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716B1 -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716B1
KR940010716B1 KR1019900007715A KR900007715A KR940010716B1 KR 940010716 B1 KR940010716 B1 KR 940010716B1 KR 1019900007715 A KR1019900007715 A KR 1019900007715A KR 900007715 A KR900007715 A KR 900007715A KR 940010716 B1 KR940010716 B1 KR 940010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g
instrument panel
cover member
cover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841A (ko
Inventor
하루히사 고레
이사오 히라시마
히사오 무라모또
시게후미 고라노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5917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49346U/ja
Priority claimed from JP11290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7598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5917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49345U/ja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후루다 노리마사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7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7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to vent the inflation fluid source, e.g. in case of over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5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with complex motion of the cover; Retraction under the lining during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공기주머니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승객실의 정면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공기주머니 장치의 단면도.
제 4 도는 덮개부재의 결합부에서 본 공기주머니 장치의 부분단면도.
제 5a 도는 제 4 도와 유사한 본 발명 실시예의 부분단면도이고,
제 5b 도는 제 5a 도의 덮개가 공기주머니의 팽창력에 의해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 6 도는 제 2 도와 유사한 본 발명 실시예의 단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에서 공기주머니 장치가 작동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8 도는 제 6 도와 유사한 본 발명 실시예의 단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에서 공기주머니 장치가 작동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10 도는 제 8 도와 유사한 본 발명 실시예의 단면도.
제 11 도는 제 10 도에서 공기주머니 장치가 작동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12 도는 제 10 도와 유사한 본 발명 실시예의 단면도.
제 13 도는 제 12 도에서 공기주머니 장치가 작동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14 도는 제 12 도와 유사한 본 발명 실시예의 단면도.
제 15 도는 제 14 도에서 공기주머니가 작동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16 도는 제 14 도와 유사한 본 발명 실시예의 단면도.
제 17 도는 제 16 도에서 공기주머니 장치를 작동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18 도는 제 16 도와 유사한 본 발명 실시예의 단면도.
제 19 도는 제 18 도에서 공기주머니 장치가 작동한 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20 도는 제 18 도와 유사한 본 발명 실시예의 단면도.
제 21 도는 제 20 도에서 공기주머니 장치가 작동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계기패널 1a : 개구
2 : 공기주머니 장치 3 : 대시하부패널
4 : 대시상부패널 5 : 카울상자부패널
6 : 카울상자 7 : 앞유리
8 : 접착제 9 : 냉각기
10 : 성에제거노즐 11 : 글러브쟁반
12 : 글러브덮개 13 : 글러브포켓
14 : 글러브간막이 15 : 조향지지부재
16 : 브래킷 20 : 공기주머니 구성단위
21 : 용기 21a : 개구
22 : 공기주머니 22a : 통기공
23 : 가스발생기 23a : 가스구멍
24 : 덮개(또는 덮개부재) 24a : 상부
24aa : 제 1 부 24ab : 제 2 부
24b : 하부 24ba : 제 1 부
24bb : 제 2 부 25a : 환상(고리모양)부
25b : 원통형부 28 : 보본판
29 : 대갈못 30 : 취약부
31, 32 : 경첩부 33 : 선반부
35, 36 : 절곡부 37, 38 : 연결부재
37a, 38a : 기초부 37b, 38b : 팔모양부분
37c, 38c : 자극부 51, 52 : 상하표면
53, 54 : 개구 61, 63 : 취약부재
62 : 지지판 64 : 공간
71 : 용기 72 : 벽부분
74 : 개구 81 : 상부
82 : 하부 83 : 덮개부재
84, 85 : 경사진 표면 86 : 시트부재
91 : 상부 92 : 하부
93 : 덮개부재 94, 95 : 연장부
96,97 : 철망 98, 99 : 갈고리
101 : 상부 102 : 하부
103 : 덮개부재 104, 105 : 지지부재
106, 107 : 철망 108, 109 : 갈고리
201 : 덮개 202 : 취약부
203 : 지지부 204 : 가요성 부재
205 : 지지판 241a : 수평부
241b : 지지부 c : 중앙선
l : 하부의 나비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의 충돌에 대한 안전장치로서 공기주머니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가 널리 알려져 자동차 충돌시 승객이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하였다.
예를 들어, 일본국 실개소 58-23756호에는 공기주머니, 공기주머니를 팽창시키는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스발생기를 설치한 공기주머니 구성단위를 제공한 공기주머니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공기주머니 구성단위는 조수석측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개구에 설치된다. 공기주머니 장치에 있어서, 가스발생기는 충돌시에 작동하여 공기주머니를 팽창시켜서 승객의 두부 및 흉부를 보호한다.
개구의 주위에는 계기패널의 표면으로부터 연속하는 덮개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부재는 공기주머니가 팽창할 때 개방된다. 덮개부재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취약부가 설치되어 있어서, 공기주머니가 팽창할 때 파손되고 수직방향으로 두 개의 문처럼 개방되는 것을 제안했다.
이런 구조에서 덮개부재의 하부는 조수석측에 앉은 승객쪽으로 전개하는 점을 주시해야 한다.
이러한 구조는 조수석측 정면에 서있는 어린이들과 같은 승객을 개방하는 덮개부재의 하부가 가격하는 단점을 지닌다. 개방되는 덮개부재의 하부가 승객을 가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반부를 일본국 실개소 58-23756호 공보에서 제안한 것처럼 계기틀로부터 승객쪽으로 툭 튀어나오게 설치해야 한다.
일본국 실개소 58-23756호 공보에는 제안된 구조는 승객측으로 연장되어 그것의 공간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계기틀에 대한 자유로운 고안이 나빠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주머니 장치를 제공하여 덮개부재가 개방될 때 덮개부재가 승객을 가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공기주머니 장치를 제공하여 계기틀의 선반부가 가능한 작게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계기패널의 조수석측의 소정거리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의 부분에 공기주머니 및 공기주머니 수납을 위한 용기등을 갖는 공기주머니 구성단위가 있으며, 그 계기 패널의 표면에 연속하는 덮개부재가 설치되고, 계기패널에 선반부가 설치되어 조수석측에 앉은 승객쪽으로 연장되며, 덮개부재에 취약부가 형성되어 공기주머니가 팽창할 때 두 개의 문처럼 상부는 위쪽으로 개방되고, 하부는 아래쪽으로 개방되며, 선반부는 하부가 개방할 때 덮개부재의 하부를 거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머니 장치에 의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덮개부재의 하부가 덮개부재의 상부보다 작아서 덮개부재가 개방할 때 덮개부재의 하부가 선반부를 지나서 툭 튀어나오지 못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덮개부재의 하부가 개방될 때 젖혀져서 공기주머니가 팽창할 때 덮개부재의 하부가 계기패널에 설치된 선반부로부터 툭 튀어나오지 못하게 하고, 그 때문에 덮개부재는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부가 개방될 때 승객옆으로 이동된다. 즉, 덮개부의 하부는 계기패널에 의해 한정된 공간의 안쪽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라, 덮개부재가 개방할 때 덮개부재는 계기패널을 거쳐서 연장되지 못하여 덮개부재, 상세하게는 그것의 하부는 계기패널에 근접하게 서 있는 승객을 가격하지 못한다.
덮개부재가 비스듬히 설치되어 전방 위쪽으로 연장된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래서, 덮개부재의 상부는 충돌시 공기주머니가 팽창할 때 연장 때문에 승객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계기패널의 선반부는 가능한 한 작게 승객쪽으로 툭 튀어나오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계기패널은 충분한 공간을 갖는 승객실을 제공하는 고안을 하여 승차의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공기주머니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승객실 안쪽에서 본 정면사시도이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이다.
계기패널(1)은 자동차의 승객석측 앞쪽 소정의 부분에 위치한다. 이 계기패널(1)에는 자동차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개구(1a)가 형성된다. 이 개구(1a)는 보조운전석측의 근처에 위치한다. 공기주머니 장치(2)는 개구(1a)에 근접한 승객석의 정면에 편입된다.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시하부패널(3)은 자동차의 엔진실 후단에 설치된다.
대시하부패널(4)는 대시하부패널(3)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카울상부패널(5)는 대시상부패널(4)의 상단에 연결된다.
카울앞패널(나타내지 않음)은 카울상부패널(5)의 전단과 대시상부패널(4)에 연결되어 차폭방향으로 연장 및 인접한 단면도 구조를 형성하는 카울상자(6)을 형성한다. 앞유리(7)은 접착제(8)에 의하여 카울상부패널(5)에 고정된다. 공기조화장치로서 냉각기(9)는 대시하부패널(4)의 하부의 후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냉각기(9)는 계기패널(1)에 의하여 한정된 공간에 위치한다. 성에제거노즐(10)은 계기패널(1)의 상부갑판 아래에 설치되어 냉각기(9)로부터 앞유리(7)쪽으로 공기를 제공하여 성에를 제거한다. 냉각기(9)후방에는 글러브(glove)쟁반(11), 글러브덮개(12) 및 글러브포켓(13)이 설치된 글러브간막이(14)가 있다.
조향지지부재(15)는 차체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브래킷(나타내지 않음)을 통하여 그것의 양단에 있는 경첩 기둥에 연결된다. 조향지지부재(15)의 중앙부와 상판터널부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보강재가 있고, T자형 조향지지구조를 형성한다. 조향지지부재(15)로 브래킷(16)을 고정시켜 공기주머니장치(2)의 공기주머니 구성단위(20)이 장치된다.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주머니 구성단위(20)에는 조수석측을 향하여 개방된 개구(21a)를 갖는 젖혀진 상태로 된 용기(21), 이 용기(21)에 저장된 공기주머니(22), 용기(21)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재로서 덮개(24) 및 가스발생기(23)이 설치된다. 덮개(24)는 계기패널(1)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처럼 계기패널(1)의 표면에 연속되어 배열된다.
제 4 도에서 명확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21)은 환상(고리모양)부(25a)와 원통형부(25b)로 이루어진다.
공기주머니(22)의 주변부는 대갈못(29)를 통하여 환상부(25a)에 장치되어 주변부는 보존판(28)에 의해 플랜지에 충격을 준다.
덮개(24)에는 그 덮개는 가로질러 수평방향에 연장된 절단이 가능한 취약부(30)이 형성된다. 취약부(30)은 수평중앙선(c)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상쇄한다. 공기주머니가 팽창할 때, 덮개(24)는 취약부(30)을 따라 분열하여 개방되는데, 상부(24a)는 위쪽으로 분리되고,하부(24b)는 아래쪽으로 분리된다. 덮개(24)에는 상단과 하단에 노치부가 형성되어 경첩부(31)(32)를 구성하고, 상부(24a)와 하부(24b)가 즉각 분리되게 한다.
취약부(30)이 중앙선(c)보다 낮게 형성되며, 취약부(30)과 하부경첩부(32) 사이의 거리가 취약부(30)과 상부경첩부(L)의 거리보다 작아진다. 계기패널(1)에는 개방될 때 하부(24b)를 지나서 연장된 선반부(33)이 형성되어 있다. 즉, 계기패널(1)의 선반부에 의해 연장된 부분은 하부(24b)의 나비(l)보다 약간 크다. 작동시, 즉, 자동차가 충돌할 때 충돌감지기는 충돌을 감지한다.
그래서, 점화기는 가스발생기(23)에 있는 화학성분을 연소시켜 가스를 생성시켜 공기주머니를 팽창시킨다. 이로인해, 승객은 팽창된 공기주머니에 두부와 흉부가 부딪히기 때문에 상처를 입지 않는다.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주머니의 팽창의 첫단계에서 공기주머니의 팽창력이 덮개(24)에 작용할 때 덮개(24)는 취약부(30)이 절단되어 상부(24a)와 하부(24b)로 분리되고, 상부(24a)와 하부(24b)는 두 개의 문처럼 개방된다.
이 경우에, 하부(24b)의 나비(l)이 계기패널(1)선반부의 연장나비보다 작기 때문에, 하부(24b)는 승객쪽을 계기패널(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못한다.
그 때문에, 승객이 계기패널(1)의 후방에 위치하더라도 그 승객은 덮개(24)와 접촉되지 않으며, 상부(24a)의 운동은 상부(24a)가 개방될 때 승객으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승객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이것은 덮개(24)가 전방쪽으로 약간 윗쪽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이하에, 제 5a, b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덮개(24)의 상부(24a)와 하부(24b)에는 각각의 중간부에 절곡부(35)(36)을 형성하며, 이 절곡부(35)(36)은 경첩식으로 접혀지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24a)는 절곡부(35)를 중심으로 하여 상부의 제 1 부(24aa)와 하부의 제 2 부(24ab)로 나누어지고, 하부(24b) 역시 절곡부(36)을 중심으로 하여 하부의 제 1 부(24ba)와 상부의 제 2 부(24bb)로 나누어진다.
연결부재(37)(38)은 상부(24a)와 하부(24b)의 뒷면에 설치되는데 이 연결부재(37)(38)에는 기초부(37a)(38a)가 형성되어, 용기(21)의 원통형부(25b)와 덮개(24)의 주변부 및 플랜지부를 고정시키고, 팔모양부분(37b)(38b)는 기초부(37a)(38a)의 한쪽끝부에 경첩부(39)(40)에 의하여 각각 연결되며, 상부(24a)와 하부(24b)의 제 1 부(24aa)(24ba)들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팔모양부분(37b)(38b)의 끝부분에는 경첩부(41)(42)를 측으로하여 자극부(37c)(38c)들이 각각 연결되어 되며, 상부(24a)와 하부(24b)의 제 2 부(24ab)(24bb)의 뒷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차량충돌시 연결부재(37)의 자극부(37c)는 상부(24a)의 제2부(24ab)의 하부를 자극하여 제 2 부(24ab)가 절곡부(35)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칩방향(상방)으로 분리절곡되도록 한다.
한편, 연결부재(38)의 자극부(38c) 역시 하부(24b)의 제 2 부(24bb)의 상부를 자극하여 제 2 부(24bb)가 절곡부(36)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침방향(하방)으로 분리절곡되도록 한다.
한편, 작동관계를 살펴 보면, 차량의 충돌시 공기주머니의 팽창력이 덮개(24)에 작용할 때, 덮개(24)는 절단가능한 취약부(30)이 절단되어 상부(24a)와 하부(24b)로 나뉘어진다.
이 경우에, 상부(24a)의 제 2 부(24ab)는 연결부재(37)의 자극부(37c)에 의해 절곡부(35)가 절곡되어, 제 5a 도에서 화살표 ①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24a)가 접혀지고, 동시에 하부(24b)의 제 2 부(24bb)는 연결부재(37)의 자극부(38c)에 의해 절곡부(36)이 절곡되어 화살표 ①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24b)가 접혀진다.(제 5b 도의 b참조)
상기와 같이 덮개(24)의 상부(24a)와 하부(24b)는 각각 접혀지고, 이어서 제 5a 도에서 화살표 ①로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문처럼 개방된다(제 5b 도의 c참조)
따라서, 이와 같이 덮개(24)의 상, 하부(24a)(24b)가 개방될 때 하부(24b)가 접혀져 그 길이가 짧아지므로 덮개(24)는 계기패널(1)의 선반부(33)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결국, 공기주머니 장치가 작동할 때 승객은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는다.
제 6 도와 제 7 도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덮개(24)에는 구성요소로서 계기패널이 형성된다. 덮개(24)는 계기패널(1)의 바깥표면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취약부(30)은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선(c)에 일렬로 정열된다. 상부(24a)는 취약부(30)으로부터 전방 윗쪽으로 연장된다. 상부(24a)는 수평부(241a)로 연속되어 전방 수평으로 연장된다.
수평부(241a)는 노치(31)에서 종결되어 상부(24a)가 제 7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주머니 구성단위(22)의 팽창력으로 툭 튀어나올 때 반시계 방향으로 수평부(241a)를 가지고 진동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덮개(24)의 하부(24b)는 후방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하부(24b)의 하단으로부터 실제로 전방 수평으로 연장된 지지부(241b)로 연속된다. 지지부(241b)에는 구성요소로서 하부(24b)가 형성된다. 지지부(241b)에는 가요성부재(242b)를 통하여 조향지지부재(15)가 설치되어 덮개의 하부(24b)가 시계방향에 지지부(241b)를 가지고, 구성요소로서 조향지지부재(15)와 지지부재(241b) 사이에 있는 연결접점에 대하여 진동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선반부(33)의 안쪽에 공간(13a)를 형성하여 하부(24b)는 공간(13a)쪽으로 분리되고, 공기주머니 구성단위(22)의 팽창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개방될 때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기에 수납된다.
그로 인해, 덮개(24)의 하부(24b)는 덮개(24)가 개방될 때 선반부(33)을 지나서 툭 튀어나오지 못한다.
제 8 도와 제 9 도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용기(21)에는 가요성 덮개(201)이 설치되고, 이 덮개(201)에는 취약부(202)가 형성된다.
상부(24a)에는 구성요소로서 상부(24a)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전방으로 실제적으로 연장한 지지부(203)이 형성되며, 지지부의 전단에는 가요성부재(204)를 통하여 거기에 상부갑판을 구성하는 계기패널(1)의 수평부(1b)가 설치된다. 용기(21)은 또한 지지판(205)로 지지된다.
작동시, 즉 팽창력이 거기에 제공될 때, 덮개(201)은 취약부(202)에서 파손절단되고, 상, 하방향으로 2조각으로 분리되어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문처럼 개방된다.
마찬가지로, 덮개(24)는 공기주머니(22)로부터 팽창력으로 튀어나올 때 취약부(30)에서 파소되어 덮개(24)는 2개의 문처럼 개방된다.
이런 경우에, 상부(24a)는 가요성부재(204)에 대하여 윗쪽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분리되어 상부를 피봇측으로 보냄과 동시에, 하부(24b)는 가요성 부재에 대하여 아래쪽이나 시계방향으로 분리되어 하부(24b)가 피봇측으로 가게 된다.
덮개(24)의 상부(24b)와 덮개(201)의 하부 모두가 계기패널(1)에 의해 소정의 공간(13a)쪽으로 분리되어 여기에 수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공기주머니 구성단위(20)에는 독립적으로 덮개(201)을 설치하여 조정을 쉽게 한다.
제 10 도와 제 11 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용기(21)에는 각각 상, 하표면(51)(52)에 있는 개구(53)(54)를 형성한다. 작동시, 가스발생기(23)으로부터 가스는 덮개(201)로 이끌려갈뿐 아니라 개구(53)(54)를 통해 공기주머니 구성단위(20)의 안쪽으로부터 덮개(24)의 지지부(203)(242b)쪽으로 이동된다.
그로 인해, 덮개(24)는 개구(53)(54)를 통해 그것에 도입된 가스에 대하여 쉽게 개방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덮개(24)는 확실하고 빠르게 개방될 수 있다. 이 구조는 또한 팽창된 공기주머니(22)는 공기주머니(22)의 가스가 통기공(22a)뿐만 아니라, 개구(53)(54)를 통하여 방출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수축되는 이점이 있다. 이 구조로, 가스발생기(23)은 개구(53)(54)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충분히 수용하는 용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2 도와 제 13 도를 참고로 하여, 또다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덮개(24)가 계기패널(1)의 바깥표면으로 연속한 덮개(24)의 바깥표면을 가지는 계기패널(1)의 개구(1a)안으로 통합되더라도 덮개(24)는 계기패널(1)로부터 분리하는 부재로 구성된다.
덮개(24)의 상부(24a)의 지지부(203)은 취약부재(61)을 통하여 지지판(62)에 연결되어 소정이상의 충격을 받는 경우 깨진다. 지지부재(62)에는 계기패널(1), 대시상부패널등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24)의 하부(24b)의 지지부(241b)에는 또는 취약부재(61)과 유사한 취약부재(62)를 통하여 조향지지부재(15)가 형성된다.
상부(24a)와 지지부(203)위와 계기패널(1) 아래에 공간(64)가 있다. 작동시에, 가스발생기(23)으로부터 가스는 개구(53)(54)를 통하여 덮개(24)쪽으로 유입되어 가스의 팽창력을 지지부(203)(201b)에 제공한다.
덮개(24)는 취약부(30)에서 분열된다. 동시에 취약부(61)(63)은 분열하여 상부(24a)와 하부(24b)가 각기 지지판(62)와 조향지지부재(15)로부터 분리시킨다.
지지부(203)과 함께 분리된 상부(24a)는 공간(64)에 수납되고, 한편 지지부(241b)와 함께 분리된 하부(24b)는 공기주머니 구성단위(22) 아래에 형성된 공간(13a)에 수납된다.
다시 말해서, 덮개(24)는 계기패널(1)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존속되어 공기주머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4 도와 제 15 도를 참고로 하여 또다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덮개(24)는 상자같은 배열의 용기(71) 안으로 통합되어 계기패널(1)로부터 분리된다. 덮개(24)에 반대쪽에 위치한 용기(71)의 벽부분(72)는 적절한 결합부재, 예를 들면 접착제, 나사 등으로 용기(21)의 벽부분(73)을 견고하게 한다.
결합부재는 소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질 때 분열하거나 파손되어 용기(71)이 용기(21)로부터 분리되어, 총괄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용기(21)의 벽부분(73)에는 개구(74)가 형성된다. 이 구조에서, 가스발생기(23)의 가스구멍(23a)는 개구(74)로 근접하여 형성된다. 여과기가 가스발생기(23)으로부터 가스를 여과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시, 즉 충돌한 경우에 가스발생기(23)이 작동할 때, 가스발생기(23)으로부터 가스압력은 소정이상의 값보다 큰 값을 가지고 용기(71)의 벽부분(72)에 제공되어 용기(71)의 용기(21)로부터 분리되고 전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그 결과로, 덮개(24)가 취약부(30)에서 분열하여 제 1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쪽으로 분리되는 상부(24a)와 아래쪽으로 분리되는 하부(24b)를 갖는 두 개의 문처럼 개방될 때, 덮개(24)가 계기패널(1)의 선반부(33)을 거쳐서 툭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은 용기(71)이 작동시 계기패널(1)로부터 수축되기 때문이다.
제 16 도와 제 17 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공기주머니 구성단위(20)에는 신축성재의 상부(81)과 신축성재의 하부(82)를 갖는 덮개부재(83)이 설치된다. 상, 하부(81)(82)는 각각의 것들에 대항해 탄력있게 자극되어 근접위치에 덮개부재(83)에 유지시킨다. 상부(81)에는 그것의 하단이나 끝으로부터 전방 위쪽으로 연장한 경사진 표면(84)가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하부(82)에는 그것의 상단이나 끝으로부터 전방 아래쪽으로 연장한 경사진 표면(85)가 설치된다.
그 때문에, 상부(81)은 그것의 끝에 하부(82)를 수납하여 근접위치에 덮개부재(83)을 유지시킨다. 경사진 표면(84)(85)는 그것의 교차점으로부터 각각 옆으로 연장하여 덮개부재(83)의 전방에 V-형 공간을 형성한다. 덮개부재(83)은 바람직하게는, 계기패널(1)과 같은 재료로 된 시트(Sheet)부재(86)에 의해 덮힌다.
작동시 즉, 공기주머니가 팽창할 때, 공기주머니는 경사진 표면(84)(85)를 접촉시켜 상, 하부(81)(82)가 그것의 전방표면의 경사 때문에 각기 상, 하로 자극된다. 그 후에 상, 하부(81)(82)는 상, 하로 수축하여 제 1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재(83)을 개방한다. 동시에, 시트부재(86)은 공기주머니(22)의 팽창력 때문에 자극받는다. 이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조에 따라, 덮개부재(83)은 승객쪽으로 실질적인 운동없이 개방될 수 있어서 덮개부재의 작동은 승객이 계기패널(1)과 공기주머니 구성단위(20)의 덮개부재(83)에 근접하게 서 있어도 영향을 주지못한다.
제 18 도와 제 19 도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덮개부재(93)은 부드럽거나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 상, 하부(91)(92)에 설치된다. 상부(91)에는 계기패널(1)의 전방이나 안쪽으로 연장된 젖혀진 부분을 가진 하단에 젖혀진 부분이 형성된다. 하부(92)에는 계기패널(1)의 전방이나 안쪽으로 연장한 젖혀진 부분을 갖는 상단에 젖혀진 부분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91)은 그것의 젖혀진 부분 전단으로부터 전방 윗쪽으로 연장한 연장부(94)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하부(92)는 그것의 젖혀진 부분의 전단으로부터 전방 아래쪽으로 연장한 연장부(95)에 설치된다. 상부(91)의 연장부(94)의 끝은 철망(96)으로 용기(21) 안에 수납되고 젖혀진 공기주머니(22)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하부(92)의 연장끝은 철망(97)로 공기주머니(22)에 연결된다. 이런 경우에, 철망(96)(97)은 상부(91)과 하부(92)의 안쪽에 장치된 갈고리(98)(99)를 통하여 연장되고, 공기주머니(22)에 연결된다.
이런 구조에서, 상, 하단(91)(92)의 연장부(94)(95)는 공기주머니(22)가 팽창할 때, 각기 철망(96)(97)로 갈고리(98)(99)쪽으로 당겨져서 덮개부재(93)이 제 19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덮개부재(93)의 상, 하부(91)(92)는 계기패널(1)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끌어당겨진다. 그 때문에, 종래의 실시예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
제 20 도와 제 21 도를 참고로 하여, 다른 실시예가 설명된다. 이 실시예의 덮개부재(103)은 견고한 재료로 된 상, 하부(101)(102)에 형성된다. 상, 하부(101)(102)는 그것의 끈에 의해 중앙에서 각각 다른 것과 결합된다. 그러나, 상부(101)과 하부(102)는 거기에 소정이상의 충격이 적용되면 분리된다. 덮개부재(103)이 계기패널(1)이나 지지부재(104)(105)로부터 분리되어 구성되더라도, 덮개부재(103)의 상, 하부(101)(102)의 바깥표면은 그것들이 완전하게 형성되듯 지지부재(104)(105)의 것들로 연속된다. 상부(101)은 그것의 상단부에 철망(106)으로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102)는 그것의 하단부에 철망(107)로 연결되어 있다. 철망(106)(107)은 갈고리(108)(109)로 연장되어 있고, 타단은 공기주머니(22)에 연결되어 있다. 갈고리(108)(109)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용기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용기(21) 전단이 근접해있다.
그 때문에 철망(106)(107)은 상, 하부(101)(10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갈고리(108)(109)에서 전환하고 ,갈고리(108)(109)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공기주머니(22)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 하부(101)(102)의 상, 하단은 공기주머니(22)가 팽창할 때 각각 철망(106)(107)을 통하여 갈고리(108)(109)쪽 전방으로 당겨진다.
동시에, 상, 하(101)(102)의 끝부분은 공기주머니(22)에 의해 후방으로 밀린다. 공기주머니(22)가 팽창할 때, 상, 하부(101)(102)의 상, 하단부는 전방으로 당겨지거나 각기 지지부재(104)(105)로부터 수축되고, 상, 하부(101)(102)의 끝부분은 제 2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덮개부재(103)의 상, 하부(101)(102)는 계기패널(1)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끌어당겨진다.
그로 인해, 승객은 공기주머니 장치의 작동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Claims (15)

  1. 계기패널(1)의 조수석측의 소정위치에 개구(1a)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1a)의 부분에, 팽창된는 공기주머니(22), 공기주머니(22)를 수납하는 용기(21) 및,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발생기(23)등을 갖는 공기주머니 구성단위(20)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계기패널(1)의 다른 부분에 연속하는 덮개부재(24)가 설치되어 있고, 계기패널(1)에 선반부(33)이 설치되어 조수석측 근방에 승객이 앉은 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덮개부재(83)에는 취약부(30)이 설치되어 공기주머니(22)가 팽창할 때 상부는 윗쪽으로 개방되고, 하부는 아래쪽으로 개방하며, 선반부(33)은 하부(24b)가 개방할 때 덮개부재(24)의 하부(24b)를 거쳐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부재(24)가 2개의 문처럼 접혀져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부재(24)의 하부(24b)가 덮개부재(24)의 상부(24a)보다 작아서 덮개부재(2)의 하부(24b)가 덮개부재(24)가 개방될 때 선반부(33)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부재(24)의 하부(24b)가 개방될 때 접혀져서 계기패널(1)에 형성된 선반부(33)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덮개부재(24)의 하부(24b)가 상부(24a)보다 짧아서 덮개부재(24)가 개방될 때 선반부(33)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부재(24)의 하부(24b)가 계기패널(1)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의 안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덮개부재(24)의 상부(24a)가 계기패널(1)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의 안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덮개부재(24)의 하부(24b)가 가요성부재로 된 조향지지부재(15)에 연결되어 하부부재가 가요성부재에 의해 한정된 피봇측에 대하여 공간의 안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9.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21)이 하나 이상의 개구(21a)를 형성하여 가스발생기(23)으로부터 덮개부재(24)로 가스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21)의 개구(21a)를 덮도록 하기 위해 잘 깨지는 덮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부재(24)의 하부(24b)가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되어 공기주머니(22)가 팽창할 때 계기패널(1)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부재(24)가 상자구조 집합체로 통합되어서 용기(21)에 결합되고, 용기(21)에 개구(21a)를 설치하여 가스발생기(23)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상자구조쪽으로 인도하고, 상자구조가 공기주머니(22)가 팽창할 때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부재(24)의 하부(24b)가 신축성 구조이어서 아래쪽으로 수축되고 공기주머니(22)가 팽창할 때 덮개부재(24)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부재(93)의 하부(92)가 가요성재로 이루어지고, 철망(96)을 통하여 공기주머니에 연결되며, 하부(92)가 철망(96)에 의해, 계기패널(1)의 한정된 공간 안쪽으로 수축되어 공기주머니(22)가 팽창할 때 덮개부재(93)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덮개부재(93)의 하부(92)가 단단히 재료로 이루어지고, 철망(96)으로 연결되며, 하부(92)가 철망(96)으로 인해 계기패널(1)의 한정된 공간안으로 수축하여 공기주머니(22)가 팽창할 때 덮개부재(93)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KR1019900007715A 1989-05-24 1990-05-24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KR940010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74/1989 1989-05-24
JP129005/1989 1989-05-24
JP59175/1989 1989-05-24
JP1989059175U JPH02149346U (ko) 1989-05-24 1989-05-24
JP1129005A JP2759819B2 (ja) 1989-05-24 1989-05-24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1989059174U JPH02149345U (ko) 1989-05-24 1989-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841A KR900017841A (ko) 1990-12-20
KR940010716B1 true KR940010716B1 (ko) 1994-10-24

Family

ID=27296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715A KR940010716B1 (ko) 1989-05-24 1990-05-24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135253A (ko)
KR (1) KR9400107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3745A (ja) * 1990-07-04 1992-02-28 Mazda Motor Corp 車両用グローブボックス装置
JP2887947B2 (ja) * 1991-06-26 1999-05-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リッドの取付構造
US5316336A (en) * 1991-07-18 1994-05-31 Nippondenso Co., Ltd. Air bag apparatus
US5242192A (en) * 1992-02-24 1993-09-07 Morton International, Inc. Fabric cover/chute for airbag modules
JP3033340B2 (ja) * 1992-04-28 2000-04-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内部品組付け構造
US5364124A (en) * 1992-10-29 1994-11-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assembly with deployment chute
JP3272454B2 (ja) * 1993-03-25 2002-04-08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2962120B2 (ja) * 1993-09-03 1999-10-12 池田物産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0135393B1 (en) * 1994-04-01 1998-04-22 Jung Yun Do Color form panel and a painting method using thereof
US5419584A (en) * 1994-05-02 1995-05-30 Morton International, Inc. Air bag retention clip
DE4442543A1 (de) * 1994-11-30 1996-01-25 Daimler Benz Ag Gassackeinheit in einem Fahrzeug
JP4003241B2 (ja) * 1995-12-27 2007-11-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姿勢補助装置
DE19757435B4 (de) * 1996-12-28 2007-02-15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modul mit zwangsgeführter Abdeckklappe
DE69840821D1 (de) * 1997-03-26 2009-06-25 Toyota Motor Co Ltd Innenfahrzeugteile mit einer airbagaustrittsklappe und giessmethode dafür
JP3180713B2 (ja) * 1997-04-24 2001-06-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頭部保護装置の制御システム
DE19750182C2 (de) * 1997-11-13 2001-09-20 Autoliv Dev Airbagmodul mit einem Antrieb für die Abdeckklappe
US6158763A (en) * 1998-12-09 2000-12-12 Chrysler Corporation Airbag assembly concealed within an instrument panel
US6631920B1 (en) * 1999-02-18 2003-10-14 Delphi Technologies, Inc. Airbag module
US20050119599A1 (en) * 1999-05-18 2005-06-02 A-Med Systems, Inc. Supplemental port for catheter perfusion of surgical site and methods of use
DE29912825U1 (de) 1999-07-22 1999-11-25 Trw Repa Gmbh Gassackmodul
US6612613B1 (en) * 2000-06-05 2003-09-02 Collins & Aikman Development Company Vehicle interior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DE10111597B4 (de) * 2001-03-10 2011-06-30 Volkswagen AG, 38440 Insassenschutz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7441799B2 (en) * 2003-12-08 2008-10-28 Autoliv Asp, Inc. Non-circular steering wheel assembly and airbag module
JP4570397B2 (ja) * 2004-05-24 2010-10-2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り外し構造
DE102004055418B4 (de) * 2004-11-17 2008-02-28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Airbaganordnung und Steuerungsvorrichtung
JP4492451B2 (ja) * 2005-06-16 2010-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US8246074B2 (en) * 2009-11-13 2012-08-21 Hyundai Motor Company Airbag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s
JP5765314B2 (ja) 2012-09-28 2015-08-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8783711B2 (en) * 2012-12-17 2014-07-22 Chrysler Group Llc Low mass passenger airbag design
DE102013213791A1 (de) * 2013-07-15 2015-01-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Instrumententafel für ein Fahrzeug
DE102014013754A1 (de) * 2014-09-22 2016-03-24 Dalphi Metal Espana, S.A. Abdeckung für einen airbag, insbesondere fahrerairbag, airbagmodul und fahrzeuginsassen-sicherheitssystem sowie verfahren zum öffnen einer derartigen abdeckung
US11203318B2 (en) * 2018-06-18 2021-12-21 Waymo Llc Airbag exten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8179A (en) * 1970-08-07 1973-01-02 Mccord Corp Door assembly
US3643971A (en) * 1970-08-11 1972-02-22 Allied Chem Self-inflating impact-absorbing bag for vehicles
US3930664A (en) * 1972-05-19 1976-01-06 General Motors Corporation Occupant restraint system
DE2425659A1 (de) * 1974-05-28 1975-12-11 Audi Nsu Auto Union Ag Sicherheitsvorrichtung mit einem aufblasbaren auffangbeutel in einem kraftfahrzeug
JPS57177873U (ko) * 1981-05-07 1982-11-10
JPS5876344A (ja) * 1981-10-29 1983-05-09 Nissan Motor Co Ltd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DE3611486C2 (de) * 1986-04-05 1994-04-21 Audi Ag Armaturenbrett für Kraftfahrzeuge
DE3710417C1 (de) * 1987-03-28 1988-03-24 Daimler Benz Ag Befestigung einer Gaskissen-Einheit in einem Kraftwagen
JPH01144153U (ko) * 1988-03-11 1989-10-03
US4895389A (en) * 1988-08-31 1990-01-23 E. 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Rupturable cover for a vehicle air bag compar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35253A (en) 1992-08-04
KR900017841A (ko) 199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716B1 (ko) 자동차의 공기주머니 장치
JP3245934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6712384B2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5647609A (en) Inflatable restraint cushion
US6158763A (en) Airbag assembly concealed within an instrument panel
JPH09164900A (ja) 横方向衝撃のガスバッグ保護装置
JPH10203294A (ja) シームレス側面膨張式拘束展開システム
EP1019268A1 (en) Air-bagged seat
JP2001088652A (ja) 膨張可能な側面衝突保護装置
JP494666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3405246B2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配設構造
JP4132657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3366090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3951907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759819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H10291458A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配設構造
JP4394191B2 (ja)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3421597B2 (ja) 車両用エアバックの支持構造
JPH02249742A (ja) 車両用エアバックの支持構造
JPH0459450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構造
JP3702786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1163162A (ja) エアバッグ
KR100419735B1 (ko)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지지장치
JP2000108751A (ja) 車両用回転式アシストグリップ
KR200157124Y1 (ko) 승객용 에어백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