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314B1 - 스피닝 성형방법과 스피닝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닝 성형방법과 스피닝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314B1
KR930010314B1 KR1019920005971A KR920005971A KR930010314B1 KR 930010314 B1 KR930010314 B1 KR 930010314B1 KR 1019920005971 A KR1019920005971 A KR 1019920005971A KR 920005971 A KR920005971 A KR 920005971A KR 930010314 B1 KR930010314 B1 KR 930010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rel
forming
molded
spinning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시 가또오
기미오 오찌아이
마사루 구레바야시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단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오까 이찌노스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6855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637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685608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67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933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7752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0068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7042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0069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7042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0067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5028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단데쓰 가부시끼가이샤, 오까 이찌노스께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단데쓰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3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14Spi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2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wheels or the like
    • B21D53/26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wheels or the like wheels out of a singl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14Spinning
    • B21D22/16Spinning over shaping mandrels or for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81Wheel making
    • Y10T29/49492Land wheel
    • Y10T29/49496Disc type wheel
    • Y10T29/49503Integral rim and disc m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Forg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피닝 성형방법과 스피닝 성형장치
제1도는 차량용 휘일의 소재가 맨드릴상에 위치된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의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표시 하는 단면도.
제2도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과 제5항의 맨드릴 상에 위치된 차량용 휘일의 소재의 단면도.
제3도 내지 제8도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
제3도는 차량용 휘일의 소재의 바깥표면쪽을 표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동일하게 그것의 반대표면쪽(reverse surface side)을 표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그것의 배면도.
제6도는 제5도의 X-X선에 따른 단면도.
제7도의 맨드릴 상에 위치된 차량용 휘일의 소재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8도는 차량용 휘일의 최종 제품의 단면도.
제9도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과 제8항의 실시예의 단면도.
제10도 내지 제15도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9항의 실시예의 단계를 포함하는 개략도.
제16도 내지 제18도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
제16도는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XXI에 따른 부분의 확대도,
제18도는 성형된 차량용 휘일의 사시도,
제19도 및 제20도는 종래기술의 단면도.
본 발명은 스피닝 성형방법과 스피닝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휘일 제조방법으로서, 스피닝 성형을 실시한 후에 열처리를 적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에서 열처리가 적용될 때, 스피닝 성형가공을 받은 림부분이 가열에 의해서 쉽게 변형되므로, 타이어의 공기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스피닝 성형이 수행될 때, 제19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림부분(3)은 마무리 치수(도면에서 일점 쇄선으로 도시함)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그리고 열처리된 이러한 림부분은 마무리 치수로 절삭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차량의 종래제조방법은 전체 림부분의 두께가 마무리 치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전체 림부분은 열처리된 후에 절삭되므로, 절삭작업에, 결과적으로는 차량용 휘일의 제조작업에 필요한 시간 및 노동력이 많이들고, 소재의 생산수율이 저하된다.
또한, 차량용 휘일을 종래기술을 스피닝 성형할 때, 차량용 휘일의 소재는 성형다이(맨드릴; mandrel)의 둘레(periphery)상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용 휘일 소재는 성형 다이와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프레스장치(rotary pressing device)에 의해서 성형다이를 따라서 인발되는 방식으로 즉, 눌려서 눕혀지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성형 다이(맨드릴)는 차량용 휘일에 대해 고유한 것이 요구되므로 림의 폭이 다른 차량용 휘일이 성형되어야 할 경우 별도로 준비된 성형다이(맨드릴)로 교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차량용 휘일을 스피닝 성형하기 위해서 여러종류의 성형다이(맨드릴)가 준비되어야 하며, 결국 성형다이(맨드릴)의 제조 코스트는 증가하고, 더욱이 성형다이(맨드릴)를 유지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비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스피닝 성형이 수행될 때, 먼저 소재가 주조되며, 이러한 주조소재는 스피닝 성형된다.
이러한 경우에, 종래의 기술에서는 성형재료로서, 소위 4C-재료(JIS H 5202참조)(예를 들면, Cu : 0.006중량%, Mg : 0.33중량%, Fe : 0.12중량%, Mn : 0.006중량%, Ti : 0.115중량%, Sb : 0.112중량%, 및 잔부 : Al)가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성형재료를 주조함으로써, 소재는 제조되고, 이 소재는 스피닝 성형된다.
그러나, 종래의 성형재료를 사용하여 소재가 주조된 후 스피닝 성형된 것은 전성의 결핍으로 인하여 성형성이 좋지 않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예를 들면, 차량용 휘일(W)이 스피닝 성형될 때, 제20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부분(D) 및 원통형 림소재(3)는 차량용 휘일 소재(1)를 얻기 위하여 단조 또는 주조에 의해서 성형된다. 회전프레스장이(2)에 의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림성형 맨드릴(12)의 바깥둘레에 맞물려 있는 상기 소재(1)를 인발함으로써, 림부분(31)은 형성된다(일본국 우선 공개특허공보 제86-115640호).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피닝 성형방법에서, 성형될 원통형 소재(원통형 림소재; 3)가 성형 맨드릴(림성형 맨드릴; 12)상에 위치될 때, 성형될 상기 원통형 소재(원통형 림소재; 3)는 상기 성형 맨드릴(림성형 맨드릴; 12)의 성형면(126)과 밀접하게 접촉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인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원통형 소재(3)가 회전프레스장치(2)를 통해서 인발될때, 전술한 배열로 인하여 원통형 림소재(3)와 맨드릴(12)의 성형면(126)과의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원통형 소재(3)를 성형편(126)의 돌출부(림플랜지 성형부분)를 따라서 인발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비된다는 점에서 첫번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피닝 성형방법에서, 성형될 원통형 소재(원통형 림 소재; 3)는 그것의 둘레의 가장자리부분(peripheral edge)쪽으로 갈수록 점차 얇게되므로 원통형 소재(3)가 회전프레스장치(2)에 의해서 성형면(126)의 돌출부(림 플랜지 성형부분)을 따라 인발될 때, 융기부(311)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기가 어렵다는 점에서 두번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피닝 성형방법에서, 성형될 원통형 소재(원통형 림소재; 3)와 클램핑될 플레이트 부분(디스크 부분; D)과의 사이의 접촉부분의 두께가 두꺼우므로, 상기 소재(1)가 주조될 때 연결 부분에서 취약부분이 쉽게 발생하여 스피닝 성형된 제품의 강도가 유지되기 어렵다는 것이 세번째 단점이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피닝 성형방법에서, 성형될 원통형 소재(원통형 림 소재; 3)가 성형 맨드릴(림 성형 맨드릴; 12)상에 위치될 때, 성형될 상기 원통형 소재(원통형 림 소재; 3)는 성형 맨드릴(림 성형 맨드릴; 12)의 성형면(126)과 밀접하게 접촉한다.
상기에서의 설명에 따라, 원통형 소재(3)가 회전프레스장치(2)에 의하여 인발될 때 원통형 소재(3)와 맨드릴(12)의 성형면(126)과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성형면(126)을 따라서 원통형 소재(3)를 인발하는 데는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비된다는 것이 네번째 단점이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차량용 휘일이 스피닝성형될 때, 휘일용 소재는 성형 맨드릴상에 설치되어, 차량용 휘일용 소재는 맨드릴이 회전되는 동안 맨드릴의 성형면을 따라서 프레스부재에 의해서 인발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피닝 성형방법에서, 차량용 휘일의 스포오크(spoke) 부분과 림부분과의 사이의 연결부분은 맨드릴에 대해 인발 기울기를 제공할 필요성의 관점에서 필수적으로 크게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차량용 휘일의 무게는 쉽게 무거워진다는 것이 다섯번째 단점이다.
또한, 종래의 스피닝 성형에서, 성형될 주조소재는 맨드릴상에 위치되어, 성형될 소재가 맨드릴과 함께 회전되고 프레스용 주걱(spatula)으로 프레스되면서 성형될 소재는 맨드릴을 따라서 소정의 형상으로 인발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스피닝 성형방법은 성형될 주조소재의 연성을 이용하는 성형방법이므로, 성형될 이러한 소재가 복잡한 형상으로 신속하게 기계가공될 때 성형될 소재에서 무리가 발생하여 크랙이 쉽게 발생한다는 점에서 여섯번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피닝 성형장치에서 맨드릴과 테일 스톡과의 사이에 성형될 소재는 클램핑 되고 맨드릴이 회전되면서 성형될 소재는 맨드릴의 성형면을 따라서 프레스부재에 의해 인발된다. 이러한 경우에, 편평하지 않는 클램핑표면(테일 스톡측)을 갖고 있는 성형될 소재에 대하여, 테일스톡의 접촉표면은 역시 이 클램핑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되도록 디자인된다. 따라서, 성형될 소재가 테일 스톡에 의해서 클램핑될 때, 테일스톡의 각각의 접촉표면이 성형될 소재의 클램핑 표면과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올바른 위치 결정은 테일 스톡을 회전시킴으로써 얻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피닝 성형방법에서, 성형될 소재가 클램핑될 때, 테일 스톡과 맨드릴이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위치(테일 스톡의 접촉 표면이 성형될 소재의 클램핑 표면과 긴밀하게 접촉하는 위치)는 성형될 소재가 맨드릴에 설치된 후 테일 스톡을 회전시킴으로서 결정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스피닝 성형이 이루어질 때, 성형될 소재를 클램핑하기 위한 공정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소비된다는 것이 일곱번째 단점이다.
또한, 예를 들면 차량용 휘일과 같은 스피닝 성형제품에 크기, 제조일자, 기타 등을 표시하여야 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종래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사항을 성형될 소재가 스피닝 성형된 후에 적절한 수단(예를 들면 스탬핑)에 의해서 표시하였다.
그러나, 스피닝성형후 별도의 절차를 통해서 차량용 휘일상에 상기에서 언급한 사항들을 표시하는 이러한 방법은 2단계의 작업공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스피닝 성형의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필연적이라는 것이 여덟번째 단점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고유한 상기 단점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첫번째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첫번째 단점은 클램핑될 플레이트 부분의 둘레의 가장자리와 성형될 원통형 소재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및 성형 맨드릴의 바깥둘레와 맞물려 있는 (engagement) 상기 원통형 소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스피닝 성형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닝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소재가 상기 성형 맨드릴상에 장착될 때, 상기 원통형 소재의 둘레부분을 성형 맨드릴의 성형면의 가장 돌출한 부분 보다도 돌출시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두번째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제2목적은 클램핑될 플레이트 부분의 둘레의 가장자리와 성형될 원통형 소재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및 성형 맨드릴의 바깥둘레와 맞물려 있는 상기 원통형 소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스피닝 성형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닝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될 원통형 소재의 둘레의 가장자리부분의 두께를 그 잔여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세번째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제3목적은 클램핑될 플레이트 부분의 둘레의 가장자리와 성형될 원통형 소재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및 성형 맨드릴의 바깥둘레와 맞물려 있는 상기 원통형 소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스피닝 성형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닝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될 원통형 소재의 상기 클램핑될 플레이트 부분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분의 외벽표면상에 둘레홈형상(peripheral groove-like twisted portion)의 트위스트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네번째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제4목적은 클램핑될 플레이트 부분의 둘레가장자리와 성형될 원통형 소재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및 성형 맨드릴의 바깥둘레와 맞물려 있는 상기 원통형 소재를 소정의 형상으로 스피닝 성형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닝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될 원통형 소재가 상기 성형 맨드릴상에 장착될 때, 원통형 소재와 상기 성형 매드릴과의 사이에 상기 원통형 소재의 둘레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는 갭이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제4목적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될 원통형 소재와 상기성형맨드릴의 성형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다섯번째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제5목적은 원통형 몸체의 내부둘레표면상에 그것의 폭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홈부분을 가지고 있는 스피닝 성형원통형 소재를 맨드릴과 바깥표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맨드릴의 축을 중심으로하여 상기 맨드릴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원통형 소재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프레스 장치로 상기 원통형 몸체의 둘레표면을 부분적으로 프레스 하면서 상기 맨드릴의 성형면을 따라서 상기 원통형 몸체를 인발하는(drawing)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몸체의 스피닝 성형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6목적은 여섯번째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제6목적은 성형될 주조소재가 그위에 위치되는 맨드릴과; 상기 맨드릴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되고 있는 상기 성형될 주조소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상기 성형될 주조소재가 상기 맨드릴을 따라서 인발되도록 상기 회전되고 있는 성형될 주조소재를 프레스하기 위한 프레스용 주걱으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닝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될 주조소재의 성분은 Si : 5.0 내지 9.0%, Mg : 0.15 내지 0.4%, Ti0.2%, Fe0.3%, Al : 잔부 또는 Si0.2%, Mg; 2.5 내지 5.5%, Ti0.2%, Mn0.6%, Al : 잔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제6목적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될 주조소재는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해서 약 230 내지 400℃정도로 가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7목적은 일곱번째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제7목적은 베이스; 성형 맨드릴의 축과 테일스톡의 축이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베이스상에 배치된 상기 성형 맨드릴와 테일스톡, 및 상기 성형 맨드릴과 상기 테일스톡에 의해서 클램핑된 상기 성형될 소재를 상기 성형 맨드릴이 회전되는 동안 소정의 형상으로 상기 성형 맨드릴의 성형면을 따라서 인발하기 위한 프레스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맨드릴과 테일스톡은 상기 축을 따라서 왕복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는 스피닝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일스톡의 방향에 관하여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상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리테이닝 로드와 상기 테일스톡이 리테이닝 부분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테일스톡상에 설치된 상기 리테이닝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8목적은 여덟번째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제8목적은 성형될 소재가 그위에 위치해 있는 스피닝 성형맨드릴; 및 상기 성형될 소재가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상기 스피닝성형 맨드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스피닝 성형 맨드릴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성형될 소재를 상기 스피닝 성형 맨드릴의 성형면을 따라서 프레스하기 위한 프레스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닝 성형장치에 있어서, 표시용 불규칙부가 상기 스피닝 성형 맨드릴의 상기 성형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다음에,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의 실시에를 제1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서, 참고문자 D는 차량용 휘일의 소재의 디스크부분(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에서 "클램핑될 플레이트부분"에 대응함)을 표시하고 부재번호 5는 단조 또는 주조에 의해서 이 디스크 부분(D)의 외측둘레의 가장자리 부분상에 일체로 형성된 외측 림부분을 표시한다. 부재번호 3은 외측 림부분(5)의 경우와 같은 단조 또는 주조에 의해서 디스크 부분(D)의 반대측(reversed side)의 둘레의 가장자리부분상에 일체로 형성된 반대측의 원통형 림소재(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의 "성형될 원통형 소재"에 대응함)을 표시한다. 이러한 반대측의 원통형 림소재(3)는 스피닝 성형에 의해서 반대측의 림부분(31)으로 만들어지며, 그것의 둘레의 가장자리부분(32)의 두께(A)는 루우트와 트렁크 부분의 두께(B)보다 더 두껍다. 또한, 부재번호 316은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3)와 디스크부분(D)사이의 연결부분에 있는 외벽표면상에 형성된 트위스트 부분을 표시한다. 이러한 트위스트부분(316)은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3)의 둘레표면에 걸쳐서 홈처럼 뻗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차량용 휘일소재(1)는 맨드릴(12)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갭(S)은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3)와 맨드릴(12)의 림 성형면(123) 사이에 형성된다.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3)와 림성형면(123) 사이에 형성된 각도(θ)는 약 8°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통형 림소재(3)의 전방 끝부분(32)은 맨드릴(12)의 림플랜지의 성형면(124)(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의 "가장 돌출된 부분"에 대응함)보다 더 돌출(디스크 부분(D)의 반경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축(125)을 중심으로 하여 맨드릴(12)을 회전시키고, 회전프레스장치(2)에 의해서 화살표 방향으로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3)를 인발함으로써, 원통형 소재(3)는 가상선(우측에서 좌측으로)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점차적으로 변형되어서 반대측의 림(31)이 형성되고, 결국 차량용 휘일(W)이 형성된다. 부재번호 11은 휘일소재를 맨드릴(12)에 클램핑하기 위한 가압판을 표시하고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스피닝 성형방법이 상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성형될 원통형 소재는 맨드릴의 표면을 따라 인발될 때, 성형될 원통형 소재는 맨드릴의 돌출부를 따라 성형면에 용이하게 친숙해진다. 즉, 밀접하게 맞닿는다.
따라서, 이러한 스피닝 성형방법이 사용된다면, 성형될 원통형 소재는(맨드릴 의) 돌출성형면을 따라 쉽게 성형될 수 있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의 스피닝 성형방법이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성형될 원통형 소재가 맨드릴의 성형면의 돌출된 부분을 따라 인발될 때, 충분한 소재를 사용해서, 가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스피닝 성형방법이 사용된다면, 성형될 원통형 소재가 성형면의 돌출된 부분을 따라 인발될 때 융기부의 두께는 쉽게 소정의 정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의 스피닝 성형방법이 상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성형될 원통형 소재와 클램핑될 플레이브부분 사이의 연결 부분은 비교적 얇게 만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술된 것과 같은 소재가 주조될 때, 결함부분은 연결부분에서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그 결과, 스피닝 성형된 생산품의 강도는 쉽게 유지될 수 있다.
다음,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 및 제5항의 실시예를 제2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의 차량용 휘일 소재는 맨드릴(12)상에 위치된다. 이 경우에, 간격(S)이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3)의 앞쪽 끝부분쪽으로 갈수록 간격(S)이 점차로 넓어지는 방식으로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3)와 이러한 맨드릴(12)의 림성형면(123) 사이에 형성된다.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3)와 림성형면(123) 사이에 형성된 각도(θ)는 약 5°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이유는 만약 각도(θ)가 5°이하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은 설명될 회전프레스 장치(2; 로울러)가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에 대하여 눌러질 때,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3)에서 눌려진 부분으로부터 앞쪽 끝부분측상의 바닥표면은 맨드릴(12)의 성형면과 접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각의 시간당 인발량은 제한되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인발을 여러번 반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른 한편, 만약 각도(θ)가 30°를 초과한다면, 후술될 것처럼 회전프레스 장치(2; 로울러)가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3)에 대하여 눌려질 때,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3)와 회전프레스장치(2; 로울러) 사이의 접촉면적은 너무 크게되며 결과적으로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3)가 중간부분에서 파괴될 위험이 초래된다.
또한 원통형 림 소재(3)의 앞쪽 끝부분(32)은 맨드(12)의 림플랜지 성형면보다 디스크 부분(D)의 반경방향에서 직경이 보다 크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의 스피닝 성형방법이 상기 언급된 방법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성형될 원통형 소재가 맨드릴의 성형면을 따라서 인발될 때, 성형될 이러한 원통형 소재는 이러한 성형면에 용이하게 밀접하게 맞닿는다.
따라서, 만약 이러한 스피닝 성형방법이 사용된다면, 성형될 원통형소재를 성형 맨드릴을 따라서 소정의 형상(예를 들면, 차량용 휘일)으로 스피닝 성형하는 것은 용이하다.
만약 성형될 원통형 소재와 성형 맨드릴의 성형면 사이 각도가 특허청구의 범위 제5항의 스피닝 성형방법에서 처럼 5°내지 30°로 설정된다면, 스피닝 성형의 작업효율은 매우 개선된다.
제2도에서,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3)는 스피닝 성형에 의하여 반대측의 림부분(31)으로 형성되며, 그것의 앞쪽 가장자리쪽으로 갈수록 점차로 확경되어 있다.
그리고 확경각도(α12및 α3)는 그것의 앞쪽가장자리쪽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점차로 커지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차량용 휘일(1)은 맨드릴(12)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맨드릴(12)의 림성형면(123)의 확경각도(β12및 β3)는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3)의 확경각도(α12및 α3)보다도 작다. 따라서, 반대측의 원통형 소재(3)와 이러한 맨드릴(12)의 림성형면(123) 사이에서 앞쪽 가장자리쪽으로 갈수록 점차로 넓어지는 간격(S)이 형성된다.
스피닝 성형소재가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성형될 원통형 소재가 맨드릴의 성형면을 따라서 형성될 때, 상기 언급된 것처럼 성형될 이러한 원통형 소재는 점차로 단계적으로 확경되는 성형면을 따라서 맨드릴에 대하여 쉽게 밀접하게 맞닿게 된다.
따라서, 만약 이러한 스피닝 성형방법이 사용된다면 성형될 원통형 소재는 성형 맨드릴을 따라서 단계적으로 점차 확경되는 소정의 형상(예를 들면, 차량용 휘일)으로 용이하게 스피닝 성형될 수 있다.
만약 성형될 원통형 소재의 확경각도가 단계적으로 증가된다면, 스피닝 성형작업의 작업수행은 훨씬 개선된다.
더욱이 성형될 원통형 소재의 확경 각도가(성형 맨드릴의)성형면의 확경 각도 보다도 더 크게 형성도면 스피닝 성형작업의 작업수행은 훨씬 개선된다.
다음,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의 실시예를 제3도 내지 제8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3도 내지 제8도에서, 부재번호 1은 차량용 휘일 소재(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의 "스피닝 성형 원통형 소재"에 대응함)를 표시하며, 이것은 단조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차량용 소재(1)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스피닝 성형에 의해 차량용 휘일로 성형된다. 참조문자(D)는 휘일소재(1)의 디스크부분을 표시하며, 그리고 부재번호(61,61,...)는 스포오크 부분을 표시한다. 스포오크 부분(61,61,...)은 상기 디스크부분(D)으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림부분(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의 "원통형 몸체"에 대응함)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다. 부재번호(111)은 디스크 부분(D)의 축구멍을 표시한다.
다음, 부재번호(621,621,...)는 림 부분(62)을 외향으로 소성변형 시킴으로써 림부분(62)의 내부 가장자리표면상에 형성된 홈을 표시한다. 각각의 홈(621)은 스포오크 부분(61)의 연결부분으로 부터(림부분(62)의) 폭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한, 부재번호(611,611,...)는 스포오크 부분(61,61,...)의 뒷면상에 형성된 보조홈을 표시한다. 이러한 보조홈(611)는 각각 림부분(62)의 홈(621)에 연결된다. 휘일소재(1)의 상태에서, 윈도우부분(63,63,...)은 아직 관통되지 않는다.
다음, 제7 및 제8도에서, 휘일 소재(1)가 사용되는 스피닝 성형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제7도에서, 부재번호(12)는 축(12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스피닝 성형 맨드릴을 표시한다. 휘일소재(1)는 데일 스톡(11)에 의해 클램핑된 이러한 맨드릴(12)의 바깥 가장자리와 맞물려 있다. 이때에, 홈부분(621)의 깊이에 대략 대응하는 간격(S,S,...)는 휘일소재(1)의 홈부분(621)의 바닥표면과 맨드릴(12)의 성형면 사이에서 생긴다. 이러한 간격(S,S,...)은 림 부분(62)의 폭방향으로 뻗어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축(127)을 중심으로 하여 맨드릴(12)을 회전시키면서, 프레스장치(2)는 림 부분(62)의 중간 부분에 대하여 접촉되며, 림부분(62)의 이 중간부분으로 부터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방향을 따라서 이 프레스장치(2)에 의해 바깥쪽으로 인발된다. 이것에 의해, 차량용 휘일(W; 제7도의 가상선에 의해 도시된 상태)은 스핀이 성형된다.
이때에, 오목부분(7)은 림 부분(62)의 루트(root)(스포오트부분(61)에 대한 연결부분)에 연결된다.
제8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최종 제품(실선에 의해 도시됨)은 스피닝성형된 차량용 휘일(도면의 가상선을 참조)을 절삭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때에, 윈도우 부분(63,63,...)은 관통된다.
스피닝 성형 원통형 소재가 상기 설명한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만약 이러한 원통형 소재가 맨드릴에 고정되어 맨드릴을 회전시킴으로써 프레스 장치를 사용해서 원통형 소재의 원통형 몸체의 바깥가장자리표면을 부분적으로 프레스하면서 맨들리의 성형면을 따라서 인발된다면, 오목부분은 원통형 몸체의 내부 가장자리표면에서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원통형 몸체는 경중량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의 스피닝 성형 원통형 소재가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오목부분은 스피닝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원통형 몸체의 스피닝 성형방법에 사용되면, 종개기술과는 반대로 이 오목부분은 스피닝 성형되는 원통형 몸체의 루트 및 트럭부분(truck portion)(차량용 휘일의 림부분과 스포오크 부분 사이 연결부분)의 내부 가장자리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통형 몸체는 경중량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음,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과 제8항의 실시예를 제9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9도에서, 참조문자 A는 스피닝 성형 장치를 표시하고 그리고 부재번호 125는 스피닝 성형장치(A)의 회전축을 표시한다. 이러한 회전축(125)은 그것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다. 부재번호 12는 회전축(125)의 바깥가장자리와 제거 가능하게 맞물린 맨드릴을 표시한다. 이러한 맨드릴(12)의 가장자리표면은 스피닝 성형 차량용 휘일(W)을 스피닝 성형하기 위한 다이부분(126)을 형성한다. 부재번호 1은 주조성형 차량용 휘일소재(본 발명의 "성형될 주조성형소재"에 대응함)를 표시하며, 그리고 주조성형 차량용 휘일소재의 성분은 Si; 5.0 내지 9.0%, Mg; 0.15 내지 0.4%, Ti;0.2%, Fe;0.3%, Al; 잔부, 또는 Si0.2%, Mg; 2.5 내지 5.5%, Ti0.2%, Mn0.6%, Al; 잔부이다. 그것은 AC4재료(JIS H 5202참조)로 부터 주조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휘일 소재(1)는 맨드릴의 한측면상에 배치되며, 테일 스톡(11)에 의해 클램핑된다. 앞에서 설명한 구성 때문에 맨드릴(12)의 회전에 따라 차량용 휘일 소재(1)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차량용 휘일 소재(1)는 주조에 의하여 제조되며, 맨드릴(12)과 테일 스톡(11)사이에 끼워져 있는 디스크부분(D)과 림소재(3)(도면의 가상선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만약 맨드릴(12)이 회전되는 동안 림소재(3)가 프레스용 주걱(2)에 의해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인발된다면, 림(31)이 스피닝 성형된다. 부재번호 8은 버어너(본 발명의 "가열수단"에 대응함)를 표시하며, 림소재(3)를 가열하기 위하여 채택된다. 이러한 버어너(8)는 프레스용 주걱(2)상에 배치되고, 프레스용 주걱(2)의 이동에 따라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었기 때문에 프레스용 주걱(2)의 작업부분은 부분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림(31)이 스피닝 성형될 때, 소재(3)는 버어너(8)에 의해 230℃ 내지 400℃까지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만약 가열온도가 230℃보다도 낮다면 성형성은 나빠지며 균열이 발생되는 반면에 가열온도가 400℃ 또는 그 이상이라면 디스크 부분(D; 차량용 휘일소재)이 너무 연화되어 쉽게 변형되기 때문이다. 또한 림소재(3)의 온도를 일정한 온도범위(230℃ 내지 400℃)내에 설정시키기 위해, 림소재(3)의 성형 부분의 온도는 적외선 온도계에 의해 측정되고, 그리고 가스 버어너(8)의 화력은 피드백 시스템에 따라 조정된다. 맨드릴(12)이 회전이 시작될때, 버어너(8)는 점화되고 그리고 버어너는 이 회전이 정지될 때 꺼진다.
우선 이러한 스피닝 성형장치(A)에 의해 차량용 휘일을 스피닝 성형하기 위해, 주조차량용 휘일소재(1)는 맨드릴(2)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테일스톡(11)에 의해 클랙핑된 후, 맨드릴(12)는 약 300RPM의 속도로 회전된다. 이때에, 버어너(8)는 동시에 점화되고, 림소재(3)를 가열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림소재의 온도가 소정온도(230 내지 400℃)에 도달하면, 이 림소재(3)는 프레스용 주걱(2)에 의해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인발되어 차량용 휘일(W)이 얻어진다. 차량용 휘일(W)을 성형한 후, 맨드릴(12)은 회전을 멈춘다. 이때에 가스 버어너(8)는 동시에 꺼진다.
또한, 성형될 주조성형소재를 가열하기 위하여 맨드릴 및/또는 프레스용 주걱이 가열될 수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의 스피닝 성형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성형될 주조소재의 양호한 연성을 유지하면서 스피닝 성형이 수행될 수 있다. 그 결과, 성형될 주조소재가 맨드릴을 따라 용이하게 인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성형될 주조소재가 신속하게 복잡한 형상으로 기계가공될 때라도 성형될 소재에 트러블이 생기지 않는다. 그 결과 균열은 이러한 소재에서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성형될 소재는 가열수단에 의해 230 내지 400℃로 가열될 수 있는 것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가열 온도가 230℃보다 낮으면 성형성이 열화되어 균열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가열온도가 400℃이상이면, 성형될 소재는 너무 연화되어 성형될 소재의 맨드릴 고정부가 쉽게 변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피닝 성형장치가 사용되면, 성형될 주조소재는 용이하게 복잡한 형상으로 신속하게 기계가공될 수 있다.
다음, 특허청구의 범위 제9항의 실시에가 제10도 내지 제15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0도 내지 제15도에서 부재번호 12는 스피닝 성형맨드릴을, 부재번호 11은 테일스톡을 나타낸다. 맨드릴(12)의 축은 테일스톡(11)의 축과 일직선상에 있다. 즉, 정합되어 있다. 부재번호 119는 맨드릴(12)의 축구멍을 표시하고 125는 축구멍(119)속에서 왕복운동 가능하게 즉, 진퇴 가능하게 배치된 제1작동로드를 표시한다. 제1작동로드(125)에는 그 앞쪽 끝부분에 고정된 압축판(128)이 구비되어 있다. 이 압출판(128)은 성형된 후 차량용 휘일(W)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유사하게, 부재번호 91은 제2작동로드를 표시하며, 이것은 스피닝 성형장치의 기판(F)위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제2작동로브(91)의 앞쪽 끝부분은 테일스톡(11)에 고정되며, 축을 따라 테일스톡(1)을 왕복운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부재번호 112는 리테이닝 구멍(본 발명의 "리테이닝 부분"에 대응함)을 표시하며, 이것은 테일 스톡(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유사하게 부재번호 92는 기판(F)위에 왕복운동 가능하게 배치된 리테이닝 로드를 표시한다. 리테이닝로드(92)의 왕복운동에 의해 이것을 테일 스톡(1)의 리테이닝 구멍(112)에 집어 넣거나 빼낼 수 있다.
다음, 스피닝 성형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0도에서, 맨드릴(12)이 적당한 위치에 정치되어 있다. 테일 스톡(11)이 지금 제2작동로드(91)의 조작에 의해 기판(F)쪽의 후퇴위치에 있다. 이때 리테이닝 로드(92)는 테일 스톡(11)의 리테이닝 구멍(112)에 끼워진다. 부재번호 1은 맨드릴(12)과 테일 스톡(11)사이에 배치되어 척부재(C)에 의해 클램핑된 차량용 소재(특허청구의 범위 제9항의 "성형될 소재"에 대응함)를 표시한다. 척부재(C)는 차량용 휘일 소재(1)을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 제11도에서, 제2작동로브(91)가 테일 스톡(11)를 압출하도록 조작되고, 제1작동로브(125)가 압출판(128)을 압출하도록 조작되어서 차량용 휘일(1)이 테일 스톡(11)과 압출판(128)사이에 유지된다. 이때 테일 스톡(11)의 압출과 동시에 리테이닝 로드가 뻗어나와 리테이닝 구멍내에서의 리테이닝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제12도에서와 같이, 차량용 휘일소재(1)가 압출판(128)과 테일스톡(11)사이에 유지되는 동안, 테일스톡(11)은 더욱 압출되어 차량용 휘일소재(1)는 맨드릴(12)과 밀접하게 접촉된다. 이때에, 리테이닝 로드(92)는 후퇴되어 테일스톡(11)의 리테이닝 구멍(112)으로부터 해방된다. 이 상태에서 맨드릴(12)이 그것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동안 차량용 휘일소재(1)는 프레스용 부재(2)에 의해(맨드릴(12)의) 성형면을 따라 인발되며, 이로써 차량용 휘일(W)의 스피닝 성형이 실행된다(제13도 참조).
다음, 제14도에서와 같이, 압출판(128)과 테일 스톡(11)에 의해 차량용 휘일(W)이 유지되는 동안 압출판(128)은 압출되고, 차량용 휘일(W)은 맨드릴(12)로 부터 제거된다. 이때 테일 스톡(11)의 후퇴와 동시에 리테이닝 로드(92)는 신장되어 리테이닝 구멍(112)속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로써 맨드릴(12)의 정지상태에 대한 테일 스톡(11)의 바른위치가 얻어진다.
다음 제15도에서 처럼, 차량용 휘일(11)이 척부재(d,d)사이에 유지된 후 제2작동로브(91)가 테일 스톡(11)을 후퇴시키도록 조작되고 제1작동로브(125)가 압출판(128)을 후퇴시키도록 조작되어서 차량용 휘일(W)이 테일스톡(11)과 압출판(128)으로부터 해방된다. 이때 리테이닝 로드(92)도 테일스톡(11)의 후퇴에 따라 역시 후퇴되나, 그것의 리테이닝 구멍(112)안의 리테이닝 상태는 유지된다. 그래서, 맨드릴(12)의 정지상태에 대한 테일스톡(11)의 바른위치는 계속 유지된다.
이 실시예에서, 차량용 휘일이 성형되는 경우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스피닝 성형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특허청구의 범위 제9항의 스피닝 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맨드릴의 정지위치에 대한 테일 스톡의 대응위치가 먼저 확립되고, 이러한 확립된 위치에서 테일 스톡이 맨드릴로부터 분리되고 동시에 테일 스톡이 리테이닝 로드에 의해 유지되면, 테일 스톡은 맨드릴이 전술한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는 한 이 맨드릴에 대한 바른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스피닝 성형 장치가 사용되면, 테일 스톡이 맨드릴에 대해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결국, 스피닝성형으로 성형될 소재의 장착작업이 종래기술에 비해 아주 단순화될 수 있다.
다음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의 실시예가 제16도 내지 제18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6도에서, 부재번호 12는 그 축(12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스피닝 성형 맨드릴을 표시한다. 부재번호 1은 차량용 휘일소재(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의 "성형될 소재"에 대응함)이고 차량용 휘일소재(1)가 맨드릴(12)의 바깥가장자리에 맞출리는 상태로 테일 스톡(11)에 의해 클램핑된다. 이 차량용 휘일 소재(1)는 디스크부분(D), 스포오크부분(15) 및 림소재 부분(3)으로 구성된다. 다음 부재번호 126은 맨드릴(12)의 가장자리표면 상에 형성된 맨드릴(12)의 성형면을 표시한다. 이 성형면(126)은 차량용 휘일(W)의 림부분(31)을 성형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특별히 부재번호 129는 맨드릴(12)의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림플랜지 성형부를 표시한다. 이 림플랜지 성형부(129)는 맨드릴(12)의 축에 대체로 수직인 평면을 형성한다. 이 림플랜지 성형부(129)에는 제17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그 위에 형성된 표시용 불규칙부(M)가 구비되어 있다. 이 표시용 불규칙부(M)는 문자, 마크 등의 형상에 따라 불규칙하게 형성된다. 이것들을 예를 들면 제품규격, 제조일 등에 해당하는 형상을 갖는다.
전술한 상태에서 맨드릴(12)이 축(127)을 중심하여 회전되는 동안 프레스장치(2)는 림소재부분(3)과 접촉되고, 림소재부분(3)은 이 프레스장치에 의해 외향(화살표 방향)으로 인발된다. 그 결과 스피닝 성형된 차량용 휘일(W)(제16도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상태)이 생긴다. 이때에 제품규격, 제조일 등은 차량용 휘일(W)의 림플랜지부(311)에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제18도 참조).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의 스피닝 성형장치가 전술한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맨드릴의 성형면을 따라 성형될 소재를 성형하면서 적당한 표시수단이 성형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피닝 성형장치가 사용되면, 종래기술에서 처럼 스피닝 성형 후에 스탬핑 등에 의한 표시수단은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스피닝 성형된 제품에 이와 같은 표시수단을 적용하기 위한 작업은 단지 한번의 프로세스로 행해질 수 있다. 그 결과 스피닝 성형작업의 작업효율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위에서 상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러가지 많은 변화와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개시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0)

  1. 클램핑될 플레이트 부분(D)의 둘레가장자리와 성형될 원통형 소재(3)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및 성형 맨드릴(12)의 바깥둘레(126)와 맞물려있는 상기 원통형 소재(3)를 소정의 형상으로 스피닝 성형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닝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소재(3)가 상기 성형 맨드릴(12)상에 장착될때, 상기 원통형 소재(3)의 둘레부분을 상기 성형 맨드릴(12)의 성형면의 가장 돌출된 부분보다도 돌출시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방법.
  2. 클램핑될 플레이트 부분(D)의 둘레의 가장자리와 성형될 원통형 소재(3)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및 성형 맨드릴(12)의 바깥둘레(126)와 맞물려 있는 상기 원통형 소재(3)를 소정의 형상으로 스피닝 성형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닝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될 원통형 소재(3)의 둘레의 가장자리부분의 두께를 그 잔여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방법.
  3. 클램핑될 플레이트 부분(D)의 둘레의 가장자리와 성형될 원통형 소재(3)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및 성형 맨드릴(12)이 바깥둘레(126)와 맞물려있는 상기 원통형 소재(3)를 소정의 형상으로 스피닝 성형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닝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될 원통형 소재(3)와 상기 클램핑될 플레이트 부분(D)과의 사이에 있어서의 연결부분의 외벽표면상에 둘레홈형상의 트위스트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방법.
  4. 클램핑될 플레이트 부분(D)의 둘레의 가장자리와 성형될 원통형 소재(3)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및 성형 맨드릴(12)이 바깥둘레(126)와 맞물려있는 상기 원통형 소재(3)를 소정의 형상으로 스피닝 성형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닝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될 원통형 소재(3)가 상기 성형 맨드릴(12)상에 장착될 때, 상기 원통형 소재의 둘레가장자리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는 캠(S)이 상기 원통형 소재(3)와 상기 성형 맨드릴(12)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될 원통형 소재(3)와 상기 성형맨드릴(12)의 성형표면(126)과의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방법.
  6. 원통형 몸체(62)의 내부둘레표면상에 그것의 폭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홈부분(621)을 가지고 있는 스피닝 성형원통형 소재(1)를 맨드릴(12)의 바깥 표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맨드릴의 축을 중심으로하여 상기 맨드릴(12)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원통형 소재(1)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프레스 장치(2)로 상기 원통형 몸체(62)의 둘레표면을 부분적으로 프레스하면서 상기 맨드릴(12)의 성형면(126)을 따라서 상기 원통형 몸체(62)를 인발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몸체의 스피닝 성형방법.
  7. 성형될 주조소재(1)가 그위에 위치되는 맨드릴(12)과; 상기 맨드릴(12)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되고 있는 상기 성형될 주조소재(1)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8)과; 상기 성형될 주조소재(1)가 상기 맨드릴(12)을 따라서 인발되도록 상기 회전되고 있는 성형될 주조소재(1)를 프레스하기 위한 프레스용 주걱(2)으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닝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될 주조소재의 성분은 Si; 5.0 내지 9.0%, Mg; 0.15 내지 0.1%, Ti;0.2%, Fe;0.3%, Al; 잔부, 또는 Si0.2%, Mg; 2.5 내지 5.5%, Ti0.2%, Mn0.6%, Al; 잔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방법(A).
  8. 제7항에 있어서, 성형될 상기 주조소재(1)는 상기 가열수단(8)에 의해서 230 내지 400℃정도로 가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방법(A).
  9. 베이스(F); 성형 맨드릴(12)의 축과 테이스톡(11)의 축이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베이스(F)상에 배치된 상기 성형 맨드릴(12)와 테일스톡(11), 및 상기 성형 맨드릴(12)과 상기 테일스톡(11)에 의해서 클램핑된 상기 성형될 소재(1)를 상기 성형 맨드릴(12)이 회전되는 동안 소정의 형상으로 상기 성형 맨드릴(12)의 성형면을 따라서 인발하기 위한 프레스 부재(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맨드릴(12)과 테일스톡(11)은 상기 축을 따라서 왕복 이동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는 스피닝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일스톡(11)의 방향에 관하여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F)상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리테이닝 로드(92)와, 상기 테일스톡(11)이 리테이닝 부분에 의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테일스톡(11)상에 설치된 상기 리테이닝 부분(1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방법.
  10. 성형될 소재(1)가 그위에 위치해 있는 스피닝 성형맨드릴(12); 및 상기 성형될 소재(1)가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상기 스피닝 성형 맨드릴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스피닝 성형 맨드릴(12)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성형될 소재(1)를 상기 스피닝 성형 맨드릴(12)의 성형면을 따라서 상기 성형될 소재를 프레스하기 위한 프레스 부재(2)로 구성되어 있는 스피닝 성형 장치에 있어서, 표시용 불규칙부(M)가 상기 스피닝 성형맨드릴(12)의 상기 성형면(126)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성형방법.
KR1019920005971A 1988-10-24 1992-04-10 스피닝 성형방법과 스피닝 성형장치 KR930010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268560 1988-10-24
JP63268559A JPH0763794B2 (ja) 1988-10-24 1988-10-24 スピニング成形方法
JP88-268559 1988-10-24
JP26856088A JPH0716747B2 (ja) 1988-10-24 1988-10-24 スピニング成形用素材
JP89-93339 1989-04-13
JP1093339A JP2775288B2 (ja) 1989-04-13 1989-04-13 スピニング成形用筒状素材および筒体のスピニング成形方法
JP89-220067 1989-08-26
JP89-220068 1989-08-26
JP89-220069 1989-08-26
JP22006889A JP2704232B2 (ja) 1989-08-26 1989-08-26 スピニング成形装置
JP22006989A JP2704233B2 (ja) 1989-08-26 1989-08-26 スピニング成形装置
JP22006789A JP2745028B2 (ja) 1989-08-26 1989-08-26 スピニング成形装置および車両用ホイールのスピニング成形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281A Division KR930010312B1 (ko) 1988-10-24 1989-10-24 차량용 휘일의 스피닝 성형방법 및 차량용 휘일의 스피닝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314B1 true KR930010314B1 (ko) 1993-10-16

Family

ID=275518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281A KR930010312B1 (ko) 1988-10-24 1989-10-24 차량용 휘일의 스피닝 성형방법 및 차량용 휘일의 스피닝 성형장치
KR1019920005971A KR930010314B1 (ko) 1988-10-24 1992-04-10 스피닝 성형방법과 스피닝 성형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281A KR930010312B1 (ko) 1988-10-24 1989-10-24 차량용 휘일의 스피닝 성형방법 및 차량용 휘일의 스피닝 성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92040A (ko)
EP (1) EP0366049B1 (ko)
KR (2) KR930010312B1 (ko)
AU (3) AU639674B2 (ko)
CA (1) CA2001372A1 (ko)
DE (2) DE68912874T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611B1 (ko) * 2012-04-13 2014-07-21 주식회사 대유신소재 플로우 포밍 성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6384A1 (en) * 1989-10-30 1991-05-16 Asahi Malleable Iron Co., Ltd. Spin molding apparatus
GB2295341A (en) * 1994-11-25 1996-05-29 Asahi Tec Corp Method for spinning vehicle wheel
FR2727336B1 (fr) * 1994-11-29 1997-01-31 Asahi Tec Corp Procede de fluotournage d'une roue de vehicule
EP0743112A1 (en) * 1995-05-17 1996-11-20 Metal Forming Machin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vehicle wheel
IT1279738B1 (it) * 1995-09-29 1997-12-16 Reynolds Wheels Spa Procedimento di formatura di cerchi per pneumatici in lega metallica
DE19615675C2 (de) * 1996-04-19 1998-12-17 Leifeld Gmbh & Co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ahrzeugrades
US6536111B1 (en) 1996-07-24 2003-03-25 Hayes Lemmerz International, Inc. Process for spin forming a vehicle wheel
US6539765B2 (en) 2001-03-28 2003-04-01 Gary Gates Rotary forging and quenching apparatus and method
DE10141510A1 (de) * 2001-08-24 2003-03-13 Audi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Leichtmetall-Felgen
JP2003127030A (ja) * 2001-10-22 2003-05-08 Enkei Kk アルミニウム合金製ホイールの製造方法
US6719173B2 (en) * 2002-03-25 2004-04-13 Owens-Brockway Plastic Products Inc. Multilayer container package for dispensing a liquid product
WO2004110786A2 (en) * 2003-06-09 2004-12-23 Smyth Larry C Method is for marking a vehicle wheel for subsequent identification and tracking
WO2005014201A1 (ja) * 2003-08-11 2005-02-17 Washi Kosan Co., Ltd. ホイールの製造方法とそのホイール
US7228629B2 (en) 2003-11-10 2007-06-12 Beyer Michael J Method of spin forming an automotive wheel rim
EP1708837B1 (en) * 2004-01-07 2011-03-16 Wheels India Limited Wheels of unitary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MXPA06007854A (es) * 2004-01-07 2007-01-26 Wheels India Ruedas de estructura de un solo componente y metodo para hacer las mismas.
WO2005084884A1 (en) * 2004-03-03 2005-09-15 Smyth Larry C Method for electronically identifyng a coded part
NL1026796C2 (nl) * 2004-08-06 2006-02-07 Fontijne Grotnes B 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door middel van koude vervorming vervaardigen van een velgring.
WO2007117637A2 (en) * 2006-04-07 2007-10-18 Peio Todorov Stoyanov One-piece wheel produced by casting a wheel hub and spin-forming rims
CA2866719C (en) * 2011-01-11 2017-11-21 Timothy J. Cripsey Flow formed drum with a retention ring and a substantially burr free tooth profile
KR101370082B1 (ko) * 2012-04-13 2014-03-06 주식회사 대유신소재 플로우 포밍 성형기
CN103831593B (zh) * 2014-03-20 2016-04-06 浙江亿利达风机股份有限公司 空调风机端圈的成型方法
CN104191900B (zh) * 2014-08-20 2016-07-06 上海兴浦旋压车轮有限公司 一体式板材无焊缝车轮及其成型方法
CN104191906B (zh) * 2014-08-20 2016-05-04 上海兴浦旋压车轮有限公司 一体式型钢无焊缝车轮及其成型方法
CN104551544B (zh) * 2014-11-14 2017-09-26 保定市立中车轮制造有限公司 提高铝合金车轮毂旋压成型成品率的制造方法
CN106424406B (zh) * 2016-12-26 2018-08-17 安庆迪力机械铸造有限公司 一种加热旋压扩口装置
CN106734669A (zh) * 2016-12-26 2017-05-31 安庆迪力机械铸造有限公司 一种叉车轮毂用旋压扩口装置
CN106825272A (zh) * 2016-12-26 2017-06-13 安庆迪力机械铸造有限公司 一种叉车轮毂扩口装置
GB2563068B (en) * 2017-06-02 2022-10-12 Gkn Aerospace Services Ltd Friction forming
CN113369362B (zh) * 2021-06-07 2022-08-30 四川航天长征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航天用套罩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68654B (ko) * 1959-11-12
US1528734A (en) * 1921-12-21 1925-03-03 Robertshaw Mfg Company Burner control
US2075294A (en) * 1934-03-26 1937-03-30 Kelsey Hayes Wheel Co Method of forming vehicle wheels
DE1908465C3 (de) * 1969-02-20 1973-10-04 Fa. Otto Fuchs, 5892 Meinerzhage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mstuckigen Leichtmetall Speichen rades
US4528734A (en) * 1982-07-08 1985-07-16 Ni Industries, Inc. Method of spin forging a vehicle wheel
KR920008551B1 (ko) * 1984-07-05 1992-10-01 와시 고오산 가부시끼가이샤 경합금제 바퀴의 제조 방법
JPS61115640A (ja) * 1984-11-07 1986-06-03 Washi Kosan Kk 軽合金製ホイ−ルの製造方法
JPS61115641A (ja) * 1984-11-12 1986-06-03 Washi Kosan Kk 軽合金製ホイ−ル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611B1 (ko) * 2012-04-13 2014-07-21 주식회사 대유신소재 플로우 포밍 성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57411B2 (en) 1995-03-09
AU3982493A (en) 1993-08-05
EP0366049A3 (en) 1991-07-17
EP0366049A2 (en) 1990-05-02
US5092040A (en) 1992-03-03
AU4360689A (en) 1990-04-26
EP0366049B1 (en) 1994-02-02
DE68912874D1 (de) 1994-03-17
DE68912874T2 (de) 1994-08-25
AU639674B2 (en) 1993-08-05
DE68912874T4 (de) 1995-08-31
AU651197B2 (en) 1994-07-14
KR900006039A (ko) 1990-05-07
KR930010312B1 (ko) 1993-10-16
CA2001372A1 (en) 1990-04-24
AU1609692A (en) 199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0314B1 (ko) 스피닝 성형방법과 스피닝 성형장치
JP2538183B2 (ja) 車両の一体車輪を製作する方法
US5579578A (en) Method for producing a rim for a vechicle wheel
US4962587A (en) Method of making a wheel rim
JP3476463B2 (ja) フルフェイス組立車両用ホイールの製造方法
US4554810A (en) Draw-spinning of integral vehicle wheel rim and disc segments
US2004010757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lloy rim for automobile
US6189357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forming vehicle wheel rims
CA2035522C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asymmetric pulley from a metal disk
JP3202204B2 (ja) 加圧ローリング法および加圧ロール装置
US5927121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gear part
KR100235823B1 (ko) 환상주벽을 가지는 판금체 및 그 환상주벽의 비대화방법
JP2005504674A (ja) ランフラット用ホイールのためのランフラット用支持体を製造する方法
CA2546338C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flange on a metal blank, and transmission part
US6571590B1 (en) Method for producing a rim for a pneumatic tire
WO2001034318A1 (en) Method for making seamless wheel rims
US20010053725A1 (en) Internal spun hub and method of making same
KR950031303A (ko) 회전단조장치
KR930010315B1 (ko) 스피닝 성형소재
JPH0471743A (ja) 自動車用ホイールの製造方法
WO198600054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alloy wheels
JP2576501B2 (ja) ブレーキ・ブースターの側部ボデーの成形方法
JPH0757403B2 (ja) ホイ−ル用リムの製造法
JP4076253B2 (ja) 軸受内輪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
SU1704884A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полых осесимметричных деталей типа дни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1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