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929B1 -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929B1
KR102247929B1 KR1020200146931A KR20200146931A KR102247929B1 KR 102247929 B1 KR102247929 B1 KR 102247929B1 KR 1020200146931 A KR1020200146931 A KR 1020200146931A KR 20200146931 A KR20200146931 A KR 20200146931A KR 102247929 B1 KR102247929 B1 KR 102247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cking
rod
specimen
support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riority to KR102020014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8Swabs having a stick-type handle, e.g. cotton tips
    • A61F13/385Apparatu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5/00Auxiliary appliances for wound dressings; Dispensing containers for dressings or bandages
    • A61F15/001Packages or dispensers for bandages, cotton balls, drapes, dressings, gauze, gowns, sheets, sponges, swabsticks or t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9Various features of diagnost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16Sampling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 선단연결대 끝에 플로킹파일이 식모된 검체채취부를 구비하는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를 보다 능률적이고 위생적으로 대량생산 하기 위한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flocking swab for sample collection Manufacturing equipm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손잡이 선단연결대 끝에 플로킹파일이 식모된 검체채취부를 구비하는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를 보다 능률적이고 위생적으로 대량생산 하기 위한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스틸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에비에스(ABS)수지 중에서 선택한 소재로 사출성형된 중심지지봉을 가운데에 두고 양측면에 150∼155mm 길이를 가지는 일정굵기의 검체봉을 중심지지봉 양측면에서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정간격에 나란히 형성하여 일측에 15∼16개가 배치되며, 각 검체봉은 중심지지봉과 연결되는 연결부에 절단홈을 형성하고, 또한 각 검체봉은 손잡이부 선단에 손잡이부 보다 직경이 작은 연결대를 형성하여 연결대끝에 원형확대부를 형성한 검체봉지지구와, 검체봉지지구에 형성된 검체봉의 원형확대부에 접착제를 동시에 도포할 수 있도록 만든 접착제도포부와, 일정굵기와 길이를 가지는 지지축봉에 검체봉지지구를 부착하고, 분리할 수 있게 만든 검체봉지지구수용체와, 일정 용적을 가지는 구획공간에 플로킹작업실이 형성되어 일정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게 공기조절장치가 구비되고, 플로킹파일이 공급되며, 고압정전기 발생부가 설치되어 구획공간내에서 플로킹파일을 검체봉의 원형확대부에 식모할 수 있도록 만든 플로킹작업부와, 플로킹작업부의 플로킹작업실에 설치한 이동틀체에 검체봉지지구수용체를 결합하여 플로킹작업실에 투입하고 배출시키며, 검체봉지지구수용체를 플로킹작업실에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와, 플로킹파일이 식모된 검체봉지지구를 검체봉지지구수용체에서 분리하여 컨베이어 선반에 거치하여 건조시키는 컨베이어형 건조대와, 검체봉의 원형확대부에 형성된 검체채취부에서 식모되지 않고 묻어 있는 플로킹파일을 털어내는 플로킹파일청소용 브러쉬와, 검체봉을 검체봉지지구의 중심지지봉에서 분리하여 검사하고 포장봉지에 넣고 밀봉하는 포장부로 이루어지는 검체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개의 검체봉이 중심지지봉 양측에 나란히 형성되고, 각각 검체봉은 손잡이부 선단연결대 끝에 원형확대부를 형성한 검체봉지지구준비단계와, 검체봉지지구의 중심지지봉 양단을 잡고 중심지지봉에 형성된 여러개의 검체봉 선단원형확대부를 접착제 도포부에 수용된 접착액에 수직으로 투입하였다가 들어냄으로써, 여러개의 검체봉 원형확대부에 접착제를 동시에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단계와, 접착제가 도포된 검체봉지지구를 검체봉지지구수용체에 결합하여 플로킹작업실의 이동틀체에 장치한 회전축에 결합하여 플로킹작업실에 투입하는 단계와, 플로킹작업실의 문을 닫고, 플로킹파일을 공급하여 정전기를 발생시키고, 검체봉지지구수용체를 회전시켜 검체봉 선단 원형확대부표면에 플로킹파일을 식모하는 단계와, 플로킹작업이 종료되면, 플로킹작업실의 문열 열고, 이동틀체를 외향이동시켜 검체봉지지구수용체를 회전축에서 분리하여 검체봉지지구는 컨베이어형 건조대의 선반에 거치하고, 검체봉지지구수용체는 접착제 도포부가 있는 작업대에 거치하여 다음 작업에 대비하는 단계와, 검체채취부가 완성된 검체봉지지구를 컨베이어형 건조대의 선반에서 분리하여 검체봉의 검체채취부 표면에 묻어 있는 플로킹파일을 털어내고, 검체봉지지구의 중심지지봉에서 검체봉을 분리하여 검사한 다음, 포장봉지에 넣어 밀봉하는 포장단계를 순차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종래의 검체채취용 면봉은 손잡이 끝에 면봉으로 된 검체채취부를 형성하여 피검사자의 비강이나 구강내에 검체채취부를 삽입하여 검체를 채취하도록 되어 있고, 검체채취부는 구강이나 비강에 삽입하기 쉽도록 손잡이의 선단에는 손잡이 보다 직경이 작은 연결대를 형성하여 굽힘이 쉽도록 하고, 연결대끝에 솜이나 천을 수작업으로 피복하여 검체채취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자동화가 어려워 인력에 의존함으로써, 생산성이 떨어지고 검체채취부의 규격을 정교하게 할 수 없어 불량률 발생이 높고 생산비가 고가로 되는 불편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20-2011-0006452
본 발명은 상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검체봉의 손잡이부 선단에 손잡이부 보다 직경이 작은 연결대를 형성하여 끝에 원형확대부를 형성하고, 그 외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0.8∼1.5 데니어 굵기를 가지는 나일론섬유를 길이 0.5∼1.2mm 되게 절단하여 만든 플로킹파일을 식모하여 검체채취부를 형성하는 검체채취용 플로킹 스와브를 능률적이면서 정교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에이비에스수지 중에서 선택한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하여 사출성형되고, 중심지지봉(101)을 가운데 두고, 양측면에 150∼155mm 되는 길이를 가지는 일정굵기의 검체봉(102)이 중심지지봉 양측면에서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어 일측에 15∼16개 배치되며, 각 검체봉은 중심지지봉과 연결되는 손잡이부 선단에 손잡이부 보다 직경이 작은 연결대(102a)를 형성하여 연결대끝에 원형확대부(102b)를 형성하고, 중심지지봉과 검체봉이 연결되는 연결부에 절단홈(102c)을 형성하여 검체봉을 중심지지봉에서 분리할 때, 분리작업이 쉽도록 만든 검체봉지지구(100)와,
직4각형통(201)으로 되어 통체에 형성되는 수용부(202) 상단이 개방되고, 수용부는 깊이 5∼100mm를 유지하며, 수용부에는 수성 및 유성 아크릴 접착제와 폴리우레탄 접착제 중에서 선택되는 접착제(203)를 수용하여 검체봉지지구의 중심지지봉에서 나란하게 형성된 여러 검체봉의 원형확대부에 접착제를 동시에 도포할 수 있게 만든 접착제도포부(200)와,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일정길이와 굵기를 가지는 지지축봉(301)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축봉은 양단에 지지부(301a)(301b)를 형성하고, 지지축봉 중간부 상면에 지지축봉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한쌍의 돌출편(302)을 나란히 형성하여, 상기 돌출편의 상단에서 지지축봉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펼쳐지게 두개의 지지간(303)을 나란히 설치하여 두개의 지지간은 끝을 연결간(304)(304a)으로 연결하고, 일측연결간(304)의 중앙부 상면에는 검체봉지지구(100)의 중심지지봉(101)의 일측단을 수용하는 지지홈(305)을 형성하고, 타측연결간(304a) 중앙부 상면에는 두개의 협지볼(306a)(306b)을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협지볼 사이에 협지간격(306c)을 형성하고, 양측 협지볼(306a)(306b)을 수용하는 협지볼수용부(306')(306")에는 내측에 각각 탄성체(306d)(306e)를 장치하여 협지볼에 탄력이 충진되게 함으로써, 협지간격(306c)이 신축되는 협지구(306)를 장치하여 검체봉지지구의 중심지지봉(101) 타측단을 협지구(306)에서 착탈할 수 있게 한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와,
일정크기로된 육면체 내부에 플로킹작업실(401)을 형성하여 플로킹작업실 투입부(401a)에 개폐문(401b)을 장치하고, 내부에는 0.8∼1.5데니어 규격의 나일론섬유를 길이 0.5∼1.2mm 되게 절단하여 만든 플로킹 파일(F)이 공급되는 플로킹파일공급부(402)가 구비되며, 고압정전기를 발생하는 전극봉(410)(411)이 플로킹작업실 상하측에 장치되고, 플로킹작업실 내부에 일정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도록 공기조절장치(412)가 구비되어 검체봉의 원형확대부 표면에 플로킹파일(F)을 식모하는 플로킹작업부(400)와,
플로킹작업부(400)의 플로킹작업실(401)에 배치되어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를 플로킹작업실에 수용하고, 플로킹작업후, 플로킹작업실에서 배출시키며, 검체봉지지구수용체를 플로킹 작업실에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500)와,
컨베이어(600b)에 일정간격으로 현가되어 컨베이어 궤도를 따라 이동하고, 검체봉지지구(100)를 거치할 수 있게 선반(600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컨베이어형건조대(600)와,
검체봉의 검체채취부(1c) 표면에 식모되지 않고, 묻어 있는 플로킹파일을 털어내는 플로킹파일청소용 브러쉬(700)와,
검체채취부가 형성된 검체봉을 중심지지봉(101)에서 분리하여 검사하고, 포장봉지에 투입하는 포장부(800)로 이루어지는 검체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가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구동장치(500)는 플로킹작업실(401)에서 투입부(401a)쪽으로 이어지게 안내레일(503)이 배치되고, 안내레일(503)위에 적층되게 이동틀체(504)가 장치된다.
이동틀체(504)는 안내레일 상면에 적층되어 안내레일 상단과 접촉하는 전방벽(504')과 후방벽(504")하단에 각각 안내레일에 결합하는 안내홈(504a)(504b)을 형성하고, 좌측벽(504"')외면에 막대기어(505)를 부착하여 플로킹작업부에 장치된 구동모터(506)의 구동기어(507)와 접촉하여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이동틀체를 플로킹작업실에 투입하거나 배출하는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또, 이동틀체는 전방벽과 후방벽에 서로 마주보도록 축잡이구멍(504c)(504d)이 형성되어 이동틀체에 장치되는 회전축(508)의 전후단 지지부(508a)(508b)를 지지하고, 회전축(508)의 후단지지부(508b)는 이동틀체가 플로킹 작업실에 완전하게 투입되면, 플로킹작업실(401) 후측벽쪽에 배치된 구동모터(509)의 구동축접속홈(509a)에 접촉하여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고, 이동틀체가 플로킹작업실에서 투입부쪽으로 외향 이동하면, 구동축접속홈(509a)에서 분리되어 회전축(508)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된다.
또한, 이동틀체(504)에는 이동틀체가 플로킹 작업실에 투입되거나, 외향시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게 이동형리미트센서(504e)가 장치되고, 이동형리미트센서(504e)는 이동틀체가 이동하는 경로의 플로킹 작업실 투입부쪽에 장치한 고정형리미트센서(504f)와 대면하여 이동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가 콘트롤러에 전해져서 구동모터의 구동을 선택하므로, 이동틀체를 내향이동시키고, 외향이동시키는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틀체는 플로킹작업실에 투입되고 배출되는 동작이 정확하게 관리되고, 회전축(508)의 회전시점이 정확하게 선택되게 된다.
플로킹작업실 투입구에는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개폐문이 장치되어 유체압실린더(401c)에 의거 강제 개폐된다.
이동틀체(504)에 장치된 회전축(508)에는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의 지지축봉(301) 지지부(301a)(301b)를 수용하는 결합홈(508c)과 협지구(508d)가 배치되어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를 회전축(508)에 착탈할 수 있도록 된다.
플로킹작업실에는 플로킹파일을 수용하는 플로킹파일공급부와, 고압정전기 발생용 전극이 상하에 배치되고, 플로킹파일필터(414)(415)가 배치되며, 공기조절장치를 구비하여 플로킹작업실의 온도와 습도를 관리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플로킹작업실(401) 바닥쪽에 플로킹파일을 수용하는 플로킹파일공급부가 배치되어 공급되는 플로킹파일을 상향으로 분사시켜 플로킹작업실에 배치된 검체봉의 원형확대부에 플로킹파일을 식모하게 되고, 플로킹작업실의 온도는 10~30℃, 습도는 30~70%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로킹작업실에 장치되는 고압전극은 직류전압10KV~40KV가 유지되며, 플로킹 작업을 20초~110초 시간내에 완료되도록 설정하게 된다.
플로킹작업실의 문이 열리고 닫히는 것은 콘트롤러에 의하여 자동개폐되며, 작업자는 플로킹작업실 입구에 장치된 투입부에서 플로킹 작업을 할 검체봉지지구를 검체봉지지구 수용체에 결합하여 이동틀체의 회전축에 결합시켜 플로킹작업실에 투입하고, 플로킹작업이 종료된 검체봉지지구수용체를 이동틀체의 회전축에서 분리하여 검체봉지지구는 건조대에 거치하고, 검체봉지지구수용체는 접착제 도포부 쪽으로 옮겨 다음 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플로킹작업실에 장치된 공기조절장치는 시중의 것을 이용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플로킹 스와브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중심지지봉(101) 양측에 다수의 검체봉이 나란히 형성되어 각 검체봉은 손잡이부 선단연결대 끝에 원형확대부를 형성한 검체봉지지구 준비단계와, 검체봉지지구의 중심지지봉 양단을 잡고 중심지지봉에 형성된 여러 검체봉 선단원형확대부를 접착제도포부에 수용된 접착액에 수직으로 투입하였다가 들어냄으로써, 여러개의 검체봉 선단원형확대부에 접착제를 동시에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단계와, 접착제가 도포된 검체봉지지구를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에 결합하는 단계와, 검체봉지지구가 결합된 검체봉지지구결합체를 플로킹작업실의 이동틀체에 장치한 회전축(508)에 결합하여 플로킹작업실에 투입하는 단계와, 플로킹작업실문을 닫고, 플로킹파일을 공급하면서, 정전기를 발생시키고, 검체봉지지구결합체를 회전시켜 검체봉선단원형확대부 표면에 플로킹파일(F)을 식모하는 단계와, 플로킹파일 식모작업이 종료되면, 플로킹작업실의 문을 열고 이동틀체를 외향이동시켜 검체봉지지구수용체를 인출하고, 검체봉지지구를 분리하여 검체봉지지구는 건조대에 거치하고, 검체봉지지구수용체는 접착작업부쪽 작업대에 거치하여 다음 작업을 준비하는 단계와, 검체봉의 검체채취부가 건조되면 검체봉지지구를 건조대에서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한 검체봉지지구의 검체채취부를 청소용 브러쉬 사이에 투입하여 표면에 묻어 있는 플로킹파일을 털어내는 플로킹파일청소단계와, 검체봉지지구에서 검체봉을 분리하고, 검사하여 포장봉지에 담는 포장단계를 순차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검체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여러개의 검체봉을 중심지지붕에 나란히 형성하여 검체봉의 선단원형확대부에 접착제를 동시에 도포하고, 플로킹작업실에 투입하고, 플로킹파일을 접착부에 공급하여 플로킹파일을 식모할 수 있어서 작업이 능률적으로 되고, 검체채위부에 플로킹파일을 식모하는 것이 정밀하게 형성되어 불량률이 적고 검체봉의 변형이 방지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고, 위생적인 제품을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플로킹파일 검체채취부를 구비한 검체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예시도
도 2는 검체봉지지구 예시도
도 3은 검체봉의 원형확대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예시도
도 4(a)는 검체봉지지구 수용체에 검체봉지지구가 결합된 사시도
도 4(b)는 검체봉지지구수용체와 검체봉지지구와 회전축을 분리한 예시도
도 5는 도 4(a)의 가-가'선단면도
도 6은 플로킹작업부 외관 예시도
도 7은 플로킹작업부의 플로킹작업실에서 이동틀체가 외향한 사시도
도 8은 이동틀체와 관련 구성예시도
도 9는 도 8의 나-나'선단면도
도 10은 플로킹작업실 예시도
도 11은 컨베이어 건조대를 밑에서 위로 본 예시도
도 12는 건조대 선반에 검체봉지지구가 거치된 사시도
도 13은 플로킹파일청소용 브러쉬 사시도
도 14는 검체채취용 플로킹 스와브를 포장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1a)의 연결대(1b) 선단 원형확대부(102b)에 플로킹파일(F)이 식모된 검체채취부(1c)가 형성된 검체채취용 플로킹 스와브(1)를 제조하는 장치와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에이비에스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소재 중에서 선택된 소재를 사용하여 사출성형되고, 중심지지봉(101)을 가운데 두고, 양측면에 150∼155mm 길이를 가지는 일정굵기의 검체봉(102)이 중심지지봉 양측면에서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정간격에 나란히 배치되어 일측에 15∼16개가 일체로 형성되고, 각 검체봉은 손잡이부 선단에 손잡이부 보다 직경이 가늘게 되는 연결대(102a)를 형성하여 끝에 원형확대부(102b)을 형성하며, 중심지지봉과 검체봉이 연결되는 연결부에 절단홈(102c)을 형성하여 검체봉을 중심지지봉에서 분리할 때, 분리가 쉽도록 만든 검체봉지지구(100)와,
직4각형통(201)으로 되어 수용부(202) 상단이 개방되고, 수용부는 깊이가 5~100mm를 유지하며, 수용부에 수성 및 유성 아크릴 접착제와 폴리우레탄 접착제 중에서 선택되는 접착제(203)를 수용하여 검체봉지지구의 중심지지봉에서 나란하게 돌출되는 여러 검체봉의 원형확대부에 접착제를 동시에 도포할 수 있게 만든 접착제도포부(200)와,
합성수지 소재로 성형되어 일정길이와 굵기를 가지는 지지축봉(301)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축봉은 양단에 지지부(301a)(301b)을 형성하고, 지지축봉 중간부 상면에는 지지축봉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한쌍의 돌출편(302)을 나란히 형성하여 상기 돌출편의 상단에서 지지축봉의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펼쳐지게 두개의 지지간(303)을 나란히 설치하여 두개의 지지간은 끝을 연결간(304)(304a)으로 연결하고, 일측 연결간(304)의 중앙부 상면에는 검체봉지지구(100)의 중심지지봉(101) 일측단을 수용하는 지지홈(305)을 형성하고, 일측연결간(304) 반대측에 있는 타측연결간(304a)의 중앙부 상면에는 두개의 협지볼(306a)(306b)을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협지볼 사이에 협지간격(306c)을 형성하고, 양측 협지볼(306a)(306b)을 수용하는 협지볼수용부(306')(306")에는 내측에 각각 탄성체(306d)(306e)를 장치하여 협지볼에 탄력이 충진되게 함으로써, 협지간격(306c)이 신축되는 협지구(306)를 장치하여 검체봉지지구의 중심지지봉(101) 타측단을 협지구(306)에서 착탈할 수 있게 한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와,
일정크기로된 육면체의 내부에 플로킹작업실(401)을 형성하여 플로킹작업실 투입부(401a)에 개폐문(401b)을 장치하고, 내부에는 0.8∼1.5데니어 규격의 나일론섬유를 길이 0.5∼1.2mm 되게 절단하여 만든 플로킹파일(F)이 공급되는 플로킹파일공급부(402)가 구비되며, 고압정전기를 발생하는 전극봉(410)(411)이 플로킹작업실 내부 상하측에 장치되고, 플로킹작업실 내부에 일정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공기조절장치(412)가 구비되어 검체봉의 원형확대부 표면에 플로킹파일(F)을 식모하는 플로킹작업부(400)와,
플로킹작업부(400)의 플로킹작업실(401)에 배치되어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를 플로킹작업실에 투입하여 수용하고, 플로킹작업후, 플로킹작업실에서 배출시키며, 검체봉지지구수용체를 플로킹작업실에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500)와,
컨베이어(600b)에 일정간격으로 현가되어 컨베이어 궤도를 따라 이동하고, 검체봉지지구(100)를 거치할 수 있게 선반(600a)이 형성된 컨베이어형건조대(600)와,
검체봉의 검체채취부(1c) 표면에 식모되지 않고, 묻어 있는 플로킹파일을 털어내는 플로킹파일청소용 브러쉬(700)와,
검체채취부가 형성된 검체봉을 중심지지봉(101)에서 분리하여 검사하고, 포장봉지에 투입하는 포장부(800)로 이루어지는 검체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500)는 플로킹작업실(401)에서 투입부(401a)쪽으로 이어지게 안내레일(503)이 배치되고, 안내레일(503)위에 적층되게 이동틀체(504)가 장치된다.
이동틀체(504)는 안내레일 상면에 적층되어 안내레일 상단과 접촉하는 전방벽(504')과 후방벽(504") 하단에 안내레일에 결합하는 안내홈(504a)(504b)을 형성하고, 좌측벽(504"')외면에 막대기어(505)를 부착하여 플로킹작업부에 장치된 구동모터(506)의 구동기어(507)와 접촉하여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이동틀체를 플로킹작업실에 투입하거나 배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또, 이동틀체는 전방벽과 후방벽에 축잡이구멍(504c)(504d)이 형성되어 이동틀체에 장치되는 회전축(508)의 전후단 지지부(508a)(508b)가 지지되며, 회전축(508)의 후단지지부(508b)는 이동틀체가 플로킹 작업실에 완전히 투입되면, 플로킹작업실(401) 후측벽쪽에 배치된 구동모터(509)의 구동축접속홈(509a)에 접촉하여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고, 이동틀체가 플로킹작업실에서 투입부쪽으로 외향이동하면, 구동축접속홈(509a)에서 분리되어 회전축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동틀체(504)에는 이동틀체가 플로킹작업실에 투입되거나, 외향시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게 일정위치에 이동형리미트센서(504e)가 장치되고, 이동형리미트센서의 이동경로인 플로킹작업실 투입부쪽에 장치한 고정형리미트센서(504f)와 대면하여 이동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가 콘트롤러에 전해져서 구동모터의 구동을 선택함으로써, 이동틀체를 내향이동시키고, 외향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동틀체는 플로킹작업실에 투입되고, 배출되는 동작이 정확하게 관리되고, 회전축(508)의 회전시점이 정확하게 선택되게 된다.
플로킹작업실 투입구에는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개폐문(401b)이 장치되어 유체압실린더(401c)에 의거 강제 개폐된다.
이동틀체(504)에 장치된 회전축(508)에는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의 지지축봉(301) 후측지지부(301a)를 수용하는 결합홈(508c)과, 지지축봉(301)의 전방지지부(301b)를 수용하는 협지구(508d)가 장치되어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를 회전축(508)에 착탈할 수 있게 구성된다.
결합홈(508c)과 협지구(508d)는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에 형성된 지지홈(305)과 협지구(306)와 같은 구성으로 된다.
플로킹작업실(401)에는 플로킹파일을 수용하는 플로킹파일공급부(402)와, 고압정전기 발생용 전극봉(410)(411)이 상하에 배치되고, 플로킹파일필터(414)(415)가 배치되며, 공기조절장치(412)를 구비하여 작업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공기조절장치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은 플로킹작업실(401) 바닥쪽에 플로킹파일을 수용하는 플로킹파일공급부(402)가 형성되어 공급되는 플로킹파일을 상향으로 분사시켜 플로킹작업실에 배치된 검체봉의 원형확대부에 플로킹파일을 식모하게 되고, 플로킹작업실의 온도는 10~30℃, 습도는 30~70%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플로킹작업실에 장치되는 고압전극은 직류전압10KV~40KV가 유지되며, 플로킹 작업을 20초~110초 시간내에 완료되도록 설정하게 된다.
플로킹작업실의 문이 열리고 닫히는 것은 콘트롤러의 전기회로에 의하여 자동개폐되며, 작업자는 플로킹작업실 입구에 장치된 투입부에서 플로킹 작업을 할 검체봉지지구를 검체봉지지구수용체에 결합하여 이동틀체의 회전축에 결합시켜 플로킹작업실에 투입하고, 플로킹작업이 종료된 검체봉지지구수용체를 이동틀체의 회전축에서 분리하여 검체봉지지구는 건조대에 거치하고, 검체봉지지구수용체는 접착제 도포부 쪽으로 옮겨 다음 작업에 대비하게 된다.
플로킹작업실에 장치된 공기조절장치는 시중의 것을 이용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플로킹 스와브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플로킹 스와브 제조방법은 중심지지봉(101) 양측에 다수의 검체봉이 나란히 형성되어 각 검체봉은 손잡이부 선단연결대끝에 원형확대를 형성한 검체봉지지구 준비단계와, 검체봉지지구의 중심지지봉 양단을 잡고 중심지지봉에 형성된 검체봉의 선단원형확대부를 접착제도포부에 수용된 접착액에 수직으로 투입하였다가 들어냄으로써, 여러개의 검체봉 선단원형확대부에 접착제를 동시에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단계와, 접착제가 도포된 검체봉지지구(100)를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에 결합하는 단계와, 검체봉지지구가 결합된 검체봉지지구수용체를 플로킹작업실의 이동틀체에 장치한 회전축(508)에 결합하여 플로킹작업실에 투입하는 단계와, 플로킹작업실문을 닫고, 플로킹파일을 공급하면서, 정전기를 발생시키고, 검체봉지지구수용체를 회전시켜 검체봉선단원형확대부 표면에 플로킹파일을 식모하는 단계와, 플로킹파일 식모작업이 종료되면, 플로킹작업실의 문을 열고 이동틀체를 외향이동시켜 검체봉지지구수용체를 회전축에서 분리하고, 검체봉지지구 수용체에서 검체봉지지구를 분리하여 검체봉지지구는 건조대에 거치하고, 검체봉지지구수용체는 접착제도포부가 있는 작업대에 거치하여 다음 작업에 대비하는 단계와, 검체봉의 원형확대부에 식모된 플로킹파일이 건조되어 검체채취부가 형성되면, 검체봉지지구를 건조대에서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검체봉지지구의 검체봉 선단검체채취부를 플로킹파일 청소용 브러쉬 사이에 투입하여 검체채취부 표면에 묻어 있는 플로킹파일을 털어내는 플로킹파일청소단계와, 검체봉지지구 중심지지봉에서 검체봉을 절단하여 분리하여 검사하고, 완성된 제품을 포장봉지에 담는 포장단계를 순차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검체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삭제
삭제
1 : 플로킹 스와부 1a : 손잡이
1c : 검체채취부 100 : 검체봉지지구
101 : 중심지지봉 102 : 검체봉
102a : 연결대 102b : 원형확대부
102c : 절단홈 200 : 접착제도포부
201 : 직4각형통 202 : 수용부
203 : 접착제 300 : 검체봉지지구수용체
301 : 지지축봉 301a : 후측지지부
301b : 전방지지부 302 : 돌출편
303 : 지지간 304,304a : 연결간
305 : 지지홈 306 : 협지구
306',306" : 탄성수용부 306a,306b : 협지볼
306a',306b' : 협지볼수용부 306c : 협지간격
306d,306e : 탄성체 400 : 플로킹작업부
401 : 플로킹작업실 401a : 투입부
401b : 개폐문 401c : 유체압실린더
402 : 플로킹파일공급부 410,411 : 전극봉
412 : 공기조절장치 414,415 : 플로킹파일필터
500 : 구동장치 503 : 안내레일 504 : 이동틀체 504' : 전방벽
504" : 후방벽 504"' : 좌측벽
504a,504b : 안내홈 504c,504d : 축잡이구멍
504e : 이동형리미트센서 504f : 고정형리미트센서
505 : 막대기어 506 : 구동모터
507 : 구동기어 508 : 회전축
508a,508b : 지지부 508c : 결합홈
508d : 협지구 509 : 구동모터
509a : 구동축접속홈 600 : 컨베이어형건조대
600a : 선반 600b : 컨베이어
700 : 플로킹파일청소용 브러쉬 800 : 포장부

Claims (4)

  1.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에이비에스수지 중에서 선택한 소재로 사출성형되고, 중심지지봉(101)을 가운데 두고, 양측면에 150∼155mm 길이를 가지는 일정굵기의 검체봉(102)이 중심지지봉 양측면에서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일측에 15∼16개가 배치되며, 각 검체봉은 중심지지봉과 연결되는 손잡이부 선단에 손잡이부 보다 직경이 가늘게 형성되는 연결대(102a)가 형성되어 연결대 끝에 원형확대부(102b)가 형성되고, 중심지지봉과 검체봉이 연결되는 검체봉연결부에 절단홈(102c)을 형성하여 검체봉을 중심지지봉에서 분리할 때, 분리가 쉽도록 만든 검체봉지지구(100)와,
    직4각형통(201)으로 되어 수용부(202) 상단이 개방되고, 수용부는 깊이 5∼100mm를 유지하며, 수용부에는 수성 및 아크릴 접착제와 폴리우레탄접착제 중에서 선택되는 접착제(203)가 수용되어 검체봉지지구에 나란히 형성된 검체봉의 원형확대부에 접착제를 동시에 피복할 수 있게 만든 접착제도포부(200)와,
    합성수지 소재로 성형되어 일정굵기와 길이를 가지는 지지축봉(301)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축봉은 양단에 지지부(301a)(301b)를 형성하고, 지지축봉 중간부 상면에 지지축봉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한쌍의 돌출편(302)을 나란히 형성하여 상기 돌출편의 상단에서 지지축봉의 길이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펼쳐지게 두 개의 지지간(303)을 나란히 설치하여, 두 개의 지지간은 끝을 연결간(304)(304a)으로 연결하고, 일측 연결간(304)의 중앙부 상면에는 검체봉지지구(100)의 중심지지봉(101) 일측단을 수용하는 지지홈(305)을 형성하고, 타측연결간(304a)의 중앙부 상면에는 두개의 협지볼(306a)(306b)을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협지볼 사이에 협지간격(306c)을 형성하고, 양측 협지볼을 수용하는 협지볼수용부(306a')(306b')에는 내측에 각각 탄성체(306d)(306e)를 장치하여 협지볼에 탄력이 충진되게 함으로써, 협지간격(306c)이 신축되는 협지구(306)를 장치하여 검체봉지지구(100)의 중심지지봉(101) 타측단을 협지구(306)에서 착탈할 수 있게 한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와,
    일정크기로 된 육면체 내부에 플로킹작업실(401)을 형성하여 플로킹작업실 투입부(401a)에 개폐문(401b)을 장치하고, 내부에는 0.8∼1.5데니어 규격의 나일론섬유를 길이 0.5∼1.2mm 되게 절단하여 만든 플로킹파일(F)이 공급되는 플로킹파일공급부(402)가 구비되며, 고압정전기를 발생하는 전극봉(410)(411)이 플로킹작업실 내부 상하측에 장치되고, 플로킹작업실 내부에 일정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공기조절장치(412)가 구비되어 검체봉의 원형확대부 표면에 플로킹파일(F)을 식모하는 플로킹작업부(400)와,
    플로킹작업부(400)의 플로킹작업실(401)에 배치되어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를 플로킹작업실에 투입하여 수용하고, 플로킹작업후 플로킹작업실에서 배출시키며, 검체봉지지구 수용체를 플로킹작업실에서 회전시키는 구동장치(500)와,
    컨베이어(600b)에 일정간격으로 현가되어 컨베이어 궤도를 따라 이동하고 검체봉지지구(100)를 거치할 수 있게 선반(600a)이 형성된 컨베이어형건조대(600)와,
    검체봉의 검체채취부 표면에 식모되지 않고 묻어 있는 플로킹파일을 털어내는 플로킹파일 청소용 브러쉬(700)와,
    검체채취부가 형성된 검체봉을 중심지지봉에서 분리하여 검사하고, 포장봉지에 투입하는 포장부(800)로 이루어지는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서,
    구동장치(500)는 플로킹작업실(401)에서 투입부(401a) 쪽으로 이어지게 안내레일(503)이 배치되고, 안내레일(503)위에 적층되게 이동틀체(504)가 장치되어 이동틀체(504)의 전방벽(504')과 후방벽(504") 하단에 각각 안내레일에 결합하는 안내홈(504a)(504b)이 형성되고, 좌측벽(504"') 외면에 막대기어(505)가 부착되어 플로킹작업부에 장치된 구동모터(506)의 구동기어(507)와 접촉하여 구동모터의 구동방향에 따라 이동틀체를 플로킹작업실에 투입하거나 배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또한, 이동틀체(504)의 전방벽과 후방벽에 서로 마주보게 축잡이구멍(504c)(504d)이 형성되어 이동틀체의 전방벽과 후방벽 사이에 장치되는 회전축(508)의 전후 지지부(508a)(508b)가 지지되며, 회전축(508)의 후단지지부(508b)는 이동틀체가 플로킹 작업실에 완전하게 투입되면, 플로킹작업실(401) 후측벽쪽에 배치된 구동모터(509)의 구동축접속홈(509a)에 접촉하여 구동모터(509)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고, 이동틀체가 플로킹작업실에서 투입부쪽으로 외향이동하면, 구동축접속홈(509a)에서 분리되어 회전축(508)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되고, 이동틀체(504)에는 일정위치에 이동형리미트센서(504e)가 장치되어 플로킹작업실(401)의 투입부쪽에 장치한 고정형리미트센서(504f)와 대면하여 이동틀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
  3. 청구항 2에서,
    이동틀체(504)에 장치된 회전축(508)에는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의 지지축봉(301) 지지부(301a)(301b)를 수용하는 결합홈(508c)과, 협지구(508d)가 형성되어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를 회전축(508)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
  4. 중심지지봉(101) 양측면에 다수의 검체봉이 나란히 형성되어 각 검체봉은 손잡이부 선단연결대 끝에 원형확대부를 형성한 검체봉지지구 준비단계와, 검체봉지지구의 중심지지봉 양단을 잡고 중심지지봉에 형성된 검체봉의 선단원형확대부를 접착제도포부(200)에 수용된 접착액에 수직으로 투입하였다가 들어냄으로써, 여러개의 검체봉 선단원형확대부에 접착제를 동시에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단계와, 접착제가 도포된 검체봉지지구를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에 결합하는 단계와, 검체봉지지구가 결합된 검체봉지지구수용체(300)를 플로킹작업실의 이동틀체에 장치한 회전축(508)에 결합하여 플로킹작업실에 투입하는 단계와, 플로킹작업실문을 닫고, 플로킹파일을 공급하면서, 정전기를 발생시키고, 검체봉지지구수용체를 회전시켜 검체봉선단원형확대부 표면에 플로킹파일을 식모하는 단계와, 플로킹파일 식모작업이 종료되면, 플로킹작업실의 문을 열고 이동틀체를 외향시켜 검체봉지지구수용체를 회전축에서 분리하고, 검체봉지지구수용체에서 검체봉지지구를 분리하여 검체봉지지구는 건조대에 거치하고, 검체봉지지구수용체는 접착제도포부가 있는 작업대에 거치하여 다음 작업에 대비하는 단계와, 검체봉의 원형확대부에 식모된 플로킹파일이 건조되어 검체채취부가 완성되면, 검체봉지지구를 건조대에서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검체봉지지구의 검체봉선단에 형성된 검체채취부를 청소용 브러쉬 사이에 투입하여 표면에 묻어 있는 플로킹파일을 털어내는 플로킹파일청소단계와, 검체봉을 중심지지봉의 연결부에서 절단하여 분리하고 검사하여 완성된 검체채취용 플로킹 스와브를 포장봉지에 담는 포장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방법.

KR1020200146931A 2020-11-05 2020-11-05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47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931A KR102247929B1 (ko) 2020-11-05 2020-11-05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931A KR102247929B1 (ko) 2020-11-05 2020-11-05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929B1 true KR102247929B1 (ko) 2021-05-04

Family

ID=75913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931A KR102247929B1 (ko) 2020-11-05 2020-11-05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92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3119A (zh) * 2021-09-26 2021-12-28 宁波华莱斯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采样拭子的植绒装置
CN113943641A (zh) * 2021-10-20 2022-01-18 绍兴市盈创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运输培养基的制造工艺
KR102490103B1 (ko) * 2022-02-28 2023-01-20 피엠더블유 주식회사 검체 채취용 스왑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32415A (ko) *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인코아 검체 채취용 기구
KR102542535B1 (ko) * 2022-12-20 2023-06-13 주식회사 아이알이엔지 진단키트용 면봉 제조장치
CN116833058A (zh) * 2023-09-04 2023-10-03 江苏鑫涂机械有限公司 一体化拭子自动植绒用夹持设备
KR20230174012A (ko) 2022-06-20 2023-12-27 주식회사 케이에스지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454A (ko) * 1994-03-29 1995-10-16 최계돈 면봉 자동 제조장치
KR20110006452U (ko) 2009-12-21 2011-06-29 김영재 검체 채취용 면봉
US20120171712A1 (en) * 2011-01-05 2012-07-05 Copan Italia S.P.A. Process for Realising a Device for Collecting and Transferring Samples for Molecular Biology
JP2012125195A (ja) * 2010-12-16 2012-07-05 Kyoei Giken Kk 検体採取具
KR101297454B1 (ko) * 2012-05-09 2013-08-16 풍천케미칼 주식회사 플로킹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플로킹 카펫 타일의 제조 시스템과 그 제조방법
US20160367227A1 (en) * 2013-06-28 2016-12-22 Copan Italia S.P.A. Flocked Swab and Method for Collection and Transfer of Samples of Biological Materi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454A (ko) * 1994-03-29 1995-10-16 최계돈 면봉 자동 제조장치
KR20110006452U (ko) 2009-12-21 2011-06-29 김영재 검체 채취용 면봉
JP2012125195A (ja) * 2010-12-16 2012-07-05 Kyoei Giken Kk 検体採取具
US20120171712A1 (en) * 2011-01-05 2012-07-05 Copan Italia S.P.A. Process for Realising a Device for Collecting and Transferring Samples for Molecular Biology
KR101297454B1 (ko) * 2012-05-09 2013-08-16 풍천케미칼 주식회사 플로킹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플로킹 카펫 타일의 제조 시스템과 그 제조방법
US20160367227A1 (en) * 2013-06-28 2016-12-22 Copan Italia S.P.A. Flocked Swab and Method for Collection and Transfer of Samples of Biological Material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415A (ko) *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인코아 검체 채취용 기구
KR102656743B1 (ko) * 2021-08-31 2024-05-08 주식회사 인코아 검체 채취용 기구
CN113843119A (zh) * 2021-09-26 2021-12-28 宁波华莱斯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采样拭子的植绒装置
CN113843119B (zh) * 2021-09-26 2022-06-24 宁波华莱斯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采样拭子的植绒装置
CN113943641A (zh) * 2021-10-20 2022-01-18 绍兴市盈创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运输培养基的制造工艺
CN113943641B (zh) * 2021-10-20 2023-07-04 绍兴市盈创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运输培养基的制造工艺
KR102490103B1 (ko) * 2022-02-28 2023-01-20 피엠더블유 주식회사 검체 채취용 스왑 및 이의 제조방법
EP4233732A1 (en) * 2022-02-28 2023-08-30 PMW Corp. Swab for collecting sampl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KR20230174012A (ko) 2022-06-20 2023-12-27 주식회사 케이에스지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42535B1 (ko) * 2022-12-20 2023-06-13 주식회사 아이알이엔지 진단키트용 면봉 제조장치
CN116833058A (zh) * 2023-09-04 2023-10-03 江苏鑫涂机械有限公司 一体化拭子自动植绒用夹持设备
CN116833058B (zh) * 2023-09-04 2023-12-05 江苏鑫涂机械有限公司 一体化拭子自动植绒用夹持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929B1 (ko) 검체 채취용 플로킹 스와브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2673901B (zh) 一种食用菌栽培种植用菌棒脱袋系统及方法
CN111659580B (zh) 一种可对胶带表面灰尘清理的胶带生产用涂胶装置
CN112221887B (zh) 一种多种工序集结一体化的拭子自动化植绒设备
CN107290167A (zh) 一种寿命测试设备
US4009910A (en) Tuft forming device
CN109868601A (zh) 一种高效的纺织布料生产用剪毛装置及工作方法
CN207044540U (zh) 一种全自动牙线棒制造机
CN209810535U (zh) 一种假发生产涂胶装置
CN111201946B (zh) 一种一体化果蔬生产装置
CN217314561U (zh) 一种用于摆轮分拣机的输送装置
CN106944815B (zh) 一种采血针全自动组装机
DE102016008346B4 (de) Entstaubungsgerät
CN213914580U (zh) 一种点胶速度精准控制的点胶机
CN110068693A (zh) 一种自动涂片镜检机和涂片镜检方法
CN208533209U (zh) 一种验布机
CN209994647U (zh) 一种柔性线路板的激光钻孔装置
CN215362879U (zh) 一种不易潮变的茶叶销售用茶叶储藏装置
CN219810552U (zh) 一种温度监测装置
CN111086678A (zh) 棉签交替工位包装机
CN113651099B (zh) 一种铝壳电池注液口密封胶钉缓存装置
CN211365860U (zh) 吸盘式采血管夹取装置
CN105692525B (zh) 一种睫毛膏纤维灌装机
CN212370472U (zh) 一种具有刷胶组件更换结构的过胶机
CN109197782A (zh) 一种僵蚜的采选定量分装及存储释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