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022B1 -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 - Google Patents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022B1
KR0164022B1 KR1019960019986A KR19960019986A KR0164022B1 KR 0164022 B1 KR0164022 B1 KR 0164022B1 KR 1019960019986 A KR1019960019986 A KR 1019960019986A KR 19960019986 A KR19960019986 A KR 19960019986A KR 0164022 B1 KR0164022 B1 KR 0164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ladder
housing
tire
low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9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491A (ko
Inventor
히데키 후쿠다
Original Assignee
오기노 카네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기노 카네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기노 카네오
Publication of KR970000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0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45Devices for inserting vulcanising cores, i.e. bladders, into the tyres; Closing the press in combination 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3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centering mould parts or halves, e.g. during mounting
    • B29C33/304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centering mould parts or halves, e.g. during mounting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45Devices for inserting vulcanising cores, i.e. bladders, into the tyres; Closing the press in combination herewith
    • B29D2030/0646Attaching to, or removing the vulcanizing cores or bladders from the cente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모품인 블래더의 교환작업시간을 대폭으로 단축할 수있는 타이어 가황기용 중심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타이어(T)의 가황을 종료한 상태(블래더(B)는 신장상태)에서부터, 클램프봉 (14)를 상승시켜서, 하부링(7)을 하우징(13)으로부터 상승, 이탈시킨 후, 클램프봉(14)를 요동회전시켜서, 하부링(7)과 클램프봉(14)사이의 걸쇠기구의 걸쇠를 통과가능한 상태로 하고, 이어서 상부링(10)과 포스트(18)을 고정하고 있는 핀(22)를 뽑고, 이어서 블래더 (B)조립체를 가황기밖으로 매달아내고, 이어서 블래더(B) 및 ○ 링(8)의 교환을 행한다. 또 블래더(B)등의 교환이 종료했으면, 하부링(7)의 걸쇠기구용구멍과 클램프봉(14)의 상단부가 일치하도록 블래더 (B)조립체를 매달아넣는다. 이때, 상기 걸쇠기구의 걸쇠가 통과하면, 하부링(7)은, 상승한 클램프봉 (14)에 지지된 상태로 되는 동시에 하부링(7)과 하우징(13)의 급배구가 중심은 동일하게 된다. 블래더 (B)조립체의 매달아넣기가 종료하면,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상부링(10)과 포스트(18)에 핀(22)를 삽입해서 서로를 연결하고, 클램프봉 (14)를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요동회전시켜서, 상기 걸쇠기구의 걸쇠를 걸어맞춤시키고, 이어서 클램프봉(14)를 하강시켜, 하부링(7)을 하우징(13)에 착좌시키고, 타이어(T)의 가황준비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 가황기용 중심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2도는 동 타이어 가황기용 중심기구의 종단측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c-c선을 따르는 측면도.
제4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화살표 b부분의 확대종단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시시d-d선을 따르는 평면도.
제6도는 종래의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의 종단측면도.
제7도는 종래의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의 다른예를 표시한 종단측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시시e-e선을 따르는 횡단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2 : 단열판
3 : 하부플라텐 4 : 하부금형
6 : 하부비드링 7 : 하부링
7a : 통로 7b : 오목부
7c : 돌기 8 : 급배용 하부노즐
8a : 가열매체실 8b : 원통부
8c : 가압매체실 9 : 상부노즐
9a : 하부쪽원통부 9b : 가열매체불어내기구멍
10 : 상부링 10a : 구멍
10b : 볼록부 10c : 구멍
11 : 상부비드링 12 : 외부통
12a : 플랜지부 13 : 하우징
13a : 상부플랜지 13b : 하부플랜지
13c : 원통돌기 13d : 통로
14 : 클램프봉 14a : T형머리
15 : 브래킷 16 : 로터리실린더
17 : 승강실린더 18 : 포스트
18a : 수평방향구멍 19 : 포스트실린더
20 : 빔 21 : 비드리프트실린더
22 : 핀 23 : 손잡이링
25 : 통로 26 : 파이프
27 : 파이프 28 : ○ 링
T : 타이어 B : 블래더
본 발명은, 양단부 개방형 블래더(bladder)를 사용하는 형식의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이어가황기를 제6도에 의해 설명하면, (50)이 블래더, (51)이 하부링, (51a)가 동하부링(51)의 하부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 (52)가 동하부링(51)에 고정한 하부비드링(bead ring)이며, 동하부비드링(52)와 상기 하부링(51)에 의해서 블래더(50)의 하부에 끼워유지되도록 구성되어있다.
(53)이 하우징, (53a)가 동 하우징(53)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 (54)가 동하우징(53)의 상기 외주면에 형성한 ○링홈 이며, 하우징(53)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한 수나사부(53a)가 하부링(51)의 하부내주면에 형성한 암나사부(51a)와 맞죄어서, 하우징(53)이 하부링(51)에 착탈자재하게 고정되고 있다.
(55)가 상기 하우징(53)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한 포스트이며, 동포스트(55)의 상부에는, 블래더(50)의 상부를 끼워 유지하는 상부링(도시생략)과 상부 클램프링(도시생략)이 있다. 또, 동 상부링과 상기 포스트(55)는 볼트체결되고, 포스트(55)의 하단부는 유체압실린더의 피스톤에 접속되어 있고, 유체압실린더가 신장방향으로 작동하면, 블래더조립체(블래더(50), 하부링(51), 하부비드링(52), 상부링 및 상부 클램프링(Clamp ring)으로 이루어진 블래더조립체에)이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인력에 의해, 하부링(51)이 블래더(50)과 함께 5~6회 정도 회전하고, 동하부링(51)이 하우징(53)으로부터 분리되어서, 소모품인 블래더(50)과 ○링홈(54)내의 ○링이 교환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6도에 표시한 종래의 타이어가황기에서는, 블래더(50)과 ○링을 교환할때, 작업원이 고온분위기하에서, 하부링(51)을 블래더(50)과 함께 5~6회 정도 회전시켜서, 하우징(53)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블래더(50)과 ○링의 교환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작업원이 고온분위기하에서 과혹은 작업을 강요당해서, 작업원에 대한 부담이 과대하게 되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이 블래더(50)과 ○링의 교환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위해, 방열손실을 증대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를 경감하기 위하여, 본건 출원인은, 제7도, 제8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기를 이미 제안하고 있다(일본국 특개평1.-47511).
이 타이어가황기는, 타이어의 가황이 종료한 상태에서 부터, 유체압실린더(136)의 피스톤로드(piston rod)(136a)를 신장방향으로 작동해서, Y자형레버(133)을 회전축(13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레버(135)와 유체압실린더(123) 및 하우징(115)와 피스톤로드(123a)와 로드(116)과 블래더조립체(105)~(113)과 각 가황매체 유출입관(114)를 상승시켜서, 블래더조립체(105~(113)의 하부비드링(110)을 하부금형(104)로부터 뗀다.
이어서, 각 스토퍼용 유체압실린더(139)의 피스톤로드(139a)를 신장방향으로 작동해서, 각 스토퍼(141)을 각 너트(127)의 바로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유체압실린더(136)의 피스톤로드(136a)를 수축방향으로 작동해서, Y자형레버(133)을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레버(135)와 유체압실린더(123) 및 하우징(115)와 피스톤로드(123a)와 로드(116)과 블래더조립체(105)~(113)과 각 가황매체유출입관(114)를 하강시켜서, 각 너트(127)을 각 스토퍼(141)에 당접시킨다.
이 시점에서, 각 가황매체유출입관(114)과 블래더조립체(105)~(113)의 하강은 정지되나, 그 외의 부분, 즉, 레버(135)와 유체압실린더(123) 및 하우징(115)와 블래더조립체(105)~(113)의 하강은 계속하므로, 각 접시스프링(128)이 유체압실린더(123)의 플랜지(123c)에 의해 압축되어서, 가황매체 유출입관(114)의 머리(head)부분 (114a)가 블래더조립체(105)~(113)의 하부링(109)에 형성한 걸어맞춤구멍(109a)로부터 떨어진다.
또, 이 상태로 되면, 블래더조립체(105)~(113)의 상부링(106)과 로드(116)을 착탈자재하게 고정하고 있는 볼트(126)을 분리한다.
이어서, 인력에 의해 블래더조립체(105)~(113)을 타이어가황기의 중심축주위에 제8도의 화살표F방향(반시계방향)에 걸어맞춤구멍(109a)의 범위만큼 회전해서, 각 가황매체유출입관(114)의 머리부분(114a)를 걸어맞춤구멍(109a)의 대직경 원형구멍부분에 위치시킨다. 제8도에 있어서의 L은 록위치를 표시하고, UL은 언록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이어서, 블래더조립체(105)~(113)을 상부쪽으로 뽑아낸다.
또, 구블래더를 새블래더와 교환했으면, 블래더조립체(105)~(113)을 상기의 반대의 요령으로 장착해서, 타이어의 가황준비를 완료시킨다.
이 타이어가황기에서는, 회전량이 대폭으로 감소되고는 있지만, 하부링을 블래더와 함께 회전시킬 필요가 있고, 하부링과 하우징의 사이에 삽입되고 있는 0링의 마찰저항이 크고, 작업원이 고온분위기하에서 가혹한 작업을 강요당하고 있다는 문제가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비추어 제안하는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소모품인 블래더의 교환작업시간을 대폭으로 단축할 수있는 타이어가 황기용 중심기구를 제공할려고 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단부 개방형 블래더를 사용하는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에 있어서, 블래더조립체를 상하로 진축시키는 포스트실린더(post cylinder)를 하부쪽에 장착한 하우징에 활동(滑動)자재하게 삽입한 복수의 클램프봉과, 동클램프봉의 상단부와 상기 블래더조립체의 하부링을 걸림빠짐이 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걸쇠기구와, 상기 클램프봉을 승강 및 요동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타이어의 가황을 종료한 상태(블래더는 신장상태)에서부터, 클램프봉을 상승시켜서, 하부링을 하우징으로 부터 상승, 이탈시킨 후, 클램프봉을 요동회전시켜서, 하부링과 클램프봉 사이의 걸쇠기구의 통과가능한 상태로 하고, 이어서 상부링과 포스트를 고정하고 있는 핀을 뽑고, 이어서 블래더조립체를 가황기밖으로 매달아내고, 이어서 블래더 및 ○링의 교환을 행한다. 또 블래더등의 교환이 종료했으면, 하부링의 걸쇠기구용 구멍과 클램프봉의 상단부가 일치하도록 블래더조립체를 매달아 넣는다. 이때, 걸쇠기구의 걸쇠가 통과하면, 하부링은, 상승한 클램프봉에 지지된 상태로 되는 동시에 하부링과 하우징의 급배구가 중심이 동일하게 된다. 블래더조립체의 매달아 넣기가 종료했으면,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상부링과 포스트에 핀을 삽입해서 서로를 연결하고, 클램프봉을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요동회전시켜서, 걸쇠기구의 걸쇠를 걸어맞춤시키고, 이어서 클램프봉을 하강시키고, 하부링을 하우징에 착좌시켜서, 타이어의 가황준비를 종료시킨다.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는 상기와 같이 타이어의 가황을 종료한 상태(블래더는 신장상태)에서부터, 클램프봉을 상승시켜서, 하부링을 하우징으로 부터 상승, 이탈시킨 후, 클램프봉을 요동회전시켜서, 하부링과 클램프봉사이의 걸쇠기구의 걸쇠를 통과가능한 상태로 하고, 이어서 상부링과 포스트를 고정하고 있는 핀을 뽑고, 이어서 블래더조립체를 가황기밖으로 매달아내고, 이어서 블래더 및 ○링의 교환을 행한다. 또 블래더등의 교환이 종료했으면, 하부링의 걸쇠기구용구멍과 클램프봉의 상단부가 일치하도록 블래더조립체를 매달아 넣는다. 이때, 걸쇠기구의 걸쇠가 통과하면, 하부링은, 상승한 클램프봉에 지지된 상태로 되는 동시에 하부링과 하우징의 급배구가 중심이 동일하게 된다. 블래더조립체의 매달아 넣기가 종료했으면,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상부링과 포스트에 핀을 삽입해서 서로를 연결하고, 클램프봉을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요동회전시켜서, 걸쇠기구의 걸쇠를 걸어맞춤시키고, 이어서 클램프봉을 하강시키고, 하부링을 하우징에 착좌시켜서, 타이어의 가황준비를 종료시키므로, 블래더등의 교환에 있어서, 작업원에 의한 수작업이 포스트와 상부링을 교정하는 핀의 출입, 및 매달기도구의 장착, 분리만으로 되고, 종래, 가장 위험하고 시간을 소요하고 있었던 하부링의 수작업에 의한 회전작업을 해소할 수있고, 소모품인 블래더의 교환작업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를 제1도~제5도에 표시한 일실시예에의해 설명한다. 제1도, 제2도는, 동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의 상하방향의 중심선a-a를 따른 종단측면도, 단면도이고, 상부금형과 동상부금형을 장착하는 빔등의 타이어가황기를 구성하는 부재는, 도시를 생략하고, 제1도의 상기 중심선 a-a에서주터 우측부분과 좌측부분, 및 제2도의 상기 중심선a-a에서부터 좌측부분은, 위상이 다르다.
(1)은 타이어가황기의 베이스, (3)은 단열판(2)를 개재해서 베이스(1)에 고정된 하부플라텐(platen), (4)는 하부플라텐(3)에 볼트체결된 하부금형, (T)는 가황중의 타이어, (B)는 블래더이다.
(7)은 하부링, (6)은 하부링(7)에 볼트체결된 하부비드링이고, 동하부링(7)과 하부비드링(6)에 의해서 블래더(B)의 하단부가 끼워유지되고 있다. 이 하부비드링(6)은, 하부금형(4)의 중앙오목부에 끼워넣기 가능하고, 타이어금형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10)은 상부링, (11)은 상부링(10)에 볼트체결된 상부비드링이고, 동 상부링(10)과 상부비드링에 의해서 블래더(B)의 상단부가 끼워유지되고 있다. 이 상부비드링(11)은, 상금금형(도시생략)의 중앙오목부에 끼워넣기 가능하며, 타이어금형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의 하부링(7), 하부비드링(6), 블래더(B), 상부링(10) 및 상부비드링(11)에 의해서 블래더조립체가 구성되어 있다. 이 블래더조립체에는, 가황기 밖에서 미리 조립된 블래더조립체를 반입한 것이 사용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뒤에 상세히 설명하는 가황매체(가열매체 및/또는 가압매체)급배용 하부노즐(8)이 하부링(7)에, 또 상부노즐(9)가 상부링(10)에, 각각 보트체결되어 있다.
(12)는 플랜지부(12a)를 하부플라텐(3)의 내주부에 볼트체결한 외부통, (13)은 동외부통(12)의 내부둘레에 고정된 부시를 안내로 해서, 중앙부를 활동가능(승강가능)하게 삽입한 하우징이다. 동하우징(13)의 상단부에는, 상부플랜지(13a)를 비틀어 넣기에 의해 고정되고, 그 하단부에는, 일체화된 하부플랜지(13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동하부플랜지(13b)의 하부면에는, 포스트실린더(19)가 볼트체결되고, 동포스트실린더(19)의 하단부에는, 볼트체결된 빔(20)이 설치되어 있다 .동 빔(20)의 양단부에는, 비드리프트실린더(21)의 피스톤로드가 고정되어 있고, 이들 비스리프트실린더(21)은 상기 베이스(1)에 볼트체결된 브래킷(5)에 핀을 개재해서 매달려 있다.
동 비드리프트실린더(21)이 작동하면, 그 움직임이 포스트실린더(19)를 개재해서 하우징(13)에 전달되어서, 동하우징(13)이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8)은 하우징(13)의 내부쪽구멍에 활동가능하게 삽입된 포스트이고, 동포스트(18)의 하단부는 상기 포스트실린더(19)의 피스톤로드에 고정되어 있다. 또, 포스트(18)과 상기 상부플랜지(13a)의 사이에는, 공지의 패킹이 삽입되어 있고, 포스트실린더(19)가 작동하면, 포스트(18)이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링(10)의 중앙부에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포스트(18)의 상단부가 삽입가능한 구멍(10a)와, 호스트(18)의 상단부의 삽입길이를 규제하는 볼록부(10b)와, 수평방향구멍(10c)가 형성되어 있고, 동구멍(10c)와 포스트(18)의 상단부에 형성된 수평방향구멍(18a)에 핀(22)를 삽입하고, 동핀(22)의 한쪽의 단부에 이탈방지C형멈춤링(23)을 삽입하므로서, 상부링(10)과 포스트(18)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핀(22)의 삽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구멍(10C)는 수평방향을 연장하는 긴구멍으로 하고, 핀(22)의 하부면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핀(22)의 타단부에는, 손잡이링(24)가 삽입되어서 일체화되고 있다.
또, 상기 하부링(7)의 중앙부에는,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3)의 상부플랜지(13a)의 상부면에 형성한 원통돌기(13c)의 삽입가능한 원통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동하부링(7)의 하부면쪽에는, 하우징(13)에 승강 및 요동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있는 복수의 클램프봉(14)의 상단부에 형성된 T형 머리(14a)가 걸림빠짐가능하게 삽입되는 오목부(7b)가 형성되고, 동오목부(7b)의 입구에는 클램프봉(14)의 회전각도 여하에 따라 T형머리(14a)가 통과 또는 걸림되는 돌기(7c)가 형성되고, T형머리(14a)와 돌기(7c)에 의해 걸쇠기구가 구성되고 있다. 또한, (28)은 가황매체시일용의 ○링이다.
하우징(13)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된 브래킷(15)에는, 하우징(13)의 하부플랜지(13b)에 볼트체결한 승강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가 고정되어 있다. 동브래킷(15)에는 로터리실린더(16)이 고정되고, 동로터리실린더(rotary cylinder)(16)의 출력축이 상기 클램프봉(14)의 하단부에 키고정되어 있고, 실린더(16) 및 (17)의 작동에 의해 클램프봉(14)가 승강 및 요동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부노즐(9)에는, 복수의 가열매체볼어내기구멍(9b)가 수평면을 따라서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고, 하부면쪽 원통부 (9a)에는, 하부노즐(8)의 원통부(8b)의 삽입가능한 원통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이어가황시에는, 하부노즐(8)의 원통부(8b)가 하부면쪽 원통부(9a)에 삽입되어서, 가열매체실 (8a)가 형성되고, 하우징(13)의 상부플랜지(13a)에 형성한 통로(25)의 상단부가 가열매체실(8a)에 개구하고, 동 통로(25)의 타단부에는, 절환밸브등을 개재해서 가열매체원에 접속하는 파이프(26)의 일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하부노즐(8)에는 , 복수의 가압매체에 불어내기구멍(8d)가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또한 수평면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동가압매체불어내기구멍(8d)에는 가압매체실(8c)에 개구하고 있다. 또, 하부링(7)에 형성한 통로(7a)의 상단부가 가압매체실(8c)에 개구하고 있고, 하부링(7)이 상부플랜지(13a)에 착좌했을 때, 상기 통로(7a)의 하단부는, 상부플랜지(13a)에 형성한 통로(13d)의 상단부에 기밀적(氣密的)으로 연통하고, 상기 통로(13)의 하단부에는, 절환밸브 등을 개재해서 가압매체공급원에접속하는 파이프(27)의 일단부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의 가황매체배출수단도 설치되고 있으나, 도면표시를 생략하였다.
다음에, 상기 제1도 제5도에 표시한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블래더교환시에는, 먼저 타이어(T)가 없는 상태에서, 포스트실린더(19)를 작동하여, 포스트(18)을 상승시켜서, 블래더(B)를 신장시킨다. 이어서 승강실린더(17)을 작동하여, 클램프봉(14)를 약간 상승시켜서, 하부링(7)을 상부플랜지(13a)로부터 상승시킨다. 이어서 로터리실린더(16)을 작동하여, 클램프봉(14)를 회전시켜서, T형머리(14a)와 돌기 (7c)를 통과가능한 상태로 하고, 핀(22)를 뽑은 다음에, 포크리프트(fork lift)등의 매달기도구의 도움을 빌어서 블래더조립체를 가황기밖으로 매달아내어서, 블래더(B)의 교환을 행하고, 필요에 따라서 ○링(28), 비트링(6), (11)의 교환을 행한다.
그리고, 블래더(B)등의 교환이 종료했으면,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블래더조립체를 매달아넣고, 포스트(18)의 상단부를 상부링(10)의 구멍(10a)에 삽입하는 동시에, 클램프봉(14)의 T형머리(14a)를 하부링(7)의 오목부(7b)에 삽입하고, 이어서 핀(22)를 삽입해서, 포스트(18)과 상부링(10)을 고정하고, 포터리실린더(16)을 반대방향으로 작동해서, 클램프봉(14)의 꼭대기부분의 T형머리(14a)와 하부링(7)의 돌기(7c)를 걸어두기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때, 하부링(7)의 내주원통면과 상부플랜지(13a)의 중앙원통부외주면이 중심이 동일하게 되는 동시에, 가압매체통로 (7a)와 상부플랜지(13a)의 통로(13d)가 중심이 동일하게 되므로, 승강실린더(17)을 반대방향으로 작동해서, 하부링(7)을 끌어내리고, 상부 플랜지(13a)의 당접면에 착좌시켜서, 블래더등의 교환작업을 종료한다.
타이어가황시에는, 포스트실린더(19) 및 비드리프트실린더(21)을 작동해서, 종래의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와 마찬가지로 블래더(B)의 신장, 하부비드링(6)의 상승에 의한 하부금형(4)로부터의 가황 완료타이어(T)의 잡아떼기등의 작업을 행한다.
또, 정형(Shaping)이 종료해서, 상하금형을 폐쇄했을 때, 상부노즐(9)의 원통부 (9a)에 하부노즐(8)의 원통부(8b)를 삽입해서, 가열매체실(8a)를 형성하므로 가열매체 불어내기구멍(9b)로부터 타이어(T)내부에의 분출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양단부 개방형 블래더를 사용하는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에 있어서, 블래더 조립체를 상하로 신축시키는 포스트실린더를 하부쪽에 장착한 하우징에 활동(滑動)자재하게 삽입한 복수의 클램프봉과, 동클램프봉의 상단부와 상기 블래더조립체의 하부링을 걸림빠짐이 가능하게 걸어맞춤하는 걸쇠기구와, 상기클램프봉을 승강 및 요동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기기구가, 클램프봉의 상단부에 형성된 T형머리와, 이 T형머리가 걸림빠짐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링의 오목부에 형성되고, 클램프봉의 회전각에따라 상기 T형머리가 통과 또는 걸림되는 돌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이, 하우징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피스톤로드가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플랜지에 볼트체결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브래킷에 고정되고, 출력축이 클램프봉의 하단부에 키고정되는 로터리실린더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가황기중심기구.
KR1019960019986A 1995-06-06 1996-06-05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 KR0164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39399 1995-06-06
JP7139399A JP2866027B2 (ja) 1995-06-06 1995-06-06 タイヤ加硫機用中心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491A KR970000491A (ko) 1997-01-21
KR0164022B1 true KR0164022B1 (ko) 1999-01-15

Family

ID=1524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9986A KR0164022B1 (ko) 1995-06-06 1996-06-05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062837A (ko)
EP (1) EP0747190B1 (ko)
JP (1) JP2866027B2 (ko)
KR (1) KR0164022B1 (ko)
DE (1) DE69614036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145B1 (ko) * 1999-09-17 2003-05-09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가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6027B2 (ja) * 1995-06-06 1999-03-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用中心機構
KR100264427B1 (ko) * 1998-01-09 2000-09-01 신형인 타이어 가류기의 센터 포스트 장치
US6416305B1 (en) * 1998-10-26 2002-07-09 Mcneil & Nrm, Inc. Tire curing press center mechanism
JP4271785B2 (ja) * 1999-07-23 2009-06-03 Hirotek株式会社 タイヤ加硫装置のプラダー交換装置
US20080084007A1 (en) * 2006-10-05 2008-04-10 Carlisle Intangible Company Low aspect ratio tire curing bladder
WO2008112916A1 (en) * 2007-03-13 2008-09-18 Don Cain Systems and methods for bladderless tire curing
US7513763B1 (en) 2007-06-04 2009-04-07 Mcneil & Nrm, Inc. Tire press center mechanism
CN103144331A (zh) * 2011-12-07 2013-06-12 软控股份有限公司 胎体组件装置及其方法
CN106863664A (zh) * 2017-02-27 2017-06-20 诸城市佳泰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上行式硫化机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15712A (ko) * 1956-03-27
NL125928C (ko) * 1961-12-08
JPS57167238A (en) * 1981-04-09 1982-10-15 Kobe Steel Ltd Tire vulcanizer
JPS57167237A (en) * 1981-04-09 1982-10-15 Kobe Steel Ltd Mold clamping device in tire vulcanizer
JPS57170736A (en) * 1981-04-14 1982-10-21 Kobe Steel Ltd Vulcanizing machine for tyre
IT1176523B (it) * 1984-08-01 1987-08-18 Pirelli Perfezionamenti nelle presse per la vulcanizzazione
JPS61197207A (ja) * 1985-02-28 1986-09-01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用金型のクランプ装置
US4695234A (en) * 1985-03-29 1987-09-22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Central mechanism in a tire vulcanizing press
IT1198209B (it) * 1986-12-01 1988-12-21 Pirelli Miglioramenti alle presse di vulcanizzazione per pneumatici
JP2596937B2 (ja) * 1987-08-18 1997-04-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
JP2647531B2 (ja) * 1990-03-26 1997-08-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JP2520108Y2 (ja) * 1990-12-13 1996-12-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用ブラダ操作機構
IT1245060B (it) * 1991-04-12 1994-09-13 Firestone Int Dev Spa Unita' di vulcanizzazione per pneumatici
IT1251381B (it) * 1991-08-30 1995-05-09 Pirelli Dispositivo di comando per camere di vulcanizzazione in presse di vulcanizzazione, e procedimento di comando attuato da detto dispositivo.
JPH05131453A (ja) * 1991-11-14 1993-05-28 Kobe Steel Ltd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JP3001747B2 (ja) * 1993-04-05 2000-01-2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加硫プレス用ブラダ組立体の取付装置及び搬送装置
JPH0847928A (ja) * 1994-06-03 1996-02-20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加硫用割金型装置
US5522176A (en) 1995-02-17 1996-06-04 Suttle; Gene C. Landscaping ground cover
JP2866027B2 (ja) * 1995-06-06 1999-03-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加硫機用中心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145B1 (ko) * 1999-09-17 2003-05-09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가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332635A (ja) 1996-12-17
KR970000491A (ko) 1997-01-21
EP0747190B1 (en) 2001-07-25
JP2866027B2 (ja) 1999-03-08
US6062837A (en) 2000-05-16
US6655941B1 (en) 2003-12-02
DE69614036T2 (de) 2002-03-14
EP0747190A2 (en) 1996-12-11
EP0747190A3 (en) 1997-06-11
DE69614036D1 (de) 200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4022B1 (ko) 타이어가황기용 중심기구
US3993427A (en) Movable preform locator and blow air valve apparatus for a blow molding machine
EP0270022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ire curing presses
US4768937A (en) Tire curing press
US3075237A (en) Apparatus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tires
ZA200501385B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a tire vulcanizing press
ES2223807T3 (es) Soporte toroidal desmontable para la fabricacion de neumaticos.
US4338069A (en) Tire press
JPWO2011077844A1 (ja) タイヤの加硫装置
JP5469361B2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CN212528788U (zh) 多层多模自行车胎硫化机
US6292993B1 (en) Vulcanizing machine with segmented mold
JPH05131453A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JPH1076529A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US1841490A (en) Vulcanizing press
JP3238268B2 (ja) ブラダレスタイヤ加硫機の生タイヤ装着方法及び生タイヤ把持装置
JP3912934B2 (ja) タイヤ加硫設備のブラダ着脱装置
JP4007714B2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その金型交換方法
JPH02130110A (ja) タイヤ加硫機の金型芯合せ兼クランプ装置
EP0037702B1 (en) Tire curing press and tire curing method
CN105563713A (zh) 一种用于轮胎硫化机的上模托板导向装置
JPH11333845A (ja) タイヤ加硫装置およびタイヤ加硫装置の金型交換方法並びにタイヤ加硫方法
JPS5970535A (ja) タイヤ加硫機の金型交換方法
JPH11138545A (ja) タイヤ加硫機
JP2750189B2 (ja) タイヤ加硫機の中心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