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287B1 - 혼섬교락가연가공사및그사를이용한직물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혼섬교락가연가공사및그사를이용한직물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287B1
KR100324287B1 KR1019940037636A KR19940037636A KR100324287B1 KR 100324287 B1 KR100324287 B1 KR 100324287B1 KR 1019940037636 A KR1019940037636 A KR 1019940037636A KR 19940037636 A KR19940037636 A KR 19940037636A KR 100324287 B1 KR100324287 B1 KR 100324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twisted
yarns
nyl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7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355A (ko
Inventor
김금곤
문성진
박우양
Original Assignee
조정래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래,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조정래
Priority to KR1019940037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287B1/ko
Publication of KR960023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3/00Heating or cooling the yarn, thread, cord, rope, or the like, not specific to any one of the processe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단사 섬도가 0.5∼0.7 데니어 수준인 나이론 및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연신사를 이펙트사로, 단사섬도가 3데니어 수준인 나이론 세미덜 광택의 필라멘트 연신사를 코어사로 하되, 이펙트사를 공급할때 오버피드를 3∼5%로 하여 20∼3O개/미터의 교락을 부여하여 코어사와 합사하여 160∼17O℃로 열처리하고 냉각한 후, 역회전 벨트 방식으로 회전가연시켜 1.15∼1.35배로 연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 교락 가연 가공사와 그사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혼섬 교락가연가공사 및 그사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섬도가 40∼60% 정도 차이가 있는 2-3종류의 필라멘트사를 복합가연가공 하므로써 가공사 외관에 제직 가능한 최대한의 벌키성(Bulky)을 부여하여 직물의 소프트터치(Soft Touch)를 실현하고 상이한 물성의 사(絲)를 사용하므로써 직물표면에 독특한 무늬를 형성시켜 실크라이크(Silk Like)한 직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혼섬교락 가연가공사 및 그사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혼섬가공사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동종 또는 이종의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코아-이펙트사에 교연을 부여하는 방법, 벌키성 및 코튼라이크한 가공을 위한 에어젯트 가공을 행하는 방법, 사 또는 직물의 외관 및 촉감을 개선하기 위한 응착 가연 가공 방법, 소프트한 촉감과 외관품위를 얻기위한 공기교락 방법등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61-629호, 동 61-633호, 동 56-63O32호 등에 소개된바 있다.
그러나 코아-이펙트 교연부여 방법은 이펙트사의 효과가 불균일하여 제직성의 저하 및 작업성의 불량으로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경제성이 없으며, 필라멘트와 필라멘트간의 매개체로 공기와 물을 사용하는 에어젯트 가공법은 루우프 형성이 불규칙한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염색반등이 일어나는 문제점과 루우프의 형태를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여 가공사를 제조하는데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융착가연가공방법은 공정 콘트롤상에 어려움이 큰데, 즉 코어사를 둘러싸고 범키성을 부여하는 이펙트사의 오버피드 부여에 한계가 있고 과융착 발생 우려가 있어 직물에서의 염색반 문제 및 융착줄의 발생 소지가 있었다.
또한 가공사에 집속성을 부여하고 사외관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기교락에 의한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직물의 소프트터치(Soft Touch) 실현은 불가능하고 단순한 집속성 부여의 목적이 크고 교락부여점에서 직물제조시 교락점이 해교락되지 않으면 심각한 염색반을 발생시킬 소지가 커서 멀티필라멘트에 사용하는 이 방법은 세심한 주의를 하여야 했고 대부분 염색반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벌키성이 양호하고 제직성이 우수하며 염색성이 양호한 직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발명은 나이론 필라멘트사와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 또는 나이론 필라멘트사와 나이론 필라멘트사를 합사하여 혼섬교락 가연가공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두종류의 사중에서 태섬도의 사는 제 2 공급 로울러에 곧바로 공급하고 세섬도의 사는 제 3∼5%의 오버피드율로 제 1 공급 로울러를 거쳐 교락을 부여하고 제 2 공급 로울러에서 합사하여 160∼17O℃의 히팅존(Heating Zone)에서 열처리한후 냉각 튜브(Tube)를 거쳐 서로 역회전하는 벨트로 3,000∼3,500TPM(Turn Per Meter)으로 가연하여 1.15∼1.35의 연신비로 연신하고 이를 형태 안정화 시켜 권취함으로써 벌키성이 뛰어나고 균일한 사외관을 보이는 사를 얻어 이를 고속위터젯트룸에서 고밀도로 제직하여 소프트하고 실크라이크한 직물표면을 발현시키는 혼섬교락 가연가공사 및 그 사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 공정의 한 예를 든 것이다.
이 공정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단사 섬도가 3 데니어 수준인 나이론 세미덜 광택의 필라멘트사를 코어사(2)로 하여 제 2 공급 로울러(4)에 공급하고, 단사 섬도가 0.5∼0.7 데니어 수준인 나이론 및 폴리에스터 세미덜 광택의 필라멘트사를 이펙트사(1)로 하여 제 1 공급 로울러 (3)에 3∼5%의 오버피드율로 공급하여 교락부여 노즐(5)에서 20∼30개/미터의 교락을 부여하고 제 2 공급 로울러(4)에서 합사시킨다. 단사 섬도가 0.5∼0.7 데니어 수준의 세사를 사용하므로 이들이 교락을 부여 받을때 과교락이 발생하여, 후공정에서 염색반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하며, 접촉식 열처리판을 통과할 때 고열(高熱)로 인한 융착 및 사절이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온도 제어(Control)가 필요한데, 특히 저열로 인한 충분한 크림프 부여 및 연신의 미부여로 반연신 및 미연신 부분이 발생치 않도록 해야한다. 제 2 공급로울러(4)를 통해서 합사된 원사는 접촉식 열처리판(6)을 통과하되 섬유 고분자의 열가소성 변형에 유리한 온도 조건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이때 변형온도 조건은 160∼170℃ 범위이며 실내 온습도 변화율에 따라 다소 조정이 필요하다.
접촉식 열처리판(6)을 통과한 합사된 원사는 1.15∼1.35의 연신비로 연신되어 냉각처리판(7)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종래에는 이 부분에서 교락부여등과 같은 공정을 부여하여 사집속성을 향상시키기도 하였는데, 이 경우 연신된 부분에서 교락이 이루어져 가연가공시 핀사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공정의 복잡성이 있어 생산성저하의 요인이 되기도 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 공정은 거치지 않았다.
열고정된 원사는 서로 역회전하는 벨트식 회전 가연장치(8)를 통과하므로써 섬유표면에 최대한의 벌키성을 부여하게 되는데, 섬도가 비슷한 경우에는 가연조건을 저(低) TPM으로 하고 섬도 차이가 40% 이상에서는 고(高) TPM을 하여 벌키성을 만족시켰다. 따라서 가연조건은 3,000∼3,5OOOTPM(Turn Per Meter) 범위로 벨트의 교차각은 105∼110도의 범위로 벨트의 접지압력은 0.8∼1.5kg/㎠ 으로 조절하는 것이 핀사발생 방지에 효과적인데, 벨트의 교차각을 105도 미만으로 하면 크림프가 불균일하고 벌키성이 감소되며, 115도 보다 커지면 미해연이 발생하거나 합사 데니어가 작아서 원사의 진행방향에 진동을 유발하므로써 사절이 발생되고 작업성이 떨어진다.
가연장치를 통과한 가공사는 제 3 공급 로울러(9)를 거쳐서 1.0∼1.15의 연신비로 연신하여 가공사의 배향성을 향상시킨다. 가연된 원사는 제 4 공급 로울러(11)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4∼6%의 오버피드율로 가공사를 공급하여 진행하는 가공사의 진동으로 루프 및 세트무라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권치 로울러(12)에서는 0.6∼1.0% 수준으로 연신하여 권치장력을 조절하고, 가공사의 권치보빈의 하드니스(Hardness)를 70∼75g수준으로 한다. 하드니스가 7Og미만 일때는 제적시 6OOrpm이상의 직기에서는 다중풀림의 발생으로 제직성이 저하되며, 직물의 쌍올발생으로 품질이 저하된다. 또, 75g 초과시에는 표면의 사가 내부로 파고들거나 사간의 집속이 이루어져 제직시 6OOrpm 이상에서는 제직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가공사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고밀도 직물의 제조시 직기상에서 직축이 발생하지 않도록 직물변부를 잡아주는 템플을 2링더블로 하여 제조하면 가공지상에서 직물표면에 실크라이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나이론 필라멘트사(7O데니어 96필라멘트)와 나이론 필라멘트사(40 데니어 13필라멘트)를 각각 이펙트사와 코어사로 하여, 이펙트사는 제 1 공급 로울러에서 3%의 오버피드를 주어 공급하고 교락 노즐에서 25개/미터의 교락을 부여하여 제 2 공급 로울러에서 이펙트사와 코어사를 합사 공급하여 열처리판을 통과시키되 이때 연신비는 1.20으로 하며, 열변형온도는 165℃로 하고 가연벨트의 접지 압력은1.0kg/㎠, 교차각은 110°로 하여 3,2OOTPM으로 가연하고 가공사의 배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1.0의 연신비로 연신하고, 가공사의 형태안전성을 위해서 5%의 오버피드율로 권취로울러에 권취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가공사를 경사 총본수 8,100본 생지밀도 15O ×100의 평직으로 고속 위터젯트룸에서 제직하되 양쪽 변부를 잡아주는 템플(Temple)은 2링 더블 템플로 하여 직축이 직기상에서 억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직하여 일반적인 방법으로 정련, 염색 또는 다양한 후처리 가공하여 다양한 품질의 최종 제품을 얻었다.
제조조건과 작업성 및 제품품질에 대한 결과를 표 1 과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이펙트사를 폴리에스터 필라멘트사(75 데니어 / 144 필라메트)를 사용하고 열변형온도를 168℃로 하고, 가연조건을 3,500TPM으로 행한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같다.
제조조건과 작업성 및 제품품질에 대한 결과를 표 1과 2에 기재 하였다.
(실시예 3)
제 1 공급 로울러의 오버피드를 5%로 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같다.
제조조건과 작업성 및 제품품질에 대한 결과를 표1과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와 동일원사를 사용하여 동일조건으로 제조하되 가연조건을3,000TPM으로 하였고 제 1 공급 로울러의 오버피드를 4%로 하였다.
제조조건과 작업성 및 제품품질에 대한 결과를 표1과 2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5)
벨트의 접지압력을 1.2kg/㎠ 으로 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다.
제조조건과 작업성 및 제품품질에 대한 결과를 표1과 2에 기재 하였다.
(비교예 1∼3)
실시예1, 2와 유사한 조건으로 하되 제 1 공급 로울러 통과후 교락부여를 하지 않았다.
제조조건과 적업성 및 제품품질에 대한 결과를 표1과 2에 기재 하였다.
표 1
표 2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조 과정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펙트사 2 : 코어사
3 : 제 1 공급로울러 4 : 제 2 공급로울러
5 : 교락노즐 6 : 접촉식 열처리판
7 : 냉각처리판 8 : 가연장치
9 : 제 3 공급로울러 10 : 제 2 히터
11 : 제 4 공급로울러 12 : 권취보빈

Claims (3)

  1. 단사섬도가 0.5∼0.7 데니어 수준인 나이론 및 폴리에스터 필라멘트 연신사를 이펙트사로, 단사섬도가 3데니어 수준인 나이론 세미덜 광택의 필라멘트 연신사를 코어사로 하되, 이펙트사를 공급할때 오버피드를 3∼5%로 하여 20∼30개/미터의 교락을 부여하여 코어사와 합사하여 160∼17O℃로 열처리하고 냉각한후, 역회전 벨트 방식으로 회전가연시켜 1.15∼1.35배로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교락가연가공사.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가연 조건은 3,000∼3,5OOTPM(Turn Per Meter)이고, 교차각은 105∼110도, 벨트의 접지압력은 0.8∼1.5kg/㎠ 임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교락 가연가공사.
  3. 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된 혼섬 교락가연가공사를 이용하여 고밀도 직물 제직시 양변부를 2링 더블 템플로 잡아주어 직상에서는 직축이 발생치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섬교락 가연가공사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940037636A 1994-12-28 1994-12-28 혼섬교락가연가공사및그사를이용한직물의제조방법 KR100324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636A KR100324287B1 (ko) 1994-12-28 1994-12-28 혼섬교락가연가공사및그사를이용한직물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7636A KR100324287B1 (ko) 1994-12-28 1994-12-28 혼섬교락가연가공사및그사를이용한직물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355A KR960023355A (ko) 1996-07-18
KR100324287B1 true KR100324287B1 (ko) 2002-05-13

Family

ID=3746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7636A KR100324287B1 (ko) 1994-12-28 1994-12-28 혼섬교락가연가공사및그사를이용한직물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2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093B1 (ko) * 2001-07-24 2006-12-14 주식회사 코오롱 나일론 복합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623B1 (ko) * 2005-11-23 2007-05-09 최성훈 커트 루프 조직을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33B2 (ko) * 1978-09-20 1986-01-09 Kawai Musical Instr Mfg Co
KR870001341A (ko) * 1985-07-03 1987-03-13 정찬주 폴리에스터 특수가공사 및 그 제조 방법
KR920010291A (ko) * 1990-06-30 1992-06-26 문정환 기억소자 기능 검사방법
KR940014984A (ko) * 1992-12-17 1994-07-19 구창남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33B2 (ko) * 1978-09-20 1986-01-09 Kawai Musical Instr Mfg Co
KR870001341A (ko) * 1985-07-03 1987-03-13 정찬주 폴리에스터 특수가공사 및 그 제조 방법
KR920010291A (ko) * 1990-06-30 1992-06-26 문정환 기억소자 기능 검사방법
KR940014984A (ko) * 1992-12-17 1994-07-19 구창남 나이론 멀티필라멘트 스펀라이크사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093B1 (ko) * 2001-07-24 2006-12-14 주식회사 코오롱 나일론 복합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355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839B1 (ko) 투톤 발현이 가능한 복합 가연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직물
KR100324287B1 (ko) 혼섬교락가연가공사및그사를이용한직물의제조방법
KR960014768B1 (ko) 복합가연사 직물의 제조방법
JP3176813B2 (ja) ポリエステルシック・アンド・シンヤーンおよび該ヤーンからなるカスリ調織編物
JP2857718B2 (ja) 潜在嵩高糸とその製造方法
KR950015031B1 (ko) 혼섬 가공사의 제조방법
KR870000879B1 (ko) 나일론 필라멘트 가공사
JPH03279428A (ja) ポリエステル混繊糸
JP3088930B2 (ja) 嵩高構造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970008866B1 (ko) 나이론 이섬도 이광택 혼섬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KR20210101837A (ko) 독특한 무늬를 갖는 복합가연사직물 제조방법
JPS6140771B2 (ko)
JP2003119640A (ja) ポリエステル混繊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25004A (ko) 폴리에스터 복합 가공사의 제조방법
JP2986366B2 (ja) 複合仮撚嵩高糸
JPH0351335A (ja) 特殊嵩高加工糸の製造方法
JPS60104543A (ja) 紡績糸様フイラメント糸
KR20000025765A (ko) 양방향 신축성직물의 제조방법
JP3091387B2 (ja) 嵩高構造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99630A (ja) 絹紡糸調嵩高加工糸の製造方法
JP3021617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交絡糸の製造方法
KR970000811B1 (ko)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JP2814451B2 (ja) スパン調マルチフィラメント糸の製造方法
JP3232662B2 (ja) スパン調太さムラを有する複合仮撚糸の製造方法
JPH0333239A (ja) 嵩高加工糸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