중에 휘발성 메모리의 소정 개소에 저장된 데이터와 불휘발성의 메모리의 소정의 개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 비교결과가 다를 때에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전송시키는 프로그램을 갖춘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세서 유니트와 비휘발성 메모리(ROM)와 휘발성 메모리(RAM)와 백업회로를 가진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 다수의 전자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이며, 상기 프로세서 유니트는, 상기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발생되는 리세트신호가 상기 프로세서 유니트에 전달되면 수행되는 상기 시스템의 기동처리 및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메인처리를, 사전설정된 프로그램 및 상기 다양한 데이터에 따라 수행하는 프로세서 유니트이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기동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기동 프로그램, 메인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메인 프로그램 및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조건을 초기화하기 위한 초기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유니트가 메인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백업회로는, 시스템의 전원이 차단된후 적어도 소정시간 동안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대해 전력을 유지하게 되는 전원 차단후 및 차단시의 기동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조건을 초기화시키기 위한 상기 초기 데이터는 상기 시스템을 정지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기동 프로그램의 실행중에 상기 프로세서 유니트에 의해 판독되는 제1데이터(DA0)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휘발성 메모리는 제2데이터(DAA)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기동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 유니트를 초기화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제1 및 제2데이터를 판독하여 양 데이터가 서로 다른가를 판정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데이터가 제2데이터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2단계에 후속하여 메인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제3단계, 상기 제1데이터가 제2데이터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제2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휘발성 메모리내의 전자기기 제어용 다양한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내의 초기 데이터로 바꾸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에 후속하여 휘발성 메모리내의 제2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내의 제1데이터로 바꾸고 메인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후 및 차단시의 기동처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로세서 유니트의 작동을 부분적으로 정지시키므로써 상기 시스템에서의 전력 소비를 줄이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작동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유지되는 정지상태, 및 상기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여 전원의 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강하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프로세서의 작동모드를 상기의 정지상태로 바꾸고, 상기 정지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백업회로로부터 전원을 사용하여 높거나 낮은 디지털 신호가 상기 프로세서 단자에 리세트되도록 하는 전압감지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후 및 전원차단시의 기동처리시스템도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동처리시스템을 사용하면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원복귀의 리세트 신호가 자동적으로 부여되어도 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의 보존상태가 정상이라면 이 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하고 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에 이상이 있을 때(백업의 기간이 잘렸을 때)에는 불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휘발성 메모리의 내용을 바꿔쓴 후의 메인 프로그램에 의한 운전을 개시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시간의 정전 또는 전원차단에서는 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가 그대로 보존되고, 또한 그의 데이터에 의한 운전이 자동적으로 재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보에 기재되어 있었던 것은 전원전압이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각 회로의 동작상 약간 불충분은 하나, 아직 동작가능한 전압이하로 저하되면, 이상 인터럽트 신호가 전압모니터로부터 발생하여, 이 프로세서에 주어지기 때문에, 프로세서의 동작상태가 "제어"로부터 "휴지"상태로 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순간정전처리방식에서는, 전원전압이 저하에 맞추어 프로세서의 동작을 휴지상태(halt)로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상태는 아직 전원이 공급되어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에 있어서는 아직 동작가능한 상태이고, 입출력 포오트는 출력을 유지한 상태이며, 또 각 회로는 동작상태인 채있으므로, 전체적으로서의 전력 소비는 그다지 줄지 않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로는 전압을 검출하여 마이크로컴퓨터가 휴지 상태가 되지만, 실제의 정전시 또는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에는, 백업용 전원을 갖추지 않아, 마이크로컴퓨터가 정지상태에 이르므로, 휘발성 메모리의 내용 등은 보호되지 않는 것이었다.
이때, 비록 백업기구를 갖추었더라도 입출력회로 및 각 회로가 동작 상태인 채로 있기 때문에, 이 동작을 유지할 수 있는 용량의 백업기구가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본 발명은 정전시 등의 전원차단시에 소용량의 백업기구라도 마이크로컴퓨터내의 데이터의 보호를 가능케 한 전원차단시의 처리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지 트리거에 의한 신호가 리세트 단자에 주어져서 프로그램에 의거한 동작을 개시하는 프로세서 유니트 및 이 프로세서 유니트와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휘발성의 메모리를 가지며, 이 휘발성 메모리의 구동을 우선하여 유지하면서 일부의 기능의 동작을 정지하여 전력소비를 억제하는 정지모드를 갖춘 마이크로컴퓨터에 있어서, 이 마이크로컴퓨터의 주변회로에 마이크로컴퓨터에의 전력 공급을 전원의 차단시부터 적어도 일정시간 유지하는 백업회로와, 마이크로컴퓨터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회로를 설치하여, 이 전압검출회로가 검출한 전압값이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보증전압 가까이까지 저하하였을 때에 마이크로컴퓨터를 상기 정지모드로 함과 동시에, 이 정지모드 중에는 리세트 단자에 백업회로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원차단시의 처리방식을 사용하면, 마이크로컴퓨터에 공급되고 있는 전원전압의 저하를 전압검출회로에서 검출하여, 정지 모드를 동작시켜서 마이크로컴퓨터의 전력소비를 억제하면서 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를 보호하는 것이다.
동시에 리세트 단자를 전원전압으로 유지하여 정지시의 마이크로컴퓨터의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이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의거하여 냉방운전을 행하는 공기 조화기에 사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공기 조화기는 냉매압축기, 응축기, 감압장치 증발기를 냉매배관으로 환상으로 접속하여 냉동사이클을 구성하여 이루어지며, 증발기를 실내쪽에 설치하여 압축냉매의 증발작용으로 실내의 냉방운전을 행하는 것이다.
제1도는 공기 조화기 제어회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1도에서 1은 제어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이며, 6은 프로세서 데이터(CPU), 2는 휘발성 메모리(이하, RAM이라 한다), 3은 불휘발성 메모리(이하 ROM이라 한다), 4는 인터페이스부, 5는 인터럽트 제어부(5)를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또한 단자(+VDD)는 전원입력단자이며, 단자(VSS)는 접지용 어스 단자이다.
이 프로세서 유니트(6)는 ROM(3)에 저장된 프로그램, 초기 데이터 및 RAM(2)에 입출력되는 데이터에 의하여 메인처리동작을 행한다.
인터페이스부(4)에는 피조화실의 온도(실온)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서어미스터 등)(7), 피조화실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8), 냉/난방 등의 운전모드, 통상운전/타이머 운전, 실온설정치, 습도설정치, 풍속, 온풍/냉풍의 부는 방향 등을 설정 또는 입력하는 키이군(9), 및 압축기(10), 실내송풍기(11), 실외송풍기(12) 등의 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인터럽트 제어부(5)는 외부에서 신호가 주어졌을 때의 프로세서 유니트에 신호를 부여하여 기동처리용 프로그램(초기 프로세싱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이다.
실온, 습도는 A/D 변환(도시하지 않음)되어 데이터로 변환된 후, RAM(2)에 저장되고 키이군(9)에서의 조작결과는 키이 스캔 동작에 의하여 입력되어 그 결과가 RAM(2)에 저장된다.
또 기기(10∼12)는 인터페이스부(4)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동작이 제어된다.
13은 리세트 신호 출력부이며, 전원 모선(ι)의 전위가 소정치 이상으로 되었을 때부터 일정시간(콘덴서 15의 전하가 충분히 충전되는 시간)후에 리세트 신호를 출력하는 것(전원감시용 IC의 파워 온 리세트 회로)이다.
14는 다이오드이며, 콘덴서(15)에 축적된 전하가 전원차단시에 전원측에서 리세트신호출력부(13)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콘덴서(15)는 마이크로프로세서(1) 용이며 (주로 RAM(3)의 백업용) 백업 시간은 약 10분 정도를 표준으로 하여 용량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콘덴서(15) 대신에 충전·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사용하여 백업기구를 구성하여도 좋다.
16은 전압강하 검출회로이며, 전원 모선(ι)의 전압이 소정치 이하(정격전압의 약 95% 이하)로 되었을 때에 신호를 인터페이스부(4)에 부여한다. 이 신호를 검출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는 대기상태(주로 RAM(2)의 데이터의 보존만을 한다)로 되는 것이다.
즉, 콘덴서(15)의 전하가 방전하기까지 사이에 RAM(2)의 데이터의 보존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 조화기에서는 통상의 운전시에는 주로 키이군(9)에서 설정된 실온의 설정치와 온도센서(7)가 검출한 실온을 비교하여 압축기(10)의 운전을 제어하여 실온을 제어한다.
제2도는 RAM(2), ROM(3) 및 인터페이스부(4)의 어드레스의 할당상태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어드레스(0000∼A1)는 RAM(2)에 설정되는 공간이며, 데이터 에어리어를 표시하고 있다.
어드레스(A1∼A2)는 인터페이스 에어리어(인터페이스부(4)의 출력을 지정하는 공간)를 표시하고 있다.
어드레스(A4∼FFFF)는 ROM(3)에 설정되는 공간이며, 프로그램 에어리어(기동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메인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에어리어) 및 초기 데이터 에어리어를 표시하고 있다.
제3도는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마스터동작을 표시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이 설명도에 있어서 우선 리세트 신호 출력부(13)에서 리세트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에는, 인터럽트 제어부(5)에 의해 우선 스텝(S1)이 실행된다. 스텝(S1)에서는 압축기(10), 송풍기(11, 12) 등의 기기를 모두 정지상태로 한다.
다음에 스텝(S2)으로 진행하여 DAA의 값과 DA0의 값이 같은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DAA의 값은 제2도에 표시하는 어드레스(AA)에 저장된 데이터의 값(RAM의 어드레스(AA)에 저장된 값)이며, DA0은 어드레스(A0)에 저장된 데이터의 값(ROIM의 어드레스(A0)에 저장된 값)이다.
즉, 이 스텝(S2)에 있어서 판단은 전원 모선(ι)에서의 전원 차단에 의하여 RAM(2)내의 데이터가 파괴되느냐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또한 콘덴서의 충전 전하가 있는 한 연속한 전원 공급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전원 모선(ι)의 전원차단에 의한 데이터의 파괴는 일어나지 않는다.
스텝(S2)의 조건을 만족히 하지 않을 때에는 스텝(S3)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S3)에서는 초기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진다.
즉, ROM(3)에 저장된 데이터를 RAM(2)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때 어드레스(DA0)의 데이터도 동시에 어드레스(DAA)에 전송된다.
이상의 스텝(S1∼S3)이 기동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제4도는 초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예컨대 압축기는 OFF(정지), 송풍기는 OFF(정지), 온도 설정치 C(냉방 운전용)는 28도, 온도 설정치 H(냉방운전용)는 22, … 냉·난방 모드는 자동선택(운전개시시의 실온에 의하여 선택된다) 등의 데이터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이 초기 데이터는 공기 조화기를 정지상태로 설정하는 데이터이다.
이 초기 데이터는 스텝(S3)을 실행함으로써 RAM(2)의 대응하는 위치에 전송되는 것이다.
스텝(S2)에서 DAA=DA0으로 판단되었을 때, 또는 스텝(S3)을 실행한 후, 스텝(S4)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예컨대 실온과 RAM(2)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고, 실온과 설정치의 편차에 따라 송풍기의 송풍량을 제어하고, 타이머 운전시에는 시간의 계수를 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스텝(S5)으로 진행하고, 전원 모선(ι)의 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강하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전압강하 검출회로(16)에서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원 모선(ι)의 전압이 강하하고 있을 때에는 스텝(S6)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S6)에서는 기기를 OFF 상태로 한다.
즉, 공기 조화기를 정지상태로 한다.
이후 스텝(S7)으로 진행하고 프로세서 유니트(6)를 대기상태로 유지한다.
이들 스텝(S4)∼스텝(S7)에 메인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 조화기를 사용한 운전은 우선 공기 조화기에 전원을 가하면, 전원 모선(ι)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다이오드(14)를 통하여 콘덴서(15)의 충전이 개시됨과 동시에 마이크로프로세서(1)의 단자(+VDD)에 전원이 공급되어 마이크로컴퓨터는 동작상태로 된다.
콘덴서(15)에 전하가 충분히 충전되면 리세트 신호 출력부(13)에서 리세트 신호가 출력된다.
이 리세트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1)는 우선 기동처리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공기 조화기를 일단 정지상태로 한 후, 어드레스(AA)의 데이터와 어드레스(A0)의 내용을 비교한다.
콘덴서(15)의 전하는 방전되어 있었고 RAM(12)의 데이터는 백업되지 않았으므로 스텝(S2)에 있어서 판단은 "NO"로 된다.
따라서 스텝(S3)에서 초기 데이터가 RAM(2)으로 전송되고, 어드레스(A0)의 데이터도 RAM(2)으로 전송된다.
이후 공기 조화기는 정지상태에서 메인처리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프로그램의 실행중에 키이군(9)의 조작으로 운전신호가 출력되면 우선 초기 데이터에 의하여 운전이 개시된다.
이 초기 데이터의 내용이 이용자에 있어서 마음에 들지 않을 때는 키이군(9)의 매뉴얼 조작에 의하여 이 데이터의 내용, 즉, 설정치(온도 설정치 또는 풍량 등)를 임의로 변경한다. 이후 이 설정치에 의하여 운전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운전을 유지된 상태에서 정전 또는 전원차단에 의하여 전원 모선(ι)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이 소정 전압이하로 내려가면, 마이크로프로세서(1)는 스텝(S6)의 동작을 행한다.
즉, 공기 조화기를 정지상태로 하고 스텝(S7)으로 진행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그 공기 조화기는 콘덴서(15)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기까지의 사이에, RAM(2)에 저장된 데이터만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다.
이후 콘덴서(15)의 전하가 있으며, RAM(2)의 백업이 행해지고 있는 중에 정전의 복귀 또는 전원의 공급이 재개되면, 리세트 신호 출력부(13)에 리세트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와 같이 스텝(S1)에서 기동처리가 행해진다.
RAM(2)의 내용은 콘덴서(15)에서 백업되어 있었으므로, 어드레스(AA)의 데이터와 어드레스(A0)의 데이터(어드레스(AA)에는 전회의 기동시에 ROM(3)에서 어드레스(A0)의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다)는 일치한다.
따라서 스텝(S3)을 실행하지 않고 스텝(S4)으로 진행하여 메인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때 RAM(2)의 데이터에 의해 공기 조화기가 운전상태로 있으므로 (상기 매뉴얼 설정에 의함)이 데이터의 의거하여 압축기를 "ON"으로 하고, 송풍기를 "ON"하여 공기 조화기를 운전을 정전시(또는 전원공급이 차단되었을 때)와 같은 운전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재개시키는 것이다.
또한 콘덴서(15) 전하의 방전이 끝난 후에 정전의 복귀 또는 전원의 공급이 재개되면, 동일하게 리세트 신호가 출력되나, 스텝(S2)을 충족시키지 않고 스텝(S3)으로 진행하여, RAM(2)의 데이터가 ROM(3)의 초기 데이터로 바꿔 쓰여진다.
따라서 메인처리의 프로그램을 실행한 시점에서 이 공기 조화기는 정지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콘덴서(15)의 전하가 있는 중에 정전의 복귀 또는 전원의 공급이 재개되었을 경우에는, 정전 또는 전원의 차단전과 같은 운전상태에서 공기 조화기의 운전이 자동적으로 재개되고, 콘덴서(15)의 전하가 방전된 후에 정전의 복귀 또는 전원의 공급이 재개되었을 경우에는, 공기 조화기는 정지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원의 복귀시에 출력되는 리세트 신호를 입력했을 때 미리 정한 기동처리를 실행한 후에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메인처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기동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메인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초기 데이터를 저장한 불휘발성의 메모리와 메인처리를 실행했을 때에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휘발성의 메모리와 전원차단후 이 휘발성의 메모리의 구동을 일정시간 유지하는 백업기구를 가지며, 기동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중에 휘발성 메모리의 소정 개소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휘발성의 메모리의 소정의 개소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가 다를 때에는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로 전송시키는 프로그램을 갖추었으므로, 또는 상기 비교 결과가 일치할 때에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메인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갖추었으므로, 휘발성 메모리가 백업되고 있는 일정시간의 사이에 생긴 순간적인 정전 또는 전원의 차단에 대해서는 정전의 복귀 또는 전원의 공급이 재개되었을 때에 전원의 차단전과 같은 상태로 기기의 운전이 자동복귀되는 것이며, 일정시간 후에 정전의 복귀 또는 전원의 공급이 재개되었을 때에는 기기가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의 연속성을 중시하는 기기의 제어에 있어서는 일정시간내의 정전에 대한 복귀조작이 불필요하게 되고, 보수 관리성이 극히 향상된다.
제5도, 제6도, 제8도는 이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전자 회로도이다.
제5도에서 21은 교류전원에 접속되는 플러그, 22는 냉매압축, 23은 실외쪽 열교환기(응축기)로 송풍하는 송풍기 모우터이고, 압축기(22)와 동시에 통전구동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24, 25는 압축기(22), 송풍기 모우터(23)의 운전용 콘덴서이다. 26은 항시 개방접점이고, 릴레이(7)가 여자됨으로써 접점을 닫는다(도시한 상태는 릴레이(7)를 여자하지 않은 상태).
이 항시 개방접점(26)이 닫힘으로써 압축기(22) 및 송풍기 모우터(23)가 통전된다.
28은 실내쪽 열교환기(증발기)로 송풍하는 송풍기 모우터이고, 여자용 권선의 도중에서 중간단자를 꺼냄으로써 풍속이 L(약풍), M(중풍), H(강풍)의 3단계로 전환할 수 있다.
29는 송풍기 모우터(28)의 운전용 콘덴서이다.
30은 전환접점이고, 릴레이(RY1)를 여자함으로써 도시한 상태와 반대의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32, 33은 연동하여 전환되는 전환접점이고, 릴레이(RY2)를 여자함으로써 도시한 상태와 반대의 상태로 전환한다.
이들의 전환접점(30, 32, 33)의 전환의 조합에 의하여 풍속이 L, M, H로 변한다.
35는 송풍기용 모우터(28)의 운전에 의하여 얻어지는 바람의 방향을 변하게 하는 플랩 모우터이고, 이 모우터(35)를 통전함으로써 풍향이 정해진 각도의 범위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이 모우터(35)는 항시 개방접점(26)을 닫음으로써 통전되고, 이 접점(26)은 릴레이(RY4)를 여자함으로써 닫히는 것이다.
그리고, 풍향을 소정의 각도에 고정시키고 싶을 때에는 이 모우터(35)를 통전하여 바라는 풍향이 되었을 때에 모우터(35)를 정지시키면 된다.
38은 전류 휴즈이고, 39는 강압 트랜스(40)의 1차쪽에 설치된 노이즈 흡수용 바리스터이다.
제6도서 121은 전파 정류용의 브릿지 다이오드이고, 강압 트랜스(40)로부터 출력된 교류를 전파정류한 후, 평활용 콘덴서(122, 123)로 평활화시키고, DC 12V의 출력이 점 PO12의 위치에 얻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124는 마이크로컴퓨터(126)의 리세트용 IC(LA5693D)이다.
이 IC(124)는 단자(VS)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화에 따라 단자(RES1, RES2)로부터 리세트 신호를 출력한다.
125, 126, 127은 분압용 저항, 128은 콘덴서이고, IC(124)의 단자(VS)에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을 조정하여 리세트 신호의 출력타이밍을 조정한다.
142는 베이스 단자를 ID(124)의 단자(VCONT)에 접속시킨 트랜지스터이다.
이 트랜지스터(125)는 IC(124)의 단자(VO)에 인가되는 전압이 5V가 되도록 단자(VCONT)로부터의 스위칭 출력에 의하여 ON/OFF가 제어된다.
따라서, DC 5V의 정전압출력을 점(PO5)의 위치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IC(124)의 단자 CK를 전원전압쪽에 풀업함으로써 단자(RES1, RES2)는 같은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항(125∼127)의 저항치 및 콘덴서(128)의 용량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단자(RES1, RES2)의 신호출력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 있다.
점(PO5)의 위치의 전압이 4.9V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H레벨(5V)의 전압을 출력하여, 이후 이 점(PO5)의 위치의 전압이 4.75V 이하로 되었을 때에 이 H레벨의 출력전압이 L(대략 0V)의 전압출력으로 변하는 것이다.
IC(124)의 단자(RES1)는 마이크로컴퓨터(126)의 단자(INT1)에 접속되어 있다.
또, 단자(RES2)는 지연회로를 통하여 마이크로컴퓨터(126)의 단자(REST)에 접속되어 있다.
지연회로는 비교기(129), 저항(130∼133), 콘덴서(134), 정귀환용 저항(135)과 다이오드(136), 트랜지스터(137)로 구성된다.
이들 저항의 저항치, 콘덴서의 용량은 이 지연회로가 IC(124)의 단자(RES2)의 출력이 L레벨의 전압으로부터 H레벨의 전압으로 변할 때에 약 200㎲의 지연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
138은 백업용의 콘덴서, 139, 140은 스위칭 트랜지스터이고, 전원투입 전에는 IC(124)의 단자(RES2)의 출력은 L레벨전압이므로, 백업용 콘덴서(138)에 전하의 충전은 없다.
트랜지스터(137)는 OFF 상태, 트랜지스터(140)는 OFF 상태, 트랜지스터(139)는 OFF 상태이다.
이후 전원이 투입되어 IC(124)의 단자(RES2)의 출력이 H레벨의 전압이 되면, 마이크로컴퓨터(126)의 단자(Vcc)에 5V의 전압이 공급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137)가 ON 상태로 되어, 마이크로컴퓨터(126)의 단자(REST)가 L레벨이 된다.
이때, 동시에 트랜지스터(139)는 OFF 상태로 되어 있다.
이후 트랜지스터(137)가 OFF 상태로 되어 마이크로컴퓨터(126)의 단자(REST)의 인가전압이 H레벨의 전압으로 변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126)의 단자(REST)가 L레벨로부터 H레벨의 전압으로 변하여 마이크로컴퓨터(126)를 리세트한다.
이후 백업 콘덴서(138)에 전하가 충전되며, 이 충전은 전원압이 공급되어 있는 동안 유지된다.
그리고, IC(124)의 단자(REST1)의 출력은 단자(REST2)의 출력과 같고, 마이크로컴퓨터(126)의 단자(INT1)에는 H레벨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 후에 전원전압의 차단(정전 등)이 발생하면, 콘덴서(122, 123, 128)의 전하의 방전에 맞추어 IC(124)의 단자(VS)에 인가되는 전압이 감소한다.
이 전압의 저하에 맞추어 먼저 IC(124)의 단자(RES1, RES2)의 출력이 L레벨의 전압이 된다.
이에 의하여 먼저 마이크로컴퓨터(126)의 단자(INT1)의 인가전압이 L레벨 전압으로 변한다.
이후, 콘덴서(134) 전하의 방전 후에 트랜지스터(137, 140)가 OFF로 되고, 동시에 트랜지스터(139)가 ON 상태로 된다.
트랜지스터(139)가 ON 상태로 됨으로써 콘덴서(138)에 충전된 전하가 이 트랜지스터(139)를 통하여 마이크로컴퓨터(126)의 단자(REST)에 공급된다. 이 전원공급의 시간은 콘덴서(138)에 충전된 전하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이상의 동작을 시간의 경과와 함께 도시하면 제17도와 같이 된다.
그리고, 콘덴서(138)는 마이크로컴퓨터(126)용이고 (주로 RAM(154)의 백업용), 백업시간은 약 10분 정도를 표준으로 하여 그 용량이 설정되어 있다.
또, IC(124)는 마이크로컴퓨터(126)에 인가되는 정격전압의 약 95% 이하로 되었을 때에 단자(RES1, RES2)의 출력을 H레벨 전압으로부터 L레벨 전압으로 변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정격전압은 5V이고, 동작보증 전압은 4.5∼5.5V이므로, 상기 정격전압의 95%는 약 4.75V에 상당한다.
또, 백업시간은 콘덴서(138)의 전압이 RAM(154)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이하가 될 때까지의 시간이므로, 이 전압검출회로의 검출전압은 될 수 있는대로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전원의 전압의 리플레 의한 잘못 동작이 생기지 않는 전압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에서도 정격전압의 약 95% 정도가 가장 알맞다.
142, 143은 각각 실내쪽 열교환기(증발기)의 온도, 피조화실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센서이고, 서어미스터 등의 온도에 의하여 내부 저항이 변하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이들의 온도 검출기는 전원전압에 바이어스용의 저항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온도 검출기의 내부저항의 변화를 전압의 변화로서 알아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전압의 변화는 마이크로컴퓨터(126)의 단자(A1, A2)에 각각 인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자(A1, A2)는 아날로그 전압의 입력단자이고, 마이크로컴퓨터(126) 내부의 A/D(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즉, 이 단자에 인가된 전압은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어 마이크로컴퓨터의 내부에서 처리된다.
45, 147은 드라이버이고, 각각 릴레이(111, 114, 117, 107)의 여자를 마이크로컴퓨터(126)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행한다.
147은 부저(148)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이고, 마이크로컴퓨터(12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부저(148)를 울리는 것이다.
149는 커넥터이고, 제8도에 도시한 전자 회로가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제8도에서 150, 151은 발광다이오드이고, 마이크로컴퓨터(126)의 단자(D0, D3)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접등이 제어된다.
152는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증폭한 후, 마이크로컴퓨터(126)에 출력하는 수신 앰프부이다.
리모트 콘트롤러로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정지, 온도설정, 풍향 및 풍량의 설정 둥의 제어신호를 무선 신호로 출력하는 것이다.
제9도는 제6도에 도시한 마이크로컴퓨터(126)요부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서 마이크로컴퓨터(126)는 프로세서 유니트(153), 휘발성 메모리(이하, RAM이라 한다)(154), 불휘발성 메모리(이하, ROM이라 한다)(155), 인터페이스(156), 리세트 처리부(159), 정지 모드 처리부(160), A/D 입력처리부(157, 158)를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그리고, 단자(+Vcc)는 전원입력단자, 단자(VsS)는 접지단자이다.
이 프로세서(153)는 ROM(155)에 저장된 프로그램, 초기 데이터 및 RAM(154)에 인터페이스(156)를 통하여 입출력되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처리동작을 행한다.
이 인터페이스(156)는 A/D 입력처리부(157, 158)에서 얻어지는 피조화실의 실온, 증발기의 온도, 수신앰프부에서 얻어지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신호 등을 입력함과 동시에 릴레이의 여자신호, 부저를 울리는 신호,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신호 등을 출력한다.
159는 리세트 처리부이고, 외부로부터 신호(인가전압이 L레벨로부터 H레벨로 변화하는 전압변화)가 주어졌을 때 프로세서 유니트에 신호를 주어 기동처리용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이다.
단자(INT1)의 인가전압이 H레벨전압으로부터 L레벨전압으로 변화하면 정지 모드 처리부가 동작하며, 마이크로컴퓨터(126)는 정지 모드, 즉 인터페이스(156)의 동작을 정지한 후 RAM(154)에의 전력공급만을 행하는 모드가 된다.
인터페이스(156)의 동작이 정지함으로써, 온도검출기(142, 143),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의 입력이 차단되고, 압축기, 송풍기 등의 기기가 정지상태가 되며, 주로 RAM(154)의 데이터의 보존만을 행하는 것이다.
제10도는 마이크로컴퓨터(126)의 주요동작을 도시한 동작설명도이다.
이 설명도에서 먼저 리세트 처리부(159)에 인가되는 전압이 L레벨 전압으로부터 H레벨 전압으로 변화하는 리세트 신호가 주어졌을 때에는 리세트 처리부(159)에 의하여 먼저 스텝(S10)이 실행된다.
스텝(S10)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상태를 정지상태로 설정한다.
이때, RAM(154)의 내용이 콘덴서(138)에서 백업되어 있으면 RAM(154)의 내용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스텝(S20)의 운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RAM(154)의 내용이 콘덴서(138)에서 백업되어 있지 않으면 RAM(154)에 ROM(155)의 초기 데이터를 전송한 후에 스텝(S20)의 운전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스텝(S20)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예컨대, 실온과 RAM(154)에 격납되어 있는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압축기의 운전을 제어하고, 실온과 설정치와의 차이로 송풍기의 송풍량을 제어하여, 타이머 운전시에는 시간의 계수 등을 행하는 것이다.
이어서, 스텝(S30)으로 진행하여 전원 전압이 4.75V로 강하하였는지의 여부, 즉, 정지 모드 처리부(160)에 인가되는 전압이 H레벨 전압으로부터 L레벨 전압으로 변화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원전압이 강하하고 있을 때에는 스텝(S40)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S40)에서는 기기의 OFF 상태로 한다.
즉, 공기 조화기를 정지상태로 한다.
이어서, 스텝(S50)으로 진행하여 인터페이스(156)의 동작을 정지한다.
이에 의하여 온도센서(142, 143)의 통전, 아날로그 데이터의 A/D 변환 동작, 리모콘 콘트롤러로부터의 입력을 정지한다.
이후, 스텝(S60)으로 진행하여 프로세서 유니트(153)를 정지모드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 정지모드를 해제하려면 리세트 신호를 리세트 처리부에 주어 행한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126)의 단자(REST)에는 H레벨 전압이 인가된 채이므로, 마이크로컴퓨터(126)의 프로세서 유니트(153)는 안정상태에 있고, 마이크로컴퓨터(126)의 소비 전류를 500μA 정도로 감소시킬 수있다.
마이크로컴퓨터(126)의 단자(REST)에 L레벨의 전압을 인가한 채로는 약 100mA의 전류 소비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행하고 있을 때에 정전이나 전원의 차단에 의하여 마이크로컴퓨터(126)에 공급되어 있는 전압이 4.75V 내려가면, 즉시 IC(124)의 단자(RES1)의 출력이 H레벨 전압으로부터 L레벨 전압으로 변화하면, 마이크로컴퓨터(21)는 스텝(S40∼S60)의 동작에 따라 정지모드가 된다.
따라서, 이 공기 조화기는 콘덴서(138)에 축적된 전하가 방전할 때까지의 사이에 RAM(154)에 저장된 데이터가 보존되는 것이다.
이후, RAM(154)의 데이터가 보존되어 있는 중에 정전의 복귀 또는 전원의 공급이 재개되면, 마이크로컴퓨터(126)의 단자(REST)에 인가되는 전압이 L레벨 전압으로부터 H레벨 전압으로 변화하는 리세트 신호가 주어져 스텝(S10)의 기동처리가 행하여진다.
RAM(154)의 내용은 콘덴서(138)에서 백업되어 있었으므로, 그대로 다시 운전이 실행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에지 트리거에 의한 신호가 리세트 단자에 주어져서 프로그램에 의거한 동작을 개사하는 프로세서 유니트 및 이 프로세서 유니트와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하는 휘발성의 메모리를 가지며, 이 휘발성 메모리의 구동을 우선하여 유지하면서 일부의 기능의 동작을 정지하여 전력소비를 억제하는 정지모드를 갖춘 마이크로컴퓨터에 있어서, 이 마이크로컴퓨터의 주변회로에 마이크로컴퓨터에의 전력공급을 전원의 차단시로부터 적어도 일정시간 유지하는 백업회로와, 마이크로컴퓨터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회로를 설치하여, 이 전압검출회로가 검출한 전압치가 마이크로컴퓨터의 동작보증전압 가까이까지 저하하였을 때에 마이크로컴퓨터를 상기 정지모드로 되게함과 동시에, 이 정지모드 중에는 리세트 단자에 백업회로로부터 전력을 공급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전원전압이 저하하여 마이크로컴퓨터가 동작불량이 되기전에 이 마이크로캄퓨터를 정지모드로 하여, 휘발성 메모리의 구동을 우선하여 메모리내의 데이터의 보호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다른 기능의 동작을 일부 정지하여 전력소비를 억제하므로, 백업기능의 용량을 적게 하여도 장시간의 백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프로세서 유니트와 비휘발성 메모리(ROM)와 휘발성 메모리(RAM)와 백업회로를 가진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 다수의 전자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이며, 상기 프로세서 유니트는, 상기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발생되는 리세트 신호가 상기 프로세서 유니트에 전달되면 수행되는 상기 시스템의 기동처리 및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를 위한 메인처리를, 사전설정된 프로그램 및 상기 다양한 데이터에 따라 수행하는 프로세서 유니트이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기동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기동 프로그램, 메인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메인 프로그램 및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조건을 초기화하기 위한 초기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유니트가 메인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전자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상기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백업회로는, 시스템의 전원이 차단된 후 적어도 소정시간 동안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대해 전력을 유지하게 되는 전원차단후 및 차단시의 기동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작동조건을 초기화시키기 위한 상기 초기 데이터는 상기 시스템을 정지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기동 프로그램의 실행중에 상기 프로세서 유니트에 의해 판독되는 제1데이터(DA0)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휘발성 메모리는 제2데이터(DAA)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기동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 유니트를 초기화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제1 및 제2데이터를 판독하여 양 데이터가 서로 다른가를 판정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데이터가 제2데이터와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2단계에 후속하여 메인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제3단계, 상기 제1데이터가 제2데이터와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제2단계에 후속하여 상기 휘발성 메모리내의 전자기기 제어용 다양한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내의 초기 데이터로 바꾸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에 후속하여 휘발성 메모리내의 제2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내의 제1데이터로 바꾸고 메인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후 및 차단시의 기동처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유니트의 작동을 부분적으로 정지시키므로써 상기 시스템에서의 전력 소비를 줄이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작동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유지되는 정지상태, 및 상기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여 전원의 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강하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프로세서의 작동모드를 상기의 정지상태로 바꾸고, 상기 정지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백업회로로부터 전원을 사용하여 높거나 낮은 디지털 신호가 상기 프로세서의 단자에 리세트되도록 하는 전압감지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후 및 차단시의 기동처리시스템.
KR1019900005567A 1989-04-20 1990-04-20 전원차단후 및 차단시의 기동처리시스템 KR960015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0755A JPH02278412A (ja) 1989-04-20 1989-04-20 電源遮断時の処理方式
JP1-100756 1989-04-20
JP1-100755 1989-04-20
JP1100756A JPH02278411A (ja) 1989-04-20 1989-04-20 電源遮断後の起動処理方式
JP1-233295 1989-09-08
JP1233295A JPH0395601A (ja) 1989-09-08 1989-09-08 電源遮断時の処理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837A KR900016837A (ko) 1990-11-14
KR960015777B1 true KR960015777B1 (ko) 1996-11-21

Family

ID=2730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567A KR960015777B1 (ko) 1989-04-20 1990-04-20 전원차단후 및 차단시의 기동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393631B1 (ko)
KR (1) KR960015777B1 (ko)
DE (1) DE69029005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873B1 (ko) * 2008-12-09 2015-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 전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796B1 (ko) * 1995-05-12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리얼이이피롬리드/라이트장치및그방법
DE19601804A1 (de) * 1996-01-19 1997-07-2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wachen einer elektronischen Recheneinheit
GB9713094D0 (en) 1997-06-21 1997-08-27 Philips Electronics Nv Optical disc drive
JP3701776B2 (ja) * 1997-08-05 2005-10-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搭載の車載電装機器
KR100319870B1 (ko) * 1999-08-23 2002-01-10 윤종용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의 안전 처리방법
JP3838055B2 (ja) * 2001-05-24 2006-10-2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用制御装置
FR2915590B1 (fr) * 2007-04-24 2009-07-10 Schneider Electric Ind Sas Systeme et methode pour gerer le redemarrage d'un equipement d'automatis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297B2 (ja) * 1985-08-23 1995-05-1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4763333A (en) * 1986-08-08 1988-08-09 Universal Vectors Corporation Work-saving system for preventing loss in a computer due to power interrup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873B1 (ko) * 2008-12-09 2015-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 전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93631A3 (en) 1992-02-26
EP0393631A2 (en) 1990-10-24
DE69029005D1 (de) 1996-12-05
KR900016837A (ko) 1990-11-14
EP0393631B1 (en) 1996-10-30
DE69029005T2 (de)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1134A (en) Digital thermostat with protection against power interruption
US4939909A (en) Control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EP0690363B1 (en) Extended clock termostat
KR960015777B1 (ko) 전원차단후 및 차단시의 기동처리시스템
JPH1153270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搭載の車載電装機器
US5227981A (en) Initial process system after cutoff of power source and process system at the time of cutoff of power source
US4432030A (en) Short circuit protection system
JP3463427B2 (ja) 内外分離型空気調和装置
KR102206466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JPH0625626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H1030563A (ja) 圧縮機用ヒータの制御装置
KR920006045B1 (ko) 순간 정전시 압축기 구동 지연 방법
JPH05164058A (ja) 空気調和機
JP2000092699A (ja) 電源回路
CN112805658A (zh) 电源检测电路控制方法以及电路系统
JPH08178391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013672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1145370A (ja)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JPS62238938A (ja) 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930003737B1 (ko) 공기청정기의 공기청정상태 인식장치 및 방법
JPS62100804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
JP3051284B2 (ja) 停電制御装置
JP2600379Y2 (ja) 自動車のエンジンルーム換気装置
JP7095555B2 (ja) 空気調和機
JPH013488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