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345B1 - 페로센 유도체, 그것을 함유한 계면활성세 및 유기박막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페로센 유도체, 그것을 함유한 계면활성세 및 유기박막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345B1
KR940005345B1 KR1019890700780A KR890700780A KR940005345B1 KR 940005345 B1 KR940005345 B1 KR 940005345B1 KR 1019890700780 A KR1019890700780 A KR 1019890700780A KR 890700780 A KR890700780 A KR 890700780A KR 940005345 B1 KR940005345 B1 KR 94000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thalocyanine
thin film
ferrocene
solution
absorption spect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603A (ko
Inventor
테쓰오 사지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이데미쓰 쇼스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이데미쓰 쇼스께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701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7/00Metallocenes
    • C07F17/02Metallocenes of metals of Groups 8, 9 or 10 of the Periodic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44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electrophoretic applications
    • C09D5/448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electrophoretic applica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00Use of substances as emulsifying, wetting, dispersing, or foam-produc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페로센 유도체, 그것을 함유한 계면활성제 및 유기박막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의 원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제2도는 실시예 1에서 얻은 페로센 유도체의1H-NMR 스펙트럼.
제3도는 실시예 2에서 얻은 페로센 유도체의1H-NMR 스펙트럼.
제4도는 실시예 3에서 얻은 페로센 유도체의1H-NMR 스펙트럼.
제5도는 실시예 4에서 얻은 페로센 유도체의1H-NMR 스펙트럼.
제6도는 실시예 5에서 얻은 페로센 유도체의1H-NMR 스펙트럼.
제7도는 실시예 6에서 얻은 페로센 유도체의1H-NMR 스펙트럼.
제8도는 실시예 7에서 얻은 페로센 유도체의1H-NMR 스펙트럼.
제9도는 실시예 8∼12에서 얻은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
제10도는 실시예 13과 14에서 얻은 ITO 위의 색소박막의 가시흡수 스펙트럼.
제11도는 실시예 15에서 얻은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과 ITO 위의 색소박막의 가시흡수 스펙트럼.
제12도는 실시예 16에서 얻은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과 ITO 위의 색소박막의 가시흡수 스펙트럼.
제13도는 실시예 17에서 얻은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과 ITO 위의 색소박막의 가시흡수 스펙트럼.
제14도는 실시예 18에서 얻은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과 ITO 위의 색소박막의 가시흡수 스펙트럼.
제15도는 실시예 19에서 얻은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과 ITO 위의 색소박막의 가시흡수 스펙트럼.
제16도는 실시예 20에서 얻은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과 ITO 위의 색소박막의 가시흡수 스펙트럼.
제17도는 실시예 21에서 얻은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과 ITO 위의 색소박막의 가시흡수 스펙트럼.
제18도는 실시예 13에서 형성된 박막의 표면구조를 나타내는 SEM 사진.
제19도는 실시예 15에서 형성된 박막의 표면구조를 나타내는 SEM 사진.
제20도는 실시예 16에서 형성된 박막의 표면구조를 나타내는 SEM 사진.
제21도는 실시예 17에서 형성된 박막의 표면구조를 나타내는 SEM 사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페로센 유도체 2 : 소수성 유기물
3 : 미셀 4 : 산화된 페로센 유도체
5 : 양극 6 : 음극
Fe : 페로센 e : 전자
본 발명은 페로센 유도체, 그것을 함유한 계면활성제 및 유기박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좀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을 갖는 새로운 페로센 유도체 그리고, 그 페로센 유도체를 함유하고, 프탈로시아닌등의 색소를 가용화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 그리고, 그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소수성 유기물질의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탈로시아닌 또는 그 유도체등의 색소는 물에 대하여 불용성이며, 디메틸포름아미드(DMF),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등의 유기 용매에는 가용성이지만, 그 가용화량은 적으며, mg 정도의 가용화에 지나지 않는다.
종래부터 이 프탈로시아닌등을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가 연구되어 왔으나, 만족스런 계면활성제를 개발해내지 못하고 있다.
관능기가 치환된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에 대해서는 술폰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어느 정도 물에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으나, 그 용해도는 지속적으로 충분히 높지 않을 뿐 아니라, 치환되지 않은 프탈로시아닌에 대하여는 전혀 용해시킬 수 없다.
또한, 물에 불용성인 중합체에 대하여도 상술한 바와 같은 조작으로 물에 용해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가 연구되어 왔으나, 아직도 충분한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자는 프탈로시아닌 또는, 그 유도체등의 색소 또는 물에 불용성인 중합체등을 가용화시키는 계면활성제를 개발하고자 주의 깊은 연구를 거듭했다.
그 연구과정에서 페로센 유도체가 상술한 성능을 갖는 계면활성제로서 유망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러한 점을 토대로 하여 연구를 계속한 결과, 페로센 또는 그 유도체에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을 함유한 특정의 치환기를 도입한 새로운 페로센 유도체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임을 알았다.
그와 동시에, 이들 새로운 페로센 유도체를 사용하여 전기화학적 기술을 적용하여 물에 불용성(소수성)인 유기박막을 좋은 효율로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런 연구과정을 거쳐 완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일반식(I)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1및 R2은 각각 수소,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또는 카르보메톡시기를 나타내고, m은 1-4, n은 1-5, r은 11-18의 정수를 나타내며, s는 2.0-70.0의 실수를 나타냄)
또는 일반식(II)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W는 2-20의 정수를 나타내고, R1, R2, m, n, 및 s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의미임)으로 표시되는 페로센 유도체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일반식(I) 또는 (II)로 표시되는 페로센 유도체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소수성 유기물질을, 수성 매체중에서 상기 일반식(I) 또는 (II)로 표시되는 페로센 유도체, 또는 일반식(I')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t는 2-10의 정수를 나타내고, R1, R2, m, n 및 s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의미임)으로 표시되는 페로센 유도체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로 가용화시키고, 생성된 미셀 용액을 전해하여 앞서 기술한 소수성 유기물질의 박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박막의 제조방법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페로센 유도체는, 일반식(I) 또는 (II)로 표시되는 것이다.
여기서, 일반식(I) 가운데, R1및 R2는 각각 수소,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또는 카로보메톡시기를 나타내며, m은 1-4, n은 1-5, r은 11-18의 정수를, 그리고 s는 2.0-70.0의 실수를 나타낸다.
r은 상술한 바와 같이 11-18의 정수이기 때문에, 고리구조 탄소원자와 그 탄소원자에 가장 인접한 에테르성 산소 원자와의 사이에는 운데카메틸렌기, 도데카 메틸렌기 또는 트리데카메틸렌기 등의 탄소수 11-18의 알킬렌기(폴리메틸렌기)가 존재하게 된다. 또, s는 2.0-70.0 사이의 정수 뿐아니라, 이들을 포함한 실수를 의미한데, 이것은 페로센 유도체를 구성하는 옥시에틸렌기(-CH2CH2o-)의 반복수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반면에 일반식(II)의 W는 2-20의 정수를 나타내기 때문에 고리구조 탄소원자와 옥시카르보닐기와의 사이에는 에틸렌기 또는 프로필렌기등의 탄소수 2-20의 알킬렌기(폴리메틸렌기)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R1, R2, m, n 및 s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일반식(I) 또는 (II)로 표시되는 페로센 유도체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일반식(I)로 표시되는 페로센 유도체는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즉, 일반식
Figure kpo00004
(식에서, s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의미임)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에 알칼리금속(금속 나트륨, 금속칼륨 등)을 가하여, 상온 -200℃의 온도에서 수분-수일간 교반한 다음, 일반식,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며, R1, R2, m, n 및 r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의미임)으로 표시되는 할로겐 함유 페로센 화합물을 첨가하여 교반한채로 반응시켰다. 그후, 추출, 정제과정을 거쳐, 일반식(I)로 표시되는 페로센 유도체를 얻게 된다. 또한, 여기서 일반식(IV)의 할로겐 함유 페로센 화합물은, 예를 들면 일반식,
HOOC(CH2)r-1X
(식가운데, r 및 X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의미임)으로 표시되는 W-할로게노카르복시산을, 적당한 할로겐화제(염화티오닐등)을 사용하여 일반식,
X1OC(CH2)r-1X
(식가운데, X1은 할로겐화제로부터 유래된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며, r 및 X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의미임)로 표시되는 산할로겐화물(아크릴화물)로 하고, 이것을 일반식,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R1, R2, m 및 n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의미임)으로 표시되는 페로센 또는 I 유도체와 반응시켜 일반식,
Figure kpo00007
(상기식에서, R1, R2, m, n 및 r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의미임)으로 표시되는 페로세닐케톤 유도체를 얻고, 이것을 환원하여 일반식(IV)의 할로겐 함유 페로센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일반식(II)로 표시되는 페로센 유도체는, 앞서 기술한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에 진한 황산을 첨가하고, 상온 -200℃에서 수분간 교반한 다음, 일반식,
Figure kpo00008
(식가운데, R1, R2, m, n 및 W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의미임)으로 표시되는 카르복기 함유 페로센 화합물을 가하고 교반한채로 반응시킨 다음, 추출, 정제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일반식(VII)로 표시되는 카르복시기 함유 페로센 화합물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즉, 일반식,
X2OC(CH2)W-1COOR
(식가운데 X2은 할로겐 원자, R은 알킬기를 의미하고, W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의미임)로 표시되는 알콕시카르보닐산 할로겐화물과, 일반식(V)로 표시되는 페로센 또는 그 유도체와 반응시켜 일반식.
Figure kpo00009
(상기식에서, R1, R2, m, n 및 W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의미임)으로 표시되는 페로세노일 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를 얻고, 그다음 가수분해하여 대응하는 카르복시산으로 하고, 그후에 환원시키거나 또는 환원시킨후에 가수분해시켜 일반식 (VII)로 표시되는 카르복시기 함유 페로센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I) 또는 (II)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페로센 유도체는 이상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이들 페로센 유도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일반식(III)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대신에 유사한 폴리에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후의 추출처리는, 알코올, THF등을 써서 할 수 있고, 정제는 크로마토 정제등으로 하면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생성된 일반식(I) 또는 (II)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페로센 유도체는, 계면활성제로서 효과적이며, 특히 소수성 유기물질을 물 또는 수성매체에 가용화 하는 계면활성제(미셀화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는 상기 일반식(I) 또는 (II)의 페로센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함유한 것이며, 그외 필요하다면 각종 첨가제를 적당히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 다양한 소수성 유기물질을 물 또는 수성매체에 가용화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소수성 유기물질은 다양한 것들이 있는데, 예를 들면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프탈로시아닌의 금속착물,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의 금속착물, 나트탈로시아닌, 나프탈로시아닌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의 금속착물, 나프탈로시아닌 유도체의 금속착물, 포르피린, 포르피린 유도체(테트라 페닐 포르피린 등), 포르피린의 금속착물, 포르피린 유도체의 금속착물등의 광 메모리용 색소 및 유기색소를 비롯하여, 1,1'-디헵틸-4,4'-비피리디늄 디브로라이드, 1,1'-디도데실-4,4'-비피리디늄 디브로마이드등의 엘렉트로크로믹 재료, 6-니트로-1,3,3-트리메틸스피로-(2'H-1'-벤조피란 -2,2'-인돌린)(통칭 스피로 피란)등의 감광재료(포토크로믹 재료) 및 광센서 재료, P-아족시아니솔등의 액정표시(Liquid Crystal Display)용 색소, 7,7,8,8-테트라시아노퀴논 디메탄(TCNQ)와 테트라치아풀발렌(TTF)의 1 : 1 착물등의 유기 도전재료 및 가스센서 재료, 펜타에리쓰리톨 디아크릴레이트 등이 광 경화성 도료, 스테아르산등의 절연재료, 1-페닐아조-2-나프톨등의 디아조형의 감광재료 및 도료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물에 불용성인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PPO), 그리고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등의 범용 중합체, 또는 폴리페닐렌,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부티랄을 비롯하여 각종 각양의 중합체(폴리비닐피리딘등) 또는 혼성중합체(메타크릴산 메틸과 메타크릴산과의 혼성중합체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페로센 유도체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특히 본 발명의 유기박막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미세활제로서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는, 우선 수성 매체중에 상기의 일반식(I) 또는 (II)로 표시되는 페로센 유도체, 또는 일반식(I')로 표시되는 페로센 유도체로 된 계면활성제(미셀화제), 지지염(Supp-Orting Salt) 및 소수성 유기물질을 넣어서, 초음파, 균질기 또는 교반기등으로 충분히 분산시켜 미세를 형성시킨 다음, 필요에 따라서 과잉의 소수성 유기물질을 제거하고, 생성된 미셀용액를 방치한 채로 또는 약간의 교반을 시킨채로 전극을 사용하여 전해처리한다. 또한 전해처리중에 소수성 유기물질을 미셀용액에 보충 첨가하여도 좋고, 또는 양극에 근접한 미셀용액을 그 시스템밖으로 꺼내고, 꺼낸 미셀용액에 소수성 유기물질을 가하여 충분히 혼합교반한 다음, 그 액을 음극근방에 되돌리는 순환회로를 병설시켜도 좋다.
이때의 전극 조건은, 각종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는, 용액온도 0-70℃, 바람직하게는 20-30℃, 전압 0.03-1.5V, 바람직하게는 0.1-0.5V로 하고, 전류밀도 10mA/cm2이하, 바람직하게는 50-30μA/cm2로 한다. 이 전극처리를 수행하는데 있어, 반응은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행된다.
이들을 페로센 유도체중의 Fe 이온의 거동에 착안하면, 양극(5)에서는 페로센의 Fe2+가 Fe3+로 되어, 미셀(3)이 붕괴되고, 소수성 유기물질(2)의 입자(600-900Å 정도)가 양극에서 석출된다.
한편, 음극(6)에서는 양극(5)에서 산화된 Fe3+이 Fe2+로 환원되어 원래의 미셀(3)으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동일한 용액을 사용하여 반복하여 막 형성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해처리에 의하여, 양극에는 원하는 소수성 유기물질 600-900Å 정도의 입자에 의한 박막이 형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하는 지지염(지지전해질)은, 수성매체의 전기전도도를 조절하도록 필요에 따라서 첨가하는 것이다. 이 지지염의 첨가량은, 통상은 상기 계면활성제(미셀화제)의 10-300배 정도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50-200배 정도의 농도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이 지지염의 종류는, 미셀의 형성 및, 전극에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소수성 유기물질의 석출을 억제하지 않고, 수성매체의 전기전도도를 조절할 수 있는한 특별한 제한이 없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으로 폭넓게 사용되는 지지염으로서 염산염(리튬, 칼륨, 나트륨, 루비듐 또는 알루미늄 등의 염), 초산염(리튬, 칼륨, 나트륨, 루비듐, 베릴륨, 마그네슘, 스트론튬, 바륨 또는 알루미늄 등의 염)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하는 전극은, 페로센의 산화전위(+0.15V 대포화 칼로멜 전극)보다 귀한 금속 또는 도전체이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ITO(산화 인듐과 산화 주석과의 혼합 산화물), 백금, 금, 은, 갤러시카본(Galassy Carbon), 도전성 금속 산화물, 유기중합체 도전체등을 들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겠다.
[합성예 1]
(1) 11-브로모운데칸산 50.0g과 염화 티오닐 90.0g로부터 합성한 11-운데칸산 클로라이드와, 무수염화 알루미늄 37.6g 및 페로센 35.0g을 염화메틸렌 용매중에서 5℃로 3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후, 묽힌 염산으로 처리한 후, 실리카겔 칼럼으로 정제하여,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10-브로모 운데카닐 페로세닐 케톤 56.9g을 얻었다.
Figure kpo00010
(2) 아연 27.2g과 염화제2수은 27.2g으로 제조한 아말감 존재하에, 상기 (1)에서 합성한 10-브로모데카닐 페로세닐 케톤 56.9g을, 진한 염산과 메탄올 혼합용매 중에서 6시간 환류시켜 환원반응을 시켰다.
반응 종료후, 초산에틸로 추출하고, 실리카겔 칼럼으로 정제하여,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1-페로세닐-11-브로모운데칸 42.1g을 얻었다.
Figure kpo00011
[실시예 1]
폴리에틸렌 글리콜(평균 분자량 6000) 6.5g에 금속나트륨 0.064g을 가하고, 70℃에서 하루동안 교반시켰다.
그런다음, 여기에 1-페로세닐-11-브로모운데칸(상기 합성예 1에서 얻은것)을 가하고 110℃에서 10시간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물과 n-부탄올의 동량 혼합액으로 추출했다. 추출물을 물로 수세하여 세정한 후, 실리카겔 칼럼을 사용하여, 용매로서 벤젠과 에탄올의 혼합액(벤젠 : 에탄올 = 5 : 1)을 사용하여 전개하고, 크로마토 정제했다.
건조시킨 후 생성된 정제물은 수율 41%, 수득량 0.96g이었다.
이것의 원소분석값은 탄소 60.21%, 수소 9.46%, 질소 0.00%였으며 양성자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1H-NMR)로 측정한 결과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 정제물은 하기의 구조를 갖는 페로센 유도체임을 알 수 있다.
Figure kpo00012
[실시예 2]
폴리에틸렌 글리콜로서 평균분자량 1000을 갖는 것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을 하였다.
생성된 정제물은 수율 31%, 수득량 2.15g이었다. 이것의1H-NMR 측정결과는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 정제물은 하기의 구조를 갖는 페로센 유도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kpo00013
[합성예 2]
(1) 무수염화 알루미늄 9.6g 존재하에, 페로센 13.5g과 11-에톡시카르보닐운데칸산 클로라이드(저널 오브 아메리칸 케미칼 써싸이어티, 69,2350(1947)에서 공지) 19.9g을 염화메틸렌 용매중에서 실온으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묽힌 염산으로 처리한 다음, 실리카겔 칼럼으로 정제하여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페로세노일 운데칸산 에틸 13.7g을 얻었다.
Figure kpo00014
(2) 상기(1)에서 합성한 페로세노일운데칸산 에틸 12.4g과 수산화 칼륨 2.9g을 에탄올 용매중에서 2시간동안 환류시킨 후, 산처리하여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페로세노일운데칸산 11.3g을 얻었다.
Figure kpo00015
(3) 아연 6.5g과 염화제2수은 2.7g으로 제조한 아연 아말감 존재하에, 상기(2)에서 합성한 페로세노일운데칸산 6.0g을 진한 염산과 에탄올의 혼합용매중에서, 80℃로 3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초산 에틸로 추출하고, 실리카겔 칼럼으로 정제하여, 하기식으로 나타나는 페로세닐 도데칸산 4.8g을 얻었다.
Figure kpo00016
[실시예 3]
페로세닐도데칸산(상기 합성예 2에서 얻은것) 0.29g에, 폴리에틸렌 글리콜(평균분자량 600)과 진한황산 0.1CC를 가하고, 80℃에서 6시간동안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을 하였다.
생성된 정제물은 수율 62%, 수득량 0.44g이었다.
이것의1H-NMR 측정결과는 제4도에 나타낸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 정제물은 하기의 구조를 갖는 페로센 유도체인 것으로 볼 수 있다.
Figure kpo00017
[합성예 3]
(1) 합성예 2(1)에 나타난 11-에톡시카르보닐 운데칸산 클로라이드 대신에 10-에톡시카르보닐데칸산 클로라이드 35.0g을 사용하고, 또 무수염산 알루미늄 17.7g을 사용하고, 페로센을 24.7g 사용하여 반응시킨 것 이외는, 합성예 2(1)과 같은 조작을 하여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페로세노일데칸산에틸 23.0g을 얻었다.
Figure kpo00018
(2) 합성예 2(2)에 나타난 페로세노일운데칸산 에틸 대신에, 페로세노일데칸산 에틸(상기(1)에서 얻은것) 5.0g을 사용하고, 또 수산화 칼륨 1.2g을 사용한 것 이외는, 합성예 2(2)와 같은 조작을 하여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페노세노일데칸산 4.7g을 얻었다.
Figure kpo00019
(3) 합성예 2(3)에 나타난 페로세노일운데칸산 대신에 페로세노일데칸산 (상기(2)에서 얻은것) 4.7g을 사용하고, 또 아연 6.6g, 염화제2수은 2.7g을 사용한 것 이외는, 합성예 2(3)과 같은 조작을 하여,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페로세닐운데칸산 3.4g을 얻었다.
Figure kpo00020
[실시예 4]
상기 합성예 3에서 얻은 페로세닐운데칸산 3.02g에, 폴리에틸렌 글리콜(평균 분자량 600) 39.14g과 진한 황산 0.1CC를 가하고, 80℃에서 6시간동안 반응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을 했다.
생성된 정제물은 수율 51.5%, 수득량 4.00g이었다.
이것의1H-NMR 측정결과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원소 분석값은 다음과 같다.
탄 소 수 소 질 소(%)
61.03 8.68 0.00
59.82 8.71 0.00(계산값)
이상의 결과로 부터 상기 정제물은 하기의 구조를 갖는 페로센 유도체임을 알 수 있다.
Figure kpo00021
[합성예 4]
(1) 합성예 2(1)에 나타난 11-에톡시카르보닐 운 데칸산 클로라이드 대신에, 9-에톡 시카르보닐노난산 클로라이드 19.3g을 사용하고, 또 무수염화 알루미늄 10.4g을 사용하고, 페로센 14.0g과 반응시킨것 이외는, 합성예 2(1)과 같은 조작을 하여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페로 세노 일노난산 에틸 23.4g을 얻었다.
Figure kpo00022
(2) 합성예 2(2)에 나타난 페로 세로 일운 데칸산 에틸 대신에, 페로 세노 일노 난산 에틸(상기 (1)에서 얻은 것) 20.5g을 사용하고, 또 수산화 칼륨 5.1g을 사용한것 이외는, 합성예 2(2)와 같은 조작을 하며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페노 세로 일로 난산 19.7g을 얻었다.
Figure kpo00023
(3) 합성예 2(3)에 나타난 페로 세노 일운 데칸산 대신에, 페로 세노 일노 난산(상기 (2)에서 얻은 것) 11.1g을 사용하고, 도 아연 13.1g 및 염화 제2수은 5.5g을 사용한것 이외는, 합성예 2(3)과 같은 조작을 하여 하기식을 표시되는 페노 세닐 데칸산 8.3g을 얻었다.
Figure kpo00024
[실시예 5]
상기 합성예 4에서 얻은 페로 세닐 데칸산 8.19g에, 폴리에틸렌 글리콜(평균 분자량 600) 82.7g과 진한 황산 0.1CC를 가하고 80℃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을 하였다.
생성된 정제물은 수율 49.2%, 수득량 10.60g이었다. 이것은1H-NMR 측정결과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또한, 원소 분석값은 다음과 같다.
탄 소 수 소 질 소(%)
60.02 8.63 0.00
59.43 8.63 0.00(계산값)
이상의 결과로 부터 상기 정제물은 하기의 구조를 갖는 페로 센 유도체임을 알 수 있다.
Figure kpo00025
[합성예 5]
(1) 합성예 2(1)에 나타난 11-에톡 시카르보닐운 데칸산 클로라이드 대신에, 5-에톡 시카르보닐 발레르산 클로라이드 29.0g을 사용하고, 또 무수염화 알루미늄 32.4g을 사용하고, 페로센 45.2g과 반응시킨 이외는, 합성예 2(1)과 같은 조작을 하여,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페로 세노 일 발레르산 에틸 44.1g을 얻었다.
Figure kpo00026
(2) 합성예 2(2)에 나타난 페로 세노 일운 데칸산 대신에, 페로 세노 일발레르 산 에틸(상기 (1)에서 얻은 것) 44.1g을 사용하고, 또한 수산화칼륨 13.3g을 사용한 것 이외는, 합성예 2(2)와 같은 조작을 하여,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페로 세노 일 발레르 산 36.0g을 얻었다.
Figure kpo00027
(3) 합성예 2(3)에 나타난 페로 세노 일운 데칸산 대신에, 페로 세노 일발레르 산(상기 (2)에서 얻은 것) 9.4g을 사용하고, 또한 아연 13.1g 및 염화제 2수은 5.5g을 사용한 것 이외는, 합성예 2(3)과 같은 조작을 하여,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페로 세닐 헥산산 6.9g을 얻었다.
Figure kpo00028
[실시예 6]
상기 합성예 5에서 얻은 페로 세닐 헥산산 6.90g에, 폴리에틸렌 글리콜(평균 분자량 1,000) 184.80g과 진한황산 0.1CC를 가하고 80℃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을 하였다.
생성된 정제물은 수율 39.5%, 수득량 11.68g이었다. 이것은1H-NMR측정결과는 제7도에 나타난 바와 같다. 또한 원소 분석값은 다음과 같다.
탄 소 수 소 질 소(%)
56.25 9.38 0.00
56.85 9.40 0.00(계산값)
이상과 결과로 부터 상기 정제물은 하기의 구조를 갖는 페로 센 유도체임을 알수 있다.
Figure kpo00029
[합성예 6]
(1) 합성예 2(1)에 나타난 페로 센 대신에 옥타메틸페로 센(Chem. ztg., 1976, 100(3), 143(Ger)에 의해 공지) 16.0℃을 사용하고, 또한 11-에톡 사카르보닐운 데칸산 클로라이드 대신에 9-에톡시 카르보닐노난산 클로라이드 13.3g을 사용하고, 또 무수염화 알루미늄 7.2g을 사용하고, 페로센 16.1g과 반응시킨것 이외는 합성예 2(1)과 같은 조작을 하여, 하기식으로 나타나는 옥타메틸 페로 세노 일노 난산 에틸 6.4g을 얻었다.
Figure kpo00030
(2) 합성예 2(2)에 나타난 페로 세노 일운 데칸산 에틸 대신에, 옥타 메틸페로 세노 일노 난산 에틸 6.4g(상기 (1)에서 얻은 것)을 사용하고, 또한 수산화 칼륨 1.1g을 사용한 것 이외는, 합성예 2(2)와 같은 조작을 하여, 하기식으로 표시되는 옥타메틸페로 세노 일노 난산 6.0g을 얻었다.
Figure kpo00031
(3) 합성예 2(3)에 나타난 페로 세노 일운 데칸산 대신에, 옥타메틸 페로 세노 일노난산(상기(2)에서 얻은 것) 6.0g을 사용하고, 또한 아연 8.1g 및 염화 제2수은 3.3g을 사용한 것 이외는, 합성예 2(3)과 같은 조작을 하여, 하기식으로 나타나는 옥타메틸페로 세닐 데칸산 2.1g을 얻었다.
Figure kpo00032
[실시예 7]
상기 합성예 6에서 얻은 옥타메틸페로 세닐 데칸산 2.03g에, 폴리 에틸렌 글리콜(평균 분자량 2,000) 86.64g과 진한황산 0.1CC를 가하고, 80℃에서 6시간동안 반응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작을 하였다.
생성된 정제물은 수율 15.2%, 수득량 1.61g이었다. 이것은1H-NMR측정 결과는 제8도에 나타난 바와 같다. 또한 원소 분석값은 다음과 같다.
탄 소 수 소 질 소(%)
58.51 9.23 0.00
57.84 9.15 0.00(계산값)
이상의 결과로 부터 상기 정제물은 하기의 구조를 갖는 페로 센 유도체임을 알수 있다.
Figure kpo00033
[실시예 8]
물 31.5ml에 실시예 1에서 얻은 페로 센유도체를 계면활성제(미셀화제)로서 1.13g가하고, 여기에 프탈로시아닌 10mg을 가하여, 초음파에서 10분간 교반시켜 분산, 용해시켰다. 또한, 교반기를 사용하여 이틀간 교반시킨후, 생성된 미셀용액을 2,000rpm으로 1시간동안 원심분리를 하였다. 그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9도(곡선 A)에 나타낸다. 이것으로 부터, 프탈로 시아닌이 미셀용액에 가용화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용해도 4.4mM/4mM 미셀화제 용액이었다.
[실시예 9]
프탈로 시아닌 대신에 프탈로 시아닌 철 착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같은 조작을 하였다.
상청액의 가스흡수 스펙트럼을 제9도(곡선 B)에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프탈로 시아닌이 미셀 용액에 가용화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용해도는 0.72mM/4mM 미셀화제 용액이었다.
[실시예 10]
프탈로 시아닌 대신에 프탈로 시아닌 코발트 착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같은 조작을 하였다.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9도(곡선 C)에 나타낸다. 이것으로 부터, 프탈로 시아닌이 미셀용액에 가용화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용해도는 0.22mM/4mM 미셀 화제 용액이었다.
[실시예 11]
프탈로 시아닌 대신에 프탈로 시아닌 동 착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같은 조작을 하였다.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9도(곡선 D)에 나타낸다. 이것으로부터, 프탈로 시아닌이 미셀용액에 가용화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용해도는 0.11mM/4mM 미셀화제 용액이었다.
[실시예 12]
프탈로 시아닌 대신에 프탈로 시아닌 아연 착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같은 조작을 하였다.
상청액의 가스흡수 스펙트럼을 제9도(곡선 E)에 나타낸다. 이것으로 부터, 프탈로 시아닌이 미셀 용액에 가용화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용해도는 0.41mM/4mM 미셀화제 용액이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8에서 제조한 미셀 용액 10ml에, 황산리튬(Li2SO4)) 0.22g을 가하여, 0.44mM 프탈로 시아닌/2mM 미실화제/0.2M 황산리튬 용액을 얻었다. 이것을 전해액으로 사용하고, 양극에 ITO, 음극에 백금, 기준 전극에 포화 칼로멜 전극을 사용하여, 25℃에서 전압 0.5V, 전류 7μA의 정전위 전해를 2시간동안 실시했다. 그 결과, 평균 입자의 직경이 1,000Å인 1차 입자를 갖는 색소 박막이 ITO에 생성되었다. 이 색소 박막의 주사형 전자현미경(SEM) 사진(배율 20,000배, 니혼 덴시(주) 제품, JSM-T220 사용)을 제18도에 나타낸다. 또한, ITO상의 색소 박막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10도(곡선 A)에 나타낸다. 제10도(곡선 A)와 제9도(곡선 A)가, 그 가시흡수 스펙트럼이 일치하여, ITO에의 색소박막은 프탈로 시아닌으로 된것과 같았다.
실시예 13에서 전해시간을 40분간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3과 같이 조작을 하였다. 생성된 색소박막의 가스흡수 스펙트럼을 제10도(곡선 A)나타낸다. 제10도의 곡선 A과 곡선 B를 비교하여 보면, 생성된 박막은 실시예 13과 비교하여 흡수 스펙트럼이 작고, 막두께는 전해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실시예 15]
물 100CC에 실시예 3에서 얻은 페로센 유도체를 계면활성제(미셀화제)로서 0.193g을 가하고, 여기에 프탈로 시아닌 100mg을 첨가하여, 초음파에서 10분간 교반시켜 분산, 가용화시켰다. 또한, 교반기를 사용하여 이틀간 교반시킨 후, 생성된 미셀용액(분산용액)을 2,000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를 하였다. 생성된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11도(곡선 A)에 나타낸다.
이것으로 부터, 프탈로 시아닌이 미셀용액에 가용화 분산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가용화능은, 프탈로 시아닌 6.4mM/2mM 미셀화제용액이었다.
이 용액에 지지염으로서 LiBr을 0.1M되도록 가하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전해액으로, 양극에 ITO투명유리 전극, 음극에 백금, 기준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을 사용하여 25℃에서 전압 0.5V, 전류 밀도 45μA/cm2의 정전위 전해를 30분간 실시하였다. 이때의 통과된 전력량은 0.09 쿨롱이었다. 그 결과, 프탈로 시아닌 박막이 ITO투명유리 전극에 생성된다. 이 ITO투명유리 전극에의 프탈로 시아닌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11도(곡선 B)에 나타낸다.
제11도(곡선 A)와 제11도(곡선 B)가 일치함으로서, ITO투명유리 전극에의 박막이 프탈로 시아닌 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박막이 두께는, 자외선(UV)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0.31μm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생성된 박막이 SEM사진(배율 30,000배, 니혼 덴시(주) 제품, JSM-T 220사용)을 제19도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물 100CC에 실시예 4에서 얻은 페로셀 유도체를 계면활성제(미셀화제)로서 0.190g가하고, 여기에 프탈로 시아닌 100mg을 첨가하여, 초음파에서 10분간 교반시켜 분산, 가용화 시켰다. 또한, 교반기를 사용하여 이틀간 교반시킨후, 생성된 미셀용액(분산용액)을 2,0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생성된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12도(곡선 A)에 나타낸다.
이것으로 부터, 프탈로 시아닌 미셀용액에 가용화(분산)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가용화능은 7.8mM/2mM 미셀화제 용액이었다. 이 용액에 지지염으로서 LiBr을 0.1M되도록 가하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전해액으로, 양극에 ITO투명유리 전극, 음극에 백금, 기준 전극으로 0.5V, 전류밀도 48μA/cm2의 정전위 전해를 30분간 실시했다. 이때의 통과된 전력량은 0.09 쿨롱이었다. 그 결과, 프탈로 시아닌 박막이 ITO투명유리 전극에 생성된다. 이 ITO투명유리 전극에의 프탈로 시아닌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12도(곡선 B)에 나타낸다.
제12도(곡선 A)와 제12도(곡선 B)가 일치함으로 인해, ITO투명유리 전극에의 박막이 프탈로 시아닌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박막의 두께는 UV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1.05μm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생성된 박막의 SEM사진(배율 30,000배, 니혼 덴시(주) 제품, JSM-220사용)을 제20도에 나타낸다.
[실시예 17]
물 100CC에, 실시예 5에서 얻은 페로셀 유도체를 계면활성제(미셀제)로서 0.187g가하고, 여기에 프탈로 시아닌 100mg을 첨가하여, 초음파에서 10분간 교반하여 분산, 가용화시켰다.
또한, 교반기를 사용하여 이틀간 교반시킨후, 생성된 미셀용액(분산용액)을 2,0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를 실시했다.
생성된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13도(곡선 A)에 나타낸다.
이것으로 부터, 프탈로 시아닌이 미셀 용액에 가용화(분산)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가용화능은 프탈로 시아닌 8.2mM/2mM 미셀화제용액이었다. 이 용액에 지지염으로 LiBr을 0.1M되도록 가하고, 교반기를 사용하여 10분간 교반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전해액으로, 양극에 ITO투명유리 전극, 음극에 백금, 기준 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을 사용하여 25℃에서 0.5V, 전류밀도 72μA/cm2의 정전위 전해를 30분간 실시했다. 이때의 통과전 전력량은 0.13 쿨롱이었다. 그결과, 프탈로 시아닌 박막이 ITO투명유리 전극에 생성된다. 이 ITO투명유리 전극에의 프탈로 시아닌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13도(곡선 B)에 나타낸다. 제13도(곡선 A)와 제13도(곡선 B)가 일치함으로서, ITO투명유리 전극에의 박막이 프탈로 시아닌인것이 확인되었다. 이 박막의 두께는 UV흡수 스펙트럼으로 부터, 1.85μm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생성된 박막의 SEM사진(배율 30,000배, 니혼 덴시(주) 제품, JSM-T220사용)을 제21도에 나타낸다.
[실시예 18]
물 100CC에 실시예 6에서 얻은 페로 센 유도체를 계면활성제(미셀화제)로서 0.176g가하고, 여기에 프탈로 시아닌 100mg을 가하여, 초음파에서 10분간 교반하여 분산, 가용화시켰다. 또한, 교반기를 사용하여 이틀간 교반시킨후, 생성된 미셀용액(분산용액)을 2,0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생성된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14도(곡선 A)에 나타낸다.
이것으로부터 프탈로 시아닌 미셀용액에 가용화(분산)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가용화능은 프탈로 시아닌 1.8mM/2mM 미셀화제 용액이었다.
이 용액에 지지염으로서 LiBr을 0.1M되도록 가하고, 교반기로 10분간 교반했다.
생성된 용액을 전해액으로, 양극에 ITO투명유리 전극, 음극에 백금, 기준전극으로 포화칼로멜 전극을 사용하여 25℃에서 0.5V, 전류밀도 72μA/cm2의 전전위 전해를 30분간 실시했다. 이때의 통과된 전력량은 0.04 쿨롱이었다. 그 결과, 프탈로 시아닌 박막이 ITO투명유리 전극에 생성되었다.
이 ITO투명유리 전극에의 프탈로 시아닌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14도(곡선 B)에 나타낸다. 제14도(곡선 A)와 제14도(곡선 B)가 일치함으로서, ITO투명유리 전극에의 박막이 프탈로 시아닌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박막의 두께는 UV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0.04μm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19]
물 100CC에 실시예 7에서 얻은 페로센 유도체를 계면 활성제(미셀화제)로서 0.210g가하고, 여기에 프탈로 시아닌 100mg을 첨가하여, 초음파에서 10분간 교반시켜 분산, 가용화 시켰다. 또한, 교반기로 이틀간 교반시킨후, 생성된 미셀용액(분산 용액)을 2,0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생성된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15도(곡선 A)에 나타낸다.
이것으로 부터, 프탈로 시아닌 미셀용액에 가용화(분산)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가용화능은 프탈로 시아닌 4.0mM/2mM 미셀화제 용액이었다. 이 용액에 지지염으로서 LiBr을 0.1M되도록 가하고 교반기로 10분간 교반했다. 생성된 용액을 전해액으로, 양극에 ITO투명유리 전극, 음극에 백금, 기준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을 사용하여 25℃에서 전압 0.5V, 전류밀도 124μA/cm2의 정전위 전해를 30분간 실시했다. 이때의 통과된 전력량은 0.23 쿨롱이었다. 그 결과, 프탈로 시아닌 박막이 ITO투명유리 전극에 생성되었다. 이 ITO투명유리 전극에의 프탈로 시아닌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15도(곡선 B)에 나타낸다. 제15도(곡선 A)와 제15도(곡선 B)가 일치함으로서, ITO투명유리 전극에의 박막이 프탈로 시아닌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박막의 두께는 UV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4.6μm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실시예 20]
물 100CC에 실시예 1에서 얻은 페로 센 유도체를 계면활성제(미셀화제)로서 0.188g가하고, 여기서 프탈로 시아닌 철착물 100mg을 가하여, 초음파에서 10분간 교반시켜 분산, 가용화 시켰다. 또한, 교반기로 이틀간 교반한후, 생성된 미셀 용액(분산용액)을 2,0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를 하였다.
생성된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16도(곡선 A)에 나타낸다. 이것으로 부터, 프탈로 시아닌 철착물이 미셀 용액에 가용화(분산)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가용화능은 프탈로 시아닌 철착물 4.1mM/2mM 미셀화제 용액이었다.
이 용액에 지지염으로서 LiBr을 0.1M되도록 가하고, 교반기로 10분간 교반했다.
생성된 용액을 전해액으로, 양극에 ITO투명유리 전극, 음극에 백금, 기준 전극으로서 포화 칼로멜 전극을 사용하여, 25℃에서 전압 0.5V 전류밀도 14μA/cm2의 정전위 전해를 30분동안 실시했다. 그 결과, 프탈로 시아닌 철착물 박막이 ITO투명유리 전극에 생성되었다.
이 ITO투명유리 전극에의 프탈로 시아닌 철착물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16도(곡선 B)에 나타낸다.
제16도(곡선 A)와 제16도(곡선 B)가 일치하기 때문에, ITO투명유리 전극에의 박막이 프탈로 시아닌 철착물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박막 두께는, UV흡수 스펙트럼으로 부터, 0.16μm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21]
물 100CC에 실시예 1에서 얻은 페로 센 유도체를 계면활성제(미셀화제)로서 0.188g가하고, 여기에 프탈로 시아닌 동착물 100mg을 가하여 초음파에서 10분간 교반시켜 분산, 가용화 시켰다. 또, 교반기로 이틀간 교반시킨후, 생성된 미셀용액(분산용액)을 2,0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를 했다.
생성된 상청액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17도(곡선 A)에 나타낸다. 이것으로부터, 프탈로 시아닌 동착물이 미셀용액에 가용화(분산)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가용화능은 프탈로 시아닌 동착물 3.8mM/2mM 미셀화제 용액이었다.
이 용액에 지지염으로서 LiBr을 0.1M되도록 가하고, 교반기로 10분간 교반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전해액으로, 양극에 ITO투명유리 전극, 음극에 백금, 기준 전극으로 포화 칼로멜 전극을 사용하여, 25℃에서 전압 0.5V, 전류 밀도 43μA/cm2의 정전위 전해를 30분간 실시했다. 이때의 통과된 전력량은 0.11 쿨롱이었다.
그 결과, 프탈로 시아닌 동착물 박막이 ITO투명유리 전극에 생성되었다. 이 ITO투명유리 전극에의 프탈로 시아닌 동착물의 가시흡수 스펙트럼을 제17도(곡선 B)에 나타낸다.
제17도(곡선 A)와 제17도(곡선 B)가 일치함으로서, ITO투명유리 전극에의 박막이 프탈로 시아닌 동착물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박막의 두께는 UV흡수 스펙트럼으로부터, 0.08μm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페로 센 유도체는, 종래에 없었던 새로운 화합물이며, 계면활성제 (미셀화제)를 비롯하여, 촉매, 보조연료, 억제제 또는 분산제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하다.
특히 이 페로센 유도체를 계면활성제(미셀화제)로서 사용하며, 수용액계에서 미셀을 형성하면, 이용분야가 다양한 프탈로 시아닌등의 색소 및 각종 소수성 중합체등을 가용화시킬수 있다.
또한, 이 계면활성제(미셀화제)를 첨가함과 동시에, 수용액 전해로 미셀의 집합이나 분산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매우 얇은 막두께를 갖는 유기박막을 만들수 있다.

Claims (3)

  1. 일반식
    Figure kpo00034
    (상기 식에서, R1과 R2는 각각 수소, 메틸기, 에틸기, 메톡시기 또는 카르보메톡시기를 나타내며, m은 1-4, n은 1-5, r은 11-18의 정수를 나타내며, s는 2.0-70.0의 실수를 나타냄) 또는, 일반식
    Figure kpo00035
    (상기 식에서, W는 2-20의 정수를 나타내며, R1·R2·m·n 및 s는 앞서 기술한 바와같은 의미임)으로 표시되는 페로센 유도체.
  2. 제1항에 페로센 유도체를 함유한 계면활성제.
  3. 제1항의 페로센 유도체 또는 일반식.
    Figure kpo00036
    (상기 식에서, t는 2-10의 정수를 나타내며, R1·R2·m·n 및 s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의미임)로 표시되는 페로 센 유도체를 함유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수성매체중에서 소수성 유기물질을 가용화시키고, 생성된 미셀용액을 전해하여 앞서 기술한 소수성 유기물질의 박막을 전극에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박막의 제조방법.
KR1019890700780A 1987-08-28 1988-08-27 페로센 유도체, 그것을 함유한 계면활성세 및 유기박막의 제조방법 KR940005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12718 1987-08-28
JP??62-212718 1987-08-28
JP21271887 1987-08-28
PCT/JP1988/000855 WO1989001939A1 (en) 1987-08-28 1988-08-27 Ferrocene derivatives, surfactants contain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in organic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603A KR890701603A (ko) 1989-12-21
KR940005345B1 true KR940005345B1 (ko) 1994-06-17

Family

ID=1662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780A KR940005345B1 (ko) 1987-08-28 1988-08-27 페로센 유도체, 그것을 함유한 계면활성세 및 유기박막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31745B1 (ko)
KR (1) KR940005345B1 (ko)
DE (1) DE3852818T2 (ko)
WO (1) WO19890019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5748A (en) * 1988-10-01 1991-05-14 Idemitsu Kosan Co., Ltd. Novel ferrocene derivatives, surfactants containing same and a process for producing organic thin films
US5135619A (en) * 1988-10-01 1992-08-04 Idemitsu Kosan Co., Inc. Process for producing organic thin films
US5122247A (en) * 1988-12-17 1992-06-16 Idemitsu Kosan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thin films
US5203974A (en) * 1988-12-17 1993-04-20 Idemitsu Kosan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thin films
US5135637A (en) * 1989-03-24 1992-08-04 Idemitsu Kosan Co., Ltd. Eerrocene derivatives, surfactants contain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organic thin films
JPH02250892A (ja) * 1989-03-24 1990-10-08 Idemitsu Kosan Co Ltd 新規フェロセン誘導体,それを含有する界面活性剤及び有機薄膜の製造方法
KR960004634B1 (ko) * 1989-05-12 1996-04-11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끼가이샤 페로세노일 유도체의 제조방법
CN106632510A (zh) * 2016-09-30 2017-05-10 东莞理工学院 一种可聚合型二茂铁表面活性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234274A1 (de) * 1984-12-27 1986-03-26 Adw Ddr Verfahren zur herstellung nichtionischer und anionischer grenzflaechenaktiver ferrocenderiv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89001939A1 (en) 1989-03-09
EP0331745B1 (en) 1995-01-18
EP0331745A4 (en) 1990-12-05
DE3852818D1 (de) 1995-03-02
KR890701603A (ko) 1989-12-21
EP0331745A1 (en) 1989-09-13
DE3852818T2 (de) 1995-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1582A (en) Novel ferrocene derivatives, surfactants contain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organic thin films
JPH09120709A (ja) 自己ドーピング機能を有する高分子導電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940005345B1 (ko) 페로센 유도체, 그것을 함유한 계면활성세 및 유기박막의 제조방법
JPS63243298A (ja) 有機薄膜の製造方法
US5082539A (en) Ferrocene compounds and uses thereof
US5203974A (en) Process for producing thin films
US5135637A (en) Eerrocene derivatives, surfactants contain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organic thin films
EP0374643A2 (en) Process for producing thin films
EP0362672A2 (en) Novel ferrocene derivatives, surfactants containing same and a process for producing organic thin films
WO1991008507A1 (en) Charge transfer salts and uses thereof
JPH0794718B2 (ja) 有機薄膜の製造方法
JPH0296585A (ja) 新規フェロセン誘導体,界面活性剤及び有機薄膜の製造方法
CA1329622C (en) Ferrocene derivatives, surfactants containing them and process for producing organic thin film
JPH0662656B2 (ja) 新規フェロセン誘導体,それを含有する界面活性剤及び有機薄膜の製造方法
JPH0725782B2 (ja) 新規フェロセン誘導体,界面活性剤及び有機薄膜の製造方法
JPH02256692A (ja) 新規フェロセン誘導体,それを含有する界面活性剤及び有機薄膜の製造方法
US5135619A (en) Process for producing organic thin films
JPH0541635B2 (ko)
JPH0283386A (ja) 新規フェロセン誘導体,それを含有する界面活性剤及び有機薄膜の製造方法
CA1339135C (en) Ferrocen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oducing organic thim films
JPH072758B2 (ja) 新規フェロセン誘導体,それを含有する界面活性剤及び有機薄膜の製造方法
JPH0751594B2 (ja) 新規フェロセ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薄膜の製造方法
JPH0662655B2 (ja) 新規フェロセン誘導体,それを含有する界面活性剤及び有機薄膜の製造方法
Fry et al. Voltammetry in (toluene) 3-tetrabutylammonium tetrafluoroborate, a novel liquid hydrocarbon electrolyte
JPH0283387A (ja) 新規フェロセン誘導体,それを含有する界面活性剤及び有機薄膜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