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741B1 - 열교환기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741B1
KR960002741B1 KR1019930012061A KR930012061A KR960002741B1 KR 960002741 B1 KR960002741 B1 KR 960002741B1 KR 1019930012061 A KR1019930012061 A KR 1019930012061A KR 930012061 A KR930012061 A KR 930012061A KR 960002741 B1 KR960002741 B1 KR 960002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tack
stack pin
pin
pin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2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597A (ko
Inventor
겐사꾸 혼마
마사히데 사까구찌
Original Assignee
히다까 세이끼 가부시끼가이샤
히다까 쇼오따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까 세이끼 가부시끼가이샤, 히다까 쇼오따로오 filed Critical 히다까 세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 B21D53/085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both metal tubes and sheet metal with fins places on zig-zag tubes or paralle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2Extracting or inserting relatively lo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88Radiator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13Heat exchang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13Heat exchanger
    • Y10T29/53117Heat exchanger including means to manipulate heat exchanger tube bu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교환기 조립장치
제1도는 열교환기 조립라인의 개략적 평면도.
제2도는 핀의 설명도.
제3도는 집적용 팰릿 및 스택핀 호울더의 설명도.
제4도는 파이프 삽입장치의 정면도.
제5도는 파이프 삽입장치의 측면도.
제6도는 파이프 삽입장치의 평면도.
제7도는 압입다이장치의 부분측면도.
제8도는 압입다이장치의 부분정면도.
제9도는 압입다이장치의 위치조정수단의 설명도.
제10도는 압입다이장치의 부분정면도.
제11도는 슈우터(지지부)부분의 설명도.
제12도는 가이드부의 부분단면도.
제13도는 가이드부의 부분정면도.
제14도는 규제가이드부재의 가이드 구멍의 설명도.
제15도는 규제부재의 설명도.
제16도는 규제부의 부분정면도.
제17도는 규제부의 부분평면도.
제18도는 순환팰릿, 스택핀 호울더의 정면도.
제19도는 옮겨싣는 장치(이입장치)의 일부파단 설명도.
제20도는 인발ㆍ삽입장치의 정면도.
제21도는 인발ㆍ삽입장치의 부분설명도.
제22도는 인발ㆍ삽입장치의 부분설명도.
제23도는 인발ㆍ삽입장치의 부분설명도.
제24도는 삽입장치의 정면도.
제25도는 삽입장치의 평면도.
제26도는 인발ㆍ삽입순서의 설명도.
제27도는 인발ㆍ삽입순서의 설명도.
제28도는 열교환기(핀(fin) 장치)의 설명도.
제29도는 핀의 적층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30도는 종래의 파이프 삽입방법을 도시한 설명도.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열교환기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 조립장치는 제2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매가 일정한 틈새를 두고 적층된 핀(10)의 파이프 삽입공(10a)에 U자 형상으로 굽혀진 파이프(11)를 삽입 관통시키고, 이 파이프(11)를 확대하여 핀(10)을 파이프(11)에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복수의 파이프(11)의 끝부분 사이는 U자 형상의 접속관(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적절히 접속되어, 열매체가 유통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열교환기의 자동조립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 종래의 자동조립장치에 있어서의 파이프 삽입방법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먼저,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매의 핀(10)에 스택핀(12)을 삽입관통시켜, 이 다수매의 핀(10)을 스택핀 호울더(13) 위에 적층지지 한다.
이 적층상태의 핀(10)을 제3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4) 위에 가로로 설치한 상태로 한다. 이어서, 가이드(15)에 지지된 파이프(11)를 옆쪽에서 푸셔(16)에 의하여 압압하여 핀(10)의 파이프 삽입구멍(10a)에 파이프(11)를 삽입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파이프(11)를 핀(10)의 파이프 삽입구멍(10a)에 자동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즉, 파이프(11)는 일반적으로 열전도가 양호한 동(銅)재가 사용되며, 동재는 유연하므로 대략 1m 정도의 길이의 파이프(11)를 상기와 같이 옆방향에서 핀(10)에 삽입 관통시킬 때에는 중력에 의하여 파이프(11)의 특히 선단쪽이 처져 내리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가이드(15)에서의 안내가 곤란하고, 파이프(11)의 선단을 정확히 핀(10)의 파이프 삽입구멍(10a)에 위치맞춤을 할 수 없어 가끔 삽입불능이 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 핀(10)에는 제조공정상에서 그 폭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때문에, 다수매 적층하여 지지대(14) 윗면에 가로로 설치했을 때에는 각 핀(10)의 파이프 삽입구멍(10a) 위치에 상하의 어긋남이 생긴다.
이 때문에 파이프(11) 삽입때 파이프(11) 선단이 파이프 삽입구멍(10a) 끝가장자리에 걸려, 파이프(11)의 삽입불능이나 파이프 삽입구멍(10a)의 변형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핀(10)은 알루미늄 시이트를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고, 다수매 적층한 핀(10)을 지지대(14) 윗면에 가로로 설치하여 얹어놓으면 핀(10)이 쉽게 변형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발명의 개요]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파이프의 선단과 핀의 파이프 삽입구멍의 위치맞춤이 확실이 행하여져서, 파이프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열교환기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스택핀 호울더를 알맞게 순환시켜 파이프 삽입의 전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택핀 호울더에의 스택핀의 인발ㆍ삽입을 자동화하여 파이프 삽입의 전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구성을 갖추고 있다.
즉, 스택핀 호울더 위에 세워설치된 스택핀이 삽입관통되어 스택핀 호울더 위에 다수매 소정간격을 두고 적층된 핀의 파이프 삽입구멍에 U자 형상으로 굽혀진 파이프를 삽입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의 파이프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택핀이 윗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스팩핀 호울더가 소정위치에 배치되는 반입부와, 상기 파이프를 굽은 부분을 위로하여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그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파이프를 수용해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갖추고, 또한 파이프를 아래쪽으로 밀어내리는 압입다이를 가진 파이프 압입부와, 상기 반입부의 윗쪽에 배열되어 상기 파이프 압입부의 압입다이에 의하여 밀어내려지는 파이프가 진입하여, 적어도 내벽에 의하여 파이프의 바깥쪽 폭을 규제하여 파이프를 상기 핀의 소정의 파이프 삽입구멍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을 가진 가이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U자 형상 파이프는 지지부에 굽은 부분을 위로하여 수직상태로 지지되므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아 휘어지지 않는다.
이 지지부에 지지된 파이프는 파이프 압입부의 지지수단에 수용되어 지지되며, 이어서 압입다이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밀어내려진다.
이에 의하여 파이프는 하단쪽으로부터 가이드부의 가이드 구멍내에 진입하여, 가이드 구멍 내벽에 규제되어 그 폭이 결정되며, 보다 더 밀어내려짐으로써 핀의 파이프 삽입구멍에 압입되는 것이다.
이때 핀은 상하방향으로 스택핀이 삽입관통되어 상하로 적층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수평방향의 움직임은 자유롭고, 파이프 삽입구멍에 다소의 어긋남이 있더라도, 파이프가 삽입될 때에 움직여 주기 때문에, 파이프가 구멍끝가장자리를 긁지 않고 삽입된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 조립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U자 형상으로 굽혀진 파이프를 굽은부분을 위로하여 수직방향으로 지지하고, 이것을 압입다이에 의하여 밀어내려 가이드 구멍에 의해 안내하면서 핀의 파이프 삽입구멍에 압입하도록 하였으므로,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가로삽입방식에 비하여 파이프가 처져 내려가는 일이 없고, 가이드로 용이하게 정확히 위치맞춤하여 핀의 파이프 삽입구멍에 삽입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열교환기(핀장치) 조립장치의 전체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20은 핀 제조부이고, 프레스기(21), 리모트컷 장치(22)를 갖추고 있다.
프레스기(21)에서는 로울에 감긴 알루미늄 시이트를 끌어당김과 동시에 프레스 가공하여,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 삽입구멍(23) 등을 갖춘 복수열의 핀(24)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한다.
리모트컷 장치(22)에서는 상기 복수열로 형성된 핀(24)을 각 열로 분리절단함과 동시에, 각 열의 핀(24)을 소정길이로 절단한다.
제1도에서 26은 집적용 팰릿(27)의 순화로이다. 각 집적용 팰릿(27)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위치에 스택핀(28)이 세워 설치된 복수의 스택핀 호울더(29)가 얹어놓여진다.
이 집적용 팰릿(27)의 순환로(26)에서는 위치 A에서 리모트컷 장치(22)로 소정길이로 절단된 핀(24)에 스택핀(28)이 삽입되고, 각 스택핀 호울더(29) 위의 스택핀(28)이 파이프 삽입구멍(23)을 삽입관통한 상태에서 스택핀 호울더(29) 위에 핀(24)이 적층되는 것이다. 각 스택핀 호울더(29) 위에는 핀(24)이 2열 상태로 적층된다.
순환로(26)의 위치 B(스택핀 호울더 이동위치)에서는 집적용 팰릿(27) 위의 스택핀 호울더(29)가 후기하는 옮겨싣는 장치(25)에 의하여 1개씩 차례로 순환 컨베이어(30)(순환팰릿 이송로) 위로 이송되는 순환팰릿(31) (제18도) 위로 옮겨 실린다.
스택핀 호울더(29)가 옮겨 실린 순환팰릿(31)은 순환 컨베이어(30) 위로 순환된다. 이 순환팰릿(31)이 순환되는 동안에 다음 공정이 이루어진다.
즉, 먼저 후기하는 바와 같이 핀(24)에 파이프가 삽입관통된다. 파이프가 삽입관통된 핀장치는 스택핀 호울더(29) 위에서 빼내어진다. 비어있는 스택핀 호울더(29)가 상기 B위치에서 스택핀 호울더(29)가 차례로 순환 컨베이어(30) 위의 순환팰릿(31)에 옮겨 실려 비게되어 순환로(26) 위의 C위치(이입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집적팰릿(27) 위에, 상기 옮겨싣는 장치(25)와 똑같은 구성을 가진 이입장치(25a)에 의하여 순환 컨베이어(30) 위의 대응하는 순환팰릿(31)으로부터 이입된다. 그리하여 스택핀 호울더(29)가 이입된 집적용팰릿(27)이 차례로 또 A위치로 되돌려짐으로써, 집적용 팰릿(27) 및 각 스택핀 호울더(29)가 순환되어, 연속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음에, 제1도에 있어서, 50, 51은 파이프 삽입장치이다.
파이프 삽입장치(50,51)는 순환 컨베이어(30)의 경로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파이프 삽입장치를 2기 배열한 것은 다음의 이유때문이다.
즉, 전방단의 파이프 삽입장치(50)에서 소정수의 파이프를 핀(24)의 파이프 삽입구멍(23)에 삽입관통한다.
다음에, 파이프 삽입장치(50)의 근방에 배열된 스택핀 인발ㆍ삽입장치(54)에 의하여 스택핀(28)을 스택핀 호울더(29)로부터 뽑는다. 스택핀(28)을 뽑아도 핀(24)은 삽입한 파이프에 의하여 스택핀 호울더(29) 위에 지지되어 있다. 이어서 후방단의 파이프 삽입장치(51)에서 스택핀(28)을 뽑아낸 후의 파이프 삽입구멍(23)을 포함하여 나머지 소정수의 파이프 삽입구멍(23)에 파이프를 삽입하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삽입할 파이프의 직경을 7.0㎜로 하였을 때, 핀(24)의 파이프 삽입구멍(23)의 직경을 7.3㎜정도, 스택핀(28)의 직경을 7.1㎜ 정도로 설정하면, 파이프의 삽입이 더욱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하여 파이프가 삽입되어 조립된 핀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순환 컨베이어(30)의 진행로의 최종위치 D에서 반전장치(52)에 의하여 컨베이어(53) 위에 반전상태로 빼내어진다. 이 빼낸어진 핀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관확대장치까지 반송되어, 관확대장치에서 공지의 기구에 의하여 확대되는 것이다.
최종위치 D에서 핀장치가 빼내어져서 비게 된 스택핀(29)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순환 컨베이어(30)의 복귀로로 이동된다.
이 복귀로로 이동되는 동안에 스택핀 인발ㆍ삽입장치(54)에 의하여 먼저 뽑힌 스택핀(28)이 다시 복귀로 쪽의 스택핀 호울더(29)에 삽입된다. 그후 스택핀 호울더(29)는 복귀로 최종단으로부터 C위치(이입위치)의 직접용 팰릿(27) 위에 이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스택핀(28)이 삽입관통되어 있던 파이프 삽입구멍(23)에 파이프를 삽입하지 않는 타입의 핀장치의 경우에는 파이프 삽입장치는 1기만 배열하면 된다.
이어서, 각부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옮겨싣는 장치(25), 스택핀 호울더(29), 순환팰릿(31)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택핀 호울더(29)는 제18도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핀(28)이 꽂아지는 삽입구멍(32 ; 꽂기구멍)을 가진다. 스택핀 호울더(29)의 앞면에는 후기하는 옮겨싣는 장치(25) (및 이입장치(25a))의 핑거핀이 삽입되는 2개의 지지구멍(33)이 설치되어 있다.
또, 스택핀 호울더(29)의 하면에는 순환팰릿(31)의 윗면에 돌출설치된 2개의 핀(34)(1개만 도시됨)이 끼워넣어질 수 있는 위치결정구멍(35)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택핀 호울더(29)는 위치결정구멍(35)에 핀(34)이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순환팰릿(31) 위에 얹히게 됨으로써 순환팰릿(31) 위에 위치결정되며, 또한 핀(34)에 지지되어 얹어놓여진다.
그리고, 상기 접적용 팰릿(27)에도 복수의 스택핀 호울더(29)의 각 위치결정구멍(35)에 대응하여 핀(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핀이 위치결정구멍(35)에 끼워넣어지도록 하여 각 스택핀 호울더(29)가 집적용 팰릿(27) 위에 평행하게 얹어놓여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순환팰릿(31)의 양단쪽에는 지지벽(36)이 세워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벽(36)의 각각의 상부에는 스택핀(28)이 삽입관통되어 적층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핀(24)을 양쪽에서 끼워지지하고, 핀(24)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37)는 가이드(38)로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안내된 로드(39)의 선단에 두가닥 형상의 지지부재(40)가 부착되어 있다. 로드(39)는 가이드(38)의 적절한 위치에서 정지가능하게 안내된다.
따라서, 핀(24)이 적층상태로 지지된 스택핀(29)을 순환팰릿(31) 위에 상기한 바와 같이 얹어놓은 후, 로드(39)를 압압하여 지지부재(40)를 이동시켜, 지지부재(40)로 핀(24)의 양 사이드를 끼워넣듯이 함으로써 핀(24)을 지지할 수 있다. 로드(39)의 이동은 압압부재로 적절히 압압함으로써, 또는 실린더 기구 등을 채용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제19도에 도시한 옮겨싣는 장치(25)는 순환로(26)의 위치 B(옮겨싣는 위치)의 앞면에 위치하여 배열되고, 위치 B에 위치하고 있는 집적용 팰릿(27)으로부터 스택핀 호울더(29)를 하나씩 대응하는 순환팰릿(31) 위에 옮겨싣는 것이다.
41은 이동체이고, 레일(42)로 안내되어 위치 B에 위치하고 있는 집적용 팰릿(27)의 옆쪽과 위치 B와 대응하는 순환 컨베이어(30)의 위치와의 사이에 걸쳐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동체(41)의 구동기구는 모우터 및 나사레버(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체(41)의 하부에는 축(43)으로 안내되어 승강하는 승강체(44)가 배열되어 있다. 승강체(44)의 승강기구는 역시 모우터 및 나사레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승강체(44)에는 이동체(41)의 이동방향 및 승강체(44)의 승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로드가 돌출입하는 실린더 장치(45)가 배열되어 있다.
실린더 장치(45)의 로드끝에는 고정판(46)이 부착되어 있다. 이 고정판(46) 하부에 상기 스택핀 호울더(29)의 앞면에 설치한 지지구멍(33)에 끼워넣을 수 있는 상기한 2개의 핑거핀(47)이 지지구멍(33)에 대응하여 2개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이동체(41)로부터는 아암(48)(제18도)이 L자 형상으로 앞쪽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아암(48) 선단에는 스택핀 호울더(29)가 상승되었을 때에 그 윗면을 압압할 수 있는 압압돌기(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압압돌기(49)는 아암(48)에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으로 받쳐져 있어서, 아암(48) 방향으로 약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동체(41)의 상부로부터 앞쪽으로 돌출설치된 다른 아암(도시하지 않음) 위에 실린더 장치가 배열되고, 스택핀 호울더(29)가 상승되었을 때, 이 실린더 장치에 의하여 적층되어 있는 핀(24)을 윗쪽에서 압압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위치 B의 직접용 팰릿(27)으로부터 스택핀 호울더(29)를 대응하는 순환팰릿(31) 위에 옮겨싣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해야 한다.
먼저, 이동체(41)를 구동하여 핑거핀(47)을 위치 B에 위치하고 있는 집적용 팰릿(27)의 옮겨실을 스택핀 호울더(29)의 앞면쪽까지 이동시킨다. 이어서, 실린더 장치(45)를 구동하여 핑거핀(47)을 전진시켜서 대응하는 지지구멍(33)에 핑거핀(47)을 끼워넣는다.
다음에, 승강체(44)를 상승시킴으로써 집적용 팰릿(27) 위의 스택핀 호울더(29)는 핑거핀(47)에 의하여 들어올려져서 집적용 팰릿(27)과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벗어난다. 이때, 스택핀 호울더(29)는 윗면은 압압돌기(49)로 압압되고, 또 핀(24)도 윗쪽으로부터 상기한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 장치에 의하여 눌리므로, 스택핀 호울더(29)는 핀(24)과 함께 안정되어 핑거핀(47)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이 상태로 실린더 장치(45)의 로드를 후퇴시키고, 또한 이동체(41)를 위치 B에 대응하는 순환 컨베이어(30) 위에 이송된 순환팰릿(31)의 앞면까지 이동시킨다. 이어서, 실린더 장치(45)를 구동하여 로드를 전진시켜서, 스택핀 호울더(29)를 순환팰릿(31)의 윗쪽에까지 이동시킨다.
다음에, 승강체(44)를 하강시키면, 스택핀 호울더(29) 하면에 설치한 위치결정구멍(35)에 핀(34)이 끼워 넣어진 상태가 된다. 여기서 실린더 장치(45)에 의하여 로드를 후퇴시켜, 핑거핀(47)을 지지구멍(33)으로부터 뽑아냄으로써 집적용 팰릿(27) 위로부터 스택핀 호울더(29)가 순환팰릿(31) 위에 옮겨실리는 것이다.
스택핀 호울더(29)가 순환팰릿(31) 위에 옮겨실린후,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압압되어 지지부재(40)가 전진하고, 핀(24)의 양 사이드를 지지함으로써 순환팰릿(31)에 따라 핀(24)이 넘어지지 않고 순환 컨베이어(30) 위로 반송된다.
이어서, 파이프 삽입장치(50,51)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양자는 구조가 대략 같으므로, 파이프 삽입장치(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 제5도, 제6도는 각각 파이프 삽입장치(50)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핀(24)이 적층되어 순환 컨베이어(30)의 순환팰릿(31) 위에 옮겨실린 스택핀 호울더(29)는 순환 컨베이어(30)에 의하여 반송되어, 파이프 삽입장치(50)의 앞쪽까지 반송된 지점에서 적절한 정지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소정위치에 정지되어 위치결정되어 대기한다.
이 스택핀 호울더(29)의 정지위치를 반입부(50a)로 한다. 또, 파이프 삽입장치(51) 앞면에서의 스택핀 호울더(29)의 정지위치를 반입부(51a)로 한다.
다음에, 도면에서 70은 파이프 공급부, 72는 파이프 압입부, 74는 가이드부이다.
파이프 공급부(70)에 대하여 설명한다.
긴 파이프를 U자 형상으로 굽힘과 동시에,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파이프 굽힘 장치는 이미 알려져 있다.
제1도에서 55는 이 파이프 굽힘라인이다.
이 파이프 굽힘라인(55)에서 U자 형상으로 굽혀진 파이프(57)는 파이프 공급부(70)의 리프트 장치(58) (제5도)의 로드(59) 위로 옮겨실린다.
리프트 장치(58)가 구동되어 로드(59)가 상승하면, 파이프(57)는 이 U자 형상의 굽힘부에서 로드(59)에서 걸쳐져서 수직상태로 지지된다. 로드(59)가 리프트 장치(58)의 상부까지 상승된 위치에서 로드(59)는 리프트 장치(58)가 그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내에서 180도 회전하고, 분배장치(60) 쪽으로 향해진다(제5도 참조).
분배장치(60)는 수평면내에서 타원궤도로 회전구동되는 무단 컨베이어(61)를 가지며, 이 무단 컨베이어(61)에는 수평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다수개의 로드(6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드(62)가 로드(59)의 위치와 일치한 위치에서 무단 컨베이어(61)가 정지되고, 여기서 실린더(63)가 구동되어, 로드(59)상의 파이프(57)는 로드(62) 위에 옮겨실린다.
이렇게 하여 분배장치(60)의 각 로드(62) 위에 소정수 만큼의 파이프(57)가 옮겨실려 적층된다.
분배장치(60)를 끼워 리프트 장치(58)와 반대쪽에 리프트 장치(64)가 파이프 삽입장치(50)의 이면쪽에 위치하여 배열되고 있다.
리프트 장치(64)의 로드(65)에는 상기와 똑같은 기구에 의하여 분배장치(60)의 로드(62)로부터 파이프(57)가 옮겨실려 상승하고, 그 상부에서 180도 회전되어 각 대응하는 슈우터(66) (지지부의 일예) 위에 반입되는 것이다. 슈우터(66)는 9개 설치되어 있다.
각 슈우터(66)는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배열됨과 동시에,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우터(66)의 옆쪽에 2기 배열된 스토퍼 실린더(67,68)에 의하여 파이프(57)를 1개씩 슈우터(66)의 최하단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스토퍼 실린더(67)에서는 그 로드끝에 설치한 스토퍼가 슈우터(66) 위에 위치하는 파이프(57)의 아래로부터 두번째의 파이프(57)에 맞닿아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스토퍼 실린더(68)에서는 로드끝에 설치한 스토퍼가 최하부의 파이프(57)에 맞닿아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미 슈우터(66)의 최하단에 공급되어 있는 선행하는 파이프(57)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이프 압입부(72)에 의하여 핀(24)에 압입된 후에, 스토퍼(68)가 개방되어, 이에 의하여 최하부의 파이프(57)가 슈우터(66)의 최하단에 소정위치에 1개씩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슈우터(66)의 최하부 위치에는 센서(69) (제11도)가 배열되어 있다. 이 센서(69)에는 절연체를 통하여 2개의 도통부가 배열되어 있고, 파이프(57)가 슈우터(66)의 최하단에 공급되었을 때, 파이프(57)에 의하여 양도통부가 전기적으로 단란되어, 이를 도시하지 않은 검출장치에 의하여 검지함으로써 파이프(57)가 슈우터(66)의 최하단에 존재하는 것이 검출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파이프 압입부(72)에 대하여 설명한다.
75는 상하운동반이고, 기대(76)에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나사로드(77)에 옆가장자리에서 나사결합되어, 나사로드(77)가 모우터(78)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상하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79는 가이드 레일이다(제6도).
상하운동반(75)에는 제6도에 명확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운동판(80)이 가설되어 있다.
전후운동판(80)은 상하운동반(75)내에 설치된 슬라이드 로드(81) 위에 전후운동판(80)의 양단부가 미끄럼 운동함으로써 슬라이드 로드(81)에 안내되어 전후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운동판(80)의 양단부는 상하운동반(75)에 설치된 전후방향의 관통공을 삽입관통하여 상하운동반(75)내에 진입하고 있다.
83은 상하운동반(75)에 배열된 실린더이고, 각각의 로드끝이 전후운동판(80)의 끝부분에 연결되어 있고, 전후운동판(80)을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이다.
전후운동판(80)의 앞면쪽에는 9기의 압입다이장치(84) (제6도, 제7도, 제8도)가 배열되어 있다.
85는 그 부착대이고,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다이 미끄럼구멍(86)이 설치되어 있고, 이 다이 미끄럼 구멍(86)에 압입다이(87)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미끄럼접합되어 있다.
부착대(85)는 전후운동판(80)의 앞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89)(제7도)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안내되어 있다.
부착대(85)의 후면에 돌출설치된 고정핀(90)이 전후운동판(80)에 가로방향으로 설치한 개구부(91)에 미끄럼 자유롭게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그 선단부가 전후운동판(80)의 후면쪽에 돌출하고 있다. 이 고정핀(90)의 선단부에 전후운동판(80)의 후면에 고정되어 있는 위치결정실린더(92)의 로드(93)가 연결되어 있다(제9도).
로드(93)의 중도부에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대기판(94)이 고정되어 있고, 이 맞대기판(94)이 전후운동판(80)에 설치된 스토퍼판(95, 96)에 맞닿음으로써, 로드(93), 따라서 압입다이장치(84)의 가로방향으로의 이동범위가 결정된다.
또, 97은 스토퍼 실린더이고, 이 스토퍼 실린더(97)가 구동됨으로써 그 로드끝에 설치된 스토퍼(98)가 스토퍼판(96)과 맞대기판(94)과의 사이에 진입함으로써 로드(93)가 상기의 이동범위의 중간점에서도 정지가능하게 된다. 즉, 압입다이장치(84)는 그 가로방향의 이동이 3위치에 걸쳐 정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위치결정실린더(92), 스토퍼 실린더(97) 등에 의하여 압입다이장치(84)의 위치조정수단을 구성하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100은 압입실린더이고, 부착대(85)의 앞면쪽에 상하방향을 향하여 고정되어 있고, 그 로드(101)의 상단부는 연결판(102)을 통하여 압입다이(87)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제5도). 따라서, 압입실린더(100)가 구동되어 그 로드(101)가 진퇴됨으로써 압입다이(87)가 상하운동된다.
제7도,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대(85)의 후면 하부측은 짧게 형성되어 있어서 그 다이 미끄럼구멍(86)의 뒷쪽이 개방되어 있다. 이 개방부의 양 옆쪽에 규제가이드(10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양 규제가이드(104)의 대향벽면의 하부가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테이퍼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압입다이(87)의 하단면은 삽입할 파이프의 U자 형상 굽힘부의 원호를 따르는 원호면에 형성되어 있다(제8도).
제7도에 있어서 105는 지지수단의 일예인 척이고, 부착대(85)의 후면쪽 하부에 축(106)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실린더(107)에 의하여 회전되며, 개방부의 부착대(85)와의 사이에서 파이프 상단쪽을 끼워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107)의 로드 선단은 부착대(85) 후면쪽에 고정되어 있는 핀(109)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착되어 잇다.
다음에 가이드부(74)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부(74)는 파이프 압입부(72)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120은 지지판이고(제4도), 그 양쪽 가장자리가 기대(機台) (76)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폴(121)에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판(120)에는 기대(76)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나사로드(122)가 나사결합되고, 나사로드(122)가 모우터(123)에 의하여 회전구동됨으로써 지지판(120)은 상하방향의 소정위치에 정지, 위치결정된다.
제12도, 제14도에 있어서, 125는 규제가이드부재이고, 지지판(120)의 이면쪽에 상기 파이프 압입부(72)의 압입다이장치(84)에 대응하여 9기가 배설되어 있다.
각 규제가이드부재(125)에는 상하방향으로 파이프(57)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가이드 구멍(12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구멍(126)의 상부는 제12도,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쪽을 향하여 직경이 확대된 확경부(126a)가 형성되고, 파이프 압입부(72)로부터 압입되는 파이프(57)의 하단부가 용이하게 가이드 구멍(126)에 진입하도록 안내한다. 가이드 구멍(126)에 압입된 파이프(57)는 가이드 구멍(126) 내벽에 의하여 그 바깥쪽 폭이 소정대로 규제된다.
각 규제가이드부재(125)는 지지판(120)의 이면에 수평으로 배열된 레일(128)에 안내되어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규제가이드부재(125)의 앞면에 돌출설치된 고정핀(129)이 지지판(120)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개구부(130)에 미끄럼 자유롭게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그 선단부가 지지판(120)의 앞면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고정핀(129)의 선단부에 지지판(120)의 앞면에 고정되어 있는 위치결정실린더(131)의 로드(132)가 연결되어 있다. 133은 스토퍼 실린더이다.
이 위치결정실린더(131)와 스토퍼 실린더(133)는 상기 파이프 압입부(72)의 압입다이장치(84)를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실린더(92)와 스토퍼 실린더(97)와 똑같은 구조로 형성되고, 각 규제가이드부재(125)를 가로방향의 3위치에 걸쳐 위치결정하여 정지시키는 위치결정조정수단을 구성한다.
135는 규제실린더이고, 규제가이드부재(125)의 하부옆면부에 배열되어 있다. 규제실린더(135)의 로드 선단에 설치한 규제부재(136)가 규제가이드부재(125)의 가이드 구멍(126)에 돌출입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규제부재(136)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과 가이드 구멍(126) 내벽과의 사이에 파이프(57)가 통과할 수 있을 만큼의 틈새가 확보되도록 하고, 또 그 윗면은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구멍(126)내에 압입된 파이프(57)는 규제부재(136)의 윗면에서 안내되어 상기 틈새내로 압입된다.
이에 이하여 파이프(57)는 가이드 구멍(126) 내벽에서 그 바깥쪽이 규제부재(136)의 측면에서 그 안쪽이 규제되어 정확히 파이프(57) 하단의 폭이 나오게 된다.
다음에, 규제부에 대하여 제16도, 제17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규제부는 상하운동반(75)과 가이드부(74)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파이프(57)의 하단쪽을 위치규제하여, 가이드부(74)로 안내하는 것이다.
137은 지지판(한쪽만 도시함)이고, 상하운동반(75)에 부착된다.
양 지지판(137)에는 실린더(138)가 고정되고, 각 실린더(138)의 로드 사이에 가동판(139)이 가로 걸리고, 실린더(138)가 구동됨으로써 가동판(139)이 상하운동된다.
가동판(139) 하면에는 실린더(140)에 의하여 제16도의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운동가능한 수평운동판(141)이 부착되어 있다.
수평운동판(141)에는 제17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단면에 다수의 V자 형상의 절결부(142)가 설치된 규제판(143)이 고정되어 있다.
또, 수평운동판(141) 하면과 규제판(143)과의 사이에 제17도상의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미끄럼판(144)이 개재되어 있다. 미끄럼판(144)은 수평운동판(141)상에 고정배치되어 있는 실린더(145)의 로드에 연결되어 구동된다.
또 미끄럼판(144)의 전방단면에도 대략 직4각형상으로 된 절결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42)와 절결부(146)는 상하방향으로 겹친 위치에서 크게 그 전방단쪽이 개방되어, 미끄럼판(144)이 이동하였을 때에 좁혀져서 제17도와 같이 파이프(57)의 직경과 대략 같은 직경의 규제구멍(147)을 형성한다. 인접하는 규제구멍(147) 사이의 간격은 규제할 파이프(57) 하단의 폭과 같게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파이프 압입동작을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핀(24)이 적층지지된 스택핀 호울더(29)가 순환팰릿(31)상이 옮겨실려 순환 컨베이어(30) 위로 반송됨으로써 파이프 삽입장치(50)의 앞면쪽 아래의 소정위치(반입부(50a))까지 반송되어 정지한다.
가이드부(74)의 각 규제가이드부재(125)는 파이프(57)를 삽입할 핀(24)의 파이프 삽입구멍(23)의 삽입위치패턴에 맞추어 위치결정실린더(131), 스토퍼 실린더(133)에 의하여 그 이동할 수 있는 3위치내의 소정위치에 미리 이동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규제가이드부재(125)는 9기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들 모두가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삽입하는 파이프(57)의 개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파이프 압입부(72)의 슈우터(66)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이프 공급부(70)로부터 U자 형상으로 굽혀진 파이프(57)가 다수 공급되고 있고, 또 그 최하단부에는 그중 1개의 파이프(57)가 공급되어 매달려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센서(69)에 의하여 파이프(57)가 공급되고 있는 것이 검출되면, 실린더(83) (제6도)가 구동되어 전후운동판(80)이 후퇴되어, 압입다이장치(84)는 그 척(105)이 수유터(66)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곳까지 이동된다(제5도).
여기서, 모우터(78) (제4도)가 구동되어, 상하운동반(75)과 함께 전후운동판(80), 따라서 압입다이장치(84)가 하강되고, 척(105)이 파이프(57)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하강한다.
이때, 제10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57) 상부의 U자 형상부는 압입다이장치(84)가 강하함으로써 그 규제가이드(104) 사이에 들어가서 폭이 좁아져 그 폭이 규제된다. 파이프(57)의 하부는 아직 폭규제되어 있지 않으나, 파이프(57)의 상부가 폭 규제됨으로써 극단적인 굴곡이 교정된다.
그리고, 척(105)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가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하강이 슈우터(66)에 방해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107)가 구동되어, 대응하는 척(105)이 회동되어 부착대(85)와의 사이에서 파이프(57)의 상부를 끼워지지한다.
이어서, 모우터(78)가 구동되어 압입다이장치(84)가 파이프(87)를 빼내는데 장해가 되지않는 위치까지 상승되고, 다음에 실린더(83)가 구동되어 전후운동판(80)이 전진되어, 압입다이장치(84)가 가이드부(74)의 바로위에 위치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여기서, 제9도에 도시한 위치결정실린더(92), 스토퍼 실린더(97)가 구동되어, 압입다이장치(84)가 대응하는 규제가이드부재(125)의 바로위에 위치하도록 압입다이장치(84)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압입다이장치(84)는 슈우터(66)로 파이프(57)를 집으러 갈 때에는 슈우터(66)의 배열에 따라 이동되고, 가이드부(74)의 윗쪽으로 돌아올 때에는 규제가이드부재(125)의 패턴에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용기종으로서 파이프 삽입패턴에 변동이 없을 때에는 압입다이장치(84)나 규제가이드부재(125)의 가로방향 이동기구는 필요하지 않고, 파이프 삽입패턴에 따라 이들 및 슈우터(66)의 고정위치를 설정해 두면 된다.
이어서, 규제부(제16도)의 실린더(140)가 구동되어 수평운동판(141)이 파이프(57)의 기부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이프(57)의 기부가 규제판(143)과 미끄럼판(144)이 겹친 절결부(142, 146) 사이에 진입한다.
이어서, 실린더(145)에 의하여 미끄럼판(144)이 가로방향으로 미끄럼운동됨으로써 파이프(57)는 규제구멍(147)에 의하여 굽힘, 비틀림 등이 수정되어 폭이 규제된다.
여기서, 모우터(78)가 구동되어 상하운동반(75)과 함께 압입다이장치(84)가 하강되어, 척(105)으로 지지되어 있는 파이프(57)의 하부가 규제가이드부재(125)의 가이드 구멍(126)내에 진입한다. 이 시점에서 모우터(78)가 정지되고, 또 척(105)에 의한 지지가 개방됨과 동시에, 압입실린더(100)가 구동되어, 압입다이(87)가 하강하며, 이에 의하여 파이프(57)는 가이드 구멍(126)내에 깊이 압입된다.
파이프(57) 하단이 가이드 구멍(126)내에 진입한 이후, 규제판(143), 슬라이드판(144)에 의한 폭 규제는 해제된다.
파이프(57)가 가이드 구멍(126)내에 진입해갈 때, 파이프(57)의 하부쪽이 가이드 구멍(126)내에 돌출하고 잇는 규제부재(136) 측면과 가이드 구멍(126)내벽과의 틈새를 통과하여 파이프(57) 하단부의 바깥쪽 및 안쪽쌍방의 폭 규제가 이루어진다. 또한, 파이프(57)가 압입됨으로써 파이프(57) 하단이 핀(24)의 소정의 파이프 삽입구멍(23)내에 진입한다.
이 단계에서 규제부재(136)가 가이드 구멍(126)으로부터 후퇴하며, 이에 의하여 압입다이(87)가 통과가능하게 되어, 압입다이(87)가 더욱 하강되고 파이프(57)는 소정깊이의 핀(24)에 삽입되는 것이다.
압입다이(87), 상하운동반(75) 등이 상승하여 초기상태로 복귀한 시점에서, 후기하는 바와 같이 적절한 척장치를 갖춘 스택핀 인발ㆍ삽입장치(54)에 의하여 스택핀(28)이 뽑혀진다.
이어서, 순환 컨베이어(30)에 의하여 스택핀 호울더(29)가 순환팰릿(31)과 함께 파이프 삽입장치(51)의 앞면위치까지 반송되어 정지한다. 이 파이프 삽입장치(51)로 스택핀(28)이 뽑힌 후의 파이프 삽입구멍(23) 등을 포함하여 나머지의 파이프 삽입구멍(23)에 상기와 똑같이하여 파이프(57)가 삽입되며, 파이프가 삽입된 핀장치로 형성된다.
이 핀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관확대장치에 의하여 파이프의 확대개방이 행하여져서 완성된다.
핀장치가 제거되어 비게된 스택핀 호울더(29)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순환팰릿(31)에 실린채로 순환 컨베이어(30) 위로 반송되어(중도에 스택핀이 다시 꽂아진다) C위치에서 이입장치(25a)에 의하여 순환팰릿(31) 위로부터 순환로(26)의 집적용 팰릿(27) 위로 이입되는 것이다.
이어서, 스택핀 인발ㆍ삽입장치(54)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팩핀 인발ㆍ삽입장치(54)는 파이프 삽입장치(50,51)의 앞면쪽에 위치하여 순환 컨베이어(30)의 왕복로에 걸쳐서 각각 1기씩 배열된다(제1도).
파이프 삽입장치(50)의 앞면쪽에 배치된 것을 제1스택핀 인발ㆍ삽입장치(54)로 하고, 파이프 삽입장치(51)의 앞면쪽에 배치된 것을 제2스택핀 인발ㆍ삽입장치(54)로 한다. 이 양자의 장치는 완전히 같은 것이므로 하나로만 설명한다.
제20도는 그 상세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30A는 순환 컨베이어(30)의 진행로이고, 파이프 삽입장치(50, 51)의 앞면쪽을 주행하고 있다. 또, 30B는 순환 컨베이어의 복귀로이고, 진행로(30A)와 평행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다.
150은 인발용 실린더이며, 기대상에 하향으로 배열되고, 로드(151)가 상하방향으로 신축하도록 구동된다. 로드(151) 선단쪽에는 가이드(152) (제21도)로 안내되어 상하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가동판(153)이 연결되어 있다.
이 가동판(153)에는 로드(15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로드(154)가 신축운동하는 실린더(155)가 부착되어 있다(제20도). 로드(154)의 선단에는 부착판(156)이 부착되어 있다. 이 부착판(156)에 2기의 척장치(157)가 부착되어 있어서, 핀(24)의 1열중 2개의 스택핀(28)을 파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160은 핀누름장치이고, 상기의 척장치(157)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핀누름장치(160)는 실린더(161)에 의하여 상하운동되는 가동판(162)을 가지며, 또한 이 가동판(162)에 고정된 2개의 실린더(163)(한쪽만 도시함)의 로드끝에 설치된 ㄱ자 형상으로 된 누름판(164)을 구비하고 있다. 이 누름판(164)은 핀(24)을 윗쪽에서 압압하는 것이다.
다음에, 166은 기대상에 설치된 레일(167)을 따라 진행로(30A), 복귀로(30B) 사이에 걸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반송실린더이다.
반송실린더(166)의 로드(168)는 상하방향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고, 로드(168) 하단에는 부착판(169)이 고정되어 있다. 165는 반송실린더(166) 구동용의 모우터이다. 부착판(169)에는 실린더(170)에 의하여 진퇴운동되는 진퇴운동판(171)이 부착되어 있다. 이 진퇴운동판(171)의 앞면쪽 상부에는 상기 2기의 척장치(157)에 대응하는 2기의 척장치(17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진퇴운동판(171)의 앞면쪽 중앙에는 실린더(174)(제22도, 제23도)가 부착되어 있다. 이 실린더(174)의 로드(175)의 하단에는 가동판(176)이 부착되어, 실린더(174)가 구동됨으로써 가동판(176)이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177은 이때의 가이드 폴이다. 가동판(176)의 앞면쪽의 상기 척장치(173)의 아래쪽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2기의 척장치(178)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180은 삽입장치(제20도, 제24도, 제25도)이고, 반송실린더(166)가 복귀로(30B)상에 위치할 때의 반송실린더(166) 아래쪽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삽입장치(180)는 제24도,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우터(181)에 의하여 상하운동되는 가동판(182)을 가진다. 183은 가동판(182) 구동용의 나사로드(1개만 도시함), 184는 가이드 레일(1개만 도시함)이다. 가동판(182)에는 실린더(185)(1개만 도시함)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구동되는 진퇴운동판(186)이 부착되어 있다.
진퇴운동판(186)의 앞면상부에는 상기의 반송실린더(166)쪽의 척장치(178)에 대응하여 2기의 척장치(188)가 부착되고, 또한 이 척장치(188)의 아래쪽에 간격을 두고 2기의 척장치(189)(1개만 도시함)가 부착되어 있다.
이어서, 스택핀 인발ㆍ삽입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택핀(28)의 인발은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이프(57)가 핀(24)의 파이프 삽입구멍(23)에 삽입된 후에 행하여진다. 파이프가 삽입된 후에는 파이프(57)가 스택핀(28)을 대신하여 핀(24)을 지지하기 때문이다.
또, 스택핀(28)의 삽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이프(57)가 삽입되고, 스택핀(28)이 뽑혀져 핀장치로서 스택핀 호울더(29) 위로부터 제거된 후에 비게된 스택핀 호울더(29)의 스택핀 삽입구멍(32)에 삽입되는 것이다.
먼저, 파이프(57) 삽입후의 핀장치로부터 스택핀(28)을 뽑아내고, 이어서 비게된 스택핀 호울더(29)에 스택핀(28)을 삽입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핀누름장치(160)에 의하여 핀(24)이 윗쪽에서 압압지지된다. 즉, 실린더(163)가 구동되어 누름판(164)이 핀(24)의 윗쪽에 위치할 때까지 전진하고, 이어서 실린더(161)에 의하여 하강함으로써 핀(24)을 압압하는 것이다.
다음에, 인발용 실린더(150)의 로드(151)가 소정위치까지 하강된다. 이어서, 실린더(155)가 구동되어 척장치(157)가 전진하고 소정 전진위치에서 구동되어 스택핀(28)을 파지한다.
스택핀(28)이 소정위치까지 상승하였을 때에 인발용 실린더(150)는 정지된다.
다음에, 반송용 실린더(166)는 제20도에 실선위치에 있고, 실린더(170)가 구동됨으로써 척장치(173 및 178)가 전진하여, 소정 전진위치에서 척장치(173)가 구동되어 스택핀(28)을 파지한다. 척장치(157)의 파지가 해제됨으로써 스택핀(28)은 반송실린더(166) 쪽으로 넘겨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우터(165)가 구동되어 반송실린더(166)는 진행로(30A) 윗쪽위치로부터 복귀로(30B) 윗쪽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이동중도에서 실린더(174)가 구동되어, 척장치(178)는 소정거리 하강하며, 이 하강위치에서 구동됨으로써 척장치(178)는 스택핀(28)의 중도부를 파지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스택핀(28)의 가로진동이 방지되고, 스택핀(28)은 복귀로(30B) 윗쪽까지 반송된다. 이어서, 반송실린더(166)가 구동되어 스택핀(28)은 하강한다. 소정 하강위치에서 반송실린더(166)가 정지되고, 이어서 삽입장치(180)의 실린더(185)가 구동되어 척장치(188, 189)가 전진하여, 소정 전진위치에서 스택핀(28)을 파지한다. 한편, 척장치(173, 178)의 파지가 해제됨으로써 스택핀(28)은 삽입장치(180) 쪽으로 넘겨진다.
여기서, 모우터(181)가 구동되어 척(188, 189)이 스택핀(28)을 파지한 채로 하강하고, 이에 의하여 스택핀(28)은 스택핀 호울더(29)의 소정의 스택핀 삽입구멍(32)에 삽입되는 것이다.
제26도는 스택핀(28)의 인발ㆍ삽입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위치 O는 파이프 삽입장치(50)에 대응하는 제1인발위치, 위치 P는 파이프 삽입장치(51)에 대응하는 제2인발위치, 위치 Q는 제2인발위치(P)에 대향하는 복귀로(30B)상의 제1삽입위치, 위치 R은 제1인발위치(O)에 대향하는 복귀로 (30B)상의 제2삽입위치이다.
제1인발위치(O)에서 바깥쪽 열의 스택핀(28)이 뽑히고, 제1스택핀 인발ㆍ삽입장치(54)에 의하여 뽑힌 스택핀(28)은 반송실린더(166)에 의하여 제2삽입위치(R)의 윗쪽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반송되어 대기한다.
제2스택핀 인발ㆍ삽입장치(54)에 의하여 제2인발위치(P)에서 안쪽 열의 스택핀(28)이 뽑혀서 반송실린더(166)에 이하여 반송되고, 또한 삽입장치(180)에 의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스택핀 호울더(29)의 안쪽 열의 스택핀 삽입구멍(32)에 삽입된다.
이 안쪽 열에 스택핀(28)이 삽입된 스택핀 호울더(29)는 제2삽입위치(R)까지 반송되어, 여기서 상기 대기하고 있던 제1스택핀 인발ㆍ삽입장치(54)의 반송실린더(166)가 구동되고, 또한 삽입장치(180)가 구동되어 스택핀(28)은 스택핀 호울더(29)의 바깥쪽 열의 스택핀 삽입구멍(32)에 삽입된다.
이 경우에 제1스택핀 인발ㆍ삽입장치(54)의 척장치(188, 189) 등은 먼저 삽입된 스택핀(28)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 먼저 삽입된 스택핀(28)에 대해 공간적 장해가 되지 않고, 바깥쪽으로부터 제2삽입위치(R)에서 나머지 스택핀(28)의 삽입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또, 상기와 같이 인발 실린더(150)로 뽑은 스택핀(28)을 반송실린더(166)로 받고, 다시 삽입장치(180)로 받아서 스택핀(28)을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스택핀(28)의 진동방지나 위치결정이 확실하게 되어, 용이하게 스택핀(28)의 인발ㆍ삽입을 행할 수 있다.
제27도는 다른 순서를 도시한 것이며, 스택핀(28)의 받기를 행하지 않고, 제1스택핀 인발ㆍ삽입장치(54)에 의하여 그 인발 실린더(150)로 스택핀(28) 인발부터 삽입까지를 행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진행로(30A)의 인발위치에서 쫍은 스택핀(28)을 복귀로(30B)의 삽입위치에서의 바깥쪽 열에 삽입하고, 나머지 스택핀 열을 안쪽 열에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척장치 등에 대해 공간적 장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자유로이 인발ㆍ삽입을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적절한 실시예를 들어 여러가지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개변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2)

  1. 스택핀 호울더(29)상에 세워 설치된 스택핀(28)이 삽입관통되어 스택핀 호울더(29)상에 다수매 소정간격을 두고 적층된 핀(24)의 파이프 삽입구멍(23)에 U자 형상으로 굽혀진 파이프(57)를 삽입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택핀(28)이 윗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스택핀 호울더(29)가 소정위치에 배치되는 반입부(50a)와, 상기 파이프(57)를 굽은 부분을 위로하여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66)와, 그 지지부(66)에 지지된 상기 파이프(57)를 받아지지하는 지지수단(105)을 갖추고, 또한 파이프(57)를 아래쪽으로 밀어내리는 압입다이(87)를 가진 파이프 압입부(72)와, 상기 반입구(50a)의 윗쪽에 배열되고, 상기 파이프 압입부(72)의 압입다이(87)에 의하여 밀어내려지는 파이프(57)가 진입하여, 적어도 내벽에 의해 파이프(57)의 바깥쪽 폭을 규제하여 파이프(57)를 상기 핀(24)의 소정의 파이프 삽입구멍(23)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126)을 가진 가이드부(7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105)과 가이드부(74)와의 사이에 배열되어, 지지수단(105)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파이프(57)의 하단부를 상기 가이드부(74)의 가이드 구멍(126) 폭이 되도록 규제하는 규제부(143,144)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멍(126)의 상단부가 윗쪽을 향하여 넓어지는 확경부(126a)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멍(126)내에 돌출입이 자유롭게 측면과 가이드 구멍(126) 내벽과의 사이에서 파이프(57)가 통과가능한 틈새를 형성하는 규제부재(13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66)는 그 윗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파이프(57)가 걸친 상태로 지지되는 슈우터(66)로 형성되고, 그 슈우터(66)에 파이프(57)를 공급하는 파이프 공급부(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105) 및 압입다이(87)가 상기 지지부(66)에 접촉분리가능한 전후운동판(80)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운동판(80)이 상하운동이 자유로운 상하운동반(75)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74)는 상하운동이 자유로운 지지판(120)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 구멍(126)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규제가이드부재(125)가 상기 지지판(120)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66), 지지수단(105), 압입다이(87), 규제가이드부재(125)가 핀(24)의 파이프 삽입구멍(23)에 대응하여 가로방향으로 복수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105)과 압입다이(87), 상기 규제가이드부재(125)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함과 동시에, 소정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위치조정수단(90,9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의 파이프 삽입장치.
  11. 스택핀 호울더(29)상에 상하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스택핀(28)이 삽입관통되어 스택핀 호울더(29)상에 다수매 소정간격을 두고 적층된 핀(24)의 파이프 삽입구멍(23)에 윗쪽에서 U자 형상으로 굽혀진 파이프(57)를 삽입하는 파이프 삽입부(50)와, 핀(24)이 다수매 적층된 스택핀 호울더(29)를 상기 파이프 삽입부(50)를 경유하여 반송하는 스택핀 호울더 반송용의 진행로(30A)와, 이 진행로(30A)에 평행으로 병설되어, 상기 진행로(30A)상에서 파이프(57)가 삽입된 핀장치가 제거되어 비게된 스택핀 호울더(29)를 반송하는 복귀로(30B)와, 상기 진행로(30A)와 복귀로(30B)에 걸쳐 배열되고, 상기 진행로(30A)에서 파이프(57)가 삽입된 후에 스택핀 호울더(29)로부터 스택핀(28)을 뽑아냄과 동시에, 상기 복귀로(30B)상에 위치하는 스택핀 호울더(29)의 스택핀 삽입구멍(32)에 스택핀(28)을 삽입하는 인발ㆍ삽입장치(5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
  12. 스택핀 호울더(29)상에 상하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스택핀(28)이 삽입관통되어 스택핀 호울더(29)상에 2열로 다수매가 소정간격을 두고 적층된 핀(24)의 파이프 삽입구멍(23)에 윗쪽에서 U자 형상으로 굽혀진 파이프(57)를 삽입하는 파이프 삽입부(50,51)와, 상기 스택핀(28)이 2열로 세워 설치되고, 핀(24)이 2열로 다수매 적층된 스택핀 호울더(29)를 상기 파이프 삽입부(50,51)를 경유하여 반송하는 스택핀 호울더 반송용의 진행로(30A)와, 이 진행로(30A)에 평행하게 병설되어, 상기 진행로(30A)상에서 파이프(57)가 삽입된 핀 장치가 제거되어 비게된 스택핀 호울더(29)를 반송하는 복귀로(30B)와, 상기 진행로(30A)에서 파이프(57)가 삽입된 후에, 스택핀 호울더(29)의 바깥쪽 열의 스택핀(28)을 뽑아내는 상기 진행로(30A)상의 제1인발부위(O)와, 이 제1인발부위(O) 보다도 하류의 진행로(30A)상에 위치하여, 스택핀 호울더(29)의 안쪽열의 스택핀(28)을 뽑아내는 제2인발부위(P)와, 이 제2인발부위(P)에 대향하는 복귀로(30B)에 위치하여, 제2인발부위(P)에서 뽑힌 스택핀(28)이 복귀로(30B)상으로 반송되어 비어있는 스택핀 호울더(29)의 안쪽 열의 스택핀 삽입구멍(32)에 삽입되는 제2삽입부위(Q)와, 이 제1삽입부위(Q) 보다 하류의 복귀로(30B)상에서 상기 제1인발부위(O)와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제1인발부위(O)에서 뽑힌 스택핀(28)을 스택핀 호울더(29)의 대응하는 바깥쪽 열의 스택핀 삽입구멍(32)에 삽입하는 제2삽입부위(R)와, 상기 제1인발부위(O)와 제2삽입부위(R)와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고, 제1인발부위(O)에서 스택핀 호울더(29)의 바깥쪽의 스택핀(28)을 뽑아냄과 동시에, 제2삽입부위(R)에 스택핀 호울더(29)가 반송되어 오기전에 뽑아낸 스택핀(28)을 제2삽입부위(R)의 윗쪽에까지 반송하여, 상기 제1삽입부위(Q)에서 안쪽 열의 스택핀(28)이 삽입된 스택핀 호울더(29)가 반송되었을 때에 그 스택핀 호울더(29)의 바깥쪽 열의 스택핀 삽입구멍(32)에 상기의 스택핀(28)을 삽입하는 제1인발, 삽입장치(54)와, 상기 제2인발부위(P)와 제1삽입부위(Q)와의 사이에 걸쳐 설치되고, 제2인발부위(P)에서 스택핀 호울더(29)의 안쪽의 스택핀(28)을 뽑아냄과 동시에, 제1삽입부위(Q) 쪽으로 뽑아낸 스택핀(28)을 반송하고, 제1삽입부위(Q)에 반송되어 있는 스택핀 호울더(29)의 대응하는 안쪽 열의 스택핀 삽입구멍(32)에 상기 스택핀(28)을 삽입하는 제2인발ㆍ삽입장치(5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
KR1019930012061A 1992-07-02 1993-06-30 열교환기 조립장치 KR960002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00539 1992-07-02
JP20053992A JP3315151B2 (ja) 1992-07-02 1992-07-02 熱交換器組立装置のパイプ挿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597A KR940002597A (ko) 1994-02-17
KR960002741B1 true KR960002741B1 (ko) 1996-02-26

Family

ID=1642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2061A KR960002741B1 (ko) 1992-07-02 1993-06-30 열교환기 조립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26847A (ko)
JP (1) JP3315151B2 (ko)
KR (1) KR960002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612A (ko) * 2012-12-18 2015-07-09 교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확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2080A (en) * 1994-07-26 1997-05-27 Burr Oak Tool & Gauge Company, Inc. Tube cutter/bender to lacer transfer station
US5680695A (en) * 1995-06-16 1997-10-28 Vetter; Klaus-Dieter Hairpin lacing apparatus
KR100590787B1 (ko) * 1998-12-11 2006-08-30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조립장치
US6308409B1 (en) 1999-05-05 2001-10-30 Solar Turbines Incorporated Recuperator cell assembly system
KR100373072B1 (ko) * 1999-10-27 2003-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열교환기의 헤어핀 자동 삽입기
US6530144B1 (en) * 1999-10-27 2003-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automatic assembling a heat exchanger
KR100359341B1 (ko) * 1999-11-29 2002-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헤어핀 자동 삽입기
KR101025883B1 (ko) * 2009-04-09 2011-03-30 홍성희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
US8365407B2 (en) * 2009-04-14 2013-02-05 Neng Tyi Precision Industries Co., Ltd. Radiator manufacturing method and aligning-and-moving mechanism thereof
EP2372289B1 (en) 2010-03-31 2018-11-14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Heat exchanger
KR101128650B1 (ko) * 2010-07-27 2012-03-27 박관수 튜브 삽입장치
CN102744696A (zh) * 2012-07-06 2012-10-24 无锡国盛精密模具有限公司 翅片定位整理方法
CN102794370B (zh) * 2012-08-17 2014-10-22 中山市奥美森工业有限公司 一种铜管导向机构
CN103567749B (zh) * 2013-10-30 2015-10-07 森松(江苏)重工有限公司 一种换热管安装工具
EP3262850B1 (en) 2015-06-17 2020-07-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dio devices
WO2017061004A1 (ja) * 2015-10-08 2017-04-13 日高精機株式会社 ヘアピン状の熱交換チューブのガイド装置及びヘアピン状の熱交換チューブの挿入装置
CN108348980B (zh) * 2015-11-06 2019-08-09 日高精机株式会社 发夹状的换热管排列装置
CN109996618B (zh) 2016-11-14 2020-05-05 日高精机株式会社 发夹状的换热管的排列装置
JP6653393B2 (ja) 2016-11-14 2020-02-26 日高精機株式会社 ヘアピン状の熱交換チューブ整列装置
US10906142B2 (en) * 2016-11-18 2021-02-02 Hidaka Seiki Kabushiki Kaisha Stacking apparatus for heat exchanger cores
JP6667663B2 (ja) * 2016-11-22 2020-03-18 日高精機株式会社 ヘアピン状の熱交換チューブのガイド装置
JP7037195B2 (ja) * 2019-11-12 2022-03-16 日高精機株式会社 ヘアピン状熱交換チューブ整列装置
JP6923954B2 (ja) * 2019-11-12 2021-08-25 日高精機株式会社 ヘアピン状熱交換チューブ移載機構
CN111300360A (zh) * 2020-02-24 2020-06-19 山东大学 用于地震波探测的传感器套杆快速组装辅助装置及方法
JP7037207B2 (ja) * 2020-05-28 2022-03-16 日高精機株式会社 熱交換チューブ整列装置
CN111922651B (zh) * 2020-08-25 2022-02-08 广州星沛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中冷器管双向穿内翅片的装配方法
KR102526707B1 (ko) * 2021-09-01 2023-04-28 주식회사 하나텍 열교환기 제조용 브레이징 분리바 이송장치
CN113997290B (zh) * 2021-11-17 2023-03-28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机械臂的控制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9479A (en) * 1972-06-30 1974-02-05 Mordo Co Machine for assembling tubes in a heat exchanger
SE423682B (sv) * 1979-11-02 1982-05-24 Grenges Metallverken Ab Maskin for sammanfogning av kylror och ytforstoringselement vid tillverkning av vermevexlare, serskilt for motorfordon
JPS578047A (en) * 1980-06-18 1982-01-16 Hitachi Ltd Working or assembling equipment
US4486933A (en) * 1982-10-26 1984-12-11 Nippondenso Co., Ltd. Apparatus for assembling core for heat exchanger
JPS59214523A (ja) * 1983-05-20 1984-12-04 Hitachi Ltd 熱交換器等のu字管の自動插入装置
US4589198A (en) * 1983-12-22 1986-05-20 Carrier Corporation Tube loading apparatus
US4913707A (en) * 1988-12-02 1990-04-03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ed assembly apparatus
US5228191A (en) * 1989-10-16 1993-07-20 Richard Casterline Apparatus for making a barrel type fluid heat exchanger
JPH04343631A (ja) * 1991-01-25 1992-11-30 Seiko Epson Corp 部品の組付け装置
US5226234A (en) * 1992-06-29 1993-07-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assembling heat exchanger tub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612A (ko) * 2012-12-18 2015-07-09 교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확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15151B2 (ja) 2002-08-19
US5426847A (en) 1995-06-27
KR940002597A (ko) 1994-02-17
JPH0615393A (ja) 199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741B1 (ko) 열교환기 조립장치
CN113511508B (zh) 立转卧电容供料器
CN108583995A (zh) 永磁产品自动分料装盒设备
KR101252037B1 (ko) 부품 자동 삽입기의 부품 공급장치
US20220024702A1 (en) Multi-Conveyor Belt Based Insertion Mechanism For Pocketed Coil Springs
US4508204A (en) Gravity feed chute
US4519121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unting plate fins of hairpin pipes
JPH0773952A (ja) ベルトパッケージ
JP3315152B2 (ja) スタックピンホルダーへのスタックピン引抜・差込装置
JPH0615392A (ja) 熱交換器組立装置におけるスタックピンホルダー循環装置
KR101015400B1 (ko) 열교환기 조립장치
EP0498394B1 (en) Apparatus for feeding articles from tube magazines
US5312222A (en) Process and device for aligning stacks of cutouts in a packaging machine
US5246328A (en) Apparatus for feeding articles from tube magazines
JPH0592822A (ja) シートフイーダ
US4652200A (en)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CN212648054U (zh) 变压器生产设备
KR19990014905U (ko) 로더 박스형 커패시터 조립 장치
JP3637614B2 (ja) 苗箱供給装置
JPS6366732B2 (ko)
JP2547912B2 (ja) チップ配列モジュール及び複数のチップを回路基板に配置する方法
JPS6222279Y2 (ko)
EP0591228B1 (en) Inserting u-shaped heat exchanger tubes in a heat exchanger core
CN113794084B (zh) 端子插针设备
JP2005313920A (ja) 挿入装置及び挿入方法並びに自動箱詰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