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312B1 - 프링팅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프링팅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312B1
KR960014312B1 KR1019920701719A KR920701719A KR960014312B1 KR 960014312 B1 KR960014312 B1 KR 960014312B1 KR 1019920701719 A KR1019920701719 A KR 1019920701719A KR 920701719 A KR920701719 A KR 920701719A KR 960014312 B1 KR960014312 B1 KR 960014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laser
image
pel
p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넷 에이. 알렌
귈레모 에스. 펠라
Original Assignee
폴라로이드 코오포레이션
로버트 엠. 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라로이드 코오포레이션, 로버트 엠. 포드 filed Critical 폴라로이드 코오포레이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 H04N1/405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producing a clustered dots or a size modulated halftone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Confectionery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Color, Grad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린팅 방법 및 장치
다음,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되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영역 조절 화소를 기록하기 위하여 사용된 레이저 빔의 페인트 부러쉬를 도시한 것이다.
제2a는 내지 제2T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90㎛×90㎛화소 그레이 스케일 레벨용 펠 구성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화소 발생기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제5도는 60㎛×60㎛ 화소와 90㎛×90㎛ 화소의 배열 사이의 배열 사이의 대비를 도시한 것이다.
제6도는 레이저 구동 데이터가 90㎛×90㎛ 화소용으로 배열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것이다.
관련된 참조 출원
이 출원은 일반 양도되고, 동일자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일련번호(케이스 번호 7581, 7651, 7652, 7653 및 7654)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1.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형태로 이용한 이미지 복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한적이지 않고 예시적으로 열거되는 X레이장치, CAT스켄장치, MR장치, 초음파장치 등과 같은 의료 이미징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의 하드카피를 제공하는 방법(들)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종래기술의 방법
하드카피는 이미지의 손상없이 전송되고 취급될 수 있는 것으로, 영구성을 갖는 관찰자가 볼 수 있는 이미지로써 J. 이미징 기술 제13권, 제5호, 1987, 10월호, 페이지 167~178에 실려있는 D.G.헤르조그 저술 재구성된 화상의 하드카피출력등에 규정되어 있다. 하드카피는 통상적으로 이미지가 매체를 통해 광선을 통과함으로써 관측되는 투명한 물체상에 찍혀지거나 이미지의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관측되는 불투명한 물체상에 찍혀진 이미지이다. 전자적으로 발생되거나 저장된 이미지의 하드카피를 만들 수 있는 장치를 제작하기 위해 당 분야의 작업자들에 의해 많은 시도가 이루어졌다.
하드카피를 제공하는 장치는 예를 들어 일군의 센서와, 컴퓨터 이미지 처리 시스템, 또는 저장장치 하드카피서비스 등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 소스로부터의 출력으로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한다. 비록 그와 같은 것이 아날로그나 디지털 형태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지라도, 오늘날 당기술에서는 디지털 형태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우기, 그와 같은 장치는 (a)입력 이미지 데이터를 전자 프로세싱 및/도는 포맷팅하고, (b)예를 들어, 프린트 매체 비선형부와 같은 효과를 보상하거나, 또는 이미지 대비 강하를 제공하거나 보상하도록 장치의 전달함수를 변형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 룩업 테이블 등을 포함한다. 또한, 그와 같은 하드장치는 예를 들어, 레이저 빔이나 CRT와 같은 에너지 소스를 매체상으로 스캐닝하기 위한 초점으로 변환하기 위해 전자부품으로 지지되고 기구로 형성하는 에너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발생기 부시스템을 포함한다.
하드 카피 장치를 설계할때에는 고려되야 하는 소정의 중요 이미지 특성 매개변수가 있다. 먼저, 중요한 특성 매개변수로 해상도가 있다. 대부분의 이미징 장치는 매체를 가로지르는 수천개의 화소를 기록하는 능력을 갖는다. 각 화소를 구별하거나 각 화소간의 이미지를 순조롭게 하는 능력은 해상도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두 번째의 중요 이미지 특성 매개변수는 래스터 및 밴딩이다. 래스터 및 밴딩은 일반적으로 화소 기록 시스템에 의해 화소내에 나타나는 인공잡상이다.
래스터는 스캔라인의 불완전환 병합에 의해 발생되고 화소 영역에서 밀도가 조절된 규칙적인 패턴으로써 나타나는 반면, 밴딩은 매체상에 배치된 불균일성 화소에 의해 발생되고 가로지르는 스캔이나 나란한 스캔방향으로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밀도변화의 패턴으로 나타난다. 밴딩 현상은 관측자의 시각기관이 1%의 배치 오차를 판별할 수 있을 정도로 배치 오차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배치 오차의 소스에 따라 좌우된다. 결과적으로, 정확한 화소 및 스캔라인 배치를 제공하기 위해 비용이 추된다는 사실 때문에 밴딩조건은 신중히 고려되어야 한다.
세 번째의 중요한 이미지 특성 매개변수는 기하학적 충실도이다. 기하학적 충실도(geometric fidelity)는 매체상에 위치된 화소의 정밀도를 규정하며, 이는 매체가 궁극적을 사용되는 방법에 관련된다.
네 번째의 중요한 이미지 특성 매개변수는 밀도 충실도이다. 밀도충실도 조건은 입력 디지털 값(또는 아날로그 전압)에서 출력밀도의 전달함수를 규정한다. 상기 조건은 밀도에 대한 값의 전달함수와 사용된 소정의 복사처리의 전달 함수를 포함한다. 전달 함수는 사용되는 특정 매체의 성빌 뿐 아니라 프로세싱 변수에 따라 좌우된다. 밀도 충실도는 (a) 절대 밀도 반복성, (b) 상대 밀도 대 입력 신호 전달 함수, (c) 영역 조절대 연속 톤기록, 및 (d) 밀도 균일성의 네부분으로 분리된다. 상기 부분중 첫 번째인 절대 밀도 반복성은 하드 카피 장치가 소정 입력 신호에 대한 동일한 밀도치를 끊임없이 얻도록 하는 것이다. 밀도 범위의 소정 부분내에서 콘트라스트 조절, 보상 또는 강화를 제공하기 위해서 어떤 응용에서는 선형-밀도 대 입력-신호 전달 함수가 사용되는 반면, 어떤 응용에서는 전달 함수의 완만한 왜곡이 사용된다는 사실에서 상기 부분중 두 번째인 상대 밀도 대 입력 신호 전달 함수, 즉 톤 스케일이 관련된다. 상대 밀도에 대한 입력 신호 전달 함수의 형태는 디지털 입력 신호를 처리 경로내에 위치된 교정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조절되고, 이 테이블은 고정되거나, 패널 제어부를 거쳐 국부적으로 조절되거나, 또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거쳐 원격 로드될 수 있다. 더욱이, 상대 밀도 대 입력 신호 전달 함수의 형태가 임계라면 미디어 프로세서 제어를 포함하는 작동 시나리오와, 주기적 전달함수 측정, 및 주기적 교정 룩업 테이블이 요구된다. 상기 부분중 세 번째인, 영역 조절 대 연속 톤 기록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부분중 네 번째인, 밀도 균일은 전체 이미지 영역에 걸쳐 균일하고 편평한 필드를 발생시키는 하드카피 장치의 능력에 관한 것이다.
계속적인 톤 기록은 예를 들어 사진 및 자연적인 장면에서 관측되듯이 그레이스케일 레벨의 분명한 연속체를 가진다. 이것은 예를 들어 프린트 돗트-가변적인 크기로 된 돗트의 패턴을 가진 프린팅이 당 기술에서 망판 기록으로써 자주 언급됨을 주지하시오-의 기하학적 패턴으로 구성된 영역 변형 기록과 대조된다. 망판 기록에 있어서, 규칙적인 어레이내의 프린트 돗트 크기는 관측자의 눈에 의해 그레이 스케일로써 인지되는 톤의 범위를 제공하도록 변화된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프린트 돗트 크기율의 변화가 예를 들어 프린트된 이미지로부터의 빛 반사율 퍼센트의 변화 등을 야기하므로 결과적으로 그레이 스케일의 착시현상을 발생시켜서 망판 기록시 연속적인 그레이 스케일로 근사시킬 수 있다. 비록 망판 기록이 기본적으로 이진이지만 첫눈에 관측자는 라인 카피의 것과 망판 기록 이미지가 유사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원래 이미지내에 포함되지 않는 공간 주파수(spatial frequencies)의 존재에 의해 망판 기록은 복잡하게 된다. 동시에 공간주파수는 망판 기록 이미지내에서 필요없는 파문 패턴이나 다른 인조잡상을 초래한다. 종래 기술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이진 장치, 즉 어떠한 그레이 스케일 능력(capability)도 갖지 않는 고정된 크기의 돗트가 표시되거나 프린트되는 장치에 의해 그레이 스케일 표시를 하는 한 망판 기록 방법에 있어서, 화소로 표시되는 각 망판셀은 여기서 펠(pel)로써 나타낸, 하나이상의 각 프린트 또는 표시 장치의 다발로 구성된다. 망판 화소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고정된 크기의 펠로된 이전 N×N 사각 펠 마트릭스이다. 상기 방법의 일반적인 개념은 원래 이미지 대응부의 평균 밀도치에 근사하는 평균 그레이 스케일 레벨을 달성하기 위한 망판 화소내에 산출된 펠의 수를 프린트 또는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종래 기술의 망판 기록 방법에 있어서, 단일의 망판 화소의 생성을 모방하기 위해 화소내의 펠들이 밀집되고 다른 종래 기술의 망판 기록 방법에 있어서, 펠을 프린트할지 여부의 결정은 기록시 이미 처리된 옆부분에 의해 회부된 그레이 스케일 밀도 오차뿐 아니라 원래 이미로부터 국부적으로 주사된 밀도 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더욱이, 당업자는 망판 기록이 평균적으로 화소용 그레이 스케일 레벨을 재생성하여, 화소의 크기가 너무 크게 되면 이미지내의 양호한 상세 해상도에 손실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상술된 모든 종래 기술의 망판 기록 방법은 이진, 고정된 크기, 프린트 또는 돗트의 사용을 개시한다. 이것에 대조적으로, 미합중국 특허 제4,651,287호는 프린트되거나 표시될 각 화소가 그레이 스케일 레벨의 고정된 수(數)중에서 하나를 갖도록 하기 위해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게 조절되는 망판 기록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특허는 (a) 예를 들어, 원래 이미지를 스캐닝하고, 원래 이미지의 화소의 그레이 스케일 레벨에 대응하는 이미지 입력 데이터의 어레이를 생성하는 CCD 스캐너와 같은 이미지 데이터 입력 장치와, (b) 이미지 입력 데이터의 어레이를 수신하고, 그레이 스케일 레벨의 고정된 수(數)중 하나에 대응하는 각 프린트 값의 어레이를 산출하는 프로세싱 장치와, 그리고 (c) 고정된 그레이 스케일 레벨중 하나에 대응하는 돗트 크기를 갖는 화소를 프린트할 수 있는 프린트 장치를 포함하는 망판 기록 장치를 개시한다.
더욱이, 상기 특허는 그레이 스케이 레벨의 고정된 수(數)중 하나에 대응하는 돗트크기를 갖는 각 화소를 프린팅할 수 있는 프린터가 프린트된 돗트의 생성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변화시키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는 프린트된 돗트의 생성에 필요한 에너지가 일반적으로 소정지속 시간과 소정 전압 레벨을 갖는 전기적 신호 펄스의 형태로 규정됨을 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특허는 상기 에너지 변화가 전기적 신호 펄스; 온-타임부(듀티 사이클); 전압 레벨; 또는 전류 흐름의 매개변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실행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661,859호는 가변 그레이 스케일을 갖는 화소를 생성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특히, 그레이 스케일의 화소를 표시하는 디지털 데이터와 소스와,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하는 카운터와, 그리고 각 화소를 표시하는 디지털 데이터에 따라 레이저 변조기를 발동시키기 위해 카운터에 대응하는 로직을 생성하는 펄스로 구성된 일차원 전자 망판 생성시스템을 개기하고 있다. 또한, 6비트 데이터 워드는 화소를 위한 64 그레이 스케일 레벨 중 하나를 표시하는데 사용되고, 펄스 생성 로직은 화소용으로 소정의 그레이 스케일 레벨을 생성 하기 위해 소정 지속 시간동안 레이저를 구동하는 소정 지속시간 또는 폭을 갖는 펄스를 생성함으로써 데이터 워드에 응답한다.
상기 종래 기술 망판 기록 방법 및 장치에도 불구하고, 충실하고 신속한 이미지 재생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들) 및 장치, 즉 해상도를 회생 않고 좋은 그레이 스케일 감도를 포함하며 X레이장치, CAT스캔 장치, MR장치, 초음파 장치등과 같은 의료 이미징 장치로부터 얻어지거나 발생되는 이미지 재생성을 제공하기에 특히 적합한 방법 및 장치를 위한 기술이 여전히 필요하게 된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미지의 복사 특히 어떠한 제한도 없이 설명하기 위해 열거한 X레이장치, CAT스캔장치, MR장치, 초음파장치 등과 같은 의료 이미징 장치로부터 얻어지거나 발생되는 이미지의 하드카피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한 필요성을 만족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역 조절된 이미지의 하드카피를 생성하며, 하드카피는 영역 조절 셀(화소)당 다수의 그레이 레벨과 예를들어 다수의 그레이 레벨 단계의 좋은 밀도 감도를 갖는다.
이는 다른 두 크기를 갖는 프린트 복사 빔들을 펄스폭 변조하여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린터는 이미지를 통해 전달되거나 이미지에 의해 반사된 복사의 디지털 입력 이미지 데이터 강도 레벨로써 측정하거나 얻는 수단과; 영역이 펠로써 언급된 서브유닛으로 구성되어진 화소와 교대로 영역 조절 화소로 언급되는, 매체상의 영역에 대응하는 디지털 강도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입력 이미지 데이터를 보간 및/또는 처리하는 수단과; 펠의 소정 패턴으로 각 디지털 강도 레벨을 맵핑시키는 수단과; 소스가 두 개의 다른 크기로 된 프린팅 복사빔의 소스를 포함하고 두 개의 다른 크기로된 빔 소스의 펄스 폭을 조절함으로써 펠이 형성됨, 매체상에 펠의 소정 패턴을 프린트하기 위해 소스를 발동시키는 레이저 복사 소스로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고밀도에서 복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프린터는 화이트로 기록하며, 여기서 용어 화이트로 기록은 인쇄되지 않은 매체가 가장 높은 밀도, 즉 모두 블랙으로 되는 매체의 사용을 나타내고, 빔 복사, 예를 들어 레이저 복사는 블랙 부분이 더 낮은 밀도를 제공하는 부분으로 밀도가 감소되도록 한 것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프린터는 이미지의 하드카피를 생성하며, 이 이미지는 당업자에 의해 공지된 여러 가지 이미지의 다른 형태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는 어떠한 제한도 없이 X레이장치, CAT스캔장치, MR장치, 초음파 장치 등과 같은 장치에 의해 생성된 의료 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한편으로 비디오 테이프, 광학 디스크, 자기 디스크등과 같은 저장 매체상에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형태로 저장된 이미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하드카피는 해상도가 높고 예를 들어, 레이저 복사와 같은 강렬한 복사에 반응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 열적 이미징 매체에 의해 생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사용하여 하드카피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적절한 매체 물질에는 M.R.Etzel의 국제 특허 출원 제PCT/US87/03249호 (국제 공개 공보 제W88/04237호로써 1988년 7월 16일자로 공개된)에서 개시되고 청구된 열적 이미징 물질이 포함된다. 소정의 내구성을 갖는 이미지 생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물질의 상세한 설명은 본 특허 출원의 양수인에 양수되고 최근에 파일된 변리사 Docket 제 7620, 제목이 열적 이미징 매체인 K.C.Chang의 특허출원에서 알 수 있다.
바람직한 이진 열적 이미징 매체는 하나 이상이 투명하게 된 한쌍의 시이트를 포함하는 얇은 층으로 된 매체이다. 상기 시이트는 그들의 내부면 사이에 낀 이미지 형성 물질을 갖고, 초기에 우선적으로 그들중 하나에 부착된다. 열적 복사의 펄스에 노출될 때, 초기 우선 접착은 역전되어, 상기 시이트의 쌍이 분리될 때, 이미지 형성 물질의 비노출부는 시트에 접착되고 이를 위해 초기 우선 접착이 있는 반면, 노출부는 시트에 접착되고 이를 위해 역전된 우선 접착이 있는 반면, 노출부는 시트에 접착되고 이를 위해 역전된 우선 접착이 있어 상보 이미지가 각 시트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프린터에 사용하기 위한 종류의 안료/접합 물질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강렬한 이미지-형성 복사에 발동가능하게 반응하는, 바람직한 이미징 박으로된 매체는 (1) 상기 이미지-형성 복사에 의해 투명하게 되고, 상기 열적 이미징 매체의 짧고 강렬한 복사에 대한 노출로 열-활성 가능한 하나 이상의 폴리메릭 물질의 표면 구역 또는 층을 갖는 제1시이트형 웨브 물질과, (2) 열-활성가능 폴리메릭 물질의 층이나 또는 상기 표면 구역에 대한 그의 과잉 접착으로 점착성을 갖는 선택적 열가소성 중간층과, (3) 상기 열 가소성 중간층상에 상기 표면구역이나 열-활성가능 폴리메릭 물질의 층에 대한 상기 열가소성 중간층의 접착성 이상으로 상기 열가소성 중간층용으로 접착성을 갖는 다공 또는 미립자로 이루어진 이미지-형성물질의 층과, (4)다공 또는 미립자로 이루어진 이미지-형성 물질의 상기층을 덮고, 상기 이미지-형성물질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라미네이트된 제2시이트형 웨브물질을 차례로 포함한다.
열적 이미징 매체는 노출 소스의 파장에서, 열 가소성 중간층과 열 활성가능 폴리메릭 물질의 층 또는 상기 표면구역의 인터페이스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복사를 흡수할 수 있고, 그리고 표면 구역 또는 층을 신속히 열 활성화시키기에 충분한 강도의 열적 에너지로 흡수 에너지를 변환시킬 수 있다. 급속 냉각되면, 열-활성화된 표면 구역 또는 층은 열가소성 중간층을 제1시이트형 웨브 물질로 단단히 부착시킨다.
따라서, 열적 이미지 매체는 열가소성 중간층과 이미지 형성물질의 노출부를 단단히 제1시이트형 웨브 물질로 부착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의 복사로 그 부분을 이미지 형으로 노출함으로써, 그리고 열가소성 중간층과 이미지 형성물질 부분을 이미지형으로 노출한 이후에 제1 및 제2시이트형 웨브물질의 분리하면서, 제2시이트형웨브 물질로 이동시켜서 이미지 형성에 적절하게 되고, 그에 의해 제1 및 제2이미지가 각기 제1 및 제2시이트형웨브물질상에 제공된다.
선택적인 열가소성 중간층을 표면 보호와 제2의 시트형 웨브 물질상의 제2이미지를 위한 내구성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열적 하드카피 매체로 하드카피를 형성하기 위해 두 단계가 요구된다. 하드카피를 이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한 단계는 잠재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적당한 양의 열로 매체를 노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다른 단계는 제2시이트가 이미지 형성 물질의 비노출 부분을 함께 운반함으로써 박피 처리에 의하여 잠재적인 복사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매체가 비록 얇은 층으로된 구조일지라도, 동일한 기능을 갖는 얇은 층이 아닌 두 개의 시이트가 본 발명의 실시예 사용될 수 있다.
매체가 필름의 이진 형태 또는 역치로 지칭되기 때문에 매체를 노출하기에 레이저가 특히 적당하다. 즉, 말하자면, 이는 높은 콧트라스트를 갖고, 소정 역치값 이상으로 노출된다면, 밀도가 최대로 변화되는 반면, 상기 역치 값 아래에서는 밀도가 전혀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얻어진 하드카피는 다수의 화소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화소는 약 60㎛×60㎛, 90㎛×90㎛ 또는 상기 사이즈의 여러 변형이다. 더욱이, 하드카피는 디지털 영역 조절에 의해 생성되고, 이는 당 기술에서 공간 디서링(spatial dithering)으로 언급된다. 영역 조절은 각 화소가 소정 수만큼의 펠로 구성되며, 특정 톤, 밀도 또는 화소용 그레이 스케일 레벨은 펠의 소정 패턴으로써 생성되는 방법이다. 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영역 조절톤은 적당한 거리에서 관측될 때 다른 밀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단지 블랙 및 화이트 펠로 생성될 수 있는 매체에서 연속 톤 이미지의 환영을 제공한다.
이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화소크기, 펠 크기 및 펠구성 패턴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을 기술한다.
당 기술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품질 좋은 이미지의 복사를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그레이 스케일 레벨의 수와 복사 해상도간에 대치관계가 있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n×m펠로 구성된 영역 조절화소의 사용은 이진 매체에서 nm×1의 다른 그레이 스케일 레벨의 재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동일한 크기의 펠 사용에 대해 영역 조절화소의 크기를 증가시켜 그레이 스케일 레벨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화소의 크기가 증가된다면, 하드카피에서 해상도에 손실이 생긴다. 반면에, 너무 적은 그레이 스케일 레벨이 프린팅에 사용된다면, 너무 적은 톤 스케일 단계들을 발생된다. 이것은 원래 이미지에 존재하지 않던 윤관이 하드카피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말하며 크고, 순조롭게 변화하는 그레이 스케일 변이로 재생될 때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최소한 두 개의 측정값, (1) 영역 조절 주파수, 즉, 선(linear)인치당 영역 조절 화소의 수와 (2)구별 가능한 그레이 스케일 레벨의 수가 이진 매체를 사용한 프린터상에 구성되는 하드카피의 질을 평가하는데 중요하다. 하드카피에서 요구되는 다른 그레이 스케일 레벨수는 가깝게 위치된 그레이 스케일 레벨을 구별하는 육안의 시각 능력에 좌우 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독서 거리에서, 인간의 눈은 1cycles/mm 근처의 공간 주파수에서 약 0.5%의 반사 조절(modulation)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단지 인식 가능한 정도인조절의 반대가 시각이 인식할 수 있는, 즉 프린팅 산업에서 대충 단지 허용 가능한 화면이 약 65 그레이스케일 레벨을 포함하고, 양질의 카피를 위해서는 100 이상의 레벨이 요구되나, 의료적 응용을 위해서는 200이상의 레벨이 더 적당한, 최대수의 그레이 스케일 레벨로써 해석되어진다. 더욱이, 복사 품질은 펠이 두 개 이상의 그레이 스케일 레벨을 가질 때 실질적으로 개선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측면에서, 다음 기준, 즉 (1) 화소가 육안으로 보이지 않고 양질 복사를 생성할 만큼 작아야 하고, (2) 소정의 펠 크기에 대해, 화소는 구별가능한 적당한 그레이 스케일 레벨 수를 제공하고 이미지로부터 복사로 적당한 밀도 레벨의 매핑을 제공하기 위해 충분히 많은 펠을 포함하기 위해 요구되는 만큼 화소는 커야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비록 화소의 크기 대 펠의 크기 비가 화소를 포함하는 펠의 수를 결정할지라도, 이것은 차례로 그레이 스케일 레벨의 수를 결정하며, 이 비율만으로는 이미지로부터 복사물로의 밀도의 일대일 대응의 가능성을 제공할 수 없다.) (3)팰 패턴이 복사물내에서 윤과과 텍스쳐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지 않아야 한다는 상기 기준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화소 및 펠의 크기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덧붙여, 우리는 인간의 눈이 선형 함수로써가 아닌 대수 함수로써 그레이 스케일 레벨을 인식하기 때문에 감지된 화소의 그레이 스케일 레벨이 그 내부의 블랙과 화이트 영역의 비에 선형적으로 관련되지 않는다는 사실로부터 부가적 기준을 개발하여 왔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대 화소 밀도로부터 한 단위 낮은 화소의 그레이 스케일 레벨의 밀도는 펠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어, 결과적으로 그레이 스케일 레벨상의 최고밀도, 즉 Dmax로부터 그레이 스케일 레벨상의 다음 최고 밀도, 즉 Dmax-1로의 밀도에서 점프는 작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화소크기와, 펠크기 및 펠 구성 패턴은 인간의 시각에 의해 검출가능한 그레이 스케일 레벨의 수, 즉 적어도 검출가능한 최소한의 콘트라스트가 공간 주파수에 의해 급속히 감소한다는 사실에 의하여 선택된다. 따라서, 육안의 해상도 한계에서, 단지 블랙과 화이트를 표시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상술된 기준에 따르면, 약 60㎛×60㎛의 화소 크기가 고 해상도 복사를 제공하고, 예를 들어 8×10, 11×14, 14×17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크기의 복사 페이지에 대한 화소 가시도의 문제점을 해결한다는 것을 알았다. 더욱이, 복사 속도를 고려할 때, 약 90㎛×90㎛의 프린트화소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내에 기재되어 있다.
약 90㎛×90㎛의 프린트화소를 사용한 카피의 첫 번째시도는 매체상의 약 30㎛×3㎛의 점 크기를 갖는 펠이 각기 제공된 세가지 레이저빔의 사용을 수반한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이, 그러한 배열은 단지 91선형 전송증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것은 소정 적용에 대한 부적당한 수의 그레이 스케일 레벨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실, 더 많고 적절한 수의 그레이 스케일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훨씬 더 많은 전송증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많은 전송증분이 가변 크기의 펠을 생성하기 위하여, 레이저 소스용 구동 신호를 복사빔에 대한 구동신호,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소스를 위한 구동신호의 펄스 폭을 조절함으로써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소는, 원래 이미지내의 소정 강도 레벨이나 프린터에 의해 계산된 소정 강도 레벨에 대응하는 펠의 소정 영역 조절 패턴으로 페인트(paint)된다. 상기 페인트된다는 용어는 레이저 복사 빔에 대한 열 감응 매체의 화소 노출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화소는 영역내에서 실질적으로 60㎛×60㎛ 또는 90㎛×90㎛로 선택되고 페인트 브러쉬즉, 펠로된 화소를 페인트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이저 복사 빔은 레이저 복사의 네 개의 별도빔으로 구성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인트 브러쉬(250)내의 세가지의 각 복사 빔(200,210,220)은 최소의 풋프린트(footprint)의 면적이 거의 30㎛×3㎛인 매체상의 점을 제공한다. 빔(200-220)은 페인트 브러쉬(250)의 스트록(stroke)하나가 60㎛×60㎛화소의 하나반(1.5)나 또는 90㎛×90㎛화소 하나를 덮는 오프셋 구성으로 배열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빔(200,210,220)의 크기에 대한 선택은 작은 크기의 펠을 제공하는데 요구되는 복잡성 및 비용과 작은 크기로 된 펠로 하드카피를 생성하는데 요구된 부가적 프린트 시간과, 그리고 부가적 레이저 빔을 사용하는데 포함된 복잡성과 비용 및 프린트시간과 같은 인자뿐 아니라 상기 기준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제1도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빔(200-220)에 있어서, 페인트 브러쉬(250)는 네 번째의 복사빔(230)으로 구성된다. 빔(230)은 거의 5㎛×3㎛인 영역인 최소 풋 프린트의 매체상에 점을 제공하고, 빔(230)은 빔(210)의 대략 중심을 통과하는 선을 가로 지르도록 배열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빔(200-230)은 매체상의 최소 풋프린크 너비 즉, 풋 프린트 정상에서 바닥까지의 거리가 거의 3㎛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풋프린트 너비는 네가지 빔(200-230) 각각에 대해 가변적이다. 매체가 빔 아래로 통과하는 가변 시간동안 매체상으로 충돌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풋프린트 너비는 변화된다. 빔이 매체상에서 충돌되는 가변시간은 각 레이저 빔을 펄스폭 조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되어, 풋프린트 너비는 레이저 빔의 두께, 즉 약 3.0㎛ 이상으로부터 대략 60.0㎛ 또는 90.0㎛까지 0.375㎛ 증가분으로 변화된다. 이하에서 레이저 빔 복사의 펄스폭 조절의 상기 방법은 슬라이싱으로 언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싱은 레이저 구동신호의 기록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설취되는데, 레이저는 최소 기록시간(t)예를 들어 3㎛ 또는 더 긴 시간(t+x*dt)동안 (여기서 dt는 슬라이스를 기록하는 시간이고 x는 소망하는 슬라이스의 수이다)가동된다. 슬라이싱의 이용은 화소 내의 유효한 펠의 수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슬라이스 크기의 선택은 매우 작은 슬라이스를 제공하는데 따르는 복잡성(complexity)과 적당한 수의 그레이 스케일 레벨 제공 요건을 균형맞춤으로써 결정된다. 매우 작은 슬라이스를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매체 모두에 많은 것이 필요하다. 매체가 작은 점을 생성할 수 있어야 하며, 하드웨어는 더 복잡해져야 한다. 결과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약 375㎛의 슬라이스가 선택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는 슬라이스의 수와 펠에 대한 최소 및 최대 너비의 선택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 설계 선택의 문제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는 매체상의 다른 풋프린트를 갖는 레이저 빔, 즉 약 30㎛×30㎛의 최소 풋프린트를 각기 갖는 레이저 빔(200-220)과 약5㎛×3㎛의 최소 풋프린트를 갖는 레이저 빔(230)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점을 기술한다. 복사물이 상술한 매체상에 프린트된다면, 밀도치에 대응하는 상술된 매체에 대한 최고 그레이 스케일 레벨(Dmax)은 대략 3.0이 된다. 펠 크기가 30㎛×3㎛인 최소 풋프린트로된 레이저 빔과 90㎛×90㎛화소를 사용하면, 카피에서 다음 최고 그레이 스케일 레벨(Dmax-1)은 약 2인 밀도치로 대응된다. 이는 만일 약 30㎛×3㎛의 최소 풋프린트를 갖는 펠을 사용한 카피를 생성한다면, 복사물에서 2와 3사이의 범위의 밀도를 만들 수 없다는 점에서도 본 결과를 인정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중요 정보가 밀도 변화에 의해 기록되는 의료 이미징 장치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의 복사물을 생성하는 프린터에 대해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특히, John M. Sturge, Van Nostrand 및 Reinhold사이에 의해 7번째로 편집된 Neblette의 사진 및 복사기술 핸드북 p. 558~559에서 X레이 필름과 일반적인 사진술에 대한 필름 사이의 가장 중요한 감광측정학적 차이는 바로 콘트라스트이다.
X레이 필름은 물질의 밀도차가 일반적으로 낮고 뢴트겐 사진에게 밀도의 차이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진단 가치가 부가되기 때문에 높은 콘트라스트를 갖도록 설계된다.
뢴트겐 사진은 대개 0.5 내지 3.0범위의 밀도를 포함하고 조절가능한 광세기로 조명기상에서 검사될 때 가장 효과적이다. 만일 사진 페이퍼 상의 뢴트겐 사진의 프린팅을 매우 한정된 밀도 범위로 제한시키지 않는다면 페이퍼의 밀도 스케일내의 좁은 밀도 범위로 인해 상기 프린팅은 비효율적으로 된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프린터는 30㎛×3㎛ 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크기로된 펠을 기록해야 한다. 이러한 능력은 본 발명에서 레이저 빔(230)의 사용에 의해 상술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원리적으로, 비록 레이저 빔(230)이 여러 방식중 한 방식으로 페인트 브러쉬(250)에 부가될수 있을지라도, 제1도에 도시된 배치는 레이저 빔(210)이 소정 시간에서 레이저 빔(230)과 대체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작은 펠의 최소 크기는 대략 5㎛×3㎛이고, 결과적으로 Dmax-1은 90㎛×90㎛ 화소에 대해 약 2.7이 된다.
특정 크기의 펠을 제공하도록 요구된 초점의 깊이가 펠 크기의 제곱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약 5㎛×3㎛의 펠 크기는 더 작은 크기의 펠을 제공할 때 비용과 복합성 때문에 합리적으로 된다.
더욱이, 상술된 바와 같이, 슬라이싱은 네 번째 가장 작은 레이저 빔에 의해 씌여진 펠에도 적용되고, 결과적으로 그레이 스케일 레벨의 수는 매우 증가되어, 그레이 스케일 레벨간의 작은 증분이 실현된다. 인간의 눈이 고밀도에서 발생하는 전송 또는 반사변화에 대해 가장 민감하기 때문에, 그레이 스케일 레벨수의 증가는 고밀도에서 가장 효과적이다. 더 구체적으로 시각은 dL이 휘도 변화이고 L이 평균 휘도일 때, dL/L의 함수로써 휘도의 변화를 감지한다. 따라서, 밀도가 높을 때, 즉 L이 작을 때, 주어진 dL에 대해 감도가 높게 되는 반면, 밀도가 낮고, 즉 L이 크다면, 이때 주어진 dL에 대해 감도는 낮게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그레이 스케일의 고밀도 단부에서 그레이 스케일 레벨간의 작은 단계를 바람직하게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따르면, 시각이 고밀도부에서 그레이 스케일의 강도차에 대해 아주 민감하기 때문에, 가능한한 이 부분에서 정확하게 그레이 스케일을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것은 상술된 바와 같이 매체상에 화이트를 기록함으로써 달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매체는 프린트 되지 않은 상태나 최초 상태에서 블랙이 된다. 복사물의 구성은 웨이브의 표면에 매체상의 복사물 형성물질이 접착되도록 하기 위해 레이저 빔(200-230)으로부터의 복사의 이용을 수반한다. 그 다음, 복사물이 박피될 때, 노출된 영역은 웨이브상에 남고, 비노출 영역은 커버와 남아 하드카피를 형성한다. 블랙이 제거되는 최종카피상에서 영역을 나타내기 위해 레이저 빔(200-230)을 이용함으로써 하드카피가 기록되기 때문에, 하드카피의 형성은 화이트 기록처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것은 작은 펠을 생성하는 레이저 빔(230)이 고밀도에 대응하는 그레이 스케일 레벨이 단일 레이저 빔, 즉 작은 펠을 기록하기 위한 레이저빔(230)의 위치에 좌우된다는 점에서 유추된다. 고밀도 그레이 스케일 레벨을 블랙으로 기록한다면, 고밀도 그레이 스케일 레벨은 모든 레이져 빔(200-230)은 아니더라도, 이들 빔 몇 개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기록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프린터는 화이트로 기록하는 처리를 이용하여 프린터의 정확성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더 복잡하고 많은 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은, 상술된 바와 같이, 강도차가 그레이 스케일 레벨의 고밀도부에서 더 쉽게 감지되고, 통상적으로 의료 이미지는 사진 보다 더 어둡게 때문이다. 이에 불구하고, 본 발명은 화이트 기록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블랙 기록하는 실시예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90㎛×90㎛프린트 화소를 페인팅하기 위한 펠 구성 패턴은 계속적으로 양질의 이미징을 반복하기 위한 몇가지 목적에 부합되도록 설계되었다. 대부분의 의료 이미지내의 가장 임계(critical)정보가 이미지의 어두운(darker)영역내에 있기 때문에, 화이트 기록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펠 구성 패턴을 개발하는 제1목적은 고 그레이 스케일 레벨에서 영역 조절 화소내에 최소한의 변화를 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펠 구성 패턴을 개발하는 제2목적은 이미지 품질에 대한 매체내의 브리징(bridging)효과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 브리징은 커버가 박피되고, 인접 위치한 노출 물질 브리지들이 커버로부터 그들 사이의 비노출된 물질을 당기는 현상으로 상술된 매체 내에서 발생한다. 쉽게 인정할 수 있듯이 브리징은 밀도 변화를 초래할 것이며 복사물의 품질을 떨어뜨린다. 브리징은 노출된 물질의 다발사이의 매체내에서 비노출된 물질의 최소거리를 유지하는 펠 구성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리징의 확률, 즉 노출된 물질의 두 다발이 브리지되는 확률은 다발 사이에 약 10㎛ 내지 12㎛의 최소 비노출된 거리가 존재한다면 현저히 감소된다는 것을 알았다.
제2A도 내지 2T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다양한 90㎛×90㎛화소 그레이 스케일 레벨용의 다양한 펠 구성 패턴을 도시한다. 상기 도면은 표1을 참조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제2A도 내지 2T도에서 격자는 3행으로 구성된 하나의 90㎛×90㎛화소를 나타내고, 각 행은 30열로 구성된다. 제1행내의 펠은 넙은 레이저(3)에 의해 페인트되고; 제2 또는 중간 행에서의 펠은 넓은 레이저(1)또는 좁은 레이저(4)에 의해 페인트되고; 그리고 제3 또는 마지막 행에서의 펠은 와이드 레이저(2)에 의해 페인트된다. 격자내 특정 펠의 좌표는, 열에 있어서는 0~29의 번호를, 그리고 행에 있어서는 펠을 페인트한 레이저 번호로 표시된다. 2A 내지 2T도는 화이트 기록된 매체의 네가티브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서 화이트 영역은 비노출된 영역이고 블랙 영역은 페인트된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하드카피는 상기 도면의 반대가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제2A도는 완전히 비노출된 매체의 네가티브를 도시한 것으로, 가장 어두은 그레이 스케일 레벨을 갖는 화소를 나타낸다.
상술된 기준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펠 구성 패턴을제공하는데 있어서, 그룹 A 내지 J로 펠 구성 패턴을 나누었으며, 여러 그룹을 위해 소정의 페인팅괘를 특정하고 있다. 상기 괘(rule)는 표1에 표시되고 제2B도 내지 2T도에 예시되었다. 특히 제2B-2T도로부터 쌍으로된 도면은 각기 그룹내의 처음 펠 구성패턴과 마지막 펠 구성 패턴을 각기 도시한다. 특히, 표1을 참조하면, 그룹으로 표제가 붙은 행은 여러 그룹(A-J)내의 펠 구성 패턴을 말하고; 다발위치의 시작으로 표제가 붙은 행은 그룹내의 맨 처음 펠 구성 패턴에서 펠용레이저와 열(row)에 의한 격자 좌표를 나타내고; 그리고 슬라이스내의 다발크기 범위로 표제가 붙은 행은 그룹내에 펠 구성 패턴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각 레이저에 대한 슬라이스의 최소 및 최대수를 나타낸다. 표1과 제2B도는 그룹 A에서 첫 번째 펠 구성 패턴이 열(5)에서 시작하는 레이저(4)에 의해 페인트된 슬라이스(6) 6개를 포함함을 나타낸다. 또한, 표1과 제2C도는 그룹A에서 마지막 펠 구성 패턴이 열(5)에서 시작하는 레이저(4)에 의해 페인트된 슬라이스 12개를 포함함을 나타낸다. 또한, 표1가 제2E도는 그룹(B)에서 마지막 펠구성 패턴이 열(5)에서 시작하는 레이저(4)에 의해 페인트된 슬라이스 200개와 열(0)에서 시작하는 레이저(3)에 의해 페인트된 슬라이스 12개를 포함함을 나타낸다. 표1과 제2F도는 그룹 C에서 첫 번째 펠 구성 패턴이 열(5)에서 시작하는 레이저(4)에 의해 페인트된 슬라이스 110개와, 열(0)에서 시작하는 레이저(3)에 의해 페인트된 슬라이스 12개, 그리고 열(15)에서 시작하는 레이저(2)에 의해 페인트된 슬라이스 12개를 포함함을 나타낸다. 또한 표1과 제2G도는 그룹 C에서 마지막 펠 구성 패턴이 열(5)에서 시작하는 레이저(4)에 의해 페인트된 슬라이스 200개와, 열(0)에서 시작하는 레이저(3)에 의해 페인트된 슬라이스 12개, 그리고 열(15)에서 시작하는 레이저(2)에 의해 페인트된 슬라이스 12개를 포함함을 나타낸다. 제2B도 내지 2T도도 표1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낮은 밀도에 대응하는 그룹 F-J는 작은 레이저(4)를 사용하지 않음을 주의하라. 그러나, 이것은 상술된 바와 같이, 대수적 시각 응답수단 때문에 낮은 밀도범위에서 더 큰 전송 또는 반사치이도 시각으로 여전히 거의 감지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결점이 되지 않는다.
상술된 것으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듯이 제2A 내지 2T도와 표1은 예를들어, 256 그레이 스케일 레벨이 제공되어진 것보다 더 나은 펠구성 패턴이 제공된다. 따라서, 사실상, 특정 경우에 사용되는 제2A도 내지 2T도와 표1에 제공된 여러 가지 펠 구성 패턴의 적당한 부분집합 특정 경우의 특수 요건에 좌우되고, 적당한 부분잡합은 소망된 특정 톤 스케일에 가깝도록 선택된다. 그러나, 그룹내 여러 가지 가능성 중에서 펠 구성 패턴을 선택하기 위해 다음의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먼저, 그룹용 첫 번째 펠 구성 패턴을고려하고, 각 레이저용으로, 그룹에서 마지막 펠 구성 패턴에 이르기 위해 페인트될 수 있는 영역의 크기를 결정한다. 두 번째로, 첫 번째 펠 구성 패턴과 다른 그룹으로부터 펠 구성 패턴이 페인트될 수 있는 가장 큰 영역을 갖는 레이저로 페인팅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먼저 선택한다. 그러나, 선택된 펠 구성 패턴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된 레이저가 페인트함으로써, 레이저를 이하여 페인트될 수 있는 영역의 크기는 감소된다. 세 번째로, 첫 번째 레이저에 의해 페인트될 수 있는 영역의 양이 다른 레이저에 의해 페인트될 수 있는 영역의 양과 같을 때, 이들 두 레이저를 교대로 페인트할 수 있는 펠 구성 패턴이 선택된다.
작은 펠을 기록하는 빔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레이저 소스는 적당한 크기의 거울을 사용하여 깍아낸 그의 복사출력을 제외하고는 큰 펠을 기록하는 빔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비슷하다. 대신에, 더 작은 이미팅(emitting)구역을 갖는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제3도는 매체(205)상의 이미지(50)의 하드카피를 생성하는 본 발명 프린터(1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는 (a) 이미지(50)에 대응하는 전자 형태로 이미지 데이터를 얻는 이미지 스캔과 획득 모듈(100)과; (b) 이미지 스캔과 획득 모듈(100)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 프레임 스토어(110); (c)(ⅰ)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되는 수단으로 이미지 프레임 스토어(110)내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고 (ⅱ)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되는 다른 정보와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가 소정 실시예에서 프린터(10)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ⅲ) 프린팅 포맷 정보등을 제공하기 위해 유저로부터 입력 정보를 받는 시스템 제어기(115), (d) 이미지 프레임 스토어(11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받고, 이에 응답하는 시스템 제어기(115)로부터 제어정보가 레이저 모듈(750)로 출력되는 화소 발생기(700), 그리고 (e) 화소 발생기(700)로부터의 출력에 응답하는 매체(205)상에 이미지(50)의 하드카피를 생성하는 레이저(195)를 레이저 모듈(750)이 포함하는 시스템 제어기(115)를 포함한다.
이미지 스캔 및 획득 모듈(100)은 필요하다면, 디지털 형태로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를 전환하고,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형태로 이미지(5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는 스캐닝 이미지(50)용 장치로 당업자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이미지 스캔과 획득 모듈(100)의 실시예는 (a) 예를 들어 CRT로부터 복사 출력하는 이미지(50)를 스캐닝하고; (b) 이미지 (50)로부터 반사되고 및/또는 역시 당업자에게 공지된 수단으로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를 통해 보냄으로써 광전 변환기로부터 출력을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전환시키는 장치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사실이다. 한편, 이미지 스캔과 획득 모듈(100)은 CCD 스캐너일 수 있다. 이하에 기술될 실시예에서, 제한없이 단지 예시적 목적으로 이미지 스캔과 획득 모듈(100)로부터 출력하는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는 256단계 그레이 스케일에 각기 대응하는 8비트 데이터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더욱이, 제한없이 단지 예시적 목적에서, 각 8비트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50)의 소정 영역으로부터 반사되거나 이미지(50)의 소정 영역으로 방출되는 복사 강도에 대응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115)의 제어하에서 이미지 프레임 스토어(110)로 입력되고 이미지 스캔과 획득 모듈(100)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저장장치로부터의 출력이 이미지 프레임 스토어(110)로 입력되는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비디오 테이프, 광학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되었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한편,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는 또한 원격 발생되고 근거리 통신망(LAN)너머로 또는 소규모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SCSI)등을 통해 이미지 프레임 스토어(11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미지는 소정의 특정 한가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포맷으로 저장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며, 어떤 포맷의 형태로 이미지 정보를 얻어내는 것은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미지 스캔과 획득 모듈(100)로부터 출력되는 각 이미지 데이터는 화소의 크기보다 더 크거나, 같거나 더 작은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선택이 포맷 대 내용물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포맷은 예를 들어 복사의 종횡비에 관한 것이고, 내용물은 복사의 해상도와 톤에 관한 것이다. 제3도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특정 실시예에서, 그와 같은 선택은 시스템 제어기(115)로 사용자가 입력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제한없이 단지 예시적 목적에서 기술되는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지(50)상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은 통상 화소보다 더 크고 따라서 공간 해상도는 더 낮다. 결과적으로, 이미지(50)내에 있는 영역보다 본 발명의 프린터(10)에 의해 생성된 하드카피내에 픽셀이 더 많다. 또한, 제한없이 단지 예시적 목적에서, 매체(205)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운통형인 드럼(도시안됨)의 외면에 첨부된다. 이와 같은 구현에 있어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드럼과 매체가 첨부되어 회전됨으로써, 레이저 모듈(750)내 레이저(195)로부터 출력된 복사는 선을 따라 매체(205)상에서 충돌한다. 더욱이, 라인의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레이저 모듈(750)의 레이저(195)로부터 복사 출력으로 매체(205)상에서 이미지(50)의 하드카피를 제공하도록 충분한 수의 라인이 매체(205)상에 형성된다. 또한, 하드카피 출력 페이지는 예를 덜아, 8×10인치 하드카피상에 재생성되는 여러 가지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고, 화소크기, 화소 종횡비, 예를 들면 8인치 방향으로 페이지당 발동(active)라인의 수, 그리고 10인치 방향으로 페이지당 발동라인의 수가 프로그램 가능하게 가변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그러한 매개변수의 일 특정셋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미지 프레임 스토어(110)는 다중 이미지로부터 또는 이미지(50)로부터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용 일시 저장으로써 제공되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장치이다. 시스템 제어기(115)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수단으로 이미지 프레임 스토어(110)내에서 페이지-페이지는 매체(205)상의 하드카피 이미지로써 생성되는 것이다-를 구성하고 포맷한다. 결과적으로, 페이지는 이미지(50)와 단일 이미지(50)로 구성되거나 다중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시스템 제어기는 화소 발생기(700)가 그의 기능을 실행하는데 적합한 셋업 데이터로써 VME 버스(695)너머로, 다음을 전송한다. 즉(a)예를 들어, (ⅰ)페이지당 라인의 수; (ⅱ)드럼의 회전방향으로 라인당 화소의 수;(ⅲ) 드럼의 회전 방향으로 화소당 펠의 수; (ⅳ)화소 종횡비 등과 같은 화소 발생기(700)의 프로그램 가능한 소정의 매개 변수의 값; (b)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되는 수단으로 레이저 모듈(750)을 구동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는 룩업 테이블 데이터, 그리고 (c)화소 발생기(700)의 부분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프로세서(DSP)에 의해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전송한다. 당업자에게 명백하듯이, 어떤 실시예에서 그러한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는 각 하드카피 이미지를 만들기 이전에 전송되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 그와 같은 데이터와 소프트웨어의 부분은 관련된 데이터와 소프트웨어 또는 그의 부분이 하드 카피의 여러 부분에 대해 변화될 때마다 전송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발생기(700)는 이하의 부품 즉, (a) VME버스(695)를 거쳐 입력을 받고 화소발생기(700)와 VME버스(695)의 내부 회로소자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VME인터페이스(119); (b)는 시스템 제어기(115)로부터 매개변수 데이터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DSP(120)(상기 데이터와 정보는 VME버스(695)를 거쳐 시스템 제어기(115)로부터 VME인터페이스(119)로 보내지고, DSP(120)로 VME인터페이스(119)에 의해 중계(relayed)된다.); (c) (ⅰ) 시스템 제어기(115)로부터 매개변수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와 정보는 시스템 제어기(115)로부터 VME버스(695)를 거쳐 VME 인터페이스(119)로 보내지고, DSP(120)로 VME인터페이스(119)에 의해 중계되고, 그리고 DSP(120)에 의해 DSP(121)로 마지막으로 중계된다.)그리고 (ⅱ) DSP(120)로부터의 코맨드에 응답하는 DSP(120)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DSP메모리(121); (d) : (ⅰ) 시스템 제어기(115)부터의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이 이미지 데이터는 시스템 제어기(115)에서 VME버스(695)를 거쳐 VME 인터페이스(119)로 전달되며, 이 이미지는 DSP(120)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INX(125)로 릴레이된다), (ⅱ) DSP(120)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DSP(120)으로 전송되는 INX메모리(130), (e) : (ⅰ) DSP(12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ⅱ) 화소 크기(163)로부터 어드레싱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ⅲ) LUT프로세서(170)로 이미지를 데이터를 전송하는 아웃 버퍼(140); (f) : (ⅰ)매개변수 데이터(예를 들어, 페이지당 라인의 수, 드럼 회전방향으로 라인당 화소의 수, 그리고 드럼 회전 방향으로 화소당 펠의 수와 같은)를 시스템 제어기(115)로부터 수신하고(이 데이터는 시스템 제어기(115)로부터 VME버스(695)를 거쳐 VME인터페이스(119)로 보내고, 화소 크기(163)로 VME인터페이스(119)에 의해 중계되고); 그리고 (ⅱ) 아웃 버퍼(140)로 화소 어드레스 정보를, 그리고 LUT프로세서(170)로 펠 어드레스 정보를 전송하는 화소크기(163); (g)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고 매체(205)상의 디지털 영역 조절 프린팅에 사용하기 위해 강도 레벨의 맵핑을 펠 구성 패턴으로 제공하는 룩업 테이블 메모리 LUT0 및 LUT1으로 구성되며; (ⅰ) 시스템 제어기(115)로부터 맵핑 데이터를 수신하고(상기 데이터는 시스템 제어기(115)로부터 VME버스(695)를 거쳐 VME인터페이스(119)로 보내지고 LUT프로세서(170)로 VME인터페이스(119)에 의해 중계되고); (ⅱ) 아웃 버퍼(140)로부터의 강도 레벨 입력; 그리고 (ⅲ) 화소 크기(163)로부터의 펠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는 LUT프로세서(170)(LUT프로세서(170)는 두 개의 메모리에 한정되지 않고 두 개의 메모리 이상 또는 단지 한 메모리로 구성됨은 당기술의 숙련된 자에 의해 명백해진다) : (h) : (ⅰ)레이저(195)를 구성하는 각기 네 개의 레이저에 대해 4개의 4비트치로 구성된 16비트 워드에서 레이저 구동 정보를 포함하는 LUT프로세서(170)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그리고 (ⅱ) LUT 프로세서(170)의 LUT0 및 LUT1으로부터 레이저(195) 중 특정 하나에 적용되는 16비트의 정보로 두 개의 16비트 워드내에서 맵핑 정보를 전환시키는 방법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DSP(120)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멀티플랙서 및 지연회로(180) ; (ⅰ) : (ⅰ) PLL(185)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ⅱ)멀티플렉서와 지연(18)으로부터 16비트 입력을 수신하고; 그리고 (ⅲ) 16비트 입력 신호를 레이저(195)의 레이저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신호로 전송시키는 슬라이스(190); (j) (ⅰ) 드럼 엔코더(187)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그리고 (ⅱ) 회전 드럼으로 동기하는 클럭을 출력하는 위상-제한된 (locked)루푸 클럭인 PLL(185); 그리고 (k) 드럼회전이 소정 위치에 이를때 신호를 수신하는 드럼 엔코더(187)의 요소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화소 발생기(70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시스템제어기(115)는 이미지 프레임 스토어(110)에 저장되고 포맷된 이미지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얻는다. 시스템 제어기(115)는 이미지부에 대응하는 8비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VME버스(695)를 거쳐 화소 발생기(700)로 전송한다. 실시간은 예를 들어, 이미지 프레임 스토어(110)내에 포맷된 이미지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선 등의 이미지부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드럼 회전당 화소 발생기(700)에 의해 처리되고 전송되는 것을 뜻한다. 특히, 60 ×60 화소를 사용하여 프린트된 8×10인치 카피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한 라인당 전송되는 8비트 화소의 최대수는 4096이다.
시스템 제어기(115)로부터 화소 발생기(700)로 전송된 8비트 화소 데이터는 VME인터페이스(119)를 통해 VME버스(695)를 거쳐 전송되고,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120) (DSP(120))로의 입력으로써 사용된다. 이때, 차례로 DSP(120)는 INX메모리(125)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INX메로리(125)는 디지타이즈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장치이다. 예를 들어,INX메모리(125)는 디지타이즈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장치이다. 예를 들어, INX메모리(1258)는 랜덤 억세스 메모리 일 수 있다.
INX메모리(125)는 DSP(120)에 의해 처리되도록 대기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입력 버퍼 메모리로써 사용된다. INX메모리(125)는 이미지 데이터의 여러 라인을 유지하지만 통상적으로 전체 페이지를 유지하지는 않았다.
순서대로라면, DSP(120)는 INX메모리(125)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얻고, 그것을 처리하며, 그리고 아웃버퍼(140)내에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DSP(120)의 실시예는 이미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DSP(120)의 실시예는 이미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DSP(120)는 모토롤라(56001)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이다. DSP(120)는 입력 디지타이즈된 이미지 데이터를 하드카피 제작에 요구되는 출력 포맷과 조화되는 형태로 전환시키고, 즉 영역-크기 이미지 데이터를 화소-크기 프린트데이터로 전환시키는, 및/또는 샤프닝(sharpening)처리에 의해 하드카피의 질을 향상시키는 DSP(120)를 유도하는 소프트웨어를 얻기 위해, DSP프로그램 메모리(121), 예를 들어 RAM 메모리 디바이스를 억세스 한다. 예를 들어, 제한없이 단지 예시적 목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있어서, DSP(120)는 두 개의 일차원보간 단계를 사용함으로써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상에 이차 보간을 실시한다. 특히, DSP(120)는 (a) 이미지 스캔과 획득 모듈(100)에 의해 얻어진 두 개의 실선 사이에 배치된 이미지(50)상의 보간된선에 대하여 디지타이즈된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제일차 보간 단계와, (b)입력 데이터 지점 사이에 배치된 보간된 데이터 지점용 디지타이즈된 이미지 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실제로 또는 보간된 각 스캔 라인상에서의 제2차 보간 단계를 실행한다. 특히, 그러한 보간 단계는 공지된 이하 즉, : 최근접 이웃보간; 쌍일차 보간; 큐빅 회선등의 보간 단계에 한정되지 않는 보간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소정의 보간되어진 디지타이즈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타이즈된 이미지 데이터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수단으로 샤프닝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이미지(50)의 다른 부분에 다른 보간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DSP프로그램 메모리(121)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제어기(115)로부터 그곳으로 전송된다. (a) 어떤 실시예에서, 다른 이미지를 위한 다른 이미징 알고리즘의 사용으로 제공되는 각 페이지를 프린팅하기에 앞서 소프트웨어가 로드되고; (b)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는 이미지의 다른 부분을 프린팅하기에 앞서 로드되거나; 또는 (c)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는 시스템이 발동되는 시간에 한번에 로드됨을 주지하라.
상기 실시예에 대한, DSP(120)에 의해 제공된 이미지 프로세싱의 출력은 처리된 화소의 그레이 레벨에 대응하는 8비트 수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8비트 세기 레벨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미지 프로세싱은 출력은 아웃 버퍼(140)내에 저장된다. 여기서 기술된 실시예는 이미지 데이터를 화소 발생기(700)로 전송시키고, INX메모리(125)내에 그것을 저장하고, 그리고 실시간으로 이미지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것은 본 발명의 프린터에 대한 메모리 비용을 감소시키므로 이롭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드럼이 한번 회전되는 동안, 매체(205)상에 두 개의 출력 라인을 발생하는데 필요한 이미지 데이터는 화소발생기(700)로 입력되고, 여기서 출력 라인은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규정된다.
드럼의 다음 회전동안, 두 개 이상의 라인은 이전 회전이 아웃 버퍼(140)로 출력되고 이미지 처리되는 동안 전송된 또 다른 두 라인을 전송한다. 세 번째 회전에서, 또 다른 두 개의 라인이 입력되고, 이전 회전상의 라인은 처리 및 저장되고, 그리고 제2회전시에 처리된 라인은 회전 드럼상에 프린트 되도록 출력된다. 이는 전체 페이지가 프린트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러나, 어떤 이미지들은 각 출력라인을 위한 각 회전마다 두 개의 라인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보간의 경우 화소 발생기(700)로 입력 라인의 전송하는 것은 더 드물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미지 프로세싱에서, DSP(120)는 8비트 디지타이즈된 출력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아웃 버퍼(140)로 전송한다. 아웃 버퍼(140)는 디지타이즈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장치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웃 버퍼(140)는 DSP(120)에 의해 제1포트를 통해서는 DSP(120)에 의해 판독/기입하고 제2포트를 통해서는 LUT프로세서(170)로 판독할 수 있는 이중 포트버퍼, 예를들어 이중 포트 RAM이다. 이는 드럼의 회전속도와 이미지가 기록되는 비율에 비례하는 비율로 화소 발생기(700)의 출력 경로의 나머지에 의해 데이터를 억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우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웃 버퍼(140)는 화소의 하나 또는 두 개의 라인이 그의 다른 섹션으로부터 출력되도록, 그리고 DSP(120)는 그안의 라인당 4K 화소까지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아웃 버퍼(140)는 이중 포트 RAM일 것이 요구되지 않고, 예를들어, FIFO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LUT프로세서(170)는 화소크기(163)로부터, 이하에서 열(row)어드레스로써 언급되는, 펠 어드레스 정보와 화소값의 형태로 아웃 퍼(140)로부터 화소 데이터를 수신한다. LUT프로세서(170)는 다양한 소정의 펠 구성 패턴으로부터 펠 구성 패턴 정보를 회수하기 위해 입력을 사용한다. 아웃 버퍼(140)로부터 화소 데이터-이 버퍼는 DSP(120)에 의해 선택된다-는 화소 크기(163)로부터 수신된 어드레스 정보에 응답하는 LUT프로세서(170)로 전송된다.
LUT프로세서(170)가 화소 데이터, 즉 영역 조절 화소용 디지타이즈된 출력 이미지 데이터를 복수의 소정펠 구성 패턴으로부터 얻어지는 펠 정보로 전환하는 방식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그러나, LUT프로세서(170)의 구조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세히 기술된다. 특히, LUT프로세서(170)는 룩업 테이블 메모리 LUT0와 LUT1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메모리는 강도 레벨, 즉 화소 데이터로부터 펠 구성 패턴으로의 맵핑에 사용되는 동일한 룩업테이블 데이터를 포함한다. LUT0와 LUT1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메모리 저장 장치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구성된다. 각 강도 레벨 데이터에 대응하는 펠 구성 패턴은 예를들어 정신 물리(psycho-physical)데스팅의 결과로부터 미리 결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일 특정 맵핑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제3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소정 톤 스케일 맵핑이 특정 복사물의 제작에 사용됨으로써, 임의의 실시예에서 특정 강도 레벨과 펠 구성 팬턴사이의 톤 스케일 맵핑이 프린터(10)의 초기 구성을 변화시키거나 맵핑의 여러 셋을 저장시킴으로써, 그리고 사용자로부터의 수동 입력을 수용함으로써 가변된다는 것을 본 발명의 사상내에 포함된다. 예를들어, 수동 입력은 사용자가 인디 케이터를 셋팅하고 버튼을 누름으로써, 또는 사용자 인터맥티브 시스템으로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얻어진다. 톤 스케일은 예를들어 밝기 및/또는 대비 조절을 위한 특수 적용에서의 사용에서 변형될 수 있다.
LUT프로세서(170)로부터의 출력은 레이저 모듈(750)의 레이저(195)작동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LUT프로세서(170)는 레이저(195)를 포함하는 4개의 각 레이저용 헥스(hex)코드 비트 4개로 구성된 16비트수를 제공한다. 상기와 하기 설명을 위해, 실질적으로 30㎛×3㎛펠을 제공할 수 있는 레이저(195)의 레이저 1,2 및 3과 5㎛×3㎛펠을 제공할 수 있는 레이저(195)의 레이저4가 표시된다. 네 개의 헥스 코드 비트는 상술된 슬라이스 방법을 실시하도록 엔코드되고, 이러한 슬라이스 방법은 레이저가 펠 크기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에서 매체(205)를 조명하도록 발동되는 동안 분할한다.
멀티플렉서와 지연회로(180)는 상업적으로 가용한 시프트 레지스터나 또는 프로그래머를 게이트 어레이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수단으로 제작된다. 특히, 멀티플렉서와 지연회로(180)는 프린트되는 60㎛×60㎛나 또는 90㎛×90㎛화소를 나타내는 DSP(120)로부터의 정보뿐만 아니라 LUT프로세서(170)로부터 출력된 상술된 16비트수를 수용한다. 상기 정보는 이하에서 기술되는 수단으로 레이저당 4비트를 선택하도록 이용된다. 레이저당 4비트는 신호를 차례로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며 이는 또한 레이저(1-4)를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레이저(1-4)중 특정한 레이저용 4비트에 대응하는 신호는 또한 멀티플렉서와 지연회로(18)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지연된다.
여러 가지 레이저 구동신호의 상대적 지연은 이하 기술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린터(10)의 바람직한 실시에는 매체(205)상에 하드카피의 라인을 프린팅하는 페인트 브러쉬를 제공하기 위해 레이저(195)내의 네 개의 레이저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빔 에지(edge)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불규칙성과 회절에 의한 빔에지간의 간섭이 부주의한 프린트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게 페인트 브러쉬를 구성하는 레이저 빔은 일렬로 나란히 물리적으로 배치되지 않는다. 빔 불규칙성은, 초점이 맞춰진 가우시안 레이저빔의 강도가 빔 중심에서의 최대치로부터 점차 감소되는 사실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초점이 맞춰진 레이저 빔이 균일한 강도의 점을 생산할 수 없기 때문에, 매체의 소정 영역은 그의 노출된 역치의 아주 위거나 아래가 된다. 에지에서의 문제점을 피하기 위하여, 레이저는 스캐닝의 방향으로 공간적으로 오프셋된다. 따라서, 레이저의 발사는 레이저(1,2,3 및 4)에 의해 발생된 펠이 매체를 노출할 때 서로 일직선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서로 상대적으로 지연된다.
멀티 플렉서와 지연회로(180)는 레이저의 오프셋에 보상되도록 페인트 브러쉬를 발생시키는 레이저의 발사 시간에서 소정의 지연을 경우에 따라 가감한다. 예를들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레이저(2,3)는 레이저(1)에 대해 64 지연되고 레이저(4)는 레이저(1)에 대해 128 지연된다.
멀티플렉서와 지연회로(180)는 네 개의 각 레이저에 대한 4비트수를 슬라이스(190)로 전송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4비트수는 펠의 얼마 만큼의 슬라이스가 드럼의 회전방향으로 3㎛의 최대길이를 갖는 펠 위에서 레이저를 활성화시키는가를 결정하는 7 내지 15의 4비트 헥스의 수가 된다.
슬라이스(190)는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프로그래블 어레이로직이나 프로 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로부터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제작된다.
특히, 슬라이스(190)는 멀티플렉서와 지연회로(180)로부터의 입력을, 디지털 신호가 각기 레이저가 온 또는 오프될 때 하이 또는 로우가 되는 레이저 모듈(750)내의 레이저 드라이버로 레이저당 하나가 입력되는, 네 개의 디지털 신호로 전환한다.
위상-록(Locked) 루프(185) (PLL 185)는 드럼의 회전을 감지하는 드럼 엔코더(187)로부터 입력을 수용하고, 슬라이스(190)로부터의 출력이 회전 드럼과 동기되도록 슬라이스(190)로 입력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스 클럭의 한 진행 단위는 2150rpm에서, 375㎛ 또는 다른 적당한 속도에 대응한다.
슬라이스(190)로부터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하여, 레이저 모듈(750)내의 레이저 구동기는 레이저(195)를 구동시키는 고전류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구동 신호에 대하여, 레이저(195)는 매체(205)상에서 충돌하는 시간 조절된 복사 빔을 출력하고, 그안에 이미지(50)의 복사를 생성한다. 물론, 레이저(195)를 유지하는 레이저 모듈(750)내에서의 광학 헤드(도시 안됨)가 횡단방향으로 이동될 때, 레이저(195)로부터 출력된 복사가 라인의 방향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매체(205)를 가로질러 이동되면 더 많은 라인이 매체(205)상에 프린트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적절한 광학헤드의 예는 일반 양도되고 동일 날짜로 출원되고 제목이 프린터 광학 헤드인 미합중국 특허출원 (Case No. 7584)의 실시예에 도시되었다. 더욱이, 레이저는 레이저빔이 매체(205)상에서 충돌할때만 구동되고 예를들어 드럼 크램프상에 레이저 빔이 충돌할때는 구동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린터(10)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여기에 포함되어야 할 당기술 분야의 공지장치가 생략되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프린터(10)는 제한 없이 다음 종류의 모듈, 즉 드럼 드라이버, 드럼 위치 설정용 동기 수단, 레이저 자동초점조절장치, 메체전송기구 등을 포함한다.
지금부터, 아웃 버퍼(140)내에 저장된 데이터가 레이저 구동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LUT프로세서(170)로 입력되는 방식을 서술하겠다. 아웃 버퍼(140)내에 8비트로 처리된 데이터는 LUT0와 LUT1의 상부 어드레스로써 출력된다. 아웃 버퍼(140)내의 8비트 데이터의 어드레스는 화소 크기(163)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의해 결정되고, 이는 아웃 버퍼(140)의 이중 포트 RAM의 프린터측 어드레스이다. 상기 어드레스 신호는 화소비율로 갱신된다. 예를들어, 60㎛×60㎛ 화소용 어드레스는 60㎛마다 갱신되는 반면, 60㎛×80㎛ 화용 어드레스는 80㎛마다 갱신된다. LUTO 및 LUTI 어드레스의 하부 즉, 열 어드레스는 LUT프로세서(170)로 입력되는 화소 크기(163)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된다. 열 어드레스 카운터는 펠 비율에서 0 내지 29를 계수하고 3㎛펠에 대응하는 비율로 반복회전한다.
특수 실시예에 있어서, 화소 및 펠 비율은 다음 정보, 즉 예를들어 10 인치인 페이지 길이와; 60㎛×60㎛, 90㎛×90㎛ 등의 화소 크기와; 펠의 크기; 및 드럼의 회전속도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펠의 비율은(슬라이스 클럭)/8 이고, 드럼 회전속도가 2400rpm과 펠이 3㎛인 실시예에서는, 펠 비율이 30MHz/8이다. 또한, 화소비율은(펠 비율)/(화소내 펠의 수)이다. 마지막으로, 60㎛×60㎛ 화소용으로 20 펠/화소와, 90㎛×90㎛ 화소용으로 30펠/화소가 있다.
지금부터, 제5도와 제6도를 참조하여, 데이터가 LUT 프로세서(170)로부터 얻어지는 수단을 기술하려고 한다. 제5도는 어떻게 레이저모듈(750)내에서 레이저(195)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펠 정보의 공급을 위하여LUT0와 LUT1에 저장된 데이터가 검색되는지를 도시한다. 특히, 제 5도는90㎛×90㎛ 화소용 맵핑이 60㎛×60㎛ 화소와 다른 크기의 화소로 제공되어 사용될수 있다는 발견에 따라 데이터가 어떻게 60㎛×60㎛ 화소와90㎛×90㎛ 화소용 펠 정보를 공급하여 검색하는지를 이해하기 쉽도록 도시한다.
특히, 먼저90㎛×90㎛ 화소의 경우를 고려하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술된 바와 같이, 제5도에서 화살표(2000)로 도시된, 레이저(195)용 페인트 브러쉬는 레이저 3, 레이저 1 및 4, 그리고 레이저 2로 구성된다. 화살표(2000)로 표시되는 방향을 따라 각 레이저 1, 2 및 3의 풋 프린트는 30㎛이고 레이저 4의 풋프린트는 5㎛가 된다. 따라서, 레이저(1~4)가 라인 1003과 1004 사이의 경로를 따라 매체(205)상에서 충돌되고 자극되므로, 레이저는 90㎛를 가로지르는 브러쉬스트록(brushstroke)으로 페인트한다. 더욱이, 제5도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화살표(2000)와 화살표(2002) 사이의 거리는 90㎛이다. 따라서, 가장자리가 라인(1003) 과 라인(1004), 그리고 화살표(2000)와 화살표(2002)로 표시되는 라인인 90㎛×90㎛ 화소에는 30개의 펠이 있다.
LUT0와 LUT1에 저장된 데이터는 동일하고 상기 데이터는 방금 기술된 90㎛×90㎛화소에 대응한다. 결과적으로, 90㎛×90㎛화소용으로 LUT0에 저장된 데이터만 검색하면 된다. 제6도는 90㎛×90㎛화소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행렬을 도시한다. 열0~29는 레이저 1~4용의 펠에 대응하고 각 열, 즉 열 0~29는 각 레이저 1~4용의 4비트, 헥스코드치를 갖는 16비트수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하여, 두 조각의 정보, 즉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0과 255 사이의 8비트수인 화소의 강도 레벨과, 화살표(2000)과 화살표(2002) 사이의 매체(205)상에서 충돌하는 레이저 빔으로써 페인트된 펠에 대응하는 0과 29사이의 열 어드레스인 본 실시예에서의 펠 수가, LUT프로세서(170)에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 정보에 대하여, LUT프로세서(170)는 비트 0~3이 레이저 2에 사용되고, 비트 4~7 레이저 1에, 비트 8~11이 레이저 3에, 그리고 비트 12~15가 레이저 4에 사용되는 LUT0로부터 16비트수를 검색한다. 물론, 비트의 상기 선택은 임의적이고 다른 실시예에서 변화됨을 당업자는 숙련된자는 이해한다. 예를들어, 비트의 상기 선택은 소프트웨어 또는 케이블링에서 변화된다.
화소의 강도 레벨과 펠의 열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LUT프로세서(170)로의 입력은 각기 아웃 버퍼(140)와 화소 크기(163)로부터 얻어진다. 화소 크기(163)는 다음 정보, 즉 펠/화소의 수; 화소/라인의 수; 그리고 라인/페이지의 수를 각기 포함하는 세 개의 레지스터를 갖는다. 이와같이, 화소크기(163)는 프린트될 라인내 화소의 위치에 대응하는 아웃 버퍼(140)로 수를 전송한다. 아웃 버퍼(140)는 상기 수를 라인에 대응하고 그안에 저장된 화소를 어드레스 하는데 이용한다. 아웃 버퍼(140)는 화소의 강도 레벨에 대응하는 값을 그의 메모리내에서 검색한 다음 LUT프로세서(170)로 그것을 입력한다. 동시에, 화소크기(163)는 0과 29사이를 순환하는 열카운터의 값을 LUT프로세서(170)로 입력한다.
쉽게 알 수 있듯이, 그의 메모리내에 저장된 화소를 통해 아웃 버퍼(140)가 순환하고 각 화소용으로, 0~19를 통해 화소 크기(163)가 순환하므로, 데이터의 라인은 레이저 모듈(750)내의 레이저의 발사(195)에 이용되도록 검색된다.
이제 60㎛×60㎛ 화소의 경우에 대해 알아보자. 상기 경우는 두가지 사실에 의해 복잡하게 된다. 먼저, 4개의 레이저 모두를 이용하기 위해, 60㎛×60㎛ 화소는 하나 및 하나반의 화소의 동시 프린팅을 요구한다. 두 번째로, 시스템 상에서의 실시간 제한으로 인해, 단일 룩업 테이블 메모리로부터 필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시간이 충분치 못하다.
제5도를 참조하면, LUT프로세서(170)는 다음과 같은 필수 레이저 구동 데이터를 검색한다. 먼저, 화살표(2000,2001)와 라인(1003,1005)사이에 A1로 표시되는 구역을 화소(1)로 나타내고, 화살표(2000,2001)와 라인(1005,1006)사이에 A2로 표시되는 구역을 화소(2)로 나타내고 그리고 화살표(2000,2001)와 라인(1006,1007)사이에 A3로 표시되는 구역을 화소(3)로 한다. 화소(1)의 라인내 화소는 LUT0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사용한 레이저 3과 레이저 1 및 4로 페인트되고; 화소(2)의 라인내 화소는 LUT1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사용한 레이저 2와 레이저 3으로 페인트되고; 그리고 화소(3)의 라인내 화소는 (3)의 라인내 화소는 LUT0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를 사용한 레이저1 및 4와 레이저 2로 페인트된다. 쉽게 알 수 있듯이 화소의 라인은 다양한 시퀸스에서 LUT0과 LUT1교대로 레이저를 구동하기 위해 얻어지는 데이터가 페인트된 라인에서 횡단방향으로 페이지를 가로지른다.
부가적으로, 페인트브러쉬가 레이저3, 레이저1 및/또는 4, 그리고 레이저2를 사용하기 때문에, 페인트 브러쉬는 하나와 하나반인 60㎛×60㎛ 화소를 동시에 커버한다. 상기한 것을 달성하기 위한 데이터는 다음과 같이 검색된다. (1) 화살표(2000,2001)와 라인 (1003,1005)사이의 화소용 레이저3과 레이저1 및 4에 대한 데이터는 강도 레벨(A1)과 열 어드레스(0~9)를 LUT 프로세서(170)로 제공하여 LUT0로부터 얻어진다. 검색된 각 16비트수는 레이저 3용인 비트 8~11과 레이저1용인 비트 4~7과; 그리고 레이저 4용인 비트 12~15로 되어 있다. (2) 화살표(2000,2001)와 라인(1005,1004)사이의 하나반 화소에 대한 레이저(2)용 데이터는 강도 레벨(A2)과 열 어드레스(0~19)를 LUT프로세서(170)로 제공함으로써 LUT1으로부터 얻어진다. 여기서 검색되는 각 16비트 수에서 비트(0~3)은 레이저(2)용으로 사용된다. (3) 화살표(2001,2003)과 라인(1003,1005)사이의 화소용 레이저3과 레이저1 및 4에 대한 데이터는 화살표(2001,2002)사이의 부분에 대한 LUT프로세서(170)로 강도레벨(B1)과 열 어드레스(20~29)를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화살표(2002와 2003)사이의 부분에 대한 LUT프로세서(170)로 강도 레벨(B1)과 열 어드레스(0~9)를 제공함으로써 LUT0로부터 얻어진다. 각 16비트수에서 비트(8~11)은 레이저3용이며; 비트(4~7)은 레이저1용이며; 그리고 비트(12~15)는 레이저4용이다. (4) 화살표(2001,2003)와 라인(1005,1004)사이의 화소의 반을 위한 레이저(2)에 대한 데이터는 화살표(2001,2002) 사이의 부분에 대해 강도 레벨(B2)과 열 어드레스(20~29)를 LUT프로세서(170)로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화살표(2002,2003)사이의 부분에 대해 강도 레벨(B2)과 열 어드레스(0~9)를 LUT프로세서(170)로 제공함으로써 LUT1에서 얻어진다. 각 16비트수는 레이저(2)용으로 사용된 비트(0~3)로부터 검색된다. (5) 화살표(2003,2004)와 라인(1003,1005) 사이의 화소용 레이저(3)와 레이저(1 및 4)에 대한 데이터는 강도 레벨(C1)과 열 어드레스(10~29)를 LUT프로세서(170)로 제공함으로써 LUT0로부터 얻어진다. 여기서 검색된 각 16비트수에서 비트(8~11)은 레이저(3)용이며; 비트(4~7)는 레이저(1)용이며; 그리고 비트(12~15)는 레이저(4)용이다. (6) 화살표(2003,2004)와 라인(1005,1004)사이의 화소반을 위한 레이저(2)에 대한 데이터는 강도 레벨(C2)과열 어드레스(10~29)를 LUT프로세서(170)로 제공함으로써 LUT1에서 얻어진다. 여기서 검색된 각 16비트수에서 비트(0~3)은 레이저(2)용으로 사용된다.
이제부터, 화소(3)의 라인과 화소(2)의 라인의 두 번째 반쪽에 대한 레이저 구동 데이터가 얻어지는 방식을 기술한다. (1) 화살표(2000,2001)와 라인(1004,1006)사이의 화소의 반을 위한 레이저(3)에 대한 데이터는 강도 레벨(A2)과 열 어드레스(0~19)를 LUT프로세서(170)로 제공함으로써 LUT1에서 얻어진다. 여기서 검색된 각 16비트수에서 비트(8~11)은 레이저(3)용으로 사용된다. (2) 화살표(2000,2001)와 라인(1006,10207)사이의 화소용 레이저 1 및 4와 레이저2에 대한 데이터는 강도 레벨(A3)과 열 어드레스(0~19)를 LUT프로세서(170)로 제공함으로써 LUT0에서 얻어진다. 여기서 검색된 각 16비트수에서 비트(4~7)는 레이저(1)용이고; 비트(12~15)는 레이저(4)용이며; 그리고 비트(0~3)은 레이저(2)용이다. (3) 화살표(2001,2003)와 라인(1004,1006)사이의 화소반을 위한 레이저(3)에 대한 데이터는 화살표(2001과 2002)사이의 부분을 위해 강도 레벨(B2)과 열 어드레스(0~9)를 LUT프로세서(170)로 제공함으로써 LUT1에서 얻어진다. 여기서 검색된 각 16비트수에서 비트(8~11)는 이저(3)용으로 사용된다. (4) 화살표(2001,2003)와 라인(1006,1007)사이의 화소용 레이저(1,4)와 레이저(2)에 대한 데이터는 화살표(2001,2002)사이의 부분에 대하여 강도레벨(B3)과 열 어드레스(0~9)를 LUT프로세서(170)로 제공함으로써 LUT0로 얻어진다. 여기서 검색된 각 16비트수중에서 비트(4~7)는 레이저(1)용이며; 비트(12~15)는 레이저(4)용이며; 그리고 비트(0~3)는 레이저(2)용이다. (5) 화살표(2003,2004)와, 라인(1004,1006)사이의 화사반을 위한 레이저(3)에 대한 데이터는 강도 레벨(C2)과 열 어드레스(10~29)를 LUT프로세서(170)로 제공함으로써 LUT1에서 얻어진다. 여기서 검색되는 각16비트수에서 비트(8~11)는 레이저(3)용으로 사요된다. (6) 화살표(2003,2004)와 라인(1006,1007)사이의 화소용 레이저(1,4)와 레이저(2)에 대한 데이터는 강도 레벨(C3)과 열 어드레스(10~29)를 LUT프로세서(170)로 제공함으로써 LUT0에서 얻어진다. 여기서 검색되는 각 16비트수에서 비트(4~7)는 레이저(1)용이고; 비트(12~15)는 레이저(4)용이며; 그리고 비트(0~3)는 레이저(2)용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강도 레벨과 열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LUT프로세서(170)에 대한 압력은 각기 아웃 버퍼(140)와 화소 크기(163)로부터 얻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에, 화소 강도 레벨 데이터의 단일선을 통하여 시퀀싱하는 대신에, 아웃 버퍼(140)는 동시에 두 라인을 통해 시퀀스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것은 다른 라인으로 강도레벨이 LUT1에 적용되는 동안 LUT프로세서(170)는 한 라인으로 LUT0에 강도 레벨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술된 바와 같이, 화소(1)의 라인내 화소로부터 강도 레벨은 LUT0로 적용되고 화소(2)의 라인내 화소로부터 강도 레벨은 LUT1으로 적용된다. 화소(1)의 라인과 화소(2)의 첫 번째 반쪽 라인이 프린트 된 후, 화소(2)의 라인내의 화소로부터 강도 레벨은 LUT2로 적용되고, 화소(3)의 라인내의 화소로부터 강도 레벨은 화소(2)라인과 화소(3) 라인의 제2반쪽을 프린트하도록 LUT0로 적용된다. 이와같은 교대 기술은 페이지상의 모든 라인이 프리트될때까지 계속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화소를 복사 및 확대하는 이용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들어, 라인 및/또는 화소용 반복 인자를 사용하여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하나의 화소가 단일의 신호 출력 화소내로 매핑되도록 가장 작은 정수증분을 갖도록 이미지가 어느 방향으로 확대 될 수 있다. 더욱이, 특수한 경우로서 각 입력 화소가 정수의 출력 화소를 생산하는 복사 인자일 때 음영 특성이 실현된다. 상기 경우에, 강도 레벨은 전체 행렬로서 표시되며 절대로 행렬 일부에 의해 표시되지 않는다. 더욱이, 화소의 종횡비는 사각형이 아닌 입력화소와, 출력화소, 및/또는 둘다를 교정하는 라인복사와 동일하지 않는 화소를 이용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와같은 여러 가지 실시예가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DSP(120)를 적당하게 프로그래밍함으로써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펠 구성 패턴에 의한 화소의 맵핑은 특정형태의 맵핑이었음을 주지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맵핑의 사용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펠 구성 패턴에 의한 화소 맵핑이 제한적이지 않은 예로써, 역치 어레이 다발에 의해 생성된 영역 조절 이미징과, 분산 돗트 정렬 매핑(dispersed dot ordered dither mapping)과, 장방형이나 6각형 어레이 구조와, 낮은 그레이스케일 레벨에 사용되는 펠이 더 높은 그레이 스케일 레벨에 사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모노토닉(non-monotonic) 펠등과 같은 다수의 다른 맵핑 기능으로 적용된다.
그와같은 맵핑 데이터를 포함하는 매트릭스로부터 적당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LUT프로세서(170)를 제작함으로써 펠 구성 패턴에 의한 화소의 맵핑에 있어서 이와같은 변화를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작된다. 예를들어, DSP(120)가 레이저(195)를 구성하는 다수의 기록 소자 프린트 헤드의 단위 통로내의 복수선을 프린트하기 위하여 아웃 버퍼(140)내에서 버퍼되는 화소 강도 레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실시예에 있어서, 아웃 버퍼(140)내의 라인은 이중 버퍼되어 라인의 한 그룹이 프린트되는 동안, 라인의 다음 그룹이 그안에서 판독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실시예에서, 화소 발생기(700)는 라인의 수와; 라인당 프린트되는 화소 강도 레벨과; 그리고 화소내의 펠의 수로 초기화된다. 또한, 공간은 아웃 버퍼(140)내의 버퍼용으로 할당되고; 아웃 버퍼(140)내에 버퍼를 로딩(loding)하고 프린팅하는 전류에 대한 포인터가 초기화되며; 그리고 상기 두 상태에 대응하는 플래그가 세워진다.
프린팅에서 제1단계는 버퍼로 라인을 로드하는 것이다. 회전드럼의 위치를가리키는 PG액티브 신호가 있다. PG액티브는 레이저가 활동할 때, 즉 라인을 프린팅할때와, 레이저가 클램프상에 있을 때, 즉 레이저가 오프일때를 가리킨다. 드럼이 한번 회전할 때, 레이저가 8비트 화소의 1 또는 2행으로 60㎛ 또는 90㎛ 화소가 프린트 되는지에 좌우되어 DSP(120)는 아웃 버퍼(140)내의 버퍼를 채우고, 레이저가 클램프상에 있을 때 시작한다. 이와 같은 회전동안에 DSP(120)로부터 아웃버퍼(140)로 기록된 1 또는 2라인의 8비트 화소는 상기한 회전시에, 아웃 버퍼(140)로부터 페이지상에 프린트될 LUT(170)로 출력한다. 다음 회전동안에, DSP(120)는 프린팅을 위해 이전에 사용된 버퍼를 채우고 아웃 버퍼(140)는 이전의 회전시에 DSP(120)로 채워진 버퍼로부터 출력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프린팅 화소는 펠에 의한 화소 맵핑의 LUT프로세서(170)등과 같은 메모리로부터 검색이 필요하다. 예를들어, 매핑을 위한 입력으로 강도 레벨과, 행 포인터, 그리고 강도 레벨에 대응하는 행렬 특정행과 열에 대한 열 포인터가 있다. 맵핑 행렬이 저장으로부터 검색되고 저장되는 방식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이다.
첨부 특허 청구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추가, 감축, 삭제 등의 많은 변형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Claims (11)

  1. 매체상이나 또는 매체위에 복수의 화소로써 형성된 하드카피내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에너지 소스의 출력이 사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프린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프린트될 원래 이미지의 최소부분을 표시하는 입력 이미지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펠이라는 부화소로 구성되고, 화소 영역이 원래 이미지의 소정 부분의 휘도에 대응하는 화소내에 하나 이상의 영역 조절 패턴을 나타나는 하나 이상의 화소신호를 생성하는 이미지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는 수단과; 두 개 이상의 다른 최소 크기를 갖는 펠 패턴으로 화소 영역을 조절하는 에너지 소스와; 그리고 화소내에서 필요할 펠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에너지 소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한 세트 이상의 소정 펠 구성 패턴 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화소 신호에 응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한 세트 이상의 소정 펠 구성 패턴 신호가 출력을 발생시키는 에너지 소르를 구동하기 위하여 조절되는 것과, 제1펠 또는 제2펠중 최소한 하나가 펠의 최소 크기에서 더 큰 크기로 소정양만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세트로된 소정 펠 구성 패턴 신호중 하나 이상이 펄스폭 변조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디지털 입력 이미지 데이터를 얻는 수단과, 영역이 영역 조절 화소로써 언급되고 화소는 펠로써 언급된 서브유닛으로 구성되는, 매체상의 영역에 대응하는 디지털 강도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 디지털 입력 이미지 데이터를 보간 및/또는 처리하는 수단과; 펠의 소정 패턴으로 각 디지털 강도 레벨을 맵핑하는 수단과; 매체상 펠의 소정 패턴을 프린트하기 위한 소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레이저 복사 소스로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소스는 두 개의 다른 크기로 된 프린팅 복사빔의 소스를 포함하고, 상기 펠은 두 개의 다른 크기로 된 빔의 소스를 펄스폭 변조하는 것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소스에 레이저 소스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소스에 복수의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가 페이스 어레이(phased array)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펠이 슬라이스라고 불리우는 서브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각 반도체 다이오드가 프린팅의 방향으로 3마이크로 미터 너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각 펠이 프린팅 방향으로 3마이크로미터 너비이고 슬라이스라고 불리우는 8개의 서브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디지털 입력 이미지 데이터를 얻고; 영역이 영역 조절 화소로써 언급되고 화소는 펠로써 언급된 서브유닛으로 구성되는, 매체상의 영역에 대응하는 디지털 강도 레벨을 맵핑하고; 그리고 매체상 펠의 소정 패턴을 프린트하도록 소스를 활성시키기 위하여 레이저 복사 소스로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들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는 두 개의 다른 크기로 된 프린팅 복사 빔의 소스를 구성하고 상기 펠은 슬라이스라 불리 워진 서브펠로 형성되고, 최초 크기로 시작되며, 그리고 그들의 최초 크기에 슬라이스를 부가시킴으로써 확대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팅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스가 두 개의 다른 크기로 된 빔의 소스를 조절하는 펄스 폭 변조에 의해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20701719A 1990-11-21 1991-11-14 프링팅 방법 및 장치 KR960014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663390A 1990-11-21 1990-11-21
US07/616,633 1990-11-21
PCT/US1991/007247 WO1992010052A1 (en) 1990-11-21 1991-11-14 Printing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312B1 true KR960014312B1 (ko) 1996-10-15

Family

ID=2447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1719A KR960014312B1 (ko) 1990-11-21 1991-11-14 프링팅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369497A (ko)
EP (1) EP0514504B1 (ko)
JP (1) JP2651493B2 (ko)
KR (1) KR960014312B1 (ko)
AT (1) ATE152310T1 (ko)
AU (1) AU642790B2 (ko)
DE (1) DE69125826T2 (ko)
DK (1) DK0514504T3 (ko)
ES (1) ES2103829T3 (ko)
WO (2) WO19920100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4652A (en) * 1995-06-29 1999-05-18 Teratech Corporation Ultrasound scan conversion with spatial dithering
US6248073B1 (en) 1995-06-29 2001-06-19 Teratech Corporation Ultrasound scan conversion with spatial dithering
US6031560A (en) * 1996-04-18 2000-02-29 Eastman Kodak Company High resolution medical diagnostic laser printer
US5864362A (en) * 1996-08-27 1999-01-26 Hewlett-Packard Company High speed scanner for reading latent images in storage phosphors
US6170390B1 (en) * 1998-12-21 2001-01-09 Alan L. Backus Enclosed rotisserie with added convenience
JP2000332993A (ja) * 1999-05-17 2000-11-30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装置
US7327380B2 (en) * 2003-01-31 2008-02-05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for printing a multibit image
JP5661557B2 (ja) * 2010-06-02 2015-01-28 株式会社東芝 画像階調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階調処理方法
US9906838B2 (en) 2010-07-12 2018-02-2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ent delivery and message exchange across multiple content delivery networks
US9186793B1 (en) 2012-08-31 2015-11-17 Brai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ttention of a robot
KR20140099760A (ko) * 2013-02-04 201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US9533413B2 (en) 2014-03-13 2017-01-03 Brain Corporation Trainable modular robotic apparatus and methods
US9987743B2 (en) 2014-03-13 2018-06-05 Brain Corporation Trainable modular robotic apparatus and methods
US9426946B2 (en) 2014-12-02 2016-08-30 Brain Corporation Computerized learning landscaping apparatus and methods
WO2016162092A1 (en) * 2015-04-10 2016-10-13 Hewlett-Packard Indigo B.V. Selecting colorant amount for printing
US9840003B2 (en) 2015-06-24 2017-12-12 Brai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safe navigation of robot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6262A (en) * 1968-03-25 1972-02-29 Printing Dev Inc Electronic reproduction of continuous image with controlled modification of image reproduction
US3465199A (en) * 1968-11-26 1969-09-02 Rca Corp Electronic halftone image generator
DE2262824C3 (de) * 1972-12-22 1975-07-10 Dr.-Ing. Rudolf Hell Gmbh, 2300 Kiel Verfahren zur gerasterten Reproduktion farbiger Halbtonbilder im Ein- oder Mehrfarbendruck
US3961132A (en) * 1974-07-15 1976-06-01 Log Etronics Inc. Sequential image-modulated dot-area recording
US4051536A (en) * 1975-03-14 1977-09-27 Xerox Corporation Electronic halftone imaging system
IT1057754B (it) * 1975-03-19 1982-03-30 Hell R Gmbh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riproduzione di immagini a mezza tinta con modifica della misura di scomposizione dei punti d immagine nel passaggio da modello a riproduzione
GB1549714A (en) * 1975-05-12 1979-08-08 Ecrm Making halftone reproductions
JPS51150401A (en) * 1975-06-18 1976-12-24 Dainippon Screen Mfg Method and device for scanning recording screen printed image
US4196451A (en) * 1976-05-21 1980-04-01 Xerox Corporation Electronic halftone generator
US4149183A (en) * 1976-05-21 1979-04-10 Xerox Corporation Electronic halftone generator
US4389712A (en) * 1978-03-09 1983-06-21 Itek Corporation High information density laser image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US4386272C1 (en) * 1978-07-07 2001-02-06 Pitney Bow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mages by producing light spots of different sizes
US4468706A (en) * 1979-02-13 1984-08-28 Coulter Systems Corporation Imaging by varying the placement of elements in the pixels
JPS56102853A (en) * 1980-01-21 1981-08-17 Dainippon Screen Mfg Co Ltd Metho for pretreating image signal of image copying apparatus
US4435726A (en) * 1980-06-20 1984-03-06 Xerox Corporation One shot predictor for mixed mode documents
JPS5772465A (en) * 1980-10-23 1982-05-06 Canon Inc Digital signal converting device
US4491875A (en) * 1980-10-30 1985-01-01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tonal image processing
JPS57171337A (en) * 1981-04-14 1982-10-21 Dainippon Screen Mfg Co Ltd Production of halftone plate picture
US4365275A (en) * 1981-05-08 1982-12-21 Delta Scan, Inc. Method for producing images on radiation sensitive recording mediums
US4661859A (en) * 1981-06-03 1987-04-28 Xerox Corporation Pulse width modulation greyscale system for halftone printer
US4499489A (en) * 1981-06-08 1985-02-12 Dr. Ing. Rudolf Hell Gmbh Production of screen printing blocks
GB2101836B (en) * 1981-07-18 1985-02-20 Linotype Paul Ltd Method for encoding image data
JPS5817442A (ja) * 1981-07-24 1983-02-01 Dainippon Screen Mfg Co Ltd 画像走査記録装置における連続階調露光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58114570A (ja) * 1981-12-26 1983-07-07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S58141078A (ja) * 1982-02-16 1983-08-22 Dainippon Screen Mfg Co Ltd 画像走査記録方法及び装置
US4433346A (en) * 1982-03-31 1984-02-21 Xerox Corporation Raster input scanner
DE3312273C3 (de) * 1982-04-06 1996-03-21 Canon Kk Bildverarbeitungsgerät
US4586089A (en) * 1982-08-18 1986-04-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processor
US4533941A (en) * 1983-01-14 1985-08-06 Coulter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lf-tone reproduction of a varying tone original image
US4636869A (en) * 1983-01-18 1987-01-13 Dainippon Screen Mfg.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images in various magnification ratios
JPS59161981A (ja) * 1983-03-06 1984-09-1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S6022867A (ja) * 1983-07-19 1985-02-05 Dainippon Screen Mfg Co Ltd 画像走査複製装置
JPS6030272A (ja) * 1983-07-28 1985-02-15 Canon Inc 画像信号処理装置
GB8401933D0 (en) * 1984-01-25 1984-02-29 Crosfield Electronics Ltd Half-tone imaging
US4599656A (en) * 1984-02-21 1986-07-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ing of gray scale image pels to facilitate data compression
JPH0738677B2 (ja) * 1984-05-07 1995-04-26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US4625222A (en) * 1984-05-17 1986-1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ng print enhancement techniques
US4651287A (en) * 1984-06-14 1987-03-17 Tsao Sherman H Digital image processing algorithm for output devices with discrete halftone gray scale capability
JPS61199374A (ja) * 1985-02-28 1986-09-03 Ricoh Co Ltd ドツト補正のレ−ザプリンタ
FR2587572B1 (fr) * 1985-03-20 1994-02-18 Canon Kk Appareil et procede de traitement d'images
US4712141A (en) * 1985-03-30 1987-12-08 Dainippon Screen Mf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polating image signals
EP0361538A1 (en) * 1985-04-12 1990-04-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dge enhancement in reproducing multi-level digital images on a bi-level printer of fixed dot size
JPS61285867A (ja) * 1985-06-12 1986-12-16 Dainippon Screen Mfg Co Ltd 網点画像記録方法並びに装置
JPS6227716A (ja) * 1985-07-29 1987-02-05 Fuji Photo Film Co Ltd 網点形成用ライトバルブ
JPH067660B2 (ja) * 1985-08-29 1994-01-2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ビ−ム走査装置
JPS6258779A (ja) * 1985-09-06 1987-03-14 Dainippon Screen Mfg Co Ltd 網目版画像記録装置
US4897734A (en) * 1985-10-28 1990-01-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S62118676A (ja) * 1985-11-18 1987-05-30 Sharp Corp 画像処理方式
JPH065872B2 (ja) * 1985-12-16 1994-01-19 株式会社レオ技研 画像再生装置
JPS62145966A (ja) * 1985-12-20 1987-06-3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方法
US4782398A (en) * 1986-02-14 1988-11-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4833531A (en) * 1986-04-21 1989-05-23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Technique for interpolating a color image for image enlargement or reduction based on look-up tables stored in memory
JPH0782156B2 (ja) * 1986-05-23 1995-09-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光学系
JPS62278874A (ja) * 1986-05-28 1987-12-03 Ricoh Co Ltd 中間調再現方法
JPS6345973A (ja) * 1986-08-12 1988-02-26 Canon Inc 中間調画像処理装置
EP0349532B2 (en) * 1986-12-09 2000-07-26 Polaroid Corporation Thermal imaging medium
JP2525794B2 (ja) * 1987-02-27 1996-08-21 大日本スクリ−ン製造株式会社 網点画像記録装置
JPS63236472A (ja) * 1987-03-25 1988-10-03 Fujitsu Ltd 画像情報符号化処理装置
JP2677792B2 (ja) * 1987-05-09 1997-11-17 株式会社リコー ファックス機能付きデジタル複写機
US4965672A (en) * 1987-05-11 1990-10-23 The Mea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lftone imaging
US4894727A (en) * 1987-10-20 1990-01-16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4899344A (en) * 1987-12-07 1990-02-06 Ricoh Co., Ltd. Semiconductor laser control apparatus
JPH01258953A (ja) * 1988-04-08 1989-10-16 Ricoh Co Ltd レーザ書込み装置
US4914459A (en) * 1988-04-18 1990-04-03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GB8811568D0 (en) * 1988-05-16 1988-06-22 Crosfield Electronics Ltd Producing half-tone images
JPH085211B2 (ja) * 1988-06-24 1996-01-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レーザ光照射装置
US4870652A (en) * 1988-07-08 1989-09-26 Xerox Corporation Monolithic high density arrays of independently addressable semiconductor laser sources
US4916530A (en) * 1988-09-02 1990-04-10 Itek Graphix Corp. High resolution halftone dot generator system including LED array
US4937682A (en) * 1988-12-28 1990-06-26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rast/intensity control in a document scanner
US5105280A (en) * 1989-01-12 1992-04-14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device which can form an image by printing a plurality of pixel unit areas which are composed of multiple sub pixels
US5075780A (en) * 1989-03-29 1991-12-24 Mita Industrial Co., Ltd. Method of reproducing gradations according to a ratio of fine pixels turned on to fine pixels turned off
US4891709A (en) * 1989-03-31 1990-01-02 Eastman Kodak Company Flexible formatting interface for pictorial data transfer
US4914455A (en) * 1989-07-31 1990-04-03 Xerox Corporation Process control for electrostatographic printers
US4985779A (en) * 1989-09-19 1991-01-15 Intergraph Corporatio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alftone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2010054A1 (en) 1992-06-11
DE69125826D1 (de) 1997-05-28
JPH05507189A (ja) 1993-10-14
WO1992010052A1 (en) 1992-06-11
JP2651493B2 (ja) 1997-09-10
DE69125826T2 (de) 1997-07-31
DK0514504T3 (da) 1997-06-23
AU8869891A (en) 1992-06-25
ATE152310T1 (de) 1997-05-15
EP0514504B1 (en) 1997-04-23
ES2103829T3 (es) 1997-10-01
AU642790B2 (en) 1993-10-28
EP0514504A1 (en) 1992-11-25
US5369497A (en) 1994-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312B1 (ko) 프링팅 방법 및 장치
US49656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lftone imaging
US5221971A (en) Area modulation printing apparatus
US5170261A (en) Printing method
WO1992010058A2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US4897734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5355303A (en) Printing apparatus
EP0342845B1 (en) Producing half-tone images
JPS5885671A (ja) 中間調画像記録方法
JPH11261831A (ja) 色信号変換用3次元ルックアップテーブルの濃度変動除去方法およびこれを行う画像出力装置
WO1992009939A1 (en) Printing method
CA2061896A1 (en) Printing method
CA2061834A1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EP06390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reening images for reproduction
CA2061925A1 (en) Printing apparatus
US6049395A (en) Method and system for achieving enhanced gray levels in a screen cell array
EP0999694A1 (en) Screening method for overlapping sub-images
JP3083490B2 (ja) コントーン画像からハーフトーン画像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JPH02153764A (ja) 像形成装置
JPH029657A (ja) 中間調画再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