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836Y1 - 차량 핸들의 보조손잡이 - Google Patents

차량 핸들의 보조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836Y1
KR200143836Y1 KR2019960050269U KR19960050269U KR200143836Y1 KR 200143836 Y1 KR200143836 Y1 KR 200143836Y1 KR 2019960050269 U KR2019960050269 U KR 2019960050269U KR 19960050269 U KR19960050269 U KR 19960050269U KR 200143836 Y1 KR200143836 Y1 KR 200143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auxiliary handle
auxiliary
steering whee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7251U (ko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0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836Y1/ko
Publication of KR199800372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2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8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3Hand wheels with a device allowing single-hand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들을 조작할 때 무리한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편리하게 조작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신체가 부딪쳤을 때 신체를 보호 하도록 하는 차량 핸들의 보조 손잡이에 관한 것인바, 종래의 핸들에 보조 손잡이를 고정 설치하는데 있어서 첫째, 핸들에 고정 시킬 때 확실한 고정이 안되면 보조 손잡이가 흔들리거나 핸들의 하부로 돌아가는 문제점과 둘째, 차량 충돌후 그 충격에 의하여 핸들에 붙이쳐서 제 2 의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핸들에 설치된 보조 손잡이와 접촉되어 더 큰부상을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핸들을 회전시키는 경우 보조 손잡이수단과 손바닥간의 마찰을 근본적으로 제거한 수단을 제공하면서 갑작스런 충돌시 운전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보조 손잡이와의 2차적 충돌을 줄일 수 있고 동시에 핸들의 휠면에 지지되는 구조 역시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량 핸들의 보조손잡이
본 고안은 차량의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들을 조작할 때 무리한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편리하게 조작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신체가 부딪쳤을 때 신체를 보호 하도록 하는 차량 핸들의 보조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핸들은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바퀴의 방향 즉, 차량의 방향을 조작하는 것으로 조향장치의 조향축과 연결되어 있다.
운행중인 차량의 방향은 운전자의 핸들 조작능력에 따라 좌우되며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핸들을 잡고 돌려야 하며 상기 핸들의 조작시 손의 위치는 왼손이 10시 방향, 오른손이 2시 방향으로 잡고 차량을 운전하는 것이 올바른 운전방법이다.
그러나 굴곡이 심한 계곡이나 폭이 좁은 골목 또는 이와 유사한 도로에서는 상기에서 전술한 핸들을 잡는 올바른 핸들 파지방법으로는 차량을 조작할 여유나 시간이 없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빠른 순발력을 이용하여 짧은 시간에 핸들의 조작을 신속히 하여야 하기 때문에 무리한 힘과 큰동작이 수반되었다.
그리하여 도 1의 (가)에 도시된 바와같은 원형의 스티어링 휠(110)과 상기 스티어링 휠(110) 중앙의 조향장치와 연결 설치된 조정부(120)와 상기 스티어링 휠(110)과 조정부(120)를 연결한 림(130)으로 형성된 핸들(100)에 도 1의 (나)에서와 같이 차량의 핸들(100)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되는 보조 손잡이(200)를 핸들에 고정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핸들에 보조 손잡이를 고정 설치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핸들에 고정 시킬 때 확실한 고정이 안되면 보조 손잡이가 흔들리거나 핸들의 하부로 돌아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차량 충돌후 그 충격에 의하여 핸들에 부딪쳐서 제 2 의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핸들에 설치된 보조 손잡이와 접촉되어 더 큰부상을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갑작스런 핸들과 운전자의 머리 충돌에 따른 안전성이 확보되면서 핸들의 휠면에 보조 손잡이를 설치하기에 보다 개선된 수단이 필요로 되며, 특히 보조 손잡이를 잡은 손바닥과의 마찰이 전혀 일어나지 않게하는 보조 손잡이 수단이 필요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보조 손잡이의 설치시 핸들이 안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이의 목적은 핸들을 회전시키는 경우 갑작스런 충돌시 운전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보조 손잡이와의 2차적 충돌을 줄일 수 있고 동시에 핸들의 휠면에 지지되는 구조 역시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핸들에 설치되는 링부의 끝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고정판을 형성한 클램프부재와, 구형의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부재에 연결설치되는 회동판과, 상기 고정판에 회동판을 결합고정하는 힌지와, 상기 고정판과 회동판을 탄설되도록 힌지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1의 (가)는 종래 핸들의 사시도이며 (나)는 종래 핸들에보조 손잡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손잡이의 착탈이 용이한 차량 핸들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조 손잡이 2 : 림부
3 : 고정판 4 : 힌지
5 : 클램프부재6 : 손잡이
8 : 회동판 9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손잡이의 착탈이 용이한 차량 핸들의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이에 따르면 핸들에 설치되는 링부(2)의 끝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고정판(3)의 측단에는 힌지공을 구비한 브라켓이 형성되되, 상기 링부(2)는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하여 핸들에 설치되는 클램프부재(5)의 브라켓에 구형의 손잡이(6)와 연결된 지지봉(7)을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부재(5)에 연결 설치되도록 힌지공을 형성한 브라켓이 구비된 회동판(8)이 힌지(4)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3)에 회동판(8)을 결합고정하는 힌지(4)는 차량 충돌시 보조 손잡이(1)에 운전자의 머리나 가슴이 부딪칠 때 가압력을 흡수하도록 하는 스프링(9)이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차량 충돌시 보조 손잡이(1)에 운전자의 머리나 가슴이 부딪칠 때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동판(8)이 힌지(4)에 의하여 회동되며, 회동판(8)과 고정판(3)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판(8)을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스프링(9)이 가압되면서 가압력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신체를 보호한다.
한편, 상기 보조 손잡이(1)에 부딪쳤던 신체를 이탈시키면 스프링(9)에 의하여 회동판(8)이 회동하여 원상태로 복귀되면 다시 보조 손잡이(1)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즉, 보조 손잡이(1)를 가압하는 힘은 수직방향으로 작용되어 스프링을 가압하게되면 이 스프링에 의하여 가압되는힘이 흡수되고 핸들을 돌리는 힘의 방향은 수평방향이 되어 상기의 보조 손잡이가 핸들에서 유동되지 않고 용이하게 핸들을 돌릴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차량 핸들의 보조손잡이는 핸들을 조작할 때 무리한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편리하게 조작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신체가 부딪쳤을 때 갑작스런 충돌시 운전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보조 손잡이와의 2차적 충돌을 줄일 수 있고 동시에 핸들의 휠면에 지지되는 구조 역시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보조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 핸들의 보조손잡이에 있어서,
    핸들에 설치되는 링부(2)의 끝단에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고정판(3)을 형성한 클램프부재(5)와,
    구형의 손잡이(6)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프부재(5)에 연결 설치되는 회동판(8)과,
    상기 고정판(3)에 회동판(8)을 결합고정하는 힌지(4)와,
    상기 고정판(3)과 회동판(8)을 탄설되도록 힌지(4)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 핸들의 보조손잡이.
KR2019960050269U 1996-12-17 1996-12-17 차량 핸들의 보조손잡이 KR200143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269U KR200143836Y1 (ko) 1996-12-17 1996-12-17 차량 핸들의 보조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269U KR200143836Y1 (ko) 1996-12-17 1996-12-17 차량 핸들의 보조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251U KR19980037251U (ko) 1998-09-15
KR200143836Y1 true KR200143836Y1 (ko) 1999-06-15

Family

ID=1947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269U KR200143836Y1 (ko) 1996-12-17 1996-12-17 차량 핸들의 보조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8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984Y1 (ko) * 2007-09-07 2009-09-14 송범수 차량용 보조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251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7260Y2 (ja) 自動車用ハンドルの安全装置
KR200143836Y1 (ko) 차량 핸들의 보조손잡이
KR19980037171U (ko) 차량 핸들의 보조손잡이
KR20050024627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커버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37172U (ko) 차량 핸들의 보조손잡이
KR200143837Y1 (ko) 차량 핸들의 보조손잡이
KR100580449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휘일
KR100399120B1 (ko) 자동차의 보조 핸들
KR100410921B1 (ko) 스티어링 록크 어셈블리
KR200325925Y1 (ko) 차량용 보조 핸들
KR200155064Y1 (ko) 차량용 시동 키 어셈블리
JPH0441018Y2 (ko)
KR200145108Y1 (ko) 스티어링 휠
KR960003463Y1 (ko) 자동차용 충격흡수식 조향장치
KR100486817B1 (ko) 핸들조작 보조장치
KR100223790B1 (ko) 자동차의 회전식 조향장치 커버
JP2003054424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取付構造
KR0136323Y1 (ko) 차량 조향용 유니버샬 조인트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JPH072907Y2 (ja) 車両のキーシリンダ装置
KR200286412Y1 (ko) 핸들조작 보조장치
JPS6215097Y2 (ko)
KR19980051663U (ko) 스티어링 휠의 충격 흡수장치
JPH0526717U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140893Y1 (ko) 자동차의 장애인용 스티어링 휠 보조 핸들
KR19980062760U (ko) 차량용 보조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