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550B1 - 세정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세정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550B1
KR940011550B1 KR1019930001522A KR930001522A KR940011550B1 KR 940011550 B1 KR940011550 B1 KR 940011550B1 KR 1019930001522 A KR1019930001522 A KR 1019930001522A KR 930001522 A KR930001522 A KR 930001522A KR 940011550 B1 KR940011550 B1 KR 940011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water
washing
light emitting
emit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545A (ko
Inventor
코우이찌 쿠로다
하지메 스즈끼
마사까쓰 모리시게
까쓰지 오오니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7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7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washing water,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3/00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 G01D3/028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mitigating undesired influences, e.g. temperature, pressure
    • G01D3/036Indicating or recording apparatus with provision for the special purposes referred to in the subgroups mitigating undesired influences, e.g. temperature, pressure on measuring arrangements themse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G01F23/292Light, e.g. infrared or ultraviolet
    • G01F23/2921Light, e.g. infrared or ultraviolet for discrete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5Drying arrangements by using alternative heat sources, e.g. microwave or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9Water lev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0Time, e.g. elapsed operating ti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2Number of operational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정기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식기세정건조기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중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식기세정건조기의 제어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식기세정건조기의 동작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식기세정건조기의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세정조 11 : 세정겸 배수펌프
18 : 광센서 20 : 발광소자
21 : 수광소자 27 : 수위스위치(수위검지수단)
28 : 마이크로컴퓨터 35 : 메모리(기억수단)
37 : 전류제어부(전류제어수단) 38 : 판단부(판단수단)
39 : 발광보정부(발광보정수단) 40 : 정전류부(정전류수단)
본 발명은 의류나 식기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세탁기나, 식기세정기등의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런 종류의 세정기의 예로서, 일본국 특개소 60-48724호 공보에 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식기 세정건조기가 있다.
이 식기세정건조기는 세정조정부에 설치한 물이 괴는 곳과 노즐용 펌프에 연결되는 흡수구와의 사이에 급수관의 내부에 세정수의 광투과도의 변화를 검지하는 광센서를 배치하고 있다.
광센서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물의 광투과도에 따라 수광소자의 수광량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이용해서, 세정수의 광투과도의 변화를 검지하는 것이다.
이 검지의 결과에 따라 세정, 헹굼, 배수 및 건조의 공정종료를 제어한다.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발광소자는 특성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발광출력에 고저가 있고, 또 수광소자도 같은 상태로 특성이 일정하지 않아, 수광량에 대해 출력 전압이 높은 것과 낮은 것이 있다.
그 때문에, 발광소자의 수광소자의 조합에 의해, 같은 구동회로를 사용해서 같이 더렵혀진 식기를 세정해도 세정수의 광투과도의 평가가 달라서, 세정효과가 변해 버릴 염려가 있었다.
또, 종래예와 같은, 광투과도로 공정을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더렵혀지지 않은 상태의 광투과도를 측정해서 기준치를 결정하고, 그 기준치와 측정치와의 차이로부터 세정수의 더렵혀진 상태를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세정조내에 전회의 세정수가 많이 남이 있으면, 급수후의 조내의 물이 더럽혀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광투과도를 측정해서 기준치를 결정하면, 세정이나 헹굼시에 세정수가 더렵혀져 있는데도 불구하고, 깨끗하다고 오인해 버려서 충분한 세정이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세정조 내에 전회의 세정수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동작을 정지해서 남은 물을 제거해 주고, 깨끗한 물을 채우도록 하면, 광투과도의 평가가 정확히 되지만, 그 때문에 일일이 사용자에게 남은 물의 제21작업을 시키지 않으면 안되어,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을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특성의 불균일을 자동적으로 보정할 수가 있는 세정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세정조 내에 전회의 세정수가 남아 있는 경우에도 세정능력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일이 없는 세정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제1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향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갖는 광센서에 의해 세정수의 광투과도를 검지하고, 검지된 세정수의 광투과도에 기초하여 세정, 헹굼, 배수의 각 공정을 제어하는 세정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경우에 수광소자가 일정한 수광량을 검지하고 있는가 어떤가를 판단하고, 수광소자가 일정한 수광량을 검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때에는 일정한 수광량을 검지하도록 발광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한 제1발명에 의하면, 발광소자나 수광소자의 특성이 불균일해도 광센서 마다 감도를 조정하기 때문에, 세정상태의 불균일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한 제2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급수동작 개시후, 일정시간내에 세정조 내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에 도달했는가 어떤가를 광센서에 의해 판정하고, 급수동작후, 일정시간 내에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며, 세정조 내의 물은 깨끗한 것으로 보고, 수광소자가 일정한 수광량을 검지하도록 발광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고, 급수동작후 일정시간내에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면, 세정조 내에 전회의 세정수가 남아 있다고 보고, 광센서의 보정을 행하지 않고(또는 광센서의 보정을 이미 행한 경우에는 그 결과를 채용하지 않고), 발광소자에 기억된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한 제2 본 발명에 의하면, 전회의 세정수가 세정조 내에 남아 있는가 어떤가를 급수동작 후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판단한다.
세정수가 세정조 내에 남아 있는 경우에는 감도조정을 행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표준전류를 흘리도록 했기 때문에, 더럽혀진 물의 광투과도에 기초해서 기준치를 결정해 버릴 여려는 없다.
따라서 세정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세정을 행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식기세정건조기를 나타낸다.
제1도에 있어서, 식기세정건조기의 상면 및 좌우측면을 덮는 금속제의 프레임(1), 식기세정기 본체의 후면을 막는 후면판(15) 및 본체의 저면을 막는 저면판(16)에 의해 식기세정건조기의 외부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다. (2)는 본체 전면에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된 문, (17)은 저면판(16)의 네귀퉁이 근방에 각각 설치한 다리부이다.
프레임(1)내에 배치한 세정조(3)내에는 문(2)를 통해서 출입가능한 식기바구니(4)가 놓여 있다. 식기바구니(4)는, 세정조(3)의 중간단계에 설치한 탑재용 레일(5)에 따라 출입된다.
세정조(3)의 바닥부에는 회전가능한 긴 세정노즐(6)이 배치되고, 또 그 바닥부에는 고리형상의 사이즈히이터(sheathed heater)(7)이 배치되어 있다.
(8)은 세정조(3)의 전면측 저면의 오목한 곳(9)에 설치한 떼어내는 것이 자유로운 잔류채소여과기(10)은 문(2)의 개폐를 검지하는 도어스위치이다.
세정노즐(6)의 한쪽끝에는 세정수를 가로로 향하게 분사하는 추진용 분사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좌우에 각각 형성되고, 또 이 2개의 분사구멍을 교대로 개폐시키는 밸브(도시 생략)도 설치되어 있다.
이 어느것인가의 분사구멍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사시키므로서, 세정노즐(6)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11)은 세정겸 배수펌프(이하 "펌프"라 한다)이며, 이 펌프(11)의 정회전시에는 세정노즐(6)에 세정수를 공급하고, 또 역회전시에는 세정조(3)내의 세정수를 배수파이프(도시생략)를 거쳐서 배수시킨다.
펌프(11)의 정회전시에 펌프(11)의 구동-정지-구동 등의 동작을 행하는 때에 상기한 세정노즐(6)내의 밸브를 동작시켜서, 추진용 분사구멍의 개구방향을 변경시켜서, 세정노즐(6)의 회전방향을 반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12)는 세정조(3)과 연달아 통하고, 세정조(3)과 폐루우프를 형성하는 순환덕트이다.
이 순환덕트(12)는 조내의 공기와 외기와를 칸막이 해서, 열교환을 행하고, 또한 조내의 공기의 제습을 행한다.
(13)은 양면에 날개가 설치되어 있는 양면팬이며, 날개의 한쪽면이 외기에 접촉되고 다른쪽면이 조내의 공기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양면팬(13)은 전동기(14)에 의해 회전하고, 순환덕트(12)내의 조내공기를 강제 순환시킨다.
세정조(3)내의 세정수를 펌프(11)에 의해 흡입하는 흡수구(19)에 광센서(18)이 배치되어 있다.
광센서(18)은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 케이싱(26)에 나사로 부착되어 있고, 발광소자(20), 수광소자(21)을 각각 수납한 발광소자케이스(22), 수광소자케이스(23)을 구비하고 있다. 발광소자(20)의 발광면(24)와, 수광소자(21)의 수광면(25)와는 펌프(11)의 흡수구(19)의 외주에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정조(3)에 연달아 통한 검지상자(27a)에는 세정조(3)내에 급수된 세정수가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면, 온(ON)신호를 출력하는 수위검지부가 되는 수위스위치(수위검지수단)(27)이 수납되어 있다.
이 수위스위치(27)에는 예를 들면, 부유기가 내장되어 있고, 수위의 상승과 함께, 부유기도 떠올라서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면, 그에 연동해서 리미트 스위치가 온(ON)되도록 되어 있다.
제3도는, 광센서(18)의 제어블록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술한 설명과같은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것은 같은 기능을 갖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광센서(18)의 제어는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가 되는 마이크로컴퓨터(28), 마이크로컴퓨터(28)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예를 들면, 라다회로로 구성되는 D/A변환기(29), D/A변환기(29)로 변환된 수준에 따라 직류를 흘리는 연산증폭기로 구성된, 버퍼회로(30), 발광소자(20)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저항(31), 마찬가지로 수광소자(21)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저항(32), 수광소자(21)의 신호를 안정시키기 위한 버퍼회로(33), 버퍼회로(33)의 출력을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34)등에 의해 행해진다.
마이크로컴퓨터(28)은 발광소자(20)에 흐르는 표준전류치를 기억하고 있는 메모리(기억수단)(35), 급수시간은 계시하는 타이머(36), 후술하는 발광보정부(39) 또는 정전류부(40)에 의해 설정된 값의 전류를 발광소자(20)에 흐르도록 제어하는 전류제어부(전류제어수단)(37), 발광소자(20)의 광을 수광소자(21)에 수광한 때의 수광량이 일정한 수광량인가 어떤가를 판단하는 판단부(판단수단)(38), 판단부(38)에서 일정한 수광량을 검지하도록 발광소자(20)에 흐르는 전류치를 설정하는 발광보정부(발광보정수단)(39), 메모리(35)에 기억된 표준전류를 발광소자(20)에 흐르도록 전류제어부(37)을 설정하는 정전류부(4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의 동작을 제4도의 흐름도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우선 수위스위치(27)로 세정조(3)내에 세정수가 소정의 수위에 도달해 있는가 어떤가를 판단한다(S-1).
만약 소정의 수위에 도달해 있지 않으면, 급수동작을 행한다(S-2).
이 급수동작의 시간은 타이머(36)에 의해 계시된다(S-3).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동작을 정지시킨다(S-4).
상기한 급수동작시간을 단계(S-3)에서 계수한 결과, 그 시간이 T1초(예를 들면, 15초) 이상이라고 판정하면, (S-5), 세정조(3)내에 남은 물이 없었든가, 또는 남은 물이 있어도 그 양이 적기 때문에 광투과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해서, 광센서(18)의 보정동작을 실행한다(S-6).
상기한 T1초는 세정조(3)내가 빈상태에서 급수해서,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T0(예를 들면, 30초) 보다도 짧고, 설정된 일정한 시간이다.
이 단계(S-6)의 보정동작은 다음과 같이 해서 행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마이크로컴퓨터(28)로부터, D/A변환기(29), 완충회로(30)을 거쳐서, 발광소자(20)에 메모리(35)에 기억되어 있는 표준전류가 흐른다.
이때 수광소자(21)의 수광량을 A/D변환기(34)를 거쳐서, 마이크로컴퓨터(28)에서 검지하여, 그 값이 소정의 수광량에 도달하고 있는가를 판단부(38)은 판단한다.
판단부(38)의 판단결과에 의해, 만약 수광량이 많으면 발광보정부(39)는 전류제어부(37)을 제어해서, 발광소자(20)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고, 또 수광소자(21)의 수광량이 적으면, 발광소자(20)에 흐르는 전류를 증가시켜서, 수광량이 일정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조정한다.
또한 이 조정을 일반적으로 광센서의 감도조정이라 말한다.
광센서의 감도가 조정되면, 그 발광소자(20)의 전류치를 광투과도를 검지하는 때의 전류치로서, 전류제어부(37)에 설정하고 나서 세정동작을 개시한다.
또, 단계(S-5)에서 급수동작 시간이 T1초 이내, 즉, 급수동작을 개시하고 나서, 바로 소정의 수위에 도달했으면, 세정조(3)내에 전회의 세정수가 남아 있다고 판단해서 정전류부(정전류수단)(40)은 광센서(18)의 감도를 조정하지 않고, 메모리(35)에 기억되어 있는 표준전류를 광투과도를 검지하는 때의 전류치로서, 전류제어부(37)에 설정한다.
그후 세정운전을 실행한다(S7).
세정탱크(3)내에 전회의 세정수가 어느정도 이상 남아 있으면, 급수후의 조내의 물이 더럽혀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감도조정을 행한 경우, 발광소자(20)으로부터의 발광량에 대한 정확한 수광량을 수광소자(21)에 검지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정확한 감도조정이 행해지지 않고, 광센서(18)의 정밀도를 현저히 저하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세정조(3)내의 남은 물이 있었던 경우에는 동작을 정지시켜서, 남은 물을 제거하도록 하면, 광센서 감도의 정확성이 향상되지만, 그 때문에 반드시 사용자에게 제거작업을 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사용의 편리함을 나쁘게 한다.
따라서 본 식기세정건조기에서는, 통상 사용하는 감도와 큰 차이가 없는 표준전류를 미리 메모리(35)에 기억시켜 두고, 단계(S-5)에서 남은 물이 있다고 판단한 때, 메모리(35)에 기억된 전류를 발광소자(20)에 흐르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사용의 편리함을 나쁘게 하는 일이 없이 광센서의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광센서(18)의 감도조정을 세정조(3)에의 급수후 행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급수동작전의 수면이 광센서(18)의 설치수준 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는 때에 광센서(18)의 감도를 조정해도 된다.
이때에는 정확히 말하면, 물의 광투과도를 조사하는 것이 아니고, 공기의 광투과도를 조사하는 것이 되지만, 깨끗한 물의 광투과도와 공기의 광투과도와는 그렇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후의 처리에 지장을 주는 일은 없다.
제5도는 이 변경예에 관한 식기세정건조기의 동작흐름도이다.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면, 우선 급수동작전에 광센서(18)의 감도를 조정하고(S-11), 그후 급수를 한다(S-12로부터 S-14).
상기한 단계(S-11)의 감도조정시에 광센서(18)의 설치수준 보다 위에 전회의 세정수가 남아 있으면, 정확한 감도조정이 되지 않는다.
여기서 광센서(18)의 설치수준으로부터 소정의 수위가 되기까지 급수시간 T2(예를 들면, 20초)를 조사해 두고, 물이 소정의 수위까지 도달한 시간이 이 시간 T2보다도 긴가 어떤가를 판단한다(S-16).
길면, 감도조정시에 전회의 세정수가 남아 있지 않았다고 보고, 감도조정결과를 그대로 이용한다.
짧으면, 감도조정시에 전회의 세정수가 남아 있었다고 판단하여 정전류부(40)은 광센서(18)의 감도조정결과를 취소하고, 메모리(35)에 기억되어 있는 표준전류를 광투과도를 검지할 때의 전류치로서, 전류제어부(37)에 설정한다(S-17).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소자나 수광소자의 특성이 불균일 하여도 광센서 마다 감도를 조정하기 때문에 세정정도의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전회의 세정수가 세정조 내에 남아 있어도, 필요이상으로 세정시간이 길어지는 등, 세정운전 제어회로로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대향하는 발광소자(20)과 수광소자(21)를 갖는 광센서(18)에 의해 세정수의 광투과도를 검지하고, 검지된 세정수의 광투과도의 변화에 기초해서 세정, 헹굼, 배수의 각 공정을 제어하는 세정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2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제어부(37)과, 수광소자(21)이 소정의 경우에 일정한 수광량을 검지하고 있는가 어떤가를 판단하는 판단부(38)과, 판단부(38)에 의해 수광소자(21)이 일정한 수광량을 검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때에는 일정한 수광량을 검지하도록 발광소자(2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발광보정부(3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의 제어장치.
  2. 대향하는 발광소자(20)과 수광소자(21)과를 갖는 광센서(18)에 의해 세정수의 광투과도를 검지하고, 검지된 세정수의 광투과도의 변화에 기초해서 세정, 헹굼, 배수의 각 공정을 제어하는 세정기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세정조(3)내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에 도달했는가 아닌가의 판단을 하는 수위스위치(27)과, 급수동작 후 일정시간내에 수위스위치(27)의 출력이 있는가 어떤가를 판정하는 수단과, 발광소자(20)의 표준전류치를 기억하는 메모리(35)와, 수광소자(21)이 일정한 수광량을 검지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수광소자(21)이 일정한 수광량을 검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때에는 일정한 수광량을 검지하도록 발광소자(2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발광보정부(39)와, 급수동작후 일정시간내에 수위스위치(27)의 출력이 없으면, 발광보정부(39)의 보정결과를 채용하고, 급수동작 후, 일정시간내에 수위스위치(27)의 출력이 있으면, 발광보정부(39)에 의한 보정을 행하지 않고, 또는 보정한 결과를 채용하지 않고, 메모리(35)에 기억된 전류를 발광소자(20)에 흐르게 하도록 제어하는 정전류부(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일정시간이 세정조(3)내가 빈상태로부터 급수해서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T0보다도 짧게 설정된 일정의 시간 T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일정시간이 광센서(18)의 설치장소에 수면이 있는 상태로부터 급수해서 소정의 수위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T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기의 제어장치.
KR1019930001522A 1992-02-04 1993-02-04 세정기의 제어장치 KR940011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9060 1992-02-04
JP4019060A JPH0793918B2 (ja) 1992-02-04 1992-02-04 食器洗い乾燥機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545A KR930017545A (ko) 1993-09-20
KR940011550B1 true KR940011550B1 (ko) 1994-12-21

Family

ID=1198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522A KR940011550B1 (ko) 1992-02-04 1993-02-04 세정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65446A (ko)
JP (1) JPH0793918B2 (ko)
KR (1) KR940011550B1 (ko)
CA (1) CA2087790C (ko)
DE (1) DE4303250C2 (ko)
SE (1) SE50897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1042A (en) * 1993-08-20 1995-05-02 Sanyo Electric Co., Ltd. Dish washing machine
DE4415823C2 (de) * 1994-05-05 2001-07-19 Aeg Hausgeraete Gmbh Verfahren zur Spülprogramm-Steuerung in Haushalt-Geschirrspülmaschin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5446531A (en) * 1994-05-20 1995-08-29 Honeywell Inc. Sensor platform for use in machines for washing articles
US5586567A (en) * 1995-01-10 1996-12-24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with turbidity sensing mechanism
US5560060A (en) * 1995-01-10 1996-10-0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operating cycle of a cleaning appliance
US5555583A (en) * 1995-02-10 1996-09-17 General Electric Company Dynamic temperature compensation method for a turbidity sensor used in an appliance for washing articles
US5477576A (en) * 1995-02-10 1995-12-26 General Electric Company Temperature compensation method for a turbidity sensor used in an appliance for washing articles
US5923432A (en) * 1997-12-18 1999-07-13 Steris Corporation Cleaning efficacy real time indicator
DE19945925A1 (de) * 1999-09-24 2001-03-29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asserführendes Haushaltgerät
DE10111006A1 (de) * 2001-03-07 2002-11-07 Miele & Cie Verfahren zum Abgleichen eines Trübungssensors
DE10135191A1 (de) * 2001-07-19 2003-01-30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wasserführenden Haushaltgerätes und Haushaltgerät hierzu
US7146991B2 (en) 2002-01-23 2006-12-12 Cinetic Automation Corporation Parts washer system
US7338565B2 (en) 2003-08-21 2008-03-04 Cinetic Automation Corporation Housingless washer
US7353832B2 (en) * 2003-08-21 2008-04-08 Cinetic Automation Corporation Housingless washer
JP5018834B2 (ja) * 2009-07-01 2012-09-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US8480811B2 (en) 2010-05-17 2013-07-09 Viking Range, Llc Fill protection algorithm
US10130238B2 (en) * 2016-07-07 2018-11-2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Turbidity sensor assembly including an integral water level indica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8187B1 (ko) * 1968-11-15 1974-05-08
DE3240048A1 (de) * 1982-10-28 1984-05-03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in waschmaschinen mit waschmittel-vorratsbehaeltern
JPS59141991A (ja) * 1983-02-02 1984-08-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724647B2 (ja) * 1983-08-26 1995-03-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S61160000A (ja) * 1985-01-09 1986-07-19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CA1266385A (en) * 1985-01-08 1990-03-06 Koji Kikuchi Washing machine with a turbidimet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S61167786A (ja) * 1985-01-18 1986-07-29 Nissan Motor Co Ltd ソレノイド駆動装置
KR930007703B1 (ko) * 1989-01-27 1993-08-18 마쓰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세탁기
JP2563560B2 (ja) * 1989-02-17 1996-12-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制御装置
JP2722654B2 (ja) * 1989-04-21 1998-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3168191A (ja) * 1989-11-29 1991-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の制御装置
US5248644A (en) * 1992-04-13 1993-09-28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Zirconia-pillared clays and mic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93918B2 (ja) 1995-10-11
JPH0622896A (ja) 1994-02-01
CA2087790C (en) 1996-05-21
SE9300286D0 (sv) 1993-01-29
CA2087790A1 (en) 1993-08-05
US5265446A (en) 1993-11-30
SE9300286L (sv) 1993-08-05
KR930017545A (ko) 1993-09-20
SE508973C2 (sv) 1998-11-23
DE4303250C2 (de) 2000-04-13
SE508973C3 (sv) 1993-08-05
DE4303250A1 (ko) 199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1550B1 (ko) 세정기의 제어장치
US5729025A (en)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turbidity sensor for a machine for washing articles
US9131827B2 (en) Dishwasher
WO2012014408A1 (ja) 食器洗い機
EP2586353A1 (en) Dishwasher
JPH10180212A (ja) 噴射式洗浄機
JP3083694B2 (ja) 食器洗浄機
JPH0549584A (ja) 食器洗い乾燥機
JPH0889469A (ja) 食器洗浄機
JP2664583B2 (ja) 洗浄機
JP2664580B2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1053572B1 (ko) 식기 세척기 및 행정 제어방법
KR960010940B1 (ko) 식기세척/건조기의 식기량 판단방법
JP2923396B2 (ja) 洗濯機
KR920007673B1 (ko) 식기세척기의 제어회로
JP3011551B2 (ja) 食器洗浄機
KR960010944B1 (ko) 식기세정기
JP2645960B2 (ja) 食器洗い乾燥機
JP2701219B2 (ja) 物品洗浄機
JPH0810209A (ja) 食器洗い乾燥機
JPH04336023A (ja) 食器洗い器
KR20060041371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JPH04221599A (ja) 洗濯機の流量検知装置
KR20210061143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JPH06121761A (ja) 食器洗い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