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758B1 - 주낚시 제조기 - Google Patents

주낚시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758B1
KR960008758B1 KR1019930018447A KR930018447A KR960008758B1 KR 960008758 B1 KR960008758 B1 KR 960008758B1 KR 1019930018447 A KR1019930018447 A KR 1019930018447A KR 930018447 A KR930018447 A KR 930018447A KR 960008758 B1 KR960008758 B1 KR 960008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needle
bundle
main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648A (ko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이행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행용 filed Critical 이행용
Priority to KR1019930018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758B1/ko
Publication of KR95000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14Lea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주낚시 제조기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 평면도.
제2도는 낚시바늘 공급장치중 낱개공급부의 사시도.
제3도는 동 종단측면도.
제4도는 낚시바늘 묶음부의 정면도.
제5도는 낚시바늘 묶음부측 회전체 및 바늘대의 분해도.
제6도는 동 조립상태의 종단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I-I선 단면도.
제8도는 바늘대의 횡단면도.
제9도는 목줄 묶음부의 사시도.
제10도는 동 우측면도.
제11도는 목줄 끌대의 사시도.
제12도는 목줄 당김장치의 사시도.
제13도는 가변레일의 사시도.
제14도는 본줄 이송장치의 평면도.
제15도는 매듭감지센서의 작용상태도.
제16도 내지 제20도의 낚시바늘과 본줄에 목줄이 묶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바늘투입장치 B : 묶음장치
C : 본줄 이송장치 10 : 피이더
11 : 레일 20 : 낱개투입구
21 : 평레일 22 : 경사레일
23 : 수직벽 24 : 바늘홈
25 : 누르개 26 : 밀대
27 : 안내레일 30 : 낚시바늘 묶음부
31 : 상부 기틀 31a : 기판
31b : 중간판 31c : 천정판
32, 34a : 낚시바늘좌 33, 34 : 회전체
33a : 회전축 33b, 43b : 안내면
33c, 43c : 바늘대공 34, 44 : 바늘대
34b, 44b : 고리바늘좌 35a, 45 : 클립
37 : 커터 40 : 본줄 묶음부
41 : 하부 기틀 44a : 본줄공
44b : 고리바늘좌 50 : 목줄 끌대
51 : 승강체 52 : 홀더
53 : 회전캠 60 : 목줄 당김대
64 : 캠 65 : 인장스프링
70 : 레일부 71 : 고정레일
72 : 가변레일 73 : 센서
73a : 접촉자 74 : 홀더
80 : 본줄 이송부 81 : 구동롤
82 : 가변롤 Cy1~12 : 실린더
G1, 3 : 구동기어 G2, 4 : 종동기어
N1, 3 : 횡바늘 N2 : 수직바늘
본 발명은 명태낚시용 주낚시처럼 하나의 길다란 본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낚시바늘을 묶은 목줄을 연속적으로 묶는 주낚시 제조기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일단에 낚시바늘이 묶인 목줄의 타단을 본줄에 묶어주는 작업을 자동화하여 주낚시의 제조능률을 높이고, 주낚시를 묶는 작업의 안정성을 높인 주낚시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낚시바늘로 잡은 고기는 어망으로 포획한 고기보다도 싱싱하고 맛도 더 있다. 그래서 바닷고기중에는 주낚시로 어획하는 어종이 의외로 많다. 명태, 방어등 홀어로서의 가치가 높은 어종이 그런 류에 속한다. 이같은 어종을 낚기위하여 사용하는 어구가 바로 주낚시이다. 통상 이러한 주낚시는 수십, 수백 미터에 이르는 하나의 본줄에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낚시바늘이 달린 목줄을 매단 것인데, 본줄에 비해 현저히 짧고 가늘기도 한 목줄에 낚시바늘을 묶는 일과 이들 목줄을 본줄에 얽어매는 작업이 순전히 수작업에 의존해 왔었다.
어느 분야나 그렇듯이 주낚시제조에 있어서도 낚시바늘을 수작업에 의존해 매는 것이 작업면에서 비능률적이고 시간당 생산량도 낮다. 또, 낚시바늘은 끝이 아주 예리하므로 손부상을 입는 일이 빈번하다. 뿐만 아니라 낚시바늘의 배치간격도 불균일하여 이것이 어획고를 떨어뜨리는 하나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바늘을 목줄에 묶는 일과, 이 목줄을 본줄에 묶는 작업을 완전 자동화하여 주낚시의 생산능률을 높이고, 작업중의 부상도 방지하여, 나아가 낚시바늘의 배치간격을 균일하게 하여 품질이 우수한 주낚시를 자동으로 묶어 제조하는 주낚시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낚시바늘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낚시바늘공급장치와; 목줄의 일단에는 낚시바늘을 묶고 목줄의 타단은 본줄에 묶어주는 묶음장치와; 이들 두 종류의 묶음이 완료된 낚시바늘을 인수하여 소정의 피치간격으로 이송하여 반출하는 이송장치로 구성한 주낚시 제조기를 제공한다.
낚시바늘 공급장치는 한꺼번에 투입된 여러 개의 낚시바늘을 일렬로 정돈시켜 낱개공급부로 보내는 진동식 피이더와, 이 피이더로 부터 전해 받은 낚시바늘을 정확히 낱개씩 낚시바늘묶음부에 공급하는 낱개투입부로 구성되어 있다.
묶음장치는 공급된 낚시바늘을 목줄의 일단에 묶는 바늘 묶음부와, 상기 목줄의 타단을 본줄에 묶는 본줄 묶음부로 조합되어 있다. 바늘 묶음부는 일방향에서 목줄의 상단부 쪽을 끌어당겨서 거꾸로 선 낚시바늘의 하단부근에다 묶음고리를 형성하는 견인바늘 및 고리바늘을 갖는다. 또, 상기 묶음고리와 낚시바늘의 하단부 주위로 상기 묶음고리쪽에 위치하는 목줄의 상단부를 제자리에서 서너 차례 감아돌린 다음에 상기 고리바늘이 목줄의 상단을 묶음고리 속으로 빼내서 본줄이 당겨지는 힘에 의해 묶여지게 하는 회전체도 갖는다.
그리고 모든 목줄의 길이가 일정해지도록 절단하는 커터와, 절단된 목줄의 상단부로 탄력적으로 집어물어서 낚시바늘에 묶일 때까지 너덜거리지 않게하는 클럽과, 목줄의 하단을 집어 본줄에 묶이는 위치로 끌어내리는 일을 되풀이하는 목줄용 끌대로 함께 구비한다.
이송장치는 낚시바늘과 목줄을 묶은 후에 바늘대쪽으로 근접하여 낚시바늘을 인수하는 가변레일과, 이 가변레일을 헐겁게 끼워서 지지함과 동시에 그 이후의 이송구간에서 낚시바늘을 인도하는 고정레일과, 본줄에 묶인 목줄의 매듭을 정해진 위치에서 감지하여 가변롤의 작동을 멈추게 하므로서 목줄이 묶인 본줄의 간헐적 이송작업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한편 가변레일의 전진행정이 종료된 싯점에서 가변롤로 하여금 본줄에 대한 이송작업을 개시토록 지시하는 센서와, 상시 회전중인 구동롤에 상기 센서에 의하여 이접되어 그 사이를 지나가게 걸쳐진 본줄의 이송 또는 이송장치시키는 가변롤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낚시 제조기의 평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낚시바늘 공급장치, (B)는 상기 낚시바늘 공급장치(A)로부터 정렬돼온 낚시바늘에 목줄의 상단을 묶는 한편 그 목줄의 하단을 본줄에 묶어주는 묶음장치이다. 또, (C)는 낚시바늘과 목줄의 묶음작업이 종료된 후 낚시바늘을 인수하여 소정의 피치로 간헐적으로 이송, 반출하는 이송장치를 표시한다.
낚시바늘 공급장치(A)는 피이더(10)와 낱개투입부(20)로 구성되며, 묶음장치(B)의 전방, 구체적으로 낚시바늘용 날개투입부(20)의 안내레일 선단이 낚시바늘 묶음부의 낚시바늘좌 앞에 바짝 다가서게 배치된다. 이같은 배치에 따라 낚시바늘은 언제나 낱개로써 묶기좋은 자세를 취하게 된다. 상기 피이더(10)는 공지의 진동식 피이더이며, 아무렇게나 투입된 낚시바늘이라도 바늘끝이 모두 동일방향으로 향하도록 정리정돈하여 낱개투입부(20)에 전달하는 것이 임무이다. 피이더(10)에서, 레일(11)말단은 낱개투입부(20)측 평레일의 선단에 빈틈을 남기지 않도록 접속하여 공급중인 낚시바늘이 엉뚱한 곳으로 향하거나 낙하하지 못하도록 억제한다.
제2, 3도에서 보듯이, 낱개투입부(20)는 피이더(10)에서 옮겨온 낚시바늘을 정돈하여 낱개식 낚시바늘 묶음부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도입부는 평레일(21)이고, 이 평레일(21)의 말단에는 경사레일(22)이 이어지며, 이 둘은 일체상이다. 또, 경사레일(22)과 그 말단에 수직으로 맞선 수직벽(23)과의 사이에는 낚시바늘의 굵기와 동등한 폭의 틈을 남겨서 낚시바늘이 들어가 않을 자리인 수직홈(24)으로 한다. 이 수직홈(24)의 바로 위에는 누르개(25)를 배치한다. 누르개(25)는 상기 수직홈(24)에 끼어든 낚시바늘을 내리눌러 낚시바늘 묶음부로 정확히 공급되도록 사전에 정리하는 구성요소이며, 종형 실린더(Cy1)에 의해 정해진 수직행정거리내에서만 승강한다.
상기 수직홈(24)의 하단에는 수직홈(24)내의 낚시바늘(F)을 낚시바늘 묶음부(30)의 낚시바늘좌(32)까지 수평으로 이동시켜 끼워주는 밀대(26)와 낚시바늘용 안내레일(27)을 배치한다. 상기 밀대(26)는 여기에 소속된 횡형실린더(Cy2)에 의해 정해진 행정거래내에서 진퇴한다. 밀대(26)가 전진할 때 낚시바늘(F)의 공급이 이뤄진다.
제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묶음장치(B)는 낚시바늘 묶음부(30)와 목줄묶음부(40)로 구성된다. 낚시바늘 묶음부(30)는 종형인데 대하여 목줄묶음부(40)는 횡형이고, 낚시바늘 묶음부(30)는 상위에 그리고 목줄묶음부(40)는 낚시바늘 묶음부(3)의 하위에 각각 배치된다.
제5도 내지 제8도와 더불어 낚시바늘 묶음부(30)의 구종에 대하여 설명한다. 낚시바늘 묶음부(30)는 본줄(L2)에 비해 가느다란 목줄(L1)을 공급하고, 그 목줄(L1)의 상단이 될 부위를 미리와서 대기중인 낚시바늘(F)의 기둥에 묶는 장치이다. 이 낚시바늘 묶음부(30)에서, 상기 기틀(31)의 기판(31a) 앞면에 판면을 수직으로 짼 낚시바늘좌(3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낚시바늘좌(32)의 수직선 윗쪽에는 기틀(31)의 중간판(31b)에 수직으로 헐겁게 끼운 회전체(33)가 있다. 이 회전체(33)는 중간판(31b)밑에 걸린 횡판의 아랫부분은 원주면의 대략 절반을 절단 제거하여 빈자리로 남겨두고 회전체(33)의 축중심에 바늘대공(33a)을 뚫은 것이다.
상기 바늘대공(33c)에는 회전가능한 바늘대(34)를 수직으로 내리끼운다. 그리고 상기 중간판(31b)위로 솟구친 회전축(33a)부분에는 종동기어(G2)를 고정축끼움하여 도시하지 아니한 모터측으로부터 동력을 중계하는 구동기어(G1)에 잇물림시킨다. 이에따라 상기 회전체(33)는 종동기어(G2)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한다. 회전체(33)의 회전수는 곧 낚시바늘(F)의 후단에 감기는 목줄의 감김수를 의미하며, 이 감김수는 통상 3-5회 정도이므로 회전체(33)의 회전수도 이정도로 이해하면 된다.
제5, 6, 7도에서, 상기 회전체(33)의 바닥 선단은 상향경사진 안내면(33b)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면(33b)에는 클립(35)을 설치한다. 이 클립(35)은 목줄의 상단을 마치 집게로 집듯이 끼워 무는 것으로, 판스프링이며, 보울트로 회전체(33)의 바닥의 선단면 일측가에 고정한다. 안내면(433b)은 목줄이 클립(35)에 끼어들기 쉽도록 안내해주는 미끄럼대 구실을 한다. 이같은 클립(35)의 역할은 낚시바늘(F)에 목줄이 서너 차례 둘러 감긴 후에 수직바늘(N2)에 의해 형성된 고리 사이를 통과하기 직전까지 이어진다.
바늘대(34)는 상기 회전체(33)의 바늘대공(33a)을 수직으로 헐겁게 관통하여 끼우고 그 상단은 천정판(31c)에 고정한다. 바늘대(34)는 회전체(33)의 회전과는 무관한 비회전체이다. 바늘대(34)의 하반부에는 낚시바늘(F)이 들어앉는 쪽과 그 반대쪽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한 두 개의 홈이 있다. 그 중 하나는 낚시바늘(F)이 직립자세로 머물게 하는 낚시바늘좌(34a)이고, 다른 하나는 목줄을 수평으로 끌어당겨 이룬 낚시바늘 묶음용 예비고리의 윗가닥을 걸어 수직으로 끌어올리는 수직바늘(N2)을 설치하여 활통케 하기위한 고리바늘좌(34b)이다.
고리바늘좌(34b)에는 수직바늘(N2)을 헐겁게 끼워내린다. 수직바늘(N2)은 천청판(31c)위에 직립시킨 종형 실린더(Cy4)에 의해 정해진 수직행정거리내에서 승강한다. 이 수직바늘(N2)에서, 후크의 하한선은 상기 고리바늘좌(34b)의 바로 밑이며, 여기까지 하강한 후 직후 상승할 때 횡바늘(N1)에 의하여 낚시바늘쪽으로 수평방향으로 끌어당겨진 낚시바늘 묶음용 목줄의 예비고리에서 그 윗가닥을 걸어 수직으로 끌고가서 낚시바늘묶음용 예비고리를 형성하고, 또한 바늘대(34)를 따라 몇차례 공전하는 동안 고 공전수만큼 예비고리의 아랫도리를 낚시바늘(F) 기둥의 후단 부위에 둘러감아 임시적으로 묶은 다음 클립(35)에 물려있던 목줄(L1)의 상단부를 예비고리 사이로 잡아빼서 묶이게 도와주는 것이다.
기판(31a)바로 위에 램의 선단에는 횡바늘(N2)이 장착된 횡형 실린더(Cy3)를 설치한다. 횡바늘(N1)은 낚시바늘(F)의 뒷쪽에서 직으로 내려진 목줄(L1)을 걸어 낚시바늘(F) 앞쪽으로 수평되게 끌어당겨서 묶음용 예비고리를 형성하기 위한 전단계를 준비하는 것으로, 상기 횡바늘(N1)은 횡형실린더(Cy3)의 행정거리내에서 수평으로 진퇴한다.
횡바늘(N1)이 전진했다고 후퇴할 때에 바늘대(34)의 뒷쪽에서 수직으로 내려진 목줄(L)을 걸어 낚시바늘(F)이 안치된 쪽으로 수평으로 끌어당겨서 낚시바늘(F)의 기둥을 둘러묶을 묶음줄을 마련해 주게 된다. 낚시바늘(F)의 기둥에 묶음줄을 둘러묶는 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재차 전진하여 걸었던 목줄을 놔서 바늘대(34)에서 낚시바늘(F)이 떠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틀(31)의 측판성에는 위로부터 낚시바늘(F)을 묶은 후에 바늘 묶음에 동원되고 남은 목줄(L1)의 상단을 절단하는 커터(37)와, 이 커터(37)의 위 아래쪽에 상도사판(36) 및 하도사판(36b)을 설치하고 또한 측판이 외측에는 커터(37)의 바로 윗지점을 상사점으로 하고 본줄(L2)의 바로 밑지점을 하사점으로 하여 목줄(L1)의 하단을 물어 내려서 본줄 묶음부(40)의 클립(45)에 물려진 다음에 상사점으로 복귀하는 목줄 끌대(50)를 설치한다. 상기 커터(37)는 고정날이며, 횡바늘(N1)이 목줄(L1)을 끌어당길 때에 목줄(L1)이 빗당김당하면서 칼날이 끊기게 된다.
목줄 묶음부(40)는 목주(L1)의 하단을 본줄(L2)에 묶어주는 기구이다. 목줄 묶음부(40)는 제9, 10도에서 보듯이, 하부기틀(41)상에는 횡형 회전체(43)를 설치한다. 이 회전체(43)의 충중심에는 관통공(43c)을 뚫어 바늘대(44)를 수평으로 헐겁게 관통시키고, 회전체(43)의 회전축(43a) 후단에는 종동기어(G4)를 고정축끼움하여 도시하지 아니한 모터측에 동력적으로 접속된 구동기어(G3)에 맞물린다. 상기 회전체(43)는 종동기어(G4)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하며, 회전수는 대략 서너 번이다. 회전체(43)의 회전수는 곧 본주(L2)에 감기는 목줄(L1)하단의 감김수를 의미하며, 통상 3-5회 정도이다.
상기 회전체(43)의 우측단 일측 모서리에는 경사진 안내면(43b)을 형성하고, 이 안내면(43b)에는 클립(45)을 설치한다. 클립(45)은 판스프링이며, 목줄(L1)의 하단부를 마치 손으로 잡아주듯 탄력적으로 끼워 물리는 곳이다. 이때, 안내면(43b)은 목줄(L1)이 클립(45)에 끼어들기 쉽도록 안내해주는 미끄럼대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클립(45)의 역할은 본줄(L2)에 목줄(L2)의 하단부가 서너 차례 둘러 감긴 후 하부 횡바늘(N3)에 의해 형성되는 예본줄에서의 묶줄묶음용 예비고리 속을 통과하기 직전까지 이어진다.
바늘대(44)는 상기 회전체(43)의 관통공(43)에 축방향으로 헐겁게 관통시킨 후 그 후단을 하부기판(41c)에 고정한다. 이 바늘대(44)도 회전체(43)의 회전과는 무관한 비회전체이다. 바늘대(44)의 면중심에는 축방향을 따라 본줄공(44a)을 천공하고, 본줄공(44a)의 옆에는 고리바늘좌(44b)를 나란히 천공한다. 고리바늘좌(44b)는 본줄공(44a)과 목줄(L1)의 하단부가 본줄(L2)에 묶일 때 묶음용 예비고리를 형성하기 위해 장착한 하부 회압늘(N3)용 바늘좌이다.
하부 횡바늘(N3)은 하부기틀(41)에 설치한 횡형 실린더(Cy5)에 의해 일정한 행정거리내에서 활동하는 것에 의하여 수평으로 진퇴하는데, 전진후 복귀할 때 그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지나간 후 클립(45)에 걸쳐진 목줄(L1)의 하단부분을 걸어당겨서 묶음용 묶음용 예비고리를 형성하고, 또한 예비고리의 뿌리부분을 본줄(L2)에 둘러감아 임시적으로 묶음 다음 클립(45)에 물려있던 목줄(L1)의 하단부를 본줄(L2)에 예비적으로 둘러묶임에 따라 바뀐 목줄 하단의 고리사이로 잡아빼서 묶이게 한다. 이렇게 본줄(L2)에 대한 목줄(L2)하단의 예비적 묶음이 이뤄진 후 재전진하여 상기 고리에 대한 걸임상태를 풀어 본줄(L2)의 이송에 장애가 되지않게 한다.
본줄 묶음부(40)에는 커다가 없다. 본줄(L2)은 절단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 하부기틀(41)의 후방에는 종형 실린더(Cy12)에 의해 본줄(L2)에 물어주거나 풀어주는 홀더(46)를 설치한다. 이 홀더(46)는 본줄(L2)에 목줄(L1)의 하단이 완전히 묶이기까지 본줄(L2)을 물어주고, 목줄(L1)이 묶인 후 이송직전에는 본줄(L2)을 놔준다.
제11도에 있어서, 목줄 끌대(50)는 상기 커더(37)의 바로 윗쪽 지점을 상사점으로 하고 목줄묶음부(40)의 회전체(43)에 장착된 클럽(45) 바로 밑위치를 하사점삼아 활동하는 것으로서, 상사점 위치에서 상기 커터(37)에 의해 끊긴 목줄(L1)의 하단을 물고 측판 옆으로 일단 끌어내어 하사점의 전방까지 내린 다음에 전진하여 목줄묶음부(40)의 클립(45)에 끼워서 물려진 다음에 즉시 상사점으로 복귀하여 후속동작개시 신호가 떨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을 주된 임무로 한다.
상기 승강체(51)의 선단에는 목줄(L1)을 물고 또는 풀어주는 홀더(52)가 설치되고 있고, 이 홀더(52)는 실린더(Cy6)에 의해 전후진하다. 상사점에서 전진할 때는 목줄(L1)의 하단을 물고, 하사점에서 전진할 때는 목줄(L1)의 하단부를 본줄 묶음부(40)측의 클립(45)에 끼워 물린다.
이러한 목줄 끌대(50)의 하강 및 상승복귀운동은 아암(53)의 후단에 장착한 종동자를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회전캠(54)에 의하여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이와함께 회전캠(54)의 작은 상,하사점간의 운동을 홀더(52)의 큰 승강활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아암(53)의 축지지점을 그 후단 가까이 위치시킨다. 또, 목줄 끌대(50)가 활동할 때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갖고 더불어 아암(53)의 각운동에도 불구하고 승강체(51) 및 홀더(52)로 하여금 항상 수직승강 및 수평진퇴 작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안내봉(55)에 헐겁게 끼워서 유도받게 하는 동시에 승강체(51)의 후단과 아암(53) 선단과의 연결을 위한 축공(51a)을 장공으로 한다. (56)은 승강체(51)와 아암(53)간 연결홍 축, (58)은 캠축을 각각 표시한다.
제12도는 목줄 당김대(60)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걸고리형 선단부(61)를 갖고 후단부(62)는 고정축에 헐겁게 축끼움하여 레버운동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접촉자(63)는 하나의 캠홈(64a)을 가진 원반형 캡(64)의 주면에 상시 접촉토록 한다. 캠홈(64a)구간에는 접촉자(63)는 당김대(60)가 도사환(36c,d)사이에 걸쳐진 목줄(L1)부분을 걷어 당겨서 낚시바늘(F)과 본줄(L2)에 각각 느슨하게 묶인 목줄(L1)의 묶음용 매듭을 완벽하게 매듭짓는 일을 한다. 상기 캠홈(64)이 하사점이면 이 하사점에서 상사점으로의 복귀는 자연스레 이뤄지고, 상사점에서 하사점으로의 접근은 인장스프링(65)의 도움을 받아 이뤄진다.
다음으로, 제13도 내지 제15도에 관련된 본줄 이송장치(C)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줄 이송장치(C)는 레일부(70)와 이송부(80)으로 구성된다. 레일부(70)는 고정레일(71)과 가변레일(72)로 구성하고, 고정레일(71)의 대략중간쯤 되는 곳의 기체상에는 센서(73)를 설치한다. 또, 고정회전롤(81)과 가변롤(82)로 구성되는 이송부(80)는 상기 고정레일(71)의 말단에 설치한다.
가변레일(72)은 고정레일(71)의 선단부의 빗변구간은 레일삼아 진퇴하게 설치한다. 가변레일(72)은 상기 낚시바늘 묶음부(30)측 바늘대(34)의 낚시바늘좌(34a)에서 목줄(L1)의 상단에 묶인 채로 머물던 낚시바늘(F)을 걸수 있는 위치까지 전진하여 낚시바늘(F)을 인수한 후 후퇴복귀하여 고정레일(71)측에 인도하는 것으로, 고정레일(71)의 빗변구간의 옆 프레임상에 설치한 횡형 실린더(Cy9)에 의해 진퇴한다. 이 가변레일(72)은 낚시바늘(F)이 본줄(L2)에 대한 목줄(L1)의 묶음작업과정에서 견인바늘(N2)과 고리바늘(N2) 및 회전체(33)에 대하여 그 움직임에 장애가 되지않도록 하기 위하여 매듭이 완전히 지어지기 전에는 후퇴복귀하여 머물러있는다.
센서(73)는 이송장치(C)에 이끌어 이송되는 목줄(L1)이 이곳을 통과하는 순간을 감지하여 그 바로 앞에 위치하는 홀더(74)의 실린더(Cy10)에 홀딩신호를 보내서 본줄(L2)을 붙잡아 멈추게 하고 가변롤(82)의 실린더(Cy11)에는 후진신호를 보내서 그동안 구동롤(81)에 외접되어 그 마찰력으로 회전하면서 본줄(L2)에 대하여 마찰력을 발휘하여 이송작업을 벌이고 있던 가변롤(82)을 구동롤(81)로부터 떨어뜨려서 본줄(L2)을 놔주게 함으로써 본줄(L2)의 이송작업을 잠정적으로 정지시키는 한편, 낚시바늘(F) 및 본줄(L2)에 목줄(L1)을 묶는 후속작업의 개시를 알리는 명령신호를 발하며, 또한 낚시바늘(F)과 목줄(L1)이 완전히 묶인 때에는 상기 홀더(74)에는 물린해제 명령을 그리고 가변롤(82)에는 전진명령을 내려서 본줄(L2)의 이송작업을 재개토록 하는 것이 그 임무이다.
이송부(80)는 고정위치에서 회전하는 구동롤(81)과 여기서 선택적으로 외접되는 가변롤(82)로 구성되며, 구동롤(81)는 모터(83)에 의해 제자리에서만 돌고 가변롤(82)은 센서(73)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실린더(Cy11)에 의해 구동롤(81)에 선택적으로 외접하는 경우에만 거기에 휩쓸려 회전토록 설치한다. 하지만 본줄(L2)은 언제나 구동롤(81)의 외주면위에 걸쳐있게 해서 가변롤(82)이 외접되는 즉시 본줄(L2)을 이송할 수 있는 준비태세를 갖추게 한다.
다음으로, 제16도 내지 제20도와 더불어 살피며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6도를 참고로 할 때, 도시하지 아니한 제1보빈에서는 본줄(L2)을 풀어내 다음 목줄 묶음부(40)측 바늘대(44)의 본줄공(44a)의 뒷쪽에서 앞쪽으로 뺀다. 이 본줄(L2)은 선단부를 홀더(74)와 센서(73)를 거쳐 구동롤(81)고 이송롤(82)사이에 물린다. 도시하지 아니한 제2보빈에서는 목줄(L1)을 풀어내 목줄 끌대(50)의 홀더(52)에 물리고 기동스위치를 켠다.
그러면 피이더(10)에서 정렬되어 레일(11)을 타고 낱개투입부(20)로 넘어온 낚시바늘(F)은 평레일(21)에서 경사레일(22)로 접어든 후 아래로 미끄러지다가 수직벽(23)에 닿는 순간 수직홈(24)의 상단에 걸터 앉는다. 이어서 누르개(25)가 하강하여 낚시바늘(F)을 내리누른다. 이때, 낚시바늘(F)은 그 하단에 안내레일(27)의 바닥에 닿는다. 낚시바늘(F)을 내려놓고 누르개(25)는 상승복귀한다.
경사레일(22)에서 투입을 대기하던 낚시바늘(F)들을 누르개(25)에 제지당한 상태에서 수직홈(24)이 낚시바늘 하나의 굵기와 같은 폭을 가지므로 두개 이상의 낚시바늘이 동시 투입되는 일은 없다.
누르개(25)가 상승복귀를 개시한 후 복귀직전 까지, 다시말해서 누르개(25)의 하단이 아직 수직홈(24)의 상단을 벗어나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에는 밀대(26)가 전진하여 낚시바늘(F)을 앞으로 내민다. 이에 낚시바늘(F)은 안내레일(27)을 타고 직진하여 낚시바늘 묶음부(30)측 기판(31a)의 낚시바늘좌(32)와 바늘대(34)의 낚시바늘좌(34a)로 기어들어가 꼿꼿이 선 자세를 취한다. 이때, 낚시바늘(F)은 삐딱하게 설치된 가변레일(72)의 선단면과 이루는 각이 직각에 근접할수록 묶인 후에 가변레일(72)으로의 옮겨타기가 용이하다. 이점을 고려하여 낚시바늘(34a)과 더불어 이를 정면에서 보면 가변레일(72)의 선단과는 옆을 보게 약간 기울여뜨린 것이다.
밀대(26)가 임무를 마치고 복귀한 직후 이번에는 낚시바늘 묶음부(30)의 횡바늘(N1)과 본줄 묶음부(40)의 횡바늘(N3)은 동시적으로 전진하여 대기한다. 이어서, 홀더(51)가 전진하여 목줄(L1)의 하단부를 물어 후퇴한다. 아암(53)의 종동자는 회전캠(54)의 상사점에 근접한다. 이에따라 하사점까지 그대로 수직하강하여 목줄(L1)을 끌어내린다. 그리고 실린더(Cy7)가 홀더(52)를 전진시켜 본줄 묶음부(40)의 회전체(43)에 장착된 클립(45)에 목줄(L1)의 하단을 끼워물리는 즉시 홀더(52)는 목줄(L1)을 놓는다.
이어서, 홀더(52)의 후진 복귀, 끌대(50)의 상승 복귀가 이뤄진다. 상기와 같은 홀더(52)에 의하여 끌어내려져 클립(45)에 물린 상태에서는 목줄(L1)은 커터(37)를 지나 최하단 도사판(36e)까지는 직선을 이루지만 도사판(36e)에서 클립(45)이후 까지는 빗선상태로 된다.
그 다음에는 제17도에서 보듯이, 낚시묶음부의 횡바늘(N1)과 목줄 묶음부의 횡바늘(N3)이 복귀하면서 클립(35,36)에 물려있던 목줄(L1)부분을 끌어당겨지면서 팽팽해지는 순간 커터(37)에 의해 전달된다. 이에 따라 형성된 것이 묶음고리(가,라)이다, 클립(35,45)사이에 물린 목줄(L1)부분은 독립된다. 그후, 횡바늘(N2)이 하강하여 묶음고리(가)의 윗가닥을 건 다음에 수직상승하여 예비고리(나)를 만든다.
이 상태에서 제18도에서 보듯이, 회전체(33,43)가 동시적으로 서너 바퀴를 돈다. 이때, 목주(L1)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낚시바늘(F) 또는 본줄(L2)에 묶음고리(가)와 (라)를 둘러 감아 느슨하게 매듭을 짓는다. 그러나 아직도 목줄(L1)의 상, 하단은 클립(35,45)에 각각 물려있는 상태이다.
그리고는 제19도에서 보듯이, 횡바늘(N2,N3)이 재차 전진한 후 복귀하면서 매듭 밖의 목줄(L1) 상, 하단부를 걸고서 매듭에 의해 완전한 형태로 바뀐 고리(다,마)사이를 뒤로 빠져 나가면서 당긴다.
그 직후에는 제20도와 같이, 당김대(60)의 접촉부(63)가 캠홈(64a)에 접어드는 순간에 인장스프링(65)에 이끌어 도사판(36c,d) 사이에 있던 목줄부분을 힘껏 끌어당긴다. 그러면 목줄(L1)이 당겨지면서 그동안 느슨한 상태였던 목줄의 낚시바늘쪽 매듭과 본줄쪽 매듭이 완전하게 매듭지어진다.
이렇게 매듭이 지어진 직후에는 가변레일(72)이 실린더(Cy9)의 작동으로 바늘대(34)로 접근하여 낚시바늘(F)을 인수할 채비를 갖는다. 이렇게 낚시바늘을 인수할 태세를 갖춘 상황하에서 가변롤(82)은 구동롤(81)에 접근하여 외접된다.
가변롤(72)이 구동롤(71)에 외접되는 순간 그 사이에 낀 본줄(L2)이 이들의 회전에 의해 이끌여 나간다. 이렇게 이끌려가는 힘에 의하여 본줄(L2)의 이송이 이뤄지며, 본줄(L2)의 이송은 일정한 피치간격 즉, 목줄(L1)과 그 다음 목줄(L1)까지의 간격을 1피치로 하여 매번 이같은 이송이 간헐적으로 이뤄진다.
이처럼 본줄(L2)이 이끌려갈 때에는 그동안 낚시바늘좌(32,34a)에 머물러 낚시바늘(F)이 목줄(L1)이 딸려갈 때의 힘에 이끌려 가변레일(72)로 옮겨 타고, 이후 계속되는 본줄(L2)의 축차적 이송에 의하여 결국에는 고정레일(71)의 후단으로 반출된다. 그리고 가변레일(72)은 낚시바늘(F)이 이곳을 완전히 통과하는 순간제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동작을 대기한다.
그러다가 본줄(L2)이 접촉자(73a)를 건드리는 순간 센서(73)가 이 사실을 감지하고, 그 신호를 앞쪽에 위치한 홀더(74)와 가변롤(82)이 실린더(Cy10,11)에 보내서 홀더(74)로는 본줄(L2)을 물게하고, 가변롤(82)은 복귀시킨다. 이에따라 이송압력을 받지않는 본줄(L2)은 그 자리에서 정지한다. 여기까지가 1사이클이다. 이후에는 동 사이클이 반복되면서 주낚시로 제조되는 것이다.
여기서, 낚시바늘(F)의 수를 세는 카운터를 별도로 설치하고 이를 상기 센서(73)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면 더욱 편리하다. 이 경우, 본줄(L2)에 묶이는 낚시바늘(F)의 수를 임의로 정할 수가 있어서 낚시바늘의 수를 헤아릴 수가 덜어지고, 또한 본줄당 낚시바늘의 수를 정확히 체크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낚시 제조기는 목줄에 낚시바늘을 묶는 일과 낚시바늘이 묶인 목줄을 본줄에 묶는 주낚시 제조작업을 완전 자동화한 것으로, 종래의 수작업방식에 비해 품질이 우수한 주낚시를 능률적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또한 주낚시를 제조하는 도중에 예리한 낚시바늘끝에 손을 찔려 부상을 당하는 일도 대폭 줄 말끔히 사라지게 된다.

Claims (7)

  1. 낚시바늘을 정렬시켜 낱개씩 묶음장치(B)에 공급하는 낚시바늘 공급장치(A)와; 낱개로 공급된 낚시바늘에 목줄(L1)을 공급하여 그 상단을 묶어주고 이 목줄(L1)의 하단은 본줄(L2)에 묶어주는 묶음장치(B)와; 낚시바늘(F)에 대한 목줄(L1)의 묶음 및 본줄(L2)에 묶인 목줄(L1)의 묶음작업이 완료된 후에 낚시바늘(F)을 인수하여 본줄(L2)에 묶인 목줄(L1)을 피치단위로 이송하는 본줄 이송장치(C)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낚시 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낚시바늘 공급장치(A)는 공지의 진동식 피이더(10)와, 피이더(10)에 의해 정렬된 채로 이송돼 온 낚시바늘(F)을 이어받는 평레일(21)의 말단에 경사레일(22)이 이어지고, 이 경사레일(22)의 말단과 여기에 맞선 수직벽(23)과의 사이에는 낚시바늘(F)의 굵기와 동등한 폭의 낚시바늘홈(24)을 갖고 또한 낚시바늘홈(24)의 직상부에는 그 폭보다도 좁은 두께의 누르개(25)를 배치하여 실린더(Cy1)에 의해 정해진 행정거리내에서 움직이면서 낚시바늘(F)을 내리눌러주게 하고, 상기 누르개(25)에 의해 정돈된 낚시바늘(F)을 낚시바늘홈(24)으로부터 낚시바늘 묶음부(30)의 낚시바늘좌(32)까지 수평으로 이송시켜 끼워주는 밀대(26)를 횡형 안내레일(27)상에 설치하고 상기 밀대(26)를 실린더(Cy2)에 의해 정해진 행정거리내에서 진퇴할 수 있는 낱개공급부(20)로 이뤄진 자동 주낚시 제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묶음장치(B)는, 상기 기틀(31)에는, 낚시바늘좌(32)를 갖고 중간판(31B)에는 축중심에 뚫은 수직 바늘대공(33c)에는 바늘대(34)를 수직으로 관통시키며 중간판(33b) 위로 솟은 회전축(33a) 부분에는 종동기어(G2)를 고정축끼움하여 구동기어(G1)에 맞물려 돌 수 있게 잇물림하고, 회전체(33)의 하단 일측에 둔 안내면(33b)에는 클립(35)을 장착한 낚시바늘 묶음부(30)를 상부 기판(31)에 설치하고, 하부기틀(41)에는 축중심에 뚫은 횡형 바늘대공(43c)에 바늘대(44)를 관통시키고 그 회전축(43a)의 끝에는 종동기어(G4)를 축끼움하여 구동기어(G3)측에 맞물려 돌 수 있게하며 또한 회전체(43)의 하단 일측에 형성한 안내면(43b)에는 클립(45)을 장착한 본줄 묶음부(40), 및 상기 낚시바늘 묶음부(30)와 목줄 묶음부(40)사이를 오르내리며 목줄(L1)을 거는 홀더(51)가 장착된 목줄 끌대(50), 느슨하게 매듭지는 목줄(L1)의 매듭을 캠(64)과 인장스프링(65)의 협동작용에 의하여 고리를 끌어 당겨서 매듭을 완결짓는 당김대(60)와의 조합으로 된 주낚시 제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낚시바늘 묶음부(30)는 수평으로 진퇴하면서 목줄을 끌어당겨 묶음고리를 형성하는 횡바늘(N1)과, 이 횡바늘(N1)에 의해 당겨진 묶음고리의 윗가닥을 걸어 위로 당겨서 매듭용 예비고리를 만든 다음 바늘대(34)와 함께 낚시바늘의 기동주위를 수회 공전하여 느슨하게 매듭을 지은 후에 매듭의 완결을 위한 고리를 형성하는 수직바늘(N2)로된 주낚시 제조기.
  5. 제3항에 있어서, 본줄 묶음부(40)의 바늘대(44)는 실린더(Cy5)에 의해 전,후진 하면서 최하위 도사판(36e)과 클립(45)사이에 놓인 목줄부분을 걸어당겨서 묶음고리를 형성하고 이후 느슨하게 둘러감긴 고리사이로 목줄(L1)의 하단을 빼내 묶을 수 있도록 한 고리바늘(N3)을 가진 자동 주낚시 묶음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본줄 이송장치(C)는 고정레일(71)과 이 고정레일(71)상에서 실린더(Cy9)에 의해 행정거리내에서 진퇴하며 목줄(L1)에 묶인 낚시바늘(F)을 인수하여 반출을 도와주는 가변레일(72)로 이러지는 레일부(70)와, 상기 고정레일(71)의 말단에 위치하는 구동롤(81) 및 여기에 선택적으로 외접되어 회전하는 가변롤(82)로 된 이송부(80)로 된 주낚시 제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고정롤(81)의 전방에는 본줄(L2)에 묶인 목줄(L1)이 통과한 것을 감지하여 전방의 홀더(74)측 실린더(Cy10)와 가변롤(82)측 실린더(Cy11)에 신호를 보내 본줄(L2)의 이송 및 이송정지를 실행하는 센서(73)를 설치한 주낚시 제조기.
KR1019930018447A 1993-09-14 1993-09-14 주낚시 제조기 KR960008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447A KR960008758B1 (ko) 1993-09-14 1993-09-14 주낚시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447A KR960008758B1 (ko) 1993-09-14 1993-09-14 주낚시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648A KR950007648A (ko) 1995-04-15
KR960008758B1 true KR960008758B1 (ko) 1996-07-03

Family

ID=1936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447A KR960008758B1 (ko) 1993-09-14 1993-09-14 주낚시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7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049B1 (ko) * 2020-11-26 2022-12-07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낙용 클립 연결장치
KR102489259B1 (ko) * 2022-08-02 2023-01-18 주식회사 선우하이테크 낚싯줄 자동 결속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648A (ko) 199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77676A (en) Creel assembly for textile machines
JPH0833633A (ja) 縫合糸切断システムおよび切断方法
CN107439503B (zh) 鱼钩绑线装置
KR101851991B1 (ko) 수하식 굴양식용 패각 자동화 결속장치 및 방법
CN106988012B (zh) 一种自动打结机及自动打结方法
KR960008758B1 (ko) 주낚시 제조기
CN108251961B (zh) 一种自动编绞方法
DE602004007452T2 (de) Ein entlang einer Offenen-Spinnmaschine verfahrbarer Bedienungsautomat
CN109069307A (zh) 绕紧棉塞材料的方法
US3377677A (en) Device for increasing the speed of coil replacement in a creel assembly
JPH0349536B2 (ko)
CN212474077U (zh) 一种刷丝自动捆扎装置
CN210942606U (zh) 塑料定型丝包装机
CZ281056B6 (cs) Zařízení k přerušení pramene vláken v plnicí stanici textilního stroje
JPH02214445A (ja) ステータコイルの結束装置
CN202485569U (zh) 一种电雷管脚线多发8字绕把机
CN110758855A (zh) 塑料定型丝包装机
KR100306507B1 (ko) 신발끈 자동 제조기
CN220044887U (zh) 雪茄烟叶编烟机
KR100437128B1 (ko) 주낙용 아릿줄 제작기 및 제작방법
KR102251847B1 (ko) 비회전식 섬유공급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한 길이 섬유의 자동매듭 결속기
CN220369480U (zh) 一种流水线式烟叶编杆机
KR102439626B1 (ko) 보빈 롤 권취 장치
JPS5817113B2 (ja) トクニジドウマキイトキニオイテ イトカコウサイクルチユウジドウテキニ チ−ズオオクリダシ イトオセツダンクブンシテツカミクダオイチギメシソウチヤクシ クランプスルソウチ
CN208807114U (zh) 一种大葱自动打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