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655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655B1
KR940003655B1 KR1019900000551A KR900000551A KR940003655B1 KR 940003655 B1 KR940003655 B1 KR 940003655B1 KR 1019900000551 A KR1019900000551 A KR 1019900000551A KR 900000551 A KR900000551 A KR 900000551A KR 940003655 B1 KR940003655 B1 KR 940003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input
controll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152A (ko
Inventor
쇼시로 구즈누기
아스시 후꾸나가
히로시 쇼지마
마사끼 미우라
도시미 요꼬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00012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외부컴퓨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럭도.
제2a도는 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두가지 선택적 구조도로서 제2a도는 제1도에 따른 배치도이고, 제2b도는 디스플레이장치만의 독립 사용도.
제3도는 제1도에 따른 스크린 합성회로의 내부구조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의 타이밍 작동도.
제5도 내지 제7도는 제3도의 내부레지스터 설명도.
제8도는 제3도의 합성회로의 작동도.
제9도는 제1도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상태도.
제10도는 제9도의 상세도.
제11도 내지 제20도는 제1도의 화면상의 추가 표시도.
제21도는 제1도에 대한 소프트웨어 배치도.
제22도 내지 제44도는 제1도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작동 플로우챠트.
제45도는 제1도의 외부 컴퓨터에 대한 상세구성도.
제4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구성도.
제4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구성도.
제4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 구성도.
제4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 구성도.
제50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 구성도.
제51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 구성도.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정보입력에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기(hand written)문자 및 그림의 인식 및 표시에 관한 것이다.
필기문자나 그림의 인식 및 인식된 문자를 컴퓨터시스템에 입력하는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US4,672,677에서는 문자가 전자펜에 의하여 태블릿(tablet)으로 입력되는 문자나 그림의 처리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태블릿은 컴퓨터로 문자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컴퓨터는 그 문자를 인식하며, 문자는 컴퓨터스크린에 나타나게 될 것이다. 따라서, US 4,672,677에서의 태블릿은 컴퓨터와 키이보오드를 대체할 수 있다.
유사한 태블릿이 일본 특허공개 소58-14428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두 발명에서, 문자인식용 프로세서 및 디스플레이와, 문자를 처리하고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표준컴퓨터용이다. 그러나 합성장치에 의해 컴퓨터와 디스플레이를 결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에 관한 종래에는 영국특허 2193827호에 나타나 있으며, 거기에는 입력스크린과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함께 결합되어 마이크로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스크린은 전자펜의 물리적 접촉을 검출하고, 마이크로컴퓨터에 전송되는 접촉위치 정보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마이크로컴퓨터는 입력스크린에 쓰여진 문자를 인식하기 위하여 위치정보를 분석하고, 인식된 정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전송된다. 또한, 영국 특허 제2,193,827호에 개시된 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외부컴퓨터에 연결시키기 위한 출력인터페이스가 있다. 문자 입력패드(pad)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합성에 관한 다른 예는 미국특허 468,804호, 독일 특허 351,353호, 미국특허 641,354호 및 미국특허 4,639,72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가 외부컴퓨터에 연결될 때는 실행에 어떤 한계가 있게 된다.
영국 공개특허 제2,193,827호에 실려 있는 바와 같이 입력 스크린으로 입력되는 정보는 바로 외부컴퓨터에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컴퓨터의 스크린으로 사용되는 스크린장치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해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장치로 스크린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RS232C 인터페이스와 같은 표준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면 외부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장치로 스크린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속도가 느려질 것이다. RS232C 인터페이스는 약정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코드 데이타를 직렬 전송한다. 상기 프로토콜에 의한 정보전송에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을 컴퓨터의 스크린으로 사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컴퓨터와 독립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비디오 정보를 결합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일본 특허공개 제631197887호에 또한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에서는 스크린장치로 입력되는 두가지 형태의 입력 사이에 스위칭이 있을 뿐, 상기 스크린은 단지 하나이고, 컴퓨터는 자신의 분리된 입력을 갖는다. 표준컴퓨터가 표준스크린(CRT, VDH 등)으로 전송되는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가 외부컴퓨터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을 갖는다면, 외부컴퓨터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로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정보의 전송이 편리해진다. 그러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비디오 입력을 처리하여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은 두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를 발생시키기 위해 스크린의 디스플레이에 설치한 접촉패드와 같이 스크린입력의 적당한 접촉허용에 의하여 문자입력의 기능은 수행되나, 스크린은 또한 외부컵퓨터로부터의 정보를 표시한다. 더욱이, 접촉패드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로의 입력은 또한 외부컴퓨터로부터의 비디오정보를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그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컴퓨터로부터의 텍스트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상에 나타내지는 편집 시스템을 제공하며, 스크린의 일정 부분에 적당한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그 부분의 텍스트는 편집되고 디스플레이장치는 특별한 편집작동에 대응하는 입력을 인식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가 문자인식의 기능을 수행하면 문자추가에 의하여 텍스트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디오입력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것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이후,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에 합성디스플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적당한 합성수단에 의하여 상기 저장데이타는 결합된다. 예를 들면, 외부컴퓨터로부터의 비디오입력을 인접시키거나 오버래핑시킴으로써 윈도우(window)가 창출되며, 상기 윈도우에 대응하는 접촉패드의 일부분에 적당한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비디오 입력은 변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외부컴퓨터에 접속될 때, 비디오 인터페이스 수단과 스크린 합성수단에 의해 상기 외부컴퓨터로부터의 정보가 합성되어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에 표시된다.
그리하여 디스플레이장치 자체로부터의 스크린정보와 외부컴퓨터로부터의 스크린정보는 슈퍼임포이즈(superimpose)되어 한개의 화면디스플레이에 2개의 작업환경의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에 입력하면 적절한 윈도우관리수단은 이것을 검지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 대응처리수단을 기동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문자인식처리를 실행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외부컴퓨터의 화면정보를 조작하면 윈도우 관리수단은 이것을 검지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을 기동한다.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나오는 모든 정보가 외부컴퓨터를 통과하도록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컴퓨터와 연결되고, 외부컴퓨터의 응용소프트웨어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의 정보와 접속하여 사용되도록 한다. 어떠한 목적을 위하여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컴퓨터와 연결이 안될 경우가 있는데 이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단일 수동장치로써 작용하는 경우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 때에는 디스플레이장치가 탈착가능한 자체입력정보 저장용 기억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정보가 일정시간에 컴퓨터로 전송되도록 하고, 또한 외부컴퓨터로부터의 정보가 적절한 디스플레이를 생성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휴대용 수기 입출력장치로써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지니스용도의 외부컴퓨터에 접속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외부컴퓨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럭도이다. 투명테이블(TB)은 접촉패드(1)를 구성하고, 이는 접촉패드(1)의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펜(2)에 의해 접촉하게 된다. 평면 액정디스플레이(LCD)가 상기 접촉패드(1)직하에 설치되어 여러 신호들이 표시된다. 접촉패드(1)와 LCD(3)제어기(PAPERC)(4)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기(4), 접촉패드(1), LCD(3)는 상호연결되어 디스플레이장치(5)를 구성한다. 디스플레이장치(5)는 외부컴퓨터(6)에 연결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5)는 전자페이퍼 시스템으로 간주되고, EPAPER 로 표시하기로 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컴퓨터(6)는 하드디스크(8), 플로피디스크(10)와 같은 보조기억장치, LAN 프린터(9) 등의 외부장치등에 접속된 워크스테이션이다.
디스플레이장치(5)와 외부컴퓨터(6)는 코드인터페이스단자(51, 61)와 신호선 (d) 및 비디오 인터페이스단자(52, 62)와 신호선(e)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신호선(d, e)은 일체의 케이블로서 묶여져 있다. 또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컴퓨터(6)는 인터페이스단자(63)와 인터페이스라인(f)을 통하여 키보드(KB), 마우스(MS)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기(4)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작동을 조정하는 프로세서(CPU)(41)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패드(1)로부터의 신호는 신호라인(a)을 통해 직렬 인터페이스회로(SI/F)로 전송된다. 유사하게, 코드 인터페이스회로(KI/F)(973)는 코드정보를 외부컴퓨터에 전달하는 코드 인터페이스(51)에 연결되어 있다. ROM(44)은 프로그램과 기억인식사전을 저장한다. RAM(45)은 작업메모리로 가동된다. 코드인터페이스회로(42, 43) 및 메모리(44, 45)는 신호선(b)에 의하여 프로세서(41)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신호선(b)은 카드인터페이스회로(CI/F)(46)에 연결되는데, 카드인터페이스회로(CI/F)(46)는 접촉패드(1)로부터 전송된 정보가 저장되는 분리가능한 메모리카드(RAMC)(50)에 연결된다. 분리메모리카드(50)는 단자(53)에 삽입되어 있다.
비디오 인터페이스단자(52)는, 비디오신호를 합성하고 이를 신호라인(C)를 통하여 LCD(3)에 전달하는 스크린 합성회로(LGDP)(47)에 연결된다. 또한 스크린합성 회로로부터 비디오신호는 프레임메모리(RMEM)(48)에 저장된다.
스크린합성회로(47)는 신호라인(b)을 통하여 프로세서(41)에 연결되며 ,프로세서로부터의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LCD)(3)에 표시된다. 제1도에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전지(49), 비디오 인터페이스단자(52)가 외부컴퓨터에 연결될 때 트리거되는 스위치(54)가 도시되는데, 상기 스위치(54)는 디스플레이장치(5)를 초기화한다.
다음, 제1도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장치(5)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비디오신호는 스크린합성회로(47)로 라인(e)과 단자(52)를 통하여 입력된다.
이 데이타는 프레임메모리(48)에 스크린 데이타로서 쓰여진다. 라인(e)을 통한 비디오신호의 입력개시는 스위치(54)에 의하여 검지되며, 스위치는 라인(g)을 통해 프로세서(41)로 전달되는 검지신호를 발생시키며, 이에 의하여 오픈윈도우(후술함)의 타이밍이 결정된다.
한편, CPU(41)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5)의 화면 데이타가 메모리(44)(45)를 사용하여 처리되어, 스크린합성회로(47)로부터 프레임메모리(48)에 기입된다. 프레임메모리(48)에 저장된 스크린데이타(외부컴퓨터(6)와 프로세서(41) 양자로부터 입력)는 스크린합성회로(47)에 의해 합성되어 LCD(3)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태블릿(1)에 전자펜(2)을 사용하여 스트로크를 입력하면 스트로신호는 인터페이스회로(42)를 통하여 프로세서(41)에 전달된다. 프로세서(41)는 입력된 신호가 디스플레이장치(5)에 의하여 발생되는지(내부신호) 또는 외부컴퓨터(6)에 의하여 발생되는지(외부신호)의 여부를 판별한다. 내부신호일 때는 제어기(4)의 소프트웨어가 기동되어 오직 그 결과만이 코드 인터페이스(43)을 통하여 외부컴퓨터(6)에 출력된다. 한편, 입력신호가 외부신호일 경우 즉, 후술하는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스크린 데이타일 경우, 이것을 CPU가 판단하고 그 조작데이타를 코드인터페이스(43)를 통하여 외부컴퓨터로 전송하고 그 처리를 외부컴퓨터에 맡긴다.
제2a도 및 제2b도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두 사용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a도는 외부컴퓨터(6)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5)를 나타내고 있고, 제2b는 디스플레이장치(5) 단독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접촉패드(1), LCD(3)및 제어기(4)는 적층되어 일체화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작동은 종이위에 연필로 쓰는 것과 유사하다.
제2a도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오는 화면정보를 나타내는 SCREENP와 외부컴퓨터(6)로부터 오는 화면정보 SCREENW2개가 합성 표시되어 있다.
제2b도는 디스플레이장치(5)의 화면 SCREENP만이 표시되어 디스플레이장치 단독으로 이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제2a도 및 제2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5)는 외부파일장치로서의 메모리카드(50)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3도는 스크린합성회로(47)의 내구구조이다. 스크린합성회로(47)는 비디오 인터페이스부(471), CPU인터페이스부(472), LCD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473), 프레임메모리 인터페이스부(474), 프레임메모리(48)에 디스플레이장치(5)의 데이타(문자나 도형)을 기입하는 이미지프로세서(475), 멀티윈도우에서의 화상을 합성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프로세서(476), 비디오인터페이스부(471)로부터 입력된 비디오신호를 프레임메모리(48)에 기입하기 위한 비디오 프로세서부(477), 스크린합성회로(47)의 전체타이밍을 발생시키고 조정하는 타이밍프로세서부(47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합성회로(47)는 LSI에 의한 단일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로의 기능의 일부는 이미 제품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히다찌(주)에서 제작한 칩 HD6684 OULVIC(LCD 비디오 인터페이스콘트롤러)는,
(1) 비디오 인터페이스부(471)
(2) 비디오 프로세서부(477)
(3)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부(476)
(4) 프레임 메모리 인터페이스부(474)
(5) LCD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473)
(6) CPU 인터페이스부(472)
(7) 타이밍 프로세서부(478)
가 단일칩화되어, 주로 랩톱 컴퓨터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히다찌(주)에서 제작한 칩 HD64400GDP(Graphic Data Processor)는,
(1) CPU 인터페이스부(472)
(2)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부(476)
(3) 이미지 프로세서 인터페이스부(475)
(4) 프레임 메모리 인터페이스부(474)
(5) CRT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부(제3도에는 도시생략)
(6) 타이밍 프로세서(478)
가 단일칩화되어 있고, 주로 CRT를 사용한 퍼스컴, 위크스테이션에 이용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인 스크린합성회로 LGDP(47)는 상기 두개의 칩의 각 요소를 조합시켜 구성될 수 있다. 스크린합성회로(47)에 입출력되는 신호 및 여기에 연결된 버스는 다음과 같다.
HSYNC : 수평동기신호(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VSYNC : 수직동기신호(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DISPTMG : 디스플레이타이밍
DOTCLK : 도트클럭(dot-clock)
R. G. B : 적 ·녹 ·청 비디오신호
LDOTCLK : LCD의 도트클럭
LO to L3: LCD 스크린의 하반부 디스플레이데이타
UO to U3: LCD 스크린의 상반부 디스플레이데이타
CL1,CL3: 클럭1, 클럭2
FLM : 시분할 제어신호
M : LCD 에 대한 선택구동신호
D : 데이타버스
CNT : 제어버스
MD : 프레임메모리에 대한 데이타버스
MA : 프레임메모리에 대한 어드레스버스
MC : 프레임메모리에 대한 제어버스
제4도는 제3도에서의 프레임메모리 인터페이스부(474)의 전환(X, Y, Z)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일정기기 T(1초에 대한)는 3개의 타임슬롯(slots)인 T1, T2, T3로 분할되고, 각각의 타임슬롯에 주소가 할당된다.
즉 T1에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부(476)의 디스플레이 어드레스 y를, T2에는 비디오 프로세서부(477)의 비디오 어드레스 z를, T3에는 이미지프로세서(474)의 이미지 어드레스를 각각 할당한다. 또한 T1은 Read 사이클, T2및 T3는 Write 싸이클이다.
즉, 슬롯 T1은 LCD(3) 표시데이타의 Read 사이클이며, 슬롯 T2외부컴퓨터(6)로부터의 비디오데이타를 프레임메모리에 기입하는 Write 싸이클이다. 슬롯 t3는 디스플레이장치(5) 자신이 프레임메모리(48)에 기입하는 Write 싸이클이다.
다음에, 스크린 합성회로(47)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부(476)의 내부레지스터와 작동을 제5도 내지 제8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8도에 도시된 스크린합성회로(47)는 4개의 윈도우를 동시에 합성시키고 나타낼 수 있다. 4개의 윈도우 중 하나의 윈도우가 선정되면 투명한 윈도우로 만들수 있다. 또한 윈도우에 나타내는 데이타는 프레임메모리(48)에 자유로이 매핑될 수 있으며 스타트 어드레스 및 메모리폭은 각 윈도우에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정의는 제5도에 도시된 스타트 어드레스 레지스터(SARI 내지 SAR4)와 메모리폭 레지스터(MWR1 내지 NMR4)에 의하여 수행된다.
개개의 윈도우의 스크린 데이타는 LCD위의 임의의 위치에 매핑될 수 있다. 이것은 제8도와 같이 수평/수직 디스플레이 스타트위치 레지스터(HDSRI 내지 HDSR4/VDSR1 내지 /VDSR4) 및 수평 /수직 디스플레이폭 레지스터(HDW1내지 HDW4/VDW1내지 VDW4)에 의하여 정의할 수 있다.
각각 윈도우 스크린의 우선 레벨이나 합성 디스플레이 모드를 정의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레지스터인 DCR-PR과 DCR-SU가 있다.
용어 “우선레벨” 이란 윈도우 스크린의 다수의 슈퍼임포지션(Superimposition) 패턴을 의미한다. 즉 어떤 윈도우 스크린이 최상으로 표시되는가와 어떤 윈도우 스크린이 그 아래에 표시되는가의 패턴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합성디스플레이 모드는 어떤 윈도우 스크린이 투명하게 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각각의 디스플레이 제어 레지스터의 내용이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6도의 디스플레이 제어 레지스터(DCR-PR)는 스크린우선도를 지정하는 것으로 PR1에 설정된 윈도우 번호가 취상위가 되고, PR4는 최하위 레벨이 된다. 즉, 최우선레벨의 윈도우는 다른 윈도우 부분과 중복되지 않는다. 제7도는 4개의 윈도우중 하나의 윈도우만을 투명하게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레지스터(DCR-SU)를 나타내고 있다. SWN에 윈도우 번호를, SIE에 온/오프를, 또 DE에 윈도우 디스플레이 전체의 온/오프를 설정한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각종 제어 레지스터가 존재한다.
제8도에서와 같이 이하의 기능들이 각 윈도우에 할당된다.
(1) 윈도우 1 : 페이퍼박스(PBOX) ; 디스플레이장치(5)의 아이콘스크린(iconscreen)
(2) 윈도우 2 : 문자입력시이트(CHA-SHEET) ; 필기 문자를 입력하고 그 문자를 문자코드로 변환 하기 위한 입력시이트
(3) 윈도우 3 : 교정신호 입력시이트( PROOF-SHEET) ; 수거에 의해 분자 및 도형을 직접 편집하기 위한 교정신호 입력시이트
(4) 윈도우 4 : WS스크린시이트(WS-SHEET) ; 외부컴퓨터(6)의 스크린을 조작하는 시이트
상기 윈도우중에서 윈도우(1)이 페이퍼박스(PBOX)는 디스플레이장치(5) 전체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항상 표시된다. 윈도우(4)는 통상 외부컴퓨터로부터 비디오신호가 입력되면, 초기화되어 지동적으로 표시되며, 전술한(제1도에서)검지신호 g는 이러한 용도로 사용된다. 윈도우(2) 및 (3)은 윈도우(1)의 페이퍼박스(PBOX)의 조정에 의하여 오픈된다.
또한 필요하다면 윈도우(2) 및 (3) CHA-SHEET나 PROOF-SHEET) 이외의 다른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하여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한 요구가 검출되면, 프로세서(41)는 메모리(44, 45)의 내용을 사용하여 필요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창출하고, 프레임메모리(48)에서 윈도우(2) 및 (3)에 대해 할당된 메모리 영역은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기 위한 표시 정보에 재할당된다.
다음에 제9도 내지 제20도를 사용하여 이들의 윈도우를 통한 조작개요와 동작개요를 나타낸다. 제9도는 페이퍼박스(PBOX)의 문자입력시이트(ICHA-SHEET) 아이콘(icon)에 버튼이 있어 이를 클릭하고 문자입력시이트(CHA-SHEET)를 오픈하고, 또한 필기문자를 입력하고 있는 디스플레이다. LCD(3)에는 WS의 디스플레이( WS-SHEET)가 표시되어 문서 TEXT만이 표시되어 있다. TEXT에는 커서(CURSOR)와 도형(GRAPH)이 이미 표시되어 있다.
최상위 윈도우의 하부에는 윈도우메뉴(WMENU)가 표시되고 윈도우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9도에서 문자입력시이트 CHA-SHEET가 최상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윈도우메뉴 WMEMU2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워크스테이션의 윈도우메뉴 WSMENU는 외부컴퓨터(6)의 스크린데이타중 하나로서 표시되고 있다. 그러나, WS-SHEET용 윈도우(4)는 이 경우 최하위가 되므로 비록 그것이 표시된다 하더라도 윈도우 WSMEMU를 사용해서 WS-SHEET스크린은 조작될 수 없다.
제10도는 문자입력시이트 CHA-CHEET의 상세한 스크린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문자입력시이트 CHA-SHEET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1) 문자표시영역 : 인식된 문자열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 또, 문자열 편집시의 커서 지정이나 부정확한 인식때의 후보문자표시에도 사용된다.
(2) 시이트메뉴영역 : 문자열의 편집을 위한 버튼(수정/삽입, 삭제), 문자 사이즈 변경 버튼(button)(반각/전각), 문자 인식시의 우선문자 종류의 지정용 버튼(알파뉴메릭문자, 가다가나(일본 직각문자), 히라가나(일본흘림문자), 모든 종류의 문자, 사용자의 사적인 문자) 및 외부컴퓨터(6)에 인식된 문자열을 전송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는 메뉴이다.
(3) 문자입력영역 : 필기문자를 입력하는 영역, 여기의 실시예에서는 5칸으로 구성되며, 1칸에 한 문자씩 쓸 수 있다. 한 칸에 스트록(stroke)이 입력되면, 이전 칸에 입력된 스트록이 절출되어 문자인식이 시작된다. 인식된 필기문자가 순차로 지워지므로 사용자는 계속해서 문자를 쓸 수 있다.
(4) 윈도우메뉴영역 : 윈도우 조작용의 메뉴는 다음과 같다.
(i) WM1 : 윈도우 크기 변경 버튼
(ii) WM2 : 윈도우 위치 이동 버튼
(iii) WM3 : 디스플레이 내용을 상하 좌우로 스크롤(scroll) 하는 버튼
(iv) WM4 : 디스플레이 내용을 상하로 스크롤 하는 버튼
(v) WM5 : 디스플레이 내용을 좌우로 스크롤 하는 버튼
(vi) WM6 : 스크린의 파일을 조작하는 버튼
(vii) WM7 : 디스플레이 내용을 비투명으로 하기 위한 버튼
(viii) WM8 : 디스플레이 내용을 투명하게 하기 위한 버튼
(ix) WM9 : 디스플레이 우선레벨을 낮추는 버튼
제11도는 문자입력시이트 CHA-SHEET의 문자입력영역에 문자 “ABCD”가 차례로 입력되고 현재 “E”문자가 필기 입력되는 중임을 보여주고 있다. 필기문자 “ ABCD”이미 인식되어 문자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고 있다. 한편, WS-SHEET상에 문서 TEXT의 윈도우에는 커서 CURSOR가 위치함과 동시에 또는 그 후에 문자입력시이트의 필기가 표시된다. 이것은 현재 필기문자가 문자입력시이트를 통하여 입력되고 있는 중임을 나타낸다.
제12도는 모든 문자가 필기로 입력되었을 경우 CHA-SHEET(cf, 제10도)의 시이트메뉴영역의 “전송”버튼이 외부컴퓨터(6)에 문자 “ABCD”의 문자열 전송을 클릭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필기문자는 문서 TEXT에 “ABCDE”로서 표시된다. 제1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자펜(2)에 의하여 “전송 ”버튼이 클릭되었을때, WS-SHEET의 문서 TEXT에 표시된 필기 “ABCDE”문자는 커서의 위치로부터 차례로 지워지며 제13도와 같이 바르게 쓰여진 문자로 차례로 다시 표시된다.
또한 필기표시는 필기문자와 프레임메모리(48)의 내용간에 배타적 논리합(XOR)을 실행함으로써 가능하며, 프레임메모리(48)에 XOR의 결과를 다시 기입한다. 필기의 소거는 다시 XOR를 실행함으로써 가능하며, 그 결과를 프레임메모리(48)에 기입한다.
제14도는 WM8을 클릭하면 문자입력시이트 CHA-SHEET는 투명해지고, 백스크린(그래프 및 문서텍스트의 프레임 부분의)이 배위된 채 나타남을 보여준다.
제15도는 윈도우를 CHA-SHEET로부터 왼쪽으로 움직이기 위해 전자펜(2)이 WM2 버튼을 특정함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윈도우는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제16도는 버튼 WM1이 특정되어 윈도우 싸이즈를 변경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다른 윈도우메뉴의 조작은 히다찌(주)에서 제조한 워크스테이션 2050/32의 메뉴얼에 기재된 윈도우조작과 유사하므로 도시는 생략한다.
제17도는 문자입력시이트 CHA-SHEET를 클로즈(WM16에 의하여 행한다)하고, 페이퍼박스(PBOX)의 고정신호 입력시이트 IPROOF-SHEET를 오픈하여, WS-SHEET의 문서를 필기에 의해 편집하는 화면이다.
먼저 IPROOF-SHEET는 클리크되고 WS-SHEET의 윈도우 정보 P1, P2가 입력되며, 이에 의하여 교정신호 입력시이트 IPROOF-SHEET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자동 맵핑되어 정확히 문서 TEXT에 오우버래핑(overlapping)된다. 또한 교정신호 입력시이트 윈도우는 백스크린상의 문자열을 보이게 하기 위하여 투명하게 된다.
따라서 문자“defg”의 열을 삭제하고자 하면, 삭제의 교정신호“X”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제18도는 삭제의 교정신호가 입력되고 소정의 시간(time-out) 경과후에 소거명령으로서 인식되었을때, 문자 “DEFG”의 열이 소거되는 것을 나타내고 것이다.
제19도는 페이퍼박스(PBOX)의 IWS-SHEET가 클리크되고 윈도우 조작메뉴 WMENU4가 WSSHEET의 하부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것이다.
보통 이 윈도우메뉴 WMEMU4는 백 디스플레이로서 존재하므로 본 도에는 나타나지않는다.
제20도는 WS-SHEET의 윈도우메뉴 WMEMU4의 WM1을 조작하여 윈도우 크기를 변경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20도에서 윈도우 크기가 축소됨으로써 백 디스플레이의 페이퍼박스(PBOX)가 표시되어 있다.
이상 디스플레이장치(5)의 조작과 작동순서들이 설명되었다.
제21도 내지 제45도에서는 본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1도는 디스플레이장치(5)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전원이 온되면 이니셜처리(I)가 먼저 실행되고 처리데이타는 관리윈도우처리(A)로 전송된다. 윈도우관리처리(A)는 접촉패드(1)로부터 스트록을 인출하고, 스트록은 윈도우관리테이블과 스트록이 발생하는 윈도우영역이 있는 각종 제어테이블(T)을 참조하여 분석된다. 분석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5)의 적정한 소프트웨어를 기동한다.
상기한 소프트웨어는 다음을 포함한다.
(1) 페이퍼박스 처리 B(윈도우 1)
(2) 문자입력 시이트처리C(윈도우 2)
(3) 교정신호입력 시이트처리 D(윈도 3)
(4) WS 스크린 처리 E(윈도우 4)
(5) 타임아웃처리 F
타임아웃처리 F는 통상 문자인식이나 교정신호인식과 같은 인식개시 타이밍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이하, 각 처리단계의 상세 플로우챠트를 제22도 내지 제4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2도는 이니셜처리(I)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첫번째 스텝(15)은 비디오 신호가 외부컴퓨터(6)로부터 공급되는지를 감지하는 신호(g)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신호(g)가 존재할 경우, 스텝(I10) 및 스텝(I20)에서 WS스크린과 페이퍼박스(PBOX) 개방을 위한 준비(상세한 내용은 후술)가 수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스텝(I10)을 거치지 않고 스텝(I20)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그 다음 스텝(I30)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레지스터 DOR-SU의 SWN, SIE 및 DE이 “001”,“0”및 “1”로 각각 세트된다. 이러한 세팅은 페이퍼박스(PBOX)용 윈도우는 불투명 디스플레이(cf, 제7도)로서 표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 밖에, 다른 테이블의 이니셜처리(스텝 I40)나 디스플레이장치(5)에서의 처리에 필요한 레지스터 처리 이후 본 플로우챠트의 처리는 종료된다.
제23도 및 제24도는 WS스크린과 페이퍼박스 개방처리(제22도의 I10, I20)의 상세한 플로우챠트로서, 윈도우관리 레지스터의 각종 레지스터는 제8도에서 나타낸 스크린지정에 의거하여 세트된다. 페이퍼박스(PBOX)(윈도우 1) 및 WS스크린(윈도우 4)에 최고우선 레벨 및 최저우선 레벨을 각각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윈도우의 숫자들은 제24도의 스텝(I204) 및 제23도의 스텝(I103)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레지스터 PCR-PR(cf, 제6도)의 PR1 및 PR4에 세트된다.
제25도는 윈도우관리처리(A)의 상세한 플로우챠트이다. 최초 처리스텝(A1)은 외부컴퓨터(6)으로부터 공급되어온 비디오신호를 감지하는 신호 g가 존재하는 가의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신호 g가 존재할 경우, WS스크린은 스텝(A5)에서 오픈되고 이후 처리는 스텝(A10)으로 진행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처리는 스텝(A10)으로 바로 진행된다. 스텝(A10)은 펜이 쓰여지고 있는지의 여부 즉 전자펜(2)이 현재 스트록(stroke)을 입력하고 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펜-다운(pen-down) 스트록이 검출되지 않으면 스텝(A20)은 설정된 시간 예를들면 약 2초 정도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처리는 반복된다.
따라서 상기 처리는 설정시간 경과때까지 혹은 펜-다운 상태가 검출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시간이 경과하면, 처리는 타임아웃처리(F)로 변경되는데 이의 상세 설명은 후술하며, 본 플로우챠트의 처리는 종료하게 된다. 어떠한 스트록이 입력되면 펜-다운 상태가 스텝(A10)에서 검출된다. 스트록 개시점의 좌표 Ps는 스텝(A40)에 입력되며 그후에 직사각형 좌표 Pwsj, PwEj(윈도우번호 j= 1~40)는 스텝(A50)에서 윈도우관리 레지스터의 내용에 의해 계산된다.
이어서 스텝(A60)내지 스텝(A100)은 스트록 개시점 좌표 Ps가 어느 윈도우에 있는가를 판별한다. 이러한 판별은 “1”로 최우선 인텍스(PRi)를 세팅하여 최우선윈도우 번호로부터 처리되고(스텝A 60), 그 다음 하나씩(스텝 A100) 차례로 증가한다. 즉, PR1부터 PR4(스텝 A70)로 반복한다. 어떤 탐색결과가 얻어지면 절차는 대응윈도우 j(T A110)의 처리로 전송되고 이 플로우챠트의 처리는 종료된다.
제26도는 페이퍼박스 처리(B)의 상세한 플로우챠트이다. 최초 스텝 B5에서, 윈도우가 최상위 레벨을 갖는지 그리고 조작준비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제어 레지스터 DCR-PR이 조사된다.
이는 조작이 최상위 레벨로 한정되기 때문이다. 만일 최상위 레벨이 아니면 윈도우의 우선 레벨이 변경된다(스텝 B70).
윈도우가 최상위의 레벨이라는 것이 스텝(B5)에서 판별되면, 스트록 개시포인트 Ps가 발생하는 영역이 판별된다(스탭(B10)). 영역판별에 따라서 각종 아이콘처리가 가동된다(스텝 B20 내지 B60).
제27도는 분자입력시이트 아이콘처리(제26도의 스텝 B20)이 상세플로우챠트이다. 이 아이콘에 의하여 문자입력시이트 CHA-SHEET의 윈도우는 구체적으로 오픈된다(스텝 B210~B240). 이 처리는 문자스트록이 더이상 입력이 되지 않는(펜-업)것이 스텝 B250에서 판별될 때까지 반복한다. 교정신호 입력시이트 아이콘처리(B30)는 제40도에 의거하여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27도와 제40도 사이의 비교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두 아이콘처리 사이의 차이는 가령 “CHA-SHEET” 및 “PROOF-SHEET”와 같은 단지 시이트의 이름의 차이일 뿐이다. 아이콘처리의 이후 두 스텝(B40 및 B50)은 같은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8도는 문자입력 시이트처리(C)의 상세 플로우챠트이다. 스텝(C5) 및 스텝(C70)으로부터 작동이 준비되었는지의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그 다음 필요한 처리는 제26도의 스텝(B50) 및 스텝(B70)과 유사하게 수행된다. 스트록 개시점 Ps가 입력되는 에어리어는 제10도에 스크린 배치에 따라 결정된다(스텝 C10).
스텝(C10)처리의 판단결과에 따라서 대응처리가 가동된다(스텝 C20 내지 C60).
이하, 스텝(C40)에서의 문자입력처리 및 스텝(C50)에서의 윈도우메뉴처리의 상세 플로우챠트를 제29도 내지 39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다른 처리에 관한 설명은, 처리플로우챠트의 유사성에 의해 쉽게 이해되므로 생략한다.
제29도는 제10도의 문자 디스플레이 영역의 문자입력처리(C40)의 상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스트록 개시좌표 Ps가 동일 칸 이외의 칸에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C410). 스트록 개시좌표( Ps)가 동일 칸내에 있다면 필기문자는 입력중이라고 판단되어, 스트록데이타(좌표치)는 코드인터페이스(43)를 통하여 외부컴퓨터(6)로 전송한다. 필기문자는 WS스크린(cf, 제11도)상에 표시되며, 스트록데이타는 버퍼(buffer)에 저장된다(스텝 C440). 또, 현재의 스트로크 모드를 문자 인식중이라고 세트한다(스텝 C450).스트록 개시점좌표(Ps)가 동일칸 외부에 있는 것이 스텝 C410에서 판별되면, 지금껏 입력된 스트록데이타는 하나의 문자로서 인출되고 문자인식처리가 실행된다(스텝C420). 그 결과 문자인식영역(제10도)의 커서 위치에 표시 출력된다.(스텝C430)
이상의 처리를 펜-업까지 반복하여 문자입력처리가 종료된다. 또한 문자표시영역에 모든 문자가 입력되고, 제12도와 같이 “전송” 버튼이 클리크되면 우선 SW-SHEET측의 필적표시를 삭제하고 그 위에 수정된 문자를 제13도와 같이 차례로 표시한다.
제30도는 제28도의 스텝(C50)에 대한 윈도우메뉴처리의 플로우챠트이다. 스텝(S510) 내지 스텝(C513)에서는 문자 입력시이트나 교정신호 입력시이트(후술함)에서 인식되지 않은 것이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식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다면 대응 인식처리가 실행된다. 보통 잔류스트록이 없으므로 바로 스텝(C514)으로 처리된다. 스텝(C514)에서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윈도우메뉴 영역을 판단한다. 이에 의하여 대응처리용 버튼(스텝 C515 내지 C523)이 선택된다.
제31도 내지 제39도는 본 윈도우 메뉴처리(WM1 내지 WM9)의 상세도이다.
제31도는 윈도우 크기 변경처리 WM1의 플로우챠트이다. 윈도우의 크기는 현재의 스트록 좌표(Pc)에 대응하여 수평/수직 디스플레이 폭 레지스터 9HDW2/VD W2)를 동적으로 개서(改書)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제32도는 윈도우 위치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처리(WM2)의 상세 플로우챠트이다. 윈도우는 현재의 스트록좌표(Pc)에 대응하여 수평/수직 디스플레이 스타트 어드레스 레지스터(HDSR2/VDSR2)를를 동적으로 개서함으로써 이동될 수 있다.
제33도는 윈도우 화면 내용의 상하 좌우 스크롤(scroll)을 하는 메뉴처리(WM)이다. 이것은 스타트 어드레스 레지스터(SAR2)가 현재의 스트록좌표 Pc에 대응하여 동적(動的)으로 개서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제34도 및 제35도는 상하 스크롤, 좌우 스클롤의 메뉴처리(WM4, WM5)의 상세 플로우챠트이다. 제34도에서는 상하 스크롤은 개시 어드레스 레지스터(SAR2)에 메모리 폭 레지스터(WMR2)를 가감산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제35도에서 좌우스크롤은 개시 어드레스 레지스터(SAR2)의 내용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제36도는 화일(file) 조작용 처리의 상세 플로우챠드이다. 스트록-다운(stroke-down)이 검출되면 현재의 스트록좌표(Pc)가 읽혀지며, 동시에 풀-업(pull-up) 서브메뉴(메뉴가 동적으로 표시되고, 또 메뉴영역이 리버스 톤(reverse tone)으로 표시)가 표시되며, 펜업될 때까지 스텝 C520a 내지 C520c 처리가 수행된다. 펜업이 스텝(C520c)에서 검출되면, 대응하는 서브-프로세싱(스텝 C520c 내지 C520i)이 실행된다. 선택화일(file)조작 서브프로세싱용 버튼은 다음을 포함한다.
(1) 중단메뉴 : 오픈되어 있는 윈도우를 무조건 중지하고 윈도우를 클로우즈하는 버튼
(2) 화일(file)클로우즈 :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스크린 데이타를 자신의 화일에 격납하고, 윈도우를 클로우즈하는 버튼, 화일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화일의 이름등은 당연히 입력할 필요가 있다.
(3) 화일전송 : 디스플레이장치(5)나 스크린데이타의 전송코드를 약정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여 코드 인터페이스 신호라인(d)을 통하여 외부컴퓨터(6)에 전송하는 버튼
(4) 스크린전송 : 디스플레이장치(5)에 표시되어 있는 스크린데이타 전부를(내부/외부스크린 포함) 외부컴퓨퍼(6)로 전송하는 버튼. 이 버튼은 스크린 복사기능과 동일하여 외부컴퓨터(6)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의 스크린데이타를 인쇄하는 등에 사용할 수 있다.
(5) 재표시(redisplay) : 디스플레이장치(5)의 스크린데이타의 재표시버튼. 이것은 이미지처리의 반복으로 스크린에 종종 남아있는 잔류이미지의 제거에 통상 사용되는 버튼이다.
다른 화일조작처리도 생각할 수 있으나 본문에서는 생략하였다.
제37, 38, 39도는 스크린 합성모드를 변환시키기 위한 윈도우메뉴처리(WM7, WM8, WM9)의 상세 플로우챠트이다.
제37도는 백스크린(결국 백스크린은 보이지 않는다)에 대한 윈도우 디스플레이를 불투명으로 하는 처리이다. 윈도우의 번호가 디스플레이 제어 레지스터 DCR-SU의 SWN에 있을 때 SIE를 클리어함으로써 윈도우 디스플레이를 불투명으로 할 수 있다(스텝 C521b 및 C521c).
한편, 제38도는 백스크린에 대한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투명하게 하는 처리로서, 백스크린에 대해 번호를 세팅하고, 디스플레이 제어 레지스터 DCR-SU의 SWN에 윈도우번호를 세팅하고 SIE를 턴온(turn-on)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39도는 윈도우 표시 우선 레벨을 1개 아래로 내리기 위한 메뉴처리(WM9)의 상세 플로우챠트이다. 이것은 표시제어 레지스터 DCR-PR의 윈도우번호를 교체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스텝 C523b).
제40도 내지 제42도는 제17도의 교정신호 입력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제26도의 처리 B30이 기동되면, 제40도의 교정신호 입력시이트 아이콘(B30)이 처리된다. 즉 교정신호 입력아이콘을 리버스(reversed) 표시하고, 교정신호 입력시이트를 오픈한다(스텝 S320 내지 B330). 동시에 가령 PROOF-SHEET(제17도)가 최상위 우선 레벨을 갖도록 화면 우선 레벨을 변경하고 윈도우메뉴를 표시한다(스텝 B340).
제41도는 스텝(B330)에서의 교정신호 입력시이트 오픈처리에 대한 상세 플로우챠트이다. 본 시이트의 오픈처리와 다른 시이트의 오픈처리 사이의 차이는 윈도우 표시위치가 자동으로 매핑되고 스크린을 투명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제17도에 도시되었다. 즉 교정신호 입력시이트 오픈시에, 윈도우 표시위치가 문서 TEXT에 오우버랩(overlap)되므로 교정신호를 편집하고 싶은 곳에 직접 입력할 수가 있다. 만약 이 기능을 가지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윈도우메뉴를 조작하여 매핑하여야 하므로 수행력이 저하된다.
또한, 제41도의 PSWS및 PEWS는 제17도의 영역 P1 및 P2에 대응하고, 이러한 윈도우정보는 코드 인터페이스라인(d)을 통하여 외부컴퓨터(6)로부터 얻어진다.
제42도는 교정신호 입력시이트의 처리 D의 상세 플로우챠트이다. 교정신호 입력시이트는 교정신호 입력영역과 윈도우메뉴 영역으로 나뉘어져 스트록 개시좌표 Ps(스텝 D20)에 의하여 판정되고 대응처리가 기동된다(스텝 D30 내지 D50).
또한, 무효처리시스템(D50)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입력신호가 무시되고 제17도의 타이틀영역“교정신호입력 시이트”를 조작했을 경우이다. 스텝(D30)에서의 교정신호 입력처리는 오직 스트록만 입력하고 실제의 인식은 제30도의 스텝(C512) 또는 제44도의 후술하는 타임아웃처리로 행해진다. 제42도에서 스텝(D40)인 윈도우 처리메뉴는 제30도의 스텝(C50)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43도는 모든 스트록좌표를 WS스크린처리 E를 통하여 외부컴퓨터(6)로 전송하는 처리플로우챠트이다.
그러나 이 화면(WS-SHEET)이 최상위일 때는 윈도우메뉴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윈도우 메뉴 영역이 유효해져 윈도우조작이 가능하여진다(스텝E10 내지 E40).
제44도는 제25도의 윈도우메니저로부터 기동되는 타임아웃처리 F이다. 이 기동은 스토로크가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을 때(펜업일 때) 수초마다 정기적으로 행하여 진다. 타임아웃처리 F는, 나머지 스트로크가 (미처리 스트로크) 없으면 아무것도 하지 않고 종료한다(스텝 F10). 그러나 처리되지 않은 스트로크가 있으면, 그때의 인식모드에 의하여 대응처리가 실행된다(스텝F30 내지 F40). 또한 문자인식이나 교정신호 인식의 알고리즘은 이미 많은 문헌이나 특허에 공개되어 있어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디스플레이장치(5)의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 비디오 인터페이스 라인(e)이 생략된 제45도를 참조하여 외부컴퓨터(6)의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5도는 외부컴퓨터(6)의 입출력 소프트웨어중 키보드/마우스(KB/MS)에 대한 기본입출력시스템(BIOS)의 소프트웨어 구성도이다.
제45도의 기본적인 생각은 KB/MS 인터페이스신호(f)와 동일한 제2의 KB/MS인터페이스신호(d)를 설치하고, 양데이타는 합성회로 0에 의하여 시간열로 합성되고 합성버퍼(TB3)에 격납된다.
따라서, 외부컴퓨터(6)의 응용(AP)소프트웨어는 이 합성버퍼(TB3)를 거쳐 인터페이스가 된다(종래예는 버퍼(TB1)의 내용으로 참조되고 있었다). 블럭 M.N은 기본적으로 블럭 J, K의 에뮬레이션(emulation)기능이다.
이하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한다.
첫째, 디스플레이장치(5) 및 외부컴퓨터(6)로부터 정보가 합성되고 표시되기 때문에 1개의 스크린만으로 2개의 작업환경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로써 수행능력이 향상된다.
둘째, 디스플레이장치(5) 및 외부컴퓨터(6)가 코드인터페이스와 비디오인터페이스만에 의해 서로 접속되기 때문에, 스크린 합성회로(47)는 각종 OSs(오퍼레이팅 시스템)이나 응용소프트웨어에 의존하지 않고 2개의 화면이 동거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코드 인터페이스는 외부컴퓨터(6)의 제2KB/MS 인터페이스와 접속하고,종래의 제1KB/MS 인터페이스로부터의 데이타와 합성하므로, 외부컴퓨터의 응용소프트웨어에 의존하지 않고 디스플레이장치(5)의 데이타를 취급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외부컴퓨터(6)의 윈도우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5)에 적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5)의 내부스크린을 외부컴퓨터(6)에 자동일치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외부컴퓨터(6)의 스크린 조작을 직접 행할 수가 있다.
다섯째, 디스플레이장치(5)의 스크린제어 메뉴에 의하여 윈도우크기나 위치변경 및 합성모드변경, 스크린 표시 우선 레벨의 변경을 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디스플레이장치(5)의 비디오인터페이스는 수평/수직 자동스캔(scanner)회로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외부컴퓨터(6)나 다른 여러가지 외부장치를 디스플레이장치(5)에 쉽게 연결시킬 수 있다.
일곱째, 외부컴퓨터(6)의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5)의 프레임메모리(47)에 내장되므로 여러가지 방법으로 디스플레이장치(5)에서 비디오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여덟째, 디스플레이장치(5)는 IC 메모리카드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 카드에 여러가지 화일(files)을 격납시킬 수 있다.
아홉째, 디스플레이장치(5)는 내부의 필기 데이타를 코드인터페이스를 거쳐 외부적 장치로서의 외부컴퓨터(6)에 동시에 입력하기 때문에 실시간에서 외부컴퓨터(6)의 화면에 필적표시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컴퓨터(6)의 화면이 문자입력시이트의 화면과 대응될 수 있어 조작 잘못의 조기발견이나 입력경과의 표시에 의한 심리적 안정감등에 효과가 있다.
제46도는 디스플레이장치(5)와 외부컴퓨터(6)의 인터레이스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코드인터페이스 신호라인(d)은 외부컴퓨터(6)의 KM/MS 인터페이스단자(63)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45도에서는 2개의 코드인터페이스가 필요하였으나 제46도에서는 1개의 인터페이스만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 KB/MS 프로토콜에서 마우스데이타는 오직 상대좌표(좌표의 변화분)형태만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코드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에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접촉패드(1)는 스크린 절대좌표만을 입력할 수 있으므로 이 대응관계를 프로토콜로 정의할 필요가 있다. 대규모 숫자데이타의 입력을 위하여 스트록을 입력하는 것은 비실용적이다. 따라서 전자페이퍼 시스템에, 키보드/마우스(KB/MS) 유니트와 접촉패드(1) 사이를 절환하는 스위치(55)를 설치함으로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절환용 트리거는 디스플레이장치(5)의 스크린상에 메뉴를 설치함으로써 쉽게 실현시킬 수 있다.
제46도에서, 키보드/마우스측에 스위치(55)를 절환하면, 전자페이퍼라기 보다는 팜탑(palm-top) 컴퓨터라는 이미지로 창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상의 퍼스널컴퓨터에서도 비디오 인터페이스와 코드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동일한 개념을 적용할 수가 있다.
키보드/마우스 유니트에의 접속은 별도로 하고, 제46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도의 실시예와 일반적으로 유사하다.
대응부분들은 동일 참조숫자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1도 및 제12도와 같이 문자입력 시이트의 필적표시 데이타를 코드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컴퓨터(6)의 스크린에도 동시에 전송하여 표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필적데이타를 외부컴퓨터(6)에 전송하지 않아도 좋다.
제47도 내지 제51도는 추가 실시예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47도는 본 발명을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 시스템에 응용한 것으로, 대스크린 프로젝터는 비디오신호라인(e)에 접속되고, 프레젠테이션을 용이하게 진행하기 위해 프레젠테이션 스크린과 코멘트(comment) 스크린은 디스플레이장치(5)의 디스플레이(3)에 동시에 표시되게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화일조작메뉴의 스크린전송을 사용함으로써 프로젝터의 스크린상에 코멘트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사람이 회의하고 싶을 때는, 코드인터페이스 신호라인(d)을 제48도와 같이 멀티플렉서(MUX)를 사용하여 간단히 다인(多人) 수용의 프레젠테이션 시스템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멀티플렉서는 모임의 사회자의 제어에 의해 조작된다.
제49도는 두개의 외부장치, 예를들면 외부컴퓨터(6) 및 이미지 프로세서 등이 멀티플렉서를 통하여 하나의 전자페이퍼 디스플레이장치와 인터페이스되는 시스템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외부장치와 다른 장치 상의 변경이 용이하고, 동시에 이러한 외부장치를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5)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0도는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의 통신회의 단말기시스템의 응용예이다.
제50도의 통신회의 단말기 시스템은 본체와 카메라, 핸드 세트 및 본 발명에 따른 전자페이퍼 디스플레이장치로 이루어진다. 이 응용예에서도 마찬가지로 통신회의 단말기와 전자페이퍼의 공존이 가능하므로, 여러가지의 응용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 CAI(Computer aided instruction), 원격 데이타버스 억세스단자 및 원격진단 단말기(의료)를 제공할 수 있다.
제5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5, 5')를 비디오 인터페이스와 코드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한 구성도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비디오 인터페이스라인(e)의 신호는 제3도의 (c)라인의 신호와 동일하다.
제51도의 실시예있어서, 양 디스플레이장치의 비디오 데이타가 입력되므로, 전자펜(2)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5)에 입력된 필기데이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51')의 스크린상에 즉시 전송된다.
이에 의해 실시간에 복수의 사람이 하나의 화면에 입력할 수 있으므로 대화성이 우수하다. 그 외에 외부시스템으로서 퍼스널컴퓨터, 워드프로세서, 텔레비젼시스템 및 이미지 처리시스템 등의 비디오신호를 가진 시스템이면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필스 입출력장치의 화면에 외부장치를 합성하여 표시할 수 있고, 또한 필기 입출력 디스플레이장치에서 그 화면의 윈도우를 관리하므로 2개의 작업환경을 동일 화면상에 동시에 존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 및 필기입출력장치의 고기능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개인적 용도 뿐만 아니라 비지니스용까지 연결되어 확장성 및 접촉성을 개선한 필기 입출력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거나 이 필기입출력장치를 사용한 필기입력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9)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부가 상호 일체화 구조로 되어 있는 스크린과,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입력을 분석 및 인식하여 상기 스크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출력을 코드인터페이스로를 통하여 외부컴퓨터로 전송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기와, 외부컴퓨터로부터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상기 스크린과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 스크린 합성회로를 포함하며 ;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상에 적어도 2개의 표시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스크린 합성회로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발생된 출력을 상기 적어도 두 표시 영역중의 하나에 생성시키고, 외부컴퓨터로부터의 비디오 신호 입력을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생성시킴으로써, 상기 비디오신호 입력 및 제어기출력의 양자가 상기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합성회로를 단일의 반도체칩으로 형성시킨 디스플레이장치.
  3.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부가 상호 일체화 구조로 되어 있는 스크린과,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상기 입력을 분석 및 인식하여, 상기 스크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로의 출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출력은 코드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컴퓨터로 전송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기와, 비디오신호 입력과 상기 제어기의 출력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 외부컴퓨터로부터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비디오신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상기 스크린과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 스크린 합성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합성회로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발생된 출력을 상기 스크린상에 구획된 적어도 두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중의 어느 하나에 생성시키고 상기 외부컴퓨터로부터의 비디오 신호입력을 상기 스크린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생성시킴으로써, 상기 비디오신호 입력 및 제어기출력 양자를 상기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부상에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입력부의 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스크린상의 비디오 출력의 표시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윈도우를 발생시키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그 일부의 영역상에 상기 윈도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스크린상의 상기 윈도우 표시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접촉패드이고, 상기 입력은 상기 접촉패드의 물리적인 접촉에 대응한 전자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입력부(1)에 대한 입력을 저장하는 삭제가능한 메모리장치(5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가능한 메모리장치(50)는 상기 비디오입력을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추가의 입력을 수신하는 추가입력부(KB/MS)와, 상기 입력부(1)와 상기 추가입력부(KB/MS) 사이에서 제어기(41, 42, 43, 44, 45, 46, 51, 53)의 접속을 스위칭하는 수단(5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입력은 문자이고, 상기 제어기(41, 42, 42, 43, 44, 45, 46, 51, 53)는 문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기(41, 42, 43, 44, 45, 46, 51, 53)에 의하여 발생된 출력은 상기 스크린상에 문자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스크린(2, 3)과 출력을 발생하는 제어기(41, 42, 43, 44, 45, 51, 53)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5)에 있어서, 비디오신호를 수령하는 비디오입력단자(52)와, 상기 비디오 입력과 상기 제어기(41, 42, 43, 44, 45, 46, 51, 53)의 출력을 저장하는 메모리(48)와, 상기 메모리(48)에 저장된 상기 비디오입력 및 상기 제어기(41, 42, 43, ,44, 45, 46, 51, 53)의 출력을 조합하는 합성수단(47)을 포함하며, 상기 합성수단은 상기 스크린상에 상기 비디오 입력 및 상기 제어기 (41, 42, 43, 44, 45, 46, 51, 53)의 출력의 혼합 디스플레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단은 상기 혼합디스플레이에서 상기 비디오 입력과 상기 제어기의 출력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비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외부컴퓨터와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을 수형하는 입력부를 가지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부가 일체화 구조를 가지는 스크린과,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을 분석 인식하여, 상기 스크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한 표시를 위하여 상기 스크린을 향한 출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적어도 두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획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출력을 상기 외부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제어기와, 상기 외부컴퓨터로부터의 수직/수평 동기신호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입력을 수령하기 위한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상기 스크린 및 상기 제어기와 연결된 스크린 합성회로를 포함하며 ; 상기 합성회로는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상기 출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구획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디스플레이의 영역중 하나에 생성시키고 상기 외부컴퓨터로부터의 상기 비디오 신호를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생성시킴으로서,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 및 상기 제어기출력 양자가 상기 스크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비디오출력을 발생시키는 호스트컴퓨터와 ; 상기 비디오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스크린과 ; 또 하나의 비디오출력을 발생시키는 수단과 ; 상기 비디오출력과 상기 추가의 비디오출력을 결합하여, 혼성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 수단과, 상기 혼성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제2의 스크린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은 상기 비디오출력을 수령하는 프로젝터에의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7. 한쌍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작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를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부가 상호 일체화 구조로 되어 있는 스크린과,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을 분석·인식하여, 상기 스크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의 출력을 발생시키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컴퓨터로 출력을 전송하는 수단을 갖는 제어기와, 상기 외부컴퓨터로부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를 갖는 비디오 신호입력을 수령하기 위한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상기 스크린과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 스크린 합성회로를 포함하며 ;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적어도 2개의 표시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스크린 합성회로는,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구획된 상기 적어도 두개의 표시영역중 하나에 생성시키고, 상기 외부컴퓨터로부터의 상기 비디오신호 입력을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생성시킴으로써,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 및 상기 제어기 출력양자를 상기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18. 필기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필기 입출력장치에 있어서, 필기정보를 입력하는 접촉패드와, 상기 필기정보를 분석 및 인식하고 상기 필기정보에 의거하여 출력을 발생하는 제어기와, 상기 출력을 표시하는 스크린과, 외부컴퓨터로부터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를 갖는 비디오신호입력을 수령하기 위한 비디오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상기 스크린과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 스크린 합성회로를 포함하며 ;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크린상에 적어도 두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합성회로는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구획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중 하나에 생성시키고, 상기 비디오신호 입력을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생성시킴으로써 상기 비디오신호 입력 및 상기 제어기출력 양자가 상기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입출력 장치.
  19. 필기입출력장치와 외부장치의 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필드입출력 장치는, 필기정보를 입력하는 접촉패드와, 상기 필기정보를 분석 인식하고 필기정보에 의거하여 출력을 발생하는 제어기와, 상기 출력을 표시하는 스크린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를 갖는 비디오신호 입력을 수령하기 위한 비디오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상기 스크린과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 스크린 합성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합성회로는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구획된 적어도 두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중 하나에 생성시키고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을 스크린의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생성시킴으로써, 상기 비디오신호 입력 및 제어기출력 양자가 상기 스크린의디스플레이부상에 함께 표시되며, 상기 외부장치는 워크스테이션, 퍼스널컴퓨터,워드프로세서, 통신회의 단말기, 텔레비젼세트, 이미지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입출력장치와 외부장치의 조합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인터페이스에 다양한 외부장치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 및 수직 자동스캔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장치.
  21. 디스플레이부, 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적어도 두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획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제1입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입력과 외부컴퓨터로부터의 제2입력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되는 스크린 합성장치에 있어서, 비디오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인 상기 제2입력을 프레임메모리에 기록하는 비디오프로세서와 ; 상기 제어기에 의해 처리된 제1입력데이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프레임메모리에 저장하는 이미지 프로세서와 ;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저장된 제1입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의 적어도 두 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중 하나에 생성시키고,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저장된 제2입력을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생성시키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크린 합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인터페이스에 다양한 외부장치의 연결이 가능하록 하는 수평 및 수직 자동스캔장치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합성수단.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인터페이스에 다양한 외부장치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 및 수직 자동스캔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인터페이스에 다양한 외부장치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 및 수직 자동스캔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입출력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인터페이스에 다양한 외부장치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 및 수직 자동스캔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입출력장치와 외부장치의 조합시스템.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인터페이스에 다양한 외부장치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 및 수직 자동스캔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를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부와 상기 일체화 구조로 되어 있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을 분석 및 인식하여, 상기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로의 출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상에 적어도 두개의 표시영역을 구획하는 제어기와, 외부컴퓨터로부터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를 갖는 비디오 신호입력을 수령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상기 스크린과 상기 제어기에 연결된 스크린 합성회로를 포함하며 ; 상기 합성회로는, 상기 제어기의 출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의 상기 적어도 두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중 하나에 생성시키고, 상기 외부컴퓨터로부터의 비디오 신호입력을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생성시킴으로써, 상기 비디오신호 입력 및 상기 제어기출력 양자가 상기 스크린의 디스플레이부상에 함께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디스플레이부, 입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적어도 두개의 표시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의 제1입력에 기초하여 예정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입력과 외부컴퓨터로부터의 제2입력을 함께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스크린 합성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메모리와 ; 상기 제어기에 의해 처리된 제1입력의 데이타를 상기 프레임메모리내에 기록하는 이미지 프로세서와 ;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포함하는 비디오신호인 제2입력을 상기 프레임메모리내에 기록하는 비디오프로세서와 ;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메모리내에 저장된 상기 제1입력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의 상기 적어도 두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중 하나에 생성시키고, 상기 프레임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2입력을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생성시키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크린 합성장치.
  29. 필기입출력장치와 비디오신호를 생성하는 외부장치의 조합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필기입출력장치는, 필기정보를 입력하는 접촉패드와 ; 상기 필기정보를 분석 및 인식하여 상기 필기정보에 다른 출력을 발생하는 제어기와 ; 상기 제어기 출력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적어도 두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표시영역을 갖는 스크린과 ; 상기 스크린과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비디오신호입력을 수령하며,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스크린상에 구획된 상기 적어도 두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중 하나에 생성시키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비디오신호 입력을 나머지 디스플레이 영역에 생성시킴으로써, 상기 비디오신호 입력 및 상기 제어기출력 양자를 상기 스크린상에 함께 표시하는 스크린 합성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 입출력장치와 외부장치와 조합시스템.
KR1019900000551A 1989-01-18 1990-01-1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KR940003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7815 1989-01-18
JP1007815A JPH02188818A (ja) 1989-01-18 1989-01-18 手書き入出力装置並びにこの手書き入出力装置を用いた手書き入力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152A KR900012152A (ko) 1990-08-03
KR940003655B1 true KR940003655B1 (ko) 1994-04-25

Family

ID=1167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0551A KR940003655B1 (ko) 1989-01-18 1990-01-18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917475A (ko)
EP (1) EP0379336B1 (ko)
JP (1) JPH02188818A (ko)
KR (1) KR940003655B1 (ko)
DE (1) DE6901491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2526B2 (ja) 1990-01-19 1998-11-11 ソニー株式会社 個人用情報処理装置及び個人用情報処理方法
JP3329391B2 (ja) * 1991-01-22 2002-09-30 ソニー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方法
EP0511658B1 (en) * 1991-04-30 1997-09-03 Sony Corporation Character inputting apparatus
JP3190074B2 (ja) * 1991-09-11 2001-07-16 株式会社東芝 手書き入力装置
JPH05233623A (ja) * 1991-11-27 1993-09-1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ストローク構文入力装置
JPH05165598A (ja) * 1991-12-17 1993-07-02 Hitachi Ltd 表示制御ic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5329625A (en) * 1992-04-15 1994-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to service processor interface for a tablet computer
JP2585922B2 (ja) * 1992-05-29 1997-02-26 日立ソフトウエ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子黒板装置
JP2957368B2 (ja) * 1993-01-08 1999-10-04 日本電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切り替え装置
GB9313841D0 (en) * 1993-07-05 1993-08-18 Philips Electronics Uk Ltd An electro-optic device
DE4408738A1 (de) * 1994-03-15 1995-09-21 Sel Alcatel Ag Kommunikationssystem
JP3361956B2 (ja) * 1997-04-18 2003-01-07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認識処理装置
JPH11202998A (ja) * 1998-01-08 1999-07-30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情報処理装置
KR100401197B1 (ko) * 1998-11-20 2003-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인식 처리 속도가 향상된 문자인식 장치 및 그 방법
NO991707L (no) * 1999-04-12 2000-10-13 Steinar Pedersen HÕndcomputer og kommunikasjonsredskap med singulær operasjonstast
JP2001022891A (ja) * 1999-07-06 2001-01-26 Hitachi Ltd 認識装置および認識用記憶媒体
US6396523B1 (en) 1999-07-29 2002-05-28 Interlink Electronics, Inc. Home entertainment device remote control
CN2420686Y (zh) * 2000-03-10 2001-02-21 北京浩奥博科技有限公司 带有可翻转触控装置的手持式电子产品
US6765557B1 (en) 2000-04-10 2004-07-20 Interlink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having touch pad to screen mapping
JP2003022177A (ja) * 2000-06-07 2003-01-24 Canon Inc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6735640B1 (en) * 2000-08-16 2004-05-11 Kabushiki Kaisha Toshiba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puter unit and a peripheral unit
US20020034930A1 (en) * 2000-09-11 2002-03-21 Shunpei Yamazaki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usage thereof
JP4678803B2 (ja) * 2000-11-24 2011-04-27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デジタルペーパーの表示切換え機能付きテーブル
US20020054029A1 (en) * 2000-11-28 2002-05-09 Glancy John Thomas Interactive display system
US7730401B2 (en) * 2001-05-16 2010-06-01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screen with user interface enhancement
AU2002320579B2 (en) * 2001-07-18 2006-08-24 Amplify Educ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observation assessment
JP2003140997A (ja) * 2001-11-06 2003-05-16 Seiko Epson Corp データ通信制御システム、データ通信制御用サーバ、情報入力装置、データ通信制御用プログラム、入力装置制御用プログラム及び端末機器制御用プログラム
US6829140B2 (en) * 2001-12-17 2004-12-07 Toshiba America Information Services, Inc. Portable computer usable in laptop and tablet configurations
US6845005B2 (en) * 2001-12-17 2005-01-18 Toshiba America Information Systems, Inc. Portable computer usable in a laptop and tablet configurations
US6771494B2 (en) 2001-12-17 2004-08-03 Toshiba America Information Systems, Inc. Portable computer usable in laptop and tablet configurations
US6954905B2 (en) * 2002-01-28 2005-10-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ing transparency characteristic aids
US20030142149A1 (en) * 2002-01-28 2003-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ecifying audio output according to window graphical characteristics
US20030142132A1 (en) * 2002-01-28 2003-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ly adjusting the translucency of windows in response to a scroll wheel rotation
US20030142143A1 (en) * 2002-01-28 2003-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arying heights of application images to convey application status
US20030142141A1 (en) * 2002-01-28 2003-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ing specified resource usage
US7146573B2 (en) * 2002-01-28 2006-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window representation adjustment
US20030142133A1 (en) * 2002-01-28 2003-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justing transparency of windows to reflect recent use
US20030142140A1 (en) * 2002-01-28 2003-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justing the tint of a translucent window to convey status
US20030142137A1 (en) * 2002-01-28 2003-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ly adjusting the order of windows in response to a scroll wheel rotation
US7129934B2 (en) * 2003-01-31 2006-10-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laborative markup projection system
KR20060005355A (ko) * 2003-04-04 2006-01-1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자 종이-기반 스크린의사용
JP2005115462A (ja) * 2003-10-03 2005-04-28 Canon Inc 情報システム
US7480484B2 (en) * 2004-03-30 2009-01-20 Omnivision Technologies, Inc Multi-video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20140071818A1 (en) 2004-07-16 2014-03-13 Virginia Innovation Sciences, Inc.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communication
US7957733B2 (en) 2004-07-16 2011-06-07 Sellerbid,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communications with different user terminals
US7899492B2 (en) 2004-07-16 2011-03-01 Sellerbid,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multimedia information from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N1782983A (zh) * 2004-12-01 2006-06-07 南京易思克网络安全技术有限责任公司 计算显示综合的装置及方法
US9477775B2 (en) * 2005-06-03 2016-10-25 Nokia Technologies Oy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view location during rendering of a page
JP2007072578A (ja) * 2005-09-05 2007-03-22 Denso Corp 入力装置
JP2007286780A (ja) * 2006-04-14 2007-11-01 Fuji Xerox Co Ltd 電子会議システム、電子会議支援プログラム及び方法、電子会議制御装置
KR101269375B1 (ko) * 2006-05-24 2013-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이미지 표시방법
KR20070113025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327581B1 (ko) * 2006-05-24 2013-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20070113022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TWI328185B (en) 2006-04-19 2010-08-01 Lg Electronics Inc Touch screen device for potab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and selecting menus thereon
US20090213086A1 (en) * 2006-04-19 2009-08-27 Ji Suk Chae Touch scree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070113018A (ko) * 2006-05-24 200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실행방법
TW200805131A (en) * 2006-05-24 2008-01-16 Lg Electronics Inc Touch screen device and method of selecting files thereon
JPWO2008084696A1 (ja) * 2006-12-27 2010-04-30 京セラ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US8126965B2 (en) * 2007-02-28 2012-02-28 Fuji Xerox Co., Ltd. Paper based meeting service management tool
US20080235634A1 (en) * 2007-03-22 2008-09-25 Arinc Incorporated Electronic paper device for use by aircraft pilots and crew
US20080235626A1 (en) * 2007-03-22 2008-09-25 Arinc Incorporated Electronic paper device for use by aircraft and railway passengers
JP2009110092A (ja) * 2007-10-26 2009-05-21 Alps Electric Co Ltd 入力処理装置
JP2009116529A (ja) * 2007-11-05 2009-05-28 Alps Electric Co Ltd 入力処理装置
US20090177996A1 (en) * 2008-01-09 2009-07-09 Hunt Dorian J Method and system for rendering and delivering network content
US8436844B2 (en) * 2009-06-18 2013-05-07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Bi-stable display fail safes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TWI418333B (zh) * 2010-05-07 2013-12-11 Prime View Int Co Ltd 照護系統
US8830258B2 (en) * 2011-03-07 2014-09-09 Ricoh Co., Ltd Generating strokes in real-time on an electronic paper display
JP6051521B2 (ja) * 2011-12-27 2016-12-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合成システム
KR20130080515A (ko) * 2012-01-05 2013-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문자 편집 방법.
KR20130088281A (ko) * 2012-01-31 2013-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업그레이드장치, 그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40008987A (ko) * 2012-07-13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
JP6032982B2 (ja) * 2012-07-13 2016-11-30 シャープ株式会社 入力支援装置、入力支援方法、入力支援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40110356A (ko) * 2013-03-07 2014-09-17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275903A1 (en) * 2013-03-14 2014-09-18 Lifescan Scotland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quick-access physiological measurement history
EP3188017A1 (en) * 2015-12-29 2017-07-05 Harmonic Inc. Scheduler of processes having timed predictions of computing loads
JP7225017B2 (ja) * 2019-04-19 202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文字入力のための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10632C2 (de) * 1975-03-12 1982-09-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8000 Muenchen Einrichtung zur Abbildung und Steuerung
US4357624A (en) * 1979-05-15 1982-11-02 Combined Logic Company Interactive video production system
US4639720A (en) * 1981-01-12 1987-01-27 Harris Corporation Electronic sketch pad
DE3586927T2 (de) * 1984-04-20 1993-06-03 Hitachi Ltd Flaches bildschirmanzeigesystem mit integriertem eingabegeraet.
US4794634A (en) * 1985-12-24 1988-12-27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Position-sensitive photodetector and light transmissive tablet and light-emitting pen
US4855813A (en) * 1987-12-11 1989-08-08 Russell David P Television image processing system having capture, merge and display capability
US5007085A (en) * 1988-10-28 1991-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tely sensed personal stylus
US5027212A (en) * 1989-12-06 1991-06-25 Videologic Limited Computer based video/graphics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152A (ko) 1990-08-03
EP0379336B1 (en) 1994-12-14
EP0379336A3 (en) 1990-10-17
EP0379336A2 (en) 1990-07-25
US6476796B1 (en) 2002-11-05
JPH02188818A (ja) 1990-07-24
US5917475A (en) 1999-06-29
DE69014916D1 (de) 1995-01-26
DE69014916T2 (de) 199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65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장치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1954305B2 (en) Operation methods of a smart interactive tablet, storage medium and related equipment
US5157384A (en) Advanced user interface
EP0440812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handwritten input information
US7477231B2 (en) Information display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inpu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02763073B (zh) 具有交互式弹出视图的装置和方法
US5252951A (en)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gesture recognition in a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56385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overlay image
US71141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application displayed in an inactive window
US200200280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writing input on a pen based palmtop computing device
US20040123001A1 (en) Dual pointing device used to control a cursor having absolute and relative pointing devices
KR20130113622A (ko)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US20170344248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3388451B2 (ja) 手書き入力装置
JP2000099223A (ja) 手書き文字入力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データ処理装置及び記録媒体
JPH07210700A (ja) 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方式
JP3240994B2 (ja) 手書き入出力装置並びにこの手書き入出力装置を用いた手書き入力システム
JPS62156721A (ja) 表示制御装置
JPH07325696A (ja) マルチウィンドウ処理方法
JP5123792B2 (ja) 電子ペーパー端末装置、電子ペーパー端末装置の文字入力方法、及び電子ペーパー端末装置の文字入力プログラム
JPH10320107A (ja) 手書き文字認識機能を有する手書き文字入力装置
JPH07121660A (ja) 手書き文字認識装置
JPH09152951A (ja) 手書き入力データ転送方法及びデータ転送システム
JPH11259201A (ja) 日本語入力用の仮想文字板
JP2000003242A (ja) データ入力装置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