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463Y1 -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463Y1
KR960003463Y1 KR2019900020532U KR900020532U KR960003463Y1 KR 960003463 Y1 KR960003463 Y1 KR 960003463Y1 KR 2019900020532 U KR2019900020532 U KR 2019900020532U KR 900020532 U KR900020532 U KR 900020532U KR 960003463 Y1 KR960003463 Y1 KR 960003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toothed
shaft
fix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0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908U (ko
Inventor
김진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0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463Y1/ko
Publication of KR9200119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9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4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조향장치의 전체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체지지브라켓트 2 : 톱니형고정브라켓트
2a : 톱니부 3 : 샤프트
4 : 충격흡수박스 5 : 충격흡수판
5a, 5b : 선단 5c : 융기부
6a, 6b : 코일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격흡수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 면접촉에 의해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축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이는 자동차 충돌사고시 운전자의 가슴부위와 머리부를 강타하는 하중을 감소시켜 부상으로 부터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이같은 조향축 충격흡수장치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운전자의 부상을 가볍게 하기 위한 기구이며, 충돌에 의해 차체가 파손되었을 때 핸들부의 조향장치가 운전자쪽으로 튀어나와 운전자가 부상을 당하거나 운전자가 관성에 의해 조향장치에 부딪힐 때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지지브라켓트(11)에 개구구멍(17)이 형성된 고정용브라켓트(12)가 보울트(16)을 매개로 고정되고, 상기 고정용브라켓트(12)의 개구구멍(17)과 샤프트(13)에 부착된 걸럼튜브(18)의 사이에는 소성변형이 가능한 절곡된 U자형상의 충격흡수판(19)이 끼워지되 이 U자형상의 충격흡수판(19)의 한쪽선단은 상기 고정용브라켓트(12)에 고정됨과 더불어 다른쪽 선단은 컬럼튜브(18)에 고정됨으로써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장치는 여러가지 부품 등이 사용되어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도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톱니형고정브라켓트에 판스프링형상의 충격흡수판이 코일스프링으로 양 선단부에서 지지되어짐에 따라 충돌시 면접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차체지지브라켓트(1)에 톱니형고정브라켓트(2)를 고정시키고, 조향축인 샤프트(3)에는 충격흡수박스(4)를 고정설치하되, 이 충격흡수박스(4)의 내부에는 선단(5a,5b)이 코일스프링(6a,6b)에 탄력지지됨과 더불어 그 중앙상부가 톱니형고정브라켓트(2)의 톱니부(2a)에 맞물려지는 융기부(5c)를 갖춘 판스프링 형태의 충격흡수판(5)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3)에 용접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된 충격흡수박스(4)에는 그 중앙에 융기부(5c)를 갖춘 판스트링 형태의 충격흡수판(5)이 내장되어 있는 바, 이 충격흡수판(5)의 융기부(5c)는 차체지지브라켓트(1)에 고정된 톱니형고정브라켓트(2)의 톱니부(2a)에 맞물려지는 형상으로 융기되어 있다.
또한 판스프링형태인 상기 충격흡수판(5)의 선단(5a,5b)이 충격흡수박스(4) 내에 장착된 코일스프링(6a,6b)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형고정브라켓트(2)의 톱니부(2a)는 융기부(5c)를 기준으로 외부쪽으로 경사진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충격흡수판(5)의 융기부(5c)가 톱니부(2a)에 면접촉으로 이동되어질때 진행할 수록 저항력을 더 받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6a,6b)은, 충격흡수판(5)의 탄성을 억제하고 톱니부(2a)와의 면접촉을 증대시키기 위해 장착되어 있다.
이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자동차가 장애물등에 충돌하여 샤프트(3)의 하부에 위치한 기어박스(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상기 샤프트(3)에 힘을 가하게 되면, 1차적인 충격으로 인해 상기 충격흡수박스(4)의 내부에 설치된 충격흡수판(5)은 뒷쪽으로 이동되면서 이의 융기부(5c)가 상기 톱니형고정브라켓트(2)의 톱니부(2a)와 면접촉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톱니부(2a)는 경사진 테이퍼 형상으로 융기부(5c)가 이동되어짐에 따라 상기 융기부(5c)는 더 강한 저항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융기부(5c)가 톱니부에 면접촉으로 저항력을 받을때, 이 융기부(5c)를 지지하도록, 이의 선단부(5a,5c)는 코일스프링(6a,6b)에 탄력지지되어 있다. 이어 2차적인 충격에너지가 작용할 때 즉 상기 샤프트(3)가 하방으로 힘을 받을때에는 상기 충격흡수판(5)이 앞쪽으로 이동되어 이의 융기부(5c)가 앞서 설명한대로 톱니형고정브라켓트(2)의 톱니부(2a)와 면접촉으로 유도되어짐으로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충돌식 충격에너지를 면접촉으로 흡수하는 간단한 구조를 갖추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차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트와 샤프트에 장착된 소성변형이 가능한 충격흡수판의 작용을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는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에 있어서, 차체지지브라켓트(1)에 톱니형고정브라켓트(2)를 고정시키고, 샤프트(3)에는 충격흡수박스(4)를 고정설치하되 이 충격흡수박스(4)의 내부에는 선단(5a,5b)이 상기 충격흡수박스(4)의 재부에는 선단(5a,5b)이 상기 충격흡수박스(4)의 내부에 장착시킨 코일스프링(6a,6b)에 탄력지지되어 고정되면서 그 중앙상부가 톱니형고정브라켓트(2)의 톱니부(2a)에 맞물려지는 형상의 융기부(5c)를 갖춘 판스프링 형태의 충격흡수판(5)이 장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
KR2019900020532U 1990-12-21 1990-12-21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 KR960003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532U KR960003463Y1 (ko) 1990-12-21 1990-12-21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0532U KR960003463Y1 (ko) 1990-12-21 1990-12-21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908U KR920011908U (ko) 1992-07-24
KR960003463Y1 true KR960003463Y1 (ko) 1996-04-24

Family

ID=1930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0532U KR960003463Y1 (ko) 1990-12-21 1990-12-21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4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908U (ko) 199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6860B2 (ja) 歩行者の保護機能を有する自動車のフェンダパネルの衝撃吸収構造
KR100371278B1 (ko)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구조
US4773674A (en) Holding arrangement for a steering column of a motor vehicle
KR960003463Y1 (ko)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
KR100188158B1 (ko) 자동차 조향축의 충격흡수장치
KR100349395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960005620B1 (ko)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
KR960005628Y1 (ko) 조향축 충격흡수장치
JPH1159302A (ja) 衝撃吸収装置
KR0135559Y1 (ko) 충격 흡수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
JP2513630Y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ルの衝撃吸収構造
JP2897061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0402781B1 (ko) 보행자 보호를 위한 차체의 프론트펜더취부구조
JPH07108663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200171108Y1 (ko) 스티어링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200143836Y1 (ko) 차량 핸들의 보조손잡이
JPH0537878Y2 (ko)
KR20060004272A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19990020935U (ko) 사이드도어 임펙트 빔 충격흡수장치
KR19990020655A (ko) 차량의 도어보강구조
JPS6116203Y2 (ko)
JPH0630598Y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取付構造
KR960005630Y1 (ko) 조향축의 충격흡수장치
KR100263834B1 (ko) 에어백용조향컬럼장착장치
JPH065271Y2 (ja) 車両のリヤバン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