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712B1 - 유연한 직물의 재봉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유연한 직물의 재봉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712B1
KR900002712B1 KR1019860700174A KR860700174A KR900002712B1 KR 900002712 B1 KR900002712 B1 KR 900002712B1 KR 1019860700174 A KR1019860700174 A KR 1019860700174A KR 860700174 A KR860700174 A KR 860700174A KR 900002712 B1 KR900002712 B1 KR 900002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iece
edge
roller
sewing machin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70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700275A (ko
Inventor
데이비드 마티아스 안소니
Original Assignee
퍼씨픽 던롭 리미티드
존 캠벨 레니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씨픽 던롭 리미티드, 존 캠벨 레니에 filed Critical 퍼씨픽 던롭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6070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70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D05B33/02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and connected, for synchronous operation, with the work-feeding devices of the sewing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9/00Use of special materials
    • D05D2209/04Use of special materials with high friction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9/00Use of special materials
    • D05D2209/06Use of special materials with low fric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연한 직물의 재봉방법 및 그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송부재를 상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 1a 도는 이송부재에 위치한 여성팬티에 대한 직물블랭크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제 2 도는 이송부재를 재봉기헤드를 통해 공급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제 3 도는 직물 블랭크에 대해 몇개의 재봉동작을 수행함에 있어 이송부재와 함께 이용되는 컨베이어스스템의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제 4 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본 발명의 부속장치와 협동하는 종래 재봉기의 측면도이다.
제 5 도는 제 4 도의 5-5선 위에서본 상면도.
제 6 도는 제 4 도 장치의 5-5선 아래부분의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유연성 직물의 제조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세하게는 재봉작동을 수행하는 동안 그 직물을 처리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직물로써 의류를 제조하는 것은 주로 재봉기에 직물을 공급시키는 기계적 수단의 결핍과 특히 재봉작동이 선형 경로를 따르지 않을 경우엔 상당히 노동 집약적인 공정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소정의 위치에서 작업이 수행되는 여러 작업위치로 직물편을 효과적으로 이송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직물편을 편평한 상태로 붙잡아 가장자리 부분이 드러나도록 하고, 직물편을 잡고있는 상태에서 직물편을 이동시켜 상기한 가장자리 부분이 재봉기헤드 통과하도록하며, 그리고 상기 이동시 상기 가장자리 부분을 편평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직물편의 가장자리 모서리를 따라 재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편리하게도, 직물편은 고정 저마찰면과 가동 고마찰면 사이에 물려지므로 저마찰면에 대한 고마찰면의 이동은 직물편을 편평한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저마찰면을 지나 미끄러지게 한다. 직물편은 높은 마찰면에 의해, 그 마찰면 면적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또는 선택적인 여러위치에서 고정된다. 이 위치는, 고마찰면이 이동하여 직물편이 재봉기 헤드를 통과할 경우, 적어도 직물편의 상기 가장자리부가 평평하게 유지되도록 선택한다.
직물편의 가장자리부는 재봉기 헤드를 통과하는 선형진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직물편의 이동평면에 윤곽진 어떤 소정의 진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직선의 재봉선이 가장자리부에 가해진다.
본 발명에 또한, 가장자리부를 따라 재봉할 경우 재봉기와 함께 사용하는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안내 장치는, 재봉기 헤드의 재봉면과 거의 동일한 평면을 갖는 재봉기 헤드 주위에 위치하는 대체적으로 평탄한면, 상기 면에 평탄한 상태로 놓여있는 직물편을 잡아주는 이송부재, 직물편이 편평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평탄면에 애해 직물편이 미끄러지도록 이송부재를 이동시키는 수단 및 직물편의 가장자리부가 재봉기 헤드를 통과하도록 이송부재의 상기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평탄면은 저마찰성을 갖도록하고 또한 이송부재는 고마찰면을 갖거나 직물편을 마찰력으로 물리도록한 표면을 갖도록하여 직물편이 저마찰 평탄면을 따라 미끄러질대 평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송부재는, 재봉기 헤드를 통과하는 직물편의 소정의 진로에 따라 이루어진 형상의 트랙부를 그이송부 재상에 갖도록하면 좋다. 구동수단은 상기 트랙부와 함께 작동하도록하여 직물편이 재봉기 헤드를 통과하도록 이동시킨다. 구동수단은 직물편의 이동이 재봉기헤드의 재봉속도와 동일하게 되도록 작동한다.
가급적 이송부재는 높은 마찰력을 갖는 물질로 피복된 한 면을 가지는 평탄형 부재로 한다. 평판부재는 마찰물질과 함께 직물편의 상부에 놓여 직물편과 접촉하고 이 직물편은 순차적으로 저 마찰면위에 편평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송부재의 중량, 및 마찰물질의 성질은 직물편과 충분한 마찰물림을 형성시키는 것으로서, 이송부재가 저마찰면위를 미끄러질대 직물련은 평평한 상태로 유지되어 진행된다.
평판 외주의 직물편상에의 배치는 직물편의 가장자리부가 이송부재의 주변 테두리에서 신장하게끔 배치시켜서, 재봉기 헤드를 통과할때 재봉작업이 그 가장자리부에 수행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직물편의 가장자리부가 돌출하는, 평판의 주변 테두리근처에 트랙부가 놓이도록한다. 트랙부는 직물이 재봉기 헤드를 통과할때 직물의 가장자리부의 소정 경로에 부응하는 형상으로 만든다.
이송부재에는 하나이상의 트랙부가 있을수 있는데, 직물편의 각각의 가장자리부는 각 트랙부와 결합된 이송부재의 주변 테두리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따라서 각 트랙부는 직물편의 각각의 부분에 대해 몇개의 독립적인 재봉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구동수단과 상호 협동되게끔 되어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직물편을 이송하는 장치와 방법을 다음의 1 실시예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한 상세한 기술로부터 더욱 알기쉽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제 1 도에 대해 언급하자면, 제 1 도는 고마찰 물질로 피복된 하부면(12)을 가지는 전체적으로 평탄한 평판(11)으로 구성된 이송부재(10)의 사시도이다. 이 특수한 이송부재는 팬티, 상세하게는 여성팬티를 제조하는데 이용된 직물 블랭크(9:제 1a도)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안되었다. 따라서 평판(11)은 팬티용 직물 블랭크(9)의 형상에 상응하는 전체적으로 양쪽 가운데가 둥글게 오목한 레일단면 형상의 것이다.
평판(11)의 양 맞은편의 만곡 테두리(13)는 가공된 팬티의 다리구멍을 이루는 블랭크의 가장자리부(8)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되어있다. 이하의 설명은, 재봉기 헤드를 통해 직물 블랭크의 두 가장자리부(8)에 탄력적으로 밴드를 설치하기위해 직물편을 이송 이송부재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그리고 이 두 가장자리부(8)는 가공의류에 있어 다리구멍(다리가 들어가는 개구)을 형성시킨다. 평판(11)의 넓이는 직물편의 가장자리부(8)가 두만곡 테두리부(13)각각을 넘어 튀어나올 정도로 하며, 제 2 도에서 알수있는 바와같이, 직물블랭크(9)의 해당부분에 탄력적인 밴드를 가할 수 있도록 노출된다.
마찰 피복물이 가해지느 그 맞은편에는 평판(11)의 각 만곡테두리(13)의 윤곽을 따라 그리고 평판(11)의 면적 밖으로 돌기하는, 양단에 신장부(15a15b)를 갖는 두개의 트랙부재(15)가 평판(11)의 상부평면에서 솟아 올라와 있다. 이 트랙부재(15)의 안쪽면(16)도 역시 차후에 기술되는 이유로 한 층의 고마찰물질을 가진다.
또한 평판(11)의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솟아있는 것은 2개의 간적진 핀(17)으로서, 이하 기술하는 바와같이 재봉헤드에 이송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송부재(10)의 이송 및 회전시키는데 이용된다.
각 재봉기 헤드와 결합되는 것은, 제 2 도에서 도해저그로 묘사된 바와같은, 연속되는 3개의 로울러(20,21및 22)이며 이들 각 로울러는 재봉헤드의 니들(23)왕복선에 평행한 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게끔 설치된다. 로울러(21)과 (22)는 자유롭게 회전되며 로울러(20)은 적당한 모우터에 의해 구동된다. 자유회전로울러(22)는 재봉헤드에 대해 고정적인 성분에 피봇선회가능하게 지지된 아암(24)에 장착되며, 아암 역시 작동하는 실린더(25)에 결합되어 있다.
로울러들을 위에서 각각 지지되도록하여 평판(11)이 로울러밑에 자유롭게 통과하도록하며, 트랙부(15)를 고정시킨다. 이 위치에서, 구동로울러(20)의 회전은 트랙부(15)를 로울러 조립체를 통해 이송시키며, 아울러서 평판(11)을 재봉기 헤드의 밑으로 이송시킨다. 제 2 도에서 알수있는 바와같이, 트랙부(15)의 하나가 로울러(20,21 및 22)에 대한 작동위치에 있을때, 평판(11)의 만곡테두리(13)를 지나 돌출하는 직물의 가장자리부(8)는 재봉 니들(23) 밑에 위치하게 된다. 로울러(20)는 트랙부(15)를 전진 이송시켜 직물의 가장자리부(8)쪽이 재봉니들밑을 통과하도록하며, 재봉작동은 이곳에서 정상적으로 수행된다.
재봉기의 재봉헤드는 그와함께 연결되어 있는 확장된 평탄표면(29)을 가지는데, 이 평탄표면(29)은 재봉기의 바늘과 이송장치 주변의 전면적을 포함하고, 또한 직물편이 로울러(20,21 및 22)의 조립체로 이송되어 이 조립체를 통과할 경우 직물편을 충분히 지지할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서 충분히 넓게한다. 평탄표면(29)은 실질적으로 편평하며, 또한 상표면 LAMINEX 및 FORMICA로 판매되는 것과 같은 각종의 잘 알려진 적층(laminate)표면을 갖는 마찰성이 작은 상면을 갖는다.
평판(11)의 중량 및 그에 수반된 트랙부(15), 그리고 하면상에의 마찰 피복물의 마찰특성으로 인하여, 평판(11)이 표면(29)상에 평탄한 상태로 놓여있는 직물 블랭크(9)에 위치했을때, 평탄표면(29)위의 평판(11)의 운동은 직물편이 평판(11)과 함께 운반되게끔 하며, 또한 직물편이 표면(29)위를 미끄러질때 평탄한 상태로 유지되게끔 한다.
평판(11)이 구동로울러의 작동으로 인하여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랙부재(15)가 로울러 조립체를 통해 이송되어질때 평판상에 추가로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는 수단을 설치하면 좋다. 이에 대한 예를들면 아암을 상하승강 작동하도록 설치하여, 평판(11)상에의 트랙부(15)의 상호 동작에 의해 평판(11)이 대략 180°의 원호이상으로 뻗어있고, 평판(11)이 하나의 재봉기 헤드를 통과하기 때문에, 그에 의해 발생되는 운동은 로울러 조립체와 트랙부(15)의 상호 동작에 의해 평판(11)이 대략 180°까지 회전되어진다. 이와같은 회전위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평판(11)을 비슷한 제 2의 로울러 조립체를 가지느 제 2의 재봉헤드에 연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위치에 놓이게 한다. 이 제 2의 로울러 조립체는 평판(11)상에의 다른 트랙부(15)와 상호 동작하여, 직물 블랭크는 다른 재봉기헤드를 통과하면서 직물블랭크의 테두리를 이루는 반대편 다리구멍에 탄성밴드가 가해진다.
적당한 컨베이어나 기타 다른 동작을 야기하는 수단을 핀(17)으로 결합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이송부재(10)와 함께 작동되게 설치하여 이송부재(10)에 소정의 운동을 주면 각각의 트랙부(15)가 각각의 로울러 조립체(20)와 상호작동 되도록 한다. 이송부재외 물림 관계로 있으면서, 하나 이상의 동작이 동일한 직물 블랭크에 대해 수행되어지는 곳에는 상기한 바와같은 다수의 컨베이어를 설치한다.
제 3 도에 대해 설명하자면, 제 1 컨베이어(30)는 제 1 재봉기헤드(31)에 이송부재(10)를 보내기 위해 설치하여, 제 2 컨베이어(32)는 제 1 재봉기헤드(31)로부터 이송부재가 옮겨온후 이 이송부재와 협동하여 이 부재를 제 2 재봉기헤드(33)로 보내어서 직물편의 다른 단면에 또 다른 적업을 수행토록 한다. 제 3 컨베이어(35)는 이송부재(10)를, 제 2 재봉기에서 직물이 이송부재(10)의 마찰면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로 운반시키도록 설치한다.
각 컨베이어는 제 3 도에서 도면부호(40)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이송부재(10)의 핀(17)과 협동하는 2개의 종속봉(40)을 포함한다. 이 봉 (40)들은 하부단에서 제 1 도의 핀(17)을 받아들이고 조이기위해 콜렛을 수반한다.
이 봉(40)들은 이송부재(10)에 대하여 상하운동을 하기위해, 적적한 공기압 시린더 같은 것이 설치된다. 봉(40)은 하강되어 핀 (17)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컨베이어는 이송부재와 지지면 상에의 직물블랭크를 미끄러뜨리면 전진시킨다. 이송부재(10)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했을때 콜렛은 핀(17)과 해제되고, 봉(40)들은 이송부재(10)에 대해 물러나도록 상승한다.
귀환 컨베이어 시스템(36)은 직물편이 분리되는 지점에서 이송부재를 취하여 또 다른 직물편과 조립되는 지점으로 이송부재를 후퇴시켜, 본 작동을 반복수행토록 설치한다. 이송부재에 대하여 작동하는 여러 컨베이어는 이송부재의 위치에 따라 응답하는 적절한 센서에 의해 조정된다.
또 다른 직물편을 수납하기 위해 이송부재를 귀환시키는 컨베이어시스텐(36)에 이송지점(37)을 주어, 이송부재(10)가 하나의 컨베이어(36a)로부터 고정 지지물(38)을 지나며 또한 그 지지물(38)에서 제 2 컨베이어(36b)가 연속적으로 모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배치는 재봉기 헤드를 통과한 후 직물을 내려놓은 다음, 직물편을 찝어올리는 작동이 정밀한 시간관계로 이루어질 필요가 없다고 하는 잇점을 가지는데, 그 이유는 이송부재를 다음 직물편상에 놓이도록 하기위해 이동 시키기 전까진 상당한 시간동안 이송된 위치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제 4 도, 5 도 및 6 도를 보면, 재봉기를 통해 이송수단의 작동을 달성하는 로울러의 배치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장치는 종래 형식의 산업적인 재봉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볼트-온(bolt-on)구조로 되어 있어 상당히 변형이 적은 산업적 이용에 가장 적당한 재봉기라고 본다.
제 4 도에서, 재봉기(50)의 몸체는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였으며, 그 몸체는 돌출아암(51)을 가지며 여기에서 바늘(52)이 돌출하여 그 밑을 통과하는 직물편에 대해 재봉동작을 수행한다. 직물편은 재봉기의 베드(54)상에 평탄한 상태로 놓여있다. 재봉기(50)의 구조는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감속기어박스(55)는 재봉기몸체(50)상에 설착되는데 이것은 풀리를 수반하는 입력축(56)과 출력축(58)을 가지고 있다. 비록 별도의 모우터가 제공되는 것도 있으나, 풀리는 벨트로써 종래의 재봉기의 구동장치에 연결된다. 구동축(59)은 각 단부에서 유니버살조인트(60 및 61)를 가지며, 출력축(58)을 수직 구동기어박스(63)의 입력축(62)에 연결시킨다.
본체판(65)이 볼트(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재봉기의 몸체(50)에 견고하게 고착되며, 브라켓트(66)를 통해 기어박스(63)을 지지한다. 수직축(67)이 (68)에서 기어박스 (63)의 출력축(69)에 결합되며 또한 그 하부단에는 구동로울러(70)를 가지고 있다. 축(67)은 본체판(65)에 부착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데, 제 4 도에서는 (64)로 도시한 하나의 베어링이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으나 하단부에 있다.
로울러(70)는 제 2 도에서 앞서 설명한 구동로울러(20)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그 외주면은 고마찰 물질로 피복되어 있다. 축(67)의 축선은 바늘(52)의 왕복축선에 평행하며, 또한 고정적인 간격으로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이 간격은 평판(11)의 테두리(13)로부터 안족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트랙부(15)의 간격과 또한 직물 블래ㅊ크의 가장자리부(8)가 테두리(13)이상으로 독출하는 정도에 관계된다. 바늘(52)은 물론 평판(11)의 테두리(13)와 간격을 가지고 있어야하며, 트랙부(15)가 로울러(70)와 결합하여 구동하고 있을때 직물 불랭크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동작하여야 한다. 이에대한 관계는 제 4 도에 예측할수 있다.
제 5 도 및 6 도에서 가장 잘 알수있는 바와같이, 고정된 안내로울러(71) (제 2 도의 로울러(21)에 해당함)는 본체판(65)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브라켓트(75)에 매달려 있다. 로울러(71)는 브라켓트(75)에 부착된 핀(76)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제 5 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로울러(70)와 로울러(71)의 측방향 변위는 트랙부(15)를 제 5 도의 우측으로부터의 로울러등(70, 71)에 적절한 간극으로써 도입토록 함으로써 정확한 중심위치에서 트랙부(15)의 동작상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한다. 로울러(70 및 71)간의 트랙부(15)의 도입을 보조하기 위해 가이드(81)를 브라켓트(75)로부터 늘어뜨리고, 그리고 로울러(71)에 접근하는 트랙부(15)의 단부에 만곡면을 주어 로울러(70 및 71)간에 트랙부가 바로 들어가게 한다.
제 2 도의 로울러(22)에 상응하는 로울러(72)는 핀(79)과 아암(80)으로 벨-크랭크를 형성하는 아암(78)의 자유단에 매달려 있다. 핀(70)은 본체판(65)에 부착된 베어링 블록(8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78)은 핀(79)의 하부단에 부착되고 다른 아암(80)은 핀의 상부단에 부착된다. 공기압 실린더(85)는 아암(80)의 타단 및 본체판(65)에 부착된 브라켓트(83) 간에 연결된다. 제 5 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로울러(72)의 로울러(70)쪽에서부터의 측방향으로의 변위는 공기압 실린더(85)의 동작에 의하여 변화된다.
트랙부(15)의 단부가 로울러조립체(70, 71, 72)내로 공급되어지는 동작에 있어, 로울러(72)가 실질적으로 제 5 도의 점선변위로 나타난 바와같이, 로울러(70)쪽에서 떨어지도록 공기압 실린더(85)는 수축된다. 트랙부(15)가 로울러조립체(70, 71, 72)에 도입되어 로울러(72)를 지나도록 신장이 이루어진후엔 실린더(85)는 제 5 도에 도시되어진 바와같이 로울러(72)가 로울러(70)에 더 가까이 신장하여서 트랙부(15)를 구속하도록 한다.
로울러(72)의 이와같은 이동은 로울러(70)의 회전에 의해 트랙부(15)가 로울러 조립체를 지나 전진할 수 있도록 트랙부(15)와 로울러(70)간의 가압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트랙부의 길이를 따라 변화되는 윤곽을 가지며, 실린더(85)내의 공기압 성질은 로울러(72)의 측방향이동을 허용하므로 로울러(70)와 트랙부(15)간의 구동접촉의 손실없이 윤곽에 따른 변화를 받아들일수 있게된다.
이송부재(10)의 평판(11)의 로울러 밑에서 자유롭게 통과되도록 하기위해 로울러(70)아래에 틈새를 제공하여야 할 필요가 있고, 또한 평판(11)의 어떠한 상승은 슬라이딩면 상에의 평판(11)과 직물편의 접촉손실을 야기하므로 평판(11)상을 아래로 눌러 유지해주는 힘을 주어야 한다. 평판이 상승되려는 경향은 로울러 축선의 미소기울기에 의해 로울러들의 한 표면이 불규칙적으로 되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경향에 대응하기위해 수평 로울러(90)가 제공되는데, 이 수평 로울러는(92)위치에서 본 체판(65)에 피봇식으로 부착된 아암(91)에 설치된다. 로울러(90)의 승, 하강조정을 위해 아암(91)과 본체판(65)사이에 공기압 실린더(93)를 연결한다. 로울러(90)는 로울러(70) 및 (71)간의 위치에서 로울러 조립체를 지나 트랙부(15)의 경로를 가로질러 뻗어있다. 공기압 실린더(93)는 트랙부(15)가 로울러 조립체(70, 71, 72)에 들어갈때 로울러(90)를 상승시키기위해 수축되며 또한, 로울러(72)는 트랙부를 로울러(70)와 접촉 구동상태로 하여 움직여질때 트랙부의 상면부를 구속하기 위해 하강된다. 로울러(72 및 90)는 트랙부(15)가 로울러 조립체를 지나 통과를 완료했을때 그들의 각각 비작동 위치로 이동된다.
상술한 명세서 전체를 통해 언급한 것은 직물편이 재봉기 헤드를 통과해서 재봉 동작이 그곳에서 수행되는 것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물편에 대해 다른 형식의 작동을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은 평탄한 상태로 직물편을 고정, 이송시키기 때문에 직물편의 부분에 대해 어떠한 필요동작도 수행할 수 있게되며, 또한 작동이 반드시 재봉 동작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팬티용의 유연한 직물편 블랭크(9)의 대향하는 두다리부분 가장자리부(8)를 재봉하는 장치는 ; 한쌍의 간격진 재봉기헤드(31, 33), 상기 재봉기 헤드(31, 33)와 함께 작업하는 편평한 저마찰 지지면(29), 상기 저마찰면(29)상에 놓여있는 상기 블랭크(9)를 마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높은 마찰면(12)을 갖는 이송부재(10)와 작업시 이송부재(10)가 블랭크(9)를 물고있는 상태에선, 상기 가장자리부(8)와 간격을 두고 나란히 전개되며 또한, 상기 이송부재(10)의 외주 밖으로 튀어나오는 도입부(15a, 15b)를 갖는, 이송부재외면에 수직으로 마주 설치한 한쌍의 트랙(15), 각각의 재봉기헤드(31, 33)와 연관되어 있는 구동로울러(20, 70)와 전동로울러(21, 72 ; 22, 72)조립체, 그리고 상기한 하나의 트랙(15)도입부(15a, 15b)를 구동 및 전동로울러(20-22, 70-72)사이에 넣기위해 상기 지지면(29)을 따라 상기한 이송부재를 이동시키는 수단(30)을 가지고 ; 하나의 재봉기 헤드(37)가 블랭크(9)의 해당 돌출 가장자리부(8)위를 재봉작업할때, 상기 이송부재(10)를 180°로 회전시켜 대향하는 다른 트랙(15)의 도입부(15a, 15b)를 제 2 재봉기헤드(33)의 구동 및 전동로울러(20-22, 70-22)사이로 도입되도록 하여, 블랭크(9)의 맞은편 가장자리부(8)를 재봉 작업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고마찰면 구역은 상기 가장자리부(8)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노출된 가장자리부(8)의 경계를 이루는 구역에서 직물편이 마찰적으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트랙수단(15)의 외형의 단부(15a, 15b)는 도입부(15a)와 돛루부(15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로울러 조립체(20, 21, 22)는 트랙수단(15)과 협동하도록 배치된 세개의 로울러(20, 21, 22)를 포함하며, 그중 한 로울러(20)는 트랙수단(15)의 한쪽면과 맞물리고 다른 두 로울러(21, 22)들은 상기한 한 로울러(20)에 대해 좌우측으로 간격진 각각의 위치에서 트랙수단(15)의 반대면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로울러들(20, 21, 22)은 트랙수단(15)과 협동하여 직물편(9)의 가장자리부(8)가 재봉기 니들(23)조립체 경로를 통과하도록 안내하며, 니들(23)조립체는 상기한 하나의 로울러(20)와 인접한 위치에서 가장자리부(8)를 작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트랙(15)은 구동로울러(20, 70)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각각 높은 마찰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트랙 측면이 로울러 조립체(20, 70 ; 21, 22 ; 22, 72)를 통해 송입되는 동안, 평판(11)에 대해 위에서 아래로 내려 누르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이송부재(10)는 편평한 판으로 이루어지며, 고마찰면(12)은 평판(11)의 고마찰제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로울러 조립체(20, 21, 22)는 트랙수단(15)과 협동하도록 배치된 세개의 로울러들(20, 21, 22)을 포함하며 그중 한 로울러(20)는 트랙수단(15)의 한면과 맞물리고 다른 두 로울러들(21, 22)은 상기한 한 로울러(20)에 대해 좌우측으로 간격진 각각의 위치에서 트랙수단(15)의 반대면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로울러들(20, 21, 22)은 트랙수단(15)과 협동하여 직물편의 가장자리부(8)가 재봉기니들 조립체경로를 통과하도록 안내하며, 니들 조립체(23)는 상기한 하나의 로울러(20)와 인접한 위치에서 가장 자리부(8)를 작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유연한 직물편의 가장자리부(8)테두리가 비선형인곳에 재봉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마찰면(29)에 편평한 상태로 직물편(9)을 유지시키는 단계, 가장자리부(8)의 최소한 일부가 노출될 수있도록 가장 자리부 경계를 따라 직물편의 노출면을 마찰적으로 맞물리도록 하는 단계, 가장자리부(8)를 편평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저마찰면(29)를 따라 미끄럼 동작으로서, 상기 마찰적으로 맞물려진 직물편 부분을 이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동시, 보조적으로 비선형형상을 따라 재봉기 헤드(31, 32)를 지나도록 상기 가장자리부(8)를 통과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출면은 면의 적어도 일부가 고마찰재이거나 코팅 처리한,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진 평판부재(11)를 갖는 이송부재(10)에 의해 마찰적으로 맞물려지고, 트랙수단(15)은 상기 평판부재(11)에 고정되며, 직물편의 마찰접촉면 부분은, 하나 이상의 구동로울러(20, 21, 22)를 가지고 재봉기 헤드와(31, 32)연관되어 있으며 트랙수단(15)과 접촉하도록 설치한 수단(30)에 의해, 이송부재(10)의 미끄럼운동으로서 상기한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직물편의 재봉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직물편(9)의 두 가장자리부(8)는 노출되며, 노출된 각각의 가장자리부(8)는 그의 경계를 따라 고정되면서 순차적으로 재봉기 헤드(31, 32)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가장자리부(8)는 직물편(9)의 대향하는 테두리에 있으며, 직물편은 제1 및 제 2 재봉기헤드(31, 33)로 들어가는 사이에 약 180°회전되며, 또한 직물편은 상기 회전시 저마찰면(29)상에 편평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60700174A 1984-07-26 1985-07-25 유연한 직물의 재봉방법 및 그 장치 KR900002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G623884 1984-07-26
AUPG6238/84 1984-07-26
PCT/AU1985/000175 WO1986000944A1 (en) 1984-07-26 1985-07-25 Transport and guide for sewing limp fabr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700275A KR860700275A (ko) 1986-08-01
KR900002712B1 true KR900002712B1 (ko) 1990-04-23

Family

ID=377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700174A KR900002712B1 (ko) 1984-07-26 1985-07-25 유연한 직물의 재봉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686916A (ko)
EP (1) EP0190229B1 (ko)
JP (1) JP2608876B2 (ko)
KR (1) KR900002712B1 (ko)
AT (1) ATE42778T1 (ko)
BR (1) BR8506837A (ko)
CA (1) CA1256322A (ko)
DE (1) DE3569946D1 (ko)
MY (1) MY101102A (ko)
SU (1) SU1646490A3 (ko)
WO (1) WO19860009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G18225A (en) * 1986-12-30 1992-09-30 Pacifique Dunlop Limited Improvement in or relating to the handling of limp fabric
US5102288A (en) * 1990-10-12 1992-04-07 Touhaku Co., Ltd. Work table for pattern matching
US5501163A (en) * 1991-11-21 1996-03-26 Zks-Stickmaschinen Gesellschat Mit Beschrankter Haftung System for holding a tubular workpiece in an embroidery machine
EP3455400A1 (en) 2016-05-13 2019-03-20 Derim S.r.l. Sew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60491A (en) * 1958-06-17 1961-02-08 Trubenised Gt Britain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ewing machines
FR1350357A (fr) * 1962-04-04 1964-01-24 Necchi Spa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appareils permettant l'exécution de coutures profilées
FR1351132A (fr) * 1962-04-11 1964-01-31 Necchi Spa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dispositifs pour coudre des applications
US3448705A (en) * 1965-03-03 1969-06-10 Ivanhoe Research Corp Automatic sewing method and apparatus
US3358626A (en) * 1965-10-23 1967-12-19 Ivanhoe Res Corp Automatic sewing machine system
GB1239980A (en) * 1967-08-08 1971-07-21 Ivanhoe Res Corp Feed guide for sheet material
DE2113906A1 (de) * 1970-03-25 1971-10-14 Ivanhoe Res Corp Naehmaschine
AU469833B2 (en) * 1971-05-18 1976-02-26 Hulton Webber Edwar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automatic control of a workpiece under the needle of a sewing machine
DE2153042C3 (de) * 1971-10-25 1975-10-09 Duerkoppwerke Gmbh, 4800 Bielefeld Langnahtnäheinrichtung mit Beschickungsvorrichtung
JPS5317936Y2 (ko) * 1972-02-01 1978-05-13
US3741140A (en) * 1972-03-27 1973-06-26 Usm Corp Pattern controlled feed mechanism
FR2215071A5 (en) * 1973-01-22 1974-08-19 Deltour Bernard Drive arrangement for flat, e.g. textile sheet - comprises former held on sheet and moved by clamp mechanism
FR2282010A1 (fr) * 1974-08-12 1976-03-12 Union Special Corp Machine a coudre automatique
US3970017A (en) * 1974-11-11 1976-07-20 Usm Corporation Fabric edge finishing machines
IT1034191B (it) * 1975-03-12 1979-09-10 Rockwell Rimoldi Spa Guida del lavoro per macchine per cucire
JPS6022435B2 (ja) * 1977-06-15 1985-06-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連想記憶装置の誤動作検出方式
IL66381A0 (en) * 1982-07-23 1982-11-30 Beta Eng & Dev Ltd Automatic sewing apparatus
DE3411177C2 (de) * 1983-10-08 1986-06-12 Kochs Adler Ag, 4800 Bielefeld Nähautomat mit einem Nähkopf mit Drehgehä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86000944A1 (en) 1986-02-13
JPS61502802A (ja) 1986-12-04
SU1646490A3 (ru) 1991-04-30
KR860700275A (ko) 1986-08-01
BR8506837A (pt) 1986-11-25
DE3569946D1 (en) 1989-06-08
EP0190229B1 (en) 1989-05-03
CA1256322A (en) 1989-06-27
US4686916A (en) 1987-08-18
EP0190229A4 (en) 1986-11-27
EP0190229A1 (en) 1986-08-13
ATE42778T1 (de) 1989-05-15
JP2608876B2 (ja) 1997-05-14
MY101102A (en) 199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6238B2 (ja) 多層柔撓布地加工物を縫い合わせるための縫製機
US3589320A (en) Pocket blank sewing machine
US4362077A (en) Apparatus for working on sheet material and having magnetic holddown means
JPH02286190A (ja) ミシン用布送り装置
KR900004456A (ko) 샌딩 방법 및 장치
KR900002712B1 (ko) 유연한 직물의 재봉방법 및 그 장치
GB1169838A (en) Improvements in Conveying Apparatus for Feeding Work Pieces to be Sewn
GB12541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tching a succession of fabric workpieces
US3434439A (en) Material stitching and guiding apparatus
US4173191A (en) Sewing unit with sectionwise shiftable clamping device
US4135620A (en) Adjustable conveying device
US3180292A (en) Rotatable workholder in combination with a travelling sewing machine
CN213596569U (zh) 一种缝纫机
CN211283717U (zh) 一种床垫围边机
US3428005A (en) Device for the automatic manipulation of workpieces,in particular of textile blanks
US3970015A (en) Automatic seaming method and long seamer therefor
CS257257B2 (en) Softening apparatus
US48418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tour seams
US1313308A (en) Planoobaph co
AU570821B2 (en) Transport and guide for sewing limp fabric
WO1991005899A1 (en) Device for straightening the edge portion of fabric which is to be sewn on sewing machines
JPH0446661B2 (ko)
JPH0351438B2 (ko)
KR910001941B1 (ko) 자동화된 봉재장치
JPH01828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