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997B1 -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防汚)장치 - Google Patents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防汚)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997B1
KR930008997B1 KR1019900001109A KR900001109A KR930008997B1 KR 930008997 B1 KR930008997 B1 KR 930008997B1 KR 1019900001109 A KR1019900001109 A KR 1019900001109A KR 900001109 A KR900001109 A KR 900001109A KR 930008997 B1 KR930008997 B1 KR 930008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ilm
film
conductive
antifouling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475A (ko
Inventor
마사히로 우사미
겐지 우에다
기요미 도모시게
쇼오죠 오오다
쯔또무 호리구찌
히로시 야마자끼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우에다 쇼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우에다 쇼오지 filed Critical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0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4Preventing hull fou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Earth Drilling (AREA)
  • Lubricant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防汚)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防汚)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
제 2 도는 상기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의 도전유효거리를 종래 장치와 비교하여 도시한 선도.
제 3 도는 구조물에 띠형상으로 도전막을 시행할 경우의 전체사시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부분확대도.
제 5 도는 본 발명을 강철제 구조물에 적용한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Ⅵ-Ⅵ선에 의한 수평단면도.
제 7 도는 제 5 도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수내에서의 기초실험요령을 도시한 정면도.
제 8 도는 제 6 도의 변형예를 도시한 수평단면도.
제 9 도는 제 5 도의 변형예를 도시한 동일한 모식도.
제 10 도는 종래의 방오장치를 도시한 모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강철판 (2) : 해수
(3) : 절연도막 (4) : 제 1 도전막
(5) : 제 2 도전막 (6) : 음극전극
(7) : 직류전원장치 (8) : 리이드선
(14), (15) : 제 1 도전막 (16) : 제 2 도전막
(17) : 제 2 도전막하층 (18) : 제 2 도전막상층
본 발명은 선박, 해양구조물, 해중구조물, 브리지비임, 양어용 활어조, 안벽, 운하, 수문, 발전소의 해수의 취배수관 또는 취배수홈등의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防汚)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해양구조물들의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수단으로서는, 종래, 구조물에 물이 접하는 부분에 방오도료를 도장하는 수단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수단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① 방오도료의 방오성분용출속도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계절, 해류, 수질변화등에 자유롭게 대응할 수 없다.
② 방오도료의 독물함유량에 한도가 있으므로 약 2년마다 다시 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앞서 일본국 특원소 61-247032호, 동특원소 61-248897호를 가지고, 제 10 도에 모식도로 도시한 바와같이, 해수(2)에 접하는 구조물(1)에, 에폭시 수지등의 절연도막(3)과, 카아본분말을 유기질바인더와 혼합한 도전도막(5)을 덧칠하고, 이 도전도막(5)과, 강철등으로 이루어진 전기전도체(6)와의 사이에, 직류전원장치(7)에 의해 도전도막(5)을 (+)로, 전기전도체(6)를 (-)로 하여 통전하고, 도전도막(5)상에, 해양생물부착방지 유효성분을 발생하게 하는 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런데, 종래 이와같은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불리점이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① 해수(2)내에 흐르게하는 전류밀도를 어떤 일정치이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으나, 도전도막(5)의 소모에 따른 저항상승 때문에, 접속단부 가까이에 전류밀도가 집중하여, 방오유효범위가 좁아진다.
② 도전도막(5)의 막두께의 불균일에 의해, 전류밀도가 달라서, 성능유지가 곤란하다.
③ 전류밀도의 균일화에는 저(低)저항의 도전도막(5)이 필요하나, 그를 위해서는 다량의 도전분말을 혼입할 필요가 있어 제조가 곤란하다.
④ 방오유효길이(방오에 필요한 전류밀도도달거리)가 짧아, 대형구조물에의 적용이 어렵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사정을 감안하에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목적은, 도전막을 사용하는 방오장치의 도전막소모에 따른 저항상승을 방지하는 동시에, 도전막의 막두께의 불균일에 의한 전류분포불균일화를 해소하고, 또한 저저항도전막으로 고성능의 방오효과를 발취할 수 있는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전도체(예를들면 음극)를 별도 설치하는 일없이, 직류전원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고, 대형구조물에도 적용할 수 있는 저코스트의,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전막의 시행비용을 저감하는 동시에, 도전막의 박리방지를 도모한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의 ①, ② 및 ③과 같다.
① 선박, 해양구조물등의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접수면의 전기절연체의 바깥쪽을 피복하는 비저항(比抵抗)이 작은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의 박판, 용사막, 물리적증착막(Physical Vapor Deposit막 ; PVC막), 화학적증착막(Chemical Vapor Deposit막 ; CVD막)등의 증착막, 또는 융착막으로 이루어진 통전용의 제 1 도전막과, 상기 제 1 도전막의 바깥쪽을 피복하는 내산화성 불용성물질과 유기바인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도전막보다 전기저항이 큰 방오용의 제 2 도전막과, 상기 제 2 도전막에 대향하여 철, 구리 또는 탄소로 이루어지고 해수내에 설치된 전기전도체와, 상기 제 1 도전막과 상기 전기전도체와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도전막으로부터 상기 제 2 도전막을 통과하여 상기 전기전도체 방향으로 직류를 통전하는 전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 도전막을 사용하는 방오장치의 도전막소모에 따른 저항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도전막의 막두께의 불균에 의한 전류분포불균일화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저저항도전막으로 고성능의 방오효과를 낼 수 있다.
② 선박, 해양구조물등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접수면의 전기절연체의 바깥쪽을 피복하는 비저항이 작은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의 박판, 용사막, 증착막 또는 융착막으로 이루어진 통전용의 제 1 도전막과, 상기 제 1 도전막의 바깥쪽을 피복하는 내산화성 불용성물질과 유기바인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도전막보다 전기저항이 큰 방오용의 제 2 도전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도전막 및 제 2 도전막이 복수로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막중,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제 1 도전막의 한쪽을 양극으로 하고, 다른쪽을 음극으로 하여 양자간에 교대로 바다속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극성절환 회로를 가진 직류전원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는,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복수의 띠형상 도전막중의 일부를 양극으로, 다른 일부를 음극으로 하여 양자간에 바다속에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양극, 음극의 한쪽 또는 양쪽을 적당한 시간마다 다른 띠형성도전막으로 절환할 수도 있어, 어떤 경우에도 새로이 음극을 별도 설치하는 일이 없고, 또한 전류를 작게 하여, 유효방오길이를 크게 할 수 있다.
③ 상기 ① 및 ②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막이 띠형상 또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 1 도전막의 시공비용의 저감 및 동일막의 박리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산업상 극히 유익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장치의 실시예(복수)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제 1 도는 그 모식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있어서의 도전막의 통전유효거리를 종래 장치와 비교하여 도시한 선도이다.
먼저 제 1 도에 있어서, (1)은 해수(2)에 접하는 강철구조의 외부판을 구성하는 강철판, (3)은 강철판(1)의 바깥쪽을 피복하는 에폭시수지등으로 이루어진 절연도막, (4)는 절연도막(3)의 바깥쪽을 피복하는 비저항이 작은 금속, 금속산화물의 박판, 용사막, 융착막 또는 증착막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에 통전단부(4a)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도전막이다. 비저항이 작은 금속으로는 니켈, 구리, 티탄, 알루미늄, 니오브등, 금속산화물로서는 마그네타이트, 이산화망간등을 각각 사용할 수 있다.
(5)는 또한 제 1 도전막(4)의 바깥쪽을 피복하는 내산화성 불용성물질과 유기바인더로 이루어진 제 2 도전막이다. 내산화성 불용성물질로서는 그래파이트, 카아본블랙, 마그네타이트, 백금속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기바인더로서는 에폭시수지, 비닐수지, 불포화폴리 에스테르수지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제 2 도전막(5)은, 제 1 도전막(4)에 비하여 전기저항이 크게 되어 있다.
(6)은 제 2 도전막(5)과 대향하여 해수(2)속에 설치된 철, 구리 또는 탄소등으로 이루어진 음극전극, (7)은 제 1 도전막(4)의 통전단부(4a)와 음극전극(6)과의 사이에 접속되고, 제 1 도전막(4)에서부터 제 2 도전막(5)을 통과하여 음극전극(6)의 방향으로 직류를 통전하는 직류전원장치이다. (8)은 강철판(1)과 음극전극(6)을 접속하는 리이드선이다.
이와같은 장치에 있어서, 제 1 도전막(4)에서부터 제 2 도전막(5)을 통과하여, 해수(2)속의 음극전극(6)의 방향으로 직류전류를 흐르게 하면, 제 2 도전막(5)의 표면의 해양생물부착방지 유효성분의 막으로 덮혀지고, 이때문에, 해양생물이 그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의 직류전류는, 제 1 도전막(4)에 형성되어 있는 통전단부(4a)로부터, 전기저항이 작은 제 1 도전막(4)을 통과하여, 제 2 도전막(5)의 두께방향으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제 2 도전막(5)이 소모되어도 통전단부(4a)가까이에 전류밀도가 집중된다고하는 일없이, 인정되고 균일한 전류밀도분포를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적은 소비전력으로 고성능의 방오효과를 낼 수 있다.
또한, 리이드선(8)에 의해 강철판(1)이 (-)전위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에 의해, 제 1 도전막(4), 제 2 도전막(5)을 (+)전위가 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제 1 도전막(4), 제 2 도전막(5)이 국부적으로 손상되고, 강철판(1)에 노출부가 생겼을 때는, 도전막(4), 도전막(6)으로부터 유출된 직류전류의 일부가, 강철판노출부에 유입되고, 강철판(1)으로부터 직류전원장치(7)의 (-)극에 귀환되어 강철판(1)의 부식을 방지한다.
또한 제 2 도전막(5)이 손상되어 제 1 도전막(4)이 노출되었을 경우를 고려하여, 그 화학적용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도전막(4)의 재료에 티탄, 니오브, 금속산화물등을 사용하는 것은, 본 장치의 장기적 안정화를 위하여 유효하다.
그리고 이와같은 장치에 있어서는, 제 1 도전막(4)의 강철판(1)에 평행한 방향의 전기저항 R4는, 제 2 도전막(5)의 강철판(1)에 평행한 방향의 전기저항 R5보다 낮은 관계가 있고, 통전단부(4a)로부터 받는 전류의 95%정도를 제 1 도전막(4)내를 흐르게하여 전류밀도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하려면은 (R4/R5)≤0.1이 바람직하다.
또 제 1 도전막(4), 제 2 도전막(5)의 두께는 체적저항율이나 도전막(5)의 통전이나 외계의 영향에 의한 손모를 고려해서 결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을 대형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저항이 작은 금속 또는 금속 금속산화물과 유기바인더로 이루어진 금속계도전도료보다, 더 제 1 도전막의 저항을 낮출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금속박판의 첨부 등도 있으나, 실용성 고려하였을 경우, 그 성막법으로서 공작의 용이성등을 고려하여, 용사법이 가장 유효하다.
다음에 실시예를 제 2 도에 대해서 설명하면, 동도면은 본 발명장치와 종래 장치에 있어서의 도전막의 통전단부로부터의 통전유효거리를 비교해서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의 도전막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장치 ;
제 1 도전막 : 저항 1.6×10-3Ω-m, 막두께 20μm
제 2 도전막 : 저항 30Ω-m, 막두께 200μm
종래장치 : 도전도포막 : 저항 3Ω-m, 막두께 200μm
이와같은 도전막에 통전단부에서부터 80mA 통전하였을때, 소요전류밀도 A를 유지하는데에 종래 장치(b)는 3m인 것에 대하여, 본 발명장치(a)는 45m까지 유효하다. 또 본 발명장치에 있어서 제 2 도전막의 두께를 200μm에서부터 100μm까지 변화시켜도 유효거리는 변화하지 않았으나, 종래 장치에서는 (c)와 같이 1m로 감소하였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시공비용을 저렴하게 하고, 도전막을 용사에 의해, 절연막위에 시공하였을 경우의 잔류응역에 의한 용사막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량한 것으로서, 제 3 도는 그 전체사시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부분확대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제 1 도와 동일부호는 각각 동도면과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고, (3)은 절연도막, (3a)는 후기하는 띠형상도전막(4), (4) 사이를 간막는 절연도막이다. (4)는 절연도막(3)의 바깥쪽을 피복하는 비저항이 작은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의 박판, 용사막, 융착막 또는 증착막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제 1 도전막이다. 이 제 1 도전막(4)은, 소간격이고 서로 평행하는 복수의 세로띠형상으로, 절연도막(3)위에, 형성되고, 서로 이웃이 되는 띠형상도전막(4)의 간격부는 절연도막(3a)에 의해 간막아져 있다. (4a), (4b)는 각각 띠형상도전막(4)의 양단부에 부설된 도전단부이다.
(5)는 각 띠형상도전막(4)의 바깥쪽을 각각 피복하는 내산화성불용성 물질과 유기바인더로 이루어진 제 2 도전도막이다. 내산화성 불용성물질로서는 그래파이트, 카아본블랙, 마그네타이트, 백금속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바인더로서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수지류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제 2 도전도막(5)은 제 1 도전막(4)에 비하여 전기저항이 커져 있다.
또한, (9)는 2개의 띠형상도전막(4), (4)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양극, 음극을 절환할 수 있는 기능(예를들면 극성절환 스위치)을 가진 직류전원장치, (8)은 리이드선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서로 간막아진 띠형상도전막(4), (4)의 각 층을 각각 양극, 음극으로해서 절환하여, 직류전류를 통전한다.
여기에서, 직류전류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어떤 한쪽 구획의 띠형상 도전막(4)을 양극으로한 그 통전단부(4a), (4b)에서부터, 음극으로된 다른쪽 구획의 도전막(4)의 통전단부(4a), (4b)에 흐르게 된다.
그렇게 하면, 양극으로된 띠형상도전막(4)의 표면에서 전해반응이 진행되어, 해양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에 유효한 성분(차아염소산)이 막표면에 생성되어 해양생물의 부착을 방지한다.
또한 띠형상도전막(4), (4)은 일정주기마다 음극, 양극을 반전하므로서 막전체에 대해 방오가 행해지고, 막을 띠형상으로 다분할하여, 양극, 음극의 조합방법에 의해, 보다 경계적인 방오장치가 가능해진다.
이와같은 구조에 의하면, 구조물에 대향해서 새로이 음극전극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전류가 흐르는 막을 구획화(분할)하므로서, 동시에 흐르는 전류량을 적게 하므로서 직류전원장치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 그 원가저감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을 강철제구조물에 적용한 실시예를 제5~9도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 1, 2 도와 동일한 부호와 번호는 각각 동도면과 동일의 부재를 나타낸다. 먼저, 제 5 도 모식도 및 제 6 도 수평단면도에 있어서, (14)는 절연도막(3)상에, 복수의 평행띠형상으로 부설되고, 각각 일단부가 통전단부(14a)에 접속된 제 1 도전막으로서, 그 재료는 상기 제 1 도전막(4)의 그것과 동일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성을 고려하여 금속산화물의 박판용사막을 사용하고 있다.
(5)는 제 1 도전막(1)의 바깥쪽등을 피복하는 제 2 도전막으로서, 그 재료는 상기 제 2 도전막의 그것과 동일하다.
이와같은 장치에 있어서, 제 1 도전막(14)은 복수의 평행띠형상으로 부설되어 있으므로, 전체면형성의 앞 실시예의 제 1 도전막(4)에 비하여 재료의 물량을 수분의 1로 절약할 수 있다. 또, 제 1 도전막(14)은 띠형상이므로, 각 폭이 작고, 각각의 양쪽가장자리의 잔류응력이 감소한다. 또한, 제 2 도전막(5)에는 도전성이 있으므로, 제 1 도전막(14)이 전체면 형성되지 않아도 제 2 도전막(5)의 전체면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효과를 보기 위하여, 제 7 도에 정면도로 도시한 바와같이, 강철판(1)에 부설되며 통전당부(14a)를 통해서 전류가 공급되는 좌우 1쌍의 제 1 도전막(14)을, 제 2 도전막(5)으로 덮어서 해상뗏목에 매어단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제 1 도전막(14)이 알루미늄용사막이고, 여기에서부터 전류밀도 1A/m-이하의 직류전류를 흐르게하고, 제 2 도전막(5)이 도료수지비닐에 도전안료로서 입자직경 45μm이하의 그래파이트분말을 체적농도로 40%혼합하고, 그들의 막두께를 300μm로 하였을 경우의 방오유효길이 ℓ는 1m였다.
다음에, 제 8 도 수평단면 또는 제 6 도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15)는 절연도막(3)위에 가로세로 적당 간격의 격자형상으로 부설되고, 일단부가 통전단부(14a)에 접속된 제 1 도전막, (16)은 제 1 도전막(15)등의 바깥쪽을 피복하는 제 2 도전막으로서, 이와같은 변형예에 있어서도, 본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만일 외력에 의해 제 1 도전막(15)의 일부가 절단되었을 경우, 자동적으로 우회로가 형성되어서 하류쪽에의 전류공급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제 9 도 모식도는 제 5 도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17)은 제 2 도전막의 저항을 낮추기 위하여, 금속계, 그래파이트계로 내산화성 불용성물질로 이루어진 도전성 안료의 량을 증가시킨 도료를 제 1 도전막(14)등의 위에 직접 도장한 제 2 도전막 하층이다. (18)은 제 2 도전막의 내전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막의 기밀성을 크게하기 위하여 안료의 량을 감소시킨 도료를 제 2 도전막하층(17)위에 도장한 제 2 도전막상층이다. 이와같은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제 2 도전막의 저항을 낮추며, 따라서 제 1 도전막의 평행간격을 크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 7 도에 도시한 요령과 동일요령의 해수내에서의 기초실험을, 도료수지 아크릴속에 도전안료로서 입자직경 45μm이하의 그래파이트분말을 체적 농도로 60%혼합하여 막두께 200μm로한 제 2 도전막하층(17)에, 비닐수지속에 입자직경 45μm이하의 그래파이트분말을 체적농도로 40%혼합하여 막두께 200μm로한 제 2 도전막상층(18)을 도포한 것에 대해서 행하였다. 그결과, 방오유효길이 ℓ은 4m였다.
또, 상기와 같은 실험으로 제 2 도전막하층(17)을 도료수지아클리속에 구리분말을 체적농도로 30%혼합하고, 막두께 200μm로 하였을 경우의 방오유효길이 ℓ은 15m였다.
이들의 실시예, 변형예를 통해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 효과를 낼 수 있다.
① 제 1 도전막을 복수의 평행띠형상 또는 격자형상으로 하므로서 제 1 도전막의 시공면적은 전체면시공에 비하여 수분의 1로 감소하고, 따라서 장치의 원가가 저감된다.
② 제 1 도전막을 복수의 평행띠형상 또는 격자형상으로 하므로서, 제 1 도전막의 폭치수가 작고, 그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잔류응력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제 1 도전막이 박리될 염려가 없어진다.

Claims (4)

  1. 선박, 해양구조물등의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접수면의 전기절연체(3)의 바깥쪽을 피복하는 비저항이 작은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의 박판, 용사막, 증착막 또는 응착막으로 이루어진 통전용의 제 1 도전막(4)과, 상기 제 1 도전막(4)의 바깥쪽을 피복하는 내산화성 불용성물질과 유기바인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도전막(4)보다 전기저항이 큰방오용의 제 2 도전막(5)과, 상기 제 2 도전막(5)에 대향하여 철, 구리 또는 탄소로 이루어지고 해수속에 설치된 전기전도체(6)와, 상기 제 1 도전막(4)과 상기 전기전도체(6)와의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도전막(4)에서부터 상기 제 2 도전막(5)을 통해서 상기 전기전도체(6) 방향으로 직류를 통전하는 전원장치(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장치.
  2. 선박, 해양구조물등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접수면의 전기절연체(3)의 바깥쪽을 피복하는 비저항이 작은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의 박판, 용사막, 증착막 또는 응착막으로 이루어진 통전용의 제 1 도전막(4)과, 상기 제 1 도전막(4)의 바깥쪽을 피복하는 내산화성 불용성물질과 유기바인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도전막(4)보다 전기저항이 큰 방오용의 제 2 도전막(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도전막(4) 및 제 2 도전막(5)이 복수로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도전막(4)중, 임의로 선택되는 2개의 제 1 도전막(4)의 한쪽을 양극으로 하고, 다른 한쪽을 음극으로 하여 양자간에 교대로 바다속에 전류를 흐르게하는 극성절환회로를 가진 직류전원장치(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막(14), (15)이 띠형상 또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막(14), (15)이 띠형상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장치.
KR1019900001109A 1988-11-14 1990-01-31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防汚)장치 KR930008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87190 1988-11-14
JP28719088 1988-11-14
JP63-302005 1988-11-29
JP1139973A JP2647498B2 (ja) 1988-11-14 1989-06-01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の防汚装置
JP1-139973 1989-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475A KR910000475A (ko) 1991-01-29
KR930008997B1 true KR930008997B1 (ko) 1993-09-18

Family

ID=26472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109A KR930008997B1 (ko) 1988-11-14 1990-01-31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防汚)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088432A (ko)
EP (1) EP0369557B1 (ko)
JP (1) JP2647498B2 (ko)
KR (1) KR930008997B1 (ko)
AU (1) AU618145B2 (ko)
CA (1) CA2001785C (ko)
DE (1) DE68902979T2 (ko)
DK (1) DK174030B1 (ko)
FI (1) FI95896C (ko)
NO (1) NO17941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528B1 (ko) * 2007-02-12 2008-08-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용 메인 보일러의 레이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3424A (en) * 1988-01-19 1997-07-01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Inc. Apparatus for the prevention of fouling and/or corrosion of structures in seawater, brackish water and/or fresh water
US5346598A (en) * 1988-01-19 1994-09-13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Inc.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fouling and/or corrosion of structures in seawater, brackish water and/or fresh water
JPH0724822B2 (ja) * 1990-07-23 1995-03-22 大機ゴム工業株式会社 防汚方法および防汚装置
US5653052A (en) * 1991-04-03 1997-08-05 Ocean Environmental Technologies Limited Method for immobilizing or killing swimming larvae in a mass of fresh water, and an electric trap for practicing such a method
US5364512A (en) * 1992-10-15 1994-11-15 Pure The Ionizer Inc. Electrochemical ionization apparatus system for purifying water
GB9403959D0 (en) * 1994-03-02 1994-04-20 Ostlie Lars S Apparatus for harming or killing fouling flora or fauna and an item carrying the same
FI103190B1 (fi) * 1994-11-01 1999-05-14 Savcor Marine Oy Menetelmä eliöstön kasvun estämiseksi nesteupotuksessa olevien rakenteiden pinnoilla
US7111428B1 (en) * 1996-09-06 2006-09-26 Ocean Environmental Technologies Ltd. Apparatus for harming or killing fouling flora or fauna and an item carrying the same
US5753100A (en) * 1996-12-27 1998-05-19 Lumsden; Dennis L. Ionization-type water purification system
US5820737A (en) * 1997-02-25 1998-10-13 Kohn; Henri-Armand Anti-fouling laminate marine structures
US6209472B1 (en) * 1998-11-09 2001-04-03 Bruns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hibiting fouling of an underwater surface
GB2343948A (en) * 1998-11-18 2000-05-24 Yorkshire Water Services Ltd Investigating potable waters
AUPP958199A0 (en) * 1999-04-01 1999-04-29 Barnacle Guard System Pty Ltd An anode for use in a marine environment
US6173669B1 (en) 1999-10-14 2001-01-16 Brunswic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hibiting fouling of an underwater surface
US6514401B2 (en) * 2001-05-02 2003-02-04 Taiwan Power Company Anti-biofouling system
US6547952B1 (en) 2001-07-13 2003-04-15 Brunswick Corporation System for inhibiting fouling of an underwater surface
DE10238981A1 (de) * 2002-08-20 2004-04-08 bioplan GmbH Institut für angewandte Biologie und Landschaftsplanung Beschichtung von Oberflächen, die mit einer Flüssigkeit in Kontakt kommen, zur Verhinderung von biologischem Bewuchs
DE10324228B4 (de) * 2003-05-28 2006-02-16 Rittal Gmbh & Co. Kg Kühlvorrichtung für eine Offshore-Windenergieanlage
US7211173B1 (en) 2003-07-29 2007-05-01 Brunswick Corporation System for inhibiting fouling of an underwater surface
US7025013B1 (en) 2004-07-16 2006-04-11 Brunswick Corporation Multilayered submersible structure with fouling inhibiting characteristic
US8020504B2 (en) * 2010-01-19 2011-09-20 Beltran, Inc. Structural component for producing ship hulls, ship hull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S2655715T3 (es) 2014-08-01 2018-02-2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Recubrimiento antifouling (antiincrustante) y su uso, así como procedimiento para proteger superficies frente al biofouling (bioincrustación)
KR102659113B1 (ko) * 2015-12-23 2024-04-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해양 구조체
AU2016374854B2 (en) * 2015-12-23 2022-01-20 Koninklijke Philips N.V. Load arrangement and electrical power arrangement for powering a load
CN108496410B (zh) * 2015-12-23 2021-01-26 皇家飞利浦有限公司 负载装置和用于为负载供电的电力装置
EP3481151A1 (en) * 2017-11-01 2019-05-08 Koninklijke Philips N.V. An electric current supply system, designed to be at least partially submerged in an electrically conductive liquid during operation thereof
KR20210093981A (ko) * 2018-11-22 2021-07-28 로베르토 케쎌 해양 환경에서의 생물 오손 제한을 위한 방법
KR102555459B1 (ko) * 2021-06-04 2023-07-13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선박용 바이오파울링 방지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EP4361017A1 (en) * 2022-10-31 2024-05-01 EPFF Electrical Pipe For Fluid transport AB Reduction of biofouling on watercraf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0094A (en) * 1967-12-11 1970-05-05 James Clark Method and means for reducing the skin friction of bodies moving in a fluid medium
US3625852A (en) * 1969-06-27 1971-12-07 Engelhard Min & Chem Marine antifouling system
US3984302A (en) * 1974-11-18 1976-10-05 General Dynamics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marine fouling of salt water coolant heat exchangers, piping systems, and the like
US4127687A (en) * 1976-07-19 1978-11-28 Rohm And Haas Company Prevention of fouling of marine structures such as boat hulls
GB1597305A (en) * 1977-05-25 1981-09-03 Riffe W J Marine potentiometric antifouling and anticorrosion device
JPH0615069B2 (ja) * 1986-10-17 1994-03-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海水と接する構造物の導電塗膜及び防汚装置
JP2601807B2 (ja) * 1986-10-20 1997-04-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の防汚装置及び防汚・防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528B1 (ko) * 2007-02-12 2008-08-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용 메인 보일러의 레이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179414B (no) 1996-06-24
KR910000475A (ko) 1991-01-29
DK539889D0 (da) 1989-10-30
AU618145B2 (en) 1991-12-12
DK174030B1 (da) 2002-04-29
CA2001785A1 (en) 1990-05-14
DE68902979D1 (de) 1992-10-29
US5088432A (en) 1992-02-18
NO179414C (no) 1996-10-02
NO894523D0 (no) 1989-11-13
DK539889A (da) 1990-05-15
NO894523L (no) 1990-05-15
FI95896C (fi) 1996-04-10
EP0369557B1 (en) 1992-09-23
FI895418A0 (fi) 1989-11-14
DE68902979T2 (de) 1993-02-25
EP0369557A1 (en) 1990-05-23
JPH02225574A (ja) 1990-09-07
FI95896B (fi) 1995-12-29
JP2647498B2 (ja) 1997-08-27
CA2001785C (en) 1994-03-08
AU4455289A (en) 199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997B1 (ko) 해수에 접하는 물체의 방오(防汚)장치
US5182007A (en) Stain preventing method
GB1597305A (en) Marine potentiometric antifouling and anticorrosion device
JPH0814036B2 (ja)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の防汚装置
JP3145390B2 (ja) 海水電解式防汚装置の導電膜
JP2505608B2 (ja)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の防汚装置
JPS6473094A (en) Method for preventing corrosion of steel structure in seawater
JP2520779B2 (ja) 水中鋼構造物の防食、防汚方法
JP3207718B2 (ja) 海洋生物付着防止塗膜
JP4789043B2 (ja) 海水電解装置
JPS63101464A (ja) 海水と接する構造物の導電塗膜及び防汚装置
JPH05202510A (ja) 海洋生物付着防止装置の直流電源装置
JPH03125690A (ja)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の防汚装置
JP2601807B2 (ja)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の防汚装置及び防汚・防食装置
JP3386898B2 (ja) 被防食材の防食構造
JP2505555B2 (ja) 海洋構造物の防汚装置
JP2575866B2 (ja)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の防汚装置
JPH048691A (ja) 海水接触構造物の防汚装置施工方法
JP2577988Y2 (ja) 鋼構造物用海洋生物付着防止装置
JPH02196868A (ja)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の防汚装置
JPH02279772A (ja)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の防汚装置
JP2809351B2 (ja) 海水に接する船体外板の防汚・防食方法
JPH0597091A (ja)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の防汚装置
JPH03235792A (ja) 船尾部の防食防汚装置
JPH03132495A (ja)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の防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