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529B1 -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529B1
KR940010529B1 KR1019910010236A KR910010236A KR940010529B1 KR 940010529 B1 KR940010529 B1 KR 940010529B1 KR 1019910010236 A KR1019910010236 A KR 1019910010236A KR 910010236 A KR910010236 A KR 910010236A KR 940010529 B1 KR940010529 B1 KR 940010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door
command
relevel
speed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606A (ko
Inventor
겐조 다데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0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5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4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taking account of disturbance factors, e.g. variation of load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제 1 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구성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동작설명을 위한 플로차트.
제 3 도는 이 발명과 종래예의 동작을 대비하여 표시한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전제어장치 2 : 속도제어증폭기
4 : 전류제어증폭기 6 : 불균형토크지령장치
9 : 엘리베이터카 13 : 하중검출기
15 : 위치검출기 17 : 도어제어장치
20 : 브레이크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카(이하 "카"로 약칭)의 승객의 승하차등으로 초래되는 카하중변화로 인한 로프 신장량 변화에 기인하는 정지위치 변위를 수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고도의 레벨제어기능이 요구된다.
레벨제어란, 일반적으로 정지상태의 카바닥레벨과 계층바닥레벨의 차를 될 수 있는 한 작게되도록 카의 정지레벨을 제어한다. 즉 바닥맞춤하는 것이다.
그런데 고층 엘리베이터에서는 정지중에 승객의 승하차나 화물의 적재, 하역에 의하여 카하중이 변화하고 현수로프의 신장량이 변화함으로써 카의 레벨이 크게 변동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로부터, 이 종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로프 신장보정을 실시하고 상기 레벨제어를 실행하여 왔다. 로프신장보정은 승객의 승하차에 수반하여 개문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실시되고 승객에 불안을 주지 않도록 저속도로 서서히 레벨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이하 이 로프신장보정 및 레벨제어(바닥맞춤)를 총진하여 리레벨(RE-LEVEL)이라 한다.
상술한 리레벨제어는 개문된 그대로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도어가 폐쇄되는 제어가 수행되면은 리레벨제어는 중지되어버린다. 한편 도어를 폐쇄하는 조건은 도어개방시간을 설정하고 있는 도어타이머가 있으며, 도어타이머의 동작이 완료하면은 도어개방지령을 무효로 하고 도어의 폐쇄동작을 시작하려고 한다.
따라서 리레벨제어를 실시하고 있을 때에도 상기 도어타이머가 동작완료하여 도어개방지령을 무효로 해버리면 리레벨제어는 중지되고 카가 레벨에 도달되기 전에 정지하여 레벨이 보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리레벨이 중지되버리므로 카정지시 진동이 발생하고, 승객에 불쾌감을 주는 일이 있다.
이에 대하여 일본특개 평1-288583호 공보에서는 도어타이머 동작완료에 의하여 도어개방지령을 무효로 하는 모드로 된 경우에도 리레벨제어를 행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여서 도어개방지령을 보지함으로써 리레벨 제어를 계속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승객의 승하차나 화물의 적재, 하역에 의하여 카레벨이 변위되어서 리레벨구역에 진입하여 리레벨제어를 실시하고 있는 도중에 도어타이머가 동작완료하고 도어개폐제어를 행하는 모드가 되어도 레벨에 도달하기까지는 리레벨제어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폐문해야할 때라도 리레벨제어중은 도어폐쇄가 지연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승차감은 개선되었으나 운전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와 같이 폐문동작개시에서 리레벨을 중지할 때에 진동등으로 승차감을 악화시키지 않고 또한 운전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는 정규속도지령에 의하여 카를 속도제어하고 카가 정규착상범위내에 정지하지 않았을 때 또는 정지 후 카의 하중변화에 의한 로프신장량변화로 정규착상범위를 벗어났을 때 이를 검출하고 카를 정규착상범위까지 되돌아가게 하는 리레벨속도지령을 발생하고 자동적으로 재기동하는 것에 있어서, 폐문지령 또는 도어가 소정위치까지 폐쇄된 것을 검출하면은 리레벨속도지령을 소정 레이트(rate)로 영까지 저하시키는 수단과, 도어가 완전폐쇄된 것을 검출하면은 리레벨속도지령에서 정규속도지령으로 절환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발명에서는 리레벨동작중 도어폐쇄지령 또는 도어가 소정위치까지 폐쇄되면은 리레벨속도지령이 영까지 서서히 저하하고 완전폐문을 검출하면은 정규속도지령으로 절환되어서 카는 바로 주행을 개시한다.
다음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구성도이며, 이 도면에서 1은 엘리베이터의 운전제어장치이며, 그 출력신호(속도지령신호)(1a)는 속도제어증폭기(2)로 송출된다.
속도제어증폭기(2)는 속도검출기(3)로부터는 속도신호(3a)와 속도지령신호(1a)를 비교연산하고 전류지령(2a)을 출력한다.
4는 전류제어증폭기이며, 이 전류제어증폭기(4)는 전류지령(2a)와 전류검출기(5)로 부터의 전류신호(5a)와 불균형토크지령장치(6)으로 부터의 하중신호(6a)를 입력하고 제어신호(4a)를 출력한다. 8은 인버터이며, 이 인버터(8)는 제어신호(4a)에 기준하여서 교류전동기(7)를 제어하게끔 교류전력을 교류전동기(7)에 공급한다.
교류전동기(7)는 카(9)와 균형추(10)를 연결하는 메인로프(11)를 감은 활차(12)에 회전을 절단한다. 13은 하중검출기이며, 이 하중검출기(13)는 카(9)에 설치되어 하중검출신호(13a)를 불균형토크지령장치(6)로 보낸다. 불균형토크지령장치(6)는 카의 적재하중을 검출하는 하중검출기(13)에서의 하중검출신호(13a)에 의해서 카(9)와 균형추(10)의 불균형토크를 보상하기 위한 하중신호(6a)를 출력한다.
15는 카(9)에 설치된 위치검출기이며, 승강로의 각 계층에 설치된 피 검출체(16A)(16B)와 대향하고 있으므로써 계층바닥에서 카바닥까지의 거리에 따른 거리신호(15a)와 구역신호(15b)를 발생한다.
거리신호(15a)는 운전제어장치(1)로 송출되어서 속도지령신호(1a)를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또 구역신호(15d)는 계층바닥과 카바닥의 거리가 리레벨을 필요로 하는 거리 예를들면 10mm 이상에서 리레벨하여도 완전한 거리 예를들면 75mm 이하에 있을 때 발하게 된다. 17은 도어제어장치이며, 운전제어장치(1)로부터의 도어개폐지령(1c)을 수신하여서 카(9)의 도어개폐를 제어하는 한편 도어의 개방거리가 소정치이하의 경우 출력을 발하는 중간도어폐쇄신호(17a)와 완전도어폐쇄신호(17b)를 운전제어장치(1)로 출력한다. 20은 브레이크이며, 이 브레이크(20)는 운전제어장치(1)로부터의 브레이크 개폐지령(1b)으로 제어된다.
다음은 제 1 도에 표시한 이 발명의 한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적인 주행개시시는 스텝(21), (22)에서 도어폐쇄지령과 기동지령의 유무를 확인한 후 스텝(23)에서 불균형토크 지령장치(6)에 불균형토크분을 보정하는 하중신호(6a)를 출력시키는 균형장치로부터 얻은 신호를 기준하여 권상기에서의 불균형토크를 보상시키는 균형제어신호(1d)를 운전제어장치(1)에서 출력하고 교류전동기(7)에 있어서 이에 대응하는 충분한 토크가 출력되기까지 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정하고 스텝(24)에서 운전제어장치(1)에 의하여 브레이크개방지령(1b)을 발생시켜 브레이크(20)를 개방한다.
이후 스텝(25)에서 완전도어폐쇄신호(17b)를 검출하고 폐문완료를 확인하면은 스텝(26)에서 정규의 속도 지령을 운전제어장치(1)로부터 발생하고 카(9)는 목적층까지 주행을 개시한다.
리레벨시는 도어폐쇄지령이 없으면 스텝(21)에서 스텝(31)으로 진행한다. 스텝(31)은 리레벨조건의 성립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위치검출기(15)로부터의 구역신호(15b)를 검사하고 계층바닥과 카바닥의 차가 예를들어 10mm 이상 75mm 이하일때는 스텝(32)로 진행하며, 예를들면 10mm 이하 또는 75mm 이상일 때는 스텝(41)으로 진행하고 속도지령신호(1a)를 영으로 하고 또한 전류지령(2a)을 영으로 하며, 인터버(8)를 차단(도시생략)하는 동시에 브레이크 개방지령(1b)을 "오프"하여 브레이크(20)를 작동시킨다. 바닥차이가 10mm 이상이 되면은 스텝(32)에서는 스텝(23)과 마찬가지로 균형제어상태를 확인한 후 스텝(33)으로 진행하고 브레이크개방지령(1b)을 "온"시켜 브레이크(20)를 개방한다. 그후 스텝(34)에서 도어폐쇄지령의 유무를 검사하고 없는 경우는 스텝(35)에서 위치검출기(15)로부터의 계층바닥에서 카바닥까지의 거리신호(15a)에 대응한 리레벨속도지령을 운전제어장치(1)는 속도지령신호(1a)로서 리레벨완료까지 출력한다.
이에따라 도어폐쇄지령이 나오지 않는한 스텝(34)에서 스텝(36)까지가 반복되고 카(9)는 리레벨되어 바닥 차이가 10mm 이하가 되면은 스텝(36)에서 리레벨완료가 판정되고, 스텝(21)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도어 폐쇄지령이 없을 때에는 스텝(31)을 통하여 스텝(41)로, 도어폐쇄지령이 있을 때에는 스텝(22)을 통하여 스텝(41)로 진행하여 브레이크(20)를 작동시키며, 카(9)는 정지한다. 스텝(22)에서 기동지령이 있으면 스텝(23)→(24)→(25)로 진행하고 도어폐쇄완료되면은 스텝(26)에서 운전제어장치(1)에 의하여 정규속도지령이 속도 지령신호(1a)로서 발생되고, 카(9)는 주행을 개시한다.
리레벨중에 도어폐쇄지령이 출력되면은 스텝(34)에서 스텝(37), 스텝(38)로 진행하고, 리레벨속도지령이 거리신호(15a)에 관계없이 미리 정해진 감소율로 속도지령치를 시간적으로 감하여 스텝(37)에서 속도지령치가 영이 되면은 스텝(25)으로 진행하고 도어폐쇄완료가 확인되면은 스텝(26)에서 정규의 속도지령이 운전제어장치(1)에 의하여 속도지령신호(1a)로서 출력된다. 이에따라 카(9)는 목적층으로 향해 주행을 개시한다.
여기서 도어폐쇄완료가 확인되지 않으면 스텝(21)에서 스텝(25)까지 반복되고 카(9)는 속도지령치 영과 불균형토크지령장치(6)의 출력으로 계속 보존되고 도어폐쇄완료하면 바로 주행개시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브레이크를 개방하여도 영의 속도지령과 불균형토크지령으로 카(9)가 보존되므로 카(9)의 부하변동이 있어도 카(9)는 움직이지 않고 안전하다.
제 3 도는 이 실시예와 종래예의 동작타이밍과 리레벨속도지령 및 정규속도지령의 상태를 대비하여서 표시한 것으로 실선이 이 실시예의 경우, 파선이 종래예의 경우이다. 종래예에서는 도어폐쇄지령을 리레벨완료 시점 T1까지 수신하지 않도록 한 경우이며 이에 대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도어폐쇄지령을 검출하면은 리레벨속도지령을 소정레이트로 영까지 저하시키며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것을 검출하면은(시점 T0) 리레벨속도지령에서 정규속도지령으로 절환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정규속도지령의 발생타이밍이 종래예에서는 시점 T2인데 대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시점 T0로 조기 시점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제 2 도에서 아래와 같이 행하여도 된다.
스텝(34)을 도어가 소정위치까지(예를들면 400mm 정도의 승객이 승하차할 수 없는 도어개방거리)달하였는지를 판정하고, 달한 경우는 스텝(37)로, 달하지 않는 경우는 스텝(35)으로 진행하도록 변경한다. 즉 도어제어장치(17)로부터의 중간도어폐쇄신호(17a)를 검출하였는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스텝(38)은 리레벨 속도지령치를 도어폐쇄완료까지 영으로 하는 저감율을 설정하여 두면, 정규속도지령으로 절환할 때에 속도지령의 급격한 변화에 의한 진동등으로 승차감이 악화되는 것을 없앨 수 있다.
이에따라 도어폐쇄지령이 출력되어도 승객의 승하차가 가능한 동안은 리레벨을 계속할 수 있으며 또한 운전효율을 저하시키는 일도 없다.
상술한 바와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정류속도지령에 의하여 카를 속도제어하고 카가 정규착상범위내에 정지하지 않았을 때 또는 정지 후 카의 하중변화에 의한 로프신장량 변화로 정규착상범위를 벗어났을 때 이를 검출하여 카를 정규착상범위로 되돌아가게 하는 리레벨속도지령을 발생하고 자동적으로 재기동하는 것에 있어서, 도어폐쇄지령 또는 도어가 소정위치까지 폐쇄된 것을 검출하면은 리레벨속도지령을 소정레이트로 영까지 저하시키는 수단과,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것을 검출하면은 리레벨속도지령에서 정규속도지령으로 절환하는 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리레벨동작에서 계층간주행동작으로 절환시의 지동등으로 인한 승차감의 악화를 회피하는 동시에 운전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고성능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를 얻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정규속도지령에 의하여 카를 속도제어하고, 카가 정규착상범위내에 정지하지 않았을 때 또는 정지 후 카의 하중변화로 인한 로프신장량 변화로 정규착상을 벗어났을 때, 이를 검출하고 카를 정규착상범위로 되돌아가게 하는 리레벨속도지령을 발생하고 자동적으로 재기동하는 것에 있어서, 도어폐쇄지령 또는 도어가 소정위치까지 폐쇄됨으로써 신호를 발생하는 도어폐쇄모드 검출수단과, 리레벨중에 도어폐쇄검출수단이 동작하면 리레벨지령속도를 소정의 레이트로 영까지 저하시키는 리레벨중도정지 지령수단과,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것을 검출하는 도어폐쇄 완료검출수단과, 리레벨중에 도어제어장치에 의해서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것을 검출하는 도어폐쇄 완료검출수단이 동작하면, 리레벨속도지령에서 정규속도지령으로 절환하는 절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리레벨동작개시에서 도어가 완전히 폐쇄된 것을 검출하기까지 카의 균형추의 불균형분을 보정하는 토크지령과 리레벨속도지령으로 카를 보지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1019910010236A 1990-06-22 1991-06-19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9400105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62815A JPH0455273A (ja) 1990-06-22 1990-06-22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162815 1990-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606A KR920000606A (ko) 1992-01-29
KR940010529B1 true KR940010529B1 (ko) 1994-10-24

Family

ID=1576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236A KR940010529B1 (ko) 1990-06-22 1991-06-19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59162A (ko)
JP (1) JPH0455273A (ko)
KR (1) KR940010529B1 (ko)
CN (1) CN1020088C (ko)
DE (1) DE4120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21C (zh) * 1993-03-24 1998-04-22 山东矿业学院 提升载荷的检测方法与监控系统
WO1996023722A1 (en) * 1995-01-31 1996-08-08 Kone Oy Procedure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hoisting motor of an elevator
KR970059066A (ko) * 1996-01-27 1997-08-12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
CA2252718A1 (en) 1996-05-31 1997-12-04 Richard J. Greff Compositions for use in embolizing blood vessels
CN101037164B (zh) * 2002-09-11 2010-05-2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控制装置
US7360630B2 (en) * 2004-04-16 2008-04-22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oration Elevator positioning system
JP2006264822A (ja) * 2005-03-22 2006-10-0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装置
WO2007028850A1 (en) * 2005-09-05 2007-03-15 Kone Corporation Elevator arrangement
FI119767B (fi) * 2006-08-14 2009-03-13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ja menetelmä turvallisuuden varmistamiseksi hissijärjestelmässä
JP4470950B2 (ja) * 2007-02-28 2010-06-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システム
US8360209B2 (en) * 2008-02-26 2013-01-29 Otis Elevator Company Dynamic compensation during elevator car re-leveling
FI120730B (fi) * 2008-09-01 2010-02-15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sekä menetelmä hissijärjestelmän yhteydessä
DE102009037634A1 (de) * 2009-08-14 2011-02-17 Lm Liftmaterial Gmbh Aufzug und Verfahren zur Absicherung eines Aufzugs
US9422133B2 (en) * 2011-02-28 2016-08-2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control in a landing zone using a machine brake in response to undesired car movement
DE102011054590B4 (de) * 2011-10-18 2022-06-09 Elgo-Electronic Gmbh & Co. Kg Vorrichtung zur Positionserfassung einer Aufzugkab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anlage
CN103373649B (zh) * 2012-04-27 2015-06-24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称量值诊断修正方法
EP2848568B1 (en) * 2013-09-17 2022-07-20 KONE Corporation A method and an elevator for stopping an elevator car using elevator drive
JP6597426B2 (ja) * 2015-08-19 2019-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ドア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CN112047209B (zh) * 2020-09-09 2022-09-13 上海有个机器人有限公司 一种电梯楼层的自动标定方法、介质、终端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4798C3 (de) * 1970-05-21 1982-01-14 Otis Elevator Co., New York, N.Y.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e Fahrstuhlkabine
US4042068A (en) * 1975-06-25 1977-08-16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JPS55145979A (en) * 1979-04-24 1980-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Releveling controller for elevator
US4494628A (en) * 1983-08-17 1985-01-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US4785914A (en) * 1987-06-19 1988-11-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leveling safeguard control and method
JPH01288583A (ja) * 1988-05-17 1989-11-20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59162A (en) 1992-10-27
DE4120544C2 (ko) 1993-01-07
JPH0455273A (ja) 1992-02-21
CN1020088C (zh) 1993-03-17
CN1057439A (zh) 1992-01-01
DE4120544A1 (de) 1992-01-09
KR920000606A (ko) 199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529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5214239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2321211B1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in conjunction with an elevator system
JPH11246141A (ja) エレベーターの終端階減速装置
JP2003192246A (ja) エレベータの速度制御装置及び速度制御方法、並びに速度制御プログラム
JP2003095546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5132541A (ja) 昇降機械駆動用電動機の制御方法
JPH0741267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KR100275576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방법(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3259506B2 (ja) 油圧エレベータの駆動制御装置
JP4698863B2 (ja) エレベータにおける速度検出器の異常検出装置
JPH0742057B2 (ja) 油圧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H0336181A (ja)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3346921B2 (ja)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3226398B2 (ja)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583699B2 (ja)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515635B2 (ko)
JPH0925069A (ja) 油圧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H0867431A (ja)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1288583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815988B2 (ja)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6254745B2 (ko)
JPH0356375A (ja) 流体圧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1026379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H0416473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