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496B1 - 자기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496B1
KR900008496B1 KR1019900009391A KR900009391A KR900008496B1 KR 900008496 B1 KR900008496 B1 KR 900008496B1 KR 1019900009391 A KR1019900009391 A KR 1019900009391A KR 900009391 A KR900009391 A KR 900009391A KR 900008496 B1 KR900008496 B1 KR 90000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ssette
operable
head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꾸오 니시다
신이찌 하나와
히데유끼 가와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6057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58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900009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기록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회전자기 헤드장치의 부근의 기구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기구의 뒷면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테이프 로딩동작이 완료한 기구의 주요부 평면도.
제4a도∼제4c도는 테이프 인출과 테이프 안내를 실행하는 가이드 롤러 블럭과 그의 구동기구의 일부의 1예를 3개의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
제5도∼제8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사용하는 주요부분의 형상의 1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9도는 가이드핀 암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0도는 오디오 제어 헤드의 유지수단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2 : 자기테이프
3, 4 : 가이드 롤러 블럭 5 : 가이드 핀암
6 : T형암 7 : 전체폭소거헤드
8 : 임피던스롤러 9 : 회전실린더
10, 12, 16 : 가이드 11 : 오디오 제어헤드
13 : 핀치롤러 14 : 캡스턴
15 : 샤시 17 : FE 헤드암
18 : 샤프트 19 : C형 베이스
본 발명은 소정의 주행경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자기테이프를 카세트로부터 인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세트로부터 인출한 자기테이프를 회전자기헤드나 다른 자기헤드에 접촉시키는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 기구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포함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에서는 장치에 자기테이프를 수납한 카세트를 장착할 때, 기록 또는 재생동작용의 소정의 테이프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테이프 가이드의 일부를 이동시켜서 카세트로부터 자기테이프를 인출하는 것에 의해 회전자기헤드, 고정자기헤드 등에 자기테이프를 접촉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자기테이프를 카세트로부터 인출해서 소정의 테이프 경로를 형성하는 동작(이하 테이프 로딩동작이라 한다)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테이프가이드의 일부를 이동시키는 기구와 그것을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소형화의 요구에 따라서 이 테이프 가이드의 일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등도 소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른 구조의 하나의 예로써는 미국특허 제4,499,513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예에서는 고정자기헤드가 기록 또는 재생동작을 하는 동작에 고정되어 있다. 즉, 기록 또는 재생동작시에 이동시킬 필요가 없는 고정자기헤드를 테이프로딩 동작에 따라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자기테이프를 인출하기 위한 테이프 가이드의 이동경로의 일부를 고정 자기헤드의 배치위에 중첩시키도록 해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 예에서는 회전자기헤드장치에 자기테이프를 대략 180도의 범위에서 접촉시키고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한층더 도모할 수 있다. 더욱 소형화를 하기 위해서는 회전자기헤드의 직경을 작게해서 자기테이프의 접촉각도를 180도에서 270도까지 크게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도 회전헤드의 회전속도나 회전자기헤드의 배치를 고려해서 180도 부착한 경우와 동일한 기록패턴을 자기 테이프위에 형성할 수 있고, 회전자기헤드장치의 소형화에 의해서 장치를 더욱 소형화할 수가 있다.
이런 생각에 따라 기기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한 예로써 미국특허 출원 No. 4642713이 있다. 이 예와 같이 테이프 주행경로에서는 테이프 로딩후에 회전실린더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하는 경사테이프 가이드 이외에 또 테이프로딩후에 테이프의 비자성면측을 안내하는 경사핀을 감기측에 1개 마련한 쪽이 더 한층의 소형의 주행경로를 형성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예에서 추가된 상기 경사핀이 테이프가 인출되기전의 상태에서는 샤시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 있고, 테이프의 인출과 연동해서 동작하여 상기 경사핀의 위를 상기 경사테이프 가이드와 테이프가 통과하고 나서 상기 경사핀을 일으켜 세워서 테이프 주행경로의 소정위치로 동작시킨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경사핀 위치각도의 정밀도를 낼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기구적으로 곤란하며, 또 각도위치 정밀도를 내는 것도 곤란하였다. 그래서 동작 타이밍이나 위치각도 정밀도의 점에서 확실하고 용이하게 정밀도를 내는 추가된 상기 경사핀의 이동에 관한 유효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의 테이프 주행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추가되는 제3의 경사가이드핀의 동작이 확실하고 고정밀도로 위치결정 가능하게 실행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의 테이프 가이드 핀을 장착한 카세트 바닥면에 대해서 경사를 갖게함과 동시에 가이드핀암위에 마련하고, 상기 제3의 테이프 가이드 핀이 인출되어 있지 않은 언로딩 상태에서는 카세트내의 제3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로딩동작에 따라 카세트내에서 테이프를 인출하여 소정의 테이프주행로상의 회전실린더의 감기측의 제4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며, 또 이동하는 동안 제3의 테이프 가이드 핀은 카세트 바닥면에 대한 경사를 유지한 채로 카세트내의 제3의 위치에서 제4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게 하였다. 상기 가이드핀암은 구동암부재에 의해 캠기구를 사용해서 구동하도록 하여 소정의 동작궤적에 만족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실린더에 큰 각도로 테이프를 감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 테이프 주행계에 필요한 회전실린더의 양측의 가이드 이외의 제3의 경사가이드를 카세트 내에서 이동시켜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있어서 장착한 카세트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를 유지하면서 이동하므로 종래예와 같이 일으켜 세워서 각도를 이루는 기구에서의 스토퍼의 위치, 해당각의 불안정한 문제가 없이 단일부품으로 정밀도를 확보하면 경사의 각도 정밀도를 용이하게 나타낼 수 있어 정밀도가 양호한 주행계가 확보된다는 큰 효과가 있다. 또 제3의 경사가이드는 테이프를 인출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테이프의 로딩동작에 의해 테이프가 통과한 후 제3의 가이드를 일으켜 세운다는 타이밍에 맞출 필요성이 없다. 그 때문에 기구적으로도 설계자유도가 있으며, 또 동작도 테이프와 같은 불안정한 상태를 고려한 힘든 타이밍이 필요없는 만큼 확실성이 있는 기구를 얻을 수 있다는 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외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으로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제1도∼제10도를 참조해서 실시예와 함께 설명한다.
제1도는 카세트 장착부, 회전자기헤드장치와 그 주변부분을 포함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부분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자기테이프(2)를 수납한 카세트(1)은 2점쇄선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카세트(1)내의 자기테이프(2)는 카세트(1)이 장치에 장착될때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 있다. 테이프의 로딩조작에 따라서, 자기테이프(2)는 롤러(3a), (4a)와 경사핀(3b), (4b)를 각각 갖는 2개의 가이드롤러블럭(3), (4)와 가이드핀암(5)에 고정된 경사핀(5a), 카세트(1)내의 위치로부터 각각 소정의 테이프 주행위치로 이동하는 T형암(6)에 고정된 텐션 보정용핀(6b)로써 제3도는 도시한 바와 같은 주행경로를 형성한다. 이때에 자기테이프(2)는 전체폭소거헤드(7), 임피던스 롤러(8), 회전실린더(9), 가이드(10), 오디오 제거헤드(이하, AC헤드라 한다)(11), 가이드(12)에 각각 접촉된다. 그리고, 핀치롤러(13)이 회전하는 캡스턴(14)에 눌려 접속되면, 그 사이에 유지된 자기테이프(2)가 구동되어 안정된 상태로 주행한다.
여기서, 전체폭소거헤드(7)은 기록동작시에 여기를 통과하는 자기테이프(2)의 폭전체상에 기록된 신호를 소거한다. 임피던스 롤러(8)은 테이프 주행상태를 안정화하기 위한 롤러로써, 테이프의 이동에 따라서 회전된다. 회전실린더(9)는 회전자기헤드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통상고정 실린더와 대향해서 동심상태로 배치되고, 고정실린더에 대향하는 그의 주변면으로 부터 약간 돌출하는 다수개의 자기헤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고, 자기 테이프(2)에 병렬로 비스듬한 기록트랙을 형성한다. AC헤드(11)은 자기테이프(2)의 끝부분에 따라서 긴쪽방향의 오디오 신호트랙 및 제어신호 트랙을 형성하는 2개의 일체화된 자기헤드를 갖는 이중 헤드이다. 이들 각 부품은 공지의 VHS방식의 카세트 비디오 레코더의 부품과 대응하는 것으로써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가이드 롤러 블럭(3)과 (4)는 샤시(15)에 마련된 가이드구멍(15a)와 샤시(15)에 고정된 가이드(16)의 가이드구멍(16a)(가이드구멍(16a)의 아래쪽의 샤시(15)의 부분은 가이드구멍으로 되어 있다)에 따라서 그의 각각 상하방향으로 눌려진 형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T형암(6)은 샤프트(6a)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유지되고, 그의 한쪽끝에 자기테이프(2)와 접촉하는 핀(6b)를 갖고 있다. 전체폭 소거헤드(7)은 FE헤드암(17)에 부착되어 있고, FE헤드암(17)은 샤시(15)에 고정된 샤프트(18)에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도시한 위치로 힘이 가해져서 회전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로딩동작일때 가이드 롤러 블럭(3)의 이동에 의해서 FE헤드암(17)의 주변이 가이드롤러 블럭(3)에 접촉해서 스프링의 가하는 힘에 대향해서 풀리므로, 가이드 롤러블럭(3)의 이동은 저지되지 않는다. 임피던스 롤러(8)은 샤시(15)에 고정된 샤프트(19c)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회전실린더(9)는 가이드롤러블럭(3), (4)의 위치결정스토퍼(19a), (19b)를 갖는 C형 베이스(19)에 탑재되어 있고, C형 베이스(19)는 3개의 나사에 의해 샤시(15)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핀암(5)는 제1도에 도시한 장착된 카세트의 바닥면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핀(5a)와 핀(5b)를 가지며, 샤시(15)에 고정된 샤프트(20)에 회전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스토퍼(21)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5b)를 받는 위치에서 샤시(15)에 나사로서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10)과 (12)는 AC 헤드암(22)위에 유지되어 있다. AC헤드(11)은 AC헤드암(22)위에서 그의 일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다. AC헤드암(22)는 샤시(15)에 고정된 샤프트(23)에 회전이 가능하게 유지되고, 스프링(24)에 의해 샤프트(23)의 축방향에 따라서 안쪽으로 밀리고, 쓰러스트 베어링(25)를 거쳐서 너트(2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제10도). 구동암(27)은 가이드핀암(5)의 회전축(20)에 중첩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AC 헤드암(22)의 핀(22a)(제10도)와 걸어맞춤하는 캠홈(27a)(제5도, 제8도), 가이드핀암(5)를 밀어내는 스프링(27b)(제8도), 판스프링(27c)(제8도), 캠홈(27d)(제8도) 및 가이드핀암(5)의 스토퍼핀(5c)(제5도, 제7도)와 걸어맞춤하는 스토퍼(27e)(제8도)를 갖고 있다.
제3도에서 조작암(28)(제6도)은 샤프트(52)에 의해 샤시(15)에 회전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구동암(27)의 판스프링(27c) 및 캠홈(27d)(제8도)와 걸어맞춤하는 핀(28a)(제5도, 제6도), 조작암(29)(제2도 및 제5도)의 구멍(29a)와 걸어맞춤하는 핀(28b)(제6도)를 갖고 있다. 조작암(29)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15)에 고정된 샤프트(30)에 샤시(15)의 뒷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유지되어 캠기어(31)의 캠홈(31a)와 걸어맞춤하는 핀(29b)를 갖는다. 캠기어(31)은 샤시(15)에 고정된 샤프트(32)에 회전이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제4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기어(31)에 샤프트(32)와 동축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탑제되어 스프링(33)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링크(3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링크(34)는 링크(35) 및 링크(35)에 샤프트(36)을 통해서 연결된 링크(37)와 접속되어 있다. 링크(37)은 2개의 샤프트에 의해 "움직임"을 가지고 유지되어 있는 플레이트(38)(제4도 a)을 가지고 있다. 캠기어(31)은 동일한 구조의 캠기어(39)와 맞물려져 있는 톱니바퀴인 바깥둘레를 갖고 있다. 플레이트(38)(제4c도)에 대응하는 부분을 재외하고는 캠기어(39)는 캠기어(31)과 거의 마찬가지로 그것에 결합된 스프링(40), 링크(41), (42), 샤프트(43), 링크(44)로 구성되어 있다. 단 플레이드(38)은 가이드롤러블럭(4)와 링크(44)는 가이드롤러블럭(3)과 함께 서로 구멍과 축의 관계로 접속되어 있다. 샤프트(43)은 가이드구멍(15a)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어되고, 샤프트(36)은 가이드구멍(16a)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제어된다. 캠기어(39)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웜기어(46)과 맞물려져 있고, 웜기어(46)은 샤시(15)에 회전이 가능하게 유지되며, DC 모터(49)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DC 모터(49)의 풀리에 접속되어 그 위에 배치된 고무벨트(48)을 갖는 풀리기어(47)의 톱니바퀴와 맞물림하고 있는 기어(46a)를 갖는다. 제1도에서 공급릴베이스(50) 및 감기릴베이스(51)은 샤시(15)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카세트(1)이 장착되면(제1도) DC 모터(49)(제2도)가 로딩방향으로 전압을 가하여 DC 모터(49)의 회전력이 고무벨트(48), 풀리기어(47), 웜기어(46), 캠기어(39) 및 (31)로 전달된다. 캠기어(31), (39)의 회전에 따라 캠기어(31), (39)에 접속되어 있는 링크(34), (35), (37), (41), (42), (44)(제4도 B)와 걸어맞춤하고 있는 가이드롤러블럭(3)과 (4)는 가이드구멍(15a), 가이드구멍(16a)에 의해 제어되면서 C형 베이스(19)의 위치결정부(19a)(19b)(제1도)를 향해서 이동한다. 캠기어(31)(제2도)의 회전이 가이드롤러블럭(4)(제1도)가 AC 헤드(11)을 막 통과하기 시작하는 정도까지 되었을때 도시한 바와 같이 캠기어(31)의 캠홈(31a)와 걸어맞추고 있는 조작암(29)는 캠홈의 변위에 의해 샤프트(30)을 중심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한다(제5도). 조작암(29)의 회전에 의해 조작암(29)의 구멍부(29a)와 걸어맞추고 있는 핀(28b)가 동작되고, 조작암(29)의 이 회전에 의해 조작암(28)이 샤프트(52)를 중심으로 동일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고, 이것에 따라 조작암(28)의 핀(28a)와 캠홈(27d), 판스프링(27c)로써 걸어맞춤하고 있는 구동암(27)이 화살표 A와 반대의 B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 조작암(29)는 조작암(28)의 핀(28b)를 누르고, 핀(28a)는 구동암(27)의 캠홈(27d)를 눌러 상기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있다. 구동암(27)의 회전에 따라 우선 가이드핀암(5)가 스프링(27b)에 의해 눌려져서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고, 경사핀(5a)가 AC헤드(11)(제1도)의 전면부를 통과하는 시점에 도달했을때, 캠홈(27a)(제5도)가 걸어맞추고 있는 AC 헤드암(22)의 핀(22a)(제10도)를 누르기 시작하여, 그 결과 가이드(10), AC헤드(11), 가이드(12)를 유지하고 있는 AC 헤드암(22)(제1도)가 회전을 시작한다. 이때, 경사핀(5a)는 가이드핀암(5)가 카세트 바닥면에 대해서 평행으로 회전운동하므로, 카세트 바닥면에 대해서의 카세트내의 위치에서의 경사를 유지한 상태로 가이드핀암(5)의 회전운동동작에 따라서 테이프를 인출하면서 이동한다. 이 동작의 시간차는 캠홈(27a)의 형상에 의해서 결정되고 있다. 이 동작이 진행하여 가이드롤러블럭(3), (4)(제1도)가 자기테이프(2)를 인출하는 시점까지 이르면 회전실린더(9)에 접촉하면서 C형 베이스(19)의 위치결정부(19a), (196)(제1도)에 도달하고, 스프링(33), (40)(제4도 b)가 변위되어 가이드롤러블럭(3), (4)를 위치결정부(19a), (19b)(제1도)로 민다. 대략 이 시점에 있어서, 가이드핀암(5)와 AC헤드암(22)의 회전동작은 거의 완료된다. 우선, 가이드핀암(5)의 핀(5b)가 스토퍼(21)에 접촉해서 회전이 정지하므로, 구동암(27)의 스프링(27b)(제5도, 제8도)가 변위하기 시작한다. 다음에, AC 헤드암(22)(제3도)가 핀(5b)에 접촉해서 정지하는 것에 의해 핀(5b)를 유지한다. AC 헤드암(22)가 정지하면, 조작암(28)의 핀(28a)(제3도, 제5도)가 판스프링(27c)를 변위시키면서 더욱 이동하고, 이 시점에서 DC 모터(49)(제2도)가 정지된다. 이때 자기테이프(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주행위치에서 인출되고, 각 테이프가이드 부재는 소정위치에서 안정하게 유지된다. 이때, 가이드핀암(5)의 회전운동동작이 완료하여 소정위치에 유지되는 것에 의해 경사판(5a)는 소정의 주행위치에 유지되지만, 이동중에 항상 카세트 바닥면에 대해서의 경사가 유지되어 있으므로, 각도가 변하지 않아 각도정밀도를 확보하기 쉽고, 높은 정밀도로 위치 결정할 수가 있다. 그후, 핀치롤로(13)(제1도)은 자기테이프(2)를 유지해서 캡스턴(14)를 누르고, 캡스턴(14)가 회전함에 따라서 자기테이프(2)의 정상주행이 실행된다.
자기테이프(2)를 카세트(1)내에 수납하는 동작에서 DC 모터(49)가 상기의 설명과는 반대인 언로딩 방향으로 전압을 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의 로딩 동작과는 역동작을 하여 처음의 위치로 복원한다. 이 경우, 카세트(1)로 부터 인출된 자기테이프의 길이는 공급릴베이스(50)또는 감기릴베이스(51)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감겨져서 카세트(1)내로 자기테이프(2)가 수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핀(5a)를 갖는 가이드핀암(5)의 회전운동 동작에 따라서 AC 헤드(11)도 이동하고 있지만, AC 헤드(11)을 이동시키지 않고 경사핀(5a)를 갖는 가이드핀암(5)를 동작하는 기구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핀(5a)를 갖는 가이드핀암(5)는 회전운동동작으로 이동하지만, 경사핀(5a)의 카세트 바닥면에 대한 경사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면, 각도정밀도를 확보하기가 용이하므로 카세트 바닥면에 대해서 평행면상에 이동하는 기구(예를들면, 슬라이드기구)이면, 정밀도를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2)

  1. 회전자기헤드장치 주위에 소정의 범위로 자기테이프를 감아서 기록 및 재생을 실행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테이프가 로딩을 위해 인출되지 않았을때 장착된 카세트(1)이 차지하는 공간내의 제1의 위치에서 동작 가능하고, 테이프가 인출될때 상기 회전자패드장치(9)의 하나의 공급위치축에 대향하는 공급위치에서 동작가능한 제1의 테이프 가이드수단(3), 상기 테이프가 로딩을 위해 인출되지 않았을때 상기 장착된 카세트가 차지하는 공간내의 제2의 위치에서 동작가능하고, 상기 테이프가 인출될때 상기 회전자기헤드장치의 하나의 감기위치측에 대향하는 감기위치에서 동작 가능하고, 테이프가 인출될 때 상기 회전자기헤드장치(9)의 하나의 공급위치축에 대향하는 공급위치에서 동작가능한 제2의 테이프 가이드수단(4), 상기 제1 및 제2의 테이프가이드 수단을 상기 제1및 제2의 위치에서 상기 회전자기헤드장치의 상기 공급측 및 감기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의 인출수단(31∼44), 테이프가 장착되었을때 테이프 경로에 위치되어 상기 테이프상에 오디오신호 및 제어펄스신호를 기록하고 상기 테이프로 부터 재생하는 오디오 제어헤드(11), 상기 테이프가 로딩을 위해 인출되지 않았을때 상기 장착된 카세트가 차지하는 공간내의 제3의 위치에서 동작가능하고, 상기 테이프가 인출될때 상기 제2의 테이프가이드수단과 상기 오디오 제어헤드 사이의 제4의 위치에서 동작가능하며, 상기 제3 및 제4의 위치에서 상기 카세트의 바닥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제3의 테이프 가이드수단(5)와, 상기 카세트의 바닥면에 대해서 상기 제3의 테이프가이드 수단의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3의 테이프 가이드 수단을 상기 제3의 위치에서 상기 제4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의 인출수단(27, 28, 29)를 포함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테이프 가이드 수단은 소정의 테이프 주행경로의 바깥측 및 상기 오디오 제어헤드의 뒤쪽에 있는 회전축(20)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오디오 제어헤드의 전면부에 걸쳐서 통과하여 상기 제3의 위치에서 상기 제4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회전이 가능한 자기기록 재생장치.
KR1019900009391A 1985-03-27 1990-06-25 자기기록 재생장치 KR900008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9391A KR900008496B1 (ko) 1985-03-27 1990-06-25 자기기록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579 1985-03-27
JP60060579A JPH061584B2 (ja) 1985-03-27 1985-03-27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19860002059A KR910000961B1 (ko) 1985-03-27 1986-03-20 자기기록 재생장치용 테이프 인출장치
KR1019900009391A KR900008496B1 (ko) 1985-03-27 1990-06-25 자기기록 재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059A Division KR910000961B1 (ko) 1985-03-27 1986-03-20 자기기록 재생장치용 테이프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496B1 true KR900008496B1 (ko) 1990-11-22

Family

ID=27297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391A KR900008496B1 (ko) 1985-03-27 1990-06-25 자기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49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92958B2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KR910000961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용 테이프 인출장치
KR880013144A (ko)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 기구
JPH0370304B2 (ko)
KR900008496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EP0944061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US5021899A (en) Tape loading apparatus for cassette tape player
KR0179247B1 (ko) 비디오기기의 핀치롤러 장치
US5243477A (en) Apparatus for threading magnetic tape from a single reel cartridge in a rotary head tape transport
JP298631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95418B2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H0217704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34926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40003067Y1 (ko) 자기기록 재생기의 슬랜트 로울러암 압착장치
KR0113203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고속 주행장치
KR900005640Y1 (ko) 브이씨알의 고속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KR910002328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신호배속 역재생장치
JP3211560B2 (ja) 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S61217956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850000120B1 (ko) 자기테이프 기록재생장치
KR880000030B1 (ko) 8미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오딩 장치
JP258057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226027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890003491B1 (ko) 기록재생장치
JPH03295052A (ja) ピンチローラの圧着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