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312B1 - 오물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물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312B1
KR950009312B1 KR1019920024651A KR920024651A KR950009312B1 KR 950009312 B1 KR950009312 B1 KR 950009312B1 KR 1019920024651 A KR1019920024651 A KR 1019920024651A KR 920024651 A KR920024651 A KR 920024651A KR 950009312 B1 KR950009312 B1 KR 950009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trol circuit
container
air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204A (ko
Inventor
미츠히로 키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쟈파닉쿠
미츠히로 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쟈파닉쿠, 미츠히로 키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쟈파닉쿠
Priority to KR1019920024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312B1/ko
Publication of KR940014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02F11/13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using electromagnetic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23Incinerator clos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 F26B3/205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the materials to be dried covering or being mixed with heated inert particles which may be recyc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F26B9/08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mechanically agitating or recirculating the material being dr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70Combustion with application of specific energy
    • F23G2202/701Electrical f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4/00Supplementary heating arrangements
    • F23G2204/20Supplementary 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energy
    • F23G2204/203Microw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물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장치를 사용한 간이 화장실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오물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오물처리장치의 각 구성부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배관계통도.
제4도는, 건조용기 및 변기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제5도는, 제1도의 오물처리장치의 배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오물처리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7도 내지 제10도는, 제1도의 오물처리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도.
제11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장치의 각 구성부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배관계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간이화장실 2 : 베이스
3 : 하우스 4 : 도어
5 : 오물처리장치 6 : 변기
7 : 덮개 8 : 덮개
10 : 건조용기 11 : 도입파이프
12 : 셔터 13 : 모우터
14 : 기어상자 15 : 촉매상자
17 : 가열파이프 18 : 송풍기
19 : 배기파이프 20, 22 : 개폐밸브
21 : 도입파이프 23 : 청소파이프
24 : 집진기 25 : 복귀파이프
26 : 배출파이프 27 : 이젝터(Ejector)
28 : 개폐밸브 29 : 덮개판
30 : 송풍기 31 : 송풍파이프
32 : 가압파이프 33 : 급기파이프
34 : 개폐밸브 35 : 드로틀파이프
38 : 회전축 39 : 교반날개
40 : 축열체 41 : 온도센서
43 : 모우터 44, 46 : 팬
45 : 모우터 47 : 히이터
48 : 수집대 49 : 필터
50 : 촉매 52 : 셔터판 또는 밸브
55 : 온도판별회로 56 : 중앙연산회로(CPU)
58 : 건조지시회로 59 : 전원스위치
60 : 셔터제어회로 61 : 모우터제어회로
62 : 밸브제어회로 63 : 히이터 제어회로
66 : 연소로 68 : 연소실
69 : 촉매실 70 : 촉매
71 : 버너파이프 72 : 연료공급파이프
73 : 연료펌프 75 : 연료
76, 79 : 개폐밸브 77 : 도입파이프
78 : 방출구 80 : 청소파이프
81 : 집진상자 82 : 수집대
83 : 복귀파이프 84 : 배출구
본 발명은 오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옥외, 선박, 전철, 등과 같은 교통수단 및 터널등과 같이 오물수집용 탱크트럭(이하 "진공트럭"이라 칭함)이 들어갈 수 없는 곳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오물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과 같은 곳에서 오물을 증발 및 건조함으로써 형성되는 오물 찌꺼기와 먼지를 안정하게 수집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서 배출된 오물은 수세식 화장실등에 의하여 하수관으로 배출되고, 정화조에 일시적인 저장후 정화되어, 하천으로 방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경기, 축제, 운동회, 전시회, 집회등과 같은 곳에서는 간이화장실 편의시설이 인간의 오물처리를 위하여 마련되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동가능한 간이화장실은 오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대부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간이화장실은 탱크내에 저장된 오물이 회수용 진공트럭내에 흡인되어야만 하고, 이는 수고 및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장거리를 이동하는 버스, 기차, 선박등과 같은 교통기관은 오물을 저장 및 보유하는 전용의 탱크가 마련된다. 탱크내의 오물은 진공트럭에 의하여 수집된 후 화학적으로 방취처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간이화장실 또는 이동가능한 교통 편의시설은 인체로부터 배출된 상태로 먼저 저장된 후 회수된다. 따라서, 저장방법, 회수방법, 처리방법의 모든 것은 비근대적이고, 비위생적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시도로서, 몇 가지의 위생적인 처리방법이 제안되었다.
예를들어, 하나의 방법은 오물이 담긴 오물탱크내에 화학약품을 투입하여 악취를 방지하고 오물의 위생처리를 행한다. 그러나, 이 방법 화학약품이 희석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경비가 높아진다.
다른 방법은, 악취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팩등에 소변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커다란 크기의 비닐백이 요구되고 처리경비가 높게되며 백으로부터 오물을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방법은, 버너등의 화력을 사용하여 오물을 직접건조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오물의 대부분의 성분은 액체이므로 많은 열에너지가 액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요구되고 오물처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이 걸린다.
오물 처리를 위한 이러한 종래 방법의 단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등은 교반날개와 축열체가 마련된 용기를 가지고, 오물을 교반날개의 회전에 의하여 교반하고 축열체에 의하여 발생된 열로 가열하여 오물이 단시간내에 건조되는 오물처리장치를 제안하였다.
이는 일본 공개특허 공보 소 63-124150호, 동 63-172852호, 동 63-190857호, 동 63-292789호 및 미국 특허출원 제315,028호로서 현재는 미국특허 제4,999,930에 대응하는 특원소 63-198858과, 1990년 11월 5일자의 분할출원 제609,378호에 공개되어 있다.
제안된 처리방법에 의하면, 오물은 케이싱내에서 가열 및 증발되고, 오물의 액체성분은 증발되고 대기중으로 확산된다. 액체 성분이 증발되기 전에 악취를 일으키는 성분은 촉매에 의하여 분해되므로 수증기는 무취상태로 대기에 방출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번잡한 빌딩 및 사람이 다수집합된 장소 주위에 사용되는 경우 환경위생 및 보존의 관점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관련된 미합중국출원은 1990년 8월 29일에 출원된 출원번호 575, 910호와, 11월 18일에 출원된 784,595호 및 1991년 12월 18일에 출원된 809,962호이다.
밀봉탱크내에 수납된 오물을 증발시키고 건조시키는 것은 매우 위생적인 것이며 그와 같은 행위는 체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작업자에게 힘든 일을 유발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자에 의하여 제안된 오물처리장치에 따르면, 그의 내부에 오물을 수용하고 있는 밀봉용기(건조용기)는 히이터등에 의하여 그의 하부가 가열되고, 따라서 오물의 액체성분이 증발된다. 오물의 액체성분이 증발되고 오물이 건조되기 때문에, 악취가 장치의 외부로 확산되지 않고, 오물의 위생적인 처리에 공헌하게 된다. 증발된 액체성분에의 악취성분은 촉매와 접촉됨으로써 산화되고 따라서 증발된 액체성분은 무취의 상태로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임시변소와는 전혀 다른 위생적 처리구조를 제공하는 것임이 명백하다.
그러나, 배출되는 오물의 내에는 증발될 수 없는 섬유질, 회분등의 수 퍼센트가 남아 있게 된다. 만약 오물의 액체성분이 증발되고 오물이 밀봉 용기 내에서 건조되며, 섬유질 및 회분등은 용기내에 남아서 축적된다. 따라서, 종래의 오물처리장치에는 먼지를 수집하기 위한 청소작업 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청소작업기구는 오물의 액체성분을 건조하고 용기내의 오물을 건조시키며 청소작업을 하여 용기의 내부를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한다. 만약 오물이 청소되지 않으면, 먼지와 찌꺼기가 용기내에 축적되고, 오물의 건조작업을 방해하게 된다.
오물의 액체성분 증발 및 건조작업을 위한 용기의 청소작업에 있어서는, 압축공기가 용기의 일부로부터 분사되며 따라서 액체성분의 증발에 의하여 형성된 잔여물에 의한 찌꺼기가 불어날려져서 용기의 외부로 공기와 함께 배출된다. 배출된 찌꺼기는 싸이클론 집진기를 사용하여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싸이클론 집진기 내에서, 배출된 공기는 고속의 와류로 선회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무거운 찌꺼기는 떨어지는 공기와 함께 선회되고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싸이클론 집진기에 의하여 분리된 먼지는 집진상자에 수집되고 공기만 촉매와 접촉하여 오물처리장치의 외부로 방출된다. 비록 싸이클론 집진기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지만, 공기와 와류의 형태로 선회되어야 하므로, 제조비가 비싸다. 공기가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먼지는 분리될 수 있으나, 미세한 먼지는 공기로부터 항상 분리되는 것은 아니며 오물처리장치의 외부로 확산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는 기구를 개발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어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물처리장치는, 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의 내부에 오물을 수납하는 내열용기와, 용기를 가열하도록 용기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용기내의 오물의 액체성분을 증발시키고 건조시키는 가열수단과, 용기내의 오물을 교반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교반날개를 가지는 교반수단과, 용기내에 수납된 다수개의 구형상축열체와, 용기의 측면과 통하는 도입파이프와, 도입파이프의 상부끝단과 접속된 변기와, 용기상에 착설되며 오물을 교반하는 회전축을 가지는 기어상자와, 그의 내부에 히이터를 가지며 그의 한쪽 개방끝단에 제1공기공급수단과 연이어 통하고 그의 다른쪽 개방끝단에는 촉매상자를 가지는 가열파이프와, 용기내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와 연통하는 제2공기공급수단과, 촉매를 수납하고 있으며 그의 내부를 여과하고 이젝터 및 배기 파이프의 수단에 의하여 제2공기공급수단과 연통하는 촉매상자와, 그의 한쪽 개방끝단에는 가열파이프의 측면과 연통하고 그의 상부 개방끝단에서 2개의 파이프로 분기되는 공기 도입파이프와, 용기내의 오물의 액체성분의 증발에 의하여 형성되는 증기를 방출하기 위하여 그의 한쪽 개방끝단에서 용기와 연통하며 제1개폐밸브의 수단에 의하여 그의 측면에서 공기도입파이프의 한쪽 분기 파이프와 연통하는 방출파이프와, 제2개폐밸브의 수단에 의하여 방출파이프의 다른쪽 끝단과 연통하는 청소파이프와, 청소파이프에 접속된 집진기 및, 그의 한쪽 개방끝단에서 집진기와 연이어 통하며 제3개폐밸브의 수단에 의하여 공기도입파이프의 다른 분기된 파이프와 연통하는 복귀파이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기에서 배출된 오물이 셔터기구를 통과하고 도입 파이프내로 떨어지며 용기(예를들면 건조용기)내에 수납된다. 건조용기는 그의 외부로부터 히이터등에 의하여 가열되므로, 오물의 주성분인 액체성분이 수증기로 기화된다. 수증기는 방출파이프를 경유하여 촉매 상자로 흘러간다. 가열파이프로부터 촉매상자로 항상 뜨거운 공기가 공급되므로 촉매상자내의 촉매는 항상 가열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만약 액체성분의 증발에 의하여 형성된 수증기가 촉매상자내로 흘러들어가고 촉매와 접촉하면, 수증기내에 포함된 악취성분이 산화 및 감소되고 무취상태로 된다. 따라서, 악취가 오물처리장치의 외부로 확산되지 않는다.
건조작업이 소정시간동안 수행된 후, 방출파이프내의 개폐밸브는 폐쇄되고 동시에 집진기내의 폐쇄밸브는 개방되어 건조용기는 집진상자와 연통하게 된다. 그후, 압축공기가 건조용기로 분사되고 액체성분이 증발된 후 먼지가 불어올려지며 계속하여 먼지가 방출파이프로부터의 공기와 함께 먼지수집상자내로 들어가도록 허용된다. 직물 또는 종이로 만들어진 수집대가 먼지수집상자내에 수납되어 있어, 잔여물이 이 수집대에 의하여 포획되고 순수한 공기만이 오물처리장치의 외부로 확산된다. 수집대는 미세한 먼지까지도 포획할 수 있다. 만약 수집대내에 소정량의 먼지가 수납되면, 그의 내부에 먼지를 담고 있는 수집대는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싸이클론 집진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오물처리장치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미세한 먼지까지도 포획 가능하므로 환경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안된 오물처리장치 및 종래의 오물처리장치내의 개선요구에 합당한 오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장치는, 그의 내부에 오물을 수납하는 내열용기와, 용기를 가열하고 오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가열수단과, 용기내의 오물을 교반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교반날개를 가지는 교반수단과, 용기내에 수납된 다수개의 구형상 축열체와, 용기의 측면과 통하는 도입파이프와, 도입파이프의 상부끝단과 접속된 변기로 구성되며, 용기는 가열수단에 의하여 가열됨으로써 오물의 액체성분이 증발 및 제거되는 오물처리장치로서, 용기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파이프와, 증발된 액체성분을 방출하도록 용기와 연통하는 방출파이프와, 개폐밸브를 통하여 방출파이프와 접속된 촉매상자와, 폐쇄밸브를 통하여 방출파이프에 접속된 먼지수집상자 및 공기로부터 먼지를 수집하기 위한 먼지수집상자내에 수납된 수집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장치를, 제1도에서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기술된 오물처리장치는 트럭등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오물처리장치가 결합된 이동식 또는 간이 화장실이 개시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간이화장실 (1)은 플라스틱 또는 강화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상자형상을 하고 있다. 화장실(1)은 바닥에 지지될 수 있는 베이스를 가지며, 그에 고정되는 지붕달린 하우스(3)를 가진다. 도어(4)는 하우스(3)의 앞쪽에 부착된다. 간이화장실(1)은 그의 내부에 베이스(2)의 상부에 고정되는 오물처리장치(5)를 가진다. 변기(6)는 오물을 수납하기 위하여 처리장치(5)의 상부에 고정된다. 베이스(2)는, 그의 내부에 모우터를 수납하기 위하여 그의 오른쪽에 고정되는 덮개(7)과, 그의 내부에 촉매를 수납하기 위하여 그의 왼쪽에 고정된 덮개(8)를 가진다. 오물처리장치는 자동적으로 작동가능한 유니트로서 조립되며 통상 건조기구, 송풍기구, 수집기구 및 청소기구로 구성된다.
제2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물처리장치(5)는, 그의 오른쪽 가장 안쪽부분에 고정되는 원통형 건조용기(10) 및 건조용기(10)의 중앙부에 접속되는 도입파이프(11)를 가지며, 파이프는 그의 상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경사져서 상승하고 있다. 도입파이프(11)의 상부는 변기(6)의 하부개구로 연장된다. 셔터밸브(12)는 변기(6)와 도입파이프(11)의 상부끝단 사이에 놓여진다. 기어상자(14)는 건조용기(10)상에 착설되며, 건조용기(10)내에 수납된 오물을 교반하는 회전축(38)을 가진다. 모우터(13)는 기어상자(14)의 측면에 접속되며, 이는 모우터(13)의 회전효과를 감소시키고 기어상자(14)내의 기어에 의한 회전효과의 방향을 전환한다. 기어상자(14) 및 모우터(13)는 그의 상부에서 덮개(7)에 의하여 덮여있다. 사각형 촉매상자(15)는 오물처리장치(5)의 가장 안쪽 왼쪽에 수직으로 마련된다. 대략 L자형인 배출파이프(26)는 그의 개방끝단이 촉매상자(15)의 상부에 접속되고 이젝터(27)의 중앙면에 그의 끝단이 접속된다.
긴 원통형 가열파이프(17)는 오물처리장치(5)의 가장 안쪽 부분에 마련되며 촉매상자(15)의 하부면과 그의 끝단에서 연통한다. 가열파이프(17)는 촉매상자(15)로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고 그에 의하여 촉매상자(15)내의 촉매를 가열한다. 송풍기(18)는 가열파이프(17)의 다른쪽 끝단에 있는 개구와 접속된다. 원형 덮개판(29)은 건조용기(10)의 윗면과 접촉하여 건조용기(10)를 폐쇄한다. 배기파이프(19)는 폐쇄밸브(20)의 수단에 의하여 공기도입파이프(21)의 상부 끝단에 접속된다. 공기 도입파이프(21)는 그의 하부 끝단에서 가열파이프(17)의 측면과 연통한다. 청소파이프(23)는 개폐밸브(22)를 경유하여 배기파이프(19)의 끝단과 접속되며, 집진기(24)의 상부와 그의 끝단이 연통한다.
복귀파이프(25)는 집진기(24)의 하부측면과 연통하며, 또한 개폐밸브(28)를 경유하여 공기도입파이프(21)의 측면과도 연이어 통한다.
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는 송풍기(30)가 오물처리장치(5)의 전면에 마련된다. 송풍기(30)에 접속된 송풍파이프(31)는 가압파이프(32) 및 급기파이프(33)를 형성하도록 왼쪽 및 오른쪽으로 갈라진다. 가압파이프(32)는 이젝터(27)에 항상 공기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그의 앞끝단이 이젝터(27)의 하부 개구에 접속된다. 급기파이프(33)는 그의 끝단에서 덮개판(29)과 접속되며, 개폐밸브(34)를 경유하여 건조용기(10)의 내부와 연통한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드로틀파이프(35)는 급기파이프(33)에 접속되며, 우회파이프를 형성하도록 개폐밸브(34)를 건너뛰게 된다.
제3도는 건조용기(10), 촉매상자(15), 집진기(24), 변기(6)등의 사이의 배관계통을 나타낸다.
변기(6)는 도입파이프(11)이 개방끝단에 접속된 셔터(12)에 접속된다. 도입파이프(11)는 건조용기(10)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그의 끝단에서 건조용기(10)의 중앙측면에 접속된다.
배출된 오물을 가열하고 그의 액체성분을 증발시키는 건조용기(10)는 원통형이고 속이 비었으며 그의 하부끝단에 바닥벽을 가진다. 히이터(16)는 그의 둘레하부와 건조용기(10)의 바닥을 둘러싸고 있다. 원형 덮개판(29)은 건조용기(10)의 상부개구와 접촉되며 그에 의하여 건조용기(10)내의 폐쇄영역 또는 구역을 한정한다. 기어상자(14)는 덮개판(29)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회전축(38)은 기어상자(14)의 바닥면으로부터 그의 바닥부를 향하여 건조용기내로 연장되며 하부끝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개의 교반날개(39)를 가진다. 건조용기(1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구형 축열체(40)가 담겨있어서, 교반날개(39)의 회전에 의하여 움직이게 된다. 축열체(40)는 바람직하게는 Al2O3와 같은 금속으로 된 고성능 축열재료로 형성된다. 건조용기(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41)는 건조용기(10)의 측면과 접촉한다.
배기파이프(19)는 개폐밸브(20) 및 (22)가 각각 접속되는 2개의 파이프부로 갈라진다. 공기도입파이프(21)는 개폐밸브(20)와 연통되며 가열파이프(17)의 측면과 그의 하부끝단이 마찬가지로 연통한다. 청소파이프(23)는 개폐밸브(22)에 접속되며 그의 끝단에서 집진기(24)의 내부로 연장된다. 집진기(24)는 그의 내부에 예를들면 직물 또는 거친 종이로 형성되고 가방처럼 생긴 수집대(48)를 가진다. 수집대(48)는 청소파이프(23)의 반대쪽에서 집진기(24)와 접속되며 수집대(48)의 바깥둘레와 연통한다. 복귀파이프(25)는 개폐밸브(28)를 경유하여 의하여 공기 도입파이프(21)와 연통한다. 모우터(43)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44)은 송풍기(30)의 내부에 수납된다. 송풍기(30)에 의하여 가압된 공기는 송풍파이프(31)로 공급된다. 송풍파이프(31)는 가압파이프(32) 및 급기파이프(33)로 분기되며, 가압파이프(32)는 이젝터(27)의 하부끝단에 접속된다. 송풍기(30)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이젝터(27)를 통과할 때, 기류에 의하여 부압이 이젝터(27)내에 형성된다. 급기파이프(33)는 그의 끝단에서 개폐밸브(34)의 수단을 통하여 덮개판(29)에 접속되며 건조용기(10)의 내부 공간과 통하게 된다. 드로틀파이프(35)는 급기파이프(33)의 중간에 마련되어 있어서 개폐밸브(34)를 우회하게 되며, 개폐밸브(34)가 폐쇄되어 있어도 산화에 필요한 공기는 급기파이프(33) 수단에 의하여 건조용기(10) 및 드로틀파이프(35)로 공급된다. 송풍기(18)의 내부에는, 모우터(45)에 의하여 구동되며 그의 출력측에서 가열파이프(17)에 접속되는 팬(46)이 수납된다.
히이터(47)는 가열파이프(17)내에 수납되며 송풍기(18)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히이터(47)에 의하여 가열된다. 가열파이프(17)는 그의 끝단에서 촉매상자(15)의 하부측면과 연통한다. 촉매상자(15)는 그의 내부에서, 하부에는 필터(49)와 상부에는 촉매(50)를 수납하고 있다.
따라서, 히이터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는 필터(49)를 통과하고 촉매(50)를 가열하며, 계속하여 이젝터(27)내에 생성되는 부압에 의하여 빨아들여져서 오물처리장치의 외부로 최종적으로 확산된다.
제4도는 변기(6), 건조용기(10), 덮개판(29) 등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폐쇄가능한 셔터판 또는 밸브(52)는 셔터(12)의 내부에 지지된다. 셔터판(52)의 수평운동은 도입파이프(11)와 변기(6)의 연통을 허용 또는 방지한다.
제5도는 오물처리장치(5)의 구성부분을 접속하는 배관계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오물처리장치(5)의 구성은 제2도에서 왼쪽 상부에서 본 것이다.
제6도는 오물처리장치(5)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온도센서(41)의 출력은 마이크로컴퓨터등으로 구성되는 중앙연산회로(CPU)(56)로 그의 출력이 접속되는 온도판별회로(55)에 접속된다. 변기(6)의 사용완료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지시스위치(57)의 출력은 건조지시회로(58)에 접속되며, 그의 출력은 CPU(56)에도 접속된다. CPU(56)은 전원스위치(59)에도 접속되는데, 전원스위치는 오물처리장치(55)의 모든 구성요소와 CPU(56)를 시동하며, 변기(6)의 사용완료를 지시한다.
제어출력, 즉 CPU(56)에 의하여 발생된 지시신호는 셔터제어회로(60), 모우터 제오회로(61), 밸브제어회로(62) 및 히이터 제어회로(63)에 공급된다. 셔터제어회로(60), 모우터제어회로(61), 밸브제어회로(62) 및 히이터제어회로(63)는 CPU(56)로부터의 지시신호의 수신에 의하여 개별적 및 독립적으로 작동됨으로써, 이들 회로에 각각 접속된 각 기구를 제어한다. 셔터(12)는 셔터제어회로(60)의 출력에 접속되며 모우터(13), (43) 및 (45)는 각각 모우터제어회로(61)에 접속된다. 개폐밸브(20), (22), (28) 및 (34)는 독립적으로 밸브제어회로(62)에 접속되며 히이터(16) 및 (47)는 히이터제어회로(63)에 접속된다.
제1실시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오물처리장치(5)에 의하여 오물을 처리하기에 앞서, 오물처리장치는 대기상태에 있어야만 한다.
제일 먼저, 전원스위치(59)가 턴온되고 오물처리장치(5)에 의한 처리작업을 시작하도록 CPU(56)가 지시신호를 발생한다. 지시신호는 모우터제어회로(61), 밸브제어신호(62) 및 히이터제어회로(63)로 인가된다.
히이터제어회로(63)는 가열파이프(17)의 내부를 가열하도록 히이터(47)에 전원을 가한다. 동시에, 모우터제어회로(61)는 모우터(43) 및 (45)를 구동하며, 이에 의하여 모우터(43)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44)에 의하여 가압된 공기가 송풍파이프(31) 및 가압파이프(32)를 거쳐 이젝터(27)로 공급된다. 공기가 팬(44)로부터 이젝터(27)로 공급될때, 이젝터(27)의 내부에서는 부압이 발생되고 따라서 촉매상자(15)내의 공기는 그에 의하여 빨아들여진다. 모우터(45)가 구동될때, 팬(46)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의하여 신선한 공기를 빨아들이게 되며 신선한 공기를 히이터(47)로 공급한다. 히이터(47)로 공급된 공기가 히이터(47)와 접촉할때, 공기가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 즉 뜨거운 공기는 가열파이프(17)를 통하여 촉매상자(15)의 내부로 공급된다. 따라서 히이터(47)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는 항상 촉매(50)를 가열한다. 따라서, 촉매(50)는 항상 소정온도로 가열되며 산화 및 감소를 수행하기 위한 온도로 유지된다.
신선한 공기가 순환하게 되는 공기의 경로는 2개가 있게 되는데, 즉, 제1공기경로는 송풍기(30), 송풍파이프(31), 가압파이프(32) 및 이젝터(27)을 거치며, 제2공기경로는 송풍기(18), 가열파이프(17), 촉매상자(15) 및 이젝터(27)를 거쳐서 신선한 공기가 순환한다. 이와 같은 2개의 경로는 항상 준비상태로 정의된다.
오물처리장치(5)가 준비상태에 있으면, 간이화장실(1)이 사용될 수 있다. 간이화장실(1)을 사용할때, 사용자는 도어(4)를 열고 하우스(3)내로 들어가서 변기(6)로 오물을 방출하게 된다. 변기(6)를 사용한 후 사용자가 지시스위치(57)를 누르면, 처리작업이 시작된다. 먼저, 지시스위치(57)가 눌려지면, 신호가 발생된다. 신호는 건조지시회로(58)로 인가되고 계속하여 CPU(56)로 인가된다. CPU(56)는 셔터제어회로(60)에 셔터(12)를 열도록 지시한다. 셔터제어회로(60)로부터의 지시신호를 받으면 셔터판(52)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변기(6)로 도입파이프(11)와 연통되도록 하며 이에 의하여 셔터(12)의 상부에 축적된 오물이 도입파이프(11)내로 떨어지게 되고 건조용기(10)의 내부로 들어간다.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셔터제어회로(60)는 셔터(12)가 셔터판(52)를 닫도록 지시한다. 셔터(12)는 오물의 액체성분이 증발되고 오물이 건조될때 발생되는 악취가 변기(6)의 개구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변기(6)와 도입파이프(11)의 사이에 놓이게 된다.
셔터제어회로(60)가 작동됨과 동시에, CPU(56)는 모우터제어회로(61)가 모우터(13)를 작동하도록 지시한다. 모우터(13)가 작동될때, 모우터(13)의 회전효과는 기어상자(14)로 전달되며 그에 의하여 회전효과가 감소되고 그의 방향이 기어상자(14)내의 기어에 의하여 전환되어 회전축(38)이 그의 수직축 주위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38)이 회전하면, 교반날개(39) 및 축열체(40)가 건조용기(10)의 바닥부내에서 회전한다.
동시에, CPU(56)로부터의 지시신호를 받아 밸브제어회로(62)는 개폐밸브(20)를 열고, 개폐밸브(22), (28) 및 (35)를 닫는다. 이들 밸브의 개폐와 함께, 송풍기(30), 송풍파이프(31), 급기파이프(33) 및 드로틀파이프(35) 내를 신선한 공기가 순환하게 되는 공기의 경로가 형성되며, 적정량의 공기가 건조용기(10)내로 유입된다. 배기파이프(19), 개폐밸브(20), 공기도입파이프(21), 가열파이프(17) 및 촉매상자(15)의 내부를 공기가 순환하는 공기의 경로도 형성된다. 더욱이, 송풍기(30), 송풍파이프(31), 가압파이프(32) 및 이젝터(27)의 내를 항상 신선한 공기가 순환하는 제1공기경로가 마련되며, 부압이 이젝터(27)내에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는 송풍기(30), 송풍파이프(31), 급기파이프(33) 및 드로틀파이프(35)로부터 공급된 신선한 공기가 지나는 공기경로를 통과한 후 건조용기(10)내로 도입된다. 또한, 건조용기(10)내의 공기가 배기파이프(19), 개폐밸브(20) 및 공기도입파이프(21)를 경유하여 가열파이프(17)내로 흘러들어 가게되는 공기의 경로도 형성된다. 오물이 가열될 때 공기와 접촉됨으로써 오물의 산화를 용이하게 하도록 드로틀파이프(35)를 통하여 소량의 공기가 건조용기(10)로 공급된다.
상술한 작용과 동시에, CPU(56)는 히이터제어회로(63)로 신호를 공급하여 히이터(16)에 전원을 가함으로써 건조용기(10)가 그의 바닥에서 가열된다. 따라서, 건조용기(10)의 바닥은 히이터(16)에 의하여 가열되고 건조용기(10)내의 오물의 온도는 비등점까지 도달하며 이에 의하여 오물의 액체성분은 증발된다.
히이터(16)에 의한 건조용기(10)의 가열시에, 회전축(38)은 기어박스(14)에 의하여 회전되면 따라서 교반날개(39)은 건조용기(10)의 바닥부에서 회전한다. 축열체(40)는 건조용기(10)의 바닥부에서 교반날개(39)에 의하여 회전되면 오물이 교반된다. 계속하여, 오물이 함께 혼합되어 일정온도로 가열되며 축열체(40)에 축적된 열은 축열체(40)의 표면으로부터 오물주위로 전달된다. 축열체(40)는 구형이므로, 그의 표면은 넓은 영역을 가지며, 오물의 건조속도가 촉진되고 따라서 오물의 액체성분이 점차 증발된다.
건조용기(10)내의 액체성분의 증발에 의하여 생성된 증기는 배기파이프(19)와 개폐밸브(20)를 통과하고 공기도입파이프(21) 및 가열파이프(17)로 흘러간다. 수증기가 가열파이프(17)로 흘러갈 때, 히이터(47)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혼합되고, 따라서 흘러가는 도중에 낮아진 수증기의 온도가 히이터(47)로부터의 뜨거운 공기에 의하여 재가열 또는 증가되고 촉매상자(15)로 공급된다. 촉매상자(15)의 필터(49)를 통과한 공기는 촉매(50)의 표면과 접촉하고 공기내의 악취 성분은 촉매(50)에 의하여 산화 및 감소되며, 무취상태로 된다.
그후에 촉매상자(15)내의 공기는 이젝터(27)에 의하여 빨아들여지고 오물처리장치(5)의 외부로 확산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공기경로의 순서대로, 공기가 오물처리장치내를 순환하고, 건조용기(10)내의 증발된 액체성분은 탈취처리되고 대기로 확산된다.
이하에서 건조용기(10)의 청소 및 공기로부터의 먼지의 분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건조용기(10)내에 담겨진 오물의 액체성분은 히이터에 의한 건조용기(10)의 가열과 교반날개(39) 및 축열체(40)에 의한 오물의 교반에 의하여 증발된다. 건조작업이 완료된 후, 증발되지 않는 섬유질등과 같은 오물의 성분은 찌꺼기로서 건조용기(10)내에 증발되지 않은채 남아있게 된다. 그와 같은 찌꺼기가 건조용기(10)내에 남아있으면, 찌꺼기는 건조용기(10)의 내벽에 달라붙게 되며, 오물의 건조를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각 건조작업이 끝날 때마다 건조용기(10)내에 남아있는 찌꺼기 또는 먼지를 제거하여 건조용기(10)를 깨끗하게 할 필요가 있다. 청소작업에 있어서는, 공기경로내의 촉매상자(15)에 달라붙거나 대기로 확산되지 않도록 찌꺼기 또는 먼지만이 공기에서 분리되고 수집되어야 한다. 건조용기(10)의 청소 및 공기로부터의 먼지의 분리는 건조용기내의 모든 오물이 건조되었다고 판단될때 연속적이면서 자동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건조작업이 완료되면, 오물은 건조용기(10)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건조용기(10)의 온도는 히이터(16)가 건조용기(10)를 계속 가열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측면에서 증가된다. 건조용기(10)의 온도 변화는 온도센서(41)에 의하여 탐지된다. 온도센서(41)는 온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고 신호를 온도판별회로(55)로 공급한다.
온도판별회로(55)는 그 결과를 CPU(56)로 전송한다. CPU(56)는 온도 판별회로(55)로부터의 결과를 받고 건조용기(10)내의 모든 액체성분이 증발되었다고 판단하고, 청소작업을 시작한다.
먼저, CPU(56)는 히이터제어회로(63)에 지시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히이터제어회로(63)는 히이터(16)의 전원을 제거하며, 건조용기(10)의 가열을 중단한다. 두번째로, CPU는 밸브제어회로(62)로 지시신호를 발생하고 밸브제어회로(62)는 개폐밸브(22), (28) 및 (34)를 개방하고 동시에 개폐밸브(20)를 담는다. 송풍기(30)로부터 공급된 가압공기는 송풍파이프(31), 급기파이프(33) 및 개폐밸브(34)를 통과하고 건조용기(10)의 내부로 향하여 분사된다. 건조용기, 배기파이프(19), 개폐밸브(28), 공기도입파이프(21) 및 가열파이프(17)의 순서로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가 형성된다. 개폐밸브(34)가 개방되면, 가압공기는 건조용기(10)의 내부를 향하여 분사되므로 건조용기(10)내의 찌꺼기 및 먼지가 불어올려진다. 불어올려진 찌꺼기, 먼지 및 공기는 배기파이프(19), 개폐밸브(20), 청소파이프(23)를 통과하고 수집대(48)의 내부로 들어간다. 공기는 수집대(48)를 통과하지만, 먼지는 수집대(48)의 표면에 의하여 포획된다. 결과적으로 먼지는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먼지만이 수집대(48)에 의하여 수집되는 반면, 정화된 공기는 복귀파이프(25), 개폐밸브(28), 공기도입파이프(21)를 통과하고 가열파이프(17)로 들어간다. 송풍기(18)로부터의 공기가 가열파이프(17)내를 순환하므로, 송풍기(18)로부터의 공기와 함께 정화된 공기가 촉매상자(15)를 통과하여 청소파이프로 들어가고 이젝터(27)에 의하여 빨아들여지며 대기중으로 확산된다. 공기가 개폐밸브(34)의 개방에 의하여 분사되는 동안에 모우터는 계속하여 회전하므로 회전축(38), 교반날개(39) 및 축열체(40)는 각각 건조용기(10)의 내부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축열체(40)는 건조용기(10)의 바닥부에서 회전하고 건조용기(10)의 바닥 및 내벽에 고정된 찌꺼기를 때리고 제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용기(10)내의 찌꺼기는 급기파이프(33)의 끝단으로부터의 공기의 분사 및 축열체(40)의 회전에 의한 찌꺼기의 제어에 의하여 완전히 제거된다.
건조용기(10)내의 찌꺼기 및 먼지가 급기파이프(33)의 끝단으로부터의 가압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제거된후, 간이화장실(1)은 다음 사용자를 위하여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소정시간 동안의 청소작업의 완료후에, 처음으로, CPU(56)는 모우터제어회로(61) 및 밸브제어회로(62)로 지시신호롤 인가하고 모우터(13)가 정지하며 교반날개(39)가 회전을 멈춘다. 개폐밸브(20)가 열리는 동시에 개폐밸브(22), (28) 및 (34)가 폐쇄된다. 따라서, 공기 경로가 변화된다. 즉, 송풍기(30)로부터의 공기는 송풍파이프(31)로 흘러들고, 소량의 공기가 드로틀되는 드로틀파이프(35)와 급기파이프(33)를 통과하여 건조용기(10)로 들어간다.
건조용기(10)내의 공기는 배기파이프(19), 개폐밸브(20) 및 공기도입파이프(21)를 통하여 가열파이프(17)로 전달된다. 송풍기(18)내의 모우터(45)는 항상 작동되고 있고 가열파이프(17)의 히이터는 항상 전원을 받고 있으므로, 송풍기(18)로부터의 공기는 히이터(47)와 접촉하고 가열되며, 이에 의하여 뜨거운 공기가 촉매상자(15)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촉매상자(15)내의 촉매의 온도는 항상 촉매가 기능하도록, 즉, 산화 및 감소를 수행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온도를 유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의 경로를 형성하고 촉매를 유지함으로써, 오물처리장치(5)는 다음의 증발 및 건조작업을 위한 대기상태로 유지된다.
오물처리장치(5)는 대기, 건조, 증발 및 청소작업의 한 주기를 반복한다. 이와 같은 주기들의 반복으로써, 오물의 액체성분의 증발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는 확산되고 건조용기내의 찌꺼기가 자동적으로 청소된다. 따라서, 밀폐된 건조용기(10)가 장기간 사용되더라도, 찌꺼기 및 먼지는 건조용기(10) 내부에 남아있지 않게 되고, 오물처리장치(5)는 장기간 사용가능하다. 찌꺼기 및 먼지를 수집하기 위한 싸이클론 집진기는 필요없게 된다. 또한, 먼지는 수집대에 의하여 공기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채택된 집진기의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고 먼지의 작은 입자는 수집대에 의하여 포획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오염이 없게된다. 수집된 먼지는 수집대와 함께 처리될 수 있으므로, 먼지는 매우 위생적으로 처리된다.
제7, 8, 9 및 10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장치(5)의 작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아트이다.
[제2실시예(제11도)]
제2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장치를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의 내부가 비어 있는 연소로 (66)는 건조용기(10)의 아래에 마련되어 있다. 연소로(66)의 하부면은 건조용기(10)의 하부면과 접촉한다. 연소로(66)는 그의 후방에서 사다리꼴(제11도에 있어서 오른쪽)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으며 그의 내부에 고정되고 수직으로 상승되는 분리판(67)을 가진다. 연소로(66)의 내부는 연소실(68) 및 촉매실(69)과 분리되어 있다. 촉매실(69)은 촉매(70)로 충만되어 있으며 그의 하부측에서 배출파이프(65)와 연통한다. 배출파이프(65)의 끝단은 이젝터(27)의 부압측과 접속된다. 배기파이프(19)는 덮개판(29)과 접속되며 건조용기(10)의 내부와 연통한다. 배기파이프(19)는 개폐밸브(76)를 통하여 공기도입파이프(77)로 접속된 하나의 분기된 파이프와, 개폐밸브(79)를 통하여 청소파이프(80)에 접속된 다른 분기파이프의 2개로 분기된다. 공기도입파이프를 (77)의 끝단은 연소실(68)의 하부에서 개방된 방출구(78)에 접촉된다. 청소파이프(80)의 끝단은 집진상자(81)의 내부로 연장된다. 집진상자(81)는 그의 내부에 거친 종이 또는 직물로 형성되는 수집대(82)를 수납하고 있다. 청소파이프(80)의 끝단은 수집대(82)의 개구에 부착된다. 집진상자(81)의 측면은 복귀파이프(83)의 끝단과 연통한다. 복귀파이프(83)의 다른 끝단은 연소로(66)의 측면과 연소실(68)의 한쪽(제11도에서 왼쪽)으로 구획되는 배출구(84)에 접속된다. 버너파이프(71)는 연소실(68)(제11도의 왼쪽)의 측면과 접속 및 연통된다. 송풍기(18)는 버너파이프(71)의 끝단과 접속된다. 버너파이프는 공기와 연료를 혼합함으로써 화염을 발생한다. 연료공급파이프(72)는 버너파이프(71)에 접속되며 그의 중간에 소정량의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펌프(73)를 가진다. 연료공급파이프(72)의 상부끝단은 그의 내부에 연료(75)를 저장하기 위한 오일탱크(74)에 접속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오물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건조용기(10)내에 담긴 오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개폐밸브(34) 및 (79)가 폐쇄되고 개폐밸브(76)는 개방되며, 계속하여 모우터(13), (43) 및 (45)가 구동된다. 가압공기가 송풍기(18) 및 (30)로부터 모우터(43) 및 (45)의 구동에 의하여 공급된다. 소량의 공기가 송풍기(30)로부터 급기파이프(33) 및 드로틀파이프(35)를 경유하여 건조용기(10)로 공급된다. 동시에, 공기가 송풍기(30)로부터 가압파이프(32)를 거쳐 이젝터(27)로 공급되므로 강한 부압이 이젝터(27)내에 형성되며 공기를 배출파이프(65)를 거쳐 촉매실(69)의 내부로 빨아들인다.
송풍기(18)로부터의 공기는 버너파이프(71)를 거쳐 연속실(68)로 들어가며 연소실(68)을 통과하여 촉매실(69)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3개의 공기의 경로가 형성되는데, 제1경로는 송풍기(18), 버너파이프(71), 연소실(69), 촉매실(69), 배출파이프(65) 및 이젝터(27)를 공기가 순환하는 경로와, 제2경로는 송풍기(30), 송풍파이프(31), 급기파이프(33), 드로틀파이프(35), 건조용기(10), 배기파이프(19), 개폐밸브(76), 공기도입파이프(77) 및 배출구(78)를 공기가 순환하는 경로와, 제3경로는 송풍기(30), 송풍파이프(31), 가압파이프(32) 및 이젝터(27)를 공기가 순환하는 경로이다.
공기가 3개의 경로를 순환하는 상태에서, 연료펌프(73)가 구동되며 연료는 연료파이프(72)의 끝단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분사되며, 분사된 연료는 버너파이프(71) 내에서 송풍기(18)로부터의 공기와 혼합되고 화염을 발생하게 된다. 공기와 연료의 혼합물은 연소실(68)내에서 완전히 연소된다. 따라서, 화염에 의하여 열이 발생되며 건조용기(10)의 바닥으로 전달되어 건조용기(10)를 가열하게 된다. 건조용기(10)가 가열될때, 그의 내부에 담겨있는 오물이 비등하게 되고 따라서 오물의 액체성분이 증발되어 수증기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생된 수증기는 공기와 함께 배기파이프(19), 개폐밸브(76) 및 공기도입파이프(77)로 흘러들어가고 배출구(78)를 경유하여 연소실(68)로 배출된다.
따라서, 액체성분의 증발에 의하여 형성된 수증기와 악취성분은 재가열되고 계속하여 촉매실(69)로 들어가며 촉매(70)와 접촉하게 된다. 증발된 악취성분의 촉매(70)와 접촉할때, 악취성분은 촉매(70)에 의하여 산화 및 감소되며 무취상태로 되어 배출파이프(65)로 들어간다. 촉매실(69)내의 공기는 이젝터의 부압에 의하여 빨아들여지므로, 버너파이프(71)에 의하여 생성된 공기와 연료의 연소된 혼합물과 건조용기(10)내의 수증기 및 여러가지 성분들은 각각 대기중으로 확산된다.
건조용기(10)내에 담긴 오물이, 주어진 시간동안 연료파이프(72)의 끝단으로부터 연료를 분사하고 연소실(68)내에서 공기와 연료의 혼합물을 연소시킴으로써 완전히 증발될때, 건조용기(10)의 온도의 변화는 온도센서(41)에 의하여 탐지된다. 청소작업은 온도센서가 온도변화를 탐지한 후 시작된다. 청소작업을 개시하기 위하여, 개폐밸브(34), (79)는 개방되고 개폐밸브(76)는 폐쇄되며, 이는 송풍기(30)로부터의 공기가 송풍파이프(31)와, 급기파이프(33) 및 개폐밸브(34)를 통하도록 하고, 그후에 건조용기(10)의 내부로 강하게 분사되도록 한다. 따라서, 건조용기(10)내의 찌꺼기 및 먼지는 배기파이프(19), 개폐밸브(79) 및 청소파이프(80)를 통하여 불려올려지고 통과되며, 그후에 이들이 집진상자(81)내에 마련된 수집대(82)내로 공급된다. 찌꺼기 및 먼지는 수집대(82)에 달라붙어 공기와 분리되고 따라서 정화된 공기만이 복귀파이프(83)로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정화된 공기는 복귀파이프(83)로부터 배출구(84)로 흘러들어가며 배출구(84)로부터 연소실(68)내로 분사된다. 계속하여 정화된 공기는 촉매실(69) 및 배출파이프(65)를 통과하며 이젝터(27)에 의하여 빨아들여지며 최종적으로 대기로 확산된다. 청소작업이 소정시간 동안 수행된 후, CPU(56)는 건조용기(10)의 내부가 청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모우터(13)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그에 의하여 회전축(38), 교반날개(39) 및 축열체(40)가 회전을 정지한다. 동시에, 연료펌프(73)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의 양이 감소되고 연소실(68)의 온도가 낮아진다. 개폐밸브(34) 및 (79)는 폐쇄되고 개폐밸브(76)는 개방되어 다음 건조 및 증발작업을 위하여 대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물처리장치는 간이화장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오물처리장치의 작업은 위생적이며 운용이 매우 단순하다. 밀폐된 용기내의 오물의 액체성분은 악취가 확산되지 않도록 증발되며 건조용기에 남아있는 찌꺼기 및 먼지는 건조작업이 완료후 제거된다. 찌꺼기 및 먼지가 수집대에 의하여 공기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싸이클론 집진기가 채용되지 않기 때문에 집진기구가 단순화된다. 더욱이, 수집대에 포획된 먼지는 수집대와 같이 처리되므로, 보수유지와 같은 처리작업이 간편해진다.

Claims (17)

  1. 그의 내부에 오물을 수납하는 내열용기와; 용기를 가열하여 용기내의 오물의 액체성분을 증발시키고 오물을 건조시키는 가열수단과; 용기내의 오물을 교반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교반날개를 가지는 교반수단과; 용기내에 수납된 다수개의 구형상 축열체와; 용기의 측면과 연통하는 도입파이프와; 도입파이프의 상부끝단과 접속된 변기와; 용기에 착설되며 교반수단을 회전하는 회전축을 가지는 기어상자와; 그의 내부에 히이터를 가지며 그의 한쪽 개방끝단은 제1급기수단과 연이어 통하고 그의 다른쪽 개방끝단에는 촉매상자를 가지며, 상기 제1급기수단은 모우터 및 그 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을 가지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가열파이프와; 용기내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용기와 연통하는 제2급기수단과; 상기 촉매상자는 그의 내부에 촉매를 수납하고 있으며 이젝터 및 배기파이프를 통하여 제2급기수단과 연통하며, 상기 촉매는 가열파이프내의 히이터에 의하여 가열되며; 그의 한쪽 개방끝단에서 가열파이프의 측면과 연통하고 그의 상부 개방끝단에서 2개의 파이프로 분기되는 공기 도입파이프와; 용기내의 오물의 액체성분의 증발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증기를 방출하기 위하여 그의 한쪽 개방끝단에서 용기와 연통하며 제1개폐밸브를 경유하여 공기도입파이프의 한쪽 분기 파이프와 연통하는 방출파이프와; 제2개폐밸브를 경유하여 방출파이프의 다른쪽 끝단과 연통하는 청소파이프와; 청소파이프에 접속된 집진기; 및 그의 한쪽 개방끝단에서 집진기와 연이어 통하며 제3개폐밸브를 경유하여 공기도입파이프의 다른 분기된 파이프와 연통하는 복귀파이프로 구성되는 오물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급기수단은 모우터 및 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을 가지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송풍기는 급기파이프 및 가압파이프로 분기되는 송풍파이프의 한쪽 개방끝단과 연통하며, 급기파이프는 개방밸브를 경유하여 용기와 연통하고 가압파이프는 이젝터를 경유하여 촉매상자와 연통하며, 이젝터는 촉매상자로부터 수증기 및 먼지를 빨아들이는 부압을 생성하는 오물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집진기는 그의 내부에 공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고 먼지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대를 수납하는 오물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수집대는 직물 또는 거친 종이로 형성되는 오물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급기파이프에 접속되며 우회파이프를 형성하도록 개폐밸브주위를 통과하는 드로틀파이프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드로틀파이프는 급기파이프보다 직경이 작은 오물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용기의 온도변화를 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더욱 포함하는 오물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오물처리장치의 운용을 위한 제어시스템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어시스템은 온도센서에 접속된 온도판별회로와, 변기의 사용완료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지시스위치의 출력에 접속된 건조지시회로와, 오물처리장치의 작동을 개시하는 전원스위치와, 온도판별회로, 건조지시회로 및 전원스위치의 출력에 접속된 CPU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며, CPU는 셔터제어회로, 모우터제어회로, 밸브제어회로 및 히이터제어회로로 인가되는 지시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오물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셔터제어회로, 모우터제어회로, 밸브제어회로 및 히이터제어회로는 개별적으로 또한 독립적으로 CPU로부터의 지시신호를 받아서, 셔터제어회로의 출력에 접속된 셔터와, 각각 모우터제어회로에 접속된 제1, 제2 및 제3모우터와, 독립적으로 밸브제어회로에 접속된 제1, 제2, 제3 및 제4개폐밸브와, 히이터제어회로에 접속된 제1및 제2히이터를 제어하도록 작동되는 오물처리장치.
  9. 그의 내부에 오물을 수납하는 내열용기와; 용기를 가열하도록 용기의 하부면과 접촉하며 용기내의 오물의 액체성분을 증발시키고 오물을 건조시키며, 연소실 및 촉매실로 나뉘어지는 연소로와; 버너파이프 및 연료공급파이프를 경유하여 연소로에 접속되며; 모우터와 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을 포함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제1급기수단과; 용기내의 오물을 교반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교반날개를 가지는 교반수단과; 용기내에 수납된 다수개의 구형상 축열체와; 용기의 측면과 연통하는 도입파이프와; 도입파이프의 상부끝단과 접속된 변기와; 용기에 착설되며 교반수단을 회전하는 회전축을 가지는 기어상자와; 용기내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용기와 연통하는 제2급기수단과; 촉매실은 그의 내부에 촉매를 수납하고 있으며 이젝터 및 배기파이프를 통하여 제2급기수단과 연통하며, 상기 촉매는 연소실로부터의 열에 의하여 가열되며; 용기내의 오물의 액체성분의 증발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증기를 방출하기 위하여 그의 한쪽 개방끝단에서 용기와 연통하며 2개의 파이프로 분기되는 방출파이프와; 그의 한쪽 개방끝단에서 연소로와 연통하며 제1개폐밸브를 경유하여 방출파이프의 한쪽 분기파이프와 연통하는 공기 도입파이프와; 제2개폐밸브를 경유하여 방출파이프의 다른쪽 분기파이프와 연통하는 청소파이프와; 청소파이프에 접속된 집진기; 및 그의 한쪽 개방끝단에서 집진기와 연통하며 연소로의 측면에 마련된 배출구와 연통하는 복귀파이프로 구성되는 오물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연소로는 속이 비어 있으며 그의 뒷부분에서 사다리꼴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상승하며, 수직으로 상승하고 연소실 및 촉매실을 분리하도록 그의 내부에 고정되는 분리판을 가지는 오물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제2급기수단은 모우터 및 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팬을 가지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송풍기는 급기파이프 및 가압파이프로 분기되는 송풍파이프의 한쪽 개방끝단과 연통하며, 급기파이프는 개폐밸브를 경유하여 용기와 연통하고 가압파이프는 이젝터를 경유하여 촉매상자와 연통하며, 이젝터는 촉매상자로부터 수증기 및 먼지를 빨아들이는 부압을 생성하는 오물처리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집진기는 그의 내부에 공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고 먼지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대를 수납하는 오물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수집대는 직물 또는 거친 종이로 형성되는 오물처리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급기파이프에 접속되며 우회파이프를 형성하도록 개폐밸브주위를 통과하는 드로틀파이프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드로틀파이프는 급기파이프보다 직경이 작은 오물처리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용기의 온도변화를 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를 더욱 포함하는 오물처리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오물처리장치의 운용을 위한 제어시스템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어시스템은 온도센서에 접속된 온도판별회로와, 변기의 사용완료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지시스위치의 출력에 접속된 건조지시회로와, 오물처리장치의 작동을 개시하는 전원스위치와, 온도판별회로, 건조지시회로 및 전원스위치의 출력에 접속되며, 셔터제어회로, 모우터제어회로, 밸브제어회로 및 히이터제어회로로 인가되는 지시신호를 발생하는 CPU로 구성되는 오물처리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셔터제어회로, 모우터제어회로, 밸브제어회로 및 히이터제어회로는 개별적으로 또한 독립적으로 CPU로부터의 지시신호는 받아서, 셔터제어회로의 출력에 접속된 셔터와, 각각 모우터제어회로에 접속된 제1, 제2 및 제3모우터와, 독립적으로 밸브제어회로에 접속된 제1, 제2, 제3 및 제4개폐밸브와, 히이터제어회로에 접속된 제1 및 제2히이터를 제어하도록 작동되는 오물처리장치.
KR1019920024651A 1992-12-17 1992-12-17 오물처리장치 KR950009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651A KR950009312B1 (ko) 1992-12-17 1992-12-17 오물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651A KR950009312B1 (ko) 1992-12-17 1992-12-17 오물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204A KR940014204A (ko) 1994-07-18
KR950009312B1 true KR950009312B1 (ko) 1995-08-19

Family

ID=1934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651A KR950009312B1 (ko) 1992-12-17 1992-12-17 오물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419B1 (ko) * 2004-12-20 2006-07-20 고창우 오존을 이용한 오물 정화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419B1 (ko) * 2004-12-20 2006-07-20 고창우 오존을 이용한 오물 정화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204A (ko) 1994-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91461B1 (en)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US5058213A (en) Raw sewage drying apparatus
EP0600132B1 (en)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KR950000466B1 (ko) 오물처리장치
JP2009536702A (ja) 吹き込み臭気捕捉式水蒸気・水回収システムを有する脱水トイレット
KR960013345B1 (ko) 시뇨건조장치
KR950009312B1 (ko) 오물처리장치
JPH0741235B2 (ja) し尿処理装置ならびにこれを有する自動車および船舶
US5832623A (en) Dirt drying processing equipment
JP2511344B2 (ja) 屎尿処理装置
EP0622498B1 (en) Raw sewage disposal apparatus
JP2510101B2 (ja) 屎尿処理装置
KR960008092B1 (ko) 시뇨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JP3433368B2 (ja) 屎尿処理装置
JPH10156337A (ja) 屎尿処理装置の消泡機構
JPH07115008B2 (ja) 屎尿乾燥装置の清掃機構
JPH084570B2 (ja) 小便乾燥機の清掃機構
JP2000014595A (ja) 消臭装置
JPH11192187A (ja) 屎尿処理装置の触媒清掃機構
JPH07328601A (ja) 屎尿処理装置
JPH1114030A (ja) 屎尿の乾燥処理機構
JPH04222684A (ja) 屎尿処理装置
JPH1015534A (ja) 屎尿処理装置の加熱機構
JPH06304547A (ja) 屎尿処理装置
JPH0780440A (ja) 屎尿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