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260B1 - 판재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판재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260B1
KR940002260B1 KR1019880004055A KR880004055A KR940002260B1 KR 940002260 B1 KR940002260 B1 KR 940002260B1 KR 1019880004055 A KR1019880004055 A KR 1019880004055A KR 880004055 A KR880004055 A KR 880004055A KR 940002260 B1 KR940002260 B1 KR 940002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electrode plate
plate
support frame
ha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799A (ko
Inventor
다께오 기무라
요시아쯔 세끼
미쯔루 오오고다
마꼬도 호사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 다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8710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5538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50711A external-priority patent/JP2550609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 다께시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6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6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 C25D17/28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with means for moving the objects individually through the apparatus during treatmen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판재처리장치
제1도는 일부의 세부사항이 생략된, 본 발명에 의한 한 실시예의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에서의 각 부품만을 표시한 정면도이다.
제3도는 현수부재와 장치의 이동을 위한 구동수단을 표시하는 부분정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에 표시된 장치의 행거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제5a도는 행거를 표시하는 부분단면 정면도이다.
제5b도는 행거의 고리의 부분사시도이다.
제6도는 행거 구조물을 표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제7도는 행거의 배열을 표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제8도와 제9도는 리니어모터를 사용하는 행거 이송수단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0도∼제12도는 고정수단이 설치된 제1도의 장치의 부분사시도이다.
제13도는 제1고정수단(고정아암)을 표시하는 부분정면도이다.
제14도는 제 2고정수단(지지아암)을 표시하는 부분정면도이다.
제15도는 고정봉 홀더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표시한 측면도이다.
제16도는 고정봉을 부분적으로 표시한 평면도이다.
제17도는 제2고정수단의 이동을 부분적으로 표시한 정면도이다.
제18도는 고정봉에 의해 함께 모여진 판재의 가장자리가 평명하케 된 상대를 표시하는 부분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조물 30 : 행거지지프레임
41, 42 : 행거 53, 54 : 구동수단
본 발명은 복수의 판재를 매달고 있는 상태에서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다수의 전극판을 전해조로부터 꺼내고, 각종 처리가 실시되는 작업부로 이송하며, 다시 전해조에 침전시키기에 적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 작업부로 각종 물건을 매달고 있는 상태로 이송하는 작업에는 일반적으로 크레인과 호이스트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금속의 전해추출이나 전해정련에 있어서의 전극판을 꺼내고 이송하는 작업에 대해서는, 다음의 기재하는 바와 같은 여러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그레인이나 호스트를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명세서, 전해추출이라는 단어는 전해정련의 의미를 포함하여 이용된다. 금속의 전해추출에 있어서, 양극과 음극은 전해조 내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한 간격으로 교대로 배치된다.
이들 전극은, 작업의 전 또는 후에, 전해조로부터 꺼내서, 각종의 처리작업, 보수, 교환, 재생 등이 실시된다. 예를 들면, 아연의 전해추출에서, 음극을 전해조로부터 꺼낸 후, 전착된 아연을 추출하기 위해서 제거작업부로 이송하며, 그 후, 다시 전해조에 침전시킨다. 양극은 수회의 작업후, 필요에 따라 보수작업을 실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극을 꺼내고 이송시키기 위하여 크레인이나 호이스트가 사용되어 왔다. 복수의 전극을 동시에 꺼내고, 또, 교환하거나 각종 처리작업을 손쉽게 하기 위하여 행거수단을 사용하였으며, 상기한 행거수단에는 전극을 집어 올리기 위한 고리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행거수단은 고리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고리와 고리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는 없었다.
그러므로, 전극은 조밀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제거작업부로 이송된다. 전극판 사이의 이러한 작은 공간에 의해 전착된 금속의 제거작업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전극판 사이의 공간을 필요에 따라 넓힐 수 있으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종래의 전극을 꺼내는 수단은 단지 한종류의 전극만을 매달았으며, 절연수단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종래의 꺼내는 수단을 사용하여 다른 종류의 전극을 동시에 꺼내는 것은, 단락이 발생되기 때문에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극을 걸 수 있고, 또 제거할 수 있는 복수의 행거가 설치된 행거 구조물을 설치한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체로, 본 발명은, 복수의 판재를 매달고, 이송하고, 서로 떨어지도록 하는 작업을 하기 위하여, 구동수단이 설치된 이동프레임, 프레임에 설치되며 복수의 판재를 매달고 상하작동하는 행거 구조물로 구성된 장치를 제공하게 되며, 상기한 행거 구조물은 행거지지프레임, 행거지지프레임에서 지지되며 행거지지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행거, 행거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및 각각의 행거를 요동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며 판재를 집어내는 고리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행거는 행거지지프레임에 설치된 레일에서 이동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행거는 랭크에 의해 일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된 행거는 행거 구동장치에 의해 신축작동 또는 이동할 수 있고, 외측행거와 내측행거로 구별되어 있으며, 외측행거는 양쪽의 끝에 다리가 있기 때문에, 내측행거를 둘러쌀 수 있으며, 따라서, 내측행거는 외측행거에 의해 설정된 공간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는, 판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 이상의 고정아암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아암은 그 기단부(基端音)가 행거지지프레임의 밑면에서 요동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될 때, 판재의 두께방향을 따라 개폐작동하고, 판재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으며, 체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는, 판재의 평판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지지아암과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아암은 그 기단부가 한 쪽의 행거지지프레임의 비임에 요동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다른 쪽 끝은 분리가능한 상태로 고정봉을 지지하고 있다. 구동장치에 의해 지지아암이 판재를 향하여 회전하면, 판재는 고정아암에 의해 함께 이동되며, 고정아암은 고정봉이 판재군(群)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도록한다.
다음부터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간단하게 판재처리장치라고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판재처리장치는 이동가능한 프레임과 복수 판재를 매달 수 있는 행거 구조물로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은 가로방향으로 길이가 긴 문 형상이며. 이동방향을 따라 약간의 폭이 있다.
프레임의 이동은 어떤 장치에 의해서도 실시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전기에 의해 구동된다하더라도,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프레임은 공장건물의 천정에 설치된 레일에 매달리는 상태로 설치되거나, 또는 공장건물의 바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판재처리장치가 전극판을 취급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은 전해조를 가로지르게 된다. 프레임에는 행거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다.
행거 구조물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행거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작동이 가능하다.
행거 구조물은 다수의 행거를 이동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예를 들면, 행거 구조물에는, 행거가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안내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또는, 행거를 레일에 매달 수도 있다. 복수의 행거가 링크에 의해 일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은, 연결되어 있는 행거가 행거지프레임의 한 쪽 끝 또는 다른 쪽 끝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연결된 행거 전체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으며, 신장 또는 수축할 수 있다.
이들 장치는, 레일을 따라 행거를 견인하며 별도로 작동되는 2개의 체인기구나, 또는 행거와 행거지지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리니어모터(linear mot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각 행거에는 판재를 걸 수 있는 고리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고리수단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행거의 양쪽 단부에서 판재의 돌출부를 잡고 매달 수 있는 한 쌍의 고리이면 충분하다. 두 종류의 중복이 가능하며 교대로 배치되는 행거를 설치하여, 판재를 서로 조밀한 간격으로 집어올릴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즉, 외측행거와 내측행거를 설치한다는 것이다.
외측행거의 양쪽 단부에는 다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문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외측행거는 두 다리 사이에서 내측행거를 에워쌀 수 있다. 따라서, 내측행거는 문 형상의 외측행거에 의해 설정된 공간을 통과할 수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전해조에 사용되는 전극판의 처리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외측행거에는 음극판을, 내측행거에는 양극판을(또는 역으로) 걸도록 하면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판재처리장치에, 복수의 판재를 함께 취급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 이상의 고정아암과 고정아암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다.
각 고정아암의 기단부는, 안내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고리의 안쪽 면이 행거로 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된 행거지지프레임의 비임의 밑면에서 요동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고정아암의 다른쪽 끝은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판재의 두께방향을 따라 요동가능하다. 이것은, 각 쌍의 고정아암은, 행거의 작동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정수단은, 상기한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매달려 있는 판재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으며, 체결할 수 있다.
이 고정수단은,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장치가 바람직하지만, 공기압을 이용한 실린더를 포함하는 어떠한 수단에 의해서도 구동시킬 수 있다. 고정아암은 행거가 작동하는 시기에 따라 행거지지프레임 아래에서 대기하며, 행거의 작동에 의해 판재가 함께 이동하면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고정작동이 시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판재처리장치에는, 함께 이동되는 복수의 판재를 고정봉을 이용하여 군으로 형성하는 기구도 함께 설치된다. 이 기구는, 고정아암의 방향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한쌍 이상의 지지아암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고정아암과 인접하여 판재의 평면방향을 따른다.
각 지지아암의 기단부는 행거의 작동범위의 밖에서 행거지지프레임에 요동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그 단부에서는 고정봉을 분리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한 쌍의 지지아암은 행거지지프레임 아래에서 옆으로 개방된 상대로 대기하고 있다. 복수의 판재가 고정아암에 의해 함께 이동한 후, 지지아암이 상기한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판재군을 향하여 이동하여, 고정봉이 판재의 가장자리를 압축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복수의 판재의 가장자리가 동일평면에 있게 되고, 판재군으로 형성된다.
그후, 지지아암은 고정봉을 해제하고,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에 의한 행거 구조물과 고정수단이 설치된 판재처리장치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해조에 있어서의 전극판의 처리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프레임은 전해조를 가로질러서 이동하며, 미리 설정된 전해조가 있는 곳에서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이 때, 양극판과 음극판은 스페이서나 고정봉에 의해 지지된 프레임에 의해 그 사이에서 좁은 공간을 유지한채 교대로 배치되며 전해조에 침전된다.
물론, 각 양극판과 음극판의 가로대의 한쪽 끝은 각각의 모선(busbar)과 접촉하고 있으며, 다른쪽 끝은 절연되어 있다.
행거 구조물은, 외측행거의 고리와 인접한 내측행거의 고리 사이의 공간이, 연결된 행거가 최대로 수축된 상태에서 앙극판과 음극판 사이의 공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설계된다. 그후, 행거지지프레임이 하강하고, 행거의 고리가 전극판의 돌출부를 잡으며, 행거 구조물은 전극판과 함께 상승한다. 지지아암은 고정봉을 지지하기위하여 하강하며, 전극판의 군으로부터 고정봉을 분리시킨 후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프레임의 이동전, 이동하는 동안, 또는 이동 후에, 전극판은 행거의 이동에 의해 넓은 간격으로 밀어진다.
이 상태에서, 전극판에 대해서 전착된 금속의 제거, 보수 등과 같은 각종 처리가 실시된다.
그 후, 행거는 대략 중앙의 위치로 함께 이동된다. 전극판이 함께 체결되어 고정봉에 의해 전극판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고정아암과 지지아암이 작동된 후, 행거지지프레임은 하강하여 전극판을 전해조에 침전시킨다.
그 후, 행거지지프레임이 상승하며, 필요에 따라서, 연결된 행거가 그 스스로, 또는 프레임과 함께 동일전해조의 다른 부분이나 또는 다른 전해조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차례대로 조밀하게 배치된 복수의 판재를 들어올릴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하강시킬 수 있고, 또, 다시 함께 모을 수 있다. 전극판의 처리가 쉽고, 또,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일정하게 배치된 전극판을 분리된 전해조에 공급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극의 내부 간격을 필요에따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치는 조밀한 간격으로 배치된 점극판을 정확하게 집어올릴 수 있으며, 또, 전해조에서의 정확한 위치에 전극판을 침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극판을 매우 조밀하게 배치하여 전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전류를 차단하는 일없이, 양극판과 음극판을 동시에 들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양극판과 음극판에 대한 처리와 보수 등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즉, 양극판과 음극판에 대한 처리가, 장치의 1회 왕복작동이 진행되는 동안 동시에 실시될수도 있다. 그러므로, 작동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전해조에 대한 전극의 침전, 꺼내는 작업, 하강작동, 전착된 금속의 제거, 연마, 표면처리 등을 위한 전극판의 이송작동을 연속적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전해정련의 전체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적용은 금속의 전해정련에 있어서의 전극판의 처리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밀하게 배치된 복수의 판재를 동시에 들어올리거나 또는 다른 처리작업을 위하여 간격을 벌리거나 다른 작업부로의 이동 등과 같은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극판 처리장치는 비임(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에 의해 구조물에 고정된 구동기구에 의해 구동되며, 직사각형 전해조(1), (1')를 가로질러 이동하는 구조물(10)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은 가로방향으로는 길이가 길며, 이송방향으로 약간의 폭이 있는 문형상의 구조로 되어 있다. 두 쌍의 현수부재(12a), (12b)가 비임(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에 고정되어 있다. 구조물은, 공장건물의 천정에 설치된 한 쌍의 레일(13a), (13b)에 현수부재를 이용하여 이동가능한 상태로 매달려 있다. 현수부재(12a), (12b)에는, 레일과 접촉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지지로울러(14a), (14b) 가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구조물은 전해조 위에서 레일(13a), (13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조물의 가로방향의 길이는 전해조의 길이보다 길게 설계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전해조를 가로지를 수 있는 길이로 설계할 수 있다. 각 레일(13a), (13b)의 하부 표면에는 팩(21)이 설치되어 있다. 레일의 랙과 치합하는 피니언(22)은, 비임(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에 고정된 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되는 회전축(23)에 고정되어 있다(제1도, 제3도). 회전축(23)은, 고정수단(24)에 의해 비임(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에 고정된 모터(18a)에 의해 구동된다. 랙과 피니언은 레일의 측면에서 반대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장치에서, 현수부재와 구동수단은 분리되어 설치되며, 이동하는 동안 구름이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구조물을 극히 정화한 위치에세 정지시킬 수 있다. 즉, 랙과 피니언은 미끄러짐을 방지하므로, 지지로울러(14a), (14b)가 굴러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조물을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정화하게 정지시키기 위하여, 구동수단과 이동수단으로 뒤에 설명하는 리니어모터(linear motor)를 사용할수 있다. 구조물은, 천정에 설치된 레일에 매다는 상태로 설치하는 대신에 바닥에 설치된 레일 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구조물의 이동속도와 정지위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기를 적당한 위치에 설치하며, 감지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의 회전이 제어되고, 다이내믹브레이크가 작동된다. 행거 구조물(40)은, 복수의 행거(41), (42)를 지지하는 행거지지프레임(30)으로 구성되어 있다(제1도, 제4도). 행거지지프레임(30)은, 구조물(10)의 측면 프레임에 고정된 한 쌍의 스크류축(15a), (15b)에 의해 지지되는 두 쌍의 평행비임부재(30a, 30a), (30b, 30b)로 구성되는 장방형 프레임이다. 즉, 행거지지프레임(30)은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각 측면 비임의 중앙에 암나사부재(31a), (31b)가 설치되어 있다. 암나사부재는 스크류축(15a), (15b)과 치압하고 있으므로, 행거지지프레임(30)은 수크류축(15a), (15b)의 회전에 의해 상하 작동할 수 있다. 스크류축(15a), (15b)의 상단부는 베벨기어를 매개체로 하여 비임(도면에서의 표시는 생략)에 고정된 회전축(17)과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17)은 구동모터(18b)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행거지지프레임(30)의 4군데의 모서리에는 안내돌기(33a), (33b)를 설치하여, 구조물의 각 모서리의 지주(pillar)와 접촉하도록 하였으므로, 행거기지프레임(30)은 스크류축(15a), (15b)의 회전에 의해 상하작동되며, 모서리의 지주에 의해 인쇄된다. 2개의 스크류축(15a), (15b)이 동조하여 회전하는 것은 물론이다. 물론, 스크류축 대신에 현수로프나 공기압을 이용한 실린더 등을 상하작동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스크류축을 사용하는 것이 정지위치, 이동속도, 흔들림 등을 제어하기 쉬운점에서 많은 장점이 있다. 상하작동기구로는, 행거지지프레임을 몇 단계의 미리 설정된 높이에서 정지시키는 기구를 적당하게 설치한다. 그러한 기구는, 정지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해서 구동모터(18)로 전송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가 정지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행거지지프레임(30)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안내레일(34a), (34b)이 설치되어 있다(제5a도, 제6도). 전극판을 매달게 되는 행거(41), (42)는 미끄럼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안내레일(34a), (34b)에 설치된다. 행거(41), (42)는 안내레일(34a), (34b)을 따라 이동하며, 가로방향을 따라 서로 밀어지거나 또는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5a와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외측행거(41)와 내측행거(42)가 있으며, 예를들면 외측행거는 음극판을, 내측행거는 양극판을 각각 매달고 있게 된다. 외측행거(41)의 양쪽 단부에는 다리(41a), (41b)가 있으며, 이 다리(41a), (41b)는 미끄럼판(slidingshoe)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측행거(42)의 양쪽 단부는 그 자체가 미끄럼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외측행거는 내측행거에 결쳐지는 형상으로 된다. 안내레일(34a), (34b)은 각각 외측행거와 내측행거에 대응하도록 비임(30c)에 평행으로 설치된다. 절연부재(35)가 안내레일(34a), (34b)과 행거지지비임(30c) 사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양극판과 음극판을 단락됨이 없이 동시에 들어올릴 수 있다.
제5a도, 제5b도 및 제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 행거(41), (42)는 고리(61a, 61b), (62a, 62b)가 설치되어 있다. 고리는 U자 형상의 현수부재이며, 각 행거에는 한 쌍의 고리가 있다. 고리의 하단부는 연장되어있기 때문에, 전극판의 가로대의 돌출부(80)를 잡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리에는 제5b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경사기구(70)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기구(70)는 예를 들어, 행거(41), (42)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연장된 회전가능한 다각형 로드(62a, 63b), (64a, 64b)와 고리의 싱부에서 상기한 다각형 로드(63a, 63b), (64a, 64b)가 미끄럼작동이 가능한 상대로 연결되는 구멍으로 구성된다.
제5a도와 제5b도에 표시된 실시예는 오각형 로드와 오각형 구멍이다. 한 쌍의 회전가능한 로드가 각 행거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로드는 동조하여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한 쌍의 고리는 서로 대향하여 경사지며, 즉, 각 쌍의 고리의 하단부는 개폐작동 한다. 로드가 절연재로 만들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회전가능한 로드는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베벨기어를 매개체로 하여 행거지지프레임의 끝에 설치된 실린더기구(65)에 의해서 회전된다. 회전가능한 로드(63A)등은 반드시 다각형일 필요는 없으며, 타원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는, 로드를, 고리에 형성된 키(KEY)가 수용되는 홈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할수도 있다. 회전을 발생시킬 수 있으면 어떤 기구도 사용할 수 있다. 경사기구는 각 행거에 설치되는 소형액츄에이터(actuator)로 할 수도 있다. 상기한 회전가능한 로드는 간단하고 편리하지만, 고리의 경사도를 제어하는 기구가 설치되는 것은 물론이며, 이 기구도 역시 상기한 바와 같이 감지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행거에는, 행거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50)가 설치된다. 그 한 예가, 제6도와 제7도에 표시된 바와 같은 체인기구이다. 행거지지프레임(30)의 윗면에는 두 쌍의 무단체인(51a, 51b),(52a, 52b)이 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스프로킷휘일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제6도), 스프로킷회일은 구동수단(53), (54)에 의해세 구동된다. 한 쌍의 체인은 다른 상의 체인과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작동된다. 외측행거(41a), (42b), (42c)…는 연결기구(43a), (43b), (43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제 7도) 내측행거(42a), (41b), (41c)도 역시 연결기구(44a), (44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끝에 있는 외측행거는 내측행거와 동시에 작동하는 견인행거(45)이다. 즉 끝에 있는 외측행거(45)에는 내측행거에 설치된 고리와 동일한 고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링크에 의해 민접한 내측행거와 연결되어 있고, 또, 슬로트가 형성된 연결아암(46)에 의해 인접한 외측행거와 연결된다. 슬로트의 길이는 링크 1개의 길이와 동일하며, 슬로트는 돌기(47)와 결합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외측행거의 2개의 연결기구(43a), (43b)와 내측행거의 2개의 연결기구(44a), (44b)가 형성되어 있으며, (43a), (43b)와 (44a), (44b)의 연결기구는 끝에 있는 2개의 견인행거에 의해 서로연결되어 있다. 견인행거는 체인(51a), (51b)와 (52a), (52b)에 각각 연결된다. 체인(51a, 51b), (52a, 52b)이끝에 있는 견인행거(45)를 외측으로, 즉, 행거지지프레임(30)의 양쪽 단부를 향하여 끌어당기면, 연결되어있는 행거(41), (42)는, 인접한 행거가 한 쌍의 링크의 길이만큼 떨어질때까지 서로의 간격이 떨어진다. 한편, 체인(51a, 51b), (52a, 52b)이 끝에 있는 견인행거를 행거지지프레임(30)의 중앙부를 향하여 끌어당기면, 연결되어 있는 행거(41), (42)는 함께이동한다. 이 경우에, 외측행거와 인접한 내측행거 사이의 거리는, 양극판과 인접한 음극판 사이의 공간과 동일하도록 설계되며, 구동기구(53), (54)에 의해서 구동된다. 또, 함께 이동한 행거는 일괄적으로 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해조로부터 전극판을 꺼내고자 하는 경우에, 구조물(10)은 미리 설정된 전해조가 있는 곳에 있다.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랭거가 힘께 이동한 행거지지프레임(30)이 하강하여 행거의 고리가 전극판의 돌출부에 도달하게 된다. 전극판의 돌출부를 잡기 위해서, 회전가능한 로드(63a, 64b)가 회전하여 행거의 고리가 경사지도록 한다. 그 후, 행거지지프레임(30)이 상승하고, 구조물(10)과 함께 전극판처리부로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하는 동안, 체인기구(51), (52)가 직동하여 복수의 행거(41), (42)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떨어지도록 한다. 전극판 처리부에서는, 양극판의 보수나 세척,음극판에 전착된 금속의 제거, 음극판의 연마등과 같은 각종 처리작업이 실시된다. 이러한 처리작업이 완료된 후, 구조물(10)은 동일한 전해조에서의 다른 위치나 또는 다른 전해조로 이동하며, 그동안 체인기구(51), (52)가 작동하여 행거(41), (42)가 함께 이동하도록 한다. 구조물(10)이 미리 설정되었던 전해조에 도착하면, 행거지지프레임(30)이 하강하여 전극판을 전해조 대에 배치시키며 해제시킨다. 행거지지프레임(30)이 다시 상승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전해조로 이동한다. 제10도∼제18도에는, 전극판 고정장치가 설치된 전해조 처리장치가 표시되어 있다. 구조물(10), 구조물(10)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20), 행거구고물(40), 행거(41), (42)를 작동시키는 구동기구(50), 고리등은 전체척으로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두 쌍의 고정아암(110), (111)과 한 쌍의 지지아암(120)이 행거지지프레임(30)의 대략 중앙에서의 밑면에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아암(110), (111)이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행거지지프레임의 프레임의 밑면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아암(110a), (111a)의 기단부가 요동가능한 상태로 크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회전축(110c)나 또는 (111c)의 연결로드를 매개체로 하여 행거지지프레임(30)에 고정된 실린더장치(130)에 연결되어 있다. 고정아암(110b)(111b)의 다른 쪽 끝은 하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전극판(100)을 향하여 굴곡되어 있다. 이들 각 쌍의 고정아암은 각 비임에서의 동일 위치에서 대칭상태로 배치되며, 행거(41), (42)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외측행거의 고리(61a, 61b)와 내측행거의 고리(62a), (62b)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암에서 설명한 두 쌍의 고정아암(110), (111)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행거(41), (42)가 전극판(100)을 이송하면서 이동하는 동안, 대기상태에 있는 행거지기프레임(30)의 비임의 밑면까지 상승한다. 행거(41), (42)가행거지지프레임(30)의 중앙을 향하여 이동되고 함께 모이면, 제11도와 제1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장치(130)에 의해 전극판(100)을 향하여 하강한다. 고정아암은 전극판을 고정시키고 체결한다. 양극판과 음극판은 행거지지프레임(30)에 의해 절연상태로 고정되는 것은 물론이다. 암에서 설명한 고정아암(110), (111)에 대한 직각방향으로, 제14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아암(120), (121)이 행거지지프레임(30)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아암(110)(111)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지지아암(120a, 121a)의 기단부가 행거지지프레임(30)의 대향하는 각 측면 비임에 요동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지지아암(120a), (121a)은 핀(120c)을 매개체로 하여 행거지지프레임(30)의 비임의 밑면에 고정된 실린더장치(140)에 의해구동된다. 지지아암(120a), (121a)의 다른 쪽 끝은 전극판의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고정봉 홀더(150)가 각각 실치되어 있다. 지지아암(120), (121)의 끝은 지지아암(120), (121)이 최대로 하강했을때, 전극판(100)의 측면 가장자리를 향하고 있다.
제1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인 고정봉 홀더(150)는 요동가능한 한 쌍의 레버(150a), 지지축(150e), 레버(150a)의 말단부가 개방되도록 하는 단성수단(150 a), 단성수단(150b)의 단성력을 극복하여 레버(150a)의 말단부를 닫는 압압부재(150c) 및 기어기구(150d)를 이용하여 압압부재(150c)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150f)로 구성된다. 고정수단(레버)(150a)은 분리가능한 상태로 고정봉(150)에 지지된다. 고정봉은 제16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극판의 군(群)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전극판 군을 지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끝에 클로우(160a)가 있는 로드 형상의 부재이다. 또, 각 쌍의 지지아암(120), (121)은 행거(41), (42)의 이동경로의 외측에 배치된다.
고정봉을 각각 지지하고 있는 지지아암(120), (121)은, 제10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행거(41), (42)가 전극판(100)을 이송하며 이동하는 동안에는, 대기상태에서 측면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행거(41), (42)가 행거지지프레임(30)을 향하여 이동하며 전극판을 함께 모으고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극판을 체결하면,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지지아암(120), (121)이 전극판군을 향하여 하강하며, 고정봉(160)은 전극판(100)군의 가장자리를 평평하게 하고, 전극판을 고정한다. 고정봉이 전극판군을 고정시킨 후, 지지아암(120), (121)은 고정봉을 해제시키고, 최초의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군(群)으로 형성되어 고정된 전극판은 행거에 매달린 상태로, 필요한 처리가 실시되는 작업부로 이송된다. 고정봉의 해제작동은 앞에서 설명한 순서의 역순으로 실시된다.
지지아암이 대기위치로부터 하강하여 고정봉(160)을 잡고, 고정봉(160)을 전극판으로 부터 분리시키면, 대기위치로 다시 상승한다. 전극판은 고정봉이 분리되므로써, 자유상태로 된다. 제17도에는 지지암의 또다른 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기단부(120a),(121a), 말단부(121b), (121b) 및 고정봉 홀더(150) 자체의 구조는 제13도에 표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는 전극판 평평기구(170)가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제17도와 제18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극판 평평기구(170)는 전극판의 가로대의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압압부재(180), 상기한 압압부재(l80)를 단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181) 및 지지부재(181)를 지지하는 프레임(182)으로 구성되며, 프레임(l82)은 지지아암(120), (121)에 고정된다. 복수의 전극판(100)이 고정아암(110), (111)에 의하여 체결된 후에, 전극판 평평기구(170)가 설치 된 지지 아암(120), (121)이 하강하여, 압압부재(180)가 헤드바아(head bar)가 접촉하며, 전극판(100)의 가장자리를 평평하게 하기 위하여 위치결정용 봉이 가로대(100a)를 압착한다. 지지아암(120), (121)이 전극판(100)을 향하여 이동하므로써, 고정봉(160)이 고정된다. 그 후, 압압부재(180) 가 가로대(100a)로부터 후퇴한다. 고정봉이 분리되었을 때, 압압부재는 이미 후퇴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한 고정아암은 군(群)으로 형성된 전극판을 체결하도록 작동한다. 그 후, 지지아암(120), (121)이 하강하여 고정봉을 지지하며, 고정봉을 전극판군의 가장자리로부터 분리시키고,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고정아암도 역시 대기위치로 복기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예를 들면, 다음에 설명하듯이, 전해조에서의 전극의 처리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먼저, 구동수단(20)과 이동기구의 작동에 의해 전해조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며, 그 위치에서 대기한다. 행거지지프레임(30)이 하강하여, 고리(61a∼61b)가 전극판(100)의 가로대의 돌출부에 도달한다. 고리는 돌출부(100b)를 잡을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로드(63a), (63b)의 작동에 의해 경사진다.
행거지지프레임(30)이 복수의 전극판을 메단 상태로 전해조로부터 상승한다. 지지아암(120), (121)이 하강하여 전극판을 고정하고 있는 고정봉(160)을 지지하며, 고정봉(160)을 전극판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그리고, 행거(41), (42)가 체인기구(51), (52)에 의해 전극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시키는 동안, 구조물(10)은 전극판 처리부로 이동한다. 행거 구조물(40)은 필요에 따라 양극판의 세척, 음극판의 전착된 금속의 제거, 연마등과 같은 각 처리부로 전극판(100)을 이송한다.
전극판에 대한 필요한 각종 처리가 실시된 후, 행거는 체인기구(51), (52)에 의해 다시 중앙부로 함께 모여진다. 고정아암(110), (111)이 하강하여 전극판을 체결하며, 또, 지지아암(120), (121)도 하강하여 군(群)으로 형성된 전극판으로 고정봉(160)이 접근한다. 그 후, 지지아암이 고정봉을 해제시킨다.
그러므로, 고정아암(110), (111)과 지지아암(120), (121)은 대기위치로 상승하며, 행거도 전극판의 지지상태를 해제하고, 행거 구조물(40)은 전극을 전해조에 남겨둔 상태로 상승작동한다. 이러한 작동은 필요에따라 반복된다.
상기한 작동은, 이미 알려져 있는 자동화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9)

  1. 이동하는 구조물(10), 구조물(10)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20) 및 구조물(10)에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판재를 매달며 상하작동하는 행거 구조물(40)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판재를 매달고 있는 상태를 해제하며, 상기한 행거 구조물(40)은 행거지지프레임(30), 복수의 행거(41), (42), 행거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각 행거에 요동가능한 상태로 연결된 고리로 구성되어 판재를 집어 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금속의 전해정련용 전해조에서 사용되는 전극판의 처리에 사용되며, 전극판의 가로대의 단부 또는 돌출부를 잡을 수 있도록 각 행거(41), (42)의 양쪽 단부로부터 고리가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행거(41), (42)와 행거지지프레임(30)사이에 절연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며, 행거(41), (42)는 다른 종류의 전극판을 동시에 매달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처리장치.
  4. 제1항∼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끄럼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행거지지프레임(30)에 설치되어 있고, 또, 연결기구에 의해 일렬로 함께 연결된 행거(41), (42)가, 연결된 행거 전체가 이동할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거나 함께 모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행거(41), (42)를 대향하는 두방향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2개 이상의 체인기구(51), (5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처리장치.
  6. 제l항에 있어서, 행거 구조물(40)은 복수의 외측행거(41)와 복수의 대측행거(42)로 구성되며, 각 외측행거(41)의 단부에는 다리(41a), (41b)가 있어서, 그 다리(41a), (41b)이에 내측행거(42)를 둘러쌀 수 있으며, 내측행거(42)는 외측행거(41)의 안쪽밑에서 외측행거(4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판재처리.
  7. 제1항에 있어서, 행거지지프레임(30)에는 한 쌍 이상의 고정아암(110), (111)과 고정아암(110), (111)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이 있으며, 고정아암의 기단부가 요동가능한 상태로 행거지지프레임(30)에 고정되어서 고정아암은 전극판의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회전가능하여 고정아암의 말단부가 복수의 전극판(100)의 양쪽을 지지하며, 전극판군으로 체결하고, 행거(41), (42)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고리의 안쪽에 상기한 고정아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행거지지프레임(30)에는 각 쌍의 고정아암(110), (11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동가능한 상태로 행거지지프레임(30)에 고정된 한 쌍의 이상의 지지아암(120), (121)과, 이 지지아암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지지아암은 전극판군을 고정시키는 고정봉을 분리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고정봉(160)이 군으로 형성된 전극군을 고정하거나 해제하도록 지지아암이 전극판군을 향하여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전해조에서 정지할 수 있으며, 행거지지프레임(30)이 하강할 수 있고, 전극판의 돌출부를 잡기 위해서 고리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전해조로부터 전극과 함께 행거지지프레임(30)을 상승시킬수 있으며, 지지아암(120), (121)의 작동에 의해 전극판을 고정시키는 고정봉(160)을 분리시킬 수 있으며, 구조물(10)을 이동시킬 수 있고, 구조물(10)의 이동전, 이동하는 동안, 또는 이동 후에 매달려 있는 전극판(100)을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매달려 있는 전극판(100)에 대해 다양한 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매달려 있는 전극판(100)을 행거지지프레임(30)의 중앙으로 함께 모을 수 있으며, 함께 모여진 전극판을 체결할 수 있고, 고정아암(110), (111)과 지지아암(120), (121)을 이용하여 군으로 형성된 전극판을 배열하고 고정시킬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군으로 형성된 전극판을 전해조에 침전시키기 위하여 행거지지프레임(30)이 하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처리장치.
KR1019880004055A 1987-04-10 1988-04-09 판재처리장치 KR940002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87105A JPS63255385A (ja) 1987-04-10 1987-04-10 極板移送クレ−ン
JP?62-87105 1987-04-10
JP??62-87105 1987-04-10
JP?62-250711 1987-10-06
JP62250711A JP2550609B2 (ja) 1987-10-06 1987-10-06 ハンガー装置
JP??62-250711 1987-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799A KR880012799A (ko) 1988-11-29
KR940002260B1 true KR940002260B1 (ko) 1994-03-19

Family

ID=2642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4055A KR940002260B1 (ko) 1987-04-10 1988-04-09 판재처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51098A (ko)
EP (1) EP0286092B1 (ko)
KR (1) KR940002260B1 (ko)
AU (1) AU612639B2 (ko)
CA (1) CA1329381C (ko)
DE (1) DE3877238T2 (ko)
FI (1) FI8841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56593T3 (es) 1994-04-28 2001-07-01 Mitsui Mining & Smelting Co Aparato guia para movimiento hacia arriba/hacia abajo de un aparato de izar para la entrega de placas de electrodo.
US5543028A (en) * 1994-11-23 1996-08-06 Xerox Corporation Electroforming semi-step carousel, and process for using the same
KR0151829B1 (ko) * 1995-08-16 1998-12-01 김광호 래크의 자동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리드 프레임 로딩 장비와 리드 프레임 및 래크의 로딩/언로딩 장비
CN1322171C (zh) * 2004-07-08 2007-06-20 宝龙自动机械(深圳)有限公司 可自动存取挂具的电镀机
US20060151406A1 (en) * 2005-01-11 2006-07-13 Hsien-Chung Tuan M Socket suspension assembly
JP4547013B2 (ja) * 2008-03-26 2010-09-22 日鉱金属株式会社 電極板搬送装置
CN102094228B (zh) * 2009-12-09 2013-09-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阳极处理的生产线
TWI457199B (zh) * 2010-01-11 2014-10-21 Hon Hai Prec Ind Co Ltd 陽極處理生產線
US8900439B2 (en) 2010-12-23 2014-12-02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Llc Modular cathode assembli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or electrochemical reduction
US9017527B2 (en) * 2010-12-23 2015-04-28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Llc Electrolytic oxide reduction system
US8636892B2 (en) 2010-12-23 2014-01-28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Llc Anode-cathode power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or electrochemical reduction
US8956524B2 (en) 2010-12-23 2015-02-17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Llc Modular anode assembli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or electrochemical reduction
US8771482B2 (en) 2010-12-23 2014-07-08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Llc Anode shroud for off-gas capture and removal from electrolytic oxide reduction system
CN102134736B (zh) * 2011-01-19 2015-08-05 俊杰机械(深圳)有限公司 一种顶置滚轮链条输送式挂具暂存装置
JP4755729B1 (ja) * 2011-02-24 2011-08-24 株式会社 大塚金属 電気メッキ装置
US8746440B2 (en) 2011-12-22 2014-06-10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Llc Continuous recovery system for electrorefiner system
US9150975B2 (en) 2011-12-22 2015-10-06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Llc Electrorefiner system for recovering purified metal from impure nuclear feed material
US8882973B2 (en) 2011-12-22 2014-11-11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Llc Cathode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or power distribution
US8598473B2 (en) 2011-12-22 2013-12-03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Llc Bus bar electrical feedthrough for electrorefiner system
US8945354B2 (en) 2011-12-22 2015-02-03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Llc Cathode scraper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for removing uranium
WO2013150163A1 (es) * 2012-04-03 2013-10-10 Zincobre Ingeniería, S.L.U Cabeza de suspensión de lámina de ánodos para electrolisis de zinc y medios de manipulación
US8968547B2 (en) 2012-04-23 2015-03-03 Ge-Hitachi Nuclear Energy Americas Llc Method for corium and used nuclear fuel stabilization processing
FI124617B (en) * 2012-04-23 2014-11-14 Outotec Oyj transfer System
CN104709818B (zh) * 2015-03-30 2017-04-19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身吊具
CN105332039B (zh) * 2015-11-26 2018-03-13 扬中市宏飞镀业有限公司 一种电极快速更换装置
WO2017145066A1 (en) * 2016-02-26 2017-08-31 Jan Petrus Human Electrowinning
ES2821973T3 (es) * 2016-05-20 2021-04-28 Outotec Finland Oy Sistema de tratamiento de agua
CN107445054A (zh) * 2017-09-12 2017-12-08 深圳市光大激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移料夹爪
CN107513729B (zh) * 2017-10-23 2023-06-16 常宁市华兴冶化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电解槽的阳极板辅助固定装置和方法
CN108483207A (zh) * 2018-04-03 2018-09-04 芜湖华佳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动力电池包吊取装置
CN108996397B (zh) * 2018-08-29 2023-06-20 中铁五局集团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钢网架高空散装装配式定位装置及定位方法
CN111485275B (zh) * 2020-05-22 2021-04-13 太仓市海峰电镀有限公司 一种挂镀生产线
CN113846369B (zh) * 2021-09-18 2022-09-27 安徽光智科技有限公司 一种电化学沉积装置
CN113913845B (zh) * 2021-10-23 2023-06-27 嘉寓氢能源科技(辽宁)有限公司 一种pem光子电解水制氢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34765A (fr) * 1962-09-28 1963-08-09 Dispositif pour l'empilage de briques crues sur un organe de transport
US3562131A (en) * 1968-03-21 1971-02-09 Bunker Hill Co Cathode handling equipment
DE2424383A1 (de) * 1974-05-20 1975-12-11 Metallgesellschaft Ag Vorrichtung zum kathodenwechsel und strippen
JPS5296904A (en) * 1976-02-10 1977-08-15 Mitsui Mining & Smelting Co Apparatus for automatic replacement of plate electrode in electrolysis of metals
US4326937A (en) * 1980-09-16 1982-04-27 Par Systems Corp. Grab mechanism
LU83152A1 (fr) * 1981-02-19 1982-09-10 Metallurgie Hoboken Appareil pour relier electriquement des cuves electrolytiques
US4382848A (en) * 1981-07-13 1983-05-10 Dorr-Oliver Incorporated Cam-actuated stop member for lift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86092A1 (en) 1988-10-12
DE3877238D1 (de) 1993-02-18
KR880012799A (ko) 1988-11-29
US4851098A (en) 1989-07-25
EP0286092B1 (en) 1993-01-07
FI88411B (fi) 1993-01-29
FI881676A0 (fi) 1988-04-11
CA1329381C (en) 1994-05-10
FI881676A (fi) 1988-10-11
AU612639B2 (en) 1991-07-18
AU1445288A (en) 1988-10-13
DE3877238T2 (de) 1993-04-29
FI88411C (fi) 199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260B1 (ko) 판재처리장치
JPH0448695B2 (ko)
US4566951A (en) Method for cleaning cathode or anode plates
BRPI0915708B1 (pt) instrumento de remoção e processo para remoção de uma camada metálica eletrodepositada a partir de uma placa de cátodo
CN104246019A (zh) 传递装置
SU1544192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мещени подлежащих гальванизации деталей,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печатных плат, в подвесной каркас
CN110203611A (zh) 一种上排生产线
US3479721A (en) Apparatus for withdrawing suspension rods from cathode plates
US457740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suspension bar from an electrode
CN218433687U (zh) 一种阳极上挂装置
ES532251A0 (es) Perfeccionamientos en los aparatos de manutencion para cargar piezas en una prensa metalurgica.
CN220537967U (zh) 一种基材垂直升降电镀线
CN111424293B (zh) 一种剥锌设备阴极板自动运载和放置装置及其运行方法
JPH047296A (ja) ロール吊り上げ装置およびロール吊り上げ方法およびロール組み替え方法
CN111606045B (zh) 矩形铁丝框上料装置
JPH0464968B2 (ko)
JP3063440B2 (ja) 電解用極板搬送装置
JPH07188968A (ja) 電解精錬用電極板の洗浄設備
JPS6120039Y2 (ko)
US1518609A (en) Apparatus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starting-sheet deposits from their receiving blanks
JPS6135090B2 (ko)
US3944088A (en) Machine and process for handling cathode plates or the like
SU1360678A1 (ru) Рамкоподъемник дл уль
JP2792683B2 (ja) めっき処理装置
JPH04718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