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732B1 -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732B1
KR940010732B1 KR1019920001968A KR920001968A KR940010732B1 KR 940010732 B1 KR940010732 B1 KR 940010732B1 KR 1019920001968 A KR1019920001968 A KR 1019920001968A KR 920001968 A KR920001968 A KR 920001968A KR 940010732 B1 KR940010732 B1 KR 940010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current
signal
current detection
detection signal
negative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710A (ko
Inventor
도시오 오사와
도시오 이와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022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6570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23647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6766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00Testing of ignition installations, e.g. in combination with adjusting;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12Testing characteristics of the spark, ignition voltage or curr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00Testing of ignition installations, e.g. in combination with adjusting;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7/12Testing characteristics of the spark, ignition voltage or current
    • F02P2017/125Measuring ionisation of combustion gas, e.g. by using igni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
제 1 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구성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동작 설명을 위한 파형도
제 3 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구성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동작 설명을 위한 파형도
제 5 도는 종래의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를 표시하는 구성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설명을 위한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점화플러그 5 : 이온전류검출용 다이오드
6A, 6B : 이온전류검출장치 7, 11 : 비교기
9, 13 : 반전회로 12 : 바이어스회로
이 발명은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에서 특히 이온전류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5 도는 종래의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1은 점화신호에 의하여 "온", "오프"하는 파워트랜지스터, 2는 파워트랜지스터(1)가 1차측에 접속된 점화코일, 3은 점화코일의 2차측에 접속된 배전기, 4는 배전기(3)에 각각 저속된 복수의 점화플러그, 5는 각각 점화플러그(4)에 접속된 복수의 이온전류검출용 다이오드, 6은 이온전류를 검출하는 이온전류검출장치, 7은 이온전류검출장치(6)내에 설치되고 이온전류검출신호와 기준치를 비교하는 비교기, 8은 출력단자이다. 다음에 제 5 도에 표시한 종래의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 동작에 관하여 제 6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지금, 파워트랜지스터(1)의 베이스에 제 6a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점화신호(S1)이 인가되면 파워트랜지스터(1)가 "온(on)"되고, 이 파워트랜지스터(1)가 "오프(off)"되는 시점에서 점화코일(2)의 2차측에 제 6b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고전압의 신호(S2)가 발생한다. 이 고전압의 신호(S2)는 배전기(3)를 통하여 각 기통의 점화플러그(4)에 공급되고, 이것을 점화한다. 이 점화에 의하여 기통내의 혼합가스가 연소하면 이온전류가 발생하고, 이 이온전류중 양이온이 다이오드(5)를 통하고 제 6c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이온전류검출신호(S3)로서 검출되며, 비교기(7)에 공급되어서 기준치와 비교되고, 출력단자(8)에 제 6d 도와 같은 이온전류검출출력신호(S4)를 얻게 된다. 그리고, 이 이온전류검출출력신호(S4)가 H레벨일 때는 연소, L레벨일 때는 실화로 판정된다.
종래의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는 이상과 같이 이온전류의 검출을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양이온을 검출하고 있으므로 특히 고속 회전시나 고부하시에는 검출레벨이 낮아져 이온전류의 검출이 불확실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각종 노이즈가 신호(S4)에 중첩되므로 실화에도 불구하고 신호(S4)에는 노이즈에 의한 "H"신호가 출력되어 정상적으로 연소된 것으로 판정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항상 확실한 실화검출과 이온전류의 검출이 가능한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에 의한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는 내연기관 기통의 점화플러그에 정극성의 전압을 인가하고 연소에 의한 부극성의 이온전류를 검출하며 그 부극성의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이온전류검출수단과, 상기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정극성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이 변환된 신호를 소정의 비교전압에 의해 파형정형시키는 파형정형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제 2 발명에 의한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는 내연기관 기통의 점화플러그에 정극성 전압을 인가하고 연소에 의한 부극성 이온전류를 검출하여 그 부극성의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이온전류검출수단과, 상기 부극성의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소정의 바이어스전압만큼 쉬프트(shift)시키는 바이어스수단과, 이 쉬프트된 부극성의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상기 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소정량 쉬프트한 제 1 기준치와 비교하는 제 1 비교수단과, 이 파형정형된 제 1 비교수단의 출력과 제 2 기준치를 비교하는 제 2 비교수단과 상기 제 1 비교수단의 출력신호중 소정시간 이상의 폭을 가진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필터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제 1 발명에 있어서는 연소에 의한 부극성의 이온전류를 검출하고, 그 부극성의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정극성의 신호로 변환한후 기준치와 비교하여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얻는다.
제 2 발명에 있어서는 연소에 의한 부극성이 이온전류를 검출하고 그 부극성의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소정의 바이어스전압만큼 쉬프트하고, 이 쉬프트된 부극성의 이온전류검출신호를 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소정량 쉬프트한 제 1 기준치와 비교한 다음 다시 제 2 기준치와 비교하여서 이온전류검출출력신호를 얻는다. 다음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이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며, 1-5, 7, 8은 상술과 같다. 6A는 이온전류검출장치, 9는 이온전류검출장치(6A)의 입력측에 설치된 반전회로, 10은 비교기(7)의 출력측에 설치된 저역필터, 11은 저역필터(10)의 출력측에 설치된 비교기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점화코일(2)의 2차측 일단(부극단)을 배전기(5)에 접속하고 타단(정극단)을 이온전류검출장치(6A)에 접속한다. 이온전류검출용 다이오드(5)는 배전기(3)내에 설치한다. 또 이온전류검출신호(6A)내의 이온전류검출용 배터리에는 정극성의 것을 사용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이온전류중 음이온 및 자유전자를 검출한다.
다음은 제 1 도에 표시한 이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제 2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지금 파워트랜지스터(1)의 베이스에 제 2a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점화신호(S1)가 인가되면, 파워트랜지스터(1)가 "온"되고, 이 파워트랜지스터(1)가 "오프"되는 시점에서 점화코일(2)의 2차측에 제 2b 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고전압신호(S2)가 발생한다. 이 고전압의 신호(S2)는 배전기(3)를 통하여 각 기통의 점화플러그(4)에 공급되고 이를 점화한다. 이 점화에 의하여 기통내의 혼합가스가 연소하면은 이온전류가 발생하며 이 이온전류중 음이온 및 자유전자가 다이오드(5)를 통하고 제 2c 도와 같은 이온전류검출신호(S3)로서 검출된다. 이 이온전류검출신호(S3)는 반전회로(9)에서 반전되어서 제 2d 도와 같은 신호(S4)가 되고 비교기(7)에 공급되어서 기준치와 비교되어 그 출력측에 제 2e 도와 같은 신호(S5)를 얻게 된다. 이 신호(S5)는 저역필터(10)를 통과후 제 2f 도와 같은 신호(S6)가 되고 다시 비교기(11)에 공급되어서 기준치와 비교되고 그 결과 출력단자(8)에 제 2g 도와 같은 이온전류검출출력신호(S7)를 얻게 된다. 그리고 이 이온전류검출출력신호(S7)가 H레벨일때에는 연소, L레벨일 때에는 실화로 판정된다. 또 실험등에 의하면 음이온 및 자유전자의 양은 양이온의 수십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이온전류의 검출레벨은 충분히 높다. 또 비교기(7)의 기준치는 일정치라도 좋고 또는 회전이나 부하에 따라 가변시켜도 된다. 이와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이온전류의 음이온 및 자유전자를 검출하고 이를 정극성 신호로 변환하여서 파형처리하고 이온전류검출 출력신호를 얻고 있으므로 고속회전이나 고부하시에도 확실하게 이온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제 3 도는 이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며, 제 3 도에서, 제 1 도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온전류검출장치(6B)를 설치한다. 이 이온전류검출신호(6B)는 입력측에 설치되고 검출된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소정의 바이어스전압분만큼 쉬프트시키는 바이어스회로(12), 바이어스회로(12)의 출력측에 설치되고 쉬프트된 이온전류검출신호를 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소정량 쉬프트한 제 1 기준치와 비교하는 제 1 비교기(7), 이 제 1 비교기(7)의 출력측에 설치되고 그 출력을 여파(濾波)하는 저역필터(0), 이 저역필터(10)의 출력측에 설치되고 여파출력과 제 2 기준치를 비교하여 여파출력을 소정시간 마스크하기 위한 제 2 비교기(11), 이 제 2 비교기(11)의 출력측에 설치되고 그 출력을 반전하는 반전회로(13)를 구비한다.
다음은 제 3 도에 표시한 이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제 4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지금, 파워트랜지스터(1)의 베이스에 점화신호가 인가되면 파워트랜지스터(1)가 "온"되고 이 파워트랜지스터(1)가 "오프"되는 시점에서 점화코일(2)의 2차측에 고전압의 신호가 발생한다. 이 고전압의 신호는 배전기(3)를 통하여 각 기통의 점화플러그(4)에 공급되고 이것을 점화한다. 이 점화에 의하여 기통내의 혼합가스와 연소하면 이온전류가 발생하고 이 이온전류중 음이온 및 자유전자가 다이오드(5)를 통하고 제 4a 도와 같은 이온전류검출신호(S1)로서 검출된다. 이 이온전류검출신호(S1)는 바이어스회로(12)에서 소정의 바이어스전압분만큼 쉬프트되어서 제 4b 도와 같은 신호(S2)가 되고, 제 1 비교기(7)에 공급되어서 제 1 기준치와 비교되어 그 출력측에 제 4c 도와 같은 신호(S3)를 얻게 된다. 이 신호(S3)는 저역필터(10)를 통과하여 제 4d 도와 같은 신호(S4)가 되고, 다시 제 2 비교기(11)에 공급되어서 제 2 기준치와 비교되어서 소정시간 마스크된후 그 출력측에 제 4e 도와 같은 신호(S5)를 얻게 된다. 이 신호(S5)는 반전회로(13)에서 반전되고 이 결과 출력단자(8)에 제 4f 도와 같은 이온전류검출출력신호(S6)를 얻게 된다.
그리고, 이 이온전류검출출력신호(S6)가 H레벨일 때에는 연소, L레벨일 때에는 실화로 판정된다. 이와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이온전류의 음이온 및 자유전자를 검출하고 그 검출신호를 소정량정측으로 쉬프트시켜서 기준치와 비교하고, 파형처리하여 이온전류검출출력신호를 얻고 있으므로 이온전류검출장치의 최종 출력 파형으로부터의 노이즈와 이온전류검출신호의 판별이 불필요하게 되고 실화검출이 확실하게 되는 동시에 고속회전시나 고부하시에도 확실하게 이온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발명에 의하면 내연기관의 기통의 점화플러그에 정극성의 전압을 인가하고 연소에 의한 부극성의 이온전류를 검출하고 그 부극성의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이온전류검출수단과, 상기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정극성의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이 변환된 신호를 소정의 비교전압에 의하여 파형정형시키는 파형정형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고속회전시나 고부하시에도 확실하게 이온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를 얻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제 2 발명에 의하면, 내연기관 기통의 점화플러그에 정극성의 전압을 인가하고 연소에 의한 부극성의 이온전류를 검출하고 그 부극성의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이온전류검출수단과, 상기 부극성의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소정의 바이어스전압만큼 쉬프트시키는 바이어스수단과, 이 쉬프트된 부극성이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상기 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소정량 쉬프트한 제 1 기준치와 비교하는 제 1 비교수단과, 이 파형정형된 제 1 비교수단의 출력과 제 2 기준치를 비교하는 제 2 비교수단과, 상기 제 1 비교수단의 출력중 소정시간 이상의 폭을 가진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필터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각종 노이즈를 제거하여 실화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동시에 고속회전시나 고부하시에도 확실하게 이온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를 얻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연기관 기통이 점화플러그에 정극성의 전압을 인가하고 연소에 의한 부극성의 이온전류를 검출하며 그 부극성의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이온전류검출수단과, 상기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정극성신호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이 변환된 신호를 소정의 비교전압에 의하여 파형정형시키는 파형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
  2. 내연기관 기통의 점화플러그에 정극성의 전압을 인가하고 연소에 의한 부극성의 이온전류를 검출하며 그 부극성의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출력하는 이온전류검출수단과, 상기 부극성의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소정의 바이어스전압만큼 쉬프트시키는 바이어스수단과, 이 쉬프트된 부극성의 이온전류검출신호를 상기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소정량 쉬프트한 제 1 기준치와 비교하는 제 1 비교수단과, 이 파형정형된 제 1 비교수단의 출력과 제 2 기준치를 비교하는 제 2 비교수단과, 상기 제 1 비교수단의 출력신호중 소정시간 이상의 폭을 가진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필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
KR1019920001968A 1991-02-15 1992-02-11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 KR9400107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22197A JP2657004B2 (ja) 1991-02-15 1991-02-15 内燃機関の燃焼検出装置
JP91-022197 1991-02-15
JP91-023647 1991-02-19
JP3023647A JP2726766B2 (ja) 1991-02-19 1991-02-19 内燃機関の燃焼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710A KR920016710A (ko) 1992-09-25
KR940010732B1 true KR940010732B1 (ko) 1994-10-24

Family

ID=2635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968A KR940010732B1 (ko) 1991-02-15 1992-02-11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30240A (ko)
KR (1) KR940010732B1 (ko)
DE (1) DE4204484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6506B1 (fr) * 1991-05-15 1993-09-03 Siemens Automotive Sa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ction de rates d'allumage dans un cylindre de moteur a combustion interne et leur application.
US5337716A (en) * 1992-02-04 1994-08-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347855A (en) * 1992-03-11 1994-09-20 Ngk Spark Plug Co. Ltd. Misfire detector device for us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70006966B1 (ko) * 1992-06-05 1997-05-0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US5534781A (en) * 1994-08-15 1996-07-09 Chrysler Corporation Combustion detection via ionization current sensing for a "coil-on-plug" ignition system
US5431044A (en) * 1994-08-31 1995-07-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bustion detection circuit for a catalytic converter preheater
US5552711A (en) * 1994-11-10 1996-09-03 Deegan; Thierry Turbine engine imminent failure monitor
JP3477923B2 (ja) * 1995-06-29 2003-12-10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燃焼状態検知装置
US5777216A (en) * 1996-02-01 1998-07-07 Adrenaline Research, Inc. Ignition system with ionization detection
US5668311A (en) * 1996-05-08 1997-09-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Cylinder compression detection
DE19626303A1 (de) * 1996-07-01 1998-01-08 Teves Gmbh Alfred Haltefeder für ein Gehäuse einer Teilbelag-Scheibenbremse
JP3441909B2 (ja) * 1997-02-07 2003-09-02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焼状態検出装置
JP3338624B2 (ja) * 1997-02-18 2002-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焼状態検出装置
JP3361948B2 (ja) * 1997-02-18 2003-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焼状態検出装置
JP3330838B2 (ja) * 1997-02-18 2002-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焼状態検出装置
US6029627A (en) * 1997-02-20 2000-02-29 Adrenaline Research,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fuel ratio using ionization measurements
JP3129403B2 (ja) * 1997-05-15 2001-0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イオン電流検出装置
DE19744163A1 (de) * 1997-10-07 1999-04-0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fassung des Ionenstroms an Brennkraftmaschinen
JP3753290B2 (ja) * 1998-12-28 2006-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燃焼状態検出装置
DE19922747C2 (de) * 1999-05-18 2003-02-0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r Erfassung eines Ionenstromes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6186129B1 (en) * 1999-08-02 2001-02-13 Delphi Technologies, Inc. Ion sense biasing circuit
LU90727B1 (en) * 2001-02-09 2002-08-12 Delphi Tech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stratified combustion mode in an engine
JP2003161245A (ja) * 2001-11-28 2003-06-06 Denso Corp 内燃機関の燃焼検出装置
US9429132B1 (en) 2016-03-24 2016-08-30 Hoerbiger Kompressortechnik Holding Gmbh Capacitive ignition system with ion-sensing and suppression of AC ring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61419B1 (ko) * 1974-02-20 1976-07-16 Peugeot & Renault
AT386256B (de) * 1984-07-02 1988-07-25 Atlas Fahrzeugtechnik Gmbh Anordnung zur erzeugung eines ausloeseimpulses fuer die zuendung einer brennkraftmaschine
JPH02104978A (ja) * 1988-10-13 1990-04-17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JPH03134247A (ja) * 1989-10-19 1991-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制御装置及び方法
JP2552754B2 (ja) * 1990-05-18 1996-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燃焼検出装置
KR950006653B1 (ko) * 1990-10-02 1995-06-2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US5272914A (en) * 1990-10-04 1993-12-28 Mitsubishi Denki K.K.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30240A (en) 1993-07-27
DE4204484A1 (de) 1992-08-20
KR920016710A (ko) 1992-09-25
DE4204484C2 (de) 1995-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732B1 (ko) 내연기관의 연소검출장치
KR960004282B1 (ko) 내연기관의 녹킹 검출장치
SE8703320D0 (sv) Forfarande och arrangemang for detektering av joniseringsstrom i en forbrenningsmotors tendsystem
KR920010294A (ko) 이온전류 검출장치
KR950007658Y1 (ko) 내연기관용 점화장치
US5397990A (en) Device for accurately detecting ion curren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by masking noise generated by an ignition coil
KR920008497A (ko) 이온전류검출장치
KR920008337A (ko) 이온전류 검출장치
US6281682B1 (en) Sensor for detecting ignition current and ion current in ignition secondary circuit
US5444375A (en) Ionization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the ionization current generated in a plurality of ignition coil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813932B2 (en) Misfire det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217207B1 (en) Misfire det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657004B2 (ja) 内燃機関の燃焼検出装置
JPH04265474A (ja) 内燃機関の燃焼検出装置
US5355056A (en) Sparkplug voltage detecting probe device for us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084673B1 (ja) 内燃機関の失火検出機能を有する点火回路
JPS56118565A (en) Plasma igni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4295180A (ja) 内燃機関の点火システムのための失火検出装置
US5682860A (en) Device and method for ignition detection
JP3507793B2 (ja)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KR960000365Y1 (ko) 내연기관의 이온전류 검출장치
KR100302774B1 (ko) 엔진실화검출장치
JP3325132B2 (ja) イオン電流による燃焼状態検出方法
US6943554B2 (en) Ionic current detec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5131572A (en) Misfire detec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