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883B1 -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883B1
KR101025883B1 KR1020090030986A KR20090030986A KR101025883B1 KR 101025883 B1 KR101025883 B1 KR 101025883B1 KR 1020090030986 A KR1020090030986 A KR 1020090030986A KR 20090030986 A KR20090030986 A KR 20090030986A KR 101025883 B1 KR101025883 B1 KR 101025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heat exchanger
way
feed mechanism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2466A (ko
Inventor
홍성희
Original Assignee
홍성희
주식회사 동화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희, 주식회사 동화엔텍 filed Critical 홍성희
Priority to KR1020090030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88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80/00Mounting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of heat exchang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케이싱의 내부에 열교환용 번들을 삽입시켜 열교환기를 조립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용 번들을 외부케이싱으로 삽입시키는 방향을 따라 래칫로드를 수평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래칫로드상에 열교환용 번들의 이송을 위한 유압실린더를 일방향 이송기구와 함께 설치함으로서, 상기 일방향 이송기구와 연계된 유압실린더의 점진(漸進)적인 푸싱작동에 의하여 열교환용 번들이 외부케이싱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열교환용 번들의 손상없이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을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수행토록 함은 물론, 소형 유압실린더의 적용이 가능토록 하여 열교환기 조립장치의 설비와 가동에 따른 비용절감 또한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케이싱(3)의 내부로 열교환용 번들(Bundle)(4)을 삽입시켜 열교환기를 조립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조립장치(1)는, 외부케이싱(3)과 열교환용 번들(4)을 지지하는 조립용 베드(2)와, 상기 조립용 베드(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는 래칫로드(9)를 포함하며, 상기 래칫로드(9)의 외측면에는 열교환용 번들(4)의 삽입 방향으로 일방향 래칫(9a)이 형성되고, 상기 래칫로드(9)에는 일방향 래칫(9a)과 맞물린 상태로 래칫로드(9)를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일방향 이송기구(10)가 설치되며, 상기 일방향 이송기구(10)의 사이에는 열교환용 번들(4)을 삽입 방향으로 밀어내는 유압실린 더(20)가 일방향 이송기구(10)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30986
열교환기, 외부케이싱(Shell), 열교환용 번들(Bundle), 일방향 이송, 래칫

Description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Apparatus for fitting heat exchanger using one-way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열교환용 번들(Bundle)을 외부케이싱(Shell)으로 삽입시키는 방향을 따라 래칫로드를 수평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래칫로드상에 열교환용 번들의 이송을 위한 유압실린더를 일방향 이송기구와 함께 설치함으로서, 상기 일방향 이송기구와 연계된 유압실린더의 점진(漸進)적인 푸싱작동에 의하여 열교환용 번들이 외부케이싱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Heat exchanger)는 2개의 유체간에 상호 열교환을 행함으로서, 한 쪽 유체는 가열되도록 하는 동시에 다른 한 쪽의 유체는 냉각되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통상 열원이나 냉각원이 되는 유체를 전열유체(傳熱流體)라 하고, 전열유체로부터 열원이나 냉각원을 회수하는 유체를 피전열유체(彼傳熱流體)라고 한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사용상의 목적과 적용분야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로 세분되어질 수 있으나, 그 구조적인 측면만을 논할 경우, 전열유체(또는 피전열유체) 가 유동하는 열교환용 번들(Bundle)과, 상기 번들이 내부로 삽입되는 한편 번들의 외부측 공간을 통하여 피전열유체(또는 전열유체)를 유동시키는 외부케이싱(Shell)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통상적인 열교환기는 열교환용 번들과 외부케이싱을 각각 별도로 제조한 다음, 외부케이싱의 내부로 열교환용 번들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열교환용 번들과 외부케이싱을 일체로 조립하는 과정을 거침에 따라 제조되는 바, 열교환용 번들을 외부케이싱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작업은 열교환기의 성능과 품질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 된다.
다시 말해서, 열교환용 번들의 경우, 전열파이프나 핀튜브(Pin-tube) 등이 수십 내지 수백 매로 집적화된 구조물일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에 있어 전열유체와 피전열유체와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핵심부품이므로, 열교환용 번들을 외부케이싱으로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전열파이프나 핀튜브 및 각 배관의 연결부위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공장의 천정 등에 설치된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등을 사용하여 중량물이 되는 열교환용 번들이 매달리도록 한 상태에서, 외부케이싱의 개구된 입구측으로 열교환용 번들을 밀어 넣는 과정을 거침에 따라,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시 숙련된 기술자에 의한 까다로운 작업이 요구됨은 물론이고,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크레인이나 호이스트 등에 열교환용 번들을 매달아 운반시키는 과정 및 열교환용 번들을 외부케이싱으로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열교환용 번들이 외부케이싱이나 주변의 다른 장치와 충돌하여 번들의 손상 또한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번들의 수리나 유지보수를 행함에 따른 공정의 지연과 더불어, 열교환기의 품질과 성능 측면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길이가 길게 되는 조립용 베드(Bed)나 받침대의 상부면에 외부케이싱과 열교환용 번들이 지지되도록 안착시킨 다음, 조립용 베드나 받침대의 일측단에 구비된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열교환용 번들을 외부케이싱측으로 밀어냄으로서, 상기 번들이 외부케이싱을 통하여 삽입되도록 한 열교환기 조립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열교환기 조립장치는 유압실린더용 피스톤로드의 행정거리에 국한되는 조립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크기가 소형이고 길이가 짧게 되는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에는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으나, 선박용 열교환기와 같이 크기가 대형이고 길이 또한 매우 길게 되는 열교환기의 조립작업까지 수행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선박용 열교환기와 같은 대형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열교환기의 길이에 해당하는 행정거리를 가지는 대형 유압실린더 및 대용량 유압펌프를 사용하여야 함으로서, 열교환기 조립장치의 설비와 가동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유압실린더만으로 다양한 치수의 열교환기를 조립하는 측면에 있어서도 대형 유압실린더의 적용은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는, 열교환용 번들을 외부케이싱으로 삽입시키는 방향을 따라 래칫로드를 수평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래칫로드상에 열교환용 번들의 이송을 위한 유압실린더를 일방향 이송기구와 함께 설치함으로서, 상기 일방향 이송기구와 연계된 유압실린더의 점진(漸進)적인 푸싱작동에 의하여 열교환용 번들이 외부케이싱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열교환용 번들의 손상없이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을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수행토록 함은 물론, 소형 유압실린더만으로도 다양한 치수를 가지는 열교환기의 조립이 가능토록 하여 열교환기 조립장치의 설비와 가동에 따른 비용절감 또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1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압실린더로서 래칫로드가 관통식으로 삽입되는 중공형(中空形) 유압실린더를 적용시킴에 따라, 일방향 이송기구와 유압실린더가 래칫로드를 따라 동축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유압실린더에 의한 번들의 푸싱능력을 보다 더 증대시키도록 하며, 조립용 베드상에 열교환용 번들의 하중과 이동을 지지하는 번들지지구를 설치하되, 상기 번들지지구가 조립용 베드를 통하여 출몰식으로 승하강되도록 함으로서, 유압실린더와 일방향 이송기구에 의한 열교환용 번들의 푸싱작동을 한층 더 부드럽고 안전하게 수행토록 하는 동시에, 열교환용 번들의 조립작업이 상기 번들지지구에 의하여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을 제 2의 기술적 과 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일방향 이송기구로서, 래칫로드가 중심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서 래칫로드와 탄력적으로 맞물리게 설치된 래칫레버를 포함하는 허브(Hub) 또는 부시(Bush) 형상의 이송기구를 제공함으로서, 래칫로드를 이동축으로 하여 보다 정확한 원웨이(One-way) 방식의 이송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래칫로드와 일방향 이송기구와의 지지강도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유압실린더의 푸싱작동을 기초로 한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이 오차없이 정확하고 신속하며 견고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3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방향 이송기구의 메인바디에 편심볼트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편심볼트의 체결 과정에서 래칫레버가 힌지식으로 각운동하여 래칫로드와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이 완료된 이후 새로운 조립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세팅작업시, 또는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이 진행되는 도중이라 하더라도, 일방향 이송기구를 유압실린더와 함께 래칫로드를 따라 요구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열교환기 조립장치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능률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4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외부케이싱의 내부로 열교환용 번들을 삽입시켜 열교환기를 조립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에 있어 서, 상기 열교환기 조립장치는, 외부케이싱과 열교환용 번들을 지지하는 조립용 베드와, 상기 조립용 베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는 래칫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래칫로드의 외측면에는 열교환용 번들의 삽입 방향으로 일방향 래칫이 형성되고, 상기 래칫로드에는 일방향 래칫과 맞물린 상태로 래칫로드를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일방향 이송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일방향 이송기구의 사이에는 열교환용 번들을 삽입 방향으로 밀어내는 유압실린더가 일방향 이송기구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는, 래칫로드가 관통된 상태로 일방향 이송기구와 조립 설치되는 중공형 유압실린더, 또는 래칫로드의 외부에서 일방향 이송기구와 연결 설치되는 일반형 유압실린더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립용 베드의 중앙부측에는 열교환용 번들의 하중과 이동을 지지하는 번들지지구가 출몰식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방향 이송기구는, 래칫로드가 중심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 형성된 레버축에 힌지식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칫로드의 일방향 래칫과 맞물리는 래칫레버와, 상기 래칫레버를 래칫로드측으로 가압시키는 스프링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유압실린더와 일방향 이송기구의 조립을 위한 커넥트캡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래칫레버에는 레버축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전환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에는 래칫레버의 전환구멍 중심부와 편심 (偏心)된 방향을 따라 편심볼트가 체결 설치되며, 상기 편심볼트의 선단에는 편심볼트의 체결시 전환구멍으로 삽입되어 래칫레버와 래칫로드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방향 이송기구와 연계된 유압실린더가 래칫로드를 따라 점진적으로 이동하는 푸싱(Pushing) 작동에 의하여, 열교환용 번들이 조립용 베드를 따라 외부케이싱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열교환기의 주요부품이 되는 번들의 손상없이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을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수행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유압실린더가 일방향 이송기구와 함께 래칫로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열교환용 번들을 삽입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기 때문에, 피스톤로드의 행정거리에 국한되지 않고 소형 열교환기로부터 선박용 열교환기와 같은 대형 열교환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열교환기 조립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고, 행정거리가 매우 길게 되는 대형 유압실린더의 적용이 불필요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조립장치를 다양한 종류의 열교환기 조립작업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한편, 소형 유압실린더의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열교환기 조립장치의 설비와 가동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종래의 경우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열교환기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일방향 이송기구로서, 래칫로드가 중심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서 래칫로드와 탄력적으로 맞물리게 설치된 래칫레버를 포함하는 허브 또는 부시 형상의 이송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래칫로드를 이동축으로 하여 보다 정확한 이송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래칫로드와 일방향 이송기구와의 지지강도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에 따라, 유압실린더의 푸싱작동을 기초로 한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이 오차없이 정확하고 신속하며 견고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편심볼트에 의하여 래칫레버와 래칫로드와의 맞물림 상태를 필요시 선택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경우는,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이 완료된 이후 새로운 조립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세팅작업시, 또는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이 진행되는 도중이라 하더라도, 일방향 이송기구를 유압실린더와 함께 래칫로드를 따라 요구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열교환기 조립장치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능률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조립장치(1)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의 외부케이싱(Shell)(3) 및 열교환용 번들(Bundle)(4)을 지지하는 조립용 베드(Bed)(2)와, 상기 조립용 베드(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는 래칫로드(Latch rod)(9)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케이싱(3)의 상부면과 열교환용 번들(4)의 일측(도면상 좌측)에는 전열유체와 피전열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유입관(3a)(4a)과 배출관(3b)(4b)이 각각 설치되는 한편, 외부케이싱(3)과 열교환용 번들(4)의 일측 단부(도면상 좌측단부)에는 외부케이싱(3)과 열교환용 번들(4)의 조립을 위한 조립플랜지(3c)(4c)가 대응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용 번들(4)의 유입관(4a)과 배출관(4b)은 조립플랜지(4c)측에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부케이싱(3)의 바닥부에는 조립이 완료된 열교환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다리(5)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조립플랜지(3c)(4c)를 따라서는 외부케이싱(3)과 열교환용 번들(4)의 조립을 위한 다수 개의 체결공(미도시)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따라서, 도면상 상기 래칫로드(9)는 조립용 베드(2)의 전방지지대(2a)로부터 열교환용 번들(4)의 플랜지부(4c)에 형성된 미도시된 체결공 및 외부케이싱(3)의 플랜지부(3c)에 형성된 미도시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조립용 베드(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래칫로드(9)를 설치하게 되면, 각각의 래칫로드(9)가 일방향 이송기구(10) 및 유압실린더(20)의 이동축이 됨은 물론이고, 조립용 베드(2)의 전방지지대(2a)와 외부케이싱(3)의 사이에서 열교환용 번들(4)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축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본 발명에 있어 가장 바람직한 적용형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도면상 래칫로드(9)가 설치되는 부분에 별도의 가이드봉이 위치토록 한 상태에서, 상기 래칫로드(9)는 가이드봉의 외측에서 가이드봉과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조립용 베드(2)를 따라 설치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상기 래칫로드(9)와 가이드봉(설치하는 경우에 한하여)은 조립용 베드(2)로부터 분해 조립이 가능토록 설치하는 것이 번들(4)과 외부케이싱(3)을 조립용 베드(2)상에 세팅하는 작업의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조립용 베드(2)의 중앙부 내측에는, 열교환용 번들(4)의 후방측(도면상 우측단부)을 지지하여 열교환용 번들(4)이 조립용 베드(2)상에 보다 더 안정적으로 세팅되도록 하는 한편, 열교환용 번들(4)의 이송작업시 열교환용 번들(4)이 보다 더 부드럽고 안전하게 가이드 될 수 있도록 번들지지구(7)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번들지지구(7)는 열교환용 번들(4)을 조립용 베드(2)에 세팅하여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을 수행하는 초기 시점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열교환용 번들(4)이 외부케이싱(3)의 내부로 어느 정도 삽입된 이후에는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까지 하강하여 열교환용 번들(4)의 삽입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번들지지구(7)는 테이블식 유압리프트 또는 유압실린더 등을 기초로 하여 조립용 베드(2)를 따라 출몰식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번들지지구(7)의 상단면에는 열교환용 번들(4)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컨베이어(8)나 이송롤러 등이 설치되는 바, 필요에 따라서는 2개 내지 3개 정도의 번들지지구(7)가 조 립용 베드(2)를 따라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번들지지구(7)는 열교환용 번들(4)의 하중 및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하나의 대표적인 수단을 제시한 것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번들(4)용 지지구조가 조립용 베드(2)상에 적용될 수 있고, 도 1 및 도 2에서는 2개의 래칫로드(9)를 기초로 하여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을 수행토록 하였으나, 래칫로드(9)의 설치개수 또한 사용자가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는 사항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열교환용 번들(4)의 최초 푸싱(Pushing) 위치, 즉 전방지지대(2a)와 열교환용 번들(4)의 사이에 해당하는 각각의 래칫로드(9)에 한 쌍의 일방향 이송기구(10)가 설치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일방향 이송기구(10)의 사이에는 열교환용 번들(4)을 삽입방향(도면상 우측방향)으로 밀어내는 유압실린더(20)가 설치되어 일방향 이송기구(10)와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20)의 작동을 위하여 미도시된 유압펌프 및 유압라인(유압펌프와 유압실린더를 연결하는 라인) 등을 포함하는 유압장치(6)가 조립용 베드(2)상에 구비되며, 상기 유압실린더(20)로서는 래칫로드(9)가 중심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중공형(中空形) 유압실린더 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일반형(一般形) 유압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가 중공형 유압실린더(20)를 사용한 것이고, 도 4에 도시된 실시예가 일반형 유압실린더(20)를 사용한 것으로서, 상기 중공형 유압실린더 는 피스톤로드(21)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20)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래칫로드(9)가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중공형 유압실린더 역시 기계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장치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중공형 유압실린더를 사용한 경우는, 유압실린더(20)의 몸통 후단부(도면상 좌측단)와 피스톤로드(21)의 선단에 일방향 이송기구(10)가 래칫로드(9)를 따라 동축상으로 조립 설치되며, 도면상 유압실린더(20)와 피스톤로드(21) 및 일방향 이송기구(10)의 조립을 위하여 연결볼트(20a)가 사용되었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일반형 유압실린더를 사용한 경우는, 유압실린더(20)가 래칫로드(9)의 외부에서 래칫로드(9)와 평행하게 위치토록 한 다음, 유압실린더(20)의 몸통 부분과 피스톤로드(21)의 선단측이 연결브라켓(20b)과 같은 별도의 연결수단에 의하여 일방향 이송기구(10)와 연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유압실린더(20) 중에서 중공형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유압실린더(20)가 일방향 이송기구(10)와 함께 래칫로드(9)를 따라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유압실린더(20)의 작동으로 피스톤로드(21)가 열교환용 번들(4)을 밀어내는 힘이 보다 더 증대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유압실린더(20)와 일방향 이송기구(10)와의 연결작업 또한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압실린더(20)에 의한 피스톤로드(21)의 푸싱작동을 보다 더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피스톤로드(21)와 연결되는 일방향 이송기구(20)에 푸싱용 플레이트(Pushing plate)나 푸싱바(Pushing bar) 등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일방 향 이송기구(10)가 열교환용 번들(4)의 조립플랜지(4c)와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래칫로드(9)의 예로서, 도 5의 (가)는 원형 막대 형상의 금속봉 표면을 따라 나사산 형상의 일방향 래칫(9a)이 형성된 래칫로드(9)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나)는 사각 막대 형상의 금속봉에 있어 그 상,하부 표면을 따라 톱니 형상의 일방향 래칫(9a)이 돌출 형성된 래칫로드(9)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래칫로드(9)에 형성되는 일방향 래칫(9a)은, 열교환용 번들(4)의 삽입방향(화살표 방향)을 따라서는 일방향 이송기구(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한편, 그 역방향을 따라서는 일방향 이송기구(10)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걸림용 단턱이 형성되며, 이는 일방향 래칫구동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이다.
상기와 같은 래칫로드(9) 중에서 도 5의 (가)에서와 같이 나사산 형상의 일방향 래칫(9a)이 형성된 것을 사용(일반적인 막대볼트를 래칫로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으며, 상기 일방향 이송기구(10)는 래칫로드(9)의 일방향 래칫(9a)과 맞물린 상태에서 래칫로드(9)를 따라 열교환용 번들(4)의 이송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이송기구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열교환기 조립장치(1)를 이루는 래칫로드(9)와 유압실린더(20) 및 일방향 이송기구(10)를 사용하여 열교환용 번들(4)을 외부케이싱(3) 의 내부로 삽입시킴에 따라, 열교환기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용 번들(4)과 외부케이싱(3) 및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의 세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유압장치(6)를 사용하여 유압실린더(20)를 작동시키게 되면, 유압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1)가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열교환용 번들(4)을 우측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로드(21)가 열교환용 번들(4)을 밀어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푸싱력은, 유압실린더(20)의 몸통 좌측단에서 유압실린더(20)와 연결된 상태로 래칫로드(9)와 맞물려 있는 일방향 이송기구(10)가 지지하게 되므로, 유압실린더(20) 자체는 제자리에서 위치 고정된 상태로 피스톤로드(21)만이 돌출되어 열교환용 번들(4)을 행정거리(Stroke)만큼 밀어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로드(21)의 행정거리만큼 열교환용 번들(4)을 1차적으로 밀어낸 다음에는, 유압장치(6)를 작동시켜 피스톤로드(21)가 유압실린더(20)의 내부로 다시 들어가도록 하게 되는 데, 이 경우 피스톤로드(21)와 연결된 일방향 이송기구(10)가 래칫로드(9)와 맞물려 있으므로, 돌출된 피스톤로드(21) 자체는 도면상 좌측 방향을 따라 유압실린더(2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로드(21)는 열교환용 번들(4)을 1차적으로 밀어낸 위치에서 그대로 유지되는 한편, 유압실린더(20)의 몸통 부분만이 일방향 이송기구(10)와 함께 래칫로드(9)를 따라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피스톤로드(21)가 유압실린더(20)의 내부로 다시 들어간 상태로 복원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면, 유압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1)가 그 행정거리만큼 열교환용 번들(4)을 밀어냄과 동시에, 유압실린더(20)의 위치가 도면상 우측 방향을 따라 피스톤로드(21)의 행정거리만큼 전진(前進)한 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유압실린더(20)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도면상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20)가 피스톤로드(21)의 행정거리를 이동단위로 하여 열교환용 번들(4)을 우측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밀어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방향 이송기구(10)와 연계된 유압실린더(20)의 점진(漸進)적인 푸싱작동에 의하여 열교환용 번들(4)이 외부케이싱(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음에 따라, 열교환용 번들(4)의 손상없이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을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수행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유압실린더(20)가 일방향 이송기구(10)와 함께 래칫로드(9)를 따라 이동하면서 열교환용 번들(4)을 삽입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으므로, 피스톤로드(21)의 행정거리에 국한되지 않고 소형 열교환기로부터 선박용 열교환기와 같은 대형 열교환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의 열교환기 조립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고, 행정거리가 매우 길게 되는 대형 유압실린더의 적용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조립장치(1)를 다양한 종류의 열교환기 조립작업에 호환성(互換性) 있게 사용할 수 있는 한편, 소형 유압실린더(20)의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열교환기 조립장치(1)의 설비와 가동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종래의 경우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열교환기 조 립장치(1)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조립장치(1)에 적용될 수 있는 일방향 이송기구(10)의 최적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래칫로드(9)가 중심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메인바디(Main body)(11)를 기초로 하며, 상기 메인바디(11)의 내부에는 래칫로드(9)와 맞물리는 래칫레버(Latch lever)(13)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바디(11)는 래칫로드(9)가 관통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2개의 몸통으로 분리되는 한편, 이와 같이 분리된 각각의 메인바디(11)가 조립볼트(17)에 의하여 일체로 조립 설치되는 바, 도면상 메인바디(11)의 전,후방측(도면상 좌,우측)에 총 4개의 조립공(11a)이 형성되는 한편, 해당 조립공(11a)과 대응하는 메인바디(11)의 내측에는 조립볼트(17)의 체결공(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바디(11)의 중앙부측에 형성된 나머지 2개의 조립공(11a)은 이후에 설명되어지는 편심볼트(18)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메인바디(11)의 조립을 위한 조립공(11a)과 체결공(11b)의 위치나 개수 등은 제조업자가 임의대로 조정할 수 있는 사항이고, 상기 조립볼트(17) 역시 도면에 도시된 렌치볼트(Wrench bolt) 이외에도 일반적인 체결볼트가 적용될 수 있으며, 메인바디(11)의 조립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조립면에 형성된 조립홈(11c)이나 조립핀(11d) 또한 도면에 도시된 위치나 형태로 한정되지 아니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도면상 상기 메인바디(11)가 원통 형상의 몸통 즉, 래칫로드(9)를 기준으로 하여 허브(Hub)나 부시(Bush)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에도 사각형 몸통이나 다각형 몸통과 같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메인바디(11)의 중심부에는 래칫로드(9)의 삽입을 위한 로드삽입공(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바디(11)의 내부에 설치되는 래칫레버(13)는, 그 후단부측(도면상 우측단부)이 메인바디(11)의 내측에 고정된 레버축(15)과 힌지식으로 조립 설치됨으로서, 레버축(15)을 중심으로 하는 각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한편, 그 선단부(도면상 좌측부)에는 래칫로드(9)의 일방향 래칫(9a)과 맞물리는 일방향 래칫(13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상 상기 메인바디(11)의 내부에 상,하 2개의 래칫레버(13)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데, 이는 래칫레버(13)와 래칫로드(9)의 맞물림 부위를 증대시켜 일방향 이송기구(10)의 원웨이(One-way) 작동을 확실하게 보장토록 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1개의 래칫레버(13)를 설치하더라도 무방하지만, 가급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래칫레버(1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래칫레버(13)와 래칫로드(9)의 맞물림 상태를 보다 더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메인바디(11)의 내부에는 래칫레버(13)를 래칫로드(9)측으로 가압시키는 판스프링(14)이 설치되며, 판스프링(14)의 일단은 스프링피스(14a)에 의하여 메인바디(11)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한편, 그 타단은 래칫레버(13)를 누르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일방향 이송기구(10)가 래칫로드(9)를 따라 열교환용 번들(4) 의 이송방향(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각각의 래칫레버(13)가 레버축(15)을 중심으로 탄력적인 각운동을 하면서 래칫로드(9)에 형성된 일방향 래칫(9a)의 경사면을 타고 넘어갈 수 있는 반면, 그 역방향(도면상 좌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판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하여 래칫레버(13)와 래칫로드(9)의 일방향 래칫(9a)(13a)이 서로 견고하게 맞물리게 됨으로서 역방향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앞서 언급되어진 판스프링(14) 이외에도 다른 스프링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프링수단의 다른 적용례로서는, 래칫레버(13)와 메인바디(11)의 내측면 사이로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자 형상의 절곡스프링 또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을 들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메인바디(11)에는 유압실린더(20)와 일방향 이송기구(10)의 조립을 위한 커넥트캡(12)이 돌출 형성되는 바, 도면상에서는 피스톤로드(21)와 연결되는 일방향 이송기구(10)를 도시한 관계로 상기 커넥트캡(12)이 메인바디(11)의 좌측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는 달리 도 1 내지 도 3에서 유압실린더(20)의 몸통과 조립 설치되는 일방향 이송기구(10)는 상기 커넥트캡(12)이 메인바디(11)의 우측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좌,우의 구분없이 일방향 이송기구(10)를 유압실린더(20)와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메인바디(11)의 양측에 커넥트캡(12)을 모두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커넥트캡(12)을 이용한 일방향 이송기구(10)와 유압실린더(20)와의 조립 이전에, 유압실린더(20)에 의한 푸싱방향과 일방향 래칫(9a)(13a)에 의한 이송 방향이 일치되도록 하는 사항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커넥트캡(12)은 통상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메인바디(11) 자체의 형상에 맞추어 사각링이나 다각링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트캡(12)을 따라서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체결공(12a)이 형성됨으로서, 일방향 이송기구(10)와 유압실린더(20)의 조립을 위한 연결볼트(20a)가 체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트캡(12)은 도 3에서와 같이 중공형 유압실린더(20)를 사용할 경우에 적용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반형 유압실린더(20)를 사용할 경우에도, 브라켓(20b)의 연결수단으로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일방향 이송기구(10)와 유압실린더(20)를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대신에 용접방식에 의하여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상기 일방향 이송기구(10)의 다른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8 내지 도 10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편심볼트(18)를 사용하여 래칫레버(13)와 래칫로드(9)와의 맞물림 상태를 필요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일방향 이송기구(10)가 유압실린더(20)와 함께 래칫로드(9)를 따라 역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정단면도는, 조립볼트(17)에 의한 메인바디(11)의 조립상태와 더불어, 편심볼트(18)의 설치상태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도록, 조립볼트(17)가 설치된 부분으로부터 편심볼트(18)가 설치된 부분을 따라 절단선이 지그재그식으로 통과되도록 한 상태의 단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래칫레버(13)에는 레버축(15)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도면상 래칫레버의 좌측부)에 전환구멍(16)이 관통 형성되는 한편, 상기 메인바디(11)에는 래칫레버(13)에 형성된 전환구멍(16)의 중심부와 편심(偏心)된 방향을 따라 편심볼트(18)가 체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편심볼트(18)의 몸통부는 메인바디(11)에 형성된 조립공(11a)을 따라 편심볼트(18)가 체결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부(18b)로 형성되는 한편, 편심볼트(18)의 선단에는 편심볼트(18)의 체결시 전환구멍(16)으로 삽입되어 래칫레버(13)와 래칫로드(9)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핀부(18a)가 형성되며, 상기 편심볼트(18) 또한 도면에 도시된 렌치볼트 이외에 일반적인 볼트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편심볼트(18)를 사용하여 래칫레버(13)와 래칫로드(9)와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과정은, 도 10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볼트(18)의 핀부(18a)가 전환구멍(16)과 편심된 위치에 세팅된 초기 상태에서 편심볼트(18)를 체결시킴에 따라, 도 10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볼트(18)의 핀부(18a)가 전환구멍(16)으로 완전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다시 말해서, 전환구멍(16)과 편심된 위치에 있던 핀부(18a)가 편심볼트(18)의 체결 과정에서 전환구멍(16)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삽입되며, 이로 인하여 전환구멍(16)의 중심과 핀부(18a)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게 되는 한편, 편심볼트(18)의 체결력에 의하여 래칫레버(13)가 판스프링(14)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편심거리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레버축(15)을 중심으로 각운동하여, 래칫레버(13)와 래칫로드(9) 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래칫레버(13)와 래칫로드(9)와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킨 이후에 래칫레버(13)를 다시 원위치로 복원시키고자 할 경우, 편심볼트(18)를 풀어내어 편심볼트(18)의 핀부(18a)가 래칫레버(13)의 전환구멍(16)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하면, 도 10의 (가)에 도시된 초기상태, 즉 래칫레버(13)와 래칫로드(9)가 서로 맞물려 일방향 이송만이 가능한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최적 실시예로서의 일방향 이송기구(10)를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조립장치(10)에 적용시키게 되면, 래칫로드(9)를 이동축으로 하여 일방향 이송기구(10)를 허브(Hub)나 부시(Bush) 형상으로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일방향 이송기구(10)와 연계된 유압실린더(20)가 열교환용 번들(4)을 보다 정확한 원웨이(One-way) 방식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메인바디(11)의 내부에서 래칫로드(9)와 탄력적으로 맞물리는 한 쌍의 래칫레버(13)에 의하여 래칫로드(9)와 일방향 이송기구(10)와의 조립에 따른 지지강도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유압실린더(20)의 푸싱작동을 기초로 한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이 오차없이 정확하고 신속하며 견고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편심볼트(18)에 의하여 래칫레버(13)와 래칫로드(9)와의 맞물림 상태를 필요시 선택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경우는,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이 완료된 이후 새로운 조립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세팅작업이나, 또는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이라도, 일방향 이송기구(10)를 유압실린더(20)와 함께 래 칫로드(9)를 따라 요구하는 위치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열교환기 조립장치(1)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능률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열교환기의 조립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일방향 이송기구(10)와 유압실린더(20)를 래칫로드(9)로부터 빼내어 이를 다시 설치하는 번거러운 작업을 수행하는 대신, 래칫레버(13)와 래칫로드(9)와의 맞물림 상태만을 간단하게 해제시키게 되면, 일방향 이송기구(10)와 유압실린더(20)가 래칫로드(9)를 따라 역방향으로 즉시 이동 가능하게 되므로, 일방향 이송기구(10)와 유압실린더(20)를 래칫로드(9)상의 요구하는 작업위치에 용이하게 다시 세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위에서 설명되어진 내용은 열교환용 번들(4)을 외부케이싱(3)의 내부로 이송시키도록 한 것이나, 이와는 반대로 외부케이싱(3)을 열교환용 번들(4)측으로 이송시키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예시된 도면과 설명을 기초로 하여 단순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조립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일부확대 평면도.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조립장치용 래칫로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방향 이송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6의 정단면도.
도 10의 (가) 및 (나)는 편심볼트에 의한 래칫레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열교환기 조립장치 2 : 조립용 베드 2a : 전방지지대
3 : 외부케이싱 3a,4a : 유입관 3b,4b : 배출관
3c,4c : 조립플랜지 4 : 열교환용 번들 5 : 지지다리
6 : 유압장치 7 : 번들지지구 8 : 컨베이어
9 : 래칫로드 9a,13a : 일방향 래칫 10 : 일방향 이송기구
11 : 메인바디 11a : 조립공 11b,12a : 체결공
11c : 조립홈 11d : 조립핀 12 : 커넥트캡
13 : 래칫레버 14 : 판스프링 14a : 스프링피스
15 : 레버축 16 : 전환구멍 17 : 조립볼트
18 : 편심볼트 18a : 핀부 18b : 체결부
19 : 로드삽입공 20 : 유압실린더 20a : 연결볼트
20b : 연결브라켓 21 : 피스톤로드

Claims (7)

  1. 외부케이싱(3)의 내부로 열교환용 번들(Bundle)(4)을 삽입시켜 열교환기를 조립하는 열교환기 조립장치(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조립장치(1)는, 외부케이싱(3)과 열교환용 번들(4)을 지지하는 조립용 베드(2)와, 상기 조립용 베드(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설치되는 래칫로드(9)를 포함하며,
    상기 래칫로드(9)의 외측면에는 열교환용 번들(4)의 삽입 방향으로 일방향 래칫(9a)이 형성되고,
    상기 래칫로드(9)에는 일방향 래칫(9a)과 맞물린 상태로 래칫로드(9)를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일방향 이송기구(10)가 설치되며,
    상기 일방향 이송기구(10)의 사이에는 열교환용 번들(4)을 삽입 방향으로 밀어내는 유압실린더(20)가 일방향 이송기구(10)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20)는 래칫로드(9)가 관통된 상태로 일방향 이송기구(10)와 조립 설치되는 중공형(中空形) 유압실린더, 또는 래칫로드(9)의 외부에서 일방향 이송기구(10)와 연결 설치되는 일반형(一般形) 유압실린더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베드(2)의 중앙부측에는 열교환용 번들(4)의 하중과 이동을 지지하는 번들지지구(7)가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이송기구(10)는, 래칫로드(9)가 중심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메인바디(11)와, 상기 메인바디(11)의 내부에 형성된 레버축(15)에 힌지식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래칫로드(9)의 일방향 래칫(9a)과 맞물리는 래칫레버(13)와, 상기 래칫레버(13)를 래칫로드(9)측으로 가압시키는 스프링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11)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유압실린더(20)와 일방향 이송기구(10)의 조립을 위한 커넥트캡(12)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레버(13)에는 레버축(15)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전환구멍(16)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11)에는 래칫레버(13)의 전환구멍(16) 중심부와 편심(偏心)된 방향을 따라 편심볼트(18)가 체결 설치되며,
    상기 편심볼트(18)의 선단에는 편심볼트(18)의 체결시 전환구멍(16)으로 삽 입되어 래칫레버(13)와 래칫로드(9)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핀부(18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레버(13)에는 레버축(15)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전환구멍(16)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11)에는 래칫레버(13)의 전환구멍(16) 중심부와 편심(偏心)된 방향을 따라 편심볼트(18)가 체결 설치되며,
    상기 편심볼트(18)의 선단에는 편심볼트(18)의 체결시 전환구멍(16)으로 삽입되어 래칫레버(13)와 래칫로드(9)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키는 핀부(18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
KR1020090030986A 2009-04-09 2009-04-09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 KR10102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986A KR101025883B1 (ko) 2009-04-09 2009-04-09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986A KR101025883B1 (ko) 2009-04-09 2009-04-09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466A KR20100112466A (ko) 2010-10-19
KR101025883B1 true KR101025883B1 (ko) 2011-03-30

Family

ID=4313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986A KR101025883B1 (ko) 2009-04-09 2009-04-09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0878B (zh) * 2015-04-30 2018-09-07 贵州盘江矿山机械有限公司 液压支架伸缩梁油缸压装装置
CN115446563B (zh) * 2022-08-17 2024-01-19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滑轮组的装配装置和装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800Y1 (ko) * 1988-03-14 1992-06-10 스기야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매설형 리프트
JPH0615393A (ja) * 1992-07-02 1994-01-25 Hidaka Seiki Kk 熱交換器組立装置のパイプ挿入装置
KR200166436Y1 (ko) 1999-07-09 2000-02-15 헤스본기계주식회사 크로스링크형리프트의로킹장치
KR20060062483A (ko) * 2004-12-03 2006-06-12 (주)마이크로 갤럭시 열교환기용 튜브에 인너 핀을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800Y1 (ko) * 1988-03-14 1992-06-10 스기야스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매설형 리프트
JPH0615393A (ja) * 1992-07-02 1994-01-25 Hidaka Seiki Kk 熱交換器組立装置のパイプ挿入装置
KR200166436Y1 (ko) 1999-07-09 2000-02-15 헤스본기계주식회사 크로스링크형리프트의로킹장치
KR20060062483A (ko) * 2004-12-03 2006-06-12 (주)마이크로 갤럭시 열교환기용 튜브에 인너 핀을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466A (ko) 201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1173C (zh) 具有传动装置的液压提升千斤顶
CN2925683Y (zh) 可移动扩径机
CN106348212B (zh) 油桶搬运车及其油桶翻转抱夹装置
KR101025883B1 (ko) 일방향 이송기구를 이용한 열교환기 조립장치
CN109985942B (zh) 一种数控弯管机柔性抽芯装置
CN107838360A (zh) 自动铆接机
US20160199896A1 (en) Tie bar tensioning system
CN201320569Y (zh) 矫直器
KR101734805B1 (ko) 온수분배기 파이프의 소켓 체결부 성형장치
CN115283953B (zh) 发动机缸盖安装装置及控制方法
CN201046475Y (zh) 新型液压弯管机
KR20040000088A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방법 및 장치
CN206665839U (zh) 新型重型放线架
KR20110048648A (ko) 고압 주증기 배관 플랜지 정렬지그 및 이를 이용한 플랜지 정렬 방법
CN205614593U (zh) 插装阀取出器
CN215544192U (zh) 一种便于更换冲头的汽车配件冲压模具
CN113334305A (zh) 链条快捷拆装装置
CN107686438B (zh) 适于雷管生产的机器人自动卡扣系统
CN208339032U (zh) 一种适用于机械生产的鞋楦
CN111604858A (zh) 一种拆卸轴和轴套的装置及方法
CN209615373U (zh) 一种拆装发动机挺柱的工具
CN215237002U (zh) 一种扇齿和连杆一体化设计的弯管机
CN111993006B (zh) 用于生产扶梯链的隔套装配机构
CN103950001A (zh) 孔用弹性挡圈的夹持装置
CN108480433B (zh) 一种条状物料折弯定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