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332B1 - 자기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332B1
KR960006332B1 KR1019920012195A KR920012195A KR960006332B1 KR 960006332 B1 KR960006332 B1 KR 960006332B1 KR 1019920012195 A KR1019920012195 A KR 1019920012195A KR 920012195 A KR920012195 A KR 920012195A KR 960006332 B1 KR960006332 B1 KR 960006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production
recording medium
carrier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017A (ko
Inventor
소이찌 이와무라
준이찌 아오끼
히로아끼 노가미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쯔지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쯔지 하루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3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9Time-base error compensation
    • H04N9/896Time-base error compensation using a digital memory with independent write-in and read-out clock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7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recording the signal in a plurality of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signal
    • H04N9/7973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recording the signal in a plurality of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signal by dividing the luminance or colour component signal samples or frequency bands among a plurality of recording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equentially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 재생 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도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불럭도.
제2도는 제1도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 각부의 출력 신호의 스팩트럼을 도시한 그래프로,
제2a도는 헤드 증폭기/등화기의 출력 신호의 스팩트럼.
제2b도는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의 출력 신호 스팩트럼.
제2c도는 고역 필터 출력 신호의 스팩트럼.
제2d도는 펄스 카운트식 FM 복조기의 출력 신호의 스팩트럼.
제3도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4도는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5도 내지 제10도는 종래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5도는 2채널 분할 TCI 엔코더/디코더를 구비한 VTR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6도는 HDTV의 베이스 밴드 신호와 색차선 순차의 TCI 신호와의 관계를 도시한 타이밍 차트.
제7도는 제5도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서 재생된 신호의 스팩트럼을 도시한 그래프로,
제7a도는 자기 테이프에서 재생된 FM 캐리어의 스팩트럼.
제7b도는 FM 캐리어를 이배기에 입력하여 얻어진 신호의 스팩트럼.
제7c도는 이배기의 출력을 펄스 카운트식 FM 복조기에 입력하여 얻어진 신호의 스팩트럼.
제8도는 저역 시프트 기록 방식에 의해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에서 얻어진 신호의 스팩트럼을 도시한 그래프로,
제8a도는 자기 테이프에서 재생된 FM 캐리어의 스팩트럼.
제8b도는 FM 캐리어를 이배기로 입력하여 얻어진 신호의 스팩트럼.
제8c도는 이배기의 출력을 펄스 카운트식 FM 복조기로 입력하여 얻어진 신호의 스팩트럼.
제9도는 FM 캐리어 리셋트 기록 방식에 의해 기록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10도는 제9도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의한 FM 캐리어의 리셋트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 5 : 국부 발진기
6 : 고역 필터 7 : 펄스 카운트식 FM 복조기
9 : 기준 버스트 신호 검출기 20 : 고역 주파수 시프트 수단
본 발명은 HDTV(High Definition TV) 신호와 같은 광대역 영상 신호를 자기 기록 매체에서 재생하는 자기(磁氣)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HDTV의 베이스 밴드 신호로서 휘도 신호(Y)(대역폭 20MHz), 색차 신호(PR·PB)(각각 대역폭 6MHz)를 상정하는 경우, 이들 전송 대역이 다른 3채널의 신호를 다중 시분할하여 1채널 또는 2채널의 TCI(Time-Compressed Integration) 신호로 시분할 합성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제5도에 상기와 같은 베이스 밴드 신호를 2채널 TCI 신호로 엔코드/디코드 하는 시스템의 한 예를 도시한다. 또, 이 경우의 TCI 엔코더(51)에 있어서의 입출력 신호 파형의 한 예를 제6도에 도시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수 라인의 휘드 신호(Yl)(1라인 기간 29.63㎲ 대역폭 20MHz)에 있어서 유효 주사 기간의 신호를 1.68배로 시간을 늘려서 대역폭이 약 12MHz의 YlT로 변환하고, 기수 라인 색차 신호(PRl))(대역폭 6MHz)에 있어서 유효 주사 기간의 신호를 반으로 시간 압축하여 대역폭이 약 12MHz의(PRl)T로 변환하고, YlT와 (PRl)T를 시분할 합성하여 제1채널의 TCI 신호(Tl)이 작성된다. 다음에 우수라인의 휘도 신호(Y2)와 우수 라인의 색차 신호(PB2)에서 상기와 동일한 시분할 합성 방법으로 제2채널TCI 신호(T2)가 작성된다.
이와 같이, 휘도 신호(Y)의 시간축 신장과, 색차 신호(PR과 PB) 신호를 각각 1라인 간격으로 교대로 추출하여 선순차화와 시간축 압축에 의한 시분할 합성에 의해 대역폭이 12MHz의 색차 선순차의 2채널 TCI신호가 얻어진다. 휘도 신호(Y)의 대역폭 20MHz, 색차 신호(PR·Ps)의 대역폭 6MHz와의 시분할 합성에서는 계산상 대역폭은 (20+6)MHz/2=13MHz로 되나, 유효 주사 기간의 정보만을 취급하는 시본할 합성처리에 의해 대역폭을 12MHz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채널의 TCI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병렬 기록하고, 그것의 재생 신호에서 본래의 베스 밴드 신호로의 변환은 TCI 디코더(52)에 의해 행한다. TCI 디코더(52)에서는 TCI 엔코더(51)에서외 처리와 역의 처리가 행해진다. 재생 신호에서는 PR·PB 신호가 1라인 간격으로 빠져 있으므로 라인 보간에 의해 베이스 밴드 신호가 복원된다.
상기 대역폭이 12MHz인 TCI 신호를 VTR에 기록하기 위해 TCI 신호에서 19MHz의 캐리어를 주파수변조하여 얻어지는 FM 신호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한다. 이때 FM 신호의 스팩트럼을 제7a도에 도시한다. 하측파대의 최저 주파수는 7MHz로 되나 실제로는 이 이하의 측파대 성분이 상당히 존재한다.
그런데, FM 복조기에 펄스 카운트[FM 신호의 제로크로스 점마다 단사 멀티(one shot multi)를 행하는 복조 방식]을 채용하고, 또 재생 신호에 캐리어의 우수차의 고주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복조 신호의 성분은 TCI 신호 성분, FM 신흐의 2체배 성분, FM 신호의 2체배 성분의 기수차의 고주파 성분(즉, 6체배, 10체배의 FM 신호)만으로 된다, 따라서, FM 신호의 기본파 성분은 원리적으로는 발생하지 않는다. 2체배 성분의 중심 부파수는 38MHz, 하측파대의 최저 주파수는 14MHz로 되므로, 12MHz의 신호 대역폭을 갖는 TCI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다양한 원인으로 FM 신호의 기본파 성분이 누설된다. 따라서, TCI 신호의 DU비(Desired to Undesired Signal Ratio)는 30-40dB 정도로 되어 버린다.
그래서 재생 신호를 이배기에 입력하여 제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38MHz로 올린 후 펄스 카운트식 FM 복조기로 입력하고, 여기에서 2체배 복조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따라서, 제7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파대의 최저 주파수는 28MHz로 되므로 TCI 신호와의 분리는 매우 용이해진다. 그러나, 이배기에서의 누설이 존재하면 그의 성분은 FM 복조기의 출력 신호에 그대로 혼입된다. 또, 이배기의 출력에 2체배의 FM 신호외의 4체배의 FM 신호가 포함되면 도면중 1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2체배의 FM 신호가 복조기의 출력신호에 혼입된다. 이들 하측파대 성분은 TCI 신호에 혼입하여 비트 방해를 일으킨다.
한편, 수평 동기 펄스의 프론트 포치에 대응한 FM 캐리어(이하, FM 신호를 FM 캐리어라 한다)의 위상을 기준 위상으로 해서, 수평 동기 마다 수평 동기 펄스의 첨단부에 대응한 FM 캐리어 위상을 기준 위상으로 리셋트하는 FM 캐리어 리셋트 방식[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소) 63-274290호에 따르면 FM 캐리어에 수평 상관을 가져올 수 있다. 그 결과, 하측파대 성분과 재생 화상과의 사이에 강한 상관이 생겨서 FM 캐리어의 하측파대 성분이 복조 신호에서 누설됨으로써 생기는 "비트 줄무늬 흐름(running of beatstripes)"이 재생 화면 상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근소한 화상 왜곡이 생기나 시각상 거의 문제로 되지 않는 정도이다.
여기서 수평 상관화 효과를 최대한으로 살리기 위해 중심 주파수 19MHz에서의 FM 변조 파라메터(TCI신호 대역폭:12MHz, 엠퍼시스량·1lMHz에서 12dB)를 그대로 해서 제8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 주파수를 15.5MHz로 시프트하는 저역 시프토 FM 캐리어 기록 재생 방식을 본 출원인들은 앞서 제안했다[일본국 특허 출원(평) 3-48391호]. 이 경우 재생 신호는 제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배기에 의해 2체배되고, 그리고 펄스 카운트식 FM 복조기에 의해 제8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체배된다. FM 캐리어의 하측파대는 이 최저 주파수가 14MHz TCI 신호 대역(영상 신호 대역)에 접근해 있다. 따라서, 일부의 하측파대 성분이 누설하여 화상이 왜곡되어 검지한도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가장 엄밀한 테스트로서 100%의 멀티 버스트 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경우, 멀티 버스트에 의한 화상 왜곡은 검지한도 이하에서도 파형 왜곡이 10% 정도로 된다.
그리고, 화면상의 신호 왜곡을 시각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수평 펄스 첨단부 대응 FM 캐리어 위상 리셋트 변조 방식으로 자기 테이프에 기록할 필요가 있다.
이하, 이러한 변조 방식의 한 예를 설명한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TCI 신호로부터 수평/수직 펄스 분리 회로(61)에서 수평 및 수직 펄스를 분리하고 이것에 로크시켜서 마스터 클럭 발생기(62)를 움직인다. 이 경우 TCI 신호의 라인 주기가 휘도 신호(Y)의 2라인 주기에 대등해지도록 하면(제6도 참조), TCI 엔코더의 동기반(同期盤)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VTR(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내의 신호 처리용 클럭계를 일원화할 수 있다.
TCI 신호는 프리 엠퍼시스 회로(63)에서 고역이 강조된 후, 프톤트 포치 캐리어 리셋트 펄스 발생기(65)·수평 펄스 첨단 캐리어 리셋트 펄스 발생기(66)·AFC용 기준 주파수 발생기(67)이 접속되어 있는 FM 변조용 멀티바이브레이터(64)에 입력된다. 여기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TCI 신호의 프톤트 포치부 내웅 FM 캐리어의 위상을 기준 위상에 리셋트한 후 수평 동기 첨단부 대응 FM 캐리어의 위상을 기준 위상으로 리셋트한다. 일반적으로 리셋트에 의헤 FM 캐리어 위상에 불연속적인 변화가 생기고, 이 부분을 FM 복조하면 여기서 과도 왜곡이 발생하므로 수평 동기 펄스부에서의 과도 왜곡의 발생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먼지 프론트 포치부 대응 FM 캐리어의 위상을 리셋트하여 여기서 과도 왜곡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수평 펄스 첨단부 FM 캐리어의 위상 리셋트에서는 FM 캐리어 위상의 불연속 변화는 생기지 않고 FM 복조시에 이 부분에서는 리셋트에 따른 과도 왜곡은 발생시키지 않는다[일본국 특허 출원(평) 3-17980호]. 상기 리셋트 후,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FM 캐리어는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69)에서 주파수 변환된다. 국부 발진기(68)에서 아날로그 멀티클라이어(69)로 전송된 신호(48.6MHz)는 마스터 클럭에 동기해 있다.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69)의 출력 신호는 저역 필터(70)에 입력되고, 주파수 편차(△f)는 2.6MHz로 유지된 상태에서 중심 주파수만을 15.5MHz로 시프토시킨 FM 캐리어를 분리한다. 또, FM 변조용 멀티 바이브레이터(64)에서 출력되는 FM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f0)를 64.1MHz로 설정한 이유는 FM변조용 멀티 바이브레이터(64)의 출력 파형이 삼각파이기 때문에 생기는 제3고조파를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밀도 기록을 위해 캐리어의 주파수를 낮게 하는 경우, 제8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4체배복조 방식에서는 FM 복조기의 출력 신호에 있어서 4체배의 FM 캐리어의 하측파대와 복조 신호 대역 사이의 주파수 간격이 작아서 저역 필터에서 하측파대를 제거하려고 해도 일부는 복조 영상 신호에 혼입해 버린다. 또, 캐리어 리셋트 기록을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비트 줄무늬 흐름"이 생겨서 화질이 나빠진다.
캐리어 리셋트 기록을 행한 경우, "비트 줄무늬 흐름"이 생기지 않지만 혼입한 하측파대에서 화질이 왜곡된다. 특히 100%의 멀티 버스로 신호의 기록 재생에서는 화상 왜곡은 검지한도 이하라도 파형 왜곡은 10%정도가 된다. 즉, 므와레(moire)는 생기지 않으나 파형 왜곡이 여전해서 충분히 양호한 화질올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화질이 얻어지는 자기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지 위해, 본 발명의 자기 재생 장치는 광대역의 영상 신호에서 캐리어를 주파수 변조하여 얻어진 FM신호를 기록한 자기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자기 기록 매체에서 얻어진 재생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를 복조하는 자기 재생 장치로서, 재생 신호를 고주파수로 시프트시키는 주파수 변환기와, 재생신호를 고주파수로 시프트시킨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를 복조하는 펄스 카운트식 FM 복조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복조된 영상 신호에 재생 신호가 혼입하기 어려워지고, 따라서 파형 왜곡이 적은 영상 신호가 얻어지므로 화질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우수한 점은 이하의 기재로 충분히 알 수 있고, 또 본 발명의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다음 설명으로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제1도 내지 제2도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VTR(1) 내의 자기 테이프에서 독출된 재생 신호가 헤드 증폭기/등화기(2)에서 증폭된 후 주파수 변환용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3)에 입력된다.자기 테이프의 주행 속도는 수평/수직 펄스 발생기(11)에서 발생되는 동기 필스에 기초하여 캡스턴/드럼 서보회로(12)에 의해 제어된다. 수평/수직 펄스 발생기(11)는 마스터 클럭 발생기(4)에서 발생되는 주파수가 해제된 97.2MHz인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 펄스를 발생한다.
자기 테이프에는 FM 캐리어가 캐리어 리셋트 기록 방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헤드 증폭기/등화기(2)에서는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된 FM 캐리어(중심 주파수 15.5MHz, 대역폭 12MHz)가 출력된다.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3)에는 국부 발진기(5)에서 24.3MHz의 정현파 신호가 입력된다. 정현파 신호는 마스터 클럭 발생기(4)에서의 마스터 클럭에 로크되어 있다.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3)에서는 정현파 신호와, 헤드 증폭기/등화기(2)에서의 FM 캐리어가 아날로그 승산된다. 따라서,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FM 캐리어는 중심 주파수가 8.8MHz의 캐리어(저역 시프트된 FM 캐리어)와 중심 주파수가 39.8MHz인 FM 캐리어(고역 시프트된 FM 캐리어)로 변환된다 또,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3)의 출력에는 국부 발진기(5)에서의 정현파 신호가 거의 누설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3)에서의 출력은 차단 주파수가 22MHz인 고역 필터(6)을 통해 펄스 카운트식 FM 복조기(7)에 입력된다. 고역 필터(6)에서는 15MHz 이하인 스팩트럼은 충분히 감쇠되어 제2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 주파수 39.8MHz에서 대역폭이 12MHz로 유지된 고역 시프트된 FM 캐리어가 추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3)과 고역 필터(6)에 의해 FM 캐리어의 고역 시프트 수단(20)이 구성되어 있다.
FM 복조기(7)의 출력에는 제2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조 신호(대역폭 12MHz), 고역 시프트된 FM 캐리어의 제2고조파(중심 주파수 79.6MHz, 대역폭 24MHz), 고역 시프트된 FM 캐리어의 제6고조파 등이 혼재하고 있으나, 제2고조파의 하측파대와 복조 신호 대역과의 사이에 충분한 주파수 간격이 있다, 따라서, FM 복조기(7)의 출력 신호를 차단 주파수가 13MHz인 저역 필터(8)에 입력함으로써 복조 신호만을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복조 신호의 파형 왜곡이 저감된다.
또 펄스 카운트식 FM 복조기(7)로의 입력 신호에 고역 시프트된 FM 캐리어 이외에 그것의 우수차의 고조파 성분 또는 저조파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면 출력 신호에는 상기 이외의 고조파 성분이 포함됨과 동시에 복조 신호의 파형 왜곡도 발생하므로 입력 신호의 파형 왜곡을 작게 해두는 것이 좋다.
헤드 증폭기/등화기(2)에서의 FM 캐리어는 기준 버스트 신호 검출기(9)에도 입력된다. 기준 버스트 신호 검출기(9)에서는 수평 펄스 첨단부 대응 FM 캐리어부가 추출된다(이하, 추출된 신흐를 버스트 신호라고 한다). 버스트 신호에서 지터가 검출되고 이것에 기초하여 타임 베이스 콜렉터(TBC) 회로(10)에 데이타를 기입하기 위한 트리거 펄스가 발생된다.
저역 필터(8)에서의 복조 신호는 트리거 펄스에 따라 타임 베이스 콜렉터(TBC) 회로(10)에 기입되고, 마스터 클럭 발생기에서의 클럭 펄스 및 트리거 펄스에 동기하여 독출된다. 이와 같이 해서 복조 신호의 시간축 보정이 행해진 후 TCI 신호로서 TCI 디코더(도시하지 않음)로 전송되어 휘도 신호(Y), 색차 신호(PR) 및 색차 신호(PB)가 얻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기준 버스트 신호 검출기(9)가 지터 보정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지닌다. 고역 시프트 전의 FM 캐리어에 기초하여 행해지는 지터 보정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변조시의 입력 신호[S(t)]는 단일 주파수(fp), 일정한 진폭(a)를 갖는 여현파 신호라 하고, 시각(t)에 있어서,
S(t)=a·cos(2fpt)
로 나타난다고 하자. 진폭이 Ac, 중심 주파수가 fc인 캐리어를 S(t)에서 주파수 변조하여 얻어지는 FM 캐리어는,
Fc(t) =Accos{27fct+△f/fp·sin(2fpt) }
로 된다. 여기서, △f는 주파수 편이이다.
자기 테이프에서 재생된 FM 캐리어는 보통 시간적 변동, 즉 지터가 있다. 지터를 △t로 하면 FM 캐리어는,
Fc(t+△t) =Accos[2πfc(t+△t) +△f/fp·sin{2πfp(t+△t) }]
로 된다.
한편, 국부 발진기(5)에서 마스터 클럭 발생기(4)의 마스터 클럭에 클럭된 주파수(f0), 진폭(A0)의 여현파,즉
Fo(t) =Aocos(2πfot)
가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3)에 입력되어 있다면 그 출력은,
로 된다.
우변의 제1항을 G(t+△t)로 하고,
로 정의하면 Gl(t+△t)를 고역 필터(6)에서 추출하여 FM 복조(즉, 주파수 변별)하여 얻어지는 복조 출력(Hl)은,
로 된다.
△t는 자기 테이프의 주행 속도의 변화 및 자기 테이프의 신축에 의해 생긴다. 변동에 기인하는 지터 스팩트럼은 수 100Hz 이하이고, 신축에 기인하는 지터 스팩트럼은 수 KHz에 달한다. 스팩트럼 강도는 주파수에 반비례하여 저하하므로, 통상 d(△t)/dt 《1로 하면 된다. 따라서,
한펀, 수평 펄스의 첨단부에 대응한 FM 캐리어 부분을 F/t)로 하고, 그 주파수를 fs로 하면,
FS(t)) =Ac cos(2πfs t)
재생시에 버스트 신호도 마찬가지로 시간적 변동 △t를 가지므로,
FS(t+△t) =Ac cos{2πfs(t+△t)}
로된다.
따라서, 고역 시프트된 FM 캐러어 복조 신호의 지터 보정용 기준 신호로서 고역 시프트 변환 전의 FS(t+△t)를 사용함으로써 지터 보정이 가능하다.
또, 상기 국부 발진기(5)에서의 발진 신호 주파수를 수평 주파수의 정수배로 설정해서 발진 신호의 위상을 수평 펄스에 동기시키도록 하면 므와레가 발생해도 화면 상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고역 시프트 전의FM 캐리어가 아날로그 멀티 플라이어(3)에서 출력으로 누설한다고 해도(DU비로 30dB 정도), 시각상 눈에 보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제3도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는 국부 발진기(5a)의 발진 신호를 기존 버스로 신호 검출기(9)에서의 트리거 필스에 로크시키고 있는 점에서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다. 국부 발진기(5a)의 발진 신호는 아날로그멀티플라이어(3)에 입력됨과 동시에 기입용 클럭으로서 TBC 회로(10a)에도 입력된다.
상기 구성에서 국부 발진기(5a)의 출력은,
로 된다. 이때의 복조 출력을 Hl(t+△t)로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치로 계산하면,
따라서, 이 경우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터 보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제4도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예의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는 TBC 희로(10a)에 데이타를 기입하기 위한 트리거 필스를 발생시키기 위해 기준 버스트 검출기(9)와는 별도로 제2기준 버스로 신호 검츨기(15)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상기실시예와는 다르다.
제2기준 버스트 신호 검출기(15)에서는 고역 필터(6)에서 출력되는 고역 시프트된 FM 캐리어에서 수평펄스 첨단부 대응부가 추출된다(이하, 추출된 신호를 제2버스트 신호라 한다). 제2버스트 신호에서 지터가 검출되고, 이것에 기초하여 TBC 회로(10a)에 데이타를 기입하기 위한 트리거 펄스가 발생된다.
고역 시프트된 FM 캐리어를 Gs(t+△t)로 하면,
따라서, 지터 보정용 기준 신호로서 Gs(t+△t)를 사용함으로써 지터 보정이 가능하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 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명백히 하는것으로 그와 같은 구체예에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할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8)

  1. 영상 신호에서 캐리어를 주파수 변조하여 발생된 주파수 변조 신호가 기록된 자기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자기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재생 신호에 응답하여 재생 신호를 고주파수 영역으로 시프트시켜 시프트된 재생 신호를 제공하는 주파수 변환기, 상기 고주파수 영역으로 시프트된 상기 시프트 재생 신호를 복조하여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펄스 카운트식 FM 복조기, 상기 영상 신호를 데이타로서 기입하고, 이 기입된 데이타를 기준 클럭에 동기하여 독출하는 타임 베이스 콜렉터 회로(time-base corrector circuit) 및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 신호의 일부분 또는 고주파수 영역의 상기 시프트된 재생 신호의 일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신호의 추출부의 위상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의 기입 동작을 트리거하는 트리거 펄스를 발생시키는 기준 버스트 신호 검출기를 포함하되, 상기 일부분은 수평 펄스의 첨단부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발진 신호를 발생하는 국부 발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변환기는 상기 발진신호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상기 재생 신호를 승산하는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버스트 신호 검출기가 상기 타임 베이스 콜렉터 회로에 트리거 펄스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상기 재생 신호의 일부분을 출출하는 제 1 기준 버스트 신호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발진 신호를 발생하는 국부 발진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변환기는 상기 발진신호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상기 재생 신호를 승산하는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재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기는 상기 기준 버스트 신호 검출기의 트리거 펄스와 위상 동기된 발진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재생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마스터 클럭 발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국부 발진기는 상기 마스터 클럭 발생기에 응답하는 발진기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재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환기는 상기 발진 신호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상기 재생 신호를 승산하는 아날로그 멀티플라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재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버스트 신호 검출기가 상기 타임 베이스 콜렉터 회로로 상기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고주파수 영역으로 시프트되는 상기 시프트 재생 신호의 일부분을 추출하는 기준 버스트 신호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 신호의 일부분을 추출하는 다른 기준버스로 신호 검출기 및 상기 제1기준 버스트 검출기의 트러거 펄스와 위상 동기되고, 기입 클럭 신호로서 상기 타임 베이스 콜렉터에 공급되는 발진 신호를 발생하는 국부 발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재생 장치.
KR1019920012195A 1991-07-10 1992-07-09 자기 재생 장치 KR960006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69914 1991-07-10
JP3169914A JP3053910B2 (ja) 1991-07-10 1991-07-10 磁気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017A KR930003017A (ko) 1993-02-23
KR960006332B1 true KR960006332B1 (ko) 1996-05-13

Family

ID=15895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195A KR960006332B1 (ko) 1991-07-10 1992-07-09 자기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77053A (ko)
EP (1) EP0522867B1 (ko)
JP (1) JP3053910B2 (ko)
KR (1) KR960006332B1 (ko)
CA (1) CA2073519C (ko)
DE (1) DE69217750T2 (ko)
ES (1) ES209788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03469B4 (de) * 1993-02-06 2005-11-10 Deutsche Thomson-Brandt Gmbh S-VHS-Videorecord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4885A (en) * 1979-05-21 1980-12-02 Olympus Optical Co Ltd Synchronizing signal separation system
JPS56110392A (en) * 1980-02-06 1981-09-01 Hitachi Ltd Compensator for fluctuation of time axis
JPS58161595A (ja) * 1982-03-19 1983-09-26 Toshiba Corp カラ−テレビジヨン信号変換回路
CA1214868A (en) * 1982-11-19 1986-12-02 Junzo Tokunaka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video and audio signals
US4591930A (en) * 1983-09-23 1986-05-27 Eastman Kodak Company Signal processing for high resolution electronic still camera
US4843334A (en) * 1986-12-09 1989-06-27 Canon Kabushiki Kaisha Frequency demodulator operable with low frequency modulation carriers
JPS63185177A (ja) * 1987-01-27 1988-07-30 Sony Corp 周波数変調回路
JPH01264492A (ja) * 1988-04-15 1989-10-20 Sharp Corp Vtr記録再生映像信号のジッタ検出装置
JPH0632467B2 (ja) * 1987-05-01 1994-04-27 シャープ株式会社 Vtr記録再生映像信号のジッタ検出方法
US5045950A (en) * 1987-05-01 1991-09-03 Sharp Kabushiki Kaisha Circuit for detecting and compensating for jitter produced by 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6482572A (en) * 1987-09-24 1989-03-28 Mitsubishi Electric Corp Gaas solar cell
JPH01305785A (ja) * 1988-06-03 1989-12-11 Sharp Corp ジッタ補正装置
US4987491A (en) * 1989-01-20 1991-01-22 Sanyo Electric Co., Ltd. Jitter compensation circuit for processing jitter components of reproduced video signal
US5062005A (en) * 1989-02-01 1991-10-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disc reproducing apparatus
JPH02218278A (ja) * 1989-02-20 1990-08-30 Sony Corp Fm変調回路
JP2507821B2 (ja) * 1990-03-13 1996-06-19 シャープ株式会社 キャリアリセットfm変調器
JPH0481181A (ja) * 1990-07-23 1992-03-13 Sony Corp ビデオディスク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22867B1 (en) 1997-03-05
JP3053910B2 (ja) 2000-06-19
EP0522867A2 (en) 1993-01-13
CA2073519A1 (en) 1993-01-11
DE69217750D1 (de) 1997-04-10
US5377053A (en) 1994-12-27
EP0522867A3 (en) 1993-07-07
ES2097880T3 (es) 1997-04-16
JPH0520787A (ja) 1993-01-29
DE69217750T2 (de) 1997-09-04
CA2073519C (en) 1997-01-21
KR930003017A (ko) 199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23998B2 (ja) 情報信号記録方法
KR960006332B1 (ko) 자기 재생 장치
JPS59186492A (ja) カラ−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US4334249A (en) Apparatus for use in recording a pulse signal on a magnetic recording medium
JPH019569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3274290A (ja) Vtr記録再生映像信号のジッタ検出方法
JP2569584B2 (ja) カラ−映像信号変換方法
JP2627299B2 (ja) 光学式記録再生方式
JPS6370690A (ja) 録画再生装置
CA2043772C (en) Magnetic reproducing apparatus and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0646455A (ja) 磁気再生装置
JPS6370691A (ja) 録画再生装置
KR880000412Y1 (ko) 칼러 영상신호 기록장치
JPS605117B2 (ja) カラービデオ信号の記録再生方式
JPH0142550B2 (ko)
JPS5946478B2 (ja) カラ−ビデオ信号の記録再生方式
JPS62224190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S6360685A (ja) 録画再生装置
JPS59172896A (ja) カラ−映像信号再生装置におけるクロツクパルス発生回路
JPS59200594A (ja) クロマ信号処理回路
JPS5859692A (ja) 搬送色信号の記録装置
JPH0551980B2 (ko)
JPS5832834B2 (ja) 情報信号記録方法
JPH0224437B2 (ko)
JPS6313490A (ja) 多重化情報信号記録再生方法及びその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