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189B1 - 핀치롤러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핀치롤러 승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189B1
KR0141189B1 KR1019940021896A KR19940021896A KR0141189B1 KR 0141189 B1 KR0141189 B1 KR 0141189B1 KR 1019940021896 A KR1019940021896 A KR 1019940021896A KR 19940021896 A KR19940021896 A KR 19940021896A KR 0141189 B1 KR0141189 B1 KR 0141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ch roller
lever member
lifting
slide member
revers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1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189B1/ko
Priority to CN95104009A priority patent/CN1077313C/zh
Priority to US08/788,964 priority patent/US57484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189B1/ko

Links

Landscapes

  • Handling Of Cut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카세트 플레이어에 있어서, 캡스턴축과 함께 테이프를 정속으로 이송시키도록 된 핀치롤러를 승강시키는 핀치롤러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핀치롤러 승강장치의 레버부재는, 정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에 의해 정역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핀치롤러 승강장치에 있어서 레버부재의 역회동을 인장코일 스프링에 의존하던 것과는 달리, 핀치롤러의 승강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핀치롤러의 승강을 무리없이 정숙한 상태로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인장코일 스프링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부품비의 절감은 물룬 그 스프링을 설치함에 따르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핀치롤러 승강장치
제1도는 종래 핀치롤러 승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핀치롤러가 하강하기 전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핀치롤러 승강장치의 요부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핀치롤러 스강장치에서 경사캠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요부측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핀치롤러 승강장치에 있어서, 핀치롤러가 하강한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핀치롤러 승강장치의 요부정면도,
제6도는 제4도에 도시한 핀치롤러 승강장치에서 경사캠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요부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핀치롤러 승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핀치롤러가 하강하기 전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핀치롤러 승강장치에 있어서, 핀치롤러가 하강한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로링모터 2:워엄
3:워엄휠 4:마스터기어
5:캡스턴축 9:데크
10:핀치롤러 20:아암부재
50:슬라이드부재 51:단턱
55:걸림돌기 80:레버부재
81:가이드장공 82:접촉돌기
85:걸림턱 90:경사캠부재
91:가이드돌기 92:경사캠부
95:승강부재 96:삽입돌기
본 발명은 테이프 카세트 플레이어에 있어서, 캡스턴축과 함께 테이프를 정속으로 이송시키도록 된 핀치롤러를 승강시키는 핀치롤러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나 캠코더,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 등의 데크메카니즘에 있어서, 테이프 카세트에 수용된 테이프는 작동 모드에 따라 한 쪽의 테이프릴로 부터 풀려 나와, 복수의 가이드포스트와 헤드드럼 그리고 캡스턴축과 핀치롤러의 사이를 주행하며 다른 쪽 테이프릴에 감기게 되어 있다. 예컨데 재생모드의 경우에서는 핀치롤러가 핀치롤러 구동장치에 의해 캡스턴축에 압착로딩되고, 캡스턴축과 이 캡스턴축에 압착된 핀치롤러의 의하여 테이프 정속으로 이송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데크메카니즘에는 핀치롤러가 테이프의 표면(기록면)에 접촉하도록 된 표면접촉방식과, 테이프의 이면(비기록면)에 접촉하도록 된 이면접촉방식이 있는데, 이면접촉방시의 데크메카니즘에서 핀치롤러는 테이프의 로딩을 간섭하지 않로록 테크의 상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데크에는 핀치롤러를 구동하는 장치로서, 핀치롤러를 캡스턴출에 압착구동하기 위한 핀치롤러 압착장치와 핀치롤러를 승강시키기 위한 핀치롤러 승강장치가 마련된다.
상술한 장치들 중 핀치롤러를 승강시키기 위한 핀치롤러 승강장치의 일 예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1도는 핀치롤러가 승강되어 있는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이고, 제2도는 그 요부정면도, 제3도는 그 요부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로딩모터(1)의 축에는 로딩모터(1)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워엄(2)이 고정되어 있으며, 워엄(2)에는 워엄휠(3)이 맞물려 있다. 워엄휠(3)에는 마스터기어(4)가 맞물려 있으며, 마스터기어(4)에는 왕복이동 가능하게 데크(9)상에 설치된 슬라이드부재(50)의 기어부(53)가 맞물려 있다. 슬라이드부재(50)이 도면에 있어서의 상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단턱(51)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50)의 단턱(51)에는, 레버부재(80)의 일측에 마련된 접촉돌기(82)가 접촉되어 있는데 이 레버부재(80)는 데크(9)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83)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레버부재(80)의 타측에는 가이드장공(8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핀치롤러(10)가 아암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데, 아암부재(20)에는 일측에 돌출된 삽입돌기(96)를 갖는 승강부재(95)가 결합되어 있다. 이 경사캠부재(9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이 경사캠부재(90)에는 상기 레버부재(80)의 가이드장공(81)에 끼워져 구속되는 가이드돌기(91)와, 상기데크(9)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95)의 삽입돌기(96)가 끼워져 구속되는 경사캠부(92)가 마련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98은 승가부재(95)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결합축이며, 99는 경사캠부재(90)와 데크(9)에 그 양단이 결합되어 레버부재(80)를 슬라이드부재(50)의 단턱(51)에 접촉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코일스프링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핀치롤러 승강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 내지 재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치롤러(10)가 데크(9)에 대해 상승되어 있는상태에서 로딩모터(1)가 회전하게 되면, 로딩모터(1)의 축에 고정결합된 워업(2)이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 워엄(2)이 맞물릴 워엄휠(3)을 통해 마스터기어(4)가 회전하고 마스터기어(4)에 맞물린 슬라이드부재(50)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레버부재(80)의 접촉돌기(82)와 접촉되어 있던 슬라이드부재(50)의 단척(51)이, 도면에 있어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레버부재(80)의 접촉돌기(82)는 단턱(51)의 왼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인장되어 있던 코일스프링(99)의 복원력에 의해, 경사캠부재(90)가 도면에 있어서 상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경사캠부재(90)의 가이드돌기(91)에 의해 그 경사캠부재(90)와 연결된 레버부재(80)는 힌지(83)를 중심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접촉돌기(82)는 슬라이드 부재 (50)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경사캠부재(90)가 슬라이딩되면서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9)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캠부재(92)에 삽입돌기(96)가 구속 수용된 승강부재(95)가 결합축(98)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데 따라 승강부재(95)에 결합된 아암부재 (20)와 이 아암부재(20)에 결합된 핀치롤러(10)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핀치롤러(10)가 하강한 상태에서, 로딩모터(1)가 역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드부재(50)가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때, 레버부재(80)의 접촉돌기(82)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51)의 경사면을 타고 단턱(51)의 윗면으로 올라가 접촉하게 되면서, 레버부재(80)의 접촉돌기(82)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51)의 경사면을 타고 단턱(51)의 윗면으로 올라가 접촉하게 되면서, 레버부재(8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레버부재(80)에 연결된 경사캠부재(90)가 인장코일스프링(99)을 인장시키면서 도면에 있어서 하방으로 슬라이딩되게 되며,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95)와 아암부재20) 및 핀치롤러(10)를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인장된 인장코일 스프링(99)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핀치롤러(10)를 하강시키는 경우에 레버부재(8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공될 복원력을 지니게 된다.
그러나, 아암부재와 승강부재 및 경사캠부재를 포함하는 연결수단을 개재시켜 핀치롤러를 승강시키도록 정역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정방향(도면에 있어서 왼쪽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단턱에 밀려 정회동(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된 레버부재의 역회동을 인장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레버부재의 정역회동속도 밸런스가 불균형한 상태를 이루게 되어 핀치롤러의 승강동작에 무리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레버부재가 역회동하여 정지되면서 발생되는 관련부재들간의 접촉음에 상당히 커지게 된다는 문제가 발행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핀치롤러의 승강속도 밸런스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핀치롤러의 승강시에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며 무리한 승강작동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핀치롤러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핀치롤러 승강장치는 로딩모터에 의해 데크상에서 왕복이동하며 그 일측에 단턱을 갖는 슬라이드부재와, 데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스라이드부재의 단턱에 밀려 정회동하도록 된 레버부재와, 이 레버부재를 타방향으로 역회동시키기 위한 역회동수단과, 상기 레버부재의 양방향 회동에 연동하여 핀치롤러를 승강시키는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역회동수단으로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일측에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레버부재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걸림돌기에 밀려 역회동하도록 그 걸림돌기에 의해 압압되는 걸림턱을 구비하여 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7도 및 제8도에는 본 발명에 따를 핀치롤러 승강장치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제7도는 핀치롤러가 상승한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제8도는 핀치롤러가 하강한 상태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먼저 제7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핀치롤러 승강장치는 데크(9)에 설치된 로딩모터(1)와, 데크(9)상에 정역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부재(50)와, 힌지(83)에 의해 데크(9)에 정역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레버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재(50)는, 로딩모터(1)의 축에 고정된 워엄(2)과 이 워엄(2)에 연결되 워엄휠(3) 및 마스터기어(4)를 개재시켜, 상기 로딩모터(1)의 정역회전에 의해 돌출된 단턱(5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단턱(51)에는, 레버부재(80)의 일측에 마련된 접촉돌기(82)가 접촉되어 있다. 핀치롤러 승강장치에는 또한, 상기 레버부재(80)의 정역회동에 연동하여 핀치롤러(10)를 승강시키는 연결수단으로서, 핀치롤러(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아암부재(20)와, 데크(9)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부재(95)와 연결된 경사캠부재(9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사캠부재(90)에는 상기 레버부재(80)의 가이드장공(81) 끼워져 구속되는 가이드돌기(91)와, 상기 데크(9)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재(95)의 삽입돌기(96)가 끼워져 구속되는 경사캠부(제3도의 92)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부재(50)는 그 표면에 대해 돌출된 걸림돌기 (5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레버부재(80)는 역방향(도면에 있어서 오른쪽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50)의 걸림돌기(55)에 밀려 역회동하도록 그 걸림돌기(55)에 의해 압압되는 걸림턱(85)을 구비하고 있다. 미설명부호 5는 핀치롤러(10)와 함께 테이프를 정속주행시키는 캡스턴 축이다.
제7도와 제2도 및 제3도(제2도와 제3도 및 후술할 제5도와 제6도는 종래 핀치롤러 승강장치의 요부 정면도 및 측면도이나 본 발명에 따를 핀치롤러의 요부를 나타내 보이기도 한다.)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승되어 있는 핀치롤러(10)를 ,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핀치롤러 승강장치에 의해 하강시키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핀치롤러 승강장치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로딩모터(1)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부재(50)가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드부재(50)의 이동중에, 레버부재(80)의 접촉돌기(82)와 접촉하고 있던 슬라이드부재(50)의 단턱(51)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레버부재(80)의 접촉돌기(82)는 단턱(51)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레버부재(80)의 접촉돌기(82)는 단턱(51)이 왼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슬라이드부재(50)에 형성된 걸림돌기(55)가 레버부재(80)의 걸림턱(85)과 접촉하게 된다. 그 후, 슬라이드부재(50)의 역방향 이동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슬라이드부재(50)의 걸림돌기(55)는 레버부재(80)이 걸림턱(85)을 압압하며 레버부재(80)를,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83)를 중심으로 역회동(도면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레버부재(80)에 연결된 경사캠부재(90)가 도면에 있어서 상측으로 이동되게 되고,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9)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캠부재(92)가 도면에 있어서 상측으로 이동되게 되고,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9)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진 경사캠부(92)에 삽입돌기(96)가 구속 수용된 승가부재(95)가 결합축(98)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부재(95)에 결합된 아암부재(20)와 이 아암부재(20)에 결합된 피치롤러(10)가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핀치롤러(10)가 하강한 상태에서, 모터(1)가 역회전하여 슬라이드부재(50)가 정방향(도면에 있어서 왼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레버부재(80)를 압압하던 슬라이드부재(50)의 걸림돌기(55)가 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50)의 걸림돌기(55)는 레버부재(80)의 걸림턱(85)으로부터 이탈되고, 레버부재(80)의 접촉돌기(82)는 단턱(51)의 윗면으로 올라가 접촉하게 됨녀서, 레버부재(80)가 정방향(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레버부재(80)의 회동에 연동하여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95)와 아암부재(20) 및 핀치롤러(10)가 상승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핀치롤러 승강장치의 레버부재는,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에 의해 정역회동할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핀치롤러 승강장치에 있어서 레버부재의 역회동을 인장코일 스프링에 의존하던 것과는 달리, 핀치롤러의 승강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핀치롤러의 승강을 무리없이 정숙한 상태로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인장코일 스프링을 삭제할 수 있으므로, 부품비의 절감은 물론 그 스프링을 설치함에 따르는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의 핀치롤러 승강장치는, 핀치롤러의 승강을 정숙하며 무리없이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테이프레코더의 신뢰성 및 경쟁력향상에 이바지하는 바 크다.

Claims (1)

  1. 로딩모터에 의해 데크상에서 왕복이동하며 그 일측에 단턱을 갖는 슬라이드부재와, 데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단턱에 밀려 정회동하도록 된 레버부재와, 이 레버부재를 타방향으로 역회동시키기 위한 역회동수단, 상기 레버부재의 양방향 회동에 연동하여 핀치롤러를 승강시키는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된 핀치롤러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회동수단으로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일측에 걸림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레버부재는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걸림돌기에 밀려 역회동하도록 그 걸림돌기에 의해 압압되는 걸림턱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치롤러 승강장치.
KR1019940021896A 1994-04-08 1994-08-31 핀치롤러 승강장치 KR0141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896A KR0141189B1 (ko) 1994-08-31 1994-08-31 핀치롤러 승강장치
CN95104009A CN1077313C (zh) 1994-04-08 1995-04-07 夹送轮驱动装置
US08/788,964 US5748402A (en) 1994-04-08 1997-01-24 Pinch roller driv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896A KR0141189B1 (ko) 1994-08-31 1994-08-31 핀치롤러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1189B1 true KR0141189B1 (ko) 1998-07-15

Family

ID=1939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896A KR0141189B1 (ko) 1994-04-08 1994-08-31 핀치롤러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18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7398A (en) Tape withdrawing device for a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0141189B1 (ko) 핀치롤러 승강장치
US6325264B1 (en) Video cassette recorder
US5434726A (en) Tape running device of video cassette recorder
KR950006298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테이프 주행장치
KR940001743B1 (ko) 캠코더 데크의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30008278B1 (ko) 개선된 캡스턴을 가진 자기 녹음/재생장치
KR0179247B1 (ko) 비디오기기의 핀치롤러 장치
US6122136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tape loading mechanism
KR860000918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JPH0695418B2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H05174453A (ja) 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テープテンション機構
KR100215413B1 (ko) 브이씨알의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US5930070A (en) Tape loading apparatus for loading a magnetic tape in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KR0130200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핀치암 및 테이크업 가이드 구동장치
KR10020059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US5991116A (en) Mechanism for drawing out tape
KR100215412B1 (ko) 브이씨알의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KR910002328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신호배속 역재생장치
KR900005076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가이드 포스트 압착장치
US55195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nd correcting tape loosening when the tape feeding direction is changed
JPS637415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11782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개폐장치
KR0120091Y1 (ko) 캠코더의 핀치 로울러 구동 및 압착 장치
KR0133702Y1 (ko) 핀치롤러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