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047B1 - 이온전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이온전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047B1
KR950009047B1 KR1019910017436A KR910017436A KR950009047B1 KR 950009047 B1 KR950009047 B1 KR 950009047B1 KR 1019910017436 A KR1019910017436 A KR 1019910017436A KR 910017436 A KR910017436 A KR 910017436A KR 950009047 B1 KR950009047 B1 KR 950009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voltage
ion current
coil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8337A (ko
Inventor
마사유키 이케우치
시게미 무라카미
도시오 이와타
도시오 오자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6511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4346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7210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480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32424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91466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8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00Testing of ignition installations, e.g. in combination with adjusting;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12Testing characteristics of the spark, ignition voltage or 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00Testing of ignition installations, e.g. in combination with adjusting;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12Testing characteristics of the spark, ignition voltage or current
    • F02P2017/125Measuring ionisation of combustion gas, e.g. by using igni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온전류 검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동작설명을 위한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동작설명을 위한 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파형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의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7a도는 제6도 실시예의 방전전류 경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7b도는 제6도 실시예의 이온전류 경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7c도는 제6도 실시예의 컨덴서 충전전류 경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8도는 제6도 실시예의 동작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
제9도 내지 제12도는 본 제3의 발명의 각각 상이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13도는 종래의 이온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14도는 다른 종래의 이온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15도 및 제16도는 제14도의 동작설명을 돕기 위한 파형도.
제17도는 다른 종래의 이온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점화시기 컨트롤 유닛 5, 203 : 점화플러그
6 : 이온전류 검출용 다이오드 11 : 비교기
20 : 이온전류 검출전원부 111 : 이온전류 검출유닛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온전류검출부의 개선을 도모한 내연기관용 점화장치의 이온전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3도는 종래의 이온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1은 내연기관의 회전과 동기되어 상기 내연기관에 있어서의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의 점화하시기 컨트롤유닛, 2는 파워트랜지스터, 3은 점화코일, 4는 역류방지용 다이오드, 5는 점화플러그이다. 점화코일(3)의 1차측은 파워트랜지스터(2)의 컬렉터 애미터를 통해서 접지되고, 파워트랜지스터(2)의 베이스는 컨트롤유닛(1)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점화코일(3)의 2차측은 반대방향으로 접속된 다이오드(4)를 통해서 점화플러그(5)에 접속되어 있다. 점화플러그(5)는 또 이온전류 검출용 다이오드(6) 및 저항기(7)을 통해서 직류전원(8)의 마이너스 전극에 접속된다.
저항기(7)과 직류전원(8)에 대해 병렬로 컨덴서(9)와 저항기(10)이 직렬접속되어 있다. 컨덴서(9)와 저항기(10)의 접속점이 비교기(11)의 한쪽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비교기(11)의 다른쪽 입력단자에 기준전압이 주어진다.
비교기(11)의 출력신호는 이온전류 검출출력으로서 외부에 출력된다. 또, 6∼11은 내연기관에 있어서의 연료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 즉 이온전류 검출부를 구성한다.
또, 12는 내연기관의 실린더, 13은 내연기관의 피스턴, 14는 피스턴로드, 15는 크랜크샤프트, 16은 내연기관의 회전과 동기되어 소정의 간격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기이고, 이 신호발생기(16)으로부터 나오는 신호는 컨트롤 유닛(1)에 공급된다.
다음에는, 제13도에 나타나 있는 종래의 이온전류 검출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지금, 통상의 운전상태에 있어서는 신호발생기(16)에서 일정주기로 발생되는 신호에 동기되어 컨트롤유닛(1)에 의해 파워트랜지스터(2)가 제어되어 오프(OFF)로 되고, 이에 의해 점화코일(3)의 1차측에 역기전압이 발생함과 동시에 그 2차측에 마이너스의 고전압이 발생하고, 점화플러그(5)가 점화된다.
점화플러그(5)의 점화에 의해 실린더(15) 내의 혼합기가 연소하면, 이온전류가 발생하고, 이것이 다이오드(6)에서 검출되고, 비교기(11)의 입력측에 공급되어 기준전압과 비교되고, 이온전류 검출출력으로서 인출된다.
제14도는 종래의 다른 이온전류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101은 점화코일, 102는 이 점화코일(101)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치 소자로서의 파워트랜지스터, 103은 점화시기제어 등을 행하는 컴퓨터유닛, 104는 점화코일 부착용 나사, 105는 엔진블록, 106은 이온전류 검출용 다이오드, 107은 신호인출용 다이오드 어셈블리, 108은 이 다이오드 어셈블리(107)에 접속된 점화플러그, 109는 피스턴을 이동가능하게 내장하고 점화플러그(108)이 일부 돌출되게 부착된 엔진의 연소실, 110은 엔진의 회전을 검출하는 시그널 제너레이터, 111은 이온전류 검출용 다이오드(106)에 접속된 이온 전류 검출유닛, 112는 이 이온전류 검출유닛(111)에 포함되어 있는 검출신호처리부, 113은 점화코일(101)의 2차측에 발생하는 점화용 마이너스의 고전압, 114는 이온전류 검출유닛(111)에 포함된 이온전류 검출용 마이너스전압 발생부, 115는 이온전류 경로, 116은 이온전류 검출유닛(111)의 출력측에 생기는 검출신호, 117은 점화코일(101)의 1차측전압, 118은 점화코일(101)가 파워트랜지스터(102)를 연결시키는 복수의 결선, 119는 컨덴서, 120은 저항기, 121은 컨덴서, 122, 123은 다이오드이고, 119∼123은 상기 이온전류 검출용 마이너스전압 발생부(114)를 구성한다.
다음에는, 제14도에 나타나 있는 종래의 이온전류 검출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점화시기에 컴퓨터유닛(103)에서 발생한 신호에 의해 파워트랜지스터(102)는 점화 코일(101)을 구동시키는 스위치소자로서 작용한다. 이때 점화코일(101)의 2차측에는 마이너스의 고전압(113)이 발생하고 이 고전압은 다이오드 어셈블리(107)을 통해서 점화플러그(108)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서 연소실(109)내의 혼합가스가 착화된다.
이때 고전압(113)은 마이너스이므로 이온전류 검출유닛(111)에 대해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연소시에 연소실(109)내에서 이온이 발생하면, 마이너스 전압 발생부(114)에 의해 마이너스전압으로 바이어스되고 있으므로, 이온전류 검출유닛(111)에는 이온전류경로(115)를 통해서 이온전류가 흐르고, 검출신호처리부(112)에서 이온전류 검출신호로서 처리되어 컴퓨터유닛(103)으로 전송된다. 컴퓨터유닛(103)에서는 시그널 제너레이터(110)가 기관의 회전각을 검출하고 있으므로, 각 기통들이 정상적으로 연소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신호(116)에 의해 알 수 있다. 또, 마이너스전압 발생부(114)의 마이너스 전압은 점화코일(101)의 1차측 전압에 의해 발생되게 된다.
즉 컴퓨터유닛(103)에 의해 파워트랜지스터(102)가 제어되어 오프되고, 이에 의해 점화코일(101)의 1차측에 제15(a)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플러스의 전압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어 이 전압이 미분회로로서 작용하는 저항기(120) 및 컨덴서(121)을 통해서 접속점 B로 공급되고, 여기서 제15(b)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전압이 얻어진다. 그리하여 이 전압이 다이오드(123)를 통해서 컨덴서(119)에 공급되면 접속점 C에 있어서는 제15(c)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전압-Vo가 얻어진다. 이 전압이 이온검출용의 마이너스 직류원형으로서 작용하고, 전용(專用)의 마이너스 직류전원을 갖출 필요가 없게 된다.
제17도는 또 다른 종래의 이온전류 검출장치의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201은 1차코일(201a)와 2차코일(201b)를 갖고 있는 점화코일, 202는 1차코일(201a)에 접속되고 1차전류를 단속시키는 파워트랜지스터, 203은 2차코일(201b)에 접속되고 점화용 고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내연기관의 혼합가스를 착화시키는 점화플러그, 204는 점화플러그(203)에 대해 플러스극성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바이어스 수단으로서의 전원, 205는 전원(204)에 대해서 직렬로 접속되고, 이온전류를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저항, 206은 저항(205)에 발생하는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출력단자이고, 저항(205)와 함께 이온전류 검출수단을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것에 있어서는, 내연기관의 회전과 동기되어 소정의 시기에 파워 트랜지스터(202)가 온(ON)되고, 점화시기에 파워트랜지스터(202)가 오프된다. 파워트랜지스터(202)의 오프에 의해 1차권선(201a)의 1차전류가 차단되면, 2차권선(201b)에 마이너스극성의 점화용 고전압이 발생하여 점화플러그(203)의 전극사이에 방전을 발생시키고 내연기관의 혼합가스를 착화시킨다.
이때, 혼합가스의 연소에 따라 전리작용이 발생하고 이온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점화플러그(203)의 전극은 상술한 방전후에 이온전류 검출용 전극으로 작용하고, 전원(204)의 플러스극성 바이어스에 의한 전자의 이동에 의해 이온전류가 흐른다. 이 이온전류의 발생에 의해 출력단자(206)에 발생하는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혼합가스의 연소를 확인할 수 있다.
종래에 내연기관용 점화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여기서는 이온전류 검출전원부로서 직류전원(8)이 설명의 편의상 사용되고 있으나, 이 전압은 대략 약 -200V이고 실제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차량탑재용으로서 실현되지 못하고 있으며, 실험등에 있어서는 일부러 큰 정전압된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고, 빠른 장래에 차량탑재용 이온전류 검출전원부의 실현이 요망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다른 이온전류 검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제16도에 의해, 제1∼제n기통까지의 결선(118)에 있어서의 전압상태와 마이너스전압 발생부(114)에서의 검출용 마이너스의 바이어스 전압이 발생상황을 알 수 있으나, 이 제16도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기통의 1차전압 발생 후, 이 전압이 컨덴서(119)에 충전되기 때문에, 제1기통이 연소시에는 충분한 마이너스의 바이어스전압 -V1이 발생한다. 그런데, 다른 기통 예를 들면 제n기통에 있어서는 방전되고 있으므로 저레벨의 마이너스의 바이어스 전압 -Vn밖에 발생되지 않고, 이 때문에 제n기통에서 발생하는 이온 전류 레벨이 저하하고, 신뢰도가 낮은 신호밖에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이온전류 검출장치는 전원이 통상 약 50∼300V 필요하고, 배터리 전압을 DC-DC 컨버터 등으로 승압시키는 수단이 사용되나, 이러기 위해서는 변압기가 필요하고, 장치가 대형화되고, 중량도 커지며, 또 고가로 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차량탑재용 이온전류 검출전원부를 용이하게 실현시키는 이온전류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기통간에 이온전류 검출신호의 신뢰도의 변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온 전류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소형, 경량, 저렴한 이온전류 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에 관한 이온전류 검출장치는 내연기관의 회전에 동기되어 상기 내연기관에 있어서의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내연기관에 있어서의 연소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과 점화코일의 1차측에 접속되고, 상기 검출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갖춘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에 관한 이온전류 검출장치는 내연기관의 연소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복수기통의 각각의 기통에 대응한 점화코일과, 이 점화코일의 각각에 대응해서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치소자와, 상기 점화코일과 상기 스위치소자간을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복수의 결선을 갖추고, 이 결선중에서 2줄 이상으로 상기 검출수단의 전원용 전압을 취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발명에 관한 이온전류 검출장치는 1차코일에 발생하는 전압에 의해 충전되고, 이 충전 전압에 의해 상기 점화플러그에 대해서 플러스극성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컨덴서를 갖춘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에 있어서는, 이온전류 검출용 직류전원을 점화코일의 1차측에서 취한다. 이에 의해 차량탑재용 이온전류 검출전원부를 실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에 있어서는, 검출수단의 전원용 전압을 결선주의 2줄이상에서 취하도록 해서, 검출수단에서의 발생전압의 기통간의 변동을 저감시킨다.
본 발명의 제3의 발명에 있어서는 컨덴서는, 1차코일에 발생하는 전압에 의해 충분한 전압까지 충전되고, 이 충전전압에 의해 상기 점화플러그에 대해 플러스극성의 바이어스전압을 인가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1∼7, 9∼16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항기(7)과 점화코일(3)의 1차측 사이에 이온전류 검출전원부(20)을 설치한다. 즉, 저항기(7)의 1차측을 다이오드(21), 컨덴서(22) 및 저항기(23)을 통해서 점화코일(3)의 1차측과 파워트랜지스터(2)의 컬렉터의 접속점 A에 접속하고, 다이오드(21)의 개소드와 컨덴서(22)의 접속점 B와 대지사이에 다이오드(24)를 접속하고, 저항기(7)과 다이오드(21)의 애노드와의 접속점 C와 대지사이에 컨덴서(25)를 접속시킨다.
다음에는, 제1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동작에 관해서 제2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이온전류 검출출력이 얻어지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 신호발생기(16)으로부터 일정주기로 발생되는 신호에 동기되어 컨트롤유닛(1)로부터 파워트랜지스터(2)가 제어되어 오프되고, 이에 따라 점화코일(3)의 1차측에 제2도(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플러스의 전압이 발생하는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 이 전압이 미분회로로서 작용하는 저항기(23) 및 컨덴서(22)를 통해서 접속점 B에 공급되고, 여기에 제2도(b)에 나타나 있는 전압이 나타난다. 그리하여 이 전압이 다이오드(21)를 통해서 컨덴서(25)에 공급되면 접속점 C에는 제2도(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전압 -Vo가 얻어진다.
이 전압이 이온검출용의 직류전원으로 역할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관해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101∼119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점화코일(101)과 파워트랜지스터(102)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복수의 결선(118)중 2줄 이상에서 이온전류 검출유닛(111)의 전원전압을 취한다. 즉, 마이너스전압 발생부(114)를 구성하는 컨덴서(119)∼다이오드(123)중에서, 컨덴서(119)를 공통으로 하고 다른 부품 즉, 저항기(120)에서 다이오드(123)까지를 각 기통마다 설치한다.
그리하여, 접속점 A1을 리드선(124)을 통해서 저항기(1201)으로 접속시키고, 접속점 A2을 리드선(124n)을 통해서 저항기(1202)으로 접속시키며, 접속점 An을 리드선(124n)을 통해서 저항기(120n)으로 접속시킨다.
다음에는 제3도에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점화시기에 컴퓨터유닛(103)으로부터 발생된 신호에 의해 파워트랜지스터(102)는 점화코일(101)을 구동시키는 스위치소자로서 작용한다. 이때 점화코일(101)의 2차측에서는 마이너스의 고전압(113)이 발생하고, 이 고전압이 다이오드 어셈블리(107)를 통해서 점화플러그(108)으로 공급되고, 이에 의해서 연소실(109)내의 혼합가스가 착화된다. 이때 고전압(113)은 마이너스 극성이므로 이온전류 검출유닛(111)에는 아무 영향을 주지 않는다. 연소실(109) 내에서 이온이 발생하면, 마이너스전압 발생부(114)에 있어서 마이너스전압으로 바이어스되어 있으므로, 이온전류 검출유닛(111)에는 이온전류경로(115)를 통해서 이온전류가 흐르고, 검출신호처리부(112)에서 이온전류 검출신호로서 처리되고, 컴퓨터유닛(103)으로 전송된다. 컴퓨터유닛(103)에서는 시그널 제너레이터(110)에서 기관의 회전각을 검출하고 있으므로, 각 기통내에서 정상적으로 연소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가 검출신호(116)에 의해 알 수 있다.
또, 마이너스 전압 발생부(114)의 마이너스전압은 점화코일(101)의 1차측 전압으로부터 만들어지나, 이것이 각 기통마다 만들어진다는 것 이외는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4도에, 제1기통부터 제n기통까지의 결선(118)에 있어서의 전압상태와, 마이너스전압 발생부(114)에서의 마이너스의 바이어스전압의 발생상황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통마다에 대해서 마이너스의 바이어스전압을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에, 전 기통에 있어서 이온전류 발생시의 마이너스의 바이어스전압은 똑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5도에 4기통엔진을 예로 한 경우가 설명되어 있으며, 제1기통과 제2기통으로부터 점화코일(101)의 1차측전압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의 결선(118)에 있어서의 전압상태와 마이너스전압 발생부(114)에서의 마이너스의 바이어스전압의 발생상황이 나타나 있다.
제1기통과 제4기통에서 ΔV의 바이어스전압 레벨의 감소가 있으나, 이온전류의 검출성에 큰 문제가 없으면 이와같은 방법으로도 좋다. 이와같이 6, 8기통 등 다기통 엔진에 있어서도 2줄이상의 결선(118)으로부터 점화코일(101)의 1차측 전압의 공급을 받는 방식은 같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3의 발명의 한 실시예를 제6도∼제8도에 의해 설명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207은 저항기(208), 다이오드(209)를 통해서 1차코일(201a)에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기(201), 다이오드(211)을 통해서 2차코일에 접속된 컨덴서이다. 212는 저항기(201)에 발생하는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출력단자이고, 저항기(201)과 함께 이온전류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213은 컨덴서(207)에 대해서 병렬로 접속된 제너다이오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것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회전과 동기되어 소정의 시기(제8도 t1)에 파워트랜지스터(202)가 온되고, 1차권선(201a)에 1차전류(제8(a)도)가 흐른다. 그 다음, 점화시기(제8도 t2)에 있어서 파워트랜지스터(202)가 오프되고, 1차코일(201a)의 1차전류(제8(a)도가 차단되면 2차권선(201b)에 마이너스 극성의 점화용 고전압(제8(c)도, 약 -10∼-25KV)이 제7(a)도의 화살표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방전전류가 흐르고 점화플러그(203)의 전극간에 방전이 일어나며 내연기관의 혼합가스를 착화시킨다.
이때, 종래장치와 같이 혼합가스의 연소에 따라 전리작용이 발생하고, 이온전류가 발생한다. 여기서, 컨덴서(207)의 플러스극성의 바이어스(약 50∼300V)에 의한 전자의 이동에 의해 제7(b)도의 화살표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이온전류가 흐르고, 이 이온전류의 발생에 의해 출력단자(212)에 발생하는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혼합가스의 연소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1차코일(210a)에는 제8(b)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단 1차전류의 차단시(제8도 t2∼t3)에 역기전력에 의한 전압(약 400V)이 발생하고, 다음에 방전전류의 발생시(제8도 t3∼t4)에 유도작용에 의한 전압이 발생한다.
이 전압에 의해 제7(c)도의 화살표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충전전류가 흐르고, 컨덴서(207)이 충전된다.
또, 컨덴서(207)의 충전전압은 제너다이오드(213)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마이너스극성의 점화용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플러스극성의 점화용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이어도 좋고, 이것에 제9도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방전전류는 2차코일(201b)→다이오드(214)→점화플러그(203)→그라운드의 경로를 따라 흐른다. 기타의 동작은 상기의 한 실시예와 같다.
또, 동시착화방식이어도 좋도 제10도에 의해 이것이 설명되고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방전전류는 2차코일(201b)→점화플러그(203a)→그라운드→점화플러그(203b)→2차코일(201b)의 경로를 따라 흐른다. 이때, 각각의 기통은 한 쪽이 압축공정, 다른 쪽이 배기공정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점화플러그(203a), (203b)의 양쪽에 방전이 발생하나 압축공정에 있는 기통에 있어서만 혼합가스가 착화되어 연소한다. 기타의 동작은 상기의 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또, 배전기를 사용한 고압 배전방식이어도 좋고, 이것이 제11도 및 제12도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제11도는 마이너스 극성의 점화용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이 도면에 있어서, 방전전류는 2차코일(201b)→저항기(210)→컨덴서(207)→그라운드→점화플러그(203)→배전기(215)(주변전극(215b)→공극→중심전극(215a)→2차코일(201b)의 경로를 따라 흐른다. 또, 이온전류는 컨덴서(207)→저항기(210)→2차코일(201b)→다이오드(216)→점화플러그(203)→그라운드→컨덴서(207)의 경로를 따라 흐른다. 기타의 동작은 상기의 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제12도는 플러스극성의 점화용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이고, 이 도면에 있어서, 방전전류는 2차코일(201b)→배전기(215)(중심전극(215a)→공극→주변전극(215b)→점화플러그(203)→그라운드의 경로를 따라 흐른다. 또, 이온전류는 컨덴서(207)→저항기(210)→다이오드(211)→점화플러그(203)→그라운드→컨덴서(207)의 경로를 따라 흐른다.
기타의 동작은 상기의 한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온전류 검출수단으로서, 저항에 의해 전압변환을 행하는 구성을 나타냈으나, 다른 구성으로 해도 좋다는 것은 다시 말할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에 의하면, 내연기관의 회전과 동기되어 상기 내연기관에 있어서는 점화시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내연기관에 있어서의 연소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과 점화코일의 1차측에 접속되고, 상기 검출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갖추었으므로 차량탑재용의 검출수단의 직류전원 즉 이온전류 검출전원부를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는 이온전류 검출장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에 의하면, 내연기관의 연소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복수 기통의 각각의 기통에 대응하는 점화코일과, 이 점화코일의 각각에 대응해서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스위치소자와, 상기 점화코일과 상기 스위치소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복수의 결선을 갖추고, 이 결선중 2줄 이상으로부터 상기 검출수단의 전원용 전압을 취하도록 하였으므로, 검출수단에 있어서의 발생전압의 기통사이에 있어서의 변동이 저감되고, 따라서 기통사이에의 이온전류 검출신호의 신뢰도의 변동도 저감되는 이온전류 검출장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의 발명에 의하면, 점화코일의 1차측에 발생하는 전압에 의해 충전되고, 이 충전전압에 의해 상기 점화플러그에 대해 플러스극성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컨덴서를 설치하였으므로, 대형으로 되고 고가인 DC-CD 컨버터가 불필요하게 되고, 소형이고 값이 싸게 되는 이온전류 검출장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차코일과, 이 1차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차단에 따라 점화용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2차코일을 갖는 점화코일, 이 점화코일의 점화용 고전압이 인가되고, 혼합가스를 착화시키는 점화플러그, 상기 1차코일에 발생한 전압에 의해 충전되고 이 충전전압에 의해 상기 점화플러그에 대해 이온전류 검출용 전압을 인가하는 컨덴서 및 상기 컨덴서의 이온전류 검출용 전압과 상기 혼합가스가 연소시에 발생하는 이온에 의해 흐르는 이온전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갖춘 이온전류 검출장치.
1차코일과, 이 1차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차단에 따라 점화용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2차코일을 갖는 복수의 기통마다에 각각 설치점 점화코일, 이 점화코일의 점화용 고전압이 인가되고, 대응하는 기통내의 혼합가스를 착화시키는 복수의 점화플러그, 적어도 2개의 점화코일의 1차코일에 발생한 전압에 의해 충전되고 이 충전전압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점화플러그에 대해 이온전류 검출용 전압을 인가하는 컨덴서 및 상기 컨덴서의 이온전류 검출용 전압과 상기 각 기통에 있어서의 혼합가스가 연소시에 발생하는 이온에 의해 흐르는 이온전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갖춘 이온전류 검출장치.
1차코일과, 이 1차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차단에 따라 점화용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2차코일을 갖는 점화코일, 이 점화코일의 점화용 고전압이 인가되고, 혼합가스를 착화시키는 점화플러그, 상기 1차코일에 발생한 전압에 의해 충전되고 이 충전전압에 의해 상기 점화플러그에 대해 플러스극성의 바이어스전압을 인가하는 컨덴서 및 상기 컨덴서의 플러스극성 바이어스전압과 상기 혼합가스가 연소시에 발생하는 이온에 의해 흐르는 이온전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갖춘 이온전류 검출장치.
KR1019910017436A 1990-10-04 1991-10-04 이온전류 검출장치 KR950009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65119A JPH04143464A (ja) 1990-10-04 1990-10-04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90-265119 1990-10-04
JP2272108A JPH04148075A (ja) 1990-10-12 1990-10-12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90-272108 1990-10-12
JP2324247A JPH04191466A (ja) 1990-11-26 1990-11-26 イオン電流検出装置
JP90-324247 1990-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337A KR920008337A (ko) 1992-05-27
KR950009047B1 true KR950009047B1 (ko) 1995-08-14

Family

ID=2733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436A KR950009047B1 (ko) 1990-10-04 1991-10-04 이온전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72914A (ko)
KR (1) KR950009047B1 (ko)
DE (1) DE4133015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1692A2 (en) * 2009-10-02 2011-04-07 Woodward Governor Company Self charging ion sensing coi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732B1 (ko) * 1991-02-15 1994-10-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
JP2951780B2 (ja) * 1991-12-09 1999-09-20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焼検出装置
KR970006966B1 (ko) * 1992-06-05 1997-05-0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US5392641A (en) * 1993-03-08 1995-02-28 Chrysler Corporation Ionization misfire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408870A (en) * 1993-11-08 1995-04-25 Chrysler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the load o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383350A (en) * 1994-01-13 1995-01-24 Gas Research Institute Sensor and method for detecting misfire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534781A (en) * 1994-08-15 1996-07-09 Chrysler Corporation Combustion detection via ionization current sensing for a "coil-on-plug" ignition system
US5492007A (en) * 1995-01-30 1996-02-20 Chrysler Corporation Misfire detection in a spark ignition engine
US6104195A (en) * 1995-05-10 2000-08-15 Denso Corporation Apparatus for detecting a condition of burning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777216A (en) * 1996-02-01 1998-07-07 Adrenaline Research, Inc. Ignition system with ionization detection
DE19614388C1 (de) * 1996-04-12 1997-07-03 Stiebel Eltron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swertung der Qualität eines Kraftstoff-Luftgemisches
US5668311A (en) * 1996-05-08 1997-09-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Cylinder compression detection
JPH09324735A (ja) * 1996-06-03 1997-12-16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用燃焼状態検知装置
JP3361948B2 (ja) * 1997-02-18 2003-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焼状態検出装置
JP3330838B2 (ja) * 1997-02-18 2002-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焼状態検出装置
JP3338624B2 (ja) * 1997-02-18 2002-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焼状態検出装置
US6029627A (en) * 1997-02-20 2000-02-29 Adrenaline Researc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fuel ratio using ionization measurements
JP3633580B2 (ja) * 2002-04-17 2005-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US7137385B2 (en) * 2002-11-01 2006-11-2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evice to provide a regulated power supply for in-cylinder ionization detection by using the ignition coli fly back energy and two-stage regulation
DE102005043318A1 (de) * 2005-09-12 2007-03-22 Pulse Gmbh Anordnung zum hochspannungsseitigen Erfassen eines Messsignals, insbesondere eines dem Ionenstrom zwischen den Elektroden einer Zündkerze einer Brennkraftmaschine entsprechenden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06665A1 (de) * 1980-02-22 1981-09-0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pannungsquelle zur ionenstrommessung am verbrennungsmotor
DE3339569A1 (de) * 1983-11-02 1985-05-09 Atlas Fahrzeugtechnik GmbH, 5980 Werdohl Messschaltung zur ionenstrommessung
DE3342723C2 (de) * 1983-11-25 1986-07-03 Gunter Dipl.-Phys. Dr. 7500 Karlsruhe Hartig Zündein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AT386256B (de) * 1984-07-02 1988-07-25 Atlas Fahrzeugtechnik Gmbh Anordnung zur erzeugung eines ausloeseimpulses fuer die zuendung einer brennkraftmaschine
SE442345B (sv) * 1984-12-19 1985-12-16 Saab Scania Ab Forfarande for detektering av joniseringsstrom i en tendkrets ingaende i en forbrenningsmotors tendsystem jemte arrangemang for detektering av joniseringsstrom i en forbrenningsmotors tendsystem med minst en tendkrets
JPH02104978A (ja) * 1988-10-13 1990-04-17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1692A2 (en) * 2009-10-02 2011-04-07 Woodward Governor Company Self charging ion sensing coil
WO2011041692A3 (en) * 2009-10-02 2011-08-18 Woodward, Inc. Self charging ion sensing coil
US8461844B2 (en) 2009-10-02 2013-06-11 Woodward, Inc. Self charging ion sensing c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8337A (ko) 1992-05-27
DE4133015A1 (de) 1992-04-16
DE4133015C2 (de) 1995-04-13
US5272914A (en) 199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047B1 (ko) 이온전류 검출장치
KR950003272B1 (ko) 내연기관의 점화플러그 전류검출장치
US5599180A (en) Circuit arrangement for flame detection
US4455989A (en) Plasma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753290B2 (ja) 内燃機関の燃焼状態検出装置
US6054859A (en) Combustion state detect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60000442B1 (ko) 이온전류 검출장치
KR960004282B1 (ko) 내연기관의 녹킹 검출장치
US7559319B2 (en) Ignition coil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50007658Y1 (ko)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US5424647A (en) Combustion det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provided with a voltage regulating circuit to prevent premature combustion
KR950009048B1 (ko)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JP3330838B2 (ja) 内燃機関の燃焼状態検出装置
EP0072477A2 (en) An ignition system for a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vehicle
JP3619040B2 (ja) 内燃機関の燃焼状態検出装置
US6040698A (en) Combustion state detecting apparatus for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US5701876A (en) Misfire detect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747670A (en) Apparatus for detecting combustion stat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5149229A (ja) 内燃機関のイオン電流検出装置
US5652520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misfire circuit using ion current sensing
JP4352223B2 (ja) コンデンサ放電式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2525979B2 (ja) ガソリン機関の燃焼状態検出装置
JPH04339175A (ja) 火花点火機関の失火検出装置
JP4296856B2 (ja) 内燃機関用点火ユニット
JP3283605B2 (ja) イオン電流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