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9194B1 - 영상신호 처리회로 - Google Patents

영상신호 처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9194B1
KR930009194B1 KR1019900015170A KR900015170A KR930009194B1 KR 930009194 B1 KR930009194 B1 KR 930009194B1 KR 1019900015170 A KR1019900015170 A KR 1019900015170A KR 900015170 A KR900015170 A KR 900015170A KR 930009194 B1 KR930009194 B1 KR 930009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output
switching
band 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7376A (ko
Inventor
히데유키 하기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0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9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신호 처리회로
제 1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 2 도는 그 요부의 신호파형을 나타낸 파형도,
제 3 도는 종래회로의 블록도,
제 4 도는 그 요부의 신호파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지연소자 12 : 가산회로
13 : 감산회로 14,19,21 : BPF(밴드패스필터)
15 : 트랩회로 16,18 : 스위치회로
17 : 감쇄회로 20 : 절환신호 발생회로
22,23 : 양파 정류회로 24,25 : 적분기
26 : 비교회로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휘도신호(輝度信號)와 색신호(色信號)를 포함하는 영상입력신호로부터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추출하는 빗살형 필터 구성의 영상신호 처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일반적으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TR이라 약칭함)에서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입력신호로부터 양 신호를 분리하여 휘도신호의 FM변환신호와 색신호의 저역 변환신호를 형성해서 테이프상에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텔레비젼신호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라인 상관(Line 相關)이 강한 신호의 경우에 휘도신호가 nfH의 스펙트럼 근방에 집중되고 있고, 또한 색신호는 (n+1/2)·fH의 스펙트럼 근방에 집중되고 있다. 결국, 휘도신호와 색신호는 서로 (1/2)·fH주파수로 인터리이브(interleave)되고 있다. VTR에서는 이를 최대한 이용하여 1수평기간에 상당하는 지연시간 τD(τD=1/fH)를 갖는 지연소자를 사용한 빗살형 필터에 의해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분리시키고 있다.
제 3 도는 영상입력신호로부터 상기 양 신호를 분리,추출하는 종래의 영상신호 처리회로의 구성을 나타낸회로도이고, 제 4 도는 그 요부의 신호파형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여기에서, 영상입력신호(A)는 지연소자(31)에 공급됨과 더불어 가산회호(32) 및 감산회로(33)에 병렬로 공급된다. 상기 지연소자(31)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입력신호(A)를 1수평기간동안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것으로서, 그 지연출력신호(B)는 밴드패스필터(34 ; 이하, BPF라 약칭함)에 공급된다.
상기 BPF(34)는 상기 지연소자(31)의 지연출력신호(B)로부터 직류성분을 제거하여 1수평기간전의 색신호(C)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추출된 1수평기간전의 색신호(C)는 상기 가산회로(32) 및 감산회로(33)에 병렬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산회로(32)는 원래의 영상입력신호(A)와 1수평기간전의 색신호(C)를 가산함으로써 휘도신호(D)를 추출한다. 한편, 감산회로(33)는 원래의 영상입력신호(A)와 1수평기간전의 색신호(C)의 감산을 함으로써 휘도신호를 포함하는 색신호(E)를 추출한다. 이 휘도신호를 포함하는 색신호(E)는 그후 BPF(35)에 공급되고, 그곳에서 색신호(F)가 추출된다.
상기한 구성의 영상신호 처리회로는 지연소자의 출력을 BPF에 통과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산, 감산회로의 빗사특성은 BPF의 대역에 한정되므로 휘도신호의 저역성분까지 빗살특성이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양상신호 처리회로는 수직해상도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회로에서는 지연소자에 의해 지연된 신호와 원래의 영상입력신호와의 가산 및 감산을 하기 때문에 제 4 도의 파형도에 나타낸 것처럼 휘도신호(D)에는 비상관부분(非相關部分)에 색신호 성분이 나타나 버린다. 또한, 색신호(F)에 따라서는 실제로 색이 없는 부분에 색신호 성분이 나타난다거나 그 부분의 색신호의 진폭이 -6dB 반감된다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색신호의 경우에는 기록시의 Y/C(휘도신호/색신호) 분리에서 색이 없는 장소에 색이 나타나게 된다면, 재생시에 색신호는 VTR의 색신호처리회로에서 반드시 빗살형 필터회로를 통과하게 되므로 더욱이 색이 없는 장소에 색이 나타나게 되어, 소위 색풀림이라 불리우는 현상이 일어나서 보기 어려운 그림으로 되어 버린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직해상도의 열화를 종래와 같은 정도로 유지하면서 색풀림현상의 저감화 및 휘도신호에 대한 색신호의 누설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신호 처리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처리회로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입력신호를 1수평기간 지연시키는 지연소자와, 이 지연소자의 출력이 공급되는 제 1 밴드패스필터, 상기 영상입력신호와 상기 제 1 밴드패스필터의 출력간에서 감산을 하는 감산회로, 이 감산회로의 출력을 감쇄시키는 감쇄회로, 상기 영상입력신호와 상기 제 1 밴드패스필터의 출력간에서 가산을 하는 가산회로, 이 가산회로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색신호에 상당하는 주파수성분을 제거하는 제거회로, 상기 지연소자에 의해 1수평기간 지연된 영상입력신호와 지연전의 영상입력신호간의 상기 색신호의 진폭차에 상당하는 기간에 대응한 신호를 절환용 신호로서 발생시키는 절환신호 발생회로, 상기 가산회로의 출력과 상기 제거회로의 출력을 상기 절환신호 발생회로의 출력신호에따라 절환,출력하는 제 1 절환회로, 상기 영상입력신호와 상기 감쇄회로의 출력을 상기 절환신호 발생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절환,출력하는 제 2 절환회로, 이 제 2 절환회로의 출력이 공급되는 제 3 밴드패스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 처리회로는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입력신호를 1수평기간 지연시키는 지연소자와, 이 지연소자의 출력이 공급되는 제 1 밴드패스필터, 상기 영상입력신호와 상기 제 1 밴드패스필터의 출력간에서 감산을 하는 가산회로, 이 가산회로의 출력을 감쇄시키는 감쇄회로, 상기 제 1 밴드패스필터의 출력을 정류하는 제 1 정류회로, 상기 영상입력신호가 공급되는 제 2 밴드패스필터, 이 제 2 밴드패스필터의 출력을 정류하는 제 2 정류회로, 상기 제 1, 제 2 정류회로의 출력이 공급되며 이들 제 1, 제 2 정류회로의 출력에 소정의 전압차가 얻어지고 있는 기간에 대응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회로, 상기 영상입력신호와 상기 제 1 밴드패스필터의 출력간에서 가산을 하는 가산회로, 이 가산회로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색신호에 상당하는 주파수성분을 제거하는 제거회로, 상기 가산회로의 출력과 상기 제거회로의 출력을 상기 신호발생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절환,출력하는 제 1 절환회로, 상기 영상입력신호와 상기 감쇄회로의 출력을 상기 신호발생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절환,출력하는 제 2 절환회로, 이 제 2 절환회로의 출력이 공급되는 제 3 밴드패스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본 발명의 영상신호 처리회로에서는 지연소자에 의해 1수평기간 지연된 영상입력신호와 지연전의 영상입력신호간의 상기 색신호의 진폭차에 상당하는 기간에 대응한 신호를 절환용 신호로서 이용하고, 제 1 절환회로에서 가산회로의 출력과 제거회로의 출력을 절환시킴으로써 색신호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휘도신호를 발생시킴과 더불어, 제 2 절환회로에서 영상입력신호와 감쇄회로의 출력을 절환시킴으로써, 실제로 색이 없는 부분에 색신호성분이 나타난다거나 하는 현상이나 색신호의 진폭이 반감되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영상입력신호(a)는 지연소자(11)에 공급됨괴 더블어 가산회로(12) 및 감산회로(13)에 병렬로 공급된다. 상기 지연소자(11)는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입력신호(a)를 1수평기간 지연시켜서 출력하는 것으로서, 그 지연출력신호(b)는 BPF(14 ; 밴드패스필터)에 공급된다. 이 BPF(14)는 상기 지연소자(11)의 지연출력신호(b)로부터 직류성분을 제거하여 1수평기간전의 색신호(c)를 추출하는 것으로서, 추출된 1수평기간전의 색신호(c)는 상기 가산회로(12) 및 감산회로(13)에 병렬로 공급된다. 상기 가산회로(12)는 원래의 영상입력신호(a)와 1수평기간전의 색신호(c)의 가산을 함으로써 휘도신호(d)를 발생시킨다. 이 휘도신호(d)는 트랩회로(15; TRAP 回路) 및 스위치회로(16)에 병렬로 공급된다. 상기트랩회로(15)는 상기 가산회로(12)에서 발생된 휘도신호(d)로부터 중심주파수가 예컨대 3.58MHz인 색신호성분을 제거한다. 그리고 이 트랩회로(15)의 출력은 상기 스위치회로(16)에 공급된다. 상기 스위치회로(16)는 후술한 절환용 신호(m)에 근거하여 양 입력신호를 절환시킴으로써 휘도신호(e)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가산회로(13)는 원래의 영상입력신호(a)와 1수평기간전의 색신호(c)의 감산을 하여 휘도신호를 포함하는 색신호(f)를 발생시킨다. 이 휘도신호를 포함하는 색신호(f)는 -6dB의 감쇄회로(17)에 공급되어 그곳에서 그 진폭이 1/2로 감쇄된다. 이 감쇄회로(17)의 출력신호는 원래의 영상입력신호(a)와 더블어 스위치회로(18)에 병렬로 공급된다. 이 스위치회로(18)는 후술한 절환용 신호(m)에 근거하여 양 입력신호를 절환,출력한다. 상기 스위치회로(18)의 출력신호는 그후 BPF(19)에 공급되고 그곳에서 색신호(g)가 추출된다.
한편, 제 1 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20은 상기 양 스위치회로(16,18)에서 사용되는 절환용 신호(m)를 발생시키는 절환신호 발생회로이다. 이 절환신호 발생회로(2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BPF(21)와 양파 정류회로(22,23), 적분기(24,25) 및 비교회로(2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BPF(21)는 상기 BPF(14)와 마찬가지로 영상입력신호(a)로부터 직류성분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그 출력신호(h)는 상기 한쪽에 양파정류회로(22)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다른쪽의 양파 정류회로(23)에는 상기 BPF(14)의 출력신호(c)가 공급된다. 상기 정류회로(22,23)는 상기 양 BPF(21,14)의 출력신호를 각각 정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서, 양파 정류회로(22)의 출력신호(i) 및 양파 정류회로(23)으 출력신호(j)는 각각 상기 양 적분기(24,25)에 병렬로 공급된다. 상기 양 적분기(24,25)는 상기 양파 정류회로(22,23)의 출력의 피이크 적분(Peak to Peak 積分)을 하여 직류전압을 얻는 것으로서, 양 적분기(24,25)의 적분출력신호(k, ℓ)는 상기 비교회로(26)에 공급된다. 이 비교회로(26)는 상기 적분기(24,25)의 적분출력신호(k, ℓ)에 소정의 전압차가 얻어지고 있는 기간에 "H"레벨로 되고 그 이외의 기간에서는"L"레벨로 되는 논리신호(m)를 발생시킨다. 즉, 이 절환신호 발생회로(20)는 상기 지연소자(11)에 의해 1수평기간 지연된 영상입력신호와 지연전의 영상입력신호간의 색신호의 진폭차에 상당하는 기간에 대응한 신호를 절환용 신호(m)로서 발생시키는 것이다.
다음에는 제 2 도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것처럼 구성된 회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에 도시한 것처럼,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입력신호(a)가 지연소자(11)에 공급되는 때에, 지연소자(11)는 그 신호(a)의 1수평기간전의 신호(b)를 출력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신호(b)가 공급되는 BPF(14)는 신호(b)로부터 직류성분을 제거하여 제 2 도에 나타낸 것처럼 색신호성분만을 포함하는 신호(c)를 출력한다. 다음에 가산회로(12)는 앞의 영상입력신호(a)와 상기 신호(c)의 가산을 한다. 여기에서, 영상입력신호(a)와 이보다도 1수평기간전의 신호(b)의 색신호는 위상이 서로 180° 달리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산회로(12)의 출력신호(d)에는 신호(a)와 신호(b)에서 공히 색신호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위치에는 색신호성분이 존재하지 않고, 신호(a)와 신호(b)중 어느쪽인가 한쪽에만 색신호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위치에는 색신호성분이 존재한다. 한편, BPF(14)의 출력신호(c)는 감산회로(13)에도 공급되므로 이 감산회로(13)는 앞의 영상입력신호(a)와 신호(c)의 감산을 한다. 그리고 이 감산회로(13)의 출력신호(f)의 경우, 신호(a)와 신호(b)에서 공히 색신호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위치에는 원래의 2배 진폭의 색신호성분이 존재하고, 신호(a)와 신호(b)중 어느쪽인가 한쪽에만 색신호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위치에는 원래 진폭의 색신호성분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 감산회로(13)의 출력신호는 감쇄회로(17)를 통과함으로써 원래의 1/2의 진폭을 갖는 신호로 감쇄되어 출력된다.
한편, 절환신호 발생회로(20)에서 영상입력신호(a)가 공급되는 BPF(21)는 제 2 도에 도시한 것처럼 색신호성분만을 포함하는 신호(h)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신호(h)가 공급되는 양파 정류회로(22) 및 상기 BPF(14)의 출력신호(c)가 공급되는 양파 정류회로(23)는 각각의 입력을 정류하여 제 2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신호(i,j)를 각각 출력한다. 그후 양 출력신호(i,j)는 적분기(24,25)에서 적분됨으로써 제 2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신호(k, ℓ)가 얻어진다. 다음에 비교회로(26)는 상기 양 적분기(24,25)의 출력간에서 소정의 전압차가 얻어지고 있는 기간에는 "H"레벨로 되고 그 이외의 기간에서는 "L"레벨로 되는 절환용 신호(m)를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스위치회로(16)에서는 상기 절환용 신호(m)가 "L"레벨인 때에 상기 가산회로(12)의 출력을 선택하고 "H" 레벨인때에 상기 트랩회로(15)의 출력을 선택하므로, 제 2 도중의 신호(d ; 가산회로 12의 출력신호)에 색신호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기간에서는 그 신호(d)가 선택되고, 색신호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기간에서는 상기 트랩 회로(15)를 통과하여 색신호성분이 제거된 후의 신호가 선택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회로(16)로부터는 색신호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휘도신호(e)가 출력된다.
다른쪽의 스위치회로(18)에서는 상기 절환용 신호(m)가 "L"레벨인 대에 상기 감쇄회로(17)의 출력을 선택하고, "H"레벨인때에 영상입력 신호(a)를 선택하므로, 이 스위치회로(18)로부터는 원래의 영상입력신호(a)와 동일한 위치에 원래의 진폭을 갖는 색신호성분이 포함된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 스위치회로(18)의 출력신호가 BPF(19)를 통과함으로써 직류성분이 제거되어, 항상 일정한 진폭이면서 색신호에 따라서는 실제로 색이 없는 부분에 색신호성분이 나타나지 않는 색신호(g)가 추출된다.
이처럼 상기 실시예회로에 의하면, 기본적으로는 지연소자의 출력을 BPF에 통과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수직해상도의 열화는 종래와 동일한 정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시예회로에 의하면, 색신호에 따라서는 실제로 색이 없는 부분에 색신호성분이 나타나 버린다거나 그 부분의 색신호의 진폭이 -6dB로 반감된다거나 하는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록시의 Y/C분리에서 원래 색이 없는 장소에는 색이 나오지 않으므로, 재생기 색신호를 VTR의 색신호 처리회로에서 빗살형 필터회로 통과시킬 때에도 색이 없는 장소에는 색이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소위 색풀림이라 불리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하다는 것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절환 신호 발생회로(20)를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구성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는 요컨대 지연소자에 의해 1수평기간 지연된 영상입력신호와 지연전의 영상입력신호간의 상기 색신호의 진폭차에 상당하는 기간에 대응한 신호를 절환용 신호로서 발생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의 회로이더라도 좋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해상도의 열화를 종래와 동일하 정도로 유지하면서 색풀림 현상의 저감화와 휘도신호에 대한 색신호의 누설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신호 처리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입력신호를 1수평기간 지연시키는 지연소자(11)와, 상기 지연소자(11)의 출력이 공급되는 제 1 밴드패스필터(14), 상기 영상입력신호와 상기 제 1 밴드패스필터(14)의 출력간에서 감산을 하는 감산회로(13), 상기 감산회로(13)의 출력을 감쇄시키는 감쇄회로(17), 상기 영상입력신호와 상기 제 1 밴드패스필터(14)의 출력간에서 가산을 하는 가산회로(12), 상기 가산회로(12)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색신호에 상당하는 주파수성분을 제거하는 제거회로(15), 상기 지연소자(11)에 의해 1수평기간 지연된 영상입력신호와 지연전의 영상입력신호간의 상기 색신호의 진폭자에 상당하는 기간에 대응한 신호를 절환용 신호로서 발생시키는 절환신호 발생회로(20), 상기 가산회로(12)의 출력과 상기 제거회로(15)의 출력을 상기 절환신호 발생회로(20)의 출력신호에 따라 절환,출력하는 제 1 절환회로(16), 상기 영상입력신호와 상기감쇄회로(17)의 출력을 상기 절환신호발생회로(20)의 출력신호에 따라 절환,출력하는 제 2 절환회로(18), 상기 제 2 절환회로(18)의 출력이 공급되는 제 3 밴드패스필터(19)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회로.
  2. 휘도신호 및 색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입력신호를 1수평기간 지연시키는 지연소자(11)와, 상기 지연소자(11)의 출력이 공급되는 제 1 밴드패스필터(14), 상기 영상입력신호와 상기 제1밴드패스필터(14)의 출력간에서 감산을 하는 감산회로(13), 상기 감산회로(13)의 출력을 감쇄시키는 감쇄회로(17), 상기 제 1 밴드패스필터(14)의 출력을 정류하는 제 1 정류회로(23), 상기 영상입력신호가 공급되는 제 2 밴드패스필터(21), 상기 제 2 밴드패스필터(21)의 출력을 정류하는 제 2 정류회로(22), 상기 제 1, 제 2 정류회로(23,22)의 정류출력이 공급되며, 이들 제 1, 제 2 정류회로(23,22)의 출력에 소정의 전압차가 얻어지고 있는 기간에 대응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회로(26), 상기 영상입력신호와 상기 제 1 밴드패스필터(14)의 출력간에서 가산을 하는 가산회로(12), 상기 가산회로(12)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색신호에 상당하는 주파수 성분을 제거하는 제거회로(15), 상기 가산회로(12)의 출력과 상기 제거회로(15)의 출력을 상기 신호발생회로(26)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환,출력하는 제 1 절환회로(16), 상기 영상입력신호와 상기 감쇄회로(17)의 출력을 상기 신호발생회로(26)의 출력신호에 따라 절환,출력하는 제 2 절환회로(18), 이 제 2 절환회로(18)의 출력이 공급되는 제 3 밴드패스필터(19)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회로.
KR1019900015170A 1989-09-27 1990-09-25 영상신호 처리회로 KR930009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49075 1989-09-27
JP1249075A JPH03112288A (ja) 1989-09-27 1989-09-27 映像信号処理回路
JP89-249075 1989-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376A KR910007376A (ko) 1991-04-30
KR930009194B1 true KR930009194B1 (ko) 1993-09-23

Family

ID=1718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170A KR930009194B1 (ko) 1989-09-27 1990-09-25 영상신호 처리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22867A (ko)
EP (1) EP0420184B1 (ko)
JP (1) JPH03112288A (ko)
KR (1) KR930009194B1 (ko)
DE (1) DE6902935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6043A1 (de) * 1988-10-20 1990-04-26 Thomson Brandt Gmbh Schaltung fuer ein adaptives kammfilter zur trennung von leuchtdichtesignal und farbartsignal eines fbas-pal-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31378A (en) * 1972-04-19 1976-04-07 Rca Corp Colour information translating systems
US4072984A (en) * 1975-04-14 1978-02-07 Thomson-Csf Laboratories, Inc. Chrominance-luminance separator
US4050084A (en) * 1976-07-14 1977-09-20 Cbs Inc. Comb filter for television signals having adaptive features
JPS55150688A (en) * 1979-05-15 1980-11-22 Sony Corp Separating circuit of color video signal
JPS58123285A (ja) * 1982-01-19 1983-07-22 Pioneer Electronic Corp 色信号抽出回路
JPH084347B2 (ja) * 1987-01-28 1996-01-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複合映像信号の分離装置
JPH0714220B2 (ja) * 1987-06-12 1995-02-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Y/c分離回路
US4809060A (en) * 1987-09-10 1989-02-28 Rca Licensing Corporation Hanging dot reduction arrangement
JPH0198385A (ja) * 1987-10-09 1989-04-17 Sony Corp 相関検出方式
JPH01143487A (ja) * 1987-11-30 1989-06-06 Canon Inc 輝度信号クロマ信号分離回路
US5025311A (en) * 1987-12-28 1991-06-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separating apparatus
US4845547A (en) * 1988-03-28 1989-07-04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Non-linear comb filter for color TV recei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376A (ko) 1991-04-30
EP0420184B1 (en) 1996-12-11
EP0420184A2 (en) 1991-04-03
EP0420184A3 (en) 1992-06-03
JPH03112288A (ja) 1991-05-13
US5122867A (en) 1992-06-16
DE69029355D1 (de) 1997-01-23
DE69029355T2 (de)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0084A (en) Comb filter for television signals having adaptive features
US4646138A (en) Video signal recursive filter with luma/chroma separation
US4809060A (en) Hanging dot reduction arrangement
KR970003472B1 (ko) 빗살형 필터 회로
JPH01235491A (ja) Y/c分離回路
KR930009194B1 (ko) 영상신호 처리회로
JPH035119B2 (ko)
KR0136232B1 (ko) 휘도 신호/컬러 신호 분리 회로
JPH0714220B2 (ja) Y/c分離回路
JP2636519B2 (ja) 映像動き信号検出回路
JP2699488B2 (ja) コムフィルタ
KR100246400B1 (ko) 복합영상 신호의 동작 검출회로
KR0129528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장치
US5523797A (en) Luminance signal and color signal separating circuit
JP2782814B2 (ja) 映像信号相関回路及びy/c分離装置
JP2504846B2 (ja) 映像動き信号検出回路
JP3428148B2 (ja) フィルタ回路
JP2964641B2 (ja) 輝度信号/色信号分離装置
KR0119489Y1 (ko) 칼라 킬러 검출 장치
JPH05137154A (ja) 映像信号のy/c分離回路
KR940006624B1 (ko) 디지탈 영상신호의 y/c분리회로
Owashi et al. An integrated digital Y/C separator for S-VHS VCR
JPH04360392A (ja) クロスカラー軽減回路
JPH04320194A (ja) 映像信号処理回路及び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H02186891A (ja) 色信号処理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