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500B1 -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 사가 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 이의 분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 Google Patents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 사가 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 이의 분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500B1
KR100750500B1 KR1020050002493A KR20050002493A KR100750500B1 KR 100750500 B1 KR100750500 B1 KR 100750500B1 KR 1020050002493 A KR1020050002493 A KR 1020050002493A KR 20050002493 A KR20050002493 A KR 20050002493A KR 100750500 B1 KR100750500 B1 KR 100750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t
acid
nmr
mhz
sargachrom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214A (ko
Inventor
신종헌
김태윤
장경화
이봉호
최병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50002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500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going through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4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wood

Abstract

본 발명은 꽈배기 모자반으로부터 추출 분리된 신규 사가 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 이를 분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산화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분리 방법은 파쇄된 꽈배기모자반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1회 또는 2회 이상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물질을 1회 또는 2회 이상 용매 분획하는 단계; 및 상기 용매 분획물을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 및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꽈배기모자반으로부터 추출 분리된 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은 항산화 활성이 높아 피부병 치료에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고 상업화에 적합한 장점을 갖는다.
꽈배기 모자반, 크로마놀, 유도체, 항산화제, 추출, 분리,

Description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 사가 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 이의 분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Novel Sargachromanol derivatives, a isolation method thereof, and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showing antioxidant activity}
본 발명은 꽈배기모자반(Sargassum siliquastrum)으로부터 분리된 신규의 물질, 이의 추출, 정제방법, 및 이를 항산화제로 사용하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꽈배기모자반으로부터 추출된 신규의 물질; 꽈배기모자반으로부터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물질을 용매분획 한 다음, 각종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물질의 추출 및 정제 방법; 및 상기 물질을 천연 항산화제로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간세포는 산소를 이용한 에너지 대사를 통하여 섭취된 영양분으로부터 에너지를 얻어 생존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스트레스를 받으면 수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 -), 과산화수소, 히드록시 라디칼 등의 유해한 활성산소종으로 변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생리적 장애를 일으키고 심할 경우에는 질병을 유발한다. 생체는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자기방어기구로서 수퍼옥사이드디스뮤테이즈(SOD)같은 항산화 기구를 발달시키면서 진화해 왔으며, 조직의 방어능력을 초월한 활성 산소종의 발생은 단백질, DNA, 효소 및 T세포와 같은 면역계통의 인자를 손상시켜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된다. 또한, 활성 산소종은 세포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불포화 지방산을 공격하여 과산화반응을 일으키고, 이로 인하여 생체 내 축적된 과산화지질은 노화와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iter, RJ., Drug News Perspect, 11(5), pp291-296, 1998).
게다가 노화와 성인병의 원인이 활성 산소종에 기인된 것이라는 학설이 광범위하게 인정받게 되었으며, 1940년대 자동산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이후로 현재까지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널리 알려져 있는 항산화제는 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등의 합성 항산화제이며, 식품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 항산화물질이 발암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합성 항산화제에 대한 소비자의 기피 현상이 두드러짐에 따라 종래의 합성 항산화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천연물에서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각광을 받게 되었다. 이외에도, 농산물과 해산물로부터 여러 가지의 항산화성 물질을 얻고자 하는 연구가 최근에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토코페롤이 가장 대표적인 천연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으며, 차 잎 추출물 등으로부터 다양한 항산화물질을 얻을 수 있음이 알려져 왔다.
한편, 1980년대 후반부터 해조류로부터 생리활성 물질, 특히 항산화성 물질을 추출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며, 특히 프랑스와 일본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 고 있다. 다카키(Tagaki)와 미야시다(Miyashida)는 일본 근해에서 서식하는 12종류의 해조류로부터 천연물을 추출하여 이 물질에 대한 토코페롤 성분을 조사한 결과, 알파형이 주성분이며, 소량의 베타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K. Miyashita and T. Tagaki, Agric. Biol. Chem. 51, 315 (1987)). 또한 가네니와(Kaneniwa) 등은 일본 근해에서 서식하는 해조류로부터 항산화성 물질을 추출하였는데 이들은 해조류의 지질성분에서 항산화성을 갖는 5-올레핀산(olefinic acid) 등이 존재한다고 보고하였는데(M. Kaneniwa, Y.Itabashi and T Tagaki, Nippon Suisan Gakkashi 53, 861(1987)), 상기 화합물들은 항산화제로는 흔하지 않은 물질들이다. 니시보리(Nishibori)와 나카미(Nakami) 등은 7종류의 해조류를 헥산/에탄올 혼합물로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여 그들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김과 미역에서 추출된 지질이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BHA 및 알파-토코페롤에 필적할 만한 항산화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S. Nishibori and K. Namiki, 가정학잡지 36, 17(1985)). 그러나 이 역시 추출 분리량이 매우 적어 상업화되기는 곤란한 문제점이 갖고 있다.
또한, 박재한 등이 12 종류의 해조류를 메탄올과 클로로포름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얻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김, 미역, 다시마 등에서 BHA보다 우수한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얻었으나 열안정성 등의 문제로 이 역시 상업화되지는 못하였다(박재한, 강 규찬, 백 상봉, 이 윤형, 이 규순, 한국식품과학회지, 23, p256, 1991).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해조류로부터 유용한 물질을 추출, 정제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우리나라 근해에 서식하는 해조류인 꽈배기모자반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물질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피부질환 치료제로서 개발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 사가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 이의 분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산화제로서 유용한, 하기 구조식 (1) 내지 (16) 구조를 갖는 신규 사가크로마놀 화합물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사가크로마놀 A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01
(1)
사가크로마놀 B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02
(2)
사가크로마놀 C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03
(3)
사가크로마놀 D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04
(4)
사가크로마놀 E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05
(5)
사가크로마놀 F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06
(6)
사가크로마놀 G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07
(7)
사가크로마놀 H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08
(8)
사가크로마놀 I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09
(9)
사가크로마놀 J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10
(10)
사가크로마놀 K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11
(11)
사가크로마놀 L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12
(12)
사가크로마놀 M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13
(13)
사가크로마놀 N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14
(14)
사가크로마놀 O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15
(15)
사가크로마놀 P의 구조
Figure 112005001460178-pat00016
(16)
상기 구조식 (1) 내지 (16)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 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 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 (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 (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 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 (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상기의 구조식 (1) 내지 (16)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 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구조식 (1) 내지 (16)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 한 염으로는 히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 염이 포함되며,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 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구조식 (1) 내지 (16) 화합물의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추출시료인 갈조류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조추출 물을 얻는 제 1단계: 상기 조추출물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기화하여 잔류물을 얻는 제 2단계: 상기 잔류물을 극성에 따라 분획을 얻는 제 3단계: 상기 분획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기화하여 극성 유기농축물을 얻는 제 4단계: 상기 농축물을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 및 분리하는 제 5단계 공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사가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 5단계의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는 공정은 상세하게는, 상기 실리카 진공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서 10% 물/메탄올로 용출한 분획을 진공건조하여 얻은 잔류물을 역상 반-분취 HPLC 컬럼 {고정상 : YMC ODS-A반분취 실리카 입자의 지름 5㎛, 10 x 250mm(내경 x 길이), 용리액 : 20%물/메탄올}으로 반고형 성분을 얻은 뒤 이 성분을 다시 실리카 반분취 HPLC 컬럼 {고정상 : YMC silica입자의 지름 5㎛, 10 x 250mm(내경 x 길이), 용리액 : 3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정제 및 분리할 수 있으며, 보다 상게하게는, 진공 역상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vacuum C18 reversed- phase flash chromatography)를 {고정상 : TLC용 ODS-A, 컬럼 : 유리필터컬럼 100 x 95mm (내경 x 길이), 용리액 : 50% 물/메탄올 → 40% 물/메탄올 → 30% 물/메탄올 → → → → 100% 메탄올과 같이 10%씩 메탄올을 증가시킨 혼합액}로 여러 분획을 얻은 후, 이들 중 40% 물/메탄올, 30% 물/메탄올과 20% 물/메탄올로 용출한 분획을 합하여 진공건조하여 얻은 잔류물을 역상 반-분취 HPLC 컬럼 {고정상 : YMC ODS-A반분취 실리카 입자의 지름 5 ㎛, 10 x 250mm(내경 x 길이), 용리액 : 25% 물/메탄올}으로 반고형성분을 얻은 뒤 이 성분을 다시 실리카 반분취 HPLC 컬럼 {고정상 : YMC silica입자의 지름 5㎛, 10 x 250mm(내경 x 길이), 용리액 : 3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분리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가크로메날 B와 D의 추출방법과 위에서 얻어진 또 다른 반고형 성분을 다시 실리카 반분취 HPLC 컬럼 {고정상 : YMC silica입자의 지름 5㎛, 10 x 250mm(내경 x 길이), 용리액 : 35%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추출 및 분리하는 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신규 사가크로마놀 유도체들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파쇄된 모자반에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추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식 (1) 내지 (16) 사가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꽈배기모자반(Sargassum siliquastrum) 등의 갈조류로부터 파쇄된 꽈배기 모자반에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아세톤, 디클로로메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혼합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추출물의 추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분리방법으로 얻어진 본 발명의 사가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들은 DDPH(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라디칼에 대한 비교군보다 강력한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여 종래 합성 항산화제보다 우수하고 안전성이 탁월한 항산화제로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식 (1) 내지 (16) 사가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 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 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0.0001 ~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 1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 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실험 준비 및 기기
1-1. 분석기기
본 실험에서 얻은 생성물의 구조 확인을 위해 사용된 기기는 하기와 같다.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1H NMR, 13C NMR) 은 300 MHz 또는 500MHz 를, 용매는 CDCl 3, DMSO-d6를 사용하였다. 짝지음(Coupling) 상수 ( J )는 Hz 로 표시하였다. 질량(Mass) 스펙트럼은 Jeol사의 JMS-SX 102A와 JMS-700 고해상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였으며 m/z 형태로 표시하였다.
1-2. TLC 및 관크로마토그래피
TLC (Thin layer chromatography)는 E. Merck 사 제품인 실리카겔(Merck F254)을 사용하였으며 관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를 위해서는 실리카(Merck EM9385, 230-400 mesh)를 사용하였다. 또한, TLC 상에서 분리된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서 UV 램프(= 254 nm)를 이용하거나 아니스알데히드(Anisaldehyde), 과망간산칼륨(KMnO4) 발색 시약에 담근 후, 플레이트를 가열하여 확인하였다.
1-3. 사용 시약
본 실험에서 사용된 시약은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 란캐스터(Lancaster), 플루카(Fluka)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반응에 사용된 용매는 시그마-알드리치(Sigma-Aldrich), 머크(Merck), 준세이 화학(Junsei Chemical Co.) 제품의 1급 시약을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용매에 사용한 THF 는 아르곤 기류에서 Na 금속과 벤조페논(Benzophenone)을 넣고 가열환류하여 청색으로 되었을 때 사용하였다. 또한, 디클로로메탄(CH2Cl2) 은 아르곤 기류에서 CaH2 를 넣고 가열환류하여 사용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와 헥산은 아르곤 기류에서 가열환류하여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사사크로마놀 유도체들의 분리
제주도 북제주군 신촌리 부근 조간대에서 채집한 결건조된 갈조류의 해조류 꽈배기모자반(Sargassum siliquastrum) 350g(건조 중량)을 칼로 2-3cm 길이로 자른 뒤 디클로로메탄 4 L를 가하여 24시간 방치하고 그 용액을 여과하였다. 이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남은 시료에 대하여 아세톤 4 L를 가하고 24시간 방치하여 그 용액을 여과하였다. 이 과정을 2회 반복한 후 남은 시료에 대하여 다시 메탄올 4 L를 가하고 24시간 방치하여 여과하였다. 디클로로메탄, 아세톤과 메탄올 여과액을 합한 후 감압 하에서 용매를 증기화시켜 제거하여 조추출물 41.6 g을 얻었다. 이 조추출물을 15% 물/메탄올과 헥산을 사용하여 분획한 후 각각의 분획을 감압, 용매를 제거하여 각각 36.2 g과 4.2 g의 반고형 성분을 얻었다. 그중 15% 물/메탄올 분획 25.2 g을 분취하여 메탄올 300 ml에 녹인 후 진공 역상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vacuum C18 reversed-phase flash chromatography ; 유리관 150 mm x 75 mm에 충 진)를 이용하여 7 개의 분획(fraction)으로 나누었다. 용리액은 50% 물/메탄올에서 시작하여 메탄올을 10%씩 증가시켜 사용하였으며 마지막에는 아세톤으로 분획하여, 모두 7개의 분획(각 1 L)이 얻어 졌다.
분획 2 (40% 물/메탄올), 분획 3 (30% 물/메탄올), 분획 4 (20% 물/메탄올), 분획 5 (10% 물/메탄올)에 새로운 대사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이 수소 핵자기 공명 분광스펙트럼과 항산화 활성 측정에 의하여 확인 되었다.
분획 2, 3 와 4를 합한 후에 감압건조하여 얻어진 유기물질 710 mg을 25% 물/메탄올 (3 ml)에 녹인 후 여과하여 (spartan filter/Aldrich 사 제품) 녹지 않는 물질을 제거하였다. 용액을 동일한 용리용체를 이용하여 역상 반-분취 HPLC 컬럼 (C18 reverse-phase semi-preparative HPLC column) (YMC ODS-A, 입자 직경 5 ㎛, 250 x 10 mm (길이 x 내경), 용출속도 2 ml/min, 굴절율 검출기)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머무름 시간 30, 34, 37, 40, 46분에 용출되는 반고형성분을 얻었다. 머무름 시간 30분에 얻어진 반고형성분을 30% 에틸아세테이트/헥산에 녹인 후 다시 동일한 용리유체를 이용하여 실리카 반분취 HPLC 컬럼 (silica semi-preparative HPLC column)(YMC silica, 입자 직경 5 ㎛, 250 x 10 mm (길이 x 내경), 용출속도 2 ml/min, 굴절율 검출기)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머무름 시간 14분과 19분에서 무색의 액체 형태의 물질인 사가크로마놀 B와 D를 각각 5.1 mg, 57.2 mg씩 얻었다. 또한, 머무름 시간 34, 37, 40, 46분에 얻어진 반고형성분은 35% 에틸아세테이트/헥산으로 용리유체만을 바꾸어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머무름 시간 9, 10, 11, 14, 15, 16분에서 무색의 액체 형태의 물질인 사가크로마놀 A, H, G, E, K, I를 각각 4.9 mg, 10.1 mg, 217.9 mg, 52.3 mg, 16.3 mg, 127.4 mg씩 얻었다.
진공 역상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의 분획 5 (10% 물/메탄올)를 감압건조하여 얻어진 유기물질 870 mg을 20% 물/메탄올(3 ml)에 녹인 후 여과하여 (spartan filter/Aldrich 사 제품) 녹지 않는 물질을 제거하였다. 용액을 동일한 용리유체를 이용하여 역상 반-분취 HPLC 컬럼 (C18 reverse-phase semi-preparative HPLC column) (YMC ODS-A, 입자 직경 5 ㎛, 250 x 10 mm (길이 x 내경), 용출속도 2 ml/min, 굴절율 검출기)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머무름 시간 48, 54, 57, 63, 70, 76, 80, 86분에 용출되는 반고형성분을 얻었다. 각각의 얻어진 반고형성분을 30% 에틸아세테이트/ 헥산에 녹인 후 다시 동일한 용리유체를 이용하여 실리카 반분취 HPLC 컬럼(silica semi-preparative HPLC column) (YMC silica, 입자 직경 5 ㎛, 250 x 10 mm (길이 x 내경), 용출속도 2 ml/min, 굴절율 검출기)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머무름 시간 16, 17, 18, 19, 20, 21, 22, 23, 24분에서 무색의 액체 형태의 물질인 사가크로마놀 P, F, J, O, M, N, L, C를 각각 10.1 mg, 10.3 mg, 20.6 mg, 10.9 mg, 8.0 mg, 5.2 mg, 6.1 mg, 4.9 mg 획득하였다.
사가크로마놀 A-P의 물리적 특성은 무색의 반고형 액체상태로서 실온에서 대체적으로 안정하며 클로로포름, 아세톤, 메탄올 등 중정도 극성 및 극성 유기용매에 잘 녹는다. 이 물질들의 구조는 핵자기 공명(nuclear magnetic resonance) 스펙트 럼, 적외선 및 자외선 분광자료와 고해상 질량분석 데이터에 의하여 결정되었으며,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에서 1H-nmr 시그날과 13C-nmr 시그날에 대한 위치지정(assignment)은 COSY, TOCSY, gradient HSQC, gradient HMBC 등의 다차원 핵자기 공명 실험을 통하여 이루어 졌다. 이 화합물의 구조에 대한 지정은 표 1과 같다.
사가크로마놀 A(sargachromanol A)
(1) 분자식 : C22H30O3
(2) 분자량 : 342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370 (br), 2925, 1685, 1470, 1220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1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1 참조
사가크로마놀 B(sargachromanol B)
(1) 분자식 : C22H32O3
(2) 분자량 : 344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380 (br), 2975, 2930, 1470, 1225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2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2 참조
사가크로마놀 C(sargachromanol C)
(1) 분자식 : C27H40O3
(2) 분자량 : 412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420 (br), 2930, 1645, 1475, 1220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3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3 참조
사가크로마놀 D(sargachromanol D)
(1) 분자식 : C27H40O4
(2) 분자량 : 428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350 (br), 2975, 2930, 1470, 1375, 1220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4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4 참조
사가크로마놀 E(sargachromanol E)
(1) 분자식 : C27H40O4
(2) 분자량 : 428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400 (br), 2975, 2930, 1645, 1470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5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5 참조
사가크로마놀 F(sargachromanol F)
(1) 분자식 : C28H42O4
(2) 분자량 : 442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400 (br), 2930, 1470, 1220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6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6 참조
사가크로마놀 G(sargachromanol G)
(1) 분자식 : C27H38O4
(2) 분자량 : 426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400 (br), 2970, 2930, 1665, 1470, 1220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7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7 참조
사가크로마놀 H (sargachromanol H)
(1) 분자식 : C27H38O4
(2) 분자량 : 426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400 (br), 2975, 2930, 1715, 1470, 1460, 1220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8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8 참조
사가크로마놀 I (sargachromanol I)
(1) 분자식 : C27H40O4
(2) 분자량 : 428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400 (br), 2935, 1710, 1470, 1220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9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9 참조
사가크로마놀 J (sargachromanol J)
(1) 분자식 : C27H42O4
(2) 분자량 : 430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400 (br), 2935, 1700, 1470, 1220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10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10 참조
사가크로마놀 K (sargachromanol K)
(1) 분자식 : C27H38O4
(2) 분자량 : 426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400 (br), 2930, 1680, 1620, 1470, 1220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11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11 참조
사가크로마놀 L (sargachromanol L)
(1) 분자식 : C27H40O3
(2) 분자량 : 412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380 (br), 2925, 1475, 1375, 1220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12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12 참조
사가크로마놀 M (sargachromanol M)
(1) 분자식 : C27H38O3
(2) 분자량 : 410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400 (br), 2930, 1665, 1655, 1475, 1465, 1220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13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13 참조
사가크로마놀 N (sargachromanol N)
(1) 분자식 : C27H38O3
(2) 분자량 : 410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400, 2930, 1660, 1655, 1470, 1220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14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14 참조
사가크로마놀 O (sargachromanol O)
(1) 분자식 : C27H38O4
(2) 분자량 : 426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400 (br), 2930, 1705, 1470, 1220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15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15 참조
사가크로마놀 P (sargachromanol P)
(1) 분자식 : C27H36O3
(2) 분자량 : 408
(3) 색 : 무색
(4) 녹는점 : 상온에서 반고형 액체
(5) 적외선 흡수대 (KBr) : 3400 (br), 2925, 1690, 1635, 1220 cm-1
(6) 1H-NMR (CDCl3, 500 MHz); 표 16 참조
(7) 13C-NMR (CDCl3, 125 MHz); 표 16 참조
위치 Sargachromanol A
1H 13C
2 75.4 s
3 1.79 (1 H, dt, J = 13.5, 6.8 Hz), 1.73 (1 H, m) 31.7 t
4 2.71 (2 H, t, J = 6.8 Hz) 22.7 t
4a 121.4 s
5 6.40 (1 H, d, J = 2.8 Hz) 112.8 d
6 148.0 s
7 6.49 (1 H, d, J = 2.8 Hz) 115.9 d
8 127.6 s
8a 146.2 s
1' 1.63 (1 H, m), 1.54 (1 H, m) 39.8 t
2' 2.14 (2 H, m) 22.4 t
3' 5.19 (1 H, tq, J = 7.1, 1.0 Hz) 125.9 d
4' 133.7 s
5' 2.16 (2 H, t, J = 7.3 Hz) 38.2 t
6' 2.45 (2 H, dt, J = 7.3, 7.3 Hz) 27.6 t
7' 6.46 (1 H, tq, J = 7.3, 1.2 Hz) 154.6 d
8' 139.6 s
9' 9.38 (1 H, s) 195.5 d
10' 1.74 (3 H, br s) 9.4 q
11' 1.63 (3 H, br s) 16.0 q
12' 1.27 (3 H, s) 24.2 q
13' 2.14 (3 H, s) 16.3 q
위치 Sargachromanol B
1H 13C
2 75.3 s
3 1.80 (1 H, dd, J = 13.7, 6.8 Hz) 1.73 (1 H, dd, J = 13.7, 6.8 Hz) 31.4 t
4 2.70 (2 H, t, J = 6.8 Hz) 22.5 t
4a 121.2 s
5 6.38 (1 H, d, J = 2.9 Hz) 112.6 d
6 147.7 s
7 6.48 (1 H, d, J = 2.9 Hz) 115.6 d
8 127.4 s
8a 145.9 s
1' 1.63 (1 H, m), 1.54 (1 H, m) 39.6 t
2' 2.11 (2 H, m) 22.1 t
3' 5.14 (1 H, ddq, J = 7.3, 6.8, 1.0 Hz) 124.6 d
4' 134.7 s
5' 2.00 (2 H, t, J = 6.8 Hz) 39.2 t
6' 2.12 (2 H, m) 26.2 t
7' 5.38 (1 H, ddq, J = 7.3, 6.8, 1.0 Hz) 126.1 d
8' 134.7 s
9' 3.98 (2 H, s) 69.0 t
10' 1.65 (3 H, br s) 13.7 q
11' 1.59 (3 H, br s) 15.8 q
12' 1.26 (3 H, s) 24.0 q
13' 2.13 (3 H, s) 16.1 q
위치 Sargachromanol C
1H 13C
2 75.3 s
3 1.80 (1 H, dt, J = 13.5, 6.8 Hz), 1.74 (1 H, m) 31.4 t
4 2.71 (2 H, t, J = 6.8Hz) 22.5 t
4a 121.2 s
5 6.39 (1 H, d, J = 2.5 Hz) 112.6 d
6 147.8 s
7 6.49 (1 H, d, J = 2.5 Hz) 115.6 d
8 127.4 s
8a 146.0 s
1' 1.63 (1 H, m), 1.55 (1 H, m) 39.7 t
2' 2.13 (2 H, m) 22.2 t
3' 5.15 (1 H, t, J = 7.1 Hz) 124.5 d
4' 134.8 s
5' 2.01 (2 H, dd, J = 7.9, 7.1 Hz) 39.3 t
6' 2.11 (2 H, m) 26.2 t
7' 5.38 (1 H, t, J = 6.8 Hz) 126.1 d
8' 136.7 s
9' 3.98 (1 H, dd, J = 7.1, 6.2 Hz) 77.0 d
10' 2.29 (1 H, ddd, J = 14.4, 7.1, 6.8 Hz) 2.20 (1 H, m) 34.2 t
11' 5.10 (1 H, t, J = 6.8 Hz) 120.2 d
12' 134.6 s
13' 1.73 (3 H, s) 25.9 q
14' 1.64 (3 H, s) 18.0 q
15' 1.62 (3 H, s) 11.7 q
16' 1.61 (3 H, s) 15.9 q
17' 1.27 (3 H, s) 24.0 q
18' 2.12 (3 H, s) 16.0 q
OH 4.35 (1 H, br s)
위치 Sargachromanol D
1H 13C
2 75.2 s
3 1.78 (1 H, m), 1.71 (1 H, m) 31.3 t
4 2.68 (2 H, t, J = 6.8 Hz) 22.4 t
4a 121.1 s
5 6.37 (1 H, d, J = 2.7 Hz) 112.6 d
6 147.9 s
7 6.46 (1 H, d, J = 2.7 Hz) 115.7 d
8 127.2 s
8a 145.8 s
1' 1.62 (1 H, dt J = 15.1, 7.3 Hz), 1.53 (1 H, m) 39.5 t
2' 2.11 (2 H, dt J = 7.3, 7.3 Hz) 22.1 t
3' 5.13 (1 H, t, J = 7.3 Hz) 124.8 d
4' 134.6 s
5' 2.02 (2 H, t, J = 7.8 Hz) 39.1 t
6' 2.16 (2 H, m) 26.0 t
7' 5.46 (1 H, t, J = 7.3 Hz) 129.5 d
8' 133.5 s
9' 3.86 (1 H, d, J = 6.6 Hz) 80.2 d
10' 4.30 (1 H, dd, J = 8.8, 6.6 Hz) 69.2 d
11' 5.19 (1 H, dq, J = 8.8, 1.5 Hz) 123.3 d
12' 139.2 s
13' 1.77 (3 H, s) 26.0 q
14' 1.73 (3 H, s) 18.6 q
15' 1.65 (3 H, s) 11.8 q
16' 1.59 (3 H, s) 15.7 q
17' 1.25 (3 H, s) 24.0 q
18' 2.12 (3 H, s) 16.0 q
위치 Sargachromanol E
1H 13C
2 76.2 s
3 1.78 (1 H, dt, J = 13.2, 6.8 Hz) 1.72 (1 H, dt, J = 13.2, 6.8 Hz) 32.8 t
4 2.67 (2 H, t, J = 6.8 Hz) 23.4 t
4a 122.3 s
5 6.31 (1 H, d, J = 2.4 Hz) 113.6 d
6 150.4 s
7 6.40 (1 H, d, J = 2.4 Hz) 116.6 d
8 127.8 s
8a 146.3 s
1' 1.60 (1 H, m), 1.52 (1 H, m) 40.6 t
2' 2.13 (2 H, dt J = 6.8, 7.3 Hz) 23.2 t
3' 5.15 (1 H, br t, J = 6.8 Hz) 125.9 d
4' 135.8 s
5' 1.97 (2 H, t, J = 7.3 Hz) 40.3 t
6' 2.08 (2 H, dt, J = 6.8, 7.3 Hz) 27.2 t
7' 5.34 (1 H, t, J = 6.8 Hz) 129.4 d
8' 135.6 s
9' 3.71 (1 H, d, J = 7.8 Hz) 82.7 d
10' 4.22 (1 H, dd, J = 9.3, 7.8 Hz) 71.4 d
11' 5.03 (1 H, br d, J = 9.3 Hz) 125.8 d
12' 136.9 s
13' 1.67 (3 H, d, J = 1.0 Hz) 26.1 q
14' 1.66 (3 H, d, J = 1.5 Hz) 18.5 q
15' 1.55 (3 H, s) 12.3 q
16' 1.57 (3 H, s) 15.9 q
17' 1.24 (3 H, s) 24.4 q
18' 2.07 (3 H, s) 16.3 q
위치 Sargachromanol F
1H 13C
2 75.2 s
3 1.79 (1 H, m), 1.73 (1 H, dt, J = 13.5, 6.8 Hz) 31.4 t
4 2.69 (2 H, t, J = 6.8 Hz) 22.5 t
4a 121.2 s
5 6.38 (1 H, d, J = 2.7 Hz) 112.5 d
6 147.8 s
7 6.47 (1 H, d, J = 2.7 Hz) 115.6 d
8 127.3 s
8a 145.8 s
1' 1.62 (1 H, m), 1.56 (1 H, m) 39.6 t
2' 2.10 (2 H, m) 22.1 t
3' 5.14 (1 H, tq, J = 7.1, 1.2 Hz) 124.3 d
4' 134.9 s
5' 1.98 (2 H, dd, J = 8.4, 6.6 Hz) 39.2 t
6' 2.12 (2 H, m) 26.3 t
7' 5.41 (1 H, tq, J = 6.8, 1.2 Hz) 127.9 d
8' 133.4 s
9' 4.02 (1 H, br d, J = 5.1 Hz) 78.2 d
10' 3.95 (1 H, dd, J = 9.1, 5.1 Hz) 79.2 d
11' 5.09 (1 H, dhep, J = 9.1, 1.2 Hz) 121.6 d
12' 139.1 s
13' 1.78 (3 H, d, J = 1.2 Hz) 26.0 q
14' 1.69 (3 H, d, J = 1.2 Hz) 18.5 q
15' 1.61 (3 H, br d, J = 1.2 Hz) 12.6 q
16' 1.59 (3 H, br s) 15.9 q
17' 1.26 (3 H, s) 24.0 q
18' 2.12 (3 H, s) 16.0 q
OCH3 3.26 (3 H, s) 56.0 q
위치 Sargachromanol G
1H 13C
2 75.0 s
3 1.78 (1 H, dt, J = 13.2, 7.3 Hz) 1.72 (1 H, dt, J = 13.2, 6.8 Hz) 31.4 t
4 2.71 (1 H, ddd, J = 16.6, 7.3, 6.4 Hz) 2.65 (1 H, ddd, J = 16.6, 7.3, 6.4 Hz) 22.4 t
4a 121.1 s
5 6.38 (1 H, d, J = 2.7 Hz) 112.6 d
6 148.0 s
7 6.47 (1 H, d, J = 2.7 Hz) 115.7 d
8 127.1 s
8a 145.6 s
1' 1.62 (1 H, m), 1.52 (1 H, m) 39.3 t
2' 2.12 (2 H, m) 22.1 t
3' 5.13 (1 H, t, J = 7.3 Hz) 125.6 d
4' 133.5 s
5' 2.08 (2 H, t, J = 7.3 Hz) 37.9 t
6' 2.34 (2 H, dt, J = 7.3, 7.3 Hz) 27.4 t
7' 6.55 (1 H, t, J = 7.3 Hz) 145.5 d
8' 133.6 s
9' 201.2 s
10' 5.29 (1 H, d, J = 9.8 Hz) 69.7 d
11' 4.99 (1 H, dhep, J = 9.8, 1.5 Hz) 123.3 d
12' 138.0 s
13' 1.72 (3 H, s) 25.8 q
14' 1.82 (3 H, s) 18.2 q
15' 1.80 (3 H, s) 11.7 q
16' 1.59 (3 H, s) 15.7 q
17' 1.25 (3 H, s) 24.0 q
18' 2.11 (3 H, s) 16.0 q
위치 Sargachromanol H
1H 13C
2 75.2 s
3 1.79 (1 H, dt, J = 13.2, 6.8 Hz) 1.73 (1 H, dt, J = 13.2, 6.8 Hz) 31.4 t
4 2.69 (2 H, t, J = 6.8 Hz) 22.4 t
4a 121.2 s
5 6.38 (1 H, d, J = 2.7 Hz) 112.6 d
6 147.8 s
7 6.48 (1 H, d, J = 2.7 Hz) 115.6 d
8 127.3 s
8a 145.9 s
1' 1.62 (1 H, m), 1.54 (1 H, m) 39.5 t
2' 2.14 (2 H, dt, J = 7.3, 7.3 Hz) 22.2 t
3' 5.15 (1 H, tq, J = 7.3, 1.0 Hz) 125.4 d
4' 133.0 s
5' 2.73 (1 H, dd, J = 15.6, 8.3 Hz) 2.67 (1 H, dd, J = 15.6, 6.8 Hz) 37.2 t
6' 5.53 (1 H, ddd, J = 10.7, 8.3, 6.8 Hz) 130.6 d
7' 5.30 (1 H, dd, J = 10.7 10.7 Hz) 129.2 d
8' 3.67 (1 H, dq, J = 10.7, 6.8 Hz) 40.5 d
9' 211.8 s
10' 4.88 (1 H, d, J = 10.3 Hz) 73.0 d
11' 4.98 (1 H, dhep, J = 10.3, 1.5 Hz) 120.9 d
12' 140.7 s
13' 1.80 (3 H, d, J = 1.5 Hz) 26.0 q
14' 1.81 (3 H, d, J = 1.5 Hz) 18.5 q
15' 1.13 (3 H, d, J = 6.8 Hz) 16.6 q
16' 1.59 (3 H, br s) 16.3 q
17' 1.25 (3 H, s) 24.0 q
18' 2.12 (3 H, s) 16.0 q
위치 Sargachromanol I
1H 13C
2 75.2 s
3 1.78 (1 H, dt, J = 13.7, 6.8 Hz) 1.73 (1 H, dt, J = 13.7, 6.8 Hz) 31.3 t
4 2.69 (2 H, m) 22.4 t
4a 121.1 s
5 6.38 (1 H, d, J = 2.9 Hz) 112.6 d
6 147.9 s
7 6.48 (1 H, d, J = 2.9 Hz) 115.6 d
8 127.2 s
8a 145.7 s
1' 1.62 (1 H, m), 1.53 (1 H, m) 39.5 t
2' 2.10 (2 H, m) 22.1 t
3' 5.11 (1 H, t, J = 7.3 Hz) 124.8 d
4' 134.3 s
5' 1.93 (2 H, dd, J = 6.8, 5.4 Hz) 39.4 t
6' 1.32 (2 H, m) 25.3 t
7' 1.57 (1 H, m), 1.32 (1 H, m) 33.4 t
8' 2.69 (1 H, m) 41.2 d
9' 4.02 (1 H, br d, J = 5.1 Hz) 214.6 d
10' 4.87 (1 H, d, J = 9.8 Hz) 74.2 d
11' 4.98 (1 H, br d, J = 9.8 Hz) 120.9 d
12' 140.0 s
13' 1.80 (3 H, s) 25.9 q
14' 1.85 (3 H, d, J = 1.5 Hz) 18.6 q
15' 1.05 (3 H, d, J = 6.4 Hz) 16.04 q
16' 1.56 (3 H, s) 15.6 q
17' 1.26 (3 H, s) 24.0 q
18' 2.12 (3 H, s) 16.0 q
위치 Sargachromanol J
1H 13C
2 75.3 s
3 1.80 (1 H, dt, J = 13.6, 7.2 Hz) 1.73 (1 H, dt, J = 13.6, 6.7 Hz) 31.4 t
4 2.69 (2 H, m) 22.5 t
4a 121.2 s
5 6.38 (1 H, d, J = 2.7 Hz) 112.6 d
6 147.8 s
7 6.47 (1 H, d, J = 2.7 Hz) 115.6 d
8 127.3 s
8a 145.9 s
1' 1.64 (1 H, m), 1.54 (1 H, m) 39.7 t
2' 2.10 (2 H, dt, J = 6.8, 7.3 Hz) 22.1 t
3' 5.12 (1 H, br t, J = 6.8 Hz) 124.7 d
4' 134.6 s
5' 1.94 (2 H, t, J = 7.3 Hz) 39.5 t
6' 1.30 (2 H, m) 25.5 t
7' 1.29 (2 H, m) 31.6 t
8' 2.70 (1 H, m) 41.4 d
9' 4.02 (1 H, br d, J = 5.1 Hz) 216.4 d
10' 4.29 (1 H, br d, J = 10.5 Hz) 73.6 d
11' 1.47 (1 H, m), 1.30 (1 H, m) 42.6 t
12' 1.97 (1 H, m) 24.9 d
13' 0.97 (3 H, d, J = 6.7 Hz) 23.7 q
14' 1.00 (3 H, d, J = 6.6 Hz) 21.2 q
15' 1.10 (3 H, d, J = 7.1 Hz) 17.8 q
16' 1.56 (3 H, s) 15.7 q
17' 1.25 (3 H, s) 24.0 q
18' 2.12 (3 H, s) 16.0 q
OH 3.39 (1 H, d, J = 5.1 Hz)
위치 Sargachromanol K
1H 13C
2 75.2 s
3 1.79 (1 H, dt, J = 13.7, 6.8 Hz) 1.73 (1 H, dt, J = 13.7, 6.8 Hz) 31.4 t
4 2.69 (2 H, t, J = 6.8 Hz) 22.4 t
4a 121.2 s
5 6.38 (1 H, d, J = 2.9 Hz) 112.6 d
6 147.8 s
7 6.47 (1 H, d, J = 2.9 Hz) 115.6 d
8 127.3 s
8a 145.9 s
1' 1.64 (1 H, dt, J = 15.1, 7.1 Hz) 1.54 (1 H, dt, J = 15.1, 8.3 Hz) 39.6 t
2' 2.13 (2 H, m) 22.1 t
3' 5.17 (1 H, t, J = 6.8 Hz) 124.7 d
4' 134.5 s
5' 2.05 (2 H, t, J = 7.3 Hz) 39.0 t
6' 2.18 (2 H, m) 26.6 t
7' 5.61 (1 H, t, J = 6.8 Hz) 132.6 d
8' 132.7 s
9' 4.43 (1 H, s) 83.3 d
10' 199.3 s
11' 6.13 (1 br s) 118.7 d
12' 159.8 s
13' 1.92 (3 H, s) 28.1 q
14' 2.22 (3 H, s) 21.3 q
15' 1.42 (3 H, s) 10.7 q
16' 1.61 (3 H, s) 15.8 q
17' 1.26 (3 H, s) 24.0 q
18' 2.12 (3 H, s) 16.1 q
위치 Sargachromanol L
1H 13C
2 75.3 s
3 1.79 (1 H, dt, J = 13.2, 7.1 Hz), 1.74 (1 H, m) 31.4 t
4 2.69 (2 H, t, J = 7.1 Hz) 22.5 t
4a 121.2 s
5 6.38 (1 H, d, J = 2.7 Hz) 112.6 d
6 147.8 s
7 6.47 (1 H, d, J = 2.7 Hz) 115.6 d
8 127.4 s
8a 146.0 s
1' 1.62 (1 H, m), 1.54 (1 H, m) 39.5 t
2' 2.11 (2 H, m) 22.1 t
3' 5.12 (1 H, t, J = 6.8 Hz) 124.8 d
4' 134.8 s
5' 2.01 (2 H, t, J = 7.1 Hz) 39.6 t
6' 2.12 (2 H, m) 26.2 t
7' 5.21 (1 H, t, J = 6.8 Hz) 126.8 d
8' 134.5 s
9' 3.05 (1 H, ddd, J = 9.2, 8.4, 6.6 Hz) 50.2 d
10' 3.50 (1 H, dd, J = 10.1, 8.4 Hz) 3.40 (1 H, dd, J = 10.1, 6.6 Hz) 63.8 t
11' 5.03 (1 H, br d, J = 9.2 Hz) 122.9 d
12' 135.0 s
13' 1.72 (3 H, br s) 26.0 q
14' 1.64 (3 H, d, J = 0.8 Hz) 18.2 q
15' 1.56 (3 H, s) 13.7 q
16' 1.58 (3 H, s) 15.7 q
17' 1.26 (3 H, s) 24.0 q
18' 2.13 (3 H, s) 16.0 q
위치 Sargachromanol M
1H 13C
2 75.2 s
3 1.79 (1 H, dt, J = 13.8, 6.9 Hz) 1.73 (1 H, dt, J = 13.8, 6.9 Hz) 31.4 t
4 2.70 (2 H, t, J = 6.9 Hz) 22.5 t
4a 121.2 s
5 6.38 (1 H, d, J = 2.9 Hz) 112.5 d
6 147.8 s
7 6.48 (1 H, d, J = 2.9 Hz) 115.6 d
8 127.3 s
8a 145.9 s
1' 1.63 (1 H, m), 1.54 (1 H, m) 39.7 t
2' 2.12 (2 H, m) 22.1 t
3' 5.13 (1 H, tq, J = 6.9, 1.2 Hz) 125.0 d
4' 134.4 s
5' 1.95 (2 H, t, J = 7.3 Hz) 39.5 t
6' 1.54 (2 H, m) 25.2 t
7' 2.14 (2 H, m) 37.1 t
8' 160.0 s
9' 138.0 s
10' 10.06 (1 H, s) 191.2 d
11' 5.59 (1 H, br s) 118.2 d
12' 149.4 s
13' 1.82 (3 H, d, J = 1.2 Hz) 25.3 q
14' 1.45 (3 H, d, J = 1.2 Hz) 18.2 q
15' 2.20 (3 H, d, J = 1.2 Hz) 13.7 q
16' 1.57 (3 H, br s) 15.7 q
17' 1.26 (3 H, s) 24.0 q
18' 2.12 (3 H, s) 16.0 q
위치 Sargachromanol N
1H 13C
2 75.3 s
3 1.79 (1 H, dt, J = 13.5, 6.8 Hz) 1.74 (1 H, dt J = 13.5, 6.8 Hz) 31.4 t
4 2.70 (2 H, t, J = 6.8 Hz) 22.5 t
4a 121.2 s
5 6.38 (1 H, d, J = 2.7 Hz) 112.6 d
6 147.9 s
7 6.48 (1 H, d, J = 2.7 Hz) 115.7 d
8 127.3 s
8a 145.9 s
1' 1.63 (1 H, m), 1.54 (1 H, m) 39.6 t
2' 2.12 (2 H, m) 22.2 t
3' 5.15 (1 H, t, J = 6.8 Hz) 125.4 d
4' 134.1 s
5' 2.02 (2 H, t, J = 7.4 Hz) 39.4 t
6' 1.64 (2 H, m) 27.9 t
7' 2.55 (2 H, dd, J = 8.1, 7.7 Hz) 32.6 t
8' 160.6 s
9' 135.3 s
10' 10.03 (1 H, s) 190.8 d
11' 5.64 (1 H, br s) 118.0 d
12' 137.9 s
13' 1.84 (3 H, d, J = 1.0 Hz) 25.4 q
14' 1.45 (3 H, br s) 19.8 q
15' 1.87 (3 H, s) 22.6 q
16' 1.58 (3 H, br s) 15.7 q
17' 1.26 (3 H, s) 24.1 q
18' 2.13 (3 H, s) 16.1 q
위치 Sargachromanol O
1H 13C
2 75.3 s
3 1.79 (1 H, dt, J = 13.5, 6.6 Hz), 1.74 (1 H, m) 31.4 t
4 2.69 (2 H, t, J = 6.6 Hz) 22.5 t
4a 121.2 s
5 6.38 (1 H, d, J = 2.7 Hz) 112.6 d
6 147.7 s
7 6.48 (1 H, d, J = 2.7 Hz) 115.7 d
8 127.4 s
8a 146.0 s
1' 1.63 (1 H, m), 1.54 (1 H, m) 39.5 t
2' 2.10 (2 H, m) 22.1 t
3' 5.12 (1 H, t, J = 6.8 Hz) 124.6 d
4' 134.7 s
5' 2.00 (2 H, t, J = 7.2 Hz) 39.1 t
6' 2.12 (2 H, m) 26.5 t
7' 5.33 (1 H, t, J = 6.8 Hz) 127.9 d
8' 132.1 s
9' 3.85 (1 H, d, J = 9.3 Hz) 53.2 d
10' 178.5 s
11' 5.39 (1 H, d, dhep, J = 9.3, 1.2 Hz) 120.0 d
12' 135.5 s
13' 1.75 (3 H, d, J = 1.2 Hz) 25.9 q
14' 1.62 (3 H, d, J = 1.2 Hz) 18.0 q
15' 1.65 (3 H, s) 14.4 q
16' 1.58 (3 H, s) 15.8 q
17' 1.26 (3 H, s) 24.0 q
18' 2.12 (3 H, s) 16.0 q
위치 Sargachromanol P
1H 13C
2 75.2 s
3 1.78 (1 H, dt, J = 14.0, 6.8 Hz), 1.72 (1 H, m) 31.4 t
4 2.69 (2 H, m) 22.4 t
4a 121.1 s
5 6.38 (1 H, d, J = 2.7 Hz) 112.6 d
6 147.9 s
7 6.48 (1 H, d, J = 2.7 Hz) 115.7 d
8 127.3 s
8a 145.9 s
1' 1.64 (1 H, m), 1.53 (1 H, m) 39.5 t
2' 2.13 (2 H, m) 22.2 t
3' 5.20 (1 H, t, J = 7.1 Hz) 126.9 d
4' 132.7 s
5' 2.16 (1 H, dd, J = 14.7, 8.1 Hz) 2.09 (1 H, dd, J = 14.7, 5.4 Hz) 44.5 t
6' 2.65 (1 H, m) 45.5 d
7' 7.18 (1 H, br d, J = 1.1 Hz) 160.4 d
8' 140.2 s
9' 210.2 s
10' 2.83 (1 H, dd J = 9.5, 2.3 Hz) 52.3 d
11' 4.88 (1 H, br d, J = 9.5 Hz) 121.4 d
12' 136.1 s
13' 1.72 (3 H, br s) 25.8 q
14' 1.66 (3 H, d, J = 1.1 Hz) 18.4 q
15' 1.75 (3 H, dd, J = 1.6, 1.6 Hz) 10.4 q
16' 1.60 (3 H, s) 15.9 q
17' 1.26 (3 H, s) 24.0 q
18' 2.13 (3 H, s) 16.0 q
6-OH 4.45 (1 H, br s)
실험예 1. 항산화 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화합물들의 항산화 활성 측정은 문헌(Blois, MS., Nature, 26, p1199, 1958)에 기재된 블로이스 방법에 따라 분자에 유리라디칼이 붙은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DPPH)의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블로이스 방법은 DPPH 20㎎을 에탄올 150㎖에 용해시켜 DPPH 용액을 제조하고, 이 용액 600 ㎕에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250 ㎕를 가하고 적당량의 에탄올로 희석시켜 10초 동안 진탕시킨 후에 517 ㎚에서 대조군의 흡광도가 0.94에서 0.97이 되도록 맞춘다.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가 0.94에서 0.97인 DPPH 용액 1 mL에 각 시료(10 ㎍)를 넣고 완전히 혼합한 후에 10분 동안 반응시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대하여 감소한 흡광도 값을 DPPH 라디칼 소거활성으로 하여 항산화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DPPH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사가크로마놀 A-P의 항산화 활성은 10 ㎍/mL의 농도에서 각각 87.4(A), 90.0(B), 90.5 (C), 89.6 (D), 94.5 (E), 88.2 (F), 87.3 (G), 87.8 (H), 90.4 (I), 89.1 (J), 89.2 (K), 90.1 (L), 88.7 (M), 89.2 (N), 88.7 (O), 88.8 (P)로 대조군으로 활용된 상업제품 BHT(B 1378, Sigma Chemical Co.)의 74% 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구조의 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들은 종래의 항산화제에 비하여 소거활성이 우수하고, 열안정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며, 항산화제 투여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합성 항산화제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근해에 널리 서식하는 해조류인 꽈배기모자반을 이용하여 추출, 정제됨으로써 경제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7)

  1. 하기 구조식 (1) 내지 (16) 구조를 갖는 신규 사가크로마놀 A (1), B(2), C(3), D(4), E(5), F(6), G(7), H(8), I(9), J(10), K(11), L(12), M(13), N(14), O(15) 및 P(16)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112006062399302-pat00017
    (1)
    Figure 112006062399302-pat00018
    (2)
    Figure 112006062399302-pat00019
    (3)
    Figure 112006062399302-pat00020
    (4)
    Figure 112006062399302-pat00021
    (5)
    Figure 112006062399302-pat00022
    (6)
    Figure 112006062399302-pat00023
    (7)
    Figure 112006062399302-pat00024
    (8)
    Figure 112006062399302-pat00025
    (9)
    Figure 112006062399302-pat00026
    (10)
    Figure 112006062399302-pat00027
    (11)
    Figure 112006062399302-pat00028
    (12)
    Figure 112006062399302-pat00029
    (13)
    Figure 112006062399302-pat00030
    (14)
    Figure 112006062399302-pat00031
    (15)
    Figure 112006062399302-pat00032
    (16)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의 사가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방지 또는 미백용 항산화제 조성물.
KR1020050002493A 2005-01-11 2005-01-11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 사가 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 이의 분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KR10075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493A KR100750500B1 (ko) 2005-01-11 2005-01-11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 사가 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 이의 분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493A KR100750500B1 (ko) 2005-01-11 2005-01-11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 사가 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 이의 분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214A KR20060082214A (ko) 2006-07-18
KR100750500B1 true KR100750500B1 (ko) 2007-08-17

Family

ID=3717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493A KR100750500B1 (ko) 2005-01-11 2005-01-11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 사가 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 이의 분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8221A1 (en) * 2012-06-19 2013-12-19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Photoaging protective composition containing chromenes derived from sargassum horneri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160B1 (ko) * 2006-11-01 2007-10-1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꽈배기 모자반으로부터 정제한 항산화능을 가진모자반크로마놀
KR100833121B1 (ko) * 2007-02-14 2008-05-2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활성산소 소거활성이 있는 신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856792B1 (ko) * 2007-04-26 2008-09-0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 및 해조류 추출물을 이용하여 쌀과 미곡창고의 오염균을 억제하는 추출
KR100945778B1 (ko) * 2007-11-13 2010-03-05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꽈배기모자반 추출물의 구성성분 및 그 제조방법, 꽈배기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확장제 및 꽈배기모자반 추출물의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혈관확장제
KR101030573B1 (ko) * 2011-01-26 2011-04-21 한국해양연구원 꽈배기모자반(Sargassum siliquastrum)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흡수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3142A (en) 1984-06-01 1986-07-2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holesterol lowering method of use
US5217992A (en) 1989-10-04 1993-06-0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ocotrienols in the treatment of hypercholesterolemia, hyperlipidemia and thromboembolic disord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3142A (en) 1984-06-01 1986-07-2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Cholesterol lowering method of use
US5217992A (en) 1989-10-04 1993-06-0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ocotrienols in the treatment of hypercholesterolemia, hyperlipidemia and thromboembolic disorder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c. Food Chem. 50(13), 3862-3866, 2002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8221A1 (en) * 2012-06-19 2013-12-19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Photoaging protective composition containing chromenes derived from sargassum horneri
KR20130142424A (ko) * 2012-06-19 2013-12-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괭생이 모자반 유래 크로멘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1938891B1 (ko) * 2012-06-19 2019-01-15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괭생이 모자반 유래 크로멘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노화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214A (ko) 200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7061B (zh) 曲札茋苷在制备防治心脑缺血疾病制剂中的应用及其制备方法
KR100750500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 사가 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 이의 분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JP2009280610A (ja) 腫瘍/癌細胞の増殖の抑制活性を有するガンボージ樹脂から単離した化合物及びその化合物を含む薬学的組成物
CN107708717B (zh) 白鹤灵芝醌c作为神经细胞凋亡抑制剂的应用
EP4321518A1 (en) Novel polyphenol compound
KR101478253B1 (ko) 아룸 팔래스티눔(Arum palaestinunBoiss) 유래 항암용 피페라지움 화합물
KR100363112B1 (ko) 감태로부터 분리된 신규 물질, 이의 추출 및 정제방법, 및항산화제로 사용하는 용도
KR100809731B1 (ko) (-)-세코이소라리시레시놀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A2093914C (en) Antineoplastic drug of plant extraction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0363111B1 (ko) 감태로부터 분리된 신규 물질, 이의 추출 및 정제방법, 및항산화제로 사용하는 용도
US5558866A (en) Antineoplastic chemotherapeutic of plant origin, having high selectivity and greatly reduced toxicity,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0490682B1 (ko) 한국산 겨우살이로부터 에피오레아놀린산의 분리방법
KR100750372B1 (ko) 스테레오스퍼뭄 퍼소나툼으로부터 얻어진 항산화제로서의(+)-시클로올리빌
JPS62129220A (ja) 制癌剤
CN110218208B (zh) 一种狄尔斯-阿尔德型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1411919B1 (en) (-)-olivil as antioxidant
KR101882876B1 (ko) 방향족 케톤계 화합물, 이의 생산 방법, 및 용도
KR101699378B1 (ko) 만병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메가스티그메인 배당체를 함유하는 패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5180B1 (ko) 만병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메가스티그메인 배당체를 함유하는 패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12316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육박나무에서 분리한 란시폴라이드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JP2005206500A (ja) フラボノールモノグリコシドを有効成分とする抗マラリア組成物
KR19980077620A (ko) 디아릴 헵타노이드 유도체 및 그 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0659696B1 (ko) 산화질소 합성 억제제로서 유용한 스코폴레틴 화합물의 분리방법
Rao et al. Olivil as antioxidant which is obtained from a new natural source namely Stereospermum personatum
EP2572713A1 (en) Extracts and isolated flavonoids from Euphorbia cuneata useful as anti-ulcer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