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726B1 - 콘테이너 선박용 콘테이너 저장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테이너 선박용 콘테이너 저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726B1
KR930009726B1 KR1019850000243A KR850000243A KR930009726B1 KR 930009726 B1 KR930009726 B1 KR 930009726B1 KR 1019850000243 A KR1019850000243 A KR 1019850000243A KR 850000243 A KR850000243 A KR 850000243A KR 930009726 B1 KR930009726 B1 KR 930009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pace
guide
guides
bulk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349A (ko
Inventor
제이. 카펠 젠스
Original Assignee
담프스킵셀스 카베르 아프 1912 아크티에셀스 카브오그 아크티에셀스 카베트 담프스킵셀스 카베트 스벤드보르그 아이 인테레센트스 카브
와그 쟈콥센·에이길 핀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담프스킵셀스 카베르 아프 1912 아크티에셀스 카브오그 아크티에셀스 카베트 담프스킵셀스 카베트 스벤드보르그 아이 인테레센트스 카브, 와그 쟈콥센·에이길 핀센 filed Critical 담프스킵셀스 카베르 아프 1912 아크티에셀스 카브오그 아크티에셀스 카베트 담프스킵셀스 카베트 스벤드보르그 아이 인테레센트스 카브
Publication of KR850005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Packag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테이너 선박용 콘테이너 저장시스템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서장시스템 일부의 개략적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선 I - I를 따라 취한 수직단면도.
제 3 도는 격벽가이드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저장시스템으로서 제 2 도에 있는 왼쪽부분에 상응하는 수직단면도.
본 발명은 콘테이너 선박용에 선호적으로 사용되는 콘테이너 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 콘테이너 저장시스템은 가로단부벽이나 격벽에 의해 콘테이너(또는 선박)의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봤을때 상대적으로 좁고 가로단부벽으로부터 뻗어가는 대향된 수직격벽가이드(guide)에 의해 콘테이너의 가로방향으로 정의된 수직공간을 구성하며 공간의 최소한 하나의 가로단부벽이나 격벽은 공간의 내부를 향해 밑으로 경사진 상부에서 경사진 유도면을 구성한다.
콘테이너 수송과 관련해서 용량을 증가시키려는 시도가 선박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수송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행해진다. 선박의 폭은 통상적인 향해도중 통과해야 하는 운하의 폭에 따라 한정되고 있다. 예를들자면 선박의 폭을 대체로 32.2m가 되는데 파나마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미국 특허명세서 제 3,827,384호에서 T모양의 프로파일(profile)에 대향대는 웨브(web)형태로 있는 수직격벽가이드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정의되고 또한 가로단부벽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정의되는 수직공간속에 콘테이너를 쌓아 올리는 방식이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은 소위 40피이트의 콘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도록 칫수 잡혀진다. 20 피이트 콘테이너를 위한 공간의 두연속되는 가로열(row)의 한 단부벽을 형성하는 가로격벽을 위치시키므로서 그러한 공간을 40피이트 콘테이너를 수용하는 것을 20피이트 콘테이너를 수용하도록 변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문제되는 선박의 가로방향으로 공간의 수를 늘리고자 하는 대책도 강구되고 있는데 이 경우에 있어서 적당하게 큰 속도로 선적과 하륙(下陸)을 할수 있게끔 공간크기를 크게 해야 한다.
따라서 가로방향의 공간치수와 각 콘테이너 사이에는 어떤 틈새가 있어야만 한다.
더우기 가로벽에 있는 표면에 상응하는 경사진 유도면을 사용하지 않게하고 힘에 관한 요구조건으로 결정되는 가로방향의 두께만이 가로방향의 두께가 충분한 강도를 가진 비교적 폭이 좁은 격벽가이드에서 선호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적과 하륙작업에 큰 영향을 줌이 없이 선박의 폭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콘테이너 저장시스템을 갖추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테이너 저장시스템의 특징은 하나의 공간의 마주보는 격벽가이드 쌍이 거의 동일한 높이수준에서 상방향으로 끝나도록 하고 가로방향으로 보았을 경우 각 공간의 한측부에서의 한쌍의 대향된 격벽가이드는 다른쌍의 격벽가이드와 비교하여 다른 높이수준으로 뻗어간다.
결과적으로 선적도중 각 콘테이너는 격벽가이드쌍 위에서 아래로 안내될 수 있고 가이드의 상부단부는 문제되는 공간에서 최하높이 수준에 있게된다. 동시에 콘테이너용 세로방향으로 정확히 설치할 수 있게끔 가로단부벽의 경사진 유도면이 이용된다. 하부격벽 안내부위로 올라가는 공간의 다른 쌍의 격벽 가이드 부분과 인접할때까지 문제되는 공간에 가로로 안내된다. 콘테이너가 공간으로 내려와서 아래쪽 가이드의 상부단부를 지나게 되고 보다 위쪽에 있는 가이드의 측부표면에 대해 미끌어지게 된다. 이전의 40피이트 공간을 20피이트 공간으로 구분하는데 사용된 가로방향 격벽에 유도면을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 없은 20피이트 콘테이너의 축에 있어서 낮추는 과정은 경사진 유도면이 있는 다른 가로단부벽에 대해 미끄러지는 콘테이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간이 최소한 가능한 가로치수와 좁은 격벽가이드로 모양 잡히더라도 신속하게 각 공간에 콘테이너를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고수준까지 연장되는 격벽가이드 쌍은 최소한 한나의 단부벽상의 유도면의 최하부 변부위의 수준까지 연장된다. 이와 같이 하므로써 콘테이너의 세로방향으로의 안내운동은 콘테이너의 가로방향의 안내온동과 동시에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격벽가이드의 인접한 쌍 사이의 높이차를 약 400mm정도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높은 수준까지 연장되는 최소한의 격벽가이드는 문제되는 격벽가이드의 측부표면과 일치하는 측부표면을 구성하고 관련된 격벽가이드와 같은 평면에서 뻗어가는 상부의 확대된 부분을 구성한다. 결과적으로 콘테이너를 정확히 유도하기 위해 고정성이 증가하고 콘테이너는 문제되는 공간에 대해 경사지게 자리를 잡게된다. 또한 유도면의 강도가 커진다는 이점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해 격벽가이드는 상부단면을 따라 베벨(bevell)되고 각 콘테이너를 격벽가이드 사이의 수직으로 쉽사리 유도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제 1 도는 콘테이너 저장시스템(1)의 일부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이 시스템에 예시된 부분은 통상적으로 수직으로 쌓이는 20피이트 콘테이너를 수용하는 수직공간(2-9)을 8개 포함하고 있는데 이 콘테이너의 세로방향은 화살표방향(10)으로 자리잡게 된다. 이 방향은 문제되는 콘테이너 저장시스템이 콘테이너 선박에 올려지게 될때 선박의 세로방향을 형성한다. 위쪽의 수직공간은 가로방향의 폭이 좁은 격벽(11)에 의해 40피이크 콘테이너용의 4개의 인접한 공간으로 나누어 지므로서 만들어진다. 이 격벽은 케이블이나 가는 막대같은 장력흡수용케이블(12-19)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유지된다. 이들 장력흡수용케이블(12-19)은 40피이크 콘테이너용의 큰 공간의 각단부에 위치한 가로단부벽(20, 21)과 상부의 가로방향격벽(11)사이에서 뻗어간다.
이와 같이 해서 일부는 가로단부벽(20, 21)의 부분에 의하여, 그리고 일부는 공간의 제 2의 단부벽을 형성하는 격벽(11)부분에 의하여 20 피이트 콘테이너용의 큰공간(2-9)이 구성된다. 더우기 각각 서로 마주보는 수직격벽가이드(22, 23 ; 24, 25 ; 26, 27 ; 28, 29 ; 30, 31 ; 32, 33 ; 34, 35 ; 36, 37)에 의해 이들 공간이 정의되는데, 이들 가이드는 가로단부벽, 즉 원래의 단부벽(20, 21)과 가로격벽(11)에서 뻗어가는 것으로서 가로방향에서 보면 비교적 그 폭이 좁다. 도면에 예시된 가장 바깥쪽의 공간(2, 6)은 세로방향벽(38)에 의하여 나머지 공간에서 멀게 마주보는 측부에 정의된다.
마주보는 격벽가이드 쌍(22-27) 각각은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한 높이수준까지 뻗어간다. 더우기 공간(2-9)의 한쪽에는 각 격벽가이드쌍이 각 공간(2-9)의 다른측부에 있는 격벽가이드의 다른쌍보다 다른 높이수준까지 윗쪽으로 뻗어간다. 이것과 연관되어 세로방향벽(38)은 최외부공간(2, 6)의 한측부를 위한 일체로된 격벽가이드로 생각해야 한다. 제 1 도의 가장 아래쪽의 왼쪽모서리에서 볼 경우 이 공간은 다른방법으로 길고 짧은 격벽가이드쌍에 의해 분리된다.
최초의 40피이트 공간의 단가벽(20, 21)은 공간내부를 향해밑으로 경사진 유도면(39, 40)으로 구성된다.
제 2 도는 제 1 도의 공간(4)의 수직단면도인데 여기서 길이가 긴 격벽가이드(24, 25)는 단부벽(20)의 경사진 유도면(39)과 교차하는 수평면속에 격벽가이드(24)의 상부단부(40')이 위치하도록 하는 높이까지 뻗어간다. 더우기 격벽(11)이 상부단부(42)아래에 있는 평면에 다른 격벽가이드(25)의 상부단부(41)이 위치한다. 제 2 도에 있는 바와 같이 격벽가이드의 상부단부는 각측부에 각각사면(43, 44)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하므로서 이들 사면은 격벽가이드 각측부에 있는 공간내부쪽으로 하향경사면을 형성한다.
제 3 도는 수직방향의 연장부에 대해 위쪽의 격벽가이드(24)에 상응하는 격벽가이드(24')를 예사한 것이다. 위쪽으로는 격벽가이드쌍에 의해 형성된 격벽과 동일한 평면속에서 뻗어가는 부분(45)을 격벽가이드가 형성한다. 따라서 연장부(45)는 해당가이드의 측부표면 나머지 부분과 일치하는 표면에 의해 각측부에 정의된다.
각각의 콘테이너에 대한 가로방향에서 비교적 틈새가 작게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이 콘테이너 저장 시스템에 의해 공간속으로 콘테이너를 신속히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두개의 인접한 공간사이에 있는 하부 격벽가이드쌍위로 수직으로 콘테이너 바닥측부가 길이가 긴 인접 격벽가이드의 위쪽 수준밑의 수준에 있을때까지 콘테이너를 내려놓는다. 이러한 작업을 하는 동안 콘테이너 저장시스템의 세로방향으로의 안내는 문제되는 두개의 공간에 있는 상응하는 경사진 유도면(39, 40)을 따라 콘테이너를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게 하면 된다. 따라서 콘테이너를 수용하는 공간의 다른쪽을 헝성하고 있는 길이가 긴 격벽가이드쌍과 인접할때까지 콘테이너가 측부로 운반된다. 그래서 문제되는 길이가 긴 격벽가이드쌍과 문제되는 안내표면을 운반하는 단부벽(20 또는 21)에 대해 콘테이너를 미끄러뜨려 이동시키면서 아래로 미끄러져 내리게 한다. 이렇게 하면 콘테이너를 비교적 신속하게 공간속으로 미끌어져 내려가게 할 수 있다.
격벽가이드 각각을 T모양의 프로파일을 가진 돌출형 웨브(web)로 만든다. 앵글라이온이 함께 용접된 장타원형 막대를 용접 시키기도 한다. 또한 RHS형 중공(中空)단면을 가진 철재로 만들어도 된다. 강도조건에 따라 두께가 결정되기 때문에 격벽가이드의 두께를 약 30mm정도로 한다. 긴 격벽가이드와 짧은 격벽가이드 사이의 높이치를 약 400mm정도로 한다. 경사진 안내표면의 하부변부를 격벽(11)의 상부단부(42)의 높이보다 약 150mm정도 낮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테이너 저장시스템을 사용하면 안내시 각 공간의 가로방향에 약 0.25mm의 틈새가 생겨도 공간으로 콘테이너를 빠르고 믿을만하게 안내할 수 있는데 공간에서 더 밑에 있는 틈새에 상응한다. 이러한 안내는 격벽가이드의 두께에 영향을 주지않으며 선박의 가로방향 으로의 공간의 수를 줄이지 않고서도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은 선호된 실시예를 참조로 기술되었으나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변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애당초부터 20 피이트 콘테이너가 들어가는 아무런 격벽(11)이 없는 공간만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더우기 아무런 격벽(11)이 없이 오직 40 피이트 콘테이너만을 취급할 수 있게끔 이 시스템을 활용할 수도 있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격벽가이드 상은 짧거나 길게되나 물론 중간길이로 둘이상의 격벽 가이드 길이를 동시에 사용하도록 사용된다.

Claims (5)

  1. 선호적으로 선적 콘테이너 배에 사용되고 콘테이너(또는 배)의 세로방향으로 가로단부벽(20,21) 또는 격벽으로 정의되고 콘테이너의 가로방향으로 가로단부벽(20, 21) 또는 격벽(11)을 따라 뻗어가고 가로방항으로 봤을때 좁은 대향대는 수직격벽가이드(22-37)에 의해 정의되는 수직공간(2-9)을 구성하는 콘테이너 저장체계에서 공간의 최소한 하나의 가로단부벽(20,21) 또는 격벽(11)이 공간의 내부를 향해 밑으로 경사지는 상부에서 경사진 유도면(30,40)을 구성하면서 각 공간(2-9)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봤을때 공간(2-6)의 한 측부에서의 대향된 격벽가이드(22-37)의 쌍이 같은 높이수준에서 상부단부에서 끝나고 공간(2-9)의 다른 측부에서 대향된 격벽가이드(22-37)의 쌍이 언급한 한측부에서 격벽가이드의 높이와 같은 수준까지 뻗어가는 특징이 있는 콘테이너 저장체계.
  2. 제 1 항에 있어서, 격벽가이드(22와 23) 보다 높은 수준까지 뻗어가는 격벽가이드쌍(24, 25 ; 28, 29 ; 32, 33 ; 36, 37)이 최소한 하나의 단부벽(20, 21) 위의 유도면(33, 40)의 최하부 변부위 수준까지 뻗어가는 특징이 있는 콘테이너 저장체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한 쌍의 격벽가이드(22-37)사이의 높이 차이가 400mm가 되는 특징이 있는 콘테이너 저장체계.
  4. 제 1 항에 있어서, 격벽가이드(22, 23)보다 더 놓은 수준까지 뻗어가는 격벽가이드가 관련된 격벽가이드와 같은 수직평면에 있는 상부의 수평으로 뻗어가는 부분(45)을 구성하고 각각의 가이드의 나머지의 측부표면과 수준이 맞는 측부표면을 갖는 특징이 있는 콘테이너 저장체계.
  5. 제 1 항에 있어서, 격벽가이드(22-27)이 상부 단부(40', 41)을 따라 베벨되는 특징이 있는 콘테이너 저장체계.
KR1019850000243A 1984-01-16 1985-01-16 콘테이너 선박용 콘테이너 저장시스템 KR930009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017684A DK155275C (da) 1984-01-16 1984-01-16 Containeroplagringsanlaeg til brug ombord paa containerskibe
DK176/84 1984-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349A KR850005349A (ko) 1985-08-24
KR930009726B1 true KR930009726B1 (ko) 1993-10-09

Family

ID=809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243A KR930009726B1 (ko) 1984-01-16 1985-01-16 콘테이너 선박용 콘테이너 저장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JP (2) JPS6141690A (ko)
KR (1) KR930009726B1 (ko)
DE (1) DE3447799C2 (ko)
DK (1) DK155275C (ko)
FR (1) FR2558134B1 (ko)
GB (1) GB2154515B (ko)
GR (1) GR850088B (ko)
NO (1) NO160985C (ko)
SE (1) SE4582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55275C (da) * 1984-01-16 1989-08-07 Dampskibsselskabet Af 1912 Containeroplagringsanlaeg til brug ombord paa containerskibe
DE8816253U1 (ko) * 1988-12-20 1990-04-19 Behr, Peter, 2000 Hamburg, De
DK163651C (da) * 1989-06-08 1997-07-07 Jens Julius Kappel Containerskib
JP5279958B1 (ja) 2012-04-26 2013-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の制御装置および加工方法
US9632497B2 (en) * 2012-04-27 2017-04-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achining-program generating apparatus, machining-program genera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807412A (ko) * 1967-05-26 1968-11-27
US3552345A (en) * 1968-10-14 1971-01-05 Matson Navigation Co Flexible hold structure in containership
JPS49120230U (ko) * 1973-02-08 1974-10-15
JPS54144587U (ko) * 1978-03-29 1979-10-06
DE2826742A1 (de) * 1978-06-19 1979-12-20 Blohm Voss Ag Stuetzrahmen fuer mehrere laengsreihen von 20'-containern in 40'-containerzellen
DE3034871A1 (de) * 1980-09-16 1982-04-29 Fa. Gerd Buss, 2000 Hamburg Fuehrungseinheit
DE3304069A1 (de) * 1983-02-07 1984-08-09 Buss, Gerd, 2000 Hamburg Gestell zur aufnahme von mehreren containern
DE3305761A1 (de) * 1983-02-19 1984-10-31 Heinrichs Ingenieur-Technik GmbH & Co KG, 2800 Bremen Zellgeruest sowie verriegel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uer ein zellgeruest
DK155275C (da) * 1984-01-16 1989-08-07 Dampskibsselskabet Af 1912 Containeroplagringsanlaeg til brug ombord paa containerski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7684D0 (da) 1984-01-16
GR850088B (ko) 1985-05-08
FR2558134A1 (fr) 1985-07-19
FR2558134B1 (fr) 1990-12-14
GB8500909D0 (en) 1985-02-20
NO850162L (no) 1985-07-17
DK17684A (da) 1985-07-17
SE8500158L (sv) 1985-07-17
SE458269B (sv) 1989-03-13
JPH0468195B2 (ko) 1992-10-30
JP2683584B2 (ja) 1997-12-03
SE8500158D0 (sv) 1985-01-14
KR850005349A (ko) 1985-08-24
DK155275B (da) 1989-03-20
DK155275C (da) 1989-08-07
DE3447799A1 (de) 1985-07-18
DE3447799C2 (de) 1995-03-30
NO160985B (no) 1989-03-13
JPS6141690A (ja) 1986-02-28
JPH07285490A (ja) 1995-10-31
GB2154515B (en) 1988-05-05
NO160985C (no) 1989-06-21
GB2154515A (en) 1985-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0783A (en) Cargo containe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n on deck carriage assembly
NZ204986A (en) Stackable container with removable cover
US20180022263A1 (en) Logistics bracket for use in securing and decking freight
CN108466676B (zh) 运输船及其集装箱船货舱
KR930009726B1 (ko) 콘테이너 선박용 콘테이너 저장시스템
US3303965A (en) Plastic containers adapted for stacking
KR20060127958A (ko) 구형 탱크 및 이중 바닥을 갖는 엘엔지 캐리어
KR100705208B1 (ko) 컨테이너 운반선의 셀가이드장치
US4534466A (en) Nestable container for parts storage
US3452699A (en) Container-storing apparatus for container ship
EP0206542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reight containers
US3408972A (en) Container ship with main cargo above main deck
EP0476036B1 (en) A container ship
US3919959A (en) Barge with releasable supports
JP2557067B2 (ja) 積重ねできる瓶箱
US3349743A (en) Ship stabilizer
EP0228419B1 (en) Improved open cellular containership
US5215026A (en) Container stowing frames for containers of different lengths and widths on board ship
US3432063A (en) Bottle crate of synthetic material
KR101749912B1 (ko) 화물 선박 내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SU734059A1 (ru) Трюмна чейка судна-контейнеровоза дл перевозки контейнеров, кратных друг другу по длине в два раза
US5090353A (en) Open cellular containership and method
KR20130045962A (ko) 셀가이드 지지부재
CN112606947A (zh) 一种多导缆器底座的加固结构
KR20180076968A (ko) 컨테이너선의 가이드 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