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791B1 - 식물에서 추출된 항신생물 약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에서 추출된 항신생물 약제 및 그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791B1
KR960014791B1 KR1019930701246A KR930701246A KR960014791B1 KR 960014791 B1 KR960014791 B1 KR 960014791B1 KR 1019930701246 A KR1019930701246 A KR 1019930701246A KR 930701246 A KR930701246 A KR 930701246A KR 960014791 B1 KR960014791 B1 KR 960014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s
active ingredient
prepared
precipitate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1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1968A (ko
Inventor
클라우디오 다리고
Original Assignee
클라우디오 다리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디오 다리고 filed Critical 클라우디오 다리고
Publication of KR93070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1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9Arecaceae, Palmae or Palmaceae (Palm family), e.g. date or coconut palm or palmett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식물에서 추출된 항신생물 약제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종려과(Palma), 포에니코이데아에(Phoenicoidae) 아과 및 대추야자(Phoenix)종의 식물의 과실로부터 추출된 항신생물 활성을 갖는 화학요법 약제에 관한 것이다.
암퇴치 연구에 있어서, 가장 대표적인 연구방법중 하나는 항종양성 화학요법이다. 현재까지 단리되어 있는 향종양성 화학요법제는 광범위한 기원과 화학적 특성을 갖는다. 이들 항종양제중 어떤 것을 콜히쿰 오툼네일(Colchicum Autumnale)로부터 추출된 콜히친 및 빙카 로세아(Vinca Rosea)로부터 추출된 빙칼류코블라스틴(Vincaleucoblastin)과 같은 식물에서 추출된 것이다. 그러나, 이들 모든 물질이 어떤 특이적 항종양 활성을 제공하지만, 분해된 세포에 대해 저조한 선택성을 나타낸다. 정상 세포의 대사를 방해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인해서, 이들 항중식제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자는 이미 고도로 선택적인 항종양 활성 및 다른 항종양제보다 독성이 훨씬 감소된, 식물 유래의 또다른 항종양성 약제(특히, 핏토스포룸 토비라(Pittosporum Tobira)로부터 추출된 CIDI 물질)를 특허 받았다. 이 연구에 이어서, 본 발명자는 또한 고도로 선택적인 항종양 활성과 극히 저조한 독성을 나타내는 식물에서 추출된 항신생물 화학요법제를 단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종려과에 속하는 식물의 일부 및(또는) 전부를 어떠한 발육 또는 성숙 단계에서든지 a) 성분을 유기 용매중에 침연(浸軟)시켜 추출하는 공정; b) 추출물을 함유한 용액을 이 용액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화성인 다른 용매와 함께 임의로 교반하거나 진탕시켜 형성된 상중에 추출물 성분을 분포시키는 공정; c) 각 상을 서로 독립적으로, 추출물중의 1종 이상의 성분에 대해 용매 활성을 갖는 1 또는 2종 이상의 유기 액체로 임의로 처리한 다음, 형성되는 침전물을 여과하고, 부유 잔류물을 건조 상태로 증발시키는 공정; d) 각 액체상에 존재하는 성분을 임의로 분리시키는 공정; 및 e) 분리된 항신생물 활성을 갖는 성분과 항신생물 활성을 갖지 않는 성분을 수거하는 공정에 의해 필수적으로 처리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신생물 활성을 갖는 물질 및(또는) 성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추출물을 각각의 계속되는 공정 단계전에 건조시키고 정제시킬 수 있다.
종려과의 식물은 바람직하게는 포에니코이데아에 아과 및 대추야자 종의 식물이다. 여기서, 식물은 예를 들면 포에닉스 카나디엔시스(Phoenix Canadiensis), 포에닉스 닥틸리페라(Phoenix Dactylifera), 참마에롭스 엑셀사(Chamaerops Excelsa), 참마에롭스 훔밀리스(Chamaerops Humilis) 등을 포함하는 각종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용매는 알코올일 수 있다. 에틸 알코올이 사용하면 우수한 결과가 얻어진다. 유기 용매와 처리하고자 하는 식물부분 사이의 부피는 바람직하게는 1 : 10 내지 10 : 1이다. 처리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분 내지 5개월이다. 처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에서 변할 수 있다.
1mg/ml로 희석한 약제의 총 알코올 추출물은 메탄올-H2O(80:20) 이동상을 갖는 125mm×4mm RP 18 컬럼 및 210mm의 파장을 사용하는 HPLC [퍼킨-엘머(Perkin-Elmer) 시리즈 250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상에서 분석할 수 있다. 이 총 알코올 추출물은 1.123(제1피크) 내지 33.146(제14피크)의 RT를 갖는 약 14피크를 나타내고, 가장 대표적인 피크는 RT 1.123(3.36면적%), RT 1.301(3.01면적%), RT 1.583(63.34면적%), RT 2.133(14.88면적%) 및 RT 2.636(3.33면적%)의 피크이다.
추출물로부터 성분을 분리하는데 바람직한 유형의 방법은 크로마토그래피법이다. 실리카겔 컬럼 또는 HPLC 제조 컬럼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면 우수한 결과가 얻어진다.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시키고, 대략 1.123, 1.301, 1.583, 2.133 및 2.636의 HPLC중의 체류시간을 갖는 성분들을 수거할 수 있다.
에탄올로 추출한 후에 생성된 용액을 클로로포름과 함께 진탕시켜 녹색의 알코올-클로로포름상 및 포도적색의 수성상의 2상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항신생물 활성을 갖는 성분은 수성 상중에서 발견된다.
수용액을 회전증발기중에서 증발에 의해 농축시킬 수 있고, 또한 1) 플라스크에 에틸 알코올을 첨가하여 현탁액을 형성시킨후, 여기에 석유 에테르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거대 침전물을 형성시키고, 이것을 에탄올-물중에 재용시키고 약 30ml로 농축시킨 것을 이소프로필 알코올중에 현탁시킨후 건조시킨다. 부유 부분을 다시 증발시키고 건조시켜 무정형 적색 물질을 형성시킬 있고, 최종적으로, 이 물질을 소량의 메탄올 중에 용해시킨후, 극미세 현탁액의 형성을 유도하는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첨가한 후 건조시키거나; 2) 또는 바람직하게는 수용액을 농축시킨 후, 플라스크에 메틸 알코올을 첨가하여 현탁액을 형성시키고, 그후 에틸 에테르를 첨가하고 교반한 후에는 거대한 박편 침전물의 형성이 초래된다. 부유 부분을 제거한 후, 침전물을 이소프로필 알코올중에 현탁시키고 회전증발기 중에서 건조시키면 연한 분홍 장미색 분말의 형성이 초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및 성분 자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신생물 활성을 갖는 물질 및 성분에 관한 것이다.
항신생물 활성을 갖는 물질 및 성분을 염, 화합물 또는 복합체를 형성하도록 처리하여 수용성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방법, 또는 그의 조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항신생물 활성을 갖는 물질 또는 성분의 군에서 선택된 물질 또는 조성물을 적어도 1종의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에 관한 것이다.
약제는 비경구용 수용액제, 경구용 캡슐제, 직장용 좌약제, 질용 강좌제(腔坐劑), 고약(unguent), 연고, 크림 및 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수용액제는 바이알내에 둘 수 있다. 각 바이알은 0.5 내지 2.5g,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7g의 유효성분을 함유한다.
캡슐형태 약제의 경우, 각 캡슐은 0.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g의 유효성분을 함유한다.
직장용 좌약형태의 약제의 경우, 각 좌약제는 0.5 내지 2.5g,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7g의 유효성분을 함유한다.
질용 환약형태의 경우, 각 환제는 0.5 내지 2.5g,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7g의 유효성분을 함유한다.
고약, 연고, 크림 또는 겔 형태 약제의 경우, 국소 부형제는 0.5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의 유효성분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생물 질병 이외의 각종 질병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추출, 분리 및 수거 방법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성분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제까지는 본 발명의 목적을 일반적으로 설명하였다.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목적, 특성, 장점 및 조작 방법을 명시한다.
유효성분의 추출 및 정제방법
참마에롭스 엑셀사(Chamaerpos excelsa) 과실 소정량을 미분쇄하고, 미분쇄 과실이 잠기기에 충분한 양(약 1:1 부피비, 약 7:1 중량비)의 95°에틸 알코올을 실온에서 주입하였다. 혼합물을 30일이상동안 담궈두어 부드럽게 만든 다음 여과하였다. 상기 기재된 바대로 생성된 알코올 추출물 500ml를 동일한 부피의 클로로포름과 함께 분리깔때기에 부었다. 여러차례 교반한 후, 24시간동안의 혼합을 완결한 다음 분리가 일어난다. 깔때기 저부에서는 녹색의 알코올-클로로포름 용액이 분리되고, 깔때기 상부에서는 포도적색의 수용액(적색 수용성 분획=RSF)이 과실중에 초기에 존재하는 물로부터 추출된 수용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다. RSF는 약 20부피%의 양으로 존재하며, 1.175(22.04 면적%) 1.575(67.47 면적%) 및 2.284(10.94 면적%)의 HPLC중의 체류시간(RT)을 갖는 성분과 거의 배타적으로 형성된다. 건조시킨 물질 RSF는 적색의 무정형 물질이다. 분별 깔때기의 저부로 분리되는 녹색의 알코올-클로로포름 용액(불용성 녹색 분획=IGF)는 건조시키면 수불용성이고, 메탄올 중에 용해시키면, HPLC하에서 1.089(14.17 면적%), 1.299(8.29 면적%), 1.600(68.10 면적%) 및 2.268(9.43 면적%)의 RT를 갖는 4개의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유효성분의 정제방법
1) 제1방법
실시예 1에서 수행한 조작후에 방치된 수용액(RSF)(IGF 하부의 총 알코올 추출물로 이루어짐)을 부피 약 30ml로 농축될 때까지 45℃의 회전증발기내 플라스크에서 증발시켰다. 이때, 300ml의 에틸 알코올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이 형성되면, 동일한 양(300ml)의 석유 에테르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면, 거대 침전물이 형성된다. 투명한 부유 부분을 수거하고, 여과하고 회전증발기내에서 건조시켰다. 무정형의 적색 물질이 얻어지며 수용성이었다.
적색 무정형 물질을 메탄올중에서 가용화시키고, 진하게 농축될 때까지 회전 증발기중에서 수차례 농출시켜 완전한 메탄올 용액을 얻었다. 이때, 약 200ml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플라스크에 도입시켜 극미세한 현탁액을 형성시켰다. 이것을 건조시켜 분호 장미색의 극미세한 분말을 얻고, 정제하고 RSF를 결정화하였다.
RSF 분말은 H2O, 메탄올 및 에탄올 중에서 가용성이고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에서 불용성이었다. RSF용액은 담적색이었다.
RSF 분말을 메틸 알코올중에 용해시키고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HPLC하에 조사한 결과, 1.591의 RT를 갖는 단일 피크를 나타내었다.
RSF 분말은 고도의 흡수성을 갖고, 진공 건조기중에서 방치한 후에는 진공하에 밀봉된 병중에 보관해야 한다.
별도로 플라스크내에 형성된 침전물도 에틸 알코올-H20(3:1)중에 용해시키고, 약 30ml의 부피가 될때까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회전증발기중에서 증발시켜 농축시켰다. 이때,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여 미세한 현탁액을 만들고 전체를 건조시켰다. 제2방법의 항목 a)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HPLC하의 RT를 나타내는 연한 분홍 장미색 분말을 얻었다.
2) 제2방법
실시예 1에서 수행한 조작후에 방치된 수용액(RSF)(IGF 하부의 총 알코올 추출물로 이루어짐)을 45℃의 회전증발기내 플라스크에서 증발시켜 부피 약 30ml로 농축시켰다.
이때, 300ml의 메틸 알코올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이 형성되면, 혼합물을 교반하고, 동일한 부피의 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면, 일정한 거대 박편 침전물이 형성된다. 부유 부분을 제거하였다. 항목(2)중 이제까지 기재된 모든 침전 공정을 수차례 반복하여 보다 순수한 활성 성분을 얻을 수 있었다.
부유 부분을 제거하고, 침전물을 약 100ml의 이소프로필 알코올중에 현탁시킨 다음, 회전증발기내에서 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얻은 분홍 장미색의 미세한 분말을 이하에서 DEGU라고 칭한다.
DEGU 분말은 수용성이며, 아세톤,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 에테르, 석유 에테르, 에틸 알코올, 메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중에서 불용성이다.
화학적 및 화학-물리적 특성
단일 침전물 유래의 DEGU 분말
a) HPLC
컬럼 RP 18 125mm×4mm,
이동상 메탄올-물(80:20),
파장 210nm,
농도 1mg/ml:RT 0.728(2.18면적%); RT 0.994(40.89면적%); RT 1.452(56.93면적%),
동일한 방법,
농도 2mg/ml:RT 1.031(40.75면적%); RT 1.457(59.26면적%).
구형컬럼 Supercosil LC-NH25μ,
이동상 CH3CN-H2O(3:1),
유량 1.5ml/min,
UV 검출기 217nm:RT 1.702(농축 15.823); RT 1.958(농축 75.7988); RT 5.039(농축 9.1218).
부정형 Chrompack Lichrosorb RP 18-10 μ 컬럼,
이동상 CH3CN-H2O(3:1),
유량 1.5ml/min
UV 검출기 217nm:RT 1.503(농축 15.3867); RT 1.826(농축 42.5747); RT 2.019(농축 38.1984); RT 4.132(농축 3.8399).
b) IR 스펙트럼
(농도 1mg/100mg의 KBr 매질중의 광도계 IR 퍼킨 엘머 모델 683)가시광선 영역
3350cm-1OH 연관 스트레칭(stretching)
2900cm-1CH3및 CH2스트레칭
1600cm-1C=C 스트레칭
1510cm-1OH 관련 벤딩(bending)
1400cm-1CH 벤딩
1380cm-1CH3벤딩
1250cm-1유리 OH 벤딩
1050cm-1C-O 스트레칭
c) UV 스펙트럼
(광도계 UV-비스 퍼킨 엘머 모델 람다 5)
CH3CN-H2O(4:1)중의 용액, 농도 5×10-2mg/ml:최대 흡수:204nm에서의 제1흡수, 279nm에서의 제2흡수
CH3OH-H2O(3:1)중의 용액, 농도 5×10-2mg/ml:최대 흡수:202nm에서의 제1흡수, 279.5nm에서의 제2흡수
d) NMR 스펙트럼
200MHz(양성자) 및 50MHz(탄소)에서 Bruker AC장치를 사용하여 NMR 스펙트럼을 수행하였다. 시료는 0.6ml의 DMSO-d6중에 55mg의 물질을 용해시키고, 내적 표준으로서 3-(트리메틸실릴)프로판술폰산(DSS)의 나트륨염 15mg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1H 스펙트럼에 대하여, 3668 트랜지언트(transient)는 30°임펄스(impulse)를 사용하여 누적시켰다. D2O5 방울을 시료에 첨가시킴으로써 이동 양성자를 교환시키고, 212 트랜지언트를 누적시킴으로써 상대1H 스펙트럼을 수행하였다.
13C 스펙트럼에 대하여, 11,565 트랜지언트는 1.4초간 지연시킨 후 90°임펄스를 사용하여 누적시켰다.
양성자 스펙트럼 조사결과 2.5 내지 4ppm(알코올 또는 에테르형 C-H에 의한 것으로 추정됨)의 영역에서 여러가지 시그날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4 내지 5ppm의 영역에는 히드록실형으로 추정되는 이동 양성자가 존재하였다. 이 스펙트럼에서는 또한 비닐형 양성자 영역에서 약한 시그날이 존재하였다.
13C 스펙트럼 조사에서는 비닐 탄소 영역에서의 몇 개의 피크 및 알코올 및 에테를 탄소 영역에서의 여러가지의 시그날을 나타낸다는 유사한 정보를 얻었다.
e) 백분율 분석 : C % 38.48
H % 5.72
N % ---
O % 55.80
상기 분석에 근사하는 최소한의 실험식은 C9H16O10이다.
f) 융점:95°-130°(분해).
g) 수용액의 pH:6.05.
물질 DEGU의 상술된 화학적 및 화학-물리적 특성은 하기 표에서 합성된 바와 같이 정제된 농도(N°침전 또는 세척)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실시예 3]
유효성분의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법
약제의 총 알코올 추출물을 회전증발기내에서 건조시키고, 소량의 메탄올과 물중에 재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60칼럼과 보다 정확성이 높은 HPLC 제조 컬럼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수행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순수한 분획은 상술된 바와 같이 1.123; 1.301; 1.583; 2.133 및 2.636이 RT를 갖는 피크에 대응한다.
[실시예 4]
시험관내 및 생체내 항신생물 활성을 뒷받침하기 위한 시험
물중에서 가용성이거나 또는 에틸 알코올을 사용하여 가용화시킨, 상기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물질 및 (또는) 성분은 허용되는 수준의 독성과 함께 현저한 항신생물 활성을 나타내고, 면역억제 활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이들 독특한 특성은 이미 본 발명자가 상술된 바와 같이 선행 특허의 목적으로부터 형성된 다른 식물로부터 단리된 유효성분에서 관찰했던 것이다. 이들 특성은 이러한 물질 군이 특히, 각종 세포질 소기관의 체벽 내지 핵막에 이르는 신생물 세포막의 용해 활성을 갖는다는 사실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종양 세포에 대한 현저하고 선택적인 항신생물 활성은 시험관내 및 생체내 조직 수준에서 부피가 증가되고, 교착되며, 세포막의 외향(extroversion) 및 소모, 핵 염색질 및 백색 핵소체의 핵염질감약성(hypochromia)을 갖는 극히 공포(空胞)화된 공허한 세포질을 나타내는 종양 세포에서의 뚜렷한 변화에 의해 입증하였다.
이들 물질의 높은 선택성의 입증은 상기 기재된 모든 병변에의 유사한 처리를 받은 정상 세포에서는 전혀 없다는 사실이다.
상기 물질의 생체내 항신생물 활성은 실험동물로서 스위스종 생쥐를 사용하여 복수증 종양의 일종인 육종(Sacorma) 180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대조 약물로서는 항종양 치료에 있어서 탁월한 효능을 지닌 다우노블라스틴(Daunoblastine)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을 상기 종양 조직을 이식한 스위스종 생쥐에 이식한 다음날로부터 출발하여 8일간 200mg/kg/일의 연속적인 투여량으로 복강내 투여하였다. 대조 물질은 동일 생쥐에 대하여 5일동안 2mg/kg/일의 투여량으로 복강내 투여하였다. 그 결과, 다우노블라스틴을 투여한 대조 동물군에서의 23.0일의 평균 생존일과 비교하여, 명확한 생존자로서 간주되는 치료 동물군의 80%에서 종양 거부가 나타났다.
종양이식한 지 24시간후에, 단일 복강내 주입량의 8배의 투여량으로 단일 피하 주사하면 100% 경우에 있어서 종양 거부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 그의 염, 화합물 또는 복합체를 치료 용도로서 근육내, 정맥내 또는 공동(空洞)내 주입용 수용액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35)

  1. 종려과(Palma) 식물의 일부 및(또는) 전부를 어떠한 발육 또는 성숙 단계에서든지 a) 성분을 알코올중에서 선택되는 유기용매중에 침연(浸軟)시켜 추출하는 공정; b) 추출물을 함유한 용액을 이 용액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화성인 클로로포름과 함께 임의로 교반하거나 진탕시켜 형성된 상중에 추출물 성분을 분포시키는 공정; c) 각 상을 서로 독립적으로, 에틸 알콜, 석유 에테르, 메틸 알콜 및 에틸 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추출물중의 1종 이상의 성분에 대해 용매 활성을 갖는 1 또는 2종이상의 유기 액체로 임의로 처리한 다음, 형성되는 침전물을 여과하고, 침전물 및(또는) 부유 잔류물을 건조 상태로 증발시키는 공정; d) 각 액체상에 존재하는 성분을 임의로 분리시키는 공정; 및 e) 분리된 항신생물 활성을 갖는 성분 및 항신생물 활성을 갖지 않는 성분을 수거하는 공정에 의해 필수적으로 처리하고, 상기 추출물은 각가의 계속되는 단계 전에 임의로 건조 및 정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신생물 활성을 갖는 물질 및(또는) 성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식물이 포에니코이데아에(Phoenicoideae)아과 및 대추야자(Phoenix)종의 식물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식물이 포에닉스 카나디엔시스(Phoenix canadiensis), 포에닉스 닥틸리페라(Phoenix dactylifera), 참마에롭스 엑셀사(Chamaerops excelsa), 참마에롭스 훔밀리스(Chamaerops humilis)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4.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코올이 에탄올인 방법.
  5.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용매와 처리하고자 하는 식물 부분의 부피비가 1:10 내지 10:1인 방법.
  6.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시간이 5분내지 3개월인 방법.
  7.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온도가 5℃ 내지 100℃인 방법.
  8.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물 성분의 분리 방법이 크로마토그래피형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추출물 성분의 분리를 실리카겔 컬럼상에서 수행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추출물 성분의 분리를 HPLC 제조 컬럼상에서 수행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분리는 HPLC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체류시간이 1.123, 1.301, 1.583, 2.133 및 2.636값 부근에 분포되는 성분을 수거하는 방법.
  12. 제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은 에탄올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생성된 용액을 클로로포름과 함께 진탕시켜 녹색의 알코올-클로로포름 상 및 포도적색의 수성상의 2상을 형성시키며, 항신생물 활성을 갖는 화합물이 포도적색상에 존재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항신생물 활성을 갖는 성분의 분리는 수성 상을 건조시키고 메탄올-물 중에 용질을 재용해시킨 후에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항신생물 활성을 갖는 성분의 분리는 HPLC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체류시간이 0.777, 1.044, 1.175 및 2.284값 부근에 분포되는 성분을 수거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수용액을 회전증발기내 플라스크중에서 증발시켜 농축시키고, 에틸 알코올 및 석유 에테르를 도입하여 침전물을 형성시키고, 침전물은 증발 건조시켜 HPLC하에 0.728, 0.994 및 1.452의 RT를 나타내는 연분홍색 분말을 얻고, 부유 부분은 다시 증발시켜 HPLC하에 1.591의 RT를 갖는 단일 피크를 나타내는 무정형 적색 물질을 얻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침전물 및 부유 물질로부터 유도된 무정형 물질을 메틸 알코올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중에 현탁시킨 다음 적색 분말 형태로 결정화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수용액을 증발 플라스크내에서 농축시키고, 여기에 메틸 알코올과 에틸 에테르를 첨가하여 침전물을 형성시키고, 부유 잔류물을 제거한 후 침전물을 이소프로필 알코올중에 현탁시키고 건조시켜 HPLC하에 0.728(2.18 면적%), 0.994(40.89 면적%) 및 1.452(56.93 면적%)를 RT를 나타내는 연한 분홍 장미색 분말을 얻는 방법.
  18. 다음의 특성을 갖고,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물질 및 성분.
    a) 농도 1mg/100mg의 KBr 매질중에서, 3350cm-1OH 연관 스트레칭(stretching), 2900cm-1CH3및 CH2스트레칭, 1600cm-1C=C 스트레칭, 1510cm-1OH 관련 벤딩(bending), 1400cm-1CH 벤딩, 1380cm-1CH3벤딩, 1250cm-1유리 OH 벤딩, 1050cm-1C-O 스트레칭의 관찰 가능한 밴드를 나타내는 IR 스펙트럼, b) CH3CN-H2O(4:1)중의 용액, 농도 5×10-2mg/ml에서 최대 흡수:204nm에서의 제1흡수, 279nm에서의 제2흡수, CH3OH-H2O(3:1)중의 용액, 농도 5×10-2mg/ml에서 최대 흡수:202nm에서의 제1흡수, 279.5nm에서의 제2흡수를 갖는 UV 스펙트럼, c) C 38.48%; H 5.72%; O 55.80%의 원소 분석치 및 d) 융점:95°-130°(분해).
  19. 제18항에 있어서, 수용성을 갖도록 염, 화합물, 복합체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형태의 항신생물 활성을 갖는 물질 및 성분.
  20.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생성물의 군에서 선택된 물질 및 성분을 적어도 1종의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신생물 활성을 갖는 약제.
  21. 제20항에 있어서, 비경구용 수용액 형태로 제조된 약제.
  22. 제20항에 있어서, 경구용 캡슐 형태로 제조된 약제.
  23. 제20항에 있어서, 직장용 좌약 형태로 제조된 약제.
  24. 제20항에 있어서, 질용 강좌약 형태로 제조된 약제.
  25. 제20항에 있어서, 고약(unguent), 연고, 크림 또는 켈 형태로 제조된 약제.
  26. 제21항에 있어서, 각각 0.5 내지 2.5g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바이알중에 제조된 약제.
  27. 제26항에 있어서, 각 바이알이 1.2 내지 1.7g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약제.
  28. 제22항에 있어서, 각각 0.1 내지 2.0g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캡슐 형태로 제조된 약제.
  29. 제28항에 있어서, 각 캡슐이 0.8 내지 1.2g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약제.
  30. 제23항에 있어서, 각각 0.5 내지 2.5g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직장용 좌약 형태로 제조된 약제.
  31. 제30항에 있어서, 각 좌약이 1.2 내지 1.7g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약제.
  32. 제24항에 있어서, 각각 0.5 내지 2.5g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질용 강좌약 형태로 제조된 약제.
  33. 제32항에 있어서, 각 강좌약이 1.2 내지 1.7g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약제.
  34. 제25항에 있어서, 0.5 내지 12%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국소용 부형제를 포함하는 고약, 연고, 크림 또는 겔 형태로 제조된 약제.
  35. 제34항에 있어서, 국소용 부형제가 3 내지 7 중량%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약제.
KR1019930701246A 1991-08-28 1992-08-25 식물에서 추출된 항신생물 약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960014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RM91A000637 1991-08-28
ITRM910637A IT1249447B (it) 1991-08-28 1991-08-28 Farmaco antineoplastico di estrazione vegetale. procedimento per la sua preparazione.
PCT/IT1992/000106 WO1993004689A1 (en) 1991-08-28 1992-08-25 Antineoplastic drug of plant extractio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1968A KR930701968A (ko) 1993-09-08
KR960014791B1 true KR960014791B1 (ko) 1996-10-19

Family

ID=1140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1246A KR960014791B1 (ko) 1991-08-28 1992-08-25 식물에서 추출된 항신생물 약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556626A (ko)
EP (1) EP0554445A1 (ko)
JP (1) JPH0784391B2 (ko)
KR (1) KR960014791B1 (ko)
AU (1) AU654583B2 (ko)
BG (1) BG61065B1 (ko)
CA (1) CA2093914C (ko)
FI (1) FI98889C (ko)
HU (1) HUT64861A (ko)
IL (1) IL102801A (ko)
IT (1) IT1249447B (ko)
MX (1) MX9204917A (ko)
PL (1) PL168929B1 (ko)
PT (1) PT100819A (ko)
RO (1) RO109816B1 (ko)
WO (1) WO19930046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45700B (it) * 1991-05-29 1994-10-14 Arrigo Claudio D Chemioterapico antineoplastico di origine vegetale, ad elevata selettivita' e tossicita' fortemente ridotta e procedimento per la sua preparazione
FR2743723B1 (fr) * 1996-01-18 1998-04-17 Texinfine Sa Utilisation d'extrait des plantes de la famille des dictyotales en vue de la realisation de preparations destinees a remanier les elements glycosyles de la matrice extracellulaire de tissus vivants
IL121320A (en) * 1997-02-23 2000-12-06 Ibr Ltd Extracts from cells or tissue of organisms which are capable of entering dormancy for inhibition of proliferation of target cells or tissue
FR2762218A1 (fr) * 1997-04-21 1998-10-23 Bachir Ouis Medicament destine a la guerison de toute maladie dont la sterilite chez l'homme ou l'animal caracterise par le fait que le coeur du palmier dattier contient une substance minerale qui est faite d'argile
US20060160702A1 (en) * 1998-02-23 2006-07-20 Etienne Soudant Compositions comprising anti-proliferative agents and use thereof
WO2006131932A1 (en) * 2005-06-09 2006-12-14 Mmi Corporation Herbal formulation capable of preventing alcohol-induced hangover, methods of preparing the same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56626A (en) 1996-09-17
JPH0784391B2 (ja) 1995-09-13
BG97662A (bg) 1994-03-31
CA2093914A1 (en) 1993-03-01
FI931898A (fi) 1993-04-27
BG61065B1 (bg) 1996-10-31
FI98889B (fi) 1997-05-30
JPH05506674A (ja) 1993-09-30
MX9204917A (es) 1993-02-01
WO1993004689A1 (en) 1993-03-18
FI931898A0 (fi) 1993-04-27
ITRM910637A0 (it) 1991-08-28
RO109816B1 (ro) 1995-06-30
PL299218A1 (en) 1994-04-05
KR930701968A (ko) 1993-09-08
ITRM910637A1 (it) 1993-02-28
EP0554445A1 (en) 1993-08-11
IT1249447B (it) 1995-02-23
HUT64861A (en) 1994-03-28
IL102801A (en) 1997-09-30
AU2549892A (en) 1993-04-05
CA2093914C (en) 1998-07-07
HU9301217D0 (en) 1993-07-28
AU654583B2 (en) 1994-11-10
PL168929B1 (pl) 1996-05-31
FI98889C (fi) 1997-09-10
PT100819A (pt) 1994-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33623A (zh) 氯硝柳胺乙醇胺盐-羟丙基-β-环糊精包合物及其制备
KR960014791B1 (ko) 식물에서 추출된 항신생물 약제 및 그의 제조방법
RU2322091C1 (ru) Композиц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веществ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анодисперсии ее
KR100750500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 사가 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 이의 분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KR960014790B1 (ko) 선택성이 높고 독성이 크게 감소된 식물 유래의 항신생물 화학요법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90081362A (ko) 천연 무화과 분리성분을 함유한 약용비누 조성물
JPH06128145A (ja) 皮膚外用剤
JPS6236330A (ja) センブリ抽出エキス及びその製法
RU2183966C1 (ru) Состав биофлавоноидного комплекса сибларекс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добавок, медицинских и химико-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офлавоноидного комплекса сибларекс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добавок, медицинских и химико-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JPS62207289A (ja) アスコルビン酸―ゲラニイン結合体
DE19600301A1 (de) Bioregulatorischer Wirkstoff,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dessen Verwendung
US20170119835A1 (en) Method of making an adjunct to potentiate blocking of ribosomal functions in tumor cells and prevent body weight loss during cyclophosphamide cancer therapy
US3274053A (en) Sennosid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WO1997023233A1 (en) Biologically active compositions and their use
JPS63101329A (ja) 抗腫瘍剤
JPS5950680B2 (ja) 抗悪性新生物作用を有するニ−ム樹皮抽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