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238B1 - 폴리아릴렌 술피드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아릴렌 술피드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238B1
KR930010238B1 KR1019900009572A KR900009572A KR930010238B1 KR 930010238 B1 KR930010238 B1 KR 930010238B1 KR 1019900009572 A KR1019900009572 A KR 1019900009572A KR 900009572 A KR900009572 A KR 900009572A KR 930010238 B1 KR930010238 B1 KR 930010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lkyl
carbon atoms
parts
polyarylene sulf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866A (ko
Inventor
노리후미 노나까
도시가쯔 니또오
앤드류 오어르바흐
Original Assignee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아샤
가스가 다꾸조오
회흐스트 셀라니스 코오퍼레이션
에일린 티. 브라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643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6083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311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19356B2/ja
Application filed by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아샤, 가스가 다꾸조오, 회흐스트 셀라니스 코오퍼레이션, 에일린 티. 브라운 filed Critical 폴리플라스틱스 가부시끼가아샤
Publication of KR91000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1/02Polythioethers; Polythioether-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7Cyclic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93Phosphonous compounds, e.g. R—P(OR')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8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sulf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아릴렌 술피드 수지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아릴렌 술피드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변색방지를 크게 개선한 성형품을 가능하게 하는 폴리아릴렌 술피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방염성(防焰性)과 함께 우수한 기계적 특성, 높은 내열성과 높은 내약품성을 갖고 있는 열가소성 수지가, 전기 또는 전자장 비부품, 자동차 장비부품 및 화학약품 장비부품용 재료로서 요망되어 왔다. 폴리페닐렌 술피드를 포함하는 폴리아릴렌 술피드 수지가 이 요망에 부응할 수 있는 수지중의 하나이고, 이들은 또한 비용에 비해 탁월한 특성을 갖고 있어서 그 수요는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 수지는 사출성형법으로 가공할 때, 성형하기 전보다 성형후 전체적으로 성형품의 색상이 변화하는 문제, 검은색 띠를 띄거나 반점식변색을 나타내는 문제, 또는 성형후 높은 온도에서 사용할 때 변색되기 쉬운 문제(앞으로는 단순히 변색 등이라고 한다)등의 그 외관에 다음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이 나타난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기아인산염을 첨가하는 방법이 변색을 방지하는 기술로서 제안되었다(일본특허 공개 제 1735/1972호 참조).
그러나 본 발명자가 시험하여 본 결과 이것은 많은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 판명 되었다. 이 방법에서는 특히, 첨가물의 내열성이 불충분하고, 증발가스 또는 분해가스가 성형중 발생하기 쉬워서 이 방법은 작업성, 제품의 특성 및 외관의 모든점에서 볼 때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본 발명자는 폴리아릴렌 술피드 수지조성물, 특히 이 수지를 성형할 때 성형품의 변색등을 방지할 수 있고, 분해가스를 생성하지 않는 조성물을 개발할 목적으로 광범위하고 또 집중적으로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는, 다음식(1)(2)에서와 같이 분자내에 두 개의 인(P) 원자를 갖고 있는 유기 비스포스피트화합물로 이루어지느 조성물은, 열안정성이 우수하고, 성형온도에서 압출 및 성형할 때 분해가스나 증발가스를 거의 발생하지 않고, 발화할 염려가 없고, 성형성과 같은 작업성을 방해하지 않고, 종래의 조성물의 그것보다 변색등을 억제하는 효과가 대단히 좋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특별한 실란화합물을 이 조성물에 혼입하면 전술한 여러 가지 특성을 더욱 개선하고 결국은 본발명은 완성하게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술피드조성물은 장비의 성형부품에 유용하고, (A)폴리아릴렌술피드 100부(중량)와 (B)다음식(1) 또는 (2)의 유기 비스포스피트 0.01∼10중량부를 함유하며,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여기서, R1, R2, R3및 R4는 각각 알킬, 적어도 한 개의 치환기를 갖는 알킬, 아릴, 적어도 한 개의 치환기를 갖는 아릴 또는 알콕시이고, X는 알킬렌, 적어도 한 개의 치환기를 갖는 알킬렌, 아릴렌 또는 적어도 한 개의 치환기를 갖는 아릴렌이다. 조성물은 (C) 400중량부까지의 무기충전제를 함유하거나 (D) 0.01∼5중량부까지의 아미노 알콕시실란, 에폭시알콕시실란, 메르캅토알콕시실란과 비닐알콕시실란과 같은 알콕시실란중에서 적어도 한 개를 함유할 수 있다.
R1, R2, R3및 R4는 상호 독립적이고, 다음과 같은 것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2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5∼23개의 탄소원자뿐만아니라 히드록시를 갖는 알킬; 페닐, 나프틸 및 비페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아릴; 페닐, 나프틸 및 비페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그외에 메틸 및 t-부틸과 같이 탄소원자 2∼8개를 갖는 알킬 또는 히드록시로 이루어진 기에서 선택한 아릴; 및 5∼2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 그리고 X는 다음과 같은 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2∼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 다음식-[(CH2)n-O-]m-을 갖는 올시알킬렌 : 여기서 n은 2∼4이고 m은 2∼4이다; 다음식 -[(CH2)n-O-]m을 갖고 n은 2∼4, m은 2∼4이며 또한 히드록시나, 또는 예컨대 메틸과 같이 1∼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을 갖는 옥시알킬렌 기; 페닐렌, 비페닐렌 및 비스페닐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릴렌기 : 및 페닐렌, 비페닐렌, 비스페닐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그외에 메틸과 t-부틸과 같이 1∼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로 된 아릴렌기.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구성된 폴리아릴렌 술피드조성물이 제공된다; (A) 중량으로 100부의 폴리아릴렌 술피드 수지, 및 이에 첨가한 (B) 중량으로 0.01∼10부의 다음식(1) 또는 (2)와 같은 유기 비스포스피트;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여기서 R1, R2, R3및 R4는 동일한 수도 다를 수도 있으며, 각각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및 알콕시에서 선택된 기이고 X는 2가의 알킬렌, 치환된 알킬렌, 아릴렌, 또는 치환된 아릴렌기이고, (C)중량으로 0∼400부의 무기충전체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성부(A), (B) 및 (C)에 첨가하여 (D) 알콕시실란, 에폭시 알콕시실란, 메르캅토알콕시실란 및 비닐알콕시실란중에서 선택한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실란화합물 0.01∼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폴리아릴렌 술피드 수지조성물이 제조된다 :
본발명의 조성물의 성분(A)로서 기본수지는 폴리아릴렌술피드수지(PAS)이고 주로 다음의 반복되는 단위-(Ar-S-)-를 함유하고 있고, 여기서 Ar은 아릴렌 기이다.
아릴렌 기의 예로서는,
Figure kpo00005
여기서 Y는 알킬기이고 바람직하게는 C1-C6의 알킬기이거나 페닐기이고, n은 1∼4의 정수이다.
Figure kpo00006
나프탈렌기 (
Figure kpo00007
)가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아릴렌기를 구성하는 아릴렌 술피드중에서 동일 반복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즉 단일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경우에는 조성물의 작업성의 관점에서 종료가 다른 반복단위를 갖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단일중합체는 p-페닐렌 술피드 기의 반복단위를 이루는 선형중합체로 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여기에서는 p-페닐렌기가 아릴렌기로 사용된다.
공중합체는 전술한 아릴렌기로 된 2 또는 그이상의 다른 아릴렌술피드 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중에서 p-페닐렌 술피드 기와 m-페닐렌술피드 기로 된 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적어도 50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몰%의 페닐렌 술피드기를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내열성, 성형성 및 기계적 특성과 같은 특성의 관점에 적당하다.
이 경우 반복되는 블록형태의 성분의 단위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예를들어, 일본특허 공개 제 14228/1986호에 개시된 것)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불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성분의 단위를 함유하는 공중합물과 작업성은 동일하나 내열성 및 기계적 특성은 우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성분(A)와 같은 폴리아릴렌 술피드수지가 산화가교결합 또는 열가교결합으로 경화되어 만들어진 중합체일지라도, 실질적으로 선형구조가 이루어져 있고 또 주로 2관능성 단량체로 조성된 단량체를 중축합하여 만들어진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310℃의 온도가 5/sec의 전단력의 조건에서 측정할 때, 바람직하게는 용융점도가 1×10∼5×104P, 더욱 바람직하게는 50∼5×104P,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5×104P인 선형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용융점도가 10P 보다 낮으면, 유동성이 너무 높아져서 용융가공을 하기 어려워진다. 이 경우 성형품을 만들 수 있을지라도 그의 기계적 특성이 대단히 낮다. 반대로, 용융점도가 5×104P를 초과하면 유동성이 나쁘기 때문에 용융가공이 어렵다.
본 발명에서 성분(B)로서 첨가된 유기 비스포스피트화합물은 전술한 식(1) 또는 (2)로 나타나는 구조를 가지는 어떤 화합물도 가능하다.
식(1)(2)에서, R1∼R4는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치환된 아릴, 및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었으며,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R1∼R4는 성형중 안정성의 관점에서 각각 5 또는 그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 치환된 알킬기, 아릴기, 또는 치환된 아릴기일 수 있다. 특히 R1∼R4가 10 또는 그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거나, 또는 R1∼R4중 적어도 하나는 아릴 또는 치환된 아릴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는 각각 표 1∼3의 주의 1에 기술된 A, B, C 및 D의 구조를 가지는 물질이다.
X는 2가의 알킬렌, 치환된 알킬렌, 아릴렌 또는 치환된 아릴렌기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전술한 식(1)(2)에 의하여 나타난 성분(B)의 양은 폴리아릴렌 술피드수지중량의 100부에 대해서 중량으로 0.01∼10부이고 더 좋은 것은 0.1∼5부이다. 양이 너무 적으면 본발명에서 기대하는 효과가 없고, 한편 너무 양이 많으면 특성이 저하되고 가스가 발생하는 바람직스럽지 못한 문제가 야기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성분(C)의 무기충전제가 항상 필요하지는 않지만 기계적 강도, 내열성, 칫수의 안정성(변형 및 외곡에 대한 저항성) 및 전기적 특성과 같은 성능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하려는 목적으로 이성분을 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상 또는 비섬유상(입자 및 조각)의 어떤 충전제라도 목적에 따라 무기충전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섬유상 충전제의 예로서 예컨대, 유리섬유, 석면, 탄소섬유, 시릴카섬유, 실리카-알루미나섬유, 지르콘섬유, 질화붕소섬유, 질화규소섬유, 붕소섬유 및 티탄산칼륨섬유와 같은 무기질 섬유상 물질, 예컨대 스텐리스스틸, 알루미늄, 티탄, 동 및 황동과 같은 섬유상 금속이 있다. 이들중에서 유리섬유와 탄소섬유가 대표적 섬유상 충전제이다. 또한 폴리아미드, 플로로수지 및 아크릴수지와 같은 고융점의 유기섬유상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입자상 충전제의 예는 카본블랙, 예컨대, 실리카, 석영카루, 유리구, 유리가루와 같은 규산염, 예컨대 칼슘실리케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드, 카올린, 활석, 규조토, 규회석과 산화철, 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알루미나와 같은 금속산화물, 예컨대 탄산칼슘 및 탄산마그네슘과 같은 금속이 탄산염, 예컨대 황산칼슘 및 황산바륨과 같은 금속의 황산염, 예컨대 탄화규소, 질화규소, 질화붕소 및 여러 가지 분말상 금속과 같은 충전제등이 있다. 플레이크상 충전제의 예는 운모, 유리조각 및 여러 가지 금속박등이다.
이들 무기충전제는 단독으로 또는 2 또는 그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치수안정성, 전기특성과 함께 기계적 강도를 부여할 목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상 충전제 특히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입자상 충전제 및 또는 플래크상 충전제와 함께 조합하여 사용하는 평균 섬유길이가 30∼500㎛인 유리섬유와 가로세로의 비가 5 또는 그 이하의 무기입자상 물질을 조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충전제와 함께 표면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예로서 에폭시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실란화합물 및 티탄에이트화합물과 같은 관능성 화합물이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사전에 접착처리의 표면처리를 시행하여 사용되거나 또는 재료를 재조할 때 동시에 첨가될 수 있다.
성분(C)로서 사용되는 무기충전제의 양은 성분(A)로서의 폴리아릴렌 술피드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400중량부이나 10∼25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양이 너무 적으면 기계적 강도가 나쁘고, 양이 너무 많으면 성형작업을 하기 어려울뿐 아니라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전술한 성분(A), (B) 및 (C)에 본발명의 성분(D)로서 혼입되기에 바람직한 실란화합물은 아미노알콕시실란, 에폭시알콕시실란, 메르캅토알콕시실란, 및 비닐알콕시실란중에서 선택한 1개 또는 그 이상의 알콕시실란이다.
아미노알콕시실란은 그것이 분자당 적어도 1개의 아미노 기와 2개 또는 3개의 알콕시기를 갖고 있으면, 어떤 실란화합물도 가능하며, 그 예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산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 메틸디메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및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에폭시알콕시실란은 그것이 분자내에 적어도 1개의 에폭시기와 2개 또는 3개의 알콕시기를 갖고 있으면 어떤 실란화합물도 가능하다. 그예로서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3, 4-에폭시시클로헥실)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및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있다.
메르캅토 알콕시실란은 그것이 분자내에 적어도 한 개의 메르캅토기와 2개 또는 3개의 알콕시기를 갖고 있으면 어떤 실란화합물도 가능하다. 그 예로서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있다.
비닐알콕시실란은 그것이 분자내에 적어도 1개의 비닐기와 2개 또는 3개의 알콕시 기를 갖고 있으면 어떤 실란화합물도 가능하다. 그 예로서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및 비닐트리스(β-메톡시에톡시)실란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전술한 한콕시 실란의 양은 폴리아릴렌 술피드수지의 중량 100부에 대하여 5중량부 또는 그 이하이고, 0.01∼3중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양이 너무 적으면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어떤 중요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반대로 양이 너무 많으면 기계적 특성이 불리하게 떨어진다. 성분(D)를 함께 사용하면 성형성 및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할 뿐 아니라, 성분(B)와 함께 사용하면 성형작업으로 인한 변색과 높은 온도에서 시간에 따른 성형품의 변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개선하는데도 기여한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방해하지 않는 소량의 다른 열가소성수지와 혼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는 높은 온도에서 안정성이 있으면 어느것도 가능하다.
그 예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즉, 방향성 디카르복실산을 디올 또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을 함유하는 방향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ABS, 폴리페닐렌산화물, 폴리알킬, 아클리레이트, 폴리아세탈,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레에테르 이미드, 폴리에테르케톤, 및 플루오로 수지이다. 또한 이들중 2개 또는그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도 이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반적인 열가소성 수지와 열경화성 수지에 첨가하는 잘 알려진 물질을 함유할수 있다. 그 예로서 기대하는 성능에 따라 예컨대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 흡수제와 같은 안정제, 대전방지제(Antistantic Agent), 이탈제(releasing angent), 방염제, 방염보조제, 예컨대 염료 및 안료와 같은 착색제, 윤활제 및 핵형성제(Nucleating agent)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술피드 수지조성물은 일반 합성수지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장치와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이들중에는 필요한 성분을 혼합하고, 단일스크류 또는 이중 스크류의 압출기로 반죽(Kneading)하고, 그리고 성형에 필요한 펠릿을 제조하기 위하여 압출을 시행하는 방법, 분산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 성분을 혼합하여 폴리아릴렌 수지의 일부분 또는 전체를 분말화하고, 그리고 혼합밀 용융압출성형을 시행하는 방법등이다.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은 변색을 크게 개선하고, 높은 백색도를 갖고 있고 줄무늬 또는 반점변색에 덜 민감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아릴렌 술피드수지조성물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압출할 때 또는 성형할 때 증발가스 또는 분해가스를 거의 발생하지 않으면 그래서 그로부터 생기는 애로사항이 거의 없고, 그리고 성형성 및 기계적 특성이 또한 우수하다.
[실시예]
본 발명을 다음 예로써 더 자세히 설명한다. 단, 이 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29 및 비교예 1∼6]
표 1∼3에 열거한 첨가제를 이 표에 명시하여 있는 양으로 폴리페닐렌 술피드수지에 각각 첨가하여 헨셸(Henschel)혼합기에서 5분간 예비혼합한다. 또한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리섬유(직경이 13㎛, 길이가 3mm)와 탄산칼슘을 표에 명시된 양으로 각각 첨가한다. 이것을 혼합기(Blender)에서 2분간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310℃의 실린더 온도에서 압출기에서 압출하여 폴리페닐렌 술피드수지조성물의 펠릿을 제조한다.
이 펠릿을 실린더 온도 320℃ 및 금형온도 150℃의 사출성형기에서 두께 3mm 및 50mm×70mm의 크기를 갖는 평평한 시편으로 성형하였다. 이 성형품을 니뽄 덴소꾸사가 제조한 미분색체계(differential Colorimeter)로 색상을 조사하였다.
성형품 표면에 발생하는 검은띠 또는 반점변색의 정도를 관찰되었다.
사출성형중의 용융수지는 자유 유동하게 되어 있어 거기서 발생하는 가스의 양을 결정한다. 인장시험용바(Bar)는 ASTM D-638에 따라서 실린더 온도 320℃ 및 금형 온도 150℃에서 사출성형기로 펠릿으로부터 성형되고, 이렇게 얻은 바는 인장강도와 인장신장률을 측정하게 된다.
결과는 표 1∼3에 나타나 있다.
주의 1 : 표 1∼3에서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주의 1 : 표 1∼3에서
Figure kpo00013
F : (C10H21O)-3P
주의 2 :
G :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H :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I :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J : 비닐트리메톡시실란
[표 1]
Figure kpo00014
* 색상 : L값이 높으면 높은 백색도와 보다 작은 변색정도를 표시한다.
[표 2]
Figure kpo00015
* 색상 : L값이 높으면 높은 백색도와 보다 작은 변색정도를 표시한다.
[표 3]
Figure kpo00016
* 색상 : L값이 높으면 높은 백색도와 보다 작은 빈색정도를 표시한다.

Claims (4)

  1. (A)폴리아릴렌 술피드수지를 중량으로 100부와 (B)다음식(1) 및 (2)을 갖는 유기 비스포스피트 0.01∼10중량부를 함유하며,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식중에서, R1, R2, R3및 R4는 각각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알킬, 아릴, 치환기를 갖는 아릴, 또는 알콕시이고 X는 알킬렌, 치환기를 갖는 알킬렌, 아릴렌 또는 치환기를 갖는 아릴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릴렌 술피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무기충전재(C)를 400중량부까지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미노알콕시실란, 에폭시알콕시실란, 메르캅토알콕시실란, 및 비닐알콕시실란으로 구성되는 기에서 선택한 적어도 한 개의 알콕시실란(D)을 0.01∼5중량부까지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R1, R2, R3및 R4는 5∼2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5∼23개의 탄소원자와 히드록시기를 갖는 알킬, 페닐, 나프틸, 및 비페닐로 된 기에서 선태한 아릴, 페닐, 나프틸 및 비페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그외에 2∼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이나 히드록시를 가지는 아릴, 또는 5∼23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콕시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상호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이고, X는 2∼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 식 -[(CH2)n-O-]m-을 가지며 여기서 n은 2∼4이고, m은 2∼4인, 옥시알킬렌, 식-[(CH2)n-O-)m-을 가지고 여기서 n은 2∼4이고 m은 2∼4이며, 이외에도 히드록시나 1∼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을 가지는 옥시알킬렌, 페닐렌, 비페닐렌, 및 비스페닐렌으로 된 군에서 선택 아릴렌, 페닐렌, 비페닐렌 및 비스 페닐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외에도 1∼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아릴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900009572A 1989-06-27 1990-06-27 폴리아릴렌 술피드 수지조성물 KR930010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64310A JP2608329B2 (ja) 1989-06-27 1989-06-27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JP1-164310 1989-06-27
JP1-164311 1989-06-27
JP16431189A JPH07119356B2 (ja) 1989-06-27 1989-06-27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866A KR910000866A (ko) 1991-01-30
KR930010238B1 true KR930010238B1 (ko) 1993-10-15

Family

ID=2648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572A KR930010238B1 (ko) 1989-06-27 1990-06-27 폴리아릴렌 술피드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05936A1 (ko)
KR (1) KR930010238B1 (ko)
CN (1) CN1038041C (ko)
BR (1) BR9003012A (ko)
CA (1) CA2019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974A (ja) * 1993-07-16 1995-02-03 Mitsubishi Chem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695869A (en) * 1994-10-18 1997-12-09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Melt-blown polyarylene sulfide microfiber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19717359B4 (de) * 1996-04-30 2014-10-30 Mitsubishi Chemical Corp. Bisphosphitverbindung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1849834B1 (en) * 2004-12-21 2012-08-22 Polyplastics Co., Ltd.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1397370B (zh) * 2007-09-27 2011-02-09 四川得阳化学有限公司 含耐磨材料聚苯硫醚复合粒料的制造方法
CN105551715A (zh) * 2016-02-24 2016-05-04 李聪 一种散热电抗器
KR102503262B1 (ko) * 2016-05-19 2023-02-22 에이치디씨폴리올 주식회사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수지 조성물
CN111574834B (zh) * 2020-07-08 2023-05-16 四川明道和化学新材料有限公司 聚苯硫醚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1601A (en) * 1981-09-10 1984-05-29 Phillips Petroleum Company Glass-filled polyarylene sulfide compositions containing organosilanes
JPS61266461A (ja) * 1985-05-22 1986-11-26 Dainippon Ink & Chem Inc ポリフエニレンサルフアイド樹脂組成物
JPS63159470A (ja) * 1986-12-23 1988-07-02 Idemitsu Petrochem Co Ltd ポリアリ−レンスルフイド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003012A (pt) 1991-08-20
CN1038041C (zh) 1998-04-15
CA2019870A1 (en) 1990-12-28
EP0405936A1 (en) 1991-01-02
CN1048397A (zh) 1991-01-09
KR910000866A (ko) 1991-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25930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EP0557088B1 (en) Polyarylene sulphide resin composition
JPH047361A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KR920006217B1 (ko) 폴리황화아릴렌 수지 조성물
KR920001236B1 (ko) 난연성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전기 부품용 성형품
KR930010238B1 (ko) 폴리아릴렌 술피드 수지조성물
JPS62267351A (ja) ポリアセタ−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688534B2 (ja) 成形用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WO1999016830A1 (fr) Composition de resine de polyarylene sulfure
CA2066682A1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A1318745C (en) Polyarylene sulfide composition
US5705550A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JPH03231969A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US6605660B2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US5185392A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JP3761598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製成形品
JPH03247436A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系樹脂中空成形品及びその製造法
JP2608329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JP2972103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JP3135371B2 (ja) 金属端子をインサートした樹脂成形部品
JP2834639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JPH0328268A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JPH07258543A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029542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JP3046518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