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572B1 - 식기 세척기 및 행정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및 행정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572B1
KR101053572B1 KR1020030058704A KR20030058704A KR101053572B1 KR 101053572 B1 KR101053572 B1 KR 101053572B1 KR 1020030058704 A KR1020030058704 A KR 1020030058704A KR 20030058704 A KR20030058704 A KR 20030058704A KR 101053572 B1 KR101053572 B1 KR 101053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mp
washing
stroke
turbid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030A (ko
Inventor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8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572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7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washing water, e.g. turb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식기 세척기 및 그 행정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역회전에 의해 토출구 또는 배출구로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배수시키는 순환펌프와, 순환펌프의 토출구로 토출되는 세척수를 비산시켜서 식기를 세척하는 아암과, 급수를 통한 세척수 또는 아암를 통해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를 집수하기 위한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기 세척기에서, 상기 섬프 내부의 하단에 장착되어 섬프 내의 잔수를 감지하거나 섬프 내 세척수의 탁도를 감지하기 위한 탁도 센서; 그리고, 배수 행정 완료시점에 상기 탁도 센서를 통해 섬프 내의 잔수가 감지되면 배수를 수행하고, 급수 행정시 상기 탁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섬프 내 세척수의 탁도 레벨이 기 설정 레벨 이하이면 배수 후 재급수를 수행하도록 상기 순환펌프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시스템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탁도 센서를 섬프 하단에 장착하여 배수 완료 시점에 섬프 내의 잔수를 감지하거나 급수시 섬프 내 세척수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행정을 제어함으로써 제품 신뢰성 및 세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탁도 센서/섬프/잔수/오염도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및 행정 제어방법{Dish 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urse of The Same}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탁도 센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에 따른 행정 제어방법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에 따른 행정 제어방법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섬프 210: 여과통
300: 탁도 센서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식기 세척기 및 그 행정 제어방법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식사 후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자동 세척하는 기기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1)는 정/역회전에 의해 토출구(7)와 배출구(6)로 세척수를 공급 또는 배수시키는 순환펌프(5)와, 상기 순환펌프(5)의 토출구(7)로 토출되는 세척수를 비산시켜서 세척 바구니(10)의 식기(11)를 세척하는 아암(9)과, 상기 아암(9)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데워서 공급하기 위해 토출관(7) 상에 설치되는 히터(13a)와, 상기 히터(13a)를 통해 아암(9)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터브(Tub)(2)의 바닥면으로 모아서 순환펌프(5)로 재공급하기 위한 섬프(Sump)(3)와, 상기 섬프(3)의 내부에 내장되어 세척 찌꺼기들을 여과시킬 수 있는 여과통(Filter)(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식기 세척기(1)는, 먼저 터브(2)의 측면에서 급수가 이루어지면 터브(2)의 바닥면으로 세척수가 모이면서 섬프(3) 내부로 흘러 들어가 모이게 된다. 이때, 플로우 미터(Flow Meter)(도시 생략)를 통해 기 설정된 수위까지 급수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섬프(3)에 설정 수위가 되면 순환펌프(5)가 정회전 되면서 섬프(3)내의 세척수를 토출관(7)을 통해 토출시키게 된다.
상기 토출관(7)으로 토출되는 세척수는 히터(8)에 의해 일정 온도로 데워지면서 아암(9)으로 공급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아암(9)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여러 개의 분사공을 통해 세척 바구니(10)에 안착된 여러 개의 식기(11)들을 자동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세척 행정은 탁도 센서(14)를 통해 감지된 세척수의 오염도에 따라 제어되는데, 행정 도중에 순환되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오염도에 따라 행정시간을 결정하거나 세척수 가열여부 또는 배수 여부를 결정하여 행정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탁도 센서(14)는 히터 케이스(13)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히터 케이스(13)를 경유하는 세척수의 오염된 정도(탁도)를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탁도 센서(1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 커플러를 이용하며 이는 히터 케이스(13)의 내부 일측에 장착된다. 상기 포토 커플러의 발광부(14a)에서 발광된 빛은 순환관을 순환하는 식기 세척된 물을 투과하여 수광부(14b)에 전달되고 수광된 신호는 시스템 마이컴(도시부호 생략)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마이컴은 수광부(14b)를 통해 입력된 신호 레벨 즉, 전압 값을 통해 세척수의 탁도를 감지하게 되는데, 입력 전압 값이 낮으면 낮을수록 세척수의 오염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시스템 마이컴은 입력되는 전압 레벨에 따라 세척수의 탁도를 판단하고 상기 감지된 탁도에 따라 세척행정을 제어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의 식기(11)들을 세척하고 난 후 세척수와 세척 찌꺼기들은 터브(2)의 바닥면으로 떨어지면서 섬프(3)에 모이게 된다.
상기 섬프(3)에 모이는 세척수와 세척 찌꺼기들은 여과통(4)에 의해 여과되 는 상태가 된다.
즉, 세척수는 여과통(4)의 여과공을 통해 순환펌프(5)로 재공급되고 세척 찌꺼기들은 여과통(4)을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여과통(4) 내에 머물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5)로 재공급된 세척수는 다시 토출관(7)을 통해 재공급되어 식기를 재세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 행정이 완료된 후에는 배수 행정이 이어지고, 배수 행정시에는 세척을 끝낸 세척수와 세척 찌꺼기들이 섬프(3)에 모여 있는 상태에서 순환펌프(5)가 역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순환펌프(5)의 역회전에 의해 여과통(4)의 여과공으로 세척 찌꺼기들이 빠져나가면서 배출이 되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세척행정과 배수행정은 세척수가 여과통(4)을 거쳐 순환펌프(5)로 유입되는 경로가 동일하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플로우 미터의 이상으로 급수량이 기 설정량보다 많을 경우, 일정시간 수행하는 배수 행정시 잔수량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세척 사이클이 반복되면 잔수량이 점차적으로 많아질 뿐 아니라 잔수의 감지가 불가능하므로 잔수에 대한 배수가 전혀 이루어질 수 없었다.
둘째, 섬프 내의 여과통에 의해 걸러진 이물이 다음 사이클을 위한 급수 행 정시 급수되는 물에 섞여 터브 내로 들어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세척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세척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식기 세척기 및 그 행정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정/역회전에 의해 토출구 또는 배출구로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배수시키는 순환펌프와, 순환펌프의 토출구로 토출되는 세척수를 비산시켜서 식기를 세척하는 아암과, 급수를 통한 세척수 또는 아암를 통해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를 집수하기 위한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식기 세척기에서, 상기 섬프 내부의 하단에 장착되어 섬프 내의 잔수를 감지하거나 섬프 내 세척수의 탁도를 감지하기 위한 탁도 센서; 그리고, 배수 행정 완료시점에 상기 탁도 센서를 통해 섬프 내의 잔수가 감지되면 배수를 수행하고, 급수 행정시 상기 탁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섬프 내 세척수의 탁도 레벨이 기 설정 레벨 이하이면 배수 후 재급수를 수행하도록 상기 순환펌프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시스템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행정 제어방법은 세척수를 집수하는 섬프 내부의 하단에 탁도 센서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행정 명령에 따라 세척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세 척 행정 완료 후 설정시간동안 배수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배수 행정이 완료되는 시점에 상기 탁도 센서를 통해 섬프 내의 잔수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섬프 내에 잔수가 감지되면 소정 시간 배수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행정 제어방법은 세척수를 집수하는 섬프 내부의 하단에 탁도 센서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행정 명령 또는 다음 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급수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급수로 인해 섬프 내에 집수된 세척수의 탁도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감지된 세척수의 탁도 레벨이 기 설정 레벨 이하이면 배수 행정을 수행하고 재급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다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 및 그 행정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역회전에 의해 토출구(600)와 배출구(500)로 세척수를 공급 또는 배수시키는 순환펌프(400)와, 상기 순환펌프(400)의 토출구(600)로 토출되는 세척수를 데워서 공급하기 위해 토출관(600) 상에 설치되는 히터(700a)와, 급수를 통한 세척수 또는 식기 세척된 세척수를 터브(100)의 바닥면으로 모아서 순환펌프(400)로 재공급하기 위한 섬프(200)와, 상기 섬프(2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세척 찌꺼기들을 여과시킬 수 있는 여과통(Filter)(210)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 행정과 배수 행정에 있어 섬프(200)를 거쳐 순환펌프(400)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경로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시한 바와 같이 탁도 센서(300)를 상기 섬프(200) 내부의 하단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탁도 센서(300)는 섬프(200) 내에 잔수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섬프(200) 내의 하단 일측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행정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행정 제어방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식기량, 식기 종류 등을 고려하여 그에 해당하는 행정 명령을 입력한다.
사용자로부터 행정 시작명령이 입력되면, 시스템 마이컴(도시 생략)의 제어에 따라 설정수위까지 세척수의 급수를 수행한다(S100, S110).
이때, 상기 세척수의 설정수위는 개별모델의 구조(유로, 노즐의 내부용적 등)와 사용자가 식기량, 식기의 크기를 고려하여 입력한 행정 명령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급수되는 세척수는 섬프(200)로 공급되고, 섬프(200)에 공급된 세척수의 수위를 수위 감지부(도시 생략)를 통해 감지하여 설정 수위에 도달하면 급수를 중단함과 아울러, 설정시간동안 세척 행정을 수행한다(S120).
그리고, 상기 세척 행정이 완료되면 일정시간동안 배수 행정을 수행한다(S130).
상기 배수 행정 완료시점에 탁도 센서(300)를 통해 섬프(200) 내의 잔수를 감지한다(S140).
이때, 상기 탁도 센서(300)는 세척수의 오염도가 높을수록 낮은 레벨의 전압 값을 출력하며, 동시에 감지되는 세척수가 없을 경우 최대 레벨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탁도 센서(300)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레벨의 값을 메모리 수단(도시 생략)에 미리 저장하고, 탁도 센서(300)가 최대 레벨의 전압 값을 출력하면 섬프(200)내에 잔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섬프(200)에 탁도 센서(300)가 잠길 정도의 잔수가 존재할 경우 상기 탁도 센서(300)는 소정 레벨을 갖는 전압 값을 출력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감지결과(S140), 상기 섬프(200)내에 잔수가 감지되면 소정 시간동안 배수 행정을 다시 수행한다(S150). 그리고, 상기 배수 행정이 완료되거나 섬프(200)내에 잔수가 감지되지 않으면 헹굼, 건조 행정을 이어 수행한다(S160).
상술한 잔수 감지 및 추가 배수 행정은 배수 행정이 이루어질 때마다 수행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행정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행정 시작 명령 또는 다음 행정을 위해 급수 행정이 시작되면 이를 감지하여 급수로 인해 집수된 섬프(200)내 세척수의 탁도를 감지한다(S200, S210).
이는, 급수시 여과통(210)에 의해 걸러진 이물이 급수되는 세척수에 섞여 터브(100)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감지된 섬프(200)내 세척수의 탁도가 기 설정 레벨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220), 세척수의 탁도가 설정 레벨 이상이면 다음 행정을 수행한다(S230).
한편, 상기 세척수의 탁도가 설정 레벨 이하로 오염된 경우 즉, 급수시 섬프(200)에 이물이 있다고 감지되면 배수 행정을 다시 수행한 후 재급수를 수행한다(S240).
따라서, 본 발명은 탁도 센서를 섬프(200) 하단에 장착하여 배수 완료 시점에 섬프(200) 내의 잔수를 감지하거나 급수시 섬프(200) 내 세척수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행정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 및 그 행정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탁도 센서를 섬프 하단에 장착하여 배수 완료 시점에 섬프 내의 잔수 를 감지하고 잔수에 대한 배수를 수행함으로써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함과 아울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탁도 센서를 섬프 하단에 장착하여 급수시 섬프 내 세척수의 오염도를 감지하고 오염된 세척수를 배수 후 재급수함으로써 세척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세척수를 집수하는 섬프 내부의 하단에 탁도 센서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의 행정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행정 명령에 따라 세척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세척 행정 완료 후 설정시간동안 배수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배수 행정이 완료되는 시점에 상기 탁도 센서를 통해 섬프 내의 잔수를 감지하여 잔수 배수행정 수행을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행정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 내의 잔수를 감지하는 방법은 상기 탁도 센서가 소정 레벨의 전압값을 출력하는 경우 섬프 내에 잔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행정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 내에 잔수가 감지되면 소정 시간 잔수 배수 행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행정제어방법.
  4. 세척수를 집수하는 섬프 내부의 하단에 탁도 센서가 장착된 식기 세척기의 행정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행정 명령 또는 다음 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급수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급수로 인해 섬프 내에 집수된 세척수의 탁도를 감지하여 재급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행정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세척수의 탁도 레벨이 기 설정 레벨 이하이면 배수 행정을 수행하고 재급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행정 제어방법.
KR1020030058704A 2003-08-25 2003-08-25 식기 세척기 및 행정 제어방법 KR101053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704A KR101053572B1 (ko) 2003-08-25 2003-08-25 식기 세척기 및 행정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704A KR101053572B1 (ko) 2003-08-25 2003-08-25 식기 세척기 및 행정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030A KR20050022030A (ko) 2005-03-07
KR101053572B1 true KR101053572B1 (ko) 2011-08-03

Family

ID=3723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704A KR101053572B1 (ko) 2003-08-25 2003-08-25 식기 세척기 및 행정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906B1 (ko) * 2009-03-12 2012-04-03 파나소닉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113109067B (zh) * 2021-04-14 2023-03-24 中国家用电器研究院 洗碗机洁净率测试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030A (ko)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3759B1 (en) Washer, such as a dishwasher or a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sher
CA2171805C (en) Enhanced draining and drying cycles for an automatic dishwasher
KR100773645B1 (ko) 식기 세척기
US20120222705A1 (en) Dishwasher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operating it
KR101817369B1 (ko) 식기 세척기나 세탁기와 같은 워셔 및 이 워셔의 작동 방법
JP2004154576A (ja) 物品洗浄器の洗浄サイクルを制御して水位を検出して物品洗浄器の化学薬品送りラインを装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TWI415992B (zh) Washing machine (1)
US20120006355A1 (en) Dishwasher
WO2012014408A1 (ja) 食器洗い機
JPH10165913A (ja) 噴射式洗浄機
JP5157588B2 (ja) 食器洗い機
JP2011055980A (ja) 洗濯機
JP3565508B2 (ja) 食器洗浄機
KR20060010361A (ko) 식기 세척기의 탁도 센서 장착 구조
KR101053572B1 (ko) 식기 세척기 및 행정 제어방법
KR102443320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541170B1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JP4935877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206261B2 (ja) 食器洗浄機及びその洗剤供給方法
JPH04215736A (ja) 食器洗浄機
EP1008324A1 (en) Process for the cleaning of dishes in a dishwashing machine
KR101581757B1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JP2011041586A (ja) 洗濯機
US20130291896A1 (en) Dishwasher appliance with features for determining a drain time interval
KR20210099912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117

Effective date: 201106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