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419B1 - 광학정보기록재생용 광헤드 - Google Patents

광학정보기록재생용 광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419B1
KR940000419B1 KR1019900017393A KR900017393A KR940000419B1 KR 940000419 B1 KR940000419 B1 KR 940000419B1 KR 1019900017393 A KR1019900017393 A KR 1019900017393A KR 900017393 A KR900017393 A KR 900017393A KR 940000419 B1 KR940000419 B1 KR 940000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receiving
output
control signal
receiving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670A (ko
Inventor
가즈오 노다
에이이찌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닛폰 콘럭스 캄파니 리미티드
오까다 미노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콘럭스 캄파니 리미티드, 오까다 미노루 filed Critical 닛폰 콘럭스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1000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11B7/0916Foucault or knife-edge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Optical detecto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62Mirr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1Non-lens elements for altering the properties of the beam, e.g. knife edges, slits, filters or st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학정보기록재생용 광헤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헤드의 광학계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2도, 제3도, 제6도 및 제7도는 3개의 소자로 이루어진 수광다이오드와 이 수광다이오드에 의해 수신된 광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4도와 제5도는 포커싱제어신호와 트랙킹제어신호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된 광학계의 광비임경로를 나타낸 도면.
제8도와 제9도는 4개의 소자로 이루어진 수광다이오드와 이 수광다이오드에 의해 수신된 광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10도와 제11도는 수광다이오드의 출력으로부터 포커싱제어신호, 트랙킹제어신호 및 정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회로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포커싱제어 및 트랙킹제어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도면.
제13도는 에지미러의 사시도.
제14도는 종래 광헤드의 광학계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제15도는 종래 수광다이오드의 구조와 이 수광다이오드에 의해 수신된 광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레이저 5 : 회절격자
7 ; 비임스플리터 10 : 포커싱렌즈
12 : 기록매체 13 : 수광렌즈
14 : 원주형 렌즈 19 : 에지미러
20,21 : 수광다이오드 59,60,65,66,69 : 가산기
61,63,67 : 감산기 74 : 서어보증폭기
76 : 트랙킹코일
본 발명은 광학정보기록매체상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그 확학정보기록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헤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설명]
광학정보기록매체(이하 ″기록매체″라 약칭함)상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그 기록매체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광학계구성의 광헤드가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이 사용되는 바, 이 제14도에 도시된 광헤드의 광학계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반도체레이저(1)로부터 방사된 발산 광비임(2)이 조준렌즈(3)에 의해 평행한 광비임(4)으로 변환되고, 이 평행한 광비임은 회절격자(5)상에 입사되어 0 및 ±1차의 3개의 전달회절광비임으로 변환된다.
이 3개의 전달회절광비임, 즉 3개의 광비임(6)은 비임스플리터(7)상에 입사되어 그 비임스플리(7)의 반투명격막(8)에 의해 투과되거나 반사되는데, 상기 비임스플리터(7)에 의해 투과된 광비임(9)은 포커싱렌즈(10)에 의해 일직선으로 배열된 3개의 초미소광점(11 ; 이하 ″광점″이라 약칭함)으로 포커스되어 기록매체(12)상에 조사된다. 이 경우, 정보신호에 의해 변조되는 반도체레이저(1)로부터의 고출력광비임은 정보를 기록하는데 사용되고, 연속적인 저출력광비임은 정보를 재생하는데 사용된다. 일직선으로 배열된 3개의 광점(11)의 중앙광점은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함과 더불어 포커싱하기 위한 0차 회절광인 주광점이고, 그 양측에 위치된 2개의 보조적인 광점은 트랙킹을 위해 사용되는 ±1차 회절광점이다.
3광점(11)으로서의 기록매체(12)상에 비추어지는 3광점비임은 부분적으로 반사되고, 그 결과의 3반사광비임은 거의 평행한 광비임으로 재변환시키는 포커싱렌즈(10)를 매개해서 후방으로 투과되며, 이 광비임은 비임스플리터(7)의 반투명격막(8)에 도면의 우측으로 반사되고,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된 다음 원주형 렌즈(14)를 매개해서 수광다이오드(15)에 도달하게 되어, 정보신호와, 광점(11)의 포커싱상태를 나타내는 포커싱제어신호 및 기록매체(12)상에 제공된 트랙과 광점(11)사이의 위치상태를 나타내는 트랙킹제어신호가 수광다이오드(15)로부터 얻어지게 된다. 여기서, 수광렌즈(13)는 반사된 평행한 광비임을 집광하는 작용을 하는 광소자이고, 원주형 렌즈(14)는 포커싱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비점수차를 발생시키는 광소자임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제14도에 도시된 광헤드는 포커싱제어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비점수차법과 트랙킹제어신호를 유도하기 위한 3비임법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한 광학계구성의 광헤드는 현재 폭넓게 사용되고 있지만, 포커싱시에 사용되는 비점수차법이 대량의 혼선(cross-talk)을 초래하기 때문에 양호한 포커싱이 달성될 수 없다는 결점이 있고, 또 트랙킹제어신호는 포커싱제어신호에 좋지 않게 누설된다.
이러한 누설은 예컨대 포커싱렌즈(10)가 트랙킹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기록매체(12)상에 제공된 트랙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구동되는 경우 수광다이오드(15)에 의해 수신된 광비임의 광점도 이동하게 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즉, 비점수차법과 3비임법이 모두 사용되는 경우 수광다이오드(15)는 6개의 소자(15A~15F)로 이루어진 분할소자구성으로 형성되어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광비임으로부터 광점(16)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광점과 보조적인 광비임으로부터의 광점(17,18)이 수광다이오드(15)상에 조사된다. 만일 포커싱렌즈(10)가 트랙킹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구동되는 경우 3개의 광점은 화살표 X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어 예컨대 광점(16', 17', 18')으로 된다.
예컨대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싱렌즈(10)와 기록매체(12)사이의 간격이 약간 변동됨과 더불어 포커싱제어신호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광다이오드(15)의 광점이 타원형상으로 됨에 의해 비포커싱상태로 되면 포커싱제어신호출력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결과 식 : [(소자 (15A)의 출력+소자 (15B)의 출력)-(소자 (15C)의 출력+소자 (15D)의 출력)=포커싱제어신호출력]은 광점이 타원광점(16)의 타원광점(16')인 경우간에 서로 다르게 되고, 이에 따라 혼선이 발생되게 된다.
본 발명은 포커싱렌즈(10)가 트랙킹가능하도록 구동되는 경우에도 혼선이 발생되지 않는, 즉 트랙킹제어신호가 포커싱제어신호에 누설되지 않는 광헤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은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광이 포커싱렌즈를 매개해서 후방으로 투과되고, 비임스플리터에 의해 분할되며, 예컨대 0차 회절광의 1/2과 +1차 회절광의 전부가 에지미러(edge mirror)에 의해 영향받음 없이 직접 투과되는 반면 0차 회절광의 나머지 1/2과 -1차 회절광의 전부가 에지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형태로 수광렌즈에 의해 집광된 0차 회절광 및 +1차 회절광의 3개의 비임의 단면을 통해 거의 중간에 위치된 선형에지를 갖는 에지미러상에 입사되고, 상기 직사광과, 반사광이 수광다이오드에 의해 수신되며, 0차 회절광에 의해 발생된 각개의 수광출력이나 0차 회절광에 의해 발생된 양 수광출력의 조합이 포커싱제어신호와 정보신호를 얻기 위해 사용되고, ±1차 회절광이 -1차 회절광에 의해 발생된 각 수광출력사이의 차이가 트랙킹제어신호를 얻기 위해 조합되는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광헤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사용형태]
포커싱제어신호를 추출하는 수광다이오드는 에지미러의 에지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된 분할선에 의해 2개 부분으로 분리된 소자구성을 갖게 되고, 포커싱렌즈가 트랙킹가능상태로 구동되는 경우 수광다이오드상의 광점은 분할선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되며, 이에 따라 각 소자로부터의 출력이 변화되지 않으므로 혼선이 발생되지 않는다.
에지미러가 광비임을 2부분으로 분리하는 경우는 광에너지도 1/2등분되므로, 본 발명은 에지미러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직사광으로부터의 수광출력을 에지미러로부터 반사된 광에 대한 수광출력으로 조합하여 효율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또, 정보신호는 포커싱제어신호를 유도하는 2소자 수광다이오드로부터 얻어지게 된다.
트랙킹제어신호를 추출하는 수광다이오드는 포커싱제어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광다이오드와 밀접하게 위치되고, 트랙킹제어신호는 에지미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직사광측과 에지미러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측으로 부터의 수광출력사이의 차이의 조합으로부터 얻어진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헤드의 광학계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제1도의 광헤드는 반도체레이저(1), 조준렌즈(3), 회절격자(5), 비임스플리터(7), 포커싱렌즈(10), 수광렌즈(13), 에지미러(19) 및 수광다이오드(20,21)로 구성된다.
제1도에 도시된 광헤드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반도체레이저(1)로부터 방사된 발산 광비임(2)은 조준렌즈(3)에 의해 평행한 광비임(4)으로 변환되고, 이 평행한 광비임(4)은 회절격자(1), 조준렌즈(3), 회절격자(5), 비임스플리터(7), 포커싱렌즈(10), 수광렌즈(13), 에지미러(19) 및 수광다이오드(20,21)로 구성된다.
제1도에 도시된 광헤드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상기 반도체레이저(1)로부터 방사된 발산 광비임(20)은 조준렌즈(3)에 의해 평행한 광비임(4)으로 변환되고, 이 평행한 광비임(4)은 회절격자(5)에 입사되어 0차 및 ±1차의 3개의 전송회절광비임으로 변환된다.
이들 3개의 전송회절광비임 즉 3광비임(6)은 비임스플리터(7)상에 입사되어 비임스플리터(7)의 반투명격막(8)에 의해 모두 통과되거나 반사된다)전송광 및 반사광의 강도비는 1로 될 필요가 없고, 3반사광 비임은 흡수되거나 산란될 수 있다). 비임스플리터(7)에 의해 통과된 3광비임(9)은 포커싱렌즈(10)에 의해 직선으로 배열된 3광점(11)으로 포커스되어 기록매체(12)상에 조사되게 된다. 이 경우 반도체레이저(1)로부터 방사되고 정보신호에 의해 변조된 고출력비임은 기록정보로 사용되고, 연속적인 저출력광비임이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직선으로 배열된 3광점(11)의 중심광점은 정보를 기록·재생함과 더불어 포커싱하기 위해 사용된 0차 회절광점인 주광점이고, 그 양측에 위치된 2개의 보조적인 광점은 트랙킹을 위해 사용된 ±1차 회절광점이다.
이에 따라 3광점(11)으로서 기록매체(12)상에 투사되는 3광비임은 부분격으로 반사되고, 그 결과적인 반사광비임은 그 광비임을 거의 평행한 광비임으로 다시 변환하는 포커싱렌즈(10)를 통해 후방으로 투과된다(포커싱상태에 의거 이 평행한 광비임은 약간의 수렴광비임 또는 약간의 발산광비임으로 된다). 이 광비임은 비임스플리터의 반투명격막(8)에 의해 도면의 우측으로 반사되어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된 다음 예컨대 0차 회절광의 1/2 및 ±1차 회절광의 전부가 에지미러(19)의 영향없이 그 에지미러를 지나 직선적으로 통과되어 수광렌즈(13)의 포커스위치에 밀접되게 위치한 제1수광다이오드(20)에 도달되고, 0차 회절광의 나머지 1/2과 -1차 회절광의 모두가 에지미러(19)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렌즈(13)의 포커스위치에 밀접되게 위치한 제2수광다이오드(21)에 도달되는 형태로 분리된다.
제2도와 제3도는 수광다이오드(20,21)의 구조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수광다이오드(2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차 회절광이 소자(20A, 20B)상에 조사되는 한편 +1차 회절광이 소자(20C)상에 조사되는 소자(20A, 20B, 20C)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수광다이오드(21)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차 회절광이 소자(21A, 21B)상에 조사되는 한편, -1차 회절광이 소자(21C)상에 조사되는 소자(21A, 21B, 21C)로 구성된다.
포커싱제어신호와 트랙킹제어신호를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광학계를 통한 광비임의 경로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만일 제1도에 도시된 기록매체(12)가 포커싱렌즈(10)의 포커스된 위치에 위치된 경우 기록매채(12)상에 조사되어 그 기록매체(12)로부터 부분적으로 반사되는 3광비임은 포커싱렌즈(10)를 통해 후방으로 통과되어 평행한 광비임으로 된다. 이어 상기 평행한 3광비임은 비임스플리터(7)의 반투명격막(8)에 의해 반사되어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차 회절광이 평행한 광비임(22)로 되고, +1차 회절광이 평행한 광비임(23)으로 되며, -1차 회절광이 평행한 광비임(24)으로 되는 형태로 수광렌즈(13)상에 입사된다.
예컨대 기록매체(12)가 포커싱렌즈(10)에 보다 근접하게 이동되면, 3광비임은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차 회절광이 발산광비임(25)으로 되고, +1차 회절광이 발산광비임(26)으로 되며, -1차 회절광이 발산광비임(27)으로 되는 형태로 수광렌즈(13)상에 입사된다.
또, 예컨대 기록매체(12)가 수광렌즈(13)로부터 더 멀리 이동되면 3광비임은 제4(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차 회절광이 수렴광비임(28)으로 되고 +1차 회절광이 수렴광비임(29)으로 되며 -1차 회절광이 수렴광비임(30)으로 되는 형태로 수광렌즈(13)상에 입사되는 평행한 광비임(22)은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되고, 이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된 광의 상부 1/2은 에지미러에 의해 영향받음 없이 에지미러(19)를 지나 진행하여 수광다이오드(20)의 소자(20A, 20B)사이의 경계부분에 도달되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경계선(31)상에 극히 미소한 광점(32)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소자(20A) 또는 소자(20B)의 어느 측에서도 수광출력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실제로, 회절과 기타의 현상은 소자(20A, 20B)상에 조사되는 일정한 광량으로 발생되지만 그 소자로부터 얻어지는 수광출력은 거의 동등하게 된다). 또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된 광의 하부 1/2은 에지미러(19)에 의해 반사된 다음 수광다이오드(21)의 소자(21A, 21B)사이의 경계부에 도달되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경계선(33)상에 극히 미소한 광점(34)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소자(21A) 또는 소자(21B)의 어느측에서도 수광출력은 얻어지지 않는다(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그 소자상에는 일정한 광량이 조사되게 되지만 그 소자로부터 얻어지는 수광출력은 거의 동등하게 된다).
포커싱제어신호는 다음 식중 어느 하나의 식에 따라 수광다이오드(20,21)로부터 유도된다.
(소자 (20A)의 출력+소자 (21A)의 출력)-(소자 (20B)의 출력+소자 (21B)의 추력)=포커싱제어신호출력……………………………………………………(1)
(소자 (20B)의 출력+소자 (21B)의 출력)-(소자 (20A)의 출력+소자 (21A)의 추력)=포커싱제어신호출력……………………………………………………(2)
이에 따라, 제4(a)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포커싱제어신호출력은 0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광렌즈(13)상에 입사된 평행한 광비임(23)과 평행한 광비임(24)은 그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되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한 광비임(23)은 수광다이오드(20)의 소자(20C)에 도달되어 소자(20C)상에 극히 미소한 광점(35)을 형성하게 되며, 에지머리(19)에 의해 반사된 평행한 광비임(24)의 일부는 수광다이오드(21)의 소자(21C)에 도달되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1C)상에 극히 미소한 광점을 형성하게 된다. 그 결과적인 수광출력은 다음의 식중 어느 하나의 식에 따라 트랙킹제어신호를 유도하는데 사용된다 :
(소자 (20C)의 출력-소자 (21C)의 출력)=트랙킹제어신호출력……………(3)
(소자 (21C)의 출력-소자 (20C)의 출력)=트랙킹제어신호출력……………(4)
제4(b)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수광렌즈(13)상에 입사된 발산광비임(25)은 그 수광렌즈(13)에의해 집광되고, 이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된 광의 상부 1/2은 에지미러(19)을 지나 그 에지미러(19)의 영향없이 진행된 다음 수광다이오드(20)의 소자(20A)에 도달되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0A)상에 반원형광점(37)을 형성하게 된다. 또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된 광의 하부 1/2은 에지미러(19)에 의해 반사된 다음 수광다이오드(21)의 소자(21A)에 도달되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1A)상에 반원형 광점(38)을 형성하게 되고, 이 경우 포커싱제어신호는 상기 식(1) 또는 식(2)로부터 유도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광렌즈(13)상에 입사되는 발사광비임(26) 및 (27)은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된다. 발산광비임(26)은 수광다이오드(20)의 소자(20C)에 도달되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0C)에 도달되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0C)상에 광점(39)을 형성하게 되고, 에지미러(19)에 의해 반사되는 발산광비임(27)의 일부는 수광다이오드(21)의 소자(21C)상에 광점(40)을 형성하게 되며, 이 경우 트랙킹제어신호는 상기 식(3) 또는 식(4)로부터 유도된다.
제4(c)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수광렌즈(13)상에 입사되는 수렴광비임(28)은 그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되고, 이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된 광의 상부 1/2은 에지미러(19)를 지나 그 에지미러(19)에 의해 영향받지 않고 진행해서 수광다이오드(20)의 소자(20B)에 도달되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0B)상에 반원형 광점(41)을 형성하게 된다. 또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된 광의 하부 1/2은 에지미러(19)에 의해 반사되어 포커스위치로 축소된 다음 다시 확장되고, 최종적으로 수광다이오드(21)의 소자(21B)에 도달되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1B)상에 반원형 광점(42)을 형성하게 되며, 이 경우 포커싱제어신호는 상기 식(1) 또는 식(2)로부터 유도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광렌즈(13)상에 입사된 수렴광비임(29,30)은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되는 바, 수렴광비임(29)은 포커스위치에 포커스된 다음 재차 확장되고, 최종적으로 수광다이오드(20)의 소자(20C)에 도달되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0C)상에 광점(43)을 형성하게 되며, 수렴광비임(21)의 소자(21B)에 도달되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1C)상에 광점(44)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트랙킹제어신호는 상기 식(3) 또는 상기 식(4)로부터 유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만일 기록매체(12)가 포커싱렌즈(10)의 포커스된 위치에 위치되면 양 수광다이오드(20,21)는 수광렌즈(13)의 포커스위치에 거의 밀접하게 위치되지만, 실제로 수광다이오드(20,21)가 반드시 수광렌즈(13)의 포커스위치에 밀접되도록 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제4도에 도시된 에지미러(19)는 그 선형에지부(45)가 도면의 평면에 수직이면서 광축(46)에 접촉되도록 위치되지만, 이 에지미러(19)는 제4도에 도시된 수직방향(Y방향) 또는 광축(Z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이동될 수 있고, 또 수광다이오드(20,21)는 Y방향 또는 Z방향으로 적절한 거리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수광다이오드(20,21)가 수광렌즈(13)의 포커스위치에 근접되게 위치되지 않으면, 광학계에서의 광비임경로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게 되고, 이 경우 에지미러(19)는 Z방향으로 적절한 거리를 이동하게 되므로 수광다이오드(20,21)는 제4도의 위치에 비해 Y와 Z방향 양측으로 적절한 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제6도와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된 수광다이오드(20,21)상에 형성된 광점을 나타낸다.
제5(a)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수광렌즈(13)상에 입사되는 평행한 광비임(22)은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되는 바,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된 광의 상부 1/2은 에지미러(19)에 의해 영향받지 않고 그 에지미러(19)를 지나게 되고, 이어 수광다이오드(20)에 도달하게 되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0A, 20B)에 동량의 광을 조사하여 소자(20A, 20B)에 걸쳐 반원형 광점(47)을 형성하게 된다. 또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된 광의 하부 1/2은 에지미러(19)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다이오드(21)에 도달된 다음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1A, 21B)에 동량의 광을 조사하여 소자(21A, 21B)사이의 경계선(33)상에 걸쳐 반원형 광점(48)을 형성하게 되고, 이 경우 포커싱제어신호는 식(1) 또는 식(2)로부터 유도되다. 그러나, 이 경우 포커싱제어신호출력은 0이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광렌즈(13)상에 입사되는 평행한 광비임(23,24)은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되고, 이 평행한 광비임(23)은 수광다이오드(20)에 도달되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0C)상에 광점(49)을 형성하게 되며, 평행한 광비임(24)은 에지미러(19)에 의해 반사된 다음 수광다이오드(21)의 소자(21C)에 도달되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1C)상에 광점(50)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트랙킹제어신호는 식(3) 또는 식(4)로부터 유도된다.
제5(b)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수광렌즈(13)상에 입사되는 발산광비임(25)은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되는 바, 이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된 광의 상부 1/2은 에지미러(19)에 의해 영향받음 없이 그 에지미러(19)를 지나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0A)상에 조사되는 광량이 소자(20B)상에 조사되는 광량보다 많게 되도록 하여 소자(20A, 20B)상에 걸쳐 반원형 광점(51)을 형성하게 된다. 또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된 광의 하부 1/2은 에지미러(19)에 의해 반사된 다음 수광다이오드(21)의 소자(21A)에 도달되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1A)상에 조사되는 광량이 소자(21B)상에 조사되는 광량보다 많게 되도록 하여 소자(21A, 21B)상에 반원형 광점(52)을 형성하게 되고, 이 경우 포커싱제어신호는 식(1) 또는 식(2)로부터 유도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광렌즈(13)상에 입사되는 발산광비임(26,27)은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되고, 이 발산광비임(26)은 수광다이오드(20)의 소자(20C)에 도달되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0C)상에 광점(53)을 형성하게 되며, 발산광비임(27)은 에지미러(19)에 의해 반사된 다음 수광다이오드(21)의 소자(21C)에 도달되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1C)상에 광점(54)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트랙킹제어신호는 식(3) 또는 식(4)로부터 유도된다.
제5(c)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수광렌즈(13)상에 입사되는 수렴광비임(28)은 수괄렌즈(13)에 의해 집광되는 바, 이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된 광의 상부 1/2은 에지미러(19)에 의해 영향받지 않고 그 에지미러(19)를 지나 수광다이오드(20)에 도달되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0B)상에만 미소한 반원형 광점955)을 형성하게 된다. 또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된 광의 하부 1/2은 에지미러(19)에 의해 반사된 다음 수광다이오드(21)에 도달되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1B)상에만 미소한 반원형 광점(56)을 형성하게 되고, 이 경우 포커싱제어신호는 식(1) 또는 식(2)로부터 유도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광렌즈(13)상에 입사된 수렴광비임(29,30)은 수광렌즈(13)에 의해 집광되는 바, 수렴광비임(29)은 수광다이오드(20)의 소자(20C)에 도달되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0C)상에 미소한 광점(57)을 형성하게 되고, 수렴광비임(30)은 에지미러(19)에 의해 반사된 다음 수광다이오드(21)의 소자(21C)에 도달되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1C)상에 미소한 광점(58)을 형성하게 되며, 이 경우 트랙킹제어신호는 식(3) 또는 식(4)로부터 유도된다.
수광다이오드(20)는 제2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0A, 20B, 20C)로 구성되어 소자(20A, 20B)가 0차 회절광을 수신하는 반면 소자(20C)는 +1차 회절광을 수신하게 되고, -1차 회절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에지미러(19)에 의해 반사된 다음 수광다이오드(21)의 소자(21C)에 의해 수신된다.
그러나, 실제로 -1차 회절광의 전부가 에지미러(19)에 의해 반사되지 않고 그 성분이 수광다이오드(20)측을 향해 누설된다. 이 때문에 수광다이오드(20)에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소자(20D)가 제공되어 -1차 회절광의 누설성분이 소자(20D)상에 광점(36', 40', 44')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그 결과적인 출력이 수광다이오드(21)의 소자(21C)의 수광출력으로 조합되도록 설계되어 수광효율을 증가시킨다.
마찬가지로, 수광다이오드(21)는 제3도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21A, 21B, 21C)로 구성되어 소자(21A, 21B)는 에지미러(19)에 의해 반사된 후 0차 회절광을 수신하고, 소자(21C)는 -1차 회절광을 수신하게 된다. 또 +1차 회절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에지미러(19)에 의해 영향받음 없이 수광다이오드(20)의 소자(20C)에 의해 수신된다.
그러나, 실제로 +1차 회절광도 에지미러(19)에 의해 영향받게 되어 그 성분이 수광다이오드(21)측을 향해 누설된다. 이 때문에 수광다이오드(21)에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소자(21D)가 제공되어 +1차 회절광의 누설성분이 소자(21D)상에 광점(35', 39', 43')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결과적인 출력이 수광다이오드(20)의 소자(20C)의 수광출력으로 조합되도록설계되어 수광효율이 향상된다.
여기서, 수광다이오드(20,21)의 소자(20D,21D)의 제공에 의해 누설성분으로부터 광의 수취는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된 수광다이오드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포커싱제어신호, 트랙킹제어신호 및 정보신호는 수광다이오드(20,21)로부터 유도된다.
또 제10도와 제11도에 도시된 회로구성은 포커싱제어신호, 트랙킹제어신호 및 정보신호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제10도와 제11도에서 수광다이오드(20)의 소자(20A)와 수광다이오드(21)의 소자(21A)의 수광출력은 먼저 가산기(59)에 의해 가산되고, 수광다이오드(20)의 소자(20B)와 수광다이오드(21)의 소자(21B)의 수광출력은 가산기(60)에 의해 가산된다. 상기 가산기(59,60)로부터의 출력은 감산기(61)에 입력되는 바, 이 감산기(61)는 가산기(59)로부터의 출력과 가산기(60)로부터의 출력사이의 차이를 유도해서 포커싱제어신호출력(62)을 얻게 된다. 여기서, 포커싱제어신호출력(62)은 2개의 감산기와 1개의 가산기를 사용하여 다음의 식에 따라 산출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소자 (20A)의 출력-소자 (20B)의 출력)+(소자 (21A)의 출력-소자 (21B)의 출력)=(소자 (20A)의 출력-소자 (21B)의 출력)+(소자 (21A)의 출력-소자 (20B)의 출력)=포커싱제어신호출력……………………………………………………………………………………………………………………………………………………(5)
다음, 제10도의 회로로부터 트랙킹제어신호출력을 얻기 위해 수광다이오드(20)의 소자(20C)와 수광다이오드(21)의 소자(21C)의 수광출력이 감산기(63)에 입력되고, 이들 2개의 수광출력사이의 차이가 감산기(63)에 의해 유도되어 트랙킹제어신호출력(64)이 얻어지게 되며, 이 출력이 어떻게 유도되는가를 표현하는 식(3) 또는 식(4)가 구해진다.
또, 제11도에 도시된 회로에서 수광다이오드(20)의 소자(21C)와 수광다이오드(21)의 소자(21D)의 수광출력은 가산기(65)에 의해 가산되고, 소자(21C, 20D)의 수광출력은 가산기(66)에 의해 가산되며, 이 가산기(65, 66)로부터의 출력이 감산기(67)에 입력되고, 이 감산기(67)는 이들 2입력사이의 차이를 트랙킹제어신호출력(68)으로서 유도해내게 되는 바, 이는 다음의 식에 의해 표시된다.
(소자 (20C)의 출력+소자 (21D)의 출력)-(소자 (21C)의 출력+소자 (20D)의 출력)=트랙킹제어신호출력……………………………………………………(6)
여기서, 트랙킹제어신호출력(68)은 2개의 감산기와 1개의 가산기를 사용하여 식에 다라 산출될 수 있다.
(소자 (20C)의 출력-소자 (21C)의 출력)+(소자 (21D)의 출력-소자 (20D)의 출력)=(소자 (20C)의 출력-소자 (20D)의 출력)+(소자 (21D)의 출력-소자 (21C)의 출력)=트랙킹제어신호출력…………………………………………………………………………………………………………………………………………………(7)
정보신호출력은 제10도와 제11도의 회로로부터 가산기(59,60)의 출력을 가산기(69)에 입력하여 그 가산기(69)의 출력을 정보신호(70)로서 추출함에 의해 얻어지게 된다.
제10도와 제11도의 감산기(61)로부터의 출력(62) 즉 포커싱제어신호출력(62)은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어보증폭기(71)에 의해 적절하게 증폭되어 포커싱코일(73)에 인가되어 광헤드의 포커싱렌즈(10)가 화살표(72)로 표시된 방향에서 광축을 따라 구동되고, 이는 선명한 광점이 항상 기록매체(12)상에 비추어지는 것을 확보하도록 시스템을 제어하는 포커싱제어루우프를 형성하게 된다.
제10도와 제11도의 감산기(63)으로부터의 출력(64) 또는 감산기(67)로부터의 출력(68), 즉 트랙킹제어신호출력(64 또는 68)은 제12도에 도시된 서어보증폭기(74)에 의해 적절하게 증폭된 다음 트랙킹코일(76)에 인가되어 광헤드의 포커싱렌즈(10)를 화살표(75)에 의해 도시된 방향에서 광축에 수직적으로 구동시키게 되고, 이는 광점이 기록매체(12)상에 제공된 트랙을 정밀하게 추적하는 것을 확보하기 위해 시스템을 제어하는 트랙킹제어루우프를형성하게 된다.
에지미러(19)는 제1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78)이 반사격막으로 채용된 선형에지부(77)를 갖춘 정삼각형 프리즘으로 할 수 있고, 또 제1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이 에지부에서의 칩(chip)의 발생이라던지 다른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선형제어부(79)를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
비임스플리터(7)는 반투명격막(8)을 사용하는 비임스플리터로서 상술하였지만, 편광막과 1/4파장판을 사용하는 편광비임스플리터와 같은 다른 적절한 광분리기를 대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광분리기는 광손실과 반도체레이저(1)를 향해 되돌아오는 광의 복귀를 감소시키는데 유용하게 된다. 또 수광다이오드(20,1)는 ″다이오드″로서 상술하였지만, 태양전지와 같은 수광소자의 다른 형태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수광다이오드(20, 21)의 수광출력이 포커싱제어신호를 얻는 효율을 고려하여 조합되는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만일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이기 보다 조정이 용이한 시스템(easy-to-adjust system)에 중요성이 있는 경우 수광다이오드(20)만으로 부터의 수광출력 또는 수광다이오드(21)만의 수광출력이 사용될 수 있다. 즉, 다음의 식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 소자(20A)출력소자(20B)출력=포커싱제어신호출력
± 소자(21A)출력소자(21B)출력=포커싱제어신호출력
[발명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커싱제어신호가 에지미러와 2개부분으로 분리된 수광다이오드를 사용함에 의해 유도되는 광헤드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므로 포커싱렌즈가 트랙킹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구동되는 경우에도 혼선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 에지미러가 사용되므로 직접 이동되는 광비임과 에지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광비임이 모두 손실없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3비임법에 적절한 광헤드와 양호한 정도를 가지게 된다.

Claims (4)

  1. 광정보기록매체상에 0차 회절광, +1차 회절광, -1차 회절광으로 이루어진 3광비임을 조사하는 투광계와,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3광비임을 수신하는 수광계로 구성되고, 상기 수광계는 에지미러를 구비하여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반사된 3광 비임중 0차 회절광의 약 1/2과 _1차 회절광의 전부가 상기 에지멀의 영향없이 제1수광다이오드에 의해 수취되고, 상기 0차 회절광의 나머지 약 1/2과 상기 -1차 회절광의 전부가 상기 에지머러에 의해 반사되어 제2수광다이오드에 의해 수취되며, 포커싱제어신호, 트랙킹제어신호 및 정보신호가 상기 제1수광다이오드 또는 상기 제2수광다이오드의 출력으로부터 얻어지거나 상기 제1수광다이오드와 상기 제2수광다이오드로부터의 조합출력으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정보기록재생용 광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제어신호와 상기 정보신호는 상기 0차 회절광으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트랙킹제어신호는 상기 +1차 회절광과 상기 -1차 회절광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정보기록재생용 광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광다이오드와 상기 제2수광다이오드는 각각 3개의 소자 또는 4개의 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소자사이의 분할선이 상기 에지미러의 에지에 평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정보기록재새용 광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광다이오드 또는 상기 제2수광다이오드로부터의 출력 또는 이들의 조합출력이 서어보증폭기에 의해 증폭되어 포커싱제어 및 트랙킹제어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정보기록재생용 광헤드.
KR1019900017393A 1989-10-30 1990-10-30 광학정보기록재생용 광헤드 KR940000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282167 1989-10-30
JP1-282167 1989-10-30
JP1282167A JP2710675B2 (ja) 1989-10-30 1989-10-30 光学情報記録再生用光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670A KR910008670A (ko) 1991-05-31
KR940000419B1 true KR940000419B1 (ko) 1994-01-20

Family

ID=1764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393A KR940000419B1 (ko) 1989-10-30 1990-10-30 광학정보기록재생용 광헤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084851A (ko)
EP (1) EP0426053B1 (ko)
JP (1) JP2710675B2 (ko)
KR (1) KR940000419B1 (ko)
AU (1) AU640176B2 (ko)
CA (1) CA2028562C (ko)
DE (1) DE69022951T2 (ko)
ES (1) ES208077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7843A (ja) * 1989-11-16 1991-07-05 Sony Corp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JP2711010B2 (ja) * 1990-04-04 1998-02-10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光学ヘッド
US5278397A (en) * 1991-07-25 1994-01-11 Symbol Technologies, Inc. Multi-resolution bar code reader
JP3109877B2 (ja) * 1991-11-18 2000-11-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情報再生装置
JP3246608B2 (ja) * 1991-11-18 2002-01-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学式情報再生装置
JP2726584B2 (ja) * 1991-11-25 1998-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H05242512A (ja) * 1991-12-19 1993-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JPH05205294A (ja) * 1992-01-28 1993-08-13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
JPH05307848A (ja) * 1992-05-01 1993-11-19 Ricoh Co Ltd 閉ループ制御システム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のサーボ装置
JP2897532B2 (ja) * 1992-06-02 1999-05-31 日本電気株式会社 相変化型光ディスクの再生方法
JP2825718B2 (ja) * 1992-12-02 1998-11-18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学式記録再生装置
AU661796B2 (en) * 1993-10-18 1995-08-03 Nec Corporation Phase-change type optical disk device and optical head to be used therein
KR950015241A (ko) * 1993-11-16 1995-06-16 배순훈 광픽업의 포커스에러 검출방법 및 그 장치
JP3533836B2 (ja) * 1996-08-08 2004-05-3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ドライブのミラー信号演算回路
JP3402997B2 (ja) * 1997-03-12 2003-05-06 株式会社リコー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2001307348A (ja) 2000-04-20 2001-11-02 Seiko Instruments Inc 近視野光ヘッド
US7450477B2 (en) * 2004-11-22 2008-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pickup having a polarization beam splitter
KR100761980B1 (ko) * 2006-07-20 2007-09-28 황현식 발열매트의 온도 조절기 회로
KR101583424B1 (ko) 2014-06-30 2016-01-11 길종진 프리볼트 온도조절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8811A (en) * 1980-12-26 1982-07-07 Hitachi Ltd Optical focus position detector
US4504938A (en) * 1981-04-07 1985-03-12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Device for feedback controlling focus of an optical system in a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4621353A (en) * 1982-09-09 1986-11-04 Burroughs Corporation Optical memory system providing improved focusing control and improved beam combining and separating apparatus
JPS601632A (ja) * 1983-06-18 1985-01-07 Mitsubishi Electric Corp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S60167139A (ja) * 1984-02-10 1985-08-30 Hitachi Ltd 光学的情報記録再生装置の光学ヘツド
US4724533A (en) * 1984-06-15 1988-02-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head
JPS6142738A (ja) * 1984-08-06 1986-03-01 Hikari Yokoekawa 光学式記録再生システム
KR900003686B1 (ko) * 1985-11-27 1990-05-3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광학기록 재생장치
JPH0827965B2 (ja) * 1986-08-29 1996-03-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学式再生装置
US4873678A (en) * 1986-12-10 1989-10-10 Hitachi, Ltd. Optical head and optical information processor using the same
US4907847A (en) * 1987-09-28 1990-03-13 Nec Home Electronics Ltd. Optical pickup and hologram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26053B1 (en) 1995-10-11
CA2028562A1 (en) 1991-05-01
JPH03142720A (ja) 1991-06-18
AU640176B2 (en) 1993-08-19
EP0426053A3 (en) 1991-12-18
KR910008670A (ko) 1991-05-31
CA2028562C (en) 1995-07-18
JP2710675B2 (ja) 1998-02-10
DE69022951T2 (de) 1996-03-14
DE69022951D1 (de) 1995-11-16
US5084851A (en) 1992-01-28
AU6555490A (en) 1991-05-02
EP0426053A2 (en) 1991-05-08
ES2080776T3 (es)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419B1 (ko) 광학정보기록재생용 광헤드
US5717674A (en) Three-beam generating diffraction grating, transmission type holographic optical element and optical pickup apparatus using the same
US5016954A (en) Optical pickup and hologram therefor
US5608695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with tracking error detection by detection of amount of light in fan field
MY120954A (en) Hologram optical pick-up using two laser source
KR860009392A (ko) 광 메모리의 광학시스템
EP0463295B1 (en) Optical pickup head
EP0467216A2 (en) Optical head an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US5408450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KR100479701B1 (ko) 광전자 장치
JP2701849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KR970008230B1 (ko) 광픽업장치
KR950030064A (ko) 광픽업장치
KR100213270B1 (ko) 양면 디스크용 광 픽업
US5144131A (en) Device for optically scanning an information plane detecting border portions of light beam
JPH06251396A (ja) 光ヘッド装置
JP2763174B2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H02162541A (ja) 光学式信号再生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光学部品
EP0790607A1 (en) Photodetector used for optical head
JPH10143878A (ja) 光ピックア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KR100339345B1 (ko) 광픽업장치
JPS6413246A (en) Optical head for magneto-optical storage
KR930009680B1 (ko) 광기록 재생장치의 주사방법 및 장치
US6172350B1 (en) Optical head and an optical information reading method applied therein
JPH05128576A (ja) 光学ヘツ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