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277Y1 - 떡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떡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277Y1
KR960003277Y1 KR2019930008150U KR930008150U KR960003277Y1 KR 960003277 Y1 KR960003277 Y1 KR 960003277Y1 KR 2019930008150 U KR2019930008150 U KR 2019930008150U KR 930008150 U KR930008150 U KR 930008150U KR 960003277 Y1 KR960003277 Y1 KR 960003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orming
rice cake
dough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8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5869U (ko
Inventor
장인락
Original Assignee
장인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인락 filed Critical 장인락
Priority to KR2019930008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277Y1/ko
Publication of KR9400258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58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2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떡 제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 5도는 제2도의 C-C'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분해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금형(M)을 조립하는 성형로울러의 조립 부위를 도시한 것임.
제8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금형(M')을 조립하는 성형로울러의 일부를 나타낸 것임.
제 9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로서 로울러부위를 나타낸 것임.
제10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떡성형로울러의 교체를 위해 기어를 하강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것임.
제11도는 본 고안의 요부분해 사시도로서 기어부분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것임.
제12도는 본 고안의 로울러 설치부분의 측면도.
제13도는 본 고안의 토출관에 대한 확대단면도.
제14도는 본 고안의 성형로울러에 대한 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떡제조장치 2 : 떡반죽공급부
3 : 속고물공급부 4 : 성형로울러지지부
5 : 기체지지부 6.21 : 호피
7 : 이송스크류우 8, 8' : 기어
9.12 : 체인휠 10 : 체인
11 : 연동축 13 : 안내로울러
13' : 워엄기어 14 : 토출유도공
15 : 고정체 16 : "⊂"형 절개홈
17, 17' : 고정레바 18 : 회전지지간
19 : 지지축 22, 30 : 토출관
23, 71, 76 : 모타 24 : 마그네트 밸브
25 : 압축스프링 26 : 승강간
27 : 회전봉 28 : 나선형스크류우
29 : 종동회전클러치판 29' : 회전클러치판
31 : 연결관 41 : 지지관
42 : 고정관 43 : 고정프레임
44, 44' : 성형부 45, 45' : 고정케이스
46 : 금형 재치요홈 47, 47' : 성형로울러
48 : 이송나사 49 : 이송블럭
50.50' : 안내홈 51 : 압축스프링
52 : 밀대 53 : 로울러
54 : 고정판 55 : 캠공
55' : 캠곡선면 56 : 캠판
57 : 셋트스크류우 58 : 스퍼어기어
58' : 축공 59 : 장공
60 : 고정플랜지 61 : 풀리
62, 62' : 브러쉬 63 : 소형기어
64 : 평로라 72 : 워엄기어
73 : 벨트풀리 74 : 회전축
75 : 벨트 77 : 기어
78 : 체인휠 79 : 편심축
80 : 레바 80 : 이송콘베이어
본 고안은 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속고물이 들어 있는 떡을 제조할때 떡반죽 내부에 속고물을 일정량씩 간헐적으로 공급시킴으로써 일정한 크기와 모양의 떡을 불량없이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하고, 떡 성형금형을 원통로울러식으로 형성하여 외표면에 떡 성형홈을 등간격으로 다수형성하여 이를 2개가 1조로 되도록 설치구성하되, 제조장치 양측에 서로 다른 떡을 제조할 수 있도록 2조의 떡성형 굼형을 설치구성하며, 이를 제조하려는 떡의 종류에 따라 선택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떡반죽 호퍼 하부에는 2개의 떡반죽 이송스크류우를 축설하고, 선단부 상측에는 떡반죽의 이송이 항상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반죽안내로울러를 떡반죽 이송스크류우와 교호로 되게 축설하되, 이들은 한대의 모타 및 워엄과 워엄휠로써 연동되게 하였으며, 2조의 떡성형금형이 고정관체를 중심으로 180°회전되면서 또 다른 모타에 연결설치되어 구동하는 스퍼어기어에 맞물리므로써 연동되게 구성하였으므로 떡의 종류나 모양의 선택 제조가 매우 용이한 잇점도 따르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속고물을 넣어 제조되는 떡을 제조하는 장치들은 대부분이 이중토출관을 통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중앙부 토출관으로는 속고물이 공급되고 외부토출구로는 떡반죽이 공급됨으로써 속고물이 든 떡을 제조하였는데, 상기 중앙부 토출관으로부터 토출되는 속고물은 떡반죽과 함께 연속으로 토출되는 구성인데다가 이를 외주연에 나선형 컷팅돌부를 가진 동일한 형상의 2개의 로울러가 맞닿아 회전하면서 일정한 크기로 떡을 절단시켜줌으로써 제조되었던 바, 이는 다음과 같이 문제점이 따랐던 것이다.
즉, 이중토출관을 통하여 떡반죽과 속고물이 동시에 연속적으로 토출되는 상태에서 2개의 떡성형 로울러의 외주면에 돌설된 컷팅돌부가 서로 맞닿아 회전함으로써 일정한 크기로 떡을 절단시켜 주는 구성이기에 떡의 절단부위는 떡두께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에서 완성될 수 밖에 없는 것이어서, 제조후 이부분을 통하여 내용물이 쉽게 터져나오게 되고, 또 떡을 성형하는 금형이 나선형 컷팅돌부를 가진 로울러자체라고 볼수 있어 1회전할때 마다 한개씩의 떡 밖에는 제조하지 못하여 떡 제조에 따른 떠성형 로울러의 회전이 빨라져야 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산량은 저조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자연히 원가가 높아지고 여러가지 모양의 떡을 제조하기도 곤란한 문제점이 따랐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떡내부에 일정량의 속고물을 간헐적으로 자동공급시켜줌으로써 떡 생산시 불량발생을 최소화시켜주고, 또 단위시간당 생산되는 양이 매우 많이 신속한 제조를 할 수 있음은 물론, 2조의 금형이 항상 설치되어 있는 상태로 구성하였기에 떡의 모양에 따라 금형만 교체하여 주면 여러가지 모양의 원하는 떡을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떡 제조장지(1)는 크게 떡반죽공급부(2)와 속고물공급부(3), 그리고 성형로울러지지부(4)와 기체지지부(5)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한 떡반죽공급부(2)는 떡 제조장지(1)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이는 호퍼(6)의 저면을 ""형으로 형성하여 각각의 요부에 이송스크류우(7)(7')를 설치하되, 상기 이송스크류우(7)(7')는 축 단부에 스퍼어기어(8)(8')를 축설하여 연동되게 하고, 두개의 이송스크류우(7)(7')중 (7)의 축단부에는 체인휠(9)을 축설하여, 기체지지부(5) 내부에 설치된 모타(71)의 동력이 벨트(75)로 인하여 워엄기어(72) 및 풀리(73)를 가진 회전축(74)을 회전시켜 주었을때, 워엄기어(72)에 맞물려 회전하는 워엄휠(96)을 축설한 연동축(11)의 체인휠(12)과 체인(10)으로 연동되게 하였으며, 호퍼(6) 선단에 떡반죽을 토출되기 용이토록 해주는 토출유도공(14)을 형성한 고정체(15)를 고정레바(7)(7')로써 개폐가 용이토록 구성하여 고정설치 하였다.
또 이송스크류우(7)(7') 상부선단에는 ""형 안내로울러(13)을 축설하여 떡반죽이 균일한 양으로 공급되게 하였는데, 상기 안내로울러(13) 또한 회전축(74) 상단의 워엄기어(72)에 맞물려 회전하는 워엄휠(13')과 같은 축에 축설된 스퍼어기어(13a) 및 종동스퍼어기어(13a')가 안내로울러(13) 일측에 축설된 기어(13a'')를 회전시켜 주도록 하였다.
또 고정체(15) 양측에는 "⊂"형 절개홈(16)을 형성하여 고정레바(17)(17')로서 개폐가능케 하였고, 고정체(15) 후부에는 하단 양측에 떡성형로울러(47)(47') 외주면과 같은 원호로 형성시킨 만곡면(97)(97')을 형성하여서 된 토출관(30)을 설치하는데, 상기 토출관(30)은 회전지지간(18)과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31)으로써 조립고정되도록 상부에 턱부(30')를 형성하였고, 회전지지간(18)은 호피지지체(98)일측에 고정된 고정아암(99)과 지지축(19)으로써 회전자제토록 축설하여, 이지지축(19)을 기준으로 회전지지간(18)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속고물공급부(3)는 상측에 속고물호퍼(21)를 형성하고, 호퍼(21) 하측에는 토출관(22)을 길게 형성하되, 상기 토출관(22)은 고정체(15)에 삽입되어 토출유도공(14) 하부 중앙위치로 정확하게 설치되게 하며, 호퍼(21) 상측에는 별도의 고정카바(21')를 형성하여 이 고정카바(21') 상면에 모타(23)와 마그네트밸브(24)<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되, 모타(23)의 하부에는 회전이 가능토록 회전클러치판(29')을 설치하고, 마그네트밸브(24)의 로드 하단에는 압축스프링(25)으로 탄지된 승강간(26)을 설치하여 이 승강간(26)이 회전봉(27)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회전봉(27)은 하부에 나선형 스크류우(28)를 길게 형성하여 이 나선형 스크류우(28)가 토출관(22)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자재하게 하고, 회전봉(27)의 중단부에는 교반익(28')을 축설하여 속고물을 교반과 동시에 하부로 이송시켜주게 하였으며, 상단에는 종동회전클러치판(29)을 축설하여 회전클러치판(29')과 착탈가능토록 하였는데, 상기 종동회전 클러치판(29)은 후술하는 성형로울러(47)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셋트스크류우와 고정케이스(45)에 설치된 조립센서(93)가 서로 작용할때 마다 회전클러치판(29')에 접속되어 잠시동안 회전되도록 하였다.
성형로울러 지지부(4)는 동일한 구조의 성형부(44)(44')를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하여 180°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는 중앙부에 지지관(41)을 형성하여 이 지지관(41)이 기체지지부(5)와 떡반죽공급부(2)를 연결고정시키면서 내부로 회전축(74)이 관통되는 고정관(42)에 외삽되어 받침륜(100)에 의해 안정적으로 받쳐지면서 회전가능토록 하였기 때문이고, 상기 성형부(44)(44')는 일측면에 사각구멍(H)을 가진 고정케이스(45)(45') 전후부에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여러가지 떡모양을 가진 금형(M)을 삽입시킬 수 있도록 금형 재치요홈(46)을 다수 형성한 성형로울러(47)(47')를 이송나사(48)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블럭(49)에 회전자재토록 축설하고, 고정케이스(45)(45') 내부양측면에는 이송블럭(49)이 안정되게 이송되도록 안내홈(50)(50')을 형성하였다.
또한 성형로울러(47)과 (47')중 (47)에는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형제치요홈(46) 중앙부로 압축스프링(51)으로 탄지되는 밀대(52)를 설치하는데, 이 밀대(52)는 상면을 만곡면(52')으로 형성하고(떡모양에 따라 달라짐) 중앙부 횡방향으로는 양단에 로울러(53)를 축설한 고정핀(54)을 축설하여 이고정핀(54)이 방사상으로 다수형성된 장공(54') 내에서 작동되게 하고, 성형로울러(47) 양측면에 내주연에 캠곡선면(55) 및 캠공(55)을 형성시킨 캠판(56)을 설치하여, 상기 밀대의 로울러(53)가 캠곡선면(55')에 의해 동작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성형로울러(47)(47') 및 캠판(56)이 고정케이스(45)(45') 내에 각각 설치되게 하되, 캠판(56)은 고정케이스 (45)(45') 내측면에 고정되게 하였다.
그리고 다른 성형로울러(47')는 외주연에 단순하게 금형재치요홈(46')맡을 형성하여 금형(M') 셋팅시 성형로울러(47') 일측으로부터 셋트스크류우(57)로서 고정시킨것이고, 성형로울러(47)(47')의 축은 일단부가 길게 형성되게 하여 이 끝단부에 고정플렌지(60) 및 스퍼어기어(58) 그리고 풀리를 순차적으로 축설하였는데, 상기 스퍼어기어(58)는 중앙부 축공(58') 외측에 3개의 장공(59)을 형성하여 금형(M)과 (M') 셋팅시 조절이 용이케 하였다.
또한 상기한 풀리(61)는 두개의 성형로울러(47)(47') 중 (47)에만 축착되도록 하여 동력이 원할하게 인가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고정케이스(45)(45') 상부 전.후방에는 브러쉬(62)(62')를 축설하여 브러쉬축(62a) 단부에 전기한 스퍼어기어(58)와 치합접동토록 소형기어(63)를 축설하고, 고정케이스(45)(45')의 저면 전.후방에는 평로라(64)를 축설하여 이 평로라(64)가 성형로울러(47)(47') 외주면에 접동되어 완성된 떡의 배출이 용이토록 하였으며, 성형로울러(47) 일측에 근접센서(93)를 설치 하였다.
기체지지부(5)는 내부 일측에 모타(71)를 설치하고, 상면 일측에는 전기한 고정관(42)을 고정설치하였는데,이 고정관(42)의 내부에는 성하단부에 각각 워엄기어(72)와 벨트풀리(73)를 축설하여서 된 회전축(74)을 축설하여 벨트(75)로서 회전자재토록 하였고, 워엄기어(72)에는 전기한 연동축(11)과 안내로울러(13)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13')가 접동토록 하였다.
또한 기체지지부(5)의 내부 일측하부에 또 다른 모타(76)를 설치하여 성형로울러 지지부(4)에 설치된 스퍼어기어(58)에 동력을 전달토록 하였는데, 이는 지체지지부(5)의 선단 상측에 설치된 편심축(79)에 기어(77)와 체인휠(78)이 축설되어 있으므로 편심축(79)에 의해 동력이 인가 또는 차단되어지도록 한 것이며, 상기 편심축(79)의 선단에 레바(80)를 형성시켰으므로, 동력의 인가 또는 차단이 손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 기체지지부(5) 일측면에는 경사지게 이송콘베이어(81)를 설치하였는데, 상기 이송콘베이어(81)는 전술한 체인휠(78)과 체인(92)으로 연결설치되게 하였다.
제 14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성형로울러(47')의 외주면에 별도의 금형이 없이 떡모양의 요부(10)를 형성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47s는 성형로울러축, 95'는 고정나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은 토출구(30)로 토출되는 떡반죽 내부에 속고물을 자동으로 공급시키는데 있어서 근접센서(93)와 마그네트 밸브(24)의 연관작동에 의해 속고물이 간헐적으로 공급되어짐으로써 떡반죽내부에 들어간 속고물이 떡제조 과정에서 터지거나 하여 외부로 새어나오는 등의 염려가 전혀없다는 것이다.
또한 성형로울러지지부(4)가 고정관(42)을 중심으로 180°회전 셋팅되는 구조이어서 제조하려는 떡모양이나 종류가 달라짐에 따른 성형로울러(47)(47')의 교체가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또 성형로울러(47)(47')에 설치고정되는 금형(M)(M')을 교체하려 할 때도 성형로울러(47)(47')를 성형로울러지지부(4)로부터 분해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금형(M)(M')만을 분해하여 교체시킬수 있도록 된 것이어서 조립 및 교체가 매우 신속 간편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 사용중 금형(M)(M') 부분에 브러쉬(62)(62')가 접동되므로 이브러쉬에 의해 항상 식용기름등을 금형(M)(M')에 도포시켜주면서 깨끗하게 하여줄수도 있어 떡의 대량생산에 매우 적합한 등 실로 여러가지 특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면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세부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앞에서 기술한 구성설명에서와 같이 크게 떡반죽공급부(2), 속고물공급부(3) 그리고 성형로울러지지부(4)와 기체지지부(5)로 분류할 수 있고, 이들은 상호보완적 관계로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수 있는데, 그 이유는 기체지지부(5)로부터 동력이 인가되면, 성형로울러지지부(4)는 물론이고 떡반죽공급부(2)가 연동하여 적절한 동작을 하게되고, 속고물공급부(3)는 성형로울러(47)(47')의 회전에 의해 간헐적인 동작을 하게되므로 모두 적절한 동작을 하게되기 때문이다.
즉, 떡반죽공급부(2)에 떡반죽을 투입하고, 속고물공급부(3)에는 떡의 성질에 따라 팥이나 콩등으로 만든 속고물을 투입한후 가동시키는데, 떡반죽은 병열로 설치된 두개의 이송스크류우(7)에, 의해 고정체(15)의 토출유도공(14)으로 강제로 압송되어 토출관(30)으로 이송되어지고, 동시에 속고물공급부(3)의 호퍼(21)에 공급된 속고물은 모타(23)에 연결된 회전봉(27)의 회전에 의해 교반익(28')과 나선형스크류우(28)가 회전하면서 속고물을 토출관(22)을 통하여 토출관(30)으로 토출시키는데, 이때 토출관(22)의 외주연으로 토출되어지는 떡반죽이 토출관(22)에 의해 중공부를 형성하면서 토출되기에 자연히 떡반죽 내부로 속고물이 공급되게 되어 떡내부에 속고물을 자동공급시켜 떡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속고물은 토출은 연속적으로 이어져서는 안된다고 하는 점이다.
왜냐하면, 속고물이 떡반죽과 함께 연속적으로 토출되어지게 되면 자연히 떡성형후 절단부위에서 속고물이 새어나오기 쉽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속고물의 토출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간헐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정케이스(45)(45') 일측 상면에 근접센서(93)를 설치하여 떡성형로울러(47)가 회전할때 금형위치가 근접센서(93)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도달되면 이를 감지하여 마그네트 밸브(24)를 동작시켜주고, 또 마그네트 밸브(24)는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회전봉(27)을 상승시켜주어, 회전봉(27) 상단에 설치된 종동 회전 클러치판(29)이 모타(23)에 설치된 회전 클러치판(29')에 치합되어 회전봉(27)을 회전시켜주도록 하며, 일정하게 속고물이 공급된 다음에는 압축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해 중동 회전 클러치판(29)이 회전클러치판(29')으로부터 떨어져 회전봉(27)의 회전이 중단되게 하였다.
따라서 회전봉(27)이 회전하는 동안에만 속고물이 토출됨으로써, 떡반죽 내부에 속고물을 안정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는 것이며, 로울러(47)가 계속 회전함으로써 위와같은 동작은 연속적으로 반복될수 밖에 없게 되어 떡의 대량생산이 안정적으로 불량없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속고물을 내부에 투입한 떡반죽이 토출관(30)을 통하여 토출되면, 자연적으로 성형로울러(47)(47')에 고정시킨 금형(M)(M') 내부에 투입되어지게 되는데, 이때 토출관(3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만곡면 (97)(97')이 성형로울러(47)(47') 외주면에 맞닿아 있으므로, 떡반죽은 자연히 금형(M)(M')으로만 공급이 되는 것이고, 토출구(30)의 양측에 형성된 만곡면(97)(97')이 금형이외의 부분에서는 성형로울러(47)(47')의 외주면에 정확하게 맞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떡반죽이나 내용물이 새어나올 염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그리고 떡을 배출시킬때는 떡자체의 자중과 밀대(52)에 의해서 금형위치가 하부로 이송되어지면 낙하되어 이송콘베이어(81)를 타고 이송되게 되는데, 이때 떡자체의 점착력에 의해 금형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낙하되지 못한것은 고정케이스(45)(45')의 전후부저면에 설치된 평로라(64)가 회전하면서 떨어드려 주게 되고, 성형로울러(47)(47') 외주면 및 금형은 이와 연접하는 브러쉬(62)(62')에 의해 연속적으로 식용기름 공급과 동시에 금형(M)(M')을 닦아 주므로 금형(M)(M')은 항상 기름이 도포된 상태로 깔끔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떡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성형로울러(47)의 금형 중앙부는 압축스프링(51)으로 탄지되는 밀대(52)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밀대(52)는 고정핀(54) 양단부에 설치된 로울러(53)가 캠판(56)에 형성된 캠공(55) 내주연의 캠곡선면(55')을 타고 돌게되면서, 금형(M)이 상부 및 토출관(30)의 위치정도까지 이송되는 동안에는 금형 내부로 강제 진입되어 금형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가 금형이 하부에 위치될때는 곡선면(55')의 특성에 의해 금형 내부에서 돌출되어 떡을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캠판(56)은 두개의 성형로울러(47)(47')에 모두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이중 하나의 성형로울러(47)에만 설치되어 떡의 배출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동력전달과정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세대의 모타(23),(71),(76)에 의해 적절히 구동하게 된다.
즉, 모타(76)는 체인(92)으로서 이송콘베이어(81) 및 기체지지부(5)의 선단상측에 축설된 편심측(79)의 체인휠(78)에 동력을 인가시켜주게 되고, 모타(71)는 고정관(42) 내부에 설치된 회전축(74)을 회전시킨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점은 모타(76)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체인휠(78)은 편심축(79)에 축설되어 있는 상태인데다가 기어(77)와 일체로 형성된 상태이고, 기어(77)는 성형로울러지지부(4)의 고정케이스(45)(45')에 축설된 스퍼어기어(58)에 치합접동하는 상태이므로, 성형로울러(47)(47')를 회전시켜주게 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근접센서(93)가 회전하는 성형로울러(47)의 셋트스크류우(57)의 머리부분을 감지하여 마그네트 밸브(24)를 동작시킴으로써 마그네트 밸브(24)가 동작하게 된다고 하는 점이다.
따라서 속고물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해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제조되는 떡의 제조불량을 막을 수 있는 것이며 떡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케이스(45) 및 (45')에 각각 설치된 성형로울러(47) 및 (47')를 서로 교체코자 할때는 먼저, 고정체(15)의 정면 양측에 삽입고장된 고정레바(17)(17')를 조작하여 외측으로 재껴놓고, 고정체(15)를 지지축(19)을 기준으로 하여 성형로울러지지부(4) 밖으로 회전시키는데, 이때 고정체(15)는 상부에 속고물공급부(3)와 하부에 토출관(30)을 고정설치시키고, 또 이들이 호퍼지지체(98)에 고정된 고정아암(99)과 연설된상태이기 때문에 고정체(15)와 함께 일측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하면, 상기한 고정체(15)는 벽도로 형성시킨 지지축(19)에 회전지지간(18)으로 유설되어 있는 상태이기에 고정체(15)를 떡반죽공급부(2)로부터 분리시키려고만 하면 언제든지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체(15) 하부에 설치된 성형로울러지지부(4)를 회전시키려면, 기체지지부(5) 상측, 즉 편심축(79) 선단에 설치된 레바(80)를 180°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편심축(79) 자체의 특성에 의해 편심축(79)에 유설된 기어(77)가 성형로울러(47)에 축설된 스퍼어기어(58)로 부터 편심축(79)의 편심량의 2배거리만큼 떨어져 분리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성형로울러지지부(4)를 180° 로 회전시켜주면, 성형로울러지지부(4)가 고정관(4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반대편의 성형로울러(47)(47')가 편심축(79) 상부에 위치케 된다.
이상태에서 편심축(79)의 레바(80)를 다시 원래대로 상승시키면, 분리되어 있던 기어(77)가 성형로울러(47)에 축설된 스퍼어기어(58)에 다시 치합되어 동력전달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어서 기체분해시 제일먼저 분해시켰던 고정체(15)를 떡반죽공급부(2)에 밀착시켜 고정레바(17)(17')로서 다시 고정시켜 놓으면 원활하게 떡제조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고정케이스(45)(45')에 성형로울러(47)(47')를 고정설치시키는 과정을 살펴본다.
고정케이스(45)(45')는 각각 외측방향의 면 일측에 사각구멍(H)이 형성되고, 내측면으로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안내홈(50)(5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안내홈(50)(50')은 성형로울러(47)(47')를 셋팅시킬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성형로울러(47)(47')를 고정케이스(45)(45')에 설치시킬때 이 성형로울러(47)(47')를 지지하는 축은 전기한 사각구멍(H)을 통하여 이송블럭(49)과 함께 삽입되어 안내홈(50)(5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고, 또 이송블럭(49)의 이송은 이송나사(48)로써 고정케이스(45)(45') 외측에서 조정되어 정확한 위치에 셋팅시켜주게 된다.
따라서, 사각구멍(H)은 성형로울러(47)(47')를 고정케이스(45)(45')에 고정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용물이 들어 있는 떡을 제조할때 불량없이 완전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 새로운 모양의 금형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떡제조에 따른 자동화와 더불어 인건비, 시간등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8)

  1. 속고물이 들어있는 떡을 제조함에 있어서, 떡 제조장치(1)의 구성을 떡반죽공급부(2)와 속고물공급부(3), 그리고 성형로울러지지부(4)와 기체지지부(5)로 구성하는데, 상기 떡반죽공급부(2)는 공지의 구성을 그대로 이용하되, 선단에 토출유도공(14)을 가진 고정체(15)를 고정레바(94)(94')로서 착탈가능케하고, 고정체(15)상부에는 속고물공급부(3)를 안착고정시키되, 이는 고정카바(21')에 모타(23)와 마그네트 밸브(24)를 설치한 호퍼(21)와 고정체(15)내부로 관통설치된 토출관(22) 및 고정체(15)하단에 연결관(31)으로써 고정시킨 토출관(30)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카바(21')에 설치된 모타(23)와 마그네트 밸브(24)의 축에는 각각 회전클러치판(29')과 압축스프링(25)을 설치하되, 마그네트 밸브(24)의 축단부에 나선형스크류우(28)와 교반익(28')을 축설한 회전봉(27)을 연결시킨 종동회전클러치판(29)을 회전자재토록 유설하여서된 승강간(26)을 고정설치하여, 토출관(30)하부에 설치된 떡성형로울러(47)의 금형(M)셋팅용 셋트스크류우(57)의 머리가 성형로울러(47)의 회전에 의해 성형로울러 지지부(4) 일측에 설치된 근접센서(93)에 감지될때마다 마그네트 밸브(24)와 모타(23)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일정량의 속고물을 토출되는 떡반죽내부로 강제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며, 성형로울러(47)(47')의 축에 스퍼어기어(58)를 축설하여 기체지지부(5)에 설치된 모타(76)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77)와 접동하여 성형로울러를 회전시키도록함을 특징으로하는 떡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케이스(45)(45')에는 성형로울러(47)(47')와 접동토록 브러쉬(62)(62')를 동력에 의해 회동자재토록 축설하고, 고정케이스(45)(45') 저면 전.후부에 평로라(64)를 축설하며, 성형로울러(47)(47')는 각각 금형재치요홈(46)(46')을 형성하여 셋트스크류우로써 금형을 안착시키되, 성형로울러(47)의 금형재치요홈(46)중앙부에는 구멍을 형성하여 압축스프링(51))으로 밀대(52)를 탄지시키고, 밀대(52)하측에는 양단에 압로울러(53)를 축설한 고정핀(54)을 설치하며, 성형로울러(47)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캠판(56)을 설치하되, 이 캠판(56)은 내부에 캠곡선면(55')을 가진 캠공(55)을 형성하여 캠곡선면(55')에 전기한 로울러(53)가 접동하면서 밀대(52)를 동작시켜주도록하며, 고정케이스(45)(45')외부 일측면으로 스퍼어기어(58)를 축설하는데, 성형로울러(47)(47')에 축설되는 스퍼어기어(58)에는 3개의 장공(59)을 형성하여 고정플랜지(60)와 풀리(61)셋팅시 성형로울러(47)(47')에 안착되는 금형(M)(M')의 세팅이 용이토록 구성하였고, 스퍼어기어(58)에는 브러쉬(62)(62')의 기어(63)가 접동되게 하며, 풀리(61)는 벨트로서 평로라(64)와 연결되어 연동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기체지지부(5) 일측상부에 기어(77) 및 체인휠(78)을 일체화시켜 편심축(79)에 축설하고, 이 편심축(79)선단에 레바(80)를 형성시키며, 상기 레바(8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조작함에 따라 성형로울러 지지부(4)에 설치된 스퍼어기어(58)에 기어(77)가 접동 또는 이탈되도록 하고 스퍼어기어(58)로 부터 기어(77)가 이탈되었을 때 성형로울러지지부(4)를 180° 회전시켜 성형로울러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떡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기체지지부(5) 내부일측에 모타(71)를 설치하고, 상면일측에 고정관(42)을 설치하여, 이 고정관(42)의 내부에 상단에 워엄기어(72)와 밸트풀리(73)를 축설한 회전축(74)을 축설하여 밸트(75)로서 회전자재토록하되, 상기 워엄기어(72)에 이송스크류우(7)를 회전시키도록 된 연동축(11)의 워엄휠(96)과 안내로울러(13)를 구동시키는 워엄기어(13')가 접동되도록하며, 상기 워엄기어(13')의 축에 스퍼어기어(13a) 및 종동스퍼어기어(13a')가 치합되어 안내로울러(13)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케이스(45)(45')일측면에 사각구멍(H)을 형성하고 내측면에는 안내홈(50)(50')을 형성하여 성형로울러(47)(47')를 축설한 이송블럭(49)이 이송자재토록 삽설되게하여, 이 이송블럭(49)을 이송나사(48)로써 이송조절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떡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성형로울러(47) 일측에 근접센서(93)를 설치하여 성형로울러(47)의 금형을 셋팅시키는 셋트스크류우(57)의 머리부가 가장 가깝게 도착했을때 감지하여 마그네트 밸브(24)에 신호를 보내줌으로써 마그네트 밸브가 회전봉(27)을 상승시켜 종동이송클러치판(29)이 회전클러치판(29')에 접속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하고 신호가 정지되면 압축스프링(25)에 의해 종동이송클러치판(29)이 떨어짐으로서 속고물이 간혈적으로 떡내부로 공급되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토출관(30)은 하부양측을 성형로울러(47)(47')의 외주면과 같은 원호로 만곡면(97)(97')을 형성하고 상단부는 턱부(30')를 형성하거나 그외 공지된 모든 결합수단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성형로울러(47)(47')사이에 토출관(30)의 하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안성적으로 떡반죽을 공급시킬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성형로울러(47a) 외주면에 떡모양의 요부(101)를 형성함으로써, 성형로울러(47a) 자체가 금형으로써 사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장치.
KR2019930008150U 1993-05-12 1993-05-12 떡 제조장치 KR960003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150U KR960003277Y1 (ko) 1993-05-12 1993-05-12 떡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8150U KR960003277Y1 (ko) 1993-05-12 1993-05-12 떡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869U KR940025869U (ko) 1994-12-08
KR960003277Y1 true KR960003277Y1 (ko) 1996-04-19

Family

ID=1935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8150U KR960003277Y1 (ko) 1993-05-12 1993-05-12 떡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27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849B1 (ko) * 2009-07-07 2010-03-31 최용덕 떡 제조 장치
KR100944982B1 (ko) * 2009-08-13 2010-03-03 임철한 떡가루 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5869U (ko) 199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7683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orming food into doughnut shape
KR910011133A (ko) 면류 제조장치
KR20080065059A (ko) 호떡·찐빵·왕만두 제조장치
US4676727A (en) Machine for dividing mass material into individual pieces
KR20090043061A (ko) 호떡 성형장치
KR960003277Y1 (ko) 떡 제조장치
CN107212038B (zh) 一种面食一体机
KR102192971B1 (ko) 새알심 제조장치
JPH08275756A (ja) お好み焼きの自動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40084642A (ko) 만두 성형기
KR20060025725A (ko)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절단장치
JPS61202665A (ja) 食品成形機
JPH0731548A (ja) お好み焼の自動焼き上げ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2152150A (ja) 米飯成型装置
JP3167879U (ja) 練製品の汎用製造機
KR100831966B1 (ko) 떡분말 피복장치
KR970004722Y1 (ko) 여러모양의 떡제조용 성형로울러의 이송장치
KR20000013009U (ko) 즉석 어묵제조기
KR100425808B1 (ko) 봉형상 튀밥과자 제조장치
KR200282352Y1 (ko) 봉형상 튀밥과자 제조장치
KR940006731Y1 (ko) 떡 제조기
US60623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harging a food material
JPS61141851A (ja) 食品成形機
KR200402908Y1 (ko) 어묵반죽 성형기
JPH012623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71210

Effective date: 199808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