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345B1 - 시뇨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시뇨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345B1
KR960013345B1 KR1019930027316A KR930027316A KR960013345B1 KR 960013345 B1 KR960013345 B1 KR 960013345B1 KR 1019930027316 A KR1019930027316 A KR 1019930027316A KR 930027316 A KR930027316 A KR 930027316A KR 960013345 B1 KR960013345 B1 KR 960013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drying
drying kiln
incinerator
kil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329A (ko
Inventor
미츠히로 키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쟈파닉쿠
기시 히로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쟈파닉쿠, 기시 히로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쟈파닉쿠
Publication of KR940018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23Incinerator clos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1Bowls combined with a reservoir, e.g. containing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for disintegr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26B11/0463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having internal elements, e.g. which are being moved or rotated by means other than the rotating drum wall
    • F26B11/046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having internal elements, e.g. which are being moved or rotated by means other than the rotating drum wall for disintegrating, crushing, or for being mixed with the materials to be dried
    • F26B11/047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having internal elements, e.g. which are being moved or rotated by means other than the rotating drum wall for disintegrating, crushing, or for being mixed with the materials to be dried the elements being loose bodies or materials, e.g. balls, which may have a sorbent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508Providing additional energy for combustion, e.g. by us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2900/50801Providing additional energy for combustion, e.g. by using supplementary heating using the heat from externally heated bodies, e.g. steel b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40Valorisation of by-products of wastewater, sewage or 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뇨건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인 시뇨건조장치를 사용한 가설변소의 처리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인 시뇨건조장치의 바깥 케이스를 떼낸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시뇨건조장치의 1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시뇨건조장치의 건조가마의 형상을 나타낸 설명도.
제5도는 제1도의 시뇨건조장치에서 사용한 탈취기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제6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아트.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뇨건조장치에 있어서의 건조가마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뇨건조장치에 있어서의 건조가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소유니트 2 : 시뇨탱크
3 : 건조장치 4 : 탈취기
5 : 소변기 6 : 대변기
7 : 호수파이프 8 : 펌프
9 : 공급파이프 11 : 지주
12 : 소각로 13 : 도입파이프
14 : 열풍로 15 : 버너
16 : 블로어 17 : 요동축
18,20 : 스프로켓 19, 23 : 모우터
21 : 체인 22 : 개폐작동부
24,25 : 기어 26 : 낙하부
27 : 회수주머니 28 : 연결파이프
29 : 배풍파이프 31,47,52 : 건조가마
32,48,53 : 도입구 33,49,54 : 통기구
34,50,55 : 교반볼 35 : 차폐판
37 : 연료파이프 39 : 셔터
40 : 작동나사 41 : 정류판
42 : 절단면 43 : 핀
44 : 암나사체 45 : 온도센서
본 발명은, 정화처리시설이 없는 옥외에서 긴급하게 가설로 시뇨의 처리를 하기 위한 시뇨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량의 시뇨를 연속해서 증발 및 건조시킬 수 있고, 또한 건조시킨 후의 시뇨의 찌꺼기인 진애를 용이하게 청소시킬 수 있는 시뇨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로부터 배설된 시뇨는, 일반 가정에 있어서는, 수세토일렛등에 의하여 하수관에 방출하던가, 정화조에 일시 저류하여 정화하고나서 하천에 방류하는 것이 통례이다.
그런데, 옥외에서 집회를 하는 경우, 예컨대, 축제, 운동회, 전시회, 집회등의 인원이 다수 몰리는 회장에서는, 종래부터 가설의 변소를 설치하는 것으로 참가자의 생리적 현상을 해소하고 있었다.
또, 화재, 지진, 태풍등에 의하여 가옥이 파괴된 경우에는, 화재지, 이재지등에 있어서는, 임시로 가설의 변소를 설치하는 것으로 전염병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에 있어서의 옥외나 정화시설이 없는 장소에서의 가설에 의한 시뇨의 처리에서는, 이동할 수 있는 가설변소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가설변소의 대부분은 시뇨를 일시 수납하는 탱크를 가진 구조의 것이며, 인체로부터 배설된 시뇨는 이 탱크에 저류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가설변소를 사용한 후에는 진공차등에 의하여 탱크에 저류된 시뇨를 회수하고, 정화시설이 있는 시뇨처리시설에 이송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회수후의 처리가 필요하게 되며, 뒤처리에 시간과 노력이 듦과 동시에, 비위생적인 것이었다.
또, 장거리를 이동하는 전자, 버스, 선박등의 교통기관에서는 배설된 시뇨를 보관하는 전용의 탱크를 비치하고 있으며, 이 탱크안에 시뇨를 수납하고, 화학약품등으로 방취처리를 한 후, 종착역이나, 중계지점에서 버큠카에 의하여 회수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이와같이, 종래의 가설변소, 혹은 이동할 수 있는 교통기관에서의 시뇨의 처리는 인체에서 배설된 채로의 상태로 저류하고, 그후 회수하는 것이 거의 전부였다.
이때문에, 저류방법, 회수방법, 처리방법의 어느 것이나 비근대적이고, 매우 비위생적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장기간 가설변소를 사용하고 있으면, 배설한 시뇨가 탱크내에 잔류하고, 악취의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또, 사용후의 처리작업은 작업원에게 혐오스럽기 때문에, 가설변소를 설치한 후의 보수유지의 근대화를 위해서도 바람직한 것은 아니었다.
이와같은 현상 때문에, 종래부터 위생적으로 시뇨를 처리하는 방법이 여러가지 생각되고 있었다.
예컨대, 시뇨와 함께 화학약품을 투입하고, 살균 및 방치를 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약품이 탱크내에서 순환하기 때문에, 장기사용을 할 수 없고, 또, 약품의 사용에 의한 경비가 높아지는 결점이 있다.
또한, 비닐등의 주머니에 시뇨를 수납하여 패킹함으로써, 냄새의 발산을 방지하는 방법도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1회의 배설에서 상당히 넓은 면적의 비닐주머니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처리비용이 높아짐과 동시에, 후일 비닐주머니로부터 시료를 분리하기 위한 처리가 번거롭고, 또한 그 처리시설이 대규모로 되는 것이었다.
또한, 배설된 시뇨를 버너등의 화력으로 직접 건조시키는 방법도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시뇨의 대부분의 성분은 수분이기 때문에, 이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시뇨의 1회 처리에 많은 시간이 걸렸다.
이 때문에, 본원의 출원인과 동일한 발명자는, 시뇨를 수납하는 용기내에 회전하는 교반날개를 설치하고, 또한 다수의 축열체를 수납시킨 시뇨건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 장치에서는, 용기를 외부로부터 가열함과 동시에, 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신속하게 시뇨를 건조시키고, 시뇨의 대부분의 성분인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원소 63년 124150호, 특원평 2년 411577호, 미합중국 특허 제4,999,930호, 5,058,213호, 5,152,074호, 5,230,164호, 5,257,466호 및 1991. 12.18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07/809,962 및 1992. 10. 8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07/985,556호 등이 그것이다.
이 새로이 제안된 시뇨건조장치를 이용하면, 배설된 시뇨는 용기내에서 가열, 증발되고, 시뇨의 대부분의 성분인 수분은 증발되어서 대기중에 발산된다.
이 경우, 액체성분이 확산되기 전에, 악취를 풍기는 성분이 촉매등으로 무취화되고 대기중으로 확산되며, 인가등이 들어서 있거나, 인원이 다수 집합하고 있는 장소이더라도, 악취를 발산시키는 일이 없고, 환경보전의 면에서도 바람직한 것이었다.
이와같이 밀폐된 용기내에서 시뇨를 증발, 교반시키는 것은 매우 위생적이고, 또한 작업이 시스템화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등에 있어서, 작업원에 부담을 주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가 제안하고 있는 시뇨처리장치에서는 밀폐한 용기(건조가마)내에 시뇨를 수납하고, 이 밀폐한 건조가마 하부를 히터등에 의하여 가열시키는 것으로 증발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밀폐한 용기내에서 시뇨를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기 때문에, 악취가 외부에 분산되지 않고, 매우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증발한 수증기중 악취의 성분은 촉매와 접촉시킴으로써 산화시키고, 무취가 된 상태로 대기중에 확산시킬 수 있다. 이것 때문에, 종래의 퍼내는 방식에 의한 가설변소와 달리, 근대적이고, 위생적인 처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와같은 용기내에 시뇨를 수납하고, 교반날개와 축열체에 의하여 시뇨를 건조시키는 기구에서는 1회에 처리할 수 있는 시뇨의 양에 제한이 있고, 대량의 시뇨를 연속해서 건조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또, 시뇨의 건조가 종료한 후에는, 시뇨를 구성하는 섬유질이나 회분등의 증발할 수 없는 성분이나, 진애가 건조가마에 잔류하게 된다. 이 진애가 건조가마에 많이 축적하면, 열의 전동이 나빠질 뿐더러 교반날개가 회전하지 않게 되는 등의 지장이 발생하기 때문에, 건조의 처리가 정상적으로 행하여지지 않게 되게 된다.
이 때문에, 건조의 처리가 종료한 후에는, 이 진애를 제거하는 청소의 처리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종래의 구성에서는, 건조가마는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청소를 위하여 송풍기등으로 압축공기를 보내고, 강제적으로 진애를 배제하고 있었다.
이 방법으로는, 미세한 진애를 배제하는 것은 용이하지만, 송풍기등의 기기를 별도로 필요로 하고, 기구가 복잡하게 되는 것이었다. 또, 크게 굳어진 진애는 압축공기로는 배제할 수 없고, 계속해서 건조가마내에 잔류하여 버리게 되고, 완전한 청소를 바랄 수 없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연속해서 시뇨를 건조, 증발시켜서 처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의 처리가 끝난 뒤에, 건조가마내에 잔류하고 있는 진애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기구가 요망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깥 주위로부터 차단된 소각로와, 소각로내에 약간 수평으로 축지지된 요동축과, 이 요동축에 고정된 건조가마와, 건조가마의 바깥둘레에 개구되어서 시뇨를 건조가마내에 주입하기 위한 도입구와, 건조가마의 내부에 수납된 복수개의 볼형상으로 한 교반볼과, 소각로의 하부에 연이어 통해져서 화염을 건조가마의 바닥면에 분사하는 버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변기로 회수된 시뇨는 일시 시뇨탱크에 저류되고, 이어서 펌프에 의하여 일정량만큼 건조가마에 이송된다.
이 건조가마는, 소각로의 내부에 요동이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고, 그 바닥면에는 버너로부터의 화염류가 접촉하여 상시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가마의 내부에 유동된 시뇨는 그 대부분의 성분이 수분이 증발한다.
이 시뇨의 건조처리에 있어서, 건조가마는 주입한 도입구로부터 시뇨가 넘쳐 흐르지 않을 정도의 각도로 요동되고,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흔들려진다.
동시에, 건조가마의 내부에 수납한 교반볼이 시뇨를 혼합하고, 시뇨의 온도상승을 도움과 동시에, 교반의 작용을 한다. 그리고, 시뇨로부터 증발한 수분은 버너의 화염류와 함께 소취기에 유입하고, 이 소취기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선회하는 제트기류에 말려 들어서 회전하다.
이 때문에, 악취의 원인이 되는 조성분은, 이 고속이고 고온의 기류에 혼합되어 있는 중에 산화되고, 무취로 되어서 외기에 발산된다.
건조가마에서의 시뇨의 건조가 완료하면, 건조가마는 일정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고, 증발할 수 없었던 회분등의 진애를 건조가마로부터 제거하는 처리를 한다.
즉, 건조가마가 회전운동을 시작하면, 내부에 수납하고 있는 교반볼이 건조가마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전동하기 때문에, 건조가마의 내부에 부착하고 있는 진애는, 이 교반볼에 의하여 박리되고, 진애는 도입구로부터 건조가마의 외부에 낙하된다.
이 때문에, 진애는 소각로의 하부에 퇴적하게 되고, 건조가마의 내부는 청소되기 때문에, 건조처리에 대기할 수 있다. 이 처리 사이클을 되풀이 하는 것으로 대량의 시뇨를 차례로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는, 복수의 변기에 의하여 대량으로 배설된 시뇨를 회수하고, 이 시뇨를 탱크로 일시 저류한 후, 일정량씩 시뇨건조장치에 의하여 건조시킬 수 있는 배지처리 사이클의 가설의 시뇨처리시스템에 응용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1실시예(제1도 내지 제6도)
이하,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시뇨처리시스템은 크게 나누어서 변소유니트(1), 시뇨탱크(2), 건조장치(3)의 세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변소유니트(1), 시뇨탱크(2), 건조장치(3)는 각각 독립한 것이고, 트럭의 적재함등에 얹어놓아서 창고등의 보관장소로부터 회장이나 재해지등에 운반하여 현지에서 조립하여서 사용할 수가 있다.
이 변소유니트(1)는, 내부에 사람이 들어갈 수 있어서, 지붕이나 벽을 가진 주위로부터 차단된 구조의 것이고, 이 변소유니트(1)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소변기(5), 대변기(6)가 수납되어 있다.
이 변소유니트(1)의 내부는 간막이판이나 도어등에 의하여 구획되어 있으며, 각 소변기(5), 대변기(6)를 사용하는 사람이 다른 사람의 시선을 받지 않도록 독립하고 있다.
이들 소변기(5), 대변기(6)의 하부에는, 회수파이프(7)가 접속되어 있고, 소변기(5), 대변기(6)를 향해서 인체로부터 배설된 시뇨는 이 회수파이프(7)에 집약되고,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회수파이프(7)의 끝단에 접속한 시뇨탱크(2)에 유동된다.
이 시뇨탱크(2)는 내부가 공동으로 밀폐된 상자형상으로 하고 있고, 회수파이프(7)로부터 도입된 시뇨를 내부에 저류하여 다음의 처리를 위하여 일시적으로 모아둘 수 있다.
그리고, 이 시뇨탱크(2)의 상부에는 전기모우터등에 의하여 구동되는 펌프(8)가 설치되어 있고, 펌프(8)의 배출쪽에는 시뇨탱크(2)의 하부로부터 흡인된 시뇨를 유동시키기 위한 공급파이프(9)가 접속되어 있고, 공급파이프(9)의 끝단은 건조장치(3)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 건조장치(3)의 배면에는 그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외기에 확산시킴과 동시에, 시뇨가 증발할 때에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시키기 위한 탈취기(4)가 연결되어 있다.
제2도는 상술한 건조장치(3)의 바깥쪽에 있는 커버를 떼내고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건조장치(3)는 바깥쪽에는 얇은 철판등의 재료로 외부에 기기가 노출하지 않도록 덮여 있고, 그 내부에는 시뇨를 연속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한 기구가 들어 있다.
먼저, 건조장치(3)의 내부의 네구석에는 4개의 지주(11)가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이들 지주(11)의 상단에는 상자형상을 한 소각로(12)가 얹어놓여 있고, 각 지주(11)에 의하여 소각로(12)는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소각로(12)의 상면 중앙에는 이 소각로(12)의 내부와 연이어 통한 도입파이프(13)가 고착되어 있고, 이 소각로(12)의 측면의 약간 하부에는 열풍구(14)가 개구하고 있다.
이 열풍구(14)에는 버너(15)의 한 끝단을 끼워 넣고 있으며, 버너(15)의 다른 끝단에는 공기를 송풍하는 블로어(16)가 연결되어 있다. 이 버너(15)의 측면에는 내부에서 연소시켜서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등유나 중유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파이프(37)가 연결되어 있다.
다음에 소각로(12)의 측면에는 요동축(17)이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있고, 이 요동축(17)은 소각로(12)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고, 요동축(17)의 끝단에는 스프로켓(18)이 고착되어 있다.
또, 소각로(12)의 측면에 위치하여 모우터(19)가 설치되어 있고, 이 모우터(19)의 회전축에는 스프로켓(20)이 고착되어 있고, 상기 스프로켓(18)가 스프로켓(20)과의 사이에는 체인(21)이 감겨져 있다.
그리고, 소각로(12)의 하부에는 그 네구석이 안쪽으로 경상하도록 죄어져 있고, 그 죄어진 호퍼형으로 된 부분낙하부(26)로 되어 있다. 이 낙하부926)의 측면에는 개폐작동부(22)가 연결되어 있고, 이 개폐작동부(22)의 상면에는 모우터(23)가 탑재되어 있고, 개폐작동부(22)의 측면에 축지지되어 있는 기어(24)와, 모우터(23)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있는 기어(25)와는 맞물려 있다.
그리고, 낙하부(26)의 하부에는 시뇨를 건조시킨 후에, 수증기로서 증발시킬 수 없었던 회분이나 섬유층등의 진애를 회수하기 위한 비닐, 종이등으로 형성한 회수주머니(27)가 떼내기가 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탈취기(4)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상을 한 것이고, 이 탈취기(4)의 하부측면에는 소각로(12)의 측면과 접촉하기 위한 연결파이프(28)가 고착되어 있고, 이 연결파이프(28)에 의하여 탈취기(4)와 소각로(12)의 내부와는 연이어 통하여져 있고, 양자 사이에서는 공기류의 유통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탈취기(4)의 상부에는 고온으로 된 열을 대기중에 확산시키기 위한 배풍파이프(29)를 개구시키고 있다.
제3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각로(12)와, 탈취기(4)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건조장치(3), 탈취기(4)가 모두 그 내부는 내열성이 있는 내화벽돌이나 그라스울등으로 둘려싸여 있고, 내열성이 높은 재료로 둘러싸임으로써 외부에 열을 전달시키지 않고, 동시에 보온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열을 확산시키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2도와 제3도에 있어서는, 요동축(17)의 위치가 다른 기기와의 관계로 수평으로 90도 편위하고 있는 것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 제3도에서는 요동축(17)과, 다른 기기를 평면상에서 설명하기 쉽도록 작도하였기 때문이다.
상기 소각로(12)의 내부는 단열재로 둘러싸인 공동으로 되어 있고, 이 내부공간의 대략 중앙에는 수평으로 요동축(17)이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 요동축(17)의 중앙에는 볼형상으로 한 건조가마(31)가 고착되어 있고, 이 건조가마(31)의 외주상부에는 내외주를 연이어 통하는 도입구(32)가 개구하고 있다.
이 건조가마(31)는 시뇨탱크(2)로부터 보내진 시뇨를 건조해서 증발시키는 것이고, 건조가마(31)의 외주의 도입구(32)부근에는, 건조가마(31)의 내외주를 연이어 통하는 복수의 통기구(33)를 개구시키고 있다.
그리고, 건조가마(31)의 내부에는 볼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직경이 도입구(32), 통기구(33)의 내경보다도 큰 교반볼(34)을 복수개 수납시키고 있다. 또, 요동축(17)보다도 상부의 위치의 소각로(12)의 내벽에는 그 선단이 건조가마(31)의 외주와 접속하지 않는 위치에까지 연장한 차폐판(35)이 고착되어 있고, 이 차폐판(35) 아래쪽으로부터의 화염류를 소각로(12)의 상부에 유입시키지 않기 위하여 방해판으로서 부착한 것이다.
또, 상술한 도입파이프(13)는, 소각로(12)의 상부 중앙에는 설치되어 있고, 이 도입파이프(13)는 그 축심이 대략 수직이 되도록 부착되어 있고, 도입파이프(13)의 하단개구는 도입구(32)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소각로(12)의 내면의 상부에는 이 소각로(12)내의 온도변화를 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4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소각로(12)의 하부의 네구석은 안쪽을 향하여 경사되고, 내부로 죄어 들어간 형상을 한 낙하부(26)로 되어 있고, 이 낙하부(26)의 하부에는 개폐작동부(22)를 연결하고 있다. 이 개폐작동부(22)의 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평판형상의 셔터(39)가 설치되어 있고, 이 셔터(39)가 이동함으로서 낙하부(26)의 하단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셔터(39)의 한 끝단에는, 그 전장에 나사를 형성한 작동나사(40)가 연결되어 있고, 이 작동나사(40)에는 암나사체(44)가 비틀어 박혀 있고, 이 암나사체(44)의 외주에는 기어(24)가 고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어(24)가 기어(25)에 의하여 이동되면, 암나사체(44)가 회전하고, 이 암나사체(44)에 의하여 작동나사(40)가 수평방향으로 전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개폐작동부(22)의 하부개구에는 주머니형상으로 된 회수주머니(27)가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개폐작동부(22)의 개구는 회수주머니(27)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다음에, 탈취기(4)는 그 내주벽에 내화벽돌이나 그라스울을 고착하고 있고, 외부로부터 단열시킨 중공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하부측면에는 내부와 통하는 연결파이프(28)가 연결되어 있고, 연결파이프(28)에 의하여 소각로(12)의 내부공간과 탈취기(4)의 내부공간이 연이어 통하고 있다.
그리고, 탈취기(4)의 상부 중앙에는 탈취기(4)와 통한 배풍파이프(29)가 접속되어 있고, 소각로(12)로부터 열풍은 탈취기(4)를 통과한 후는, 배풍파이프(29)로부터 외부에 방상되게 되어 있다.
또, 탈취기(4)의 내부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얇은 판형상으로 한 복수의 정류판(41)이 고착되어 있고, 이 정류판(41)은 예컨대, 내열성이 있는 스텐레스등의 재료로 운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4도는 상술한 건조가마(31)의 부근과, 구동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이 건조가마(31)는 예컨대, 철등의 재료로 내부가 중공인 볼형상으로 조립된 것이며, 그 중앙에는 도입파이프(13)를 관통하여 고착되어 있고, 축(17)에 의하여 건조가마(31)는 유지되어 있다.
다음에 제5도는 상술한 탈취기(4)내에 고정되어 있는 정류판(41)의 형상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각 정류판(41)은 얇은 스텐레스판이나 강판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주위로부터 그 중심방향을 향해서 복수개소에 절단면(42)이 나있고, 이 절단면(42)이 난 1변을 위편을 향해서 들어올려서 경사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정류판(41)에는 절단면(42)에 의하여 원반이 꽃잎과 같이 가공되고, 핀(43)에 의하여 경사각이 이루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독립한 가설하우스의 구조를 한 변소유니트(1)의 내부에 변의를 일으킨 사람이 들어가, 소변기(5), 대변기(6)에 대변, 소변을 배설하는 것으로 그 대변, 소변을 회수하고, 그후, 이 대변, 소변을 가열, 증발시키는 것으로 배설물을 수증기로 변화시켜서 대기중에 발산시키는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 처리를 연속해서 일관한 처리를 함으로써 변소유니트(1)를 상시 사용할 수 있고, 대량의 배설물의 처리를 할 수 있다.
먼저, 변소유니트(1)의 내부에 들어간 사람이 소변기(5) 또는 대변기(6)를 사용하여 대변, 소변을 배설하면, 그 배설된 시뇨는 소변기(5), 대변(6)에 연결된 회수파이프(7)에 의하여 모두어지고, 회수파이프(7)로부터 시뇨탱크(2)에 내부에 일시적으로 수납된다. 이 시뇨탱크(2)에 시뇨가 저류되면, 센서(도시않됨)에 의하여 그 시뇨가 있는 것이 검지되고, 시뇨의 건조처리가 시작된다.
먼저, 시뇨탱크(2)에 수납된 시뇨는 펌프(8)에 의하여 그 바닥부로부터 빨아 올려지고, 펌(8)프로부터 압송된 시뇨는 공급파이프(9)를 통과하여 건조장치(3)의 내부에 있는 소각로(12)에 이송된다. 그러면, 공급파이프(9)를 개재하여 시뇨는 도입파이프(13)를 통과하고, 도입파이프(13)의 하단과 대향한 도입구(32)에 주입되고, 이어서 건조가마(31)의 내부에 저류된다.
이 펌프(8)가 작동하기 전에는 이미 요동축(17)은 리미트 스위치등에 의하여 그 정지위치가 설정되어 있고, 시뇨의 도입시에는 도입파이프(13)와 도입구(32)의 위치는 일치되어 있다. 이 펌프(8)에 의한 시뇨의 압송에 의하여 시뇨를 건조가마(31)내에 공급하는 작동시간은 소정의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고, 공급되는 시뇨는 건조가마(31)의 내부 용적의 절반 이하로 설정하여 놓는다.
이리하여 1회분의 시뇨가 이송되는데, 이후에 이 건조가마(31)에서 보내진 시뇨의 건조처리가 모두 끝날 때까지는 펌프(8)는 작동하지 않고, 시뇨탱크(2)로부터 시뇨는 흡인되지 않는다. 이때문에, 소변기(5), 대변기(6)로 모두어진 시뇨는 시뇨탱크(2)에 차례로 저류되고, 다음에 건조처리 사이클이 시작될때까지 저류된다.
자 펌프(8)에 의한 시뇨탱크(2)로부터 시뇨의 이송의 동작과 서로 전후하고, 소각로(12)를 가열해 놓는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다. 즉, 버너(15)와 블로어(16)가 동작을 개시하고, 블로어(16)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가 버너(15)에 송풍되고, 연료파이프(37)로부터 등유나 중유가 버너(15)의 내부에 공급되고, 버너(15)내에서 연소된다. 이리하여 버너(15)내에서 연소가 시작되면, 열이 발생하고, 블로어(16)로부터의 송풍에 의하여 열풍이 되어서 버너(15)로부터 분출되고, 이 열풍은 소각로(12)의 열풍구(14)로부터 소각로(12)의 내부에 유입한다.
이 열풍은 건조가마(31)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건조가마(31)를 가열하여 내부에 저류한 시뇨를 덥히게 된다. 그리고, 버너(15)로부터 열풍은 동시에 소각로(12) 전체를 덥히고, 이어서 열풍은 소각로(12)를 통과한 후에 연결파이프(28)를 개재하여 탈취기(4)의 내부에 유입하고, 정류판(41)에 있는 절단면(42)을 통과하면서 차례로 각 정류판(41)의 단계를 상승하고, 배풍파이프(29)로부터 대기중에 확산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같이 건조가마(31)의 내부에 일정량 시뇨가 저류되었으면, 펌프(8)의 동작이 종료하여 그 종료가 확인되면, 이어서 모우터(19)의 작동을 개시하여 스프로켓(20)을 회전시킨다. 이때문에, 스프로켓(20)은 체인(21), 스프로켓(18), 요동축(17)을 구동시켜서 건조가마(31)의 요동을 시작한다.
이 건조처리의 개시에 있어서는 모우터(19)는 소정의 설정각도의 사이만을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요동축(17)과 건조가마(31)는 전회전을 하지 않고, 도입구(32)를 상단으로 하 여서 건조가마(31)는 θ로(제4도) 나타낸 범위내에서 전후로 요동한다. 즉, 건조가마(31)는 그 내부에 수납한 시뇨가 통기구(33)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진자(振子)와 같은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건조가마(31)의 내부에는 시뇨가 수납되어 있어서, 버너(15)로부터의 열풍이 건조가마(31)의 바닥면을 가열하고 있기 때문에, 건조가마(31)내의 시뇨의 온도는 상승하고, 그 대부분의 성분인 수분은 수증기가 되어서 증발하고, 그 수증기는 통기구(33)로부터 발산한다.
이 시뇨의 증발의 처리에 있어서, 건조가마(31)가 각도 θ만큼 앞뒤로 요동하고 있기 때문에, 시뇨는 건조가마(31)의 내부에서 흔들려서 시뇨 전체를 균일하게 덮힌다. 동시에, 건조가마(31)내에 수납하고 있는 교반볼(34)이 건조가마(31)의 내주면을 이동하기 때문에, 교반볼(34)이 시뇨를 교반하여 시뇨의 온도를 균일하게 함과 동시에, 교반볼(34)에 축적된 열을 시뇨에 전달해서 덮이고, 건조가마(31)내의 시뇨의 온도상승을 가속시킨다.
이와같이 하여서 버너(15)로부터 분출된 열풍에 의하여 건조가마(31)의 바닥면이 가열되고, 건조가마(31)의 내부에 저류된 시뇨의 수분은 도입구(32)와 통기구(33)의 개구로부터 소각로(12)내에 유출하고, 그 수증기는 상술한 버너(15)로부터의 열풍의 흐름에 따라서 유동하고, 연결파이프(28)를 통과하여 탈취기(4)의 내부로 이동한다.
이 건조가마(31)로부터 증발된 수증기에는 시뇨의 성분에 함유되어 있는 뇨소, 암모니아 등의 휘발성분도 함유하고 있으며, 그냥 외부로 확산시키면, 악취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이때문에, 연결파이프(28)를 통과한 시뇨의 수증기를 함유한 열풍은 탈취기(4)의 내부로 들어가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정류판(41)의 절단면(42)으로부터 차례로 상단의 방으로 상승한다.
이 수증기를 함유한 열풍이 절단면(42)으로부터 상부의 공간으로 유동할 때에, 핀(43)이 경사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핀(43)으로부터 방출된 열풍은 핀(43)의 경사각에 의하여 비스듬히 분출하고, 정류판(41)과의 사이의 공간에서는 제5도에서 S로 나타낸 것처럼 선회하면서, 소용돌이치는 것 같이 하고 상승한다.
이 탈취기(4)의 내부에서의 공기는 버너(15)로부터 분출된 화염류에 의한 열풍이기 때문에, 이 탈취기(4)의 각 정류판(41)과 (41)의 사이에서도 고온이 되어 있고, 도면중 S로 나타낸 바와같이 소용돌이를 치면서, 선회하여가는 중에, 수증기내에 함유되는 뇨소, 암모니아 등의 악취의 성분은 이 고온의 열에 의하여 산화되고, 무취의 상태가 되도록 변화한다.
이와같이 탈취기(4)에 설치한 하단의 정류판(41)으로부터 상단의 정류판(41)으로 차례로 선회하면서, 상승하여가는 중에 탈취기(4)의 최상부에 있어서는 수증기내에 함유되어 있는 악취의 요소는 태워지고, 무취의 물성분을 함유한 온풍으로 되어서 배풍파이프(29)로부터 외부로 확산된다.
이리하여 건조가마(31)의 내부에서 저류된 시뇨는 그 대부분인 수증기가 증발하고, 무취의 수증기로 변화되어서 증발하게 된다.
다음에, 소정시간 만큼, 버너(15)로부터의 열풍에 의하여 건조가마(31)가 가열되면, 건조가마(31)의 내부에 수납한 시뇨중 수분은 모두 증발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가 되면, 건조가마(31)의 온도가 상승하여 건조처리가 종료하게 되고, 온도센서(45)에 의하여 온도변화를 검출하여 건조가마(31)내에 시뇨가 모두 증발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같이 건조가마(31)에 의한 시뇨의 건조·증발의 처리가 행하여졌다고 자기판단하였으면, 이어서 건조가마(31)의 청소처리로 이행한다.
이 청소에 있어서는 지금까지와 같이 모우터(19)가 일정한 각도 범위 θ의 이내에서의 요동은 아니고, 모우터(19)는 정방향의 연속회전의 운동을 시작하고, 스프로켓(20), 체인(21), 스프로켓(18)을 개재하여 요동축(17)과 건조가마(31)를 한 방향으로 전주 회전시키게 된다.
이 건조가마(31)의 회전에서는 그 내부에 교반볼(34)를 수납한 채로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기 때문에, 교반볼(34)은 건조가마(31)의 내주면을 전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시뇨의 증발이 끝난 건조가마(31)의 내주에는, 시뇨의 성분중에서 증발할 수 없었던 섬유질등의 진애가 부착하고 있고, 교반볼(34)이 건조가마(31)의 내면을 전동하면서, 이 진애를 깎아 떨어뜨리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깎여 떨어진 진애는 건조가마(31)가 회전하고 있을때에 통기구(33)의 개구로부터 소각로(12)의 아래편을 향해서 낙하하게 된다. 또, 교반볼(34)의 외주에 부착하고 있던 진애도 마찬가지로 교반볼(34)끼리 접촉하기 때문에, 깎여 떨어져서 낙하한다.
이 건조가마(31)내에서 교반볼(34)이 전동의 동작을 할 경우, 교반볼(34)의 직경은 통기구(33), 도입구(32)의 내경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교반볼(34)은 통기구(33), 도입구(32)로부터 건조가마(31)의 외부로 낙하하는 일이 없고, 진애만이 도입구(32), 통기구(33)로부터 낙하된다.
다음에, 시뇨탱크(2)내에 시뇨가 아직 잔류하고 있는가 어떤가가 도시하지 않은 센서로 검지되고, 시뇨가 잔류하고 있으면, 상술한 것과 같이 사이클로 펌프(8)로부터 시뇨를 흡인하고, 일정량씩 소각가마(31)에 의하여 건조처리를 한다. 또, 소정의 건조처리의 사이클을 되풀이함으로써 시뇨탱크(2)에는 시뇨가 잔류하고 있지 않은 것이 검지되었으면, 이 시뇨건조장치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때문에, 버너(15), 블로어(16)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소변기(5), 대변기(6)에 의하여 시뇨가 회수되어 시뇨탱크(2)내에서 시뇨가 처리하는데 충분한 양 만큼 저류될때까지 대기의 상태가 된다.
또, 시뇨탱크(2)내의 모든 시뇨의 건조처리가 종료하였으면, 이 시뇨건조장치으 모든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 정지의 조작은, 예컨대 구동용 전원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할 수 있고, 다음 작동까지 정지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도입구(32), 통기구(33)로부터 소각로(12)의 아래편에 낙하한 회성분은, 소각로(12)의 하부에서 죄어든 낙하부(26)에서 안내되어서 셔터(39)의 상면에 차례로 퇴적된다.
이 건조가마(31)가 1회에 건조하는 시뇨의 양에서는 그다지 많은 회성분이 발생하지 않으나, 건조가마(31)를 복수회 사용하여서 시뇨를 건조시키면 셔터(39)의 상면에는 어느 정도의 양의 회성분이 축적하게 된다.
장기적인 시뇨건조장치의 연속사용에 있어서는, 적당한 시기에 이 회성분을 제거하여 시뇨의 건조사이클을 계속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이 셔터의(39) 상부에 저류한 회성분을 외부에 배출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회수의 처리에 있어서는, 모우터(23)를 구동하여, 기어(25)와 (24)를 회전시킴으로써 암나사체(44)를 회전시키고, 암나사체(44)에 비틀어 놓은 작동나사(40)를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행한다.
작동나사(40)가 이동하면, 이 작동나사(40)에 종동하여 셔터(39)가 개폐작동부(22)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낙하부(26)의 하부가 개구하고, 낙하부(26)와, 회수주머니(27)와 연이어 통하게 된다. 이때문에, 셔터(39)의 상면에 모여 있던 회성분은 회수주머니(27)에 낙하하고, 이 회수주머니(27)로 회성분이 회수된다.
소정시간만큼 셔터(39)가 이동하여 낙하부(26)의 하부를 개구시켰으면, 다음에 모우터(23)를 역전시키고, 상술과는 반대로 암나사체(44)에 의하여 작동나사(40)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셔터(39)에 의하여 낙하부(26)의 하부개구가 폐쇄되고, 다음의 건조처리의 사이클을 위하여 대기하게 된다.
이 셔터(39)의 개폐동작에 의한 회성분의 회수를 소정회수만큼 하면, 회수주머니(27)의 내부에는 시뇨로부터 건조되지 않았던 회성분이 수납되게 된다.
이 회수주머니(27)가 꽉 차면, 회수주머니(27)의 상부를 개폐작동부(22)의 하부로부터 떼어놓고, 회수주머니(27)의 개구를 끈 등으로 동여맴으로써 팩으로서 회수할 수 있다.
이와같은 일련의 건조처리, 탈취처리, 회성분의 청소, 회성분의 회수의 사이클을 차례로 함으로써, 시뇨탱크(2)에 저류되어 있던 시뇨를 연속해서 건조시킬 수 있다.
이리하여, 시뇨건조장치에 의하여 소정회수의 사이클을 행하면, 시뇨탱크(2)의 내부에 있는 시뇨가 모두 건조되어 버리면, 시뇨탱크(2)가 빈것을 감지하고, 펌프(8)의 동작 및 건조장치의 모든 동작을 정지하고 다음에 시뇨가 회수되기까지 대기한다.
이 일련의 처리사이클의 흐름은 제6도의 플로차트에 나타낸다.
제2실시예(제7도)
다음에, 제7도는 상기 건조가마(47)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건조가마(47)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상을 하고 있으며, 이 건조가마(47)가 요동축에 고착되어 있다. 이 건조가마(47)의 양쪽은 평행인 원반이고, 중앙의 둘레면은 통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내부는 중공으로 되어 있어서, 양쪽의 원반의 중앙에 요동축(17)이 관통 고착되어 있다.
이 건조가마(47)의 중앙에는, 그 건조가마(47)의 내외주를 연이어 통하도록 도입구(48)가 개구하고 있고, 이 건조가마(47)의 외주이고 도입구(48)의 주위에는 복수개의 통기구(49)가 관통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이 건조가마(47)의 내부공간에는 볼형상을 한 세라믹, 금속등의 재료로 형성된 교반볼(50)이 복수개 봉입되어 있다. 이 교반볼(50)의 외경은 상기 도입구(48), 통기구(49)의 개구의 내경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술의 건조가마(31)와, 마찬가지로 도입구(48)로부터 시뇨를 건조가마(47)내에 주입하고, 시뇨를 주입한 건조가마(47)의 하면에 화염류를 접촉시키는 것으로 건조가마(47)를 가열시키고, 내부의시뇨를 증발건조시킨다.
이 가열에 의한 건조시에는, 요동축(17)을 회전시킴으로써, 건조가마(47)를 각도 θ만큼 요동시키고, 건조가마(47)내의 시뇨를 교반시킨다. 이때문에, 건조가마(47)내의 시뇨는 교반볼(50)과 함께 요동하여 전체의 온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상승되고, 그 대부분의 성분인 수분은 수증기로 되어서 증발된다.
그리고, 건조가마(47)로부터 증발된 수증기는 도입구(48), 통기구(49)로부터 유출하고, 시뇨를 차례로 건조시킨다. 소정시간만큼 건조가마(47)를 가열함으로써 시뇨의 수분이 증발하였으면, 건조가마(47)를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교반볼(50)에 의하여 건조가마(47)의 내벽에 부착한 회성분등을 박리시켜서 청소를 한다.
분말이 된 회성분은 도입구(48), 통기구(49)의 개구로부터 아래편으로 낙하되고, 건조가마(47)내는 다음의 증발처리의 사이클 때문에 청소된다. 이리하여, 이 건조가마(47)에 의하여 시뇨의 증발과 회성분의 청소처리를 할 수 있다.
제3실시예(제8도)
또, 제8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건조가마(5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건조가마(52)는 양쪽이 원반형상이고, 각 원반에는 대략 원추대형상을 부재가 연결시키고 있고, 양 원추대의 지름이 큰 부분을 연결시킨 형상을 하고 있다. 이때문에, 건조가마(52)의 외형은 측면에서 보아서 중앙이 최대 지름이 되고, 양쪽을 향하여 바깥지름이 작아진 주판알형상을 하고 있다.
이 건조가마(52)의 외주의 중앙에는 건조가마(52)의 내외주를 연이어 통하는 도입구(53)가 형성되어 있고, 건조가마(52)의 외주이고 도입구(53)의 주위에는 건조가마(52)의 내외주를 연이어 통하는 복수개의 통기구(54)가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건조가마(52)의 내부에는 세라믹, 금속등으로 형성한 볼형상의 교반볼(55)이 복수개 봉입되어 있다. 이 교반볼(55)의 바깥지름은 도입구(53), 통기구(54)의 개구의 안지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구조의 건조가마(52)에서도, 상술과 마찬가지로 도입구(53)로부터 시뇨를 건조가마(52)의 내부에 주입하고, 건조가마(52)를 가열하는 것으로 시뇨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 건조처리에 있어서, 요동축(17)에 의하여 건조가마(52)를 각도 θ만큼 요동시키고, 교반볼(55)에 의하여 시뇨를 교반시켜서 그 온도를 균일하게 함과 동시에 증발을 촉진시킨다. 시뇨에서 증발한 수증기는 도입구(53), 통기구(54)로부터 외부로 유입한다.
그리고, 일정시간 건조처리가 종료하여 시뇨가 건조되었으면, 요동축(17)을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교반볼(55)을 건조가마(52)의 내부에서 전동시킴으로써 건조가마(52)의 내벽에 고착한 시뇨의 회성분등을 박리시켜서 청소처리를 한다.
이 청소처리에 의하여 분말형상이 된 회성분은, 도입구(53), 통기구(54)의 개구로부터 아래편으로 낙하된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간이한 구성이면서, 건조가마에 수납한 시뇨를 증발시키는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 건조가마의 가열에서는 고온의 화염류로 가열하기 때문에 건조가마의 온도상승이 빨라지고, 증발이 신속하게 된다.
또, 건조가마의 내부에는 교반볼이 수납되어 있고, 시뇨를 증발시킬 때에는 이 교반볼이 시뇨를 교반하여 온도상승을 돕고, 시뇨의 건조가 끝났으면 이 교반볼이 건조가마에 부착하고 있는 찌꺼기나 회성분을 박리시킬 수 있고, 청소처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가마에 위한 시뇨의 건조처리시에 발생하는 악취성분은, 고온의 열풍과 함께 탈취기를 선회함으로써 산화되어서 무취상태로 되어 확산되므로, 인가에 가까운 장소에서 사용하여도 악취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이와같이, 건조가마에 의하여 시뇨의 건조, 청소사이클을 되풀이할 수 있으므로, 대량의 시뇨를 연속해서 처리할 수 있고, 많은 인원이 한번에 사용하는 가설변소에서의 처리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구성부분의 재배치를 포함하여 많은 변경 또는 변화가 가능함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Claims (19)

  1. 바깥 주위로부터 차단된 소각로와; 상기 소각로상에 약간 수평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요동축과; 상기 요동축에 고정되고 소각로내에 마련된 내부중공의 건조가마와; 상기 건조가마의 외주벽에 개구되어서 시뇨를 상기 건조가마내로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와; 상기 건조가마의 내부에 수납된 복수개의 볼형상을 한 교반볼과; 상기 소각로의 하부에 연이어 통해져서 화염을 상기 건조가마의 바닥면으로 분사하는 버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건조가마의 외주벽을 통하여, 도입구의 부근에 건조가마의 내외주를 연이어 통하게 하는 복수개의 통기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이 시뇨의 건조처리시에는 도입구가 위편을 향하도록 유지하면서 상기 요동축을 소정각도 내에서 요동운동을 시키고, 시뇨의 건조가 종료한 후의 청소처리시에는 일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소각로의 상부에는, 건조가마의 도입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시뇨를 건조가마로 도입하기 위한 도입파이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가마는 내부가 중공인 볼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가마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가마는 내부가 중공인 대략 원통형상이며, 그의 지름은 중앙부에서 가장 크고 그의 좌우측은 작아지며, 좌우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8. 바깥 주위로부터 차단된 소각로와; 상기 소각로상에 약간 수평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요동축과; 상기 요동축에 고정되고 소각로내에 마련된 내부중공의 건조가마와; 상기 건조가마의 외주벽에 개구되어서 시뇨를 상기 건조가마내로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와; 상기 건조가마의 내부에 수납된 복수개의 볼 형상을 한 교반볼과; 상시 소각로의 하부에 연이어 통해져서 화염을 상기 건조가마의 바닥면으로 분사하는 버너 및; 상기 소각로에 연이어 통하고 있어서 소각로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냄새를 없애는 작용을 하는 탈취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기는, 상기 소각로의 측면이고 버너와 대향하는 위치에 연이어 통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기는 내부가 중공이며 상하방향으로 그 축심을 위치시키고, 내부가 중공이고, 그 내부 벽면에는 미리 정해진 수직 간격마다 기류를 선회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정류판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11. 제8항에서 있어서, 상기 건조가마는 내부가 중공인 볼형상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가마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가마는 내부가 중공인 대략 원통형상이며, 그의 지름은 중앙부에서 가장 크고 그의 좌우측은 작아지며, 좌우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14. 바깥 주위로부터 차단된 소각로와; 상기 소각로상에 약간 수평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요동축과; 상기 요동축에 고정되고 소각로내에 마련된 내부중공의 건조가마와; 상기 건조가마의 외주벽에 개구되어서 시뇨를 상기 건조가마내로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와; 상기 건조가마의 내부에 수납된 복수개의 볼형상을 한 교반볼과; 상기 소각로의 하부에 연이어 통해져서 화염을 상기 건조가마의 바닥면으로 분사하는 버너 및; 상기 소각로의 하부에 설치되어서 소각로의 내외의 연이어 통합을 개폐시키는 셔터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기구의 하부에는, 상기 건조가마에 의한 시뇨의 건조에 의하여 잔류한 회성분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주머니를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가마는 내부가 중공인 볼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가마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가마는 내부가 중공인 대략 원통형상이며, 그의 지름은 중앙부에서 가장 크고 그의 좌우측은 작아지며, 좌우측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에 연이어 통하고 있어서 소각로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냄새를 없애는 작용을 하는 탈취기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뇨건조장치.
KR1019930027316A 1993-01-28 1993-12-11 시뇨건조장치 KR960013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1170 1993-01-28
JP3117093A JPH06218358A (ja) 1993-01-28 1993-01-28 屎尿乾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329A KR940018329A (ko) 1994-08-16
KR960013345B1 true KR960013345B1 (ko) 1996-10-04

Family

ID=1232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316A KR960013345B1 (ko) 1993-01-28 1993-12-11 시뇨건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57880A (ko)
EP (1) EP0609614B1 (ko)
JP (1) JPH06218358A (ko)
KR (1) KR960013345B1 (ko)
CA (1) CA2109783A1 (ko)
DE (1) DE6930359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7209A1 (de) * 1992-09-11 1994-03-17 Heidelberger Druckmasch Ag Reinigungs- und Entsorgungssystem innerhalb einer Produktionsmaschine
US5447630A (en) * 1993-04-28 1995-09-05 Rummler; John M. Materials 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US5492621A (en) * 1994-03-23 1996-02-20 Curtis; Robert L. Sewage water and solids treatment and disposal system
JPH09234457A (ja) * 1996-02-29 1997-09-09 Takeshi Kishimoto パルス燃焼乾燥による無排水式屎尿処理方法
SE507418C2 (sv) * 1996-07-12 1998-05-25 Sirius Technology As Eltoalett med sfäriskt förbränningsrum
US5853579A (en) * 1996-11-26 1998-12-29 Wastech International Inc. Treatment system
JP2002355187A (ja) * 2001-05-30 2002-12-10 Suzuki Shoji:Kk 焼却トイレ
FR2860860B1 (fr) * 2003-10-10 2006-02-10 Etienne Sennesael Procede et dispositif d'oxydation thermique des boues organiques
ITPD20050265A1 (it) * 2005-09-15 2007-03-16 Silvano Rossato Metodo e apparato per il trattamento di reflui particolarmente di origine biologica e domestica
WO2008030378A1 (en) * 2006-09-07 2008-03-13 Sifers Don 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ecal odors
NO336686B1 (no) * 2012-09-06 2015-10-19 Sirius Technology As Forbrenningstoalett
CN111569518B (zh) * 2020-05-15 2022-04-15 营口德瑞化工有限公司 一种液氨过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4527C (ko) *
US2592783A (en) * 1946-04-17 1952-04-15 Aspegren Olof Erik August Rotary heat exchanger
US3683425A (en) * 1970-10-07 1972-08-15 Leroy Patterson Combustion toilet
US3775041A (en) * 1972-05-10 1973-11-27 H Buttner Recirculating ball heat transfer system for drying and heating materials
US3903813A (en) * 1974-05-28 1975-09-09 Colt Ind Operating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ncinerating sludge
US4999930A (en) * 1988-05-21 1991-03-19 Kabushiki Kaisha Hikoma Seisakusho Raw sewage drying apparatus
AU627056B2 (en) * 1989-09-28 1992-08-13 Nikken Corporation Raw sewage drying apparatus
CA2054418A1 (en) * 1990-12-19 1992-06-20 Mitsuhiro Kishi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JPH084781B2 (ja) * 1991-07-03 1996-01-24 株式会社ジャパニック 屎尿処理装置
US5156098A (en) * 1992-01-06 1992-10-20 William W. Bailey Two chamber burner apparatus for destroying waste liquids
US5265544A (en) * 1992-08-12 1993-11-30 Claude Bigelow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incineration in an excrement disposal system
AU2984892A (en) * 1992-12-02 1994-06-16 Japanic Corporation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329A (ko) 1994-08-16
JPH06218358A (ja) 1994-08-09
CA2109783A1 (en) 1994-07-29
DE69303592T2 (de) 1996-12-12
EP0609614B1 (en) 1996-07-10
EP0609614A1 (en) 1994-08-10
DE69303592D1 (de) 1996-08-14
US5357880A (en) 1994-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871B1 (ko) 시뇨 건조 장치(屎尿乾燥裝置)
US4546502A (en) Evaporative waste disposal system
KR960013345B1 (ko) 시뇨건조장치
KR960004768B1 (ko) 시뇨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EP0600132A1 (en)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JP2784378B2 (ja) 屎尿処理装置
JP2004073824A (ja) 焼却式便所
US5832623A (en) Dirt drying processing equipment
US3911506A (en) Incinerating commode
JP2511344B2 (ja) 屎尿処理装置
JPH0787913B2 (ja) 焼却炉を兼ねた殺菌温水器
JPH0775702B2 (ja) 屎尿乾燥装置
JP2997398B2 (ja) トイレ装置
JPH07108254A (ja) 小便蒸発器
JPH0459090A (ja) 屎尿乾燥装置の清掃機構
JP3433368B2 (ja) 屎尿処理装置
JPH084570B2 (ja) 小便乾燥機の清掃機構
KR950009312B1 (ko) 오물처리장치
JP2866239B2 (ja) 汚物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H10148315A (ja) 有機汚泥の乾燥装置を兼ねた焼却炉
JPS63148018A (ja) 厨芥処理装置
JPH055494B2 (ko)
JPH0632806B2 (ja) 屎尿乾燥装置
JPH1015534A (ja) 屎尿処理装置の加熱機構
JPH06261840A (ja) 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