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0849B1 - 떡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떡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849B1
KR100950849B1 KR1020090061568A KR20090061568A KR100950849B1 KR 100950849 B1 KR100950849 B1 KR 100950849B1 KR 1020090061568 A KR1020090061568 A KR 1020090061568A KR 20090061568 A KR20090061568 A KR 20090061568A KR 100950849 B1 KR100950849 B1 KR 10095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rice cake
support frame
power transmission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덕
권유안
Original Assignee
최용덕
권유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덕, 권유안 filed Critical 최용덕
Priority to KR1020090061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5Agglomeration or granulation by extrusion or by pressing, e.g. through small holes, through sieves or between surf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떡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떡을 인출하는 성형홀들을 회전시켜 꽈배기 형상의 떡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고, 성형홀들의 형상을 변경하여 꽈배기 형상의 떡 모양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떡 제조 장치, 떡 제조 장치 본체, 성형기구, 구동기구, 떡, 성형홀

Description

떡 제조 장치{DEVICE FOR MANUFACTURING RICE CAKE}
본 발명은 떡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래떡을 다양한 형상으로 간편하게 성형할 수 있는 떡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은 예로부터 오곡에 갖가지 과일, 나물 등의 독특한 향기, 맛 및 자연색소들을 이용해 영양가 높고 맛이 좋으며 볼품 있는 갖가지 떡을 만들어왔다. 별미로서만이 아니라 주식으로도 쓰였으며, 잔치와 제사 및 고사 등에 빠질 수 없는 음식이다.
이러한 떡은 재료의 특성에 따라 가루를 내어 만드는 것과 쌀 그대로 만드는 것으로, 만드는 방법에 따라 시루떡류, 증편(기지떡)류, 흰떡류, 송편류, 찰떡류, 경단류, 전병류, 웃기류 등으로 나뉠 수 있다. 떡감으로는 멥쌀과 찹쌀을 비롯한 여러 잡곡, 잣과 밤 및 대추 따위의 과일들, 쑥과 취 및 호박 등이 있다. 떡은 그 재료와 만드는 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100가지도 넘는다. 또한, 떡은 형태도 둥글고 납작한 것, 네모난 것, 반달 같은 것, 꼬리가 달린 것, 지진 것 등 여러 가지가 있 다.
특히, 과자와 빵 및 페스트 푸드 등으로 인해 떡의 소비가 크게 감소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및 유통 구조의 개선 등으로 인하여 떡의 소비가 날로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그 중에서, 떡볶이는 떡을 재료로 하는 대표적인 음식으로써, 주변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쉽게 먹을 수 있는 먹거리이다. 이러한, 떡볶이는 고추장을 사용해 매운 맛을 내는 분식 떡볶이와, 간장을 사용하는 궁중 떡볶이로 그 종류를 나눌 수 있다. 최근의 떡볶이는 치즈, 케첩, 자장, 해물, 곱창, 라면 등과 같이 다양한 재료와 양념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떡볶이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떡볶이의 주재료로는 쌀을 주재료로 만들어지는 가래떡을 들 수 있다. 다만, 떡볶이에 사용되는 떡은 일반적인 가래떡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가래떡은 가는 원통형으로 길게 뽑아 일정한 길이로 자른 흰떡으로써, 떡볶이뿐만 아니라 떡국, 찜, 조림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가래떡은 원통형 모양으로만 획일적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거나 음식의 미적 측면을 향상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래떡을 다양한 형상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떡 제조 장치 본체의 배출구에 단순한 구조의 모듈을 장착하는 것만으로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떡을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는 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개의 가래떡을 꽈배기 형상으로 간편하게 꼬아 만들 수 있는 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종 재료로부터 떡을 제조하고 상기 떡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떡 제조 장치 본체, 상기 배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떡이 통과되는 적어도 두 개의 성형홀들이 복수의 위치에 각각 형성된 성형기구, 및 상기 성형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성형홀들을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떡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즉, 상기 구동기구에 의해 상기 성형홀들이 회전되면, 상기 성형홀들을 통과하는 떡들이 일방향으로 꼬여 꽈배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구에 의해 상기 성형기구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된 상기 성형홀들이 동시에 회전되면, 상기 성형기구의 복수의 위치에서 꽈배기 형상으로 꼬인 떡이 동시에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성형기구는,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게 결합되도록 상기 배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복수개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구와 연결되며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성형홀들이 형성된 성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떡은, 상기 장착부를 통해 상기 성형부들로 유동될 수 있고, 상기 구동기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성형부들의 상기 성형홀들을 통해 각각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배출구에 일단부가 연통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와 연통되는 상기 성형부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성형부들을 보호하는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성형부들의 사이에는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성형부들의 사이에는 상기 성형부들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성형부들 중 어느 하나에 돌기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성형부들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성형부들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부들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성형부들의 타단부는 상기 성형홀들이 형성되도록 밀폐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떡은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성형부들의 일단부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성형부들을 따라 유동된 떡은 상 기 성형부들의 타단부에 형성된 성형홀들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성형부들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와 상기 성형부들에 형성된 동력전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에 기어(gear), 스프로킷휠(sprocketwheel) 또는 풀리(pulley)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제1 동력전달부재, 상기 성형부들에 각각 기어, 스프로킷휠 또는 풀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제2 동력전달부재들, 및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들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기어, 체인(chain), 또는 벨트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제3 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성형기구와 상기 구동기구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들은 상기 성형부들의 외주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직접 회전되는 구조이며,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들은 상기 성형부들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의 동력은 제1 동력전달부재, 제3 동력전달부재, 및 제2 동력전달부재들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성형부들에 각각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케이스 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부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 지지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부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들은 상기 제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성형부들의 외주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프레임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성형홀들은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중 적어도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성형부들을 교체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상기 성형홀들을 통해 다양한 단면 형상의 떡들을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양한 단면의 떡들을 꽈배기 형상으로 꼬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성형홀들의 벽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성형홀들을 통해 인출되는 상기 떡의 표면에는 상기 요철에 대응하는 요철 형상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홀들은 상기 성형부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이 방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성형부가 회전되면, 상기 성형홀들에서 인출된 떡들은 상호 동일한 비틀림 각도로 꼬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부들을 교체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다양한 개수의 떡들을 꼬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성형홀들은 적어도 하나가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성형홀들에서 인출되는 떡들이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성형홀들은 상기 떡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성형부들의 내부로 유입된 떡들은 상기 성형홀들로 보다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홀들은 상기 성형부들의 회전 중심을 향해 상기 떡이 배출되 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성형부들의 내부에 존재하는 떡들은 서로 꼬는 것이 용이한 방향으로 상기 성형홀들을 통해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 장치는, 성형부들의 회전시 성형홀들을 통해 떡이 인출되므로, 성형홀들을 통해 인출되는 떡들을 꽈배기 형상으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성형홀들의 형상과 크기 및 개수를 변경하면, 다양한 형상의 꽈배기형 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 장치는, 성형기구와 구동기구를 떡 제조 장치 본체의 배출구에 배치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다양한 형상의 떡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성형기구와 구동기구의 모듈화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기구와 구동기구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다양한 떡 제조 장치 본체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 장치는, 구동기구에 의해 복수개의 성형부들이 동시에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성형부들에 각각 형성된 성형홀들을 통하여 여러 개의 떡들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 장치는, 일단부에 성형홀들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성형부들이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성형부들의 외주에 구동기구와 연결되는 제2 동력전달부재들이 형성되므로, 성형부들이 매우 간단 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성형부들의 설치 및 교체도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성형기구와 구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성형기구와 구동기구를 나타낸 좌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 장치에 의해 떡이 제조되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 장치의 성형홀들에 대한 다른 예들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 장치의 성형홀들에 대한 또 다른 예들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 장치(100)는 떡 제조 장치 본체(110), 성형기구(120), 및 구동기구(130)를 포함한다.
상기 떡 제조 장치 본체(110)는 멥쌀 및 찹쌀 등과 같은 떡의 재료로부터 떡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떡 제조 장치 본체(110)는 제조하는 떡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가래떡을 제조하는 장치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떡 제조 장치 본체(110)의 전면에는 제조된 떡을 배출하는 배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떡은 배출구(112)를 통해 소정의 압력으로 배출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성형기구(120)는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떡을 꽈배기 형상으로 성형하는 장치이다. 성형기구(120)는 배출구(112)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성형기구(120)는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 떡이 통과되는 적어도 두 개의 성형홀(124a)(124b)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성형기구(120)는 장착부(122) 및 성형부(12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22)는 배출구(112)에 연통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써, 필요에 따라 배출구(11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성형부(124)들은 적어도 두 개의 성형홀(124a)(124b)들이 형성된 부재로써, 장착부(122)에 복수개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구동기구(1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122)는, 배출구(112)에 후단부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관(126), 및 연결관(126)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성형부(124)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8)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관(126)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관(126)의 후단부는 배출구(112)의 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관(126)의 전단부는 지지프레임(128)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28)은, 연결관(126)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성형부(124)의 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프레임(128a), 및 제1 지지프레 임(128a)에서 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성형부(124)의 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프레임(128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128a)과 제2 지지프레임(128b)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는 성형부(124)들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관통홀(129a)(129b)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프레임(128a)과 제2 지지프레임(128b) 및 연결관(126)은 단수개의 체결부재(127)로 함께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127)는 복수의 위치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지지프레임(128a)과 제2 지지프레임(128b) 및 연결관(126)은 전술한 체결부재(127)를 이용한 체결 구조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결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성형부(124)들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부(124)들은 제1 지지프레임(128a)과 제2 지지프레임(128b)의 관통홀(129a)(129b)들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성형부(124)들의 후단부는 연결관(126)의 전단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성형부(124)들의 타단부는 성형홀(124a)(124b)들이 형성될 수 있도록 밀폐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관통홀(129a)(129b)의 내부에는 성형부(124)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지만,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이 배치되지 않고 윤활성이 우수한 소재로 성형부(124)와 지지프레임(128)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지지프레임(128)과 성형부(124)들의 사이에는 성형부(124)들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성형부(124)들의 위치를 설정하는 다양한 방식의 위치 설정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위치 설정 구조를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2 지 지프레임(128b)의 관통홀(129a)(129b) 내벽 및 성형부(124)의 전단부에는 성형부(124)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단차부(121)(123)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지지프레임(128a)의 관통홀(129a)(129b) 후방부에는 성형부(124)의 후단부가 걸려 성형부(124)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링(ring)(125)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기구(130)는 떡 제조 장치 본체(110) 또는 성형기구(120)에 배치되어 성형부(124)들을 구동시키는 장치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성형기구(120)에 구동기구(130)가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떡 제조 장치 본체(110)에 구동기구(130)가 배치될 수 있고, 떡 제조 장치 본체(110)에 성형기구(120)를 장착할 때 성형기구(120)와 구동기구(130)가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구동기구(130)는, 지지프레임(128)에 배치된 구동부(132), 및 구동부(132)의 동력을 성형부(124)들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32)는 지지프레임(128)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프레임(128)에 고정되는 케이스(136)에 구동부(132)가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136)가 사용되면, 구동부(132)와 동력전달부(134)의 설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기구(120)와 구동기구(130)를 외부 충격 또는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성형기구(120)와 구동기구(130)가 하나의 장치로 형성되면, 성형기구(120)와 구동기구(130)의 모듈화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32)는 케이스(136)의 전면에 장착된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의 회전축(132a)은 케이스(136)의 전면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케이스(13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134)는, 구동부(132)의 회전축(132a)에 기어(gear), 스프로킷휠(sprocket) 또는 풀리(pulley)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제1 동력전달부재(140), 성형부(124)들에 각각 기어, 스프로킷휠 또는 풀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들, 및 제1 동력전달부재(140)와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들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기어, 체인(chain), 또는 벨트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제3 동력전달부재(146)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동력전달부재(140)와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들이 스프로킷휠로 형성되고 제3 동력전달부재(146)가 체인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기어, 스프로킷휠, 풀리, 체인, 벨트 등이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들은 성형부(124)들의 외주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들은 성형부(124)들의 외주에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성형부(124)들의 후단부와 전단부는 제1 지지프레임(128a)과 제2 지지프레임(128b)에 의해 각각 지지되므로,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들은 제1 지지프레임(128a)과 제2 지지프레임(128b)에 간섭되지 않도록 성형부(124)들의 후단부와 전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동력전달부재(146)는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들과 마찬가지로 제1 지지프레임(128a)과 제2 지지프레임(128b)의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 다. 제3 동력전달부재(146)의 일측은 제1 동력전달부재(140)와 연결될 수 있고, 제3 동력전달부재(146)의 타측은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들과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동력전달부재(140)와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들 및 제3 동력전달부재(146)의 동력 전달 구조는 다양한 변형과 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동력전달부재(146)는 제1 동력전달부재(140)의 동력을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들 중 어느 하나에만 전달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들은 별도의 체인 또는 벨트, 및 기어들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3 동력전달부재(146)가 제1 동력전달부재(140)의 동력을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들에 전달하는 기어 셋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에는 떡 제조 장치(100)에 채용될 수 있는 성형부의 성형홀들에 대한 다른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즉, 떡 제조 장치(100)는 필요시 성형부를 교체하여 다양한 형상의 떡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에서 제시되는 성형홀의 형상들은 단지 일부의 실시예일뿐이며, 그 이외의 다양한 변형과 조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성형부(210)(220)의 성형홀(210a~210c)(220a~220d)들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성형부(124)의 성형홀(124a)(124b)들과 상이한 점은, 성형부(210)(220)가 3개의 성형홀(210a~210c) 들 또는 4개의 성형홀(220a~220d)들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홀(210a~210c)(220a~220d)들은 성형 부(210)(22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이 방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5개 또는 6개 이상의 성형홀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성형홀(210a~210c)(220a~220d)들이 성형부(210)(220)에 방사 형상으로 배치되면, 떡 제조 장치 본체(110)의 작동시 성형홀(210a~210c)(220a~220d)들로 인출되는 떡들이 성형부(210)(220)를 회전시킴에 따라 동일한 비틀림 각도로 꼬여질 수 있다. 따라서, 떡 제조 장치(100)에 의해 제조되는 꽈배기 형상의 떡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성형부(310)(320)(330)(340)의 성형홀(310a~310b)(320a~320b)(330a~330b)(340a~340d)들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성형부(124)의 성형홀(124a)(124b)들과 상이한 점은, 성형홀(310a~310b)(320a~320b)(330a~330b)(340a~340d)들의 형상이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중 적어도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성형홀(310a~310b)(320a~320b)(330a~330b)(340a~340d)의 벽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부(310)(320)(330)(340)의 성형홀(310a~310b)(320a~320b)(330a~330b)(340a~340d)들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면, 성형홀(310a~310b)(320a~320b)(330a~330b)(340a~340d)들을 통해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떡들이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성형부(310)(320)(330)(340)의 성형홀(310a~310b)(320a~320b)(330a~330b)(340a~340d)들은 사각형, 삼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 홀(310a~310b)(320a~320b)(330a~330b)(340a~340d)들의 벽면에 요철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떡 제조 장치(100)에 의해 제조되는 꽈배기 형상의 떡은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단면 형상과 표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꽈배기 형상의 떡 표면이 성형홀(330a~330b)들의 요철에 의해 요철 형상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 외관의 미적 효과뿐만 아니라 떡의 조리시 양념이 보다 잘 스며들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 도시된 성형부(410)(420)의 성형홀(410a~410b)(420a~420d)들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성형부(124)의 성형홀(124a)(124b)들과 상이한 점은, 성형홀(410a~410b)(420a~420d)들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성형홀(410a~410b)(420a~420d)들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부(410)(420)의 성형홀(410a~410b)(420a~420d)들이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면, 성형홀(410a~410b)(420a~420d)들에서 인출되는 떡들의 크기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성형부(410)(420)의 회전시 꼬여지는 형상에도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도 9에 도시된 성형부(510)의 성형홀(510a)(510b)들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성형부(124)의 성형홀(124a)(124b)들과 상이한 점은, 성형홀(510a)(510b)들이 떡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부(510)의 성형홀(510a)(510b)들이 후방으 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면, 성형부(510) 내의 떡이 성형홀(510a)(510b)들로 보다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홀(510a)(510b)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형홀(510a)(510b)의 벽면은 직선형, 곡선형, 또는 계단형 중 적어도 어느 한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를 참조하면, 도 10에 도시된 성형부(610)의 성형홀(610a)(610b)들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성형부(124)의 성형홀(124a)(124b)들과 상이한 점은, 성형홀(610a)(610b)들에서 떡이 배출되는 방향이 성형부(610)의 회전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부(610)의 성형홀(610a)(610b)들이 성형부(610)의 회전 중심을 향해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면, 성형부(610) 내의 떡이 성형부(610)의 회전 중심을 향해 인출되기 때문에 성형홀(610a)(610b)들에서 인출된 떡들을 보다 원활하게 꼬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성형홀(610a)(610b)의 경사 각도는 떡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 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원형의 성형홀(124a)(124b)을 갖는 떡 제조 장치(100)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떡 제조 장치(100)를 작동시키면, 떡 제조 장치 본체(110)에 의해 만들어진 떡은 배출구(112)를 통해 소정의 압력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구(112)로 배출되는 떡은, 연결관(126)을 통해 성형부(124)의 내부로 유입되고, 성형부(124)의 내부로 유입된 떡은 성형홀(124a)(124b)들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구동부(132)를 작동시키면, 구동부(132)의 회전축(132a)에 구비된 스프로킷휠 형상의 제1 동력전달부재(140)가 회전되고, 제1 동력전달부재(140)에 의해 체인 형상의 제3 동력전달부재(146)가 회전되며, 제3 동력전달부재(146)에 의해 스프로킷휠 형상의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들이 회전된다.
그런데,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는 성형부(124)들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구동부(132)의 동력은 제1 동력전달부재(140), 제3 동력전달부재(146), 및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들을 통해 성형부(124)들에 각각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성형부(124)들은 제2 동력전달부재(142)(144)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부(124)들이 회전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홀(124a)(124b)들을 통해 인출되는 떡(R1)(R2)들은 서로 꼬이면서 꽈배기 형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꽈배기 형상의 떡은 성형부(124)들에서 각각 복수개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꽈배기 형상의 떡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성형기구(120)의 연결관(126)을 배출구(112)에서 탈거시킬 수 있다. 또는, 다른 꽈배기 형상의 떡이 필요한 경우에는, 성형기구(120)의 연결관(126)을 배출구(112)에 탈거시킨 후 다른 성형홀(124a)(124b)들을 갖는 성형기구(120)의 연결관(126)을 장착시키거나, 성형기구(120)의 연결관(126)을 배출구(112)에서 탈거시킨 후 성형부(124)들을 다른 성 형홀(124a)(124b)들을 갖는 성형부(124)들로 교체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실시예와는 다르게, 성형홀(124a)(124b)들을 통해 인출되는 떡(R1)(R2)들을 각각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떡 제조 장치(100)에 의해 제조되는 꽈배기 형상의 떡은 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성형부(124)들과 연결관(126) 및 배출구(112)의 내부에 성형홀(124a)(124b)들로 서로 다른 색상의 떡들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성형기구와 구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성형기구와 구동기구를 나타낸 좌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 장치에 의해 떡이 제조되는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 장치의 성형홀들에 대한 다른 예들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 장치의 성형홀들에 대한 또 다른 예들이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떡 제조 장치 110: 떡 제조 장치 본체
120: 성형기구 130: 구동기구

Claims (13)

  1. 각종 재료로부터 떡을 제조하고 상기 떡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떡 제조 장치 본체, 상기 배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떡이 통과되는 적어도 두 개의 성형홀들이 복수의 위치에 각각 형성된 성형기구, 및 상기 성형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성형홀들을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떡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구는, 상기 배출구에 연통되게 결합되도록 상기 배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복수개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기구와 연결되며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성형홀들이 형성된 성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배출구에 일단부가 연통되도록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와 연통되는 상기 성형부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성형부들을 보호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성형부들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와 상기 성형부들에 형성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떡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들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성형부들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성형부들의 타단부는 상기 성형홀들이 형성되도록 밀폐된 형상으로 형성된 떡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부에 기어, 스프로킷휠 또는 풀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제1 동력전달부재; 상기 성형부들에 각각 기어, 스프로킷휠 또는 풀리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제2 동력전달부재들; 및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들이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기어, 체인, 또는 벨트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제3 동력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들은 상기 성형부들의 외주에 구비된 떡 제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케이스 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부들의 일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 지지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성형부들의 타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지지프레임과 상기 성형부들의 일단부에는 상기 성형부들의 일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단차부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프레임에는 상기 성형부들의 타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성형부들의 타단부가 걸림되는 링이 배치되는 떡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력전달부재들은 상기 제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성형부들의 외주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지지프레임과 연결되는 떡 제조 장치.
  8.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홀들은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중 적어도 어느 한 형상으로 형성된 떡 제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홀들의 벽면에는 요철이 형성된 떡 제조 장치.
  10.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홀들은 상기 성형부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이 방사 형상으로 배치된 떡 제조 장치.
  11.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홀들은 적어도 하나가 다른 크기로 형성된 떡 제조 장치.
  12.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홀들은 상기 떡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떡 제조 장치.
  13.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홀들은 상기 성형부들의 회전 중심을 향해 상기 떡이 배출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떡 제조 장치.
KR1020090061568A 2009-07-07 2009-07-07 떡 제조 장치 KR100950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568A KR100950849B1 (ko) 2009-07-07 2009-07-07 떡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568A KR100950849B1 (ko) 2009-07-07 2009-07-07 떡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849B1 true KR100950849B1 (ko) 2010-03-31

Family

ID=4218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568A KR100950849B1 (ko) 2009-07-07 2009-07-07 떡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8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5869U (ko) * 1993-05-12 1994-12-08 장인락 떡 제조장치
KR20020066426A (ko) * 2001-02-10 2002-08-17 용 순 박 떡 제조장치
KR20090064648A (ko) * 2007-12-17 2009-06-22 장인락 꽈배기 떡 성형용 노즐기구 및 그 꽈배기 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5869U (ko) * 1993-05-12 1994-12-08 장인락 떡 제조장치
KR20020066426A (ko) * 2001-02-10 2002-08-17 용 순 박 떡 제조장치
KR20090064648A (ko) * 2007-12-17 2009-06-22 장인락 꽈배기 떡 성형용 노즐기구 및 그 꽈배기 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37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led extrudate
RU2145167C1 (ru) Экструзионная матрица и экструз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WO2008103021A2 (es) Aparato y método para la producción de una pieza alimenticia de masa enrollada
EP0815729B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39;un produit alimentaire par extrusion
KR100950849B1 (ko) 떡 제조 장치
KR100986171B1 (ko) 꽈배기 떡 성형용 노즐기구 및 그 꽈배기 떡
KR20110065118A (ko) 다색떡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AU2011362612B2 (en) Apparatus for curled extruded food product
US99557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led extrudate
CN107183099A (zh) 多彩面条机的压汁机
CN108618185B (zh) 多色螺旋米果生产用挤压模具
KR100896008B1 (ko) 떡 제조장치
CN212971585U (zh) 一种粉条成型熟化机
CN203801649U (zh) 一种用于米肠加工机的牵引装置
US6612825B2 (en) Pillow cutting extruder machine
KR200244510Y1 (ko) 떡볶이용 가래떡의 제조장치
CN106922768A (zh) 一种用于制作鸡蛋面条的和面装置
KR102381820B1 (ko) 가래떡 제조 시스템
KR200338653Y1 (ko) 심재를 삽설한 2중가래떡의 제조장치
CN108339485A (zh) 一种调料生产用多级混合装置
KR20100083466A (ko) 스낵과자 제조장치
KR20020001669A (ko) 국수형 만두 및 그 제조장치
CN114158588A (zh) 一种蔬菜麻花制作工艺及工装
CN2838301Y (zh) 多功能膨化果饼休闲食品机
KR200286226Y1 (ko) 다차원 재료배열 식품가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