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278B1 - 개선된 캡스턴을 가진 자기 녹음/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캡스턴을 가진 자기 녹음/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278B1
KR930008278B1 KR1019900001635A KR900001635A KR930008278B1 KR 930008278 B1 KR930008278 B1 KR 930008278B1 KR 1019900001635 A KR1019900001635 A KR 1019900001635A KR 900001635 A KR900001635 A KR 900001635A KR 930008278 B1 KR930008278 B1 KR 930008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tan
chassis
guide
rotary cylinder
magnetic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484A (ko
Inventor
모또노리 오오모리
이꾸오 니시다
고지 이요따
히데까즈 다께다
마사오 이와꾸라
메쯔오 이또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따 가쓰시게
히다찌비데오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우에무라 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따 가쓰시게, 히다찌비데오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우에무라 마사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00013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Landscapes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개선된 캡스턴을 가진 자기 녹음/재생장치
제 1 도는 섀시상에 취부된 캡스턴 모터가 도시된 상태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녹음/재생장치의 요부를 예시한 측면도.
제 2 도는 그의 부재상태(unloading state)에서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전반적 구조를 예시한 평면도.
제 3 도는 그의 적재 상태(loading state)에서 제 2 도에 도시된 전반적 구조를 예시한 평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녹음/재생장치의 요부를 예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카세트 2 : 자기 테이프
3 : 로터리 실린더 4 : 적재 모터
5 : 캡스턴 모터 6 : 호울더
7, 8 : 적재 링 9, 19 : 안내판
10, 14, 18 : 안내기판 11a, 11b : 워엄 기어
12 : 캠기어 13 : 감속기어 블록
13a, 13b : 감속기어 15 : 섀시
16 : 고정 스크류 17 : 축
20 : 안내 레일 21 : 핀치 로울러
22 : 캡스턴
본 발명은 자기녹음/재생장치에 관한것으로, 소위 카세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후 "VTR"이라 칭하는) 형의 테이프 적재 기구를 가지는, 더옥 상세하게는 그의 개선된 캡스턴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VTR은 자기 테이프의 사용을 뜻하며 이는 자기 테이프 적재를 위해 요구되는 노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테이프 카세트 내에 충당하고, 테이프 적재 기구는 그 안에 제공되어진다. 상기 장치로 삽입되는 테이프 카세트에 대하여, 테이프 적재 기구는 자동적으로 그것을 로터리 실린더에 고정시키기 위해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자기 테이프를 제거한다.
그 결과 소정의 테이프 통로가 형성된다.
상술한 형의 테이프 적재 기구는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61-273769 호에 공개되었다. 이 공개에 따르면, 테이프 적재기구는 안내 기판상에 배치된 안내핀과 안내로울러와 같은 안내부재와 로터리 실린더 주위로 이동하도록 배치된 안내기판을 구비한다. 적재물 작동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가 테이프 적재기구로 삽입될때, 안내 기판은 테이프 카세트에 공급된 자기 테이프를 붙잡기 위채 안내 부재를 따라 움직인다. 그 결과, 자기 테이프는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제거된다. 이때, 안내 부재는 자기 테이프를 소정 각도에서 로터리 실린더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는다. 그 결과, 자기 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소정 통로가 한정된다. 적재물 작동에 따르면, 핀치 로울러는 자기테이프가 고정되어진 상태에서 캡스턴과 결합하여 자기 테이프를 유지하도록 또한 이동되고, 그에 의해 소정의 테이프 통로가 형성되어진다. 그리하여, 자기 테이프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배열된 캡스턴에 의하여 테이프 통로를 통해 작동된다.
상술된 형의 VTR은, 캡스턴 모터를 구비한 캡스턴 기구가 로터리 실린더가 제공된 측의 대향측상 섀시 위에 배치되고, 이후 소위 "섀시의 후측"이라 칭하는 캡스턴 기구상의 대향측이 배치되는 그러한 수단을 나타낸다. 캡스턴은 섀시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관통되도록 배치되므로 캡스턴이 섀시의 표면으로 돌출한다.
최근의 VTR은 크기와 두께가 축소되었는데, 이러한 크기의 축소는 안내부재 및 캡스턴을 로터리 실린더에 인접하도록 배치시키기 위해 테이프 통로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께 감소의 정도는, 섀시의 표면과 캡스턴 모터 배치에 있어서의 로터리 실린더의 높이에 의존하므로 한계를 가진다. 종래의 캡스턴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상부 돌출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경우을 고려하여 상기 구조는 모터의 로터리 축이 캡스턴에 공급되도록 배치되는데, 캡스턴 모터는 필수적으로 상기 캡스턴 아래에 있고, 그것은 섀시에 인접하여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 녹음/재생 장치의 크기 및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기 녹음/재생 장치의 크기 및 두께를 그의 구조 강도의 저하없이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석에 근거를 두고 발명자가 제조한 것으로, 후술되겠지만, 로터리 실린더가 배치된 위의 섀시의 동축상에 캡스턴 기구를 배치함으로써 상술된 목적을 달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 녹음/재생 장치는 섀시 ; 섀시상에 취부된 로터리 실린더, 로터리 샐린더 주위에 가동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개의 안내기판 ; 안내 기판이 이동하므로써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자기 테이프를 제거하고, 상기 로터리 실린더 주위에 상기 자기테이프를 감아 자기 테이프가 주행하는 소정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안내 기판상에 취부된 안내 수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자기 테이프를 제거하기 위한 안내수단 ; 그리고 로터리 실린더가 배치된 섀의 등푹상에 배치되고 자기 테이프와 접촉되는 방향인 섀시쪽으로 캡스턴 신장을 가지는 캡스턴 기구로써, 그와같이 작동되기 위한 자기 테이프 구동용 캡스턴 신장을 가지는 캡스턴 기구로써, 그와같이 작동되기 위한 자기 테이프 구동용 캡스턴 기구를 구비하여 제공되어진다.
상술된 구조에 따르면, 캡스턴 기구는 로터리 실린더가 배치된 위의 섀시의 등푹상에 제공된다. 그 결과 섀시의 후측상의 구조가 축소된다. 더욱이, 캡스턴이 캡스턴 기구로부터 섀시쪽으로 아래로 돌출되므로, 안내 기판이 가동되는 공간은 캡스턴과 섀시 사이에 생겨난다. 그러므로, 캡스턴 기구는 만약 캡스턴 기구의 높이가 적당히 결정된다면 안내 기판 이동이 방해없이 로터리 실린더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그 결과, 테이프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은 축소된다. 또한, 캡스턴이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구멍이 필요치 않으므로, 섀시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게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성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질 것이다.
먼저, VTR의 크기 및 두께를 축소시키기 위한 발명자의 분석이 기술될 것이다.
상술된 바와같이, 종래의 자기 녹음/재생 장치에 있어서, 캡스턴 모터를 구비한 캡스턴 기구는 섀시의 후측상에 취부된다. 그리하여, 상기 장치는 그의 크기 축소에 있어 고정의 한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VTR의 두께는 로터리 실린더가 배치된 위의 섀시의 동축상에 캡스턴 모터 등을 배치시킴으로써 감소된다. 그러나, 상기 경우에 있어, 비록 캡스턴 모터의 두께를 가능한한 작게 줄일수 있을지라도, 캡스턴 모터는 서로 포개지는 안내기판용 통로와 캡스턴 모터로 인한 안내 기판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로터리 실런더로부티 떨어져 배치된다. 그 결과, 캡스턴이 로터리 실린더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되므로써, 테이프 통로는 당연히 확대된다. 그러므로, VTR의 크기는 축소될 수 없다.
그러므로, 섀시 위에서와 같은 돌출의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그 안에 캡스턴 모터를 공급하도록 섀시내에 구멍이 형성되어지는 구조의 이용이 고려되어진다. 즉, 섀시의 표면상 캡스턴 모터의 돌출은 섀시에 형성된 구멍안으로 캡스턴 모터를 공급하므로써 안내 기판과 같은 타부재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신장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섀시의 후측 돌출이 또한 감소될 수 있으므로, VTR의 두께가 감소된다. 더욱이, 상기 캡스턴은 로터리 실린더에 가깝게 인접하는 구멍을 형성하므로써 VTR의 크기를 축소시키기 위해 로터리 실린더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그러나, 상술된 구조에 따르면, 캡스턴 모터를 장착시키기 위한 큰 사이즈의 다른 구멍이 섀시내에 형성된 로터리 실린더에 장착되기 위한 큰 구멍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도록 형성된 구멍 속의 섀시부는 로터리 실린더가 취부되었을 때 섀시에 편차가 생기도록 한다. 그것은 로터리 실린더를 장착하는데 있어서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발생한다.
상술된 문제점을 극복하고, 그의 실행에 있어서 품질 저하없이, 자기 녹음/재생 장치의 크기 및 두께를 축소시키는 것이 요구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로터리 실린더가 배치된 위의 섀시의 동축상에 캡스턴 모터의 배열에 대하여 다시 주목했으며, 섀시 위에 캡스턴 모터를 구비하고 또한 섀시에 인접하도록 캡스턴을 배치하는 캡스턴 기구를 배치시킴으로써 상술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였다.
이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할 것이다.
제 1 도 내지 3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녹음/재생 장치의 요부를 예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1은 자기 녹음/재생 장치로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를 나타내고, 1a는 테이프 카세트(1) 내에 형성된 개구부를 나타내며, 2는 자기 테이프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3은 취부된 녹음 헤드와 재생 혜드상의 로터리 실린더를 나타내고, 4는 적재 모터를 그리고 5는 캡스턴 모터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6은 호울더를 나타내고, 7과 8은 적재 링, 9와 19는 안내 판, 10, 14 및 18은 안내 기판, 11a 11b는 위엄기여, 12는 캡 기어, 13은 감속 기어 블록, 13a 13b는 감속기어, 15는 섀시, 16은 고정 스크류, 17은 축, 20은 안내 레일, 21은 펀치로울러, 22는 캡스턴을 나타낸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로터리 실린더(3)는 소정의 방향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상기 장치의 섀시(15)상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된다. 두개의 반원형 또는 반달형 적재 링(7, 8)은 로터리 실린더(3) 주위에 배치된다. 상기 링(7, 8)은 섀시(15)에 형성된 홈과 같은 것으로써 안내되고, 로터리 실린더(3) 주위의 원의 궤적을 따라 가동되도록 배치된다. 안내 기판(14, 18)은 핀과 같은 것으로써 적재 링(8)과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테이프 공급용 안내핀 및 안내 로울러는 안내 기판(14, 18)상에 취부된다. 유사하게, 취부된 테이프를 감기 위한 안내 핀 및 안내 로울러상의 안내 기판(10)은 적재 링(7)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적재모터(4)는 섀시(15)상에 취부되고, 적재 모터(4)의 로터리 축에 고정된 기이가 위엄 기어(11a)와 계합된다. 위엄기어(11a)는 연장된 축(17)의 단상으로 바깥쪽에 압착되는 반면, 위엄 기어(11b)는 그의 타단상으로 바깥쪽으로 압착된다. 위엄 기어(11b)는 캠 기어(12)와 계합되고, 캠 기어(12)는 감속기어 블록(13)과 결합된다. 감속 기어 블록(13)의 기어(13a)는 적재 링(8)상에 구비된 기어와 계합하는 반면, 기어(13a)와 계합하는 기어(13b)는 적재 링(7)상에 구비된 기어와 계합된다. 적재모터(4)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은 상술된 기어 기구를 경유하여 적재 링(7, 8)으로 전달되므로, 적재 링(7, 8)은 로터리 실린더(3) 주위의 서로 대향방향으로 이동한다.
테이프 카세트(1)가 적재되어 있는 자기 녹음/재생 장치의 부재 상태에 있어서, 안내 기판(10, 14 및 18)상의 안내핀과 안내 로울러와 같은 안내 부재는 카세트(1)의 자기 테이프(2)내에 위치된다. 적재 모터(4)가 상술된 부재 상태애서 작동될때, 적재 링(8)은 적재모터(4)의 구동에 의해 로터리 실린더(3) 주위로 시계방향으로 움직이는 반면, 적재 링(7)은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안내 기판(18)은 안내 레일(20)을 따라 움직이므로써 그리하여 적재 링(8)을 움직여 끌어당기게 되는 반면, 안내 기판(14)은 안내 판(19)에 형성된 안내 홈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또한, 적재 링(7)은 안내 판(9)에 형성된 안내 홈을 따라 그와 같이 움직이도록 안내 기판(10)을 끌어당긴다. 안내 기판(10, 14 및 18)이 움직이므로써, 그 위에 취부된 안내 부재는 테이프 카세트(1)로부터 그것을 제거시키기 위해 테이프 카세트(1)의 자기 테이프(2)을 잡아낸다. 상기 것에 따라, 핀치 로울러(21)는 도면에 예시되어 있지 않은 캡스턴(22)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안내 기판(10, 14 및 18)이 그들의 소정 위치에 도달될 때, 적재모터(4)가 중지되어 적재물 작동이 완료되므로써, 제 3 도에 도시된 적재 상태가 나타내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소정의 테이프 통로는 안내 기판(10, 18)상에 취부된 안내부재에 의해 한정되어지고, 자기 테이프(2)는 소정 각도에서 로터리 실린더(3)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진다. 자기 테이프(2)가 캡스턴 모터(5)로 구동되는 캡스턴(22)의 회전으로 인해 작동되도록 핀치 로울러(21)와 캡스턴(22)은 자기 테이프를 지지한다.
상술된 구조에 있어서, 캡스턴 모터(5)를 포함하는 캡스턴 기구는 로터리 실린더(3)가 배치된 위의 섀시(15)의 동축상에 배치되고, 호울더(6)를 통해 섀시(15)에 고정된다. 즉, 주형 또는 그와같은 것으로써 형성된 호울더(6)는 세팅 스크류(16)와 함께 섀시(15)에 고정되고, 캡스턴 모터(5)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호울더(6)의 상단에 고정된다. 캡스턴 모터(5)의 하부 표면에 위치한 축(22)은 섀시(15)쪽으로 돌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캡스턴 모터(5)의 축(22)은 캡스턴을 자기 테이프(2)와 직접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캡스턴은 호울더(6)상에 제공된 베어링으로써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섀시(15)에 수직으로 신장한다.
호울더(6)는 그 위에 취부된 캡스턴 모터(6) 안내기판(10)상의 안내부재보다도 더 높게 위치되도록 하는 높이를 가진다. 섀시(15)에 고정된 호울더(6)의 위치는 상기 호울더(6)가 로터리 실린더(4)와 접촉되지 않게 신장하도록 로터리 실린더(3) 근처에 설정되고, 안내 홈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 기판(10)은 안내 판(9)에 형성되며, 그리고 안내부재는 안내 기판(10)상에 취부된다. 상기 배치로 인하여,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내 기판(10)은 그의 코스에서 캡스턴 모터(5) 아래로 통과된다. 그러므로, 비록 로터리 실린더(3) 근처에 배치된 캡스턴 모터(5)일지다로 적재물 작동에 방해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실시예에 따라, 캡스턴 모터(5)는 로터리 실린더(3)가 배치된 위의 섀시의 동축상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장치의 두께가 섀시의 후측상에 배치된 캡스턴 모터인 종래의 장치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캡스턴 모터(5)가 모터리 실린더(3) 근처에 배치되므로써, 상기 장치의 크기가 또한 축소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이, 섀시 내에 별도 구멍을 형성할 필요성을 피할 수 있으므로, 섀시(15)의 기계적 강도는 로터리 실린더(3)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안정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녹음/재생 장치의 요부가 제 4 도에 도시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캡스턴 기구는 관성바퀴(flywheel)를 구비하고 캡스턴 모터는 관성바퀴를 회전시킨다. 도면에 있어, 참조번호 16a, 16b 및 16c는 세팅 스크류를 나타내고, 23은 캡스턴 모터, 23a는 풀리, 24, 25는 호울더, 26을 관성바퀴, 27은 벨트를 나타낸다. 제 1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것들의 소자는 상기와 동일한 참조부호가 주어지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개의 호울더(24, 25)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로터리 실린더(에서 생략)가 배치된 위의 섀시(15)의 동축상에 세팅 스크류(16a, 16b)와 함께 고정된다. 캡스턴(22)은 호울더(25) 상에 구비된 베어링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캡스턴(22)의 상단은 관성바퀴(26)가 압축장비된다. 캡스턴 모터(23)는 세팅 스크류(16c)와 호울더(24)에 고정되고, 풀리(23a)로 그의 로터리 축을 압축 장비되도록 한다. 벨트(27)는 모터(23)의 회전이 풀리(23a) 벨트(27) 그리고 관성바퀴(26)를 통하여 캡스턴(22)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관성 바퀴(26)와 풀리(23a) 주위로 감겨진다. 그리하여, 캡스턴(22)은 관성바퀴(26)의 작용하에서 모터(23)의 구동으로 인하여 안정하게 회전된다.
상술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호울더(25)의 높이는 안내 기판(10)상의 안내 부재보다 더 높게 관성바퀴(26)가 위치하도록 결정된다. 또한,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호울더(6)와 유사하게, 섀시(15)에 고정된 호울더(25)의 위치는, 로터리 실린더와 접촉하지 않도록 관성바퀴(26)와, 이동된 안내기판(10) 및 호울더(25)와 접촉되지 않도록 안내 기판(10)상에 취부된 안내부재를 신장시키기 위해 모터리 실린더 근처에 설정한다. 상기 배치로 인해, 안내 기판(10)은 적재물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관성 바퀴(26) 아래에서 이동된다. 부수적으로, 호울더(24)는 캡스턴(22)용 구동 기구를 위치설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공간을 축소시키기 위하여 호울더(25)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장치의 크기 및 두께가 축소되고, 로터리 실린더의 인접부에 섀시의 기계적 강도를 선행 기술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안정시킨다.
본 발명에 대해 상술된 것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같이, 캡스턴기구는 적재물 작동를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된 로터리 실린더 위의 섀시의 동축상에서 로터리 실린더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그 결과, 상기 장치의 크기 및 두께가 축소되고 섀시의 충분한 강도로써 섀시상에 제작되는 별도 가공이 불필요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로서 기술될지라도,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형성하는 상기 명세서에 단지 국한되지 않고, 첨부 특허청구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여러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 된다.

Claims (5)

  1. 자기 녹음/재상 장치는, 섀시 ; 상기 섀시 상에 취부된 로터리 실린더 ; 상기 로터리 실린더 주위에 가동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한개의 안내 기판 ;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자기 테이프를 제거하기 위한 안내 수단으로써, 상기 안내 기판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상기 자기 테이프를 제거하고 로터리 실린더 주위에 상기 자기 테이프를 감아 상기 자기 테이프가 주행하는 소정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안내 기판 상에 취부된 안내 수단 ; 그리고 그와 같이 이동하는 상기 자기 테이프를 구동하여 주행시키기 위한 캡스턴 기구를 가지며, 상기 캡스턴 기구는 상기 로터리 실린더가 배치된 상기 섀시의 동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자기 테이프와 직접 접촉되도록 상기 섀시쪽으로 신장하는 캡스턴을 가지는 캡스턴 기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녹음/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스턴 기구가 상기 캡스턴으로써 제공되는 로터리 축을 가진 캡스턴 모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자기 녹음/재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스턴 모터는 상기 로터리 실린더에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섀시에 고정된 호울더 상에 취부되며, 상기 안내 수단이 상기 캡스턴 모터 아래에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 기판 상의 안내 수단보다 상기 캡스턴 모터가 더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호울더의 높이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녹음/재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스턴 기구가 상기 캡스턴으로써 제공되는 로터리 축을 가지는 관성바퀴와, 관성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한 캡스턴 모터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녹음/재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에 고정된 호울더 상에 상기 관성 바퀴 및 상기 캡스턴 모터 수단이 각각 취부되고, 상기 로터리 실린더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상기 관성 바퀴 아래에서 상기 안내 수단이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 기판상의 상기 안내 수단보다 상기 관성 바퀴가 더 높게 위치하도록 상기 관성 바퀴의 상기 호울더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녹음/재생 장치.
KR1019900001635A 1989-02-10 1990-02-10 개선된 캡스턴을 가진 자기 녹음/재생장치 KR930008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29909 1989-02-10
JP1029909A JPH02210647A (ja) 1989-02-10 1989-02-10 磁気記録再生装置
JP1-029909 1989-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484A KR900013484A (ko) 1990-09-05
KR930008278B1 true KR930008278B1 (ko) 1993-08-27

Family

ID=1228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635A KR930008278B1 (ko) 1989-02-10 1990-02-10 개선된 캡스턴을 가진 자기 녹음/재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65264A (ko)
JP (1) JPH02210647A (ko)
KR (1) KR9300082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0679A (en) * 1990-06-13 1998-01-20 Canon Kabushiki Kaish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6055383A (en) * 1993-11-17 2000-04-25 Canon Kabushiki Kaisha Film-cartridge loading device for a camera using a film-cartridge having a movable light-blocking door
US5663848A (en) * 1995-09-21 1997-09-02 Iomega Corporation Clip for attaching tape drive motor to chassis
KR100524787B1 (ko) * 2003-01-22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이씨알의 로딩기어 조립장치
JP4161759B2 (ja) * 2003-03-19 2008-10-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582897B1 (ko) * 2004-07-26 200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기록/재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2364A (ja) * 1985-04-19 1986-10-28 Hitachi Ltd 記録再生装置の駆動力伝達機構
JPS61273769A (ja) * 1985-05-29 1986-12-04 Pioneer Electronic Corp テ−プロ−デイング装置
DE3784269T2 (de) * 1986-05-27 1993-06-09 Hitachi Ltd Trommel mit rotierenden magnetischen koepfen fuer aufzeichnung- und wiedergabegeraet.
JP2569020B2 (ja) * 1986-10-22 1997-01-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プガイド移動機構
US4868693A (en) * 1987-02-09 1989-09-19 Yamaha Corporation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H0731857B2 (ja) * 1988-02-19 1995-04-10 三洋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リール台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10647A (ja) 1990-08-22
US5065264A (en) 1991-11-12
KR900013484A (ko) 199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5462A (en) Cartridge loading device having side-locking mechanism
KR940007621B1 (ko) 자기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
KR930008278B1 (ko) 개선된 캡스턴을 가진 자기 녹음/재생장치
US4757398A (en) Tape withdrawing device for a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20040075950A1 (en) Base, drum, and drum mounting unit for magnetic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US6122136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tape loading mechanism
KR0141189B1 (ko) 핀치롤러 승강장치
KR900001870Y1 (ko) 테이프 레코더
JPH0695418B2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KR940007537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KR900008496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JPH0334634B2 (ko)
JPH0454583Y2 (ko)
JPH042438Y2 (ko)
JP2642482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50000302Y1 (ko) 캠코더의 텐션암 구동장치
KR012898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주행 가이드장치
JPH03295052A (ja) ピンチローラの圧着機構
JPH0226027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39715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JPH08106683A (ja) 記録又は再生装置
JPH02101342U (ko)
JPH0714268A (ja)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JPS6216765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273769A (ja) テ−プロ−デイ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