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640B1 - 회전형 유연성 물질 공급 조립체를 갖는 유연성물질 봉재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유연성 물질 공급 조립체를 갖는 유연성물질 봉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640B1
KR950013640B1 KR1019880005278A KR880005278A KR950013640B1 KR 950013640 B1 KR950013640 B1 KR 950013640B1 KR 1019880005278 A KR1019880005278 A KR 1019880005278A KR 880005278 A KR880005278 A KR 880005278A KR 950013640 B1 KR950013640 B1 KR 950013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assembly
needle
feeder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174A (ko
Inventor
1995년11월13일
비이. 코스테인 윌리암
Original Assignee
더 찰스 스타크 드래퍼 라보라토리 인코포레이티드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찰스 스타크 드래퍼 라보라토리 인코포레이티드,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더 찰스 스타크 드래퍼 라보라토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14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7/00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10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 D05B27/12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rotating continuousl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형 유연성 물질 공급 조립체를 갖는 유연성물질 봉재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 장치의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 장치에서 상부무단벨트를 보인 개략사시도.
제 3a 도와 제 3b도는 제 1 도 장치의 후퇴가능한 벨트의 작동을 보인 개략측면도.
제 4 도는 공급조립체와 제 1 도 장치의 관련부분을 보인 측면도.
제 5 도는 제 1 도 장치의 공급조립체를 일부절개하여 보인 부분사시도.
제 6 도는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조립체에서 바늘에 근접한 벨트의 구동 및 회전을 위한 다른 장치를 보인 개략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봉재기 120, 122 : 벨트
124 : 제어기 140 : 봉재기
150, 152 : 무단벨트 151, 153 : 무단벨트조립체
158 : 지지면 159 : 지지부재
202 : 바늘 202a : 바늘축선
210 : 피이더조립체 212 : 피이더
214 : 커플러 220, 222 : 무단벨트
260 : 피이더프레임부재
본 발명은 유연물질로 된 제품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장치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봉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봉재기는 다수층의 유연직물(또는 물질)로 된 피봉재물의 부분을 곡선을 따라서 결합하여 봉재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대개 이러한 장치는 평면상의 피봉재물의 지지면으로부터 경사진 바늘축선을 따라서 왕복운동하도록 되어있는 바늘을 포함한다.
이 바늘은 피봉재물지지면의 하측에 위치하는 해당 보빈조립체와 협력하여 작동된다. 대부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되는 종래기술의 봉재기에 있어서, 공급장치는 바늘축선과 피봉재물지지면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위치하는 공급축선을 따라서 바늘에 결합될 직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장치는 공급톱니부, 롤링 실린더공급부 및 트랙터공급부(로울러에 감긴 무단벨트를 이용함)을 포함한다. 미국특허 제4,457,243호에 있어서는 결합될 직물이 공급축선을 따라서 바늘을 향하여 전진되는 반면에 바늘조립체가 공급축선에 대하여 횡방향인 축선을 따라서 병진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자유로운 2단 봉재선을 얻을 수 있게 되어있다.
종래 기술의 이러한 모든 봉재시스템을 직성봉재선을 얻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나 예를 들어 의류제품을 얻기 위하여 판상의 직물을 조립하는데 가끔 요구되는 것과 같이 정밀한 만곡봉재선을 얻는 것이 그다지 효과적이지 못하다.
봉재과정에 고도로 정밀한 만곡 봉재선을 따라서 봉재하기 위하여 결합될 직물은 요구된 봉재선의 방향으로 바늘에 공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밀한 만곡봉재선은 봉재헤드와 공급장치에 대하여 결합될 직물을 회전시키거나 결합될 직물에 대하여 봉재헤드와 공급장치를 회전시켜 얻을 수 있다.
미국특허 제4,457,243호에서 재봉기장치의 벨트는 바늘에 피봉재물을 공급하기전에 또는 공급하는 중에 고정된 봉재헤드와 피봉재물지지면에 대하여 피봉재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각기 구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봉재중에 피봉재물의 회전은 이러한 장치에서는 제한된 범위에서만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미국특허 제4,632,046호의 봉재기장치에 있어서는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봉재기헤드가 바늘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반면에 결합될 직물이 고정방향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이러한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비교적 크기가 크고 복잡한 장치를 요구한다.
미국특허 제4,512,269호에는 봉재헤드와 이에 결합된 공급톱니부 조립체가 바늘축선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하고 피봉재물지지면을 포함하여 나머지부분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종래기술의 봉재결합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장치는 봉재헤드에 대한 직물공급각도가 처음 개발된 장치에 비히여 보다 고도로 정밀한 만곡봉재선을 얻기 위하여 조절되어야 하나 피봉재물인 직물에 대한 바늘의 정밀한 제어가 제한된다. 특히 자동봉재에 있어서, 정밀성의 유무에 관계없이 피봉재물을 만곡선을 따라서 봉재할 경우, 바늘의 근처에서 피봉재물의 위치조절은 봉재상태와 봉재선상태에 크게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봉재물인 유연성 직물을 만곡 또는 직선봉재하기 위한 개선된 봉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합될 직물의 고도로 정밀한 바늘제어가 가능한 개선된 봉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적은 피봉재물인 유연성 직물을 품이 넓게 만곡봉재 또는 직선봉재할 수 있는 개선된 자동봉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다수층의 유연성 직물의 부분을 결합하기 위한 봉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봉재장치는 평면상의 피가공물지지면을 포함한다. 또한 이 장치는 기다란 바늘과 지지면의 평면으로부터 경사진 바늘축선을 따라 바늘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착설된 봉재헤드조립체를 포함한다. 바늘은 이 바늘의 선단이 지지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봉재는 피봉재물지지면의 하측에 위치하는 보빈조립체와 협동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 장치는 공급축선방향으로 피봉재물지지면상에 있으며 바늘 축선에 인접한 유연성 직물의 부분을 이송시키기 위한 선택작동형 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공급축선은 공급장치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결합조립체는 공급장치를 봉재헤드조립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켜 공급장치가 바늘축선을 중심으로하여 선택적으로 회전하게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프로그램된 디지탈 컴퓨터의 형태인 제어기는 바늘축선을 따라서 피봉재물을 이송시키도록 작동될 공급장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공급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기는 봉재헤드조립체에 대하여 공급장치의 각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 방향제어기를 포함하므로서 공급축선이 피봉재물지지면상에서 기준축선에 대하여 어떠한 각도로나 조절되어 탄지되게 할 수 있다.
공급장치는 공급장치프레임, 이 프레임에 결합된 무단벨트조립체와, 벨트조립체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 구동모우터와 연결구를 포함한다. 벨트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무단벨트를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벨트조립체는 바늘의 양측에 한쌍의 무단벨트를 포함하며, 각 벨트는 공급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된 회전형 지지부재에 배설되어 있다. 구동모우터는 벨트를 임의로, 즉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벨트는 그 외측부의 최하측면이 기준평면에 놓이고, 기준평면은 통공에 인접한 영역에서 피봉재물지지면의 평면에 대하여 그리고 그 상부측에서 평행하게 되어 있다. 벨트의 외측면부분은 기준평면에 놓여 있고 상호 평행하며 바늘축선의 양쪽에 배치된 각 벨트축선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벨트는 비교적 큰 마찰계수를 가지고 유연한 피봉재물에 결합되는 외측면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어기는 봉재헤드조립체의 바늘측으로 공급되는 피봉재물인 유연성 직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피가공물의 상부층과 접촉하는 벨트의 기다란 부분은 특히 바늘에 근접한 영역에서 상기 피봉재물의 위치를 매우 정밀하게 제어한다. 그 결과로서 피봉재물은 매우 정밀하게 직선봉재 또는 만곡봉재될 수 있다. 또한 피봉재물의 상부층과 하부층의 공급속도를 다르게하므로서 만곡봉재가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봉재영역에 가까운 영역에서 유연성 피봉재물의 위치와 운동을 유지하고 제어하는데 필요한 작업자가 아주 작은 자동제품조립장치에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측벨트부분을 피봉재물지지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경사지게 하거나 봉재시 피봉재물의 자유로운 이동이 허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벨트부분이 상승될 수 있도록 바이어스조립체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기준좌표축선 X, Y 및 Z와 함께 조립(또는 봉재기)장치(110)의 기본구성을 보인 것이다. 이 장치(110)는 두개의 지지테이블(112)(114)과 봉재결합조립체(116)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조립장치(110)는 미국특허 제4,632,046호에 기술된 장치와 유사하며, 이 특허에 기술된 장치의 구성부분에 동일한 조립장치(110)의 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제 1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장치(110)는 미국특허 제 4,632,046호에 기술된 형태 또는 다른 형태처럼 감시장치나 절첩장치는 포함하지 않으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장치들이 결합될 수 있다.
제 1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각 지지테이블(112)(114)은 각각 평면상의 상부면(112a)(114a)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각 지지면(112a)(114a) 또는 이들 두 지지면은 평면이 아닌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지지면은 Y축선에 대하여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한 원통형일 수도 있다.
한 셋트의 평행한 무단벨트(120)(122)가 각 테이블(112)(114)에 착설되어 있다. 각 벨트(120)(122)는 지지면(112a)(114a)중의 하나에 대하여 평행한 위치(폐쇄위치)로부터 이들 지지면중의 하나에 대하여 수직인 위치(개방위치)까지 Y축선에 대하여 각각 평행한 축선(120a)(12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도에서 벨트(120)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벨트(122)는 테이블(114)의 상부면에 대하여 평행한 폐쇄상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봉재조립체(116)는 Y축선을 따라서 직선운동하게 된 봉재기(140)를 포함한다. 또한 봉재조립체(116)는 제 1 세트의 평행한 무단벨트(150)와 제 2 세트의 평행한 무단벨트(152)를 포함하는 맞물린 형태의 벨트조립체를 포함한다. 이들 벨트(150)(152)는 이들의 하측면이 이 하측면과 하측의 피봉재물지지면(158)(지지면 112a 및 114a와 거의 연속되어 있음)사이에 있는 물질을 제어기(124)의 제어하에 마찰구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봉재기(140)는 평면상의 피봉재물지지부재(159)(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지지면 158의 일부를 구성함), 봉재헤드(140a), 지지부재(159)하측의 보빈조립체(도시하지 않았음)와, 관련된 구동조립체(제어기 124의 제어하에 작동함)를 포함한다. 봉재헤드(140a)는 지지부재(159)에 형성된 통공(159a)을 통하여 지나는 바늘축선(202a)을 따라 연장된 바늘(202)을 포함한다. 축선(202a)은 지지부재(159a)을 기준평면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봉재기(140)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봉재결합작동을 위한 보빈조립체에 협동하여 바늘축선(202a)을 따라서 바늘(202)이 선택적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2 도는 봉재기(140)와 함께 개략적인 형태의 벨트조립체(120)(150)(152)(122)를 보이고 있으며, 여기에서 벨트셋트(150)(152)는 3개의 로울러무단벨트와 두 개의 로울러무단벨트의 다른 셋트를 포함한다. 작동시에 제어기(124)는 봉재기(140)의 봉재헤드에 인접한 3개의 로울러벨트사이의 영역에 있게 된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대향된 셋트의 벨트(150)(152)의 단부는 상호인접하게 된다. 벨트는 벨트(150)(152)의 하측면과 상부면(158) 사이에, 측히 바늘축선(202a)에 근접한 영역으로부터 벗어난 영역(즉 후퇴된 벨트의 영역)에서 직물이 팽팽하게 되도록 제어기(124)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면(158)은 각 벨트(150)(152)의 하측에 놓이는 다수의 무단벨트조립체(151)(153)를 포함한다. 상부면을 둘러싸고 있는 평면상부재 및 지지부재(159)와 함께 벨트셋트(151)(153)의 상부면은 지지부재(158)를 형성한다. 벨트셋트(151)(153)도 벨트셋트(150)(152)와 하측 벨트셋트(151)(153)사이에 위치하는 직물의 상하층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기(124)에 의하여 제어된다(이후 제 4 도의 벨트 151a, 153a에 의하여 예시되었음).
예를 들어 벨트는 톱니형 로울러조립체에 감기며, 이는 폴리에스터화이버보강체로 보강된 폭 3/8인치의 톱니형 네오프렌 타이밍벨트이다. 폴리우레탄발포체의 층이 접착제로 다른 벨트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발포체층은 벨트구동시 이에 인접하여 섬유층이 있으므로 벨트에 인접한 물질과 마찰접촉되게 한다. 상측벨트에 있아서, 이 층의 두께는 3/8인치이고 하측벨트에서 이 층의 두께는 1/8인치이다. 이 층이 두꺼우면 두께가 상이한 물질에 대하여 적용성이 증가된다.
제 3a 도는 제 1 상태에서 벨트셋트(150)(152)의 맞물린 두 벨트(150a)(152a)를 보인 것으로, 여기에서 봉재헤드(140a)는 이들 두 벨트 사이에 위치하지 아니한다. 제 3b 도는 봉재헤드(140a)가 두 벨트(150a)(152a) 사이에 있는 제 2 상태에서 이들 맞물린 벨트를 보이고 있다. 제 3a 도와 제3b 도에서 각 벨트(150a)(152a)는 3개의 로울러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로울러(벨트 150a에 대하여서는 제 3a도와 제3b도에서 보인 우측 로울러이고, 벨트 152a에 대하여서는 제 3a도와 제3a도에서 보인 죄측 로울러이다)는 고정되어 있으며, 다른 두 로울러는 각 벨트(151a)((152a)를 위하여 위치가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봉재될 유연성 직물이 벨트셋트(150)(152)와 지지면(158) 사이에 조절되어 위치될 때에 봉재기(140)는 이 봉재기(140)의 Y축선에 대하여 평행한 축선을 따라 후퇴한 벨트에 의하여 확보된 간극을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제어되므로서 선택적인 봉합이 제어기(124)의 제어하에 상기 직물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에 있어서, 벨트조립체는 피봉재물지지면(158)상에서 바늘에 대하여 기준(X)축선을 따라 피봉제물인 다수층의 유연성 직물의 부분을 제어한다. 미국특허 제4,632,04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벨트구동물질공급조립체는 상기한 공급속도(예를 들어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속도)로 다수층의 조립될 물질의 상하층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체화될 실시형태에서 벨트구동물질 공급조립체는 미국툭허 제 4,457.243호와 제 4,632,046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피봉재물의 주요영역, 특히 바늘에 근접한 영역이 아닌 피봉재물의 영역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각각 후퇴가능한 벨트를 포함한다.
또한 조립장치(110)는 바늘에 근접한 직물공급조립체(210)를 포함한다 이 조립체9210)는 제 1 도-제 3b 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 4 도와 제 5 도에서는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조립체(210)는 바늘(302)에 인접하여 둘레에 배치된다. 공급초립체(210)는 피이더(212)와 커플러(214)를 포함한다.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커플러(214)는 봉재기(140)의 봉재헤드(140a)에 회전가능하게(바늘축선 202a에 대하여)연결되어 있다. 피이더(212)는 커플러9214)에 고정되어 있다(그리고 이와함께 화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피이더(212)는 한쌍의 무단벨트(220)(222)를 포함하고 이들의 최하측외면은 피봉제물지지면(158)의 지지부재(159)의 주 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에 놓여 있다. 이들 벨트의 이들 벨트부분과 지지부재(159) 사이에 놓이는 피봉재물의 상부층에 마찰결합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나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벨트(220)(222)를 위한 지지조립체(이후 상세히 기술됨)는 지지면(158)으로부터 이들 벨트부분을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거나 지지면(158)측으로 이들 벨트부분이 경사지게 한다. 벨트(220)(222)가 지지면(158)을 향하여 경사질 때에 이들 벨트는 지지면(158)의 주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공급축선의 방향으로 피봉재물의 상부층의 하측에 놓인 부분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기(124)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이더(212)는 벨트(220)(222) 대신에 예를 들어 단일 벨트 또는 3개 이상의 벨트와 같이 상이한 수효의 무단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피봉재물지지면(158)은 평면상으로 되어 있으나 이 지지면은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벨트물질구동조립체 150 및 151와 벨트물질구동조립체 152 및 153 사이의 간격에 비교되는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 이러한 다른 형태라 하더라도 본문에 사용된 바와 같은 "실제로 평면상"인 작업면의 정의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조립장치(110)는 바늘축선(202a)을 중심으로 커플러(212)(그리고 이에 착설된 피이더 21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바늘축선(202a)을 중심으로하여 충분한 360°범위(R)에서 요구된 방향을 따라서 피봉재물의 상부충 위치를 바늘에 근접하여 제어하기 위해 벨트(220)(222)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기(124)의 제어하에 작동하는 구동모우터와 연결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범위(R)는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회전가능한 봉재헤드와 공급제어에 의하여 봉재될 물질에 대하여 전체봉재기를 회전시킬 필요없이, 또한 봉재기에 대하여 물질을 회전시킬 필요없이 즉 종래기술에서 주로 시도하였던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고도로 정밀한 만곡봉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봉재의 용이성이 또한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봉재의 용이성이 또한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잇점은 봉재기가 자동적으로 제어되고 자동화장치에 관련하여 사용되며 봉재점가까이에서 유연물질의 피봉재물의 위치와 운동을 유지하고 제어하는 작업자가 없는 경우 특히 중요하다.
제 4 도는 조립장치(110)의 부분단면도이다(즉 후퇴가능한 벨트부분을 통하여 상부벨트 물질구동조립체 150 및 152의 단면도이다). 제 4 도에서는 제 1 도-제 3b도의 부분과 일치하는 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제 4도에서 보인 장치(110)의 부분은 상부유연성 직물층(230)과 하부유연성 직물층(232)을 갖는 피봉재물에서 봉재조립의 예를 보인 것이다. 제 4 도에서, 피봉재물지지면(158)은 지지부재(159), 좌측 구동벨트(153a)(벨트물질구동조립체 153의)의 상부면, 우측 구동벨트(151a)(벨트물질구동조립체 151의)의 상부면과 벨트의 이들 상부면을 둘러싸고 있는 고정면(제 4 도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으로 구성된다.
좌측 구동벨트(152a)(벨트물질구동조립체 152의 )와 우측 구동벨트(150a)(벨트물질구동조립체 150의)의 하측면은 피봉재물지지면측으로 탄지되어 있다.
제 4 도의 구성에 있어서, 피이더조립체(212)의 벨트(220)(222)는 피이더프레임부재(260)(이는 커플러 214에 회전되지 않게 결합되어 있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3개 로울러를 한 세트로 한 것의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요구된 봉재가 품이 넓게 되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기(24)(이는 관련구동모우터와 연결구를 포함한다)는 벨트(151a)(152a) 및 (153a)를 구동시켜 이들의 외면이 속도 M에서 화살표(151b)(152b)(153b)방향으로 이동되게하고, 벨트(150a)를 구동시켜 그 외면이 속도 M+E(화살표 150b방향으로)로 이동되게 하며, 벨트(220)(222)(제 4도의 화살표 220a의 방향)를 속도 M과 M+E사이의 요구된 속도로 구동시켜 상부 직물층의 파형부(230a)가 발생되고 품이 넓은 봉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화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벨트(150)-(152)를 구동시키고 상측 벨트(150)(152)중에서 적당한 하나를 동기화시킨 상태에서 후퇴시키는 것을제어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는 미국특허 제4,632,046호에 기술된 것과 동일하다.
피이더조립체(210)의 구체화된 한 형태가 제 5 도에서 사시도(일부는 단면으로 보임)로서 도시하였다. 기본적으로 커플러(214)와 피이더(212)(벨트 220 및 222를 포함하여)를 포함하는 피이더조립체(210)는 또한 봉재기(140)의 봉재헤드(140a)에서 그 하우징의 고정기부부분(240)와 협동한다. 바늘(202)과 이에 관련된 바늘구동부재(203)가 바늘축선을 따라서 기부부재(240)를 통해 연장되어 있다. 이 기부부재(240)는 피이더조립체(210)의 커플러(214)외 피이더(212)를 위한 안정되고 회전되지 않는 "기초물"로서 작용한다. 기부부재(240)의 최하측은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으며 내측으로 연장된 한쌍의 연장편(240a)(240b)을 포함한다.
커플러(214)는 기부부재(240)의 연장핀(240a)(240b) 사이에 배치되는 외향주연 연장편(244a)을 갖는 컵형 하우징(244)을 포함하며 이 컵형 하우징(244)은 기부부재(240)에 대하여 자유로운 슬라이딩회전(축 202a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컵형 하우징(244)의 상측단부에는 내부링기어(248)가 착설되어 있다. 기부부재(240)내의 구동풀리(250)는 축(252)(기부부재 240에 연결됨)과 구동기어(254)에 의하여 링기어(248)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로 벨트(256)가 바늘축선(202a)을 중심으로 하여 컵형 하우징(244)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어기(124)의 제어하에 모우터(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원격구동된다.
피이더(212)는 바늘축선(202a)의 양측에 한 셋트에 벨트지지로울러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재(260)를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레임부재(260)는 바늘축선(202a)의 둘레에 통공(260a)을 포함하며 이를 통하여 바늘(202)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점 무단벨트(220)(222)는 로울러셋트의 하나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므로서 각 벨트의 최하측면은 지지면(158)의 지지부재(159)의 주평면에 실제로 평행하다. 로울러(226a)(226b)(226c)는 벨트(220)를 지지하고 로울러(228a)(도시하지 않았음)(228b)(228c)는 벨트(222)를 지지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이한 벨트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220)는 로울러(226a)(226b)에 의하여 지지된 일측 벨트와 로울러(226b)(226c)에 의하여 지지된 다른 벨트 대신에 한쌍의 2점 무단벨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로울러(226a)(228a)는 중심축(230)으로 연결되어 이들 로울러의 회전운동으로 양벨트(220)(222)가 동시에 운동한다. 로울러(226a)(228a)는 피이더 구동장치에 의하여 제어기(124)의 제어하에 선택적으로 구동될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피이더 구동장치는 제어기(124)에 의하여 구동되고 벨트(270)로 결합된 모우터(도시하지 않았음)를 포함한다.
벨트(270)는 풀리(272), 내부축(274)(내부에 배설되고 축 252에 연결됨). 기어(276), 주 태양기어(278)(컵형 하우징 240의 지지부 244에 연결됨). 기어(280), 축(282)(축선 202a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컵형 하우징 244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축선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컵형 하우징 244에 연결되고 또한 프레임부재 260에 연결됨). 마이터기어(284)와 마이터기어(286)(축 230에 착설됨)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벨트(270)의 운동(제어기 124에 의하여 제어된다.)으로 벨트(220)(222)의 일치된 운동이 이루어진다. 프레임부재(260)의 방향은 축(282)과 봉체(288)(이는 프레임부재 260로부터 연장되고 축선 202a에 평행한 축선의 방향으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에 의하여 컵형 하우징(244)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제 6 도와 제 7 도는 제 5 도에서 보인 장치 대신에 벨트(220)(222)를 구동시키고 프레임부재(26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사용되는 다른 두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높이제어조립체가 축선(202a)의 방향으로 컵형 하우징(244)에 대하여 프레임부재(26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제어기 124의 제어하에). 이 높이 제어조립체는 기부부재(240)에 고정된 한 셋트의 공압작동기를 포함한다. 각 작동기는 이에 관련된 상승봉(축선 202a에 대하여 평행한 축선을 따라서 선형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을 포함한다. 각 상승봉은 컵형 하우징(244)내에 배치된 T-슬로트형 링(290)에 이들의 단부가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5도에서는 하나의 작동기(294)와 이에 관련된 하나의 상승봉(296)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링(290)의 적절한 위치제어를 위하여 적어도 두개의 작동기와 상승봉이 부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높이제어조립체는 기어(280)로부터 연장된 T-형 단면부재(298)를 포함하며, 이 부재(298)의 상측부(299)는 링(290)의 T-형 슬로트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공압작동기는 링(290)의 위치를 제어하고, 이는 기부부재(240)와 피봉재물지지면(158)의 지지부재(159)에 대하여 프레임부재(260)의 위치를 제어한다(부재 298, 기어 289 및 축 282에 의하여). 따라서 제어기(124)는 벨트(220)(222)의 하측면을 이들면과 부재(159)사이에서 피봉재물측을 향하여 탄지되거나 이 비봉재물로부터 상승되도록 선택적 제어한다. 프레임부재(160)의 운동에 있어서 그 충분한 수직운동범위를 통하여 벨트(220)(222)를 적극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태양기어(278)는 축(202a)방향으로 적절한 길이를 가지며 기어(280)가 언제나 이 기어(278)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5 도의 예시된 구성에 있어서, 피이더조립체(210)는 제어기(124)의 제어하에 봉재기(140)의 고정된 봉재헤드(140a)에 대하여 벨트(220)(222)가 충분히 260° 회전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벨트(220)(222)는 피봉재물이 바늘에 근접한 위치에서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하고 바늘(202a)에 대하여 요구된 어떠한 각도에서도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 장치에 있어서 모든 물질 구동벨트의 독립된 제어는 피봉재물을 고도로 제어하여 실제로 품을 넓게하기 위한 어떠한 만곡형태의 본재가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나 주요특성을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형태에 구체화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제한없이 예시적으로만 제시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언급된 설명보다는 차라리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질 것이고, 모든 변경이 청구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다수층의 유연성 직물인 피봉재물의 부분을 결합하기 위한 봉재기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가 실제로 평면상인 피봉재물지지면, 기다란 바늘,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치우쳐 있는 바늘축선을 따라 상기 바늘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바늘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바늘은 상기 지지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왕복운동할 수 있게 된 봉재헤드조립체, 상기 지지면상에서 방향이 고정된 공급축선의 방향으로 상기 바늘축선에 인접한 상기 유연성 직물 피봉재물의 부분을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선택작동가능한 피이더조립체, 상기 봉재헤드조립내에 상기 피이더조립체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게 하고 상기 피이더조립체가 상기 바늘축선을 중심으로하여 선택적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연결조립체와, 상기 피이더조립체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피이더제어수단 및 상기 피이더의 각도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공급축선이 사전에 결정된 범위 R내의 어떠한 각도로 조절가능하게 편중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제어기로 구성되며, 상기 범위 R은 상기 지지면에서 기준축선에 대하여 측정된 각도로 0°보다는 크고, 상기 피이더조립체는 피이더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피이더 프레임부재에 착설된 회전형지지부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무단벨트를 포함하는 무단벨트조립체를 포함하고, 각 벨트는 그 외면부분이 기준평면에 놓이며, 이 기준평면은 상기 지지면에 형성된 통공에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평면상의 피봉재물지지면의 상부에서 이에 평행하고, 상기 각 벨트는 그 축선들이 상기 기준평면에 상호평행하게 놓이며 상기 바늘축선의 양축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제어수단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구동모우터와 이에 관련된 연결구를 포함하며, 이 구동모우터와 연결구는 지지부재에 대하여 각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유연성물질공급 조립체를 갖는 유연성 물질 봉재장치.
  2. 청구범위 2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 비교적 큰 마찰계수로 상기 유연성직물 피봉재물에 접할 수 있게 외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장치.
  3.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이더조립체가 상기 지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벨트의 외면일부를 선택적으로 탄지하기 위한 바이어스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이더제어수단은 상기 바이어스수단을 선택된 탄지정도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장치.
  4.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이 상기 벨트의 외면일부가 상기 지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지되지 위치에 있도록 상기 피이더조립체의 위치를제어하기 위한 제 1 상태에서 작동가능하게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의 외면일부가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거리만큼 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피이더조립체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2상태에서 작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다단계형 후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및 제 2 상태의 한 상태에서 상기 후퇴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장치.
  5.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벨트조립체가 두개의 무단벨트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장치.
KR1019880005278A 1987-05-11 1988-05-06 회전형 유연성 물질 공급 조립체를 갖는 유연성물질 봉재장치 KR950013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048,373 US4719864A (en) 1987-05-11 1987-05-11 Limp material seam joining apparatus with rotatable limp material feed assembly
US048,373 1987-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174A KR880014174A (ko) 1988-12-23
KR950013640B1 true KR950013640B1 (ko) 1995-11-13

Family

ID=2195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278A KR950013640B1 (ko) 1987-05-11 1988-05-06 회전형 유연성 물질 공급 조립체를 갖는 유연성물질 봉재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719864A (ko)
JP (1) JP2646238B2 (ko)
KR (1) KR950013640B1 (ko)
AR (1) AR246563A1 (ko)
AU (1) AU592288B2 (ko)
BR (1) BR8802271A (ko)
CA (1) CA1310863C (ko)
DE (1) DE3816217A1 (ko)
ES (1) ES2008472A6 (ko)
FR (1) FR2615211B1 (ko)
GB (1) GB2204882B (ko)
IT (1) IT1219283B (ko)
MX (1) MX163703B (ko)
SE (1) SE463462B (ko)
ZA (1) ZA8827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25881C2 (de) * 1986-07-31 1995-02-02 Duerkopp Adler Ag Nähautomat mit einem Nähkopf mit Drehgehäuse
US4922842A (en) * 1988-03-02 1990-05-08 Union Special Corporation Hemmer seamer assembly
US4972787A (en) * 1988-03-02 1990-11-27 Union Special Corporation Hemmer seamer assembly
US4836119A (en) * 1988-03-21 1989-06-06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Sperical ball positioning apparatus for seamed limp material article assembly system
US4886006A (en) * 1989-02-21 1989-12-12 Ssmc Inc. Fabric easing drum
DE4037802A1 (de) * 1989-12-27 1991-07-04 Pfaff Ag G M Naehmaschine mit einer drehvorrichtung
US5088430A (en) * 1990-05-15 1992-02-18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Limp material segment coupler for a sewing machine to transport fabric workpieces
US5065684A (en) * 1990-05-15 1991-11-19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Limp material segment transport apparatus for sewing machines
FR2665191B1 (fr) * 1990-07-27 1992-11-20 Rouleau Patrick Dispositif de guidage de tissu et procede de couture automatique.
US5410975A (en) * 1993-12-15 1995-05-02 Ykk Corporation Apparatus for sewing fabric pieces to slide fastener chain
US5461999A (en) * 1994-04-06 1995-10-31 Marcangelo; Steven Edge guiding apparatus for sewing machines
US6415727B1 (en) * 1998-03-09 2002-07-09 Diversified Systems, Inc. Flanging machine
US6123039A (en) * 1999-12-07 2000-09-26 Yugen Kaisha Niiken Kogyosho Endless-belt type walking presser foot
JP4689194B2 (ja) * 2004-06-02 2011-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素子の駆動装置、該駆動装置を用いて構成した光空間伝送装置、レンズ装置
WO2010086795A2 (en) * 2009-01-29 2010-08-05 Lohia Starlinger Limited A fabric pulling mechanism for automated sewing or seam making machines and a method of pulling fabric
US8997670B2 (en) * 2010-03-18 2015-04-07 Wayne J. Book Conveyance system that transports fabric
JP2013198551A (ja) 2012-03-23 2013-10-03 Brother Ind Ltd 上送り装置及びミシン
JP2014008103A (ja) 2012-06-28 2014-01-20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上送り装置
JP2014068893A (ja) * 2012-09-28 2014-04-21 Brother Ind Ltd 上送り装置及びミシン
TWI468568B (zh) * 2013-08-23 2015-01-11 Chee Siang Ind Co Ltd The conveyor of the sewing machine
CN104195749B (zh) * 2014-07-31 2016-04-13 浙江诺之股份有限公司 高档皮衣的缝制方法及其专用缝线工具
CN105088551B (zh) * 2015-08-28 2018-03-09 诸暨市樱之秀服饰有限公司 一种缝纫机旋转压脚
JP2017074269A (ja) * 2015-10-16 2017-04-20 Juki株式会社 ミシン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428C (de) * J. BACK-HAUSS in Gotha Rotations-Nähmaschine
DE73306C (de) * P. HO-MANN in Düsseldorf, Friedrichstr. 33 Cylinder-Nähmaschine
DE310854C (ko) *
DE1114690B (de) * 1959-05-27 1961-10-05 Xaver Fendt & Co Maschinen U S Regulaer-Kettenstich-Naehmaschine
US3650229A (en) * 1969-07-23 1972-03-21 Ivanhoe Research Corp Feed guide for sheet material
US3693561A (en) * 1970-06-05 1972-09-26 Singer Co Automatic edge guide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GB1362055A (en) * 1971-02-27 1974-07-30 Asahi Chemical Ind Method of sewing hair-end meshes for wig making
US4100864A (en) * 1977-01-17 1978-07-18 Usm Corporation Automatic work guidance mechanism
US4457243A (en) * 1982-02-04 1984-07-03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Automated seam joining apparatus
CH657392A5 (de) * 1982-07-13 1986-08-29 Zellweger Ust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ssung der spannung an textilen flaechengebilden auf textilmaschinen, insbesondere webmaschinen.
US4512269A (en) * 1983-07-19 1985-04-23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Automated assembly system for seamed articles
US4632046A (en) * 1984-03-08 1986-12-30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Assembly system for seamed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15211B1 (fr) 1991-04-05
GB2204882A (en) 1988-11-23
US4719864A (en) 1988-01-19
IT1219283B (it) 1990-05-03
JP2646238B2 (ja) 1997-08-27
MX163703B (es) 1992-06-15
JPS6440087A (en) 1989-02-10
BR8802271A (pt) 1988-12-06
GB8810940D0 (en) 1988-06-15
ES2008472A6 (es) 1989-07-16
KR880014174A (ko) 1988-12-23
CA1310863C (en) 1992-12-01
SE8801664D0 (sv) 1988-05-03
IT8867430A0 (it) 1988-05-10
SE463462B (sv) 1990-11-26
DE3816217A1 (de) 1988-12-15
SE8801664L (sv) 1988-11-12
AR246563A1 (es) 1994-08-31
AU1467688A (en) 1988-11-17
AU592288B2 (en) 1990-01-04
GB2204882B (en) 1991-02-06
FR2615211A1 (fr) 1988-11-18
ZA882729B (en) 198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3640B1 (ko) 회전형 유연성 물질 공급 조립체를 갖는 유연성물질 봉재장치
JP2552104B2 (ja) 柔撓織物を縫合するための織物縫合装置
US4457243A (en) Automated seam joining apparatus
EP1709230B1 (en) Automatic multi-function multi-needle sewingmachine and relative sewing method
US4688499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abricating textile articles such as bath throw rugs and the like
JP2007289586A (ja) 玉縁縫いミシン
US11015274B2 (en) Quilting machine
US20210363678A1 (en) Quilted Panel
CN1044270C (zh) 毛毯的缝制方法
US11015275B2 (en) Method of quilting layered input web
US7516710B2 (en) Apparatus for automated shade manufacturing
KR910001941B1 (ko) 자동화된 봉재장치
JPH01192385A (ja) タオル縫製機
KR900002712B1 (ko) 유연한 직물의 재봉방법 및 그 장치
KR200466197Y1 (ko) 패턴 재봉기의 x-y 이송 구동장치
CN1223313A (zh) 毛毯的缝制装置
CH673293A5 (ko)
US4641593A (en) Zigzag and transport device for sewing machines
KR950014814B1 (ko) 농산물 포장용 마대 제조기
JPS6242065B2 (ko)
JPH026552B2 (ko)
JPH0667428B2 (ja) 縫製装置
JPS61284286A (ja) ミシンにおける帯状スパンコールの縫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