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374B1 - 핸들커버재의 자동권취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핸들커버재의 자동권취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374B1
KR950012374B1 KR1019910015867A KR910015867A KR950012374B1 KR 950012374 B1 KR950012374 B1 KR 950012374B1 KR 1019910015867 A KR1019910015867 A KR 1019910015867A KR 910015867 A KR910015867 A KR 910015867A KR 950012374 B1 KR950012374 B1 KR 950012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ver member
automatic winding
piston
cove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198A (ko
Inventor
토시오 이타가키
Original Assignee
미도리 안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마쓰무라 후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3902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2228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721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50889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2926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66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7574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24264B2/ja
Application filed by 미도리 안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마쓰무라 후지오 filed Critical 미도리 안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6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28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bending, drawing or stretch forming sheet to assume shape of configured lamina while in contact therewi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핸들커버재의 자동권취방법과 장치
제1도는 운송수단의 핸들용 커버재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커버재를 핸들주위에 자동으로 권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핸들주위에 커버재를 권취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측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장치구성의 우측면도.
제4도는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장치구성과 핸들을 지지하는 다수의 핸들지지테이블의 상면도.
제5도는 핸들이 핸들지지테이블상에 고정된 상태 및 커버재의 상부 사이드스커트가 핀처(pinchger)와 핀처수용부사이에 클램프와 상태를 나타내는 제2도에 도시된 장치구성의 확대도.
제6도는 커버재의 상부 사이드스커트가 핸들의 내주변면을 향해 신당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5도와 유사한 도면.
제7도는 핀처수용부가하향이동되어 커버재의 상부 사이드스커트의 클램핑이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6도와 유사한 도면.
제8도는 커버재의 상부 사이드스커트가 와이퍼에 의해 핸들의 내주변면에 대해 가세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6도와 유사한 도면.
제9도는 핸들에 대한 커버재의 양 사이드스커트의 접착이 변형된 변형예의 확대도.
제10도는 커버재의 1쌍의 사이드스커트중 어느 한쪽으로브터 핸들의 측면에 형성된 파지요부근방의 위치까지 커버재가 제2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자동권취장치에 의해 핸들에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된 커버재의 비접착부를 가세공구에 의해 파지요부에 접착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2도는 제10도와 제11도에 도시된 비접착부의 접착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커버재를 핸들에 자동으로 권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에서 핸들주위에 커버재가 권취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핀처와 와이퍼, 핀처수납부등을 포함하는 구성의 확대우측면도.
제15도는 핸들이 지지테이블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다수의 핸들지지테이블의 상면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된 핸들지지테이블중 하나의 지지테이블에 대한 확대우측면도.
제17도는 커머재의 상부 사이드스커트가 핸들의 내주변면에 권취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14도에 도시된 구성의 확대도.
제18도는 핀처수용부가 하향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17도와 유사한 도면.
제19도는 커버재의 상부 사이드스커트가 와이퍼에 의해 핸들의 내주변면에 대해 가세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17도와 유사한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핸들용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의 부분절개정면도.
제21도는 제20도에 도시된 자동권취장치의 부분절개측면도.
제22도는 제20도와 제21도에 도시된 핸들지지테이블의 회전구동장치의 확대정면도.
제23도는 제22도에 도시된 회전구동장치의 부분측단면도.
제24도는 원위치검츨센서가 장착된 제23도에 도시된 회전구동장치의 일부확대단면도.
제25도는 인덱스센서가 장착된 제23도에 도시된 회전구동장치의 일부 확대단면도.
제26도는 제20도에 도시된 세팅지그의 상면도.
제27도는 제26도에 도시된 세팅지그의 부분측단면도.
제28도는 핀처와 와이퍼, 핀처수용부등을 포함하는 구성에서, 커버재가 핸들의 주위에 권취되는 초기동작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제29도는 제28도에 도시된 구성의 부분단면 확대우측면도.
제30도는 커버재의 상부 사이드스커트가 핸들의 내주변면에 권취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28도에 도시된 와이퍼의 확대단면도.
제31도는 하향가입플레이트가 하향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30도와 유사한 도면.
제32도는 커버재의 상부 사이드스커트가 와이퍼에 의해 핸들의 내주변면에 대해 가세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제30도와 유사한 도면.
제33도는 1쌍의 권치유니트가 변형된 변형예를 나타내는 제29도와 유사한 도면.
제34도는 종래의 운송수단용 핸들의 단면도.
제35도는 종래 커버재의 전개도면.
제36도는 커버재에 의해 피복된 핸들에 대한 종래의 권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단면도.
제37도는 제36도에 도시된 커버재가 핸들의 주위에 권취된 상태의 확대단면도.
제38도에 제37도에 도시된 커버재와 핸들에 형성된 각 파지요부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 2 : 축
3 : 외주변면 4 : 내주변면
7 : 요부 8 : 스포크
9 : 간극 10 : 커버재
11 : 스트립체 12, 13 : 사이드스커트
14 : 러그 209 : 위치결정플레이트
210 : 테이블플레이트 211 : 포스트
212 : 베이스플레이트 213 :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
214 : 프레서 217 : 핀처
219 : 와이퍼 220 : 스프링
223 : 스프링 수용플레이트 226 : 스크류벨트
227 : 스프링수납소자 228 : 코일스프링
본 발명은 자동차라던지 모터보트등과 같은 운송수단의 핸들주위에 커버재를 자동으로 권취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첨부도면의 제34도를 참조하면, 종래의 운송수단용 핸들(1)이 도시되어 있는 바, 이 핸들(1)은 축(2)을 갖추고 있으면서 그 핸들(1)의 축(2)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면에 외주변면(3)과 내주변면(4)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핸들(1)은 상기 내.외주변면(3,4)을 상호 연결하는 1쌍의측면(5,6)을 갖추고 있고, 그축(2)을 향해 핸들(1)의 내주변면(4)으로브터 대체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스포크(spork)도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제34도에 도시된 핸들(1)은 그 핸들(1)의 축(2)을 포함하는 면에서 원형단면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그 핸들은 직사각형이나 다각형 단면구성으로 될 수도 있다. 제34도에 도시된 핸들(1)은 그 핸들(1)의 축(2)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면이 대체로 원형이면서 연속적이지만, 그 핸들은 핸들(1)의 축(2)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면에서 원형 또는 아치형으로 될 수 있는 한편 2이상의 면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한편, 종래의 핸들은 천연가죽, 인조가죽 또는 천과 같은 커버재가 권취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핸들에서는 대개 미리 그 외주변으로부터 내주변을 향해 상기 핸들주위에 권취될 수 있는 치수로 절단된 커버재가 핸들의 주위에 밀접 또는 밀착되도록 권취되고, 커버재의 양수평축면에지가 상호 결착(봉재)되는 한편, 상기 커버재의 양측면 에지가 핸들의 내주변면에서 상호 접촉되도록 하고 있다.
또, 커버재의 전개도면인 제35도에 도시된 다음과 같은 커버재(10)도 있는 바, 즉 커버재(10)가 환형 스트립체(11)와 이 환형스트립체(11)의 양수평측면에지로부터 각각 방사상 내향연장되는 1쌍의 사이드스커트(side skirt; 12, 13)를 갖추고 있고, 상기 각 사이드스커트(12,13)는 핸들의 내주변면(4)상의 적절한 위치로부터 그 핸들(1)의 축(2)에 집중되는 다수위 러그(lug; 14)를 갖추고 있다. 즉, 상기 러그(14)는 각각의 내·외주변면(12,13)의 방사상 내향에지로부터 방사상 내향연장되어 핸들(1)의 스포크(spoke; 8)주위에 각각 권취된다.
상기한 종래의 커버재는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가지는 바, 즉 커버재가 핸들의 주위에 권취되어 접착되거나 결착되는 동작이 수동으로 수행되고 있거나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음에 따라 작업성 및 효율이 저하되거나 열화된다. 또 양호한 권취의 완성(마무리)을 위해서는 숙련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커버재에 의해피복된 핸들의 제조 비용이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또 제3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핸들(1)에 대히서는 이하의 권취방법이 이용되고 있는 바, 즉 핸들(1)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커버재(10)로 피복되고, 커버재(10)의 양 사이드스커트(12,13)가 핸들(1)의 내주변면(4)을 향해 팽팽하게 신장된 상태로 커버재 전체가 핸들에 권취도어 접차되며, 커버재(10의 각 사이드스커트(12,13)의 양 측면 에지가 제3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의 내주변면(4)의 중심선상에서 상호접촉된다.
상기한 종래의 권취방법에서는,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3)을 따르는 주변부에 다수의 요부(7)가 형성되고, 이 요부(7)에는 조작자의 양손의 손가락이 접촉될 수 있음에 따라 이하의 결점이 초래된다. 즉, 커버재(10)의 사이드스커트(12,13)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그 커버재(10)의 양 사이드스커트(12,13)를 핸들(1)의 내주변면(4)을 향해 신장시키는 형태로 핸들(1)을 커버재(10)에 의해 피복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요부(7)와 이 요부(7)에 대향하는 커버재(10)의 대응부분사이에 간극(9)이 형성된다. 따라서 핸들(1)을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커버재(10)에는 상기 요부(7)에 의한 주름이라던지 이완 또는 유동이 발생됨므로 핸들의 사용시의 감촉이 불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된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결정을 해결할 수 있도록 된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축과 이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 1 면에 내주변면 및 외주변면을 갖추고 있으면서 상기 내주변면과 외주변면을 상호 연결하는 1쌍의 사이드스커트를 갖춘 운송수단의 핸들주변에다 제1면에서의 주변길이가 상기 핸들의 외주변면의 주변길이와 대체로 일치하는 환형스트립체와 이 환형스트립체의 양 측면에지로부터 각각 방사상 내향연장되면서 상기 환형스트립체와 상호 공동작용하여 상기 핸들이 고정될 수 있는 환형스페이스를 형성하는 1쌍의 사이드스커트를 갖춘 커버재를 자동으로 권취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1면에서 상기 커버재로 피복된 상기 핸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과, 상기 커버재의 상기환형스트립체를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핸들의 외주변면에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수단 및, 상기 핸들의 내주변면에 대해 상기 1쌍의 사이드스커트중 어느 한쪽을 가세하기 위한 와이퍼수단으로 구성된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지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는바, 즉 숙련을 요하지 않고서도 핸들주위에커버재를 권취하는 작업의 효율이 현저하게 증대되거나 향상될 수 있고 양호한 완성정도로 핸들의 주변에 커버재를 권취할 수 있으면서, 핸들주위에 커버재를 권취하는데 필요한 제조비용을 저감함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자동권취장치에는 상기 지지수단에 접속되어 제1면에서 상기 지지수단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클램프수단은 상기 핸들의 전체의 외주변면을 따라 상기 커버재를 핸들에 클램프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는 바, 즉 숙련을 요하지 않고서 상기 핸들의 주위에 커버재를 권취하느 동작의 효율이 현저하게 증대되거나 향상될 수 있고, 또 상기 커버재의 상부 및 하부면으로부터 상기 커버재의 한쪽 사이드스커트를 클림핑하지 않고서도 상기 와이퍼수단이 상기 커버재를 상기 커버재의 한쪽 사이드스커트로부터 핸들을 향해 가세하는 상태에서 상기 커버재가 핸들상에 고착되므로 상기 커버재의 순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재의 이면에 접착제가 첨가되는 경우에는 그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해 작업시의 방해가 방지된다. 따라서, 양호한 완성정도를 가지고서 핸들주위에 커버재를 권취할 수 있고, 핸들주위에 커버재를 권취하기 위해 필요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지지수단과 상기 클림프수단이 상호 작용하여 상기 커버재에 의해 피복된 핸들을 제1면에서 지지함과더불어, 상기 커버재의 환형스트립체를 상기 핸들의 외주변면에 클램핑하기 위한 핸들세팅수단을 형성하고, 이 핸들세팅수단을 상기 핸들의 전체 외주변면을 따라 상기 커버재를 상기 핸들에 클램핑하는 한편 상기 핸들의 축 주위에서 소정 각도로 각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자동권취장치에는 상기 행들세팅수단을 상기 행들의 축 주위에서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와이퍼수단에는 상기 커버재의 1쌍의 사이드스커트중 어느 한쪽이 상기 핸들의 내주변면까지권취되는 위치를 이동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커버재의 한쪽의 사이드스커트가 상기 핸들의 내주변면면에 대해 가세되는 취치로 이동될 수 있는 다수의 권취유니트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이 다수의 권취유니트는 상기 핸들과 대체로 일치하는 원을 따라 배열됨과 어불어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관계로 제1면에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2개의 권취유니트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핸들의 축주위에서 그 핸들이 1 회의 회전 또는 각이동만으로도 상기 커버재가 핸들전체주변에 권취될 수 있다, 또, 상기 권취유니트의 수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핸들의 각이동이 더욱 감소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재가 상기 핸들전체주변에 권취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는바, 즉 숙련을 요하지 않고서도 상기 핸들의 주변에 커버재를 권취하는 작업의 효율이 현저하게 증대되거나 향상될 수 있고, 또 상기 커버재의 한쪽 사이드스커트가 그 한쪽 사이드스커트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 클램프되는 일없이 상기 커버재의 한쪽 사이드스커트가 와이퍼에의해 가세되는 상태에서 상기 커버재가 상기 핸들상에 장착되므로 상기 커버재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재의 이면에 접착제가 첨가되는 경우 그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한 방해가 방지된다. 따라서, 양호한 완성도로 핸들주위에 커버재를 권취할 수 있고, 상기 핸들주위에 커버재를 권취하기 위해 필요한 제조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축과 이 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면에서 내주변면 및 외주변면을 갖추고있으면서 상기 내주변면과 외주변면을 상호 접속하는 1쌍의 사이드스커트를 갖추고 상기 내주변면과 외주변면을 따라 어느 일측면에 형성되어 오퍼레이터의 양손의 손가락이 접촉될 수 있는 다수의 요부를 갖춘 운송수단의 핸들주변에다 제1면S에서의 주변길이가 상기 핸들의 외주변면의 주변길이와 대체로 일치하는 환형스트립체와 이 환형스트립체의 양 측면에지로부터 각각 방사상 내향연장되면서 상기 환형스트립체와 상호 공동작용하여 상기 핸들이 고착될 수 있는 환형스페이스를 형성하는 1쌍의 사이드스커트를 갖츤 커버재를 자동으로 권취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1쌍의 사이드스커트의 자유에지가 상기 핸들의 내주변면에서 상호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핸들을 커버재로 피복하는 단계와; (b) 상기 커버재의 한쪽 사이드스커트가 그 한쪽 사이드스커트의 자유에지로부터 상기 요부근방의 위치까지 상기 핸들의 주위에 권취되는상태에서 상기 커버재의 1쌍의 사이드스커트의 어느 한쪽을 상기 팬들에 접착하는 단계 및, (c) 상기 핸들의 각 요부의 요면에 따르는 가세면을 갖춘 가압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커버재의 다른쪽 사이드스커트의 가 비접착부를 가세방향을 따라 상기 요부중 대응하는 요부에 가세함으로써 상기 비접 착부를 요부에 접착하는 단계로 구성된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커버재와 상기 핸들에 형성된 요부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하면서 상기 커버재가 상기 요부와 완전히 밀착된 형태로 상기 커버재를 핸들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을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커버재에서 발생되는 주름 이라던지 이완 또는 유동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핸들의 상용상의 감촉의 열화가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면서 그 동일한 구성요소 및 부재에 대한 설명은 반복을 피하기 위해 간략하게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면, 제34도에 도시된 핸들(1)용 커버재(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커버재(100)는 상기 핸들(1)의 축(2)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면에서의 주변길이가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3)의 길이와 대체로 동일한 환형스트립체(111)와 이 환형스트립체(111)의 양수평측면에지로부터 각각 방사상 내향 연장되는 1쌍의 사이드스커트(112,113)로 구성되고, 이 1쌍의 사이드스커트(112,113)는 각각 자유측면에지(114,115)를 갖추고 있다. 상기 환형스트립체(111)와 상기 1쌍의 사이드스커트(112,113)는 상호 일체로 되어 있는 한편, 상호 공동작용하여 상기 핸들(1)의 고착될 수 있는 환형스페이스(116)를 형성하게 된다. 또, 상기환형스트립체(111)의 1쌍의 사이드스커트(112,113)는 상기 핸들(1)의 축(2)을 포함하는 면에서 각각의 길이를 갖는데, 이 길이의 총합은 상기 핸들(1)의 축(2)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상기 핸들(1)의 외주변길이와 대체로 일치된다. 그리고, 상기 1쌍의 사이드스커트(112,113)에는 그 사이드스커트(112,113)의 측면에지(114,115)를 따라 참조부호 117과 118에 러플링(ruffling)이 배설되어 플리이트(pleat)를 형성하게 된다.
[실시예 1]
제2도는 내지 제8도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1)의 주위에 상기 커버재(100)를 자동으로 권취하기 위한 자동권취장지(200)가도시되어 있는 바, 통상 이 자동권취장치(200)는 상기 핸들(1)의 축(2)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면에서 상기 커버재(100)로 피복된 핸들(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와, 상기 커버재(100)의 환형스트립체(111)를 상기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된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3)에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장치, 상기 1쌍의 사이드스커트(112,113)의 한쪽을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에 대해 가세하기 위한 와이퍼장치, 상기 핸들(1)의 축(2)을 푸함하는 제2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면서 상기 사이드스커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장치 및, 상기 제2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면서 상기 수용장치와의 사이에 한쪽의 사이드스커트를 클램프하는 핀처장치로 구성되고 이 핀처장치는 상기 한쪽의 사이드스커트가 상기 핸들(1)의내주변면(4)에서 권취되는 위치로 상기 수용장치와 더불어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지지장치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에서 상기 핸들(1)과 대체로 일치하는 원(299)을 따라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관계로 배열되어 상기 핸들(1)을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테이불(207,207A,207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지지테이블(207,207A207B)은 소정각도를 갖는 소자 또는 위치결정플레이트(209)가 상부면의 위치에서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3)을 하향가입하기 위해 장착된 각각의블록(208)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치결정플레이트(209)는 상기 핸들(1)의 주변길이를 따라 상기 원(299)에 대해 원근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좀더 구체저적으로, 상기 위치결정플레이트(209)는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3)의 치수와 일치하는 각각의 위치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면서 각각의 조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테이블중 상기 지지테이블(207,207A,207B)이 배열된 원호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2개의 테이블(207A,207B)사이의 중간위치에는 테이블플레이트(210)가 배치되고, 이테이블플레이트(210)는 상기 핸들(1)아래의 위치에서 상기 핸들(1)을 직경방향으로 횡단하여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또, 재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포스트(211)가 상기 테이블플레이트(210)를 지지하기 위해 베이스플레이트(212)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테이블플레이트(210)상에는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13)가 장착되며, 이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13)에서 피스톤(261)의 자유단부사에는 블록형태의 프레서(presser : 214)가 장착된다. 상기 피스톤(261)은 상기원(299)에 대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바, 즉 상기 피스톤(261)은 상기 핸들(261)의 직경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261)이 원(299)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프레서(214)는 상기 커버재(100)의 환형스트립체(111)를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3)에 대해 가세하게 된다. 즉, 피스톤(261)이 팽창되는 경우, 상기 프레서(214)는 상기 커버재(100)를 통해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3)을 가세하여 상기 위치결정플레이트(209)와 프레서(214)사이의 위치에 핸들(1)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처장치는 핀처(pincher; 217)와 피스톤(262)을 갖춘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핀처(217)는 상기 피스톤(262)의 자유단부상에 장착되며, 상기 피스톤(262)은 제2면과 나란한 관계로 연장되는 수직선을 따라 상기 원(299)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피스톤(262)은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에 민접한 테이블플레이트(210)상의 위치를 통과하여 수직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피처(217)는 상기 핸들(1)의 상부측면(6)에 대해 가세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드스커트(112)의 상부면을 가세하기 위한 상기 피스톤(262)에 접속되거나 그 피스톤(262)상에 장차된다. 또, 상기 테이블플레이트(210)상에 수직플레이트(275)를 통해 상기 핀처(217)의 수직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1쌍의 가이드(218,218)가 장착된다.
상기 핀처(217)에는 스프링(220)을 매개하여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15)의 피스톤이 하향이동되거나 팽창되는 경우 상기 상부 사이드스커트(112)를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에 가세하기 위한 와이퍼(219)가 접속되고, 상기 핀처(217)와 와이퍼(219)는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에 따라 만곡된 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에 인접한 테이블플레이트(210)의 일단을 통해 1쌍의 슬라이드샤프트(221,221)가 수직이동하도록 연설되고, 각 슬라이드샤프트(221,221)의 상부단에는 그 중간에 연설되는 형태로 스프링수용플에이트(223)가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24)에는 피스톤(263)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24)의 피스톤(263)의 자유단에는 상기 스프링수용플레이트(223)를 상기 커버재(100)의 한쪽 사이드스커트(112)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한 하향가압플레이트(225)가 접속된다.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24)는 상기 테이블플레이트(210)의 하부면상의 중간면 근방의 위치에 장착된다. 즉, 하향가압플레이트(225)는 상기 피스톤(263)의 상향이동에 따라 상기 스프링수용플레이트(223)를 하향가압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263)에 접속된다. 또, 스크류벨트(226)가 상기 하향 가압플레이트(225)의 정면단과 나사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스프링수용플레이트(223)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원주형 컵형상스프링수용부재(227)가 상기 스크류벨트(226)의 하부단과 나사결합된다. 상기 커버재(100)의 한쪽 사이드스커트(112)의 하부면에 대해 상기 핀처수용부(222)를 바이어스하기 위한 코일스프링(228)이 상기 핀처수납부(222)와 결합되는 바, 즉 상기 코일스프링(228)은 상기 스프링수용플레이트(223)와 스프링수용소자(227)사이에 배설된다. 이 코일스프링(228)은 상기 핀처수용부(222)가 항상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드스커트(112)의 하부면에 대해 가세되도록 상기 핀처수나부(222)를 바이어스함과 더불어 상기 스프링수납플레이트(223)가 상기 하향가압플레이트(225)에 대해 항상 가세되도록 바이어스하게 된다. 또 스토퍼너트(229)가 상기 스프링수납소자(227)의 외주변면과 나사결합되는데, 이 스토퍼너트(229)는 상기 커버재(100)가 상기 핸들(10)의 내주변면(4)을 향해 연장되는 길이와 일치하도록 상기 스프링수용플레이트(223)와 그 스토퍼너트(229)사이의 스페이스(230)를 조정하기 위해 적절한 피치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자동권취장치(230)는 자동순서제어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이하의 형대로 제어된다.
즉, 상기 핸들(1)과, 상기 커버재(100)의 최소한 어느 하나에 접착제가 첨착되고, 상기 핸들(1)은 그 핸들(1)의 외주변면(3)으로부터 그 양측면을 향해 상기 커버재(100)로 피복되는데, 상기 핸들(1)은 상기 커버재(100)의 양 사이드스커트(112,113)사이의 수평중심선 상기 핸들의 외주변면(3)의 수평중심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커버재(100)로 피복되며, 이어 상기 핸들(1)은 제2도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지지테이블(207,207A,207B)상에 수평으로 장착된다.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드스커트(112)가 피처수용부(222)의 상부면상에 장착된 상태하에서 우선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13)의 피스톤(261)이 핸들(1)의 외주변면(3)을 향해 이동된다. 이어, 제5도에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서(214)가 상기 커버재(100)를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3)에 대해 가세하여 상기 커버재(100)를 상기 프레서(214)와 상기 위치결정플레이트(209)사이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커버재(100)가 유동 또는 이동될 수 없도록 상기 커버재(100)의 환형스트립체(111)를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3)에 대해 가세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13)의 동작은 정지된다.
상기한 동작후에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15)가 동작하여 상기 피스톤(262)이 하향이동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처(21)가 하향이동하여 핀처수용부(222)와 상기 핀처(217)사이에서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드스커트(112)를 상기 상부 사이드스커트(112)의 상부 및 하부면으로부터 클램프하게 된다.
또,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처(217)가 상기 코일스프링(228)의 바이어러스력에 대해 상기 핀처수용부(222)를 하향가압하면서 하향이동되어 상기 상부 사이드스커트(112)가 평행하게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에 상기 상부 사이드스커트(112)를 권취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와이퍼(219)는 상기 커버재(100)를 상기 핸들(1)에 가세한 상태에서 하향이동되어 상기 커버재(100)를 상기 핸들(1)의 상부측면(6)에 접착하게 된다. 상기 핀처수용부(222)의 하향가압과 연동하여 상기 스프링수용플레이트(223)가 하향이동되고, 이 스프링수용플레이트(223)가 상기 스토퍼너트(229)에 대해 접촉되는 경우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15)가 로크(lock)되어 피스톤(262)의 하향동작이 정지되며, 이러한 동작직후에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24)가 동작되어 피스톤(263)이 하향이동된다.
이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향가압플레이트(225)와 스크류볼트(226), 스프링수용부재(227) 및 스토퍼너트(229)가 하향이동되고, 이러한 하향이동의 중간지점에서 상기 하향가압플레이트(225)가 스프링수용플레이트(223)를 하향가압하게 되며, 상기 스프림수용플레이트의 이동이 1쌍의 사이드스커트(221,221)를 통해 상기 핀처수납부(222)에 전달되므로 상기 핀처수납부(222)가 하향이동되고, 상기 핀처(217)와 핀처수용부(222)에 의한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드스커트(112)의 클램핑이 해제되며, 이때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24)의 피스톤(263)의 하향이동동작이 정지된다. 이 후에 상기 피스톤/실리더어셈블리(215)의 피스톤(262)이 약간 하향이동되도록 동작되다.
다음에,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처(217)와 와이퍼(219)가 약간 하향이동되어 상기 와이퍼(219)가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드스커트(112)를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에 대해 가세하여 상기 상부 사이드스커트(112)가 상기 내주변면(4)에 접착되도록 한다. 이 직후에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15)의 피스톤(262)과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24)의 피스톤(263)이 하향이동되도록 동작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핀처(217)는 원위치로 복귀되는 한편, 상기 하향가압플레이트(225)도 원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1쌍의 슬라이드샤프트(221,221)와 핀처수용부(222) 및 스프링수용플레이트(223)가 각각의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각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15,224)의 피스톤(262,263)은 상향이동이 정지되고, 이 후에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13)의 피스톤(261)이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어 상기 프레서(214)가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상기 핸들(100)의 고정이 해제되고, 이 시점에 서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13)의 동작은 정지된다.
상기한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측면(6)을 통해 외주변면(3)으로부터 내주변면(4)까지 연장되는 상기 핸들(1)의 일부에 대한 상기 커버재(100)의 권취가 완료된다.
이어, 상기 샌들(1)은 상기 축(2) 주위에 수동 또는 동력에 의해 소정 각도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커버재(100)의 부분적으로 권취된 부분이 테이블플레이트(210)로부터 해방됨과 더불어 상기 커버재(100)의 후속부분이 테이블플레이트(210)에 도달하게 되는 한편, 상기 핸들(1)이 상기 핸들지지테이블(207,207A207B)상에 고정된다. 이어, 상기한 동작이 반복되고, 이 동작의 반복에 의해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드스커트(112)의 후속부분이 상기 핸들(1)의 후속부분 주위에 권취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커버재(100)가 상기 핸들(1)의 상부 절반부 주위에 권취된다.
이어, 상기 핸들(1)이 전환, 즉 상기 축(2)과 수직으로 축주위에서 각으로 이동되고, 이어 상기한 동작이반복 수행됨에 따라 상기 커버재(100)의 나머지 절반부가 상기 핸들(1)의 나머지 절반부 주위에 권취되며,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핸들 전체가 커버재(100)로 피복된다.
이와 관련해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재(100)가 상기 외주변면(4)의 중심선으로부터 상기 야측면(5,6)을 향해 약간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에 접착되지 않는 양측면 에지부를 갖도록 하고, 상기 커버재(100)의 양 측면에지부의 접착은 수작업마루리에 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제1실시예와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핀처(217)와 상기 핀처수용부(222)는 제2도에 도시된 위치관계와는 반대의 위치관계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핀처수용부(222)는 상기 핀처(217)의 상단에 배열될 수도 있고, 상기 프레서(214), 핀처(217), 와이퍼(219) 또는 핀처수용부(222)가 공기 또는 유압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에 의해 동작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모터등과 같은 구동장치에 의해서도 구동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테이블(207,207A,207B)상에 수평으로 세트된 핸들(1)과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상기 지지테이블은 상기 핸들이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즉 축(2)이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핸들(1)의 주위에 상기 커버재(100)를 권취하는 방법에 대해 제10도 내지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이드스커트(112,113)의 양 측면에지가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에서 상호 접촉되도록 접착제를 통해 상기 핸들(1)상에 필복된 커버재(100)가 상기 상부 상이드스커트(112)로부터 상기 핸들(1)의 이면에 형성된 대응하는 파지요부(7) 근방의 위치까지 상기 핸들(1) 주위에 권취되어 상기 핸들(1)에 접착된다.
이어, 상기 핸들(1)은 상기 자동권취장치(200)로부터 일단 제거 또는 분리된 다음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향 또는 뒤집혀진다. 이어, 핸들(1)은 상기 커버재(100)의 나머지 사이드스커트(113)가 수평으로 지향되는 상태하에서 상기 자동권취장치(200)에 재차 세트된다. 이후, 가세공구(251)가 상기 핸들(1)의 각 요부(7)의 요면(7a)에 따르는 가세면을 가지고서 설치되고, 또 예를 들어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이 일정하게 높으면서 상기 요부(7)의 요면(7a)에 따르는 외주변면(253)을 갖도록 형성된 코일스프링(252)이 설치되는데, 이 코일스프링(252)은 작업자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부(grip部 ; 253)의 정면단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기단부를 갖추고 있다. 또, 상기 코일스프링(252)은 상기 그립부(253)에 결합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데, 이 코일스프링(252)은 상기 커버재(100)의 비접착부상의 위치에서 각 요부(7)에 대한 권취방향을 따라 20 내지 30RPM 으로 회전되는 상태로 구동된다. 즉, 상기 코일스프링(252)은 상기 커버재(100)의 비접합부가 상기 요부(7)에 가세되는 상태에서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3)측으로부터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을 향해 구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코일스프링(252)의 이동과정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252)의 선단피치와 인접선단피치에 의해 상기 커버재(100)를 신장하는 작용에 따라 상기 비접합부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요부(7)에 가세되어 그 각 요부(7)에 접착되고, 상기 커버재(100)의 사이드스커트(113)의 측면에지가 상기 사이드스커트(112)의 측면에지에 대해 접촉되어 이 커버재(100)의 권취가 완료된다.
상기한 동작은 로봇시스템에 의 실행될 수 있고, 또 상기한 구성은 자동권취장치(200)에 일부구성으로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 2]
제13도는 내지 제19도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1)주위에 상기 커버재(100)를 자동으로 권취하기 위한 자동권취장치(3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자동권취장치(300)는 상기 핸들(1)을 수평으로 지지하면서 축(311)주위에서 소정 각도로 각 이동되는 핸들지지테이블어셈불리(307)로 구성되고, 이 핸들지지테이블어셈블리(307)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1)과 대체로 일치하는 원(299)을 따라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관계로 고정배채된 다수의 테이블블록(309)과 각 테이블블록(309)의 지지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축(311)주위에서 소정 각도로 이동하는 환형 수평테이블(3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형테이블(310)의 외주변면은 종동기어치(312)가 형성된 하부절반부를 갖추고 있다. 또, 다수의 안내로울러(313)가 상기 원(299)을 따라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관계로 배열됨과 더불어 상기 환형테이블(310)의 외주변면의 상부절반부와 접촉되도록 배열된다. 즉, 상기 안내로우러(313)는 각각 상기 테이블블록(309)상에 배열된다.
또,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314)는 상기 환형테이블(310)을 상기 축(311)주위에서 회전구동하는 바, 이 구동장치(314)는 상기 테이블블록(309)사이의 간격중 최소한 어느 하나의 간격의 중간 위치에서 베이스플레이트(308)의 상부면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또, 상기 테이블블록(315)상에는 펄스모터, 스탭핑모터등과 같은 모터(316)가 그 출력회전샤프트(317)가 상향연장되도록 고정장착되고, 상기 출력회전샤프트(317)상에는 피니언기어(310)가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종동기어치(312)와 맞물리게 된다.
또, 클램프(319)는 상기 환형테이블(310)의 상부면의 위치에서 커버재(100)를 상기 핸들(1)의 전체 외주변면에 클램프시키게 되는데, 이 클램프(319)는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반원형 클램프로드(320,32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1쌍의 클램프로드(321,321)는 상호 상기 원(229)을 형성하게 된다. 또, 이 1쌍의 반원형 클래프로드(320,321)는 핀(322)에 의해 상기 환형테이블(310)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호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클램프로드(320,321)의 다른 단에는 각각 래치소자(323)가 설치된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블록(324)이 상기 베이스플레이드(308)의 상부면에서의 상기 테이블블록(315)과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08)에 고정접속되고, 이 테이블블록(324)상에는 포스트(325)가 고정적으로 장착되며, 이 포스트(325)에 의해 미세로크 피스톤/실린더어셈불리(326)가 지지된다.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326)는 피스톤(361)이 상기 환형테이블(310)에 의해 지지되는 핸들(1)의 내주변(4) 근방 위치의 수직선상에서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326)의 피스톤(361)상에는 와이퍼홀더(327)가 공정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와이퍼홀더(327)에는 상기 커버재(100)의 환형스트립체(111)의 수평에지로부터 방사상 연장되는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드스커트(112)를 상기 피스톤(361)이 하향연장되는 경우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내에 권취하기 위해 스프링(330)을 통해 와이퍼(329)가 이동가능하게 접속된다. 상기 와이퍼(329)는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의 환형구성과 일치하는 활형 상면을 가지고서 형성된다.
그리고, 제1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325)에는 상기 와이퍼(329)의 수직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1쌍의 가이드(331,331)가 장착된다.
동작시, 상기 핸들(100)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형테이블(310)상에서 수평으로 장착되고, 이에 제15도에 도시된.클램프(319)의 1쌍의 클램프로드(320,321)가 상호 접근하여 상기 커버재(100)를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3)에 클램프시키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326)의 피스톤(361)이 동작되어 하향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홀더(327)가 하향이동하여 상기 핀처수용부(222)를 코일스프링(228)의 바이어스력에 대해 하향가입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와이퍼(329)는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드스커트(112)가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1)에 결착되도록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에 약간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코일스프링(228)의 바이어스력에 대해 하향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재(100)는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4)으로브터 내주변면(3)까지의 영역에 접착되고, 이때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326)는 상기 피스톤(361)의 하향이동이 정지되도록 로크된다. 이러한 동작 직후에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24)는 상기 피스톤(263)이 하향이동되도록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향가압플레이트(225)와, 스크류볼트(226), 스프링수용플레이트(223), 스토퍼너트(229) 및 스프링수용소자(227)가 하향이동되고, 상기와 같은 하향이동의 중간 지넘에서 상기 하향가압플레이트(225)는 상기 스프링보유부 또는 스프링수용부재(223)를 하향가압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수용소자(223)의 하향가압이동은 상기 1쌍의 슬라이드샤프트(221,221)를 통해 상기 핀처수용부(222)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핀처수용부(222)가 하향이동된다. 이 시점에서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24)는 상기 피스톤(263)이 하향이동되도록 하는 동작을 정지하게 된다. 이 직후에,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326)는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326)의 피스톤(361)이 하향이동되도록 동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329)는 상기 스프링(330)의 바이어스력에 대해 수직으로 그 방위를 변경하게 되고, 그 와이퍼(329)는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드스커트(112)가 하향이동되어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트스커트(112)가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에 권취되는 상태에서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드스커트(112)를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에 가세하여 접착시키게 된다. 이 시점에서 상기 와이퍼홀더(327)는 상기 핀처수용부(222)에 의해 수용되어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326)의 피스톤(361)의 하향이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한 동작후에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326,324)는 각 피스톤(361,263)이 상향이동되도록 동작하게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퍼(329)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한편 상기 하향가압플레이트(225)도 원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1쌍의 슬라이드샤프트(221,221)와 핀처수용부(222) 및 스프링수용부재(223)가 상기 코일스프링(228)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각각의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각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326,224)의 피스톤(361,263)의 동작은 정지된다.
상기한 동작에 의해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3)으로부터 상부면을 통해 내주변면(4)까지 연장되는 핸들(1)의 일부주위에서 커버재(100)의 권취기 완료된다.
이 후에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16)가 활성화되어 상기 출력샤프트(317)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출력샤프트(317)의 회전 이 상기 피니언기어(318),종동기어(312) 및 안내로울러(313)를 통해 환형테이블(310)에 전달되어 환형테이블(310)이 상기 축(311)주의에서 소정각도로 각이동된다. 이러한 상기 환형테이블(310)의 각 이동에 의해 상기 핸들(1)의 주위에 부분적인 권취가 완료된 상기 커버재(100)의 부분이 상기 테이블블록(324)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핸들의 부분적으로 권취된 부분 근방의 핸들(1)의 일부분이 상기 테이블을 록(324)상의 위치에 도달된다. 이때, 상기모터(316)는 비활성화되어 상기 환형테이블(310)의 각이동이 정지되고, 이후 상기한 동작이 반복된다. 이와 같은 동작의 반복에 의해 상기 축(311)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상에서의 커버재(100)의 상부절반부가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의 절반부주위에 권취된다.
이어, 상기 1쌍의 클램프로드(320,321)가 개방되고, 상기핸들(1)이 상기 환형테이블(310)과 테이블블록(309)상에서 전환되며, 상기 1쌍의 클램프로드(320,321)가 상호 닫혀져서 상기한 동작이 반복된다.
따라서, 상기커버재(100)의 수평중심선아래의 하부절반부가 상기 핸들의 외주변면의 나머지 절반부주위에 권취되고,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핸들(1)전체가 상기커버재(100)에 피복된다.
[실시예 3]
제20도 내지 제32도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1) 주위에 상기 커버재(100)를 자동으로 권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자동권취장치(400)가 도시되어 있다.
테이블(407)이 후술하게 될 핸들러세팅지그를 지지하면서 축(411)의 주위에 소정각도로 각이동될 수 있고,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407)은 다음과 같이 배치된다.
즉 L자형 단면구조를 가지면서 환형구조로 형성된 헤드(445)가 제어함(443) 의 상부프레임(444)의 상부면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상기헤드(445)의 내부에는 적정한 수의 볼베어링(446)이 상호 주변적으로 적절하게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관계로 고정장착되고, 상기 헤드(445)와 내접하는 직경을 가지는 가이드플레이트(447)가 상기 볼베어링(44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환형구조로 형성된 테이블본체(448)의 외주변면에는 벨트폴리(449)가 형성된다.
제3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세팅지그(454)는 상기 핸들(1)이 상기외주변면(3)으로부터 상기 핸들(1)의 양 측면(5,6)까지의 영역에서 상기 커버재(100)에 의해 피복되는 상태로 핸들(1)을 수용하게 된다.
제26도와 제2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세팅지그(454)는 다음과 같이 배치되는 바, 즉 상기 테이블본체(448)의 상부면상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환형구조로 형성된 베이스(45)의 상부면의 절반주변부상에는 반원형 구정링(451)이 설치된다(제23도 참조). 상기 베이스 (450)의 상부면의 나머지 절반주변부상에는 반원형 개폐자재링(453)이 설치되는데, 이 개폐자재링(453)은 상기 고정링(451)의 일단근방의 위치에서 핀(452)에 의해 상기 베이스(450) 사이에 피붓적으로 장착된 일단을 갖추고 있고, 상기 개폐자재링(453)의 다른 단은 상기 고정링(451)의 다른 단에 대해 상기 핀(452)주위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및 개폐자재링(451,453)의 다른단상에는 그립레버(455,455)가 각각 설치된다. 또, 상기 개폐자재링(453)의 다른 단이 상기 고정링(451)의 다른 단에 결합되는 상태하에서 상기 개폐자재링(453)의 다른 단을 상기 고정링(451)의 다른 단에 대칭하기 위해 상기 개폐자재링(453)의 다른 단상에 핀(456)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450)의 상호 직경적으로 대향되는 각 위치에는 1쌍의 계합홈(458,458)이 설치되며, 이 1쌍의 계함홈(458,459)에는 각각 1쌍의 위치결정핀(457,457)이 각각 계합될 수 있다(제23도 참조). 또 아이볼트(eyebolt)와 같은 1쌍의 핸들부재(459,359)가 상기 1쌍의 계합홈(458,458)에 각각 인접하는 상기 고정링(451) 및 개폐자재링(453)상에 각각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세팅지그(454)가 상기 제어함(443)상에 장착된 상태하에서 세팅지그(454)를 회전적으로 구동하도록 구동장치(408)가 설치되는데, 이 구동장치(408)는 다음과 같이 배치된다. 즉, 모터브라켓(409)과 실린더 브라켓(410)이 상기 제어함(443)의 이면측의 상부프레임(444)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모터라켓(409)상에는 클러치브레이크모터(411)가 장착되며 이 클러치브레이크모터(411)를 상기 벨트폴리(449)에 대향하는 구동풀리(413)가 고정적으로 장착된 출력회전샤프트(412)를 갖추고 있다. 또, 상기 양풀리(413,449)사이에는 벨트(414)가 통과되면서 그 양 풀리주위에 권취되고, 상기 실린더브라켓(410)상에는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415)가 장착된다.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415)의 피스톤(499)상에는 브레이크슈(brakeshoe ; 416)가 고장장착되어 상기 브레이크슈(416)가 상기 피스톤(499)의 팽창에 따라 상기 테이블(448)의 외주변면에 대해 가세되도록 하여 상기 테이블(448)의 각이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본체(448)상에는 디스크(417)가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그 테이블본체(448)로부터 방사상 외향연장 되고, 또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구멍(418)이 상기 디스크(417)를 통해 형성되어 4도의 각도스페이스만큼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모터브라켓(409)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모터브라켓(410)의 적절한 위치상에는 상기 테이블(407)의 각이동의 원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센서(420)가 장착되고,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센서와 같은 인댁스센서(419)가 상기 관통구멍(418)을 통과하는 광에 따라 상기 테이블(407)의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실린더브라켓(410)의 적절한 위치상에 장착된다. 다시 제20도를 참조하면, 1쌍의 권취장치(421,421)가 상기 테이블(407)의 좌.우측근방의 위치에서 각각 상기 제어함(443)의 상부 프레임(444)상에 장착되는데, 각 권취장치(421,421)는 다음과 같이 배설된다. 즉, 상기 테이블(407)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을 따라 슬라이드이동하도록 지지된 슬라이드베이스(432) 상에 직립 프레임(423)이 고정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423)의 상부에는 미세로크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426)가 장착된다. 이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426)는 상기 핸들세팅지그(454)에 세트된 핸들(1)의 내주변면(4)근방의 위치를 통과하는 수직선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497)을 갖추고 있고, 가이드(424)상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슬라이드플레이트(425)가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426)의 피스톤(497)에 접속되며,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425)상에는 와이퍼흘더(427)가 고정장착 된다.
또, 상기 와이퍼홀더(427)의 하향이동시 상기 핸들(1)의 상부측면(6)으로부터 방사상 내향연장되는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드스커트(112)를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4)에 권취하기 위해 와이퍼(429)가 압축스프링(430A)과 단성스프링(430B; 제28도 참조)를 통해 상기 와이퍼홀더(427)에 접속된다. 상기 와이퍼(429)는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의 환형 구조에 따르는 만곡면을 갖고서 형성된다.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조정장치(431,431)가 상기 핸들(1)의 내경치수에 따라 상기 권취장치(421,421)의 각 와이퍼(429,429)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설치되는데, 각 조정장치(431,431)는 다음과 같이 배설된다. 즉, 상기 슬라이드베이스(422)의 슬라이드방향에서 상기 슬라이드베이스(422)아래의 위치에 볼스크류(460)가 장착되는 바, 이 볼스크류(460)는 상기 슬라이드베이스(422)에 접속되는 동시에 하향연장되는 볼스큐류너트연결블록(461)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볼스큐류(460)의 후단에는 핸들휠(462)이 연결된다. 또, 상기 슬라이드베이스(422)근방의 위치상에는 상기 와이퍼(429)가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권취장치(421)의 위치가 조정된 직후 상기 슬라이드베이스(422)를 고정하기 위해 클램프레버(463)가 장차된다.
이어,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슬라이드샤프트(221,221)의 상단상에는 상기 와이퍼홀더(427)를 수용하기 위해 스토퍼플레이트(433)가 고정장착 되는데, 이 스토퍼플레이트(433)는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의 환형구조에 따른 환형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23)상에 고정장착된 스위치함(464)에 스타트스위치(465)와 비상스톱스위치(466)가 포함된다.
동작시 상기 제35도에 도시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재(10)의 러그(14)와 동일한 커버재의 러그가 상기 핸들(1)의 스포크(8)에 각각 일시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핸들세팅지그(454)의 개폐자재링(453)이 상기 고정링(451)으로부터 먼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핸들(1)이 상기 베이스(450)상에 장착된다. 이어, 상기 개폐자재링(453)이 상기 고정링(451)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커버재(100)를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에 클램프하게 되고, 상기 러그를 제외한 상기 커버재의 양측면에지는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에 일시 고착될 수 있다.
상기한 방식으로 상기 핸들(1)과 커버재(100)가 세트되는 상기 핸들세팅지그(454)가 상기 핸들(407)의 각이동시의 원위치에 이미 위치한 상기 테이블(407)의 상기테이블본체(448)상에 장착되고, 상기 계합홈(458,458)이 상기 핀(457,457)과 각각 계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핸들세팅지그(454)가 위치결정된다. 계속해서, 상기 핸들휠(462)이 동작되어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의 길이에 따라 상기 각권취장치(421,421)의 위치를 조정해 주고, 상기 권취장치(421,421)는 상기 각 클림프레버(463,463)에 의해 상기 조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함(464)의 스타트스위치는 턴온동작이 동작이 수행되고, 이어 상기 각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426,426)의 피스톤(497,497)이 동작되어 상기 권취장치(421,421)에 대한 슬라이드플레이트(425)를 하향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3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권취장치(421,421)의 와이퍼홀더(427)가 하향이동되어 상기 코일스프링(228)의 바이어스력에 대해 상기 스토퍼플레이트(433)를 하향가세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와이퍼(429)는 상기 핸들(1)의 상부측면(6)으로부터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에 약간 접근한 위치에서 하향이동된다. 상기 와이퍼(429)는 상기 각 스프링(430A,430A)의 방이어스력에 대해 경사진 상태 및 상기 상부 사이드스커트(112)가 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1)에 대해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드스커트(112)를 가세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로 상기 커버재(100) 상기 외주변면(3)으로부터 상기 상부측면(6)을 향해 상기 핸들(1)의 일부에 접착되고, 이때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426)는 상기피스톤(497)의 하향이동동작이 정지되도록 로크된다.
이러한 동작후에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24)가 동작되어 상기 피스톤(263)이 상기 하향가압플레이트(225)를 하향이동시키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제3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향가압플레이트(225)가 상기 스프링수용플레이트(223)를 하향가압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수용플레이트(223)의 이동은 상기 슬라이드샤프트(221,221)를 통해 상기 스토퍼플레이트(433)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토퍼플레이트(433)가 하향이동된다. 상기 스프링수용플레이트(223)가 상기 스토퍼너트(229)에 접촉되는 시점에거 상기한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24)의 피스톤(263)의 이동은 정지된다.
이 후에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426)의 피스톤(497)이 동작되어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425)를 더 하향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3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429)는 그 방위각이 상기 각 스프링(430A,430B)의 바이어스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더 변화하게 된다. 또 상기 와이퍼(429)는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드스커트(112)를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에 권취하면서 하향이동되므로 상기 커버재(100)의 상부 사이드스커트(112)가 상기 핸들(1)의 내주변면(4)에 가세되어 접착된다. 이때, 상기 와이퍼홀더(427)는 상기 스토퍼플레이트(433)에 의해 수용되고, 상기한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426)의 동작은 정지된다. 이후,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426)가 동작되어(497)이 상기 슬라이드플레이트(425)를 상향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224)가 동작되어 상기 피스톤(263)이 상기 하향가압플레이트(225)를 상향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429)가 원위치로 복귀됨가 더불어, 상기 하향가압플레이트(225)가 원위치로 복귀되며, 상기 슬라이드샤프트(221,221)와 상기 스토퍼플레이트(433) 및 스프링수용플레이트(223)는 각각의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때 상기 각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426,224)의 동작이 정지된다.
상기한 동작에 의해 상기 권취장치(41,421)에 각각 대응하면서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3)으로부터 상기 상부측면(6)을 통해 상기 내주변면(4)까지는 연장되는 부분주위에서 상기 커버재(100)의 권취가 완료된다.
이후, 상기 모터(411)의 클러치가 동작되어 그 회전이 회전샤프트(412)에 전달되고, 또 그 회전은 상기구동풀리(431)와 벨트(414) 및 벨트폴리(449)를 통해 상기 테이블본체(448)에 전달된다. 이어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415)가 동작되어 상기 피스톤(499)를 통해 상기 테이블본체(448)의 외주변면으로부터 브레이크슈(416)를 해방시킨다. 따라서, 상기 테이블(407)이 상기 축(411)주위에서 각이동되는 바, 상기 테이블(407)이 소정각도로 각이동되는 경우, 즉 상기 테이블(407)이 상기 하나이상의 관통구멍(418)에 걸쳐 각이동되는 경우 상기 인덱스센서(419)가 상기 디스크(417)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418)의 대응하는 구멍을 통과하는 광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 검출신호에 의해 모터(411)에 대한 제동이 이루어지므로 상기출력 회전샤프트(412)에 대한 회전전달이 차단된다. 또, 상기 피스톤/실린더어셈불리(415)가 동작하여 상기 피스톤(499)이 상기 테이블본체(448)의 외주변면에 대해 상기 브레이크플레이트(416)를 가세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테이블(407)은 상기 각회전위치에 상기 축(411) 주위에서의 각이동을 중지하게 된다. 상기 테이블(407)의 각이동에 의해 상기한 커버재(100)의 부분적으로 권취된 부분들이 각각 상기 권취장치(421,421)의 외부로 각이동되고, 상기 커버재(100)의 후속부분들이 각각 상기 권취장치(421,421)의 바로 아래의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후, 상기 각 권취장치(421,421)는 상기한 순서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바, 상기 핸들(1)의 스포크중 2개가 상기 권취장치(421,421) 바로 아래의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각 권취장치(421,421)는 상기한 순서동작을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동작이 자동반복되는데, 상기 테이블(407)이 상기 축(411)주워에서 180도 각이동되는 경우 상기 각 권취장치(421)의 동작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재의 수평중심선상의 상부절반부가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의 절반부상에 권취된다.
이어, 상기 개폐자재링(453)이 상기 고정링(451)으로부터 먼방향으로 피붓되고, 상기 핸들(1)이 상기 핸들세팅지그(454)상에서 전향되며, 이어 상기 개폐자재링(453)이 재차 상기 고정링(451)을 향해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한 동작이 자동으로 반복되고, 상기 테이블(407)이 180도로 더 각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센서(420)는 상기 테이블(40)의 원위치로의 복귀를 검출하여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 신호에 따라 상기 각 권취장치(421,421)의 동작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중심선아래의 커버재(100)의 하부절반부가 상기 핸들(1)의 외주변면의 나머지 절반부주위에 권취되고, 이러한 방삭으로 상기 핸들(1)자체가 상기 커버재(100)로 피복된다.
상기한 제3실시예에서는 3이상의 권취장치(421)가 상기 테이블(407)의 베이스(450)를 따라 상부프레임(444)상에 장착되어 적절한 각 스페이싱으로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권취장치(421,421)는 동기적으로 동작하거나 시산지연을 가지고서 동작될 수 있다. 또, 스토퍼너트(229)를 제공하는 대신 제3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너트(440A)를 상기 스프링수용부재(227)의 하부의 주변면과 나사결합시키고, 상기 스토퍼너트(440A)를 수직으로 피치이동시켜 상기 코일스프링(228)의 바이어스력을 조정하며, 스페이스조정너트(440B)를 상기 스프링수용소자(227)의 상부 외주변면과 나사결합시키고, 상기 스프링수용플레이트(223) 및 스페이스조정너트(440B)상이의 스페이스(230)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Claims (38)

  1. 축과 이 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면에서 내주변면 및 외주변면을 갖추고 있으면서 상기 내주변면과 외주변면을 상호 연결하는 1쌍의 사이드스커트를 갖춘 운송수단의 핸들주변에다 제1면에서의 주변길이가 상기 핸들의 외주변면의 주변길이와 대체로 일치하는 환형스트립체와 이 환형스트립체의 양측면에 지로부터 각각 방사상 내향연장되면서 상기 환형스트립체와 상호 공동작용하여 상기 핸들이 고착될 수 있는 환형스페이스를 형성하는 1쌍의 사이드스커트를 갖춘 커버재를 자동으로 권취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재로 피복된 상기 핸들을 제1면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과, 상기 커버재의 상기 환형스트립체를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핸들의 외주변면에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프수단 및. 상기 핸들의 내주변면에 대해 상기 1쌍의 사이드스커트중 어느 한쪽을 가세하기 위한 와이퍼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사이드스커트중 한쪽의 스커트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면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수용수단과, 상기 제2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면서 상기 수용수단과의 사이에 상기 한쪽 사이드스커트를 클램프하는 핀처 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핀처수단은 상기 한쪽의 사이드스커트가 상기 핸들의 내주변면에서 권취되는 위치로 상기 수용수단과 더불어 이동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제1면에서 상기 핸들과 대체로 일치하는 원을 따라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관계로 배치된 다수의 지지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지지테이블과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위치결정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위치결정플레이트는 상기 핸들의 외주변면의 주변길이에 따라 상기 원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6. 제1하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수단은 피스톤을 갖춘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와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에 장착된 프레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제1면에서 상기 핸들과 대체로 일치하는 원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원을 향해 이동되는 경우 상기 프레서는 상기 커버재의 환형스트립.체를 상기 핸들의 외주변면에 대해 가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처수단은 피스톤을 구비한 피스톤/실린더어셈불리와 상기 피스톤의 자유단상에 장착된 핀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스통는 제1면에서 상기 핸들과 대체로 일치하는 원에 대해 상기 제2면과 나란한 관계로 연장되는 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수단을 상기 핀처수단에 접속해 주는 스프링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처수단과 상기 와이퍼수단은 각각 상기 핸들의 내주변면을 따라 만곡된 면을 갖추고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은 상기 핸들의 내주변면을 따라 만곡된면을 갖추고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은 피스톤을 갖춘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와 이 피스톤/실린더어셈블리의 상기 피스톤에 접속되어 상기 커버재의 한쪽 사이드스커트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수용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은 상기 수용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커버재의 한쪽 사이드스커트의 한쪽 측면에 대해 상기 수용플레이트를 바이어스하기 위한 스프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수단은 상기 한쪽 사이드스커트의 일부를 제외한 상기 커버재의 한쪽사이드스커트를 상기 핸들의 내주변면에 가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 접속되어 그 지지수단을 상기 제1면에서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수단은 상기 핸들의 전체 외주변면을 따라 상기 커버재를 그 핸들에 클램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제1면에서 상기 핸들과 대체로 일치하는 원을 따라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관계로 고정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테이블블록과, 이 테이블블록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축 주위에서 각이동을 함과 더불어 종동기어치가 형성된 주변면을 갖춘 환형테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구동수단은 출력샤프트를 갖춘 모터와 상기 출력샤프트상에 장착되어 그 출력샤프트와 함께 상기 종동기어치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을 따라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한편 상기 환형테이블의 외주변면과 접촉되어 배설된 다수의 안내로울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로울러는 각각 상기 테이블블록상에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수단은 상기 제1면에 배설된 1쌍의 반원형 클램프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1쌍의 반원형 클램프로드는 상호 상기 원을 형성하도록 작용하면서, 일단이 상기 환형테이블에 접속됨과 더불어 다른 단이 상호 작용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과 상기 클램프수단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제1면에서 상기 커버재에의해 피복된 상기 핸들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핸들 커버재의 환형스트립체를 상기 핸들의 외주변면에 클램핑하는 핸들세팅수단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핸들세팅수단은 상기 커버재를 상기 핸들의 전체 외주변면을 따라 상기 핸들에 클램프해주며, 그 핸들세팅수단은 상기 핸들의 축주위에서 각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장치에는 상기 핸들세팅수단을 상기 핸들의 상기 축주위에서 회전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와이퍼수단에는 상기 커버재의 한쪽 사이드스커트가 상기 핸들의 내주변면까지 권취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면서, 상기 커버재의 한쪽 사이드스커트가 상기 핸들의 내주변면에 가세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다수의 권취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핸들과 대체로 일치하는 원을 따라 배설됨과 더불어 제1면에서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관계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치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내주변면의 길이를 따라 상기 원에 대해 각 권취장치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주정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세팅수단은 상기 커버재가 상기 핸들의 외주변면에 클램프되는 상태로 상기 핸들을 세팅하기 위한 테이블 및 세팅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세팅수단은 테이블상에서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재를 상기 핸들에 대해 일시 고착하기 위한 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대체로 그 핸들의 내주변면으로부터 그 핸들의 축을 향해 방사상 내향연장되는 다수의 스포크를 구비하게 되고,상기 각 사이드스커트는 그 사이드스커트의 방사상 내향에지로부터 방사상 내향연장되어 상기 핸들의 스포크주위에 각각 권취되어지는 다수의 러그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홈이 형성된 주변면을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출력샤프트를 갖춘 모터와, 상기 출력샤프트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벨트폴리 및, 상기 테이블과 상기 벨트풀리의 외주변면에서 상기 홈주위를 주행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세팅수단은 반원형 고정링과, 상기 테이블에 피붓적으로 장착된 일단과 상기 반원형 고정리에 대해 이동가능한 다른 단을 갖춘 반원형 이동자재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테이블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테이블의 외주변면에 대해 가세되어 상기 테이블의 각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로부터 방사상 외향연장되는 디스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는 소정간격으로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각이동 원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는광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의 각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인덱스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각 권취장치에는 상기 한쪽 사이드스커트를 상기 핸들의 내주변면에 바이어스하기 위한압축 및 신장스프링수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33. 축과 이 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면에서 내주변면 및 외주변면을 갖추고 있으면서 상기 내주변면과 외주변면을 상호 연결하는 1쌍의 사이드스커트를 갖추고 상기 내주변면과 외주변면을 따라 어느일측면에 형성되어 오퍼레이터의 양손의 손가락이 접촉될 수 있는 다수의 요부를 갖춘 운송수단의 핸들주변에다 제1면에서의 주변길이가 상기 핸들의 외주변면의 주변길이와 대체로 일치하는 환형스트립체와 이 환형스트립체의 양측면에지로부터 각각 방사상 내향연장되면서 상기 환형스트립체와 상호 공동작용하여 상기 핸들이 고착될 수 있는 환형스페이스를 형성하는 1쌍의 사이드스커트를 갖춘 커버재를 자동으로 권취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1쌍의 사이드스커트의 자유에지가 상기 핸들의 내주변면에서 8상호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핸들을 커버재로 피복되는 단계와; (b) 상기 커버재의 한쪽 사이드스커트가 그 한쪽 사이드스커트의 자유에지로부터 상기 요부근방의 위치까지 상기 핸들의 주위 권취되는 상태에서 상기 커버재의 1쌍의 사이드스커트의 어느 한쪽을 상기 핸들에 접착하는 단계 및, (c) 상기 핸들의 각 요부의 요면에 따르는 가세면을 갖춘 가세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커버재의 다른쪽 사이드스커트의 각 비접착부를 가세방향을 따라 상기 요부중 대응하는 요부에 가세함으로써 상기 비접착부를 요부에 접착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커버재의 자동권취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자동권치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가세공구에는 나선형 스프링의 외주변면에 의해 형성된 가세면을 갖춘 회전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스프링은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방법.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가세공구가 상기 비접합부를 요부에 가세하는 상태에서 상기 가세공구가 그축 주위를 회전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장치.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가세공구는 20 내지 30RPM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커버재의 자동권취방법.
KR1019910015867A 1990-09-11 1991-09-11 핸들커버재의 자동권취방법과 장치 KR950012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39027A JPH04122284A (ja) 1990-09-11 1990-09-11 自動車用ハンドルの自動革巻き機
JP????2-239027 1990-09-11
JP2-239027 1990-09-11
JP????2-272191 1990-10-12
JP2-272191 1990-10-12
JP2272191A JPH04150889A (ja) 1990-10-12 1990-10-12 自動車用ハンドルの自動革巻き機
JP2-312926 1990-11-20
JP????2-312926 1990-11-20
JP31292690A JPH0710669B2 (ja) 1990-11-20 1990-11-20 自動車用ハンドルの革巻き方法
JP2-330207 1990-11-30
JP????2-330207 1990-11-30
JP33020790 1990-11-30
JP3175742A JP2524264B2 (ja) 1990-11-30 1991-06-21 自動車用ハンドルの自動革巻き機
JP3-175742 1991-06-21
JP????3-175742 1991-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198A KR920006198A (ko) 1992-04-27
KR950012374B1 true KR950012374B1 (ko) 1995-10-17

Family

ID=2752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867A KR950012374B1 (ko) 1990-09-11 1991-09-11 핸들커버재의 자동권취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40547A (ko)
KR (1) KR950012374B1 (ko)
DE (1) DE4130198C2 (ko)
FR (1) FR2666556B1 (ko)
GB (1) GB2248286B (ko)
IT (1) IT12513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9410A1 (en) * 2005-08-19 2007-02-22 Takata-Petri Inc. Wrapped steering wheel and method
KR20090111905A (ko) * 2008-04-23 2009-10-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의 가죽커버 조립방법
EP2511153A1 (en) * 2011-04-06 2012-10-17 Autoliv Development AB A Steering Wheel
DE102017218591A1 (de) 2017-10-18 2019-04-1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kleideten Lenkrads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815263U1 (de) * 1979-10-25 Bauer, Gerhard, 7500 Karlsruhe Leder-Lenkradhülle
DE437091C (de) * 1925-09-15 1927-03-17 Otto Frede Bekleidung fuer Lenkhandraeder von Kraftfahrzeugen
GB1121429A (en) * 1967-05-06 1968-07-24 Stuart Madeley Ltd A method of securing a cover to the rim of a motor vehicle steering wheel
US4174988A (en) * 1976-01-30 1979-11-20 Chivas Product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added straps
US4539065A (en) * 1983-05-09 1985-09-03 Schmitt Karl Heinz Application of surfacing sheets to support members therefor
US4620354A (en) * 1985-05-28 1986-11-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applying weatherstrip to a vehicle body opening
US4704182A (en) * 1985-07-02 1987-11-03 Venturetech Enterprises, Inc. Press for applying an overlay
US4704183A (en) * 1985-07-02 1987-11-03 Venturetech Enterprises, Inc. Overlay applying pr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40547A (en) 1993-08-31
IT1251302B (it) 1995-05-08
DE4130198C2 (de) 1998-10-15
GB2248286B (en) 1994-08-17
ITMI912403A0 (it) 1991-09-11
DE4130198A1 (de) 1992-04-02
GB2248286A (en) 1992-04-01
ITMI912403A1 (it) 1992-03-12
GB9119035D0 (en) 1991-10-23
FR2666556A1 (fr) 1992-03-13
FR2666556B1 (fr) 1994-05-20
KR920006198A (ko) 199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91114A (ja) 自動丸梱包装機
KR950012374B1 (ko) 핸들커버재의 자동권취방법과 장치
JPH09190988A (ja) シートの引き伸し装置
US4724873A (en) Tire bead wire forming apparatus
JPH06325694A (ja) 自動クランプ装置
EP0749788B1 (en) Fast feeder unit for an automatic machine for machining the cylindrical surface of bottle closure caps
US4922595A (en) Turret head unit
US4002129A (en) Clamping apparatus for automatic sewing machine
JPS62251026A (ja) 止め輪の自動插入装置
JPH04135110A (ja) 工作物把持機構
JPH0120930B2 (ko)
JP3212003B2 (ja) ペレットボンディング装置のウエハステージ
CA2053406C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wrapping cover material about steering wheel
JP2564081Y2 (ja) パイプ面取加工装置
CN112027151B (zh) 一种定心包装机
JPS5935719B2 (ja) 可搬式摩擦圧接機
US4952269A (en) Automatic clamp adjuster
JP2002154501A (ja) バンド掛け梱包機におけるコントロール装置
JP3828006B2 (ja) 巻取り装置
JPH0737785Y2 (ja) 切断機における束ねバイス装置
JPS6140430Y2 (ko)
JPS6320643B2 (ko)
JPH0357377Y2 (ko)
JP2580355Y2 (ja) ワークの位置決め装置
JPH0718483Y2 (ja) 研削盤用ワークド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