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9481B1 - Y/c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Y/c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9481B1
KR940009481B1 KR1019910002432A KR910002432A KR940009481B1 KR 940009481 B1 KR940009481 B1 KR 940009481B1 KR 1019910002432 A KR1019910002432 A KR 1019910002432A KR 910002432 A KR910002432 A KR 910002432A KR 940009481 B1 KR940009481 B1 KR 940009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paration
video signal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208A (ko
Inventor
시게미쯔 야마데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9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04N7/087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 H04N7/08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 H04N7/0882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with signal insertion during the vertical blanking interval only the inserted signal being digital for the transmission of character code signals, e.g. for tele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Y/C 분리회로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Y/C 분리장치의 구성예를 표시한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문자방송신호검출회로의 상세한 것을 표시한 블록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문자방송신호검출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 4 도는 종래예의 Y/C 분리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크로마신호분리회로 3 : 동기분리회로
4 : 절환회로 7 : 문자방송검출회로
8 : 모노크롬검출회로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나 VTR 등에 사용되는 복합컬러영상신호의 Y/C 분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S-VHS방식 등의 고해상도 VTR을 위시하여, 가정용 VTR이나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질향상이 진보되고, 복합컬러영상신호의 Y/C 분리기에는 고해상도가 얻어지는 수직상관을 이용한 코움형 필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또, 텔레비젼 전파를 이용한 뉴미디어로서 문자다중방송이 실용화되고 있으나, 이 문자방송신호를 위시하여 텔레비젼 신호의 소직귀선소거기간에는, 고우스트캔설기준(GCR)신호나 멀티버어스트신호나 변조정현파신호등 방송국운영을 위한 기준신호가 보내지고 있다. 또, 레이저방식 비데오 디스크의 수직귀선소거기간에도 컬러바아신호등과 같은 기준신호가 중첩되어 있다. 이러한 방송파나 레이저비젼에 삽입되어 있는 기준신호는 영상신호재생시에 그 파형을 관측하므로서 전송계의 체크에 이용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그러나, 이들의 수직귀선소거기간의 각 라인의 신호는 독립한 내용이고 라인간의 수직상관이 전혀 없기 때문에, 상기의 코움필터로 Y/C 분리를 행하면 큰 변형을 받게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예를들면 문자다중방송의 녹화를 행하였을 경우, 신호대역은 충분한 S-VHS 방식의 VTR이더라도, 녹화, 재생한 영상신호를 문자다중코우드해석기에 걸면 착오가 발생하는 일이 많았다. 또, Y/C 분리기를 포함한 재생계의 체크에는, Y/C 분리시의 변형때문에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중첩된 기준신호를 이용할 수 없었다.
문자다중방송을 녹화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하나의 예로서,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소 63-222257 호(동특계평 2-71692 호 공보)에는, 수직귀선소거기간은 Y/C 분리코움형 필터를 바이패스시키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Y/C 분리기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제 4 도는 종래의 Y/C 분리기의 구성예를 표시한 블록도이다. 제 4 도에 있어서, (1)은 복합신호의 입력단자, (2)는 코움형 필터이고, 그 내부구성은 1H 지연회로(21), 가산기(22), 감산기(23), 1/2감쇠기(24a),(24b)로 이루어지고, NTSC 방식의 것이다. (3)은 동기분리회로로써 수직귀선소거기간에 펄스를 출력하고, (4)는 이 펄스에 의해 절환하는 절환회로이다. (5)는 휘도신호 Y의 출력단자, (6)은 색신호 C의 출력단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Y/C 분리기에 대하여, 이하 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입력된 영상신호 VIN은 코움형 필터(2)에 입력된다. NTSC 방식에서는, 어느 신호와 1H 떨어진 신호의 휘도신호 Y는 동상이나, 색신호 C는 역상이고, 코움형 필터(2)는 일반영상신호의 수직상관성에 의거하여 양자의 합으로부터 휘도신호 Y를, 차로부터 색신호 C를 얻고 있다. 통상은 절환회로(4)의 접점은 a쪽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코움형 필터(2)에 의해 얻게된 휘도신호 Y와 색신호 C가 출력으로 된다.
한편, 동기분리회로(3)는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절환펄스를 발생하여, 절환회로(4)를 접점 b쪽으로 한다. 그 결과, 수직귀선소거기간에는 입력신호 VIN이 그대로 휘도신호출력 Yout로 되고, 색신호출력 Cout는 무신호로 된다. 따라서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중첩된 문자방송신호가 변형을 받지 않고 그대로 휘도신호 Yout로서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문자방송신호 이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중첩된 컬러신호까지도 모노크롬화하여 버리는 결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중첩된 문자방송신호 이외의 각종의 신호도 변형이 적고 Y/C 분리할 수 있는 Y/C 분리기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중첩된 각종의 신호도 변형없이, 영상신호의 Y/C 분리를 할 수 있는 Y/C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Y/C 분리장치는, 영상신호의 동기분리회로와,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존재하는 문자방송신호를 검출하는 문자방송검출회로와, 라인상관을 이용하지 않는 비수직상관형 Y/C 분리회로와, 모노크롬검출회로와, Y/C 분리방식을 절환하는 절환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의해서, 복합컬러영상신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중 문자방송신호기간은, 입력복합컬러영상신호를 그대로 휘도신호가 되도록 절환하고, 그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은 비수직상관형 Y/C 분리회로로 절환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Y/C 분리장치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이다.
제 1 도에 있어서, (2)는 입력신호로부터 크로마신호(색신호)를 분리하는 크로마신호분리회로이고, 1H 지연회로(21a) 및 (21b), 대역필터 (BPF)(25a),(25b) 및 (25c), 절환회로(26), 수직상관회로(27)로 이루어진다. 1H 지연회로(21a)는 CCD 지연소자를 사용한 것이며, 수백 Hz로부터 수 MHz의 대역을 가진다. 수직상관회로(27)는 3라인로지컬콤으로 호칭되는 것이다. 절환회로(26)는 크로마신호분리회로(2)를 수직상관형과 비수직상관형으로 절환한다.
(3)은 동기분리회로이고 입력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한다. 문자방송검출회로(7)는 문자방송기간에 절환펄스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상세한 구성은 제 2 도에 표시한다. (8)은 모노크롬검출회로로서, 입력신호가 모노크롬영상신호일때 절환펄스를 출력한다. (9)는 OR 회로이고, 문자방송검출회로(7)와 모노크롬검출회로(8)의 출력의 OR을 취하는 회로, (10)은 색신호처리 때문에 지연된 색신호에 복합컬러영상신호를 지연시켜서 맞추기 위한 지연회로, (11)은 복합컬러영상신호로부터 색신호를 감산해서 휘도 신호를 얻기 위한 감산기이다.
제 2 도는 문자방송검출회로(7)의 상세한 것을 표시한 블록도이다. 제 2 도에 있어서, (71)은 2.8MHz의 대역증폭기로서 세라믹필터를 사용하여 협대역화되어 있다. (72)는 검파기, (73)과 (75)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M), (74)와 (77)은 D형 플립플롭, (75)은 OR 회로, C와 R은 콘덴서와 저항이며 미분회로를 구성한다. D는 플립플롭(77)의 보호용의 다이오우드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Y/C 분리장치에 대하여, 이하 제 1 도~제 3 도를 참조하면서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입력영상신호 VIN은, 크로마신호분리회로(2), 동기분리회로(3), 문자방송검출회로(7), 모노크롬검출회로(8)에 각각 공급된다.
크로마신호분리회로(2)에 입력된 신호 VIN은 1H 지연회로(21a)에서 1H(1수평주사기간) 지연되고, 또 1H 지연회로(21b)에서 1H 지연되어 합계 2H 지연한다. 이 입력신호 VIN과 1H 지연신호 및 2H 지연신호는 각각 대역통과필터(25a),(25b),(25c)에 입력된다.
통상 주사기간은 절환회로(26)가 a쪽으로 되어 있으므로 입력신호 VIN과 1H 지연신호 및 2H 지연신호의 대역통과출력은 각각 수직상관회로(27)에 입력되고, 3라인간의 수직상관연산의 결과 크로마신호 C를 얻게 된다.
한편, 수직귀선소거기간에는, 동기분리회로(3)의 출력이 수직귀선소거펄스 VP를 출력하여, 절환회로(26)를 b쪽으로 절환한다. 이 때문에 수직상관회로(27)의 3개의 입력단자에는 모두 1H 지연회로가 입력되고, 출력단자에는 그대로 1H 지연회로가 출력된다. 이 결과, 수직상관연산은 행하여지지 않고, 대역통과필터(25a)~(25b)에 의해 분리한 것과 같은 크로마신호 C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문자방송검출회로(7)는 수직귀선소거기간이 있는 수평기간이 문자방송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검출하여, 문자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의 수평기간의 주사구간에 모노크롬화펄스 m1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 문자방송검출회로(7)의 구체적 구성예를 제 2 도에 표시하고, 이하, 그 동작에 대하여 제 3 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지금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제 3a 도와 같은 문자방송신호를 포함한 신호(비트동기부호)가 존재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그 비트동기부호의 주파수 2.8MHz대의 성분이 대역증폭기(71)로 추출되어 검파기(72)에서 검파되어서 제 3b 도와 같은 파형을 얻게 된다.
한편 동기분리회로(3)를 개재해서 입력되는 수평동기펄스(HP)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73)과 (75)에 인가된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73)의 출력은, (C)의 파형과 같이 수평동기신호(수평동기펄스 HP와 수평동기신호는 국성이 반전하고 있다: 제 3a 도,(HP) 참조)와 동시에 하강하고, 비트동기부호의 검파출력(제 3b 도 참조)이 최대가 되는 점에서 상승하도록 펄스폭이 설정된다.
플립플롭(74)에는, D단자에 (b)의 파형이 입력되는 동시에, 트리거 단자에 (c)의 파형이 입력되므로 그 출력 Q는 파형(d)과 같이 된다.
플립플롭(77)은 파형(e)과 같이 수평동기신호(제 3a 도 참조, 즉 제 3 도(HP)의 수평동기펄스 HP와 상승, 하강의 관계는 반대로 된다)의 하강에서부터 컬러버어스트의 직후까지의 펄스를 발생하도록 설정된다. 이 펄스(e)는, 수직귀선소거펄스 VP와 OR 회로(76)에서 논리합을 취하여, 플립플롭(77)의 리세트단자 R에 입력되는 한편, 콘덴서 C와 저항 R에 의해 미분정형되어서 파형(f)으로 되어 플립플롭(77)의 트리거단자 T에 인가된다. 또 플립플롭(77)의 D단자에는 상술한 플립플롭(74)의 출력파형(d)이 입력되어 있으므로 플립플롭(77)의 출력파형은 파형(g)과 같이 되고, 이것이 문자방송신호검출 출력펄스 m1으로 된다.
이와같이 문자방송검출회로(7)는,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있어서 비트동기부호의 위치에서의 비트동기부호의 주파수성분의 검파출력이 일정 이상인 때(검파기(72)로 검출한다) 그 수평주사기간이 문자방송중첩구간이라고 판정하여, 다음의 1수평주사기간에 펄스를 출력하는 것이다. 다음의 주사기간에 펄스를 출력하는 것은 문자방송신호로 판정한 시점에서는 이미 그 수평주사기간은 도중까지 와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입력신호(a)를 1H 지연한 신호를 파형(a')으로 하면, 파형(a)으로부터 파형(a')의 영상신호 Y/C 분리를 상기 문자방송신호검출 출력펄스로 절환하면 상술한 지연을 회복시킬 수 있어서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지귀선소거펄스 VP도 제 3 도와 같이 1H 남짓 길게 해둘 필요가 있다.
제 1 도로 되돌아가서, 모노크롬검출회로(8)은 입력영상신호 VIN의 컬러버어스트신호의 레벨에서 모노크롬신호인지 컬러신호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회로로서, 모노크롬신호일 때에는 출력 m2가 고레벨로 된다.
상기 문자방송검출회로(7)와 모노크롬검출회로(8)는 OR회로(9)에서 논리합이 취하여지고, m1, m2의 어느 한쪽이 높을 때 절환회로(4)를 b쪽으로 하고 크로마출력 Cout는 무신호로 된다.
이 절환회로(4)의 출력은 Y/C 분리장치의 크로마출력 Cout이 된다.
한편 복합영상신호 VIN은 1H 지연회로(21a)에 의한 1H 지연후 크로마신호의 처리때문에 소요되는 시간분을 지연회로(10)로 지연시키고, 지연시간을 크로마신호와 일치시켜서 감산기(11)에 입력시켜, 상기 Cout를 감산하므로서 휘도신호출력 Yout를 얻는다.
이와같이해서 복합컬러영상신호의 통상주사기간에서는 수직상관을 이용한 3라인로지컬콤필터로 Y/C 분리를 행하고, 모노크롬영상신호일때와 수직귀선소거기간중 문자방송신호기간은, 입력영상신호를 그대로 휘도신호가 되도록 절환하고, 그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은 비수직상관형의 단순한 대역통과필터의 Y/C 분리회로로 절환하는 것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신호의 동기분리회로와,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존재하는 문자방송신호를 검출하는 수단과, 라인상관을 이용하지 않는 비수직상관형 Y/C 분리회로와, 모노크롬신호의 검출수단과, Y/C 분리의 방식을 모노크롬, 수직상관형, 비수직상관형으로 절환하는 수단이라는 구성을 형성하므로서, 복합컬러영상신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중 문자방송신호기간과 모노크롬신호일 때에는 입력영상신호를 그대로 휘도신호가 되도록 절환하고, 그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은 비수직상관형 Y/C 분리회로로 절환하므로서,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중첩된 각종의 신호도 변형없이 영상신호의 Y/C 분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Y/C 분리회로(2)는 3라인로지컬콤필터방식으로 하고 있으나, 주신호가 약 1H 지연하는 방식이면 다른 방식이어도 된다. 이때, 1H 지연회로(21a),(21b)는 공용화한다. 또 절환회로(26)에 의해서 절환하므로서 비수직상관형을 겸용하고 있으나, 이는 수직상관형과 비수직상관형을 절환했을 때의 지연시간은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따로따로 형성해서 절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의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중첩된 신호를 충실하게 Y/C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다중방송을 Y/C 분리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필수조건으로 되는 S-비데오단자부착의 VTR에 의해 녹화, 재생할 수 있고, 또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중첩되어 있는 기준신호에 의해 Y/C 분리장치도 포함하여 전송계의 체크를 할 수 있는 등, 그 실용적 효과는 큰 것이다.

Claims (10)

  1. 입력영상신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존재하는 특정신호를 검출하는 특정신호검출수단과, 상기 입력영상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그 라인상관을 이용하지 않고 Y/C 분리를 행하여 출력하는 비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과, 상기 입력영상신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중 상기 특정신호의 기간은 상기 입력영상신호를 그대로 휘도신호로서 출력하도록 절환하고, 그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은 상기 비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절환하는 절환수단을 구비한 Y/C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신호는 문자방송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Y/C 분리장치.
  3. 입력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분리해서 출력하는 동기분리수단과, 그 동기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영상신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에는 존재하는 특정신호를 검출하는 특정신호검출수단과, 상기 입력영상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그 라인상관을 이용하지 않고 Y/C 분리를 행하여 출력하는 비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과, 상기 입력영상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그 라인상관을 이용해서 Y/C 분리를 행하여 출력하는 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과, 상기 입력영상신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중 상기 특정신호의 기간은 상기 입력영상신호를 그대로 휘도신호로서 출력하도록 절환하고, 그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은 상기 비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절환하며, 또한 통상의 영상신호기간은 상기 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절환하는 절환수단을 구비한 Y/C 분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신호는 문자방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Y/C 분리장치.
  5. 상기 문자방송검출수단은, 문자방송신호의 비트동기부호를 검파해서 D형 플립플롭의 D단자에 입력하는 검파회로와, 상기 입력영상신호로부터 동기분리해서 얻은 수평펄스를 입력으로 하여, 펄스출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구비하고, 그 출력펄스를 상기 D형 플립플롭의 트리거단자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C 분리장치.
  6. 입력복합컬러영상신호를 1H 지연해서 출력하는 1H 지연회로와, 상기 복합컬러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분리해서 출력하는 동기분리수단과, 그 동기신호에 의거해서, 1H 지연되기전의 상기 복합컬러영상신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에 존재하는 문자방송신호를 검출하는 문자방송검출수단과, 상기 복합컬러영상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그 라인상관을 이용하지 않고, Y/C 분리를 행하여 출력하는 비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과, 상기 복합컬러영상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그 라인상관을 이용해서 Y/C 분리를 행하여 출력하는 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과, 상기 1H 지연후의 복합컬러영상신호중 문자방송신호가 중첩된 수평주사기간은, 상기 복합컬러영상신호를 그대로 휘도신호로서 출력하도록 절환하고, 그외의 수직귀선소거기간은 상기 비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절환하며, 또한 통상의 영상신호기간은 상기 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절환하는 절환수단을 구비한 Y/C 분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방송검출수단은, 입력복합컬러영상신호로부터 문자방송신호의 비트동기부호의 주파수성분을 증폭해서 출력하는 대역증폭기와, 상기 비트동기부호를 검파해서 D형 플립플롭의 D단자에 입력하는 검파회로와, 상기 입력복합컬러영상신호로부터 동기분리해서 얻은 수평펄스를 입력으로 하여 펄스출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구비하고, 그 출력펄스를 상기 D형 플립플롭의 트리거단자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Y/C 분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은, 입력복합컬러영상신호중, 1H의 정수배 떨어진 2이상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Y/C 분리의 연산을 행하고, 또한 절환수단은 상기 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의 입력의 짜맞춤을 절환하므로서, 상기 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과 비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을 절환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Y/C 분리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복합컬러영상신호가 모노크롬인 것을 검출하는 모노크롬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복합컬러영상신호가 모노크롬인 때는 색신호를 제로로해서 상기 입력복합컬러영상신호를 그대로 휘도신호로서 출력하는 모노크롬화 절환수단을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Y/C 분리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은 입력복합컬러영상신호중, 1H의 정수배 떨어진 2이상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Y/C 분리의 연산을 행하고, 또한, 절환수단은 상기 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의 입력의 짜맞춤을 절환하므로써, 상기 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과 비수직상관형 Y/C 분리수단을 절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Y/C 분리장치.
KR1019910002432A 1990-02-16 1991-02-13 Y/c 분리장치 KR940009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6544 1990-02-16
JP2036544A JPH0785589B2 (ja) 1990-02-16 1990-02-16 Y/c分離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208A KR910016208A (ko) 1991-09-30
KR940009481B1 true KR940009481B1 (ko) 1994-10-13

Family

ID=1247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432A KR940009481B1 (ko) 1990-02-16 1991-02-13 Y/c 분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03297A (ko)
EP (1) EP0442478B1 (ko)
JP (1) JPH0785589B2 (ko)
KR (1) KR940009481B1 (ko)
CA (1) CA2035794C (ko)
DE (1) DE6912748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7148A (en) * 1991-06-14 1997-04-01 Wavephore, Inc. Filter by-pass for transmitting an additional signal with a video signal
US5559559A (en) * 1991-06-14 1996-09-24 Wavephore, Inc. Transmitting a secondary signal with dynamic injection level control
US5327237A (en) * 1991-06-14 1994-07-05 Wavephore, Inc. Transmitting data with video
US5387941A (en) * 1991-06-14 1995-02-07 Wavephore, Inc. Data with video transmitter
US5410360A (en) * 1991-06-14 1995-04-25 Wavephore, Inc. Timing control for injecting a burst and data into a video signal
US5831679A (en) * 1991-06-14 1998-11-03 Wavephore, Inc. Network for retrieval and video transmission of information
JP2959413B2 (ja) * 1994-09-29 1999-10-0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ダビング装置
US5896179A (en) * 1995-03-31 1999-04-20 Cirrus Logic, Inc. System for displaying computer generated images on a television set
GB2307122A (en) * 1995-11-09 1997-05-14 Thomson Multimedia Sa Video switch with reduced crosstalk
US6002447A (en) * 1996-03-07 1999-12-14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WO1998014013A1 (en) * 1996-09-27 1998-04-0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mb filter with bypass mode
JP4350809B2 (ja) * 1997-03-24 2009-10-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
JP2006128860A (ja) * 2004-10-27 2006-05-18 Oki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生成回路
TWI248767B (en) * 2004-11-19 2006-02-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Y/C separation
TWI338516B (en) * 2006-09-21 2011-03-01 Realtek Semiconductor Corp Video processing system and related video processing method
TWI372554B (en) * 2007-07-26 2012-09-11 Realtek Semiconductor Corp Motion detec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396A (ja) * 1983-06-22 1985-01-10 Canon Inc ビデオ信号処理回路
JPS60226292A (ja) * 1984-04-24 1985-11-11 Mitsubishi Electric Corp 輝度信号色信号分離フィルタ
JPH0810945B2 (ja) * 1987-07-27 1996-01-31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くし形フィルタ回路
CA1322241C (en) * 1988-07-22 1993-09-14 Hisafumi Motoe Moving detection circuit
JPH0271693A (ja) * 1988-09-06 1990-03-12 Sony Corp 輝度/クロマ分離回路
JPH0271692A (ja) * 1988-09-07 1990-03-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の輝度信号および色信号分離回路
JPH0793733B2 (ja) * 1989-06-30 1995-10-09 三洋電機株式会社 輝度信号処理回路
JPH1030388A (ja) * 1996-07-17 1998-02-03 Sanwa Shutter Corp シャッタ−カ−テンの繰出し下限位置調整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42478A2 (en) 1991-08-21
CA2035794C (en) 1995-01-17
DE69127484D1 (de) 1997-10-09
US5103297A (en) 1992-04-07
JPH0785589B2 (ja) 1995-09-13
KR910016208A (ko) 1991-09-30
JPH03239087A (ja) 1991-10-24
EP0442478B1 (en) 1997-09-03
CA2035794A1 (en) 1991-08-17
DE69127484T2 (de) 1998-03-12
EP0442478A3 (en) 199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9481B1 (ko) Y/c 분리장치
US4021852A (en) Signal defect compensation
KR900006265B1 (ko) 문자신호용 자기기록 재생장치
JPH025353B2 (ko)
JP2750572B2 (ja) 画像変化の検出器
EP0199602B1 (en) Signal processing circuit
US5060056A (en) Luminance signal/color signal separating circuit and noise reduction circuit using a comb filter
EP0525818A1 (en) Luminance signal/colour signal separation circuit
EP0420184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EP0462746A2 (en) Automatic reproducing system of a VCR
JPH0417485A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JPS60253394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の信号処理回路
JPS62230291A (ja) カラ−映像信号の信号処理回路
JPS61172497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H0342557B2 (ko)
JPH0710111B2 (ja) 磁気テ−プ記録再生装置
JPS59231988A (ja) クロマ位相補正回路
JPS61135289A (ja) Pal方式ビデオテ−プレコ−ダ
JPH01144883A (ja) ドロップアウト補正装置
JPH0714221B2 (ja) Fm信号再生回路
JPH033582A (ja) 映像機器のドロップアウト補償装置
JPH0810945B2 (ja) くし形フィルタ回路
JPS6268391A (ja) 信号のドロツプアウトを補償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02180489A (ja) Y/c分離装置
JPS59156095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