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187B1 -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187B1
KR960006187B1 KR1019880700928A KR880700928A KR960006187B1 KR 960006187 B1 KR960006187 B1 KR 960006187B1 KR 1019880700928 A KR1019880700928 A KR 1019880700928A KR 880700928 A KR880700928 A KR 880700928A KR 960006187 B1 KR960006187 B1 KR 960006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sensor
fluid
channel
ball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0207A (ko
Inventor
카이 히드
안네 위켄가드-히드
Original Assignee
타이거홀름 악티에보라크
라스 타이거홀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거홀름 악티에보라크, 라스 타이거홀름 filed Critical 타이거홀름 악티에보라크
Publication of KR890700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0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inflat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402Cleaning, repairing, or assembling
    • Y10T137/0441Repairing, securing, replacing, or servicing pipe joint, valve, or tank
    • Y10T137/0458Tapping pipe, keg, or tank
    • Y10T137/0463Particular aperture forming means
    • Y10T137/0475Having deformable or inflatable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612Tapping a pipe, keg, or apertured tank under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612Tapping a pipe, keg, or apertured tank under pressure
    • Y10T137/6123With aperture form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필요한 위치에 센서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 설치유닛으로 구성되는데, 이 설치 유닛은 상기 유체도관의 표면영역 주위를 밀봉하도록 배열되며, 폐쇄될수 있고 상기 표면영역으로 향하는 채널을 갖추고 있다.
유체도관내에서 예컨내, 새로운 장치의 연결, 밸브 설치 등의 작업을 필요로 할 때, 통상 시스템은 필요한 만큼 비워져야 하며 이것은 많은 시간을 요하는 절차가 된다. 상기 작업후 시스템에는 새로운 유체가 공급되어야 하며, 이것은 많은 경우에 부식의 위험이 증가되기 때문에 불리한 것이다. 예컨내, 도관시스템을 비우지 않고서 분기도관을 연결하기 위해 분할 T-섹션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으며 이 분할T-섹션은 압력하에 있는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가 완료되었을 때 특정위치에 폭발력이 작용하여 T-섹션의 내부에 있는 파이프에 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장치는 파이프를 차단할 수 없으여 단지 분기 케이블 연결시에만 적당하다.
또한, 파이프 도관 시스템에서 누설이 발생한 경우 유체공급을 차단하는 간단하고 빠른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압 유체 도관 시스템을 비우지 않고 현존 설비내에서의 차단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해결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센서의 설치가 필요한 위치에 있는 도관 위로 설치 유닛을 장착하여 도관 표면의 구멍형성영역의 주변환경에 대한 밀봉을 확보하는 단계, 주위환경에 대해 밀봉된 채널을 통해 설치유닛 안쪽으로 구멍형성장치를 삽입하는 단계, 주위환경에 대해 밀봉을 유지하는 상기 영역의 도관에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 밀봉된 채널 및 형성된 구멍을 통해 센서를 삽입해 도관내에 위치시키는 단계들로 특징지워지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차단장치가 상기 밀봉된 영역에 있는 상기 도관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형성된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밀봉된 영역에 연결된 상기 도관내에 위치될 수 있는 연장 가능한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이 도관내에 삽입된 구멍형성장치에 대해 치밀하게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주변환경으로의 유체 누설을 방지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예시된 실시예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첨부도면중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에 포함된 설치유닛을 나타내고, 제2도는 도관상에 장치된 설치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설치유닛의 일부의 횡단면도이고, 제4도 내지 제7도는 본발명에 다른 차단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부품들을 나타내고, 제8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유닛의 단면도이고, 제9도는 도관에 구멍이 형성되는 단계에서의 설치유닛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제10도는 차단중의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의 실시예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제11도는 밸브가 설치되고 있는 단계에서의 제10도에서와 같은 설치유닛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제12도 내지 제16도는 본 발명을 사용해 도관상에서 차단작업이 행하여질 경우의 다른 응용예를 나타낸다. 제17도는 유체도 채워진 도관내에 탐침을 설치하는 예를 나타낸다.
제1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에 포함되는 부품들과 그들의 조립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차단장치는 하나의 설치유닛(1)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설치 유닛(1)은 예컨대, 물 또는 다른 액체 가스등과 같은 가압유체로 충전된 도관(4)을 함께 둘러싸는 두개의 2분할 부품(2,3)으로 구성된다. 2개의 2분할부품(2),(3)은 주로 원통형인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고 나사 유니언과 같은 연결장치를 위한 플랜지들(5,5',6,6')을 갖추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나사(8)가 사용되는데, 이들은 플랜지(5,5')의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다른 플랜지(6,6')에 있는 나사구멍 안으로 결합된다. 2개의 2분할 부품은 도관의 원통표면(9)를 밀봉하기 위한 의도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원통형 껍질형태로 된 안쪽으로 오목한 내측면들(10)을가지고 있으며 원통형의 구멍을 한정하여 파이프를 밀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멍은 전체 설치유닛(1)을통해 연장되어 있으며, 두개의 원형개구부를 갓고 있는데, 도관(4)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구멍을 통과하게된다. 하나의 가스킷(11)이 양호한 밀봉을 위해 제공되는데 원통형내측면(10)과 하나의 2분할부품(2)의 일부와 도관(4)사이에 장착된다. 이 가스킷(11)의 바로 앞에 연결편(12)이 있는데, 이것의 형태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연결편은 도관(4)에 직각인 직선채널(13)을 갖는데, 이 채널은 하나의 개구부(14)에서 하나의 2분할부품(2) 안으로 이어진다. 상기 채널(13)은 원형형단면을 가지며, 또한 정상적인 경우 플러그, 밀봉캔(16) 등에 의해 폐쇄되도록 제공된 하나의 개구부(15)를 가진 외측단부를 갖고 있으며, 연결편(12)의 외측단부 둘레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도 설치유닛의 한쪽단부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관 커플링, 밸브등과 직접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2분할 부품(2),(3)은 적어도 한쪽 단부에 외측나사부분을 가진 차단밸브(18)과의 연결을 위해 내측나사를 가진 장착플랜지(17)을 갖는다.
본 장치에 결합되는 다른 부품들은 제4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4도는 플라스틱 또는 스틸과 같은 것으로 만들어진 원추형태의 보호슬리이브(20)를 나타내는데, 이것의 목적은 좀더 자세히 후술될 것이다. 제5도는 고탄성재료, 예를 들어 고무로된 풍선(21)을 나타내는데, 따라서 이것의 형태는 크게 변화될수 있다. 상기 풍선(21)은 길이 방향으로 팽창하며, 제5도에 도시된 중립 상태에서 주로 원통형 밀폐표면(22)과 원통형구멍(23)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원형인 횡단면 형태를 나타낸다. 그 한쪽 단부(24)에서 상기 풍선은 밀폐되어 있고, 그 반대 단부에는 개구부(2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개구부(25)의 둘레에는 변부테(26)가 제공된다. 상기 풍선은 그 개구부(25)에서 압축공기원 또는 가압유체원에 연결되어 아래에 상술되는 방법으로 팽창하여 도관(4)을 차단하기 위한 센서를 형성하게 된다. 제6도는 드릴팁(28)과 절삭날(28)을갖는 특수 트릴(27)을 나타내는데, 그 길이는 뚫려질 재료의 두께에 적합하다. 또한 이 드릴(27)은 재료가 관통되었을 때 상기 드릴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플랜지(30)을 갖는다. 상기 드릴의 상단부(31)는 통상의 전기드릴 장치의 척에 연결되는 고정단부를 형성한다. 제7도는 클램핑너트(33)를 가진 지지밸브(32)를 나타내는데 상기 밸브는 상기 너트에 의해 연결편(12)의 상단부에 있는 나사부에 확실이 나사결합된다. 상기밸브는 그 상단부에 있는 개구부(60)를 통해 가압유체 도관에 연결될 내부 관통 지지밸브채널(34)을 갖는다, 이 지지밸브 채널(34)의 하단부는 풍선(21)이 삽입될 부분(36)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35)를 가진다. 또한, 상기 밸브는 풍선의 변부테(26)를 위한 지지대를 형성함으로써 풍선을 위한 고정장치를 형성하는 목 형태의 시트(37)를 갖는다. 또한, 지지밸브(32)는 바람직하게도 그것이 압력을 받고 가압유체용 연결도관이 제거된 때 풍선내에 과압을 유지하도록 비복귀밸브(도시 안됨)를 갖는다.
본 발명은 사용하는데 필요한 다른 부품을 채널(13)에 있는 멤브레인(38) 또는 가스킷(제1도 참조)이 있다. 이것은 연결편(12)내에 위치되고, 드릴의 삽입시 아래로 회전할 수 있고 드릴의 제거후 형성되는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원위치될 수 있는 텅(40)를 형성하기 위하여 U자형 분쇄성 결각부를 갖도록 적당히 형성된다. 연결편(12)의 상단부에는 액슬 가스킷(39)이 드릴(27)의 작동중 그 드릴 둘레를 밀봉하기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이 액슬 가스킷(39)은 중앙구멍을 갖는데 이 구멍의 직경은 드릴의 벽에 접촉하여 밀봉을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에 의한 가압 유체용 도관의 차단은 다음의 방법으로 수행된다. 설치유닛(1)은 유체 또는 가스의 차단이 요구되는 장소에 있는 도관(4)둘레에 설치된다. 이 설치유닛은 그 크기가 당해 도관(4)의 외경에 적합하도록 선택된다. 처음에, 상기 설치 유니트의 2개의 2분할부품(2,3)은 분리되어 도관의 양쪽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다음, 가스킷이 단단히 끼워져 설치유닛(2)과 도판(4)의 외측면사이의 영역이 밀봉되도록 비교적 강하게 조일 수 있는 상기 나사들(8)에 의해 서로 단단히 결합된다. 이때, 밀봉캡(16)이 나사결합되어 멤브레인(38)은 파괴되지 않는다. 설치유닛(1)이 완전히 설치된 경우 상기 밀봉캠(16)을 제거함으로써 채널(13)의 개구부(15)가 노출된다.
드릴의 고정단부(31)가 드릴장치의 척에 고정되고 상기 드릴이 채널(13)속으로 하강되어 멤브레인(38)을 향해 배치되었을 때 구멍형성 단계가 시작된다. 그 결과 형성된 텅(40)는 아래로 회전하여 멤브레인 내의 개구부(41)가 노출된다(제9도 참조) 드릴의 외경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채널(13)의 내경에 상응하여 상기드릴은 상기 채널속으로 양호하게 안내될 수 있으며, 그동안 상기 드릴은 액슬 가스킷(39)에 의해 접촉되어 밀봉이 형성된다. 그 다음, 상기 드릴(27)은 도관에 구멍을 내기위해 드릴팁(28)이 도관의 외측 표면에 접촉되는 동안 회전하게 된다. 상기 드릴이 도관의 벽을 관통하였을 때 정지플랜지(3)는 연결편(12)의 상단부와 접촉할 것이고 불필요한 더이상의 전진을 방지하며 드릴척이 액슬가스킷(39)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그후, 상기 드릴(27)은 제거되고, 텅(40)는 자체의 탄성과 도관내부의 과압에 의해 본래의 밀봉위치로 되돌아온다. 상기 분쇄성 결각부는 채널(13)의 넓은부분(42)으로부터 드릴의 직경에 상응하는 폭이 좁은 부분사이의 변화부에 있는 칼라표면(58)에 의해 텅(40)이 지지되는 동안, 그 표면들이 서로에 대해 밀봉되도록 각지게 모따기된다.
드릴(27)로 구멍을 형성한 후 지지밸브(32)가 끼워진 풍선(21)을 장착하는 단계가 이루어진다. 먼저, 풍선(21)이 밸브의 전단부(36)위로 끼워지고, 그 후 밸브의 지지밸브채널(34)은 그 개구부(35)가 풍선의 내측안으로 개방되며, 이때 변부테(26)는 효과적인 방식으로 밸브시트(37)과 접촉 밀봉되어 상기 풍선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상기 밸브의 단부(60)는 부싱(45)에 의해,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유체용 튜브(44)에 연결되는데 상기 부싱은 가압유체용 튜브의 단부에 제공되어 밸브의 단부에 있는 나사부(61)내에 나사결합된다. 가압유체용 튜브(44)의 다른 단부는 가압유체, 예컨대 압축된 공기 또는 물과 같은 가스 또는 액체의 가압유체 공급원에 연결된다. 가압매체가 튜브(44)를 통해 공급되기 전에,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선이 끼워진 밸브는 연결편(12)의 채널(13)내에 설치된다. 그러나 그 전에 보호슬리이브(20)가 밸브상에 위치되어 그것의 원추형태로 인해 슬리이브는 밸브상의 원추형부분(46)과 접촉하게 된다(제7도 참조). 이 부품은 드릴(27)에 의해 도관(4)의 벽에 형성된 구멍(47)안에서 풍선(21)을 보호한다. 또한, 밸브의 외경은 드릴(27)의 외경에 상응하고 밸브를 밀봉하는 액슬 가스킷(39)과 채널(13)에도 일치한다. 또한, 슬리이브(20)는 풍선내의 물질과 관련하여 약간의 밀봉을 제공한다. 밸브의 클램핑너트(33)는 연결편(12)의 외측단부상의 외측나사와 일치하는 내측나사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너트(33)는 연결편(12)에 나사결합된다.
이제, 차단장치는 가압유체도관(4)의 유체채널속의 적소에 풍선(21)을 유지시킴으로써 차단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다. 차단되어야 할 유체와는 완전히 다른 타입의 유체일 수 있는 가압유체가 가압유체튜브(44)를 거쳐 지지밸브(32)의 지지밸브채널(34)를 통해 공급된다. 밸브를 통과한 가압매체가 개구부(35)를 통과해 흘러나오면 상기 풍선(21)은 그 내부영역(26)에 형성되는 증가된 압력과 풍선재료의 탄성때문에 팽창하게 된다.
일정량이 풍선안으로 흘러들어오거나, 풍선내부에 제10도에 파선으로 표시된 풍선의 형태 및 크기에 상응하는 일정 압력이 형성된 때, 풍선의 벽이 팽창되어 도관(4)의 전체 내측표면을 밀봉하게 될 때 밸브에 가해지는 가압매체의 공급이 중단된다. 공급량 또는 압력은 측정기구(도시 안됨)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풍선의 팽창은 도관(4)내에 존재하는 압력과 도관속을 흐르는 유체에 대항해 일어나며, 유체는 배수위치에 있는 도관에서 차단된다. 따라서 유체는 한쪽 방향으로부터 공급되어 화살표(67)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흐른다.
풍선을 팽창시키는 가압매체가 더이상 공급되지 않을 때, 풍선은 계속하여 팽창된 상태에 있게 되는데,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안에 설치된 비복귀밸브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 다음, 화살표(67)에 따른 흐름의 방향으로 배치된 도관(4)부분은 많은량의 유체가 유출될 위험없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관이 잘려진 다음 차단밸브(18)의 나사부분(19)이 설치유닛(l)상의 나사플랜지(17)위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차단밸브(18)가 자체의 조정장치(48)에 의해 폐쇄상태로 전환될 때, 비복귀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풍선내의 가압매체가 방출되어 풍선내의 과압이 제거되며, 따라서 풍선은 중립위치로 복귀하며 풍선이 장착된 밸브는 클램핑너트(33)가 풀린 후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멤브레인(38)은 밸브가 액슬가스킷(39)을 통과하기 전에 밀봉위치로 복귀되어 도관(4)으로부터 가압매체가 가압매체가 누설되지 않게 한다. 그 다음, 적당한 밀봉요소를 갖추고 있어 개구부(15)를 밀봉, 폐쇄하는 밀봉캔(16)이 설치된다. 그 다음, 요구되는 작업이 차단밸브(18) 건너편의 도관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2 및 3도는 전술한 실시예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것은 밀봉캡(16)을 대체할 수 있는 분할된 도관편을 갖는데, 구멍 형성 및 차단 단계 전후에 외측나사(50) 위로 직접 나사결합되어 차단 단계 후에 밀봉캡(16)이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분할 도관편은 연결편(12)에 상응하지만, 제12 내지 16도에 도시된 여러 설치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영구적인 설치시에는 더 작은 공간이 소요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제12도는 하나의 설치예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도관은 설치유닛(1)의 근처에서 절단된다. 도관은 또 다른 위치에서 절단되어 도관의 일부가 제거되어 차단밸브(18)룔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차단밸브(18)는 기존의 도관연결장치들(51,52)에 의해 밸브의 양측부상에서 도관에 결합된다. 제13도는 도관(4)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차단장치의 측면도이다. 제14도는 폐쇄 시스템에서의 설치예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두개의 설치유닛(1)은 차단 작업이 수행될 부분의 양측부상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차단밸브(18)가 제1도에 따른 예에 상응하도록 설치유닛(1)에 직접 장치된다. 도관연결장치(53)에 의해 예컨대, 유량계와 같은 장치가 연결되는데, 결과적으로 시스템의 내용물을 제거하지 않고도 상기 연결작업이 실행될 수 있다. 이 졍우에, 상기 2개의 설치유닛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된 후 전술한 절차에 따른 차단은 2개의 위치 사이의 도관을 잘라내기 전에 실행된다. 제15도는 필요한 도관연결장치(56)(57)에 부가해 분기도관(55)이 연결되는 예를 나타낸다. 제16도는 중간 도관연결기(59)를 통해 차단밸브(18)를 연결하는 다소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7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유체도관(4)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일반원리에 포함되는 것이다. 그것은 도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센서(65)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상기센서(65)는 도관(4)내에 있는 유체의 어떤 파라미터를 측정하기 위한 탐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라미터는 온도, 압력, 유량, 유속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풍선을 지지하는 지지밸브(32)의 설치에 관한 전술한 방법에 의해 설치되는 막대형태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구멍이 드릴(27)에 의해 형성되고 측정 또는 기타의 공정 제어용 센서(65)가 많은 량의 유체가 누실됨이 없이 연결편(12)의 직선채널(13)속으로 삽입된다. 이것은 예컨대, 제10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수단이 포함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텅(40), 액슬가스킷(39) 및 클램핑너트(33)가 포함된다. 상기 센서(65)는 채널(13)의 크기에 적합한 외측크기를 갖고 또한 정지플랜지(30)를 갖는다. 통상의 방법으로, 센서(65)는 예컨대 케이블(61)을 통해, 측정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하는 장치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것 및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의 영역내에서 변경될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특수드릴 대신에 표준드릴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에 의해, 액슬가스킷과의 만죡스런 밀봉을 위해서 적당한 크기가 선택된다. 또한, 연결편(12)은 수직으로 되지 않고 풍선과 도관의 내측벽사이에 쐐기효과를 일으키기 위해 설치유닛(1)과 감싸여진 도관(4)에 관련해 기울어질수도 있다. 풍선(21)의 외측 및 내측 표면(22),(23)은 좀 더 나은 팽창특성을 갖기 위해 그리고 좀더 큰 전체표면영역을 갖기위해 주름지게 될 수도 있다. 보호슬리이브(20)는 변부테(26)에서 풍선(21)에 몰딩될 수도 있어 처리를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일반 팽창유체가 위에서 사용되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액체 및 가스 모두를 위한 도관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12)

  1. 센서(65)의 설치가 요구되는 위치에 있는 도관(4)상에 설치 유닛(1)을 장착하여 상기 설치 유닛(1)이 상기 도관(4)과 함께 폐쇄 공간을 형성하고 멤브레인(38)이 상기 도관(4)과, 그 표면의 구멍 형성 영역 주위의 상기 설치 유닛(1)과의 사이에 있는 접촉면을 따라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폐쇄 공간을 밀봉하는 단계; 상기 폐쇄 공간과 외부 환경 사이에 연결 닥트를 형성하는 채널(13)내에 드릴(27)이 삽입될 때 외부환경으로부터 상기 드릴을 밀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채널내에 삽입되는 상기 드릴과, 상기 폐쇄 공간을 밀봉하는 상기 채널 벽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액슬가스킷(39)을 포함하는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설치유닛 안으로 상기 드릴을 삽입하는 단계; 외부 환경에 대한 밀봉이 유지되는 상기 구멍 형성 영역의 상기 도관내에 구멍(47)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드릴을 제거하는 단계; 및 밀봉된 상기 채널과 상기 구멍을 통해 도관내에 상기 센서(65)를 삽입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유체로 채위진 도관(4) 내에 센서(65)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탄성적으로 닫힐 수 있는 텅(40)을 상기 도관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고 들어가 지지밸브 수단(32)이 상기 멤브레인(38)과 액슬가스킷(39)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구멍과 상기 채널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가 상기 텅과 접촉되지 않을 때는 상기 텅의 탄성 또는 상기 도관내의 유압에 의해 상기 지지밸브 수단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는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이 차단될 위치에 설치되도록 팽창 가능한 상기 센서를 상기 구멍을 통해 삽입하는 단계; 상기 도관이 차단되도록 상기 도관의 내측 횡단면 영역에 적합한 횡단면과 형상으로 상기 센서를 펭창시키는 단계; 및 필요한 작업이 종료되고 상기 센서가 상기 구멍을 통해 제거될 수 있는 형태 및 크기로 수축된 후 외부 환경에 대한 상기 밀봉을 유지하면서 상기 센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도관내에 유체를 차단하기 위한 상기 유체로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는 방볍.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가능한 센서가 그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가압 매체에 의해 팽창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하나 이상의 유체 파라미터를 측정하기 위한 탐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는 방법.
  5. 센서의 설치가 필요한 위치에 배치되어 도관벽과 함께 폐쇄 공간을 한정하도록 제공된 설치 유닛(1); 및 상기 도관과 상기 설치 유닛 사이의 접촉면을 따라 상기 폐쇄 공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하도록 선택된 영역 주위에서 밀봉 기능을 수행하는 멤브레인(38)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 유닛은 상기 폐쇄 공간과 주위 환경 사이에 연결 통로를 형성하는 하나의 채널과, 상기 밀봉 영역내의 상기 도관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을 가지며, 상기 채널은 상기 폐쇄 공간을 밀봉하기 위하여 그 안에 삽입될 상기 센서와 채널 벽 사이에 배치되는 액슬가스킷(39)을 갖도록 구성된,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지지밸브 수단이 상기 멤브레인과 액슬가스킷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밸브 수단이 탄성적으로 닫힐 수 있는 텅을 포함하고 상기 텅이 상기 채널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센서에 의해 밀릴 때 상기 도관을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가 제거될 때는 상기 텅이 다시 닫힐 수 있으며 상기 채널의 외향 개구부가 상기 채널과 같은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가능한 센서가 팽창한 후에 상기 밀봉 영역과 관련된 상기 도관의 내측면에 대한 내측 밀봉을 제공함으로써 도관이 차단되며 상기 센서가 도관내에서의 작업 완료 후 상기 구멍을 통해 제거될 수 있도록 수축 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가능한 센서가 내부 공간과 개구부를 가진 고탄성 재질의 풍선을 포함하며 상기 풍선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풍선을 팽창시키기 위한 가압 매체원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유닛이 상기 도관 주위에서 결합되도록 제공된 2개의 2분할 부품(2,3)으로 구성되고 상기 2분할부품들은 두개의 개구부를 구비한 관통 공간을 가지며 상기 도관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장치의 설치상태에서 상기 설치 유닛을 통해 그 안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되며 상기 하나의 2분할부품(2)이 상기 설치 유닛의 내부 공간의 영역에 관하여 밀봉되도록 배치된 측면을 향하는 개구부를 가지며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센서를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 영역에 접근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하나의 단부를 가진 지지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 상에는 상기 풍선이 장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지지밸브는 상기 설치 유닛의 상기 측면을 향하는 개구부에 밀봉 연결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장착된 풍선은 차단될 위치에 있는 도관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밸브는 풍선을 팽창시키기 위한 상기 가압 매체원에 연결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텅이 탄성 멤브레인 형태의 U자형 분쇄형 결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밸브가 단부가 하나의 시트를 가지며 그 위로 상기 풍선이 나사 결합되며 상기 단부는 상기 도관내에 형성된 구멍의 변부에 연결되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
  12. 제8항 내지 11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측면을 향하는 개구부가 상기 지지밸브의 횡단면 형태와 크기에 적합한 중심 구멍을 가진 상기 제2밀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
KR1019880700928A 1986-12-04 1987-12-03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960006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605208-1 1986-12-04
SE8605208A SE460073B (sv) 1986-12-04 1986-12-04 Anordning foer tillfaellig blockering av fluidumledning
PCT/SE1987/000576 WO1988004386A1 (en) 1986-12-04 1987-12-03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a body for use as a sensor or as a blocking device in a conduit containing flu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0207A KR890700207A (ko) 1989-03-10
KR960006187B1 true KR960006187B1 (ko) 1996-05-09

Family

ID=2036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928A KR960006187B1 (ko) 1986-12-04 1987-12-03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949744A (ko)
EP (1) EP0336931B1 (ko)
JP (1) JP2556370B2 (ko)
KR (1) KR960006187B1 (ko)
AU (1) AU606647B2 (ko)
CA (1) CA1294567C (ko)
DE (1) DE3780967T2 (ko)
DK (1) DK172108B1 (ko)
ES (1) ES2005962A6 (ko)
FI (1) FI90131C (ko)
NO (1) NO176414C (ko)
RU (1) RU2035002C1 (ko)
SE (1) SE460073B (ko)
WO (1) WO1988004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4727B (sv) * 1989-10-25 1991-06-03 Anne Wikengaard Heed Metod och anordning att temporaert anordna en kropp i en trycksatt ledning
JPH0810101B2 (ja) * 1991-02-04 1996-01-31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製氷機
JPH0654990U (ja) * 1991-05-20 1994-07-26 日研システム株式会社 機能部品の接続装置
US5203082A (en) * 1991-08-26 1993-04-20 Arizona Mist Outdoor Cooling Systems, Inc. Pipe insert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5269342A (en) * 1993-03-02 1993-12-14 Midland Manufacturing Corp. T-fitting
SE501299C2 (sv) * 1993-05-26 1995-01-09 Tigerholm Ab Metod för att blockera rörledningar och anordning för genomförande av metoden
SE502633C2 (sv) * 1994-04-08 1995-11-27 Tigerholm Ab Metod och anordning vid blockering av fluidum i en trycksatt ledning
DE9409254U1 (de) * 1994-06-08 1994-08-04 Franken Hans Ventil für Installationsleitungen
NL9401549A (nl) * 1994-09-23 1996-05-01 Wavin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maken van een opening in een onder druk verkerende buisleiding.
US5679904A (en) * 1996-04-30 1997-10-21 Ga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test plug for field testing pipe joints
US5721373A (en) * 1996-04-30 1998-02-24 Gas Research Institute Pneumatic fusion joint test system and method
US5853030A (en) * 1997-03-11 1998-12-29 Walding; Larry Pipe coupling with a disinfectant injection port
US5971001A (en) * 1997-05-29 1999-10-26 Dresser Industries, Inc. Fitting assembly and method for tapping into a conduit
US6035698A (en) * 1998-03-31 2000-03-14 Lewin; Henry Apparatus for testing humidity of gas stream
JP4341862B2 (ja) * 1999-06-04 2009-10-14 新日本空調株式会社 既設ダクトの更新方法
US6374685B1 (en) * 1999-10-14 2002-04-23 Siemens Automotive, Inc. Creep enhanced sensor attachment arrangement
US6220302B1 (en) * 2000-01-27 2001-04-24 Jim B. Nolley Chambered leak repairing device and method
US6773678B2 (en) 2000-03-20 2004-08-10 Endress + Hauser Conducta Gesellschaft Fur Mess Und Regeltechnik Mbh + Co. Mounting system and retractable sensor holder for analytical sensors
US6263896B1 (en) * 2000-05-23 2001-07-24 Joe L. Williams Pressure flow stop
JP3635566B2 (ja) * 2000-06-26 2005-04-06 アドバンス電気工業株式会社 センサー取付構造
GB2371572B (en) * 2001-01-30 2005-01-12 Petroleo Brasileiro Sa Methods and mechanisms to set a hollow device into and to retrieve said hollow device from a pipeline
FR2822523B1 (fr) * 2001-03-20 2004-02-20 Legris Sa Organe de jonction pour circuit hydraulique
US6901967B1 (en) * 2004-05-07 2005-06-07 Rodney C. Kuenzer Natural gas pipe repair fitting and method
US20070012364A1 (en) * 2005-07-18 2007-01-18 Ali Marandi Valve assembly
JP5010294B2 (ja) * 2007-01-22 2012-08-29 エクセル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中空成形体の壁に形成した透孔の封止構造
CN101132657B (zh) * 2007-09-21 2011-09-21 赵永镐 聚四氟乙烯加热制品及其制造方法
GB0803297D0 (en) * 2008-02-22 2008-04-02 Htc Man Services Lin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ining a conduit
WO2011071531A1 (en) * 2009-12-11 2011-06-16 Stoker Inventors Group, Inc. Showerhead cleaning and disinfecting system and method
JP6049408B2 (ja) * 2012-11-08 2016-12-21 ニッタ株式会社 継手ナット部の緩み防止機構
CN106248490A (zh) * 2016-07-20 2016-12-21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压力管道快速试压接头及试压方法
IT201700056889U1 (it) * 2017-05-25 2018-11-25 Faster Spa Attacco per applicazioni oleodinamiche equipaggiato con almeno un sensore di rilevamento
CA3056051A1 (en) * 2018-09-20 2020-03-20 Hydra-Stop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and monitoring a fluid within a pressurized pipe
CN110486565B (zh) * 2019-08-21 2022-02-22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一种接管装置及接管方法
CN110701422A (zh) * 2019-10-08 2020-01-17 中国一冶集团有限公司 一种水管堵头及其配套装置
JP7033335B2 (ja) * 2020-03-31 2022-03-10 株式会社フクハラ 圧縮空気圧回路における温度及び湿度測定用センサ管構造
GB2615604A (en) * 2022-02-15 2023-08-16 Aalberts Integrated Piping Systems Ltd Plumbing fitting
GB2615605A (en) * 2022-02-15 2023-08-16 Aalberts Integrated Piping Systems Ltd Plumbing fitting accessory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99983A (en) * 1959-08-18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a fluid pressure line
US2264822A (en) * 1940-12-13 1941-12-02 Edward T Ahern Inflatable plug
US2763282A (en) * 1952-08-18 1956-09-18 Mueller Co Pipe stopper fitting
US3240227A (en) * 1963-10-16 1966-03-15 Mid Atlantic Plastic Corp Service main valve tap fitting
AU447367B2 (en) * 1970-02-03 1974-03-29 Td. Williamson, Inc Method of tapping a pipeline orthe like
AU441443B2 (en) * 1970-03-12 1973-10-11 Hot tapping apparatus
JPS51336B2 (ko) * 1972-04-12 1976-01-07
US3930413A (en) * 1972-12-07 1976-01-06 Caterpillar Tractor Co. Quick release gauge fitting
US3805844A (en) * 1972-12-29 1974-04-23 V Bacon Plugging device for pipe lines
FI56065C (fi) * 1973-09-21 1979-11-12 Touko Verner Nisso Foerfarande foer montering av en tillslutningsventil i ett tryckroer under tryck
US4122869A (en) * 1976-11-12 1978-10-31 Roberson Walter H Sr Closure plug assembly
SE431619B (sv) * 1976-11-18 1984-02-20 Kemp & Co Pty Ltd Apparat for borrning av hal i ror, som star under inre overtryck
US4155373A (en) * 1976-12-06 1979-05-22 Digiovanni Bernard A Method for shutting off gas flow in plastic pipes
US4127141A (en) * 1977-05-31 1978-11-28 Coupling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opping fluid escape from pipe mains
SE428497B (sv) * 1979-06-06 1983-07-04 Rune Sigvard Andersson Ventilanordning
US4331170A (en) * 1979-08-08 1982-05-25 Wendell David E Hot tap apparatus and method
US4332272A (en) * 1979-08-08 1982-06-01 Wendell David E Hot tap apparatus and method
US4351349A (en) * 1980-11-10 1982-09-28 Minotti Peter L Pipe repair kit apparatus and method
DE3338607A1 (de) * 1983-10-24 1985-05-02 T.D. Williamson Inc., Tulsa, Okla. Verzweigungsarmatur zum eingreifen in das innere einer rohrleitung
DE3535622A1 (de) * 1985-10-05 1987-04-09 Ruhrga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eitweiligen verschliessen von grossrohrleit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435888D0 (da) 1988-08-04
AU606647B2 (en) 1991-02-14
CA1294567C (en) 1992-01-21
SE8605208D0 (sv) 1986-12-04
SE8605208L (sv) 1988-06-05
SE460073B (sv) 1989-09-04
US4949744A (en) 1990-08-21
FI90131B (fi) 1993-09-15
AU1041688A (en) 1988-06-30
FI892715A (fi) 1989-06-02
DK435888A (da) 1988-08-04
DE3780967T2 (de) 1993-03-18
FI892715A0 (fi) 1989-06-02
EP0336931B1 (en) 1992-08-05
WO1988004386A1 (en) 1988-06-16
DE3780967D1 (de) 1992-09-10
NO176414B (no) 1994-12-19
ES2005962A6 (es) 1989-04-01
JPH02501155A (ja) 1990-04-19
FI90131C (fi) 1993-12-27
RU2035002C1 (ru) 1995-05-10
NO883442D0 (no) 1988-08-03
JP2556370B2 (ja) 1996-11-20
KR890700207A (ko) 1989-03-10
EP0336931A1 (en) 1989-10-18
DK172108B1 (da) 1997-10-27
NO176414C (no) 1995-03-29
NO883442L (no) 1988-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6187B1 (ko) 유체로 채워진 도관내에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4756338A (en) Pipe repair assemblies to repair pipe when fluids therein are under high pressure
US4155373A (en) Method for shutting off gas flow in plastic pipes
US4067353A (en) Pipeline tap and connecting device
US5082026A (en) Pipeline plugger
US5353841A (en) Pneumatic plug for clean-out tees
US4484594A (en) Freeze guard valve
US3774646A (en) Line stopping assembly using an inflatable element
US3774647A (en) Line stopping assembly using an inflatable element
JPH05503563A (ja) 温度および/または圧力の夫々測定と制御のための装置
GB2103321A (en) Tapping pipe connections
GB2091430A (en) Apparatus for pressurising domestic connection pipes
GB2263748A (en) Pipe block
GB2263523A (en) Pipe insertion method and apparatus
JPH08170739A (ja) 遮断弁
US5782498A (en) Sealing flange, in particular for internal lining of pipes
WO1991006801A1 (en) Method and device to enable sealed fitting of devices to a pressurized tube
GB2246828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pipe closure devices
KR890002137Y1 (ko) 관 누출 검사용 밀폐기(Closure)
JPH0326388Y2 (ko)
JPS62174625A (ja) ガソリンスタンドの地下タンク連通パイプ漏洩検査方法
RU1185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рыт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JPH10239483A (ja) 容器の中に開口する配管の閉鎖装置
JP2681728B2 (ja) 配水用管の分岐工法とこれに使用する配水用管
JPH11141733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