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843B1 - 후경화 인플레이터 - Google Patents

후경화 인플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843B1
KR950012843B1 KR1019920018960A KR920018960A KR950012843B1 KR 950012843 B1 KR950012843 B1 KR 950012843B1 KR 1019920018960 A KR1019920018960 A KR 1019920018960A KR 920018960 A KR920018960 A KR 920018960A KR 950012843 B1 KR950012843 B1 KR 95001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rim
rim
support
post
ri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쓰미 이찌까와
게이지 오자끼
아끼히꼬 마사가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33After-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vulcanising tyres
    • B29D30/0643Cooling during post cure inflation; Post cure inflators us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후경화 인플레이터
제 1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후경화 인플레이터(post-cureinflator)의 부분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후경화 인플레이터의 상부림을 위한 잠금장치의 확대수평단면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잠금장치의 측면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후경화 인플레이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후경화 인플레이터의 축소단면도.
제 6 도는 제 1 도의 후경화 인플레이터와 이송장치의 축소단면도.
제 7 도는 슬라이딩 장치의 약평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슬라이딩장치의 캐리어에 관한 상세한 것을 나타내는 확대도.
본 발명은 가황고무타이어를 팽창 및 냉각시키기 위한 후경화 인플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경화 인플테이터에서 상부림을 자동적으로 교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소위 턴오버형이라 불리우는 수직교번형의 후경화 인플레이터가 널리 공지되어 있는데, 이것은 가황타이어에 대한 팽창 및 냉각시간을 타이어 가황기의 한 사이클 시간보다 길게 하기 위하여, 타이어 가황기의 단일 공동을 제공하고, 상부림과 하부림 사이에 타이어를 유지시키는, 2조의 상부 및 하부림을 포함하고 있다.
후경화 인플레이터의 상부 및 하부림은 가황 타이어의 크기에 따라 필수적으로 교환되어야 한다. 결국 종래의 통상적 실무에 따르면, 상부 및 하부림의 각각의 조는 볼트에 의해 각각 상부 및 하부림 지지체상에 장착된다.
또다른 후경화 인플레이터가 예컨대 일본 실개소 제 55-169417에 공지 및 개시되어 있는데, 이 후경하 인플레이터에서 림 지지체는 그 안에 형성된 구멍을 가지고 있고, 림 지지체의 구멍속으로 삽입될 수 있고 수축될 수 있는 갈고리 모양의 부분을 가지고 있는 고정부재는 림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부재의 갈고리 모양의 부분은 림이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수축된다.
그러나, 특히 상부림이 장착되어야 할 때, 작업자는 무거운 상부림을 후경화 인플레이터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 림 지지체까지 들어올려야 하고, 상부림이 들어올려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동안, 상부림을 밑부분으로부터 들여야 보고 볼트를 조여야 한다. 볼트가 상술한 것과 같은 갈고리 모양의 부분으로 교체된 경우라도, 작업자는 상부림 지지체에 형성된 구멍을 밑부분으로부터 들여다 보고, 상부림이 들어올려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동안, 갈고리 모양의 부분이 그 구멍속으로 성공적으로 끼워맞추어질 때까지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상부림을 교환하는 작업에서는 이러한 작업은 발판이 불완전하므로 위험하고 타이어의 직경이 커짐에 따라 림의 중량이 증대되기 때문에 작업수행이 곤란하고, 더욱이, 하부림, 하부림 지지체 등이 후경화 인플레이터에서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반면에 상부림 지지체는 후경화 인플레이터에서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발판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림이 자동적으로 교환되는 후경화 인플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로타리 프레임, 그것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로타리 프레임상에 장착된 잠금축, 회전되도록 잠금축상에 장착된 상부림 지지체, 상부림 지지체상에 제거가능하게 지지된 상부림, 잠금축상에 제거가능하게 지지된 하부림 지지체, 상부림과 하부림 사이에 가황타이어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부림과 협동하도록 하부림 지지체상에 제거가능하게 지지된 하부림, 상부림과 하부림 사이에 유지된 가황타이어를 팽창 및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 : 상기 상부림의 상기 외측둘레의원주상 홈안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리고 이 홈으로부터 이 홈의 바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림상에 장착된 래치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림 지지체와 상부림은 서로 협동하기 위하여 경사진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상부림은 그것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외측둘레의 원주상 홈을 가지고 있는 후경화 인플레이터가 제공된다. 상부림 지지체는 로타리 프레임에 고정된 제일부재와, 제일부재와 접촉되도록 이동될 수 있게 그리고 제일부재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게 장착된 제이부재를 포함하고, 후경화 인플레이터는 상기 제일부재와 제일부재중 어느 한 부재를 제일부재와 제이부재중 어느 한 부재와 다른 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그리고 이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제일부재 및 제일부재중 어느 한 부재에 배치된 승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후경화 장치를 사용하면, 경사진 끼워맞춤부가 상부림 지지체와 상부림상에 제공되기 때문에, 상부림과 상부림 지지체는 상부림을 상부림 지지체에 부착시키기 위해 서로를 향하여 이동됨에 따라, 상부림의 상부단부는 상부림 지지체의 경사진 끼워맞춤부에 의해 안내되고, 그 결과 상부림과 상부림 지지체의 경사진 끼워맞춤부는 서로 접촉하게 된다.
상부림 지지체상에 장착된 래치부재는 상부림의 외측둘레의 원주상홈내로 끼워넣어지고, 이로써 상부림이 상부림 지지체에 부착된다. 상부림 지지체는 제일부재와 제이부재를 포함하고, 상부림이 하부림상에 위치되고 나서 하부림과 함께 부착위치로 들어올려진 후, 상부림 지지체의 제이부재는 상부림이 제이부재에 부착되는 장착위치로 아래로 이동되고, 그 후 상부림은 제이부재에 의해 기결정된 위치로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상부림이 들어올려질 때, 상부림은 상부림 지지체의 경사진 끼워맞춤부에 의해 안내되므로, 상부림과 상부림 지지체의 경사진 끼워맞춤부는 서로 끼워맞추어지고, 상부림 지지체상에 장착된 래치부재는 상부림을 상부림 지지체에 부착시키기 위해 상부림의 외측둘레의 원주상 홈내로 끼워 넣어지므로, 상술한 종래 경화후 인플레이터에서처럼 상부림을 들어올리고 나사산이 새겨진 나사구멍에 나사를 집어넣는 수고를하지 않아도 된다. 상부림과 하부림 사이에 상부림이 하부림상에 놓여질 수 있는 적당한 수직간격이 보장될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기만 하면, 상부림은 단지 하부림을 승강장치에 의해 들어올림으로써 적당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상부림과 하부림의 자동교환이 달성된다. 더욱이, 후경화 인플레이터는 기존의 림상에 한 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쉽게 제조될 수 있고, 따라서 후경화 인플레이터 그 자체는 큰 정도까지 변경시킬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동일한 부분 또는 요소를 동일한 부재번호로 표시한 첨부도면과 관련된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특허 청구의 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 5 도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후경화 인플레이터의 주요부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시되어 있는 후경화 인플레이터 머쉰은 중심점(02)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번이동을 하기 위하여 그리고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거나 서로 떨어지도록 이동하도록 배치된 2조의 하부 및 상부림(30과 32)을 가지고 있는 후경화 인플레이터(4)를 포함한다. 고압공기는 1조의 하부 및 상부림(30과 32) 사이에 유지된 가황타이어(T) 내로 취입되어 제 5 도의 위치 ⑥에서 가황타이어(T)의 팽창과 냉각이 실행된다. 후경화 인플레이터(4)의 주요부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로타리 프레임(34)은 후경화 인플레이터(4)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고, 랙과 피니언 장치(38)에 의해 180°만큼 회전된다.
상부림 지지체의 제일부재(5)는 회전프레임(34)에 고정되어 있고, 잠금축(36)은 제일부재(5)와,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 장치에 의해 제일부재(5)로부터 떨어지거나 제일부재로 향하도록 하향 및 상향으로 이동되는 상부림 지지체의 제이부재(6)의 중심을 통하여 뻗어있다. 잠금축(36)은 실린더 장치(37)에 의해 소정각도로 회전되기 위해 제일부재(5)의 상부면상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다.
하부림(30)은 하부림(30)의 수직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스페이서 또는 스페이서들을 하부림 지지체(31)와 하부림(30) 사이에 끼우면서 하부림 지지체(31)에 일체로 나사 결합되어 있다. 하부 및 상부리(30과 32)은 잠금축(36)의 타단부에 있는 수구속부재(36a)를 하부림 지지체(31)의 암구속부재(31a)를 통해서 프레스하고 소정각도만큼 잠금축(36)을 회전시킴으로써 하부림 지지체(31)의 공간부(31b)에서 수구속부재(36a)를 회전시켜서 서로 일체화된다.
승강장치(33)는 후경화 인플레이터(4)의 하부에 위치되어 하부림 지지체(3l)를 상향 및 하향으로 이동시킨다. 하부림 지지체(31)는 그것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31c)을 가지고 있고, 구속핀(31d)은 구멍(31c)의 중심에서 직립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승강창치(33)는 그것의 단부에 원통형 부분(33a)을 가지고 있는데, 이 원통형 부분에는 개방 및 폐쇄가능한 콜릿 척(33b)이 있다. 이 경우, 하부림 지지체(31)의 측면상의 위치링(31e)은 로타리 프레임(34)상에 직립상태로 제공된 가이드(34a)에 끼워져서 하부림 지지체(31)가 가이드(34a)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승강장치(33)의 원통형 부분(33a)이 하부림 지지체(31)의 구멍(31c)에 삽입되고, 하부림지지체(31)가 잠금축(36)으로부터 해방될 때, 구속핀(31d)은 콜릿 척(33b)에 의해 구속되어 아래로 끌어당겨진다., 결국, 하부림 지지체(31)는 타이어(T)와 상부림(32)간의 인력을 극복하면서 타이어(T)를 아래로 끌어당긴다.
이어서, 본 발명의 후경화 인플레이터를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에서 제일부재(5)와 제이부재(6)로 상부림 지지체가 구성되어 있고 제이부재(6)는 실린더 장치(7)에 의해 제일부재(5)에 가까워지거나 제일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상향 및 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 도에서 부재번호 8은 래치 플레이트를 표시하고, 9는 잠금 실린더를, 10은 실린더 로드를,11은 브라켓을 표시한다.
상부림(32)용 잠금장치는 상부림 지지체의 제이부재(6) 위에 장착되어 있다. 제 2 도에서 잠금 실린더(9)는 실질적으로 채널형상인 부분의 브라켓(11)을 잠금 실린더와 상부림 지지체의 제이부재 사이에 끼우면서 나사(12)에 의해서 상부림 지지체의 제이부재(6)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 로드(10)는 브라켓(11)의 구멍(11a)을 통해서 뻗어있고, 실린더 로드(10)는 브라켓(11)의 채널모양의 내부공간(11b)에서 상부림(32)의 외측둘레의 원주상 홈(32c)의 폭(ε)과 동등한 거리만큼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실린더 로드(10)의 하부에 장착된 래치 플레이트(8)는 상부림(32)에 가까워지거나 상부림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후방 및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래치 플레이트(8)는 적당한 폭을 가지고 있다. 그것의 내부공간부(8a)는 상부림(32)의 외측둘레의 원주상 홈(32c)을 따라서 원호형상으로 파여 있다.
제 3 도에서 상부림 지지체의 제이부재(6)는 경사진 끼워맞춤부(6b)를 가지고 있고, 이 끼워맞춤부(6b)의 뿌리부분에 형성된 원주상 홈(6a)을 가지고 있다.
상부림(32)은 상부림 지지체의 제이부재(6)의 끼워맞춤부(6b)와 원주상 홈(6a)에 각각 들어 맞는 원추형경사부(32b)와 상부단부의 돌출부(32a)를 그것의 내부에 가지고 있다. 외측 원주상 홈(32c)은 상부단부(32a)의 외측상에 형성되어 있다.
잠금 실린더(9)에 의해 이동되는 래치 플레이트(8)는 상부림(32)의 외측 원주상 홈(32c)내로 끼워넣어질수 있고 상부림(32)을 상승시켜서 상부림(32)을 상승상태로 유지할 수 있거나 또는 상부림(32)을 해방시키기 위해 외측 원주상 홈(32c)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후경화 인플레이터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상부림(32)은 먼저 하부림(30)위에 위치되고, 승강장치(33)는 하부림지지체(3)를 상승시키도록 작동되고, 이때 상부림(32)도 상승된다. 이렇게 상승동작중에, 하부림(30)은 전술한 바와 같이먼저 잠금축(36)의 하단부에 부착되고, 일단 하부림(30)이 부착되면, 그것은 승강장치(33)에 의해 더 이상 상승되지 않는다.
그다음, 상부림 지지체의 제이부재(6)는 승강장치(7)에 의해 아래로 이동된다. 이때, 상부림(32)의 상부단부의 돌출부(32a)는 제이부재(6)의 경사진 끼워맞춤부(6b)에 의해 원주상 홈(6a)내로 안내된다. 따라서, 상부림(32)은 상부림 지지체의 제이부재(6)의 원주상 홈(6a)과 상부림(32)의 상부단부의 돌출부(32a) 사이의 끼워맞춤에 의해 상부림 지지체의 제이부재(6)에 대하여 자리를 잡게 된다.
잠금 실린도(9)는 작동된다. 그래서, 래치 플레이트(8)가 돌출되고, 이로써 사웁림(32)은 상부림 지지체의 제이부재(6)에 부착된다.
이어서 제이부재(6)는 상승된다.
결국, 상부림(32)은 제이부재(6)에 의해 상승되어 현수상태의 작동위치에 고정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후경화 인플레이터와 후경화 인플레이터에 대한 이송장치를 설명한다.
제 6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송장치를 사용하는 후경화 인플레이터에서 조작자는 제 7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정비공간에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상부림에 대한 교환작업이 보다 편리하다. 제 6 도에서 부재번호 1은 타이어 가황기를 표시하며, 2는 이송장치, 3은 슬라이딩 장치, 4는 후경화 인플레이터를 표시한다.
타이어 가황기(1)는 도시되지 않은 승강장치에 의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 즉 형이 분리되거나 형합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은 조임실린더에 의해 조임상태로 될 수 있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41)을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금형(41)의 중심에 제공된 예컨대 스탠딩 포스트형의 중심기구(central mechanism, 42)를 더 포함한다.
제 6 도에 도시된 장치에서, 상부 및 하부금형(41)은 열린 상태이고, 가황타이어(T)는 그것이 중심기구(42)에 의해 하부금형(41)으로부터 제거되는 위치 ①에 있다.
이송장치(2)는 타이어 가황기(1)의 프레임(43)의 적당한 위치에 장치되어 있고, 수직지지기둥(14), 수직으로 이동되고 복수개의 실린더 장치에 의해 지지기둥(14)에 피벗식으로 결합된 이송아암(15), 이송아암(15)의 단부에 있는 척(16)을 포함한다. 이 척(16)은 원주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된 3 이상의 포울(16a)을 가지고 있다. 척(16)의 포울(16a)은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 장치에 의해 포울 조립체의 직경을 확대하거나 축소시키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거나 수축된다.
직경이 축소된 상태의 포울(16a)이 타이어(T)내로 삽입되어 확장되었을 때, 타이어(T)는 포울(16a)에 의해 그것의 상부비드(UB)가 파지되고, 포울(16a)이 기설정위치에서 수축되면, 타이어(T)는 포울(16a)로부터 해방된다. 척(16)은 제 7 도에 도시된 것처럼 피벗운동의 중심(03)을 가지고 있고, 타이어 가황기(1)의 중심(01)과 후술될 슬라이딩 장치(3)의 제일위치(P1)사이에서 앞뒤로 피벗식으로 이동된다.
제 6 도를 다시 참조하면, 타이어(T)가 위치 ②로 상승된 후에, 척(16)은 위치 ③으로 피벗식으로 이동되어 위치 ④로 하향이동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슬라이딩장치(3)는 가황기(1) 쪽의 중간위치인 제일위치(P1)로부터 후경화 인플레이터(4)위에 장치된 상부림(32)의 아래에 있는 위치인 제이위치(P2)로 하부림 지지체(31)를 이동시킨다. 위치 ④에서 타이어(T)는 하부림 지지체(31)과 하부림(30)위에 위치된다. 캐리어(19)는 그 위에 하부림 지지체(31)를 수납한 채로 제일위치(P1)와 제이위치(P2)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제 7 도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장치(3)는 수평면에서 서로 대향하는 관계로 배치된 한쌍의 얇은 레일(17과 18)과, 레일(17과 18)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캐리어(19)와, 캐리어(19)에 연결된 실린더 장치(20)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8 도에서는 캐리어(19)는 레일(17과 18) 사이의 홈을 따라서 이동될수 있도록 장착된 종동로울러(19a)와 레일(17과 18)을 따라서 이동하기 위하여 레일(17과 18)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장착된 종동로울러(19b)에 의해 위치된다.
실린더(20)의 로드(20a)는 브라켓(l9c)을 통하여 캐리어(19)에 연결되어 있고, 그 결과 캐리어(19)는 로드(20a)의 수축 및 확장이동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된다.
또한, 캐리어(19)는 그 위에 하부림 지지체(31)를 수용하기 위하여 외주벽(19d)과 트리플 구멍(19e)을 포함하며, 이 트리플 구멍을 통해서 후경화 인플레이터용 승강장치(33)가 통과될 수 있다.
후경화 인플레이터(4)는 타이머(T)를 하부림(30)과 하부림 지지체(31)과 함께 위치 ⑤로부터 위치 ⑥으로 승강장치(33)에 의해 상승시킨다.
위치 ⑥에서, 타이어(T)는 고압공기가 그 안에 취입되는 팽창 및 냉각상태로 된다. 그런 후, 후경화 인플레이터(4)는 타이어(T)를 위치 ⑦로 상승시키는데, 이 위치는 완전한 턴오버위치이다.
상술한 슬라이딩 장치(3)가 본 발명의 후경화 인플레이터의 상부림을 교환할 때 사용된다면, 작업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특히, 제 7 도에 도시된 정비공간에서, 조작자는 하부림 지지체(31)과 하부림(30)를 제일위치(P1)에서 슬라이딩 장치(3)의 캐리어(19)위에 위치시킨 후, 상부림(32)를 하부림(30)위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캐리어(19)는 제이위치(P2)로 이동되고, 거기에서 하부림 지지체(31)과 하부림(30)과 상부림(32)은 제 6 도에 도시된 승강장치(33)에 의해 상승된다. 상부림 지지체의 제이부재(6)용 승강장치(7)는 제이부재(6)가 밑으로 이동되도록 작동된다.
이때, 상부림(32)의 상부단부(32a)는 제 4 도에 도시된 것처럼 제이부재(6)의 경사진 부분(6b)의 안내하에서 제이부재(6)의 원주상 홈(6a)내로 끼워넣어진다.
그런 후, 잠금실린더(9)는 상부림(32)이 제이부재(6)에 부착되도록 래치 플레이트(8)를 상부림(32)의 외측 원주상 홈(32c)내로 돌출시킨다.
상부림(32)은 승강장치(7)에 의해 상승되고, 그 결과 그것은 적당한 위치에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 하부 및 상부림(30과 32)은 단지 정비공간에서 상부 및 하부림(32과 30)을 캐리어(19)위에 위치시킴으로써 교환될 수 있는데, 이 정비공간은 조작자가 거기에서 작업하기에 충분히 넓다. 결국, 조작자는 작은 공간에서 무거운 상부림을 장착하는 어려운 작업으로부터 해방되고, 또한 조작자의 안전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당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변경과 수식이 행하여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Claims (2)

  1. 로타리 프레임 ; 그것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로타리 프레임상에 장착된 잠금축 ; 회전되도록 상기 잠금축상에 장착된 상부림 지지체 ; 상기 상부림 지지체상에 제거가능하게 지지된 상부림 ; 상기 잠금축상에 제거가능하게 지지된 하부림 지지체 ; 상부림과 하부림 사이에 가황타이어를 유지하기 위해 상부림과 협동하도록 상기 하부림 지지체상에 제거가능하게 지지된 하부림 ; 상기 상부림과 하부림 사이에 유지된 가황타이어를 팽창 및 냉각시키기 위한 수단 ; 상기 상부림의 상기 외측 둘레의 원주상 홈안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그리고 이 홈으로부터 이 홈의 바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림상에 장착된 래치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림 지지체와 상부림은 서로 협동하기 위하여 경사진 끼워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상부림은 그것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외측둘레의 원주상 홈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후경화 인플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림 지지체는 로타리 프레임에 고정된 제일부재와, 제일부재와 접촉되도록 이동될 수 있게 그리고 제일부재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게 장착된 제이부재를 가지고 있고, 후경화 인플레이트는 상기 제일부재와 제이부재중 어느 한 부재를 제일부재와 제이부재중 상기 어느 한 부재와 다른부재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그리고 이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제일부재 및 제이부재 중 상기 어느 한 부재에 배치된 승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경화 인플레이터.
KR1019920018960A 1991-10-15 1992-10-15 후경화 인플레이터 KR950012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96396A JPH0679815B2 (ja) 1991-10-15 1991-10-15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
JP91-296396 1991-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843B1 true KR950012843B1 (ko) 1995-10-23

Family

ID=1783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960A KR950012843B1 (ko) 1991-10-15 1992-10-15 후경화 인플레이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52104A (ko)
JP (1) JPH0679815B2 (ko)
KR (1) KR950012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5477B2 (ja) * 1995-10-11 1999-07-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
US6241501B1 (en) * 1998-03-20 2001-06-05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Tire vulcanizer
JP4473907B2 (ja) * 2007-12-12 2010-06-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およびそのリム交換方法並びにリム
JP5335292B2 (ja) 2008-06-13 2013-11-06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保持機構、及び、pci装置
JP4528855B2 (ja) * 2008-12-24 2010-08-2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用リムの装着装置
JP4505531B2 (ja) * 2008-11-28 2010-07-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検査装置のリム交換装置及びリム交換方法
JP5424727B2 (ja) * 2009-06-10 2014-02-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WO2011050167A2 (en) * 2009-10-21 2011-04-28 Mcneil & Nrm, Inc. Combination loader and post cure inflator
JP5411011B2 (ja) * 2010-02-02 2014-02-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
CN102107477B (zh) * 2010-11-25 2012-11-28 四川远星橡胶有限责任公司 一种轮胎后充气定型装置
CN108575088A (zh) * 2017-01-11 2018-09-25 三菱重工机械系统株式会社 轮胎保持装置
WO2020161726A1 (en) 2019-02-07 2020-08-13 L&T Rubber Processing Machinery Post cure inflator for tires and corresponding method after vulcanis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8173A (en) * 1951-09-17 1954-09-07 Nels E Nelson Separable snap fastener
US3024052A (en) * 1960-02-09 1962-03-06 Aerotec Ind Locking device
US3605182A (en) * 1969-08-25 1971-09-20 Nrm Corp Lock means for post-cure inflator
US4092090A (en) * 1977-05-18 1978-05-30 Nrm Corporation Tire curing system
US4558842A (en) * 1983-09-06 1985-12-17 Bowen Tools, Inc. Connector for joining blowout preventer members
US4867595A (en) * 1986-10-28 1989-09-19 Megamation, Incorporated Coup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with robotic devices and the like
US4798647A (en) * 1988-01-25 1989-01-17 Haas Herbert G Releasable mounting assembly for tire building drum
US4930932A (en) * 1989-03-29 1990-06-05 Minnesota Scientific, Inc. Quick release attachment mechanism
US5225138A (en) * 1990-10-02 1993-07-06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gripping, inflating and cooling vulcanized ti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52104A (en) 1994-10-04
JPH05104545A (ja) 1993-04-27
JPH0679815B2 (ja) 1994-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2843B1 (ko) 후경화 인플레이터
JPS6139184B2 (ko)
US4338069A (en) Tire press
US8313319B2 (en) Post cure inflator
JPH05131463A (ja) ポストキユアインフレータ上下リム及び上下リム交換装置
CN201009396Y (zh) 轮胎胎胚装胎装置
US5409361A (en) Center mechanism of tire curing press
US4395209A (en) Tire press
US3233284A (en) Loader device for a replaceable tire retreading matrix
KR0164022B1 (ko)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
JPH06285862A (ja) タイヤ加硫プレス用ブラダ組立体の取付装置及び搬送装置
US52251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pping, inflating and cooling vulcanized tires
US5773041A (en) Mold clamping system
JP6809104B2 (ja) タイヤ加硫装置、及びタイヤ加硫方法
JP3569170B2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CN212528786U (zh) 多层多模轮胎硫化机
JP2799256B2 (ja)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及びそれへの搬入装置
US2902717A (en) Tire retreading mold with tread centering mechanism
JP2862741B2 (ja) ポストキュアインフレータ
JP2768761B2 (ja) タイヤ加硫機の割金型操作装置
EP0037702B1 (en) Tire curing press and tire curing method
JPH05131452A (ja) タイヤ加硫機のタイヤ取出装置
JP3219567B2 (ja) 空気入タイヤ用把持冷却装置
JPH06246747A (ja) タイヤ加硫機のアンローダ
JP6840977B2 (ja) タイヤ加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