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016B1 - 세탁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016B1
KR960003016B1 KR1019910700760A KR910700760A KR960003016B1 KR 960003016 B1 KR960003016 B1 KR 960003016B1 KR 1019910700760 A KR1019910700760 A KR 1019910700760A KR 910700760 A KR910700760 A KR 910700760A KR 960003016 B1 KR960003016 B1 KR 960003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washing
detergent
laundry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1559A (ko
Inventor
미쯔유끼 키우치
사다유끼 타마에
히사유끼 이마하시
쇼이치 마쯔이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701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1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6Remaining operation time; Remaining operational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세탁기의 제어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투과도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세탁기의 제어장치의 블록도.
제4도는 세탁, 헹굼, 탈수시의 투과도검지장치의 출력신호변화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세탁시의 세제의 영향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제어의 개략순서도.
제7도는 세탁제어테이블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세탁기의 제어장치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a : 발광소자 8b : 수광소자
13 : 제어장치 16 : 마이크로컴퓨터
17 : 세탁물량센서 19 : 투과도검지장치
22 : 세탁물량 판별수단 23 : 제어수단
24 : 세제투입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세탁조내의 세탁액의 광투과도를 검지하는 투과도검지장치를 구비하고, 이 투과도검지장치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오염정도를 판단해서 세탁운전을 제어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세탁조내의 세탁액의 오염을 검지하는 투과도검지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장치의 일예로서, 일본국특공소 63-16157호 공보에 개시한 것이 있다. 이 세탁기의 제어장치는 세탁조내의 세탁액의 광투과도를 검지하는 투과도검지장치와, 세탁운전시에 투과도검지장치의 광투과도의 변화를 검출하고, 이 변화가 없어지면 세탁운전 종료라고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한 것이다. 판정부는 세탁운전종료라고 판정하면, 세탁운전을 종료하고, 배수밸브를 개방하여 세탁액을 배수관로를 개재해서 배출한다. 이 배수공정에 있어서, 투과도검지장치는 배수관로내를 흐르는 세탁액의 광투과도를 검지하는 것이나, 세탁운전중에 발생한 거품이 세탁액중에 혼입한 상태에서 배출하므로, 투과도검지장치의 광투과도는 세탁액중의 거품에 의한 광의 산란에 의해서 저하한다. 이 투과도검지장치의 광투과도는, 세탁액중의 거품의 양이 많아지면 거품에 의한 광의 산란량도 많아지기 때문에, 저하레벨도 커지므로, 이 배수공정시에 광투과도의 저하레벨을 검출하면, 세탁액중의 거품의 양 즉 세제분을 알 수 있어, 세탁액에 어느정도의 세정능력이 남아 있는지 알 수 있다. 그래서 판정레벨은 배수공정시에 투과도검지장치의 광투과도 저하레벨을 검출하고, 저하레벨이 적을때 세탁처리가 불충분한 경고표시를 부여하였다.
그러나, 상기 세탁기의 제어장치에서는, 세탁운전중에 있어서의 투과도검지장치의 광투과도를 검출하고, 이 투과도 변화가 없어진 시점을 세탁운전종료 시점으로 하고 있으므로, 광투과도 변화가 단시간에 없어지는 오염물을 세탁할때에는 세탁이 불충분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흙오염이 주요성분인 경우에는 세탁액중에 흙성분이 짧은시간에 거의 녹아나오므로, 광투과도 변화도 짧은 시간에 없어지나, 이 시점에서는 아직 세탁물에 약간이나마 흙성분 또는 그밖의 기름성분이 부착하고 있으므로 세탁의 정도가 불충분하였다.
또, 세탁운전 종료후에, 세탁의 정도가 충분한지 아닌지 판정하여 세탁의 정도가 불충분한때에는 경고표시에 의해 사용자가 재차 세탁운전을 실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흙오염과 같이 광투과변화가 단시간에 없어지는 오염물에 대해서도 세탁완성 상태를 충분한 것으로 하고, 또 세탁운전 종료상태에서는 세탁완성상태를 충분한 것으로 하여 세탁을 다시 행할 필요성을 없애고 사용상 편의의 향상을 도모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세제의 종류가 다른 경우에도 상기 제1목적을 충분히 달성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 투과도검지장치의 검지부분에 오염이 축적된 경우에도 상기 제1목적을 충분히 달성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4목적은 세탁물량이 다른 경우에도 상기 제1목적을 충분히 달성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조내의 세탁액의 광투과도를 검지하는 투과도검지장치와, 상기 투과도검지장치의 출력변화에 의해 포화상태를 검지하는 포화상태 검지수단과, 세탁운전개시부터 상기 포화상태 검지수단이 포화상태를 검사할때까지의 포화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수단과, 헹굼의 맑은물의 광투과도와 포화상태의 광투과도의 차이에 의한 오염정도와 포화시간에 의거하여 세탁운전시간, 세제투입량 또는 수류의 강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테이블을 기억하고 있는 기억수단과, 상기 오염정도와 상기 포화시간을 상기 기억수단의 제어테이블의 내용과 비교하여 세탁운전시간, 세제투입량 또는 수류의 강도를 결정하고, 교반날개를 구동하는 모우터의 부하를 포함한 소정의 부하를 제어해서 세탁운전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서 검지하고 있는 포화시간은, 포화시간이 짧은 흙오염인지 포화시간이 긴 기름오염인지를 나타내는 오염종류정보가 되고, 또 헹굼의 맑은 물과의 비교에 의한 광투과도가 세탁액중에 녹아나온 오염의 양의 정보가 되므로, 이들 양쪽의 정보에 의거해서 세탁운전시간을 결정하면 흙오염과 같은 오염물에 있어서도 오염의 종류는 원래부터 그 오염량에 따른 세탁운전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세탁완성상태가 충분하게되는 최적의 세탁운전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오염종류정보의 포화시간과 오염량정보의 광투과도에 의해 세탁운전을 결정하는데 퍼지추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염종류와 오염량에 따라서 최적의 세탁운전을 결정하는 것은 인간의 경험에 의거한 부분이 많으므로, 포화시간과 광투과도를 애매하게 표현된 인간판정 데이터로 치환해서 인간적인 판단을 가능하게 하고, 세탁운전시간을 결정할 수 있는 퍼지추론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퍼지추론을 사용하려면 그를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되고, 4∼8비트의 마이크로컴퓨터로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며, 또 퍼지추론에 소요하는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리얼타임에서 세탁운전시간을 결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기억수단에 광투과도와 포화시간을 퍼지추론하여, 그 결과인 세탁운전시간을 정한 제어테이블을 기억시키고 있으므로, 퍼지추론을 위한 프로그램이 불필요해지는 동시에, 리얼타임에서 세탁운전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퍼지추론이 아니어도 포화시간과 광투과도에 의거해서 복잡한 연산을 해서 세탁운전시간을 결정하는 것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포화시간과 광투과도에 의거해서 세제투입량을 결정하고 있으므로, 심한 오염의 경우와 같이 세제부족에 의해서 세탁이 불충분하게 될 경우에는, 세제를 추가투입해서 세탁완성상태에서 세탁의 정도를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포화시간과 광투과도에 의해 수류의 강도도 변하므로,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에 적합한 수류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억수단이 세제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제어테이블을 기억하고, 제어수단이 세제판별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기억수단의 제어테이블을 선택하고, 세탁운전, 세제투입량 또는 수류의 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세제의 종류 예를들면 액체세제, 분말세제에서는 동일한 오염에서도 광투과도가 매우 다르므로, 세제의 종류가 다르면, 포화시간과 광투과도에 따라 세탁운전시간을 정한 제어테이블도 세제의 종류에 따라서 복수 형성하고, 세제의 종류에 기인하는 광투과도변화를 부가한 후에, 세탁운전시간, 세제투입량, 수류의 강도를 결정할 수 있어, 세제종류가 달라도 충분한 제어로 각종 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과도검지장치가 발광소자, 수광소자 및 발광출력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세탁조내가 맑은 물의 상태일때 상기 발광출력 제어수단을 동작시키고 상기 수광소자로부터 생성된 출력신호를 기준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맑은 물의 상태일때 발광소자의 출력을 제어해서 수광소자의 출력이 일정해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투과도검지장치의 검지부에 오염이 축적되어도, 항상 맑은 물의 상태에서는 수광소자로부터 일정한 출력이 얻어지고, 따라서 검지부의 오염축적의 유무에 관계없이 고정밀도로 포화시간, 광투과도를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제4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조내의 세탁물량을 검지하는 세탁물량 검지수단과, 이 세탁물량 검지수단에 의해 얻은 세탁물량을 여러단계로 구별하는 세탁물량 판별수단을 구비하고, 기억수단은 세탁판별수단으로부터 각 단계의 세탁물량에 따른 복수의 제어테이블을 기억하고, 제어수단은 세탁물량 판별수단으로부터 생성된 출력신호에 따라서 기억수단의 제어테이블을 선택하고, 세탁운전, 세제투입량 또는 수류의 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세탁물량에 따라서 그 세탁물량에 적합한 제어테이블을 선택하므로, 세탁물량의 다소에 관계없이 고정밀도의 각종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투과도검지장치의 일실시예를 표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8)은 광센서이며, 발광소자(8a)와 수광소자(8b)를 대향해서 배치하고, 발광소자(8a)의 발광출력을 일정하게 해서 수광소자(8b)의 출력신호를 검지하고, 세탁조내의 세탁액의 오염을 검지한다. 발광소자(8a)의 발광출력은, 마이크로컴퓨터(16)의 출력신호(펄스폭 제어신호…약칭 PWM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16)의 PWM 신호를 D/A변환기(19a)에 의해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고, 이 직류전압을 콜렉터단자에 발광소자(8a)가 접속된 NPN 트랜지스터(19b)의 베이스전압에 인가하고, NPN 트랜지스터의 직류를 제어해서 수광소자(8b)의 발광출력을 제어한다.
상기 D/A 변환기(19a)와 NPN 트랜지스터(19b)에 의해 발광출력 제어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트랜지스터(19b)의 이미터단자에 이미터저항(19c)을 접속하고, 발광소자(8a)에 안정된 전류를 공급한다. 한편 수광소자(8b)의 이미터저항(19d)의 출력신호 Ve는 마이크로컴퓨터(16)의 A/D 변환입력단자에 인가한다. 마이크로컴퓨터(16)는 세탁조내의 세탁액이 맑은 물일때에 발광소자(8a)의 발광출력제어를 행하고, 수광소자(8b)의 출력신호 Ve를 기준치 Vs로 한다. 그리고 수광소자(8b)의 출력신호 Ve가 기준치 Vs가 된 시점에서 발광소자(8a)의 출력을 일정하게 하고, 이 기준치 Vs와 경시변화하는 수광소자(8b)의 출력전압 Ve의 전압변화를 검지함으로써 투과도검지가 가능하게 된다. 즉, 맑은 물일때의 기준치 Vs가 투과도 100%이고, 수광소자(8b)의 출력전압 Ve와 Vs의 비, Ve/Vs가 투과도가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표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세탁탈수조이며, 바닥부에 교반날개(2)를 설치하여 세탁, 헹굼의 교반시에 회전시킨다. 또 탈수시에는 교반날개(2)와 세탁탈수조(1)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3)은 세탁조로서, 세탁 및 헹굼시에 세탁액을 담아둔다. (4)는 세탁조(3)등을 유지하는 서스펜션이고, (5)는 전체를 보호유지하는 케이스이다. (6)은 모우터이며, 감속장치 (7)를 개재해서 교반날개 (2) 또는 세탁탈수조(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9)는 세탁조(3)의 바닥부에 형성된 배수구이며, 배수밸브(10)에 접속된 배수파이프(11)에 투과도검지장치 (19)의 검지부인 광센서(8)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광센서(8)에 의해서 세탁조(3)의 바닥부와 배수밸부(10)를 접속하는 배수파이프(11)중의 세탁액의 광투과도를 검지하고, 세탁물의 오염상태 혹은 탈수상태를 검지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기의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교류전원(12)으로부터 제어장치(13)에 교류전력을 인가하고, 제어장치(13)는 부하인 모우터(6), 배수밸브(10), 급수밸브(14)등을 제어한다. (6')는 모우터(6)의 진상용 콘덴서이다. (15)는 세탁조(3)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센서, (16)은 마이크로컴퓨터, (17)은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세탁물량센서이다. 세탁물량센서(17)는, 모우터(6)를 ON, OFF해서 연속적으로 교반날개(2)를 왼쪽으로 회전시키고, 회전을 정지시키고,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도록 기능하고, 모우터(6)를 OFF한 직후에 교반날개(2)의 관성회전수를 검지하여 세탁물량을 판정하는 것이다. 즉, 세탁물량이 적으면, 교반날개(2)의 관성회전을 저해하는 세탁물이 적으므로 교반날개(2) 및 모우터(6)의 관성회전수가 크고, 진상콘덴서(6')의 감쇠펄스수는 커진다. 또, 세탁물량이 많으면, 진상콘덴서(6')의 모우터 OFF시의 진상콘덴서(6')의 감쇠펄스수는 작아지고, 상기 특성을 이용하면 세탁물량을 검지할 수 있다. (18)은 메모리이며, 투과도검지장치(19)의 발광출력제어데이터 혹은 기준설정치 등을 기억하여 판독기록하는 것이다. (20)는 전원스위칭장치이며, 마이크로컴퓨터(16)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모우터(6), 배수밸브(10), 급수밸브(14)등의 부하를 제어한다. (21)은 조작표시장치이며, 각종 스위치, 표시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지시하거나 혹은 사용자에게 경고표시를 한다.
제4도에 투과도검지장치(19)의 출력전압 Ve의 세탁, 헹굼, 탈수시에 있어서의 변화를 표시한다. T1∼T2기간동안은 세탁을 행하고, T2∼T3동안은 배수를 행하고, T3∼T4동안은 중간탈수를 행하고 T4∼T5동안은 급수를 행하고, T5∼T7동안은 헹굼교반을 행한다. 중간탈수후의 헹굼을 위한 급수기간(T4∼T3) 동안에 투과도검지장치(19)의 발광출력제어를 행하고, 투과도검지장치(19)의 출력전압 Ve를 기준치 Vs로 조정제어한다. 이때 세탁조(3)의 배수파이프(11) 근처의 물은 맑은 물과 거의 동일하고, 투과도 100%라고 생각해도 된다. 이때의 조정에 의해, 배수파이프(1)의 관벽내의 오염의 대소에 관계없이 투과도 검지장치(19)의 출력전압 Ve는 기준치 Vs가 되므로, 이 기준치 Vs로부터의 변화가 세탁액 또는 탈수액의 오염이 된다. 급수기간중에 조정된 발광출력제어데이터, 혹은 센서전압 Ve(Vs와 거의 동일)는 메모리(18)에 기억되고, 이후의 헹굼, 탈수 및 다음회의 세탁, 중간탈수공정에 사용된다. 헹굼교반개시(T5)로부터 일정기간후 T6에서 투과도검지장치(19)의 출력전압변화에 의해 광투과도의 저하를 검지하여 이후의 헹굼운전을 제어한다. 세탁물의 흡수성이 클 경우에는, 중간탈수시에 탈수액이 배수파이프에 흐르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과도가 저하한다.
제5도에 세탁운전시에 투과도검지장치(19)의 출력전압 Ve의 변화를 표시한다. T0시점에서부터 세탁교반을 개시하여 오염이 없는 세탁물과 액체세제를 세탁조(3)내에 투입한 경우 또는 액체세제뿐일 경우는 A와 같이 거의 변화가 없고, 세탁물의 오염이 많을 경우에는 A'와 기준전압 Vs로부터 서서히 저하한다. B는 오염이 없는 세탁물과 분말세제를 세탁조(3)내에 투입한 경우 또는 분말세제뿐일 경우의 변화를 표시하고, 포화시에는 Va의 값이 된다. B'는 분말세제와 오염이 많은 세탁물을 투입한 경우이다. 세탁개시부터 투과도검지장치(19)의 출력전압의 변화율이 없어지는 포화시 Ts까지의 시간을 포화시간이라고 한다. 이 포화시간을 검출함으로써 흙오염과 기름오염을 판정할수 있다. 즉, 흙오염의 경우에는 세탁액내에 오염이 단시간에 녹아나오므로 포화시간이 짧고, 또 기름오염은 녹아나오기 어려우므로 포화시간은 길어진다. 또 포화시간은 분말세제와 액체세제에 따라서 동일오염이어도 다르다. 즉 액체세제는 분말세제보다 세정성능이 낮으므로 오염이 녹아나오는데 시간이 걸리고, 포화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같이 세제의 종류에 따라 포화시간, 투과도검지장치(19)의 출력전압 Ve가 영향받으므로, 세제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이 요구된다.
다음에 세제종류의 판별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탁개시후의 T1시점에서의 투과도검지장치(19)의 출력전압 Ve를 검지하고, 분말세제뿐인 전압 Va보다 약간 높은 전압 VL과 상기 출력전압 Ve를 비교하여 Ve>VL이면 액체세제, Ve≤VL이면 분말세제로 판별할 수 있다. 또 액체세제의 경우는 맑은 물의 기준치 Vs로부터의 출력전압 Ve의 변화, 분말세제의 경우는, 전압 Va로부터의 출력전압 Ve의 변화가 세탁물에 의한 오염변화가 된다. 즉 액체세제의 경우, Vs-Ve가 클수록 오염이 많아지고 분말세제의 경우에는 Va-Ve가 클수록 오염이 많다. 또한 Va는 Vs의 약 60∼65%정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세탁제어의 순서도이다. 스텝 160에서 세탁을 개시하면 스텝 161에서 세탁교반을 개시한다. 스텝 162에서는 투과도검지장치(19)의 발광출력은, 기억회로(18)에 기억된 발광출력제어데이터에 의해 발광소자(8a)의 발광출력을 일정하게 제어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투과도검지장치(19)의 출력전압 Ve를 입력한다. 스텝 163에서 교반개시 T1후(2∼3분)이면 스텝 164에서 출력전압 Ve가 액체세제판정레벨 VL보다 높은지 아닌지 판정한다. 높으면 액체세제라고 판정하고, 낮으면 분말세제라고 판정하고, 이후의 세탁 혹은 헹굼의 제어플래그로 설정되어 기억된다. 다음의 스텝 167에서 투과도검지장치(19)의 출력전압변화(ΔV/Δt)가 설정치보다 작아지면 포화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하고, 포화시간 TS와 그때의 광투과도(출력전압 Ve)를 기억하여 세탁제어데이터로 한다. 스텝 169는 포화시간 T3와 광투과도에 따라서 세탁시간을 설정하는 것으로서, 제어테이블을 마이크로컴퓨터의 메모리내에 기억하고 있으며,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제어테이블 또는 함수테이블을 참조해서 추가세탁시간을 구한다. 즉, 세탁시간 Tw는 TS+ΔT(추가세탁시간)가 되고, ΔT는 제7도의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과도와 포화시간 TS의 웨이트(weight)에 따라서 변화된다. ΔT는 투과도가 저하할수록 또 Ts가 길어질수록 커진다. 액체세제와 분말세제의 경우에는 웨이트가 다르고 실제로는 Vs-Ve, Va-Ve에 의해 웨이트가 복잡해지므로, 제7도는 액체세제의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분말세제의 경우에는 신규의 다른 제어테이블을 형성하고, 세제의 종류에 따라서 제어테이블을 선택하도록 한다. 또 제7도의 제어테이블보다 오염이 많고 ΔT가 커진 경우에는 수류를 강하게 하거나 혹은 세제자동투입장치를 가진 경우에는 세제추가량을 증가시킨다.
스텝 170에서 세탁종료를 판정하고, 스텝 171에서 배수 및 중간탈수를 행하고, 그후, 스텝 172에서 헹굼의 급수개시를 한다. 헹굼급수중에, 스텝 173의 발광출력조정 및 메모리기록 서브루우틴이 실행되고, 이후의 헹굼, 또는 다음회의 세탁시에는 이때 설정된 발광출력제어데이터에 의해 발광출력은 일정하게 제어된다.
상기 제어순서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어의 기본구성인 마이크로컴퓨터(16)는, 투과도검지장치(19)의 출력변화에 의해 포화상태를 검지하는 기능과, 세탁개시로부터 포화상태를 검지할때까지의 포화시간을 측정하는 기능과 세제의 종류를 판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마이크로컴퓨터(16)는 포화상태 검지수단과 시간측정수단과 세제판별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 제어테이블은, 포화시간 Ts와 광투과도로부터 추가세탁시간 ΔT를 결정하는 것이나, 이 추가세탁시간 ΔT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경험에 의거한 부분이 많으므로, 포화시간 Ts및 광투과도를 애매하게 표현된 인간판정 데이터로 치환해서 인간적인 판단을 가능하게한 퍼지추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퍼지추론을 행하게 하려면 전용 퍼지추론용 프로그램이 필요하게 되고, 통상 4∼8비트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서 세탁 등의 운전제어프로그램과 함께 퍼지추론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퍼지추론한 결과를 제어테이블의 형태로 마이크로컴퓨터의 ROM에 기억시키고 있다. 또한 제어테이블을 결정하는데 퍼지추론이외의 복잡한 프로그램을 필요로 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행하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8도에 의해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6)은 마이크로컴퓨터이며, 이 마이크로컴퓨터(16)는, 세탁물량센서(17)의 출력에 의거해서 세탁물량을 「많은」「중간」「적음」의 3단계의 형태로 판별하는 세탁물량 판별수단(22)과, 세탁물량 「많은」「중간」「적음」의 각각에 적합한 광투과도와 포화시간 Ts에 의해 세제투입량을 결정하는 제어테이블을 기억한 ROM1, ROM2, ROM3과 세탁물량 판별수단(22)으로부터의 세탁물량 「많은」「중간」「적음」에 따라서 ROM1∼ROM3을 선택하고, 선택된 ROM1∼ROM3의 내용과 투과도검지장치(19)로부터의 광투과도 및 포화시간 Ts를 비교하여 세제투입장치(24)를, 전원스위칭장치를 개재해서, 제어하는 제어수단(2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세탁기의 제어장치는, 먼저 세탁물량센서(17)의 검지한 값을 세탁물량 판별수단(22)에 의해 「많은」 「중간」「적음」으로 판별한다. 판별된 결과에 의해 세탁물량에 적합한 제어테이블을 기억한 ROM1∼ROM3을 선택한다.
이후는 투과도검지장치(19)를 개재해서 세탁교반에 있어서의 세탁조내의 세탁액의 광투과도와 포화시간 Ts를 제어수단(23)에 의해 검출하고, 검출된 광투과도와 포화시간 Vs와 세탁물량에 적합한 제어테이블에 의해 세제투입량을 결정한다. 예를들면 포화시간 Ts가 길고 광투과도도 작은 경우에는 세제를 많이 투입하도록 세제투입장치(24)를 동작시킨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의 실시예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염의 종류 등의 정보가 되는 포화시간과, 세탁물의 오염의 양 등을 정보가 되는 광투과도의 양쪽에 의해, 세탁시간, 세제투입량, 수류의 강도를 결정하고 있으므로, 오염의 종류, 오염의 양 등에 최적의 세탁시간, 세제투입량, 수류의 강도를 결정할 수 있고, 세탁완성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세탁시간, 세제투입량, 수류의 강도를 제어테이블에서 결정하므로, 퍼지추론과 같은 복잡한 프로그램을 마이크로컴퓨터에 탑재하는 일없이 퍼지추론과 같은 고도의 제어를 행할 수 있고 또 리얼타임에서의 제어도 가능하게 된다.
또 세제의 종류에 적합한 제어테이블을 복수개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세제의 종류가 다르고 광투과도, 포화시간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세제의 종류에 합치된 최적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맑은 물의 상태일때 투과도검지장치의 발광소자의 발광출력제어를 행하므로, 장기 사용에 의해 투과도 검지장치의 검지부에 오염이 축적되고, 투과도검지장치의 출력을 저하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장기에 걸쳐서 고정밀도의 광투과도 포화시간의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 세탁물량에 적합한 복수의 제어테이블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세탁물량이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고정밀도의 제어를 할 수 있다.

Claims (7)

  1. 세탁조내의 세탁액의 광투과도를 검지하는 투과도검지장치와, 상기 투과도검지장치의 출력변화에 의해 포화상태를 검지하는 포화상태 검지수단과, 세탁운전개시부터 상기 포화상태 검지수단이 포화상태를 검사할때까지의 포화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수단과, 헹굼의 맑은 물의 광투과도와 포화상태의 광투과도의 차이에 의한 오염정도와 포화시간에 의거하여 세탁운전시간, 세제투입량 또는 수류의 강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테이블을 기억하고 있는 기억수단과, 상기 오염정도와 상기 포화시간을 상기 기억수단의 제어테이블의 내용과 비교하여 세탁운전시간, 세제투입량 또는 수류의 강도를 결정하고, 교반날개를 구동하는 모우터의 부하를 포함한 소정의 부하를 제어해서 세탁운전을 실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상태 검지수단, 상기 시간측정수단, 상기 제어수단 및 상기 기억수단을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세제의 종류에 따른 복수의 제어테이블을 기억하고, 제어수단은, 세제판별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기억수단의 제어테이블을 선택하고, 세탁운전, 세제투입량 또는 수류의 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4. 제3항 있어서, 상기 세제판별수단은, 세탁운전개시부터 소정시간의 경과후에 투과도검지장치의 광투과도의 값을 입력으로 수신하고, 이 광투과도가 설정치 이상의 경우에는 세제를 액체세제로 판별하고, 광투과도가 설정치 미만인 경우에는 세제를 분말세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도검지장치는, 발광소자, 수광소자 및 발광출력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세탁조내가 맑은 물의 상태일때 상기 발광출력 제어수단을 동작시키고, 상기 수광소자로부터 생성된 출력신호를 기준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수광소자의 출력이 기준치로 설정된 동안 발광출력 제어수단으로부터 생성된 출력데이터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세탁조내에서 세탁될 세탁물량을 검지하는 세탁물량 검지수단과, 이 세탁물량 검지수단에 의해 얻은 세탁물량을 여러단계로 구별하는 세탁물량 판별수단을 포함하고, 기억수단은 세탁판별수단으로부터 각 단계의 세탁물량에 따른 복수의 제어테이블을 기억하고, 제어수단은 세탁물량 판별수단으로부터 생성된 출력신호에 따라서 기억수단의 제어테이블을 선택하고, 세탁운전, 세제투입량 또는 수류의 강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장치.
KR1019910700760A 1989-11-20 1990-11-20 세탁기의 제어장치 KR960003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02954 1989-11-20
JP1302954A JPH03159686A (ja) 1989-11-20 1989-11-20 洗濯機の制御装置
PCT/JP1990/001510 WO1991007537A1 (fr) 1989-11-20 1990-11-20 Dispositif de commande pour machine a laver le lin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1559A KR920701559A (ko) 1992-08-12
KR960003016B1 true KR960003016B1 (ko) 1996-03-02

Family

ID=1791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760A KR960003016B1 (ko) 1989-11-20 1990-11-20 세탁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129241A (ko)
EP (1) EP0454862B1 (ko)
JP (1) JPH03159686A (ko)
KR (1) KR960003016B1 (ko)
AU (1) AU622580B2 (ko)
CA (1) CA2045572C (ko)
DE (1) DE69020895T2 (ko)
WO (1) WO1991007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083A (ja) * 1991-08-05 1994-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制御装置
DE4218127B4 (de) * 1992-06-02 2005-09-22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Verschmutzungsgrads eines Druckwerks einer Druckmaschine
KR950011609B1 (ko) * 1993-06-19 1995-10-06 엘지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 제어방법과 장치
DE19653202B4 (de) * 1996-12-19 2009-11-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Steuerverfahren zum Steuern eines Haushaltsgerätes
JP2959763B1 (ja) * 1998-01-13 1999-10-06 島田理化工業株式会社 ウェーハ洗浄装置
GB0129668D0 (en) * 2001-12-12 2002-01-30 Procter & Gamble Method for cleaning a soiled article
US7434424B2 (en) * 2002-09-26 2008-10-14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washer agitation time and speed control apparatus
JP4909387B2 (ja) * 2009-08-25 2012-04-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US8321983B2 (en) * 2010-10-05 2012-12-0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cycle of operation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WO2015188306A1 (zh) * 2014-06-09 2015-12-1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涤控制装置和具有其的洗衣机及洗涤控制方法
CN111235819B (zh) * 2018-11-09 2022-05-0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US11739463B2 (en) * 2020-11-04 2023-08-2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 of using image recognition processes for improved operation of a laundry appliance
CN113265829B (zh) * 2021-04-29 2023-02-03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用于洗衣提醒的方法及装置、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627A (en) * 1978-06-26 1980-01-16 Tokyo Shibaura Electric Co Driving gear of washing machine
FR2485576A1 (fr) * 1980-06-24 1981-12-31 Labo Electronique Physique Procede pour l'adaptation du temps de lavage et de la quantite d'eau de rincage a la charge de linge dans une machine a laver et mise en oeuvre du procede
JPS6021798A (ja) * 1983-07-15 1985-02-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センサ−装置
JPS60119989A (ja) * 1983-11-30 1985-06-27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における洗濯具合判定方法
JPS60210296A (ja) * 1984-04-02 1985-10-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JPS61284293A (ja) * 1985-06-12 1986-12-15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における汚れ内容判定方法
JPS62197099A (ja) * 1986-02-26 1987-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洗濯機
JPS63154196A (ja) * 1986-12-19 1988-06-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1198600A (ja) * 1988-02-01 1989-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H0728980B2 (ja) * 1988-04-27 1995-04-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JPH0621798A (ja) * 1992-07-03 1994-01-28 Nec Corp 入力バッファ回路
JPH0736874A (ja) * 1993-07-22 1995-02-07 Sord Comput Corp 表形式のデータ入力制御方法
US5890199A (en) * 1996-10-21 1999-03-30 Ramt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Data processor incorporating a ferroelectric memory array selectably configurable as read/write and read only memory
JPH10274797A (ja) * 1997-03-31 1998-10-13 Omron Corp 映像情報収集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29241A (en) 1992-07-14
JPH03159686A (ja) 1991-07-09
DE69020895D1 (de) 1995-08-17
EP0454862A1 (en) 1991-11-06
EP0454862B1 (en) 1995-07-12
CA2045572C (en) 1995-06-20
EP0454862A4 (en) 1992-03-11
AU6641090A (en) 1991-06-13
DE69020895T2 (de) 1995-12-07
KR920701559A (ko) 1992-08-12
WO1991007537A1 (fr) 1991-05-30
AU622580B2 (en) 1992-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016B1 (ko) 세탁기의 제어장치
CA2008612C (en) Washing machine
US4480449A (en) Automatic liquid level control for automatic washers
US5134867A (en) Washing machine having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light permeability of detergent solution
US4428088A (en) Automatic liquid level control for automatic washers
US5140842A (en) Washing machine having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light permeability of detergent solution
US5136861A (en) Washing machine having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light permeability of detergent solution
JPH04122384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454998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435684A (ja) 洗濯機
JP2811833B2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2623825B2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467896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2923396B2 (ja) 洗濯機
JP2910214B2 (ja) 洗濯機
JP3186222B2 (ja) 洗濯機の制御装置
KR20000014588A (ko) 드럼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JPH03182295A (ja) 洗濯機
KR100258990B1 (ko) 세탁기의포량감지방법
KR940007661Y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행정 선택장치
JPS62176496A (ja) 洗濯機
JPH03176099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439880B2 (ko)
JPH0312917B2 (ko)
JPH03168186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