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073B1 -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073B1
KR950004073B1 KR1019920024633A KR920024633A KR950004073B1 KR 950004073 B1 KR950004073 B1 KR 950004073B1 KR 1019920024633 A KR1019920024633 A KR 1019920024633A KR 920024633 A KR920024633 A KR 920024633A KR 950004073 B1 KR950004073 B1 KR 950004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effect
nylon
manufacturing
fil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984A (ko
Inventor
남복규
조성헌
박인성
Original Assignee
동양나이론 주식회사
구창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나이론 주식회사, 구창남 filed Critical 동양나이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073B1/ko
Publication of KR940014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공정의 일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나이론 반연신사(코어사) 2 : 나이론 반연신사(이패트사)
3 : 제1공급 로울러 4 : 제2공급 로울러
5 : 접촉식 열처리판 6 : 냉각 처리판
7 : 벨트식 회전가연장치 8 : 장력 조절 로울러
9 : 형태안정용 열처리판 10 : 제3공급로울러
11 : 잔류토오크 제거노즐 12 : 권취로울러
본 발명은 나이론 반연신사 2가닥을 공급율을 달리하여 융착, 연신, 가연하여 탁월한 코아 이펙트 구조에 의한 이수축효과를 발현시킨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펀라이크사 제조방법의 한 예로는 단사섬도가 3∼4데니어인 나이론 미연신사 2가닥을 사용하여 가연을 주면서 2본의 공급사에 6∼12%의 사장차를 주고 열이력의 차이를 주어 부분 융착시킴으로써 심사와 외층사의 2층 구조를 형성, 벌키한 루프를 형성하도륵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공개 86-1227호는 신도가 서로 다른 두 가지의 미연신 필라멘트를 공급사로 하되 내층부분은 부분적으르 융착되어 심사를 형성하고 외층부분은 크림프가 형성되도록한 나이론 필라멘트 가공사를 제조하는 것으로, 고신도 미연신사의 신도가 330±30%이며, 저신도미연신사는 고신도미연신사 보다 신도가 20∼50% 작은 것을 사용하고 있다. 특허공개 87-7314호는 나이론 필라멘트사, 이것의 반연신사 또는 미연신사 2본을 사용하여 공급사 2본의 실질사장치를 5∼20%가 되게 하고 수분공급장치 및 장력조절로울러를 설치하여 융착을 용이하게 해주고 있다. 이밖에도 특허공고 92-3432호에서는 단사섬도가 0.5∼1데니어 사이인 2종의 폴리에스터 멀티필라멘 반연신사를 심사 및 외층사로 사용하여 합사하고 물분사장치를 통과시킨 후 공기교락함으로써 폴리에스터 멀티필라멘트 가공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방법을 나이론 세데니어 멀티필라멘트 가공사에 적용할 경우, 가공사가 과응착이 일어나 가연후 잔류토오크가 높아져 제직작업성을 저하시키고 제직홈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들 방법의 적용없이 단순히 교락처리하면 세데니어 멀티필라멘트들의 집속이 충분하지 않아 작업성을 불량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세데니어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단사섬도 1데니어 이하의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반연신사를 이펙트사로 공급하고, 상기 이펙트사와 동일한 원사를 상기 이펙트사 대비 1.09∼1.13배의 연신비로 연신하여 코어사를 공급하여 합사하고, 180∼190℃로 열고정한 후, TPM 2000∼2200으로 가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데니어 미만의 멀티필라멘트사를 연신비차를 두고 후에 가연함으로써 고어-이펙트 효과를 발현, 직물표면에 천연면과 같은 촉감을 부여하게 되는데, 이때 이팩트사 대비 코어사의 연신비를 1.09∼1.13의 범위로 해야만 원사외관에 균제도가 일정해지고 코어사와 이펙트사간의 집속성을 양호하게 해준다. 이때 연신비가 1.09 미만이면 단사섬도가 1데니어 미만인 멀티 필라멘트는 신장율이 높아, 코어사와 이펙트사간의 불균일집속이 일어나 가공사의 품질이 저하된다. 또한 연신비가 1.13 보다 클 경우에는 접촉식 열처리판을 가공사가 통과하게 될때, 사가 진동하거나, 사절이 발생하는등 작업성이 저하된다. 합사후, 열고정온 180∼190℃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열고정 온도가 180℃ 미만이면 가공사의 집속성이 불량하고 제직시 밀림으로 인하여 제직홈이 발생하고, l90℃를 초과하면 과융착으로 가공사의 집속성은 좋으나 최종직물의 촉감이 불량하게 된다. 가연수는 TPM 2000∼2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연수가 2000 미만이면 미해연등의 결점으로 권축이 불균일하고 가공사의 벌키성이 떨어지며, 가연수가 2200을 초과하면 멀티필라멘트의 경우 루프가 불량하고 사절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진다. 상기 가공을 마친 가공사는 잔류토오크에 의해 제직성이 나빠질 수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정후, 2∼3kg/㎠의 공기로 처리하여 잔류토오크를 제거하여 준다.
공기 속도가 2kg/㎠ 미만이면 잔류토오크의 제거효과가 미약하고 3kg/㎠를 초과하면 원사의 포함력과 집속성이 불량해지기 쉽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적용가능한 공정의 한 예를 든 것이다. 이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면, 1데니어 이하인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반연신사(2)를 이팩트사로 제2공급 로울러(4)에 곧바로 공급하고, 동일한 1데니어 이하의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반연신사(1)는 제1공급 로울러(3)를 거쳐 제2공급로울러(4)와의 사이에서 연신을 통해 코어사로 공급한다. 이때, 연신비가 상기 이펙트사 대비 1.09∼1.13배가 되도록 조절한다.
제2공급로울러(4)에서 합사된 원사는 열처리판(5) 및 냉각처리판(6)으로 차례로 통과 공급된다. 종래에는 이때 집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분 공급 장치라든가 공기교락장치를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와같은 장치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공정의 복잡성을 피하고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열고정된 원사는 벨트식회전 가연장치(7)에서 TPM 2000∼2200으로 가연하는데, 이때, 벨트교차각을 100∼110도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100도 미만이면 권축이 불균일하여 가공사의 벌키성이 저하되고 110도를 초과하면 루프가 불량해지거나 사절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진다. 가연후, 필요시에는 형태안정용 열처리판(9)을 통해 2차 열고정을 하기도 하는데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 공정으로 얻어진 가공사를 권취전에 제3공급로울러(10)를 통과 잔류토오크 제거노즐(11)에서 공기를 부여 잔류토오크를 제거하고 권취로울러(12)에서 권취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가공사는 나이론 멀티필라멘트의 사용에 의해 코아-이펙트의 복합구조가 발현되며, 기존의 가공사보다 제직작업성이 우수하고 생산성 또한 증대되었다. 또한, 최종제품상에서 천연면과 유사한 촉감을 발현하여 버핑공정없이 피치스킨 효과를 발현하므로 트레이닝복, 재킷, 캐쥬얼의류, 스포츠의류, 부인복용안감지 등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방사속도 4000m/min으로 방사한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반연신사 80데니어 96필라멘트사를 코어사의 총연신비를 1.18, 이펙트사는 1.08로 하고 합사한 후, 182℃로 융착하였다. 이 원사를 TPM 2100으로 가연하고 180℃에서 형태안정성을 준후, 공기압 2.5kg/㎠으로 잔류토오크를 제거한 후 권취하였다. 얻어진 원사를 나이론 70데니어/24필라멘트인 경사에 대하여 위사로 사용하고 총본수 5100본, 생지밀도 106×74로 하여 제직 작업하였다.
얻어진 직물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정련, 염색, 텐터링하여 최종제품을 얻었다.
(비교예 1)
융착온도를 190℃로 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융착온도를 175℃로 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잔류토오크 제거시 공기압을 5kg/㎠으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2)
코어사의 총연신비를 1.15로 하고 이펙트사는 1.04로 하였으며, 융착온도룰 186℃로 한 것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코어사의 총연신비를 1.18로 하고 이펙트사는 1.02로 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5)
코어사의 총연신비를 1.18로 하고 이팩트사는 1.15로 한 것이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이들 평가결과를 하기표에 정리하였다.

Claims (2)

  1. 단사섬도 1데니어 이하의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반연신사를 이펙트사로 공급하고, 상기 이펙트사와 동일한 원사를 상기 이펙트사 대비 1.09∼1.13때의 연신비로 연신하여 코어사로 공급하여 합사하고, 180∼190℃로 열고정한 후, 2000∼2200 TPM으로 가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라이크사를 권취하기 전에 2∼3kg/㎠의 공기로 잔류토오크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KR1019920024633A 1992-12-17 1992-12-17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KR950004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633A KR950004073B1 (ko) 1992-12-17 1992-12-17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633A KR950004073B1 (ko) 1992-12-17 1992-12-17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984A KR940014984A (ko) 1994-07-19
KR950004073B1 true KR950004073B1 (ko) 1995-04-25

Family

ID=1934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633A KR950004073B1 (ko) 1992-12-17 1992-12-17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287B1 (ko) * 1994-12-28 2002-05-13 조정래 혼섬교락가연가공사및그사를이용한직물의제조방법
KR100716623B1 (ko) * 2005-11-23 2007-05-09 최성훈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984A (ko) 1994-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4073B1 (ko)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JPH07189065A (ja) 不均一複合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6703663B1 (ja) ポリエステルマルチフィラメント混繊糸、布帛、ポリエステルマルチフィラメント混繊糸の製造方法及び布帛の製造方法
KR870000879B1 (ko) 나일론 필라멘트 가공사
KR960014768B1 (ko) 복합가연사 직물의 제조방법
JP3126562B2 (ja) 染着差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仮撚糸の製造方法
JPH0231136B2 (ja) Fukugoshinoseizoho
JPH0734346A (ja) 紬調複合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45326B2 (ko)
JP2839294B2 (ja) 複合糸の製造方法
JPS6339692B2 (ko)
JP3251427B2 (ja) スパンライク太細加工糸の製造方法
JPS6257728B2 (ko)
JPH0633333A (ja) 不均一複合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25004A (ko) 폴리에스터 복합 가공사의 제조방법
KR910002286B1 (ko) 폴리아미드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JPS59116435A (ja) 複合加工糸の製造方法
JP2814451B2 (ja) スパン調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の製造方法
JPS6231094B2 (ko)
JPH0797733A (ja) ランダム調紬調複合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98510A (ja) ポリエステル系シツク&シン糸の製造方法
JPS6028539A (ja) 複合混繊糸の製造法
JPH0217657B2 (ko)
JPS59144635A (ja) ストツキング用加工糸の製造方法
JP2019094595A (ja) ポリエステル仮撚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4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