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3061A - 호떡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호떡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3061A
KR20090043061A KR1020070108692A KR20070108692A KR20090043061A KR 20090043061 A KR20090043061 A KR 20090043061A KR 1020070108692 A KR1020070108692 A KR 1020070108692A KR 20070108692 A KR20070108692 A KR 20070108692A KR 20090043061 A KR20090043061 A KR 20090043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molding
motor
cutting
hotte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복소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복소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복소문
Priority to KR102007010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3061A/ko
Publication of KR20090043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5/00Dough-dividing machines
    • A21C5/006Dough-dividing machines for dispensing liquid or semi-liquid dough, e.g. batte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6Apparatus for filling pieces of dough such as doughnu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2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모터 및 센서를 이용하여 소가 투입된 반죽물의 절단 및 오븐으로 이송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구성의 단순화 및 이를 통한 성형장치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위생적인 호떡 반죽물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호떡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떡 반죽물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호떡 성형장치는 반죽호퍼 내에 들어있는 밀가루 반죽을 중공의 스크류가 장착되어 회전방식으로 외부로 밀어내는 압출통을 구비한 반죽공급부와 상기 중공의 스크류를 경유하여 밀가루 반죽 내부에 소정의 소를 공급하기 위해 소호퍼에 담겨있는 소를 스크류에 의해 밀어내는 소공급부가 메인프레임에 고정된 호떡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구성되되 상기 압출통(26)에서 배출되는 반죽의 배출차단 및 내부에 소가 투입된 일정량의 반죽을 절단하는 복수의 칼날(442)이 구성된 절단수단(40); 및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구성되되 상기 절단수단(40)에 의해 절단된 내부에 소가 투입된 일정량의 반죽을 일측에 구성되는 오븐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호떡, 와플, 반죽성형, 소, 오븐, 반죽물공급

Description

호떡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떡 반죽물 성형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ste bread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호떡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떡 반죽물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모터 및 센서를 이용하여 소가 투입된 반죽물의 절단 및 오븐으로 이송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구성의 단순화 및 이를 통한 성형장치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위생적인 호떡 반죽물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호떡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떡 반죽물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떡은 재료를 반죽한 다음 반죽된 재료를 손으로 일정량 분리한 다음 일정한 모양으로 만들고 그 내면에 내용물(설탕, 이하 "소"라 약칭함)을 넣은 다음 구이판을 이용하여 구워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호떡을 구울 때에는 작업자의 손에 반죽물이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에 기름을 바른 다음 기름이 묻은 손으로 일정량의 반죽물을 뜯어내고, 그 반죽물 안에 소를 넣는 과정 등이 작업자의 손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반죽물에 소를 넣는 과정이 이루어짐에 따른 호떡의 제조 가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63510호에는 사람이 일일이 모든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기계장치에 의하여 반죽물 성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반죽물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호떡 반죽물 성형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작업자가 손으로 핸들을 돌리면 다수의 기어열과 베벨기어들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스크류가 반죽물을 하측으로 밀어내고 소를 반죽물 안에 넣어 낙하시키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의 등록실용신안은 작업자가 손으로 핸들을 돌려야하는 수동식의 기계이고, 또한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방식에 있어서 다수의 기어열과 베벨기어들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구성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실용신안 제267387호에는 반죽물을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시키고, 소를 일정량만큼 수평방향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소가 내부에 첨가된 호떡 반죽물을 평평한 절단칼로서 절단하여 누름부로서 눌러주도록 한 반죽물 자동 성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등록실용신안은 소 호퍼로부터 자유낙하는 소를 다시 수평방향으로 밀어주어 반죽물에 투입하도록 하였으나, 실제로 소(예컨대, 설탕이나 야채 또는 팥고물)는 자유낙하가 될 수 없어 실용화되지 못하였으며, 또한 소가 내부에 첨가된 호떡 반죽물을 평평한 절단칼로서 절단하므로 반죽물의 오므림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소가 반죽물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이렇게 소가 첨가된 눌려진 호떡(이는 굽기 전의 호떡 반죽 물을 지칭함)을 하부에서 가열된 평평한 판에서 가스불로서 굽기 때문에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 뒤집어 반대편을 굽는 방식의 종전과 동일하게 구워짐에 따라 일률적으로 양 측면이 구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실용신안 제391156호에는 소를 스크류 방식으로 밀어주되 스크류와 연동하는 활차를 이용함으로써 소가 반죽물에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하고, 소가 첨가된 호떡 반죽물을 캠 방식에 의해 작동하는 절단칼로서 절단하여 오므림으로써 절단 및 오므림 작동이 확실하며, 눌려진 호떡 반죽물을 회전하는 오븐에서 굽게되므로 호떡의 양측면이 일정하게 구워지도록 한 호떡 성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등록실용신안은 자유낙하된 소가 첨가된 반죽물을 다수의 절단칼로 절단할 때 절단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다수의 절단칼을 링크방식에 의해 구동됨에 따른 복잡한 구성으로 그 제조가 난해하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단된 소가 첨가된 반죽물을 이송수단에 의해 오븐까지 이송시킴에 따른 최초 자유낙하로 형성된 소가 첨가된 반죽물이 이송수단에 의해 어느 한쪽이 밀려져 그 모양이 변형되고, 특히 어느 한쪽의 두께가 다른 쪽보다 두꺼워져 호떡의 익힘이 균일하지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반죽물 호퍼의 하방에 절단칼과 상기 반죽물 호퍼의 하방에 구성되되, 상기 호퍼의 하방에서 오븐까지 왕복 이송되는 성형컵이 구성되고, 상기 절단칼은 캠방식에 의해 슬라이딩됨에 따라 소가 첨가 된 반죽물을 절단하며, 상기 성형컵의 왕복이송을 위한 모터 및 상기 성형컵의 뒤집힘과 복귀가 복수의 스프링에 의해 이루어지는 호떡 제조장치가 있다.
따라서, 상기의 호떡 제조장치는 절단칼에 의해 호퍼의 하방을 개방하며, 이때 성형컵은 상기 호퍼의 하방에 위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호퍼를 통해 자유낙하되는 소가 첨가된 반죽물은 상기 성형컵에 모아지고, 이 후 상기 절단칼은 캠 방식에 의해 모아지면서 상기 호퍼에서 반죽물을 절단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성형컵에 모아진 반죽물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성형컵이 타방의 오븐까지 이송되며, 이 경우 상기 성형컵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된 복수의 스프링에 위해 오븐까지 이송되는 동안 서서히 뒤집혀지면서 상기 오븐에 위치되면 완전히 뒤집혀 상기 성형컵에 모아진 반죽물은 오븐으로 낙하된다.
아울러, 상기 반죽물의 이송이 완료되면 상기 성형컵은 모터의 역 회전력에 의해 호퍼의 하방으로 복귀되고, 또한 복수의 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해 뒤집힘이 복귀된다.
그러나, 상기의 호떡 제조장치는 캠 방식에 의한 절단칼의 절단 구성이 복잡하고, 더불어 복수의 스프링에 의한 성형컵의 뒤집힘 및 복귀구성이 복잡하여, 그 제조가 난해하고, 구성의 복잡성으로 청소가 용이하지 못한 위생적인 호떡의 제공에 악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성형컵에 구성되는 복수의 스프링은 그 구성의 특성상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조장치가 미려하지 못하고, 특히 호떡의 섭취자에게 기계구성의 거부감에 따른 섭취감을 감소시켜 결국, 영업상의 불이익을 제공하 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의 스프링에 의해 뒤집힘 및 복귀되는 성형컵은 장시간 사용시 스프링의 탄성계수의 변화로 성형컵의 뒤집힘이 오븐에 위치되어도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반죽물이 오븐에 낙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성형컵이 호퍼에서 오븐까지 이동되는 동안 뒤집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복수의 스프링 장력을 잘못 설정될 경우 성형컵이 오븐에 이송되기 전에 뒤집혀져 반죽물이 낙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상기 스프링의 장력 조절에 중요성이 있으나, 일반인 즉, 호떡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호떡을 판매하는 판매자들은 상기의 기술적 사상을 가지고 있지않으므로, 상기의 오류에 의한 대응력이 떨어져 결국, 호떡 제조장치의 신뢰성을 저하시켜 제품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모터를 이용하여 압출통에서 소가 내부에 투입된 반죽물의 절단 및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구성된 오븐으로 이송시키는 절단수단 및 성형회동수단의 구성의 단순화로 호떡 성형 및 장치의 단순화에 따른 청소의 용이성으로 섭취자들에게 위생적인 호떡을 제공하여 섭취감을 증폭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호떡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떡 반죽물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호떡 성형장치는 반죽호퍼 내에 들어있는 밀가루 반죽을 중공의 스크류가 장착되어 회전방식으로 외부로 밀어내는 압출통을 구비한 반죽공급부와 상기 중공의 스크류를 경유하여 밀가루 반죽 내부에 소정의 소를 공급하기 위해 소호퍼에 담겨있는 소를 스크류에 의해 밀어내는 소공급부가 메인프레임에 고정된 호떡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성되되 상기 압출통에서 배출되는 반죽의 배출차단 및 내부에 소가 투입된 일정량의 반죽을 절단하는 복수의 칼날이 구성된 절단수단;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성되되 상기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내부에 소가 투입된 일정량의 반죽을 일측에 구성되는 오븐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절단수단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지지되고 축선상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축; 상기 나사축의 어느 일단에 마련되도록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정, 역회전하는 제2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키는 제2동력모듈; 및 상기 나사축의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산 각각에 일측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나사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열림 또는 닫힘 동작에 의해 압출통을 통해 배출되는 반죽의 배출차단 및 절단하는 복수의 칼날이 구성된 절단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프레임에는 나사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절단부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할 때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고 수평 이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절단부의 어느 일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봉;이 더 구성되고, 절단수단의 어느 일측에는 절단부의 복수의 칼날이 상호 열림 또는 닫힘 동작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호를 통해 성형회동수단과의 연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센싱부;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송수단은 메인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고정되고 제3모터를 구비한 제3동력모듈이 구성된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제3동력모듈에 일단이 고정되고 어느 일측에 제4모터가 구성되어 상기 회동부의 제3모터의 정, 역 회전력에 의해 일정 각도범위를 수평왕복 회동하는 메인하우징; 및 상기 메인하우징의 타단에 구성되고 상방에는 소가 투입된 반죽물을 받침하는 성형공간이 형성된 성형컵이 구성되고 하방에는 상기 성형컵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동하우징이 구성되되 상기 회동하우징의 일측에는 메인하우징의 제4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4모터의 정, 역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동하우징이 일정 각도범위를 수직왕복 회동시켜 상기 성형컵의 성형공간에 받침된 반죽물이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회동하우징의 어느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성형컵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5모터가 구성된 성형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부에는 제3동력모듈과 메인하우징을 연결하는 고정축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축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고정축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구성되며 메인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고정된 베어링하우징;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하우징에는 제4모터와 회동하우징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축이 더 구성되며; 상기 연결축의 일단은 회동하우징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4모터의 일단과 상호 끼워 맞춤되도록 요철(凹凸)부;가 형성되고, 성형컵의 성형공간에는 상기 성형공간에 받침된 반죽물이 제4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성형컵이 수직회동으로 뒤집혔을 경우 상기 성형공간에서 반죽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배출돌기;가 더 구성되며, 성형부가 위치되는 메인하우징의 일단 외주연에는 일정 깊이를 가지는 단속홈;이 구성되고 상기 성형부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되 일측이 상기 단속홈에 위치되어 상기 성형부가 제4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수직왕복 회동할 때 상기 단속홈의 구간만큼만 성형부의 회동각도를 단속하도록 돌출핀;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송수단의 어느 일측에는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된 소가 투입된 반죽물의 받침 및 오븐으로의 이송할 때 상기 절단수단은 닫힘된 상태를 유지시켜 압출통에서 배출되는 반죽의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절단수단과 연계 동작하도록 센싱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호떡 반죽물 성형방법은 반죽호퍼 내에 들어있는 밀가루 반죽을 중공의 스크류가 장착되어 회전방식으로 외부로 밀어내는 압출통을 구비한 반죽공급부와 상기 중공의 스크류를 경유하여 밀가루 반죽 내부에 소정의 소를 공급하기 위해 소호퍼에 담겨있는 소를 스크류에 의해 밀어내는 소공급부가 메인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소가 첨부된 반죽물이 상기 압출통을 통해 배출되는 호떡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구성된 회동부의 제3모터의 회전에 의해 성형부가 절단수단의 하방에 위치되는 성형준비단계와; 상기 성형준비단계를 통해 절단수단의 하방에 성형부가 위치되면 상기 절단수단의 제2동력모듈의 제2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나사축이 일 방향하면 상기 나사축에 일단이 나사 결합된 절단부의 복수의 칼날이 축선 방향을 따라 펼쳐지면서 개방되고 이를 통해 압출통에서는 내부에 소가 투입된 반죽물이 하방으로 낙하되어 성형회동수단의 성형컵에 받쳐지는 성형단계;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일정량의 반죽물이 성형컵에 받쳐지면 상기 제2동력모듈의 제2모터는 역 회전되어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된 절단부의 복수의 칼날이 상호 근접되는 닫힘상태를 이루며 완전한 닫힘이 이루어지면 상기 압출통과 성형컵 사이의 반죽물을 절단시키는 절단단계; 상기 절단단계를 통해 압출통과 성형컵 사이의 반죽물을 절단시켜 상기 성형컵에 소가 투입된 반죽물이 받침된 상태로 회동부의 제3동력모듈의 제3모터의 역 회전으로 상기 성형부가 일단에 고정된 메인하우징이 일정각도 수평회동하여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구성된 오븐의 상방에 위치시키는 이송단계; 및 상기 이송단계를 통해 상기 오븐의 상방에 성형부가 위치되면 메인하우징의 어느 일측에 구성된 제4모터의 정 회전력에 의해 성형부가 일정각도 수직회동되어 성형컵을 뒤집고 이를 통해 상기 성형컵에 받침된 반죽물이 하방으로 자유 낙하되어 오븐에 위치되며 상기 제4모터의 역회전에 의해 뒤집힌 성형컵은 원상태로 복귀되는 배출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다수의 모터를 이용하여 압출통에서 소가 내부에 투입된 반죽물의 절단 및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구성된 오븐으로 이송시키는 절단수단 및 성형회동수단의 구성의 단순화로 호떡 성형 및 장치의 단순화에 따른 청소의 용이성으로 섭취자들에게 위생적인 호떡을 제공하여 섭취감을 증폭하는 제품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떡제조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떡제조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떡제조장치의 전체 평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호떡 성형장치는 메인프레임(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단 일측에 구성되어 반죽을 공급하는 반죽공급부(20)와, 상기 메인프레임(20)의 상단 일측에 구성되어 반죽의 내부에 일정량의 소를 투입하는 소공급부(30)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단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반죽공급부(20)를 통해 배출되는 소가 투입된 일정량의 반죽을 절단하는 절단수단(40), 및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단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절단수단(40)에 의해 절단된 일정량의 반죽을 일측에 구성되는 오븐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반죽공급부(20)는 메인프레임(1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반죽호퍼(22)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단 저면에 상면이 고정되고 하단이 개방된 압출통(26)과, 상기 압출통(26)에 내부에 구성된 중공의 스크류(24)와,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상단에 고정되는 반죽모터(28)와, 상기 반죽모터(28)의 연장축에 고정된 원동스프로킷(29)과, 상기 스크류(24)에 고정되는 종동스프로킷(27), 및 상기 원동 및 종동스프로킷(29)(27)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공급부(30)는 메인프레임(10)의 상단에 고정되는 소호퍼(32)와, 상기 소호퍼(32)의 내부에 장착된 스크류(34)와, 상기 스크류(34)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모터가 장착된 제1동력모듈(36)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스크류(34)는 반죽공급부(20)의 스크류(24) 중공부와 연결되되 상기 반죽 스크류(24)의 회전을 간섭하지않도록 구성되어, 상기 소 스크류(34)를 통해 압출되는 소가 상기 반죽 스크류(24)의 중공으로 투입되어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동력모듈(36)의 회전력에 의해 스크류(3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소호퍼(32)에 저장된 소가 스크류(34)에 의해 강제 압출되면서 상기 반죽공급부(20)의 중공의 스크류(24) 내에 투입되고, 더불어 상기 반죽모터(28)의 회전력에 의해 종동스프로킷(27)이 회전됨에 따라 압출통(26)에 구성된 중공의 스크류(24)가 회전됨에 따라 반죽호퍼(22)에 저장된 반죽이 강제 압출됨에 따라 결국 반죽의 내부에 소가 투입된 상태로 상기 압출통(26)을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일반적인 기술적 사상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수단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수단의 측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수단의 평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절단수단(40)은 지지프레임(410)과 상기 지지프레임(410)에 정, 역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나사축(420)과, 상기 지지프레임(410)에 고정되어 상기 나사축(420)을 정, 역회전시키도록 정, 역회전력을 발생하는 제2모터(432)가 구성된 제2동력모듈(430), 및 상기 나사축(420)의 양단 각각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칼 날(442)이 구성되어 상기 나사축(4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칼날(442)이 상호 벌어져 압출통(26) 하방을 개방하고, 또는 상호 맞닿아 반죽의 잘단 및 압출통(26) 하방을 폐쇄하는 절단부(44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절단부(440)의 칼날(442)의 상호 벌어짐은 이하, "열림"이라 하고, 상기 칼날(442)이 상호 맞닿아 반죽 절단 및 압출통(26) 하방을 폐쇄함은 이하, "닫힘"이라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410)에는 상기 나사축(4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열림 또는 닫힘되는 절단부(440) 칼날(442)의 원활한 수평이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절단부(440)의 어느 일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봉(450)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단수단(40)에는 상기 절단부(440)의 칼날(442)의 열림과 닫힘 동작상태를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신호에 의해 이송수단(50)과 연계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센싱부(460)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410)은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되는 받침판(412)과 상기 받침판(412)의 양단에 세워지게 고정되는 측벽(414)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받침판(412) 및 측벽(414)의 고정수단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측벽(414)의 상부에는 나사축(420)이 회전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고정된 삽입공이 구성되고, 하부에는 가이드공(450)이 회전 또는 고정되도록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축(420)은 축선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이 상호 반대방향의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420)의 회전방향에 따라 복수의 칼날(442)이 열림 또는 닫힘된다.
상기 제2동력모듈(430)은 제2모터(432)의 정, 역회전력을 상기 나사축(430)으로 전달하는 수단으로, 비록 내부 구성은 도시되어 있지않지만 다수의 기어열이 구성되어 상기 제2모터(432)의 회전력 감속 또는 정밀제어가 가능하여 상기 나사축(420)의 정밀 회전 또는 정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동력모듈(430)에서 돌출된 연장축은 일면이 평면을 이루어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축(420)의 내부에 삽입되고, 더불어 멈춤나사로 상기 나사축(420)과 연장축의 평면을 고정시켜 확고한 고정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절단부(440)는 복수의 칼날(442)과 상기 복수의 칼날(442) 각각에 고정되는 복수의 칼날지지대(448)로 구성되고, 상기 칼날지지대(448)의 상방에는 나사축(420)과 나선 결합되도록 암나사공이 형성되며, 하방에는 가이드봉(450)이 끼워져 이송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칼날(442) 각각에는 닫힘시 상호 맞닿는 부분에 절단면(444)이 형성되되 상면에는 일정 깊이를 가지는 안착홈(446)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446)의 상방으로 반죽공급부(20)의 압출통(26)이 위치되어, 상기 압출통(26)에서 낙하된 반죽이 받침된다.
이 경우 상기 안착홈(446)과 압출통(26)은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를 유지됨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압출통(26)의 하단면과 안착홈(446)의 상면이 밀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절단면(444)은 압출통(26)에서 낙하된 소가 투입된 반죽을 절단할 수 있는 정도의 날을 가지면 되는 것으로, 안전을 위해 일정두께를 가져 작업자 등이 절단면(444)에 의해 상해를 입을 방지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봉(450)은 원통형의 봉으로 지지프레임(410)의 측벽(414)에 양단 각각이 고정되거나 또는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센싱부(460)는 절단부(440)의 복수의 칼날(442)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수단으로,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절단부(440)의 복수의 칼날(442) 동작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센싱부(460)는 칼날(442)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열림센서(462)와, 칼날(442)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는 닫힘센서(464)와, 상기 열림 및 닫힘센서(462)(464) 사이에 구성된 구동센서(466)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센싱부(460)의 센서들의 용이한 감지가 가능하도록 센싱부(460)가 위치된 절단부(440)의 칼날지지대(448)에는 센싱판(449)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컵의 회동 작동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이송수단(50)은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되는 회동부(510)와, 상기 회동부(510)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회동부(510)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수평왕복 회동하는 메인하우징(520), 및 상기 메인하우징(520)의 끝단에 일측이 고정되어 절단수단(40)에 의해 절단된 반죽을 오븐으로 이송하는 성형부(530)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수단(50)에는 상기 메인하우징(520)의 수평회동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540)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510)는 제3모터(514)가 구성된 제3동력모듈(512)과, 상기 제3동력모듈(512)의 연장축이 일단에 삽입되고 타단은 메인하우징(520)에 고정되는 고정축(516), 및 상기 고정축(516)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구성되고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되는 베어링하우징(518)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동력모듈(512)은 전술된 제2동력모듈(430)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3동력모듈(512)의 외측에는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커버(517)가 더 구성된다.
상기 고정축(516)은 제3동력모듈(512)의 연장축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체결수단,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에 의해 메인하우징(520)의 일단에 고정되며, 이 경우 상기 메인하우징(520)에는 고정축(516)의 타단이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평면(521)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어링하우징(518)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구성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는 스러스트(thrust)베어링 및 하단에는 볼베어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메인하우징(520)은 내부에 속이 빈 중공형상을 가지며, 어느 일단에는 정, 역회전하는 제4모터(522)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4모터(522)의 연장축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성형부(530)에 고정되는 연결축(524)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하우징(520)은 제4모터(522)가 내부에 고정되는 제1하우징(5212)과, 상기 제1하우징(5212)의 타단에 고정되되 양분된 제2 및 제3하우징(5214)(5216)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및 제3하우징(5214)(52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양분되게 구성되고,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은 일정깊이를 가지는 단속홈(528)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구성되어, 상기 베어링에 의해 연결축(524)의 용이한 회전을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단속홈(528)은 180°의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성형부(530)의 180° 수직회동을 단속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성형부(530)의 수직회동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연결축(524)의 일단은 성형부(530)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4모터(522)에 고정되어, 상기 제4모터(522)의 정, 역회전력을 상기 성형부(530)로 전달시켜 상기 성형부(530)가 수직회동 즉, 상기 성형부(530)를 뒤집도록 한다.
상기 연결축(524)과 제4모터(522)사이에는 요철(凹凸)부(526)를 형성하여, 상호 끼움맞춤에 의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축(524)의 내부에는 성형부(530)에 연결되는 선들이 삽입되는 통공(525)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형부(530)는 상부에 성형공간(5312)이 형성된 성형컵(5310)과, 상기 성형컵(5310)의 하방을 지지하는 회동하우징(532), 및 상기 회동하우징(532)의 내부 또는 어느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성형컵(531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5모터(534)로 구성된다.
상기 성형컵(5310)의 성형공간(5312)에는 상기 성형공간(5312)으로 투입되는 반죽과 성형컵(5310) 사이의 밀착면적을 최소화시켜 반죽의 용이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일정높이를 가지는 다수의 배출돌기(5314)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하우징(532)은 상단에 성형컵(5310)이 위치되되 상기 성형컵(5310)의 받침 및 회전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구성되고, 어느 일측에는 연결축(524)의 일단이 고정되며, 하단에는 제5모터(53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하우징(532) 외주연 어느 일측에는 상기 메인하우징(520)의 제2 및 제3하우징(5214)(5216)에 형성된 단속홈(528)에 단속되는 돌출핀(536)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하우징(532)이 제4모터(522)에 의해 정, 역회전될 때 회동각도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센싱부(540)는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 등과 같은 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하우징(520)의 수평회동 각도를 감지한다.
상기 센싱부(5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하우징(518)의 어느 일측에 복수의 센서 즉, 이송센서(542)와 반죽성형센서(544)로 구성되고, 고정축(516)의 어느 일측에는 상기 복수의 센서에 감지되도록 복수의 감지편(546)이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하우징(518)에는 상기 복수의 감지편(546)의 회동을 단속하는 단속핀(548)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호떡 성형장치에 의한 호떡 성형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물의 성형 상태도로서, a는 측 단면도, b는 평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호떡제조방법의 공정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성형준비단계(S10)는 메인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구성된 회동부의 제3모터의 회전에 의해 성형부가 절단수단의 하방에 위치하는 단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는 이송수단(50)의 회동부(510)에 구성된 제3모터(514)의 정회전력에 의해 일단에 성형컵(5310)이 구성된 메인하우징(520)이 압출통(26)이 구성된 반죽공급부(20) 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고정축(516)의 일측에 구성된 복수의 감지편(546) 중 어느 하나의 감지편(546)이 베어링하우징(518)에 구성된 단속핀(548)에 단속될 때까지 회동되며, 또한 감지편(546)이 단속편(548)에 단속되는 위치에 센싱부(540)의 반죽성형센서(544)가 위치되어, 상기 반죽성형센서(544)에 감지편(546)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제3모터(514)를 정지시켜 결국 성형컵(5310)은 절단수단(40)의 칼날(442)의 하방에 위치된다.
성형단계(S20)는 상기 성형준비단계(S10)를 통해 절단수단의 하방에 성형부가 위치되면 상기 절단수단의 제2동력모듈의 제2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나사축이 일 방향하면 상기 나사축에 일단이 나사 결합된 절단부의 복수의 칼날이 축선 방향을 따라 펼쳐지면서 개방되고 이를 통해 압출통에서는 내부에 소가 투입된 반죽물이 하방으로 낙하되어 성형회동수단의 성형컵에 받쳐지는 단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센싱부(540)의 반죽성형센서(544)에 감지편(546)이 감지됨에 따라 제3모터(514)가 정지되어 성형컵(5310)이 절단수단(40)에 위치된 상태에서, 반죽성형센서(544)의 감지신호는 절단수단(40)의 제2동력모듈(430)로 전달되어, 상기 제2동력모듈(430)의 제2모터(432)가 정 회전력을 발생한다.
아울러, 상기 제2모터(432)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제2동력모듈(430)에 일단이 결합된 나사축(420)이 정회전되면서 상기 나사축(430)에 일단이 나선 결합된 복수의 칼날(442)은 열림 된다.
더불어, 센싱부(440)가 위치된 칼날지지대(448)의 일측에 구성된 센싱판(449)이 구동센서(466)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구동센서(466)의 감지신호는 성형회동수단(50)의 성형부(530) 제5모터(534)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5모터(534)는 회전력을 발생하여, 성형컵(5310)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절단수단(40)의 센싱부(460)의 열림센서(462)에 센싱판(449)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신호는 제2동력모듈(430)의 제2모터(432)를 정지시키고, 이를 통해 반죽공급부(20) 및 소공급부(30)에 구성된 스크류들(24)(34)이 구동되어, 결국 압출통(26)을 통해 내부에 소가 투입된 반죽이 낙하되고, 상기 낙하되는 반죽은 압출통(26)의 하방에 위치된 성형컵(5310)의 성형공간(5312)에 받쳐진다.
아울러, 상기 성형컵(5310)은 제5모터(534)의 회전력에 의해 계속적으로 회 전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성형컵(5310)과 압출통(26) 사이의 반죽은 상기 성형컵(534)의 회전으로 반죽이 받쳐지는 동시에 길게 늘어진 반죽부가 꽈배기형태로 꼬아지게 된다.
물론, 상기 반죽의 꼬아지는 부분은 압출통(26) 하방 부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성형컵(5310)에 받침된 내부에 소가 투입된 반죽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절단단계(S30)는 상기 성형단계(S20)를 통해 일정량의 반죽물이 성형컵에 받쳐지면 상기 제2동력모듈의 제2모터는 역 회전되어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된 절단부의 복수의 칼날이 상호 근접되는 닫힘상태를 이루며 완전한 닫힘이 이루어지면 상기 압출통과 성형컵 사이의 반죽물을 절단시키는 단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는 절단수단(40)의 센싱부(460) 열림센서(462)에 센싱판(449)이 감지되어, 제2동력모듈(430)의 제2모터(432)가 정지된 후 일정시간 경과, 또는 상기 열림센서(462)로 센싱판(449) 감지 후 즉시 상기 제2모터(432)는 정회전 정지 및 역회전력을 발생하고, 이를 통해 상기 제2모터(432)의 역회전에 의해 나사축(420)이 역회전됨에 따라 칼날(442)이 닫힘 상태로 진행된다.
이때, 상기 열림센서(462)의 감지로 제2모터(432)의 정지 및 역회전력을 발생하는 시간은 압출통(26)에서 배출된 반죽이 성형컵(5310)에 받쳐지는 시간에 따라 달리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닫힘으로 이송되는 칼날(442)의 칼날지지대(448) 일측에 구성된 센싱판(449)이 구동센서(466)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감지신호는 이송수단(50) 의 제5모터(534)로 전달되어, 상기 제5모터(534)로 전달된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제5모터(534)는 정지되어 상기 성형컵(5310)의 회전이 정지된다.
더불어, 상기 칼날지지대(448)의 센싱판(449)이 닫힘센서(464)에 감지되면, 상기 감지신호에 의해 역회전력을 발생하는 제2모터(432)는 정지되고, 이를 통해 칼날(442)이 닫힘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칼날(442)의 닫힘으로 상기 복수의 칼날(442)에 의해 압출통(26)에 배출된 반죽이 칼날(442)의 절단면(444)에 의해 절단이 이루어지며, 특히 성형컵(5310)의 회전으로 반죽이 꽈배기형태로 꼬여져 있어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송단계(S40)는 상기 절단단계(S30)를 통해 압출통과 성형컵 사이의 반죽물을 절단시켜 상기 성형컵에 소가 투입된 반죽물이 받침된 상태로 회동부의 제3동력모듈의 제3모터의 역 회전으로 상기 성형부가 일단에 고정된 메인하우징이 일정각도 수평회동하여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구성된 오븐의 상방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는 절단수단(40)에 의해 압출통(26)과 성형컵(5310) 사이의 반죽을 절단시켜 상기 성형컵(5310)에 반죽이 안착된 상태로서, 상기 절단수단(40)의 센싱부(460) 닫힘센서(464)의 감지신호는 이송수단(50)의 제3동력모듈(512)로 전달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3동력모듈(512)의 제3모터(514)는 역회전력을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제3모터(514)의 역회전력에 의해 고정축(516)에 고정된 메인하우징(520)이 역방향 수평회동하고, 또한 상기 고정축(516)의 일단에 구성된 다른 하나의 감지편(546)이 베어링하우징(518)에 구성된 단속핀(548)에 단속됨과 함께 일측의 이송센서(542)에 감지된다.
이러한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제3동력모듈(512)의 제3모터(514)는 정지됨에 따라 상기 메인하우징(520)과 성형부(530)는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배출단계(S50)는 상기 이송단계(S40)를 통해 상기 오븐의 상방에 성형부가 위치되면 메인하우징의 어느 일측에 구성된 제4모터의 정 회전력에 의해 성형부가 일정각도 수직회동되어 성형컵을 뒤집고 이를 통해 상기 성형컵에 받침된 반죽물이 하방으로 자유 낙하되어 오븐에 위치되며 상기 제4모터의 역회전에 의해 뒤집힌 성형컵은 원상태로 복귀되는 단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는 이송센서(542)의 감지신호에 의해 메인하우징(520)과 성형부(530)가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 상태로서, 상기 이송센서(542)의 감지신호는 메인하우징(520)에 구성된 제4모터(522)로 전달된다.
아울러, 상기 제4모터(522)는 정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4모터(522)와 연결된 연결축(524)을 통해 성형부(530)를 수직회동시켜 상기 성형부(530)의 성형컵(5310)이 180° 뒤집히게 된다.
이때 성형부(530)의 회동하우징(532)의 일측에는 돌출핀(536)이 돌출된 상태로 상기 돌출핀(536)의 일단이 메인하우징(520)의 제2 및 제3하우징(5214)(5216)에 형성된 단속홈(528)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성형컵(5310)의 뒤집히는 동작을 180° 회동을 단속시켜 성형컵(5310)에 받침된 반죽의 용이한 배출 및 항상 일정한 위치의 오븐에 낙하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전자동 또는 수동에 의한 작업자의 호떡 굽는 동작의 능률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4모터(522)의 정회전력에 의해 상기 성형컵(5310)의 180° 뒤집히고, 일정시간 정지된 후 상기 제4모터(522)는 역회전력을 발생시켜 상기 180°뒤집힌 성형컵(53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떡 반죽물 성형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떡제조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떡제조장치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떡제조장치의 전체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수단의 전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단수단의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단수단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의 전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컵의 회동 작동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물의 성형 상태도로서,
a는 측 단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호떡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메인프레임 20: 반죽공급부
30: 소공급부 40: 절단수단
410: 지지프레임 420: 나사축
430: 제2동력모듈 432: 제2모터
440: 절단부 442: 칼날
444: 절단면 446: 안착홈
449: 센싱판 450: 가이드봉
460: 센싱부 462: 열림센서
464: 닫힘센서 466: 구동센서
50: 이송수단 510: 회동부
512: 제3동력모듈 514: 제3모터
516: 고정축 517: 커버
518: 베어링하우징 520: 메인하우징
522: 제4모터 524: 연결축
530: 성형부 5310: 성형컵
5312: 성형공간 5314: 배출돌기
532: 회동하우징 534: 제5모터
540: 센싱부 542: 이송센서
544: 반죽성형센서 546: 감지편

Claims (11)

  1. 반죽호퍼 내에 들어있는 밀가루 반죽을 중공의 스크류가 장착되어 회전방식으로 외부로 밀어내는 압출통을 구비한 반죽공급부와 상기 중공의 스크류를 경유하여 밀가루 반죽 내부에 소정의 소를 공급하기 위해 소호퍼에 담겨있는 소를 스크류에 의해 밀어내는 소공급부가 메인프레임에 고정된 호떡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구성되되 상기 압출통(26)에서 배출되는 반죽의 배출차단 및 내부에 소가 투입된 일정량의 반죽을 절단하는 복수의 칼날(442)이 구성된 절단수단(40); 및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구성되되 상기 절단수단(40)에 의해 절단된 내부에 소가 투입된 일정량의 반죽을 일측에 구성되는 오븐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40)은
    지지프레임(410)과;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어느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지지되고 축선상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축(420);
    상기 나사축(420)의 어느 일단에 마련되도록 지지프레임(410)에 고정되어 정, 역회전하는 제2모터(432)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나사축(420)을 회전시키는 제2 동력모듈(430); 및
    상기 나사축(420)의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산 각각에 일측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나사축(4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열림 또는 닫힘 동작에 의해 압출통(26)을 통해 배출되는 반죽의 배출차단 및 절단하는 복수의 칼날(442)이 구성된 절단부(4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410)에는
    상기 나사축(4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절단부(440)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할 때 상기 나사축(420)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고 수평 이송이 가능하도록 상기 절단부(440)의 어느 일측을 지지하는 가이드봉(450);
    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성형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40)의 어느 일측에는
    절단부(440)의 복수의 칼날(442)이 상호 열림 또는 닫힘 동작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호를 통해 성형회동수단(50)과의 연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센싱부(460);
    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성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50)은
    메인프레임(410)의 어느 일측에 고정되고 제3모터(514)를 구비한 제3동력모듈(512)이 구성된 회동부(510)와;
    상기 회동부(510)의 제3동력모듈(512)에 일단이 고정되고 어느 일측에 제4모터(522)가 구성되어 상기 회동부(510)의 제3모터(514)의 정, 역 회전력에 의해 일정 각도범위를 수평왕복 회동하는 메인하우징(520); 및
    상기 메인하우징(520)의 타단에 구성되고 상방에는 소가 투입된 반죽물을 받침하는 성형공간(5312)이 형성된 성형컵(5310)이 구성되고 하방에는 상기 성형컵(5310)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동하우징(532)이 구성되되 상기 회동하우징(532)의 일측에는 메인하우징(520)의 제4모터(522)와 연결되어 상기 제4모터(522)의 정, 역 회전력에 의해 상기 회동하우징(532)이 일정 각도범위를 수직왕복 회동시켜 상기 성형컵(5310)의 성형공간(5312)에 받침된 반죽물이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회동하우징(532)의 어느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성형컵(5310)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5모터(534)가 구성된 성형부(5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성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510)에는
    제3동력모듈(512)과 메인하우징(520)을 연결하는 고정축(516)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축(516)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고정축(516)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구성되며 메인프레임(10)의 어느 일측에 고정된 베어링하우징(518);
    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성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하우징(520)에는
    제4모터(522)와 회동하우징(5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축(524)이 더 구성되며;
    상기 연결축(524)의 일단은 회동하우징(532)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4모터(522)의 일단과 상호 끼워 맞춤되도록 요철(凹凸)부(526);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성형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컵(5310)의 성형공간(5312)에는
    상기 성형공간(5312)에 받침된 반죽물이 제4모터(522)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성형컵(5310)이 수직회동으로 뒤집혔을 경우 상기 성형공간(5312)에서 반죽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배출돌기(5314);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성형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530)가 위치되는 메인하우징(520)의 일단 외주연에는 일정 깊이를 가지는 단속홈(528);이 구성되고
    상기 성형부(530)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되 일측이 상기 단속홈(528)에 위치되어 상기 성형부(530)가 제4모터(522)의 회전력에 의해 수직왕복 회동할 때 상기 단속홈(528)의 구간만큼만 성형부(530)의 회동각도를 단속하도록 돌출핀(536);
    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성형장치.
  10.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50)의 어느 일측에는
    절단수단(40)에 의해 절단된 소가 투입된 반죽물의 받침 및 오븐으로의 이송할 때 상기 절단수단(40)은 닫힘된 상태를 유지시켜 압출통(26)에서 배출되는 반죽의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절단수단(40)과 연계 동작하도록 센싱하는 센싱부(5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성형장치.
  11. 반죽호퍼 내에 들어있는 밀가루 반죽을 중공의 스크류가 장착되어 회전방식으로 외부로 밀어내는 압출통을 구비한 반죽공급부와 상기 중공의 스크류를 경유하 여 밀가루 반죽 내부에 소정의 소를 공급하기 위해 소호퍼에 담겨있는 소를 스크류에 의해 밀어내는 소공급부가 메인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소가 첨부된 반죽물이 상기 압출통을 통해 배출되는 호떡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구성된 회동부의 제3모터의 회전에 의해 성형부가 절단수단의 하방에 위치되는 성형준비단계(S10)와;
    상기 성형준비단계(S10)를 통해 절단수단의 하방에 성형부가 위치되면 상기 절단수단의 제2동력모듈의 제2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나사축이 일 방향하면 상기 나사축에 일단이 나사 결합된 절단부의 복수의 칼날이 축선 방향을 따라 펼쳐지면서 개방되고 이를 통해 압출통에서는 내부에 소가 투입된 반죽물이 하방으로 낙하되어 성형회동수단의 성형컵에 받쳐지는 성형단계(S20);
    상기 성형단계(S20)를 통해 일정량의 반죽물이 성형컵에 받쳐지면 상기 제2동력모듈의 제2모터는 역 회전되어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된 절단부의 복수의 칼날이 상호 근접되는 닫힘상태를 이루며 완전한 닫힘이 이루어지면 상기 압출통과 성형컵 사이의 반죽물을 절단시키는 절단단계(S30);
    상기 절단단계(S30)를 통해 압출통과 성형컵 사이의 반죽물을 절단시켜 상기 성형컵에 소가 투입된 반죽물이 받침된 상태로 회동부의 제3동력모듈의 제3모터의 역 회전으로 상기 성형부가 일단에 고정된 메인하우징이 일정각도 수평회동하여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구성된 오븐의 상방에 위치시키는 이송단계(S40); 및
    상기 이송단계(S40)를 통해 상기 오븐의 상방에 성형부가 위치되면 메인하우징의 어느 일측에 구성된 제4모터의 정 회전력에 의해 성형부가 일정각도 수직회동 되어 성형컵을 뒤집고 이를 통해 상기 성형컵에 받침된 반죽물이 하방으로 자유 낙하되어 오븐에 위치되며 상기 제4모터의 역회전에 의해 뒤집힌 성형컵은 원상태로 복귀되는 배출단계(S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반죽물 성형방법.
KR1020070108692A 2007-10-29 2007-10-29 호떡 성형장치 KR20090043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692A KR20090043061A (ko) 2007-10-29 2007-10-29 호떡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692A KR20090043061A (ko) 2007-10-29 2007-10-29 호떡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061A true KR20090043061A (ko) 2009-05-06

Family

ID=4085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692A KR20090043061A (ko) 2007-10-29 2007-10-29 호떡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306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698B1 (ko) * 2009-08-12 2010-03-16 박태식 떡 성형기
KR101367526B1 (ko) * 2012-02-17 2014-02-26 장성호 탁상용 자동 호떡 제조장치
KR101367462B1 (ko) * 2012-02-17 2014-02-26 장성호 자동 호떡 제조장치
CN107549233A (zh) * 2017-09-27 2018-01-09 王晓杰 一种仿生包子机
CN107969449A (zh) * 2017-12-18 2018-05-01 合肥市脍炙人家家居用品有限责任公司 一种夹心糕点制作装置
CN109619639A (zh) * 2018-12-29 2019-04-16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四季发财包辅助加工设备
CN113115855A (zh) * 2021-04-25 2021-07-16 宿州市皖神面制品有限公司 一种湿面筋的生产方法及其打筋、缠绕一体机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698B1 (ko) * 2009-08-12 2010-03-16 박태식 떡 성형기
KR101367526B1 (ko) * 2012-02-17 2014-02-26 장성호 탁상용 자동 호떡 제조장치
KR101367462B1 (ko) * 2012-02-17 2014-02-26 장성호 자동 호떡 제조장치
CN107549233A (zh) * 2017-09-27 2018-01-09 王晓杰 一种仿生包子机
CN107969449A (zh) * 2017-12-18 2018-05-01 合肥市脍炙人家家居用品有限责任公司 一种夹心糕点制作装置
CN109619639A (zh) * 2018-12-29 2019-04-16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四季发财包辅助加工设备
CN109619639B (zh) * 2018-12-29 2020-10-13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四季发财包辅助加工设备
CN113115855A (zh) * 2021-04-25 2021-07-16 宿州市皖神面制品有限公司 一种湿面筋的生产方法及其打筋、缠绕一体机
CN113115855B (zh) * 2021-04-25 2024-01-09 宿州市皖神面制品有限公司 一种湿面筋的生产方法及其打筋、缠绕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3061A (ko) 호떡 성형장치
US8827683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orming food into doughnut shape
US20070122516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fresh ravioli, dumpling and pastries with filling in kitchen
JP4274569B2 (ja) 食品素材の押し出し方法及びその装置
US4676727A (en) Machine for dividing mass material into individual pieces
CN107212038B (zh) 一种面食一体机
KR20130005689U (ko) 도너츠 제조장치
CN111296517B (zh) 一种笋肉包的自动加工设备
KR102093730B1 (ko) 또띠아용 반죽볼 성형기의 롤링 유니트
KR20100035277A (ko) 자동식 호떡 반죽 제조장치
KR200391156Y1 (ko) 호떡 성형장치
CN111602693B (zh) 饺子皮擀皮机
KR101671412B1 (ko) 만두형어묵의 제조장치
KR101367526B1 (ko) 탁상용 자동 호떡 제조장치
KR101426688B1 (ko) 호떡 성형기
KR20040084642A (ko) 만두 성형기
CN210043877U (zh) 一种家用型饺子机
JP2011062107A (ja) おにぎりの具材供給装置
KR100537638B1 (ko) 계피떡 자동 성형기
CN219556141U (zh) 一种面包制作成型机
KR200267387Y1 (ko) 반죽물 자동 성형장치
CN219069414U (zh) 一种转盘式饭团成型机
KR200271788Y1 (ko) 자동 반죽물 성형장치
KR960003277Y1 (ko) 떡 제조장치
CN217695090U (zh) 一种具有自动切面结构的包子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