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5328B1 - 면봉 자동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면봉 자동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5328B1
KR960015328B1 KR1019940006338A KR19940006338A KR960015328B1 KR 960015328 B1 KR960015328 B1 KR 960015328B1 KR 1019940006338 A KR1019940006338 A KR 1019940006338A KR 19940006338 A KR19940006338 A KR 19940006338A KR 960015328 B1 KR960015328 B1 KR 960015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swab
carrying
cotton
hand
sw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454A (ko
Inventor
최계돈
Original Assignee
최계돈
허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계돈, 허옥자 filed Critical 최계돈
Priority to KR1019940006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5328B1/ko
Publication of KR95002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면봉 자동 제조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 면봉 제조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인 측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 면봉 자동제조장치에 적용되는 트랜스퍼로봇의 작동상태를 보인 설명도로써,
(a)는 트랜스퍼로봇의 초기상태를 보인 측면도.
(b)는 트랜스퍼로봇이 이송되오는 제품을 잡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c)는 트랜스퍼로봇이 제품을 포장대내에 적대시키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 트랜스퍼로봇의 핸드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제 4 도는 본 발명 트랜스퍼로봇의 핸드 결합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단면도.
제 5 도 (a) (b)는 본 발명 트랜스퍼로봇의 핸드가 이송체인과 함께 이동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 6 도 (a) (b)는 본 발명 트랜스퍼로봇의 핸드가 제품을 잡는 과정을 보인 설명도.
제 7 도는 트랜스퍼로봇으로부터 이송되오는 제품을 단계적으로 적층시키기 위한 리프터테이블의 구성을 보인 확대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건조실의 구성을 보인 요부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면봉 100 : 호퍼
200 : 성형부 300 : 반출부
310 : 이송콘베이어벨트 400 : 건조실
421, 422 : 가열부재 500 : 트랜스퍼로봇
510 : 캐리지 512 : 구동모우터
513 : 회동캠 520 : 핸드
522 : 슬라이더 523 : 클러치대
524 : 복원수단 530 : 핑거
532 : 집게판 533 : 작동대
534 : 솔레노이드 535 : 받침핀
536 : 파지핀 600 : 리프터테이블
610 : 탑재판 611 : 로울러
620 : 승강구동안내대 621: 정역모우터
622 : 승강캠 623 : 계수캠
700 : 포장상자 800 : 보조콘베이어벨트
본 발명은 귀이개 또는 위생용 소독면솔 및 약물 도포용 의면솔로 사용되어지는 각종 면봉의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면봉을 형성하는 스틱 양측에 면솜유구체가 완성된 후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변형방지제의 침습 및 건조공정과 정열 및 일차포장의 공정을 기계적인 연속공정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전공정을 무인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원가를 낮추고 상품성을 높이어 국제경쟁력을 기대할 수 있는 면봉 자동제조장치인 것이다.
목제 또는 수지로되는 스틱의 양측에 면섬유의 구체를 형성하는 기존의 면봉 제조 장치는 국내외를 비롯하여 여러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면봉 자동 제조장치들의 구성을 요약하면, 통상스틱, 즉 적당한 길이를 가지는 목제나 합성수지 관체로 이루어지는 스틱을 공급하면서 이의 양단부에 열가공으로 괘면돌기를 형성시킨 후 공급하는 스틱공급부와 별도로 공급되는 타면솜을 상기 스틱에 공급하여 스틱의 양측에 면섬유구체를 형성하는 성형부로 구성되어지며,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적당한 길이로 재단된 스틱을 호퍼에 적재시키고, 이렇게 호퍼에 적재된 스틱을 호퍼 하부에 연이어 설치되는 제 1 공급기어로 하여 낱개로 끌어내어 제 2 공급기어에 공급시킨다. 그리고 제 2 공급기어에 실어진 스틱은 적당한 회전반경으로 경로를 가지고 이송되는데, 이때 제 2 공급기어의 회전반경 정점 양측에 가열성형부가 설치되어 이송되오는 스틱의 양 단부가 가열성형부에서 스틱의 양측 표면이 부분적으로 열가공되어 괘면돌기가 형성된다. 또 이렇게 양단의 표면에 괘지돌기가 형성된 스틱이 마찰휠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미끄럼 이동되는 유성 운동방식의 이송을 하게 하고, 이 스틱의 이송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타면솜 공급로울러가 설치되어 있어 스틱이 이송되는 경로상으로 면섬유를 연속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양측으로 공급되는 면섬유의 공급로상으로 스틱이 구름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스틱의 양측에 형성된 괘면돌기가 면섬유를 걸어넘으면서 휘말아 감아 스틱의 양단에 소정크기의 면섬유구체가 형성되어져 목적하는 면봉을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제조된 면봉의 양단에 형성된 면섬유 구체는 제조과정에서 변형방지 또는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변향방지제가 필연적으로 침투되고 있는데, 이러한 변형방지제는 액상으로 되어 있어, 즉 면섬유구체가 젖게 되어 이를 별도의 건조장치에 의해 건조시키고 있다. 그러한 건조장치는 제조장치의 후단에 연이어 설치되는 이송콘베이어벨트의 적당한 위치에 터널형으로 설치되어 통과되는 면봉을 건조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건조장치는 통산 복사열 또는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실을 전체적으로 가열 건조시키고 있는 것으로, 열손실이 많고 연료비용이 많이 들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건조효율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다.
또 이러한 면봉 제조장치는 면봉의 제조에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였으나, 제조 완료된 완제품의 최종처리, 즉 제조장치로부터 떨어지는 완제품을 반출시키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다. 더 상세하게는 현재의 면봉 제조장치는 일반적으로 제조 완료된 완제품(면봉)을 제조장치의 말단부에 연이어 설치되는 이송콘베이어 벨트로 받아내고 이렇게 받아내진 완제품을 이송콘베이어 벨트상에서 작업자가 수공적으로 하나씩 들어내거나, 또는 이송콘베이어벨트의 말단에 수거박스를 설치하여 낙하되는 것을 받아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완제품을 받아내는 방법은 본 제품의 특성상 위생용품으로써 제조작업에 청결성이 매우 중요시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제조되어 나오는 완제품을 작업자가 손으로 들어내고 또는 수거박스내로 떨어뜨리어 면봉의 솜뭉치에 이물질등이 묻어나 위생용품으로서의 치명적인 문제점을 주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된 제조장치에서는 반출된 완제품을 포장대내에 수공적으로 집어넣는 것으로, 그 포장작업이 비능률적이고 작업성이 낮아 생산률이 저하되어 결함이 있을 뿐 아니라, 완제품의 갯수를 세어서 담는 것으로 포장작업이 극히 원시적이고 수공적이어 포장능률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비위생적인 결함이 있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결함이 있었다.
그리하여 외국에서는 제조장치의 최종단계에서 진공흡착식의 트랜스퍼로봇을 이용하여 완제품을 반출처리케 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낱개의 스틱을 진공이 작용하는 흡입홀에 의해 흡착식으로 끄집어내고 있는데, 이 경우 스틱에 정밀도가 요구되고 스틱의 구경이 균일하지 않을 경우에는 반출에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국내에서 수지관체로 되는 스틱의 경우에는 외경이 일정하지 못하여 자동화가 불가능하고, 그시설비도 고가이어 소규모 중소기업에서는 시설하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큰것이였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제조 완료되어 나오는 면봉을 물리적인 집게방식으로 하여 반출공정이 정확하고도 능률적이 되도록 한 면봉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최종단계의 이송콘베이어벨트상에서 반출되는 완제품을 계수하여 포장대에 직접 적층식으로 집어넣게 하여 포장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면봉 자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면봉을 에너지 손실 없이 효과적으로 건조를 이룰 수 있는 면봉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면봉을 제조하는, 즉 면봉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하게 되는데, 이 면봉 제조장치는 소정의 길이로 재단된 스틱이 적재되는 호퍼와, 이의 호퍼 하부에 연이어 설치되어 호퍼내의 스틱을 낱개로 끄집어내는 제 1 공급기어와, 제 1 공급기어로부터 공급되는 스틱을 받아 회전 정점에서 스틱의 양단부에 표면에 열가공으로 괘면돌기를 형성시키는 제 2 공급기어가 연이어 설치되며, 그리고 제 2 공급기어로부터 스틱을 받아 자전과 공전을 이루게 하며서 그 회전 정점 위치의 양측에서 공급되는 면섬유 감아 스틱의 양단에 면섬유 구체가 형성되는 마찰휠이 설치되어 있다. 마찰휠에는 또한 그 후방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마찰휠로부터 흘러나오는 완제품을 받아내는 체인형상의 이송큰베이어 벨트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송콘베이어 벨트의 선단부에는 이송콘베이어벨트상으로 이송되는 완제품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면섬유구체의 이동경로 상하측 근접된 위치에 가열부가 배열된 건조실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콘베이어벨트의 선단부에는 이송콘베이어벨트상으로 이송되는 완제품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면섬유구체의 이동경로 상하측 근접된 위치에 가열부가 배열된 건조실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콘베이어벨트의 후방 적당한 위치 일측에 그 이송콘베이어벨트의 이송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밀려들어가고 물러남과 아울러, 이송콘베이어벨트상으로 내려가고 올라가면서 기계적인 집게방식으로 제품을 집어내는 핸드를 가지는 트랜스퍼로봇이 설치된다. 또 트랜스퍼로봇과 대응하는 이송콘베이어벨트 타측에는 트랜스퍼로봇으로부터 반출되는제품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받아내는 리프터테이블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면섬유구체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키고 제품을 물리적인 집게방식으로 집어내어 반출시킨과 동시에, 반출되는 제품수를 계산하여 직접 포장대에 임이적이고 선택된 수량을 계산하여 집어넣어 포장을 간편히 이루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면봉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이 제조장치는 크게 나누어 적당한 크기로 재단된 합성수지관체의 튜브로 이루어지는 스틱이 적재되어 호퍼(100)와, 이의 호퍼(100)로 부터 스틱을 공급받아 그 양단에 괘면돌기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양단에 면섬유구체를 말아감는 성형부(200)와, 성형이 완료된 완제품을 반출시키는 반출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게 구성되는 것은 일반적인 제조장치와 같다.
호퍼(100)는 장치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소재, 즉 스틱을 소정량 적재시키고 있다. 성형부(200)측에 낱개로 공급시키게 될 것이다.
성형부(200)는 적당한 형태를 가지고 짜여지는 프레임(201)에 설치되어 별도의 구동모우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적당한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 1 공급기어(210)와 제 2 공급기어(220), 그리고 마찰휠(230)과 타면솜을 공급시키는 공급로울러(230)들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중 제 1 공급기어(210)는 호퍼(100)의 하부에 파고들어가 연이어 설치되어 호퍼내에 적재되어 있는 파지봉을 제 1 공급기어(210) 개개의 치차에 의해 낱개로 끄집어내어 제 2 공급기어(220)측으로 공급시킨다. 그리고 제 2 공급기어(220)에 실어진 스틱은 제 2 공급기어(220)의 회전원주를 따라서 이송되다 정점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발열봉(221)에 접촉되어 통과 되면서 그 스틱의 양단 표면을 열가공으로 까칠까칠한 괘면돌기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양단부에 괘면돌기가 형성된 스틱은 제 2 공급기어(220)와 연이어 설치되는 마찰휠(230)에 공급되어 그 마찰휠(230)에 표면에 접착되어 스틱이 마찰휠의(230)의 원주를 따라서 강제적으로 구름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름 이동하는 파지봉이 미찰휠(230)의 회전 정점위치에 이르게 되면 그 마찰휠(23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타면솜 공급로울러(240)으로부터 공급되는 면섬유의 상면으로 구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스틱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괘면돌기가 관상으로 공급되는 면섬유를 걸어 교차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틱의 양단에 소정크기의 면섬유구체가 구성되어져 목적하는 면봉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면봉의 제조과정도 같은 방법이다.
또 성형부(200)에서 제조가 완료된, 즉 스틱의 양단에 면섬유구체가 구성된 완제품의 면봉은 마찰휠(230)을 따라서 계속 구름 이동하여 그 성형부(200) 후방에 연이어 설치되는 반출부(300)로 반송된다.
반출부(300)은 적당한 길이를 가지고 수평적으로 설치되어 성형부(200)로부터 제조되어 나오는 면봉을 체인형 이송콘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이송시킨다. 그리고 이의 반출부(300) 선단측에 면봉의 양측에 형성된 솜뭉치를 건조시키는 건조실(400)를 구비하고 있고, 반출부(300)의 중앙부로부터 후단에 이르는 사이에는 완성된 면봉(10)을 반출부(300)으로부터 물리적인 집게방식으로 집어내는 트랜스퍼로봇(500)과, 트랜스퍼로봇(500)으로 집어내는 완제품 면봉(10)을 받아 포장시키는 리프터테이블(600)을 구비하고 있다.
체인형 이송콘베이어벨트(310)는 반출부(300) 양측면 전후방 전장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성형부(200)로부터 제조되어 나오는 면봉(10)을 낱개로 받아 이송시키면서 트랜스퍼로봇(500)으로 완제품의 면봉(10)을 일시에 다량으로 집어내어 반출시키게 될 것이다.
제 2 도는 트랜스퍼로봇(500) 구조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트랜스퍼로봇(500)은 반출부(300)의 완제품 이송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501)을 따라 구동하는 캐리지(510)와, 이의 케리지(510) 후단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는 수직대(511)를 지축으로 하여 상하측에 병렬로 설치되는 한쌍의 수평대(502)를 이용하여 승강구동하는 핸들(520)로 구성되어 있다.
캐리지(510)는 별도의 구동모우터(512)로 구동하는 회동캠(513)과 연결되어 작동링크(514)에 의해 소정의 스크로크내에서 왕복동작을 이루며 반출부(300)와 리프터테이블(600) 상으로 들어갔다 나왔다 하면서 반출부상으로 이송되는 완제품의 면봉(10)을 반출시키는 작동을 이루게 되며, 캐리지(510)의 복귀를 감지하는 복귀감지부재(515)를 캐리지의 스크로크 후단에 설치하고 있다.
또 핸드(520)는 캐리지(510)의 수직대(511)에 그 수직대를 지축으로 하여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대(502)으로 설치되어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스크로크내에서 승강동작을 이루게 되는데, 이 핸드(520)는 적당한 평면적 너비를 가지고 연직면상으로 설치되고 수평대(502) 선단 각각이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521)와, 이의 베이스(521)내에 수평선상, 즉 반출부(300)의 이송콘베이어벨트(310) 이송방향과 병행하게 소정의 스트로크를 가지고 구동하는 슬라이더(522)와, 이 슬라이더(522)에 일체로 설치되어 반출부(300)로 이송되오는 면봉(10)을 직접 집게식으로 핑거(530)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핸드(520)는 캐리지(510)상에 탑재되어 있는 승강캠(540)에 의해 상하로 승강구동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캐리지(510)상면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브래킷트(541)를 일테로 설치하고, 이의 브래킷트(541)의 후면으로는 승강구동모우터(542)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며, 전면으로 그 승강구동보우터(542)와 다단의 동력전달부재(543)로 연결되어 적당한 속도로 변속 회전하는 승강캠(540)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의 승강캠(540)의 작성부에는 트랜스퍼로봇(500)의 수평대(502)중 상측의 수평대(502)상에 가로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503)를 설치하고, 이의 고정플레이트(503)에 승강캠(540)과 구름접촉되어 승강캠(540)이 회전함에 그 승강캠(540)의 변화되는 회전반경을 따라서 핸드(520)을 소정의 스트로크내에서 상하측으로 들어올리고 내리는 승강 구동력을 전달하는 로울러(504)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핸드(520)의 승강작동은 핸드(520)의 핑거(530)를 반출부(500)의 이송콘베이어벨트(310)상으로 내리고 들어올리면서 이송콘베이어벨트상으로 이송되오는 면봉(10)을 집어내고, 그리고 집어내진 면봉(10)을 리프터테이블(600)상에 놓여진 포장상자(700)내로 집어넣는 동작을 이루게 될 것이다.
또 반출부(500)의 일측에는 이송콘베이어벨트(310)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그 이송콘베이어벨트(310)와 함께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는 보조콘베이어벨트(800)를 설치하고 있고, 이의 보조콘베이어벨트(800)는 상기 이송콘베이어벨트(310)와 동일한 형태의 체인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리고 핸드(520)의 슬라이더(522)에는 하향으로 클러치대(523)를 연장설치하여 핸드(520)가 올라가고 내려가는 것에 따라서 보조콘베이어벨트(800)에 붙었다, 떨어졌다 하며 보조콘베이어벨트(800)의 구동력 전달을 슬라이더(522)에 단속시키게 한다. 이러한 클러치대(523)는 보조콘베이어벨트(800)에 결합시 그 보조콘베이어벨트(800)의 이송력이 슬라이더(522)에 그대로 전달되어 이후에 설명할 집게동작, 즉 핸드(520)의 핑거(523)가 이송콘베이어벨트(310)상으로 이송되오는 완제품의 면봉(10)을 집어내는 동작시 그 핑거(523)가 이송콘베이어벨트(310)와 함께 이동하면서 면봉(10)을 잡아내는 작동을 이루게 하고 있다. 그리고 핑거(523)가 면봉(10)을 잡는 동작을 완료하면 이와 동시에, 핸드(520)는 이송콘베이오벨트(310)로부터 들어지는데, 이때 들어올려진 핸드(520)는 일측으로 밀려와 있다 다시 복원된다. 다시 설명하면 제 5 도에서와 같이 베이스(521)내에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더(522)는 이송콘베이어벨트(310)와 핸드(520)의 클러치대(523)가 결합됨과 동시에,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잡는 동작을 완료하면 곧바로 올라가 이송콘베이어벨트(310)를 벗어나고, 클러치대(523)이 보조콘베이어벨트(800)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슬라이더(522)는 복원수단(524)에 의해 초기상태로 다시 원상복귀되어 다음 반출동작을 대기한다. 여기서 복원수단(524)은 별도의 제어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하는 에어실린더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고 있는데, 그 이외 복원력을 가지는 기구물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핑거(530)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서와 같이 핸드(520)의 슬라이더(522) 전면에 하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판(531)과, 이의 수직판(531)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막대형상의 집게판(532)과, 그리고 이의 집게판(532)은 그 내부 중앙에 그 집게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대(533)를 설치하여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해 구동하는 솔레노이드(534)와 하께 구동되게 하고 있다. 또 집게판(532) 저면 양측으로는 반출부(300)의 이송콘베이어벨트(310)상으로 끼어들어가 집어낼 면봉(10)의 일측을 받쳐주는 한쌍의 받침핀(535)을 등간격으로 수열설치하고 있고, 작동대(533) 저면 중앙으로는 상기 받침핀(535) 사이의 중앙 위치에 설치되어 면봉(10)의 타측으로 붙었다 떨어졌다 하며 물음력을 가하고 풀어주는 파지핀(536)을 일렬로 설치하여 면봉의 스틱을 삼각지점에서 안정되게 잡아주게 하고 있다. 이때 파지핀(536)을 구동시키는 작동대(533)는 제어장치에서 제조되어 나오는 면봉의 수를 카운트를 이루고 선택된 카운트를 이루고난 후 잡아주는 출력신호가 주어지면 솔레노이드(534)는 구동하여 제 6 도의 (b)에서와 같이 작동대(533)가 좌향으로 이동하여 물음력을 발생하여 면봉을 잡아주고 이렇게 하여 반출동작이 완료되면, 즉 이송콘베이어벨트상으로부터 면봉을 들어내어 리프터테이블(600)에 놓아진 포장상자(700)내에 면봉을 집어넣는 동작이 완료되면 곧바로 제어장치에 의해 솔레노이드(534)는 오프(OFF)됨과 동시에 집게판(532)상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복원스프링(537)에 의해 제 6 도의 (a)에서와 같이 초기위치로 원상복귀된다. 이때 핑거(530)는 별도의 카운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반출하고자 하는 완제품의 면봉을 선택적으로 계수하여 일시에 다량으로 반출동작을 이루고, 이렇게 트랜스퍼로봇(500)으로부터 집어내지는 반출품은 트랜스퍼로봇(500)과 대응하는 위치, 즉 반출부(300)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리프터테이블(600)상에 놓여져 있는 포장상자(700)내에 넣어 포장공정을 이루게 될 것이다. 그리고 핑거(530)의 파지핀(536)은 받침핀(535)보다 다소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파지핀(536)을 철사가 아닌 코일스프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 7 도에는 리프터테이블(6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리프터테이블(600)은 포장상자(700)가 실어지는 답재판(610)과, 이의 다재판(610)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안내대(620)로 구성되어 있다. 탑재판(610)과, 이의 탑재판(610)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안내대(620)로 구성되어 있다. 탑재판(610)은 이송콘베이어벨트(310)와 병행한 수평방향으로 적당한 폭과 길이를 가지고 소폭의 판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승강구동안내대(620)는 탑재판(610)과는 교차하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그 탑재판(610)의 승강구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탑재판(610)은 승강구동안내대(620)에 설치되어 있는 정역모우터(621)에 의해 구동하는 승강캠(622)에 구름접촉되어 그 승강캠의 변화되는 회전반경을 따라서 구동하는 로울러(611)에 의해 승강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탑재판(610)의 승강작용은 포장상자(700) 내에 일렬로 넣어져 계층으로 쌓어지는 완제품의 면봉(10) 적층렬에 따라서 탑재판(610)이 점차 내려가며 트랜스퍼로봇(500)으로부터 집어내지는 면봉을 받아들이게 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최초로 제조되어 나오는 완제품의 면봉(10)은 반출부(300)로부터 집어내어져 리프터테이블(600)상에 실어져 있는 포장상자(700)에 넣어진다. 이렇게 넣어지는 1차 반출 면봉은 포장상자의 바닥면에 깔아지고, 2차로 넣어지는 면봉은 1차 깔아진 면봉상에 적재되는데, 이때 그 2차 반출된 면봉의 적재 높이가 변화된다. 즉 면봉의 두께만큼 높이가 높아지는데, 이렇게 적재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리프터테이블(610)이 면봉 두께만큼 낮아지게 하면 면봉의 적재 층렬에 따라 점차적으로 내려앉으며 반출물을 받아들이게 한다. 이러한 리프터테이블(600)은 트랜스퍼로봇(500)이 완제품의 면봉을 반출부(500)상으로부터 집어내짐과 동시에 그 반출신호를 제어장치가 감지하고, 이의 반출감지 출력신호가 정역모우터(621)를 구동시키어 탑재판(610)을 하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반출되는 회수, 즉 반출되는 면봉의 적층렬을 승강캠(622)와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는 계수캠(623)의 회전수를 감지부재(624)가 감지하여 그 적재 층렬을 계수하고 포장상자에 선택된 적재가 완료되면 그 적재완료신호를 제어장치가 정역모우터(621)에 전달하여 상기 적재시와는 반대방향으로 승강캠(622)을 역전시키어 탑재판(610)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고 다음 포장을 대가하게 될 것이다.
제 8 도에서는 건조실(4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건조실(400)은 통상에서와 같이 성형부(200)로부터 나오는 면봉(10)을 받아내어 반출시키는 반출부(300)의 초기위치에 적당한 길이를 가지고 설치되는데, 이 건조실(400)은 반출부(300)의 이송콘베이어벨트(310)가 지나는 주위를 가능한 열손실을 억제하는 단열주벽(410)으로 감싸아 외부와 차단된 건조공간을 제공하고 있고, 이의 건조실(400)의 내벽 양측에는 가열부재(421)(4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열부재(421)(422)는 이송콘베이어벨트(310)에 실어져 이송되는 면봉(10)의 양단에 구비된 면섬유구체가 통과되는 경로상에 가능한 근접하게 설치되어 면봉(10)의 상하면을 고루 가열시키게 될 것이다.
그러면 본 발명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서 스틱의 양단부에 면섬유구체를 말아주는 성형부(200)는 기존 장치와 동일한 것으로 설명을 생략하겠다. 성형부(200)에서 제조되어 나오는 면봉(10)은 성형부(200) 후단부에 곧바로 연이어 설치되는 반출부(300)의 이송콘베이어벨트(310)으로 공급되고, 반출부(300)상에 실어진 면봉(10)은 반출부(300) 초기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건조실(400)을 통과하며 성형부(200)에서 솜뭉치를 말아감는 공정에서 솜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 결합제(처리제)에 의해 다소 습기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순간적으로 건조시킨다. 이렇게 건조실을 통과하면 면봉의 제조공정은 완료된다. 그리고 이렇게 제조완료된 면봉(10)은 반출부(300)의 이송콘베이어벨트(310)를 타고 계속하여 운반되어 반출장소로 이송되는데, 이때 제조되어 나오는 면봉을 별도의 제어장치에서 계수하고 있다. 포장하고자 하는 선택된 갯수(포장상자에 적층식으로 담기 위한 면봉의 일렬을 구성하는 면봉 갯수)가 계수되면 그 계수완료신호가 트랜스퍼로봇(500)의 승강모우터(542)를 구동시키어 핸드(520)을 제 5 도의 (a)에서 2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이송콘베이어벨트(310)상으로 하강시킨다. 이때 핸드(520)의 하강이 완료됨과 동시에 핸드(520)에 구비되어 있는 클러치대(523)는 제 5 도의 (b)에서와 같이 반출부(300)의 보조콘베이어벨트(800)와 결합되어 핸드(520)의 슬라이더(522)를 이송콘베이어 밸트(310)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때 핸드(520) 핑거(530)의 받침핀(535)은 면봉 튜브 좌측단에 접촉되어 있고, 파지핀(536)은, 면봉 튜브 우측에 다소 간격을 유지하여 제 6 도의 (a)에서와 같이 위치되어 튜브를 잡는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즉 핸드(520)가 하강되어 면봉(10)의 사이사이에 핑거(530)가 위치됨과 동시에, 그 핸드의 하강동작을 감지하여 곧바로 제어장치에서 출력신호를 발생하여 핑거(530)의 솔레노이드(534)를 구동시킨다. 이렇게 출력신호를 받아 솔레노이드(534)가 구동되면 집게판(532)내에 설치도어 있는 작동판(533)은 제 6 도의(b)에서와 같이 좌향으로 끌리어가 파지핀(536)을 면봉에 가압하여 물리적으로 잡아주게 된다. 이러한 면봉의 파지동작은 상기에서와 같이 핸드를 지속적으로 이동하는 이송콘베이어벨트(310)와 같이 이동시키면서 진행중에 이루워 면봉의 파지동작을 무리없이 이루게 된다.
그리고 핸드(520)의 파지동작을 완료하면 그 신호를 제어장치에서 감지하고 트랜스퍼로봇(500)의 승강모우터(542)를 다시 구동시키고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캠(540)을 회동시키어서 하강되어 있던 핸드(520)를 반출부(500)상으로 들어올리고, 핸드(520)의 상승동작이 완료되면, 이와 동시 제어장치에서 캐리지(510)의 구동모우터(512)에 구동신호를 주어 캐리지(510)의 회동캠(513)를 구동시키고 제 2도의 (c)에서와 같이 캐리지(510)를 밀어내어 핸드(520)가 반출부(300)상에서 리프터테이블(600)의 탑재판(610)상으로 위치되게 한다. 이때 핸드(520)의 위치는 탑재판(610)에 실어져 있는 포장상자(700)상에서 위치되어 포장상자내에 제조완료된 면봉을 집어넣는 동작을 대기하게 되는데, 핸드(520)가 포장상자상에 이르면 이를 제어장치에서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에 의해 승강모우터(542)를 다시 구동시키어 핸드(520)의 핑거(530)를 포장상자내에 내려보내고 핑거가 포장상자내에 완전히 내려가면 그 하강동작 완료신호를 제어제장치가 감지하여 핑거(530)의 솔레노이드(534)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시킨다. 그리고 솔레노이드(534)에 전원이 차단되면 작동대(533)는 복원스프링(537)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잡고있던 면봉(10)을 포장상자내에 내려 놓게 괸다. 이렇게 하여 반출공정을 이루고 트랜스퍼로봇(500)은 다시 초기위치로 복원되어 다음 반출공정을 이루게 되는데, 다음 반출되는 제품은 먼저 포장상자내에 놓아진 면봉렬 그 위에 적층식으로 계속하여 적재된다. 이때 계속 반출되는 반출제품은 먼저 놓아진 렬 상측으로 적재되게 되는데, 이렇게 계속적으로 쌓여지는 적층렬은 그 높이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쌓아지는 적층렬 높이만큼 탑재판(610)이 내려앉게, 즉 핸드(520)가 반출부(500)로부터 제품을 집어내어 포장상자상에 이르면 이를 제어장치에서 감지하여 리프터테이블(600)의 정역모우터(621)를 구동시키고, 이의 정역모우터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캠(622)이 동작하여 탑재판(610)을 제 7 도에서와 같이 면봉의 두께만큼 내리면서 반출되는 제품을 동일한 핸드의 핑거 하강위치에서 받아들인다. 또 현재 포장상자내에 적층되어 있는 적층렬 층수를 계수캠(623)이 계수하여 포장상자내에 선택된 적재가 완료되면 승강캠(622)은 상기와는 역전으로 회전하여 탑재판(610)을 최초 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제조되어 나오는 제품(10)을 트랜스퍼로봇(500)과 리프터테이블(600)을 이용하여 반출공정과 포장공정까지 완료하여 제조 전공정을 기계적이고 자동화 하므로서, 생산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반출부(500)상으로 나오는 완제품의 면봉(10)을 기계적이고 물리적으로 구동하는 트랜스퍼로봇(500) 핸드(520)의 핑거(530)로 집어내게 하므로서, 종래 진공방식의 반출공정에서 제품에 정밀도가 요하던 것을 본 발명에서는 다소의 오차가 발생하여도 호환성 있게 제품을 집어내어 법용성이 우수하고, 반출공정을 안정되고도 정확히 이루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부(200)로부터 제조되어 나오는 완제품을 동일방향, 즉 스틱의 양단에 말아지는 면섬 유구체가 성형부(200) 양측에 구비되는 면섬유의 공급로울러(240)의 공급량에 따라 다소 기계적인 차이를 가질 수 있는데, 이렇게 면봉의 공급에 차이가 발생시에는 면봉(10) 양측의 면섬유구체의 크기가 완전 동일하여질 수 없는 것으로 양측의 크기가 크거나 작게 형성되나 각측의 크기는 균일하게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우측은 우측대로 좌측은 좌측대로 크기가 균일하게 제조되어 나오는 면봉을 동일방향으로 포장시키게 되므로서, 포장상자(700)내에 넣어지는 면봉이 같은 방향으로 적재되어 포장되는 제품에 모습에 균일성을 주어 상품의 균일성을 향상시키어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큰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같은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소정길이로 재단된 스틱이 적재되는 효과를 가지며, 이의 호퍼에 연이어 제 1 공급이어와 공급되는 튜브양단에 솜을 말아들일 흠집을 형성시키는 발열봉이 구비되어 있는 제 2 공급기어를, 그리고 회전 정점 양측에 타면솜을 공급시키는 공급로울러가 구비된 마찰휠을 순차적으로 설치한 성형부를 구비하고 일련의 연속공정으로 면봉을 제조하고, 제조완료된 면봉을 반출부를 통하여 반출시키도록 된 면봉 자동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출부의 선단부에 면봉이 지나는 통로 상하측 근절된 위치에 가열부재를 가지는 건조실과 ; 반출부의 후방측에 그 반출부 진행방향과 교차되게 설치되어 건조 완료되어 이송되오는 완제품의 면봉을 반출부상에서 물리적인 집게방식으로 집어내는 트랜스퍼로봇과 ; 트랜스퍼로봇으로부터 집어내지는 반출 제품을 적재되는 층렬에 따라 다단계적으로 하강하며 받아내어 포장작업을 이루게 하는 리프터테이블을 갖추어서 된 면봉 자동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트랜스퍼로봇은 반출부의 이송콘베이어벨트 이송방향과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별도의 구동모우터로 구동하는 회전캠에 의해 반출부상으로 밀려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캐리지와, 이의 키래지에 일제로 탑재되어 별도의 승강구동모우터로 구동하는 승강캠에 의해 반출부상으로 승강하면서 반출부로 이송되어 나오는 제품을 집어내어 동일방향으로 적재되게 한 핑거를 일체로 가지는 핸드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면봉 자동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리프터테이블은 승강구동안내대와, 이의 승강구동안내대에 자유로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별도의 정역모우터에 의해 구동하는 승강캠에 구름접촉되어 승강하는 탑재판을 갖추어서 된 것을 포함하는 면봉 자동 제조장치.
  4.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트랜스퍼로봇의 핸드에 반출부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핑거가 일체로 설치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이의 슬라이더에 핸드가 반출상으로 승강하는 것에 따라 반출부의 이송콘베이어벨트와 동속으로 이동하는 보조콘베이어벨트에 접탈되며 그 이동력을 슬라이더에 전달시키는 클러치대를 구비하여 핑거의 잡는 동작을 면봉의 이송을 따라가며 이동중에 이루어지게 한 것을 포함하는 면봉 자동 제조장치.
  5. 제 1 항 또는 7항에 있어서, 트랜스퍼로봇의 핸드에 설치되는 슬라이더가 면봉 이송과 함께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파지동작을 완료후 핸드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이동되었던 슬라이더를 복원수단으로 원상복귀 시키게 한 것을 포함하는 면봉 자동 제조장치.
  6.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핸드의 핑거는 소폭의 판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 양측에 한쌍의 받침핀을 가지는 집게판과, 이의 집게판내에 적당한 스트로크를 가지고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에 파지핀을 가지는 작동대와, 그 작동대를 잡는 동작을 이루기 위해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면봉 자동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핑거의 집게판 저면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받침핀 사이에 작동대 저면 중앙에 구비되는 파지핀이 위치되게 한 것을 포함하는 면봉 자동 제어장치.
  8. 제 1 항 또는 3항에 있어서, 리프터테이블의 탑재판이 포장상자내에 제품이 적층되는 적층렬이 증가되는 것에 따라서 제품의 두께만큼 하강되도록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면봉 자동 제조장치.
  9. 제 3 항 또는 8항에 있어서, 리프터테이블의 탑재핀이 제품의 적층을 계수캠으로 계수하고 선택된 적층이 완료되면 승강캠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원되게 한 것을 포함하는 면봉 자동 제조장치.
KR1019940006338A 1994-03-29 1994-03-29 면봉 자동 제조장치 KR960015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338A KR960015328B1 (ko) 1994-03-29 1994-03-29 면봉 자동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338A KR960015328B1 (ko) 1994-03-29 1994-03-29 면봉 자동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454A KR950026454A (ko) 1995-10-16
KR960015328B1 true KR960015328B1 (ko) 1996-11-09

Family

ID=19379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338A KR960015328B1 (ko) 1994-03-29 1994-03-29 면봉 자동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53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522A (ko) * 2018-02-12 2019-08-21 주은희 면봉 포장 가압 이송장치
KR102078202B1 (ko) * 2019-06-10 2020-02-17 이유미 개별 포장형 면봉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929B1 (ko) * 2020-11-05 2021-05-04 김종원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522A (ko) * 2018-02-12 2019-08-21 주은희 면봉 포장 가압 이송장치
KR102078202B1 (ko) * 2019-06-10 2020-02-17 이유미 개별 포장형 면봉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454A (ko) 199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08538B (zh) 一种贴面板热压设备
US3727853A (en) Film winding machine
ITBO950521A1 (it) Apparecchiatura e metodo per la formazione di gruppi ordinati di prodotti da alimentare a passo.
KR102098091B1 (ko)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ITBO20060194A1 (it) Apparato per formare un flusso continuo e cadenzato di gruppi di rotoli di carta ed altri prodotti opportunamente orientati, inizialmente singoli o preconfezionati, verso una macchina operatrice continua e ad alta produzione, quale una insaccatrice
CA2189093C (en) Method and machine for packaging cans or tubes
JPH0470228B2 (ko)
CN114671303A (zh) 一种全自动下纱换管的智能纺织系统
KR960015328B1 (ko) 면봉 자동 제조장치
JP2784029B2 (ja) 粗紡機におけるスライバ連続供給装置
JPS601265B2 (ja) 前紡機にケンス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
KR20060035589A (ko) 용기의 자동포장방법
CH669798A5 (ko)
CS210612B2 (en) Device for forming of groups of products
CN103158898B (zh) 一种双回转缓存包装机
JPH0214028A (ja) ボビン取り扱いシステム
IT9048283A1 (it) Metodo ed apparecchio per trasportare rocche da una macchina di stiro con falsa torsione.
CN107042910B (zh) 一种多尺寸物品包装机
CN113602868B (zh) 一种全自动的人造草坪高效打捆装置
JPS601426B2 (ja) 糸かせ絞り設備およびこれを用いるかせ移送方法
CN209857774U (zh) 一种排炮剪切、贴标一体机
ITBO960363A1 (it) Unita; di alimentazione di materiale di incarto
CN220033269U (zh) 一种络纱纸筒的下料排列装置
US5230209A (en) Method of conveying packages from draw false twisting machine
JPS63275725A (ja) 紡機における管替え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